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1148A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Laundry trea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1148A
KR20170051148A KR1020160040456A KR20160040456A KR20170051148A KR 20170051148 A KR20170051148 A KR 20170051148A KR 1020160040456 A KR1020160040456 A KR 1020160040456A KR 20160040456 A KR20160040456 A KR 20160040456A KR 20170051148 A KR20170051148 A KR 20170051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ounting portion
hinge unit
center lin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04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15102B1 (en
Inventor
권용우
용승지
최재훈
박정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610460998.2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6012440B/en
Priority to CN201620630985.0U priority patent/CN205893724U/en
Priority to EP16196298.0A priority patent/EP3168359B1/en
Priority to US15/339,055 priority patent/US10344422B2/en
Priority to AU2016350669A priority patent/AU2016350669B2/en
Priority to PCT/KR2016/012367 priority patent/WO2017078347A1/en
Priority to JP2018542084A priority patent/JP7136698B2/en
Priority to RU2018120312A priority patent/RU2693869C1/en
Publication of KR20170051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1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1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06F33/02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10Pins, sockets or sleeves; Removable pi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4Opening, closing or locking of doors
    • D06F2224/00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 Y02B40/5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includes: a body having a laundry introduction opening of a circular shape; a door having a display and formed in a circular shape having an eccentric at a location different from a location of an eccentric of the laundry introduction opening so as to open or close the laundry introduction opening; and a hinge unit having a mounted portion mounted in the body and configured to rotatably connect the door to the body. The mounted portion is formed with a lower portion having a width narrower than the width of an upper portion thereof. Thu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enabling a laundry introduction opening to be completely opened in spite of a concave door having an exterior surface thereof not protruding from a main body.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본체의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a garment input port of a main body.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의류의 세탁과 건조가 함께 이루어질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한다.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의류의 세탁은 물과 세제의 작용을 통해 세탁물에 묻어있는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행정이고, 의류의 건조는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열풍공급장치를 통하여 의류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행정이다.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device for washing clothes, a device for drying clothes, and a device for washing and drying clothes together. In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laundry is washed by water and detergent to remove contaminants from the laundry, and drying of clothes is carried out by supplying hot water supplied from clothes through a hot air supply device It is an administration to remove.

일반적인 의류처리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며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의류 수용부, 의류 수용부를 구성하는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유닛, 및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를 포함한다. A general garment disposal apparatus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garment inlet, a garment receiving portion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a drive unit for rotating the drum constituting the garment receiving portion, and a door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garment input port, .

이러한 일반적인 의류처리장치에서는, 도어는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고 의류 수용부를 들여다 볼 수 있는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었다. 이 경우에, 의류처리장치의 디자인적 제약으로 인하여, 도어의 개방각도가 한정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실1999-0029441 등에서는 개방각도를 확대할 수 있는 드럼 세탁기 도어의 개폐구조를 제시하고 있으나, 사각형의 도어와 경첩구조의 고정판을 이용하여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가 있고, 단순한 경첩구조이므로 개방 신뢰도나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In such a general garment disposal apparatus, the door is designed to perform the function of opening and closing the garment input port and looking into the garment receiving section. In this case, there may arise a problem that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is limited due to design constraints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Korean Utility Model Application 1999-0029441 and the like disclose 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a drum washing machine door which can increase the opening angle. However, by using a rectangular door and a fixing plate having a hinge structur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open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n reliability and the durability are inferior because it is a simple hinge structure.

특히, 의류처리장치의 전면과 도어의 외면간에 단차가 없는 함몰형 도어의 경우에, 심플한 외관을 구현하면서도 도어의 개방 각도를 구현하고, 동작 신뢰도를 가져야 하는 등의 복합적인 기술적 특징이 필요하므로, 기존에 제시된 도어의 개폐구조를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나아가,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원형 도어와 같이, 의류 투입구와 비대칭인 도어인 경우에는 개폐 메커니즘에 대한 보다 많은 고려가 필요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어의 개폐구조에서, 의류처리장치의 심플한 외관을 확보하면서도, 동작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recessed door having no step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a complex technical characteristic such as realizing a simple appearance, realizing an opening angle of the door,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existing door opening / closing structure. Further, in the case of a door which is asymmetric with the garment input port, such as a circular door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more consideration is required for th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Thus,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of ensuring operational reliability while ensuring a simple appearanc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n the door opening / closing structure.

본 발명은 외면이 본체에 대하여 돌출되지 않는 함몰형 도어임에도, 의류 투입구를 완전히 개방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fully opening a garment input port, even if the outer surface does not protrude from the main body.

본 발명은 도어의 회전 범위를 유지하면서도, 의류처리장치의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힌지 메커니즘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alize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hinge mechanism tha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while maintaining the rotation range of the door.

본 발명은 의류 투입구와 중심의 위치가 다르고 디스플레이부가 부착된 원형 도어를 지지하면서 동작 신뢰도를 가지는 힌지 메커니즘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mplementing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hinge mechanism with operational reliability while supporting a circular door with a different center position from the garment input port and with a display portion.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의류 투입구를 개방하고, 닫힌 상태에서 상기 의류 투입구를 막도록 이루어지는 도어, 및 상기 도어를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 유닛은,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베이스부재, 및 상기 닫힌 상태와 상기 열린 상태의 사이에서 상기 도어의 회전중심이 이동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도어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부를 구비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body having a garment input port, a door configured to open the garment input port in an open state and to close the garment input port in a closed state, And a hinge unit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door to the main body, wherein the hinge unit comprises: a base member mounted on the main body; and a hinge unit for moving the rotation center of the door between the closed state and the open state And a connecting member having a first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base member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door.

새로운 형태의 이중 힌지 구조를 통하여, 함몰형 도어임에도, 의류 투입구를 완전히 개방하도록, 상기 힌지 유닛은 상기 본체에 대하여 고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과 이격 배치되며, 상기 도어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회전축을 구비하며, 상기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는 각각 상기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에, 상기 제2회전축은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회전함에 따라 기설정된 각도까지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의류 투입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Wherein the hinge unit includes a first rotation axis disposed at a fix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so as to completely open the garment input port through a new type of double hinge structure and a recessed type door, And a second rotation shaft to which the door is rotatably connected, wherei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re configured using the first rotation axis and the second rotation axis,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second rotation axis may be rotated about the first rotation axis to a predetermined angle and move away from the garment input port as the door rotates from the closed state to the open state.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도어의 수평 중심선에 편심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될 수 있다.The base member may be mounted on the main body so as to be eccentric to a horizontal center line of the door.

이러한 구조의 구현을 위하여,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장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장착부는 하단부의 폭이 상단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realize such a structure, the base member has a mounting portion mounted on the main body, and the width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may be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end portion.

상기 장착부는 상기 도어의 수평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측의 면적이 상측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장착부에서 상기 도어의 수평 중심선에 대하여 상하 비대칭되도록 복수의 돌출부가 돌출될 수 있다. The mounting portion may be formed such that an area of a lower side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center line of the door is smaller than an area of an upper side. In this case, a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protruded from the mounting portion so as to be vertically a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center line of the door.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의류투입구의 수평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측에서 상기 본체에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member may be mounted on the main body at an upper side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center line of the garment input port.

상기 힌지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배선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유닛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전기배선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 유닛에는 상기 수용홈을 덮는 커버가 장착될 수 있다.The hinge unit may be formed to receive at least a part of the electric wiring that electrically connects the display unit to the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t least a part of the hinge unit is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electric wire, and the cover for covering the receiving groove may be mounted on the hinge uni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에서는 힌지 유닛과 도어의 연결지점들은 상기 도어의 수평 중심선에 대하여 상하 비대칭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원형의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와,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의류 투입구의 중심과 다른 위치에 중심을 가지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도어를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 유닛과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수평 중심선에 대하여 상하 비대칭되는 연결지점들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hinge unit and a door, wherein the hinge unit and the door are vertically asymmetric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center line of the door. More specifically,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circular garment input port, a door having a display unit and formed in a circular shape having a center at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center of the garment input port, And a hinge unit mounted to the main body and rotatably connecting the door to the main body, wherein the hinge unit and the door are rotatably connected at vertically asymmetric connection point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center line of the door hav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원형의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와,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의류 투입구의 중심과 다른 위치에 중심을 가지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장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도어를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부는 하단부의 폭이 상단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arment disposal apparatus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circular garment input port, a display unit, and a circular shape having a center at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center of the garment input port, And a hinge unit rotatably connecting the door to the main body, wherein the width of the lower end of the hinge unit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end of the hinge unit, Can be formed narrowly.

이 경우에, 상기 장착부는 상기 도어의 수평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측의 면적이 상측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도어의 수평 중심선으로부터 상기 장착부의 상단까지의 길이가 상기 장착부의 하단까지의 길이보다 길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upper portio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center line of the door. The mounting portion may be formed such that the length from the horizontal center line of the door to the upper end of the mounting portion is longer than the length to 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portion.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의 회전 중심이 이동하는 이중 힌지 구조에 의하여, 심플한 도어 외관이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원형의 함몰형 도어임에도 개방 각도가 확보되는 도어의 개폐구조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도어와 의류처리장치의 본체가 일체화된 심미감을 부여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imple door appearance can be realized by the double hinge structure in which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door moves. In particular, through the door opening / closing structure in which the opening angle is ensured even in the case of the circular recessed door, the door of the door and the body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re integrated to give a sense of beauty to the user.

또한, 본 발명은 힌지 유닛이 도어나 의류 투입구에 대하여 편심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원형의 도어와 의류 투입구가 중심이 서로 다른 위치이고, 도어에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경우에 적합한 도어의 개폐 구조를 구현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alizes a door opening / closing structure suitable for a case where the hinge unit is disposed at a position eccentric to the door or the clothes inlet, and the circular door and the clothes inlet are located at different positions from each other, do.

또한, 본 발명은 장착부의 상단부가 폭이 보다 넓게 형성됨에 따라, 힌지 유닛이 도어나 의류 투입구에 대하여 편심되는 위치에서 안정되게 도어를 지지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chanism for stably supporting the door at a position where the hinge unit is eccentric with respect to the door or the clothes input port, as the upper end of the mounting portion is formed to be wider.

또한, 본 발명은 힌지 유닛에 전기배선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됨에 따라, 의류처리장치의 내외부를 연결하는 전기배선의 경로를 보다 용이하게 확보하게 한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ceiv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electric wiring is formed in the hinge unit, the path of the electric wiring connect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s more easily secur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도어가 1차로 회전되어 의류 투입구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어가 2차로 회전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도어의 분해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도어와 힌지 유닛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
도 5a는 도 3a의 힌지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5b는 도 3a의 힌지 유닛의 측면도.
도 5c는 도 3a의 힌지 유닛의 사시도.
도 6a, 도 6b, 도 6c 및 도 6d는 도 4a의 힌지 유닛에 의하여 도어가 개방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힌지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8a, 도 8b, 도 8c 및 도 8d는 도 7의 힌지 유닛에 의하여 도어가 개방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shown in FIG. 1 is first rotated to open a clothes inlet. FIG.
FIG. 2B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secondarily rotated in the state shown in FIG. 2A. FIG.
FIG. 3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FIG. 3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shown in FIG. 1; FIG.
FIGS. 4A and 4B are conceptual views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door and the hinge unit. FIG.
Figure 5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inge unit of Figure 3A;
Figure 5B is a side view of the hinge unit of Figure 3A.
Figure 5c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inge unit of Figure 3a;
FIGS. 6A, 6B, 6C and 6D are operational diagram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door being opened by the hinge unit of FIG. 4A;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inge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8A, 8B, 8C and 8D are operational diagram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door being opened by the hinge unit of Figure 7;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의류처리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서로 다른 실시예라고 하더라도,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other respects,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o those of the previous embodiment, and a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obscured.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ncludes water and alternativ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도어(10)가 각각 1차 및 2차로 회전되어 의류 투입구(20a)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들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and 2b show a state in which the door 10 shown in FIG. 1 is rotated first and second, ) Are open.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의류처리장치(1)는 본체(20) 및 도어(1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includes a main body 20 and a door 10. [

본체(20)는 의류처리장치(1)의 외형을 이루며, 의류가 투입되는 의류 투입구(20a)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본체(20)의 전면부에 의류 투입구(20a)가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The main body 20 forms an outer shap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and has a garment input port 20a into which garments are inserted. In this embodiment, a garment inlet 20a is formed in the front face portion of the main body 20 having a hexahedron shape.

본체(20)의 내부에는 의류 투입구(20a)를 통하여 세탁물이 수용되는 의류 수용부가 구비된다.Inside the main body 20, a garment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ing laundry through a garment input port 20a is provided.

일 예로,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1)가 세탁물의 건조를 위한 장치로 구성될 경우, 의류 수용부는 본체(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40)으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ituted by a device for drying laundry, the clothes receiving portion may be constituted by a drum 40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20.

다른 일 예로,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1)가 세탁물의 세탁과 건조를 함께 수행 가능한 장치로 구성될 경우, 의류 수용부는 본체(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미도시) 및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40)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ituted by a device capable of washing and drying laundry together, the clothes receiving unit may include a tub (not shown) And a drum 40 rotatably installed in the tub to receive the laundry.

본체(20)에는 드럼(4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유닛(미도시)이 구비된다. 구동유닛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상기 구동력을 이용하여 드럼(40)을 회전시키는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main body 20 is provided with a drive unit (not shown) configured to rotate the drum 40.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motor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and a belt for rotating the drum 40 using the driving force.

본체(20)에는 세제공급부(미도시)가 서랍식으로 인출 및 인입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세제공급부를 커버하는 커버(21)는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A detergent supply unit (not shown) may be installed in the main body 20 such that the detergent supply unit can be drawn out and drawn in. The cover (21) for covering the detergent supply portion can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체(20)에는 전원 버튼(22)이 구비되어, 의류처리장치(1)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가 터치스크린(12)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12)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하여 전원을 온/오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전원 버튼(22) 미구비].The body 20 may be provided with a power button 22 to turn on / off the power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 When the display unit 12 is constituted by the touch screen 12, the touch panel 12 may be configured to turn on / off the power through the touch input to the touch screen 12 (not including the power button 22).

또한, 상기 도어(10)에는 윈도우부(11) 및 디스플레이부(12)가 구비될 수 있다.The door 10 may include a window portion 11 and a display portion 12.

도어(10)가 닫힌 상태에서, 윈도우부(11)는 의류 투입구(20a)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의류 수용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윈도우부(11)를 통하여 의류 수용부에 수용된 의류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door 10 is closed, the window portion 11 is arrang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garment input port 20a so as to be able to see through the garment accommodating portion. Accordingly, the user can check the state of the clothes accommodated in the garment accommodating portion through the window portion 11.

디스플레이부(12)는 의류처리장치(1)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2)는 의류처리장치(1)에서 구동되는 행정(세탁, 탈수, 건조 행정 등)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대응되는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2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to be processed in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2 displays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of a stroke (washing, dehydrating, drying, etc.) driven by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or UI (User Interface) corresponding to such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Graphic User Interface) information.

한편, 도어(10)는 힌지 유닛(30, 또는 힌지부, 힌지 모듈)에 의해 본체(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의류 투입구(20a)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door 10 is rotat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20 by a hinge unit 30 (or a hinge unit or a hinge module), and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garment input port 20a.

도어(10)의 일측에 힌지 유닛(30)이 장착된 구조에서, 도어(10)의 타측에는 도어(10)를 본체(20)에 고정 또는 고정해제하는 로킹장치가 구비된다. 로킹장치는 누름식으로 구성되어, 도어(10)의 타측을 한번 누르면 도어(10)가 잠금되고, 다시 한번 누르면 도어(10)가 잠금해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 locking device for fixing or releasing the door 10 to the main body 2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door 10 in a structure in which the hinge unit 30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door 10. [ The locking device is configured to be pressed, and the door 10 is locked when the other side of the door 10 is pressed once, and the door 10 is unlocked when pressed again.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는 외부면에서 내측으로 리세스되고, 내부에 의류 투입구(20a)를 구비하는 도어 수용부(20b)를 구비할 수 있다. 도어(10)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10)는 도어 수용부(20b)에 수용되고,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 수용부(20b)를 벗어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도어(10)는 열린 상태에서 상기 의류 투입구(20a)를 개방하고, 닫힌 상태에서 상기 의류 투입구(20a)를 막게 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main body 20 may have a door receiving portion 20b which is recessed inward from the outer surface and has a garment input port 20a therein. The door 10 may be accommodated in the door receiving portion 20b while the door 10 is closed and may be disposed to be out of the door accommodating portion 20b in the open state. Through this, the door 10 opens the garment input port 20a in the open state, and closes the garment input port 20a in a closed state.

이처럼 도어(10)가 도어 수용부(20b)에 수용되는 구조상, 도어(10)의 개방시 도어(10)가 본체(20)에 걸림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일 예로서, 힌지 유닛(30)은 서로 다른 두 개의 회전축을 가지는 이중 힌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회전축에 대한 1차 회전에 의해 도어(10)가 도어 수용부(20b)로부터 이격된 후, 다른 하나의 회전축에 대한 2차 회전에 의해 도어(10)가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door 10 from being caught by the main body 20 when the door 10 is opened, the hinge unit 30 may include a door It may have a double hinge structure having two different rotation axes. 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2A and 2B, after the door 10 is separated from the door accommodating portion 20b by the first rotation with respect to any one of the rotation shafts, So that the door 10 can be rotated.

이러한 이중 힌지 구조에 의하여, 도어가 크고 전면과 도어 외면의 사이에 단차가 없는, 또는 도어 외면이 상기 도어 수용부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함몰형 도어에서도 90 도 이상으로 도어가 회전하여 의류 투입구를 개방시키는 메커니즘이 구현될 수 있다. With this double hinge structure, even if the door is large and there is no step between the front surface and the door outer surface, or the recessed door where the door outer surface does not protrude from the door receiving portion, the door rotates to 90 degrees or more, Mechanism can be implemented.

이하에서는, 이러한 이중 힌지 구조를 중심으로, 도어(10)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door 10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such a double hinge structure.

도 3a은 도 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도어와 힌지 유닛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FIG. 3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shown in FIG. 1, FIG. 3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shown in FIG. 1, and FIGS. 4A and 4B are conceptual views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door and the hinge unit .

의류 투입구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도어(10)가 이에 대응하도록 원형(정원형, 타원형 포함)으로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의류 투입구와 도어(10)는 다각형(사각형, 육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garment input port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the door 1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including a garden shape and an elliptical shape) so as to correspond to the doo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clothes inlet and the door 10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rectangular, hexagonal, etc.).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도어(10)는 도어 프레임(110), 도어 윈도우(120) 및 도어 커버(14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door 10 includes a door frame 110, a door window 120, and a door cover 140.

도어 프레임(110)에는 도어(10)가 닫힌 상태에서 의류 투입구(20a)와 마주하는 개구부(110a)가 형성되고, 도어 윈도우(120)는 상기 개구부(110a)에 대응되도록 도어 프레임(110)에 설치된다. 도어 윈도우(120)는 투광성 재질(유리, 합성수지 재질 등)로 형성되어, 도어(10)가 닫힌 상태에서 의류 투입구(20a)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The door frame 110 is formed with an opening 110a facing the garment input port 20a in a state that the door 10 is closed and the door window 120 is formed in the door frame 110 so as to correspond to the opening 110a. Respectively. The door window 120 is formed of a translucent material (glass, synthetic resin material, or the like), and is dispos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garment input port 20a when the door 10 is closed.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프레임(110)은 아우터 프레임(111)과 이너 프레임(1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11)과 이너 프레임(112)은 합성수지 재질(예를 들어, ABS 재질, PC 재질 등)로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door frame 110 may include an outer frame 111 and an inner frame 112. The outer frame 111 and the inner frame 112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for example, an ABS material, a PC material, or the like).

도어 프레임(110)에는 도어 윈도우(120)가 장착된다. 도어 윈도우(120)는 투광성 재질(유리, 합성수지 재질 등)로 형성되어, 도어(10)가 닫힌 상태에서 의류 투입구(20a)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도어 프레임(110)에는 도어(10)의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커버(140)가 결합된다. 도어 커버(140)는 투광성을 가지는 유리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A door window 120 is mounted on the door frame 110. The door window 120 is formed of a translucent material (glass, synthetic resin material, or the like), and is dispos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garment input port 20a when the door 10 is closed. A door cover 140, which forms an outer appearance of the door 10, is coupled to the door frame 110. The door cover 140 may be formed of a light-transmitting glass material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의 도어(10)에 대응되도록 도어 프레임(110)과 도어 커버(140)가 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도시에 의하면, 도어 프레임(110)은 본체(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를 위하여 힌지 유닛(30)이 도어 프레임(110)과 본체(20)에 각각 결합된다. 이 경우에, 상기 힌지 유닛(30)은 상기 원형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측에서 상기 본체(2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유닛(30)과 상기 도어(10)는 상기 도어(10)의 수평 중심선(C1)에 대하여 상하 비대칭되는 연결지점들(P1, P2)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 유닛(30)은 상기 의류 투입구(20a) 의 수평 중심선(C2)에 대하여 편심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10)와 상기 의류 투입구(20a)가 모두 원형이나, 상기 도어(10)의 일측에 디스플레이부(12)가 배치되므로, 상기 도어(10)는 상기 의류 투입구(20a)에 대하여 중심이 서로 다른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비대칭 구조에서 도어의 개방구조를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힌지 유닛(30)은 상기 의류 투입구(20a) 의 수평 중심선(C2)에 대하여 상측으로 편심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특이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door frame 110 and the door cover 140 are formed in a circular shape so as to correspond to the circular door 10. The door frame 11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20 so that the hinge unit 30 is coupled to the door frame 110 and the main body 20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hinge unit 30 can be mounted on the main body 20 from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ircular shape. The hinge unit 30 and the door 10 may be rotatably connected at vertically asymmetric connection points P1 and P2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center line C1 of the door 10. [ In addition, the hinge unit 3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eccentric to the horizontal center line C2 of the garment input port 20a. 4A and 4B, since the door 10 and the garment input port 20a are both circular, the display unit 12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oor 10, And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having a different center from the garment input port 20a. In order to realize the open structure of the door in this asymmetric structure, the hinge unit 30 is arranged at a position eccentric upwar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center line C2 of the garment input port 20a, and has a peculiar structure.

도시에 의하면, 상기 힌지 유닛(30)과 상기 도어(20)는 상기 도어(20)의 수평 중심선(C1)에 대하여 상하 비대칭되는 연결지점들(P1, P2)에서 연결부(33)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hinge unit 30 and the door 20 are rotatable through connection portions 33 at connection points P1 and P2 which are vertically a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center line C1 of the door 20, Lt; / RTI >

상기 연결부(33)는 상기 도어(20)의 수평 중심선(C1)을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 연결부(33a)와 하측에 배치되는 하측 연결부(33b)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에, 상기 상측 연결부(33a) 및 하측 연결부(33b)는 각각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상측 연결부(33a) 및 하측 연결부(33b)는 상기 도어(20)의 수평 중심선(C1)을 기준으로 비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portion 33 may include an upper connection portion 33a disposed on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center line C1 of the door 20 and a lower connection portion 33b disposed on the lower side. At this time, the upper connection part 33a and the lower connection part 33b may each have one or more connection parts.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33a and the lower connecting portion 33b may be arranged to be a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center line C1 of the door 20. [

여기서 상기 연결지점들(P1, P2)은 상측 연결부(33a)의 상단지점과, 하측 연결부(33b)의 하단지점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로서, 후술하는 상측 연결부(33a)의 상단에 위치한 부싱(334, 도 5a 참조)과 하측 연결부(33b)의 하단의 부싱의 위치가 상기 연결지점들(P1, P2)이 될 수 있다.Here, the connection points P1 and P2 may be defined as an upper end point of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33a and a lower end point of the lower connecting portion 33b. For example, the positions of the bushings at the lower ends of the bushing 334 (see FIG. 5A)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33a and the lower connecting portion 33b described later may be the connecting points P1 and P2.

다른 예로서, 상기 연결지점들(P1, P2)은 상측 연결부(33a)의 중간지점(중심)과 하측 연결부(33b)의 중간지점(중심)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후술하는 상측 연결부(33a)의 부싱들의 중간지점과 하측 연결부(33b)의 부싱들의 중간지점의 위치가 상기 연결지점들(P1, P2)이 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connection points P1 and P2 may be defined as an intermediate point (center) between the intermediate point (center) of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33a and the lower connecting portion 33b. In this case, the intermediate points of the bushings of the upper connection part 33a and the intermediate points of the bushings of the lower connection part 33b,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the connection points P1 and P2.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20)의 수평 중심선(C1)으로부터 상기 상측 연결부(33a)까지의 거리(L1)가 상기 하측 연결부(33b)까지의 거리(L2)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에, 상기 상측 연결부(33a) 및 하측 연결부(33b)의 사이의 중간 지점(C3)은 상기 도어(20)의 수평 중심선(C1)보다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distance L1 from the horizontal center line C1 of the door 20 to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33a may be larger than the distance L2 to the lower connecting portion 33b. At this time, the intermediate point C3 between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33a and the lower connecting portion 33b may be located above the horizontal center line C1 of the door 20.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힌지 유닛(30)이 도어(20)에 대하여 편심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원형의 도어와 의류 투입구가 중심이 서로 다른 위치이고, 도어에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경우에 적합한 도어의 개폐 구조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inge unit 30 is disposed at a position eccentric to the door 20, the circular door and the garment input port are positioned at different positions from each other, Thereby providing an opening / closing structure.

이 경우에, 상기 힌지 유닛(30)의 중심은 상기 의류 투입구(20a)의 수평 중심선(C2)에 대하여 상측으로 편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힌지 유닛(30)은 상기 힌지 유닛(30)의 도심이나 무게 중심이 상기 도어(20)의 수평 중심선(C1)이나 상기 의류 투입구(20a)의 수평 중심선(C2)에 대하여 편심되는 구조가 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enter of the hinge unit 30 may be disposed eccentrically upwar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center line C2 of the garment input port 20a. In this case, the hinge unit 30 is positioned such that the center of gravity or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hinge unit 30 is eccentric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center line C1 of the door 20 or the horizontal center line C2 of the garment input port 20a Structure.

또한, 상기 도어 수용부(20b)에는 관통홀(23)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 유닛(30)은 도어 수용부(20b)에 의하여 가려지며, 상기 힌지 유닛의 연결부는 상기 관통홀(23)을 관통하여 도어 수용부(20b)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3)와 마찬가지로, 상기 도어 수용부(20b)에 형성되는 관통홀(23)은 상기 도어(20)의 수평 중심선(C1)에 대하여 상하 비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힌지 유닛(30)에서 상기 관통홀(23)을 관통하여 상기 도어 수용부(20b)로 노출되는 부분은 상기 의류 투입구(20a)의 수평 중심선(C2)에 대하여 비대칭되거나 상기 노출되는 부분의 중심은 상기 의류 투입구(20a)의 수평 중심선(C2)에 대하여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door receiving portion 20b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23. The hinge unit 30 is covered by the door receiving portion 20b and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hinge unit is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23 And can be exposed through the door receiving portion 20b. The through hole 23 formed in the door receiving portion 20b may be formed a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center line C1 of the door 20 in the same manner as the connecting portion 33. [ The portion of the hinge unit 30 that is exposed through the through hole 23 and exposed to the door receiving portion 20b may be a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center line C2 of the garment input port 20a,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center line C2 of the garment input port 20a.

상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편심 구조에 의하여, 의류 투입구와 중심이 다르며, 상측의 무게가 더 무거운 원형 도어를 지지할 때에, 동작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는 힌지 유닛이 구현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ccentric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hinge unit can be realized that can assure operational reliability when supporting a round door which is different from the center of the garment input port and heavier on the upper side.

한편, 상기 편심되는 힌지 유닛의 구조는 단일 힌지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전술한 이중 힌지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힌지 유닛(30)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는 후술한다.Meanwhile, the structure of the eccentric hinge unit can be applied not only to a single hinge but also to the double hinge structure described above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hinge unit 30 will be described later.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본체(20)의 전면에는 전면 커버(21)가 장착되며, 상기 힌지 유닛(30)은 본체(20)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전면 커버(21)를 관통하여 상기 도어(10)와 연결될 수 있다.A front cover 21 i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20 and the hinge unit 30 is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20 and passes through the front cover 21, ).

도시에 의하면, 상기 전면 커버(21)에는 의류 투입구(20a)와 함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도어 수용부(20b)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10)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10)는 도어 수용부(20b)에 수용되고, 도어(10)의 외부면 테두리 부분은 이에 인접한 본체(20)의 외부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ront cover 21 may be formed with the door receiving portion 20b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together with the garment input port 20a. When the door 10 is closed, the door 10 is received in the door receiving portion 20b,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10 is arranged to be flush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20 adjacent thereto .

상기 관통홀(23)은 상기 도어 수용부(20b)의 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힌지 유닛(30)은 상기 본체(20)에 구비된 힌지 브라켓(미도시)에 장착되고, 상기 힌지 유닛(3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통홀(23)을 통하여 상기 도어 수용부(20b)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힌지 브라켓은 의류처리장치의 본체와 힌지 유닛(30)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 경우에, 상기 힌지 브라켓은 의류 투입구(20a)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되며, 이를 통하여 힌지 유닛(30)은 상기 의류 투입구(20a)에 대하여 편심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힌지 유닛(30)의 일은 서예로서, 다른 두 개의 회전축을 가지는 이중 힌지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상기 도어(10)가 90 도 이상으로 회전하여 도어 수용부(20b)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이하 이러한 힌지 유닛(30)의 구조에 대하여 도 1 및 도 2와 함께, 도 5, 도 6a, 도 6b, 도 6c 및 도 6d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through hole 23 is formed in a side wall of the door receiving portion 20b and the hinge unit 30 is mounted on a hinge bracket (not shown) of the main body 20, and the hinge unit 30 Can be exposed to the door receiving portion 20b through the through-hole 23. [0053] The hinge bracket serves to connect the main body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hinge unit 30. [ In this case, the hinge bracket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garment input port 20a, and the hinge unit 30 can be disposed at a position eccentric to the garment input port 20a.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the work of the hinge unit 30 may have a double hinge structure having two other rotational shafts, through which the door 10 is rotated 90 degrees or more And is released from the door receiving portion 20b.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hinge unit 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6A, 6B, 6C and 6D together with Figs.

도 5a는 도 3a의 힌지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3a의 힌지 유닛의 측면도이고, 도 5c는 도 3a의 힌지 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6a, 도 6b, 도 6c 및 도 6d는 도 4a의 힌지 유닛에 의하여 도어가 개방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들이다.Fig. 5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inge unit of Fig. 3A, Fig. 5B is a side view of the hinge unit of Fig. 3A, Fig. 5C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inge unit of Fig. 3A, and Figs. 6A, 6B, 6C, 4a are opened by the hinge unit 4a.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상기 힌지 유닛(30)은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장착부(311)를 구비하며, 상기 장착부(311)는 하단부의 폭(BW)이 상단부의 폭(TW)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폭은 상기 도어를 정면에서 바라 보았을 때, 좌우방향의 폭이 거리가 될 수 있다. 이 때에, 상기 장착부(311)는 상기 도어(20)의 수평 중심선(C1)을 기준으로 하측의 면적이 상측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장착부(311)의 도심 또는 무게중심은 상기 도어(20)의 수평 중심선(C1)보다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The hinge unit 30 has a mounting portion 311 mounted on the main body and the width BW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311 may be narrower than the width TW of the upper end portion have. In this case, the width may be a distance in the left-right direction when the door is viewed from the front. At this time, the mounting portion 311 may be formed such that the lower side area of the mounting portion 311 is smaller than the upper side portio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center line C1 of the door 20. The center of gravity or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ounting portion 311 is positioned above the horizontal center line C1 of the door 20.

또한, 상기 장착부(311)는 상기 도어(20)의 수평 중심선(C1)으로부터 상기 장착부(311)의 상단까지의 길이가 상기 도어(20)의 수평 중심선(C1)으로부터 상기 장착부(311)의 하단까지의 길이보다 길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장착부(311)는 상기 도어(20)의 수평 중심선(C1)에 대하여 편심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mounting portion 311 is formed such that the length from the horizontal center line C1 of the door 20 to the upper end of the mounting portion 311 extends from the horizontal center line C1 of the door 20 to 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portion 311 As shown in FIG. That is, the mounting portion 311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eccentric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center line C1 of the door 20.

한편, 상기 장착부(311)의 구조는 전술한 도어(20)의 수평 중심선(C1)에 편심되는 힌지 유닛과 관련된 특징이나, 이하 설명되는 이중 힌지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structure of the mounting portion 311 is related to the hinge unit eccentric to the horizontal center line C1 of the door 20 described above, but may also be applied to the double hinge structure described below.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힌지 유닛(30)은 장착부(311)를 가지는 베이스부재(310)를 구비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hinge unit 30 may include a base member 310 having a mounting portion 311.

상기 베이스부재(310)는 도어를 지지하는 강도와 도어의 개폐에도 변형이 되지 않도록 내구성을 가지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장착부(311)에서 돌출되는 돌출부(312)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장착부(311)에서 상기 도어의 수평 중심선(C1)에 대하여 상하 비대칭되도록 복수의 돌출부(313, 314)가 돌출될 수 있다.The base member 31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strength to support the door and durability so as not to be deformed even when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More specifically, the base member has a protrusion 312 protruding from the mounting portion 311. For example, a plurality of protrusions 313 and 314 may protrude from the mounting portion 311 so as to be vertically a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center line C1 of the door.

상기 장착부(311)는 의류처리장치의 본체에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예를 들어 힌지 브라켓에 장착된다. 이 경우에, 상기 힌지 유닛(30)이 상기 의류 투입구(20a)에 대하여 편심된 위치에 배치되므로, 상기 베이스부재(310)는 상기 도어(20)의 수평 중심선(C1)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치우치도록 상기 본체, 구체적으로 힌지 브라켓에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베이스부재(310)의 복수의 돌출부(313, 314) 사이의 중심은 상기 의류투입구(20a)의 수평 중심선을(C2) 기준으로 상측으로 치우쳐서 상기 본체에 장착될 수 있다.The mounting portion 311 is a portion mounted on the main body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is mounted on, for example, a hinge bracket. The hinge unit 30 is disposed at an eccentric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garment input port 20a so that the base member 310 is shifted upwards relative to the horizontal center line C1 of the door 20 To be mounted on the main body, specifically the hinge bracket. In this case, the center betwe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313 and 314 of the base member 310 may be mounted on the main body by biasing the horizontal center line of the garment input port 20a upward.

또한, 상기 장착부(311)는 판형부재로 이루어지며, 일변이 상기 의류투입구(20a)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원호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에, 상기 베이스부재(310)가 상기 원형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므로, 상기 일변은 원의 좌상측에 위치하는 원호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unting portion 311 is formed of a plate-shaped member, and an arc can be formed so that one side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garment input port 20a. At this time, since the base member 310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ircular shape, the one side may be formed along an arc located on the left upper side of the circle.

상기 돌출부(312)는 상기 장착부(311)에서 돌출되는 외팔보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에, 상기 돌출부(312)는 상기 장착부(311)와 둔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돌출부(312)는 상기 의류 투입구 직경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상기 본체(20)의 전면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전면 커버(21)의 관통홀(23)을 관통하여 도어 수용부(20b)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진다.The protrusion 312 is formed in a cantilever shape protruding from the mounting portion 311. In this case, the protrusion 312 may protrude in an obtuse angle with the mounting portion 311. For example, the protruding portion 312 extends toward the front of the main body 20 while extending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garment insertion port, and penetrates through the through-hole 23 of the front cover 21, 20b.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부(312)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돌출부분(313)과 제2돌출부분(314)을 구비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제1돌출부분(313)은 상기 도어의 수평 중심선(C1)을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돌출부분(314)은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1돌출부분(313)과 상기 제2돌출부분(314)은 후술하는 제1연결부(331)와 결합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rotrusions 312 may have a first protrusion 313 and a second protrusion 314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313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center line C1 of the door, and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314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ide. In this case,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313 and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314 may be engaged with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31 described later.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장착부(311)는 하단부의 폭이 상단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단부는 상기 장착부(311)의 상단에 가까운 부분으로서, 본 예시에서는 상기 제1돌출부분(313)과 상기 장착부(311)의 상단의 사이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단부는 상기 장착부(311)의 하단에 가까운 부분으로서, 본 예시에서는 상기 제2돌출부분(314)과 상기 장착부(311)의 하단의 사이가 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idth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311 may be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end portion. The upper end portion is a portion near the upper end of the mounting portion 311 and may be between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313 and the upper end of the mounting portion 311 in this example. The lower end portion is a portion near 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portion 311 and may be between 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314 and 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portion 311 in this example.

이 경우에, 상기 제1돌출부분(313)과 제2돌출부분(314)은 모두 상기 의류 투입구(20a)의 중심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돌출부분(313)과 제2돌출부분(314)은 각각 상기 장착부(311)에서 서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장착부(311)는 상기 제1돌출부분(313)에서 상기 제2돌출부분(314)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돌출부분(313)에 해당하는 상기 장착부(311)의 폭은 상기 제2돌출부분(314)에 해당하는 상기 장착부(311)의 폭보다 넓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돌출부분(313)의 주변에서 상기 장착부(311)의 폭은 상기 제2돌출부분(314)의 주변에서 상기 장착부(311)의 폭보다 넓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both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313 and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314 may be disposed above the center of the garment input port 20a. In this case, the first protruding portion 313 and 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31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mounting portion 311, and the mounting portion 311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rotruding portion 313 And may be formed so as to have a narrower width toward the protruding portion 314. For example, the width of the mounting portion 311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truding portion 313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width of the mounting portion 311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314. Specifically, the width of the mounting portion 311 in the periphery of the first protruding portion 313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mounting portion 311 in the periphery of 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314.

상기 장착부(311)의 일변이 원호를 형성하므로, 장착부(311)의 폭이 변화하도록, 상기 장착부(311)의 타변은 상하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의류 투입구(20a)의 중심에 대하여 상측에서 상기 중심을 향할수록 상기 장착부(311)의 폭이 좁아질 수 있다. Since the one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311 forms an arc, the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311 may be formed straight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width of the mounting portion 311 changes. The width of the mounting portion 311 may be narrowed from the upper side toward the cent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garment insertion opening 20a.

또한, 상기 장착부(311)는 상기 본체에 안착되는 면이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장착부(311)의 상단부보다 하단부가 상기 연결부와 더 가까워지도록 상기 장착부(311)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연결부(33)의 회전축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33)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장착부(311)는 상기 수직방향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θ)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와 함께, 상기 제1돌출부분과 상기 제2돌출부분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 모두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본체에서 상기 장착부가 안착되는 부분도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unting portion 311 may be formed so that the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311 that is seated on the main body is inclined. For example, at least a part of the mounting portion 311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of the connection portion 33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portion 311 is closer to the connection portion. That is, the connection portion 33 is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mounting portion 311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both the upper end portion and the lower end portion, and the portion located between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may be formed in an inclined shape. In addition, a portion where the mounting portion is seated in the main body may also be formed in an inclined shape corresponding thereto.

상기 제1돌출부분(313)과 제2돌출부분(314)의 각 단부에는 힌지축이 삽입되는 삽입홀(3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축은 상기 본체(20)에 대하여 고정된 위치에 배치되며, 이중 힌지 구조의 어느 하나의 회전축을 형성하며, 따라서 제1회전축(321)으로 지칭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rojecting portions 313 and 314 may have an insertion hole 315 through which a hinge shaft is inserted. The hinge shaft is disposed at a fix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20, and forms a rotation axis of the double hinge structure, and may thus be referred to as a first rotation axis 321.

도시에 의하면, 상기 힌지 유닛(30)은 연결부재(330)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재(330)가 상기 돌출부(312)와 연결된다. 이 경우에 도어의 회전중심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연결부재(330)는 상기 돌출부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hinge unit 30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330 and the connecting member 330 is connected to the protruding portion 312. In this case, the connecting member 330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protrusion so as to move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door.

이 경우에, 상기 제1회전축(321)은 상기 연결부재(33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축이 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30)는 상기 도어(10)의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의 사이에서 상기 도어(10)의 회전중심을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부재(310)에는 상기 연결부재(330)의 제1연결부(331)가 연결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연결부재의 제2연결부(332)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rotating shaft 321 may be a fixed shaft to which the connecting member 330 is rotatably connected. The connecting member 330 is configured to move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door 10 between the closed state and the open state of the door 10. For example,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31 of the connection member 330 may be connected to the base member 310, and the door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32 of the connection member.

편심 힌지구조에 대한 예시에서, 전술한 연결부(33)는 제2연결부(332)가 될 수 있다. 이 때에, 상기 돌출부(312)의 일단에 상기 도어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돌출부(312)는 상기 연결부재(330)가 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힌지 유닛(30)에서 상기 관통홀(23)을 관통하여 상기 도어 수용부로 노출되는 부분은 돌출부의 일부와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 구비되는 연결부가 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의 일부와 상기 연결부는 상기 도어의 수평 중심선을 기준으로 비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the example of the eccentric hinge structure, the above-described connecting portion 33 may be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32. [ At this time, the door may be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protrusion 312, and the protrusion 312 may be the connection member 330. In this case, the portion of the hinge unit 30 which is exposed through the through-hole 23 and exposed to the door receiving portion may be a part of the protruding portion and a connecting portion provided at the end of the protruding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may be arranged to be a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center line of the door.

이중 힌지 구조에서, 상기 연결부재(330)의 일단에는 상기 제1연결부(331)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331)는 상기 제1회전축(321)을 통하여 상기 베이스부재(3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1연결부(331)는 상기 연결부재(330)를 상기 베이스부재(310)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연결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1회전축 대신에 연결부재(330)가 상기 베이스부재(310)의 돌출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연결부(331)는 상기 베이스부재(31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the double hinge structure, the first connection part 331 is formed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member 330,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331 is rotated (rotated) to the base member 310 via the first rotation shaft 321 Possibly connected.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31 may be configured to slidably connect the connection member 330 to the base member 310. In this case, the connecting member 330 is slidably engaged with the protrusion of the base member 310 instead of the first rotating shaft. In this way,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31 can be movably coupled to the base member 310.

상기 도어(10)의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의 사이에서 상기 도어(10)의 회전중심이 이동하도록, 상기 연결부재(330)의 타단에는 제2연결부(332)가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부(332)에는 상기 도어(1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A second connecting portion 332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330 so that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door 10 moves between the closed state and the opened state of the door 10, The door 10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door 332.

도시에 의하면, 상기 제2연결부(332)에는 제2회전축(322)이 장착되며, 상기 도어(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도어(10)의 회전중심은 상기 제1연결부(또는 제1회전축)에서 상기 제2연결부(또는 제2회전축)으로 이동하게 된다.A second rotation shaft 322 is mounted on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32 and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door 1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or the first rotation axis) To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or the second rotating shaft).

상기 제2회전축(333)에는 부싱(334)이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부싱(334)에 상기 도어(10)와의 결합을 위한 힌지 홀더(341, 도 3a 참조)가 결합된다. 상기 힌지 홀더(341)는 상기 도어(10)에 결합되며, 상기 힌지 홀더(341)를 가리기 위하여, 상기 도어에는 홀더 커버(342)가 상기 힌지 홀더(341)를 덮도록 장착될 수 있다.A bushing 334 may be mounted on the second rotary shaft 333 and a hinge holder 341 for coupling with the door 10 may be coupled to the bushing 334. The hinge holder 341 is coupled to the door 10 and a holder cover 342 may be mounted on the door to cover the hinge holder 341 to cover the hinge holder 341.

상기 연결부재(33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부재(335)과, 상기 제1부재의 단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일 방향과 다른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부재(33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1부재(335)의 일단에 상기 제1회전축(321)이 연결되고, 상기 제1부재(335)의 타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다른 방향으로 제2부재(336)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부재(336)의 단부에 상기 제2회전축(322)이 장착되며, 상기 제2회전축(322)에 상기 도어가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The connecting member 330 may include a first member 335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a second member 336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first member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 In this case, the first rotation shaft 321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member 335, and the second member 336 is extended in the other direction by being bent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member 335 . The second rotation shaft 322 is mounted on an end of the second member 336 and the doo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322.

이 경우에, 상기 제1부재(335)는 직선의 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부재(336)는 곡선의 바 형태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부재(336)는 상기 제1연결부(331)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2부재(336)는 상기 제1연결부(331)를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member 335 has a straight bar shape, and the second member 336 has a curved bar shape.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member 336 forms an arc about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31. Accordingly, the second member 336 may exten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bout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31. [

한편, 상기 힌지 유닛(30)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2, 도 1 참조)를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제어부(메인 회로기판)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배선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힌지 유닛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전기배선을 수용하는 수용홈(337)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부재(336)에는 전기배선을 수용하는 상기 수용홈(337)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337)을 덮는 커버(338)가 상기 힌지 유닛(3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337)은 상기 제1부재(335)로 연장되며, 이를 통하여 상기 전기배선은 상기 제1연결부(331)를 지나서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로 이어질 수 있다. 상기 전기배선은 도어를 의류처리장치의 내부의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경로로서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hinge unit 30 is formed to receive at least a part of the electric wiring that electrically connects the display unit 12 (see FIG. 1) with a control unit (main circuit board) provided in the main body. For example, at least a part of the hinge unit may be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337 for receiving the electric wiring. Specifically, the second member 336 is formed with the receiving groove 337 for receiving an electric wire, and a cover 338 covering the receiving groove 337 can be mounted on the hinge unit 30 . The receiving groove 337 extends to the first member 335 so that the electric wiring can pass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31 to the insid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The electric wiring may be provided as a path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door to a control unit inside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이 때에, 상기 연결부재(330)는 상기 도어의 수평 중심선을 기준으로 비대칭되도록 배치되는 상측 연결부재(330a) 및 하측 연결부재(330b)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전기배선은 상기 상측 연결부재(330a)를 통하여 상기 본체로 이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전기배선을 수용하는 수용홈(337)은 상기 상측 연결부재(330a)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부재(336)가 상기 도어의 수평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에 각각 배치되는 상측 부재 및 하측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수용홈(337)은 상기 상측 부재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의류처리장치의 내외부를 연결하는 전기배선의 경로를 보다 용이하게 확보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member 330 may include an upper connection member 330a and a lower connection member 330b arranged a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center line of the door, 330a. ≪ / RTI > That is, the receiving groove 337 for receiving the electric wire may be formed on the upper connecting member 330a.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member (336) has an upper member and a lower member which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upper and lower sid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center line of the door. The receiving groove 337 may be formed in the upper member. Thus, the path of the electric wiring connect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n be more easily secured.

다시, 이중 힌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부재(335)는 도어의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연결부(331)로부터 상기 도어(10)의 후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반해, 상기 제2부재(336)는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부재(335)의 단부에서 상기 도어의 전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 first member 335 protrudes from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31 in a direction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10 in a closed state of the door.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member 336 may protrude from the end of the first member 335 in the closed state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상기 제1부재(335)와 제2부재(336)는 사이각이 예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에, 상기 제2부재(336)는 상기 돌출부와 교차하도록 형성되며, 이를 통하여 상기 도어에서 상기 제1연결부(331)에 가까운 일측이 상기 제1연결부(331)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member 335 and the second member 336 may be disposed such that the angle between the first member 335 and the second member 336 is an acute angle. At this time, the second member 336 is formed to intersect with the protrusion, and one side of the door closer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31 may be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31.

상기에서 설명된 구조를 가진 연결부재(330)는,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도 6a)로부터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연결부(331)를 중심으로 기설정된 범위에서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1연결부(331)는 상기 제1회전축(321)을 중심으로 상기 연결부재가 기설정된 각도까지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connecting member 33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may be formed to rotate in a predetermined range about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31 as the door rotates from the closed state (Fig. 6A). In this case,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31 may be formed to rotate the connection member about the first rotation axis 321 to a predetermined angle.

한편, 도 6a, 도 6b 및 도 6c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재(33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도어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기설정된 범위내에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지나가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2부재(336)와 제1부재(335)가 차례로 상기 돌출부를 지나서 회전하게 된다.6A, 6B and 6C, at least a part of the connecting member 330 is formed to pass through at least a part of the base member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by the rotation of the door. For example, the second member 336 and the first member 335 sequentially rotate past the projection.

이와 같이, 제2부재(336)와 제1부재(335)가 차례로 상기 돌출부(312)를 지나서 회전하면, 이는 상기 기설정된 범위의 경계(본 예시에서는 75도)까지 열린 상태(도 6c, 이하, 중간 열린 상태라 한다)가 된다. 이 때에, 상기 제1연결부(331)에는 상기 경계에서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중간 열린 상태는 상기 도어(10)가 상기 의류 투입구(20a)를 정면에서 일부 가리는 상태가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cond member 336 and the first member 335 sequentially rotate past the protruding portion 312, the second member 336 and the first member 335 are opened up to the predetermined boundary (75 degrees in this example) , It is called a middle open state). At this time,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31 may be provided with a stopper (not shown) for restricting the connection member from rotating in the direction of opening the door at the bounda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10 partially covers the garment input port 20a from the front.

이 때에, 상기 제2회전축(322)은 상기 도어(10)가 상기 중간 열린 상태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기설정된 각도까지 상기 제1회전축(32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의류 투입구(20a)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second rotation shaft 322 rotates about the first rotation axis 321 to the predetermined angle until the door 10 rotates in the middle open state, and moves away from the garment input port 20a Direction.

상기 중간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1회전축(321)을 중심으로 도어(10)가 계속 회전하면, 전면 커버(21)와 도어(10) 외면의 사이에 단차가 없으므로 상기 도어의 일측이 상기 전면 커버(21)에 걸림될 수 있다. 본 예시의 이중 힌지 구조는, 상기 도어(10)의 회전중심은 상기 중간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1연결부(331)에서 상기 제2연결부(332)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When the door 10 continues to rotate about the first rotation axis 321 in the middle open state, since there is no step between the front cover 2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10, 21, respectively. In this double hinge structure,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door 10 is moved from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31 to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32 in the middle open state.

예를 들어, 상기 중간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1회전축(321)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10)의 회전이 제한되므로, 도어(10)에 외력이 가해지면 도 6d와 같이 상기 도어는 상기 제2회전축(32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회전축(322)을 중심으로 한 도어(10)의 회전이 특정각도(본 예시에서는 45도)만큼 가능하다면, 상기 도어(10)는 상기 중간 열린 상태로부터 상기 특정각도만큼 더 회전하여 상기 의류 투입구를 정면에서 가리지 않는 상태(열린 상태)까지 개방시킨다.For example, in the middle open state, the rotation of the door 10 is restricted around the first rotation axis 321, so that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door 10, (322). For example, if the rotation of the door 10 around the second rotation axis 322 is possible by a certain angle (45 degrees in this example), the door 10 is moved from the intermediate open state to the predetermined angle And further rotates to open the garment inputting port from the front to the non-screening state (open state).

이상에서는, 도어(10)를 여는 동작을 중심으로 이중 힌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도어(10)를 닫는 동작은 상기 설명과 역으로 성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린 상태에서 도어(10)를 닫는 방향으로 상기 도어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중간 열린 상태까지는 상기 도어(10)가 상기 제2회전축(322)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외력이 계속 가해지면, 상기 중간 열린 상태에서 상기 닫힌 상태까지는 상기 연결 부재(330)가 상기 도어(10)와 함께 상기 제1회전축(32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도어 수용부(20b)에 수용된다.Although the double hinge structure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operation of opening the door 10, the operation of closing the door 10 can be reversed. For exampl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door in a direction of closing the door 10 in the open state, the door 10 rotates about the second rotation axis 322 until the intermediate open state. When the external force is continuously applied, the connecting member 330 rotates together with the door 10 around the first rotation shaft 321 from the intermediate open state to the closed state, and is guided to the door receiving portion 20b .

상기에서 설명된 구조 및 동작에 의하여 본체에 대하여 돌출되지 않는 함몰형 도어임에도, 의류 투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 garment input port can be realized even in the case of a recessed door that does not protrude from the main body due to the structure and operation described above.

한편, 상기에서 설명된 힌지 유닛의 구조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변형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Meanwhile, the structure of the hinge unit described above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forms. Hereinafter, these modified exampl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힌지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8a, 도 8b, 도 8c 및 도 8d는 도 7의 힌지 유닛에 의하여 도어가 개방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들이다.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inge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8A, 8B, 8C and 8D are operation diagrams showing an operation in which a door is opened by the hinge unit of FIG.

본 예시의 힌지 유닛은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힌지 유닛과 마찬가지로, 베이스부재(310), 연결부재(330), 제1회전축(321) 및 제2회전축(322)을 구비하며, 이들의 구조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내용으로 갈음한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재(310)는 장착부(311)와 돌출부(312a)를 구비하고, 연결부재(330)는 제1부재(335)와 제2부재(336)를 구비하며, 제1회전축(321)이 제1연결부(331)를 형성하고, 제2회전축(322)이 제2연결부(332)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12a)는 제1돌출부분(313)과 제2돌출부분(314a)을 구비한다. 또한,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도어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중심이 제1회전축(321)에서 제2회전축(322)으로 이동하게 된다.5, the hinge unit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ase member 310, a connecting member 330, a first rotating shaft 321 and a second rotating shaft 322, Is replaced with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base member 310 has a mounting portion 311 and a protrusion 312a, and the connecting member 330 has a first member 335 and a second member 336, 321 may form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31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322 may form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32. [ The protrusion 312a has a first protruding portion 313 and a second protruding portion 314a. Also, as the door rotates from the closed state to the open state, the rotation center moves from the first rotation axis 321 to the second rotation axis 322.

도시에 의하면, 상기 힌지 유닛은 회전 가이드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부재(335)와 제2부재(336)가 각각 바 형태로 연장되는 구조이므로 도어의 중량으로 인하여 상기 제1연결부(331)에서 큰 굽힘 모멘트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 가이드부(340)는 상기 제1연결부(331)에 대한 강도를 보강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hinge unit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guide unit 340. Since the first member 335 and the second member 336 extend in a bar shape, the connection member may have a large bending moment i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31 due to the weight of the door. Therefore, the rotation guide part 340 may be formed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331.

예를 들어, 상기 돌출부(312a), 구체적으로는 제2돌출부분(314a)에는 가이드 홈(34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돌출부분(314a)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베이스부재(310)의 돌출부(312)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제1부재(335)와 상기 제2부재(336)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상기 가이드 홈(341)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34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341)은 상기 제1회전축(321)을 중심으로 한 원호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연결부재(330)는 상기 가이드 돌기(342)가 상기 가이드 홈(341)의 단부에 위치할 때까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홈(341)이 스토퍼의 역할을 하며, 상기 연결부재(330)의 회전량을 결정하게 된다. For example, the guide groove 341 may be formed in the protrusion 312a, specifically, the second protrusion 314a. For this purpose, 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314a may have a larger area than the protruding portion 312 of the base member 31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A guide protrusion 342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341 may be disposed at a portion where the first member 335 and the second member 336 are connected. The guide groove 341 may be formed as an arc centered on the first rotation axis 321. In this case, the connecting member 330 is rotated until the guide protrusion 342 is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guide groove 341. Therefore, the guide groove 341 serves as a stopper, and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330 is determined.

이를 통하여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돌기(342)는 상기 가이드 홈(341)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1회전축(32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8A to 8D, the guide protrusion 342 rotates around the first rotation axis 321 while moving along the guide groove 341. As shown in FIG.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중간 열린 상태의 사이에서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회전 가이드부(340)에 의하여 상기 도어의 회전이 가이드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연결부(331)에 가해지는 굽힘 모멘트가 분산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본 예시에 의하면, 보다 컴팩트한 힌지 구조에서도 함몰형 도어의 개폐 신뢰도가 향상된 의류처리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en the door rotates between the open state and the intermediate open state, the rotation of the door is guided by the rotation guide part 340, and the rotation of the door is guided by the first connection part 331 The effect of dispersing the bending moment is obtained. Therefore, according to this example,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with improved opening and closing reliability of a recessed door can be realized even in a more compact hinge structure.

이상에서 설명한 의류처리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a part of each embodiment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Claims (20)

원형의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의류 투입구의 중심과 다른 위치에 중심을 가지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장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도어를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부는 하단부의 폭이 상단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 body having a circular garment inlet;
A door which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having a center at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center of the garment input port and opens and closes the garment input port, And
And a hinge unit rotatably connecting the door to the main body, the hinge unit having a mounting portion mounted on the main body,
Wherein the width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end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도어의 수평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측의 면적이 상측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is formed such that an area of a lower side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center line of the door is smaller than an area of an upper sid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일방향을 따라 폭이 변화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is formed to have a width varying along one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도어의 수평 중심선으로부터 상기 장착부의 상단까지의 길이가 상기 장착부의 하단까지의 길이보다 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is formed such that a length from a horizontal center line of the door to an upper end of the mounting portion is longer than a length to a lower end of the mount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서 상기 도어의 수평 중심선에 대하여 상하 비대칭되도록 복수의 돌출부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mounting portion to be vertically asymmetric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center line of the doo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도어의 수평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되는제1돌출부분과 하측에 배치되는 제2돌출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rotruding portion has a first protruding portion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a second protruding portion disposed on the lower sid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center line of the doo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분에 해당하는 상기 장착부의 폭은 상기 제2돌출부분에 해당하는 장착부의 폭보다 넓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width of the mount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width of the mount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제1돌출부분에서 상기 제2돌출부분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is formed so as to have a narrower width from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to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에는 상기 도어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가 장착되거나, 상기 복수의 돌출부의 단부에 상기 도어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oor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or the door is rotatably connected to an end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의 일변은 원호를 형성하고 타변은 직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forms an arc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도심 또는 무게중심이 상기 도어의 수평 중심선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is formed so that a center of gravity or a center of gravity thereof is positioned above a horizontal center line of the doo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수직방향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유닛은,
상기 장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베이스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도어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부를 구비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inge unit includes:
A base member having the mounting portion and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And a connecting member having a first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base member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doo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is movably coupled to the base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배선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inge unit is formed to receive at least a part of an electric wir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display unit to a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원형의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의류 투입구의 중심과 다른 위치에 중심을 가지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장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도어를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부는 상기 도어의 수평 중심선으로부터 상기 장착부의 상단까지의 길이가 상기 도어의 수평 중심선으로부터 상기 장착부의 하단까지의 길이보다 길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 body having a circular garment inlet;
A door which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having a center at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center of the garment input port and opens and closes the garment input port, And
And a hinge unit rotatably connecting the door to the main body, the hinge unit having a mounting portion mounted on the main body,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has a length from a horizontal center line of the door to an upper end of the mounting portion is longer than a length from a horizontal center line of the door to a lower end of the mounting portion.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하단부의 폭이 상단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width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end portion.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도어의 수평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측의 면적이 상측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is formed such that an area of a lower side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center line of the door is smaller than an area of an upper side.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일방향을 따라 폭이 변화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is formed to have a width varying along one direction.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서 상기 도어의 수평 중심선에 대하여 상하 비대칭되도록 복수의 돌출부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mounting portion to be vertically asymmetric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center line of the door.
KR1020160040456A 2015-11-02 2016-04-01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8151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460998.2A CN106012440B (en) 2015-11-02 2016-06-23 Device for clothing processing
CN201620630985.0U CN205893724U (en) 2015-11-02 2016-06-23 Clothes treatment device
EP16196298.0A EP3168359B1 (en) 2015-11-02 2016-10-28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5/339,055 US10344422B2 (en) 2015-11-02 2016-10-31 Laundry treating apparatus
AU2016350669A AU2016350669B2 (en) 2015-11-02 2016-10-31 Clothes treating apparatus
PCT/KR2016/012367 WO2017078347A1 (en) 2015-11-02 2016-10-31 Clothes treating apparatus
JP2018542084A JP7136698B2 (en) 2015-11-02 2016-10-31 clothing processing equipment
RU2018120312A RU2693869C1 (en) 2015-11-02 2016-10-31 Clothing process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49355P 2015-11-02 2015-11-02
US62/249,355 2015-11-02
KR20160001184 2016-01-05
KR1020160001184 2016-01-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148A true KR20170051148A (en) 2017-05-11
KR101815102B1 KR101815102B1 (en) 2018-01-05

Family

ID=58741892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0457A KR101815103B1 (en) 2015-11-02 2016-04-01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0160040456A KR101815102B1 (en) 2015-11-02 2016-04-01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0160040455A KR101815101B1 (en) 2015-11-02 2016-04-01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0160066813A KR102643352B1 (en) 2016-01-05 2016-05-30 Laundry treating apparatus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0457A KR101815103B1 (en) 2015-11-02 2016-04-01 Laundry treating apparatus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0455A KR101815101B1 (en) 2015-11-02 2016-04-01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0160066813A KR102643352B1 (en) 2016-01-05 2016-05-30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3) JP7136698B2 (en)
KR (4) KR101815103B1 (en)
AU (3) AU2016350668B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48100B (en) * 2019-02-15 2023-06-13 重庆海尔洗衣机有限公司 Wall-mounted washing machine
JP7329369B2 (en) * 2019-06-18 2023-08-18 シャープ株式会社 electrical equipment
CN116209803A (en) * 2020-09-23 2023-06-02 夏普株式会社 Drum type wash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42471A (en) * 1959-11-16 1962-07-03 Gen Motors Corp Flexible conduit hinge for domestic appliances
KR100260581B1 (en) * 1998-06-05 2000-07-01 심명섭 A processor cartrage and forming unit equipped therewith
KR200228519Y1 (en) * 1998-06-18 2001-09-17 윤종용 Door hinge of drum washing machine
KR200245382Y1 (en) * 2001-05-25 2001-10-29 정창덕 A custody cabinet of compact disk
US7581414B2 (en) * 2002-01-09 2009-09-01 Lg Electronics Inc. Door for washing machine and dryer and washing machine and dryer having the same
KR200281165Y1 (en) * 2002-04-12 2002-07-13 정두영 A mounting plate of a kitchen furniture hinge
JP3801167B2 (en) * 2003-11-14 2006-07-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Drum washing machine
US10001282B2 (en) * 2004-08-27 2018-06-19 Arcelik Anonim Sirketi Household appliance
DE102005015551B4 (en) * 2005-04-04 2008-08-07 Miele & Cie. Kg Front-loading laundry machine such as washing machine, tumble dryer or washer-dryer
KR100834946B1 (en) 2007-05-28 2008-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Washing machine
CN101333753B (en) * 2007-06-29 2011-09-14 海尔集团公司 Hinge device capable of opening door of washing machine in large angle
CA2610078A1 (en) * 2007-11-09 2009-05-09 Mabe Canada Inc. Clothes dryer door hinge
JP4907627B2 (en) * 2008-10-16 2012-04-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Drum washing machine
GB0902619D0 (en) * 2009-02-17 2009-04-01 Xeros Ltd Cleaning apparatus
WO2011014018A2 (en) * 2009-07-30 2011-02-03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KR101643633B1 (en) * 2009-07-30 2016-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Washing machine
KR20150006264A (en) * 2013-07-08 2015-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Drum Washing machine
KR102127719B1 (en) * 2013-07-08 2020-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Washing machine
KR102158689B1 (en) * 2013-11-04 2020-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Connector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38522B2 (en) 2021-09-22
JP2018532549A (en) 2018-11-08
AU2016350670B2 (en) 2019-10-17
JP2018532550A (en) 2018-11-08
AU2016350670A1 (en) 2018-05-24
KR102643352B1 (en) 2024-03-07
KR101815102B1 (en) 2018-01-05
KR20170051147A (en) 2017-05-11
JP6892453B2 (en) 2021-06-23
KR20170051149A (en) 2017-05-11
KR101815101B1 (en) 2018-01-05
AU2016350669B2 (en) 2019-01-31
AU2016350668A1 (en) 2018-05-17
KR20170082110A (en) 2017-07-13
AU2016350668B2 (en) 2019-04-18
KR101815103B1 (en) 2018-01-05
JP7136698B2 (en) 2022-09-13
JP2018532551A (en) 2018-11-08
AU2016350669A1 (en) 2018-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1389B2 (en) Door hinge of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0815602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111549499B (en) Washing machine
US9605372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0344422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815101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2015043800A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RU2689515C1 (en) Clothing processing device
KR100834946B1 (en)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