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2117A - method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consumer electronic devices based on non-active time period management - Google Patents

method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consumer electronic devices based on non-active time period manag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2117A
KR20170052117A KR1020150154155A KR20150154155A KR20170052117A KR 20170052117 A KR20170052117 A KR 20170052117A KR 1020150154155 A KR1020150154155 A KR 1020150154155A KR 20150154155 A KR20150154155 A KR 20150154155A KR 20170052117 A KR20170052117 A KR 20170052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time interval
active
standby mod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41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44887B1 (en
Inventor
김철민
서정욱
Original Assignee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4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4887B1/en
Publication of KR20170052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1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8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3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to reduce power consumption while minimizing inconvenience in using an electronic device. More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active time section, in which a broadcast watching rate is relatively low, and other active time section are set through division. An operation mode is switched into and maintained in an active standby mode when an electronic device is turned off in the active time section such that rebooting standby time of the electronic device in accordance with a following power-on operation is reduced, thereby minimizing inconvenience of a user. The operation mode is switched into and maintained in a passive standby mode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turned off in the inactive time section, thereby effectively saving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Description

비활성 시간구간 관리 기반의 가전장치 전력소비 절감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method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consumer electronic devices based on non-active time period management}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home appliance based on inactivity time interval management and a recording medium therefor,

본 발명은 가전장치의 사용상 불편함을 최소화하면서 전력소비를 절감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while minimizing inconvenience in use of a home appliance.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방송 시청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비활성 시간구간과 그 외의 활성 시간구간으로 구분 설정하고, 활성 시간구간에서 가전장치의 파워 오프시에는 동작 모드를 액티브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 유지시켜 이후 파워 온 조작에 따른 가전장치의 리부팅 대기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사용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비활성 시간구간에서 가전장치의 파워 오프시에는 동작 모드를 패시브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 유지시켜 가전장치의 전력소비를 효과적으로 절감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and sets an inactive time interval and a remaining active time interval in which a broadcasting viewing rate is relatively low, and maintains an operation mode in an active standby mode when the household appliance is powered off in an active time interval The user can minimize the inconvenience by shortening the rebooting waiting time of the home appliance according to the power-on operation and maintains the operation mode in the passive standby mode at the time of power-off of the home appliance in the inactivity time interv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effectively reducing the cost.

댁 내에는 다양한 가전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은 모두 작동 과정에서 나름대로의 필요에 따라 전력을 소비하고 있다. 최근들어 지속가능성이라는 화두가 제기되어 에너지 사용을 감소시켜야 하는 것이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가정에서도 에너지 사용을 절감하기 위한 아이디어가 요구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가전장치들 중에서 높은 전력 소비로 관심받고 있는 셋톱박스를 예로 들어 가전장치의 전력소비 문제를 살펴본다.Various home appliances are used in the home, and all of them consume electric power according to their own needs during operation. In recent years, the issue of sustainability has become a hot issue, and the need to reduce energy use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and ideas for reducing energy use at home are being demanded. In this specification, a power consumption problem of a home appliance is examined by taking as an example a set-top box which is attracted attention with high power consumption among home appliances.

셋톱박스는 통신매체(예: 인터넷)을 통해 외부로부터 방송 컨텐츠를 제공받아 HDMI, 콤포지트(Composite), 콤포넌트(Component)로 연결된 TV 또는 모니터 상에 방송 화면을 표시해주는 장치이다. 초고해상도 방송 화질을 제공하고 인터넷 채널을 통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셋톱박스는 고성능화되면서 기능모듈도 다양하게 장착하고 있다.A set-top box is a device that receives broadcast contents from an external source through a communication medium (e.g., the Internet) and displays a broadcast screen on a TV or a monitor connected to HDMI, composite, or component. In order to provide ultra-high resolution broadcasting quality and to provide various services through Internet channels, set-top boxes are equipped with a variety of functional modules as well as high performance.

이러한 셋톱박스의 동작 모드는 일반적으로 액티브 모드, 액티브 스탠바이 모드, 패시브 스탠바이 모드로 구분된다.The operation mode of such a set-top box is generally divided into an active mode, an active standby mode, and a passive standby mode.

먼저, 액티브 모드는 방송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상태이다.First, the active mode is in a state of watching broadcast contents.

액티브 스탠바이 모드(active standby mode)는 오디오/비디오 출력 기능만 꺼져 있고 네트워크 접속(예: 방송서버와의 연결)을 비롯한 셋톱박스의 전반적인 기능은 모두 동작하고 있는 상태로서, 액티브 스탠바이 모드에서는 제품의 사양에 따라 다르지만 수 와트에서 수십 와트의 전력을 소비한다.In active standby mode, only the audio / video output function is turned off and all the functions of the set-top box including the network connection (eg connection with the broadcasting server) are in operation. In the active standby mode, , But consumes tens of watts in a few watts.

패시브 스탠바이 모드(passive standby mode)는 리모컨과 프론트 패널의 버튼 처리 기능만 켜져 있고 셋톱박스의 나머지 기능은 실질적으로 꺼져 있는 상태이다. 패시브 스탠바이 모드에서는 일반적으로 1와트 이하의 전력을 소비하므로 각국의 전력 관련 규정, 예컨대 유럽의 CDC(Code of Conduct, 윤리규정)에 따른 1와트 대기전력 규정을 만족한다.In passive standby mode, only the remote control and front panel button handling is turned on and the rest of the set-top box is virtually turned off. Passive standby mode typically consumes less than 1 watt of power and therefore meets the power requirements of each country, for example, the 1 watt standby power specifi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European CDC (Code of Conduct).

이와 같은 각국의 전력 관련 규정은 제품 판매를 위해 반드시 만족시켜야 하기 때문에 셋톱박스에는 패시브 스탠바이 모드를 구현해야 한다. 하지만, 패시브 스탠바이 모드로 들어가면 다시 켤 때에 리부팅 과정에서 대략 30초 내지 90초 정도를 기다려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Because such power regulations in each country must be met for product sales, set-top boxes must implement passive standby mode. However, the passive standby mode has a drawback in that it is very inconvenient to wait about 30 to 90 seconds in the rebooting process when turning on the power again.

여기서, 사용자 조작에 대한 셋톱박스의 반응성을 살펴보면, 액티브 스탠바이 모드에서는 셋톱박스의 하드웨어가 대부분 동작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리모컨이나 프론트 패널의 파워 온 버튼을 누르면 리부팅 시간이 거의 없고 사실상 즉시 반응하게 된다.In the active standby mode, most of the hardware of the set-top box is operating. Therefore, when the user presses the power-on button of the remote control or the front panel, the user can react almost instantly with little reboot time .

그러나, 패시브 스탠바이 모드에서는 셋톱박스의 하드웨어가 대부분 꺼져 있는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파워 온 버튼을 누르면 콜드 부팅(cold booting)을 해야 한다. 이 콜드 부팅 프로세스가 완료될 때까지의 시간이 셋톱박스 별로 대략 30초 내지 90초 정도 걸린다. 이처럼 패시브 스탠바이 모드에서는 리부팅 대기 시간이 매우 오래 걸리게 된다.However, in passive standby mode, most of the hardware of the set-top box is turned off, so the user must perform a cold booting by pressing the power-on button. The time to completion of this cold boot process takes approximately 30 to 90 seconds per set-top box. Thus, in passive standby mode, the rebooting wait time becomes very long.

스탠바이 모드를 비교 정리하면, 액티브 스탠바이 모드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반응성이 양호한 반면에 전력소비가 많고, 패시브 스탠바이 모드는 전력소비를 절감할 수 있는 반면에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반응성이 불리하다는 문제가 있다.By comparing the standby modes, it can be seen that the active standby mode has good responsiveness to the user's operation, while the power consumption is high, the passive standby mode can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while the responsiveness to the user's operation is disadvantageous there is a problem.

한편, [도 1]은 전력소비를 제어하는 일반적인 셋톱박스(10)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사용자 조작에 따른 파워 온오프에 따라 파워 온/오프 모듈(11)이 온오프 동작을 하게 되고 그에 따라 동작모드 선택부(12)가 액티브 모드, 액티브 스탠바이 모드, 패시브 스탠바이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1 is a block diagram of a general set top box 10 that controls power consumption. Referring to FIG. 1, when power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the power on / off module 11 performs on / off operation according to a power on / off operation according to a user operation, , The active standby mode, and the passive standby mode.

여기서,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따라 파워 오프를 하면 동작모드 선택부(12)는 우선 셋톱박스(10)의 동작 모드를 액티브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한다. 이 모드에서는 사용자 조작으로 다시 파워 온 시키면 즉시 반응하여 액티브 모드로 전환된다.Here, when the user turns off the power according to the button operation, the operation mode selection unit 12 first switches the operation mode of the set-top box 10 to the active standby mode. In this mode, when power is turned on again by user operation, the system reacts immediately and switches to the active mode.

또한, 동작모드 선택부(12)에 의해 셋톱박스(10)의 동작 모드가 액티브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별다른 이벤트 없이 일정 시간, 예컨대 10분이 경과하면 패시브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된다. 이처럼 패시브 스탠바이 모드로 들어가게 되면 이후에 사용자 조작에 따라 셋톱박스(10)를 파워 온 시킬 때 리부팅 시간이 30초 내지 90초 정도로 오래 걸리겠지만 이는 전력 관련 규정 때문에 어쩔 수 없는 것으로 여겨졌다.In addition,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set-top box 10 is switched to the active standby mode by the operation mode selection unit 12, the passive standby mode is switched to the passive standby mode when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10 minutes elapses without any even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assive standby mode is entered, the rebooting time may be as long as 30 to 90 seconds when the set-top box 10 is powered on according to a user operation. However, this is considered to be inevitable due to the power-related regulations.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3-0005518호 "대기 모드에서 소비전력을 절전하기 위한 셋톱박스"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3-0005518 "Set-top box for power saving in standby mode"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8-0123793호 "셋톱박스에서 소비전력을 절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8-0123793 entitled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Saving in Set-Top Box &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6-0083140호 "소비전력을 절감하기 위한 디지털 케이블 셋톱박스 및 그 방법"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6-0083140 "Digital Cable Set-Top Box and Method for Saving Power Consumption"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1-0105385호 "셋톱박스의 전력 제어장치"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1-0105385 entitled "Power Control Device of Set Top Box"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5-0051916호 "셋톱박스의 전원 모드 제어장치 및 방법"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5-0051916 "Power Mode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Set Top Box"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4-0008999호 "다기능 셋톱박스에서 전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4-0008999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in Multifunction Set-Top Box"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8-0017926호 "셋톱박스의 전원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셋톱박스"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8-0017926 "Power Management System of Set Top Box, Control Method Therefor, Set Top Box"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1-0036143호 "TV용 셋톱박스 전원 자동제어장치 및 그 방법"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1-0036143 "Automatic Set-Top Box Power Control Device for TV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전장치의 사용상 불편함을 최소화하면서 가전장치의 전력소비를 절감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chnique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home appliance while minimizing inconvenience in use of the home appliance.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방송 시청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비활성 시간구간과 그 외의 활성 시간구간으로 구분 설정하고, 활성 시간구간에서 가전장치의 파워 오프시에는 동작 모드를 액티브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 유지시켜 이후 파워 온 조작에 따른 가전장치의 리부팅 대기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사용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비활성 시간구간에서 가전장치의 파워 오프시에는 동작 모드를 패시브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 유지시켜 가전장치의 전력소비를 효과적으로 절감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Particular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eparately set an active time interval and a non-active time interval in which a broadcast viewing ratio is relatively low, and maintains an operation mode in an active standby mode when the household appliance is powered off in an active time interval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by shortening the rebooting waiting time of the home appliance according to the power-on operation and to keep the operation mode in the passive standby mode when the home appliance is powered off in the inactivity time period, And to provide a technology that allows for savings.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송 시청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가전장치의 파워 오프시 즉시 패시브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 유지시키는 비활성 시간구간이 사용자의 선택 또는 사용자의 시간별 시청 패턴에 따라 하나이상 재설정되도록 함으로써 개별 사용자의 TV 시청 환경에 최적화할 수 있는 가전장치의 전력소비 절감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in which an inactive time interval for switching to a passive standby mode immediately upon power-off of an appliance is relatively low, Which can optimize the TV viewing environment of the home applianc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액티브 모드, 액티브 스탠바이 모드, 패시브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하는 가전장치에 대해 비활성 시간구간의 관리에 기초하여 전력소비를 절감하는 방법으로서, (a) 방송 시청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시간구간으로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비활성 시간구간 및 비활성 시간구간 이외의 시간에 해당하는 활성 시간구간을 식별하는 단계; (b)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액티브 모드로부터 파워 오프되는 단계; (c) 파워 오프 시점이 비활성 시간구간에 속하는지 활성 시간구간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d) 파워 오프 시점이 비활성 시간구간에 속하는 경우, 동작 모드를 액티브 모드로부터 패시브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 유지하는 단계; (e) 파워 오프 시점이 상기 활성 시간구간에 속하는 경우. 동작 모드를 액티브 모드로부터 액티브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 유지하는 단계; (f) 액티브 스탠바이 모드 상태에서 현재 시간이 비활성 시간구간으로 진입함을 식별하는 경우, 동작 모드를 액티브 스탠바이 모드로부터 패시브 스탠바이 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based on management of an inactivity time period for a home appliance operating in an active mode, an active standby mode, and a passive standby mode, Identifying an active time interval corresponding to a time other than an inactive time interval and an inactive time interval that are set as a relatively low time interval; (b) powering off from the active mode in response to a user operation; (c) determining whether the power-off time belongs to an inactive time interval or an active time interval; (d) when the power-off time belongs to the inactivity time period,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from the active mode to the passive standby mode; (e) the power-off time belongs to the active time period. Maintaining an operation mode from an active mode to an active standby mode; (f) automatically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from the active standby mode to the passive standby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time enters the inactivity time interval in the active standby mod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가전장치 전력소비 절감 방법은, 비활성 시간구간에 대응하는 디폴트 값을 식별하는 단계; 사용자 조작에 따라 디폴트 값과 상이하게 입력된 하나이상의 시간값을 식별하는 단계; 하나이상의 시간값에 따라 비활성 시간구간을 하나이상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A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dentifying a default value corresponding to an inactivity time interval; Identifying one or more time values entered differently from a default value according to a user operation; And setting at least one inactive time interval according to at least one time valu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전장치 전력소비 절감 방법은, 시청패턴 분석 에이전트가 사용자의 시간별 시청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시간별 시청 패턴의 분석 결과 사용자의 반복 시청시간대, 비반복 시청시간대, 비시청시간대 중 적어도 하나이상으로부터 비활성 시간구간에 대응하는 시간값을 하나이상 자동 추출하는 단계; 자동 추출한 시간값을 기초하여 비활성 시간구간을 하나이상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home appliance, the method comprising: analyzing a viewing pattern of a user by a viewing pattern analyzing agent; Automatically extracting at least one time value corresponding to an inactivity time interval from at least one of a repeated viewing time zone, a non-repeated viewing time zone, and a non-viewing time zone of the use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viewing pattern by time; And setting at least one inactive time interval based on the automatically extracted time valu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전장치 전력소비 절감 방법은, 패시브 스탠바이 모드 상태에서 현재 시간이 활성 시간구간으로 진입함을 식별하는 경우, 동작 모드를 패시브 스탠바이 모드로부터 액티브 스탠바이 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e method further includes the steps of automatically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from the passive standby mode to the active standby mode when it is recognized that the current time enters the active time interval in the passive standby mod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comprise.

본 발명에서 시청패턴 분석 에이전트는 외부의 클라우드 서버에 설치되어 가전장치에 대해 원격으로 비활성 시간구간의 시간 값을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시간별 시청 패턴에 대한 분석은 1주일 단위로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iewing pattern analysis agent may be installed in an external cloud server and configured to remotely set a time value of the inactivity time interval for the home appliance.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nalysis of the hourly viewing pattern is preferably performed on a weekly basi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상기와 같은 비활성 시간구간 관리 기반의 가전장치 전력소비 절감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이다.Meanwhil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ords a program for causing a computer to execute a method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home appliance based on the inactivity time period management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각국의 전력 관련 규정에 따른 가전장치의 대기전력을 1와트 이하로 관리하여야 하는 요건을 충족하면서도 활성 시간구간에서 가전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파워 온 조작으로부터 TV 시청 시작전 대기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사용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한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standby time before starting watching TV from a user's power-on operation of a home appliance in an active time interval while satisfying the requirement to manage standby power of a household appliance according to power-related regulations of each country under 1 wat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is minimized.

또한, 본 발명은 비활성 시간구간에서는 가전장치의 파워 오프시 즉시 패시브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하도록 하여 가전장치의 전력소비는 효과적으로 절감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home appliance is effectively reduced by switching to the passive standby mode immediately after power-off of the home appliance in the inactive time interval.

또한, 본 발명은 가전장치의 파워 오프시 즉시 패시브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하도록 하는 비활성 시간구간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간편하게 하나이상 재설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시청 패턴에 따라 사용자 자신이 가전장치의 전력소비를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activity time interval for switching to the passive standby mode immediately upon power-off of the home appliances can be easily reset by one or more selections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e user can chang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home appliances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effectively saved.

또한, 본 발명은 가전장치의 파워 오프시 즉시 패시브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하도록 하는 비활성 시간구간을 사용자의 시간별 시청 패턴에 따라 연동하여 하나이상 자동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자신의 조작 없이도 가전장치의 전력소비를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activity time interval for switching to a passive standby mode immediately upon power-off of the home appliances is automatically set to one or more in accordance with a viewing pattern of a user, thereby enabling power consumption of the home appliances to be effectively There is an advantage to be saved.

[도 1]은 전력소비를 제어하는 일반적인 셋톱박스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의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의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의 블록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셋톱박스의 전력소비 절감을 위해 동작 모드의 전환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셋톱박스의 동작 모드 전환을 위한 비활성 시간구간을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셋톱박스의 동작 모드 전환을 위한 다른 비활성 시간구간을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general set-top box for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set-top box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of a set-top box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set-top box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witching process of an operation mode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set-top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n inactivity time interval for switching an operation mode of a set-top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nother inactivity time interval for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set top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가전장치들 중에서 높은 전력 소비로 관심받고 있는 셋톱박스를 가정하여 본 발명을 기술하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셋톱박스 뿐만 아니라 다양한 가전장치, 예컨대 디지털 방송수신기, 텔레비전, OTT (Over-The-Top) 박스,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PVR), DVD 플레이어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of a set-top box that is highly interested in power consumption among home appliance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set-top box but various home appliances such as a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Top box, a personal video recorder (PVR), a DVD player, and the like.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의 블록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set-top box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액티브 모드, 액티브 스탠바이 모드, 패시브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하는 셋톱박스(100)에 대해 비활성 시간구간의 관리에 기초하여 전력소비를 절감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를 위해, 셋톱박스(100)는 파워 온/오프 모듈(110), 동작모드 선택부(120), 시간구간 저장부(130), 시간구간 입력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2,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reduce power consumption based on management of an inactivity time period for a set-top box 100 operating in an active mode, an active standby mode, and a passive standby mode will be. The set top box 100 includes a power on / off module 110, an operation mode selection unit 120, a time interval storage unit 130, and a time interval input unit 140.

먼저,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사용자 조작에 의해 파워 온/오프 모듈(110)의 온오프 동작이 이루어진다. 파워 온/오프 모듈(110)의 온오프 동작에 따른 동작모드 선택부(120)의 동작 모드 선택에 따라 셋톱박스(100)에 구비된 다양한 기능모듈에 전원을 인가한다.First, when power is externally applied, on / off operation of the power on / off module 110 is performed by a user operation. Power is applied to the various function modules provided in the set-top box 100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selection of the operation mode selection unit 120 according to the on-off operation of the power-on /

여기서, 셋톱박스(100)는 파워 온/오프 모듈(110)을 모니터링하는 중에 사용자 조작에 따라 파워 온/오프 모듈(110)이 파워 오프된 시점이 활성 시간구간인지 시간구간 저장부(130)에 미리 저장된 디폴트 값으로서의 비활성 시간구간인지를 판단한다.In this case, the set-top box 100 determines whether the time when the power-on / off module 110 is powered off during the monitoring of the power-on / off module 110 is an active time perio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inactive time period is a pre-stored default value.

시간구간 저장부(130)는 비활성 시간구간과 활성 시간구간에 관한 설정을 저장한다. 비활성 시간구간은 방송 시청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시간구간으로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서, 예컨대 24:00 ~ 06:00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활성 시간구간은 하루 24시간 중에서 비활성 시간구간 이외의 시간에 해당하는 시간 구간에 해당한다.The time interval storage unit 130 stores settings related to the inactivity time interval and the active time interval. The inactivity time interval is preset as a time interval in which the broadcast viewing ratio is relatively low, and may be set to, for example, 24:00 to 06:00. Also, the active time interval corresponds to a time interval corresponding to a time other than the inactivity time interval among 24 hours a day.

이어서, 셋톱박스(100)는 시간구간 저장부(130)를 참조하여, 셋톱박스(100)의 파워 오프된 시점(시각)이 비활성 시간구간에 속한다고 판단되면 동작모드 선택부(120)가 셋톱박스(100)의 동작 모드를 액티브 모드로부터 바로 패시브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종래기술에서는 액티브 모드에서 일차로 액티브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하고, 그 상태로 아무런 이벤트 없이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패시브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비활성 시간구간에서 파워 오프가 발생하면 액티브 스탠바이 모드를 경유하지 않고 바로 패시브 스탠바이 모드로 진입한다.When the set-top box 100 determines that the power-off time of the set-top box 100 belongs to the inactivity time period, the operation mode selection unit 120 selects the set- And controls the operation mode of the box 100 to be switched from the active mode to the passive standby mode immediately. In the prior art, the active standby mode is firstly switched to the active standby mode, and when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without any event, the active standby mode is switched to the passive standby mode.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ower-off occurs in the inactive time interval, the passive standby mode is entered without going through the active standby mode.

반대로, 셋톱박스(100)는 파워 오프 시점의 판단 결과, 셋톱박스(100)의 파워 오프 시점이 활성 시간구간에 속한다고 판단되면 동작모드 선택부(120)가 셋톱박스(100)의 동작 모드를 액티브 모드로부터 액티브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에서 '전환 유지'의 의미는 액티브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동안 아무런 사용조작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패시브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되는 것이 아니라는 의미이다. 그런 경우에도 본 발명에서는 액티브 스탠바이 모드로 유지된다.If the set-top box 100 determines that the power-off time of the set-top box 100 belongs to the active time period as a result of the power-off time determination, the operation mode selection unit 120 sets the operation mode of the set- And controls to keep switching from the active mode to the active standby mode. Here, the meaning of 'keep switching' means that the system does not automatically switch to the passive standby mode even if no use event occur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the active standby mode. Even in such a case, the present invention remains in the active standby mode.

이후에, 셋톱박스(100)는 액티브 스탠바이 모드인 상태에서 현재의 시간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데, 그 결과로 현재 시간이 활성 시간구간에서 비활성 시간구간으로 진입함(예컨대, 23:59에서 24:00으로 됨)을 식별하면, 동작모드 선택부(120)가 셋톱박스(100)의 동작 모드를 액티브 스탠바이 모드로부터 패시브 스탠바이 모드로 자동 전환하도록 제어한다.Thereafter, the set-top box 100 monitors the current time in real-time in the active standby mode, so that the current time enters the inactivity time interval from the active time interval (e.g., 23:59 to 24:00 , The operation mode selection unit 120 controls the operation mode of the set top box 100 to be automatically switched from the active standby mode to the passive standby mode.

한편, 셋톱박스(100)는 비활성 시간구간으로 미리 설정되어 시간구간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디폴트 값을 비활성 시간구간을 식별한다. 그런데, 사용자는 예를 들어 메뉴 조작을 통해 비활성 시간구간을 상이한 시간 값으로 변경하거나 새롭게 다른 시간 값을 추가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셋톱박스(100)는 디폴트 값과 상이하도록 시간구간 입력부(140)를 통해 지정된 하나이상의 시간값을 식별하면, 바람직하게는 이 시간값을 기초로 비활성 시간구간을 하나이상 재설정하여 시간구간 저장부(130)에 저장한다.Meanwhile, the set-top box 100 identifies the inactive time interval as a default value that is preset in the inactive time interval and stored in the time interval storage unit 130. [ However, the user may change the inactivity time interval to a different time value or add another time value, for example, through a menu operation. Accordingly, when the set top box 100 identifies one or more time values designated through the time interval input unit 140 so as to be different from the default value, preferably, the set top box 100 resets one or more inactive time intervals based on the time value,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unit 130.

이처럼 비활성 시간구간을 기존에 설정되어 있는 시간 값을 변경할 수도 있고 새로운 비활성 시간구간을 추가할 수도 있다. 앞서 기술하였던 정의에 따른 당연한 결과로서 이처럼 비활성 시간구간이 재설정(변경, 추가)됨에 따라 활성 시간구간도 자동적으로 재설정된다.In this manner, the inactive time interval can be changed to a previously set time value or a new inactive time interval can be added. As a result of the definition described above, the active time interval is automatically reset as the inactive time interval is reset (changed, added).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의 블록구성도를 나타낸다.FIG. 3 and FIG. 4 show block diagrams of a set-top box according to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3 실시예는 셋톱박스(100)에서 비활성 시간구간을 자동 설정해주는 전용 프로그램인 시청패턴 분석 에이전트(2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 a viewing pattern analysis agent 200, which is a dedicated program for automatically setting an inactivity time interval in the set top box 100 .

시청패턴 분석 에이전트(200)는 [도 3]에서와 같이 셋톱박스(10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와 같이 네트워크로 연동하는 외부의 클라우드 서버(300)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원격으로 셋톱박스(100)에 대해 비활성 시간구간의 시간 값을 설정할 수도 있다.The viewing pattern analysis agent 20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set-top box 100 as shown in FIG.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it may be installed in an external cloud server 300 linked to a network, and may set a time value of an inactive time interval to the set-top box 100 remotely, as described later.

본 발명에서는 최적 실시예로서 시간구간 입력부(140)를 통해 비활성 시간구간을 설정하는 것을 제시하며, 시청패턴 분석 에이전트(200)는 본 발명에 대한 좀더 복잡한 구현 예로서 추가로 제시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hown that the inactivity time interval is set through the time interval input unit 140 as an optimal embodiment, and the viewing pattern analysis agent 200 further provides a more complicat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사용자 조작에 의해 파워 온/오프 모듈(110)의 온오프 동작이 이루어지고, 파워 온/오프 모듈(110)의 온오프 동작에 따른 동작모드 선택부(120)의 동작 모드 선택에 따라 셋톱박스(100)에 구비된 다양한 기능모듈에 전원을 인가한다.First, when power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the power on / off module 110 is turned on and off by a user operation, and the operation mode selector 120 according to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power on / Top box 100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operation mode of the set top box 100.

여기서, 셋톱박스(100)는 파워 온/오프 모듈(110)을 모니터링하는 중에 사용자 조작에 따라 파워 온/오프 모듈(110)이 파워 오프한 시점이 미리 구분한 활성 시간구간인지 아니면 비활성 시간구간인지를 판단한다.In this case, the set-top box 100 determines whether the time when the power-on / off module 110 is powered off according to a user operation during the monitoring of the power-on / off module 110 is an active time period or a non- .

이어서, 셋톱박스(100)는 파워 오프 시점의 판단 결과, 셋톱박스(100)에 대한 파워 오프 시점이 시간구간 저장부(130)에 저장된 비활성 시간구간에 속한다고 판단되면 동작모드 선택부(120)가 셋톱박스(100)의 동작 모드를 액티브 모드로부터 패시브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 유지하도록 제어한다.When the set-top box 100 determines that the power-off time for the set-top box 100 belongs to the inactivity time interval stored in the time-interval storage unit 130 as a result of the power-off time determination, Controls the operation mode of the set top box 100 from the active mode to the passive standby mode.

반대로, 셋톱박스(100)는 파워 오프 시점의 판단 결과, 셋톱박스(100)에 대한 파워 오프 시점이 활성 시간구간에 속한다고 판단되면 동작모드 선택부(120)가 셋톱박스(100)의 동작 모드를 액티브 모드로부터 액티브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 유지하도록 제어한다.When the set-top box 100 determines that the power-off time point for the set-top box 100 belongs to the active time period as a result of the power-off time point, the operation mode selection unit 120 selects the operation mode of the set- From the active mode to the active standby mode.

또한, 셋톱박스(100)는 셋톱박스(100)가 액티브 스탠바이 모드인 상태에서 현재 시간이 비활성 시간구간으로 진입함을 식별하면, 동작모드 선택부(120)가 셋톱박스(100)의 동작 모드를 액티브 스탠바이 모드로부터 패시브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When the set-top box 100 identifies that the settop box 100 enters the inactivity time interval in the active standby mode, the operation mode selection unit 120 sets the operation mode of the settop box 100 as And switches from the active standby mode to the passive standby mode.

셋톱박스(100)는 비활성 시간구간으로 시간구간 저장부(130)에 미리 설정된 디폴트 값과 시간구간 입력부(140)를 통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이하게 입력된 하나이상의 시간값을 식별하면, 바람직하게는 이 시간값을 기초로 비활성 시간구간을 하나이상 재설정하도록 구성된다.When the set top box 100 identifies one or more time values input differently according to a default value preset in the time interval storage unit 130 and a user operation through the time interval input unit 140 in an inactive time interval, And to reset one or more inactive time intervals based on the time value.

이때, 시청패턴 분석 에이전트(200)는 사용자가 TV를 시청하는 시간별 시청 패턴을 분석한 후, 그 시간별 시청 패턴의 분석 결과로부터 사용자의 반복 시청시간대, 비반복 시청시간대, 비시청시간대 중 적어도 하나이상으로부터 비활성 시간구간으로 설정하기에 적합한 시간값(시간 대역)을 하나이상 자동 추출하여 시간구간 저장부(130)에 저장하고, 그 저장된 시간값을 기초하여 비활성 시간구간을 하나이상 재설정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viewing pattern analysis agent 200 analyzes a time-based viewing pattern of the user by watching the TV, and then analyzes at least one of the repeated viewing time period, the non-repeated viewing time period, and the non- (Time zone) suitable for setting the inactivity time interval from the inactive time interval to the time interval storage unit 130, and resets one or more inactive time intervals based on the stored time valu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셋톱박스의 전력소비 절감을 위해 동작 모드의 전환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ode switching proces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set-top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S110) : 본 발명은 액티브 모드, 액티브 스탠바이 모드, 패시브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하는 셋톱박스(100)에 대해 비활성 시간구간의 관리에 기초하여 전력소비를 절감하는 방법으로서, 먼저, 셋톱박스(100)는 방송 시청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비활성 시간구간 및 이러한 비활성 시간구간 이외의 시간에 해당하는 활성 시간구간을 식별하도록 구성된다.Step S110: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ased on management of an inactivity time period for a set-top box 100 operating in an active mode, an active standby mode, and a passive standby mode, ) Is configured to identify an inactive time interval with a relatively low broadcast viewing rate and an active time interval corresponding to a time other than the inactive time interval.

단계 (S120, S130) :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셋톱박스(100)가 액티브 모드로부터 파워 오프되면, 셋톱박스(100)는 시간구간 저장부(130)와 파워 온/오프 모듈(110)을 모니터링한 결과 셋톱박스(100)의 파워 오프 시점이 비활성 시간구간에 속하는지 활성 시간구간에 속하는지 판단한다.When the set top box 100 is powered off from the active mode in response to a user operation, the set top box 100 monitors the time interval storage unit 130 and the power on / off module 110 (steps S120 and S13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ower-off time point of the set-top box 100 belongs to the inactivity time interval or the active time interval.

단계 (S140, S150) : 이어서, 셋톱박스(100)는 시간구간의 판단 결과, 셋톱박스(100)의 파워 오프 시점이 비활성 시간구간에 속하는 경우, 동작모드 선택부(120)를 제어하여 셋톱박스(100)의 동작 모드를 액티브 모드로부터 패시브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 유지하도록 한다.When the power-off time of the set-top box 100 belongs to the inactivity time perio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time interval, the set-top box 100 controls the operation mode selection unit 120 to set- (100) is switched from the active mode to the passive standby mode.

단계 (S150) : 한편, 셋톱박스(100)는 시간구간의 판단 결과, 셋톱박스(100)의 파워 오프 시점이 활성 시간구간에 속하는 경우, 동작모드 선택부(120)를 제어하여 셋톱박스(100)의 동작 모드를 액티브 모드로부터 액티브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 유지하도록 한다.When the power-off time of the set-top box 100 belongs to the active time interval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time interval, the set-top box 100 controls the operation mode selection unit 120 to set the set- ) From the active mode to the active standby mode.

단계 (S160) : 그리고, 셋톱박스(100)는 셋톱박스(100)가 액티브 스탠바이 모드인 상태에서 현재 시간이 비활성 시간구간으로 진입함을 식별하는 경우, 셋톱박스(100)의 동작 모드를 액티브 스탠바이 모드로부터 패시브 스탠바이 모드로 자동 전환한다.When the set-top box 100 identifies that the current time enters the inactivity time interval in the active standby mode, the set-top box 100 sets the operation mode of the set- Mode to passive standby mode.

단계 (S170) : 또한, 셋톱박스(100)는 셋톱박스(100)가 패시브 스탠바이 모드인 상태에서 현재 시간이 활성 시간구간으로 진입함을 식별하는 경우, 셋톱박스(100)의 동작 모드를 패시브 스탠바이 모드로부터 액티브 스탠바이 모드로 자동 전환한다.When the set-top box 100 identifies that the current time enters the active time interval while the set-top box 100 is in the passive standby mode, the operation mode of the set- Mode to active standby mod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셋톱박스의 동작 모드 전환을 위한 비활성 시간구간을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n inactivity time interval for switching an operation mode of the set top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S210) : 셋톱박스(100)는 셋톱박스(100)가 액티브 모드로부터 패시브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 유지되는 비활성 시간구간을 사용자 조작에 의해 재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먼저, 셋톱박스(100)는 비활성 시간구간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디폴트 값을 식별한다.In step S210, the set-top box 100 allows the set-top box 100 to reset the inactivity time period during which the set-top box 100 is switched from the active mode to the passive standby mode by a user's operation. And identifies a preset default value corresponding to the time interval.

단계 (S220, S230) : 이어서, 셋톱박스(100)는 시간구간 저장부(130)에 미리 저장된 디폴트 값과 상이하게 시간구간 입력부(140)를 통한 사용자 조작으로 시간구간 저장부(130)에 저장된 하나이상의 시간값을 식별한다. 이어서, 그 식별한 하나이상의 시간값에 따라 비활성 시간구간을 하나이상 재설정한다.The set top box 100 is stored in the time interval storage unit 130 by a user's operation through the time interval input unit 140 different from the default value stored in the time interval storage unit 130 in advance One or more time values are identified. Then, one or more inactive time intervals are reset according to the identified one or more time values.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셋톱박스의 동작 모드 전환을 위한 다른 비활성 시간구간을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nother inactivity time interval for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set top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S310) : 셋톱박스(100)에 설치된 시청패턴 분석 에이전트(200)는 먼저 사용자의 시청 패턴을 모니터링하여 시간별 시청 패턴을 분석한다. 일반적으로 TV 편성표는 1주일 단위로 이루어지므로 시청패턴 분석 에이전트(200)는 1주일 단위로 사용자의 시간별 시청 패턴을 분석함이 바람직하다.Step S310: The viewing pattern analysis agent 200 installed in the set-top box 100 first monitors the viewing pattern of the user and analyzes the viewing pattern by time. Generally, since the TV schedule table is formed on a weekly basis, it is preferable that the viewing pattern analysis agent 200 analyzes the viewing pattern of the user in units of one week.

단계 (S320) : 그리고, 시청패턴 분석 에이전트(200)는 시간별 시청 패턴의 분석 결과 사용자의 반복 시청시간대, 비반복 시청시간대, 비시청시간대 중 적어도 하나이상으로부터 비활성 시간구간에 대응하는 시간값(시간 대역)을 하나이상 자동 추출하여 시간구간 저장부(130)에 저장한다.Step S320: Then, the analysis tool 200 analyzes the time-based viewing pattern from the at least one of the repeated viewing time zone, the non-repeated viewing time zone, and the non-viewing time zone of the user as a time value corresponding to the inactivity time interval Band) is automatically extracted and stored in the time interval storage unit 130.

단계 (S330) : 이어서,시청패턴 분석 에이전트(200)는 하나이상 자동 추출하여 시간구간 저장부(130)에 저장한 시간값을 기초하여 비활성 시간구간을 하나이상 재설정하도록 구성된다.Step S330: Subsequently, the viewing pattern analysis agent 200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reset one or more inactive time periods based on the time values stored in the time period storage unit 130 by automatically extracting one or more.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in the form of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t this time,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웨이브(예: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된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stored and executed by a computer-readable code in a distributed manner on a networked computer system.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deduced by programmers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10 : 셋톱박스
11 : 파워 온/오프 모듈
12 : 동작모드 선택부
100 : 셋톱박스
110 : 파워 온/오프 모듈
120 : 동작모드 선택부
130 : 시간구간 저장부
140 : 시간구간 입력부
200 : 시청패턴 분석 에이전트
300 : 클라우드 서버
10: Set-top box
11: Power on / off module
12: Operation mode selection unit
100: Set-top box
110: Power on / off module
120: Operation mode selection unit
130: time interval storage unit
140: time interval input unit
200: Watch Pattern Analysis Agent
300: Cloud server

Claims (7)

액티브 모드, 액티브 스탠바이 모드, 패시브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하는 가전장치에 대해 비활성 시간구간의 관리에 기초하여 전력소비를 절감하는 방법으로서,
(a) 방송 시청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시간구간으로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비활성 시간구간 및 상기 비활성 시간구간 이외의 시간에 해당하는 활성 시간구간을 식별하는 단계;
(b)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액티브 모드로부터 파워 오프되는 단계;
(c) 상기 파워 오프 시점이 상기 비활성 시간구간에 속하는지 상기 활성 시간구간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파워 오프 시점이 상기 비활성 시간구간에 속하는 경우, 동작 모드를 액티브 모드로부터 패시브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 유지하는 단계;
(e) 상기 파워 오프 시점이 상기 활성 시간구간에 속하는 경우. 동작 모드를 액티브 모드로부터 액티브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 유지하는 단계;
(f) 액티브 스탠바이 모드 상태에서 현재 시간이 비활성 시간구간으로 진입함을 식별하는 경우, 동작 모드를 액티브 스탠바이 모드로부터 패시브 스탠바이 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활성 시간구간 관리 기반의 가전장치 전력소비 절감 방법.
CLAIMS 1. A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ased on management of an inactivity time interval for a consumer device operating in an active mode, an active standby mode, and a passive standby mode,
(a) identifying an inactivity time interval previously set as a time interval with a relatively low broadcast viewing rate and an active time interval corresponding to a time other than the inactivity time interval;
(b) powering off from the active mode in response to a user operation;
(c) determining whether the power-off time belongs to the inactivity time interval or the active time interval;
(d) when the power-off time falls within the inactive time period,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from the active mode to the passive standby mode;
(e) the power-off time belongs to the active time period. Maintaining an operation mode from an active mode to an active standby mode;
(f) automatically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from the active standby mode to the passive standby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time enters the inactive time interval in the active standby mode;
Wherein the inactivity time interval management is based on the inactivity time interval manageme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 시간구간에 대응하는 디폴트 값을 식별하는 단계;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디폴트 값과 상이하게 입력된 하나이상의 시간값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하나이상의 시간값에 따라 상기 비활성 시간구간을 하나이상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활성 시간구간 관리 기반의 가전장치 전력소비 절감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dentifying a default value corresponding to the inactivity time interval;
Identifying one or more time values input differently from the default values according to a user operation;
Setting one or more inactive time intervals according to the one or more time values;
Wherei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home appliance is lower tha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home appliance.
청구항 2에 있어서,
시청패턴 분석 에이전트가 사용자의 시간별 시청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시간별 시청 패턴의 분석 결과 사용자의 반복 시청시간대, 비반복 시청시간대, 비시청시간대 중 적어도 하나이상으로부터 상기 비활성 시간구간에 대응하는 시간값을 하나이상 자동 추출하는 단계;
상기 자동 추출한 시간값을 기초하여 상기 비활성 시간구간을 하나이상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활성 시간구간 관리 기반의 가전장치 전력소비 절감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Analyzing a viewing pattern of a user by a viewing pattern analyzing agent;
Automatically extracting one or more tim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inactivity time period from at least one of a repeated viewing time zone, a non-repeated viewing time zone, and a non-viewing time zone of the use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viewing pattern by time;
Setting one or more inactive time intervals based on the automatically extracted time values;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inactivity time interval based on the inactivity time interval management inform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패시브 스탠바이 모드 상태에서 현재 시간이 비활성 시간구간으로부터 활성 시간구간으로 진입함을 식별하는 경우, 동작 모드를 패시브 스탠바이 모드로부터 액티브 스탠바이 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활성 시간구간 관리 기반의 가전장치 전력소비 절감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utomatically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from the passive standby mode to the active standby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time enters the active time period from the inactive time period;
Wherei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home appliance is lower tha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home applianc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시간별 시청 패턴에 대한 분석은 1주일 단위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활성 시간구간 관리 기반의 가전장치 전력소비 절감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nalysis of the hourly viewing pattern is performed every week. ≪ RTI ID = 0.0 > 11. < / RTI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시청패턴 분석 에이전트는 외부의 클라우드 서버에 설치되어 상기 가전장치에 대해 원격으로 비활성 시간구간의 시간 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활성 시간구간 관리 기반의 가전장치 전력소비 절감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viewing pattern analysis agent is installed in an external cloud server and remotely sets a time value of an inactivity time interval for the home appliance.
컴퓨터에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비활성 시간구간 관리 기반의 가전장치 전력소비 절감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causing a computer to execute a method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home appliance based on inactivity time interval managemen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KR1020150154155A 2015-11-03 2015-11-03 method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consumer electronic devices based on non-active time period management KR1017448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155A KR101744887B1 (en) 2015-11-03 2015-11-03 method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consumer electronic devices based on non-active time period manag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155A KR101744887B1 (en) 2015-11-03 2015-11-03 method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consumer electronic devices based on non-active time period manag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117A true KR20170052117A (en) 2017-05-12
KR101744887B1 KR101744887B1 (en) 2017-06-08

Family

ID=58740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4155A KR101744887B1 (en) 2015-11-03 2015-11-03 method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consumer electronic devices based on non-active time period manag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4887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4887B1 (en) 2017-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06409B1 (en) Methods for operating an apparatus having multiple stand-by modes
US874942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in electronic devices
US8849097B2 (en) Energy-efficient media equipment device
US8447999B2 (en) Electrical power saving system
KR101324604B1 (en) Multiple standby state management method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WO2010008763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serving energy in an entertainment system
JP2008054085A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starting method thereof
US20100141848A1 (en) Power saving device
US7397514B2 (en) Multimedia present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20040079474A (en) Home gateway system with power management function
US20110187698A1 (en) Power controlling device and method for video display apparatus
WO2010118696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power management device thereof
KR101744887B1 (en) method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consumer electronic devices based on non-active time period management
US20120266207A1 (en) Set top box and power management method thereof
JP2008205882A (en) Startup mode setting method of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14126888A (en) Information processor,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KR101264155B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with Multiple Standby Mode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18424B1 (en) low power mode control method of settop box using power mode auto switching with user existence detection
CN106028131B (en) Control method, device and system
KR20160007081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ower of standby mode using an user's watching pattern
Lee et al. Energy saving system for set-top boxes with passive standby mode
KR102088958B1 (en) State conversion method performing the settop-box coupled with network
JP2015500523A (en) Using customer preferences to minimize the impact of maintenance required
JP2011211743A (en) Display device
KR20120072180A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e controllin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