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0923A - Connector - Google Patents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0923A
KR20170050923A KR1020150153068A KR20150153068A KR20170050923A KR 20170050923 A KR20170050923 A KR 20170050923A KR 1020150153068 A KR1020150153068 A KR 1020150153068A KR 20150153068 A KR20150153068 A KR 20150153068A KR 20170050923 A KR20170050923 A KR 20170050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ousing
guide
hold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30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99816B1 (en
Inventor
최희락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3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816B1/en
Publication of KR20170050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09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8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04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 H01R13/5816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for cables passing through an aperture in a housing wall, the separate part being captured between cable and contour of aper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comprising: a housing (10) having an installation space formed therein; a terminal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spac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unterpart terminal; wires (W) individu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and extending rearward of the housing (10); and a rear holder (30) which is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10) and has a wire hole (33) through which the wires (W) pass, and in which a wire guide (40) for guiding the wires (W) is form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installation space from one side of the wire hole (33). Since the wire guide (40) provided in the rear holder (30) constantly guides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wires (W), a connector can be easily installed even in a small space such as the interior of a vehicle and the wires (W) can be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other parts, thereby enhancing the workability and space utilization.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Connector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미널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를 일정한 방향으로 안내하는 리어홀더가 구비된 자동차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or for a vehicle having a rear holder for guiding a wire extending from a terminal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커넥터는 신호와 전원을 부품들에 전달하거나 부품들 사이에서 전달할 수 있도록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최근에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이 개발되면서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커넥터들 중에 고전압용이 많이 채용되고 있다. 고전압용 커넥터는 내부에 설치되는 터미널 및 터미널에 연결되는 와이어가 기존의 커넥터에 사용되는 부품에 비하여 고용량으로 설계된다. Connectors are used to connect signals and power to parts or to be transmitted between parts. Recently, as electric vehicles and hybrid vehicles have been developed, many of the connectors used in automobiles are being used for high voltage. The high-voltage connector is designed to have a higher capacity than the parts used in conventional connectors, because the wires connected to terminals and terminals provided therein are provided.

이러한 고전압용 커넥터는 자동차의 내부에 설치된 후에, 커넥터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를 특정한 방향으로 연장시켜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고전압용 커넥터에 사용되는 와이어는 그 두께가 두꺼워 자동차의 내부에서 와이어를 원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Such a high-voltage connector is sometimes required to extend a wire extending from a connector in a specific direction after it is installed inside a vehicle. The wire used for the high-voltage connector has a thick thickness to guide the wire in a desired direction inside the vehicl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work.

특히, 고전압용 커넥터가 자동차의 내벽에 가까운 위치나 다른 부품과 인접하게 설치되어 커넥터의 후방에 공간이 작은 경우에는 커넥터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를 커넥터로부터 90°에 가까운 방향으로 꺾어 가이드할 필요가 있는데, 이렇게 와이어의 방향을 급격하게 꺾어 연장시키더라도 와이어가 원형으로 복원되려는 힘이 강하므로 와이어가 연장된 방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high-voltage connector is provided close to the inner wall of the automobile or adjacent to other parts of the vehicle, and the space is small at the rear of the connector, it is necessary to guide the wire extending from the connector in a direction close to 90 degrees from the connector. Even if the direction of the wire is suddenly extended, the force to restore the wire to a circular shape is strong, so that it is necessary to stably mainta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wire.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70850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7085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8785호Korean Patent No. 10-1448785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이어가 커넥터로부터 일정한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하고, 또한 안내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nable a wire to be guid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from a connector, and to maintain a guided state stably.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설치공간에 삽입되고 상대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에 각각 연결되고 하우징 후방으로 연장되는 와이어와,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와이어홀이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를 안내하기 위한 와이어가이드부가 상기 와이어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설치공간의 연장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는 리어홀더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housing having an installation space formed therein, a terminal inserted in the installation spac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ting terminal, And a wire guide coupled to the rear of the housing and through which the wire passes is formed and a wire guide for guiding the wire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wire hole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installation space And a rear holder formed therein.

상기 리어홀더는 상기 하우징의 후방 일부가 삽입되는 결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홀이 다수개 형성되는 홀더몸체와, 상기 와이어홀의 일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곡면으로 형성되는 와이어가이드를 포함한다. The rear holder includes a holder body in which a plurality of wire holes are formed and a coupling space into which a rear portion of the housing is inserted, and a wire guide extending downward from one side of the wire hole and formed into a curved surface.

상기 와이어홀의 가장자리에는 홀리브가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와이어홀 사이에는 구획리브가 돌출되되, 상기 구획리브는 상기 와이어가이드를 향한 하방으로 갈수록 돌출된 정도가 커진다. A hole rib is protruded rearward at an edge of the wire hole. A partition rib is protruded between the wire holes. The partition rib is protruded downward toward the wire guide.

상기 와이어가이드는 곡면형상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몸체와, 상기 가이드몸체의 양단에 돌출되어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측벽과, 상기 가이드몸체 또는 측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가이드를 두른 바인더의 위치를 고정하는 바인더고정부를 포함한다. The wire guide includes a guide body extending in a curved shape, a sidewall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the guide body to prevent the wir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idewall, and at least one of the guide body and the sidewall, And a binder fixing unit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binder.

상기 가이드몸체의 후면에는 상기 가이드몸체 및 상기 홀더몸체 사이를 연결하는 보강리브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And a reinforcing rib for connecting between the guide body and the holder body protrudes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guide body.

상기 와이어가이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우징 및 리어홀더의 결합방향과 90°이상의 각도를 형성하면서 연장된다. At least a part of the wire guide extends at an angle of 90 DEG or more with the joining direction of the housing and the rear holder.

상기 홀더몸체에는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결합돌부에 걸어지는 결합후크가 탄성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결합후크는 상기 결합공간 내측에 위치된다.
The holder body is provided with a coupling hook that engages with a coupling protrusion provided on the housing, and the coupling hook is located inside the coupling cavity.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서는 리어홀더에 구비된 와이어가이드가 와이어의 연장방향을 일정하게 안내하므로 차량의 내부와 같이 협소한 공간에서도 커넥터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와이어가 다른 부품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성 및 공간활용도가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ire guide provided in the rear holder constantly guides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wire, the connector can be easily installed even in a narrow space like the inside of the vehicle, and the wire can be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other parts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sex and space utilization.

특히 본 발명에서는 터미널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가 와이어가이드를 따라 터미널의 연장방향으로부터 90°이상의 각도로 절곡될 수 있어 커넥터의 후방에 여유공간이 적더라도 커넥터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절곡된 상태의 와이어는 바인더를 통해 와이어가이드에 결속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extending from the terminal can be bent at an angle of 90 degrees or more from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terminal along the wire guide, so that the connector can be easily installed even if there is less free space behind the connector. Can be held in a stably fixed state by being bound to the wire guide through the binde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일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하우징과 리어홀더가 분리된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리어홀더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리어홀더의 구성을 도 3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일실시례에 와이어를 고정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작업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ousing and a rear holder, which constitute an embodiment of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ar hold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ar hold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an angle different from that of Fig.
5 (a) and 5 (b) are working state diagrams sequentially showing a process of fixing a wire to an embodiment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understanding wh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interpre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Quot;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는 상대커넥터(미도시)와의 결합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를 통해 서로 이격된 곳에 설치된 부품 사이의 전기신호를 전달하거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upling with a mating connector (not shown), thereby transmitting electrical signals or supplying power between components disposed at distant places from each other.

도 1 및 도 2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외관 및 골격은 하우징(1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대략 육면체의 입체형상 몸체(11)를 가지고, 상기 몸체(11)의 내부에는 터미널(미도시)이 삽입되는 삽입공간(16)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간(16)은 양방향으로 개구되어 일측으로는 터미널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커넥터가 상대커넥터와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대터미널이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1 and 2, the external appearance and skeleton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by the housing 10. The housing 10 has a cuboid body 11 having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and an insertion space 16 into which a terminal (not shown)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body 11. The insertion space 16 is opened in both directions so that a terminal is inserted and fixed to one side, and a relative terminal is insert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while the connector is coupled with the counter connector.

상기 하우징(10)의 측면에는 결합돌부(15)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돌부(15)는 아래에서 설명될 리어홀더(30)의 결합후크(32)가 걸어지는 부분으로, 상기 하우징(10)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되고, 리어홀더(30)를 향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결합후크(32)가 결합돌부(15)를 자연스럽게 타고 넘을 수 있다. 물론, 상기 결합돌부(15)는 반드시 하우징(10)의 측면에 구비될 필요는 없으며, 결합후크(32)에 대응되는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A coupling protrusion 15 is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0. The coupling protrusion 15 protrudes from both sides of the housing 10 to be engaged with the coupling hook 32 of the rear holder 30 to be described below and extends in the direction toward the rear holder 30 So that the engaging hooks 32 can ride over the engaging projections 15 naturally. Of course, the coupling protrusion 15 is not necessarily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0, but may be provided at various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ok 32.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에는 걸이후크(18)가 구비된다. 상기 걸이후크(18)는 상대커넥터와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 상대커넥터의 걸이부와 걸어져 상기 커넥터와 상대커넥터 사이가 결합되도록 한다. A hooking hook (18)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 The hooking hook 18 is for engaging with the mating connector, and is hooked to the hook portion of the mating connector so that the connector and the mating connector are engaged.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는 리어홀더(30)가 결합된다. 상기 리어홀더(30)는 상기 하우징(10)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터미널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터미널은 하우징(10) 내부의 랜스에 걸어져 고정되나, 터미널에 연결된 와이어(W)에 외력이 가해져 터미널이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한 보조수단에 해당한다. A rear holder 3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10. The rear holder 30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housing 10 to prevent the terminal from being separated. The terminal is fixed to the lance inside the housing 10, but is connected to the wire W connected to the terminal It corresponds to an auxiliary means for reliably preventing an external force from being applied to the terminal 1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housing 10.

상기 리어홀더(30)는 홀더몸체(31)가 그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리어홀더(30)는 하우징(10)의 후방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하우징(10)의 후방 일부가 삽입되는 결합공간(31')이 그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홀더몸체(31)의 결합공간(31')은 상기 커넥터의 하우징(10) 후방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rear holder 30 forms an outer appearance and a skeleton of the holder body 31. The rear holder 30 is formed with an engagement space 31 'into which a rear portion of the housing 10 is inserted so as to cover a rear portion of the housing 10. The engaging space 31 'of the holder body 31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rear portion of the housing 10 of the connector.

상기 결합공간(31') 내측에는 결합후크(32)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후크(32)는 상기 하우징(10)의 결합돌부(15)에 걸어지는 것으로, 대략 외팔보형상으로 형성되어 탄성변형가능하며, 중심에는 후크홀(32')이 형성되어 그 내부에 결합돌부(15)가 삽입됨으로써 결합돌부(15)에 걸어지게 된다. 상기 결합후크(32)는 결합공간(31') 내측에 위치하므로, 외력에 의해 임의로 탈거되거나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결합후크(32)는 홀더몸체(31)에 형성된 리워크홀(36)을 통해 공구를 삽입하여 탄성변형시킬 수 있다. A coupling hook 32 is provided inside the coupling space 31 '. The coupling hook 32 is hook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15 of the housing 10 and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antilever shape and elastically deformable. The hook hole 3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oupling hook 32, (15)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projection (15). Since the coupling hook 32 is located inside the engagement space 31 ',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arbitrarily detached or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In this embodiment, the engaging hook 32 can be elastically deformed by inserting the tool through the rework hole 36 formed in the holder body 31.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홀더몸체(31)에는 와이어홀(33)이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홀(33)은 상기 터미널에 연결된 와이어(W)가 통과하는 부분으로, 터미널 및 와이어(W)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와이어홀(33)은 상기 홀더몸체(31)에 3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홀(33)을 통과한 와이어(W)는 아래에서 설명될 와이어가이드(40)를 따라 일정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As shown in FIG. 3, a wire hole 33 is formed in the holder body 31. The wire hole 33 is a portion through which the wire W connected to the terminal passes, and is form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erminals and the number of the wires W. In this embodiment, three wire holes 33 are formed on the holder body 31 at regular intervals. The wire W passing through the wire hole 33 extend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long the wire guide 40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와이어홀(33)의 가장자리에는 홀리브(34)가 돌출된다. 상기 홀리브(34)는 상기 홀더몸체(31)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와이어(W)의 연장방향을 안내함과 동시에, 와이어홀(33) 가장자리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홀리브(34)에는 연결리브(도면부호 부여 않음)가 구비되어, 홀리브(34)는 후술할 구획리브(38)와 연결리브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A hole (34) protrudes from the edge of the wire hole (33). The hole 34 protrudes from the holder body 31 and serves to guide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wire W and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edge of the wire hole 33. In this embodiment, the hole 34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rib (not shown), and the hole 34 is connected to the divided rib 38 through a connecting rib.

상기 와이어홀(33) 사이에는 구획리브(38)가 구비된다. 상기 구획리브(38)는 상기 와이어홀(33) 사이사이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와이어홀(33) 사이를 어느 정도 구획한다.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홀(33)을 통해 연장되는 다수의 와이어(W)는 상기 구획리브(38)에 의해 서로 어느 정도 이격되고, 서로 꼬이거나 겹치지 않고 각각 일정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Between the wire holes 33, a partition rib 38 is provided. The partition ribs 38 protrude between the wire holes 33 and divide the wire holes 33 to some extent.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wires W extending through the wire holes 3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partition ribs 38 and may exten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without being twisted or overlapped with each other.

상기 구획리브(38)는 하방으로 갈수록 돌출된 정도가 커지는데, 이는 상기 구획리브(38)가 와이어(W) 사이를 보다 확실하게 분리하도록 함과 동시에, 구획리브(38)가 홀더몸체(31) 및 와이어가이드(40) 사이를 연결하는 보강수단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구획리브(38)의 하단은 와이어가이드(40)의 외면에 연결된다. The partition rib 38 is protruded toward the lower side to increase the degree of protrusion so that the partition rib 38 separates the wires W more reliably and at the same time the partition rib 38 is formed in the holder body 31 And the wire guide 40. [0051] As shown in FIG. 3, the lower end of the partition rib 38 is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wire guide 40. As shown in FIG.

상기 홀더몸체(31)의 하부에는 와이어가이드(40)가 구비된다. 상기 와이어가이드(40)는 와이어홀(33)을 통과한 와이어(W)를 일정한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와이어가이드(40)는 와이어(W)를 하부, 보다 정확하게는 와이어(W)가 하우징(10) 및 리어홀더(30)의 결합방향과 90°이상의 각도를 이루도록 안내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와이어가이드(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몸체(31)의 하부로 연장되되, 연속된 곡면으로 형성되어 가장 돌출된 부분은 하우징(10) 및 리어홀더(30)의 결합방향으로부터 90°이상 꺾인 방향을 향하게 된다. A wire guide 40 is provided under the holder body 31. The wire guide 40 guides the wire W passing through the wire hole 33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guide 40 guides the wire W downward, more precisely, W are guided at an angle of 90 degrees or more with the joining direction of the housing 10 and the rear holder 30. The wire guide 40 extend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lder body 31 as shown in the figure and is formed as a continuous curved surface so that the most protruding portion extends from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housing 10 and the rear holder 30 to 90 ° direction.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와이어가이드(40)의 외면에 와이어(W)가 밀착되어 안내되면 와이어(W)는 하우징(10)의 후방으로 연장되지 않고 하우징(10)의 하부를 향해 연장되므로, 하우징(10)의 후방에 여유공간이 적거나 다른 부품이 존재하는 경우에 이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와이어(W)를 임의로 고정할 필요 없이 와이어가이드(40)를 이용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와이어(W)를 고정할 수 있다. 1, when the wire W is closely adher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wire guide 40, the wire W does not extend to the rear of the housing 10 but extends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0, It is possible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housing 10 when there is less free space behind the housing 10 or when other parts are present. Further, the worker can fix the wire W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by using the wire guide 40 without arbitrarily fixing the wire (W).

도 3 및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와이어가이드(40)는 곡면형상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몸체(41)가 그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몸체(41)는 홀더몸체(31)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고, 그 양측에는 와이어(W)의 이탈을 방지하는 측벽(45)이 돌출되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와이어(W)는 가이드몸체(41) 및 측벽(45)에 의해 둘러싸인 내측공간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wire guide 40 has a skeleton of a guide body 41 extending in a curved shape. The guide body 41 extends from the lower end of the holder body 31 and has side walls 45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guide body 41 to prevent the wire W from coming off. The wire W is moved along the inner space surrounded by the guide body 41 and the side wall 45. [

상기 와이어가이드(40)의 하부에는 연장부(43)가 구비된다. 상기 연장부(43)는 와이어(W)가 최종적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부분으로, 상기 가이드몸체(41)로부터 연장되며, 가이드몸체(41)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43)는 상기 가이드몸체(41)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상기 연장부(43)는 상기 하우징(10) 및 리어홀더(30)의 결합방향과 90°이상의 각도를 형성하면서 연장된다. The wire guide 40 has an extension 43 at a lower portion thereof. The extension portion 43 is a portion for setting a direction in which the wire W is finally extended and extends from the guide body 41 an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guide body 41. The extended portion 43 may be viewed as a part of the guide body 41. The extending portion 43 extends at an angle of 90 degrees or more with the joining direction of the housing 10 and the rear holder 30.

상기 가이드몸체(41) 또는 측벽(4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바인더고정부(44,44')가 구비된다. 상기 바인더고정부(44,44')는 상기 와이어(W) 및 상기 와이어가이드(40)를 두른 바인더(10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는 바인더돌부(44) 사이에 상대적으로 요입되어 형성되는 바인더안착홈(44')으로 구성된다. 도 3 및 도 4에서 보듯이, 본 실시례에서 상기 바인더고정부(44,44')는 양측벽(45)과 가이드몸체(41)의 저면에 각각 구비된다. 참고로 상기 바인더(100)는 케이블타이와 같이 플렉시블한 재질로 된 끈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바인더(100)는 와이어(W)와 와이어가이드(40)를 감싼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와이어(W)를 와이어가이드(40)에 결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At least one of the guide body 41 and the side wall 45 is provided with binder fixing portions 44 and 44 '. The binder fixing portions 44 and 44 'fix the position of the wire W and the binder 100 covering the wire guide 40. In this embodiment, the binder fixing portions 44 and 44' And a binder receiving groove 44 'formed by being recessed. 3 and 4, in this embodiment, the binder fixing portions 44 and 44 'ar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s of the side walls 45 and the guide body 41, respectively. The binder 100 may be in the form of a string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a cable tie and the binder 100 may be fixed in a state wrapped around the wire W and the wire guide 40, To the wire guide (40). Such a state is shown in Fig.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가이드몸체(41)의 후면에는 상기 가이드몸체(41) 및 상기 홀더몸체(31) 사이를 연결하는 보강리브(41')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보강리브(41')는 길게 연장되는 와이어가이드(4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그 양단이 각각 홀더몸체(31)의 하부와 연장부(43)에 연결된다. As shown in FIG. 4, a reinforcing rib 41 'for connecting between the guide body 41 and the holder body 31 is protrude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guide body 41. The reinforcing rib 41 'is for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elongated wire guide 40. In this embodiment, the reinforcing rib 41' is formed as a pair, and both ends thereof ar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lder body 31 and the extending portion 43 .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설치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installation process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커넥터의 하우징(10) 내부에 터미널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터미널에는 와이어(W)가 연결된 상태이고, 각각의 터미널이 하우징(10)의 삽입공간(16)에 삽입되어 내부의 랜스에 걸어져 고정된다. 터미널이 하우징(10)의 삽입공간(16)에 고정되면, 상기 터미널에 연결된 와이어(W)는 하우징(10)의 후방으로 길게 연장된 상태가 된다. First, a terminal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0 of the connector. At this time, a wire W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and each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16 of the housing 10 and fixed to the inner lance. When the terminal is fixed to the insertion space 16 of the housing 10, the wire W connected to the terminal is extended to the rear of the housing 10.

이어서 상기 하우징(10)에는 리어홀더(30)가 결합된다. 상기 리어홀더(30)는 상기 하우징(10)의 후방에 결합되는데, 먼저 상기 리어홀더(30)의 와이어홀(33)에 와이어(W)를 통과시켜야 한다. 그리고 리어홀더(30)를 하우징(10) 방향으로 밀어넣으면 상기 리어홀더(30)의 결합후크(32)가 탄성변형되면서 하우징(10)의 결합돌부(15)를 타고 넘은 후에 결합돌부(15)에 걸어져 리어홀더(30)와 하우징(10)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어홀더(30)는 하우징(10)에 결합되어 상기 터미널이 외력에 의해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Then, the rear holder 30 is coupled to the housing 10. The rear holder 30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housing 10. The wire W is first passed through the wire hole 33 of the rear holder 30. When the rear holder 30 is pushed in the direction of the housing 10, the coupling hook 32 of the rear holder 30 is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15 of the rear holder 30 rides over the coupling protrusion 15 of the housing 10, The rear holder 30 and the housing 10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The rear holder 30 is coupled to the housing 10 to more reliably prevent the terminal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ousing 10 by an external force.

상기 하우징(10)에 리어홀더(30)가 결합되면, 상기 터미널의 와이어(W)는 외력이 없을 경우 중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처지게 되는데, 각각의 와이어(W)는 리어홀더(30)의 구획리브(38)에 의해 자연스럽게 이격되므로 서로 엉키거나 중첩되지 않고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5(a)에 도시되어 있다. When the rear holder 30 is coupled to the housing 10, the wire W of the terminal is sagged downward due to gravity when there is no external force. Each wire W is divided into a section of the rear holder 30 They are naturally spaced apart by the ribs 38 and can be extended without tangling or overlapping each other. Such a state is shown in Fig. 5 (a).

그리고 와이어들(W1~W3)은 리어홀더(30)에 구비된 와이어가이드(40)를 따라 안내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각각의 와이어(W)가 와이어가이드(40)의 가이드몸체(41)와 측벽(45)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와이어(W)를 와이어가이드(40) 외면방향으로 밀착시키면, 와이어(W)는 와이어가이드(40)의 외면을 따라 안내되어 하우징(10) 및 리어홀더(30)의 결합방향과 90°이상의 각도를 이루면서 연장된다. The wires W1 to W3 may be guided along a wire guide 40 provided in the rear holder 30. [ More precisely, the wire W is closely contacted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wire guide 40 in a state in which each wire W is se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guide body 41 and the side wall 45 of the wire guide 40 The wire W is guid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wire guide 40 and extends at an angle of 90 degrees or more with respect to the joining direction of the housing 10 and the rear holder 30.

이때, 작업자가 와이어(W)를 와이어가이드(40) 방향으로 밀착시킨 힘을 제거하면 와이어(W)는 와이어가이드(40) 외면으로부터 다시 멀어지게 되므로, 와이어(W)가 와이어가이드(4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바인더(100)가 와이어(W) 및 와이어가이드(40)를 감싸게 된다. 바인더(100)가 와이어(W) 및 와이어가이드(40)를 동시에 감싸게 되면 와이어(W)는 와이어가이드(40)에 결속된다. 이때, 바인더(100)는 바인더고정부(44,44')에 걸어져 정확한 위치를 유지하면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worker removes the force of the wire W in the direction of the wire guide 40, the wire W is moved awa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wire guide 40, It is necessary to maintain a close contact state. For this purpose, the binder 100 wraps the wire W and the wire guide 40. When the binder 100 simultaneously wraps the wire W and the wire guide 40, the wire W is bound to the wire guide 40. At this time, the binder 100 may be fixed to the binder fixing portions 44 and 44 'while maintaining an accurate position. Such a state is shown in Fig. 5 (b).

이와 같이 와이어(W)가 와이어가이드(40)를 통해 일정한 방향으로 연장되면, 와이어(W)가 다른 부품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차량의 내부와 같이 협소한 공간에서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When the wire W is extend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rough the wire guide 4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ire W from interfering with other parts, and the work can be easily performed in a narrow space like the inside of the vehicle have.

또한, 차량의 내부 등 커넥터의 설치장소에서 와이어(W)가 고정되지 않고 이동하게 되면 주변의 부품과 간섭되거나 외력을 받기 쉬운데, 본 발명에서는 와이어(W)가 와이어가이드(4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보다 안정적인 사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W is fixed to the wire guide 40 when the wire W is not fixed in the installation place of the connector, such as the inside of the vehicle, A more stable use state can be maintained.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one or more of them. Furthermore, the terms "comprises", "comprising",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상기한 실시례에서는 바인더고정부(44,44')가 와이어가이드(40)에 구비되어 있으나, 바인더고정부(44,44') 없이 바인더(100)가 와이어가이드(40)의 어느 특정한 위치에 임의로 고정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binder fixing portions 44 and 44 'are provided in the wire guide 40, but the binder 100 without the binder fixing portions 44 and 44' And may be arbitrarily fixed to any specific position.

그리고, 상기 와이어가이드(40)가 연장되는 방향은 반드시 하우징(10)의 하부로 연장될 필요는 없으며, 하우징(10)의 상부나 측면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또한 와이어가이드(40)가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하우징(10) 및 리어홀더(30)의 결합방향과 90°를 이루거나, 90°이상의 다양한 각도로 설정될 수도 있다.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re guide 40 extends does not necessarily exten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0 but may extend in the upper or later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 Further,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re guide 40 extends may be 90 [deg.] Or 90 [deg.]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using 10 and the rear holder 30 are joined.

10: 하우징 15: 결합돌부
30: 리어홀더 31: 홀더몸체
33: 와이어홀 34: 홀리브
38: 구획리브 40: 와이어가이드
41: 가이드몸체 43: 연장부
45: 측벽 100: 바인더
W: 와이어
10: housing 15:
30: rear holder 31: holder body
33: Wire hole 34: Holive
38: compartment rib 40: wire guide
41: guide body 43: extension part
45: side wall 100: binder
W: Wire

Claims (7)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설치공간에 삽입되고 상대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에 각각 연결되고 하우징 후방으로 연장되는 와이어와,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와이어홀이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를 안내하기 위한 와이어가이드부가 상기 와이어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설치공간의 연장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는 리어홀더를 포함하는 커넥터.
A housing in which an installation space is formed,
A terminal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spac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ting terminal,
A wire connected to the terminal and extending rearward of the housing,
A rear holder coupled to the rear of the housing and having a wire hole through which the wire passes, and a wire guide for guiding the wire is form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a direction in which the installation space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wire ho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홀더는
상기 하우징의 후방 일부가 삽입되는 결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홀이 다수개 형성되는 홀더몸체와,
상기 와이어홀의 일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곡면으로 형성되는 와이어가이드를 포함하는 커넥터.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ar holder
A holder body in which a plurality of wire holes are formed and a coupling space into which a rear portion of the housing is inserted is formed,
And a wire guide extending downward from one side of the wire hole and being formed into a curved surfa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홀의 가장자리에는 홀리브가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와이어홀 사이에는 구획리브가 돌출되되, 상기 구획리브는 상기 와이어가이드를 향한 하방으로 갈수록 돌출된 정도가 커지는 커넥터.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 hole rib protrudes rearward at an edge of the wire hole, and a partition rib protrudes between the wire holes, wherein the partition rib is protruded downward toward the wire guid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가이드는
곡면형상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몸체와,
상기 가이드몸체의 양단에 돌출되어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측벽과,
상기 가이드몸체 또는 측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가이드를 두른 바인더의 위치를 고정하는 바인더고정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wire guide
A guide body extending in a curved shape,
A side wall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the guide body to prevent the wire from coming off,
And a binder fixing unit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guide body and the side wall for fixing the positions of the wires and the binder including the wire guide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몸체의 후면에는 상기 가이드몸체 및 상기 홀더몸체 사이를 연결하는 보강리브가 돌출되어 구비되는 커넥터.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 reinforcing rib is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guide body, the reinforcing rib connecting the guide body and the holder bod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가이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우징 및 리어홀더의 결합방향과 90°이상의 각도를 형성하면서 연장되는 커넥터.
3.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wire guide extends at an angle of 90 DEG or more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engagement of the housing and the rear holder.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몸체에는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결합돌부에 걸어지는 결합후크가 탄성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결합후크는 상기 결합공간 내측에 위치하는 커넥터.The connec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6, wherein the holder body is provided with a coupling hook that engages with a coupling protrusion provided on the housing, the coupling hook being elastically deformable, .
KR1020150153068A 2015-11-02 2015-11-02 Connector KR1024998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068A KR102499816B1 (en) 2015-11-02 2015-11-02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068A KR102499816B1 (en) 2015-11-02 2015-11-02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923A true KR20170050923A (en) 2017-05-11
KR102499816B1 KR102499816B1 (en) 2023-02-15

Family

ID=58742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068A KR102499816B1 (en) 2015-11-02 2015-11-02 Conn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9816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2680U (en) * 1989-02-01 1990-08-15
JP2002352901A (en) * 2001-05-23 2002-12-06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Connector
JP2007172877A (en) * 2005-12-19 2007-07-05 Tyco Electronics Amp Kk Waterproof connector
KR20100070850A (en) 2008-12-18 2010-06-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Wire waterproof seal and connector using the same
KR101448785B1 (en) 2013-06-03 2014-10-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Connector having rear hold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2680U (en) * 1989-02-01 1990-08-15
JP2002352901A (en) * 2001-05-23 2002-12-06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Connector
JP2007172877A (en) * 2005-12-19 2007-07-05 Tyco Electronics Amp Kk Waterproof connector
KR20100070850A (en) 2008-12-18 2010-06-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Wire waterproof seal and connector using the same
KR101448785B1 (en) 2013-06-03 2014-10-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Connector having rear hol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9816B1 (en) 2023-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90531B (en) Cable guide device, wiring device, airbag module, steering wheel, and vehicle
US8835760B2 (en) Electric junction box
CN103259107B (en) Connector
US9592775B2 (en) Wiring harness protector fixing structure
JP2014053091A (en) Power incoming side connector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KR101637721B1 (en) Housing and connector for door using the same
US9899775B2 (en) Connector insert and connector for data transmission in automobiles
CN104124581A (en) Connector and wire harness
EP2775581B1 (en) Cable branching structure
US20200021054A1 (en) Terminal unit and connector
US20200303865A1 (en) Connector
JP2016219249A (en) connector
US20190161034A1 (en) Guide end of cable guide, cable guide, and wire harness
WO2017090683A1 (en) Shield connector and shielded cable with connector
JP2004327100A (en) Shield connection structure
US9231338B2 (en) Variable wire strain relief connector
JP2017123746A (en) Protector and wire harness including the same
US9525237B2 (en) Connector
JP6011510B2 (en) Connectors and wire harnesses
US11804677B2 (en) Electrical terminal module and connector with improved shielding features
JP2004319196A (en) Shield connection structure
US10910753B2 (en) Connector
KR20170050923A (en) Connector
JP2017208251A (en) Shield connector
KR102499819B1 (en)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