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3645A - 제어 장치,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이들의 방법 - Google Patents

제어 장치,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이들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3645A
KR20170053645A KR1020177008333A KR20177008333A KR20170053645A KR 20170053645 A KR20170053645 A KR 20170053645A KR 1020177008333 A KR1020177008333 A KR 1020177008333A KR 20177008333 A KR20177008333 A KR 20177008333A KR 20170053645 A KR20170053645 A KR 20170053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se
communication
wireless terminal
request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8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0267B1 (ko
Inventor
히로아키 아미나카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53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3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0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0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24Negotiating SLA [Service Level Agreement]; Negotiating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76/02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제어 장치(5)는, (a) 제1 및 제2 무선 단말(1, 2) 사이에서 공중 지상 이동 통신 네트워크(100)를 경유하는 통신 없이 행해지는 ProSe 통신(103)의 개시 요구를, 공중 지상 이동 통신 네트워크(100)를 통하여 제1 무선 단말(1)로부터 수신하고, (b) ProSe 통신(103)에 관한 QoS 요건을 제2 무선 단말(102)로부터 수신하도록 동작한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요구측의(requesting) 무선 단말로부터 단말간 직접 통신을 요구받은(requested) 무선 단말이 필요로 하는 QoS를 단말간 직접 통신에 있어서 확보하는 것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어 장치,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이들의 방법{CONTROL APPARATUS,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S OF THESE}
본 출원은 무선 단말에 의한 ProSe(Proximity Service) 통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간 직접 통신의 개시 제어에 관한 것이다.
3GPP Release 12는, ProSe(Proximity-based services)에 대해서 규정하고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 및 2를 참조). ProSe는, ProSe 디스커버리(ProSe discovery) 및 ProSe 다이렉트 통신(ProSe direct communication)을 포함한다. ProSe 디스커버리는, ProSe 다이렉트 통신이 가능한 무선 단말(즉, ProSe-enabled UEs)이 서로 근접해 있는 것(in proximity)의 검출을 가능하게 한다. 일례에 있어서, ProSe 디스커버리는, ProSe-enabled UE가 다른 ProSe-enabled UE를 이들 2개의 UE가 갖는 무선 통신 기술(예를 들면 E-UTRA(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technology)의 능력만을 이용하여 발견하는 순서에 따라 행해질 수 있다. 다른 예에 있어서, ProSe 디스커버리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UTRAN(E-UTRA Network)) 또는 코어 네트워크(EPC(Evolved Packet Core))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ProSe 다이렉트 통신은, ProSe 디스커버리 순서 후에, 다이렉트 통신 레인지 내에 존재하는 2 이상의 ProSe-enabled UEs 사이의 통신 패스의 확립을 가능하게 한다. 환언하면, ProSe 다이렉트 통신은, ProSe-enabled UE가 다른 ProSe-enabled UE와 기지국(eNodeB)을 경유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통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ProSe 다이렉트 통신은, 기지국(eNodeB)에 액세스할 경우와 마찬가지인 무선 통신 기술(즉, E-UTRA technology)을 이용하여 행해져도 되고,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의 무선 통신 기술(즉, IEEE 802.11 radio technology)을 이용하여 행해져도 된다.
3GPP Release(12)에서는, ProSe function이 공중 지상 이동 통신 네트워크(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를 통하여 ProSe-enabled UE와 통신하고, ProSe 디스커버리 및 ProSe 다이렉트 통신을 지원(assist)한다. ProSe function은, ProSe를 위해 필요한 PLMN에 관련된 동작에 이용되는 논리적인 기능(logical function)이다. ProSe function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functionality)은, 예를 들면 (a) third-party applications(ProSe Application Server)와의 통신, (b) ProSe 디스커버리 및 ProSe 다이렉트 통신을 위한 UE의 인증, (c) ProSe 디스커버리 및 ProSe 다이렉트 통신을 위한 설정 정보(예를 들면 무선 리소스 및 송신 전력의 지정)의 UE에의 송신, 및 (d) EPC-level ProSe discovery의 제공을 포함한다. ProSe function은, 하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 또는 엔티티에 구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ProSe function을 실행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 또는 엔티티를 “ProSe function 엔티티” 또는 “ProSe function 서버”라고 부른다.
3GPP Release 12의 ProSe 다이렉트 통신은, 단말간 직접 통신 중 하나의 구체예이다. 공중 지상 이동 통신 네트워크(PLMN)에 있어서의 단말간 직접 통신은, 3GPP Release 12의 ProSe와 마찬가지로, 네트워크에 배치된 기능 또는 노드(예를 들면 ProSe function)에 의해 지원되는 디스커버리 페이즈 및 다이렉트 통신 페이즈를 포함한다. 단말간 직접 통신은, 근접하는 2 또는 복수의 무선 단말 사이에서 어느 쪽의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면 기지국)도 통하지 않고 행해지는 통신이다. 단말간 직접 통신은, "D2D(device-to-device) 통신", 또는 "peer-to-peer 통신"이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 ProSe 다이렉트 통신은, 단말간 직접 통신의 일례이며, "ProSe 통신"이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공중 지상 이동 통신 네트워크"라는 용어는, 광역의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네트워크이며, 다원 접속 방식의 이동 통신 시스템을 의미한다. 다원 접속 방식의 이동 통신 시스템은, 시간 리소스, 주파수 리소스, 및 송신 전력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리소스를 이동 단말 사이에서 공유함으로써, 이동 단말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대표적인 다원 접속 방식은,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혹은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공중 지상 이동 통신 네트워크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및 코어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공중 지상 이동 통신 네트워크는, 예를 들면 3GPP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3GPP EPS(Evolved Packet System), 3GPP2 CDMA2000 시스템,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SM(등록상표))/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시스템, WiMAX 시스템, 또는 모바일 WiMAX 시스템이다. EPS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및 LTE-Advanced 시스템을 포함한다.
특허문헌 1은, 단말간 직접 통신을 개시할지의 여부를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에 있어서 판정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발신측의 무선 단말은 발호 처리를 행하고, 발신 정보를 송신한다. 발신 정보는, 착신측의 무선 단말의 식별자(예를 들면 전화번호)를 포함한다. 교환기는, 발신 정보를 수신하고, 발신측 및 수신측의 무선 단말이 동일 또는 서로 인접하는 기지국 에어리어(통신 에어리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교환기는, 이들 2개의 단말이 동일 또는 인접하는 통신 에어리어 내에 존재할 경우에 단말간 직접 통신이 가능한 것을 발신측의 단말에 통지한다. 그렇지 않으면, 교환기는 네트워크를 통한 통상의 통신을 이들 2개의 단말 사이에 설정한다. 즉, 특허문헌 1에서는, 단말간 직접 통신을 기동할지의 여부의 판단에 있어서, 착신측의 무선 단말의 위치(즉, 당해 단말이 어느 통신 에어리어에 있는지)가 고려된다.
특허문헌 2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면 eNodeB)가 무선 단말의 현재의 내부 리소스 상태(internal resource status)를 나타내는 내부 리소스 상태 정보(internal resource status information)를 당해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당해 무선 단말이 D2D 통신(단말간 직접 통신)을 행할 수 있을지의 여부를 판정할 때에 당해 내부 리소스 상태를 고려하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내부 리소스 상태는, 예를 들면 하드웨어 리소스(hardware resources), 소프트웨어 리소스(software resources), 및 무선 리소스(radio resources)에 관련되어 있다. 하드웨어 리소스에 관한 내부 리소스 상태의 구체예는, 송신 전력, 배터리 전력, 전체 메모리, 전체 프로세서, 기저대역 메모리, 및 기저대역 프로세서 및 버퍼 상태 중 하나 이상의 나머지 또는 현재의 리소스 이용을 포함한다. 소프트웨어 리소스에 관한 내부 리소스 상태의 구체예는, OS(Operating System) capabilities(동시에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 수, 파일 수)를 포함한다. 무선 리소스에 관한 내부 리소스 상태의 구체예는, 무선 채널, 물리 채널,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시간 슬롯, 및 CDMA 채널화 코드를 포함한다. 즉, 특허문헌 2에서는, D2D 통신(단말간 직접 통신)의 개시를 판단할 때에, 직접 통신을 요구한(requesting) 무선 단말 및 요구받은(requested) 무선 단말의 현재의 내부 리소스 상태가 고려된다.
특허문헌 3 및 4는, 무선 단말로부터 네트워크에 송신되는 단말간 직접 통신의 요구가 QoS(Quality of Service)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 당해 QoS 정보는, 직접 통신을 요구한(requesting) 무선 단말에 의해 단말간 직접 통신에 요구되는 QoS를 나타낸다.
일본국 특개2005-33536호 공보 미국특허출원공개 제2014/0256334호 명세서 미국특허출원공개 제2013/0288668호 명세서 국제공개 WO2013/162196
상술한 바와 같이, 특허문헌 2는, D2D 통신(단말간 직접 통신)의 개시를 판단할 때에, 무선 단말의 현재의 내부 리소스 상태를 고려하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 내부 리소스 상태는, 예를 들면 하드웨어 리소스(hardware resources), 소프트웨어 리소스(software resources), 및 무선 리소스(radio resources)에 관련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특허문헌 3 및 4는, 무선 단말로부터 네트워크에 송신되는 단말간 직접 통신의 요구가 QoS(Quality of Service)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3 및 4에 기재된 단말간 직접 통신의 개시 순서에서는, D2D 통신을 요구받은(requested) 무선 단말이 D2D 통신에 요구하는 QoS를 고려하는 것에 대해서 기재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D2D 통신을 요구받은(requested) 무선 단말은, D2D 통신에 있어서 필요한 QoS(예를 들면 스루풋 또는 송신 지연)를 확보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 및 2도, 당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 및 방법을 제시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실시형태가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 중 하나는, 요구측의(requesting) 무선 단말로부터 단말간 직접 통신을 요구받은(requested) 무선 단말이 필요로 하는 QoS를 단말간 직접 통신에 있어서 확보하는 것에 기여하는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 태양에서는, 제어 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은, (a) 제1 무선 단말과 제2 무선 단말 사이에서 공중 지상 이동 통신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를 경유하는 통신 없이 행해지는 ProSe 통신의 개시 요구를, 상기 공중 지상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1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것, 및 (b) 상기 ProSe 통신에 관한 QoS 요건을 상기 제2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2 태양에서는, 제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 무선 단말과 제2 무선 단말 사이에서 공중 지상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통신 없이 행해지는 ProSe 통신의 개시 요구를, 상기 공중 지상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1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ProSe 통신에 관한 QoS 요건을 상기 제2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3 태양에서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은, (a) 제1 메시지를 공중 지상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것, 및 (b) 상기 제1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ProSe 통신에 관한 QoS 요건을 상기 제어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제1 무선 단말과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이에서 상기 공중 지상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통신 없이 행해지는 ProSe 통신의 개시 요구를,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송신된다.
제4 태양에서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 메시지를 공중 지상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ProSe 통신에 대한 QoS 요건을 상기 제어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제1 무선 단말과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이에서 상기 공중 지상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통신 없이 행해지는 ProSe 통신의 개시 요구를,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송신된다.
제5 태양에서는,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판독 입력되었을 경우에, 상술한 제1 태양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에 행하게 하기 위한 명령 세트(소프트웨어 코드)를 포함한다.
제6 태양에서는,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판독 입력되었을 경우에, 상술한 제3 태양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에 행하게 하기 위한 명령 세트(소프트웨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태양은, 요구측의(requesting) 무선 단말로부터 단말간 직접 통신을 요구받은(requested) 무선 단말이 필요로 하는 QoS를 단말간 직접 통신에 있어서 확보하는 것에 기여하는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몇 가지 실시형태에 따른 공중 지상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몇 가지 실시형태에 따른 공중 지상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단말에 의해 행해지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5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7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ProSe 통신의 셋업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
도 8은 제어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9는 무선 단말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대응하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고 있어, 설명의 명확화를 위해, 필요에 따라 중복 설명은 생략된다.
이하에 나타나는 복수의 실시형태는, EPS(Evolved Packet System)을 주된 대상으로 하여 설명된다. 그러나, 이들 실시형태는, EPS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또는 시스템, 예를 들면 3GPP(UMTS), 3GPP2 CDMA2000 시스템, GSM/GPRS 시스템, 및 WiMAX 시스템 등에 적용되어도 된다.
<제1 실시형태>
도 1 및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PLMN(100)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UE(1) 및 UE(2)는 모두 ProSe가 가능한 무선 단말(즉, ProSe-enabled UE)이며, 서로간에 ProSe 통신 패스(103)를 확립하여 ProSe 다이렉트 통신(또는, ProSe 통신, 단말간 직접 통신, 혹은 D2D 통신)을 행할 수 있다. UE(1)와 UE(2) 사이의 ProSe 다이렉트 통신은, 기지국(eNodeB)에 액세스할 경우와 마찬가지인 무선 통신 기술(즉, E-UTRA technology)을 이용하여 행해져도 되고, WLAN의 무선 기술(IEEE 802.11 radio technology)을 이용하여 행해져도 된다.
eNodeB(31)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즉, E-UTRAN)(3) 내에 배치된 엔티티이며, 셀(32)을 관리하고, E-UTRA technology를 이용하여 E-UTRAN(3)에 라이센스된 주파수에 있어서 UE(1) 및 UE(2)와 통신(101 및 102)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즉, EPC)(4)는, 복수의 유저 플레인 엔티티(예를 들면 도 2의 S-GW(Serving Gateway)(41) 및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 및 복수의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예를 들면 도 2의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43) 및 HSS(Home Subscriber Server)(44))를 포함한다. 유저 플레인 엔티티는, E-UTRAN(3)과 외부 네트워크(PDN(Packet Data Network)) 사이에서 UE(1) 및 UE(2)의 유저 데이터를 중계한다.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는, UE(1) 및 UE(2)의 모빌리티 관리, 세션 관리(베어러 관리), 및 과금 관리를 포함하는 다양한 제어를 행한다.
셀(32)에 있어서 ProSe 다이렉트 통신(103)을 개시하기 위해, UE(1) 및 UE(2) 각각은, eNodeB(31)를 통하여 코어 네트워크(즉, EPC)(4)에 어태치하고, ProSe function 엔티티(9)와 통신하기 위한 PDN(Packet Data Network) connection을 확립하고, E-UTRAN(3) 및 EPC(4)를 통하여 ProSe function 엔티티(9)와의 사이에서 ProSe 제어 시그널링을 송수신한다. UE(1) 및 UE(2)는, 예를 들면 ProSe function 엔티티(9)에 의해 제공되는 ProSe 디스커버리 서비스를 이용해도 된다. UE(1) 및 UE(2)는, ProSe 디스커버리 또는 ProSe 다이렉트 통신의 UE(1) 및 UE(2)에 있어서의 유효화를 허가하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ProSe function 엔티티(9)로부터 수신해도 된다. UE(1) 및 UE(2)는, 셀(32)에 있어서의 ProSe 디스커버리 또는 ProSe 다이렉트 통신에 관한 설정 정보를 ProSe function 엔티티(9)로부터 수신해도 된다. 또한, UE(1) 및 UE(2) 각각과 ProSe function 사이의 인터페이스(PC3 참조점(reference point))는 E-UTRAN(3) 및 EPC(4)의 유저 플레인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ProSe 제어 시그널링은 당해 유저 플레인상에서 전송된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ProSe function 엔티티(9)는, P-GW(PDN Gateway)(42)와 PDN 사이의 참조점인 SGi 참조점을 통하여 EPC(4)(즉, P-GW(42))와 통신한다.
UE(1) 및 UE(2)는, 복수의 UE를 포함하는 UE 그룹 내에 있어서 ProSe 다이렉트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2개의 UE(1) 및 UE(2)만을 나타내고 있지만, UE(1) 및 UE(2)는, 3개 이상의 UE를 포함하는 UE 그룹 내에 있어서 ProSe 다이렉트 통신을 행해도 된다.
계속해서 이하에서는, UE(1) 및 UE(2) 사이의 ProSe 통신을 셋업할 때에 행해지는 제어 장치(5)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UE(1)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하여 UE(1) 및 UE(2) 사이의 ProSe 통신을 개시하는 케이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UE(1)는, ProSe 통신의 개시를 요구하는 "requesting UE"이며, UE(2)는, ProSe 통신의 개시를 요구받은 "requested UE"이다. UE(1)(requesting UE)는, "sender UE" 또는 "caller UE"라고 부를 수도 있고, UE(2)(requested UE)는, "receiver UE" 또는 "callee UE"라고 부를 수도 있다.
제어 장치(5)는, 일례에 있어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예를 들면 E-UTRAN(3)) 내에 배치되어도 되고,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내의 무선 리소스 제어 엔티티(예를 들면 기지국 또는 기지국 컨트롤러)와 일체적으로 배치되어도 된다. E-UTRAN의 경우, 제어 장치(5)는 eNodeB(31)에 배치되어도 된다. UTRAN의 경우, 제어 장치(5)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에 배치되어도 된다. 다른 예에 있어서, 제어 장치(5)는 코어 네트워크(예를 들면 EPC(4)) 내에 배치되어도 되고, 보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예를 들면 MME(43) 또는 HSS(44))와 일체적으로 배치되어도 된다. 또 다른 예에 있어서, 제어 장치(5)는 E-UTRAN(3) 및 EPC(4)의 외부에 배치되어도 된다. 제어 장치(5)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ProSe function 엔티티(9)와 일체적으로 배치되어도 된다.
도 3은 제어 장치(5)에 의해 행해지는 처리의 일례(300)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블록(301)에서는, 제어 장치(5)는, UE(1)(requesting UE)와 UE(2)(requested UE) 사이의 ProSe 통신의 개시 요구를 UE(1)(requesting UE)로부터 수신한다. UE(1)에 의해 송신되는 ProSe 통신의 개시 요구는, UE(2)와의 데이터 서비스의 제공 요구, UE(2)와의 통화 요구, ProSe 디스커버리의 셋업 요구, ProSe 다이렉트 통신 패스의 셋업 요구, ProSe 다이렉트 통신 패스를 위한 무선 리소스의 할당 요구,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어도 된다.
블록(302)에서는, 제어 장치(5)는, 당해 ProSe 통신에 관한 QoS 요건을 UE(2)(requested UE)로부터 수신한다. 당해 QoS 요건은, UE(2)가 당해 ProSe 통신에 필요로 하는 QoS 요건이어도 된다. 당해 QoS 요건은, 예를 들면 송신 데이터량, 스루풋, 및 전송 지연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것이다. 몇 가지 구현에 있어서, 당해 QoS 요건은, UE(2)에 있어서 ProSe 통신을 이용하는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요구되어도 된다. 환언하면, 당해 QoS 요건은, UE(2)에 인스톨되어 있으며 UE(1)과 UE(2) 사이의 ProSe 통신을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즉, 프로그램(들))에 의해 요구되어도 된다. ProSe 통신을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면 인스턴트 메시징(텍스트 차트), 보이스 차트, 비디오 차트, 또는 온라인 게임이다.
제어 장치(5)는, UE(1)(requesting UE)에 의해 요구된 ProSe 통신을 셋업할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블록(302)에 있어서 UE(2)(requested UE)로부터 수신한 QoS 요건을 사용해도 된다. 여기에서, ProSe 통신의 셋업은, ProSe 디스커버리의 셋업, ProSe 다이렉트 통신의 셋업, ProSe 다이렉트 통신을 위한 무선 리소스의 할당, ProSe 통신 패스 확립의 지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어도 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장치(5)는, ProSe 통신을 셋업할 때에, UE(2)(requested UE)에 있어서 ProSe 통신을 이용하는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요구되는 QoS 요건을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장치(5)는, UE(1)(requesting UE)로부터 이 ProSe 통신을 요구받은 UE(2)(requested UE)가 필요로 하는 QoS를 ProSe 통신에 있어서 확보하는 것에 기여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UE(2)(requested UE)에 의해 행해지는 처리의 일례(처리(400))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블록(401)에서는, UE(2)는 QoS 문의 메시지(QoS query message)를 제어 장치(5)로부터 수신한다. QoS 문의 메시지는, UE(1)와 UE(2) 사이의 ProSe 통신의 개시 요구를 제어 장치(5)가 UE(1)(requesting UE)로부터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제어 장치(5)로부터 송신된다. 블록(402)에서는, UE(2)는, QoS 문의 메시지에 응답하여, UE(1)(requesting UE)와의 ProSe 통신에 관한 QoS 요건을 제어 장치(5)에 송신한다.
몇 가지 구현에 있어서, 제어 장치(5)는, ProSe 개시 요구를 UE(1)(requesting UE)로부터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QoS 문의 메시지를 UE(1)에 송신해도 된다. 이를 대신하여, 제어 장치(5)는, ProSe 개시 요구와는 독립적으로,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UE(2)가 ProSe 통신에 요구하는 QoS 요건을 UE(2)로부터 수신해도 된다.
도 4의 순서에 의하면, requesting UE로서의 UE(2)는, QoS 요건을 제어 장치(5)에 알릴 수 있다. 따라서, UE(2)는, UE(1)(requesting UE)로부터 ProSe 통신을 요구받은 UE(2)(requested UE)가 필요로 하는 QoS를 ProSe 통신에 있어서 확보하는 것에 기여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된 ProSe 통신의 셋업 처리의 구체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공중 지상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구성예는 도 1 및 도 2와 마찬가지이다.
도 5는 제어 장치(5)에 의해 행해지는 처리의 일례(500)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블록(501)에서는, 도 3에 나타난 블록(301)과 마찬가지로, 제어 장치(5)는, UE(1)(requesting UE)와 UE(2)(requested UE) 사이의 ProSe 통신의 개시 요구를 UE(1)(requesting UE)로부터 수신한다. 블록(502)에서는, 도 3에 나타난 블록(302)과 마찬가지로, 제어 장치(5)는, 당해 ProSe 통신에 관한 QoS 요건을 UE(2)(requested UE)로부터 수신한다.
블록(503)에서는, 제어 장치(5)는, UE(2)(requested UE)로부터 수신한 QoS 요건을 고려하여, UE(1)와 UE(2) 사이의 ProSe 통신을 셋업할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몇 가지 구현에 있어서, 당해 판정은, UE(1) 및 UE(2)의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추정된 UE(1)와 UE(2) 사이의 무선 조건과 UE(2)로부터 수신한 QoS 요건을 비교함으로써 행해져도 된다.
도 6은 도 5의 블록(503)에서 행해지는 판정의 구체예(처리(600))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블록(601)에서는, 제어 장치(5)는, UE(1)(requesting UE) 및 UE(2)(requested UE)의 위치 정보를 취득한다. 제어 장치(5)는, UE(1) 및 UE(2)로부터 이들의 위치 정보를 수신해도 되고, PLMN(100) 내의 노드(예를 들면 eNodeB(31), MME(43), 또는 HSS(44))로부터 수신해도 된다. 몇 가지 구현에 있어서, UE(1) 및 UE(2)의 위치 정보는, UE(1) 및 UE(2)에 배치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리시버에 의해 얻어지는 위치 정보여도 된다. 다른 예에 있어서, UE(1) 및 UE(2)의 위치 정보는, UE(1) 및 UE(2)이 위치하고 있는 셀(32)(또는 UE(1) 및 UE(2)이 접속하고 있는 eNodeB(31))을 나타내도 된다.
블록(602)에서는, 제어 장치(5)는, UE(1) 및 UE(2)의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UE(1)와 UE(2) 사이의 무선 조건을 추정한다. 무선 조건은, 예를 들면 전파 손실 및 전파 지연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것이다. 제어 장치(5)는, 건축물 및 지형을 고려하여 무선 조건을 정확하게 추정하기 위해, 건축물 및 지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를 이용해도 된다.
블록(603)에서는, 제어 장치(5)는, 추정된 무선 조건과 UE(2)(requested UE)로부터 수신한 QoS 요건을 비교함으로써, UE(1)와 UE(2) 사이의 ProSe 통신을 셋업할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5)는, 무선 조건이 UE(2)(requested UE)로부터 수신한 QoS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충분할 경우에, ProSe 통신을 셋업하는 것을 결정해도 된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ProSe 통신의 셋업 처리의 일례(처리(700))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블록(701)에서는, UE(1)(requesting UE)는, UE(2)(requested UE)와의 데이터 서비스를 ProSe function 엔티티(9)에 요구한다. 블록(701)의 데이터 서비스 요구(data service request)는, UE(2)(requested UE)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또한, 데이터 서비스 요구는, ProSe 통신의 개시를 요구하는 메시지의 일례일 뿐이다.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ProSe 통신의 개시를 요구하는 메시지는 다른 타입의 메시지(예를 들면 ProSe 디스커버리의 셋업 요구, 또는 ProSe 다이렉트 통신 패스의 셋업 요구)여도 된다.
도 7의 예에서는, 제어 장치(5)는, ProSe function 엔티티(9)에 배치되어 있다. 블록(702)에서는, 제어 장치(5)는, QoS 문의 메시지(QoS query message)를 UE(2)(requested UE)에 송신한다. 블록(703)에서는, UE(2)는, QoS 문의 메시지에 응답하여, ProSe 통신에 관한 QoS 요건을 제어 장치(5)에 송신한다. 몇 가지 구현에 있어서, UE(2)는, UE(1)(requesting UE)와의 ProSe 통신 패스(103)에 있어서 UE(1)와 통신하는 어플리케이션(예를 들면 인스턴트 메시징, 보이스 차트, 비디오 차트, 또는 온라인 게임)에 의해 요구되는 통신 품질(예를 들면 스루풋 및 전송 지연)을 당해 QoS 요건으로서 제어 장치(5)에 통지해도 된다.
블록(704)에서는, 제어 장치(5)(여기에서는, ProSe function 엔티티(9))는, UE(2)(requested UE)로부터 수신한 QoS 요건을 고려하여, UE(1)와 UE(2) 사이의 ProSe 통신을 셋업할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당해 ProSe 통신을 셋업하는 것을 결정했을 경우, 제어 장치(5)는, ProSe 통신을 셋업하기 위해 순서를 개시한다(블록(705)).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requesting UE로서의 UE(2)는, QoS 요건을 제어 장치(5)에 알릴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어 장치(5)는, UE(2)(requested UE)로부터 수신한 QoS 요건을 고려하여 ProSe 통신을 셋업할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술한 복수의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장치(5) 그리고 UE(1) 및 UE(2)의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제어 장치(5)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 장치(5)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1), 프로세서(52), 및 메모리(53)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1)는,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면, MME(43), ProSe function 엔티티(9))와 통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1)는, 예를 들면 IEEE 802.3 series에 준거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를 포함해도 된다.
프로세서(52)는, 메모리(53)로부터 소프트웨어(컴퓨터 프로그램)를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된 처리(300, 400, 500, 600, 또는 700)에 관한 제어 장치(5)의 처리를 행한다. 프로세서(52)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프로세서,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이어도 된다. 프로세서(52)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해도 된다.
메모리(53)는 휘발성 메모리 및 불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에 의해 구성된다. 휘발성 메모리는, 예를 들면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혹은 DRAM(Dynamic RAM)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불휘발성 메모리는, 예를 들면 MROM(Mask 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혹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다. 또한, 메모리(53)는, 프로세서(52)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된 스토리지를 포함해도 된다. 이 경우, 프로세서(52)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1) 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I/O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메모리(53)에 액세스해도 된다.
도 8의 예에서는, 메모리(53)는, ProSe 모듈(54)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ProSe 모듈(54)은,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된 처리(300, 400, 500, 600, 또는 700)에 관한 제어 장치(5)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 및 데이터를 포함한다. 프로세서(52)는, ProSe 모듈(54)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메모리(53)로부터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된 제어 장치(5)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도 9는 UE(2)(receiving UE)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UE(1)도 UE(2)와 마찬가지인 구성을 가져도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UE(2)는 무선 트랜시버(21), 프로세서(22), 및 메모리(23)를 포함한다. 무선 트랜시버(21)는, E-UTRAN(3)(eNodeB(31))과의 통신(도 1 및 도 2의 102)을 위해 사용되고, ProSe 다이렉트 통신(도 1 및 도 2의 103)을 위해 사용된다. 무선 트랜시버(21)는, 복수의 트랜시버, 예를 들면 E-UTRA(LTE(Long Term Evolution)) 트랜시버 및 WLAN 트랜시버를 포함해도 된다.
프로세서(22)는, 메모리(23)로부터 소프트웨어(컴퓨터 프로그램)를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된 처리(300, 400, 500, 600, 또는 700)에 관한 UE(2)의 처리를 행한다. 프로세서(22)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프로세서, MPU, 또는 CPU여도 된다. 프로세서(22)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해도 된다.
메모리(23)는 휘발성 메모리 및 불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에 의해 구성된다. 휘발성 메모리는, 예를 들면 SRAM 혹은 DRAM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불휘발성 메모리는, 예를 들면 MROM, PROM, 플래시 메모리, 혹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다. 또한, 메모리(23)는, 프로세서(22)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된 스토리지를 포함해도 된다. 이 경우, 프로세서(22)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I/O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메모리(23)에 액세스해도 된다.
도 9의 예에서는, 메모리(23)는, ProSe 모듈(24)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ProSe 모듈(24)은,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된 처리(300, 400, 500, 600, 또는 700)에 관한 UE(2)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 및 데이터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2)는, ProSe 모듈(24)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메모리(23)로부터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된 UE(2)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장치(5) 그리고 UE(1) 및 UE(2)가 갖는 프로세서 각각은,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된 알고리즘을 컴퓨터에 행하게 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들 프로그램은, 다양한 타입의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공급될 수 있다.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는, 다양한 타입의 실체가 있는 기록 매체(tangible storage medium)를 포함한다.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의 예는, 자기 기록 매체(예를 들면 플렉서블 디스크,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광자기 기록 매체(예를 들면 광자기 디스크),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 CD-R/W, 반도체 메모리(예를 들면 마스크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M), 플래시 ROM, 및 RAM(Random Access Memory))를 포함한다. 또한, 프로그램은, 다양한 타입의 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의해 컴퓨터에 공급될 수 있다. 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의 예는, 전기 신호, 광 신호, 및 전자파를 포함한다. 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는, 전선 및 광 파이버 등의 유선 통신로, 또는 무선 통신로를 통하여,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공급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상술한 실시형태는,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되어도 되고, 둘 이상의 실시형태를 적의(適宜) 조합하여 실시되어도 된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장치(5)가 ProSe function 엔티티(9)에 배치되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5)는 PLMN(100) 내의 노드(예를 들면 eNodeB(31), MME(43), 또는 HSS(44))에 배치되어도 된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주로 EPS에 관한 구체예를 이용하여 설명을 행했다. 그러나, 이들 실시형태는, 그 밖의 이동 통신 시스템, 예를 들면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3GPP2 CDMA2000 시스템(1xRTT, HRPD(High Rate Packet Data)),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시스템, 및 모바일 WiMAX 시스템 등에 적용되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는 본 건 발명자에 의해 얻어진 기술 사상의 적용에 관한 예에 불과하다. 즉, 당해 기술 사상은, 상술한 실시형태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종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 출원은, 2014년 11월 10일에 출원된 일본국 출원 특원2014-228041을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된 모든 것을 여기에 도입한다.
1: UE 2: UE
3: E-UTRAN 4: EPC
5: 제어 장치 9: ProSe function 엔티티
31: eNodeB 32: 셀
100: PLMN 103: ProSe 통신 패스

Claims (44)

  1. 제어 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으로서,
    제1 무선 단말과 제2 무선 단말 사이에서 공중 지상 이동 통신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를 경유하는 통신 없이 행해지는 ProSe(Proximity Service) 통신의 개시 요구를, 상기 공중 지상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1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것, 및
    상기 ProSe 통신에 관한 QoS 요건을 상기 제2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구비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QoS 요건은, 상기 제2 무선 단말에 있어서 상기 ProSe 통신을 이용하는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요구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QoS 요건은, 상기 제2 무선 단말에 인스톨되며 또한 상기 ProSe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게 구성되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의해 요구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QoS 요건은 송신 데이터량, 스루풋, 및 전송 지연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QoS 요건은, 상기 ProSe 통신을 셋업할지의 여부를 상기 제어 장치에 있어서 판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 요구는 상기 제2 무선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하는 것은, 상기 개시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무선 단말에 상기 QoS 요건의 송신을 요구하는 것을 구비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QoS 요건을 고려하여 상기 ProSe 통신을 셋업할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더 구비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하는 것은, 상기 제1 무선 단말 및 상기 제2 무선 단말의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추정된 상기 제1 무선 단말과 상기 제2 무선 단말 사이의 무선 조건과 상기 QoS 요건을 비교하는 것을 구비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단말 및 제2 무선 단말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무선 조건을 추정하는 것을 더 구비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하는 것은 건축물 및 지형을 고려하기 위해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을 구비하는 방법.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조건은 전파 손실(propagation loss) 및 전파 지연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 요구는, 데이터 서비스의 제공 요구, 통화 요구, ProSe 디스커버리의 셋업 요구, ProSe 다이렉트 통신 패스의 셋업 요구, 및 ProSe 다이렉트 통신 패스를 위한 무선 리소스의 할당 요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roSe 통신의 셋업은, ProSe 디스커버리의 셋업, ProSe 다이렉트 통신의 셋업, ProSe 다이렉트 통신을 위한 무선 리소스의 할당, 및 ProSe 통신 패스 확립의 지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어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 무선 단말과 제2 무선 단말 사이에서 공중 지상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통신 없이 행해지는 ProSe 통신의 개시 요구를, 상기 공중 지상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1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ProSe 통신에 관한 QoS 요건을 상기 제2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QoS 요건은, 상기 제2 무선 단말에 있어서 상기 ProSe 통신을 이용하는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요구되는 제어 장치.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QoS 요건은, 상기 제2 무선 단말에 인스톨되며 또한 상기 ProSe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게 구성되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의해 요구되는 제어 장치.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QoS 요건은 송신 데이터량, 스루풋, 및 전송 지연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제어 장치.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QoS 요건은, 상기 ProSe 통신을 셋업할지의 여부를 상기 제어 장치에 있어서 판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어 장치.
  19. 제14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 요구는 상기 제2 무선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개시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무선 단말에 상기 QoS 요건의 송신을 요구하는 제어 장치.
  20. 제14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QoS 요건을 고려하여 상기 ProSe 통신을 셋업할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ProSe 통신을 셋업할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상기 제1 무선 단말 및 상기 제2 무선 단말의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추정된 상기 제1 무선 단말과 제2 무선 단말 사이의 무선 조건과 상기 QoS 요건을 비교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제1 무선 단말 및 상기 제2 무선 단말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무선 조건을 추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조건의 추정에 있어서, 건축물 및 지형을 고려하기 위해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 장치.
  24.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조건은 전파 손실 및 전파 지연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제어 장치.
  25. 제14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 요구는, 데이터 서비스의 제공 요구, 통화 요구, ProSe 디스커버리의 셋업 요구, ProSe 다이렉트 통신 패스의 셋업 요구, 및 ProSe 다이렉트 통신 패스를 위한 무선 리소스의 할당 요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
  26. 제14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roSe 통신의 셋업은, ProSe 디스커버리의 셋업, ProSe 다이렉트 통신의 셋업, ProSe 다이렉트 통신을 위한 무선 리소스의 할당, 및 ProSe 통신 패스 확립의 지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
  27. 제14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공중 지상 이동 통신 네트워크 내의 기지국에 배치되는 제어 장치.
  28. 제14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 지상 이동 통신 네트워크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및 코어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및 상기 코어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제1 무선 단말 및 상기 제2 무선 단말과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 장치.
  29.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으로서,
    제1 무선 단말과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이에서 상기 공중 지상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통신 없이 행해지는 ProSe 통신의 개시 요구를,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제1 메시지를 공중 지상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것, 및
    상기 제1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ProSe 통신에 관한 QoS 요건을 상기 제어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구비하는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QoS 요건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ProSe 통신을 이용하는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요구되는 방법.
  31.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QoS 요건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인스톨되며 또한 상기 ProSe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게 구성되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의해 요구되는 방법.
  32. 제29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QoS 요건은 송신 데이터량, 스루풋, 및 전송 지연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방법.
  33. 제29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 요구는, 데이터 서비스의 제공 요구, 통화 요구, ProSe 디스커버리의 셋업 요구, ProSe 다이렉트 통신 패스의 셋업 요구, 및 ProSe 다이렉트 통신 패스를 위한 무선 리소스의 할당 요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34. 제29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roSe 통신의 셋업은, ProSe 디스커버리의 셋업, ProSe 다이렉트 통신의 셋업, ProSe 다이렉트 통신을 위한 무선 리소스의 할당, 및 ProSe 통신 패스 확립의 지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35. 제29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QoS 요건은, 상기 ProSe 통신을 셋업할지의 여부를 상기 제어 장치에 있어서 판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
  36.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 메시지를 공중 지상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 상기 제1 메시지는, 제1 무선 단말과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이에서 상기 공중 지상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통신 없이 행해지는 ProSe 통신의 개시 요구를,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송신됨 ―,
    상기 제1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ProSe 통신에 필요해지는 QoS 요건을 상기 제어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QoS 요건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ProSe 통신을 이용하는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요구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38. 제36항 또는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QoS 요건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인스톨되며 또한 상기 ProSe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게 구성되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의해 요구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39. 제36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QoS 요건은 송신 데이터량, 스루풋, 및 전송 지연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
  40. 제36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 요구는, 데이터 서비스의 제공 요구, 통화 요구, ProSe 디스커버리의 셋업 요구, ProSe 다이렉트 통신 패스의 셋업 요구, 및 ProSe 다이렉트 통신 패스를 위한 무선 리소스의 할당 요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41. 제36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roSe 통신의 셋업은, ProSe 디스커버리의 셋업, ProSe 다이렉트 통신의 셋업, ProSe 다이렉트 통신을 위한 무선 리소스의 할당, 및 ProSe 통신 패스 확립의 지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42. 제36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QoS 요건은, 상기 ProSe 통신을 셋업할지의 여부를 상기 제어 장치에 있어서 판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43.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 행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
  44. 제29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 행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
KR1020177008333A 2014-11-10 2015-07-15 제어 장치,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이들의 방법 KR1019202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28041 2014-11-10
JPJP-P-2014-228041 2014-11-10
PCT/JP2015/003572 WO2016075848A1 (ja) 2014-11-10 2015-07-15 制御装置、無線通信デバイス、及びこれらの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645A true KR20170053645A (ko) 2017-05-16
KR101920267B1 KR101920267B1 (ko) 2018-11-20

Family

ID=55953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8333A KR101920267B1 (ko) 2014-11-10 2015-07-15 제어 장치,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이들의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29920B2 (ko)
EP (1) EP3220715A4 (ko)
JP (1) JPWO2016075848A1 (ko)
KR (1) KR101920267B1 (ko)
CN (1) CN107006071A (ko)
WO (1) WO20160758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75348B2 (en) * 2016-10-03 2020-02-25 Assa Abloy Ab Online peer-to-peer communication for accelerated data transmission
KR20210126691A (ko) * 2019-02-13 2021-10-20 콘비다 와이어리스, 엘엘씨 5g에서의 접속 지향 차량-대-x(vtx) 통신을 위한 장치,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US11206640B2 (en) * 2019-05-22 2021-12-2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Private local network access, authentication, and association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3595A2 (en) * 2012-04-27 2013-10-3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proximity data path setup
WO2013170134A2 (en) * 2012-05-10 2013-11-1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System level procedures and methods to enable data sharing in cellular network
KR20140090103A (ko) * 2013-01-08 2014-07-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디스커버리 방법 및 장치
KR20140106561A (ko) * 2011-12-20 2014-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접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단말-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40106592A (ko) * 2011-11-29 2014-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d2d 통신을 수행하거나 d2d 통신을 지원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KR20140129299A (ko) * 2012-04-11 2014-11-06 인텔 코포레이션 오퍼레이터 지원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2d) 탐색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7494A (ja) 1996-05-13 1997-11-28 Mitsubishi Electric Corp 経路選択通信機
JP4260562B2 (ja) 2003-07-14 2009-04-30 Kddi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
US8159999B2 (en) 2005-01-25 2012-04-1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Peer-to-pe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0166505A (ja) 2009-01-19 2010-07-29 Ntt Docomo Inc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装置及び方法
CN103190197B (zh) * 2010-08-27 2016-08-10 诺基亚技术有限公司 便利服务质量控制的方法和装置
US9854044B2 (en) 2011-09-30 2017-12-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handl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9510372B2 (en) 2012-04-27 2016-11-2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device-to-device conn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3163599A2 (en) 2012-04-27 2013-10-3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proximity discovery procedures
WO2014113083A1 (en) * 2013-01-17 2014-07-24 Intel Corporation Lawful interception for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
CN103747507B (zh) * 2014-01-28 2015-08-12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通信模式的选择方法和选择装置、终端、基站
US20160100285A1 (en) * 2014-10-07 2016-04-07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Extended Area Event for Network Based Proximity Discovery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6592A (ko) * 2011-11-29 2014-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d2d 통신을 수행하거나 d2d 통신을 지원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KR20140106561A (ko) * 2011-12-20 2014-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접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단말-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40129299A (ko) * 2012-04-11 2014-11-06 인텔 코포레이션 오퍼레이터 지원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2d) 탐색
WO2013163595A2 (en) * 2012-04-27 2013-10-3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proximity data path setup
WO2013170134A2 (en) * 2012-05-10 2013-11-1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System level procedures and methods to enable data sharing in cellular network
KR20140090103A (ko) * 2013-01-08 2014-07-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디스커버리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80493A1 (en) 2017-09-28
CN107006071A (zh) 2017-08-01
EP3220715A4 (en) 2018-08-08
US10129920B2 (en) 2018-11-13
KR101920267B1 (ko) 2018-11-20
JPWO2016075848A1 (ja) 2017-08-24
WO2016075848A1 (ja) 2016-05-19
EP3220715A1 (en) 201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815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ximity-based service communication
WO2016142973A1 (ja) 近接サービス通信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6610656B2 (ja) 近接サービス通信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9629022B2 (en) Proactive admission control for multi-coverage D2D communications
CN111316698B (zh) 用于确定目标plmn id和目标小区id的节点和方法
WO2016135790A1 (ja) 近接サービス通信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102461898B1 (ko) 음성 통화 확립
JP6601495B2 (ja) 無線端末装置、d2dコントローラ、及び方法
US20190349823A1 (en) Method for accessing network by user equipment, and access device
KR101920267B1 (ko) 제어 장치,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이들의 방법
KR102146355B1 (ko)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한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6125213A1 (ja) 近接サービス通信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6451335B2 (ja) 制御装置、加入者情報サーバ、及びこれらの方法
JP6597772B2 (ja) 無線端末装置及びその方法
KR20170048455A (ko) 무선 단말, 제어 장치, 및 이들의 방법
CN112291848A (zh) 一种终端能力配置的方法及通信装置
EP3062552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offloading access network
JP6451366B2 (ja) 近接サービス通信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WO2016194264A1 (ja) 無線端末装置、ネットワークノード、及び方法
CN117641305A (zh) 一种定位方法、装置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