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2931A - 원 카드를 매개로 페어링된 어나더 카드를 호출하여 결제하는 모바일 결제 방법 - Google Patents

원 카드를 매개로 페어링된 어나더 카드를 호출하여 결제하는 모바일 결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2931A
KR20170052931A KR1020150155072A KR20150155072A KR20170052931A KR 20170052931 A KR20170052931 A KR 20170052931A KR 1020150155072 A KR1020150155072 A KR 1020150155072A KR 20150155072 A KR20150155072 A KR 20150155072A KR 20170052931 A KR20170052931 A KR 20170052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payment
server
mobile
orig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5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창민
최광일
박정일
홍창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아이씨티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아이씨티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아이씨티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155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2931A/ko
Publication of KR20170052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9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6Payments settled via tele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4Credit schemes, i.e. "pay af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6Debit schemes, e.g. "pay no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 카드를 매개로 페어링된 어나더 카드를 호출하여 결제하는 방법에 관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사용자가 가맹점 단말에서 하나의 결제 카드를 이용해서 결제를 시도함으로써 개시된다. 가맹점 단말이 원 카드를 리딩하여 서버측으로 전송하는 단계(S100)와, 결제 서버와 모바일 디바이스의 실시간 통신을 통해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되는 어나더 카드 그룹에서 대체 결제 수단인 어나더 카드를 선택하는 단계(S200)와, 선택된 어나더 카드로 대체 결제를 행하는 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 카드를 매개로 페어링된 어나더 카드를 호출하여 결제하는 모바일 결제 방법{MOBILE PAYMENT METHOD CALLING ANOTHER CARD USING ONE CARD}
본 발명은 신용카드 결제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서 신용카드 결제를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모바일 산업에서도 핀테크(Fintech) 기술이 크게 회자된다. 핀테크 기술은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포함하고 있는 넓은 개념이지만, 사용자 관점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해서 간편하게 결제(Payment)할 수 있는 개념으로 이해된다. 요컨대 스마트폰만으로 상점에서 즉시 결제할 수 있기를 사용자는 원한다. 모바일 산업에서의 핀테크 기술은 한편으로는 보안과 인증기술로, 다른 한편으로는 사용자의 편리성을 보장하는 기술로 발전했다.
사용자의 편리성을 중심으로 이 분야의 배경을 설명해 보자. 모바일 기술 이전에도 결제는 행해졌다. 오늘날 가장 익숙한 방식은 신용카드를 이용하는 것이다. 소비자는 상점에서 신용카드를 제시한다. 상점의 카드 리더가 그 신용카드를 읽음으로써 네트워크를 통해서 결제가 행해진다. 이러한 신용카드는 모바일 기술과 융합하였다. 모바일 디바이스에 결제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해서 신용카드 정보를 사용하는 기술이다.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해서 결제를 하려고 할 때, 모바일 디바이스는 신용카드사의 서버와 실시간으로 네트워크 통신을 한다.
그런데 신용카드 기반의 종래 모바일 결제 기술에는 분석되지 못한 함정이 있었다. 서비스 제공자 또는 개발자들은 사전 등록된 결제 카드를 단수로 상정해서 모바일 결제 기술을 설계하고 디바이스에 설치하며 시스템을 운용하였다. 그러다 보니 사용자들이 1장의 카드만 갖고 있지 않다는 현실이 간과되고 말았다.
실제 사용자들은 여러 명목으로 다수의 신용카드를 보유하게 마련이다. 신용카드사마다 가맹점에 제공하는 서비스가 다양하다. 그리고 동일한 신용카드사에서 발급하는 카드라 하더라도 다양한 고객 유형에 맞게, 서로 다른 이점을 제공하는 카드 상품들을 판매하고 있다. 가맹점마다, 카드마다 혜택이 다를 수 있다. 어떤 카드로 결제할 때에는 특별히 할인 혜택이 없을 수 있겠으나, 다른 카드로 결제하는 경우, 예컨대 50%의 디스카운트가 가능할 수 있다. 이런 상황은 때와 장소에 따라 달라진다. 이런 현실로 말미암아 사용자들은 자연스럽게 여러 장의 신용카드를 보유하게 되었다. 결제수단으로 신용카드만 있는 것은 아니다. 현금카드, 멤버십카드 등의 결제카드를 포함시킨다면 사용자는 더욱 많은 결제수단을 보유하게 된다.
한편 모바일 디바이스의 결제수단은 반드시 신용카드만 있는 것은 아니다. 휴대폰 번호로 결제할 수도 있으며, 여러 회사가 제공하는 다양한 종류의 전자지갑이 있다. 여기에 더해서, 앞서 언급한 신용카드마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결합해서 모바일 지불환경을 만든다고 가정하자. 그렇다면, 이론적으로 사용자는 매우 많은 결제수단을 자신의 디바이스에 내장(신용카드 결제를 할 수 있는 앱을 포함하여)할 수 있다. 이것이 본 발명의 발명가들이 인식하고 있는 문제의 출발점이다.
첫째, 많은 결제수단이 모바일 디바이스에 들어 있지만 이들이 통합되어 있지는 못하다. 각각 서로 독립되어 있는 까닭에 사용자가 어떤 특정 결제수단을 사용하려고 하는 경우에, 당연하게도 다른 결제수단들은 배제되었다. 이런 문제는 종래의 기술상식으로는 어쩌면 당연해 보인다. 결제수단마다 성격이 다르고,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가 다르며, 각각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는 다르게 생각한다.
둘째, 사용자가 불편하다는 점이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여러 장의 신용카드를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가 실제 가맹점에서 결제를 하려는 경우, 신용카드마다 혜택이 다르다. 그때마다 일일이 모바일 지불 방법을 선택하는 것은 몹시 번거로운 일이다. 가입한 신용카드 전부에 대한 모바일 환경을 만드는 일 자체가 사용자에게는 어렵기도 하다. 게다가 <결제를 하려고 하는 가맹점>에서 어떤 유형의 결제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혜택이 많은지를, 사용자가 일일이 알기도 어렵다. 요컨대 종래기술은 휴대폰을 이용해서 모든 신용카드 결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론적으로는 보장하지만, 어떤 신용카드를 결제하는 것이 사용자에게 가장 좋은지를 결코 안내하지 못한다. 그런 안내가 가능하려면 통합된 인터페이스와 그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려는 시스템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그와 같은 기술이 종래 알려지지 않았다.
셋째, 빅데이터 기술 이슈 중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것이 결제에 관련한 빅데이터이다. 생활패턴과 소비시장의 흐름을 분석할 수 있는 데이터이기 때문이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각각의 결제 시스템은 폐쇄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다른 시스템에서의 빅데이터를 수집할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오랫동안 궁리하고 연구하면서 시행착오를 거치며 개발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맹점에서 결제를 함에 있어 사용자는 그저 하나의 카드를 제시한 것이었으나 마치 여러 종류의 결제수단 중에서 최적의 결제수단을 선택한 것과 같은 신규한 모바일 결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사용자가 여러 개의 신용카드를 보유하고 있는 상황을 상정했을 때, 본 발명은 <결제 시점에서 실시간으로> 최적의 신용카드를 골라서 결제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되겠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새로운 결제 방법을 제안함에 있어서 기존의 인프라를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경제성을 고려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국면은 원 카드를 매개로 페어링된 어나더 카드를 호출하여 결제하는 모바일 결제 방법으로서:
(a) 가맹점 단말이 원 카드를 리딩하여 결제 서버로 원 카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b) 제 1 결제 서버가 상기 원 카드 정보와 매칭되어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로 실행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미리 설치되어 있는 결제카드 그룹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복수의 결제수단을 포함하는 어나더 카드 그룹을 화면으로 제시하는 단계;
(d) 입력수단이 상기 어나더 카드 그룹 중에서 결제수단을 선택하면 모바일 디바이스가 결제수단 선택 이벤트를 제 2 결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d) 단계에서 선택된 결제 수단으로 결제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원 카드는 신용카드, 체크카드, 전자장치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서 수신되는 신용카드 정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선택된 결제수단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제 2 결제 서버가 결제 승인 이벤트를 상기 가맹점 단말에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제 1 결제 서버가 상기 가맹점 단말로 결제 승인 이벤트를 전송하지 않고 결제 승인을 유보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어나더 카드 그룹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결제수단은 사용자가 미리 등록한 신용카드, 체크카드, 가입한 모바일 지불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이동통신사 플랫폼 결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제 서버와 상기 제 2 결제 서버는 동일한 주체이거나 또는 서로 다른 주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제 서버는 상기 원 카드가 가입한 신용카드사 서버와 연관하며, 상기 제 2 결제 서버는 상기 (d) 단계에서 선택된 결제수단이 가입한 결제 서비스 서버와 연관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국면은 원 카드를 매개로 페어링된 어나더 카드를 호출하여 결제하는 모바일 결제 방법으로서:
(1) 가맹점 단말이 원 카드를 리딩하여 제 1 신용카드 서버를 포함한 결제 서버로 원 카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2) 상기 결제 서버가 상기 원 카드 정보와 매칭되어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로 실행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3)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미리 설치되어 있는 결제카드 그룹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복수의 결제수단을 포함하는 어나더 카드 그룹을 화면으로 제시하는 단계;
(4) 입력수단이 상기 어나더 카드 그룹 중에서 어나더 카드를 선택하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어나더 카드 선택 이벤트를 선택된 어나더 카드가 가입된 제 2 신용카드 서버를 포함한 결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5) 상기 제 2 신용카드 서버가 상기 가맹점 단말에서의 신용카드 결제를 선택된 어나더 카드로 실행하여 상기 가맹점 단말에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6) 상기 제 2 신용카드 서버의 신용카드사가 상기 제 1 신용카드 서버의 신용카드사에게 결제 대금을 정산하는 단계; 및
(7) 상기 제 2 신용카드 서버의 신용카드사가 상기 (6)단계에서 정산한 금액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 계정으로 청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여러 개의 신용카드를 보유하고 있을 때 정말로 편리한 사용자 경험을 만끽할 수 있다. 단지 한 장의 신용카드를 소지하고 다니더라도(신용카드 정보를 스마트폰에 연동해서 소지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다), 마치 여러 장의 신용카드를 소지하면서 결제할 때마다 최적의 신용카드를 사용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기만 하면, 결제할 때마다 모바일 앱이 실행돼서 원 터치만으로 가맹점에서의 결제 카드를 실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다. 가맹점에서 어떤 카드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으로 이로운가, 또는 어떤 목적의 결제이므로 어떤 카드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가를 소비자가 실시간으로 판단해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가장 경제적이며 합리적인 결제를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양한 결제수단을 하나의 모바일 앱에 통합하는 것을 지향한다. 이로써 신용카드 회사는 자기 결제상품으로부터 획득되는 소비패턴뿐만 아니라, 다른 신용카드사의 신용카드 사용으로부터도 소비패턴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이 가능해진다. 요컨대 본 발명의 방법론은 신용카드사들에게도 이롭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및 도 2는 본 발명의 결제 방법을 개념적으로 도식화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결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서비스 서버(40)의 데이터베이스 구성에 대한 예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자적 구성에 대한 예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화면(500) 시나리오 구성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화면(500) 시나리오 구성 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결제 방법의 전체 프로세스의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S200 단계를 보다 상세히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S300 단계를 보다 상세히 예시하는 도면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개념적으로 나타내었다. 사용자는 신용카드(1)(본 명세서에서 이를 "원 카드(One Card)"라는 용어로 표현하기로 한다)를 사용해서 결제를 시도한다. 그렇다고 해서 원 카드로 결제가 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에서 행해지는 결제 승인은 유보된다. 원 카드의 범위는 이러하다. 첫째 실물 신용카드일 수 있다. 둘째 신용카드 정보를 이용하여 신용카드 결제를 개시하는 전자장치일 수 있다(예컨대 삼성페이나 애플페이 등).
말하자면 이렇다. 가맹점 단말기에서 원 카드에 대한 독출 이벤트(Reading Event)가 발생하면, 해당 원 카드에 대한 정보를 서버 측으로 전송한다. 종래 기술에서는 서버가 결제를 승인하여 가맹점 단말기로 통지하면 결제절차는 종료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원 카드에 대한 승인이 유보된다(Payment Holding). 대신에 사전에 미리 페어링되어 등록된 다른 결제 수단들(2, 2…)(이를 본 명세서에서 "어나더 카드 그룹"(Another Card Group)이라는 용어로 표현한다)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 기회는 모바일 디바이스(50)의 화면을 통해서 제공될 것이다.…
어나더 카드 그룹(2, 2…)에 속하는 결제수단들은 원 카드(1)와 달리 실제 카드가 아니다. 다만 그것이 선택될 때, 결제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서 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카드 정보와 매칭됨으로써 결제가 행해지도록 하는, 말하자면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가상의 카드가 되겠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어나더 카드>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가상화된 결제수단을 의미한다. 비록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카드'라는 단어를 사용했으나, 반드시 신용카드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해서 결제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무엇이든 좋다. 예컨대 현금카드일 수도 있으며, 애플페이TM와 같은 디바이스에 소프트웨어적으로 신용카드 정보를 내장하거나 신용카드사와 실시간으로 통신하여 모바일 신용카드 결제를 할 수 있는 결제수단일 수도 있다. 또한 이동통신사에 가입된 휴대폰 번호를 이용해서 지불하는 결제수단이어도 좋다.
어나더 카드 그룹(2, 2…)은 모바일 디바이스(50)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이미지 및/또는 텍스트 형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그것은 원 카드(1)와 사전에 페어링되어 등록된 결제수단이다. 어나더 카드 그룹(2, 2…)에 속하는 어떤 어나더 카드가 선택된다면, 그 선택된 어나더 카드로 결제가 행해진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예컨대 사용자가 가맹점에서는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신용 카드를 사용했으나, 실제 결제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선택 이벤트에 의해서 다른 신용카드로 행해지는 것이 가능해진다(물론 원 카드와 어나더 카드가 동일한 카드일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정신에 관해서 어떤 사람은 귀찮다는 반응을 보일 수 있겠다. 그러나 오늘날 무선통신과 데이터처리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은 그와 같은 편견과 거부감을 불식시키기에 충분하다. 어나더 카드의 선택과 대체 결제 과정은 매우 짧은 시간에 행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도 2에 나타난 것처럼 더 많은 이익을 사용자에게 줄 수 있는 까닭에 순간적인 결제지체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사용자가 다섯 장의 신용카드를 보유하고 있다고 가정하자. 그리고 이 다섯 장의 카드에 대한 시나리오를 표 1로 설계해 보자.
발급기관 특징
Card 1 A 카드사 항공사 마일리지 적립
Card 2 A 카드사 호텔/리조트 할인이 많은 카드
Card 3 B 카드사 캐쉬백 기능이 많은 카드
Card 4 C 카드사 영화, 공연 티켓 할인 혜택이 많은 카드
Card 5 D 카드사 주유비용이 많이 할인 됨
위 표 1에서 보는 것처럼 신용카드의 특징과 장점이 저마다 다르다. 사용자가 이 카드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려면 두 가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첫째 실물 카드를 모두 갖고 있어야 한다. 둘째 각 카드의 장점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한다. 하지만 이 두 가지 조건을 실제 사용자가 지키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게다가 사용자는 한두 장만 신용카드만 가지고 다닐 가능성이 크다. 이런 상황을 본 발명은 명쾌하게 해결한다.
도 2에서의 지불(payment)은 어떤 임의의 장소에서 행해질 것이다. 사용자는 특정 신용카드를 원 카드로 미리 등록하고, 그것만을 소지하면 된다. 실제 결제 장소에서 원 카드를 사용하면 표 1의 다섯 장의 카드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모바일 화면으로 호출될 수 있다. 그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호출되었다고 가정하자.
만약 결제 장소가 호텔이라면 사용자는 Card 2(2b)를 어나더 카드 그룹에서 선택할 수 있다. 캐쉬백 혜택을 선호하는 사용자라면 Card 3(2c), 항공사 마일리지를 적립하는 것을 선호하는 사용자라면 Card 1(2a)를 선택할지도 모른다. 만약 결제 장소가 영화관이나 공연장이라면 Card 4(2d)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할지도 모른다. 다른 카드라면 할인이 되지 않지만 Card 4를 사용하면 50% 할인이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종래에는 Card 4를 사용자가 반드시 소지해야 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설령 실제 카드를 소지하지 않아도 된다. 단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간단하게 Card 4(2d)를 선택하는 것만으로도 그와 같은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가맹점이 제공하는 혜택이나 신용카드 상품의 특성에 최적화된 카드 사용을 할 수 있다.
다른 시나리오를 살펴 보자. 어떤 이들은 신용카드 사용을 그 소비의 분류에 맞게 사용하기를 원한다. 사용자는 표 2와 같이 신용카드에 생활의 속성을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발급기관 사용자의 분류
Card 1 A 카드사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주거래 카드
Card 2 A 카드사 여행/레포츠를 위한 소비
Card 3 B 카드사 특수 목적 쇼핑
Card 4 C 카드사 도서구입/공연/문화생활 용도의 소비
Card 5 D 카드사 자동차 사용에 관련한 카드 사용
표 2와 같이 신용카드마다 사용목적이 분류될 수 있다. 이 분류에 따라서 사용자가 신용카드를 사용한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자신의 소비를 패턴화해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종래의 방식에서는 첫째 실물 카드를 모두 갖고 있어야 한다. 둘째 그런 분류를 헷갈리지 않고 정확히 기억하고 있어야 한다. 하지만 이 두 가지 조건을 실제 사용자가 지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사용자의 지갑 속에는 단지 한두 장의 신용카드만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도 본 발명은 명쾌하게 해결한다.
사용자는 어떤 특정 신용카드를 원 카드로 미리 등록하고, 그것만을 소지하면 된다. 실제 결제 장소에서 원 카드를 사용하면 표 2의 다섯 장의 카드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모바일 화면으로 호출될 수 있다. 그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호출되었다고 가정하자.
만약 신용카드 사용이 일상생활에서의 소비, 즉 식사나 음료 구입, 오프라인 마켓에서의 쇼핑, 교통수단의 이용 등이라면 Card 1(2a)를 선택할 수 있다. 만약 주유소에서의 결제라거나 자동차 관리/수리에 사용되는 결제라면 Card 5(2e)가 선택될 것이다. 여행 시에는 Card 2(2b)가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서는 표 2의 시나리오에서 나오는 다섯 장의 카드 사용을, 어나더 카드 그룹이라는 개념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애플리케이션 기술에 의해서 보장한다. 그것도 한 장의 카드만을 사용자가 소지하더라도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해서 사용자는 효율적으로 소비 패턴을 관리할 수 있다.
이제, 이러한 개념을 이용해서 좀더 구체적으로 시스템 구성을 살펴 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떤 실시예에서의 시스템 구성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난 것처럼,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실물 카드인 원 카드(1)를 이용해서 가맹점 단말(10)에서 결제를 실시한다. 가맹점 단말(10)은 원 카드를 리딩하고, 원 카드에 대한 정보를 카드 결제 승인 대행사인 VAN 서버(20)를 경유해서 카드사 서버(30)로 전송한다. 여기까지의 구성은 종래기술의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카드사 서버(30)는 원 카드의 결제 요청을 승인하지 않고 유보하면서, 서비스 서버(40)로 결제 요청 이벤트를 통지한다.
서비스 서버(40)는 상기 원 카드 정보와 매칭되어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50)로 실행 코드를 전송한다. 이때의 실행 코드라 함은 모바일 디바이스(50)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결제카드 그룹 모바일 애플리케이션(51)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 트리거이다. 푸시 알림의 형태로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되며, 실행 코드를 수신하면 자동으로 상기 결제카드 그룹 모바일 애플리케이션(51)이 실행되어,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통해서 어나더 카드 그룹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어나더 카드 그룹에서 특정 신용카드를 선택하면, 그 선택 이벤트는 서비스 서버(40)를 경유하여 카드사 서버(30)로 통지된다. 그러면 카드사 서버(30)를 해당 신용카드에 의한 결제를 비로소 승인하며 VAN 서버(20)를 경유해서 가맹점 단말(10)로 통지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있어서 카드사 서버(30)와 서비스 서버(40)가 물리적으로 구별되어 원격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카드사 서버(30)와 서비스 서버(40)를 카드사가 함께 관리할 수 있다. 카드사 서버(30)와 서비스 서버(40)는 원 카드와의 어나더 카드들의 페어링 등록, 이벤트의 송수신, 어나더 카드에 의한 결제 요청 및 승인 등의 작업을 상호 작용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이를 개념적으로 결제 서버(3)로 묶을 수 있을 것이다.
도 3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편리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원 카드와 어나더 카드의 승인을 하나의 카드사 서버(30)가 담당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즉 원 카드와 어나더 카드는 동일한 카드사에 가입되고 등록된 신용카드로 이해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는 원 카드를 승인하는 카드사 서버(30)와 어나더 카드를 승인하는 카드사 서버(35)가 상이한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 원 카드(1)에 관해서는 제 1 카드사 서버(30)와 서비스 서버(40)가 결제 서버(3)를 구성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어나더 카드에 관해서는 제 2 카드사 서버(35)와 서비스 서버(40)가 결제 서버(3)를 구성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물론 개념적인 구별이다. 이하에서 좀더 정확하게 설명할 것이다.
도 4의 실시예에 있어서, 원 카드(1)를 리딩한 가맹점 단말(10), 밴사 서버(20), 제 1 카드사 서버(30), 서비스 서버(40) 및 모바일 디바이스(50)에 이르기까지의 어나더 카드 선택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까지의 일련의 데이터 흐름은 도 3의 시스템과 동일하다. 그러나 모바일 디바이스(50)에서 실행된 결제카드 그룹 모바일 애플리케이션(51)에서 제 2 카드사 서버(35)의 승인 대상이 되는 어나더 카드 선택 이벤트가 발생한 이후의 프로세스가 도 3의 시스템과 달라진다. 제 2 카드사 서버(35)가 밴사 서버(20)로 결제 승인 이벤트를 통지한다. 제 1 카드사 서버(30)의 승인을 받는 신용카드를 이용해서 최종적으로는 제 2 카드사 서버(35)에 의해서 결제가 되는 것이다.
제 1 카드사와 제 2 카드사 사이의 이해관계는 다양한 방법으로 조정될 수 있다. 제 2 카드사 서버(35)가 결제 이벤트를 제 1 카드사 서버(30)로 통지하며, 해당 결제 이벤트에 대한 금액을 제 1 카드사로 정산할 수 있다. 물론 가맹점 단말에 지급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 2 카드사는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자에게 명세서 및 비용청구를 할 것이다.
도 3 및 도 4의 시스템 구성은 예시적이다. 당업자들은 다음과 같은 변형을 용이하게 시도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1) 위 시스템들은 어나더 카드가 신용카드임을 전제로 설명한 것이다. 어나더 카드가 전술한 것처럼 신용카드가 아닌 결제카드나 기타 수단이 어나더 카드로 선택된 경우에는 그것에 따라 시스템 구성이 변경될 수 있다.
(2) 결제 서버는 개념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주요 요소는 원 카드를 리딩하는 가맹점 단말, 원 카드를 소지한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 그리고 결제처리를 위한 서버측 구성이다. 그러므로 결제 서버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여 결제를 담당하는 서버측 구성으로 이해되는 것이 정확할 것이다. 제 1 결제 서버 및 제 2 결제 서버라는 표현도 마찬가지로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여 결제를 담당하는 서버측 구성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렇다면 밴사 서버(20)도 결제 서버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런 이해가 중요한 까닭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구성과 다른, 예컨대 서비스 서버(40)의 위치를 카드사 서버들(30, 35) 앞에 위치시킬 수도 있기 때문이다. 밴사 서버(20)와 서비스 서버(40) 상호 관계, 혹은 밴사 서버(20), 서비스 서버(40), 카드사 서버(30, 35)의 삼각관계에 의해서 어나더 카드에 의한 결제 승인 프로세스가 행해질 수 있다. 이러한 변형 예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결정함에 있어 항상 참작되어야 한다.
도 5는 서비스 서버(4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서비스 서버(40)는 서버 측에서 이루어지는 페어링된 어나더 카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결제카드 그룹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디바이스에 제공하고, 그것을 관리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40)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데이터 저장 및 처리, 데이터 송수신, 인증과 보안의 운용 등을 위한 복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장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서비스 서버(40)는 본 발명의 모바일 결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하여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들을 구축한다. 데이터베이스(41)는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한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3)는 이들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등록된 원 카드 및 페어링된 어나더 카드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5)는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드회사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밖에 서비스 서버(40)는 서비스 제공 및 관리에 필요한 1개 이상의 추가적인 데이터베이스(47)를 구축할 수 있다. 이런 데이터베이스로는 과금에 관한 데이터베이스, 로그 데이터베이스, 보안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 등이 있다.
서비스 서버(40)는 한편으로는 카드사 서버 등의 서버 측과 통신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사용자들의 모바일 디바이스와 실시간으로 통신한다. 서비스 서버(40)는 이처럼 어나더 카드 결제에 필요한 데이터 송수신을 실시간으로 중계한다. 무선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원 카드의 승인 유보, 원 카드에 매칭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페어링된 어나더 카드 그룹의 표시 및 선택, 어나더 카드에 의한 결제실행까지의 일련의 프로세스는 불과 수 초 이내에 완료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서버(40)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어나더 카드 반응시간을 미리 등록할 수 있다. 본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으나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어나더 카드를 미리 설정한 반응시간 내에 어나더 카드 선택 이벤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원 카드로만 결제를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그 반응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2~7초, 더욱 바람직하게는 대략 3초 내외인 것이 좋다. 이로써 결제완료까지의 시간이 지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구성 예를 나타낸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전자정치이다.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프로세서(100), 입력장치(110), 무선통신장치(120), NFC 모듈(130), 디스플레이(140) 및 메모리(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 밖의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다양한 I/O 디바이스, 카메라 모듈, 전원장치,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입력장치(110)는 터치패널에 접촉하여 입력을 행하는 수단이다. 이는 보통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이해될 수 있지만, 이는 터치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물리적 특성을 의미한다. 스타일러스 펜일 수도 있다. 또한 하드웨어 입력기일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40)는 터치패널과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을 구성한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메모리(150)는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컴퓨터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소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150)는 기본적인 입출력 시스템, 운영 체제, 다양한 프로그램들,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들, 프로세서 기능들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루틴들과 같은 디바이스용 펌웨어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메모리(150)에는 어나더 카드 그룹을 제시하여 결제 수단을 선택할 수 있는 전자 매체(51)가 저장되며, 이 전자 매체(51)는 결제카드 그룹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51a)와 이 애플리케이션을 기능 구현을 위한 리소소(5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51a)는 정보의 등록, 수정, 갱신 등을 포함하는 관리자 모듈을 포함해서 다음과 같은 기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 서비스 서버에 접속해서 무선 통신하는 기능 모듈;
- 서비스 서버로부터 실행 코드를 수신하여 자동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기능 모듈;
- 어나더 카드 그룹을 이미지 및/또는 텍스트 형식으로 제시하고 선택하는 기능 모듈;
- 결제를 실행하기 위한 보안 모듈; 및
-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들 기능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51a)는 프로세서(100)를 통해서 실행된다. 프로세서(100)는 운영체제와 함께 컴퓨터 코드를 실행하고 데이터를 생성 및 사용하는 동작을 실행한다. 또한 프로세서(100)는 일련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디바이스의 컴포넌트들 간의 입력 및 출력 데이터의 수신 및 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0)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설치, 표시 및 실행에 관련한 프로세스의 처리를 제어하며, 특히 전자기기의 GUI 요소의 변화를 운영체제 소프트웨어가 보장하고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실행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프로세서(100)는 서비스 서버로부터 실행 코드를 수신하여 애플리케이션(51a)을 실행하고, 입력장치(110)의 선택명령에 따른 애플리케이션(51a)의 어나더 카드 선택 이벤트를 무선 통신 장치(120)를 통해서 서비스 서버로 전송한다.
그러면, 어나더 카드 선택 이벤트가 실행될 수 있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51a)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의 시나리오를 살펴 보자.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화면(500) 구성 예이다. 이 애플리케이션 화면(500)은 사용자가 원 카드를 가맹점 단말에서 사용했을 때 서비스 서버를 통해 호출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의 애플리케이션 화면(500)은 얼터너티브 결제 UI(510)를 포함하며, 이 얼터너티브 결제 UI(510)는 어나더 카드 그룹(5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어나더 카드 그룹(520)은 사전에 원 카드와 페어링 되어 등록된 복수의 어나더 카드 인디케이터(521, 521…)를 포함한다.
도 7의 어나더 카드 인디케이터(521, 521…)에는 "Card A"라는 공통 표시가 있다. 이는 도 3의 실시예를 참고한 것이다. 사용자가 동일한 카드회사에 발급한 서로 다른 신용카드 상품을 사용하는 경우를 예시하기 위해서, 도 7의 "Card A"를 표시하였다. 물론 다른 결제수단(530)을 선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8의 애플리케이션 화면 시나리오는 도 4에 대응한다. 이 실시예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화면(500)의 얼터너티브 결제 UI(510)는 여러 가지 유형의 어나더 카드 그룹이 어나더 카드 인디케이터(540, 550, 560)로 표시될 수 있다. 원 카드와 페어링 되어 등록된 복수의 신용카드를 나타내는 어나더 카드 인디케이터(540, 540…)뿐만 아니라, 모바일 지불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한 결제수단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550)와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결제수단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560)가 어나더 카드 그룹으로 화면에 나타냈다.
도 7 및 도 8의 인디케이터들은 실행명령을 갖는 이미지 및/또는 텍스트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신용카드 이미지 또는 결제특성을 반영한 아이콘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사용자가 특정 인디케이터를 선택하면, 그 인디케이터에 매칭되어 사전에 등록된 결제수단에 의한 결제명령을 무선통신수단에 의해서 서비스 서버에 통지한다.
한편, 도 7 및 도 8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앞서 표 1 및 표 2의 카드 분류 특성에 맞게, 해당 인디케이터들에 고유 속성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속성은, 표 2를 참조하면, 해당 어나더 카드에 대해서 사용자가 미리 등록한 분류 속성일 수 있다. 예컨대 주거래 카드, 쇼핑 카드, 문화생활 카드, 자동차 카드, 여행 카드 등의 텍스트가 속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어나더 카드에 부여한 속성은 가맹점의 할인정보에 관련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문자, 이미지, 숫자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어나더 카드 그룹 중에서 원 카드로 결제를 개시한 가맹점의 할인혜택에 가장 적합한 어나더 카드가 속성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속성은 서비스 서버에서 가맹점의 정보(할인혜택 정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여)를 수집하여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내용에 기초해서, 본 발명의 모바일 결제 방법의 전체 프로세스를 단계별로 정리하여 다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프로세스를 간단히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먼저, 사용자는 원 카드를 사용하여 가맹점에서 결제를 개시할 것이다. 그러면 가맹점 단말은 원 카드를 리딩한다(S10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서는 원 카드는 카드사가 발급한 신용카드일 수 있으며 금융기관이 발급한 체크 카드일 수 있다. 가맹점 단말은 원 카드의 IC칩을 리딩하거나 마그네틱 정보를 스와이핑을 통해서 리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원 카드는 신용카드 정보를 이용하여 신용카드 결제를 실시하는 전자장치, 예컨대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바일 결제일 수도 있다. 가맹점 단말은 스마트폰과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서 결제용 신용카드 정보를 수신하게 되고, 이때의 신용카드의 전자정보가 원 카드가 된다.
다음으로 원 카드와 사전에 페어링 된 어나더 카드를 선택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한다(S200). 이 프로세스를 통해서 어나더 카드가 선택되면, 다음으로 선택된 어나더 카드에 의한 결제 프로세스를 실행한다(S300). 도 10은 S200 단계를, 도 11은 S300 단계를 좀더 상세히 그리고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가맹점의 결제 단말이 원 카드를 리딩하면 밴사 서버를 경유해서 원 카드의 결제를 승인하는 서버 1로 전송된다. 만약 해당 원 카드 사용자가 본 발명의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면 상기 S200 단계로 이행할 수 있다. 서버 1은 원 카드에 대한 결제 승인을 유보하고 서비스 서버와 통신을 개시한다(S210). 서버 1은 서비스 서버로 원 카드의 16자리 신용카드 정보 중에서 일부의 6자리 번호를 전달해 줄 수 있다.
다음으로 서비스 서버는 해당 원 카드에 대해서 등록되어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호출하는 실행 코드를 푸시 알림으로 전송한다(S220).
모바일 디바이스는 실행코드를 수신하여 전술한 결제카드 그룹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어나더 카드 그룹을 디바이스 화면으로 제시한다(S230). 입력수단이 어나더 카드 그룹 중에서 대체 결제 수단인 어나더 카드를 선택하여 서비스 서버로 전송한다(S240).
서비스 서버는 어나더 카드 선택 이벤트를 수신하고(S250). 해당 어나더 카드에 대한 결제를 승인하는 서버 2로 결제 승인 리퀘스트를 전송한다(S260).
다음으로 도 9의 어나더 카드에 의한 결제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S300 단계로 이행한다. 결제 승인 리퀘스트를 수신한 서버 2가 해당 어나더 카드에 대한 결제를 승인한다(S310). 그리고 결제 승인 이벤트는 밴사 서버를 경유하여 가맹점 단말로 통지되고, 가맹점 단말이 해당 승인 이벤트를 수신한다(S320). 가맹점 단말에서 영수증이 출력될 것이다. 모바일 디바이스에서는 결제 완료 메시지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서버측에서는 결제 후처리로서 결제 로그를 기록하고 과금 정산을 한다(S330).
도 9 내지 도 11의 결제 프로세스는 신용카드 기반으로 이루어졌으나, 전술한 것처럼 체크 카드나 사용자가 디바이스로 가입한 여러 형태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결제 수단이 어나더 카드로 사용될 수 있으며,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이동통신사 플랫폼을 경유하는 결제 또한 어나더 카드의 일종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그런 경우 서버 측 구성은 해당 결제 수단에 대응하는 서버와 서비스 서버 상호 간의 관계를 통해서 용이하게 변경될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 카드에 페어링 된 어나더 카드에 의한 대체 결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가능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언어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11)

  1. (a) 가맹점 단말이 원 카드를 리딩하여 결제 서버로 원 카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b) 제 1 결제 서버가 상기 원 카드 정보와 매칭되어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로 실행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미리 설치되어 있는 결제카드 그룹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복수의 결제수단을 포함하는 어나더 카드 그룹을 화면으로 제시하는 단계;
    (d) 입력수단이 상기 어나더 카드 그룹 중에서 결제수단을 선택하면 모바일 디바이스가 결제수단 선택이벤트를 제 2 결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d) 단계에서 선택된 결제 수단으로 결제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 카드를 매개로 페어링된 어나더 카드를 호출하여 결제하는 모바일 결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원 카드는 신용카드, 체크카드, 전자장치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서 수신되는 신용카드 정보 중 어느 하나인, 원 카드를 매개로 페어링된 어나더 카드를 호출하여 결제하는 모바일 결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선택된 결제수단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제 2 결제 서버가 결제 승인 이벤트를 상기 가맹점 단말에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 카드를 매개로 페어링된 어나더 카드를 호출하여 결제하는 모바일 결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제 1 결제 서버가 상기 가맹점 단말로 결제 승인 이벤트를 전송하지 않고 결제 승인을 유보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원 카드를 매개로 페어링된 어나더 카드를 호출하여 결제하는 모바일 결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나더 카드 그룹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결제수단은 사용자가 미리 등록한 신용카드, 체크카드, 가입한 모바일 지불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이동통신사 플랫폼 결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원 카드를 매개로 페어링된 어나더 카드를 호출하여 결제하는 모바일 결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제 서버와 상기 제 2 결제 서버는 동일한 주체이거나 또는 서로 다른 주체인, 원 카드를 매개로 페어링된 어나더 카드를 호출하여 결제하는 모바일 결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제 서버는 상기 원 카드가 가입한 신용카드사 서버와 연관하며, 상기 제 2 결제 서버는 상기 (d) 단계에서 선택된 결제수단이 가입한 결제 서비스 서버와 연관하는 것인, 원 카드를 매개로 페어링된 어나더 카드를 호출하여 결제하는 모바일 결제 방법.
  8. (1) 가맹점 단말이 원 카드를 리딩하여 제 1 신용카드 서버를 포함한 결제 서버로 원 카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2) 상기 결제 서버가 상기 원 카드 정보와 매칭되어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로 실행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3)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미리 설치되어 있는 결제카드 그룹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복수의 결제수단을 포함하는 어나더 카드 그룹을 화면으로 제시하는 단계;
    (4) 입력수단이 상기 어나더 카드 그룹 중에서 어나더 카드를 선택하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어나더 카드 선택 이벤트를 선택된 어나더 카드가 가입된 제 2 신용카드 서버를 포함한 결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5) 상기 제 2 신용카드 서버가 상기 가맹점 단말에서의 신용카드 결제를 선택된 어나더 카드로 실행하여 상기 가맹점 단말에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 카드를 매개로 페어링된 어나더 카드를 호출하여 결제하는 모바일 결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6) 상기 제 2 신용카드 서버의 신용카드사가 상기 제 1 신용카드 서버의 신용카드사에게 결제 대금을 정산하는 단계; 및
    (7) 상기 제 2 신용카드 서버의 신용카드사가 상기 (6)단계에서 정산한 금액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 계정으로 청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 카드를 매개로 페어링된 어나더 카드를 호출하여 결제하는 모바일 결제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는 제 1 신용카드 서버가 상기 가맹점 단말로 결제 승인 이벤트를 전송하지 않고 결제 승인을 유보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원 카드를 매개로 페어링된 어나더 카드를 호출하여 결제하는 모바일 결제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용카드 서버와 상기 제 2 신용카드 서버는 동일한 주체이거나 또는 서로 다른 주체인, 원 카드를 매개로 페어링된 어나더 카드를 호출하여 결제하는 모바일 결제 방법.
KR1020150155072A 2015-11-05 2015-11-05 원 카드를 매개로 페어링된 어나더 카드를 호출하여 결제하는 모바일 결제 방법 KR201700529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072A KR20170052931A (ko) 2015-11-05 2015-11-05 원 카드를 매개로 페어링된 어나더 카드를 호출하여 결제하는 모바일 결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072A KR20170052931A (ko) 2015-11-05 2015-11-05 원 카드를 매개로 페어링된 어나더 카드를 호출하여 결제하는 모바일 결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931A true KR20170052931A (ko) 2017-05-15

Family

ID=58739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5072A KR20170052931A (ko) 2015-11-05 2015-11-05 원 카드를 매개로 페어링된 어나더 카드를 호출하여 결제하는 모바일 결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29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510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token-based payments
US10157398B2 (en) Location-based discounts in different currencies
US9183480B1 (en) Using temporary data with a magnetic stripe card
US993453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ffers through a social media channel
AU2016266012B2 (en)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to transmit data among a plurality of computing systems in processing benefit redemption
US9224141B1 (en) Encoding a magnetic stripe of a card with data of multiple cards
US201400588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based mobile application offers
US201403246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single digital wallet dynamic checkout tool
US20130097078A1 (en) Mobile remote payment system
US11238426B1 (en) Associating an account with a card
US11055734B2 (en)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to coordinate processing among a plurality of separate computing systems
JP2023543377A (ja) 非接触支払のためのアプリケーション統合
US20170039559A1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for payment fulfillment
CA2934342C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offers from tokenized contactless payments
US11200627B2 (en) Conducting various actions indicated by a financial card
KR20140047402A (ko) 결제 수단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210390528A1 (en) Systems and Methods to Coordinate Processing of Separate Computing Systems Connected via a Communication Network and Having Locale Dependent Attributes
US2017032329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king payments
WO20131307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upon-less discounts based on a user broadcasted message
KR20170052931A (ko) 원 카드를 매개로 페어링된 어나더 카드를 호출하여 결제하는 모바일 결제 방법
US20150127450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detection of can-spam violations by merchants and acquirers
KR102033576B1 (ko) 전자 결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US20170083897A1 (en) Mobile purchase rewards
US2020032757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transactional promotions
KR20110065574A (ko) 옵션 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시스템 및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