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6319A - 저출력 레이저를 포함하는 관절 전문 치료기 - Google Patents

저출력 레이저를 포함하는 관절 전문 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6319A
KR20170056319A KR1020150159843A KR20150159843A KR20170056319A KR 20170056319 A KR20170056319 A KR 20170056319A KR 1020150159843 A KR1020150159843 A KR 1020150159843A KR 20150159843 A KR20150159843 A KR 20150159843A KR 20170056319 A KR20170056319 A KR 20170056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othelium
laser
laser light
light source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9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1874B1 (ko
Inventor
지현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앤에스
Priority to KR1020150159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1874B1/ko
Publication of KR20170056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6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1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1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2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7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신체의 관절 부위에 밀착되는 관절 전문 치료기는, 관절 부위에 대응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만입부를 포함하는 탄성재질의 내피부, 내피부와 일체를 이루며 외면을 감싸는 외피부, 신체의 관절 부위에 내피부 및 외피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내피부와 함께 치료기의 내면을 형성하며 저출력 레이저를 발광하는 복수의 레이저 광원부, 복수의 레이저 광원부 주변에서 상기 내피부 및 상기 외피부 사이에 개재되는 발열부, 및 복수의 레이저 광원부 주변에서 내피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전극 단자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저출력 레이저를 포함하는 관절 전문 치료기 {HUMAN JOINT HEALING DEVICE EMITTING LOW-POWER LASER}
본 발명은 관절 전문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관절 전문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46634호는 "휴대용 온열 레이저 찜질기"에 관한 것으로서, 저출력 의료용 레이저를 이용하며, 손잡이가 형성된 케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신체에 밀착시키며 사용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373065호는 "관절염 통증 완화 및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서, 판형 본체의 일면에 정렬된 발광 소자를 이용하고, 열과 전자기파를 동시에 제공하여 관절염, 통증 등을 완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상기 치료기는 판형 본체가 힌지로 연결되어 다양한 형태에 대응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645978호는 "저주파 온열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서, 신체의 돌출 부위에 대응하는 치료기기로서 온열 치료과 저주파 치료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은 있으나, 저출력 레이저에 대한 내용은 없다.
본 발명은 관절 부위에 적용될 수 있는 치료기로서, 관절 부위에 밀착되어 관절 깊숙이 저주파 레이저를 집중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관절 전문 치료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관절 부위에 온열 및 저주파는 물론, 저주파 레이저 치료까지 동시에 공급할 수 있는 관절 전문 치료기를 제공한다. 특히, 관절 부위에 밀착되면서 만입부가 형성되고 온열 및 저주파를 같이 제공하면서 치료기 및 관절 사이에 높은 습도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환경에서도 레이저 광원부의 안전한 사용을 확보할 수 있는 관절 전문 치료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저출력 레이저를 사용하되, 레이저에 사용자의 눈이 직접 노출되어 손상되는 경우를 예방하고자, 사용 조건에 따라 레이저의 점등이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관절 전문 치료기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신체에서 분리된 경우에는 레이저가 꺼지거나 약한 세기로 켜져 있다가, 신체에 밀착시키면서 레이저가 켜지거나 강한 세기로 켜지도록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체의 관절 부위에 밀착되는 관절 전문 치료기는, 관절 부위에 대응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만입부를 포함하는 탄성재질의 내피부, 내피부와 일체를 이루며 외면을 감싸는 외피부, 신체의 관절 부위에 내피부 및 외피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내피부와 함께 치료기의 내면을 형성하며 저출력 레이저를 발광하는 복수의 레이저 광원부, 복수의 레이저 광원부 주변에서 상기 내피부 및 상기 외피부 사이에 개재되는 발열부, 및 복수의 레이저 광원부 주변에서 내피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전극 단자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저출력 레이저라 함은, 약 630~800nm 파장의 레이저로서 의료 목적의 빛을 의미하며, 레이저가 아니더라도 유사한 파장의 빛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근 LED에서도 유사한 파장의 빛을 발할 수 있으며, 이를 저출력 레이저 중 하나로 이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체의 관절 부위에 밀착되는 관절 전문 치료기는, 관절 부위에 대응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만입부를 포함하되 중앙부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된 탄성재질의 내피부, 내피부와 일체를 이루며 외면을 감싸며 제1 관통홀에 대응하여 제2 관통홀이 형성된 외피부, 신체의 관절 부위에 내피부 및 외피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저출력 레이저를 발광하는 복수의 레이저 광원부를 포함하는 레이저 발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 발광부는 제1 관통홀로부터 내피부의 내면에 밀착되는 내부 레이저 하우징과 제2 관통홀로부터 외피부의 외면에 밀착되어 내부 레이저 하우징과 일체를 이루는 외부 레이저 하우징을 포함하되, 복수의 레이저 광원부는 내부 레이저 하우징의 표면으로부터 노출되어 저출력 레이저를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체의 관절 부위에 밀착되는 관절 전문 치료기는, 관절 부위에 대응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만입부를 포함하는 탄성재질의 내피부, 내피부와 일체를 이루며 외면을 감싸는 외피부, 신체의 관절 부위에 내피부 및 외피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내피부 및 외피부의 적어도 일 측부에 장착되는 레이저 발광부를 포함하되, 상기 레이저 발광부는 내피부의 내면에 밀착되는 내부 레이저 하우징, 외피부의 외면에 밀착되어 내부 레이저 하우징과 일체를 이루는 외부 레이저 하우징, 및 상기 내부 레이저 하우징의 표면으로부터 노출되어 저출력 레이저를 발광하는 복수의 레이저 광원부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의 경우에도, 내피부 및 외피부 사이에 개재되는 발열부, 및 내피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전극 단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극 단자는 내피부와 일체를 이루며 신체의 움직임이 있어도 안정적인 저주파 및 온열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체의 관절 부위에 밀착되는 관절 전문 치료기는, 관절 부위에 대응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만입부를 포함하는 탄성재질의 내피부, 내피부와 일체를 이루며 외면을 감싸는 외피부, 신체의 관절 부위에 상기 내피부 및 외피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내피부와 함께 치료기의 내면을 형성하며 저출력 레이저를 발광하는 복수의 레이저 광원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내피부의 적어도 일측에 신체 접촉 센서가 제공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내피부가 신체에 접촉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레이저 광원부의 온/오프 또는 빛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다른 경우로서, 만입부에 대향하여 관절 부위의 반대편에서 오금 부위를 향해 저출력 레이저를 발광하는 후면 광원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관절은 굽어지는 바깥 부분 외에도 굽혀지는 안쪽 부분에서도 저출력 레이저가 효과를 발휘할 수가 있다. 이러한 후면 광원부는 고정부에 장착될 수도 있지만, 다르게는 별도의 연장부를 형성하여 연장부 상에 장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관절 전문 치료기는 관절 부위 형상으로 제작되어 관절 부위에 적용될 수 있는 치료기로서, 관절 부위에 밀착되어 관절 깊숙이 저주파 레이저를 집중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안쪽으로 오목한 만입부에 레이저 광원부를 집중적으로 장착함으로써, 실제 무릎 등에 장착하는 경우 무릎 깊숙한 부분까지 렌즈 집광 같이 레이저를 집중시킬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관절 전문 치료기는 관절 부위에 온열 및 저주파는 물론, 저주파 레이저 치료까지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특히, 관절 부위에 밀착되면서 만입부가 형성되고 온열 및 저주파를 같이 제공하면서 치료기 및 관절 사이에 높은 습도가 형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관절 전문 치료기는 레이저 하우징의 외면으로 플랜지를 형성하고, 플랜지가 연질의 내피부 내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고습도 환경에서도 습기가 치료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절 전문 치료기는 저출력 레이저를 사용하되, 레이저에 사용자의 눈이 직접 노출되어 손상되는 경우를 예방하고자, 사용 조건에 따라 레이저의 점등이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체에서 분리된 경우에는 사용자의 눈이 레이저에 직접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레이저가 꺼지거나 약한 세기로 켜지도록 할 수 있으며, 신체에 밀착시키면서 사용자의 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경우에는 레이저를 켜지도록 하거나 강한 세기로 켜서 치료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 전문 치료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관절 전문 치료기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관절 전문 치료기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 전문 치료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 전문 치료기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관절 전문 치료기의 레이저 발광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 전문 치료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관절 전문 치료기의 레이저 발광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 전문 치료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관절 전문 치료기의 배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관절 전문 치료기의 일부 단면도이다.
참고로, 도 1의 관절 전문 치료기는 무릎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서, 관절을 감싸는 본체가 무릎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관절 전문 치료기는 어깨, 팔꿈치, 뒤꿈치 등 신체의 다른 관절에 대응될 수 있으며, 본체 형상 및 전극 단자의 위치 등은 대응하는 신체 부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관절 전문 치료기(100)는 내피부(110), 전극 단자(120), 발열부(130), 외피부(140), 고정부(150), 제어부(160) 및 레이저 발광부(190)를 포함한다.
내피부(110)는 신체 중 무릎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만입부를 포함한다. 안정된 저주파 전달을 위해서 무릎이 움직여도 내피부(110)는 무릎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내피부(110)는 변형이 가능한 직물이나 기타 연질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관절 전문 치료기(100)는 온열 치료를 병행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하는 동안 땀이 발생할 수 있으며, 내피부(110)도 땀이 흡수되지 않는 연질의 합성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내피부(110) 중 신체와 접촉하는 만입부는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나, 만입부의 반대 면에 대해서는 다양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열의 전달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내피부(110)는 최소한의 두께를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릇(bowl)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피부(110)의 만입부에는 4개의 전극 단자(120)가 형성되어 있다. 전극 단자(120)는 금속 단자(122)를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전극 단자(120)는 통전성을 갖는 금속이나 수지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신체와 직접적으로 닿는 부분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찬 촉감을 주는 금속보다는 통전 고무(conductible rubber) 등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본 명세서에서 저주파라 함은 좁은 의미의 저주파 외에도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는 전기적 또는 자기적 자극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일 예로 저주파, 중저파, 간섭파, 음전위, 초장파, 전자침 등이 본 발명의 관절 전문 치료기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렇듯, 저주파는 내피부(110)로부터 돌출된 전극 단자(120)에 의해서 전달될 수 있다. 전극 단자(120)는 신체와의 확실한 접촉을 위해 돌출되어 있으며, 돌출된 몸체를 이용하여 저주파 치료와 지압 치료를 동시에 제공할 수가 있다. 일 예로, 저주파 자극은 근육으로 전달되어 근육을 자극시키는 요인으로서 작용할 수가 있다. 하지만, 전극 단자(120) 및 신체 간의 접촉이 불안정한 경우 전극 단자(120) 및 신체 간에 스파크(spark)가 발생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줄 수가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 시에는 전극 단자(120)와 피부 사이에 통전을 도와줄 수 있는 젤이나 크림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통전 고무로 구성된 전극 단자(120)의 후면에는 금속 단자(122)가 노출되어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60)는 금속 단자(122)를 통해서 전극 단자(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금속 단자(122)는 금속 재질로서 암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체결용 나사 모양의 접속구를 이용하여 제어부(160)와 연결된 전선을 전극 단자(120)에 고정시킬 수가 있다. 실제로, 금속 단자(122)는 금속 재질로서 인서트 사출 성형을 통해서 전극 단자(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금속 단자(122)를 포함하는 전극 단자(120)도 역시 다른 인서트 사출 성형을 통해서 내피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내피부(110)와 외피부(140) 사이로 발열부(130)가 제공될 수 있다. 발열부(130)는 전열선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열선은 전극 단자(120)가 장착된 내피부의 후면에서 지그재그 또는 다양한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발열부(130)는 내피부(110) 및 외피부(140)에 의해서 덮이며, 외피부(140)와 내피부(110)를 함께 봉제함으로써 본체와 일체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피부(140)가 직물 또는 인조가죽 등으로 형성되어 봉제로 고정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외피부(140) 역시 실리콘 사출 성형을 통해서 내피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외피부(140)의 일단에는 고정부(150)가 장착된다. 고정부(150)는 외피부(140)의 일단부에 결속된 탄성 벨트(152), 탄성 벨트(152)의 일단에 형성된 제1 체결구(154) 및 외피부의 타단부에 장착되는 제2 체결구(156)를 포함한다. 탄성 벨트(152)는 무릎 또는 팔꿈치 등을 둘러 싸며, 제1 체결구(154) 및 제2 체결구(155)는 탄성 벨트(152)를 무릎 또는 팔꿈치에 고정시킬 수가 있다. 탄성 벨트(152)의 탄성력에 의해서 내피부(110) 및 전극 단자(120)는 신체에 밀착할 수 있다. 이때 내피부(110)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신체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변형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 체결구(154) 및 제2 체결구(156)는 벨크로 테이프를 이용하고 있지만, 다르게는 지퍼, 버클, 스냅 버튼(snap button) 등 다양한 체결구를 이용할 수가 있다.
제어부(160)는 외피부(140) 및 내피부(110)와 분리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온도 조절부, 저주파 조절부, 레이저 조절부 및 기타 디스플레이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극 단자(120)로부터 발생되는 저주파의 세기, 프로그램화된 패턴, 작동 시간, 잔여 시간 등을 제어할 수 있으며, 발열부(130)의 작동 시간, 설정 온도, 잔여 시간 등을 제어할 수 있고, 레이저 발광부(190)의 작동 여부, 빛의 세기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내피부(110)에는 전극 단자(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피부(110)의 후면에서부터 외피부(140)까지 분산용 격막(172), 발열부(130), 및 보호막(174)이 차례로 적층되어 있다. 발열부(130)로부터 생성된 열은 내피부(110)를 통해 신체로 전달될 수 있다.
발열부(130)의 전열선(132)이 내피부(110) 후면에 전체적으로 분포되어 있지만, 전열선(132)이 배치된 부분과 배치되지 않은 부분의 열 전달 차이가 있을 있다. 또한,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내피부(110)에 열이 집중적으로 전달되는 경우, 환부에 가벼운 화상을 입게 할 수 있으며, 내피부(110)가 부분적으로 녹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내피부(110) 및 발열부(130) 사이에 분산용 격막(172)이 제공된다. 분산용 격막(172)은 발열부(130)로부터 발생된 열을 간접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종의 단열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분산용 격막(172)이 발열부(130) 및 내피부(110) 사이에 개재됨에 따라, 발열부(130)로부터 발생된 열은 직접 내피부(110)로 전달되지 않고, 일단 분산용 격막(172)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분산용 격막(172)에 의해서 열이 주변으로 머물게 됨에 따라, 분산용 격막(172) 및 그 주변으로 열이 고르게 분포되며, 주변 온도가 고르게 상승할 수 있다. 분산용 격막(172)에 의해서 분산용 격막(172) 전체 면적을 통해서 열이 간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내피부(110)로 전달되는 열은 골고루 분포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발열부(130)의 후면으로는 보호막(174)이 제공된다. 보호막(174)은 얇은 스폰지 또는 기타 완충성 및 단열성을 갖는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보호막(174)은 외부로 노출되는 외피부(140) 및 발열부(130) 사이에 개재된다. 보호막(174)은 외피부(140)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으로부터 전열선(132)을 보호할 수 있으며, 전열선(132)으로부터 생성된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열부(130)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분포되는 전열선(132) 및 전열선(132)의 전면 및 후면에 배치되는 2개의 정렬 시트를 포함한다. 전열선(132)은 분산용 격막(172)의 후면에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분포되지만, 전열선(132)의 분포된 형상을 장시간 유지하기가 어려우며, 분산용 격막(172) 후면에 직접 지그재그로 고정시키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전열선(132)의 2개의 정렬 시트 사이에서 지그재그로 배치시킨 다음, 전열선(132)의 배치가 흩어지지 않도록 전열선(132) 사이를 봉제할 수 있다. 전열선(132) 및 정렬 시트를 포함하는 발열부(130)를 미리 제조함으로써, 전열선(132)의 배치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으며, 내피부(110)부터 외피부(140)까지 적층시키고 적층된 요소들을 상호 조립하는 과정을 신속하게 완료할 수가 있다.
본체의 중앙부에 레이저 발광부(190)가 제공된다. 레이저 발광부(190)는 내피부(110)와 함께 치료기 본체의 내면을 형성하며 저출력 레이저를 발광하는 복수의 레이저 광원부(18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레이저 발광부(190)는 장착하기 위해서 내피부(110)의 중앙부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되며, 외피부(140)의 중앙부에도 제2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분산용 격막(172), 발열부(130) 및 보호막(174)에도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발광부(190)는 상기 관통홀 등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내부 레이저 하우징(192) 및 외부 레이저 하우징(194)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레이저 하우징(192)은 제1 관통홀로부터 내피부(110)의 내면에 밀착되며, 내부 레이저 하우징(192)에 대향하여 외부 레이저 하우징(194)은 제2 관통홀로부터 외피부(140)의 외면에 밀착되어 내부 레이저 하우징(192)과 일체를 이룬다.
또한, 복수의 레이저 광원부(180)는 내부 레이저 하우징(192)의 표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홀을 통해 치료기 본체의 내면으로 노출될 수 있으며, 저출력 레이저를 발광할 수 있다. 물론, 레이저 광원부(180) 및 내부 레이저 하우징(192) 사이로 이물질이 침투하거나 땀이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그 사이에 방수 또는 밀폐 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내부 레이저 하우징(192)과 내피부(110) 사이를 밀폐하기 위해서, 내부 레이저 하우징(192)은 제1 관통홀보다 큰 직경을 갖는 플랜지(196)가 형성될 수 있으며, 플랜지(196)의 안쪽으로 돌출 리브(198)가 형성되며, 체결 후 밀봉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랜지와 돌출 리브에 대한 내용은 외부 레이저 하우징(194)의 외면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가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피부(110)의 외면, 내면 또는 내부에 신체 접촉 센서(112)가 제공될 수 있다. 신체 접촉 센서(112)는 정전 용량 변화, 압력 변화 등을 이용하여 신체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으며, 제어부(160)는 신체 접촉 센서(112)로부터의 신호를 통해서 사용자가 치료기 본체를 착용하였는지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치료기 본체를 완전히 착용함으로써, 내피부(110)의 신체 접촉 센서(112)가 이를 전기적 신호로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고, 이 신호에 대응하여 제어부(160)는 레이저 광원부(180)의 온/오프를 조절하거나 빛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레이저에 사용자의 눈이 직접 노출되어 손상되는 경우를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 조건에 따라 레이저의 점등이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체에서 분리된 경우에는 사용자의 눈이 레이저에 직접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레이저가 꺼지거나 약한 세기로 켜지도록 할 수 있으며, 신체에 밀착시키면서 사용자의 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경우에는 레이저를 켜지도록 하거나 강한 세기로 켜서 치료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 전문 치료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배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내피부(110)의 만입부에 대향하여 관절 부위의 반대편에서 오금 부위를 향해 저출력 레이저를 발광하는 후면 광원부(18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관절은 굽어지는 바깥 부분 외에도 굽혀지는 안쪽 부분으로 후면 광원부(185)가 장착된다면, 저출력 레이저가 전후 방향에서 효과를 발휘할 수가 있다. 이러한 후면 광원부(185)는 도 4와 같이 고정부(150)에 장착될 수도 있지만, 다르게는 별도의 연장부를 형성하여 연장부 상에 장착될 수도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관절 전문 치료기(100)는 관절 부위 형상으로 제작되어 관절 부위에 적용될 수 있는 치료기로서, 관절 부위에 밀착되어 관절 깊숙이 저주파 레이저를 집중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레이저 발광부(190) 중 내부 레이저 하우징(192)은 안쪽으로 오목한 만입부를 포함하며, 여기에 레이저 광원부(180)를 집중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실제 무릎 등에 장착하는 경우 무릎 깊숙한 부분까지 렌즈로 집광하는 것과 같이 레이저를 집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관절 전문 치료기는 관절 부위에 온열 및 저주파는 물론, 저주파 레이저 치료까지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특히, 관절 부위에 밀착되면서 만입부가 형성되고 온열 및 저주파를 같이 제공하면서 치료기 및 관절 사이에 높은 습도가 형성될 수 있는데, 관절 전문 치료기(100)는 내부 레이저 하우징(192)의 외면으로 플랜지(196)를 형성하고, 플랜지(196)가 연질의 내피부(110) 내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고습도 환경에서도 습기가 치료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 전문 치료기의 배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관절 전문 치료기의 레이저 발광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관절 전문 치료기(200)는 내피부(210), 전극 단자(220), 발열부(230), 외피부(240), 고정부(250), 제어부(260) 및 레이저 발광부(290)를 포함하며, 이들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다.
다만, 내피부(210) 및 레이저 발광부(29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형상에서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레이저 발광부(290)는 레이저 광원부(280)를 수용하는 투명 실리콘 몸체(292)를 포함하며, 투명 실리콘 몸체(292)는 내피부(210)와 함께 일체로 압축 성형될 수 있다.
복수의 레이저 광원부(280)는 투명 실리콘 몸체(292)의 수용부(294)에 안착될 수 있으며, 투명 실리콘 몸체(292)를 통해서 치료기 본체 내부로 빛을 전달할 수 있으며, 투명 실리콘 몸체(292)과 내피부(210)가 연질 수지로서 일체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레이저 광원부(280)로 이물질이 침투하거나 수분 또는 땀이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다.
투명 실리콘 몸체(292)와 내피부(210) 사이를 결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투명 실리콘 몸체(292)의 외면에 요철을 형성할 수 있으며, 투명 실리콘 몸체(292)의 외부 경계로 둔턱(296)을 형성하여 투명 실리콘 몸체(292)를 성형기 안에 두고 내피부(210)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내피부(210)를 위한 수지가 투명 실리콘 몸체(29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레이저 광원부(280)를 수용부(294)에 안착시킨 후, 그 후면을 금속 테이프 등으로 밀봉함으로써 반사판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피부(210)의 일측에 신체 접촉 센서(212)가 제공될 수 있으며, 제어부(260)는 신체 접촉 센서(212)로부터의 신호를 통해서 레이저 광원부(280)의 온/오프를 조절하거나 빛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관절 전문 치료기(200)에서도 관절 부위의 오금 부위를 향해 저출력 레이저를 발광하는 후면 광원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 전문 치료기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관절 전문 치료기의 레이저 발광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관절 전문 치료기(300)도 내피부(310), 전극 단자(320), 발열부(330), 외피부(340), 고정부(350), 제어부 및 레이저 발광부(390)를 포함하며, 이들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다.
다만, 레이저 발광부(390)가 치료기 본체의 양측에 장착되어 있으며, 레이저 발광부(390)는 치료기의 양측에서 내부 및 외부 하우징으로 체결되면서 내피부(310) 및 외피부(340)의 양측면 또는 일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레이저 광원부(380)는 레이저 발광부(390)의 내부 하우징에 장착되며, 치료기 본체의 양측에서 내부로 빛을 전달할 수 있다.
내피부(310)의 일측에 신체 접촉 센서(312)가 제공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신체 접촉 센서(312)로부터의 신호를 통해서 레이저 광원부(380)의 온/오프를 조절하거나 빛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관절 전문 치료기(300)에서도 관절 부위의 오금 부위를 향해 저출력 레이저를 발광하는 후면 광원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관절 전문 치료기 110:내피부
120:전극 단자 130:발열부
140:외피부 150:고정부
160:제어부 180:레이저 광원부
190:레이저 발광부

Claims (7)

  1. 신체의 관절 부위에 밀착되는 관절 전문 치료기에 있어서,
    상기 관절 부위에 대응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만입부를 포함하는 탄성재질의 내피부;
    상기 내피부와 일체를 이루며 외면을 감싸는 외피부;
    상기 신체의 관절 부위에 상기 내피부 및 상기 외피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내피부와 함께 상기 치료기의 내면을 형성하며, 저출력 레이저를 발광하는 복수의 레이저 광원부;
    상기 복수의 레이저 광원부 주변에서 상기 내피부 및 상기 외피부 사이에 개재되는 발열부; 및
    상기 복수의 레이저 광원부 주변에서 상기 내피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전극 단자;를 포함하는 관절 전문 치료기.
  2. 신체의 관절 부위에 밀착되는 관절 전문 치료기에 있어서,
    상기 관절 부위에 대응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만입부를 포함하되, 중앙부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된 탄성재질의 내피부;
    상기 내피부와 일체를 이루며 외면을 감싸며, 상기 제1 관통홀에 대응하여 제2 관통홀이 형성된 외피부;
    상기 신체의 관절 부위에 상기 내피부 및 상기 외피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제1 관통홀로부터 상기 내피부의 내면에 밀착되는 내부 레이저 하우징, 상기 제2 관통홀로부터 상기 외피부의 외면에 밀착되어 상기 내부 레이저 하우징과 일체를 이루는 외부 레이저 하우징, 및 상기 내부 레이저 하우징의 표면으로부터 노출되어 저출력 레이저를 발광하는 복수의 레이저 광원부를 포함하는 레이저 발광부;
    를 포함하는 관절 전문 치료기.
  3. 신체의 관절 부위에 밀착되는 관절 전문 치료기에 있어서,
    상기 관절 부위에 대응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만입부를 포함하는 탄성재질의 내피부;
    상기 내피부와 일체를 이루며 외면을 감싸는 외피부;
    상기 신체의 관절 부위에 상기 내피부 및 상기 외피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내피부 및 상기 외피부의 적어도 일 측부에 장착되는 레이저 발광부;를 포함하되,
    상기 레이저 발광부는 상기 내피부의 내면에 밀착되는 내부 레이저 하우징, 상기 외피부의 외면에 밀착되어 상기 내부 레이저 하우징과 일체를 이루는 외부 레이저 하우징, 및 상기 내부 레이저 하우징의 표면으로부터 노출되어 저출력 레이저를 발광하는 복수의 레이저 광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전문 치료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이저 광원부 주변에서 상기 내피부 및 상기 외피부 사이에 개재되는 발열부; 및
    상기 복수의 레이저 광원부 주변에서 상기 내피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전극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전문 치료기.
  5. 신체의 관절 부위에 밀착되는 관절 전문 치료기에 있어서,
    상기 관절 부위에 대응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만입부를 포함하는 탄성재질의 내피부;
    상기 내피부와 일체를 이루며 외면을 감싸는 외피부;
    상기 신체의 관절 부위에 상기 내피부 및 상기 외피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내피부와 함께 상기 치료기의 내면을 형성하며, 저출력 레이저를 발광하는 복수의 레이저 광원부;를 포함하는 관절 전문 치료기.
  6. 제1항, 제2항,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부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되는 신체 접촉 센서 및 상기 내피부에 대한 신체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레이저 광원부의 온/오프 또는 빛 세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전문 치료기.
  7. 제1항, 제2항,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만입부에 대향하여 상기 관절 부위의 반대편에서 오금 부위를 향해 저출력 레이저를 발광하는 후면 광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면 광원부는 상기 고정부 또는 별도의 연장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전문 치료기.

KR1020150159843A 2015-11-13 2015-11-13 저출력 레이저를 포함하는 관절 전문 치료기 KR101751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843A KR101751874B1 (ko) 2015-11-13 2015-11-13 저출력 레이저를 포함하는 관절 전문 치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843A KR101751874B1 (ko) 2015-11-13 2015-11-13 저출력 레이저를 포함하는 관절 전문 치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6319A true KR20170056319A (ko) 2017-05-23
KR101751874B1 KR101751874B1 (ko) 2017-06-29

Family

ID=59050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9843A KR101751874B1 (ko) 2015-11-13 2015-11-13 저출력 레이저를 포함하는 관절 전문 치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187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44190A (zh) * 2017-11-20 2018-06-12 威世博信息服务(深圳)有限公司 一种按摩理疗仪
WO2018216846A1 (ko) * 2017-05-24 2018-11-29 (주)엠디피 저출력 레이저 패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저출력 레이저 시술 셋트
KR102291094B1 (ko) * 2021-01-05 2021-08-20 (주)중산물산 좌욕용 엘이디 좌대
KR102353773B1 (ko) * 2021-08-09 2022-01-20 (주)이지템 신체 착용식 복합자극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458B1 (ko) * 2019-05-23 2021-06-09 한국광기술원 능동형 관절염 개선 광선 조사장치
US20220369793A1 (en) * 2019-11-05 2022-11-24 Peach Tech Mask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009Y1 (ko) * 2004-08-09 2005-03-11 (주)스트라텍 전기 자극용 탄소 패드 및 초음파 변환자 와 레이저다이오드 조사부가 복합되는 형태를 갖는 의료용 패드장치
KR200371927Y1 (ko) * 2004-10-04 2005-01-15 김인한 저출력 광 발생장치가 설치된 치료 보조대
KR200412781Y1 (ko) * 2006-01-20 2006-03-31 최동환 복합 기능 물리치료기
KR200436201Y1 (ko) * 2007-04-23 2007-06-29 주식회사 코리아레이져 자동 온/오프 스위치가 구비된 저출력 레이저 조사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6846A1 (ko) * 2017-05-24 2018-11-29 (주)엠디피 저출력 레이저 패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저출력 레이저 시술 셋트
CN108144190A (zh) * 2017-11-20 2018-06-12 威世博信息服务(深圳)有限公司 一种按摩理疗仪
KR102291094B1 (ko) * 2021-01-05 2021-08-20 (주)중산물산 좌욕용 엘이디 좌대
KR102353773B1 (ko) * 2021-08-09 2022-01-20 (주)이지템 신체 착용식 복합자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1874B1 (ko) 2017-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1874B1 (ko) 저출력 레이저를 포함하는 관절 전문 치료기
TW201922314A (zh) 多功能護膚美容儀
KR101741067B1 (ko) 안면 테라피용 마스크
KR102604330B1 (ko) 이중 방식 에너지 전달 시스템
KR101851179B1 (ko) 눈 냉온 마사지기
KR102227349B1 (ko) 휴대용 눈 마사지기
KR101767485B1 (ko) 엘이디의 발생열을 이용한 원적외선 조사 장치
KR101767374B1 (ko) 온열 마사지기 및 그 제어방법
JP7440536B2 (ja) 皮膚美容機器
KR20190066757A (ko) 눈 피로 회복을 위한 눈 마사지 겸용 온열기
KR20060072632A (ko) 저주파 온열 치료기
KR20210077315A (ko) 적외선을 방출하는 led 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미용기기
KR100491040B1 (ko) 다이어트 장치
KR101741068B1 (ko) 안면 테라피용 마스크의 제조방법
TWI623307B (zh) 熱敷眼罩
RU2811650C9 (ru)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ухода за кожей и способы применения
RU2811650C2 (ru)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ухода за кожей и способы применения
KR200260812Y1 (ko) 다이어트 장치
KR200385174Y1 (ko) 복부 저주파 온열 패드
KR102639444B1 (ko) 마사지 led 마스크
KR100491148B1 (ko) 저주파 온열기및 이를 이용한 다이어트 장치
KR200262531Y1 (ko) 저주파 온열기및 이를 이용한 다이어트 장치
KR200321029Y1 (ko) 원적외선 방사 및 진동 수단을 구비한 온열 허리 벨트형의료기
KR102295606B1 (ko) 휴대용 경부 온열 장치
JP6130217B2 (ja) 目元用美容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