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6381A -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6381A
KR20170056381A KR1020150159990A KR20150159990A KR20170056381A KR 20170056381 A KR20170056381 A KR 20170056381A KR 1020150159990 A KR1020150159990 A KR 1020150159990A KR 20150159990 A KR20150159990 A KR 20150159990A KR 20170056381 A KR20170056381 A KR 20170056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assembly
shape
bending
secondary battery
vertical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9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다운
서준원
김잔디
이정두
남정규
한주형
양정엽
박봉경
손주희
엄혜리
최솔
송현화
홍석헌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9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6381A/ko
Publication of KR20170056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63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2/0275
    • H01M2/0287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극 및 음극이 세퍼레이터를 경계로 교대로 적층된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벤딩 영역을 포함하고, 이차 전지의 길이 방향에 대한 상기 벤딩 영역의 수직 단면은, 상기 전극 조립체가 하나 이상의 원으로 말린(rolling) 형상, 둘 이상의 층으로 접힌(folding) 형상,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요성(flexible) 표시 장치에 대한 기술 개발에 따라 이의 에너지원으로써 휘어지는 이차 전지에 대한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비교적 전극 극판의 손상 없이 상기한 바와 같은 유연성을 구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어 적층형 구조를 휘어지는 이차 전지에 적용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가 있다.
일반적으로 적층형 구조를 갖는 이차 전지는 세퍼레이터를 개재하여 양극 및 음극이 교대로 적층되어 구성된 전극 조립체를 파우치에 삽입하여 밀봉하는 형태로 제조된다.
그러나, 종래의 파우치형 전지는 유연성이 없기 때문에 일정한 곡률반경으로 반복하여 구부리는(bending)는 경우 전극 조립체가 압축 응력(compressive stress) 및 인장 응력(tensile stress)을 반복적으로 받아서 전극 극판이나 전극 탭 등의 취약 부분이 끊어지는 등 전지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차 전지를 구부리거나 휘어지게 하는 경우 전극 조립체에 가해지는 응력을 완화해주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이차 전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양극 및 음극이 세퍼레이터를 경계로 교대로 적층된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벤딩 영역을 포함하고, 이차 전지의 길이 방향에 대한 상기 벤딩 영역의 수직 단면은, 상기 전극 조립체가 하나 이상의 원으로 말린(rolling) 형상, 둘 이상의 층으로 접힌(folding) 형상,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전극 조립체는, 상기 벤딩 영역을 적어도 둘 이상 포함하고, 이웃하는 벤딩 영역 사이의 거리는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식 1]
Figure pat00001
여기서, P는 이웃하는 벤딩 영역 사이의 1/2 거리이고, L은 벤딩 영역의 장폭이다.
또한, 상기 이웃하는 벤딩 영역 사이의 공간과 상기 케이스 사이에는 공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웃하는 벤딩 영역의 수직 단면은, 동일한 방향으로 말린 형상, 동일한 방향으로 접힌 형상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이웃하는 벤딩 영역의 수직 단면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말린 형상,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접힌 형상,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이웃하는 벤딩 영역의 수직 단면은, 하나 이상의 원으로 말린(rolling) 형상, 둘 이상의 층으로 접힌(folding) 형상,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형상들은 상기 전극 조립체의 동일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웃하는 벤딩 영역의 수직 단면은, 하나 이상의 원으로 말린(rolling) 형상, 둘 이상의 층으로 접힌(folding) 형상,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형상들은 상기 전극 조립체의 서로 다른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케이스는 가요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를 수납하는 상기 케이스는 실링부를 매개로 밀봉되는 상부 외장재 및 하부 외장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외장재 및 하부 외장재 중 적어도 하나는 순차 적층된 외부 폴리머 시트, 금속 시트 및 내부 폴리머 시트를 포함하는 다층 시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응력을 완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기 때문에 이차 전지를 휘거나 구부리는 경우, 전극 극판이나 탭 등의 취약 부분에 크랙이나 파단 등이 발생하여 이차 전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 도 5, 도 7 및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 포함되는 벤딩 영역의 다양한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 및 도 6는 각각 도 3 및 도 5의 벤딩 영역이 구부러진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는, 전극 조립체(10)와 상기 전극 조립체(10)를 수용하는 케이스(12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전극 조립체(10)는 판상의 전극층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층은 양극(제1 전극)(11)과 음극(제2 전극)(12) 및 양극(11)과 음극(12) 사이에 배치된 세퍼레이터(13)를 갖는다.
양극(11)은 박판의 금속 호일로 형성된 양극 집전체(11a)와 양극 집전체(11a) 상에 형성된 양극 활물질층(11b)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양극 집전체(11a)로는 알루미늄 박, 니켈 박, 스테인레스강 박, 티타늄 박, 니켈 발포체(foam), 구리 발포체, 전도성 금속이 코팅된 폴리머 기재,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양극 활물질층을 형성하는 활물질로는 리튬의 가역적인 인터칼레이션 및 디인터칼레이션이 가능한 화합물(리티에이티드 인터칼레이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양극 활물질층에는 상기 활물질 외에 바인더, 도전재 및/또는 증점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음극(12)은 음극 집전체(12a)와 음극 집전체(12a)상에 형성된 음극 활물질층(12b)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음극 집전체(12a)로는 구리 박, 니켈 박, 스테인레스강 박, 티타늄 박, 니켈 발포체(foam), 구리 발포체, 전도성 금속이 코팅된 폴리머 기재,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음극 활물질층을 형성하는 활물질로는 리튬 이온을 가역적으로 인터칼레이션/디인터칼레이션할 수 있는 물질, 리튬 금속, 리튬 금속의 합금, 리튬을 도프 및 탈도프할 수 있는 물질, 또는 전이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음극 활물질층에는 상기 활물질 외에 바인더, 도전재 및/또는 증점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양극(11)과 음극(12)은 길게 이어진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양극(11)은 양극 활물질층(11b)이 도포된 영역인 양극 코팅부와 양극 활물질층(11b)이 도포되지 않는 영역인 양극 무지부를 갖는다.
또한, 음극(12)은 음극 활물질층(12b)이 도포된 영역인 음극 코팅부와 음극 활물질층(12b)이 코팅되지 않는 영역인 음극 무지부를 갖는다.
한편, 상기 양극 무지부는 전극 조립체(10)의 길이방향 일측 측단에 위치하고, 음극 무지부는 전극 조립체(10)의 길이방향 일측 측단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양극 무지부에는 양극 탭(15)이 접합되어 양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음극 무지부에 음극 탭(16)이 접합되어 음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음으로, 세퍼레이터(13)는 양극(11)과 음극(12)을 분리하고 리튬 이온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리튬 전지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 가능하다. 즉, 전해질의 이온 이동에 대하여 저저항이면서 전해액 함습 능력이 우수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리 섬유, 폴리에스테르, 테프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또는 이들의 조합물 중에서 선택된 것으로서, 부직포 또는 직포 형태이어도 무방하다.  특히, 리튬이온전지에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세퍼레이터가 주로 사용되고, 내열성 또는 기계적 강도 확보를 위해 세라믹 성분 또는 고분자 물질이 포함된 코팅된 세퍼레이터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선택적으로 단층 또는 다층 구조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전극 조립체(10)는 케이스(120)에 수용되어 이차 전지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케이스(120)는 내부에 전극 조립체(10)를 수납하고, 실링부(203)를 매개로 밀봉되는 상부 외장재(202) 및 하부 외장재(201)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실링부(203)는 상부 외장재(202) 및 하부 외장재(201)의 테두리에 형성되며, 본 발명과 같은 적층형 이차 전지(100)에서, 예를 들면, 판형의 사각 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링부(203)는 접착력을 갖는 수지 조성물을 코팅 후 경화하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접착 테이프를 부착하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링부(203)를 상부 외장재(202) 및 또는 하부 외장재(201)를 이루는 내부 폴리머 시트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 열 융착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쉽고 안정적으로 실링부(203)를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외장재(202) 및 하부 외장재(201) 중 적어도 하나는 순차 적층된 외부 폴리머 시트(122), 금속 시트(123) 및 내부 폴리머 시트(121)를 포함하는 다층 시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외부 폴리머 시트(122)는 기재 및 보호층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외부 폴리머 시트(122)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및 나일론필름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금속 시트(123)는 상기 상부 외장재(202) 및 하부 외장재(201) 내부로 수분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금속 시트(123)는, 예를 들면, 철(Fe), 탄소(C), 크롬(Cr) 및 망간(Mn)의 합금, 철(Fe), 탄소(C), 크롬(Cr) 및 니켈(Ni)의 합금, 구리(Cu), 알루미늄(Al) 또는 그 등가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금속 시트(123)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의 가요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가능한 한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투습 방지 등의 효과 면에서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내부 폴리머 시트(121)는, 전극 조립체(10)와 상부 외장재(202) 및/또는 하부 외장재(201)를 접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내부 폴리머 시트(121)는,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올레핀의 공중합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poly ethylene, PE)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 propylene, PP)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10)는, 적어도 하나의 벤딩 영역(A10)을 포함한다.
도 3, 도 5, 도 7 및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 포함되는 벤딩 영역(A10)의 다양한 형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도면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벤딩 영역(A10)의 형상을 가능한 한 단순화하여 나타내었다.
이차 전지(100)의 길이 방향에 대한 상기 벤딩 영역(A10)의 수직 단면은, 상기 전극 조립체(10)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원으로 말린(rolling) 형상일 수도 있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둘 이상의 층으로 접힌(folding)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형상들의 조합, 즉, 하나 이상의 원으로 말린(rolling) 형상 및 둘 이상의 층으로 접힌(folding) 형상이 혼재되어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는 전극 조립체(1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벤딩 영역(A10)을 포함하기 때문에, 이차 전지를 구부리거나 휘는 경우, 상기 벤딩 영역(A10)의 존재로 인해 응력이 분산되기 때문에 전극 조립체(10)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획기적으로 저감시켜 이차 전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매우 뛰어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극 조립체(10)는, 상기 벤딩 영역(A10)을 적어도 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웃하는 벤딩 영역(A10) 사이의 거리는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 1]
Figure pat00002
여기서, P는 이웃하는 벤딩 영역 사이의 1/2 거리이고, L은 벤딩 영역의 장폭이다.
본 발명에서 벤딩 영역(A10) 사이의 거리가 상기 [식 1]을 만족하는 경우, 벤딩 영역간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최소한의 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면서 이차 전지를 반복해서 구부릴 때 벤딩 영역과 벤딩 영역 사이에서 전극 조립체의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벤딩 영역(A10)의 장폭은 전극 조립체(10)가 말리거나 접혀서 중첩하여 위치하는 영역의 최대 폭을 나타낸다. 또한, 벤딩 영역(A10) 사이의 거리는 상기 이웃하는 벤딩 영역(A10)의 장폭과 장폭 사이의 간격을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10)의 이웃하는 벤딩 영역(A1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과 상기 전극 조립체(10)를 수납하는 케이스(120) 사이에는 공기층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이차 전지는 전극 조립체와 케이스(120) 사이에 공기층을 포함하기 때문에 이차 전지를 구부리는 경우, 전극 조립체가 변형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이차 전지의 유연성 확보에 보다 유리하다.
이때, 상기 벤딩 영역(A10)은 상기 식 1에 따른 벤딩 영역(A10) 간의 거리만 확보된다면 그 형태나 전극 조립체(10)에서 위치하는 평면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웃하는 벤딩 영역(A10)의 수직 단면은, 도 3 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한 방향으로 말린 형상, 동일한 방향으로 접힌 형상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이웃하는 벤딩 영역(A10)의 수직 단면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말린 형상일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이 때, 상기 벤딩 영역(A10)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접힌 형상일 수도 있고, 상기 말린 형상 및 접힌 형상이 적어도 하나 이상씩 혼재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전술한 것과 같이, 말리거나 접히거나 이들이 조합된 형태의 수직 단면 형상을 갖는 벤딩 영역은, 일반적인 원통형 전지의 권취 구조를 형성하는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이웃하는 벤딩 영역(A10)의 수직 단면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원으로 말린(rolling) 형상, 둘 이상의 층으로 접힌(folding) 형상,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상기 형상들은, 도 3, 도5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극 조립체(10)의 동일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이웃하는 벤딩 영역(A10)의 수직 단면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원으로 말린(rolling) 형상, 둘 이상의 층으로 접힌(folding) 형상,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상기 형상들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전극 조립체(10)의 서로 다른 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10) 및 상기 케이스(120)는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100)는 다양한 가요성 표시 기기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는 말리거나 접힌 수직 단면 형상을 갖는 벤딩 영역을 포함하기 때문에 이차 전지를 구부리거나 휘는 경우 발생하는 응력, 즉, 압축 응력(compressive stress) 및/또는 인장 응력(tensile stress) 등을 매우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를 가요성 표시 기기 등에 적용하기 위하여 이차 전지를 휘거나 구부렸을 때, 전극 극판이나 탭 등의 취약 부분에 크랙이나 파단 등이 발생하여 이차 전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이차 전지의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A10: 벤딩 영역
L1, L3: 벤딩 영역의 장폭
L2, L4: 이웃하는 벤딩 영역 사이의 거리
10: 전극 조립체
11: 양극
11a: 양극 집전체
11b: 양극 활물질층
12: 음극
12a: 움극 집전체
12b: 음극 활물질층
13: 세퍼레이터
15: 양극 탭
16: 음극 탭
100: 이차 전지
203: 실링부
202: 상부 외장재
122: 외부 폴리머 시트
123: 금속 시트
121: 내부 폴리머 시트
201: 하부 외장재
120: 케이스

Claims (10)

  1. 양극 및 음극이 세퍼레이터를 경계로 교대로 적층된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벤딩 영역을 포함하고,
    이차 전지의 길이 방향에 대한 상기 벤딩 영역의 수직 단면은,
    상기 전극 조립체가 하나 이상의 원으로 말린(rolling) 형상, 둘 이상의 층으로 접힌(folding) 형상,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이차 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는,
    상기 벤딩 영역을 적어도 둘 이상 포함하고,
    이웃하는 벤딩 영역 사이의 거리는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이차 전지.
    [식 1]
    Figure pat00003

    (여기서, P는 이웃하는 벤딩 영역 사이의 1/2 거리이고, L은 벤딩 영역의 장폭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하는 벤딩 영역 사이의 공간과 상기 케이스 사이에는 공기층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하는 벤딩 영역의 수직 단면은,
    동일한 방향으로 말린 형상, 동일한 방향으로 접힌 형상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이차 전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하는 벤딩 영역의 수직 단면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말린 형상,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접힌 형상,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이차 전지.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하는 벤딩 영역의 수직 단면은,
    하나 이상의 원으로 말린(rolling) 형상, 둘 이상의 층으로 접힌(folding) 형상,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형상들은 상기 전극 조립체의 동일한 면에 형성된 이차 전지.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하는 벤딩 영역의 수직 단면은,
    하나 이상의 원으로 말린(rolling) 형상, 둘 이상의 층으로 접힌(folding) 형상,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형상들은 상기 전극 조립체의 서로 다른 면에 형성된 이차 전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케이스는 가요성을 갖는 이차 전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실링부를 매개로 밀봉되는 상부 외장재 및 하부 외장재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외장재 및 하부 외장재 중 적어도 하나는 순차 적층된 외부 폴리머 시트, 금속 시트 및 내부 폴리머 시트를 포함하는 다층 시트 구조로 이루어진 이차 전지.
KR1020150159990A 2015-11-13 2015-11-13 이차 전지 KR201700563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990A KR20170056381A (ko) 2015-11-13 2015-11-13 이차 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990A KR20170056381A (ko) 2015-11-13 2015-11-13 이차 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6381A true KR20170056381A (ko) 2017-05-23

Family

ID=59050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9990A KR20170056381A (ko) 2015-11-13 2015-11-13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638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5973B1 (ko) 가요성 이차 전지
US20170155098A1 (en) Flexible rechargeable battery
KR101199125B1 (ko) 벤딩영역을 갖는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EP2882024B1 (en) Stepped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battery pack and device compris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8637182B2 (en)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plurality of aligned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 tabs
KR102593581B1 (ko) 가요성 이차 전지
EP3242346A1 (en) Electrode assembly
US10686165B2 (en)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US20110104550A1 (en) Electrode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US8741469B2 (en) Electrode assembly with multiple separators wound about a winding center
KR101671421B1 (ko) 패턴 코팅된 전극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전극조립체
KR102654626B1 (ko) 이차 전지
US20210234202A1 (en) Secondary battery
JP7144258B2 (ja) 蓄電素子、蓄電素子の製造方法
KR102464361B1 (ko) 반복적 굽힘 변형이 가능한 에너지 저장용 전기화학소자
KR102341135B1 (ko)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192092B1 (ko) 적층형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이차전지
WO2020218214A1 (ja) 二次電池
US11532859B2 (en) Rechargeable battery
KR20170056381A (ko) 이차 전지
KR102279224B1 (ko)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US10749151B2 (en) Pouch-type rechargeable battery
KR20130133332A (ko) 신규한 구조의 이차전지
KR102207904B1 (ko) 이차 전지
US20230155164A1 (en) Electrode Assembly Having External Shape Fixation Fr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