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1379A - Toothbrush - Google Patents

Toothbrus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1379A
KR20170051379A KR1020167036429A KR20167036429A KR20170051379A KR 20170051379 A KR20170051379 A KR 20170051379A KR 1020167036429 A KR1020167036429 A KR 1020167036429A KR 20167036429 A KR20167036429 A KR 20167036429A KR 20170051379 A KR20170051379 A KR 20170051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portion
soft
toothbrush
handl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64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77531B1 (en
Inventor
료스케 하치스카
아이 와타나베
아츠토 키무라
토시아키 코바야시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51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3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5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54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 A46B5/006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being flexible or resilient during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33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bending or stretching or collapsing
    • A46B5/0037Flexible resilience by plastic deformation of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구강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단측에 식모면(21-1b)을 갖는 헤드부(14)와, 헤드부보다 후단측에 배치되어 핸들부 본체(31)를 포함하는 핸들부(16)를 갖고, 식모면과 핸들부 사이에 배치되어 헤드부로의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변형부(15A)와, 헤드부로부터 핸들부의 선단측의 일부에 걸쳐 배치되어 경질 수지로 형성된 경질 부재(17)와, 변형부로부터 후단측으로 배치되어 경질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며, 또한 연질 수지로 형성된 연질부(26)를 포함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othbrush capable of suppressing damage to the user's mouth. And a handle portion 16 which is dispos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head portion and includes the handle portion main body 31. The handle portion 16 is provided between the kneading surface and the handle portion, A rigid member 17 formed of a hard resin and disposed on a part of a front end side of the handle portion from the head portion and a rigid member 17 disposed on the rear end side from the deformation portion, And at least a part of the member, and a soft portion 26 formed of a soft resin.

Figure P1020167036429
Figure P1020167036429

Description

칫솔{TOOTHBRUSH}Toothbrush {TOOTHBRUSH}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 특히 사용자의 구강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brush,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othbrush capable of suppressing damage to a user's mouth.

본원은 2014년 9월 1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2014-177334호에 의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claims priority based 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4-177334 filed on September 1, 2014, th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종래, 칫솔을 사용할 때(구체적으로는 칫솔을 입에 문 상태일 때)의 전도에 의해 구강 외 상처를 입는 경우가 있고, 특히 칫솔의 사용자가 1~3세의 유아일 경우에 구강 외 상처를 입는 케이스가 많다.Conventionally, when using a toothbrush (specifically, when the toothbrush is in a mouth state at the mouth), there is a case where an external tooth injury is caused by conduction. In particular, when the user of the toothbrush is an infant 1 to 3 years old, There are many wearing cases.

종래, 헤드부 및 네크부의 결손이나 꺽임을 억제할 수 있는 칫솔로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칫솔이 있다.Background Art [0002] There is a toothbrush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as a toothbrush capable of suppressing defects and tumbling of a head portion and a neck portion.

특허문헌 1에는 경질 수지로 구성된 기대의 표면에 헤드부의 표면적과 네크부의 표면적의 합계의 70% 이상을 덮는 연질 수지로 이루어지는 피복층이 형성된 칫솔이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toothbrush in which a coating layer made of a soft resin covering a surface of a base composed of a hard resin and covering at least 70% of the total of the surface area of the head portion and the surface area of the neck portion is formed.

또한, 특허문헌 1에는 헤드부 및 네크부의 전체의 두께(기대의 두께와 상기 기대를 피복하는 피복층의 두께를 합계한 두께)를 3~5㎜로 하고, 헤드부 및 네크부를 구성하는 기대의 두께를 2~4㎜로 하고, 피복층의 두께를 0.5~2㎜(바람직하게는 0.8~1.5㎜)로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Further, in Patent Document 1, the total thickness of the head portion and the neck portion (thickness obtained by summing the thickness of the base and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layer covering the base) is 3 to 5 mm and the thickness of the base and the base constituting the neck portion Is set to 2 to 4 mm, and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layer is set to 0.5 to 2 mm (preferably 0.8 to 1.5 mm).

특허문헌 1에는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헤드부나 네크부에 과도한 부하가 가해졌을 경우에도 핸들체를 꺾이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나, 헤드부 또는 네크부가 꺾인 경우에도 피복층에 의해 접힌 부분이 노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structure in which even when an excessive load is applied to the head portion or the neck portion, it is possible to make the handle portion difficult to be broken. However, even when the head portion or the neck portion is bent, Is disclosed.

상기 구성으로 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칫솔은 헤드부의 선단부를 구성하는 기대가 연질 수지로 덮여 있기 때문에 강하게 씹거나, 구강 내에 헤드부의 선단이 강하게 닿았거나 했을 때, 상기 연질 수지가 쿠션재로서 기능한다.In the toothbrush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soft resin functions as a cushioning member when the teeth constituting the tip portion of the head portion are covered with the soft resin, and when the tooth is strongly chewed or when the tip of the head portion is strongly touched.

이 때문에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칫솔을 사용함으로써 헤드의 선단부에 기인하는 구강 내의 손상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refore, by using the toothbrush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damage in the mouth caused by the tip of the head can be suppressed.

일본 특허공개 2013-458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3-458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칫솔의 네크부는 상기 네크부를 구성하는 기대(두께 2~4㎜)의 표면을 덮도록 상기 기대보다 두께가 얇으며, 또한 연질 수지로 이루어지는 피복층(바람직한 두께가 0.8~1.5㎜)이 형성되어 있다.However, in the neck portion of the toothbrush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a covering layer made of a soft resin having a thickness smaller than that of the above-mentioned base so as to cover the surface of the base (thickness 2 to 4 mm) constituting the neck portion Mm.

이 때문에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칫솔의 네크부는 연질 수지보다 경질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대의 비율 쪽이 높아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For this reason, the neck portion of the toothbrush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ratio of the base made of the hard resin is higher than that of the soft resin.

이 때문에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칫솔의 헤드부는, 예를 들면 상기 칫솔의 연장 방향(구체적으로는 칫솔의 후단으로부터 선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졌을 때 사용자의 구강 내가 손상하지 않도록 헤드부의 선단으로 전달되는 외력이 충분히 유출되도록 구부러지는 것이 곤란했다(단, 모두 경질 수지로 구성했을 경우보다는 구부러지기 쉽다).For this reason, the head portion of the toothbrush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has a structure in which, for example,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toothbrush (specifically, the direction from the rear end to the tip end of the toothbrush) It is difficult to bend the external force to be transmitted sufficiently (however, it is easier to bend than when it is made of hard resin).

따라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칫솔을 입에 문 상태로 칫솔의 후단으로부터 선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강한 외력이 가해지면, 사용자의 구강 내가 손상되어버릴 우려가 있었다.Therefore, if a strong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the direction from the rear end to the tip end of the toothbrush in the mouth state of the toothbrush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the user's mouth may be damaged.

특히, 칫솔의 사용자가 1~3세의 유아일 경우, 구강 내가 손상될 리스크가 높아진다.Especially, when the user of the toothbrush is an infant aged 1 to 3 years, the risk of damage to the oral cavity is increased.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사용자의 구강 내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othbrush capable of suppressing damage to the mouth of a user.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칫솔은 선단측에 식모면을 갖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보다 후단측에 배치되어 핸들부 본체를 포함하는 핸들부를 갖고, 상기 식모면과 상기 핸들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헤드부로의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변형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상기 핸들부의 선단측의 일부에 걸쳐 배치되어 경질 수지로 형성된 경질 부재와, 상기 변형부로부터 후단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경질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며, 또한 연질 수지로 형성된 연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 tooth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ead portion having a wedge-shaped surface on the tip side, and a handle portion dispos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head portion and including a handle portion main body, A rigid member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handle portion and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to the head portion, a rigid member which is disposed from a part of the tip end side of the handle portion from the head portion, And a soft portion accommodating at least a part of the hard member therein and formed of a soft resin.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에 배치되어 상기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제 2 변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oothbrush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deforming portion is disposed on the handle portion and deformed by the external force.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핸들부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적어도 1개의 축경된 링형상의 함몰부를 갖고, 상기 제 2 변형부는 상기 함몰부의 배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toothbrush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portion has at least one ring-shaped depressed portion which is reduced in diameter with respect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handle portion, and the second deformed portion is disposed at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depressed portion .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경질 부재는 상기 헤드부에 있어서 상기 식모면측에 노출하는 제 1 노출부와, 상기 식모면과는 반대측에 노출하는 제 2 노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toothbrush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rd member may include a first exposed portion exposed on the cooking cavity side of the head portion, and a second exposed portion ex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ooking cavity .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경질 부재는 상기 핸들부에 있어서 상기 식모면측으로 돌출되어 노출하는 기둥형상의 제 1 돌출부와, 상기 핸들부에 있어서 상기 식모면과는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노출하는 기둥형상의 제 2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toothbrush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igid member may have a columnar first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d protruding from the eating-compartment side of the handle portion, And a second projection projecting in a columnar shape protruding to the opposite side.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연질부의 상기 식모면측에 형성된 제 1 개구부를 통해 노출하고,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연질부의 상기 식모면측과는 반대측에 형성된 제 2 개구부를 통해 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tooth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is exposed through a first opening formed on the side of the cooking cavity of the soft portion, and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is exposed on the cooking cavity side of the soft portion Is exposed through the second opening formed on the opposite side.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에 있어서의 상기 연질부는 상기 선단측을 향해서 앞이 가늘어지는 테이퍼부를 갖고, 상기 제 1 개구부 및 상기 제 2 개구부는 상기 테이퍼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tooth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ft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has a tapered portion that tapers toward the distal end side, and the first opening portion and the second opening portion are tapered portions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연질부는 표면에 분할선을 갖고,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분할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식모면과 직교하는 방향의 일방측으로 노출하고,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분할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직교하는 방향의 타방측으로 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oothbrush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ft portion has a dividing line on the surface,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is exposed to one sid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meatal surface with the dividing line therebetween, And the second projection is exposed to the other side in the orthogonal direction with the dividing line interposed therebetween.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경질 부재는 상기 핸들부까지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돌출부의 선단면 및 상기 제 2 돌출부의 선단면은 상기 핸들부의 외면에 대하여 면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oothbrush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igid member is disposed so as to extend to the handle portion, and a distal end surface of the first protruding portion and a distal end surface of 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ar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portion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plane face.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경질 부재 중, 상기 제 1 돌출부 및 상기 제 2 돌출부보다 상기 핸들부의 후단측에 배치된 부분은 상기 핸들부의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지름이 작아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oothbrush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ion of the rigid member which is dispos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handle portion than the first and second projections may have a diameter Is reduced.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적어도 선단부가 상기 경질 수지보다 연한 제 1 연질 수지로 구성되고, 상기 핸들부 본체는 상기 경질 수지보다 연한 제 2 연질 수지로 구성되고, 상기 연질부는 상기 제 2 연질 수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tooth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portion is made of a first soft resin having at least a tip portion taper than the hard resin, and the handle portion main body is made of a second soft resin tighter than the hard resin And the soft portion is composed of the second soft resin.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식모면과 상기 핸들부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경질 부재는 상기 식모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제 1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폭이 상기 핸들부의 길이 방향과 상기 제 1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제 2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toothbrush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igid member between the kneading surface and the handle portion has a first width in a firs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kneading surface, And is greater than a second width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에 있어서의 상기 경질 부재는 상기 식모면 및 복수개의 식모 구멍을 갖는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질 수지는 상기 식모면 및 상기 복수개의 식모 구멍을 노출시킨 상태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tooth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rd member in the head part includes the base member having the wicking surface and the plurality of hair-removal holes, and the first soft- And the cover member is disposed so as to cover a part of the base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hairpin holes are exposed.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식모면과 상기 핸들부 사이에 상기 식모면과 직교하는 제 1 방향과 상기 핸들부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의 폭이 상기 헤드부의 폭 이하의 네크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oothbrush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in the first direction orthogonal to the kneading surface and the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dle portion, between the kneading surface and the handle portion, And a neck portion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neck portion is disposed.

(발명의 효과)(Effect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칫솔에 의하면 사용자의 구강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ooth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damage to the user's mouth can be suppress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칫솔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칫솔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칫솔을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경질 부재를 확대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내는 경질 부재를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나타내는 경질 부재를 확대한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나타내는 경질 부재의 A-A선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에 나타내는 경질 부재(구체적으로는 제 1 부분)의 B-B선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에 나타내는 경질 부재(구체적으로는 제 2 부분)의 C-C선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4에 나타내는 경질 부재(구체적으로는 제 2 부분)의 D-D선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의 칫솔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제 1 금형을 사용하여 경질 부재를 형성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의 칫솔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제 2 금형을 사용하여 제 1 연질 수지, 연질부, 및 핸들부 본체를 형성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칫솔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내는 칫솔의 정면도이다.
1 is a side view of a tooth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the toothbrush shown in Fig.
3 is a rear view of the toothbrush shown in Fig.
4 is an enlarged side view of the rigid member shown in Fig.
Fig. 5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rigid member shown in Fig. 2;
Fig. 6 is an enlarged rear view of the rigid member shown in Fig. 3;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igid member shown in Fig. 4 taken along the line AA.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igid member (specifically, the first portion) shown in Fig. 4 in the BB line direction.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ard member (specifically, the second portion) shown in Fig. 4 in the CC line direc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DD line direction of the rigid member (specifically, the second portion) shown in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toothbrush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ep of forming a hard member using the first mold.
1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toothbrush of this embodiment, and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ep of forming the first soft resin, the soft portion and the handle portion main body by using the second mold.
13 is a side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toothbrush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front view of the toothbrush shown in Fig.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시되는 각 부의 크기나 두께나 치수 등은 실제 칫솔의 치수관계와는 상이한 경우가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drawing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for explaining the constitu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izes, thicknesses, dimensions and the like of the parts shown may differ from those of actual toothbrushes.

(실시형태)(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칫솔의 측면도이다. 도 2은 도 1에 나타내는 칫솔의 정면도이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1에 나타내는 복수의 모다발(12-1)로 구성된 브러시부(12)의 도시를 생략한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칫솔을 배면도이다.1 is a side view of a tooth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the toothbrush shown in Fig. In FIG. 2, the illustration of the brush portion 12 composed of a plurality of hair bundles 12-1 shown in FIG. 1 is omit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3 is a rear view of the toothbrush shown in Fig.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경질 부재를 확대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내는 경질 부재를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나타내는 경질 부재를 확대한 배면도이다.4 is an enlarged side view of the rigid member shown in Fig. Fig. 5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rigid member shown in Fig. 2; Fig. 6 is an enlarged rear view of the rigid member shown in Fig. 3;

도 1~도 6에 나타내는 구조체에 있어서,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인다. 도 1~도 6에 나타내는 X방향은 칫솔(10)을 사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의 핸들체(11)의 연장 방향(네크부(15)의 연장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2, 도 3,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Y방향은 칫솔(10)의 폭방향(바꿔 말하면, Z방향 및 X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제 2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In the structures shown in Figs. 1 to 6,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e X direction shown in Figs. 1 to 6 indicates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handle body 11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neck portion 15) when the toothbrush 10 is not used. The Y direction shown in Figs. 2, 3, 5, and 6 indicates the width direction of the toothbrush 10 (in other words, the secon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Z direction and X direction).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Z방향은 칫솔(10)을 사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식모면(21-1b)에 대하여 직교하는 제 1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The Z-direction shown in Figs. 1 and 4 shows a first direction orthogonal to the eating surface 21-1b in a state in which the toothbrush 10 is not used.

또한, 도 4~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경질 부재(17)의 구성 요소 이외의 칫솔(10)의 구성 요소의 부호도 도시한다.4 to 6, reference numerals of constituent elements of the toothbrush 10 other than the components of the hard member 17 are also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도 1~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칫솔(10)은 핸들체(11)와, 브러시부(12)를 갖는다.Referring to Figs. 1 to 6, the toothbrush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handle 11 and a brush 12.

핸들체(11)는 헤드부(14)와, 네크부(15)와, 핸들부(16)와, 헤드부(14), 네크부(15), 및 핸들부(16)의 일부를 구성하는 경질 부재(17)를 갖는다.The handle body 11 includes a head portion 14, a neck portion 15, a handle portion 16, a head portion 14, a neck portion 15, And a rigid member (17).

본 실시형태에서는 식모면(21-1b)과 핸들부(16) 사이에 상기 제 2 방향(Y방향)의 폭이 헤드부(14)의 폭(Y방향의 최대폭)보다 작은 네크부(15)가 배치되는 칫솔(10)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neck portion 15 having the width in the second direction (Y direction) smaller than the width (the maximum width in the Y direction) of the head portion 14 is provided between the kneading surface 21-1b and the handle portion 16, The toothbrush 10 will be described.

헤드부(14)는 경질 수지로 구성된 베이스 부재(21)와, 베이스 부재(21)의 일부를 덮는 제 1 연질 수지(22)를 갖는다. 베이스 부재(21)는 경질 수지로 구성된 경질 부재(17)의 구성 요소의 일부이며, 베이스 부재 본체(21-1)와, 2개의 지지부(21-2)를 갖는다.The head portion 14 has a base member 21 made of a hard resin and a first soft resin 22 covering a part of the base member 21. The base member 21 is a part of the components of the rigid member 17 made of hard resin and has a base member main body 21-1 and two support portions 21-2.

베이스 부재 본체(21-1)는 베이스 부재 본체(21-1)의 측면 및 저면(21-1a)에 제 1 연질 수지(22)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헤드부(14)의 외형을 1~2㎜ 정도 축소시킨 형상으로 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 본체(21-1)는 선단부(21-1A)와, 저면(21-1a)과, 식모면(21-1b)과, 식모 구멍(21-1B)을 갖는다.The base member main body 21-1 is formed so that the outer shape of the head part 14 is formed to be 1 to 20 mm so that the first soft resin 22 can be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21-1a of the base member main body 21-1. Which is reduced by about 2 mm. The base member main body 21-1 has a tip portion 21-1A, a bottom surface 21-1a, a drinking surface 21-1b, and a foot hole 21-1B.

선단부(21-1A)는 베이스 부재 본체(21-1) 중 헤드부(14)와 네크부(15)가 접속되는 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선단부(21-1A)는 사용자가 칫솔(10)을 사용하여 양치를 할 때 사용자의 구강 내와 대향하는 부분이다. 선단부(21-1a)의 형상은, 예를 들면 둥근형상을 띤 형상(라운드 형상)으로 하면 좋다.The distal end portion 21-1A is a portion of the base member main body 21-1 locat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to which the head portion 14 and the neck portion 15 are connected. The tip portion 21-1A is a portion facing the inside of the user's mouth when the user brushes the teeth using the toothbrush 10. The shape of the tip end 21-1a may be, for example, a rounded shape (rounded shape).

도 7은 도 4에 나타내는 경질 부재의 A-A선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7에 있어서, 도 1~도 6에 나타내는 구조체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인다. 또한, 도 7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경질 부재(17)의 구성 요소 이외의 칫솔(10)의 구성 요소의 부호도 도시한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igid member shown in Fig. 4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7,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structures shown in Figs. 1 to 6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7, reference numerals of constituent elements of the toothbrush 10 other than the components of the hard member 17 are also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도 1, 도 3, 도 4,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저면(21-1a)은 제 1 연질 수지(22)로 덮이는 부분이며, 식모면(21-1b)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저면(21-1a)은, 예를 들면 평탄한 면으로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3, 4, 6 and 7, the bottom surface 21-1a is a portion covered with the first soft resin 22 and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heating surface 21-1b . The bottom surface 21-1a may be, for example, a flat surface.

식모면(21-1b)은 평탄한 면으로 되어 있다. 식모면(21-1b)은 복수개의 식모 구멍(21-1B)을 노출하고 있다. 식모면(21-1b)은 헤드부(14)에 있어서의 제 1 노출부로서 제 1 연질 수지(22)로부터 노출되어 있다.The cooking cavity surface 21-1b has a flat surface. And the molding surface 21-1b exposes a plurality of hair-removal holes 21-1B. The heating core 21-1b is exposed from the first soft resin 22 as a first exposed portion of the head portion 14. [

이와 같이, 제 1 연질 수지(22)보다 단단한 경질 수지를 사용하여 베이스 부재 본체(21-1)를 구성함과 아울러, 복수개의 식모 구멍(21-1B) 및 식모면(21-1b)을 제 1 연질 수지(22)로부터 노출시킴으로써 복수개의 식모 구멍(21-1B)에 대하여 평선 식모법을 사용하여 브러시부(12)를 구성하는 모다발(12-1)을 식모(식설)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base member main body 21-1 is formed by using the hard resin harder than the first soft resin 22, and the plurality of the hair-removal holes 21-1B and the hair- 1 from the soft resin 22 so that the mold halves 12-1 constituting the brush portion 12 can be flocked to the plurality of hair kneading holes 21-1B by the flat knitting method.

식모면(21-1b)은 후술하는 도 12에 나타내는 제 2 금형(51)을 사용하여 제 1 연질 수지(22), 연질부(26), 및 핸들부 본체(31)를 수지 성형할 때, 일방의 금형(51-2)(도 12 참조)의 내면과 접촉하는 면이다.When the first soft resin 22, the soft portion 26, and the handle portion main body 31 are resin-molded by using the second mold 51 shown in Fig. 1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a surface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one of the molds 51-2 (see Fig. 12).

이와 같이, 식모면(21-1b)이 제 2 금형(51)을 구성하는 일방의 금형(51-2)의 내면과 접촉함으로써 복수개의 식모 구멍(21-1B) 및 식모면(21-1b)에 제 1 연질 수지(22)가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olding surface 21-1b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one of the molds 51-2 constituting the second mold 51, the plurality of the molding holes 21-1B and the molding surface 21-1b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soft resin 22 from being formed on the first soft resin layer 22.

식모 구멍(21-1B)은 식모면(21-1b)을 구성하는 측의 베이스 부재 본체(21-1)에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식모 구멍(21-1B)에는 브러시부(12)를 구성하는 모다발(12-1)이 식모되는 구멍이다.A plurality of the hair-removal holes 21-1B are formed in the base member main body 21-1 on the side constituting the hair-removal surface 21-1b. The bristles 12-1 constituting the bristles 12 are formed in the bristle holes 21-1B.

복수개의 식모 구멍(21-1B)의 배열로서는,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배열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소위 바둑판형상의 배열이나 지그재그형상의 배열 등 어떠한 배열 패턴이어도 좋다.As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hairpin holes 21-1B, for example, the arrangement shown in Fig. 2 can be used, but the arrangement is not limited to this, and any arrangement pattern such as a so-called checkerboard arrangement or a zigzag arrangement may be used.

또한, 복수개의 식모 구멍(21-1B)의 수는 도 2에 나타내는 식모 구멍(21-1B)의 수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0~60구멍의 범위 내에서 적당히 설정할 수 있다.Further,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hair-removal bores 21-1B is not limited to the number of the hair-removal bores 21-1B shown in Fig. 2, and can be appropriately set within a range of, for example, 10 to 60 holes.

즉, 복수개의 식모 구멍(21-1B)의 배열 및 식모 구멍(21-1B)의 수는 목적에 따라 적당히 설정할 수 있다.That is,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hairpin holes 21-1B and the number of hairpin holes 21-1B can be appropriately set according to the purpose.

식모 구멍(21-1B)의 형상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진원형상, 타원 등의 원형상, 삼각형상이나 사각형상 등의 다각형상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shape of the hair-removal hole 21-1B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a circular shape such as a circle shape, an ellipse, or a polygonal shape such as a triangle shape or a square shape can be used.

또한, 식모 구멍(21-1B)의 직경은 모다발(12-1)의 굵기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1~3㎜의 범위 내에서 적당히 설정할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hair-removal hole 21-1B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hair bundle 12-1. Specifically, the diameter can be appropriately set within a range of, for example, 1 to 3 mm.

Z방향에 있어서의 헤드부(14)의 두께가 5.0㎜인 경우, Z방향의 베이스 부재 본체(21-1)의 두께(바꿔 말하면, 저면(21-1a)과 식모면(21-1b) 사이의 두께)는, 예를 들면 4.2㎜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식모면(21-1b)을 기준으로 했을 때의 복수개의 식모 구멍(21-1B)의 깊이는, 예를 들면 2.5㎜로 할 수 있다. 헤드부(14)의 두께란 일례로서 헤드부(14)에 있어서의 X방향의 중앙 부분에서 측정한 두께이다.The thickness of the head portion 14 in the Z direction is 5.0 mm, the thickness of the base member main body 21-1 in the Z direction (in other words, between the bottom surface 21-1a and the eating surface 21-1b) For example, 4.2 mm. In this case, the depth of the plurality of hair-removal holes 21-1B with reference to the molding surface 21-1b may be 2.5 mm,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head portion 14 is, for example, the thickness measured at the center portion in the X direction in the head portion 14. [

2개의 지지부(21-2)는 베이스 부재 본체(21-1)의 저면(21-1a)으로부터 Z방향(도 1에 나타내는 상태의 경우,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지지부(21-2) 중, 일방이 베이스 부재 본체(21-1)의 선단측에 배치되어 있고, 타방이 베이스 부재 본체(21-1)의 후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2개의 지지부(21-2)는 X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2개의 지지부(21-2)는 각각 평탄한 면이 된 돌출면(21-2a)을 갖는다.The two support portions 21-2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21-1a of the base member main body 21-1 in the Z direction (downward in the case of the state shown in Fig. 1). One of the two support portions 21-2 is disposed at the front end side of the base member main body 21-1 and the other is disposed at the rear end side of the base member main body 21-1. The two support portions 21-2 are disposed so as to face each other in the X direction. The two support portions 21-2 have projecting surfaces 21-2a each of which is a flat surface.

2개의 돌출면(21-2a)은 제 1 연질 수지(22)의 외면으로부터 노출됨과 아울러, 제 1 연질 수지(22)의 외면에 대하여 면일하게 되어 있다. 즉, 지지부(21-2)는 헤드부(14)에 있어서의 제 2 노출부로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모면(21-1b)과는 반대측에 노출하고 있다.The two protruded surfaces 21-2a are expos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oft resin 22 and are fac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oft resin 22. [ That is, the support portion 21-2 is exposed as the second exposed portion of the head portion 14 on the side opposite to the cooling surface 21-1b as shown in Fig.

돌출면(21-2a)은 후술하는 도 11에 나타내는 제 1 금형(41)을 사용하여 베이스 부재 본체(21-1)를 포함하는 경질 부재(17)를 성형할 때, 제 1 금형(41)(도 11 참조)의 내면과 접촉하는 부분이다.The protruding surface 21-2a is formed in the first mold 41 when the hard member 17 including the base member main body 21-1 is molded using the first mold 41 shown in FIG. (See Fig. 11).

이와 같이, 돌출면(21-2a)이 제 1 금형(41)(도 11 참조)의 내면과 접촉함으로써 2개의 지지부(21-2)의 주위 및 저면(21-1a)에 제 1 연질 수지(22)를 형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otruding surface 21-2a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mold 41 (see Fig. 11) to form the first soft resin (Fig. 11) on the periphery of the two supports 21-2 and the bottom surface 21-1a 22 can be formed.

즉, 2개의 지지부(21-2)의 돌출량(바꿔 말하면, 저면(21-1a)을 기준으로 했을 때의 돌출면(21-2a)까지의 거리)은 저면(21-1a)에 배치하는 제 1 연질 수지(22)의 Z방향의 두께와 동일하다.That is,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two support portions 21-2 (in other words, the distance to the protruding surface 21-2a with reference to the bottom surface 21-1a)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21-1a Is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first soft resin 22 in the Z direction.

따라서, 2개의 지지부(21-2)의 돌출량은 저면(21-1a)에 배치하는 제 1 연질 수지(22)의 두께에 따라 적당히 설정할 수 있다. Z방향에 있어서의 헤드부(14)의 두께가 5.0㎜이며, 또한 Z방향의 베이스 부재 본체(21-1)의 두께가 4.2㎜인 경우, 2개의 지지부(21-2)의 돌출량은, 예를 들면 0.8㎜로 할 수 있다. 헤드부(14) 및 베이스 부재 본체(21-1)의 두께란 일례로서 헤드부(14)에 있어서의 X방향의 중앙 부분에서 측정한 두께이다.Therefore,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two support portions 21-2 can be appropriately set in accordance with the thickness of the first soft resin 22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21-1a. The thickness of the head portion 14 in the Z direction is 5.0 mm and the thickness of the base member main body 21-1 in the Z direction is 4.2 mm, For example, 0.8 mm. The thickness of the head portion 14 and the base member main body 21-1 is a thickness measured at the central portion in the X direction in the head portion 14 as an example.

또한, 도 1 및 도 3에서는 지지부(21-2)이 2개의 경우를 예를 들어서 설명했지만, 지지부(21-2)의 수는 1개 이상이면 좋고, 2개에 한정되지 않는다.1 and 3, two support portions 21-2 are exemplified. However, the number of support portions 21-2 may be one or more, and is not limited to two.

상기 구성이 된 베이스 부재(21)는 그 후단이 심부(25)의 선단부(심부(25)의 일단)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rear end of the base member 21 constituted as described above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core portion 25 (one end of the core portion 25).

베이스 부재(21)를 구성하는 경질 수지로서는 제 1 연질 수지(22)보다 단단한 수지를 사용한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 부재 본체(21-1)를 구성하는 경질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굽힘 탄성률(JIS K7203)이 500~3000㎫의 범위 내에 있는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As the hard resin constituting the base member 21, a resin harder than the first soft resin 22 is used. Specifically, as the hard resin constituting the base member main body 21-1, for example, a resin having a flexural modulus (JIS K7203) within the range of 500 to 3000 MPa can be used.

이러한 경질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 폴리아세탈(POM), 폴리스티렌(P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ABS), 세룰로오스프로피오네이트(CP),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 수지(AS) 등을 예시할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가 바람직하다.Specific examples of such a hard resin include polypropylene (PP),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poly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 (PCT), polyacetal (POM) (P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ABS), cerulose propionate (CP), polyarylate, polycarbonate, acrylonitrile-styrene copolymer resin (AS) , Among which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is preferable.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는 꺽임 강도가 높기 때문에 베이스 부재(21)가 접히거나, 일부가 결손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경질 수지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적당히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Since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has a high bending strength,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ase member 21 from being folded or partially broken. These hard resins may be used singly or in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제 1 연질 수지(22)는 식모면(21-1b), 복수개의 식모 구멍(21-1B), 2개의 지지부(21-2)의 끝면(21-2a)을 노출시킨 상태로 베이스 부재 본체(21-1)의 측면 및 저면(21-1a)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The first soft resin 22 is fixed to the base member main body 21 in such a state that the end face 21-2a of the two support portions 21-2 is exposed while the mold base 21-1b, 21-1 and the bottom surface 21-1a.

이에 따라 제 1 연질 수지(22)는 베이스 부재 본체(21-1)의 선단부(21-1A)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Thus, the first soft resin 22 is disposed so as to cover the distal end portion 21-1A of the base member main body 21-1.

이와 같이 베이스 부재 본체(21-1)의 선단부(21-1A)를 덮도록 제 1 연질 수지(22)를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칫솔(10)을 사용할 때에 있어서, 선단부(21-1A)에 배치된 제 1 연질 수지(22)가 쿠션재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칫솔(10)의 후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고, 선단(21-1A)에 배치된 제 1 연질 수지(22)가 사용자의 구강 내에 강하게 압박될 때 사용자의 구강 내가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When the user uses the toothbrush 10 by disposing the first soft resin 22 so as to cover the distal end portion 21-1A of the base member main body 21-1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soft resin 22 functions as a cushioning member,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from the rear end side to the tip end side of the toothbrush 10, and the first soft resin 22 disposed at the tip end 21-1A, The user's oral cavity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when being strongly pressed in the oral cavity of the user.

베이스 부재 본체(21-1)의 측면 및 저면(21-1a)에 배치하는 제 1 연질 수지(22)의 두께는, 예를 들면 목적에 따라 0.2~2.0㎜의 범위 내에서 적당히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예를 들면 0.8㎜로 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first soft resin 22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21-1a of the base member main body 21-1 can be appropriately set within a range of 0.2 to 2.0 mm depending on the purpose However, it may be 0.8 mm, for example.

또한, 도 1~도 3에서는 일례로서 베이스 부재 본체(21-1)의 측면 및 저면(21-1a)을 덮도록 제 1 연질 수지(22)를 설치했을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제 1 연질 수지(22)는 적어도 베이스 부재 본체(21-1)의 선단부(21-1A)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Although the first soft resin 22 is provided so as to cover the side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21-1a of the base member main body 21-1 as an example in FIGS. 1 to 3, The soft resin 22 may be disposed so as to cover at least the tip end 21-1A of the base member main body 21-1.

제 1 연질 수지(22)로서는, 예를 들면 그 경도가 JIS K 7215 쇼어A의 경도가 90 이하인 연질 수지를 사용하면 좋다. 이러한 연질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등의 엘라스토머 수지를 예시할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폴리프로필렌(PP)과의 용착성의 관점으로부터 스티렌계 엘라스토머가 바람직하다.As the first soft resin 22, for example, a soft resin whose hardness is JIS K 7215 Shore A hardness of 90 or less may be used. As such soft resin, for example, an elastomer resin such as a polyolefin elastomer, a styrene elastomer and a polyester elastomer can be mentioned, but a styrene elastomer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the meltability with polypropylene (PP).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KURARAY CO.,LTD제의 세프톤(상품명), Riken technos Corporation제의 레오스토머(상품명)를 예시할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styrene-based elastomer include Ceftone (trade name) manufactured by KURARAY CO., LTD, and Rheostomer (trade name) manufactured by Riken technos Corporation.

또한, 제 1 연질 수지(22)는 베이스 부재(21)를 구성하는 경질 수지의 종류에 따라 적당히 선택하면 좋다.The first soft resin 22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kind of the hard resin constituting the base member 21. [

구체적으로는 베이스 부재(21)를 구성하는 경질 수지로서 폴리프로필렌(PP)을 사용할 경우, 제 1 연질 수지(22)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스티렌계 엘라스토머가 바람직하고, 스티렌계 엘라스토머가 보다 바람직하다.Concretely, when polypropylene (PP) is used as the hard resin constituting the base member 21, the first soft resin 22 is preferably a polyolefin elastomer or a styrene elastomer, and the styrene elastomer More preferable.

베이스 부재(21)를 구성하는 경질 수지와 제 1 연질 수지(22)의 조합을 상기 조합으로 함으로써 베이스 부재(21)와 제 1 연질 수지(22) 사이의 밀착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The combination of the hard resin and the first soft resin 22 constituting the base member 21 is made to be the above combination so that the adhesion between the base member 21 and the first soft resin 22 can be sufficiently secured.

상기 구성으로 된 헤드부(14)의 길이(X방향의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0~30㎜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12~28㎜의 범위 내가 보다 바람직하다.The length (length in the X direction) of the head portion 14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0 to 30 mm,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2 to 28 mm.

헤드부(14)의 길이가 10㎜ 이상이면 모다발(12-1)을 식설할 수 있는 식모면(21-1b)의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헤드부(14)의 길이가 30㎜ 이하이면 구강 내에서의 칫솔(10)의 조작성을 높일 수 있다.If the length of the head portion 14 is 10 mm or more, the area of the mold base 21-1b on which the mold halves 12-1 can be formed can be sufficiently secured. If the length of the head portion 14 is 30 mm or less, the operability of the toothbrush 10 in the oral cavity can be enhanced.

상기 구성으로 된 헤드부(14)의 폭(헤드부(14)에 있어서의 Y방향의 최대폭)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7~13㎜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8~12㎜의 범위 내가 보다 바람직하다.The width of the head portion 14 (maximum width in the Y direction in the head portion 14)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s preferably in a range of, for example, 7 to 13 mm and in a range of 8 to 12 mm I am more preferable.

헤드부(14)의 폭이 7㎜ 이상이면 모다발(12-1)이 식설되는 식모면(21-1b)의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If the width of the head portion 14 is 7 mm or more, the area of the worm face 21-1b where the worm wheel 12-1 is stitched can be sufficiently secured.

또한, 헤드부(14)의 폭이 13㎜ 이하이면 구강 내에서의 칫솔(10)의 조작성을 높일 수 있다.When the width of the head portion 14 is 13 mm or less, the operability of the toothbrush 10 in the oral cavity can be enhanced.

여기에서, 도 2를 참조하여 헤드부(14)의 후단과 네크부(15)의 선단의 경계의 위치, 및 네크부(15)의 후단과 핸들부(16)의 선단의 경계의 위치에 대해서 정의한다.2, the position of the boundary between the rear end of the head portion 14 and the front end of the neck portion 15 and the position of the boundary between the rear end of the neck portion 15 and the front end of the handle portion 16 define.

본 발명에서는 식모면(21-1b)과 핸들부(16) 사이에 있어서, Y방향의 폭이 헤드부(14)의 최대폭과 동일하거나, 또는 헤드부(14)의 최대폭보다 작은 개소를 네크부에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ortion in the Y direction which is the same as the maximum width of the head portion 14 or a portion that is smaller than the maximum width of the head portion 14 is provided between the kneading portion 21-1b and the handle portion 16, .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헤드부(14)의 선단으로부터 핸들부(16)의 후단을 향하는 X방향에 있어서, Y방향의 폭이 좁아져 상기 폭의 변화량이 커지고, 곧 Y방향의 상기 폭의 변화량이 거의 없어지는 위치를 헤드부(14)의 후단과 네크부(15)의 선단의 경계의 위치로 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idth in the Y direction is narrowed in the X direction toward the rear end of the handle portion 16 from the tip end of the head portion 14, so that the variation amount of the width becomes large, The position of the boundary between the rear end of the head portion 14 and the front end of the neck portion 15 is determined.

또한, 네크부(15)의 선단으로부터 핸들부(16)의 후단을 향하는 X방향에 있어서, Y방향의 폭이 넓어져 상기 폭의 변화량이 커지고, 곧 Y방향의 상기 폭의 변화량이 거의 없어지는 위치를 네크부(15)의 후단과 핸들부(16)의 선단의 경계의 위치로 한다.Further, in the X direction from the tip end of the neck portion 15 toward the rear end of the handle portion 16, the width in the Y direction is widened, and the amount of change in the width becomes large. The position is defined as the position of the boundary between the rear end of the neck portion 15 and the front end of the handle portion 16. [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헤드부(14)의 선단으로부터 X방향에 있어서 헤드부(14)의 선단으로부터 가장 이간된 위치에 배치된 식모 구멍의 핸들부(16)의 후단측의 위치를 헤드부(14)의 후단과 네크부(15)의 선단의 경계의 위치로 해도 좋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rear end side of the handle portion 16 of the knockout hole disposed at the position most distant from the front end of the head portion 14 in the X direction from the front end of the head portion 14, The position of the boundary between the rear end of the neck portion 14 and the front end of the neck portion 15 may be used.

X방향에 있어서의 네크부(15)의 길이는, 예를 들면 20~60㎜의 범위 내에서 적당히 설정할 수 있고, 이 경우 헤드부의 길이와 네크부의 길이를 합계한 길이는, 예를 들면 40~85㎜의 범위 내에서 적당히 설정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neck portion 15 in the X direction can be appropriately set within a range of, for example, 20 to 60 mm. In this case, the total length of the length of the head portion and the length of the neck portion is, It can be appropriately set within a range of 85 mm.

네크부(15)는 헤드부(14)와 핸들부(16)를 접속하는 부분이다. Y방향에 있어서의 네크부(15)의 폭은 헤드부(14) 및 핸들부(16)의 폭보다 좁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Z방향에 있어서의 네크부(15)의 두께는, 예를 들면 헤드부(14)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할 수 있다.The neck portion 15 is a portion for connecting the head portion 14 and the handle portion 16. The width of the neck portion 15 in the Y direction is mad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head portion 14 and the handle portion 16. [ The thickness of the neck portion 15 in the Z direction can be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head portion 14, for example.

네크부(15)는 경질 부재(17)의 구성 요소인 심부(25)와, 연질부(26)를 갖는다.The neck portion 15 has a deep portion 25 which is a component of the rigid member 17 and a soft portion 26.

심부(25)는 X방향(네크부(15)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네크부(15)를 관통하는 제 1 부분(25-1)과, X방향으로 연장되어 일단이 제 1 부분(25-1)과 일체가 됨과 아울러, 핸들부(16)의 일부에 배치된 제 2 부분(25-2)을 갖는다.The deep portion 25 has a first portion 25-1 extending in the X direction (extending direction of the neck portion 15) and also penetrating the neck portion 15 and a second portion 25-1 extending in the X direction, And a second portion 25-2 which is integrated with the handle portion 16 and is disposed on a part of the handle portion 16. [

또한, 여기에서는 네크부(15)를 구성하는 제 1 부분(25-1)에 대하여 설명하고, 제 2 부분(25-2)에 대해서는 핸들부(16)의 구성을 설명할 때에 설명한다.Here, the first portion 25-1 constituting the neck portion 15 will be described, and the second portion 25-2 will be described when the structure of the handle portion 16 is described.

도 8은 도 4에 나타내는 경질 부재(구체적으로는 제 1 부분)의 B-B선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8에 있어서, 도 1~도 6에 나타내는 구조체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인다. 또한,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경질 부재(17)의 구성 요소 이외의 칫솔(10)의 구성 요소의 부호도 도시한다.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네크부(15)의 부호를 도시한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igid member (specifically, the first portion) shown in Fig. 4 in the B-B line direction. In Fig. 8,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structures shown in Figs. 1 to 6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8, reference numerals of constituent elements of the toothbrush 10 other than the components of the hard member 17 are also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8, reference numerals of the neck portion 15 are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도 1~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 1 부분(25-1)은 그 일단이 베이스 부재(21)의 후단과 일체로 구성되어 있고, 타단이 제 2 부분(25-2)과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6 and 8, the first portion 25-1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rear end of the base member 21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portion 25-2 .

제 1 부분(25-1)은 경질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부분(25-1)은 제 1 연질 수지(22) 및 연질부(26)를 구성하는 제 2 연질 수지(27)보다 단단한 경질 수지(굽힘 탄성률(JIS K7203)이 500~3000㎫의 범위 내에 있는 경질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The first portion 25-1 is made of a hard resin. The first portion 25-1 is made of a hard resin harder than the second soft resin 27 constituting the first soft resin 22 and the soft portion 26 (the flexural modulus (JIS K7203) is in the range of 500 to 3000 MPa And the like).

제 1 부분(25-1)은 X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굵기로 되어 있다. 헤드부(14)의 선단에 강한 외력이 인가되었을 때, 네크부(15)가 도 2에 나타내는 변형부(15A)(예를 들면, 네크부(15)의 중앙부 근방)에 있어서 절곡되도록(바꿔 말하면, 헤드부(14)의 선단에 가해지는 힘을 유출시키도록), 제 1 부분(25-1)의 굵기나 형상, 및 제 1 부분(25-1)의 주위에 배치되는 연질부(26)의 두께는 결정하면 좋다.The first portion 25-1 has the same thickness in the X direction. When a strong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tip end of the head portion 14, the neck portion 15 is bent at the deformed portion 15A shown in Fig. 2 (for example, in the vicinity of the center portion of the neck portion 15) The thickness and shape of the first portion 25-1 and the thickness of the soft portion 26-1 disposed around the first portion 25-1 are set so that the soft portion 26-1 ) May be determined.

구체적으로는 X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면에서 네크부(15)에 있어서의 X방향의 중앙 부분을 절단했을 때에 얻어지는 네크부(15)의 절단면의 면적(제 1 부분(25-1)의 절단면(25-1a)의 면적(S1)과, 연질부(26)의 절단면의 면적(S2)을 합계한 면적)을 100%로 했을 때에 제 1 부분(25-1)의 절단면(25-1a)의 면적(S1)이 5% 이상 50% 미만으로 하면 좋고,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27%로 하면 좋다.Specifically, the area of the cut surface of the neck portion 15 obtained when the central portion of the neck portion 15 in the X direction is cut at a plane orthogonal to the X direction (the cut surface of the first portion 25-1 Of the cut surface 25-1a of the first portion 25-1 is set to 100% when the area S1 of the first portion 25-1a and the area S2 of the cut surface of the soft portion 26 are 100% The area S1 may be 5% or more and less than 50%, and preferably, for example, 27%.

X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면에서 절단했을 때의 제 1 부분(25-1)의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면 원형상, 타원형상, 정방형, 장방형, 다이아몬드형, 별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안전성을 고려하면, 제 1 부분(25-1)의 모서리부는 둥근형상을 띤 형상(라운드 형상)으로 하면 좋다.As the shape of the first portion 25-1 when cut at a plane orthogonal to the X direction, for example, a circular shape, an elliptical shape, a square shape, a diamond shape, a star shape, or the like can be used. In consideration of safety of the user, the corner portion of the first portion 25-1 may have a rounded shape (rounded shape).

그런데, 칫솔(10)을 사용하여 치아를 닦을 때, 네크부(15)는 Z방향(바꿔 말하면, 브러시부(12)의 선단을 치아나 치간 등에 압박할 때에 힘이 가해지는 방향)에 대하여 변형되기 어려운 것(바꿔 말하면, 브러시부(12)의 선단을 확실히 치아나 치간 등에 압박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teeth are wiped using the toothbrush 10, the neck portion 15 is deformed in the Z direction (in other word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rce is applied when the tip of the brush portion 12 is pressed against teeth,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ss the tip of the brush portion 12 between teeth, teeth, etc.).

따라서, Z방향(식모면(21-1b)에 대하여 직교하는 제 1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부분(25-1)의 제 1 폭(W1)은 Z방향과 직교하는 Y방향(제 2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부분의 제 2 폭(W2)보다 크게 하면 좋다. 제 1 폭(W1)은, 예를 들면 1.5㎜~3.0㎜이며, 제 2 폭(W2)은, 예를 들면 1.5㎜~2.0㎜이다.Therefore, the first width W1 of the first portion 25-1 in the Z direction (the first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eeding surface 21-1b) is the Y direction orthogonal to the Z direction (the second direction The second width W2 of the first portion in the first portion. The first width W1 is, for example, 1.5 to 3.0 mm, and the second width W2 is 1.5 to 2.0 mm, for example.

이와 같이 Z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부분(25-1)의 제 1 폭(W1)을 Y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부분의 제 2 폭(W2)보다 크게 함으로써 칫솔(10)의 청소 성능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헤드부(14)의 선단에 강한 외력이 인가되었을 때에 변형부(15A)에 있어서 Y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헤드부(14)의 선단에 가해지는 힘을 유출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칫솔(10)의 사용자의 구강 내가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making the first width W1 of the first portion 25-1 in the Z direction larger than the second width W2 of the first portion in the Y direction, the cleaning performance of the toothbrush 10 is lowered It becomes possible to bend in the Y direction in the deformed portion 15A when a strong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tip of the head portion 14 without causing the head portion 14 to deform. As a result, the force applied to the distal end of the head portion 14 can be released, so that damage to the mouth of the user of the toothbrush 10 can be suppressed.

특히, 칫솔(10)의 사용자가 1~3세의 유아일 경우, 칫솔(10)을 입에 문 채의 상태로 달리거나 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 유아가 전도되었을 때에도 유아의 구강 내가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user of the toothbrush 10 is a child of 1 to 3 years old, the toothbrush 10 may be run in a state of being in the mouth. However, in such a case, Can be suppressed.

Z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부분(25-1)의 제 1 폭(W1)이 Y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부분의 제 2 폭(W2)보다 커지는 제 1 부분(25-1)의 단면형상으로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타원, 장방형, 다이아몬드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 경우, 타원이란 2개의 초점으로부터의 거리의 합이 일정한 점의 집합으로부터 만들어지는 곡선 이외에 동일 반경의 2개의 반원을 평행한 2개의 접선으로 연결된 타원도 포함한다.As the sectional shape of the first portion 25-1 in which the first width W1 of the first portion 25-1 in the Z direction is larger than the second width W2 of the first portion in the Y direction An ellipse, a rectangle, a diamond, and the like as shown in Fig. 8 can be exemplified. In this case, an ellipse includes an ellipse connected by two tangential lines parallel to two semicircles of the same radius, in addition to a curve formed from a set of points having a sum of distances from two focal points.

타원이나 다이아몬드형의 단면형상으로 된 제 1 부분(25-1)을 사용할 경우, 제 1 폭(W1)의 최대값이 제 2 폭(W2)의 최대값보다 커지도록 구성하면 좋다.When the first portion 25-1 having an elliptical or diamond-like cross-sectional shape is used, the maximum value of the first width W1 may be larger than the maximum value of the second width W2.

또한, 도 8에 있어서, 네크부(15)의 직경(R1)이 3.95㎜인 경우, 제 1 폭(W1)은, 예를 들면 1.975㎜로 할 수 있다. 이때, 제 2 폭(W2)은, 예를 들면 1.7㎜로 할 수 있다.In Fig. 8, when the diameter R1 of the neck portion 15 is 3.95 mm, the first width W1 may be 1.975 mm, for example. At this time, the second width W2 may be, for example, 1.7 mm.

연질부(26)는 제 1 부분(25-1)을 내부에 수용하며, 또한 심부(25)를 구성하는 경질 수지보다 연한 제 2 연질 수지(27)로 구성되어 있다. 연질부(26)는 제 1 부분(25-1)이 노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부재임과 아울러, 헤드부(14)의 선단에 강한 힘이 가해졌을 때에 네크부(15)의 변형부(15A)가 절곡되도록 하기 위한 부재이다.The soft portion 26 is composed of the second soft resin 27 which receives the first portion 25-1 therein and is tighter than the hard resin constituting the core portion 25. [ The soft portion 26 is a member for restricting the exposure of the first portion 25-1 and the soft portion 26 is a member for restricting the deformation portion 15A of the neck portion 15 when a strong force is applied to the tip of the head portion 14. [ To be bent.

제 2 연질 수지(27)로서는, 예를 들면 JIS K 6253 쇼어A에서의 경도가 90 이하로 된 연질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연질 수지로서는 제 1 연질 수지(22)를 설명할 때에 예시한 연질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As the second soft resin 27, for example, a soft resin having a hardness of 90 or less in JIS K 6253 Shore A can be used. As the soft resin, the soft resin exemplified in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soft resin 22 can be used.

제 2 연질 수지(27)는 목적에 따라 제 1 연질 수지(22)와는 상이한 종류의 연질 수지로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제 1 연질 수지(22)로서 사용하는 연질 수지의 경도를 제 2 연질 수지(27)에 사용하는 연질 수지의 경도보다 높게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헤드부(14)의 선단의 경도와, 네크부(15)의 경도를 상이하게 할 수 있다.The second soft resin 27 may be made of a soft resin different from the first soft resin 22 according to the purpose. In this case, for example, the hardness of the soft resin used as the first soft resin 22 may be higher than the hardness of the soft resin used for the second soft resin 27. [ With this configuration, the hardness of the tip of the head portion 14 and the hardness of the neck portion 15 can be made different.

또한, 제 1 및 제 2 연질 수지(22, 27)로서 동일 종류의 연질 수지를 사용해도 좋다. 이에 따라 칫솔(10)을 제조할 때에 사용하는 연질 수지의 종류의 수를 적게 할 수 있다.The same kind of soft resin may be used as the first and second soft resin 22, 27.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types of soft resin used in manufacturing the toothbrush 10.

도 8에서는 일례로서 연질부(26)의 절단면의 외형이 원형상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연질부(26)의 절단면의 외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8, the outer shape of the cut surface of the soft portion 26 is circular, but the outer shape of the cut surface of the soft portion 26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절단면(25-1a)이 타원형상으로 된 제 1 부분(25-1)을 사용할 경우, 연질부(26)의 절단면의 외형으로서, 예를 들면 장축의 일부가 절단면(25-1a)의 장축과 일치하는 타원형상 또는 상술한 타원형상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절단면(25-1a)이 타원형상이나 장원형상, 또는 다각형상일 경우, 네크부(15)의 직경(R1)은 절단면(25-1a)의 외접원에 따른 값으로 설정하면 좋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portion 25-1 having the elliptical cut surface 25-1a shown in Fig. 8 is used, the outer shape of the cut surface of the soft portion 26 is, for example, An elliptical image that coincides with the long axis of the recording medium 25-1a or the above-described elliptical image may be used. When the cut surface 25-1a is an elliptical shape, a rectangular shape, or a polygonal shape, the diameter R1 of the neck portion 15 may be set to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circumscribed circle of the cut surface 25-1a.

도 1~도 6을 참조하면 핸들부(16)는 심부(25)를 구성하는 제 2 부분(25-2)(심부(25)의 일부)과, 경질 부재(17)를 구성하는 복수의 돌출부(29)와, 핸들부 본체(31)와, 링형상 함몰부(32-1, 32-2)(링형상의 함몰부)와, 제 1 리브부(34)와, 제 2 리브부(35)와, 제 3 리브부(37)를 갖는다.1 to 6, the handle portion 16 includes a second portion 25-2 (a portion of the core portion 25) constituting the core portion 25 and a plurality of projections A ring-shaped depressed portion 32, a first rib portion 34, and a second rib portion 35 And a third rib portion 37, as shown in Fig.

도 9는 도 4에 나타내는 경질 부재(구체적으로는 제 2 부분)의 C-C선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4에 나타내는 경질 부재(구체적으로는 제 2 부분)의 D-D선 방향의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the rigid member (specifically, the second portion) shown in Fig. 10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the rigid member (specifically, the second portion) shown in Fig.

도 9 및 도 10에 있어서, 도 1~도 6에 나타내는 구조체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인다. 도 9 및 도 10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핸들부(16)의 부호를 도시한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핸들부(16)의 구성 요소 이외의 칫솔(10)의 구성 요소의 부호도 도시한다.In Figs. 9 and 10,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structures shown in Figs. 1 to 6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9 and 10 show the reference numerals of the handle portion 16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9 and 10, reference numerals of constituent elements of the toothbrush 10 other than the components of the handle portion 16 are also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도 1~도 6,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 2 부분(25-2)은 경질 수지로 구성되어 있고, 그 일단이 제 1 부분(25-1)과 일체로 되어 있다. 제 2 부분(25-2)을 구성하는 경질 수지는, 예를 들면 제 1 부분(25-1)을 구성하는 경질 수지와 마찬가지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6, 9, and 10, the second portion 25-2 is made of a hard resin, and one end thereof is integrated with the first portion 25-1. The hard resin constituting the second portion 25-2 may be the same as the hard resin constituting the first portion 25-1, for example.

제 2 부분(25-2)은 X방향에 있어서, 제 2 부분(25-2)의 일단으로부터 복수의 기둥형상의 돌출부(29)를 향함에 따라 X방향과 직교하는 단면형상이 연속적으로 확경된 상사형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제 2 부분(25-2) 중, 복수의 돌출부(29)가 형성된 부분의 지름이 가장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second portion 25-2 is formed such that the cross-sectional shape orthogonal to the X-direction is continuously enlarged as it extends from one end of the second portion 25-2 toward the plurality of columnar projections 29 in the X direction It is composed of a boss type. That is, the portion of the second portion 25-2 where the plurality of protruding portions 29 are formed has the largest diameter.

또한, 제 2 부분(25-2) 중, 복수의 돌출부(29)보다 핸들부(16)의 후단측에 배치된 부분은 복수의 돌출부(29)로부터 핸들부(16)의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X방향과 직교하는 단면형상이 연속적으로 지름이 작아지는 상사형으로 되어 있다.The portion of the second portion 25-2 locat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handle portion 16 than the plurality of the projecting portions 29 faces the rear end side of the handle portion 16 from the plurality of projecting portions 29 The cross-sectional shape perpendicular to the X direction is a top shape in which the diameter is continuously reduced.

이와 같이 제 2 부분(25-2) 중, 복수의 돌출부(29)보다 핸들부(16)의 후단측에 배치된 부분의 형상을 복수의 돌출부(29)로부터 핸들부(16)의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지름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연질 수지(22, 27)로 하여 같은 연질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후술하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금형(51) 내에 경질 부재(17)를 배치시킨 후, 제 2 금형(51)의 후단측으로부터 제 2 금형(51) 내에 연질 수지를 도입시켰을 때, 헤드부(14)의 선단을 향하는 방향(X방향)으로 연질 수지가 이동(유동)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경질 부재(17) 전체(단, 식모면(21-1b) 및 복수개의 식모 구멍(21-1B)을 제외함)을 정밀도 좋게 연질 수지로 뒤덮을 수 있다.The shape of the portion of the second portion 25-2 dispos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handle portion 16 is larger than the shape of the rear end side of the handle portion 16 from the plurality of projecting portions 29 In the case where the same soft resin is used as the first and second soft resin 22 and 27,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econd mold When the soft resin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metal mold 51 from the rear end side of the second metal mold 51 after arranging the hard member 17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end of the head portion 14 The soft resin can easily move (flow) with the soft resin 17 so that the entire hard member 17 (except for the molding surface 21-1b and the plurality of the hair removal holes 21-1B) .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2 금형(51) 내에 상기 연질 수지를 도입시켰을 때, 도입된 연질 수지에 의해 제 2 금형(51) 내에 있어서의 경질 부재(17)의 위치 및 자세가 변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Further, when the soft resin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metal mold 51 as described later, the introduced soft resin suppresses the change in the position and attitude of the hard member 17 in the second metal mold 51 can do.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부분(25-2)은 핸들부(16)의 선단부에 내설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부분(25-2)은, 예를 들면 네크부(15)에 내설시켜도 좋다.As shown in Fig. 2,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portion 25-2 is recessed at the tip end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16,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e second portion 25-2 may be placed on the neck portion 15, for example.

복수의 돌출부(29)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 일례로서 4개 형성되어 있다. 4개의 돌출부(29)는 제 2 부분(25-2) 중, 가장 지름이 굵은 부분의 둘레 방향에 배치되어 있다.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four protruding portions 29 are formed as an example. The four protrusions 29 are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hickest portion of the second portion 25-2.

이웃하는 위치에 배치된 2개의 돌출부(29)가 이루는 각도는, 예를 들면 90°로 할 수 있다. 이웃하는 위치에 배치된 2개의 돌출부(29) 간에 형성되는 공간은 후술하는 도 12에 나타내는 제 2 금형(51) 내에 연질 수지를 도입시킬 때의 경로로서 기능한다. 상기 공간을 통해 상기 연질 수지는 헤드부(21)의 선단측에 공급되어 굳어짐(경화됨)으로써 제 1 연질 수지(22)가 된다.The angle formed by the two projecting portions 29 disposed at the neighboring positions can be, for example, 90 degrees.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two protruding portions 29 arranged at the neighboring positions functions as a path for introducing the soft resin into the second mold 51 shown in Fig. The soft resin is supplied to the tip side of the head portion 21 through the space to be hardened (cured) to become the first soft resin 22.

복수의 돌출부(29)는 각각 돌출면(29a)을 갖는다. 복수의 돌출부(29)의 돌출면(29a)은 핸들부 본체(31)의 외면(바꿔 말하면, 핸들부(16)의 외면)으로부터 노출됨과 아울러, 핸들부 본체(31)의 외면(핸들부(16)의 외면)에 대하여 면일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plurality of projections 29 each have a projecting surface 29a. The projecting surfaces 29a of the plurality of protruding portions 29 are expos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body 31 (in other words,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portion 16),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portion main body 31 16), as shown in Fig.

도 1, 도 2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Z측에 위치하는 제 1 돌출부로서의 돌출부(29)는 핸들부(31)(연질부(26))의 개구부(31a)를 통해 식모면(21-1b)측에 노출한다. -Z측에 위치하는 제 2 돌출부로서의 돌출부(29)는 핸들부(31)(연질부(26))의 개구부(31b)를 통해 식모면(21-1b)과는 반대측에 노출한다. +Y측에 위치하는 돌출부(29)는 핸들부(31)(연질부(26))의 개구부(31c)를 통해 +Y측에 노출한다. -Y측에 위치하는 돌출부(29)는 핸들부(16)(연질부(26))의 개구부(31c)를 통해 -Y측에 노출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부(16)에 있어서의 연질부(26)는 선단측을 향해서 앞이 가늘어지는 테이퍼부(31A)를 갖고 있으며, 개구부(31a~31d)는 테이퍼부(31A)에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돌출부(29)는 핸들부(16)에 있어서의 테이퍼부(31A)에 형성된 개구부(31a~31d)를 통해 외부에 노출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1, 2 and 10, the protruding portion 29 serving as the first protruding portion located on the + Z side passes through the opening 31a of the handle portion 31 (soft portion 26) -1b side. The protruding portion 29 serving as the second projection located on the -Z side is expos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molding surface 21-1b through the opening 31b of the handle portion 31 (soft portion 26). The protruding portion 29 located on the + Y side is exposed on the + Y side through the opening 31c of the handle portion 31 (soft portion 26). The protruding portion 29 located on the -Y side is exposed on the -Y side through the opening 31c of the handle portion 16 (soft portion 26).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soft portion 26 of the handle portion 16 has a tapered portion 31A that tapers toward the tip side, and the openings 31a to 31d are tapered portions 31A. In other words, the projecting portion 29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s 31a to 31d formed in the tapered portion 31A of the handle portion 16.

도 10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핸들부(16)의 외면의 단면형상이 대략 원형상인 점에서 돌출면(29a)의 단면형상은 원호형상이다. 따라서, 각 돌출면(29a)은 지름 방향 외측에 면하여 노출함과 아울러, 칫솔(10)의 길이 방향 및 지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면하여 노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10에 있어서, +Z측에 위치하는 제 1 돌출부로서의 돌출부(29)의 돌출면(29a)은 +Z측에 면하여 노출함과 아울러, +Y측 및-Y측에 면하여 노출한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도 10에 있어서, -Z측에 위치하는 제 2 돌출부로서의 돌출부(29)의 돌출면(29a)은 -Z측에 면하여 노출함과 아울러, +Y측 및-Y측에 면하여 노출한다.As shown in Fig. 10,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rojecting surface 29a is an arc shape in tha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portion 16 is substantially circular. Therefore, the protruded surfaces 29a are exposed in a radially outward direction, and are ex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oothbrush 10. Specifically, for example, in FIG. 10, the protruding surface 29a of the protruding portion 29 serving as the first protruding portion located on the + Z side faces the + Z side and is exposed on the + Y side and -Y As shown in FIG. 10, the protruding surface 29a of the protruding portion 29 serving as 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located on the -Z side is exposed on the -Z side, and on the + Y side and the -Y side And exposed.

복수의 돌출부(29)는 제 2 금형(51)(도 12 참조)을 사용하여 제 2 금형(51)의 공간(53) 내에 경질 부재(17)를 배치시켜 핸들부 본체(31)를 성형할 때, 돌출면(29a)이 제 2 금형(51)의 내면과 접촉함으로써 베이스 부재(21)를 구성하는 2개의 지지부(21-12)와 함께 공간 내에 있어서의 경질 부재(17)의 자세를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다(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제 2 금형(51) 내에 경질 부재(17)가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4개의 돌출부(29)는 그 돌출면(29a)이 제 2 금형(51)의 내면과 접촉함으로써 4방으로부터 경질 부재(17)의 후단을 지지한다.The plurality of protruding portions 29 are formed by arranging the hard member 17 in the space 53 of the second metal mold 51 by using the second metal mold 51 The protruding surface 29a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mold 51 to maintain the posture of the rigid member 17 in the space together with the two support portions 21-12 constituting the base member 21 (The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our protruding portions 29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metal mold 51 so that the protruding surface 29a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gid member 17 As shown in Fig.

복수의 돌출부(29)의 돌출량은 복수의 돌출부(29)의 주위에 배치하는 제 2 연질 수지(27)의 두께와 동일하다. 따라서, 복수의 돌출부(29)의 돌출량은 복수의 돌출부(29)의 주위에 배치하는 제 2 연질 수지(27)의 소망의 두께에 따라 제 2 연질 수지(27)의 표면과 면일하게 되는 값으로 적당히 설정할 수 있다.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plurality of protruding portions 29 is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second soft resin 27 disposed around the plurality of protruding portions 29. Therefore,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plurality of protruding portions 29 is set to a value that becomes a surface with the surface of the second soft resin 27 in accordance with a desired thickness of the second soft resin 27 disposed around the plurality of protruding portions 29 Can be appropriately set.

도 10에 있어서, 제 2 부분(25-2)의 직경(R2)이 5.6㎜인 경우, 복수의 돌출부(29)의 돌출량(T1)은, 예를 들면 1.77㎜로 할 수 있다.10, when the diameter R2 of the second portion 25-2 is 5.6 mm, the projecting amount T1 of the plurality of projecting portions 29 can be 1.77 mm, for example.

또한, 도 1~도 6, 및 도 10에서는 복수의 돌출부(29)의 일례로서 4개의 돌출부(29)를 갖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복수의 돌출부(29)의 수는 4개에 한정되지 않는다.1 to 6 and 10 illustrate the case where four protrusions 29 are provided as an example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9. However, the number of the protrusions 29 may be limited to four It does not.

예를 들면, 복수의 돌출부(29)의 수는, 예를 들면 3개(이 경우, 이웃하는 위치에 배치된 돌출부(29)가 이루는 각도가 120°가 되도록 배치함)이어도 좋고, 2개 이상 8개 이하이어도 좋다.For example,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projections 29 may be three, for example, in such a manner that the angle formed by the projections 29 arranged at the adjacent positions is 120 °, It may be eight or less.

또한, 복수의 돌출부(29)의 형상은 복수의 돌출부(29)의 후단측으로부터 베이스 부재(21)의 선단측으로 연질 수지를 유동시킬 수 있는 유동 경로를 갖는 형상이면 좋고, 도 1~도 6, 및 도 10에 나타내는 돌출부(29)의 형상은 원기둥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둥형상의 복수의 돌출부(29)의 단면형상은, 예를 들면 디자인성이 우수한 별형이나 하트형 등으로 해도 좋다.The shape of the plurality of protruding portions 29 may be a shape having a flow path capable of flowing the soft resin from the rear end side of the plurality of protruding portions 29 to the front end side of the base member 21, And the shape of the projection 29 shown in Fig. 10 are not limited to the cylindrical shap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lurality of columnar projecting portions 29 may be, for example, a star shape or a heart shape having excellent design properties.

도 1~도 3을 참조하면 핸들부 본체(31)는 칫솔(10)의 사용자가 손으로 쥐는 부분이며, 제 2 연질 수지(27)로 구성되어 있다.1 to 3, the handle body 31 is a portion of the toothbrush 10 held by the user's hand, and is formed of the second soft resin 27.

이와 같이, 핸들부 본체(31)를 제 2 연질 수지(27)로 구성함으로써 칫솔(10)을 입에 문 상태로 칫솔(10)의 후단으로부터 헤드부(14)의 선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강한 외력이 가해졌을 때, 핸들부 본체(31)를 변형시키는(구체적으로는 굽히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handle body 31 is made of the second soft resin 27 so that the toothbrush 10 can be moved from the rear end of the toothbrush 10 to the mouth of the toothbrush 10 in the direction toward the tip of the head 14, The handle portion main body 31 can be deformed (specifically, bent).

이에 따라 네크부(15)뿐만 아니라 핸들부 본체(31)도 구부러짐으로써 칫솔(10)의 후단으로부터 헤드부(14)의 선단을 향하는 외력을 이와는 다른 방향으로 유출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칫솔(10)의 사용자의 구강 내가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As a result, not only the neck portion 15 but also the handle portion main body 31 are bent so that the external force directed toward the tip end of the head portion 14 can flow out from the rear end of the toothbrush 10 in a different direction. It is possible to inhibit damage to the mouth of the user.

또한, 제 2 연질 수지(27)를 사용하여 핸들부 본체(31)를 구성함으로써 핸들부 본체(31)에 강한 힘이 가해졌을 경우에도 핸들부(16)이 파손되는 것(바꿔 말하면, 핸들부(16)가 접히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soft resin 27 is used to constitute the handle portion main body 31, even when a strong force is applied to the handle portion main body 31, the handle portion 16 is broken (in other words, (The folded portion 16 is folded) can be suppressed.

링형상 함몰부(32-1, 32-2)는 핸들부 본체(31)의 둘레 방향 전체에 걸쳐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링형상 함몰부(32-1)는 제 2 부분(25-2)의 배치 위치보다 핸들부(16)의 후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링형상 함몰부(32-1)는 핸들부 본체(31)의 직경을 축경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즉, 링형상 함몰부(32-1)는 X방향과 직교하는 단면형상이 핸들부 본체(31)와 상사형이며, 또한 직경이 연속적으로 작아지는 형상이다.The ring shaped depressions 32-1 and 32-2 are formed in an annular shape over the en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andle portion main body 31. [ The ring-shaped depressed portion 32-1 is dispos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handle portion 16 rather than the second portion 25-2. The ring-shaped depressed portion 32-1 is formed by reducing the diameter of the handle portion main body 31. [ That is, the ring-shaped depressed portion 32-1 has a cross-sectional shape orthogonal to the X direction, a top shape similar to the handle portion main body 31, and a shape in which the diameter continuously decreases.

링형상 함몰부(32-2)는 링형상 함몰부(32-1)의 배치 위치보다 핸들부(16)의 후단측에, 예를 들면 20㎜~50㎜ 멀어져서 배치되어 있다. 링형상 함몰부(32-2)는 핸들부 본체(31)의 직경을 축경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즉, 링형상 함몰부(32-2)는 X방향과 직교하는 단면형상이 핸들부 본체(31)와 상사형이며, 또한 직경이 연속적으로 작아지는 형상이다.The ring-shaped depressed portion 32-2 is arranged at a rear end side of the handle portion 16, for example, 20 mm to 50 mm away from the ring-shaped depressed portion 32-1. The ring-shaped depressed portion 32-2 is formed by reducing the diameter of the handle portion main body 31. [ That is, the ring-shaped depressed portion 32-2 has a cross-sectional shape orthogonal to the X-direction, a top shape similar to the handle portion main body 31, and a shape in which the diameter continuously decreases.

이와 같이 핸들부 본체(31)의 X방향으로 핸들부 본체(31)의 직경을 축경함으로써 구성된 링형상 함몰부(32-1, 32-2)를 배치시킴으로써 칫솔(10)을 입에 문 상태로 칫솔(10)의 후단으로부터 헤드부(14)의 선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강한 외력이 가해졌을 때, 제 2 변형부로서의 링형상 함몰부(32-1, 32-2)의 배치 위치에 있어서 핸들부(16)가 용이하게 절곡되는 것이 가능해진다.By arranging the ring-shaped depressions 32-1 and 32-2 formed by shrinking the diameter of the handle portion main body 31 in the X direction of the handle portion main body 31 as described above, the toothbrush 10 is placed in the mouth- When a strong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the direction from the rear end of the toothbrush 10 toward the tip of the head portion 14, at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ring-shaped depressed portions 32-1 and 32-2 as the second deformed portion, (16) can be easily bent.

이에 따라 칫솔(10)의 후단으로부터 헤드부(14)의 선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을 이와는 다른 방향으로 더 효율 좋게 유출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칫솔(10)의 사용자의 구강 내가 손상을 더 억제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external force applied in the direction from the rear end of the toothbrush 10 toward the front end of the head portion 14 can flow out in a different direction more efficiently, so that the mouth of the user of the toothbrush 10 can be prevented from further damage .

또한, 핸들부 본체(31)의 X방향으로 핸들부 본체(31)의 직경을 축경함으로써 구성된 링형상 함몰부(32-1, 32-2)를 배치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칫솔(10)을 사용할 때 핸들부(16)를 들기 쉬워지기 때문에 칫솔(10)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When the user uses the toothbrush 10 by arranging the ring shaped depressions 32-1 and 32-2 formed by shrinking the diameter of the handle portion main body 31 in the X direction of the handle portion main body 31, So that the operability of the toothbrush 10 can be improved.

또한, 도 1~도 3에서는 핸들부 본체(31)에 2개의 링형상 함몰부(32-1, 32-2)를 형성했을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링형상 함몰부(32-1, 32-2)의 수는 2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링형상 함몰부(32-1, 32-2)는 필요에 따라 핸들부 본체(31)에 1개 이상, 5개 이하의 개수로 형성하면 좋다.1 to 3, two ring-shaped depressions 32-1 and 32-2 are formed on the handle body 31. However, the ring-shaped depressions 32-1, 32-2 are not limited to two. The ring shaped depressions 32-1 and 32-2 may be formed in the handle body 31 in the number of one or more than five, if necessary.

또한, 링형상 함몰부(32-1, 32-2)의 배치 위치는 제 2 부분(25-2)의 배치 위치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핸들부 본체(31)에 형성하면 좋고, 도 1~도 3에 나타내는 링형상 함몰부(32-1, 32-2)의 배치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arrangement positions of the ring shaped depressions 32-1 and 32-2 may be formed in the handle portion main body 31 located behind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second portion 25-2, The shape of the ring-shaped depressions 32-1 and 32-2 shown in Fig.

제 1 리브부(34)는 링형상 함몰부(32-1) 중 핸들부 본체(31)의 측면(바꿔 말하면, 2개의 측면)을 구성하는 부분에 복수 배치되어 있다.A plurality of the first rib portions 34 are arranged in a portion of the ring-shaped depressed portion 32-1 that constitutes the side surface of the handle portion main body 31 (in other words, two side surfaces).

제 2 리브부(35)는 링형상 함몰부(32-2) 중 핸들부 본체(31)의 측면(바꿔 말하면, 2개의 측면)을 구성하는 부분에 복수 배치되어 있다.A plurality of second rib portions 35 are disposed in portions of the ring-shaped depressed portion 32-2 that constitute the side surface of the handle portion main body 31 (in other words, two side surfaces).

제 3 리브부(37)는 제 2 리브부(35)의 배치 위치보다 후단측에 위치하는 핸들부 본체(31)의 측면(바꿔 말하면, 2개의 측면)에 복수 배치되어 있다.A plurality of third rib portions 37 are disposed on a side surface (that is, two side surfaces) of the handle portion main body 31 locat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second rib portions 35. [

상기 제 1~제 3 리브부(34, 35, 37)는 제 2 연질 수지(27)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제 3 리브부(34, 35, 37)는 핸들부 본체(31)를 형성할 때에 일괄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to third rib portions 34, 35 and 37 may be formed of a second soft resin 27. In this case, the first to third rib portions 34, 35, 37 can be collectively formed when the handle portion main body 31 is formed.

또한, 상기 제 1~제 3 리브부(34, 35, 37)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없어도 좋다.In addition, the first to third rib portions 34, 35, 37 are not necessarily required and may be omitted.

이와 같이 링형상 함몰부(32-1)에 배치된 복수의 제 1 리브(34), 링형상 함몰부(32-2)에 배치된 복수의 링형상 함몰부(32-2), 및 제 2 리브부(35)의 배치 위치보다 후단측에 위치하는 핸들부 본체(31)의 측면에 배치된 복수의 제 3 리브부(37)를 가짐으로써 칫솔(10)을 유지하는 손가락이 미끄러지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핸들부 본체(31)의 그립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lurality of first ribs 34 disposed in the ring-shaped depression 32-1, the plurality of ring-shaped depressions 32-2 disposed in the ring-shaped depression 32-2, and the second ring- The finger holding the toothbrush 10 is prevented from slipping by having the plurality of third rib portions 37 disposed on the side of the handle portion main body 31 located at the rear end side of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rib portions 35 Therefore, the grip performance of the handle portion main body 31 can be improved.

도 1을 참조하면 브러시부(12)는 베이스 부재(21)에 형성된 복수개의 식모 구멍(21-1B)에 식설된 모다발(12-1)로 구성되어 있다. 모다발(12-1)은 복수의 용모(用毛)를 묶은 것이다.Referring to FIG. 1, the brush part 12 is formed of a pair of legs 12 - 1 laid on a plurality of footholes 21 - 1 B formed in a base member 21. Moda (12-1) is a bundle of plural hairs.

식모면(21-1b)을 기준으로 했을 때의 모다발(12-1)의 길이(모 길이)는 모다발(12-1)에 요구하는 모 탄성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모다발(12-1)의 길이(모 길이)는, 예를 들면 6~13㎜의 범위 내에서 적당히 설정할 수 있다.The length (mother hair length) of the hair bundle 12-1 when the hair styling face 21-1b is taken as a reference can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hair elasticity required for the hair bundle 12-1. Specifically, the length (parent length) of the bundle 12-1 can be appropriately set within a range of, for example, 6 to 13 mm.

모다발(12-1)은, 예를 들면 모 길이가 일치된 복수의 용모로 구성해도 좋고, 모 길이의 길이가 상이한 복수의 용모로 구성해도 좋다.The mother board 12-1 may be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pieces having the same mother length, for example, or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pieces having different mother lengths.

도 1에서는 칫솔(10)을 구성하는 브러시부(12)의 일례로서 브러시부(12)를 구성하는 복수의 모다발(12-1)의 선단을 일치시켰을 경우를 예를 들어 도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In FIG. 1, for example, the tip ends of the plurality of hair bundles 12-1 constituting the brush portion 12 are aligned as an example of the brush portion 12 constituting the toothbrush 10, It is not limited.

예를 들면, 브러시부(12)를 구성하는 복수의 모다발(12-1)의 길이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브러시부(12)에 단차를 형성해도 좋다.For example, a step may be formed in the brush portion 12 by making the lengths of the plurality of hair bundles 12-1 constituting the brush portion 12 different.

모다발(12-1)의 굵기(모다발 지름)는 모다발(12-1)에 요구하는 모 탄성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1~2㎜의 범위 내에서 적당히 설정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bundle 12-1 (bundle diameter) can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parent elasticity required for the bundle bundle 12-1, but may be suitably set within a range of, for example, 1 to 2 mm .

모든 모다발(12-1)은 동일한 모다발 지름이어도 좋고, 서로 상이해도 좋다.All of the female threads 12-1 may be the same thread diameter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모다발(12-1)을 구성하는 복수의 용모로서는, 예를 들면 모 끝을 향함에 따라서 지름이 작아져 모 끝이 선예화된 용모인 테이퍼모나, 식모면(21-1b)으로부터 모 끝을 향해 지름이 대략 동일해진 용모인 스트레이트모 등을 사용할 수 있다.As a plurality of features constituting the mother board 12-1, for example, a tapered mother board whose diameter is reduced toward the mother end and whose mother end is sharpened, a mother board 21-1b, A straight hair or the like which is roughly equal in diameter toward the center can be used.

또한, 스트레이트모로서는, 예를 들면 모 끝이 식모면(21-1b)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평면으로 된 것이나, 모 끝이 반구형상으로 둥글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As the straight hair, for example, one having a flat en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eeding end 21-1b, or a hair end having a hemispherical shape may be used.

모다발(12-1)을 구성하는 용모의 재질은, 예를 들면 6-12나일론(6-12NY), 6-10나일론(6-10NY) 등의 폴리아미드, PET, PB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폴리에틸렌나프타레이트(PEN),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PBN) 등의 폴리에스테르, PP 등의 폴리올레핀 등의 수지 재료를 예시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mold bundle 12-1 are polyamide such as 6-12 nylon (6-12NY), 6-10 nylon (6-10NY), PET, PBT,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olyesters such as phthalate (PTT),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and polybutylene naphthalate (PBN), polyolefins such as PP, and the like.

용모의 재질이 되는 상기 수지 재료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The above-mentioned resin materials which are the materials of the appearance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kinds.

또한, 모다발(12-1)을 구성하는 용모로서, 예를 들면 심부와, 상기 심부의 외측에 형성된 적어도 1층 이상의 초부를 갖는 다중심 구조로 된 폴리에스테르제 용모를 사용해도 좋다.As the outline constituting the female thread 12-1, for example, a polyester-made hologram having a multi-centered structure having a core portion and at least one layered outer portion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core portion may be used.

모다발(12-1)을 구성하는 용모의 횡단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원형, 타원형 등의 원형, 다각형, 별형, 세잎 클로버형, 네잎 클로버형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appearance of the mold bundle 12-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circular, elliptical, circular, polygonal, star-shaped, three-leaf clover type, four-leaf clover type and the like can be used.

브러시부(12)를 구성하는 모든 용모의 단면형상은 동일해도 좋고, 상이해도 좋다.The cross-sectional shapes of all the features constituting the brush portion 12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모다발(12-1)을 구성하는 용모의 굵기는 상기 용모의 재질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용모의 횡단면이 원형인 경우, 상기 용모의 굵기는, 예를 들면 6~9mil로 할 수 있다. 또한, 1mil은 0.0254㎜이다.The thickness of the features constituting the pattern (12-1) can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material of the above-mentioned features. When the cross-section of the appearance is circular, the thickness of the above-mentioned features may be, for example, 6 to 9 mils. Also, 1 mil is 0.0254 mm.

또한, 모다발(12-1)은 사용감, 쇄소감, 청소 효과,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굵기가 상이한 복수개의 용모를 임의로 조합함으로써 구성해도 좋다.Further, the female thread 12-1 may be constituted by arbitrarily combining a plurality of appearance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in consideration of feeling of use, chain sawing, cleaning effect, durability and the like.

본 실시형태의 칫솔에 의하면 적어도 선단부가 제 1 연질 수지(22)로 구성되어 식모면(21-1b)을 갖는 헤드부(14)와, 제 2 연질 수지(27)로 구성된 핸들부 본체(31)를 포함하는 핸들부(16)와, 헤드부(14)와 핸들부(16)를 접속하는 네크부(15)를 갖고, 네크부(15)는 네크부(15)의 연장 방향(X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제 1 연질 수지(22)보다 단단한 경질 수지로 구성된 심부(25)와, 심부(25)를 내부에 수용하며, 또한 경질 수지보다 연한 제 2 연질 수지(27)로 구성된 연질부(26)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칫솔(10)을 문 상태로 칫솔(10)의 후단으로부터 헤드부(14)의 선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강한 외력이 가해졌을 때, 제 2 연질 수지(27)를 구성 요소로 하는 네크부(15) 및 핸들부(16)를 변형시킴(구체적으로는 절곡함)으로써 헤드부(14)의 선단에 가해지는 힘을 유출시키는 것이 가능해짐과 아울러, 헤드부(14)의 선단에 배치된 연한 제 1 연질 수지(22)를 사용자의 구강 내와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칫솔(10)의 사용자의 구강 내가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oothbrush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ad portion 14 having at least the distal end portion thereof composed of the first soft resin 22 and having the wedge surface 21-1b, and the handle portion main body 31 And a neck portion 15 connecting the head portion 14 and the handle portion 16. The neck portion 15 has a neck portion 15 extending in the X direction A soft portion 25 made of a hard resin harder than the first soft resin 22 and a second soft resin 27 accommodating the core portion 25 and tighter than the hard resin, When the user applies a strong external force to the toothbrush 10 in the direction from the rear end of the toothbrush 10 toward the tip of the head portion 14 in the state where the toothbrush 10 is in the door state, It is possible to allow the force applied to the tip of the head portion 14 to flow out by deforming (specifically bending) the neck portion 15 and the handle portion 16 as constituent elements And, at the same time, it has a light first soft resin 22 is disposed on the front end of the head portion 14 may therefore be possible to contact the user within the oral cavity to inhibit the damage to the user's oral cavity I of the toothbrush 10.

특히, 칫솔(10)의 사용자가 1~3세의 유아일 경우, 칫솔(10)을 입에 문 채의 상태로 달리거나 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 유아가 전도되었을 때이어도 유아의 구강 내가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Particularly, when the user of the toothbrush 10 is a child of 1 to 3 years old, the toothbrush 10 may be run in a state of being kept in the mouth. In such a case, even when the infant turns 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damage.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 부재(21), 심부(25), 및 복수의 돌출부(29)를 갖는 경질 부재(17)를 칫솔(10)의 구성 요소로서 사용했을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베이스 부재(21)를 구성 요소로부터 제외한 경질 부재(이하, 설명의 편의상 「경질 부재 P」라고 함)를 사용하여 칫솔(이하, 설명의 편의상 「칫솔 Q」라고 함)을 구성해도 좋고, 이 경우, 본 실시형태의 칫솔(10)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hard member 17 having the base member 21, the core 25, and the plurality of projections 29 is used as a component of the toothbrush 10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A toothbrush (hereinafter referred to as " toothbrush Q "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may be constructed by using a hard memb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 hard member P " In this case, the same effect as that of the toothbrush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obtained.

이 경우, 경질 부재 P는 심부(25)의 후단측에만 복수의 돌출부(29)를 가질 뿐만 아니라 심부(25)의 선단측에도 복수의 돌출부(29)를 갖도록 구성하면 좋다.In this case, the rigid member P may have a plurality of protruding portions 29 only on the rear end side of the deep portion 25, and may have a plurality of protruding portions 29 on the distal end side of the deep portion 25.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칫솔 Q의 외형에 대응한 공간을 갖는 금형(도시하지 않음) 내에 연질 수지(제 1 및 제 2 연질 수지(22, 27)가 되는 수지)를 도입했을 때에 상기 금형 내에 있어서의 경질 부재 P의 자세(위치)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정밀도 좋게 칫솔 Q를 제조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when a soft resin (a resin that becomes the first and second soft resin 22 and 27) is introduced into a mold (not shown) having a space corresponding to the contour of the toothbrush Q, The posture (position) of the member P can be maintained, and the toothbrush Q can be manufactured with high precision.

또한, 칫솔 Q를 제조할 때(구체적으로는 모다발을 식모할 때)에는 인몰드법을 사용하면 좋다.In addition, when the toothbrush Q is manufactured (concretely, when the hair bundle is to be implanted), the in-mold method may be used.

도 11은 본 실시형태의 칫솔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제 1 금형을 사용하여 경질 부재를 형성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의 칫솔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제 2 금형을 사용하여 제 1 연질 수지, 연질부, 및 핸들부 본체를 형성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toothbrush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ep of forming a hard member using the first mold. 1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toothbrush of this embodiment, and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ep of forming the first soft resin, the soft portion and the handle portion main body by using the second mold.

도 11 및 도 12에 있어서, 도 1~도 10에 나타내는 구조체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인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화살표는 경질 수지가 도입되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고, 도 12에 나타내는 화살표는 연질 수지(후술하는 연질 수지 N)가 도입되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In Figs. 11 and 12,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structures shown in Figs. 1 to 10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11 shows the direction in which the hard resin is introduced, and the arrows in Fig. 12 show the direction in which the soft resin (soft resin N described later) is introduced.

이어서, 주로 도 1,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칫솔(1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oothbrush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11, and 12. Fig.

또한, 여기에서는 제 1 및 제 2 연질 수지(22, 27)로서 동일 종류의 연질 수지(이하, 설명의 편의상 「연질 수지 N」이라고 함)를 사용했을 경우를 예를 들어 이하의 설명을 행한다.Hereinafter,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made of the case where the same kind of soft resin (hereinafter referred to as " soft resin N "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s used as the first and second soft resins 22 and 27.

처음에 도 11에 나타내는 공정에서는 한쌍의 금형(41-1, 41-2)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경질 부재(17)의 형상에 대응된 공간(43) 및 공간(43) 내에 경질 수지를 도입하기 위한 도입구(45)를 갖는 제 1 금형(41)을 준비한다.11, a hard resin is introduced into the space 43 and the space 43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hard member 17, A first mold 41 having an introduction port 45 is prepared.

금형(41-2)에는 복수개의 식모 구멍(21-1B)을 형성하기 위한 돌출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입구(45)는 공간(43)의 후단측에 배치되어 있다.The mold 41-2 is formed with a projection (not shown) for forming a plurality of hair-removal holes 21-1B. Further, the introduction port 45 is dispos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space 43.

이어서, 도입구(45)를 개재하여 경질 부재(17)의 모재가 되는 용융된 경질 수지(굽힘 탄성률(JIS K7203)이 500~3000㎫의 범위 내에 있는 수지)로 공간(43)을 충전하고, 상기 경질 수지가 경화함으로써 복수개의 식모 구멍(21-1B) 및 지지부(21-2)를 포함하는 베이스 부재(21), 심부(25), 및 복수의 돌출부(29)가 일체가 된 경질 부재(17)가 형성된다. 그 후, 제 1 금형(41)으로부터 경질 부재(17)를 인출한다.Subsequently, the space 43 is filled with a molten hard resin (resin having a flexural modulus (JIS K7203) within a range of 500 to 3000 MPa) serving as a base material of the rigid member 17 via the introduction port 45, The hard resin is hardened to harden the hard member (the base member 21, the core portion 25, and the plurality of projections 29) including the plurality of hair-removal holes 21-1B and the support portions 21-2 17 are formed. Thereafter, the hard member 17 is taken out of the first mold 41. [

이어서, 도 12에 나타내는 공정에서는 한쌍의 금형(51-1, 51-2)으로 이루어지며, 도 1에 나타내는 브러시부(12)를 제외한 칫솔(10)의 형상에 대응한 공간(53), 및 공간(53) 내에 경질 수지를 도입하기 위한 도입구(55)을 갖는 제 2 금형(55)을 준비한다. 한쌍의 금형(51-1, 51-2)의 접합면은, 예를 들면 도 8~도 10에 나타내어지는 연질부(26)(핸들부 본체(31))의 Z방향의 중간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12, a space 53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toothbrush 10 except for the brush portion 12 shown in Fig. 1, and a pair of metal molds 51-1 and 51-2, A second mold 55 having an introduction port 55 for introducing the hard resin into the space 53 is prepared. The joint surfaces of the pair of dies 51-1 and 51-2 are set at, for example, intermediate positions in the Z direction of the soft portion 26 (the handle portion main body 31) shown in Figs. 8 to 10 have.

금형(51-2)에는 복수개의 식모 구멍(21-1B)을 형성하기 위한 돌출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입구(55)는 공간(53)의 후단측에 배치되어 있다.The mold 51-2 is formed with a projection (not shown) for forming a plurality of hair-removal holes 21-1B. Further, the introduction port 55 is dispos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space 53.

또한, 제 2 금형(51)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링형상 함몰부(32-1, 32-2), 제 1 리브부(34), 제 2 리브부(35), 및 제 3 리브부(37)를 형성하기 위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metal mold 51 is provided with the ring shaped depressions 32-1 and 32-2, the first rib portion 34, the second rib portion 35 and the third rib portion 37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이어서, 상기 제 2 금형(51)의 공간(53)의 선단부에 경질 부재(17)를 배치시킨다. 이때, 복수개의 식모 구멍(21-1B)이 덮이도록 금형(51-2)의 내면과 식모면(21-1b)을 접촉시킴과 아울러, 2개의 지지부(21-2)의 끝면과 금형(51-1)의 내면을 접촉시켜 복수(본 실시형태의 경우, 4개)의 돌출부(29)의 돌출면(29a)과 제 2 금형(51)의 내면을 더 접촉시킨다.Next, the hard member 17 is disposed at the tip end of the space 53 of the second mold 51. At this time, the inner surface of the mold 51-2 and the mold surface 21-1b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plurality of trowel holes 21-1B are covered, and the end surface of the two supports 21-2 and the mold 51 -1)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projecting surface 29a of the plurality of protruding portions 29 (four in this embodiment)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metal mold 51 are further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이에 따라 제 2 금형(51)의 공간(53) 내에 제 1 연질 수지(22) 및 제 2 연질 수지(27)(연질부(26) 및 핸들부 본체(31)를 구성하는 연질 수지)가 되는 연질 수지 N이 도입되었을 때, 제 2 금형(51) 내에 있어서의 경질 부재(17)의 위치 및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The first soft resin 22 and the second soft resin 27 (the soft resin constituting the soft portion 26 and the handle portion main body 31) in the space 53 of the second metal mold 51 The position and posture of the hard member 17 in the second metal mold 51 can be maintained when the soft resin N is introduced.

즉, +Z측에 위치하는 돌출부(29)의 돌출면(29a)이 금형(51-2)의 내면과 접촉하고, -Z측에 위치하는 돌출부(29)의 돌출면(29a)이 금형(51-1)의 내면과 접촉함으로써 경질 부재(17)가 Z방향에서 위치 결정된다. 또한, +Z측에 위치하는 돌출부(29) 및 -Z측에 위치하는 돌출부(29)의 돌출면(29a)은 쌍방이 +Y측 및 -Y측에 면하고 있는 점에서 금형(51-1), 금형(51-2)의 내면에 접촉함으로써 Y방향에 대해서도 위치 결정된다.That is, the protruding surface 29a of the protruding portion 29 located on the + Z side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mold 51-2, and the protruding surface 29a of the protruding portion 29 located on the- 51-1 so that the hard member 17 is positioned in the Z direction. The projecting surfaces 29a of the projections 29 located on the + Z side and the projecting surfaces 29a of the projections 29 located on the -Z side face each other on the + Y side and the -Y side, , And is also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Y direction by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mold 51-2.

또한, 2개의 지지부(21-2)의 끝면 및 복수의 돌출부(29)의 돌출면(29a)이 제 2 금형(51)의 내면과 접촉함으로써 경질 부재(17)와 제 2 금형(51) 사이에 제 1 연질 수지(22) 및 연질부(26)를 형성하기 위한 간극을 확보할 수 있다.The end surfaces of the two support portions 21-2 and the protruding surfaces 29a of the plurality of protruding portions 29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mold 51 so that the gap between the hard member 17 and the second mold 51 A gap for forming the first soft resin 22 and the soft portion 26 can be ensured.

이어서, 도입구(55)를 개재하여 공간(53) 내에 용융시킨 연질 수지 N(JIS K 7215 쇼어A의 경도가 90 이하인 수지)을 충전시킨다.Then, the soft resin N (JIS K 7215 Shore A hardness of 90 or less) is melted in the space 53 through the introduction port 55.

테이퍼부(31A)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의 금형(51-1), 금형(51-2)의 내면은 선단측을 향함에 따라 앞이 가늘어지도록 서로 거리가 짧아지기 때문에 상기 내면에 돌출면(29a)이 접촉함으로써 경질 부재(17)는 선단측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그 때문에 경질 부재(17)는 도입구(55)를 개재하여 충전된 용융시킨 연질 수지 N의 수지압이 가해져도 X방향으로 이동하는 일 없이 위치 결정된다.Since the inner surfaces of the mold 51-1 and the mold 51-2 at the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tapered portions 31A are shortened in distance from each other in such a manner that the inner surfaces of the mold 51-1 and the mold 51-2 become thinner toward the tip side, The rigid member 17 is prevented from moving toward the tip end. The hard member 17 is positioned without moving in the X direction even if the resin pressure of the molten soft resin N charged through the introduction port 55 is applied.

그 후, 연질 수지 N을 경화시킴으로써 제 1 연질 수지(22), 연질부(26), 및 핸들부 본체(31)를 형성한다. 금형(51-1), 금형(51-2)의 접합면과 대향하는 위치(Z방향에서 대략 중간 위치)에 있어서의 연질부(26)의 표면에는 미소 돌출조의 분할선이 형성된다.Thereafter, the soft resin N is cured to form the first soft resin 22, the soft portion 26, and the handle portion main body 31. A dividing line of a microprojection tank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oft portion 26 at a position (a substantially middle position in the Z direction) opposite to the bonding surface of the mold 51-1 and the mold 51-2.

이에 따라 헤드부(14), 네크부(15), 및 핸들부(16)를 갖는 핸들체(11)가 형성된다. 그 후, 제 2 금형(51) 내로부터 핸들체(11)를 인출한다.Thus, the handle body 11 having the head portion 14, the neck portion 15, and the handle portion 16 is formed. Thereafter, the handle body 11 is taken out from the inside of the second mold 51.

이어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부(11)의 복수개의 식모 구멍(21-2)에 대하여 모다발(12-1)을 식설한다. 이에 따라 도 1에 나타내는 본 실시의 칫솔(10)이 제조된다.Next, as shown in Fig. 1, the hair bundle 12-1 is stitched on the plurality of hair-removal holes 21-2 of the head 11. Thus, the toothbrush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shown in Fig. 1 is manufactured.

모다발(12)의 식모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모다발(12-1)을 2겹으로 접은 후 모다발(12-1)의 내측에 평선(금속제(예를 들면, 놋쇠)의 두께가 얇은 판)을 끼우고, 평선이 끼워진 모다발(12-1)을 식모 구멍(21-2)에 식설하는 평선 식모법을 사용할 수 있다.As a method for forming the mold bundle 12, for example, a method of folding the mold bundle 12-1 in two layers and then forming a flat line (a metal (for example, brass) in the inside of the mold bundle 12-1 Flat plate molding method in which a hair bundle 12-1 with a flat line is stitched on a hair-removal hole 21-2 can be used.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다발(12-1)의 식모 방법으로서 평선 식모법을 사용했을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이 방법 대신에, 예를 들면 헤드부(14)를 구성하는 수지(연질 수지 또는 경질 수지) 중에 모다발(12-1)의 하단을 압입하여 고정하는 열 융착법이나, 모다발(12-1)의 하단을 가열하여 용융 덩어리를 형성한 후, 금형 내에 용융 수지를 도입시키는 인몰드법 등을 사용해도 좋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flat sheet molding method is used as a method of molding the bundle 12-1. However, instead of this method, for example, a resin A method in which a lower end of the mold bundle 12-1 is fixed by press-fitting and fixing the lower end of the mold bundle 12-1 in a resin or a hard resin, or a method in which a lower end of the mold bundle 12-1 is heated to form a molten mass, Or the like may be used.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형·변경이 가능하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헤드부(14)의 선단부에 연질부(26)를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13의 측면도 및 도 14의 정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네크부(15)에 있어서의 변형부(15A)를 포함하며, 또한 변형부(15A)로부터 후단측에 연질부(26)를 형성하는 구성이어도 좋다.For examp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oft portion 26 is formed at the tip end of the head portion 14,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s shown in the side view of Fig. 13 and the front view of Fig. 14, The deformed portion 15A of the deformable portion 15A and the soft portion 26 may be form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deformable portion 15A.

또한, 칫솔로서는 모다발이 1개인, 소위 원터프트 칫솔이나, 설태 제거부를 갖는 칫솔 등에 본 발명은 널리 적용 가능하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widely applicable to a toothbrush having one modal, that is, a so-called one-touch toothbrush, and a toothbrush having a tear removing portion.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식모면(21-1b)과 핸들부(16) 사이에 상기 제 2 방향(Y방향)의 폭이 헤드부(14)의 폭(Y방향의 최대폭)보다 작은 네크부(15)가 배치되는 칫솔(10)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식모면(21-1b)과 핸들부(16) 사이에 Y방향의 폭이 헤드부(14)의 최대폭과 동일 개소가 존재하는 경우의 칫솔에 대해서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이 경우, 해당 개소가 네크부로서 변형부가 배치됨과 아울러, 이 변형부로부터 후단측으로 경질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며, 또한 연질 수지로 형성된 연질부가 배치된다.The width of the neck portion 21 in the second direction (Y direction) is smaller than that of the head portion 14 (the maximum width in the Y direction) between the kneading surface 21-1b and the handle portion 16 The width of the head portion 14 in the Y direction between the kneading surface 21-1b and the handle portion 16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The tooth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the deformed portion is disposed as a neck portion at the corresponding port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rigid member is accommodated in the rear end side from the deformed portion, and a soft portion formed of a soft resin is disposed.

본 발명은 사용자의 구강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칫솔에 이용할 수 있다. 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toothbrush capable of restraining damage to the user's mouth.

10 : 칫솔 11 : 핸들체
12 : 브러시부 14 : 헤드부
15 : 네크부 15A : 변형부
16 : 핸들부 17 : 경질 부재
21 : 베이스 부재 21-1 : 베이스 부재 본체
21-1a : 저면 21-1A : 선단부
21-1b : 식모면(제 1 노출부) 21-1B : 식모 구멍
21-2 : 지지부 21-2a : 돌출면
22 : 제 1 연질 수지 25 : 심부
25-1 : 제 1 부분 25-1a : 절단면
25-2 : 제 1 부분 26 : 연질부
27 : 제 2 연질 수지 29 : 돌출부
29a : 돌출면 31 : 핸들부 본체
31A : 테이퍼부
32-1, 32-2 : 링형상 함몰부(제 2 변형부)
34 : 제 1 리브부 35 : 제 2 리브부
37 : 제 3 리브부 41 : 제 1 금형
41-1, 41-2, 51-1, 51-2 : 금형 43, 53 : 공간
45,55 : 도입구 51 : 제 2 금형
R1, R2 : 직경 S1, S2 : 면적
T1 : 돌출량 W1 : 제 1 폭
W2 : 제 2 폭
10: toothbrush 11: handle
12: Brush part 14: Head part
15: neck portion 15A:
16: handle portion 17: hard member
21: base member 21-1: base member body
21-1a: bottom surface 21-1A:
21-1b: Expression main surface (first exposed portion) 21-1B:
21-2: Support portion 21-2a:
22: first soft resin 25: deep portion
25-1: First part 25-1a:
25-2: first part 26: soft part
27: second soft resin 29: protrusion
29a: protruding surface 31: handle body
31A:
32-1, 32-2: ring-shaped depressed portion (second modified portion)
34: first rib portion 35: second rib portion
37: third rib portion 41: first mold
41-1, 41-2, 51-1, 51-2: mold 43, 53: space
45,55: inlet 51: second mold
R1, R2: Diameter S1, S2: Area
T1: protrusion amount W1: first width
W2: second width

Claims (14)

선단측에 식모면을 갖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보다 후단측에 배치되어 핸들부 본체를 포함하는 핸들부를 갖고,
상기 식모면과 상기 핸들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헤드부로의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변형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상기 핸들부의 선단측의 일부에 걸쳐 배치되어 경질 수지로 형성된 경질 부재와,
상기 변형부로부터 후단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경질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며, 또한 연질 수지로 형성된 연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A head portion having a wedge-shaped surface on the leading end side,
And a handle portion disposed at a rear end side of the head portion and including a handle portion main body,
A deformation portion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cooking cavity surface and the handle portion and deforms by an external force to the head portion,
A rigid member which is arranged from the head portion to a part of a front end side of the handle portion and is made of a hard resin,
And a soft portion that is disposed from the deformation portion to the rear end side to receive at least a portion of the hard member therein and is also formed of a soft resi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에 배치되어 상기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제 2 변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cond deforming portion disposed on the handle portion and deformed by the external for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그 핸들부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적어도 1개의 축경된 링형상의 함몰부를 갖고,
상기 제 2 변형부는 상기 함몰부의 배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handle portion has at least one reduced-diameter depressed r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handle portion,
And the second deforming portion is disposed at an arrangement position of the depressed portion.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부재는 상기 헤드부에 있어서 상기 식모면측에 노출하는 제 1 노출부와, 상기 식모면과는 반대측에 노출하는 제 2 노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hard member has a first exposed portion that is exposed on the cooking cavity side of the head portion and a second exposed portion that is ex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ooking cavity.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부재는 상기 핸들부에 있어서 상기 식모면측으로 돌출되어 노출하는 기둥형상의 제 1 돌출부와, 상기 핸들부에 있어서 상기 식모면과는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노출하는 기둥형상의 제 2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rigid member has a columnar first projection projecting from the handle portion and projecting toward the cup face and a columnar second projection projecting from the handle porti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up face Features a toothbrush.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연질부의 상기 식모면측에 형성된 제 1 개구부를 통해 노출하고,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연질부의 상기 식모면측과는 반대측에 형성된 제 2 개구부를 통해 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exposes through a first opening formed on the convex side of the soft portion,
Wherein the second protrusion is exposed through a second opening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oftened portion of the soft por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에 있어서의 상기 연질부는 상기 선단측을 향해서 앞이 가늘어지는 테이퍼부를 갖고,
상기 제 1 개구부 및 상기 제 2 개구부는 상기 테이퍼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oft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has a tapered portion that tapers toward the tip side,
Wherein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are formed in the tapered portion.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부는 표면에 분할선을 갖고,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분할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식모면과 직교하는 방향의 일방측에 노출하고,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분할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직교하는 방향의 타방측에 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7,
Wherein the soft portion has a dividing line on the surface,
The first projection is exposed on one sid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molding surface with the dividing lin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second projection is exposed to the other side in the orthogonal direction with the dividing line interposed therebetween.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부재는 상기 핸들부까지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돌출부의 선단면 및 상기 제 2 돌출부의 선단면은 상기 핸들부의 외면에 대하여 면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8,
The hard member is arranged to extend to the handle portion,
Wherein the distal end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distal end surface of the second protrusion are flush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portion.
제 5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부재 중, 상기 제 1 돌출부 및 상기 제 2 돌출부보다 상기 핸들부의 후단측에 배치된 부분은 상기 핸들부의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지름이 작아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9,
Wherein the portion of the rigid member which is dispos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handle portion is smaller in diameter as it goes toward the rear end side of the handle portion than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적어도 선단부가 상기 경질 수지보다 연한 제 1 연질 수지로 구성되고,
상기 핸들부 본체는 상기 경질 수지보다 연한 제 2 연질 수지로 구성되고,
상기 연질부는 상기 제 2 연질 수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Wherein the head portion is made of a first soft resin having at least a tip portion thereof tighter than the hard resin,
Wherein the handle portion main body is made of a second soft resin that is tighter than the hard resin,
And the soft portion is made of the second soft resin.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모면과 상기 핸들부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경질 부재는 상기 식모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제 1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폭이 상기 핸들부의 길이 방향과 상기 제 1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제 2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12.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Wherein the rigid member between the cooking cavity and the handle portion has a first width in a first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ooking cavity and a second width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Is greater than the second width of the toothbrush.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에 있어서의 상기 경질 부재는 상기 식모면 및 복수개의 식모 구멍을 갖는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질 수지는 상기 식모면 및 상기 복수개의 식모 구멍을 노출시킨 상태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13.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Wherein the hard member in the head portion includes a base member having the eating core and the plurality of hair-removal holes,
Wherein the first soft resin is disposed so as to cover a part of the base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eating core and the plurality of hair-removal holes are exposed.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모면과 상기 핸들부 사이에 상기 식모면과 직교하는 제 1 방향과 상기 핸들부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의 폭이 상기 헤드부의 폭 이하인 네크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1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3,
Wherein a neck portion is disposed between the mouthpiece and the handle portion, the neck portion having a width in a first direction orthogonal to the eating surface and a width in a secon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handle portion is less than or equal to a width of the head portion.
KR1020167036429A 2014-09-01 2015-08-27 Toothbrush KR10257753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77334 2014-09-01
JPJP-P-2014-177334 2014-09-01
PCT/JP2015/074289 WO2016035678A1 (en) 2014-09-01 2015-08-27 Toothbrus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379A true KR20170051379A (en) 2017-05-11
KR102577531B1 KR102577531B1 (en) 2023-09-12

Family

ID=55439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6429A KR102577531B1 (en) 2014-09-01 2015-08-27 Toothbrush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5) JP6591988B2 (en)
KR (1) KR102577531B1 (en)
CN (5) CN111358165B (en)
WO (1) WO2016035678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33510A (en) * 2016-08-29 2018-03-08 ライオン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toothbrush
JP6914024B2 (en) * 2016-10-28 2021-08-04 ライオン株式会社 Toothbrush and toothbrush manufacturing method
JP7072200B2 (en) * 2017-05-16 2022-05-20 ヤマトエスロン株式会社 Toothbrush for infants
JP7085177B2 (en) * 2017-06-07 2022-06-16 ヤマトエスロン株式会社 Toothbrush for infants
JP2019030583A (en) * 2017-08-09 2019-02-28 ライオン株式会社 toothbrush
JP7370179B2 (en) * 2019-06-28 2023-10-27 ライオン株式会社 toothbrush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789U (en) * 1994-08-09 1996-03-13 박종기 Ice shredder
KR20040077155A (en) * 2003-02-28 2004-09-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A Peanut Head Toothbrush Having a Function for the Teethridge Protection
JP2013000458A (en) 2011-06-20 2013-01-07 Lion Corp Toothbrush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0535Y2 (en) * 1973-02-26 1977-03-07
JPH0631936Y2 (en) * 1989-05-10 1994-08-24 ライオン株式会社 Handle for toothbrush
CA2064828C (en) * 1990-06-15 2002-04-09 Victor Alfred Humphries Toothbrush
DE19533144C2 (en) * 1995-09-08 1999-09-16 Coronet Werke Gmbh toothbrush
US5630244A (en) * 1996-01-02 1997-05-20 Chang; Ching-Min Elastic toothbrush
JP3040913U (en) * 1997-02-25 1997-09-05 順元成興業股▲ふん▼有限公司 toothbrush
US5735012A (en) * 1997-04-01 1998-04-07 Chesebrough-Pond's Usa Co., Division Of Conopco, Inc. Resiliently flexible toothbrush
JPH11155636A (en) * 1997-12-01 1999-06-15 Shugo Saito Tooth cleaning implement
DE60012510T2 (en) * 1999-05-24 2005-08-04 Glaxosmithkline Consumer Healthcare Gmbh & Co. Kg TOOTHBRUSH
JP2003025376A (en) * 2001-07-12 2003-01-29 Lion Corp Method for manufacturing toothbrush handle
DE10245086A1 (en) * 2002-09-27 2004-04-08 Trisa Holding Ag Method of making a toothbrush
JP2005185649A (en) * 2003-12-26 2005-07-14 Lion Corp Toothbrush handle
JP2006000466A (en) * 2004-06-18 2006-01-05 Lion Corp Toothbrush handle
DE202006011720U1 (en) * 2006-07-31 2007-12-13 M + C Schiffer Gmbh Brush, in particular toothbrush
DE102009011836A1 (en) * 2009-03-05 2010-09-09 M + C Schiffer Gmbh Brush i.e. toothbrush, has handle including supporting structure that is arranged axially and rotatably, and ball joint arranged between two consecutive segments, where support structure includes accommodating body
JP5806922B2 (en) * 2011-12-07 2015-11-10 ライオン株式会社 toothbrush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789U (en) * 1994-08-09 1996-03-13 박종기 Ice shredder
KR20040077155A (en) * 2003-02-28 2004-09-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A Peanut Head Toothbrush Having a Function for the Teethridge Protection
JP2013000458A (en) 2011-06-20 2013-01-07 Lion Corp Toothbru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6035678A1 (en) 2017-06-15
CN111358165B (en) 2023-09-08
JP6893541B2 (en) 2021-06-23
CN111358165A (en) 2020-07-03
CN111480969B (en) 2022-05-17
JP2020018871A (en) 2020-02-06
JP2021090889A (en) 2021-06-17
CN111480969A (en) 2020-08-04
CN111449408A (en) 2020-07-28
CN111493506A (en) 2020-08-07
CN106659289A (en) 2017-05-10
JP6903108B2 (en) 2021-07-14
CN111493506B (en) 2023-08-22
JP2020072789A (en) 2020-05-14
KR102577531B1 (en) 2023-09-12
JP2020018870A (en) 2020-02-06
JP7069377B2 (en) 2022-05-17
JP6591988B2 (en) 2019-10-16
WO2016035678A1 (en) 2016-03-10
CN111449408B (en) 2023-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51379A (en) Toothbrush
JP7166372B2 (en) toothbrush
JP6170802B2 (en) Handle body for toothbrush,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toothbrush
CN109890248B (en) Toothbrush and toothbrush manufacturing method
JP6721342B2 (en) Interdental brush
JP6817935B2 (en) toothbrush
JP6675212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interdental cleaning tool
KR101870485B1 (en) Toothbrush
JP6869634B2 (en) toothbrush
KR20160134643A (en) Toothbrush handle, toothbrus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oothbrush
WO2018043249A1 (en) Tootbrush production method
JP6842904B2 (en) toothbrush
JP6842905B2 (en) Toothbrush and how to make a toothbru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