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0361A -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동적 구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동적 구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0361A
KR20170050361A KR1020150151813A KR20150151813A KR20170050361A KR 20170050361 A KR20170050361 A KR 20170050361A KR 1020150151813 A KR1020150151813 A KR 1020150151813A KR 20150151813 A KR20150151813 A KR 20150151813A KR 20170050361 A KR20170050361 A KR 20170050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cloud
network
base statio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1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3273B1 (ko
Inventor
최창순
나민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1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273B1/ko
Publication of KR20170050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0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06Configuration setting for initial configuration or provisioning, e.g. plug-and-play
    • H04L41/0809Plug-and-play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76Aspects of the degree of configuration auto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05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 H04L43/0817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by checking func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52D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50Tes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있어서, DU와 RU를 연결하는 프론트홀 망의 성능에 따라서 DU와 RU의 기능을 동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동적 구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DU 클라우드가, 프론트홀 망을 통한 RU의 연결을 확인하여, 상기 RU의 연결이 확인되면, 상기 RU의 구성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구현될 기지국 기능 중 상기 RU에 구현되지 않은 잔여 기지국 기능을 인지한 후, 인지된 잔여 기지국 기능을 상기 DU 클라우드에 자동으로 구현하도록 구현된다.

Description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동적 구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ally configuring Cloud-RAN}
본 발명은 기지국의 기능을 DU 클라우드(Digital Unit)와 RU(Radio Unit)로 분리하고 DU를 집중화시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DU와 RU를 연결하는 프론트홀 망의 성능에 따라서 DU와 RU의 기능을 동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동적 구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단말이 고성능화되어 멀티미디어 처리기능이 향상되면서, 이동통신단말 상에서 즐길 수 있는 비디오, 음악, 사진 등의 컨텐츠도 점점 더 대용량화해가고 있다. 이로 인해 이동통신사업자의 망에서 데이터 트래픽은 폭증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 더욱 심화되어 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폭증하는 데이터 트래픽에 대응하여 망 용량을 늘리기 위해서, 이동통신망의 셀 사이즈가 점점 작아지고 셀 사이트의 수는 증가하면서, 이로 인해 수많아진 셀사이트들에 대한 구축 및 운용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의 구조로서, C-RAN이 제안되었다.
C-RAN은 기존에 하나의 셀 사이트에 있던 기지국의 기능 중, 데이터 처리부(DU: Digital Unit)과 무선신호 처리부(RU: Radio Unit)을 분리하고, 분리된 다수 셀 사이트의 DU들은 모아서 집중화시키고, 셀 사이트에는 실제 무선 신호가 송수신되는 RU 및 안테나만을 배치한다. 이때, 서로 떨어져 다른 장소에 설치되는 DU와 RU간은 광케이블을 통해서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C-RAN 구조에서, RU는 옥외형 장비로 개발되는 매우 단단하고 단순한 장비이기 때문에, RU와 안테나를 설치할 공간만 임차하면 되므로 기지국 구축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전원 소모량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렇게, DU와 RU가 분리됨에 따라서, 이들 간에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규격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현재에는 CPRI(Common Public Radio Interface), OBSAI(Open Baseband Remote Radiohead Interface) 등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 수백 MHz 이상의 광대역 특성 및 Massive MIMO, Multi-RAT 등이 적용되는 5G의 등장과 함께, DU와 RU를 연결하는 프론트홀(Fronthaul) 망이 이슈화되고 있다.
CPRI의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LTE 망에서는 RU에 안테나가 2개 사용되고(2T2R), LTE 대역폭이 20MHz이므로, DU와 RU 간의 CPRI 용량은 2.45Gbps가 요구되는 반면, Massive MIMO 기반의 5G의 경우, 대역폭이 20MHz이고 16개의 안테나를 사용할 때, DU와 하나의 RU 간에는 19.66Gbps의 용량이 필요하다. 더하여, 상기 5G에서 광대역을 사용하는 경우, 대역폭이 20MHz가 아닌 100MHz, 400MHz 등으로 확대되므로, 결국 RU당 수십에서 수백 Gbps의 용량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5G의 개발과 함께, DU와 RU 간을 연결하는 프론트홀 망의 용량 및 지연 시간의 요구 조건을 줄이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93554호, 2014년 07월 28일 공개 (명칭: 분산 안테나 구조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부하 분산 제어 시스템 및 부하 분산 방법)
본 발명은 기지국의 DU와 RU를 분리하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있어서, DU와 RU를 연결하는 프론트홀 망의 성능에 따라서 DU와 RU의 기능을 동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동적 구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DU 클라우드와 다수의 RU가 프론트홀 망을 통해 연결되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동적 구성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DU 클라우드가, 상기 RU의 연결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RU의 연결이 확인되면, 상기 RU의 구성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RU의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구현될 기지국 기능 중 상기 RU에 구현되지 않은 잔여 기지국 기능을 인지하는 단계; 상기 잔여 기지국 기능을 상기 DU 클라우드에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동적 구성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 기능은 RF 신호 처리 기능, Physical layer 기능, Medium Access Control 기능, Radio Link Control 기능,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기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RF 신호 처리 기능, OSI의 7계층 중 제1 계층(물리계층) 기능, 제2 계층(데이터 링크 계층) 기능, 제3 계층(네트워크 계층) 기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동적 구성을 위한 방법은 상기 DU 클라우드가 상기 잔여 기지국 기능의 구현 후, 상기 RU와의 동기화 및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동적 구성을 위한 방법은, 상기 RU의 연결을 확인하기 전에, 상기 프론트홀 망의 성능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론트홀 망의 성능에 따라서, 상기 프론트홀 망에 연결될 RU에 구성될 기지국 기능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DU 클라우드와 다수의 RU가 프론트홀 망을 통해 연결되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홀 망에 RU(Radio Unit)의 연결을 확인하여, 상기 RU의 구성 정보를 수집하는 RU 구성 정보 수집 모듈; 상기 RU의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구현될 기지국 기능 중 상기 RU에 구현되지 않은 잔여 기지국 기능을 인지하여 DU를 구현하는 가상화 모듈을 포함하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동적 구성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가상화 모듈은 상기 잔여 기지국 기능의 구현 후, 상기 RU와의 동기화 및 테스트를 더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동적 구성을 위한 장치는, 상기 프론트홀 망의 성능을 확인하여, 상기 프론트홀 망의 성능에 따라서, 상기 프론트홀 망에 연결될 RU에 구성될 기지국 기능을 선택하여 제공하는 RU 구성 정보 선택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구현하기 위해 기지국 기능을 DU 클라우드와 RU에 분리하여 구현하는데 있어서, RU의 연결 시, 상기 RU에 구성된 기지국 기능을 확인하여, 그 나머지 기지국 기능을 DU 클라우드에 자동으로 구현함으로써 플러그앤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프론트홀 망의 용량 및 지연시간을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동작하기 위해 RU에 필요한 최소한 기지국 기능을 추천함으로써, 프론트홀 망에 따른 효율적인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2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요구되는 기지국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동적 구성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서 동적으로 구성되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다양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DU 클라우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동적 구성을 위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더하여,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할 경우, 이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구조를 가지거나 전달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의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PROM, CD-ROM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장치, 또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된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하거나 전달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와 같은 물리적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RAN)에 있어서, 분리된 DU와 RU의 기능을 동적으로 구성에 관한 것으로서, 이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먼저,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기본 구조를 설명한다.
도 1은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RU(100)와, DU 클라우드(200)와, 프론트홀 망(300)로 구성된다.
상기 RU(100)은 셀 사이트 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셀 사이트 내에 위치한 이동통신단말(20)과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기본적으로 상기 이동통신단말(20)과의 무선 신호 송수신 및 송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필터링, 증폭,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등의 RF 신호 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이렇게 셀 사이트 내에 설치된 다수의 RU(100)는 프론트홀 망(300)을 통해서 원격지에 위치한 DU 클라우드(200)로 연결되어, 상기 RF 신호 처리되는 디지털 신호를 상기 프론트홀 망(300)을 통해서 DU 클라우드(200)와 교환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RU(100)는, 상술한 RF 신호 처리 기능 이외에, L1/L2/L3 계층에 대응하는 다른 기지국 기능을 하나 이상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RU(100)는 RF 신호 처리 후에, 디지털 데이터를 L1/L2/L3에 계층에 따른 처리를 더 수행하여, L1/L2/L3 계층의 데이터를 상기 프론트홀 망(300)을 통해 DU 클라우드(100)와 교환하게 된다.
상기 DU 클라우드(200)는 프론트홀 망(300)을 통해 다수의 RU(100)와 연결되고, 백홀망(400)을 통해서 이동통신시스템의 코어망(500)에 연결되어, 상기 RU(100)에 접속된 이동통신단말(20)과 상기 코어망(500) 간의 데이터 트래픽을 기 정의된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어, L1/L2/L3)에 따라서 처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코어망(500)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시그널링 제어, 데이터 트래픽 라우팅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예를 들어, LTE에 정의된 EPC(Evolved Packet Core)가 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홀 망(300)은, 다수의 RU(100)와 DU 클라우드(200) 간에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전송 네트워크로서, 광섬유 혹은 마이크로웨이브를 기반으로 스타, 트리, 체인, 링 등 다양한 구조로 구축될 수 있으며, 통신 인터페이스로서 CPRI(Common Public Radio Interface), OBSAI(Open Baseband Remote Radiohead Interface) 등이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DU 클라우드(200)와 프론트홀 망(300) 사이의 연결은, 집중화 방식 혹은 분배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론트홀 망(300)은, RU(100)에 의해 이동통신단말 간에 송수신 되어야 할 사용자 데이터뿐만 아니라, 전송 제어 및 관리를 위한 데이터, 동기정보 등을 전송한다.
이러한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RU(100)와 DU 클라우드(200)의 연동을 통해서, 기존의 기지국 장치(예를 들어, eNB)에서 수행되던 기지국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2는 상기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처리하는 기지국 기능을 통신 프로토콜 스택 구조에 기반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서 처리될 기지국 기능은,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7 계층 모델을 기준으로 할 때, RF 신호 처리 기능, 제1 계층(물리계층) 기능, 제2 계층(데이터 링크 계층) 기능, 제3계층(네트워크 계층)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 기능은, 이동통신표준(예를 들어, LTE)을 기준으로 할 때, RF 신호 처리 기능, Physical 계층(PHY) 기능, Medium Access Control(MAC) 계층 기능, Radio Link Control(RLC) 계층 기능,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PDCP) 계층 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통신 표준의 PHY 계층은 OSI의 제1 계층에 대응되고, 이동통신표준의 MAC 계층 및 RLC 계층이 OSI의 제2 계층에 대응되며, 이동통신표준의 PDCP 계층은 OSI 제3 계층에 대응된다.
각 기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RF 신호 처리 기능에서는, RF 신호의 송수신, 필터링, 증폭,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등의 RF 신호에 대한 처리가 이루어진다.
기지국 기능 중 PHY 계층 기능은, RF 신호 처리 기능에서 처리되거나 처리되어야 할 비트 스트림의 변복조, 데이터 프레임 처리를 수행하며, MAC 계층 기능은, ARQ(Automatic Repeat-reQuest), 논리적 채널 매핑 등을 수행하여, 무선 자원을 이동통신단말에 할당하고, 무선 베이러별로 협상될 QoS를 보장받을 수 있도록 QoS 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PHY 계층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무선 베어러들을 다중화한다.
이어서, RLC 계층 기능은 ARQ 적용 여부 판단, Segmentation, 순차 전송(In-order deliver) 등을 수행하여, PDCP에서 수신한 패킷을 무선 링크를 통해 전송하기 위하여 분할하거나 무선링크를 통해 수신한 패킷을 재결합하며, 패킷의 re-ordering 및 재전송을 처리한다.
PDCP 계층은, IP 패킷이 무선링크를 통하여 효율적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헤더 압축, AS 보안(ciphering 및 integrity protection)을 수행하고 핸드오버 동안 패킷 re-ordering 및 재전송을 처리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술한 기지국 기능들은, 프론트홀 망(300)의 성능에 따라서 동적으로, RU(100)와 DU 클라우드(200)에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U(100)에서는 RF 신호 처리 기능만을 수행하고, DU 클라우드(200)에서는, L1(PHY), L2(MAC, RLC), L3(PDCP)등의 모든 프로세싱을 수행하거나, RU(100)에서, RF 신호 처리 기능 및 L1(PHY)의 프로세싱을 수행하고, DU 클라우드(200)에서 나머지 L2(MAC, RLC), L3(PDCP)의 기능을 수행할 수 도 있다.
또한, RU(100)에서 RF 처리 기능과 함께 L1(PHY)의 전처리(Pre-Processing)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전처리는 FFT/IFFT, PRACH 필터 등과 같은 L1(PHY) 기능 중 일부 프로세싱이다.
이렇게 RU(100)와 DU 클라우드(200)에 분배된 기능에 따라서, 상기 RU(100)와 DU 클라우드(200) 간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사이즈가 달라지므로, 상기 프론트홀 망(300)에 요구되는 성능(용량 및 지연시간)이 달라진다.
구체적으로, RU(100)의 기능을 단순화시킬 수 록 프론트홀 망(300)에 요구되는 전송 용량이 커지고 지연시간은 작아지는 반면, RU(100)에 더 많은 기능이 할당될 수 록 프론트홀 망(300)에 요구되는 전송 용량은 작아지고, 지연시간은 높아진다.
따라서, 프론트홀 망(300)의 성능에 따라서 RU(100)와 DU 클라우드(200)에 적절하게 기능을 분배하여 구현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프론트홀 망(300)의 성능에 따라서 RU(100)와 DU 클라우드(200)의 기능을 동적으로 할당하여 구성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그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동적 구성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하는 도 3의 순서도에 도시된 단계들은,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구성 중 DU 클라우드(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동적 구성을 위해서, 본 발명은 RU(100)와 DU 클라우드(200)를 연결하는 프론트홀 망(300)의 성능을 확인한다(S110). 이때 프론트홀 망(200)의 성능은 상기 프론트홀 망(300)에서 전송 가능한 용량(Capacity) 및 지연시간(Latency)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홀 망(300)의 용량 및 지연시간은 프론트홀 망(300)을 구성하는 광케이블의 파장 및 거리 등에 따라서 달라진다.
본 발명은, 상기 확인된 프론트홀 망(300)의 성능에 따라서,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한 RU(100)의 구성, 즉, RU(100)에 구현될 기지국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S120). 이는, RU(100)에 구현되는 기지국 기능과 상기 프론트홀 망(300)의 용량 및 지연 시간 간의 기 정의된 관계를 기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RU(100) 측에 구현되는 기지국 기능이 많아질 수 록 프론트홀 망(300)에 요구되는 용량이 적어지고 지연시간은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RU(100) 측에 구현되는 기지국 기능이 최소화될 경우, 유연한 자원 관리가 가능하고 DU클라우드(200)를 통한 다양한 기능 구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프론트홀 망(300)의 용량 및 지연시간에 따라서 RU(100) 측에 구현되는 기지국 기능을 선택하되, 가능한 최소한의 기지국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기 S120단계에서는 확인된 프론트홀 망(300)의 성능(용량 및 지연시간)으로 지원 가능한 구조 중에서, RU(100)의 기지국 성능이 가장 적은 구조로 RU(100)와 DU 클라우드(200)의 분리 구조를 선택한다.
상기 선택된 RU(100)에 대한 기지국 기능은, 이동통신망의 관리자에게 제공되어, 상기 관리자가 이를 참조하여 RU(100)를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동적 구성을 위해서, 상기 프론트홀 망(300)을 통한 임의 RU(100)의 연결을 확인한다(S130). 이는 DU 클라우드(200)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RU(100)의 연결이 확인되면, 상기 RU(100)로부터 상기 RU(100)에 설치된 기지국 기능을 나타내는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S140). 구체적으로, 상기 DU 클라우드(200)가 RU(100)로 파일롯 신호를 전송하고, 그에 따른 응답을 통해 상기 구성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구성 정보는 구체적으로, RU(100)에 구현된 기지국 기능, 및 이에 따른 인터페이스 타입을 포함한다. 참고로, 인터페이스 타입은, 상기 RU(100)에 구성된 최종 프로토콜 계층에 기반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RU(100)에 RF 신호 처리 기능 및 PHY 계층 기능이 구비된 경우, MAC-PHY 간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는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정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분리 구조를 복수개 설정하고, 그 각각의 분리 구조에 대해 순차적으로 설정된 레벨 정보로 이루어질 수 도 있다. 아울러, 상기 구성 정보의 수신은 RU(100)의 연결을 확인한 DU 클라우드(2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서 RU(100)에서 구성 정보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RU(100)의 구성 정보가 확인되면, DU 클라우드(200)는 상기 확인된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RU(100)에 구비되어 있는 기지국 기능을 인지한다(S150). 이에 따라서, 상기 DU 클라우드(200)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구현될 기지국 기능 중 상기 RU(100)에 구현되지 않은 잔여 기지국 기능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과 같은 기지국 기능 중에서 RU(100)에 설치되어 있는 기지국 기능이 어느 계층까지인지를 확인한 후, RU(100)에 설치되지 않은 잔여 기지국 기능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후, 상기 잔여 기지국 기능을 상기 DU 클라우드(200)에 구현한다(S160). 이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예를 들어, SaaS(Software as a service)를 통해서 실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DU 클라우드(200) 내에 도 2에 도시된 기지국 기능들이 각각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자원으로 구현되고, 이후 상기 DU 클라우드(200)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통해서 잔여 기지국 기능 등에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자원들을 조합하여 연결 RU(100)에 대응하는 DU을 구성한다. 특히, 상기 잔여 기지국 기능의 구현은 가상화 기술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서 동적으로 구성되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다양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RU(100)에 RF 신호 처리 계층 및 L1 및 L2 계층에 속하는 PHY 계층 기능, MAC 계층 기능 및 RLC 계층 기능을 구비하고, DU 클라우드(200)에 L3 계층에 속하는 PDCP 계층 기능만을 구현하거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RU(100)에 RF 신호 처리 계층, L1 계층에 속하는 PHY 계층 기능 및 L2 계층에 속하는 MAC 계층 기능을 구비하고, DU 클라우드(200)에 L2 계층의 나머지 기능인 RLC 계층 기능 및 L3 계층에 속하는 PDCP 계층 기능을 구비하거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RU(100)에 RF 신호 처리 계층 및 L1 계층에 속하는 PHY 계층 기능을 구비하고, DU 클라우드(200)에는 L2 계층의 MAC 계층 기능 및 RLC 계층 기능과 L3 계층에 속하는 PDCP 계층 기능을 구비하거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L1 계층에 속하는 PHY 계층 기능을 두 부분으로 분리하여, PHY 계층 기능의 전처리부분과 RF 신호 처리 계층을 RU(100)에 구비하고, PHY 계층 기능의 후처리부분과 L2,L3 계층에 속하는 MAC 계층 기능, RLC 계층 기능 및 PDCP 계층 기능을 DU 클라우드(200)에 구비하거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 신호 처리 기능만을 분리하여 RU(100)에 구비하고, 나머지 L1/L2/L3 계층에 속하는 PHY, MAC, RLC, 및 PDCP 계층 기능들은 DU 클라우드(200)에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예시된 구조 각각에 요구되는 프론트홀 망(300)의 용량 및 지연시간은 (a)<(b)<(c)<(d)<(e) 순서로 커지며, 각각에서 지원되는 cell 간 코디네이션 레벨도 (a)<(b)<(c)<(d)<(e) 순서로 높아진다. 반면에, RU(100)의 구조는 (a)>(b)>(c)>(d)>(e) 순서로 단순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프론트홀 망(300)의 성능을 확인한 후, 도 4에 도시된 (a) 내지 (e) 중 어느 하나에 도시된, RU(100)의 구성을 선택하고, 이렇게 하나 이상의 기지국 기능이 구성된 RU(100)가 프론트홀 망(300)에 연결되면, DU 클라우드(200)가 DU 측 구성을 자동으로 구성하여, 도 4에 도시된 (a) 내지 (e)의 구조 중 대응하는 구조를 구현하게 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서, DU 클라우드(200)에 상기 RU(100)에 대응하는 DU가 상기 확인된 잔여 기지국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되면, 이후 RU(100)와의 동기화 및 테스트를 더 수행할 수 있다(S170). 여기서 RU(100)는 DU 클라우드(200)와 주파수/시간 동기화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통상 수십 Km 이격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프론트홀 망(300)을 통한 통신 구간에서 디지털 신호의 시간 또는 위상이 틀어지는 지터(Jitter)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RU(100)와 DU 클라우드(200) 간의 주파수/시간 동기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RU(100)는 DU 클라우드(200)로부터 전달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통해 기준 클럭을 복원하고, 이를 이용하여 DU 클라우드(200)와 동기화된 클럭을 생성하여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S170에서, DU 클라우드(200)는 RU(100)로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고, 이를 통해 RU(100)가 기준 클럭을 복원하여 생성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DU 클라우드(200)는 구성된 잔여 기지국 기능들이 RU(100)에서 구성된 기지국 기능과 연동하여 정상 동작하는 지를 확인하기 위한 테스트 신호를 더 송신할 수 있다. 이때, 테스트 신호는, RU(100)에 구성된 기지국 기능에 따라서, 대응하는 계층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정을 통해서,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DU 클라우드(200)는 프론트홀 망(300)을 통해서 RU(100)가 연결되면, 새롭게 연결된 RU(100)를 인지한 후, RU(100)에 설치되지 않은 잔여 기지국 기능을 자동으로 구현하는 DU의 플러그앤플레이(Plug & Play)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이 프로세서는 싱글 쓰레드(Single-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에서 본 프로세서는 멀티 쓰레드(Multi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다. 나아가 본 프로세서는 메모리 혹은 저장 장치 상에 저장된 명령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동적 구성을 위한 장치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동적 구성을 위한 장치가 적용되는 DU 클라우드(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DU 클라우드(200)는, 프로세서, 메모리, 프론트홀 및 백홀에 연결되는 통신 인터페이스, 스위치 등의 하드웨어 계층(210) 위에 미들웨어로서 하드웨어 계층(210)과 그 위의 소프트웨어 계층을 분리하는 가상화 계층(220)이 구성된다. 상기 가상화 계층(220)는 가상화 기술을 기반으로 도 2와 같은 다양한 기지국 기능들을 구현하며, 이렇게 가상화된 기지국 기능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운용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가상화 계층(220)을 통해 상기 하드웨어 계층(210)을 기반으로 에지 기능부(230), 분배된 코어 기능부(240), Multi-RAT 기능부(250) 등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지 기능부(230)는, CDN(Contens Delivery Network)와 같이 네트워크의 에지에서 이루어지는 서비스 들이 수행되고, Multi-RAT 기능부(250)는 GSM, UMTS, LTE 등과 같은 다양한 네트워크 접속 자원들의 공유 및 통합을 지원한다.
아울러, DU 클라우드(200)는 상술한 기능 이외에 가상화된 기지국 기능을 기반으로 새로운 네트워크 기술이나 서비스 기능을 추가하여 확장시키기 위한 오케스트레이션 계층(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오케스트레이션 기술은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FV: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에서 더 나아가 가상화된 네트워크 기능을 활용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개발하거나 구축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한다.
참고로, 상기 DU 클라우드(200)는 GPP(General Purpose Platform) 기반과 non-GPP 기반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GPP 기반은 범용 플랫폼(예를 들어, 인텔 x86 서버)을 기반으로 전력 소모 감소, 캐싱 기술을 통한 룩업 테이블 방식으로 무선 알고리즘을 처리할 수 있고, 멀티 코어 지원을 통해 DU cloud의 처리 능력을 대폭 향상 시킬 수 있다. GPP 기반의 경우, 하나의 DU는 스탠드얼론 서버 또는 하나 이상의 CPU 프로세싱 보드가 될 수 있다. non-GPP 방식으로는 특정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사용으로 운용되며, DSP, SoCs, FPGA그리고 ASIC을 사용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동적 구성을 위한 장치는, 프로그램 모듈로 구현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DU 클라우드(200)의 가상화 계층(220)에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이러한 DU 클라우드(200)에 적용될 수 있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동적 구성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동적 구성을 장치는, RU 구성 정보 추천 모듈(201)과, RU 구성 정보 수집 모듈(202)과, 가상화 모듈(203)을 포함한다.
여기서, '모듈'은 각각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로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듈'은 프로그램 모듈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프로세서(Processor)에 의해 실행되어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또한,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RU 구성 정보 추천 모듈(201)은, 하드웨어 계층(210)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프론트홀 망(300)의 성능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성능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프론트홀 망(300)에 연결될 RU(100)에서 최소한으로 구성될 기지국 기능을 선택하여 추천한다.
RU 구성 정보 수집 모듈(202)은, 하드웨어 계층(210)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프론트홀 망(300)에 연결된 RU(100)를 확인하고, RU(100)의 최초 연결이 확인되면, 상기 RU(100)로부터 그 구성 정보(기지국 구성 및 인터페이스 타입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가상화 모듈(203)로 전달한다.
가상화 모듈(203)은 RU 구성 정보 수집 모듈(202)을 통해 최초 연결이 확인된 RU(100)에 대응하는 DU를 가상화 기술을 통해 구현하는 것으로서, 상기 RU 구성 정보 수집 모듈(202)을 통해 확인된 RU(100)의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RU(100)에 구성된 기지국 기능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RU(100)에 구현되지 않은 잔여 기지국 기능을 확인하고, 잔여 기지국 기능을 구현한다. 아울러, 상기 가상화 모듈(203)은 가상화 기술을 통해 구현된 상기 잔여 기지국 기능을 구비한 DU와 상기 RU(100)간의 테스트 및 동기화를 수행한다.
상술한 RU 구성 정보 추천 모듈(201)과, RU 구성 정보 수집 모듈(202)과, 가상화 모듈(203)의 연동을 통해서 도 3을 기반으로 설명한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동적 구성을 위한 방법이 실행되어, 도 4와 같은 다양한 분리 구조를 프론트홀 망(300)의 성능에 따라서 구현할 수 있게 되며, DU 클라우드(200)는 RU(100)의 연결 시 RU(100)의 구성을 확인하여 그에 대응되는 DU를 자동으로 구현하는 플러그앤플레이를 가능하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나,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비록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는 예시적인 장치 구성을 기술하고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다른 유형의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특정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다. 기타의 실시형태들은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 내에 속한다. 예컨대, 청구항에서 인용된 동작들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면서도 여전히 바람직한 결과를 성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첨부도면에 도시한 프로세스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반드시 그 특정한 도시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를 요구하지 않는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의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RAN)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구현하기 위해 기지국 기능을 DU 클라우드와 RU에 분리하여 구현하는데 있어서, RU의 연결 시, 상기 RU에 구성된 기지국 기능을 확인하여, 그 나머지 기지국 기능을 DU 클라우드에 자동으로 구현함으로써 플러그앤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프론트홀 망의 용량 및 지연시간을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동작하기 위해 RU에 필요한 최소한 기지국 기능을 추천함으로써, 프론트홀 망에 따른 효율적인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100: RU(Radio Unit) 200: DU(Digital Unit) 클라우드
300: 프론트홀(Fronthaul) 망 400: 백홀(Backhaul) 망
500: 코어망 201: RU 구성 정보 추천 모듈
202: RU 구성 정보 수집 모듈 203: 가상화 모듈

Claims (12)

  1. DU(Digital Unit) 클라우드와 다수의 RU(Radio Unit)가 프론트홀 망을 통해 연결되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동적 구성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DU 클라우드가,
    상기 RU의 연결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RU의 연결이 확인되면, 상기 RU의 구성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RU의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구현될 기지국 기능 중 상기 RU에 구현되지 않은 잔여 기지국 기능을 인지하는 단계;
    상기 잔여 기지국 기능을 상기 DU 클라우드에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동적 구성을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기능은
    RF 신호 처리 기능, Physical layer 기능, Medium Access Control 기능, Radio Link Control 기능,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기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동적 구성을 위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기능은
    RF 신호 처리 기능, OSI의 7계층 중 제1 계층(물리계층) 기능, 제2 계층(데이터 링크 계층) 기능, 제3계층(네트워크 계층) 기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동적 구성을 위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U 클라우드가 상기 잔여 기지국 기능의 구현 후, 상기 RU와의 동기화 및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동적 구성을 위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U의 연결을 확인하기 전에, 상기 프론트홀 망의 성능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론트홀 망의 성능에 따라서, 상기 프론트홀 망에 연결될 RU에 구성될 기지국 기능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동적 구성을 위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U의 구성 정보는, 상기 RU에 구현된 기지국 기능 및 인터페이스 타입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동적 구성을 위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홀 망의 성능은
    상기 프론트홀 망의 용량(Capacity) 및 지연시간(Latency)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동적 구성을 위한 방법.
  8. DU(Digital Unit) 클라우드와 다수의 RU(Radio Unit)가 프론트홀 망을 통해 연결되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동적 구성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홀 망에 RU(Radio Unit)의 연결을 확인하여, 상기 RU의 구성 정보를 수집하는 RU 구성 정보 수집 모듈;
    상기 RU의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구현될 기지국 기능 중 상기 RU에 구현되지 않은 잔여 기지국 기능을 인지하여 DU를 구현하는 가상화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동적 구성을 위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기능은
    RF 신호 처리 기능, Physical layer 기능, Medium Access Control 기능, Radio Link Control 기능,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기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동적 구성을 위한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기능은
    RF 신호 처리 기능, OSI의 7계층 중 제1 계층(물리계층) 기능, 제2 계층(데이터 링크 계층) 기능, 제3계층(네트워크 계층) 기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동적 구성을 위한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화 모듈은 상기 잔여 기지국 기능의 구현 후, 상기 RU와의 동기화 및 테스트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동적 구성을 위한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홀 망의 성능을 확인하여, 상기 프론트홀 망의 성능에 따라서, 상기 프론트홀 망에 연결될 RU에 구성될 기지국 기능을 선택하여 제공하는 RU 구성 정보 선택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동적 구성을 위한 장치.
KR1020150151813A 2015-10-30 2015-10-30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동적 구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83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813A KR102083273B1 (ko) 2015-10-30 2015-10-30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동적 구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813A KR102083273B1 (ko) 2015-10-30 2015-10-30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동적 구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361A true KR20170050361A (ko) 2017-05-11
KR102083273B1 KR102083273B1 (ko) 2020-03-02

Family

ID=58742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1813A KR102083273B1 (ko) 2015-10-30 2015-10-30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동적 구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327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5988A1 (ko) * 2017-06-09 2018-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혼잡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20047126A1 (en) * 2018-08-29 2020-03-05 Commscope Technologies Llc Clock synchronization in a centralized radio access network having multiple controllers
WO2021146032A1 (en) * 2020-01-13 2021-07-22 Commscope Technologies Llc Over-the-air timing alignment compensation in a distributed radio access network
KR20230036457A (ko) * 2021-09-07 2023-03-14 주식회사 에치에프알 타이밍 어드밴스 제어를 위한 프론트홀 장치, 그의 동작 방법과 기지국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51210B2 (en) 2020-09-17 2023-09-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IMO system
KR20220086834A (ko) 2020-12-17 2022-06-24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휴대형 신호 분석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KR102409563B1 (ko) 2020-12-23 2022-06-22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C―ran 구조의 기지국에서 ru의 nl 수행 방법
KR102409564B1 (ko) 2020-12-23 2022-06-22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C―ran 구조 기지국의 ru 이합 처리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1333A (ko) * 2012-06-15 2013-12-26 주식회사 케이티 디지털 신호 처리간 반송파 집적을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신호 처리 방법
KR20140093554A (ko) 2013-01-18 2014-07-28 주식회사 케이티 분산 안테나 구조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부하 분산 제어 시스템 및 부하 분산 방법
KR20150067641A (ko) * 2013-12-10 2015-06-18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 프론트홀 지원을 위한 ccc 기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가상화 시스템 및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1333A (ko) * 2012-06-15 2013-12-26 주식회사 케이티 디지털 신호 처리간 반송파 집적을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신호 처리 방법
KR20140093554A (ko) 2013-01-18 2014-07-28 주식회사 케이티 분산 안테나 구조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부하 분산 제어 시스템 및 부하 분산 방법
KR20150067641A (ko) * 2013-12-10 2015-06-18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 프론트홀 지원을 위한 ccc 기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가상화 시스템 및 제어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5988A1 (ko) * 2017-06-09 2018-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혼잡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297528B2 (en) 2017-06-09 2022-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ges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0047126A1 (en) * 2018-08-29 2020-03-05 Commscope Technologies Llc Clock synchronization in a centralized radio access network having multiple controllers
WO2021146032A1 (en) * 2020-01-13 2021-07-22 Commscope Technologies Llc Over-the-air timing alignment compensation in a distributed radio access network
KR20230036457A (ko) * 2021-09-07 2023-03-14 주식회사 에치에프알 타이밍 어드밴스 제어를 위한 프론트홀 장치, 그의 동작 방법과 기지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3273B1 (ko) 202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50361A (ko)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동적 구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8053852A1 (zh) 无线承载的配置方法、装置及系统
JP5982403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で端末の性能を報告する方法及び装置
KR101468834B1 (ko)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부하 밸런싱을 위한 개념
RU2742348C1 (ru) Функция и сигнализация разбиения сеанса протокольных блоков данных
EP3531623B1 (en) Splitting communication channels
US10389560B2 (en) Baseband processing unit, radio remote unit, and communication method
WO2016074157A1 (en) Method, apparatus, system and computer program
CN108513325B (zh) 一种无线接入网络系统及集中单元
CN109429183A (zh) 一种用户面模式的选择、调整方法、装置和设备
RU2684474C1 (ru) Точка доступа, поддерживающая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две виртуальные сети, и способ, осуществляемый посредством точки доступа, для обмена данными с беспровод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US1039023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wireless network bridge
US20210314767A1 (en) Connection method, configuration updating method, control plane device, and user plane device
US2022039460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Flexible Aggregation of Communications Channels
WO2016167885A1 (en) Reduction of channel access delay in wireless systems
CN114258731A (zh) 集成接入回程(iab)网络中的入口与出口回程rlc信道之间的映射
US20190320417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WO2018176424A1 (zh) 一种数据路由方法及装置
KR20210046499A (ko) 통신 시스템의 스펙트럼 쉐어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EP3534661B1 (en) Internet of vehicles transmission resource acquisition method and terminal
US20220217549A1 (en) Communic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KR102010525B1 (ko)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harq 프로세스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지국 시스템 및 사용자 장치
KR20200083530A (ko) 차량 인터넷에서의 데이터 송신 방법 및 단말기
CN108307545B (zh) Bbu和rru功能重构后的数据发送装置及方法
WO2022163375A1 (ja) 第1のユーザ機器、第2のユーザ機器及び基地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