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3556A - 태양전지모듈 - Google Patents

태양전지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3556A
KR20170053556A KR1020160068266A KR20160068266A KR20170053556A KR 20170053556 A KR20170053556 A KR 20170053556A KR 1020160068266 A KR1020160068266 A KR 1020160068266A KR 20160068266 A KR20160068266 A KR 20160068266A KR 20170053556 A KR20170053556 A KR 20170053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s
semiconductor layer
electrode
lens
len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8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재철
김영석
Original Assignee
(주)에이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피텍 filed Critical (주)에이피텍
Publication of KR20170053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35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54Optical element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light-reflecting means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H01L31/0543Optical element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light-reflecting means or light-concentrating means comprising light concentrating means of the refractive type, e.g. len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16Coatings
    • H01L31/02161Coating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167Coating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01L31/022408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2425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01L31/022408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2425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 H01L31/022441Electrod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ack-contact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은 P형 반도체층 및 N형 반도체층이 적층된 반도체층, 반도체층의 배면에 형성된 제 1 전극, 태양광이 입사되는 반도체층의 전(前)면에서 상호 이격 형성되며, 금속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 2 전극, 반도체층 및 제 2 전극 상에서, 태양광이 입사되는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호 이격되어 연속 형성된 복수의 제 2 전극이 나열된 방향으로 대응하여 나열 형성된 렌즈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복수의 제 2 전극에 의한 광 흡수 면적 감소가 억제되고, 반도체층으로 입사되는 광 흡수율 또는 광 집중도가 향상된다. 이에, 태양광을 전기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율이 향상된다.

Description

태양전지모듈{SOLAR CELL MODULE}
본 발명은 태양전지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 흡수 면적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태양전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태양전지는 태양광을 받아, 광전 효과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통상적으로 태양전지는 반도체층, 반도체층의 후면에 형성된 제 1 전극, 반도체층 상에서 상호 이격 형성된 제 2 전극을 포함하고, 반도체층은 p형 반도체층, p형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n형 반도체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p형 반도체층 및 n형 반도체층은 하나의 기판 상에에 형성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p형 실리콘 기판이 준비된 상태에서, 상기 p형 실리콘 기판의 상층부에 n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 확산시켜 n형 반도체층을 형성한다. 제 2 전극은 태양광이 입사되는 방향에 형성되는 전극으로서, 금속 재료 예컨대, 납(Pb)-주석(Sn)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p형 반도체층 및 n형 반도체층은 하나의 기판에 형성되는데, 일반적으로 p형 실리콘 기판(웨이퍼) 준비된 상태에서, 상기 p형 실리콘 기판 상층부에 n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 확산시켜 n형 반도체층을 형성한다.
이러한 태양전지에 의하면, 태양광이 반도체층에 입사되면, 전자-정공 쌍이 형성되고, 전기장에 의해 전자는 n형 반도체층, 정공은 p형 반도체층으로 이동하게 되어, p 반도체층과 n형 반도체층 사이에 광전기력이 발생되며, 이때, 태양전지의 양단에 부하 시스템을 연결하면,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한편, 태양광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전극의 상측으로부터 입사되는데, 이때, 제 2 전극은 광의 투과가 어려운 금속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 2 전극의 면적만큼 입사되는 태양광이 감소하게 되고, 이는 광전 변환율이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한국등록특허 1003808
본 발명은 광 흡수 면적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태양전지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광이 전극으로 입사되는 것을 억제하고, 반도체층으로 입사되는 광량을 향상시키는 태양전지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은 P형 반도체층 및 N형 반도체층이 적층된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의 배면에 형성된 제 1 전극; 태양광이 입사되는 상기 반도체층의 전(前)면에서 상호 이격 형성되며, 금속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 2 전극; 상기 반도체층 및 제 2 전극 상에서, 상기 태양광이 입사되는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호 이격되어 연속 형성된 복수의 제 2 전극이 나열된 방향으로 대응하여 나열 형성된 렌즈;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는 상호 이격되어 연속 형성된 2개의 제 2 전극의 상부면 및 상기 2개의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렌즈는 상기 상호 이격되어 연속 형성된 2개의 제 2 전극 중 하나의 제 2 전극 상부면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제 2 전극의 상부면까지 연장 형성되어, 상기 렌즈가 상호 이격되어 연속 형성된 2개의 제 2 전극 각각의 상부면의 일부 및 상기 2개의 제 2 전극 사이를 채우도록 형성된다.
상호 이격되어 연장 형성된 2개의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도록 복수의 상기 렌즈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전극의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렌즈가 형성된다.
상기 렌즈가 상호 이격되어 연속 형성된 2개의 제 2 전극의 상부면 및 상기 2개의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데 있어서, 상기 렌즈가 상기 제 2 전극 상부면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상기 렌즈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기 제 2 전극의 연장 방향 및 상기 복수의 제 2 전극의 나열 방향으로 나열 배치된다.
상기 렌즈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기 제 2 전극의 나열 방향으로 나열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렌즈 각각은 제 2 전극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의 제조 방법은, P형 반도체층 및 N형 반도체층이 적층된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반도체층의 배면에 제 1 전극을 형성하는 과정; 태양광이 입사되는 상기 반도체층의 전(前)면 상에서, 상호 이격 되도록 복수의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반도체층 및 제 2 전극 상에서, 상기 태양광이 입사되는 방향으로 볼록하며, 상호 이격되어 연속 형성된 복수의 제 2 전극이 나열된 방향으로 대응하여 나열되도록 렌즈를 형성하는 과정;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렌즈는 상호 이격되어 연속 형성된 2개의 제 2 전극의 상부면 및 상기 2개의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렌즈는 상기 상호 이격되어 연속 형성된 2개의 제 2 전극 중 하나의 제 2 전극 상부면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제 2 전극의 상부면까지 연장 형성되어, 상기 렌즈가 상호 이격되어 연속 형성된 2개의 제 2 전극 각각의 상부면의 일부 및 상기 2개의 제 2 전극 사이를 채우도록 형성된다.
상기 렌즈는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2개의 제 2 전극 사이에 복수개가 위치하고, 상기 제 2 전극의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형성된다.
상기 렌즈를 상호 이격되어 연속 형성된 2개의 제 2 전극의 상부면 및 상기 2개의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데 있어서, 상기 렌즈가 상기 제 2 전극 상부면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한다.
상기 렌즈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기 제 2 전극의 연장 방향 및 상기 복수의 제 2 전극의 나열 방향으로 대응하여 나열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렌즈는 복수개로 마련하여, 상기 제 2 전극의 나열 방향으로 나열 배치하고, 상기 복수의 렌즈 각각을 제 2 전극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 형성한다.
상기 렌즈를 형성하는 과정은, 상기 렌즈의 형성과 부합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금형을 마련하는 과정; 상기 반도체층 및 상기 제 2 전극 상에 수지를 도포하는 과정; 상기 금형으로 상기 수지를 압박하는 과정; 상기 수지를 경화시키는 과정; 및 상기 금형을 상기 수지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다른 태양전지모듈에 의하면, 제 2 전극이 위치한 방향으로 입사되도록 진행 중인 광이 렌즈에 의해 굴절되어 제 2 전극으로 입사되지 않고, 제 2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 영역으로 입사된다. 즉, 렌즈는 제 2 전극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중인 광을 굴절시켜 광의 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제 2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로 이동 또는 진행되도록 한다.
따라서, 복수의 제 2 전극에 의한 광 흡수 면적 감소가 억제되고, 반도체층으로 입사되는 광 흡수율 또는 광 집중도가 향상된다. 이에, 태양광을 전기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율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에 있어서, 태양광의 입사 진행 방향을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들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정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의 상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렌즈가 형성된 태양전지모듈을 도시한 상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정면 단면도
도 8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의 상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광 흡수 면적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태양전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전극으로 향하는 태양광을 굴절시켜 반도체층으로 입사되도록 함으로써, 반도체층으로 입사되는 태양광량을 증가시키는 태양전지모듈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에 있어서, 태양광의 입사 진행 방향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정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의 상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렌즈가 형성된 태양전지모듈을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은 상호 접합되도록 적층된 P형 반도체층(21) 및 N형 반도체층(22)을 구비하는 반도체층(20), 반도체층(20)의 제 1 면에 형성된 제 1 전극(10), 반도체층(20)의 제 1 면의 반대 방향인 제 2 면에서 상호 이격 형성된 복수의 제 2 전극(30), 상호 이격되어 연속 형성된 2개의 제 2 전극(30) 각각의 상면 및 상기 2개의 제 2 전극(30) 사이를 커버하도록 형성되어, 제 2 전극(30)을 향하는 광을 굴절시켜 반도체층(20)으로 입사되도록 하는 복수의 렌즈(40)를 포함한다.
반도체층(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P형 반도체층(21)과 N형 반도체층(22)을 포함하는데, 예컨대, P형 결정질 실리콘 웨이퍼에 N형 물질을 도핑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P형 결정질 실리콘 웨이퍼가 P형 반도체층(21)이 되고, 상기 P형 결정질 실리콘 웨이퍼 상의 N형 도핑층이 N형 반도체층(22)이 된다. 물론, 웨이퍼는 실리콘에 한정되지 않고, GaAs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는 P형 결정질 실리콘에 N형 물질을 도핑하여 반도체층(20)을 형성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대로 형성할 수도 있다. 즉, N형의 결정질 실리콘에 P형 물질을 도핑하여 PN 반도체층(20)을 얻을 수 있다.
제 1 전극(10)은 반도체층(20)의 제 1 면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층(20)의 하부면의 전체에 형성된다. 실시예에 따른 제 1 전극(10)은 알루미늄(Al)으로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도전성의 금속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 2 전극(30) 각각은 반도체층(20)의 제 2 면 즉, 반도체층(20)의 상부면 상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호 나열되어 이격 형성된다. 실시예에 따른 제 2 전극(30)은 은(Ag)으로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도성이 우수한 다양한 금속 재료 예컨대 백금(Pt), 구리(Cu)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렌즈(40)는 제 2 전극(30)이 위치한 방향으로 입사되도록 진행 중인 광이 제 2 전극(30)으로 입사되지 않고, 제 2 전극(30)과 제 2 전극(30) 사이 영역으로 입사되도록 유도한다. 즉, 렌즈(40)는 제 2 전극(30)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중인 광을 굴절시켜 광의 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제 2 전극(30)과 제 2 전극(30) 사이로 이동 또는 진행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렌즈(40)는 태양광의 투과가 가능한 투광성의 소재를 이용하여, 태양광이 입사되는 면이 소정의 굴절율을 가지는 곡면이 되도록 형성된다. 즉, 렌즈(40)는 태양광이 입사되는 상부면이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 형상인 돔 형상이다. 또한, 상호 이격되도록 연속 형성된 2개의 제 2 전극(30) 상부에 렌즈(40)가 형성된다. 이때, 2개의 제 2 전극(30) 사이에 하나의 렌즈(40)만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렌즈(40)는 2개의 제 2 전극(30) 각각의 상부면과 상기 2개의 제 2 전극(30) 사이 영역을 채우도록 형성된다. 즉, 렌즈(40)의 적어도 일부는 2개의 제 2 전극(30) 중 하나의 제 2 전극 상부면에 위치하고, 렌즈의 다른 일부는 다른 하나의 제 2 전극(30) 상부면에 위치하고, 나머지는 2개의 제 2 전극(30) 사이의 이격 공간인 반도체층(20)에 대응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다른 말로 하면, 상호 이격되어 연속 형성된 2개의 제 2 전극(30)에 있어서, 2개의 제 2 전극(30) 중 하나의 제 2 전극(30) 상부면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제 2 전극(30) 상부면까지 연장 형성된다. 이에, 일부는 2개의 제 2 전극(30) 중 어느 하나의 제 2 전극(30)의 상부면, 다른 일부는 다른 하나의 제 2 전극(30)의 상부면에, 나머지는 2개의 제 2 전극(30) 사이의 반도체층(20) 상부에 대응 위치되도록 렌즈(40)가 형성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의 제 2 전극(30) 각각이 연장 형성된 방향이 제 1 방향이라 하고, 제 1 방향과 교차하며, 복수의 제 2 전극(30)이 상호 이격되도록 나열 배치된 제 2 방향이라고 한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렌즈(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볼록한 반구 형상으로, 제 2 전극(30)의 연장 방향을 따라 나열되도록 복수의 렌즈(40)가 형성된다. 즉, 복수의 렌즈(4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렌즈(40)는 상호 인접한 렌즈(40)끼리 상호 연결 또는 접촉되도록 형성되며, 제 1 및 제 1 방향으로 나열 배치된 복수의 렌즈(40)는 그 중심선이 상호 일치하도록 나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하나의 제 2 전극(30)의 상부면은 제 2 방향으로 2개의 렌즈(40)에 의해 커버되어 있고, 제 1 방향으로 복수개의 렌즈(40)에 의해 커버되어 있다.
복수의 렌즈(40)가 형성된 배열 형태는 복수의 제 2 전극(30) 각각의 형상, 복수의 제 2 전극(30)의 나열 방향 등에 따라 달라지며, 예컨대, 직사각형, 정사각형, 육각형, 평행사변형 등의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렇게 복수의 제 2 전극의 연장 방향 및 나열 방형으로 대응 형성된 복수의 렌즈들은 "렌즈 어레이"로 명명될 수 있다.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렌즈가 반구 형상으로, 복수의 렌즈가 제 1 및 제 2 방향으로 나열 배치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5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에서와 같이, 렌즈는 제 2 전극의 연장 방향을 대응 연장 형성되며, 태양광이 입사되는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일 수도 있다. 이러한 형상의 경우, 제 1 실시예서와 같이 반구 형상의 렌즈와 렌즈 사이의 빈공간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제 2 전극으로 입사되는 태양광을 억제하고, 반도체층으로 입사되는 태양광 흡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금형을 이용한 몰딩(molding) 방법으로 복수의 렌즈(40) 즉, 렌즈 어레이를 형성한다. 렌즈 어레이 형성 방법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정면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의 상면도이다.
상술한 제 1 실시예에서는 2개의 제 2 전극(30) 사이에 하나의 렌즈(40)가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2개의 제 2 전극(30) 사이에 복수의 렌즈(40)가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6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 2 전극(30) 사이에 복수의 렌즈(40)가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전극(30)의 상부면에 제 2 방향으로 하나의 렌즈(40)가 위치될 수 있다. 즉, 렌즈(40)가 제 2 전극(30)이 제 2 방향의 폭과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제 2 전극(30)의 상부면에서 제 2 방향으로 하나의 렌즈(40)가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 2 전극(30)의 상부면에 제 2 방향으로 복수의 렌즈(40)가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복수의 제 2 전극(30) 상에 렌즈(40)가 형성되면, 입사 방향이 제 2 전극(30)을 향하는 광(B1)이 렌즈로 입사되면서 그대로 제 2 전극(30)으로 입사되지 않고(B3), 렌즈(40)에 의해 굴절되며, 이에 따라 2개의 제 2 전극(30) 사이에 위치한 반도체층(20)으로 입사된다(B2). 따라서, 제 2 전극(30)으로 입사되는 광량을 줄이고, 반도체층(20)으로 입사되는 광량을 증대시킬 수 있어, 이로 인해, 광전 변환율이 향상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P형 반도체층(21)과 N형 반도체층(22)이 적층된 반도체층(20)을 형성한다. 실시예에서는 P형 실리콘 웨이퍼에 N형 물질을 도핑하여 PN 접합층 즉, 반도체층(20)을 형성한다. 물론 N형 실리콘 웨이퍼에 P형 물질을 도핑하여 반도체층(20)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예컨대, 알루미늄(Al)을 반도체층(20)의 하부면 또는 배면 전체에 증착하여 제 1 전극(10)을 형성한다.
이후, 은(Ag)을 이용하여 반도체층(20)의 배면의 반대면인 전(前)면에 복수의 제 2 전극(30)을 형성한다. 이때, 복수의 제 2 전극(30)은 제 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나열, 이격 형성된다.
다음으로, 복수의 제 2 전극(30) 각각의 상부에 렌즈(40)를 형성한다. 다른 말로 하면, 반도체층(20) 및 복수의 제 2 전극(30) 상부에 복수의 렌즈(40)로 이루어진 렌즈 어레이를 형성한다.
이를 위해, 먼저 렌즈 어레이를 형성하기 위한 금형(M)을 제조한다. 금형(M)의 제조 과정은, 유리 기판 일면에 감광 물질인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를 도포한다. 그리고 렌즈 어레이의 형상과 반대되는 형상을 가지는 패턴을 가지도록 포토레지스트가 형성된 유리 기판 상에 레이저 또는 전자빔을 조사, 노광한다. 이후 패턴이 노광된 포토레지스트 패턴 막에 현상액을 주입하여, 노광된 부분을 녹이는(developing) 과정을 통해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다.
이렇게 포토레지스트 패턴이 형성된 유리 기판을 마스크를 이용하여 금속판에 전주(electro-foiming) 공정을 실시하면, 렌즈 어레이와 반대되는 형상을 가지는 금형(M)이 제조된다.
렌즈 어레이 제조를 위해, 반도체층(20) 및 제 2 전극(30) 상부에 투광성의 수지를 도포하고, 제조된 금형(M)으로 도포된 수지(41)를 압박한다. 여기서 투광성의 수지(41)는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자외선 경화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며, 금형(M)이 수지(41)를 압박하고 있는 상태에서 자외선을 조사하면, 수지가 경화된다. 이에 따라 반도체층(20) 및 복수의 제 2 전극(30)의 상부에 복수의 렌즈(40)로 구성된 렌즈 어레이가 형성된다. 즉, 태양광 입사되는 방향 즉, 상측으로 볼록한 곡면을 가지는 복수의 렌즈가 형성되며, 렌즈(40)의 적어도 일부가 상호 이격되며, 연속 형성된 2개의 제 2 전극(30) 각각의 상부와, 상기 2개의 제 2 전극(30) 사이 공간을 채우도록 형성된다. 즉, 최 외각에 위치한 렌즈(40)들을 제외한 다른 렌즈(40)들 각각은 상호 이격되어 연속 형성된 2개의 제 2 전극(30) 상측에 대응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에서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제 2 및 제 3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도 상술한 방법과 동일하다. 다만, 제 2 또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레이를 형성하기 위한 금형을 적용한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레이를 형성하는 경우를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하여 이격 형성된 2개의제 2 전극(30) 사이에 복수개 예컨대, 2개의 렌즈(40)가 형성되고, 하나의 제 2 전극(30)의 상부면에 하나의 렌즈(40)가 형성될 수 있도록하는 홈 패턴을 가지는 금형(M)이 마련한다.
그리고, 반도체층(20) 및 제 2 전극(30) 상부에 투광성의 수지를 도포하고, 상기 금형(M)으로 도포된 수지(41)를 압박하고, 자외선을 조사하면, 수지가 경화된다. 이에 따라 반도체층(20) 및 복수의 제 2 전극(30)의 상부에 복수의 렌즈(40)로 구성된 렌즈 어레이가 형성된다. 이때 복수의 렌즈(40)는 제 2 전극(30)과 제 2 전극(30) 사이에 2개의 렌즈(40)가 위치하고, 제 2 전극(30)의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30)가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다른 태양전지모듈에 의하면, 제 2 전극(30)이 위치한 방향으로 입사되도록 진행 중인 광이 렌즈(40)에 의해 굴절되어 제 2 전극(30)으로 입사되지 않고, 제 2 전극(30)과 제 2 전극(30) 사이 영역으로 입사된다. 즉, 렌즈(40)는 제 2 전극(30)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중인 광을 굴절시켜 광의 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제 2 전극(30)과 제 2 전극(30) 사이로 이동 또는 진행되도록 한다.
따라서, 복수의 제 2 전극(30)에 의한 광 흡수 면적 감소가 억제되고, 반도체층(20)으로 입사되는 광 흡수율 또는 광 집중도가 향상된다. 이에, 태양광을 전기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율이 향상된다.
10: 제 1 전극 20: 반도체층
21: P형 반도체층 22: N형 반도체층
30: 제 2 전극 40: 렌즈

Claims (15)

  1. P형 반도체층 및 N형 반도체층이 적층된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의 배면에 형성된 제 1 전극;
    태양광이 입사되는 상기 반도체층의 전(前)면에서 상호 이격 형성되며, 금속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 2 전극;
    상기 반도체층 및 제 2 전극 상에서, 상기 태양광이 입사되는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호 이격되어 연속 형성된 복수의 제 2 전극이 나열된 방향으로 대응하여 나열 형성된 렌즈;
    를 포함하는 태양전지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상호 이격되어 연속 형성된 2개의 제 2 전극의 상부면 및 상기 2개의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태양전지모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상기 상호 이격되어 연속 형성된 2개의 제 2 전극 중 하나의 제 2 전극 상부면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제 2 전극의 상부면까지 연장 형성되어, 상기 렌즈가 상호 이격되어 연속 형성된 2개의 제 2 전극 각각의 상부면의 일부 및 상기 2개의 제 2 전극 사이를 채우도록 형성된 태양전지모듈.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호 이격되어 연장 형성된 2개의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도록 복수의 상기 렌즈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전극의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렌즈가 형성된 태양전지모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가 상호 이격되어 연속 형성된 2개의 제 2 전극의 상부면 및 상기 2개의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데 있어서,
    상기 렌즈가 상기 제 2 전극 상부면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태양전지모듈.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기 제 2 전극의 연장 방향 및 상기 복수의 제 2 전극의 나열 방향으로 나열 배치된 태양전지모듈.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기 제 2 전극의 나열 방향으로 나열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렌즈 각각은 제 2 전극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태양전지모듈.
  8. P형 반도체층 및 N형 반도체층이 적층된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반도체층의 배면에 제 1 전극을 형성하는 과정;
    태양광이 입사되는 상기 반도체층의 전(前)면 상에서, 상호 이격 되도록 복수의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반도체층 및 제 2 전극 상에서, 상기 태양광이 입사되는 방향으로 볼록하며, 상호 이격되어 연속 형성된 복수의 제 2 전극이 나열된 방향으로 대응하여 나열되도록 렌즈를 형성하는 과정;
    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태양전지모듈의 제조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상호 이격되어 연속 형성된 2개의 제 2 전극의 상부면 및 상기 2개의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태양전지모듈의 제조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상기 상호 이격되어 연속 형성된 2개의 제 2 전극 중 하나의 제 2 전극 상부면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제 2 전극의 상부면까지 연장 형성되어, 상기 렌즈가 상호 이격되어 연속 형성된 2개의 제 2 전극 각각의 상부면의 일부 및 상기 2개의 제 2 전극 사이를 채우도록 형성되는 태양전지모듈의 제조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2개의 제 2 전극 사이에 복수개가 위치하고, 상기 제 2 전극의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형성된 태양전지모듈의 제조 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렌즈를 상호 이격되어 연속 형성된 2개의 제 2 전극의 상부면 및 상기 2개의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데 있어서,
    상기 렌즈가 상기 제 2 전극 상부면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하는 태양전지모듈의 제조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기 제 2 전극의 연장 방향 및 상기 복수의 제 2 전극의 나열 방향으로 대응하여 나열 배치되도록 형성된 태양전지모듈의 제조 방법.
  14.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복수개로 마련하여, 상기 제 2 전극의 나열 방향으로 나열 배치하고, 상기 복수의 렌즈 각각을 제 2 전극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 형성하는 태양전지모듈.
  15.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를 형성하는 과정은,
    상기 렌즈의 형성과 부합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금형을 마련하는 과정;
    상기 반도체층 및 상기 제 2 전극 상에 수지를 도포하는 과정;
    상기 금형으로 상기 수지를 압박하는 과정;
    상기 수지를 경화시키는 과정; 및
    상기 금형을 상기 수지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
    을 포함하는 태양전지모듈의 제조 방법.
KR1020160068266A 2015-11-06 2016-06-01 태양전지모듈 KR201700535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088 2015-11-06
KR20150156088 2015-11-0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011A Division KR101998803B1 (ko) 2015-11-06 2018-08-29 태양전지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556A true KR20170053556A (ko) 2017-05-16

Family

ID=5903517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8266A KR20170053556A (ko) 2015-11-06 2016-06-01 태양전지모듈
KR1020180102011A KR101998803B1 (ko) 2015-11-06 2018-08-29 태양전지모듈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011A KR101998803B1 (ko) 2015-11-06 2018-08-29 태양전지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7005355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44218B (zh) * 2018-11-29 2022-08-12 紫石能源有限公司 太阳能电池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685B1 (ko) * 2007-10-19 2010-09-10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마이크로렌즈를 이용한 태양전지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003808B1 (ko) 2010-04-06 2010-12-23 한국기계연구원 Pn접합 및 쇼트키 접합을 갖는 다중 태양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10136386A (ko) * 2010-06-15 2011-12-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KR101386058B1 (ko) * 2010-07-15 2014-04-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기전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613A (ko) 2018-09-05
KR101998803B1 (ko) 2019-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73996A (en) Photovoltaic system including a lens structure
US20160064583A1 (en) Three-Dimensional Metamaterial Devices with Photovoltaic Bristles
US5228926A (en) Photovoltaic device with increased light absorption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US20120012174A1 (en) Solar cell device having an airbridge type contact
TWI497737B (zh) 太陽能電池及其製造方法
US20120180844A1 (en) Photovoltaic module having a front support structure for redirecting incident light onto a photovoltaic cell
US8217259B2 (en) Enhanced efficiency solar cells and method of manufacture
DE202011104880U1 (de) Ein Solarzellenempfänger zur Verwendung in einem konzentrierten photovoltaischen System unter Verwendung von III-V Halbleitersolarzellen
KR20110030480A (ko) 폴리머 매립 광기전 셀 및 교차형 cpc에 기초한 모놀리식 저집광도 광기전판
US20150280044A1 (en) Space solar array modul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20110056407A (ko) 모놀리식 광전 모듈
CN105144406A (zh) 具有光伏直立物的三维超颖材料装置
KR101358864B1 (ko) 태양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25282A (ko) 3차원 투명 태양전지 제조방법
US20120298182A1 (en) Flexible solar cell
TWI520369B (zh) 光敏裝置的製造方法
US20190371949A1 (en) Solar cel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olar cell
KR101998803B1 (ko) 태양전지모듈
KR102085039B1 (ko) 태양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5217357A (ja) 立体構造太陽電池及び立体構造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101661223B1 (ko) 태양전지
KR20100066928A (ko)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20301A (ko) 광전지용 광학 실드
KR102483125B1 (ko) 투명 태양전지
CN104835862A (zh) 具有微透镜的高效太阳能电池及其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