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4848A - 전자통신 기기의 외부 정보 저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통신 기기의 외부 정보 인증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통신 기기의 외부 정보 저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통신 기기의 외부 정보 인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4848A
KR20170054848A KR1020150157510A KR20150157510A KR20170054848A KR 20170054848 A KR20170054848 A KR 20170054848A KR 1020150157510 A KR1020150157510 A KR 1020150157510A KR 20150157510 A KR20150157510 A KR 20150157510A KR 20170054848 A KR20170054848 A KR 20170054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electronic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s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7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균환
김해진
응운쏙펙빤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마커블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마커블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마커블소프트
Priority to KR1020150157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4848A/ko
Publication of KR20170054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48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17/3009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27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where protection concerns the structure of data, e.g. records, types, qu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3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cryptographic hash fun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메시지, 촬영 및 화면 입력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대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기기 정보, 내용 데이터, 발생 시점정보 및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사실정보 저장 단계; 상기 내용 데이터에 대한 해시 코드를 발생시켜 저장하는 해시 정보 저장 단계; 및 상기 입력 정보의 발생 중 또는 입력 정보 발생 이전의 구동 프로그램 목록에 관한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하는 프로그램 정보 저장단계를 포함하는 전자통신 기기의 외부 정보 저장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이 방법과 연동하여, 인증 서버를 활용한 상기 입력정보의 인증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통신 기기의 외부 정보 저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통신 기기의 외부 정보 인증 방법 {METHOD OF STORING EXTERNAL INFORMATION OF ELECTRONIC COMMUNCATION DEVICE AND METHOD OF CERTIFICATION OF EXTERNAL INFORMATION OF ELECTRONIC COMMUNCATION DEVICE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보기술(IT) 분야의 기술로서, 전자통신 기기의 외부 정보에 대한 위변조 여부를 효율적으로 관리 및 파악하고 진실 정보의 신뢰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영상, 음성 등 각종 외부 입력 정보의 체계적 저장 및 정보의 신뢰성을 공인할 수 있는 인증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기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IT 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더불어, 모바일 기기를 통한 다양한 정보들이 양산되고 있다.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 모바일 기기뿐만 아니라 PC 등 다양한 유선 기기들도 대량의 정보들을 송신 및 수신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의 홍수 속에서, 해킹 프로그램, 위변조 프로그램 등 정보의 불법적 접근을 통한 유출, 정보의 위변조 문제도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 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최근의 기술 수준으로는 고전적인 음성이나, 이미지 등의 위변조뿐만 아니라 동영상 등의 위변조, 실시간 화면의 해킹을 통한 정보 왜곡 등도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결국 각종 기기에서 유통되는 정보들의 진실 여부에 대한 공방이 빈번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은 특히 소송 과정 중의 증거로 채택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시대적 흐름으로 인하여 자명하게 진실로 고려되었던 증거들도 그 증거능력을 의심받을 수 있는 현실에 처해 있다. 따라서, 다양한 통신 기기로 입력되어 수집되는 정보들에 대해서 왜곡이나 변조 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며, 나아가 진실에 대한 신뢰성 높은 정보들에 대한 인증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다양한 사회적 이슈들 또는 개인적 이슈들과 관련한 사실정보들에 대한 입증의 수고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실정보의 왜곡을 관리하고 신뢰성 높은 정보들의 인증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반 기술로서, 통신기기의 외부 입력 정보에 대하여 위변조 방지 및 예방이 가능한 정보 저장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저장방법과 연동하여 신뢰성 높은 진실 정보에 대한 전자적 인증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정보의 신뢰성 입증을 위한 소모적 노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싱예에 따른 전자통신 기기의 외부 정보 저장 방법은, 음성, 메시지, 촬영 및 화면 입력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대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기기 정보, 내용 데이터, 발생 시점정보 및 발생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사실정보 저장 단계; 상기 내용 데이터에 대한 해시 코드를 발생시켜 저장하는 해시 정보 저장 단계; 및 상기 입력 정보의 발생 중 또는 입력 정보 발생 이전의 구동 프로그램 목록에 관한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하는 프로그램 정보 저장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 방법은 그 자체로서, 전자통신 기기로 입수된 외부 정보의 인증방법에 대응한다.
상기 내용 데이터는 음성녹음 파일, 통화녹음 파일, 문자 파일, 녹화 파일, 동영상 파일, 이미지 파일 및 화면 캡쳐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성 정보는 통화 내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통신 기기는 모바일 전자통신 기기, 유선 전자통신기기 및 데스크탑 P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프로그램은 정보 입력시 구동되는 주변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입력 정보 처리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상기 입력정보는 이종의 복수 정보들을 동시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통신 기기의 외부 정보 인증 방법은 i) 전자통신 기기의 외부로부터 입력된 음성, 메시지, 촬영 및 화면 입력정보 중 i) 적어도 하나의 내용 정보, ii) 전자통신 기기정보, iii) 정보 발생 시점 정보, iv) 정보 발생 위치정보 v) 상기 내용 정보에 대응한 해시 코드 정보 및 vi) 정보 발생 중 또는 정보 발생 이전에 구동된 전자통신 기기의 구동 프로그램 목록에 관한 히스토리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대상 정보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인증 대상 정보를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서버에서 상기 인증 대상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전자통신 기기에 인증 아이디를 발급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프로그램이 위변조 프로그램을 포함할 경우, 상기 인증 서버에서 상기 전자통신기기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아이디는 QR 코드 형식이거나, QR 코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서버는 상기 인증 대상 정보에 위변조 프로그램이 검색될 경우, 인증 아이디 발급을 개시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인증 서버는 타 전자통신기기로부터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타 전자통신기기로 상기 인증 대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 또는 인증 아이디 정보를 상기 타 전자통신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통신 기기의 외부정보 저장방법에 따르면, 음성, 화상, 문자 정보 등 다양한 외부정보를 처리함과 더불어 저장되는 정보에 대하여 해시 코드 및 주변 구동 프로그램 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함으로써, 원본 정보의 기본적인 저장뿐만 아니라 입력정보의 부수적인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정보에 대한 일종의 전자지문을 생성함으로써, 제3자의 해킹, 위변조 여부를 검증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저장되는 정보의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고 나아가, 제3자의 위변조 및 정보에 대한 불법적 접근을 미연에 방지하고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통신 기기의 외부정보 인증방법에 따르면, 통신기기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받은 외부 사실정보들에 대하여, 신뢰성을 공인하는 전자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아이디를 발급함으로써, 인증이 완료된 정보에 대하여 제3자에 대한 진실성 입증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인증 시스템을 사회 전반에 구축하여, 특정 정보들의 진위여부에 대한 진실공방에 따른 비효율적 사회적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소송 등의 절차에서 제출되는 다양한 정보들의 증거능력 및 증거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소송경제에도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통신 기기의 외부정보 저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통신 기기의 외부 정보 인증방법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방법을 도식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인증방법을 수행하여 위 변조 판단이 이루어질 경우를 도식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인증 서버로 부터 제3자가 인증 데이터를 제공받는 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통신 기기의 외부정보 저장방법 및 인증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하기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기재들이며, 하기 기재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오직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고 제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통신 기기의 외부정보 저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통신 기기(100)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100)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전자통신 기기(100)는 음성정보, 촬영정보, 화상정보, 문자정보 등을 저장하거나, 이를 통신 회선을 이용하여 송수신 가능한 장치이면 어떠한 장이어도 무관하다. 예를 들어, 통신 수단이 결합 되어 있는 디지털 카메라 등도 상기 전자통신 기기(100)에 자명하게 포함된다.
상기 전자통신 기기(100)는 기기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발생 되기는 하나 다양한 형태의 외부 입력정보(50)를 수집하여 저장한다. 외부 입력정보(50)는 음성정보, 촬영정보, 화상정보, 문자정보 등을 포함한다. 상기 음성정보로서는 녹취록과 같은 녹음된 음성정보, 화상채팅 대화내용이나 통화내용을 녹음한 녹음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다양한 메신져 프로그램 등의 개발로 이러한 음성 녹음이 가능한 전자통신 기기(100)나 음성 녹음을 지원하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 있다.
촬영정보는 스마트폰의 카메라나 캠코더와 같이 외부의 모습을 촬영한 동영상이나 사진(이미지) 정보를 의미한다. 실질적으로,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촬영된 동영상이나 이미지가 홍수를 이루고 있고 이러한 촬영정보 등이 다양한 통신 매체를 통하여 단시간에 급격히 확산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해당 촬영정보가 원본과 달리 왜곡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 되고 있다.
화상정보는 촬용정보와 달리 전자통신 기기(100)로부터 수신된 외부 화상 정보로서, 캡쳐 이미지나 화상녹화 등의 정보를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문자정보란 문자메시지, SNS 게시글, 기타 메신져 프로그램 등의 커뷰니케이션 문자정보뿐만 아니라, 전자통신 기기(100) 간에 유통되는 다양한 문자 정보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외부 입력 정보(50)는 전자통신 기기(100)의 외부 정보 처리프로그램(120)에 의하여 일차적으로 수집된다. 상기 외부정보 처리프로그램(120)이란 카메라 프로그램, 녹음기 등의 프로그램 등 해당 정보를 처리하고 제공하는 다양한 앱 어플리케이션 등을 의미한다. 상기 외부입력 정보(50)의 내용 데이터는 음성녹음 파일, 통화녹음 파일, 문자 파일, 녹화 파일, 동영상 파일, 이미지 파일, 화면캡쳐 파일 등으로 처리되어 저장된다. 사용자는 외부 입력 정보(50)를 제공받아 전자통신 기기(100)에서 해당 프로그램을 구동하면서, 해시 코드 생성 프로그램(150)을 입력 버튼 등을 통하여 구동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해시 코드 생성 프로그램(150)이라고 표현하였으나, 명칭에 해당 프로그램의 기능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해시(hash) 코드란, 해시값, 해시, 체크섬 등으로 불리우며, 임의의 길이의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로 매핑하는 알고리즘이다. 상기 해시 코드의 부여는 원본 데이타의 위변조 여부를 확인하는 함수로 작용한다.
상기 해시 코드 생성 프로그램(150)은 외부 입력정보(501)로부터 입력된 각종 사실정보 등을 외부정보 처리 프로그램(120)으로부터 제공받아 가공한다. 또한, 이를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도 있고 원본을 저장할 수도 있다. 해시 코드 생성 프로그램(150)은 입력된 외부정보(50) 데이터에 대응한 해시 코드를 생성한다. 뿐만 아니라, 외부 입력정보(50)가 입력되는 시점에 관한 시점정보, 입력정보(50)가 입력되는 시점의 위치정보, 해당 전자통신 기기(100)의 기본적인 기기정보도 수집한다. 나아가, 해시 코드 생성 프로그램(150)은 해당 입력정보 처리프로그램(120)이 구동되는 동안, 즉 입력정보의 발생 시점 동안의 전자통신 기기(100) 내에서 구동되는 모든 주변 구동 프로그램(110)의 목록을 저장한다. 즉, 주변 구동 프로그램(110)의 정보 발생 시점 및 직전 구동 프로그램의 히스토리 정보가 상기 해시코드 생성 프로그램(150)에 저장된다. 이를 통하여, 입력정보(50) 처리 동안 외부 프로그램에 의한 데이타 위 변조 여부를 실시간 또는 사후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해시 코드 생성 프로그램(150) 위와 같이 수집된 정보 또는 해시 코드 등 처리된 정보를 가공하여, 후술하는 인증 서버에 전송할 데이터를 가공한다. 이렇게 가공된 정보는 인증을 통하여 인증 아이디를 발급받기 위한 인증 대상 정보(250)로 저장된다.
입력 정보(50)와 각종 부대적인 정보들의 저장이 완료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인증서버 전송을 통하여 추가적인 공신력 있는 인증 시스템을 거치지 않더라도, 상기 해시 코드 생성 프로그램(150)의 처리가 완료된 후 저장된 정보의 경우, 실질적으로 통신 기기 자체의 인증 프로세스를 거친 정보로서의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통신 기기의 외부 정보 인증방법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방법을 도식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전자통신기기(100)는 1차적으로 촬영된 영상 등 외부에서 제공된 외부입력정보(50)를 수집하고, 해당 데이터에 대응한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된 외부정보(50)에 대응한 외부정보 처리 프로그램에 의하여, 정보를 처리한다(S110). 이 과정에서 해시 코드 생성 프로그램은 해시 코드를 생성하고, 구동 프로그램 정보, 시점정보, 기기정보 등과 함께 인증대상 정보(250)를 가공한다(S120). 가공된 인증대상 정보(250)는 인증 서버(300)로 자동적으로 실시간 전송되도록 한다(S130). 전송되는 시점은 사용자가 전자통신기기(100)에 해시 코드 생성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한 입력이 이루어지면 실시간으로 인증 서버(300)에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시간 차에 따른 제3자 해킹 등의 개입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서버(300)에서는 해시 코드, 구동 프로그램의 종류 등을 기초로 위 변조 판단을 수행하며, 위 변조가 없는 진정한 데이터로 판단될 경우, 인증 작업을 수행하고(S140) 해당 전송 데이터에 대한 인증ID를 발(320)급하여 인증대상 정보(250)을 전송한 해당 전자통신 기기(100)에 전송한다(S150).
도 4는 도 2의 인증방법을 수행하여 위 변조 판단이 이루어질 경우를 도식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인증 서버(300)는 인증 대상 정보(250)을 기초로 위 변조 판단을 수행하고, 입력된 외부 정보(50) 처리시 위변조 프로그램의 구동이 확인될 경우(310), 인증대상 정보(250)에 대한 인증ID 발급을 개시하지 않거나 중단한다. 이 경우, 인증 대상 정보(250)를 전송한 해당 전자통신 기기(100)에 경고 메시지를 인증 요청에 대한 피드백으로서 자동적으로 회신하도록 한다(330).
이처럼, 인증 서버(300)에서는 위변조 프로그램의 가동 여부를 중심으로 위 변조 여부를 즉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인증 서버(300)에는 최신의 위 변조 프로그램 리스트가 항상 업데이트 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인증 서버로 부터 제3자가 인증 데이터를 제공받는 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전자통신기기(100)로부터 요청받은 인증 대상 정보가 위 변조 없는 진정한 데이터로 판단되어 인증ID가 발급됨과 동시에, 인증 서버(300)는 제3자 제공용 인증데이터(340)를 생성하여 보관한다. 상기 제3자 제공용 인증데이터(340)는 최초 외부 입력정보의 원본 또는 암호화된 입력정보와 더불어 인증ID발급 정보를 더불어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증 ID는 QR코드 형식일 수 있으며, 인증 아이디와 별도로 QR코드에 다양한 정보를 포함토록하여, 인증 서버는 부대적인 QR코드 형식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별제3자 제공용 인증데이터의 내용은 입력정보를 요청하는 기관이나 요청 이유 등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는 인증 서버(300)로부터 제3자가 인증된 데이터를 요청하여 전송받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전자통신기기(100)의 사용자가, 인증ID와 함께 해당 정보를 제3자에게 직접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송할 인증데이터의 내용이나 형식은 전자통신기기(100) 내의 해시 코드 생성 프로그램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Claims (12)

  1. 음성, 메시지, 촬영 및 화면 입력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대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기기 정보, 내용 데이터, 발생 시점정보 및 발생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사실정보 저장 단계;
    상기 내용 데이터에 대한 해시 코드를 발생시켜 저장하는 해시 정보 저장 단계; 및
    상기 입력 정보의 발생 중 또는 입력 정보 발생 이전의 구동 프로그램 목록에 관한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하는 프로그램 정보 저장단계를 포함하는,
    전자통신 기기의 외부 정보 인증방법.
  2. 음성, 메시지, 촬영 및 화면 입력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대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기기 정보, 내용 데이터, 발생 시점정보 및 발생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사실정보 저장 단계;
    상기 내용 데이터에 대한 해시 코드를 발생시켜 저장하는 해시 정보 저장 단계; 및
    상기 입력 정보의 발생 중 또는 입력 정보 발생 이전의 구동 프로그램 목록에 관한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하는 프로그램 정보 저장단계를 포함하는,
    전자통신 기기의 외부 정보 저장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 데이터는 음성녹음 파일, 통화녹음 파일, 문자 파일, 녹화 파일, 동영상 파일, 이미지 파일 및 화면 캡쳐 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통신 기기의 외부 정보 저장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통신 기기는 모바일 전자통신 기기, 유선 전자통신기기 및 데스크탑 P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통신 기기의 외부 정보 저장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정보는 통화 내용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통신 기기의 외부 정보 저장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프로그램은 입력 정보 처리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통신 기기의 외부 정보 저장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정보는 이종의 복수 정보들을 동시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통신 기기의 외부 정보 저장 방법.
  8. i) 전자통신 기기의 외부로부터 입력된 음성, 메시지, 촬영 및 화면 입력정보 중 i) 적어도 하나의 내용 정보, ii) 전자통신 기기정보, iii) 정보 발생 시점 정보, iv) 상기 내용 정보에 대응한 해시 코드 정보, v) 정보 발생 중 또는 정보 발생 이전에 구동된 전자통신 기기의 구동 프로그램 목록에 관한 히스토리 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대상 정보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인증 대상 정보를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서버에서 상기 인증 대상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전자통신 기기에 인증 아이디를 발급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통신 기기의 외부 정보 인증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프로그램이 위변조 프로그램을 포함할 경우, 상기 인증 서버에서 상기 전자통신기기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통신 기기의 외부 정보 인증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아이디는 큐알(QR) 코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통신 기기의 외부 정보 인증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서버는 상기 인증 대상 정보에 위변조 프로그램이 검색될 경우, 인증 아이디 발급을 개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통신 기기의 외부 정보 인증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서버는 타 전자통신기기로부터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타 전자통신기기로 상기 인증 대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 또는 인증 아이디 정보를 상기 타 전자통신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통신 기기의 외부 정보 인증 방법.








KR1020150157510A 2015-11-10 2015-11-10 전자통신 기기의 외부 정보 저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통신 기기의 외부 정보 인증 방법 KR201700548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510A KR20170054848A (ko) 2015-11-10 2015-11-10 전자통신 기기의 외부 정보 저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통신 기기의 외부 정보 인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510A KR20170054848A (ko) 2015-11-10 2015-11-10 전자통신 기기의 외부 정보 저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통신 기기의 외부 정보 인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848A true KR20170054848A (ko) 2017-05-18

Family

ID=59049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7510A KR20170054848A (ko) 2015-11-10 2015-11-10 전자통신 기기의 외부 정보 저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통신 기기의 외부 정보 인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484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0161A (ko) * 2018-12-26 2020-07-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디지털 정보의 위변조 방지 장치 및 방법
US11469881B2 (en) 2018-12-26 2022-10-1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Apparatus and method for forgery prevention of digital inform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0161A (ko) * 2018-12-26 2020-07-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디지털 정보의 위변조 방지 장치 및 방법
US11469881B2 (en) 2018-12-26 2022-10-1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Apparatus and method for forgery prevention of digital inform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3445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ng photographic image data
CN105243318B (zh) 确定用户设备控制权限的方法、装置及终端设备
US9059858B1 (en) User characteristic based digital signature of documents
US8572375B2 (en) Device pairing based on graphically encoded data
CN111241569B (zh) 一种信息处理的方法、装置及设备
CN103391196A (zh) 一种资产数字认证方法与设备
US8312284B1 (en) Verifiable timestamping of data objects, and applications thereof
CN104660589A (zh) 一种对信息进行加密控制、解析信息的方法、系统和终端
WO2014111022A1 (zh) 一种移动终端用户信息的显示方法、移动终端和服务系统
CN111431724B (zh) 数据传输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170288870A1 (en) Methods and systems of securing and retrieving secret information
WO2019114614A1 (zh) 一种原生照片鉴定方法及系统
KR20160123752A (ko)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인증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인증 방법
CN110943960B (zh) 一种庭审笔录电子签名生成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09246376B (zh) 防伪电子签章方法及其电子签章装置
KR20170054848A (ko) 전자통신 기기의 외부 정보 저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통신 기기의 외부 정보 인증 방법
KR20220034787A (ko) 연성 워터마킹을 통한 미디어 출처 인증
CN110048928B (zh) 信息提交、获取、交互方法、装置、设备及系统
CN115525930A (zh) 信息转移方法、装置及相关设备
CN108270567B (zh) 消息来源验证方法、装置和系统以及消息发送方法和装置
CN116668201B (zh) 用于分配生产资源的系统、生产资源的传输方法及设备
KR102302779B1 (ko) 디지털 정보의 위변조 방지 장치 및 방법
US20230409754A1 (en) Method for certifying the authenticity of digital files generated by a communication device
TWM594730U (zh) 可驗證身份的電子簽章裝置
CN118153069A (zh) 图片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