KR20170057157A - Melting furnace - Google Patents

Melting furn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7157A
KR20170057157A KR1020160152465A KR20160152465A KR20170057157A KR 20170057157 A KR20170057157 A KR 20170057157A KR 1020160152465 A KR1020160152465 A KR 1020160152465A KR 20160152465 A KR20160152465 A KR 20160152465A KR 20170057157 A KR20170057157 A KR 20170057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olten bath
raw material
melt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24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70312B1 (en
Inventor
박도성
양상우
천세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열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열기술
Publication of KR20170057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71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3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4/00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Details peculiar to crucible or pot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4/00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Details peculiar to 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06Charging or discharg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4/00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Details peculiar to 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14Arrangements of he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rtical, Hearth, Or Arc Furnaces (AREA)
  • Furnace Detai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lting furna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lting furnace comprises: a housing having a bottom opened; a heating unit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a molten bath disposed under the housing, having an inner surface abutting raw materials formed of a material of an iron alloy, and provided with a case having a flow path therein through which a refrigerant flows. Heat generated in the heating unit is applied to the molten bath to melt a raw material in the molten bath, and the raw material in the molten bath is able to provide a melting furnace divided into a raw material layer, a molten metal layer, and a crystalline layer by influence of a refrigerant upon melting.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provide a melting furnace which is low in production cost and maintenance cost.

Description

용융로{MELTING FURNACE}Melting furnace {MELTING FURNACE}

본 발명은 용융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lting furnace.

용융로는 용융조와 가열원을 포함하여, 용융조에 원료를 안치하고 가열하여 용융, 융해시키는 장치를 말한다.A melting furnace is a device that includes a melting tank and a heating source, and places the raw material in a melting tank and heats and melts and melts the raw material.

용융로는 다양한 소재를 용융, 융해시킬 수 있으며, 일 예로 유리를 용융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최근에는, 정보 통신 산업의 발전에 따라 TFT LCD(THIN FILM TRANSISTOR - LIQUID CRYSTAL DISPLAY)용 기판유리 및 PDP(PLASMA DISPLAY PANEL) 기판유리 등 고품질의 유리가 요구되기 시작했으며, 이러한 기판유리를 제조함에 있어서 용융조의 역할이 매우 중요해졌다.The melting furnace can melt and melt various materials, and can be used, for example, to melt glass. Recentl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industry, high-quality glass such as a substrate glass for TFT LCD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d a PDP (PLASMA DISPLAY PANEL) substrate glass is required to be produced. The role of the melting vessel became very important.

구체적으로, 기판유리는 저밀도, 내열성, 내구성과 내화학성 및 기계적 특성 등의 조건을 만족시켜야 하기 때문에, 용융온도가 높고 고도의 생산기술이 요구된다.Concretely, since the substrate glass must satisfy the conditions such as low density, heat resistance, durability, chemical resistance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a high melting temperature and a high production technique are required.

이러한 고품질의 유리를 용융하기 위해서는 유리용융 시 내화물의 침식으로 인하여 생긴 이물질들이 혼합되지 않아야 하며, 또한 고온에서의 충분한 유지 시간 등 여러 가지의 용융 조건이 수반되어야 한다. In order to melt such a high-quality glass, foreign substances caused by erosion of the refractory during melting of the glass should not be mixed, and various melting conditions such as a sufficient holding time at a high temperature should be involved.

그러한 이유로, 기존의 융해로는 다음과 같이 고품질의 유리제품을 양산하는데 한계가 있다.For this reason, conventional melting furnaces have a limitation in mass production of high quality glass products as follows.

첫째, 전주내화물을 용융조로 사용한 융해로는 대량 생산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열원을 가스로 이용하므로 온도 제어가 까다롭고, 장치 규모가 커서 과도한 설치장소를 필요로 한다. 또한, 원료 용융 시 발생하는 휘발가스 및 유리 원료와의 반응 침식 작용으로 인해 빈번한 보수 작업이 요구된다.First, melting furnace using furnace refractories as a melting furnace has the advantage of mass production, but temperature control is difficult due to the use of heat source as gas, and the equipment size is large, which requires an excessive installation site. In addition, frequent maintenance work is required due to reaction and erosion of the volatile gas generated during melting the raw material and the glass raw material.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000년 초 일본 마쓰시다사에서 개발한 백금 도가니를 이용한 용융로 방식이 제안된 바 있으며, 이러한 백금 도가니를 이용한 방식의 용융로는 현재까지 국내뿐만이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대표적으로 용융 융해 업체 산업현장에 적용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 melting furnace system using a platinum crucible developed by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 Japan was proposed in the beginning of 2000. Such a melting furnace using a platinum crucible has been widely used not only in domestic but also in the world, It is applied to industrial field.

백금 도가니를 이용한 용융로는 고품질의 유리재료를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백금도가니(Pt Crucible)의 가격이 고가이므로 장치 초기 투자비가 극심히 높다는 단점이 있으며, 백금 도가니의 잦은 사고로 인해 유지보수비 (RUNNING COST)가 생산원가 대비 터무니없이 높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Although the melting furnace using platinum crucibles has the advantage of producing high quality glass materials,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initial investment cost of the device is extremely high because the price of the platinum crucible is high, and the maintenance cost RUNNING COST) is unreasonably high compared to production costs.

또한, 이러한 백금 도가니는 원료 공급이 상부에서만 가능한 구조적인 문제 때문에, 원료가 백금 도가니 내부로 공급될 때 백금 도가니 내의 고온의 열이 원료와 반응하여 원료 투입구를 막히게 하는 현상이 현장에서 자주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latinum crucible has a structural problem that is possible only at the upper part of the raw material supply, when the raw material is supplied into the platinum crucible, high temperature heat in the platinum crucible reacts with the raw material, .

특허문헌 1: 일본등록특허 제4105541호(2008.04.04.)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No. 4105541 (Apr. 04, 2008) 특허문헌 2: 일본등록특허 제4360158호(2009.08.21.)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No. 4360158 (Aug. 21, 200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백금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고품질로 소재를 용융할 수 있는 용융로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lting furnace capable of melting a material with high quality without using platinum.

또한, 원료 투입구가 막히는 문제없이 원료를 용융조에 공급할 수 있는 용융로를 제공하고자 한다.Furth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lting furnace capable of supplying a raw material to a molten bath without clogging the raw material inlet.

또한, 생산원가가 저렴하면서도 유지보수 비용이 적게 드는 용융로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melting furnace which is low in production cost and low in maintenance cost.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하측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발열부; 및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배치되고, 적어도 원료가 맞닿는 내측면이 철 합금의 소재로 형성되되 내부에 냉매가 흐를 수 있는 유동로를 갖는 케이스를 갖는 용융조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부에서 발생되는 열은 상기 용융조에 가해져 상기 용융조 내부의 원료를 녹이고, 상기 용융조 내부의 원료는 용융 시 냉매의 영향에 의해 원료층, 용탕층, 결정층으로 구분되는 용융로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 lower side opened; A heating unit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a case having a case which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and at least an inner side where the raw material abuts is formed of a material of an iron alloy and has a flow path through which refrigerant can flow, The molten bath may be divided into a raw material layer, a molten metal layer and a crystalline layer depending on the influence of the refrigerant upon melting the raw material in the molten bath.

또한, 상기 하우징의 하측과 용융조 사이에 배치되되 중앙에 상기 하우징과 용융조를 연통시키는 중앙홀이 형성되는 내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측면이 아치형으로 형성되며, 외부와 연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되는 용융로를 제공할 수 있다.And a refractory disposed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and the molten bath, the refractory having a central hole for communicating the housing and the molten bath at the center, the housing having an upper surface formed in an arcuate shape, Thereby providing a melting furnace to be formed.

또한, 상기 연통공은 상기 중앙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용융로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hole may provide a melting furnac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hole.

또한, 상기 발열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내화물의 상측면 위에 이격되도록 수직으로 배치되는 용융로를 제공할 수 있다.The heating unit may be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to provide a melting furnace vertically disposed to be spaced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refractory.

또한, 상기 발열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발열체가 2열 이상 배치되는 용융로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ting unit may provide a melting furnace in which at least two or more heating elements are disposed in two or more rows.

또한, 상기 내화물은 상기 용융조의 상측 개구부의 일부를 차폐하되, 상기 중앙홀이 상기 상측 개구부 상에 위치되는 용융로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 the refractory may provide a melting furnace in which a portion of the upper opening of the molten bath is shielded, and the center hole is located on the upper opening.

또한, 상기 용융조에는 냉매를 상기 유동로로 유입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구 및 상기 유동로의 냉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구가 형성되는 용융로를 제공할 수 있다.Also, the melting vessel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inlet for introducing the refrigerant into the flow path, and at least one outlet for discharging the refrigerant of the flow path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유동로 내부에는 일단이 상기 용융조의 외측벽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용융조의 내측벽에 이격되어 있는 제1 격막과, 일단이 상기 용융조의 내측벽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용융조의 외측벽에 이격되어 있는 제2 격막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격막과 제2 격막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용융로를 제공할 수 있다.The first diaphragm has one end disposed in the outer wall of the melting vessel and the other end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of the molten bath. The other end of the diaphragm is disposed in the inner wall of the molten bath and the other end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of the molten bath The first diaphragm and the second diaphragm are sequentially disposed on the first diaphragm.

또한,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용융조에 원료를 이송시키는 원료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용융로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lting furnace, which further comprises a raw material supply unit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housing to transfer the raw material to the molten bath.

또한, 상기 용융조는 크롬(Cr) 23%, 알루미늄(Al) 5%, 몰리브덴(Mo) 3%, 철(Fe) 69%로 이루어진 철 합금을 포함하는 용융로를 제공할 수 있다.The melting furnace can also provide a melting furnace comprising an iron alloy consisting of 23% of chromium (Cr), 5% of aluminum (Al), 3% of molybdenum (Mo) and 69% of iron (Fe)

또한, 상기 용융조는 용융된 원료를 배출하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용융로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 the melting vessel may provide a melting furnace having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molten raw material.

또한, 상기 토출구의 일측에 배치되는 가열체를 더 포함하는 용융로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lting furnace further including a heating body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ischarge port.

또한, 상기 하우징 또는 용융조에 배치되는 온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용융로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lting furnace further including a temperature sensing sensor disposed in the housing or the molten bath.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융로는 백금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고품질로 소재를 용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melting furna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material can be melted with high quality without using platinum.

또한, 원료 투입구가 막히는 문제없이 원료를 용융조에 공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aw material can be supplied to the melting vessel without a problem that the raw material inlet is clogged.

또한, 생산원가가 저렴하면서도 유지보수 비용이 적게 든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roduction cost is low and the maintenance cost is low.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융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화물 및 용융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융조 및 용융조의 내측에서 소재가 용융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melting furn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housing, a refractory, and a melting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material is melted inside a melting vessel and a melting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are the same as the generic meanings of the terms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where the terms used herein contradict the general meaning of the term, they shall be as defined herein.

다만, 이하에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을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융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화물 및 용융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융조 및 용융조의 내측에서 소재가 용융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melting furn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of a housing, a refractory and a melting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terial is melted inside the melting vessel and the melting vessel.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융로(100)는 전체적인 구조를 형성하는 프레임(170), 프레임(170)에 설치되며 발열부(120)를 구비하는 하우징(110), 하우징(110)의 하측에 배치되는 용융조(140), 용융조(140)에 원료를 공급하는 원료공급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3, a melting furna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170 that forms an overall structure, a housing 110 that is installed in a frame 170 and includes a heating unit 120, A molten bath 140 disposed below the housing 110, and a raw material supply unit 150 for supplying the raw material to the molten bath 140.

하우징(110)은 발열부(120)를 구비하여 가열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발열부(120)에서 발생된 열은 용융조(140)로 전달되어 용융조(140)의 원료를 용융시킨다. The housing 110 is provided with a heating unit 120 to provide a heating space. Heat generated in the heating unit 120 is transferred to the melting vessel 140 to melt the raw material of the melting vessel 140.

원료공급부(150)는 하우징(110)의 상측면이 아닌 일측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원료가 배출되는 원료토출구가 용융조(140)보다 높이 위치되어 후술할 중앙홀(131)을 통해 용융조(140)에 원료를 이송시킬 수 있다. The raw material supply part 150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10 rather than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110. The raw material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raw material is discharged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molten bath 140, The raw material can be fed to the feeder 140.

구체적으로, 원료공급부(150)는 원료가 투입되는 호퍼(151)와, 호퍼(151)와 연통되어 호퍼(151)에서 배출되는 원료를 용융조(140)에 유입시키는 이송스크류(152)와, 이송스크류(152)를 구동시키는 구동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스크류(152)에 의해 전진하는 원료는 소정 거리 낙하하여 용융조(140)로 유입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aw material supply unit 150 includes a hopper 151 into which the raw material is input, a feed screw 152 that communicates with the hopper 151 to feed the raw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hopper 151 into the molten bath 140, And a driving unit 153 for driving the conveying screw 152. The raw material advancing by the conveying screw 152 may fall into the melting vessel 14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본 실시예에서 원료는 유리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재활용이 가능한 보크사이트 추출물, 제철 슬러지와 같은 금속분말 등과 같은 용융, 융해가 필요한 임의의 원료일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aw material is exemplified as glass, but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may be any raw material requiring melting and melting such as bauxite extract and metal powder such as iron sludge which can be recycled .

하우징(110)은 하측이 개구되어 형성되며, 외측에 내화보드(112), 벽돌(113) 또는 금속(114)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재료의 조합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The housing 110 may be formed with a lower opening and may further include a refractory board 112, a brick 113 or a metal 114 on the outside thereof. The housing 110 may be formed of a combination of materials.

여기서, 하우징(110)의 하측 개구부의 일부는 내화물(130)에 의해 차폐될 수 있으며, 내화물(130)은 하우징(110)의 바닥면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내화물(130)은 하우징(110)과 용융조(140)의 사이에 배치되어, 용융조(140)에서 형성되는 용융기체가 내화물(130)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중앙홀(131)을 통해서만 하우징(110)이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Here, a part of the lower opening of the housing 110 can be shielded by the refractory 130, and the refractory 130 can function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10. [ The refractory 130 is disposed between the housing 110 and the molten bath 140 so that the molten gas formed in the molten bath 140 flows only through the center hole 131 formed in the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of the refractory 130 110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side.

또한, 하우징(110)은 상측면(111)이 아치형으로 형성되며, 외부와 연통되는 연통공(11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연통공(115)은 중앙홀(13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110 has an upper surface 111 formed in an arcuate shape and a communicating hole 115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may be formed and the communicating hole 115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hole 131 .

그리고, 발열부(120)는 하우징(110)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발열부(120)는 2열 이상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발열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용융로(100) 내부의 발열량을 극대화하여, 후술할 공냉 또는 수냉 방식의 용융조(140)에서 원료의 효과적인 용융, 융해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발열체가 연통공(115)의 양측에 서로 대칭인 구조로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The heat generating unit 120 is disposed in the housing 110. Specifically, the heat generating unit 120 may include at least two heat generating elements arranged in two or more rows. This structure maximizes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in the melting furnace 100, ), The effective melting and melting of the raw material can be achieved. In this embodiment, two heat generating elements are arrang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communication hole 115 as an example.

여기서, 발열부(120)는 전기 저항 가열 방식의 발열체로써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발열체는 일예로 이규화 몰리브덴(MoSi2) 발열체로써 구현될 수 있다. Here, the heat generating unit 120 may be embodied as a heating element of an electric resistance heating type, and the heating element may be realized as a molybdenum (MoSi2) heating element, for example.

이러한 전기 저항 가열 방식의 발열체인 경우, 실시예는 가스 연소 방식에 비해 에너지 비용의 절감 및 공해 가스 미발생에 의한 친환경적인 현장 분위기를 도모할 수 있으며, 가열온도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균일한 용융 소재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heating element of the electric resistance heating type, the embodiment can achiev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on-site atmosphere due to the reduction of the energy cost and the occurrence of no pollution gas compared with the gas combustion type, and the heating temperature can be controlled accurately, Material quality can be guaranteed.

또한, 발열부(120)는 하우징(110)의 상측면(111)에 고정되어 내화물(130)의 상측면 위에 이격되도록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전술한 아치형의 하우징(110)의 구조에 의해 발열체에 휘발가스의 접촉이 최소화되어 실질적으로 발열체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융조(140)에서 발생되는 휘발가스는 내화물(130)의 중앙홀(131)을 통해서만 하우징(110)의 내측 공간으로 진입되고, 이러한 휘발가스는 하우징(110)의 아치형 상측면(111) 구조 및 중앙홀(131)의 상방에 배치된 연통공(115)을 따라 하우징(110)의 외부로 배출되므로, 발열체가 수직으로 배치되는 경우 휘발가스의 이동을 최대한 덜 방해하고 접촉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heating unit 120 may be vertically disposed on the upper side 111 of the housing 11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refractory 130. In this case, the structure of the arched housing 110 The contact of the volatile gas with the heating element is minimized, and the service life of the heating element can be substantially prolonged. Specifically, the volatile gas generated in the melting vessel 140 enters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10 only through the center hole 131 of the refractory 130, and the volatile gas is supplied to the arcuat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111) structure and the communication hole 115 disposed above the center hole 131. Therefore, when the heating element is arranged vertically, the movement of the volatile gas is minimized and the contact time is minimized Can be minimized.

한편, 용융조(140)는 하우징(110)의 하측에 배치되며, 이러한 용융조(140)와 하우징(110) 사이에는 내화물(130)이 배치될 수 있다.The refractory 1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melting vessel 140 and the housing 110. The refractory 130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110. [

내화물(130)은 하우징(110)의 하측과 용융조(140) 사이에 배치되되 중앙에 하우징(110)과 용융조(140)를 연통시키는 중앙홀(131)이 형성될 수 있다.The refractory 1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110 and the melting vessel 140 and may include a center hole 131 at the center for communicating the housing 110 with the melting vessel 140.

또한, 내화물(130)은 전주내화물(130)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홀(131)은 용융조(140)의 개구된 상측면을 하우징(110)과 연통시킬 수 있으면, 직사각형, 정사각형 또는 원형 등 형상은 불문한다.The refractory 130 may be formed as the electromotive refractory 130 and the center hole 131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quare, or circular shape as long as the open upper side of the melting vessel 140 can communicate with the housing 110. [ There is no form of back.

여기서, 내화물(130)은 용융조(140)의 상측 개구부의 일부를 차폐하되, 중앙홀(131)이 용융조(140)의 상측 개구부 상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전술한 것과 같이, 용융조(140)에서 발생하는 휘발가스가 용융로(100) 내부에 정체되지 않고 하우징(110)의 아치형의 상측면(111)에 형성된 연통공(115)에 효과적으로 유동하게 하여 발열부(12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연통공(115)이 중앙홀(131)의 직상방에 위치되는 경우, 용융조(140)에서 발생되는 휘발가스는 중앙홀(131)을 통과하도록 유도된 후 상승하여 바로 연통공(115)으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위와 같은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The refractory 130 is configured to cover a part of the upper opening of the molten bath 140 while the center hole 131 is positioned on the upper opening of the molten bath 140. This structure allows the volatile gas generated in the molten bath 140 to effectively flow into the communication hole 115 formed in the upper surface 111 of the arcuate shape of the housing 110 without being stagnated inside the melting furnace 100, So that corrosion of the heat generating portion 120 can be prevented. Particularly, when the communication hole 115 is located in the upper right chamber of the center hole 131, the volatile gas generated in the melting vessel 140 is guided to pass through the center hole 131, ),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above effec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융조(140)는 일측에 유입구(141)가 형성되고, 타측에 배출구(142)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유입구(141)와 배출구(142)와 연통되어 냉매가 유동되는 유동로(143)가 형성될 수 있다.In the melting vessel 14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141 is formed at one side and the outlet 142 is formed at the other side. The inside of the melting vessel 140 is connected to the inlet 141 and the outlet 142, A flow path 143 may be formed.

여기서, 냉매는 공기 등의 기체 또는 물 등의 액체일 수 있으며 용융조(140)의 냉각을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용융조(140)의 온도를 낮춤으로써 용융조(140) 내부에서 용융되는 원료가 원료층(a), 결정층(b) 및 용탕(용융)층(c)의 대략적인 세 개의 층으로 나눠지게 한다.The refrigerant may be a gas such as air or a liquid such as water and is provided for cooling the melting vessel 140. The temperature of the melting vessel 140 may be lowered so that the raw material melted in the melting vessel 140 And divided into roughly three layers of the raw material layer (a), the crystalline layer (b) and the molten metal (molten) layer (c).

용융조(140)는 내부에 유동로(143)를 형성하기 위해 내측벽과 외측벽을 갖는 이중벽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melting vessel 140 may be formed in a double wall structure having an inner wall and an outer wall to form a flow path 143 therein.

도 3에서는 용융조(140)의 유입구(141)와 배출구(142)는 용융조(140)의 양측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하나씩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그 개수와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공기 또는 유체 각각의 유입구(141)와 배출구(142)가 따로 형성될 수도 있다.3, the inlet 141 and the outlet 142 of the melting vessel 140 are formed at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on both sides of the melting vessel 140. However,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inlet 141 and the outlet 142 are not limited thereto, Multiple numbers may be provided as needed. In addition, an inlet 141 and an outlet 142 of each air or fluid may be separately formed.

이하에서는 유입구(141)로 수돗물 등의 액체가 냉매로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이때, 유동로(143)에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는 약 15℃ 내지 35℃ 정도 일 수 있으며,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는 약 40℃ 내지 45℃일 수 있으며, 유입되는 냉매의 압력은 1kg/cm2 내지 5kg/cm2 일 수 있다.Hereinafter, an example will be described in which liquid such as tap water is supplied as a refrigerant to the inlet 141. At this time,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flow path 143 may be about 15 ° C to 35 ° C,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discharged may be about 40 ° C to 45 ° C,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introduced may be 1kg / cm 2 To 5 kg / cm < 2 >.

이처럼, 냉각 구조를 포함하는 실시예의 용융조(140)는 고온(약 1700℃ 이상)의 환경에서도 용융조(140)가 변형되지 않게 할 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열부(120)에서 가해지는 열에 의해 원료가 용융되고 이에 의해 용융조(140) 자체도 가열될 수 있다. 이 경우, 용융조(140)를 이루고 있는 소재가 녹거나 열에 의한 손상을 입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나, 용융조(140)의 케이스 내측으로 냉매를 유동시킴으로써, 용융조(140) 자체가 냉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바, 용융조(140)를 보호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lting vessel 140 of the embodiment including the cooling structure can prevent the melting vessel 140 from being deformed even at a high temperature (about 1700 DEG C or more), so that the durability can be improved. Specifically, the raw material is melted by the heat applied by the heat generating unit 120, whereby the melting tank 140 itself can be heated. In this case, problems such as melting of the material forming the melting vessel 140 or damage due to heat may occur. However, by flowing the coolant into the case of the melting vessel 140, The effect of cooling can be obtained, and the melting vessel 140 can be protected.

또한, 용융조(140)가 냉각됨으로써 용융조(140) 내부의 원료는 크게 원료층(a), 결정층(b), 및 용탕층(c)으로 나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융조(140)의 제일 아래 부분, 즉 용융조(140)의 내측벽과 접하고 있는 부분은 열을 적게 받음과 동시에 용융조(140)의 냉각 효과를 직접 받는 곳으로서, 원료가 녹지 않아 원료 그대로인 원료층(a)일 수 있다. 그리고, 용융조(140)의 제일 윗 부분은 하우징(110)에 가장 가깝게 대향하고 있는 부분으로서 열을 가장 많이 받는 부분이므로, 원료가 녹아서 용탕층(c)을 이룬다. 마지막으로, 원료층(a)과 용탕층(c)의 사이인 가운데 부분은 용탕층(c)에서 뜨거운 열을 받고 아래부분인 원료층(a)에서는 차가운 냉기를 받으므로 녹지도 않고 원료상태도 아닌 굳어 있는 층, 즉 결정층(b)을 이루게 된다.Further, the material in the molten bath 140 can be divided into the raw material layer (a), the crystal layer (b), and the molten layer (c) by cooling the molten bath (140). Specifically, the lower portion of the melting vessel 140, that is,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melting vessel 140 receives less heat and directly receives the cooling effect of the melting vessel 140, (A) as the raw material. The uppermost part of the melting vessel 140 is the part facing the housing 110 closest to the housing 110, and is the part that receives the most heat, so that the raw material melts to form the molten layer c. Finally, the middle portion between the raw material layer (a) and the molten metal layer (c) receives hot heat in the molten metal layer (c) and receives cold cool air in the raw material layer (a) (B) which is not a hardened layer.

이러한 경우, 용융조(140) 내부의 원료층(a)과 결정층(b)이 내화물의 역할을 하게 되고, 이는 결국 실시예의 용융조(140)의 변형 방지 및 이물질 유입 방지를 도모하게 되어 용융조(140)의 내구성 강화 및 고품질의 제조가 가능해지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raw material layer (a) and the crystalline layer (b) inside the melting vessel 140 serve as refractory materials, which eventually prevents deformation of the melting vessel 140 and prevents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durability of the bath 140 can be enhanced and the quality of the bath 140 can be improved.

또한,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냉각 구조를 더욱 효과적으로 도모하기 위해, 유동로(143) 내부에는 일단이 용융조(140)의 외측벽에 배치되고 타단이 용융조(140)의 내측벽에 이격되어 있는 제1 격막(143a)과, 일단이 용융조(140)의 내측벽에 배치되고 타단이 용융조(140)의 외측벽에 이격되어 있는 제2 격막(143b)을 포함하되, 제1 격막(143a)과 제2 격막(143b)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도록 도모할 수 있다.In order to more effectively improve the cooling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one end of the flow path 143 is disposed on the outer wall of the melting vessel 140 and the other end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of the melting vessel 140 A first diaphragm 143a and a second diaphragm 143b having one end disposed on the inner wall of the molten bath 140 and the other end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of the molten bath 140, And the second diaphragm 143b may be sequentially arranged.

또한, 제1 격막(143a)과 제2 격막(143b)의 간격(d)은 냉매가 유동로(143)에 정체되지 않도록 50mm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잇다.The interval d between the first diaphragm 143a and the second diaphragm 143b can be set at intervals of 50 mm so that the refrigerant is not stagnated in the flow path 143.

이러한 격막 구조는 내부에 유동하는 유체의 접촉면을 넓히기 때문에 효과적인 냉각을 도모할 수 있다.Such a diaphragm structure widens the contact surface of the fluid flowing in the interior, so that effective cooling can be achieved.

또한, 용융조(140)는 적어도 원료가 맞닿는 내측면이 철 합금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크롬(Cr) 23%, 알루미늄(Al) 5%, 몰리브덴(Mo) 3%, 철(Fe) 69%로 이루어진 칸탈 합금(Kanthal Alloy)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융조(140)를 형성하며 내측에 유동로(143)를 갖는 케이스가 철 합금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용융조(140)의 재료로는 “Kanthal APMT”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용융조(140)는 원료가 고온에서 반응할 때 비중이 제일 가벼운 알루미늄이 구조의 표면층으로 올라오면서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알루미늄(Al2O3) 피막층을 용융조(140) 표면에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피막층은 고온에서도 기계적인 특성 및 조직이 변하지 않아서 용융조(140)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the inner surface of the melting vessel 140 may be formed of an iron alloy,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elting vessel 140 may be formed of an iron alloy. Examples of the iron alloy include Cr 23, Al 5%, Molybdenum 3% 69%. ≪ / RTI > In this embodiment, the case in which the melting vessel 140 is formed and the case having the flow path 143 inside is formed of an iron alloy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Specifically, " Kanthal APMT " may be used as the material of the melting vessel 140. In this case, as the raw material reacts at a high temperature, the aluminum having the lightest specific gravity reaches the surface layer of the structure and reacts with oxygen to form an aluminum oxide (Al2O3) coating layer on the surface of the molten bath 140, Such a coating layer can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melting vessel 140 because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and the structure are not changed even at a high temperature.

또한, 용융조(140)는 용융된 원료를 배출하는 토출구(144)가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실시예는 토출구(144)의 일측에 배치되는 가열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점성이 강한 용융 소재(예를 들어, Al2O3, SiO2)의 경우에도 원활한 배출이 되도록 하여 생산량이 증가될 수 있다.In the melting vessel 140, a discharge port 144 for discharging the molten raw material may be formed on one side. In this case, the embodiment can further include a heating body (not shown) disposed at one side of the discharge port 144, and therefore, even in the case of a viscous molten material (for example, Al2O3, SiO2) So that the production amount can be increased.

또한, 온도감지센서(160)는 상측 하우징(110) 또는 용융조(140)에 적어도 한 개 이상 배치되어, 용융로(10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At least one temperature sensor 160 may be disposed in the upper housing 110 or the melting vessel 140 to sense the temperature inside the melting furnace 100.

한편, 용융조(140)는 교체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용융조(140)는 프레임(170)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프레임(170)의 일측에는 교체를 위한 보조 용융조(180)가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170)에 제공된 용융조 교체용 지지플레이트(171)는 가이드 바(172)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지지플레이트(171)는 사용 중인 용융조(140) 및 보조 용융조(180)의 이동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171)의 이동은 윈치, 모터 등 공지의 구동력 제공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elting vessel 140 can be provided interchangeably. To this end, the molten bath 140 may be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rame 170, and an auxiliary molten bath 180 for replacement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rame 170. For example, the support plate for molten bath replacement 171 provided in the frame 170 is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guide bar 172, and the support plate 171 is provided in the molten bath 140 and / Can be used for the movement of the auxiliary molten bath (180). The movement of the support plate 171 can be performed by a known driving force providing means such as a winch, a motor, or the like.

구체적으로, 작업자는 어느 하나의 원료의 용융이 완료되면, 지지플레이트(171)를 이동시켜 용융조(140)를 지지한 후 용융조(140)를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하고, 지지플레이트(171)를 이동시켜 용융조(140)를 소정의 대기 혹은 교체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보조 용융조(180)를 지지플레이트(171) 상에 위치시킨 후, 보조 용융조(180)를 상승시켜 하우징(110)에 고정함으로써 새로운 원료를 용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사용자는 다양한 원료를 보다 빠르게 용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melting of any one of the raw materials is completed, the operator moves the supporting plate 171 to support the melting vessel 140, separates the melting vessel 140 from the housing 110, The molten bath 140 can be moved to a predetermined waiting or replacement position. After the auxiliary molten bath 180 is placed on the support plate 171, the auxiliary molten bath 180 is raised and fixed to the housing 110 to melt the new raw material. With this method, the user can melt various raw materials more quickly.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융로(100)는 백금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고품질로 소재를 용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백금이 아닌 철 합금 소재로 용융조(140)를 제작하는 바 용융조가 내화물로 형성되던 종래의 기술에 비해 고품질로 소재를 용융할 수 있다.The melting furna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material can be melted with high quality without using platinum. Specifically, the material can be melted with high quality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technique in which the melting bath is formed of refractory material by manufacturing the melting bath 140 using an iron alloy material other than platinum.

또한, 원료공급부(150)의 원료 토출부를 용융조(140)의 상측에 배치하되 하우징(110)의 일측벽에 원료공급부(150)를 설치함으로써 입구가 막히는 문제없이 원료를 용융조에 공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aw material discharging portion of the raw material supplying portion 150 is disposed above the melting vessel 140 and the raw material supplying portion 150 is provided on one side wall of the housing 110, the raw material can be supplied to the melting vessel without clogging the inlet .

또한, 용융조(140)를 백금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철 합금으로 생산하는 바 생산원가가 저렴하고, 용융조(140)를 냉각하며 사용하는 바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 비용이 적게 든다는 장점이 있다. Further, since the melting vessel 140 is made of an iron alloy relatively inexpensive as compared with platinum, the production cost is low, and the durability is improved by cooling the melting vessel 140, There are advantages.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융로를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Skilled artisans may implement the pattern of features that have not been explicitly described in combination, substitution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which, too, do not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readily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용융로 110: 하우징
111: 아치형의 상측면 112: 내화보드
113: 벽돌 114: 금속
115: 연통공 120: 발열부
130: 내화물 131: 중앙홀
140: 용융조 141: 유입구
142: 배출구 143: 유동로
143a: 제1 격막 143b: 제2 격막
144: 토출구 150: 원료공급부
151: 호퍼 152: 이송스크류
153: 구동부 160: 온도감지센서
170: 프레임 180: 보조용융로
100: melting furnace 110: housing
111: arcuate top side 112: refractory board
113: brick 114: metal
115: communication hole 120:
130: refractory 131: center hole
140: Melting bath 141: Inlet
142: outlet 143:
143a: first diaphragm 143b: second diaphragm
144: Discharge port 150:
151: Hopper 152: Feed screw
153: Driving unit 160: Temperature sensor
170: frame 180: auxiliary melting furnace

Claims (13)

하측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발열부; 및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배치되고, 적어도 원료가 맞닿는 내측면이 철 합금의 소재로 형성되되 내부에 냉매가 흐를 수 있는 유동로를 갖는 케이스를 갖는 용융조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부에서 발생되는 열은 상기 용융조에 가해져 상기 용융조 내부의 원료를 녹이고,
상기 용융조 내부의 원료는 용융 시 냉매의 영향에 의해 원료층, 용탕층, 결정층으로 구분되는 용융로.
A housing having a lower opening;
A heating unit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And a case having a case which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and at least an inner side where the raw materials abut against each other is made of an iron alloy material and in which a refrigerant can flow,
The heat generated in the heating unit is applied to the melting vessel to melt the raw materials in the melting vessel,
Wherein the raw material in the molten bath is divided into a raw material layer, a molten metal layer and a crystalline layer by the influence of a refrigerant upon melt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측과 용융조 사이에 배치되되 중앙에 상기 하우징과 용융조를 연통시키는 중앙홀이 형성되는 내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측면이 아치형으로 형성되며, 외부와 연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되는 용융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refractory disposed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and the molten bath, the refractory having a central hole at the center for communicating the molten bath with the housing,
Wherein the housing has an upper surface formed in an arcuate shape, and a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is form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공은 상기 중앙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용융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ho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내화물의 상측면 위에 이격되도록 수직으로 배치되는 용융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heating portion is vertically disposed to be spaced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refractory by being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발열체가 2열 이상 배치되는 용융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two or more heating elements are arranged in two or more rows in the heating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물은 상기 용융조의 상측 개구부의 일부를 차폐하되, 상기 중앙홀이 상기 상측 개구부 상에 위치되는 용융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said refractory shields a portion of an upper opening of said molten bath, said central hole being located on said upper ope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조에는 냉매를 상기 유동로로 유입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구 및 상기 유동로의 냉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구가 형성되는 용융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inlet for introducing the refrigerant into the flow path and at least one outlet for discharging the refrigerant of the flow path to the outside are formed in the melting vess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로 내부에는 일단이 상기 용융조의 외측벽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용융조의 내측벽에 이격되어 있는 제1 격막과, 일단이 상기 용융조의 내측벽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용융조의 외측벽에 이격되어 있는 제2 격막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격막과 제2 격막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용융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diaphragm having one end disposed on the outer wall of the molten bath and the other end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of the molten bath, and a second diaphragm having one end disposed on the inner wall of the molten bath and the other end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of the molten bath And a second diaphragm,
Wherein the first diaphragm and the second diaphragm are sequentially arrang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용융조에 원료를 이송시키는 원료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용융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raw material supply unit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housing for transferring the raw material to the molten ba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조는 크롬(Cr) 23%, 알루미늄(Al) 5%, 몰리브덴(Mo) 3%, 철(Fe) 69%로 이루어진 철 합금을 포함하는 용융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elting furnace comprises an iron alloy comprising 23% of chromium (Cr), 5% of aluminum (Al), 3% of molybdenum (Mo) and 69% of iron (Fe)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조는 용융된 원료를 배출하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용융로.
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And the melting vessel has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molten raw materia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의 일측에 배치되는 가열체를 더 포함하는 용융로.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heat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ischarge 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또는 용융조에 배치되는 온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용융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temperature sensing sensor disposed in the housing or the fusing tank.
KR1020160152465A 2015-11-16 2016-11-16 Melting furnace KR10187031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205 2015-11-16
KR20150160205 2015-1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157A true KR20170057157A (en) 2017-05-24
KR101870312B1 KR101870312B1 (en) 2018-06-22

Family

ID=59051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465A KR101870312B1 (en) 2015-11-16 2016-11-16 Melting furn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31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28896A (en) * 2023-12-21 2024-01-23 山东久强新材料科技有限公司 Ceramic fiber paper apparatus for producing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5726A (en) * 2001-11-28 2003-06-10 Asahi Techno Glass Corp Glass melting furnace
KR100510196B1 (en) * 2005-02-26 2005-08-24 (주)세라 Continuous type fusion furnace system for frit production
KR100836578B1 (en) * 2007-01-04 2008-06-10 대주전자재료 주식회사 Fusion furnace system
JP4105541B2 (en) 2000-10-18 2008-06-25 サン−ゴバン・イソベール Electric glass melting furnace with rotating wall member
JP4360158B2 (en) 2003-09-03 2009-11-11 株式会社Ihi Glass melting furnace
JP2014036193A (en) * 2012-08-10 2014-02-24 Uacj Corp Cooling plate and cooling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05541B2 (en) 2000-10-18 2008-06-25 サン−ゴバン・イソベール Electric glass melting furnace with rotating wall member
JP2003165726A (en) * 2001-11-28 2003-06-10 Asahi Techno Glass Corp Glass melting furnace
JP4360158B2 (en) 2003-09-03 2009-11-11 株式会社Ihi Glass melting furnace
KR100510196B1 (en) * 2005-02-26 2005-08-24 (주)세라 Continuous type fusion furnace system for frit production
KR100836578B1 (en) * 2007-01-04 2008-06-10 대주전자재료 주식회사 Fusion furnace system
JP2014036193A (en) * 2012-08-10 2014-02-24 Uacj Corp Cooling plate and cool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28896A (en) * 2023-12-21 2024-01-23 山东久强新材料科技有限公司 Ceramic fiber paper apparatus for producing
CN117428896B (en) * 2023-12-21 2024-02-20 山东久强新材料科技有限公司 Ceramic fiber paper apparatus for produc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0312B1 (en) 2018-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7897B1 (en) Method of forming a glass melt
TWI408110B (en) Float bath system for manufacturing float glass and cooling method of the same
KR101141231B1 (en) Molten glass supply device, glass formed produc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glass formed product
JP4242586B2 (en) Skull crucible for melting or refining inorganic materials
CN108349770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glass ribbon
TWI393684B (en) Float bath system for manufacturing float glass
KR20150022984A (en) Installation and method for melting glass
KR10241230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glass ribbon cooling
CN103209935A (en) Method for producing float plate gla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float plate glass
CN102112404B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producing float glass
KR102331496B1 (en) Glass manufacturing method and preheating method of glass supply pipe
WO2018232159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oling a glass ribbon
KR101870312B1 (en) Melting furnace
KR101837159B1 (en) Melting furnace having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6618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removal of molten glass from flow channels
WO2019035327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article, and melting furnace
KR2016001668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glass substrate
KR101225041B1 (en) Continuous glass melting furnace for glass
KR100510196B1 (en) Continuous type fusion furnace system for frit production
US8794037B2 (en) Float bath for manufacturing glass, float glass forming method utilizing the same and method for installing barriers to the float bath
JP4415179B2 (en) Molten glass feeder
KR100822285B1 (en) Glass melting apparatus
JP2003292323A (en) Glass-fusing furnace and glass-fusing method
JP2020528394A (en) Methods and equipment for adjustable heat transfer with glass ribbon
JP2009221106A (en) Molten glass supply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glass formed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