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6975A - 협업 저작물을 위한 계층적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협업 저작물을 위한 계층적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6975A
KR20170056975A KR1020150160504A KR20150160504A KR20170056975A KR 20170056975 A KR20170056975 A KR 20170056975A KR 1020150160504 A KR1020150160504 A KR 1020150160504A KR 20150160504 A KR20150160504 A KR 20150160504A KR 20170056975 A KR20170056975 A KR 20170056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hierarchical
collaborative
information
par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0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훈
최창하
김헌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수닷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수닷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수닷컴
Priority to KR1020150160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6975A/ko
Publication of KR20170056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69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협업 저작물에 대한 정보를 계층적으로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협업 저작물을 위한 계층적 정보 관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부분 저작물 및 적어도 하나의 부분 저작물을 이용하여 생성된 협업 저작물 사이의 계층 관계를 나타내는 계층적 저작권 정보를 생성하는 저작물 정보 관리부와; 적어도 하나의 부분 저작물, 협업 저작물 및 계층적 저작권 정보에 DRM(Digital Rights Management)를 적용하는 DRM 적용부와; 적어도 하나의 부분 저작물, 협업 저작물 및 계층적 저작권 정보를 저장하는 저작물 DB와; 저작물 DB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부분 저작물, 협업 저작물 및 계층적 저작권 정보에 대한 유통을 관리하는 유통 관리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협업 저작물에 이용되는 부분 저작물 및 그에 대한 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협업 저작물을 위한 계층적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OF HIERARCHICAL INFORMANTION MANAGEMENT FOR COLLABORATIVE WORK}
본 발명은 저작물 정보 관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협업 저작물에 대한 정보를 계층적으로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저작물의 활용과 이용이라는 측면에서도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 중에서도 발전된 네트워크 기술과 스마트폰 등을 이용한 저작물 서비스는 과거에 예상치 못한 다양한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저작물의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저작자와 저작재산권자가 존재하고, 이를 서비스하고자 하는 유통사업자(서비스 제공 사업자)가 있으며, 최종적으로 저작물을 감상하거나 이용하는 소비자가 있다.
서비스 제공 사업자는 저작(재산)권자로부터 해당 저작물의 이용허락을 받은 후에 이를 소비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이러한 단방향 서비스 구조를 양방향 서비스로 진화시키고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사업자가 소비자에게 일방적으로 저작물을 공급하던 서비스 구조는 누구나 서비스 제공 사업자가 될 수 있고, 소비자도 될 수 있는 복잡한 양방향 구조로 변화하고 있다.
한편,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라 저작물의 생산 및 유통이 급격히 증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국내 시장은 이러한 급격한 추세를 따라 가고 있지 못한 실정이고, 여러 원인 중에서 콘텐츠의 부재가 가장 큰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저작물 제작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저작물의 소재가 풍부하여야 하나, 이러한 저작물의 소재들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되고 있기 때문에 자유로운 이용에 제약을 받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저작물을 활용하여 저작된 새로운 저자물에 대한 저작권 정보를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48712호 (2010.05.11.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협업 저작물에 대한 정보를 계층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협업 저작물에 대한 정보를 계층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업 저작물을 위한 계층적 정보 관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부분 저작물 및 적어도 하나의 부분 저작물을 이용하여 생성된 협업 저작물 사이의 계층 관계를 나타내는 계층적 저작권 정보를 생성하는 저작물 정보 관리부와; 적어도 하나의 부분 저작물, 협업 저작물 및 계층적 저작권 정보에 DRM(Digital Rights Management)를 적용하는 DRM 적용부와; 적어도 하나의 부분 저작물, 협업 저작물 및 계층적 저작권 정보를 저장하는 저작물 DB와; 저작물 DB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부분 저작물, 협업 저작물 및 계층적 저작권 정보에 대한 유통을 관리하는 유통 관리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저작물 관리부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 저작물을 이용하여 협업 저작물을 저작하기 위한 저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협업 저작물의 저작에 이용된 적어도 하나의 부분 저작물에 대한 정보를 계층적으로 추적 가능하도록 하는 계층적 저작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계층적 저작권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자 정보, 이용 허락 조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계층적 저작권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 저작물의 이용 차수에 따라 트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계층적 저작권 정보는, 최초 원본 저작물을 1차 계층으로 하고, 최초 원본 저작물을 이용하는 저작물을 2차 계층으로 하며, 2차 계층의 저작물을 이용하는 저작물을 3차 계층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유통 관리부는, 서비스 제공 사업자, 적어도 하나의 부분 저작물의 저작권자, 협업 저작물의 저작권자 및 이용자의 열람 요청에 따라 계층적 저작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유통 관리부는, DRM이 적용된 부분 저작물, 협업 저작물 및 계층적 저작권 정보에 대한 유통을 위해 DRM 라이선스 서버와 연동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분 저작물 및 상기 협업 저작물은, 전자책 표준 포맷을 따르는 전자책일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작물 관리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협업 저작물을 위한 계층적 정보 관리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부분 저작물을 이용하여 협업 저작물을 저작하기 위한 저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협업 저작물의 저작에 이용된 적어도 하나의 부분 저작물에 대한 정보를 계층적으로 추적 가능하도록 하는 계층적 저작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부분 저작물, 협업 저작물 및 계층적 저작권 정보에 DRM(Digital Rights Management)를 적용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부분 저작물, 협업 저작물 및 계층적 저작권 정보에 대한 유통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업 저작물을 위한 계층적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은, 협업 저작물에 이용되는 부분 저작물 및 그에 대한 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협업 저작물에 이용되는 부분 저작물 및 그에 대한 정보를 계층적으로 구분하여 관리함으로써, 저작물의 생명 주기, 참조 관계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추적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저작물 이용에 따른 비용을 투명하게 분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 저작물과 협업 저작물의 계층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관리되는 계층적 저작권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업 저작물을 위한 계층적 정보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업 저작물을 위한 계층적 정보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부분 저작물은 다른 저작물의 저작에 활용되는 소재 저작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1차적 저작물, 원저작물, 원본 저작물 등과 동등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부분 저작물은 다른 하위의 부분 저작물을 활용하여 저작될 수도 있다.
협업 저작물은 부분 저작물을 활용하여 저작된 저작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2차적 저작물, 결합 저작물, 공동 저작물, 편집 저작물 등과 동등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협업 저작물은 다른 협업 저작물을 위한 부분 저작물이 될 수도 있다.
부분 저작물 저작자는 부분 저작물을 저작한 자를 의미하는 자로, 1차적 저작물, 원저작물, 원본 저작물의 저작자와 동등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협업 저작물 저작자는 협업 저작물을 저작한 자를 의미할 수 있으며, 2차적 저작물, 결합 저작물, 공동 저작물, 편집 저작물의 저작자와 동등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관리 시스템(10)은 부분 저작물을 이용한 협업 저작물의 저작을 지원하는 동시에 저작자 또는 저작권자에 대한 비용 정산, 다양한 이용자에 대한 저작물의 배포 및 저작물의 무단 복제 등을 차단하는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저작권 관리 시스템(10)은 부분 저작물 및 협업 저작물의 유통 및 정산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중계하는 시스템이다.
부분 저작물 관리부(110)는 부분 저작물 저작자로부터 부분 저작물을 수신할 수 있고, 이를 저작물 DB(130)에 저장할 수 있다. 부분 저작물 관리부(110)는 부분 저작물 저작자로부터 저작자, 저작권자, 이용 허락 조건 등에 대한 정보도 함께 수신하여 관리할 수 있다.
협업 저작물 저작지원부(120)는 협업 저작물 저작자의 요청에 상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협업 저작물 저작지원부(120)는 협업 저작물 저작자의 요청에 상응하는 부분 저작물 및 그에 대한 정보를 저작물 DB(130)에서 검색할 수 있다. 또한, 협업 저작물 저작지원부(120)는 협업 저작물 저작자의 요청에 상응하는 저작 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협업 저작물 저작지원부(120)는 어문 저작물, 음악 저작물, 영상 저작물, 미술 저작물, 컴퓨터프로그램저작물 등과 같이 데이터의 형태가 다른 다양한 타입의 부분 저작물을 편집, 결합, 변형 등을 할 수 있는 저작 도구를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저작물 DB(130)는 부분 저작물 관리부(110) 및 협업 저작물 저작지원부(120)를 통해 수신한 저작물 및 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작물 DB(130)는 부분 저작물 및 협업 저작물을 저장함과 동시에 각각에 대한 저작자, 저작권자, 이용 허락 조건 등에 대한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유통 관리부(210)는 협업 저작물 저작지원부(120)에 의해 이용되는 부분 저작물 및 그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거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유통 관리부(210)는 협업 저작물 저작자에 의해 이용되는 부분 저작물의 유통을 모니터링하여 협업 저작물 저작자에게 부분 저작물의 이용에 따른 대가를 징수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유통 관리부(210)는 거래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거래 정보 DB(220)에 저장시킬 수 있다.
또한, 유통 관리부(210)는 외부의 저작물 제공 서비스와의 연동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통 관리부(210)는 SNS(830)(예, 트위터, 페이스북), 오픈 마켓(open market)(820) 및 전자책공급자(810) 등의 시스템과 연동하여 이용자에 제공되는 저작물의 유통을 관리할 수 있다. 즉, 이용자는 협업 저작물 뷰어(910)를 통해 협업 저작물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유통 관리부(210)는 DRM 패키저(510)와 연동하여 DRM이 적용된 저작물에 대한 유통을 관리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유통 관리부(210)는 검토 평가 DB(320)를 통해 검토 평가부(310)와 연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토자는 검토 평가부(310)를 통하여 저작권 관리 시스템(10)에서의 저작물의 유통을 검토 또는 평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생성된 정보는 검토 평가 DB(320)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유통 관리부(210)는 검토 평가 DB(320)의 정보를 참조하여 저작물의 유통을 관리할 수 있다.
DRM 라이선스 서버(520)는 이용자의 요청에 따라 DRM이 적용된 저작물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문서포맷 변환부(710)는 외부의 구글 드라이브(730) 등을 통해 수집된 문서의 포맷을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서포맷 변환부(710)는 PDF 파일을 HTML 파일로 변환할 수 있다.
저작권 정보 추출부(720)는 외부의 구글 드라이브(730) 등을 통해 수집된 저작물로부터 저작권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이를 위한 언어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작권침해 사전예방 점검 시스템(610)은 외부 필터링 서비스(640)와 연동하여 불법 저작물에 대한 유통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저작권침해 사전예방 점검 시스템(610)은 저작물 DB(130)에 저장되는 저작물 및 그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텍스트 특징점 식별 시스템(620)과 연동할 수 있다.
또한, 텍스트 특징점 식별 시스템(620)은 출판물 특징점 DB(630)와 연동하여 저작물의 특징점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특징점은 디지털 워터 마크, 버스 마크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 저작물과 협업 저작물의 계층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저작물들은 상호 간에 계층 관계를 가질 수 있고, 이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장 하위 계층에 위치한 저작물은 최초의 원본 저작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저작물 A, 제1 저작물 B, 제1 저작물 C, 제1 저작물 D, 제1 저작물 E, 제1 저작물 F, 제1 저작물 G 등은 다른 저작물을 이용하지 않은 최초의 원본 저작물일 수 있고, 이들은 1차 계층에 속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1차 계층에 속하는 저작물만을 이용하여 저작된 저작물은 2차 계층에 속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저작물 A는 제1 저작물 A 및 제1 저작물 B을 이용하여 저작되고, 제2 저작물 B는 제1 저작물 D 및 제1 저작물 E를 이용하여 저작되며, 제2 저작물 C는 제1 저작물 F 및 제1 저작물 G를 이용하여 저작된 저작물로, 2차 계층에 속할 수 있다.
2차 계층에 속하는 저작물을 이용하여 저작된 저작물은 3차 계층에 속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저작물 A는 제2 저작물 A를 이용하여 저작되고, 제3 저작물 B는 제2 저작물 B 및 제2 저작물 C를 이용하여 저작된 저작물로, 3차 계층에 속할 수 있다.
3차 계층에 속하는 저작물을 이용하여 저작된 저작물은 4차 계층에 속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저작물은 제3 저작물 A 및 제3 저작물 B를 이용하여 저작된 저작물로, 4차 계층에 속할 수 있다.
즉, 저작물 상호 간에는 계층 관계가 설정될 수 있고, 계층 관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 형태로 정의 또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부분 저작물을 이용하여 저작된 협업 저작물은 자신이 이용한 부분 저작물에 대한 정보와의 관계에서 관리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 형태로 저작물 사이의 계층 관계를 정의하는 정보를 '계층적 저작권 정보'로 명명할 수 있다.
계층적 저작권 정보는 협업 저작물이 속하는 계층에 대한 정보 및 협업 저작물이 이용하고 있는 부분 저작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특정 협업 저작물이 이용하고 있는 부분 저작물을 추적 또는 추출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저작물 A와 함께 관리되는 계층적 저작권 정보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저작물 A는 3차 계층에 속하는 저작물로, 2차 계층에 속하는 저작물인 제2 저작물 A와 1차 계층에 속하는 저작물인 제1 저작물 C를 이용하며, 2차 계층에 속하는 제2 저작물 A는 1차 계층에 속하는 제1 저작물 A와 제1 저작물 B를 이용한다.
따라서, 계층적 저작권 정보는 해당 협업 저작물이 이용하는 부분 저작물을 추적 또는 추출할 수 있도록 하여, 각각의 부분 저작물의 정보 또는 저작권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위한 링크(link)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관리되는 계층적 저작권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협업 저작물은 다양한 관련 정보와 함께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협업 저작물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저장이 필요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저작물 정보는 제목, 내용, 태그 정보, 식별 정보, 이용 허락 조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 정보는 해당 저작물의 검색을 위한 일종의 키워드 정보일 수 있고, 식별 정보는 해당 저작물의 식별을 위한 기관 또는 이에 따른 식별 코드일 수 있으며, 이용 허락 조건은 영리/비영리, 성명표시 여부, 동일성유지 여부 등과 같이 저작물 이용에 대한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성명표시 여부는 저작자가 저작물의 원본이나 그 복제물에 또는 저작물의 공표 매체에 그의 실명 또는 이명을 표시할 권리에 대한 행사 여부를 의미하고, 동일성유지 여부는 작자가 그의 저작물의 내용ㆍ형식 및 제호의 동일성을 유지할 권리에 대한 행사 여부를 의미할 수 있다.
저작권자 정보는 저작권자의 성명, 연락처, 식별 정보, 유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락처는 저작권자의 이메일, 전화 번호 등과 같은 정보일 수 있고, 저작권자 식별 정보는 저작권자가 속한 기관 또는 이에 따른 식별 코드를 의미할 수 있으며, 저작권자 유형은 저작권자가 공동저작자, 업무상저작물의 저작자 등에 속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협업 저작물은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 저작물을 이용하여 저작될 수 있기 때문에, 부분 저작물과 관련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협업 저작물은 다수의 부분 저작물을 이용하여 저작될 수 있기 때문에 다수의 부분 저작물 각각에 대한 추가 정보와 함께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정보의 관리를 위하여 협업 저작물, 부분 저작물 각각에 대한 계층 관계를 나타내는 계층적 저작권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즉, 협업 저작물은 도 2에 상술한 바와 같은 트리 형태의 계층 관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계층적 저작권 정보와 함께 관리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업 저작물을 위한 계층적 정보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업 저작물을 위한 계층적 정보 관리 시스템은 저작물 정보 관리부(100), 유통 관리부(200), DRM 적용부(500) 및 DRM 라이선스 서버(50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저작물 정보 관리부(100)는 도 1의 부분 저작물 관리부(110) 및 협업 저작물 저작지원부(120)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고, 유통 관리부(200)는 도 1의 유통 관리부(210)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고, DRM 적용부(500)는 도 1의 DRM 패키져(510)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DRM 라이선스 서버(501)는 도 1의 DRM 라이선스 서버(520)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업 저작물을 위한 계층적 정보 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저작권 관리 시스템(10)와 동등하거나 그의 일부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저작물 정보 관리부(100)는 부분 저작물 및 부분 저작물을 이용하여 생성된 협업 저작물 사이의 계층 관계를 나타내는 계층적 저작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저작물 정보 관리부(100)는 협업 저작물의 저작에 이용된 부분 저작물에 대한 정보를 계층적으로 추적 가능하도록 하는 계층적 저작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계층적 저작권 정보는, 부분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자 정보, 이용 허락 조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부분 저작물의 이용 차수에 따라 트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층적 저작권 정보는, 최초 원본 저작물을 1차 계층으로 하고, 최초 원본 저작물을 이용하는 저작물을 2차 계층으로 하며, 2차 계층의 저작물을 이용하는 저작물을 3차 계층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저작물 정보 관리부(100)는 부분 저작물을 이용하여 협업 저작물을 저작하기 위한 저작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작물 정보 관리부(100)는 어문 저작물, 음악 저작물, 영상 저작물, 미술 저작물, 컴퓨터프로그램저작물 등과 같이 데이터의 형태가 다른 다양한 타입의 부분 저작물을 편집, 결합, 변형 등을 할 수 있는 저작 도구를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저작물 및 협업 저작물은 전자책 표준 포맷을 따르는 전자책일 수 있다.
DRM 적용부(500)는 부분 저작물, 협업 저작물 및 계층적 저작권 정보에 DRM(Digital Rights Management)를 적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디지털 정보를 특정 사용자만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DRM 적용부(500)에 의해 DRM이 적용된 부분 저작물, 협업 저작물 및 계층적 저작권 정보는 도 1의 저작물 DB(130) 등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유통 관리부(200)는 저작물 DB(130)에 저장된 부분 저작물, 협업 저작물 및 계층적 저작권 정보에 대한 유통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유통 관리부(200)는 서비스 제공 사업자, 부분 저작물의 저작권자, 협업 저작물의 저작권자 및 이용자의 열람 요청에 따라 계층적 저작권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서비스 제공 사업자, 부분 저작물의 저작권자, 협업 저작물의 저작권자, 이용자 등이 운용하는 서버 또는 단말과 연동할 수 있다.
또한, 유통 관리부(200)는 DRM이 적용된 부분 저작물, 협업 저작물 및 계층적 저작권 정보에 대한 유통을 위해 DRM 라이선스 서버(501)와 연동할 수 있다. 여기서, DRM 라이선스 서버(501)는 서비스 제공 사업자, 부분 저작물의 저작권자, 협업 저작물의 저작권자, 이용자 등의 요청에 따라 DRM이 적용된 저작물 및 계층적 저작권 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업 저작물을 위한 계층적 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부로 나열하여 설명하였으나, 각 구성부 중 적어도 두 개가 합쳐져 하나의 구성부로 이루어지거나,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개의 구성부로 나뉘어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각 구성부의 통합 및 분리된 실시예의 경우도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벋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업 저작물을 위한 계층적 정보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업 저작물을 위한 계층적 정보 관리 방법은, 도 1의 저작권 관리 시스템(10) 또는 도 4의 협업 저작물을 위한 계층적 정보 관리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부분 저작물을 이용하여 협업 저작물을 저작하기 위한 저작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S510). 예를 들어, 어문 저작물, 음악 저작물, 영상 저작물, 미술 저작물, 컴퓨터프로그램저작물 등과 같이 데이터의 형태가 다른 다양한 타입의 부분 저작물을 편집, 결합, 변형 등을 할 수 있는 저작 도구를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부분 저작물 및 부분 저작물을 이용하여 생성된 협업 저작물 사이의 계층 관계를 추출할 수 있고(S520), 이에 기반하여 협업 저작물의 저작에 이용된 부분 저작물에 대한 정보를 계층적으로 추적 가능하도록 하는 계층적 저작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530).
여기서, 계층적 저작권 정보는, 부분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자 정보, 이용 허락 조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부분 저작물의 이용 차수에 따라 트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층적 저작권 정보는, 최초 원본 저작물을 1차 계층으로 하고, 최초 원본 저작물을 이용하는 저작물을 2차 계층으로 하며, 2차 계층의 저작물을 이용하는 저작물을 3차 계층으로 구분할 수 있다.
부분 저작물, 협업 저작물 및 계층적 저작권 정보에 DRM(Digital Rights Management)를 적용할 수 있고(S540), 이를 통하여 권한 있는 주체만이 부분 저작물, 협업 저작물 및 계층적 저작권 정보에 접근 또는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부분 저작물, 협업 저작물 및 계층적 저작권 정보에 대한 유통을 관리할 수 있다(S550). 보다 상세하게는, 서비스 제공 사업자, 부분 저작물의 저작권자, 협업 저작물의 저작권자 및 이용자의 열람 요청에 따라 계층적 저작권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서비스 제공 사업자, 부분 저작물의 저작권자, 협업 저작물의 저작권자, 이용자 등이 운용하는 서버 또는 단말과 연동할 수 있다. 또한, DRM이 적용된 부분 저작물, 협업 저작물 및 계층적 저작권 정보에 대한 유통을 위해 DRM 라이선스 서버(501)와 연동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업 저작물을 위한 계층적 정보 관리 시스템의 동작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업 저작물을 위한 계층적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은, 협업 저작물에 이용되는 부분 저작물 및 그에 대한 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협업 저작물에 이용되는 부분 저작물 및 그에 대한 정보를 계층적으로 구분하여 관리함으로써, 저작물의 생명 주기, 참조 관계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추적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저작물 이용에 따른 비용을 투명하게 분배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저작권 관리 시스템 100: 저작권 정보 관리부
110: 부분 저작물 관리부 120: 협업 저작물 저작지원부
130: 저작물 DB 200, 210: 유통 관리부
220: 거래 정보 DB 310: 검토 평가부
320: 검토 평가 DB 410: 정산 관리부
500: DRM 적용부 510: DRM 패키저
501, 520: DRM 라이선스 서버
610: 저작권침해 사전예방 점검 시스템
620: 텍스트 특징점 식별 시스템 630: 출판물 특징점 DB
640: 외부 필터링 서비스 710: 문서포맷 변환부
720: 저작권 정보 추출부 730: 구글 드라이브
810: 전자책공급자 820: 오픈 마켓
830: SNS 910: 협업 저작물 뷰어

Claims (15)

  1. 적어도 하나의 부분 저작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분 저작물을 이용하여 생성된 협업 저작물 사이의 계층 관계를 나타내는 계층적 저작권 정보를 생성하는 저작물 정보 관리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분 저작물, 상기 협업 저작물 및 상기 계층적 저작권 정보에 DRM(Digital Rights Management)를 적용하는 DRM 적용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분 저작물, 상기 협업 저작물 및 상기 계층적 저작권 정보를 저장하는 저작물 DB; 및
    상기 저작물 DB에 저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분 저작물, 상기 협업 저작물 및 상기 계층적 저작권 정보에 대한 유통을 관리하는 유통 관리부를 포함하는,
    협업 저작물을 위한 계층적 정보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작물 관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분 저작물을 이용하여 상기 협업 저작물을 저작하기 위한 저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협업 저작물의 저작에 이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분 저작물에 대한 정보를 계층적으로 추적 가능하도록 하는 계층적 저작권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저작물을 위한 계층적 정보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층적 저작권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분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자 정보, 이용 허락 조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저작물을 위한 계층적 정보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층적 저작권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분 저작물의 이용 차수에 따라 트리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저작물을 위한 계층적 정보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계층적 저작권 정보는,
    최초 원본 저작물을 1차 계층으로 하고, 상기 최초 원본 저작물을 이용하는 저작물을 2차 계층으로 하며, 상기 2차 계층의 저작물을 이용하는 저작물을 3차 계층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저작물을 위한 계층적 정보 관리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통 관리부는,
    서비스 제공 사업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분 저작물의 저작권자, 상기 협업 저작물의 저작권자 및 이용자의 열람 요청에 따라 상기 계층적 저작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저작물을 위한 계층적 정보 관리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통 관리부는,
    DRM이 적용된 상기 부분 저작물, 상기 협업 저작물 및 상기 계층적 저작권 정보에 대한 유통을 위해 DRM 라이선스 서버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저작물을 위한 계층적 정보 관리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분 저작물 및 상기 협업 저작물은 전자책 표준 포맷을 따르는 전자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저작물을 위한 계층적 정보 관리 시스템.
  9. 저작물 관리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협업 저작물을 위한 계층적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부분 저작물을 이용하여 협업 저작물을 저작하기 위한 저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협업 저작물의 저작에 이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분 저작물에 대한 정보를 계층적으로 추적 가능하도록 하는 계층적 저작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분 저작물, 상기 협업 저작물 및 상기 계층적 저작권 정보에 DRM(Digital Rights Management)를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분 저작물, 상기 협업 저작물 및 상기 계층적 저작권 정보에 대한 유통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협업 저작물을 위한 계층적 정보 관리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계층적 저작권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분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자 정보, 이용 허락 조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저작물을 위한 계층적 정보 관리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계층적 저작권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분 저작물의 이용 차수에 따라 트리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저작물을 위한 계층적 정보 관리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계층적 저작권 정보는,
    최초 원본 저작물을 1차 계층으로 하고, 상기 최초 원본 저작물을 이용하는 저작물을 2차 계층으로 하며, 상기 2차 계층의 저작물을 이용하는 저작물을 3차 계층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저작물을 위한 계층적 정보 관리 방법.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부분 저작물, 상기 협업 저작물 및 상기 계층적 저작권 정보에 대한 유통을 관리하는 단계는,
    서비스 제공 사업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분 저작물의 저작권자, 상기 협업 저작물의 저작권자 및 이용자의 열람 요청에 따라 상기 계층적 저작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저작물을 위한 계층적 정보 관리 방법.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부분 저작물, 상기 협업 저작물 및 상기 계층적 저작권 정보에 대한 유통을 관리하는 단계는,
    DRM이 적용된 상기 부분 저작물, 상기 협업 저작물 및 상기 계층적 저작권 정보에 대한 유통을 위해 DRM 라이선스 서버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저작물을 위한 계층적 정보 관리 방법.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분 저작물 및 상기 협업 저작물은 전자책 표준 포맷을 따르는 전자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저작물을 위한 계층적 정보 관리 방법.
KR1020150160504A 2015-11-16 2015-11-16 협업 저작물을 위한 계층적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569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504A KR20170056975A (ko) 2015-11-16 2015-11-16 협업 저작물을 위한 계층적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504A KR20170056975A (ko) 2015-11-16 2015-11-16 협업 저작물을 위한 계층적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6975A true KR20170056975A (ko) 2017-05-24

Family

ID=59051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504A KR20170056975A (ko) 2015-11-16 2015-11-16 협업 저작물을 위한 계층적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69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7201B1 (ko) * 2022-01-17 2022-08-29 (주)북아이피스 저작물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7201B1 (ko) * 2022-01-17 2022-08-29 (주)북아이피스 저작물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ingers Multimethodology
US20110231397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piling a unique sample code for a digital sample
US8949156B2 (en) Digital rights content services architecture
US20160171635A1 (en) Automated Contract Terms Negotiating System and Method
Xu et al. Classifying consumer comparison opinions to uncover product strengths and weaknesses
Schoenhals et al. Overview of licensing platforms based on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KR101246276B1 (ko) 전자책 서비스 방법
KR20170056975A (ko) 협업 저작물을 위한 계층적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uárez-Varón et al. Neurotechnologies Applied to Society's Perception of Cyber-Physical Systems (CPS) in Smart Cities
Prenafeta Protecting copyright through semantic technology
Boehmer et al. e‐Commerce Recommender Systems
TWI506578B (zh) 媒體資源之交易系統及方法與內儲媒體資源交易程式之電腦程式產品
Weitzman Computer‐Aided/Mediated Analysis
Iqbal et al. Copyright and Intellectual Property in Digital Business: Issue of Protection and Retrieval of Investment in Intellectual Creation
Pandey Electronic resource management is flow to system: in present scenario
KR100958516B1 (ko) 2차 컨텐츠에 관하여 기초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을보호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70056937A (ko) 협업 저작물을 위한 유통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e et al. Trust issues in Web service mash-ups
KR101777108B1 (ko) 디지털 콘텐트의 실시간 유통 정보 전송 방법
KR20150080951A (ko) 전자 출판(electronic publication : EPUB)에 부합하는 사용자 평가 관리 장치 및 방법
Lee et al. A Study o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Discovery Service based on Cloud Computing.
Jain et al. Digital marketing optimization
WO2022146390A1 (en) A cont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wasthi Technological and Legal Implications of New Generation of Libraries
Sliema SEMAPRO 2009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