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1338A - 무선 랜 시스템에서 동작모드를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랜 시스템에서 동작모드를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1338A
KR20170051338A KR1020160142059A KR20160142059A KR20170051338A KR 20170051338 A KR20170051338 A KR 20170051338A KR 1020160142059 A KR1020160142059 A KR 1020160142059A KR 20160142059 A KR20160142059 A KR 20160142059A KR 20170051338 A KR20170051338 A KR 20170051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on
ppdu
field
txop
ind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2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기선
김정기
김서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51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3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04W72/04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6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downlink, i.e. towards the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Abstract

본 명세서는 무선 랜 시스템에서 PPDU를 구성하기 위한 동작모드의 변경을 위한 신호 처리 방법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동작모드의 변경은 송신 스테이션과 수신 스테이션에게 알려진 시간 구간에 이루어진다. 동작모드의 변경이 이루어지는 시간 구간은 사전에 명시적으로 시그널링 되거나 묵시적으로 알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TXOP 동안에 새로운 동작모드의 변경이 요청되는 경우, 다음 번 TXOP까지 동작모드의 변경은 지연될 수 있고, 다음 번 TXOP에서 새로운 동작모드가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랜 시스템에서 동작모드를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operating mod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본 명세서는 무선 랜 시스템에서 동작모드에 관한 기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랜 시스템의 무선 스테이션에서 사전에 설정된 시간 구간에 동작모드를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를 위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차세대 WLAN에서는 1) 2.4GHz 및 5GHz 대역에서 IEEE(institute of electronic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PHY(physical) 계층과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의 향상, 2) 스펙트럼 효율성(spectrum efficiency)과 영역 쓰루풋(area through put)을 높이는 것, 3) 간섭 소스가 존재하는 환경, 밀집한 이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환경 및 높은 사용자 부하가 존재하는 환경과 같은 실제 실내 환경 및 실외 환경에서 성능을 향상 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차세대 WLAN에서 주로 고려되는 환경은 AP(access point)와 STA(station)이 많은 밀집 환경이며, 이러한 밀집 환경에서 스펙트럼 효율(spectrum efficiency)과 공간 전송률(area throughput)에 대한 개선이 논의된다. 또한, 차세대 WLAN에서는 실내 환경뿐만 아니라, 기존 WLAN에서 많이 고려되지 않던 실외 환경에서의 실질적 성능 개선에 관심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차세대 WLAN에서는 무선 오피스(wireless office), 스마트 홈(smart home), 스타디움(Stadium), 핫스팟(Hotspot), 빌딩/아파트(building/apartment)와 같은 시나리오에 관심이 크며, 해당 시나리오 기반으로 AP와 STA이 많은 밀집 환경에서의 시스템 성능 향상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차세대 WLAN에서는 하나의 BSS(basic service set)에서의 단일 링크 성능 향상보다는, OBSS(overlapping basic service set) 환경에서의 시스템 성능 향상 및 실외 환경 성능 개선, 그리고 셀룰러 오프로딩 등에 대한 논의가 활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차세대 WLAN의 방향성은 차세대 WLAN이 점점 이동 통신과 유사한 기술 범위를 갖게 됨을 의미한다. 최근 스몰셀 및 D2D(Direct-to-Direct) 통신 영역에서 이동 통신과 WLAN 기술이 함께 논의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해 볼 때, 차세대 WLAN과 이동 통신의 기술적 및 사업적 융합은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예측된다.
본 명세서는 동작모드에 관련된 개선된 필드 구조 및 개선된 시그널링 기법을 제안한다.
본 명세서는 송신 및 수신 장치에서 사전에 설정된 시점에 동작모드가 변경될 수 있는 일례를 제안한다. 또한, 동작모드에 관련된 UL MU 송신에 관한 다양한 일례를 제안한다.
본 명세서는 무선 랜(wireless LAN) 시스템에서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구성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및 해당 방법이 수행되는 장치에 관한 일례를 제안한다.
본 명세서의 일례는 제1 스테이션에서 수행될 수 있고, 이 경우, 제2 스테이션은, 지원하는 공간 스트림(spatial stream)의 개수와 수신 채널 대역폭을 지시하는 동작모드(operating mode)의 변경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상기 제2 스테이션으로부터 TXOP(transmission opportunity) 구간 동안에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테이션은, 상기 TXOP 구간 동안 상기 지시 정보가 적용되지 않도록 상기 지시 정보의 적용을 보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테이션은, 상시 TXOP 구간의 다음(subsequent) TXOP 동안 상기 지시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스테이션을 위한 PPDU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례에 따르면 송신 및 수신 장치에서 사전에 설정된 시점에 동작모드가 변경될 수 있다. 또, 동작모드에 관련된 개선된 필드 구조 및 개선된 시그널링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IEEE 규격에서 사용되는 PPDU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HE PPDU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20MHz 대역 상에서 사용되는 자원유닛(RU)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40MHz 대역 상에서 사용되는 자원유닛(RU)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80MHz 대역 상에서 사용되는 자원유닛(RU)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HE-PPDU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HE-SIG-B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트리거 프레임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은 공통 정보(common information) 필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1은 개별 사용자 정보(per user information) 필드에 포함되는 서브 필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2는 동작모드에 관한 보고를 위하여 사용되는 제어정보(1200)의 일례이다.
도 13은 보고된 동작모드가 UL MU 동작을 위해 사용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14는 보고된 동작모드가 특정 STA의 수신 동작에 사용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15는 보고된 동작모드가 특정 STA의 수신 동작에 사용되는 추가적인 일례를 나타낸다.
도 16은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은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의 상단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 802.11의 인프라스트럭쳐 BSS(basic service set)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의 상단을 참조하면, 무선랜 시스템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인프라스트럭쳐 BSS(100, 105)(이하, BSS)를 포함할 수 있다. BSS(100, 105)는 성공적으로 동기화를 이루어서 서로 통신할 수 있는 AP(access point, 125) 및 STA1(Station, 100-1)과 같은 AP와 STA의 집합으로서, 특정 영역을 가리키는 개념은 아니다. BSS(105)는 하나의 AP(130)에 하나 이상의 결합 가능한 STA(105-1, 105-2)을 포함할 수도 있다.
BSS는 적어도 하나의 STA, 분산 서비스(distribution Service)를 제공하는 AP(125, 130) 및 다수의 AP를 연결시키는 분산 시스템(distribution System, DS, 110)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산 시스템(110)는 여러 BSS(100, 105)를 연결하여 확장된 서비스 셋인 ESS(extended service set, 140)를 구현할 수 있다. ESS(140)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AP(125, 230)가 분산 시스템(110)을 통해 연결되어 이루어진 하나의 네트워크를 지시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ESS(140)에 포함되는 AP는 동일한 SSID(service set identification)를 가질 수 있다.
포털(portal, 120)은 무선랜 네트워크(IEEE 802.11)와 다른 네트워크(예를 들어, 802.X)와의 연결을 수행하는 브리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의 상단과 같은 BSS에서는 AP(125, 130) 사이의 네트워크 및 AP(125, 130)와 STA(100-1, 105-1, 105-2) 사이의 네트워크가 구현될 수 있다. 하지만, AP(125, 130)가 없이 STA 사이에서도 네트워크를 설정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AP(125, 130)가 없이 STA 사이에서도 네트워크를 설정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를 애드-혹 네트워크(Ad-Hoc network) 또는 독립 BSS(independent basic service set, IBSS)라고 정의한다.
도 1의 하단은 IBSS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의 하단을 참조하면, IBSS는 애드-혹 모드로 동작하는 BSS이다. IBSS는 AP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중앙에서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개체(centralized management entity)가 없다. 즉, IBSS에서 STA(150-1, 150-2, 150-3, 155-4, 155-5)들은 분산된 방식(distributed manner)으로 관리된다. IBSS에서는 모든 STA(150-1, 150-2, 150-3, 155-4, 155-5)이 이동 STA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분산 시스템으로의 접속이 허용되지 않아서 자기 완비적 네트워크(self-contained network)를 이룬다.
STA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표준의 규정을 따르는 매체 접속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와 무선 매체에 대한 물리 계층(Physical Layer)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임의의 기능 매체로서, 광의로는 AP와 비-AP STA(Non-AP Station)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STA은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무선 송수신 유닛(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TRU),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가입자 유닛(Mobile Subscriber Unit) 또는 단순히 유저(user) 등의 다양한 명칭으로도 불릴 수 있다.
도 2는 IEEE 규격에서 사용되는 PPDU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IEEE a/g/n/ac 등의 규격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PPDU(PHY protocol data unit)가 사용되었다. 구체적으로, LTF, STF 필드는 트레이닝 신호를 포함하였고, SIG-A, SIG-B 에는 수신 스테이션을 위한 제어정보가 포함되었고, 데이터 필드에는 PSDU에 상응하는 사용자 데이터가 포함되었다.
본 실시예는 PPDU의 데이터 필드를 위해 사용되는 시그널(또는 제어정보 필드)에 관한 개선된 기법을 제안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시그널은 IEEE 802.11ax 규격에 따른 HE PPDU(high efficiency PPDU) 상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개선하는 시그널은 HE PPDU에 포함되는 HE-SIG-A 및/또는 HE-SIG-B일 수 있다. HE-SIG-A 및 HE-SIG-B 각각은 SIG-A, SIG-B로도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제안하는 개선된 시그널이 반드시 HE-SIG-A 및/또는 HE-SIG-B 규격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데이터를 전달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명칭의 제어/데이터 필드에 적용 가능하다.
도 3은 HE PPDU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제어정보 필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HE PPDU 내에 포함되는 HE-SIG-B일 수 있다. 도 3에 따른 HE PPDU는 다중 사용자를 위한 PPDU의 일례로, HE-SIG-B는 다중 사용자를 위한 경우에만 포함되고, 단일 사용자를 위한 PPDU에는 해당 HE-SIG-B가 생략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사용자(Multiple User; MU)를 위한 HE-PPDU는 L-STF(legacy-short training field), L-LTF(legacy-long training field), L-SIG(legacy-signal), HE-SIG-A(high efficiency-signal A), HE-SIG-B(high efficiency-signal-B), HE-STF(high efficiency-short training field), HE-LTF(high efficiency-long training field), 데이터 필드(또는 MAC 페이로드) 및 PE(Packet Extension)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필드는 도시된 시간 구간(즉, 4 또는 8 ㎲ 등) 동안에 전송될 수 있다.
도 3의 각 필드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4는 20MHz 대역 상에서 사용되는 자원유닛(RU)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개수의 톤(즉, 서브캐리어)에 대응되는 자원유닛(Resource Unit; RU)이 사용되어 HE-PPDU의 일부 필드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E-STF, HE-LTF, 데이터 필드에 대해 도시된 RU 단위로 자원이 할당될 수 있다.
도 4의 최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26-유닛(즉, 26개의 톤에 상응하는 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 20MHz 대역의 최좌측(leftmost) 대역에는 6개의 톤이 가드(Guard) 대역으로 사용되고, 20MHz 대역의 최우측(rightmost) 대역에는 5개의 톤이 가드 대역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중심대역, 즉 DC 대역에는 7개의 DC 톤이 삽입되고, DC 대역의 좌우측으로 각 13개의 톤에 상응하는 26-유닛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기타 대역에는 26-유닛, 52-유닛, 106-유닛이 할당될 수 있다. 각 유닛은 수신 스테이션, 즉 사용자를 위해 할당될 수 있다.
한편, 도 4의 RU 배치는 다수의 사용자(MU)를 위한 상황뿐만 아니라, 단일 사용자(SU)를 위한 상황에서도 활용되며, 이 경우에는 도 4의 최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242-유닛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3개의 DC 톤이 삽입될 수 있다.
도 4의 일례에서는 다양한 크기의 RU, 즉, 26-RU, 52-RU, 106-RU, 242-RU 등이 제안되었는바, 이러한 RU의 구체적인 크기는 확장 또는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는 각 RU의 구체적인 크기(즉, 상응하는 톤의 개수)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는 40MHz 대역 상에서 사용되는 자원유닛(RU)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일례에서 다양한 크기의 RU가 사용된 것과 마찬가지로, 도 5의 일례 역시 26-RU, 52-RU, 106-RU, 242-RU, 484-RU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중심주파수에는 5개의 DC 톤이 삽입될 수 있고, 40MHz 대역의 최좌측(leftmost) 대역에는 12개의 톤이 가드(Guard) 대역으로 사용되고, 40MHz 대역의 최우측(rightmost) 대역에는 11개의 톤이 가드 대역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사용자를 위해 사용되는 경우, 484-RU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RU의 구체적인 개수가 변경될 수 있다는 점은 도 4의 일례와 동일하다.
도 6은 80MHz 대역 상에서 사용되는 자원유닛(RU)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의 일례에서 다양한 크기의 RU가 사용된 것과 마찬가지로, 도 6의 일례 역시 26-RU, 52-RU, 106-RU, 242-RU, 484-RU, 996-RU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중심주파수에는 7개 또는 5개의 DC 톤이 삽입될 수 있고, 80MHz 대역의 최좌측(leftmost) 대역에는 12개의 톤이 가드(Guard) 대역으로 사용되고, 80MHz 대역의 최우측(rightmost) 대역에는 11개의 톤이 가드 대역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DC 대역 좌우에 위치하는 각각 13개의 톤을 사용한 26-RU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사용자를 위해 사용되는 경우, 996-RU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RU의 구체적인 개수가 변경될 수 있다는 점은 도 4 및 도 5의 일례와 동일하다.
도 7은 HE-PPDU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도 7의 블록은 도 3의 HE-PPDU 블록을 주파수 측면에서 설명하는 또 다른 일례이다.
도시된 L-STF(700)는 짧은 트레이닝 OFDM 심볼(short training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ymbol)을 포함할 수 있다. L-STF(700)는 프레임 탐지(frame detection), AGC(automatic gain control), 다이버시티 탐지(diversity detection), 대략적인 주파수/시간 동기화(coarse frequency/time synchronization)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L-LTF(710)는 긴 트레이닝 OFDM 심볼(long training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ymbol)을 포함할 수 있다. L-LTF(710)는 정밀한 주파수/시간 동기화(fine frequency/time synchronization) 및 채널 예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L-SIG(720)는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L-SIG(720)는 데이터 전송률(rate), 데이터 길이(length)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L-SIG(720)은 반복되어 전송될 수 있다. 즉, L-SIG(720)가 반복되는 포맷(예를 들어, R-LSIG라 칭할 수 있음)으로 구성될 수 있다.
HE-SIG-A(730)는 수신 스테이션에 공통되는 제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HE-SIG-A(730)는, 1) DL/UL 지시자, 2) BSS의 식별자인 BSS 칼라(color) 필드, 3) 현행 TXOP 구간의 잔여시간을 지시하는 필드, 4) 20, 40, 80, 160, 80+80 MHz 여부를 지시하는 대역폭 필드, 5) HE-SIG-B에 적용되는 MCS 기법을 지시하는 필드, 6) HE-SIB-B가 MCS 를 위해 듀얼 서브캐리어 모듈레이션(dual subcarrier modulation) 기법으로 모듈레이션되는지에 대한 지시 필드, 7) HE-SIG-B를 위해 사용되는 심볼의 개수를 지시하는 필드, 8) HE-SIG-B가 전 대역에 걸쳐 생성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필드, 9) HE-LTF의 심볼의 개수를 지시하는 필드, 10) HE-LTF의 길이 및 CP 길이를 지시하는 필드, 11) LDPC 코딩을 위해 추가의 OFDM 심볼이 존재하는지를 지시하는 필드, 12) PE(Packet Extension)에 관한 제어정보를 지시하는 필드, 13)HE-SIG-A의 CRC 필드에 대한 정보를 지시하는 필드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HE-SIG-A의 구체적인 필드는 추가되거나 일부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HE-SIG-A가 다중사용자(MU) 환경이 아닌 기타 환경에서는 일부 필드가 추가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HE-SIG-B(7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중 사용자(MU)를 위한 PPDU인 경우에만 포함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HE-SIG-A(750) 또는 HE-SIG-B(760)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 STA에 대한 자원 할당 정보(또는 가상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HE-SIG-B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HE-SIG-B 필드는 맨 앞부분에 공통 필드를 포함하고, 해당 공통 필드는 그 뒤에 따라오는 필드와 분리하여 인코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HE-SIG-B 필드는 공통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공통 필드와, 사용자-특정(user-specific)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특정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공통 필드는 대응되는 CRC 필드 등을 포함하고 하나의 BCC 블록으로 코딩될 수 있다. 이후에 이어지는 사용자-특정 필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사용자(2 users)를 위한 "사용자-특징 필드" 및 그에 대응되는 CRC 필드 등을 포함하여 하나의 BCC 블록으로 코딩될 수 있다.
MU PPDU 상에서 HE-SIG-B(740)의 이전 필드는 듀플리케이트된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HE-SIG-B(740)의 경우, 일부의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제4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되는 HE-SIG-B(740)은, 해당 주파수 대역(즉, 제4 주파수 대역)의 데이터 필드 및 해당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다른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제2 주파수 대역)의 데이터 필드를 위한 제어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제2 주파수 대역)의 HE-SIG-B(740)은 다른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제4 주파수 대역)의 HE-SIG-B(740)을 듀플리케이트한 포맷일 수 있다. 또는 HE-SIG-B(740)는 전체 전송 자원 상에서 인코딩된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HE-SIG-B(740) 이후의 필드는 PPDU를 수신하는 수신 STA 각각을 위한 개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HE-STF(750)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환경 또는 OFDMA 환경에서 자동 이득 제어 추정(automatic gain control estimation)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HE-LTF(760)는 MIMO 환경 또는 OFDMA 환경에서 채널을 추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HE-STF(750) 및 HE-STF(750) 이후의 필드에 적용되는 FFT/IFFT의 크기와 HE-STF(750) 이전의 필드에 적용되는 FFT/IFFT의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HE-STF(750) 및 HE-STF(750) 이후의 필드에 적용되는 FFT/IFFT의 크기는 HE-STF(750) 이전의 필드에 적용되는 IFFT의 크기보다 4배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PPDU 상의 L-STF(700), L-LTF(710), L-SIG(720), HE-SIG-A(730), HE-SIG-B(740) 중 적어도 하나의 필드를 제1 필드라 칭하는 경우, 데이터 필드(770), HE-STF(750), HE-LTF(760)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필드라 칭할 수 있다. 상기 제1 필드는 종래(legacy) 시스템에 관련된 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필드는 HE 시스템에 관련된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FFT(fast Fourier transform) 사이즈/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사이즈는 기존의 무선랜 시스템에서 사용되던 FFT/IFFT 사이즈의 N배(N은 자연수, 예를 들어, N=1, 2, 4)로 정의될 수 있다. 즉, HE PPDU의 제1 필드에 비해 HE PPDU의 제2 필드에 N(=4)배 사이즈의 FFT/IFFT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0MHz의 대역폭에 대하여 256FFT/IFFT가 적용되고, 40MHz의 대역폭에 대하여 512FFT/IFFT가 적용되고, 80MHz의 대역폭에 대하여 1024FFT/IFFT가 적용되고, 연속 160MHz 또는 불연속 160MHz의 대역폭에 대하여 2048FFT/IFFT가 적용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서브캐리어 공간/스페이싱(subcarrier spacing)은 기존의 무선랜 시스템에서 사용되던 서브캐리어 공간의 1/N배(N은 자연수, 예를 들어, N=4일 경우, 78.125kHz)의 크기일 수 있다. 즉, HE PPDU의 제1 필드는 종래의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인 312.5kHz 크기의 서브캐리에 스페이싱이 적용될 수 있고, HE PPDU의 제2 필드는 78.125kHz 크기의 서브캐리에 공간이 적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필드의 각 심볼에 적용되는 IDFT/DFT 구간(IDFT/DFT period)은 상기 제2 필드의 각 데이터 심볼에 적용되는 IDFT/DFT 구간에 비해 N(=4)배 짧다고 표현할 수 있다. 즉, HE PPDU의 제1 필드의 각 심볼에 대해 적용되는 IDFT/DFT 길이는 3.2μs이고, HE PPDU의 제2 필드의 각 심볼에 대해 적용되는 IDFT/DFT 길이는 3.2μs *4(= 12.8μs)로 표현할 수 있다. OFDM 심볼의 길이는 IDFT/DFT 길이에 GI(guard interval)의 길이를 더한 값일 수 있다. GI의 길이는 0.4μs, 0.8μs, 1.6μs, 2.4μs, 3.2μs와 같은 다양한 값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도 7에서는 제1 필드가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과 제2 필드가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은 정확히 일치하는 것이 표현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서로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주파수 대역에 상응하는 제1필드(L-STF, L-LTF, L-SIG, HE-SIG-A, HE-SIG-B)의 주요 대역이 제2 필드(HE-STF, HE-LTF, Data)의 주요 대역과 동일하지만, 각 주파수 대역에서는 그 경계면이 불일치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RU를 배치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널 서브캐리어, DC톤, 가드 톤 등이 삽입되므로, 정확히 경계면을 맞추는 것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사용자, 즉 수신스테이션은 HE-SIG-A(730)를 수신하고, HE-SIG-A(730)를 기반으로 하향링크 PPDU의 수신을 지시받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STA은 HE-STF(750) 및 HE-STF(750) 이후 필드부터 변경된 FFT 사이즈를 기반으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STA이 HE-SIG-A(730)를 기반으로 하향링크 PPDU의 수신을 지시받지 못한 경우, STA은 디코딩을 중단하고 NAV(network allocation vector) 설정을 할 수 있다. HE-STF(750)의 CP(cyclic prefix)는 다른 필드의 CP보다 큰 크기를 가질 수 있고, 이러한 CP 구간 동안 STA은 FFT 사이즈를 변화시켜 하향링크 PPDU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AP에서 STA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또는 프레임)는 하향링크 데이터(또는 하향링크 프레임), STA에서 AP로 전송되는 데이터(또는 프레임)는 상향링크 데이터(또는 상향링크 프레임)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AP에서 STA으로의 전송은 하향링크 전송, STA에서 AP로의 전송은 상향링크 전송이라는 용어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햐향링크 전송을 통해 전송되는 PPDU(PHY protocol data unit), 프레임 및 데이터 각각은 하향링크 PPDU, 하향링크 프레임 및 하향링크 데이터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PPDU는 PPDU 헤더와 PSDU(physical layer service data unit)(또는 MPDU(MAC protocol data unit))를 포함하는 데이터 단위일 수 있다. PPDU 헤더는 PHY 헤더와 PHY 프리앰블을 포함할 수 있고, PSDU(또는 MPDU)는 프레임(또는 MAC 계층의 정보 단위)을 포함하거나 프레임을 지시하는 데이터 단위일 수 있다. PHY 헤더는 다른 용어로 PLCP(physical layer convergence protocol) 헤더, PHY 프리앰블은 다른 용어로 PLCP 프리앰블로 표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향링크 전송을 통해 전송되는 PPDU, 프레임 및 데이터 각각은 상향링크 PPDU, 상향링크 프레임 및 상향링크 데이터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는 SU(single)-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전송을 기반으로 전체 대역폭이 하나의 STA으로의 하향링크 전송 및 하나의 STA의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AP는 MU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를 기반으로 DL(downlink) MU(multi-user) 전송을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전송은 DL MU MIMO 전송이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에서는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전송 방법이 상향링크 전송 및/또는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지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주파수 자원에 해당하는 데이터 유닛(예를 들어, RU)을 할당하여 상향링크/하향링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에서는 AP가 OFDMA를 기반으로 DL MU 전송을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전송은 DL MU OFDMA 전송이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DL MU OFDMA 전송이 수행되는 경우, AP는 중첩된 시간 자원 상에서 복수의 주파수 자원 각각을 통해 복수의 STA 각각으로 하향링크 데이터(또는 하향링크 프레임, 하향링크 PPDU)를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주파수 자원은 복수의 서브밴드(또는 서브채널) 또는 복수의 RU(resource unit)일 수 있다. DL MU OFDMA 전송은 DL MU MIMO 전송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L MU OFDMA 전송을 위해 할당된 특정 서브 밴드(또는 서브 채널) 상에서 복수의 시공간 스트림(space-time stream)(또는 공간적 스트림(spatial stream))을 기반으로 한 DL MU MIMO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STA이 동일한 시간 자원 상에서 AP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UL MU 전송(uplink multi-user transmission)이 지원될 수 있다. 복수의 STA 각각에 의한 중첩된 시간 자원 상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은 주파수 도메인(frequency domain) 또는 공간 도메인(spatial domain)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복수의 STA 각각에 의한 상향링크 전송이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수행되는 경우, OFDMA를 기반으로 복수의 STA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주파수 자원이 상향링크 전송 자원으로 할당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주파수 자원은 서로 다른 서브밴드(또는 서브채널) 또는 서로 다른 RU(resource unit))일 수 있다. 복수의 STA 각각은 할당된 서로 다른 주파수 자원을 통해 AP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서로 다른 주파수 자원을 통한 전송 방법은 UL MU OFDMA 전송 방법이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도 있다.
복수의 STA 각각에 의한 상향링크 전송이 공간 도메인 상에서 수행되는 경우, 복수의 STA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시공간 스트림(또는 공간적 스트림)이 할당되고 복수의 STA 각각이 서로 다른 시공간 스트림을 통해 상향링크 데이터를 AP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서로 다른 공간적 스트림을 통한 전송 방법은 UL MU MIMO 전송 방법이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도 있다.
UL MU OFDMA 전송과 UL MU MIMO 전송은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L MU OFDMA 전송을 위해 할당된 특정 서브 밴드(또는 서브 채널) 상에서 복수의 시공간 스트림(또는 공간적 스트림)을 기반으로 한 UL MU MIMO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MU OFDMA 전송을 지원하지 않았던 종래의 무선랜 시스템에서 하나의 단말에게 넓은 대역폭(wider bandwidth)(예를 들어, 20MHz 초과 대역폭)을 할당하기 위해 멀티 채널 할당 방법이 사용되었다. 멀티 채널은 하나의 채널 단위를 20MHz라고 할 경우, 복수개의 20MHz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 채널 할당 방법에서는 단말에게 넓은 대역폭을 할당하기 위해 프라이머리 채널 규칙(primary channel rule)이 사용되었다. 프라이머리 채널 규칙이 사용되는 경우, 단말로 넓은 대역폭을 할당하기 위한 제약이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프라이머리 채널 룰에 따르면, 프라이머리 채널에 인접한 세컨더리 채널(secondary channel)이 OBSS(overlapped BSS)에서 사용되어 ‘비지(busy)’ 한 경우, STA은 프라이머리 채널을 제외한 나머지 채널을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STA은 프라이머리 채널로만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어 멀티 채널을 통한 프레임의 전송에 대한 제약을 받는다. 즉, 기존의 무선랜 시스템에서 멀티 채널 할당을 위해 사용되던 프라이머리 채널 룰은 OBSS가 적지 않은 현재 무선랜 환경에서 넓은 대역폭을 운용하여 높은 처리량을 얻고자 함에 있어 큰 제약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실시예에서는 OFDMA 기술을 지원하는 무선랜 시스템이 개시된다. 즉,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상술한 OFDMA 기술이 적용 가능하다. 또한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상술한 MU-MIMO이 기법이 추가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OFDMA 기술이 사용되는 경우, 프라이머리 채널 룰에 의한 제한 없이 멀티 채널을 하나의 단말이 아닌 다수의 단말이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넓은 대역폭 운용이 가능하여 무선 자원의 운용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STA(예를 들어, non-AP STA) 각각에 의한 상향링크 전송이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수행되는 경우, AP는 OFDMA를 기반으로 복수의 STA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주파수 자원이 상향링크 전송 자원으로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주파수 자원은 서로 다른 서브밴드(또는 서브채널) 또는 서로 다른 RU(resource unit))일 수 있다.
복수의 STA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주파수 자원은 트리거 프레임(trigger frame)을 통해 지시된다.
도 9는 트리거 프레임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9의 트리거 프레임은 상향링크 MU 전송(Uplink Multiple-User transmission)을 위한 자원을 할당하고, AP로부터 송신될 수 있다. 트리거 프레임은 MAC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PPDU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PPDU를 통해 송신되거나, 도 2에 도시된 레거시 PPDU를 통해 송신되거나 해당 트리거 프레임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PPDU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만약, 도 3의 PPDU를 통해 송신되는 경우, 도시된 데이터 필드에 상기 트리거 프레임이 포함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각각의 필드는 일부 생략될 수 있고, 다른 필드가 추가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길이는 도시된 바와 다르게 변화될 수 있다.
도 9의 프레임 컨트롤(frame control) 필드(910)는 MAC 프로토콜의 버전에 관한 정보 정보 및 기타 추가적인 제어 정보가 포함되며, 듀레이션 필드(920)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NAV를 설정하기 위한 위한 시간 정보나 단말의 식별자(예를 들어, AID)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RA 필드(930)는 해당 트리거 프레임의 수신 STA의 주소 정보가 포함되며,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TA 필드(940)는 해당 트리거 프레임을 송신하는 STA(예를 들어, AP)의 주소 정보가 포함되며, 공통 정보(common information) 필드(950)는 해당 트리거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 STA에게 적용되는 공통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도 10은 공통 정보(common information) 필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의 서브 필드 중 일부는 생략될 수 있고, 기타 서브 필드가 추가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된 서브 필드 각각의 길이는 변형될 수 있다.
도시된 길이 필드(1010)은 해당 트리거 프레임에 대응하여 송신되는 상향 PPDU의 L-SIG 필드의 길이 필드와 동일한 값을 가지며, 상향 PPDU의 L-SIG 필드의 길이 필드는 상향 PPDU의 길이를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트리거 프레임의 길이 필드(1010)는 대응되는 상향링크 PPDU의 길이를 지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케스케이드 지시자 필드(1020)는 케스케이드 동작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지시한다. 케스케이드 동작은 동일 TXOP 내에 하향링크 MU 송신과 상향링크 MU 송신이 함께 수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하향링크 MU 송신이 수행된 이후,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SIFS) 이후 상향링크 MU 송신이 수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케이스케이드 동작 중에는 하향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송신장치(예를 들어, AP)는 1개만 존재하고, 상향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송신장치(예를 들어, non-AP)는 복수 개 존재할 수 있다.
CS 요구 필드(1030)는 해당 트리거 프레임을 수신한 수신장치가 대응되는 상향링크 PPDU를 전송하는 상황에서 무선매체의 상태나 NAV 등을 고려해야 하는지 여부를 지시한다.
HE-SIG-A 정보 필드(1040)는 해당 트리거 프레임에 대응하여 송신되는 상향 PPDU의 SIG-A 필드(즉, HE-SIG-A 필드)의 내용(content)을 제어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CP 및 LTF 타입 필드(1050)는 해당 트리거 프레임에 대응하여 송신되는 상향 PPDU의 LTF의 길이 및 CP 길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트리거 타입 필드(1060)는 해당 트리거 프레임이 사용되는 목적, 예를 들어 통상의 트리거링, 빔포밍을 위한 트리거링, Block ACK/NACK에 대한 요청 등을 지시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 관한 나머지 설명을 추가하면 이하와 같다.
도 9의 트리거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 STA의 개수에 상응하는 개별 사용자 정보(per user information) 필드(960#1 내지 960#N)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별 사용자 정보 필드는, “RU 할당 필드”라 불릴 수도 있다.
또한, 도 9의 트리거 프레임은 패딩 필드(970)와, 프레임 체크 시퀀스 필드(98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개별 사용자 정보(per user information) 필드(960#1 내지 960#N) 각각은 다시 다수의 서브 필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개별 사용자 정보(per user information) 필드에 포함되는 서브 필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1의 서브 필드 중 일부는 생략될 수 있고, 기타 서브 필드가 추가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된 서브 필드 각각의 길이는 변형될 수 있다.
도 11의 사용자 식별자(User Identifier) 필드(1110)는 개별 사용자 정보(per user information)가 대응되는 STA(즉, 수신 STA)의 식별자를 나타내는 것으로, 식별자의 일례는 AID의 전부 또는 일부가 될 수 있다.
또한, RU 할당(RU Allocation) 필드(1120)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식별자 필드(1110)로 식별된 수신 STA가, 도 9의 트리거 프레임에 대응하여 상향링크 PPDU를 송신하는 경우, RU 할당(RU Allocation) 필드(1120)가 지시한 RU를 통해 해당 상향링크 PPDU를 송신한다. 이 경우, RU 할당(RU Allocation) 필드(1120)에 의해 지시되는 RU는 도 4, 도 5, 도 6에 도시된 RU를 지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의 서브 필드는 코딩 타입 필드(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코딩 타입 필드(1130)는 도 9의 트리거 프레임에 대응하여 송신되는 상향링크 PPDU의 코딩 타입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향링크 PPDU에 BCC 코딩이 적용되는 경우 상기 코딩 타입 필드(1130)는 ‘1’로 설정되고, LDPC 코딩이 적용되는 경우 상기 코딩 타입 필드(1130)는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11의 서브 필드는 MCS 필드(1140)를 포함할 수 있다. MCS 필드(1140)는 도 9의 트리거 프레임에 대응하여 송신되는 상향링크 PPDU에 적요되는 MCS 기법을 지시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는 무선 랜 시스템의 스테이션(예를 들어, AP 및/또는 non-AP STA)에서 사용되는 동작모드(operating mode)에 관련된다.
동작 모드는 송신동작모드(transmit operating mode)와 수신동작모드(receive operating mode)로 구분될 수 있다. 수신동작모드는, 동작모드를 보고한 STA(예를 들어, non-AP STA)이 상대방 STA(예를 들어, AP)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에 관련된다. 이에 반해 송신동작모드는, 상대방 STA(예를 들어, AP)이에서 동작모드를 보고한 STA(예를 들어, non-AP STA)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에 관련된다. 예를 들어, 상기 송신동작모드는 도 9의 트리거 프레임에 대응하여 다수의 STA이 동시에 송신하는 UL MU PPDU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2는 동작모드에 관한 보고를 위하여 사용되는 제어정보(1200)의 일례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정보(1200)는 다수의 서브필드(1210, 1220, 1230, 1240)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하며, 도 12에 도시되지 않은 서브필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12의 제어정보(1200)는 PPDU의 데이터 필드에 포함되는 MAC 프레임의 헤더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2의 Rx NSS 서브필드(1210)는 상기 제어정보(1200)를 보고하는 STA(예를 들어, non-AP STA)이 신호/PPDU를 수신할 때 사용하는 공간 스트림(spatial stream)의 최대 개수를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x NSS 서브필드(1210)는 3비트로 정보필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의 Rx NSS 서브필드(1210)는, STA에서 하향링크 PPDU를 수신할 때 사용되는 공간 스트림의 개수를 지시할 수 있다. 즉, AP가 특정 수신 STA을 위해 PPDU를 구성할 때, 해당 서브필드(1210)를 참조할 수 있다.
도 12의 Channel Width 서브필드(1220)는 상기 제어정보(1200)를 보고하는 STA(예를 들어, non-AP STA)이 지원하는 동작 채널을 지시할 수 있다. 즉, 상기 STA이 지원하는 동작 채널의 최대치를 의미할 수 있고, 예를 들어, “0” 값은 20MHz, “1” 값은 40MHz, “2” 값은 80MHz, “3” 값은 160MHz 또는 80+80MHz 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Channel Width 서브필드(1220)은, 상기 제어정보(1200)를 보고하는 STA이 사용하는 송신 및 수신채널을 공통으로 지시할 수 있다.
도 12의 UL MU Disable 서브필드(1230)는 상기 제어정보(1200)를 보고하는 STA(예를 들어, non-AP STA)이 UL MU 동작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이유로 인해, UL MU 동작이 중단(suspend)되는 경우, 특정 값(예를 들어, “1”)이 지시될 수 있고, 다시 UL MU 동작이 재개(resume)되는 경우, 다른 값(예를 들어, “0”)이 지시될 수 있다.
UL MU Disable 서브필드(1230)는 도 9의 트리거 프레임에 관련된 UL MU 동작에서 사용될 수 있다. AP에서는 적절한 UL MU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특정 non-AP STA에서 UL MU가 지원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UL MU 통신을 위한 트리거 프레임(즉, 도 9의 트리거 프레임)이 구성될 때, 해당 서브필드(1230)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2의 Tx NSS 서브필드(1240)는 상기 제어정보(1200)를 보고하는 STA(예를 들어, non-AP STA)이 신호/PPDU를 송신할 때 사용하는 공간 스트림(spatial stream)의 최대 개수를 지시할 수 있다.
도 12의 일례는 Rx NSS(1210) 및 Tx NSS(1240) 서브필드를 별도로 구성한 일례이지만, 해당 서브필드는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하나의 NSS 서브필드를 통해 Rx NSS(즉, 특정 STA에서 PPDU 수신을 위해 사용되는 공간 스트림의 개수) 및 Tx NSS(즉, 특정 STA에서 PPDU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공간 스트림의 개수)를 공통으로 지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3은 보고된 동작모드가 UL MU 동작을 위해 사용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13의 일례는 제1/제2 스테이션 간의 동작으로, 제1 스테이션은 AP(1301)일 수 있고, 제2 스테이션은 STA(1302)일 수 있다. 도 13의 일례에서 STA1(1302)은 동작모드를 AP(1301)로 보고하는 스테이션이다. STA1(1302)은 제1 TXOP(1305) 동안 데이터 필드(1310)를 포함하는 PPDU를 AP(1301)로 송신하고, 해당 데이터 필드(1310)는 도 12의 제어정보(1200)를 포함할 수 있다. AP(1301)는 해당 데이터 필드(1310)를 성공적으로 수신했음을 지시하는 BA(block ACK)(1320)를 송신할 수 있다.
해당 데이터 필드(1310)를 통해 AP(1301)는 STA1(1302)의 송신동작모드와 수신동작모드를 알 수 있고, 이후 AP(1301)에서 트리거 프레임(1330)을 통한 UL MU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송신동작모드에 대한 정보가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TA1(1302)을 포함하는 다수의 STA으로부터 상향링크 PPDU를 수신하려는 AP(1301)는 컨텐딩 등을 통해 TXOP(1325)를 확보하고, 다수의 STA으로 트리거 프레임(1330)을 송신할 수 있다. 트리거 프레임(1330)의 일례는 도 9 내지 도 11의 일례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즉, AP(1301)는 트리거 프레임(1330)을 통해 STA1(1302)에게 특정 RU를 통해 상향링크 PPDU(1341)를 송신하도록 설정할 수 있는데, 상향링크 PPDU(1341)를 위한 대역폭(즉, RU)을 할당하는 경우 데이터 필드(1310)에 표시된 Channel Width 서브필드(1220)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트리거 프레임(1330)을 통해 STA1(1302)에게 상향링크 PPDU(1341)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공간 스트림의 개수를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 STA1(1302)이 상향링크 PPDU(1341)을 위해 사용하는 공간 스트림의 개수는 도 11의 개별 사용자 정보(per user information) 필드에 새롭게 구성되는 서브 필드를 통해 시그널링 될 수 있다.
정리하면, AP(1301)에서 트리거 프레임(1330)을 송신하면, 트리거 프레임(1330)이 지시하는 통신기법 및 무선 자원을 통해, 다수의 STA으로부터 상향링크 PPDU(1341, 1342)가 수신되는데, 트리거 프레임(1330)에서 지시되는 통신기법/무선 자원은 이미 AP(1301)에 보고된 동작모드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트리거 프레임(1330)에서 지시되는 STA1(1302)을 위한 공간 스트림의 개수는, 데이터 필드(1310)를 통해 전달되는 제어정보(1200)에 의해 지시되는 Tx NSS 서브필드(1240)의 값보다 같거나 작게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트리거 프레임(1330)에서 지시되는 STA1(1302)을 위한 주파수 대역(즉, RU)은 데이터 필드(1310)를 통해 전달되는 제어정보(1200)에 의해 지시되는 Channel Width 서브필드(1220)의 값보다 같거나 작게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STA1(1302)은 다양한 이유로 인해 UL MU 통신에 참여할 수 없을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필드(1310)를 통해 전달되는 제어정보(1200)의 UL MU Disable 서브필드(1230)를 특정한 값(예를 들어, “1”)으로 설정하여 AP(1301)로 하여금 STA1(1302)이 UL MU 통신에 참여할 수 없다는 것을 알릴 수 있다. 만약, STA1(1302)에 대한 UL MU Disable 서브필드(1230)가 특정한 값으로 설정되는 경우, AP(1301)는 해당 STA1(1302)에 대해서는 트리거 프레임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PPDU(1341, 1342)를 할당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4는 보고된 동작모드가 특정 STA의 수신 동작에 사용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12와 같은 동작모드가 보고되는 경우, 즉 제2 스테이션(1402)에서 동작모드를 제1 스테이션(1401)으로 보고하는 경우, 보고된 동작모드의 적용시점이 분명히 지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의 일례는 제2 스테이션(1402)이 Non-AP STA이고, 제1 스테이션(1401)가 AP인 경우에 관한 일례이다.
도 14의 일례에서, 도 12와 같은 동작모드가 데이터 필드(1410)를 통해 보고되는 경우, 이미 AP(1401)는 하향링크 데이터를 AP의 큐(queue)에 보관 중일 수 있다. 이미 보관중인 하향링크 데이터는 데이터 필드(1410)를 통해 보고된 동작모드(즉, “새로운 동작모드”)에 따른 PPDU로 송신 될 필요가 없다. 즉, 이미 보관중인 하향링크 데이터는 “종전의 동작모드”에 따른 PPDU로 송신되는 것이, latency 를 낮추고 MU 쓰루풋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4의 일례는 AP(1401)에서 보고된 동작모드(즉, 새로운 동작모드)의 적용을 지연(delay)할지 여부를 지시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STA(1402)에서 데이터 필드(1410)를 통해 새로운 동작모드를 보고하면, AP(1401)는 해당 데이터 필드(1410)에 대한 Block ACK(1420)을 송신한다. 해당 BA(1420)에는 새로운 동작모드에 대한 적용이 지연되는지 여부가 표시된다. 즉 “delay_required”가 특정한 값(예를 들어, “1”)로 지시되는 경우, AP(1401)는 기설정된 지연시간(1410) 동안에는 새로운 동작모드가 아닌 종전의 동작모드를 사용하여 STA(1402)으로 PPDU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지연시간(1410) 이후에는 전환시간(1420)이 존재할 수 있다. 전환시간 동안(1420), AP(1401)는 동작모드를 종전의 동작모드에서 새로운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러한 전환시간(1420)이 경과한 이후, AP(1401)는 데이터 필드(1410)를 통해 보고된 새로운 동작모드에 따라 PPDU를 STA(1402)으로 송신할 수 있다.
도 14의 지연시간(delay time) 및/또는 전환시간(transition time)은 management frame으로 통해 협상될 수 있고, 이러한 management frame의 일례는 association request/response를 포함한다. 이러한 지연시간 및/또는 전환시간은 반드시 존재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해당 시간의 길이가 “0”으로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지연시간(delay time) 및/또는 전환시간(transition time)은 데이터 필드(1410)에 포함되는 MAC 헤더(예를 들어, HE control field 등)를 통해 협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TA(1402)이 데이터 필드(1410)에 지연시간 및/또는 전환시간의 길이를 “0”으로 설정할 수 있고, 이 경우 AP(1401)는 지연시간 및/또는 전환시간 없이 동작모드를 적용할 수 있다.
도 15는 보고된 동작모드가 특정 STA의 수신 동작에 사용되는 추가적인 일례를 나타낸다. 도 15의 일례는, 도 14의 일례와 유사하게, 새로운 동작모드의 적용을 지연하는 일례이다. 도 15의 일례는 묵시적으로 지시되는 시간 구간, 예를 들어 TXOP(transmission opportunity) 동안 새로운 동작모드를 적용하지 않는 일례이다. TXOP는, 무선랜 시스템의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용어로, 특정한 STA이 무선 매체 상에 프레임 교환 시퀀스를 개시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는 시간 구간(interval of time during which a particular station has the right to initiate frame exchange sequences onto the wireless medium)을 의미한다
도 15의 일례는 서로 다른 스테이션에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의 제1 스테이션(1501)은 AP STA이고, 제2 스테이션(1502)가 non-AP STA인 경우에 관한 일례이다.
구체적으로, AP(1501) 또는 STA(1502)은 컨틴딩 등을 통해 제1 TXOP(1550)를 확보할 수 있고, 이후 STA(1502)은 AP(1501)로 데이터 필드(1510)를 포함하는 PPDU를 송신하면서 새로운 동작모드를 보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필드(1510)에 포함되는 제어정보(1200)를 통해 Rx NSS 서브필드(1210)는 2개의 수신 공간 스트림(RX NSS=2)를 지시할 수 있고, Channel Width 서브필드(1220)는 40MHz의 대역폭을 지시할 수 있다. 이후, AP(1501)는 해당 데이터 필드(1510)에 대한 Block ACK(1520)을 송신한다.
도 15의 일례는 묵시적으로 지시되는 시간 구간 동안 새로운 동작모드를 적용하지 않는 일례이므로, Block ACK(1520) 내에 지연시간에 관한 추가적인 시그널링이 요구되지 않는다. 만약 제1 TXOP(1550) 구간 내에 STA(1502)을 위한 PPDU (1530)가 구성되는 경우, AP(1501)는 상기 제1 TXOP(1550) 구간 동안 새로운 동작모드가 가 적용되지 않도록 이미 수신된 제어정보(1200)의 적용을 보류한다. 이에 따라, 제1 TXOP(1550) 구간 내에서 구성되는 PPDU(1530)는 새롭게 수신된 제어정보(1200)가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그 이전부터 적용되던 동작모드가 적용된다. 상기 PPDU(1530)가 성공적으로 수신되면, STA(1502)은 Block ACK(1540)을 송신할 수 있다.
동작모드의 변경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즉, 데이터 필드(1510)에 포함되는 제어정보(1200)의 서브 필드)가 AP(1501)로 전달된 제1 TXOP(1550)가 종료된 이후에는 이미 전달된 지시정보(즉, 데이터 필드(1510)에 포함되는 제어정보(1200)의 서브 필드)가 적용된다. 제1 TXOP(1550) 직후에는, 도 14의 일례와 유사하게, AP(1501)를 위한 전환시간(1560)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전환시간(1560)은 반드시 존재할 필요는 없으며, 생략될 수 있다. 해당 전환시간(1560) 동안 AP(1501)는 새로운 동작모드를 적용시키기 위해 어떠한 PPDU도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제1 TXOP(1550)가 종료된 이후, 상기 AP(1501)/STA(1502)에 의해 새로운 제2 TXOP(1570)가 획득될 수 있다. 새로운 동작모드의 적용이 보류되는 구간은 제1 TXOP(1550)로 제한되므로, 별도의 시그널렁이 없더라도 제2 TXOP(1570) 동안 AP(1501)에 의해 구성되는 PPDU는 새로운 동작모드를 기초로 구성된다. 도 15의 일례에서는 데이터 필드(1510)에 포함되는 제어정보(1200)를 통해 Rx NSS 서브필드(1210)는 2개의 수신 공간 스트림(RX NSS=2)를 지시하고, Channel Width 서브필드(1220)는 40MHz의 대역폭을 지시하므로, 이를 고려하여 새로운 PPDU(1580)가 구성된다. STA(1502)는 PPDU(1580) 수신하고 이에 대한 Block ACK(1590)을 송신한다.
도 16은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무선 장치는 상술한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는 STA로서, AP또는 비AP STA(non-AP station)일 수 있다. 상기 무선 장치는 상술한 사용자에 대응되거나, 상기 사용자에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에 대응될 수 있다.
AP(1600)는 프로세서(1610), 메모리(1620) 및 RF부(radio frequency unit, 1630)를 포함한다.
RF부(1630)는 프로세서(1610)와 연결하여 무선신호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610)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610)는 전술한 본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610)는 도 1 내지 15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동작 중 AP가 수행할 수 있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비AP STA(1650)는 프로세서(1660), 메모리(1670) 및 RF부(radio frequency unit, 1680)를 포함한다.
RF부(1680)는 프로세서(1660)와 연결하여 무선신호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660)는 본 실시예에서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660)는 전술한 본 실시예에 따른 non-AP STA동작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도 1 내지 15의 실시예에서 non-AP STA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610, 1660)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데이터 처리 장치 및/또는 베이스밴드 신호 및 무선 신호를 상호 변환하는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620, 1670)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RF부(1630, 1680)는 무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기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1620, 1670)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610, 166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1620, 1670)는 프로세서(1610, 1660)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1610, 1660)와 연결될 수 있다.

Claims (9)

  1. 무선 랜(wireless LAN) 시스템에서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구성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스테이션에서, 제2 스테이션이 지원하는 공간 스트림(spatial stream)의 개수와 수신 채널 대역폭을 지시하는 동작모드(operating mode)의 변경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상기 제2 스테이션으로부터 TXOP(transmission opportunity) 구간 동안에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테이션에서, 상기 TXOP 구간 동안 상기 지시 정보가 적용되지 않도록 상기 지시 정보의 적용을 보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스테이션에서, 상시 TXOP 구간의 다음(subsequent) TXOP 동안 상기 지시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스테이션을 위한 PPDU를 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XOP 구간 동안 상기 제2 스테이션을 위한 PPDU를 구성하는 경우, 변경되지 않은 동작모드를 사용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스테이션으로 전달되는 PPDU의 데이터 필드에 포함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데이터 필드의 MAC(Medium Access Control) 헤더에 포함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XOP는 구간은, 상기 제1 스테이션이 상기 무선 랜 시스템의 무선 매체 상에 프레임 교환 시퀀스를 개시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는 시간 구간인
    방법.
  6. 제1항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스테이션이 UL MU 송신(Uplink Multi-User transmission)을 지시하는지 여부, 상기 제2 스테이션이 지원하는 수신 공간 스트림의 개수, 및 상기 제2 스테이셔이 지원하는 송신 공간 스트림의 개수를 지시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채널 대역폭은 20MHz, 40MHz, 80MHz, 160MHz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테이션은 AP(Access Point) 스테이션이고, 상기 제2 스테이션은 상기 AP 스테이션과 통신하는 non-AP 스테이션인
    방법.
  9. 무선 랜(wireless LAN) 시스템의 제1 스테이션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RF 부; 및
    상기 RF 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RF 부를 제어하여, 제2 스테이션이 지원하는 공간 스트림(spatial stream)의 개수와 수신 채널 대역폭을 지시하는 동작모드(operating mode)의 변경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상기 제2 스테이션으로부터 TXOP(transmission opportunity) 구간 동안에 수신하고,
    상기 TXOP 구간 동안 상기 지시 정보가 적용되지 않도록 상기 지시 정보의 적용을 보류하고,
    상시 TXOP 구간의 다음(subsequent) TXOP 동안 상기 지시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스테이션을 위한 PPDU를 구성하는,
    장치.


KR1020160142059A 2015-10-29 2016-10-28 무선 랜 시스템에서 동작모드를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0513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48284P 2015-10-29 2015-10-29
US62/248,284 2015-10-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338A true KR20170051338A (ko) 2017-05-11

Family

ID=58635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059A KR20170051338A (ko) 2015-10-29 2016-10-28 무선 랜 시스템에서 동작모드를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433158B2 (ko)
KR (1) KR2017005133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339B1 (ko) * 2015-02-17 2021-09-01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다중 사용자 전송을 위한 시그널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통신 단말과 무선 통신 방법
US10116360B2 (en) * 2015-04-23 2018-10-30 Newraco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multi-user transmission in a high efficiency wireless LAN
US9867189B2 (en) * 2015-09-29 2018-01-09 Newracom, Inc. Resource allocation indication for multi-user multiple-input-multiple-output (MU-MIMO)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communication
US10200514B2 (en) 2016-06-29 2019-02-05 Intel IP Corporation Pre-high-efficiency (HE)-short training field preamble transmission for the HE-trigger based physical layer convergence protocol (PLCP) protocol data unit (PPDU)
US10959121B1 (en) * 2016-12-20 2021-03-23 Newracom, Inc. Dynamic transmit chain availability signaling in wireless devices
US11510098B2 (en) 2017-08-11 2022-11-22 Intel Corporation Determining a number of spatial streams and a bandwidth
US11856605B2 (en) * 2020-06-12 2023-12-26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dium access control support for heterogenous physical layer data unit multiplexing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89164B1 (en) * 2010-06-29 2016-08-1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frame in wlan system
AU2011304260B2 (en) * 2010-10-08 2014-02-13 Vivo Mobile Communication Co., Ltd. Method for power saving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9450743B1 (en) * 2013-11-26 2016-09-20 Marvell International Ltd. Duplex mode enabling frame header
EP3162028B8 (en) * 2014-06-27 2019-12-04 Techflux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KR102438318B1 (ko) * 2014-10-10 2022-08-30 뉴라컴 인코포레이티드 고효율 무선랜에서 동적 자원 할당
US10153812B2 (en) * 2015-02-10 2018-12-11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supporting multiple bandwidth modes
US10142993B2 (en) * 2015-10-12 2018-11-27 Newracom, Inc. Methods for exchanging operation changes between WLAN st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27269A1 (en) 2017-05-04
US10433158B2 (en)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33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uplink transmission in wireless LAN system
KR102304975B1 (ko) 사운딩 절차 기반의 프레임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901449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자원 유닛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필드를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
CN106105055B (zh) 用于在无线lan中发送帧的方法和装置
KR101956270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이진 시퀀스를 사용하여 stf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56282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기설정된 이진 시퀀스를 사용하여 트레이닝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13184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제어 필드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
US1043315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operating mod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KR20170065001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자원유닛을 지시하는 제어정보를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53237B1 (ko) 무선랜에서 파일롯 톤을 포함하는 자원 단위 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10251199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fram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wireless device using the same
US201703105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stf signal using binary sequence in wireless lan system
US102258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operating mod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US106231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operating mod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US104555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operating mod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US1074336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operating mode in wireless LAN system
KR102085872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프레임을 송신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단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