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0150A - Method for diagnosis brain health state of child young people and apparatus executing the method - Google Patents

Method for diagnosis brain health state of child young people and apparatus executing th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0150A
KR20170050150A KR1020150151311A KR20150151311A KR20170050150A KR 20170050150 A KR20170050150 A KR 20170050150A KR 1020150151311 A KR1020150151311 A KR 1020150151311A KR 20150151311 A KR20150151311 A KR 20150151311A KR 20170050150 A KR20170050150 A KR 20170050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sk
subject
eeg
brain
brain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13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61705B1 (en
Inventor
김대근
강승완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아이메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아이메디신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51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705B1/en
Publication of KR20170050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01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7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5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for evaluating the central nervous system
    • A61B5/4064Evaluating the brain
    • A61B5/0476
    • A61B5/0482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syc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Psychiatry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method for diagnosing the brain health state of a child or adolescent, and a device for performing the same. The method for diagnosing the brain health state of a child or adolesc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tep of obtaining brain wave data from reference children and adolescents who have performed a task; a step of obtaining and storing information related to an average(s) of the brain wave data based on either or both of gender and age of the reference children and adolescents; a step of obtaining brain wave data from a subject who has performed the task; a step of retrieving average-relat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gender and age of the subject; a step of comparing the brainwave data of the subject with the average-related information retrieved; and a step of diagnosing the brain health state of the subject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Description

소아 청소년의 뇌 건강 상태 진단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METHOD FOR DIAGNOSIS BRAIN HEALTH STATE OF CHILD YOUNG PEOPLE AND APPARATUS EXECUTING THE METHOD}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iagnosing brain health in children and adolescents,

본 발명의 실시예는 뇌 건강 진단 기술에 관한 것이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in health diagnostic technique.

뇌의 전기적 활동에 의해서 일어나는 두피 상의 두 점 사이의 전위 변동을 연속적으로 기록한 것을 뇌파라고 한다. 뇌파는 인간의 의식 상태를 반영하는 생체 신호로서, 뇌파를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정신 건강 상태를 측정하고자 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It is called brain waves that consecutively record the potential fluctuation between two points on the scalp caused by the electrical activity of the brain. EEG is a bio-signal reflecting the state of human consciousness, and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measure the mental health state of a subject using brain waves.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06339호(2012.09.26)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2-0106339 (September 26, 2012)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61311호(2007.06.13)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61311 (Jun. 13, 2007)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준 소아 청소년들의 뇌파 정보를 이용하여 피 측정자의 뇌 건강 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소아 청소년의 뇌 건강 상태 진단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diagnosing a brain health condition of a child and a device for performing the same, which can diagnose the brain health state of a subject using the brain wave information of a standard child and adolescent youth.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아 청소년의 뇌 건강 상태 진단 방법은, 뇌 건강 상태 진단 장치에서, 기준 소아 청소년들의 태스크를 수행하지 않은 상태의 제1 뇌파 데이터 및 태스크를 수행한 상태의 제2 뇌파 데이터를 각각 획득하는 단계; 상기 뇌 건강 상태 진단 장치에서, 상기 획득한 제1 뇌파 데이터 및 제2 뇌파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 소아 청소년들의 성별 및 연령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제1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 및 제2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를 각각 산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뇌 건강 상태 진단 장치에서, 피 측정자의 태스크를 수행하지 않은 상태의 제1 뇌파 데이터 및 태스크를 수행한 상태의 제2 뇌파 데이터를 각각 획득하는 단계; 상기 뇌 건강 상태 진단 장치에서, 상기 피 측정자의 성별 및 연령과 대응되는 제1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 및 제2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를 각각 추출하는 단계; 상기 뇌 건강 상태 진단 장치에서, 상기 피 측정자의 제1 뇌파 데이터와 상기 제1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피 측정자의 제2 뇌파 데이터와 상기 제2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뇌 건강 상태 진단 장치에서,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피 측정자의 뇌 건강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diagnosing a brain health condition of a child and adolescents, the method comprising: a first brain wave data in which a task is not performed by a reference child and a second brain wave data Respectively; The apparatus for diagnosing brain health may further comprise means for obtaining average related information of first brain wave data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gender and age of the reference child and adolescents using the acquired first brain wave data and second brain wave data, Calculating and storing the average related information, respectively; Acquiring first brain wave data in a state in which the task of the subject is not performed and second EEG data in a state in which the task is performed, in the brain health state diagnostic apparatus; Extracting average related information of first EEG data and average related information of second EEG data corresponding to gender and age of the subject in the brain health state diagnostic apparatus; The apparatus for diagnosing brain health states may further comprise means for comparing the first EEG data of the subject with the average related information of the first EEG data and comparing the second EEG data of the subject with the average related information of the second EEG data ; And diagnosing the brain health state of the subjec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in the brain health state diagnostic apparatus.

상기 제2 뇌파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태스크는, 억제력(NoGo Suppression) 태스크, 성찰력(NoGo Monitoring) 태스크, 작업 수행력(P3b) 태스크, 대기조건 작업 수행력(Cue P3) 태스크, 준비 능력(CNV) 태스크, 적응 능력(Novelty) 태스크, 및 무시력(Ignore) 태스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asks for acquiring the second brain wave data include a NoGo Suppression task, a NoGo Monitoring task, a P3b task, a Cue P3 task, a preparation ability (CNV) task, An adaptability capability (Novelty) task, and a non-vision (Ignore) task.

상기 제1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는, 상기 제1 뇌파의 크기(Amplitude)의 평균값, 상기 제1 뇌파의 크기의 표준 편차, 및 상기 제1 뇌파의 크기의 연령별 평균 발달 곡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는, 상기 제2 뇌파의 크기(Amplitude)의 평균값, 상기 제2 뇌파의 레이턴시(Latency)의 평균값, 상기 제2 뇌파의 크기의 표준 편차, 상기 제2 뇌파의 레이턴시의 표준 편차, 상기 제2 뇌파의 크기의 연령별 평균 발달 곡선, 및 상기 제2 뇌파의 레이턴시의 연령별 평균 발달 곡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average related information of the first EEG data includes at least one of an average value of the amplitude of the first EEG, a standard deviation of a size of the first EEG, and an average development curve of a size of the first EEG according to age And the average related information of the second EEG data includes at least one of an average value of the second EEG amplitude, an average value of the latency of the second EEG, a standard deviation of a size of the second EEG,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latency of the brain waves, the average developmental curve of the age of the second brain waves, and the average developmental curve of the latency of the second brain waves.

상기 제1 뇌파 데이터는, 델타파, 쎄타파, 알파파, SMR(Sensory Motor Rhythm), 베타파, 및 하이 베타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피 측정자의 뇌 건강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는, 상기 피 측정자의 제1 뇌파 데이터 및 상기 제1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피 측정자의 신경 전달 물질 결핍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first brain wave data includes at least one of delta wave, theta wave, alpha wave, SMR (Sensory Motor Rhythm), beta wave, and high beta wave, And checking whether the neurotransmitter is deficient in the subjec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first EEG data of the subject and the average related information of the first EEG data.

상기 피 측정자의 신경 전달 물질에 결핍이 발생한 경우, 상기 뇌 건강 상태 진단 장치에서, 상기 결핍된 신경 전달 물질의 종류 및 상기 결핍 정도에 따라 처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generating the prescrip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ype and deficiency degree of the deficient neurotransmitter in the brain health state diagnostic apparatus when deficiency occurs in the neurotransmitter of the subject.

상기 제2 뇌파 데이터는, 상기 피 측정자가 억제력(NoGo Suppression) 태스크, 성찰력(NoGo Monitoring) 태스크, 작업 수행력(P3b) 태스크, 대기조건 작업 수행력(Cue P3) 태스크, 준비 능력(CNV) 태스크, 적응 능력(Novelty) 태스크, 및 무시력(Ignore) 태스크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면서 측정된 뇌파에 대한 데이터이고, 상기 피 측정자의 뇌 건강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는, 상기 피 측정자의 제2 뇌파 데이터 및 상기 제2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피 측정자의 전두엽 발달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brain wave data includes at least one of a NoGo Suppression task, a NoGo Monitoring task, a P3b task, a Cue P3 task, a CNV task, Wherein the step of diagnosing the brain health state of the subject comprises the steps of: measuring the second brain wave data of the subject and the second brain wave data of the subject; And checking the prefrontal development state of the subjec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average related information of the second EEG data.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피 측정자의 전두엽 발달 상태에 이상이 있는 경우, 상기 뇌 건강 상태 진단 장치에서, 상기 이상이 있는 능력 및 상기 이상 정도에 따라 처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generating the prescrip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bnormality and the abnormality in the brain health condition diagnosis apparatus if the prefrontal development state of the subject is abnormal as a result of the checking.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아 청소년의 뇌 건강 상태 진단 방법은, 뇌 건강 상태 진단 장치에서, 기준 소아 청소년들의 태스크를 수행한 상태의 뇌파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뇌 건강 상태 진단 장치에서, 상기 획득한 뇌파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 소아 청소년들의 성별 및 연령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를 산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뇌 건강 상태 진단 장치에서, 피 측정자의 태스크를 수행한 상태의 뇌파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뇌 건강 상태 진단 장치에서, 상기 피 측정자의 성별 및 연령과 대응되는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뇌 건강 상태 진단 장치에서, 상기 피 측정자의 뇌파 데이터와 상기 추출한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뇌 건강 상태 진단 장치에서,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피 측정자의 뇌 건강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diagnosing a brain health condition of a child and adolescents, the method comprising: acquiring brain wave data in a state in which a task of a reference child adolescent is performed; Calculating and storing average related information of brain wave data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gender and age of the reference child and adolescent youth using the acquired brain wave data; Acquiring brain wave data in a state in which the task of the subject is performed in the brain health state diagnostic apparatus; Extracting average related information of brain wave data corresponding to gender and age of the subject in the brain health state diagnostic apparatus; Comparing the brain wave data of the subject with the average related information of the extracted brain wave data in the brain health state diagnostic apparatus; And diagnosing the brain health state of the subjec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in the brain health state diagnostic apparatus.

상기 뇌파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태스크는, 억제력(NoGo Suppression) 태스크, 성찰력(NoGo Monitoring) 태스크, 작업 수행력(P3b) 태스크, 대기조건 작업 수행력(Cue P3) 태스크, 준비 능력(CNV) 태스크, 적응 능력(Novelty) 태스크, 및 무시력(Ignore) 태스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task for acquiring the brain wave data includes a NoGo Suppression task, a NoGo Monitoring task, a P3b task, a Cue P3 task, a CNV task, A Novelty task, and an Ignore task.

상기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는, 상기 뇌파의 크기(Amplitude)의 평균값, 상기 뇌파의 레이턴시(Latency)의 평균값, 상기 뇌파의 크기의 표준 편차, 상기 뇌파의 레이턴시의 표준 편차, 상기 뇌파의 크기의 연령별 평균 발달 곡선, 및 상기 뇌파의 레이턴시의 연령별 평균 발달 곡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verage related information of the EEG data includes at least one of an average value of the EEG amplitude, an average value of the EEG latency, a standard deviation of the EEG amplitude, a standard deviation of the EEG latency, An average development curve by age, and an age-specific average development curve of the latency of the EEG.

상기 뇌파 데이터는, 상기 피 측정자가 억제력(NoGo Suppression) 태스크, 성찰력(NoGo Monitoring) 태스크, 작업 수행력(P3b) 태스크, 대기조건 작업 수행력(Cue P3) 태스크, 준비 능력(CNV) 태스크, 적응 능력(Novelty) 태스크, 및 무시력(Ignore) 태스크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면서 측정된 뇌파에 대한 데이터이고, 상기 피 측정자의 뇌 건강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는, 상기 피 측정자의 뇌파 데이터 및 상기 추출한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피 측정자의 전두엽 발달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EEG data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NoGo Suppression task, a NoGo Monitoring task, a P3b task, a Cue P3 task, a CNV task, Wherein the step of diagnosing the brain health condition of the subject comprises the steps of: measuring the EEG data of the subject and the extracted EEG data; And checking the prefrontal development state of the subjec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average related information.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피 측정자의 전두엽 발달 상태에 이상이 있는 경우, 상기 뇌 건강 상태 진단 장치에서, 상기 이상이 있는 능력 및 상기 이상 정도에 따라 처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generating the prescrip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bnormality and the abnormality in the brain health condition diagnosis apparatus if the prefrontal development state of the subject is abnormal as a result of the checking.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장치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그램은, 피 측정자의 태스크를 수행하지 않은 상태의 제1 뇌파 데이터 및 태스크를 수행한 상태의 제2 뇌파 데이터를 각각 획득하는 단계; 상기 피 측정자의 성별 및 연령과 대응되는 제1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 및 제2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를 각각 추출하는 단계; 상기 피 측정자의 제1 뇌파 데이터와 상기 제1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피 측정자의 제2 뇌파 데이터와 상기 제2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피 측정자의 뇌 건강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An apparatus according to one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one or more processors; Memory; And one or more programs stored in the memory and configured to be executed by the one or more processors, the program comprising: first EEG data in a state in which the task of the subject is not performed; Acquiring second brain wave data in a state in which the task is performed; Extracting average related information of first EEP data and average related information of second EEP data corresponding to gender and age of the subject; Comparing the first EEG data of the subject with the average related information of the first EEG data and comparing the second EEG data of the subject with the average related information of the second EEG data; And diagnosing a brain health state of the subjec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상기 제2 뇌파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태스크는, 억제력(NoGo Suppression) 태스크, 성찰력(NoGo Monitoring) 태스크, 작업 수행력(P3b) 태스크, 대기조건 작업 수행력(Cue P3) 태스크, 준비 능력(CNV) 태스크, 적응 능력(Novelty) 태스크, 및 무시력(Ignore) 태스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asks for acquiring the second brain wave data include a NoGo Suppression task, a NoGo Monitoring task, a P3b task, a Cue P3 task, a preparation ability (CNV) task, An adaptability capability (Novelty) task, and a non-vision (Ignore) task.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피 측정자의 뇌 건강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피 측정자의 제2 뇌파 데이터 및 상기 제2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피 측정자의 전두엽 발달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gram checks the development state of the frontal lobe of the subject in accordance with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second brain wave data of the subject and the average related information of the second brain wave data in the step of diagnosing the brain health state of the subject And may include instructions for executing the steps.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피 측정자의 전두엽 발달 상태에 이상이 있는 경우, 상기 이상이 있는 능력 및 상기 이상 정도에 따라 처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gram may further include instructions for further performing the step of generating prescrip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nomaly and the anomaly if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prefrontal development state of the subject as a result of the confirmation.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장치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그램은, 피 측정자의 태스크를 수행한 상태의 뇌파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피 측정자의 성별 및 연령과 대응되는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피 측정자의 뇌파 데이터와 상기 추출한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피 측정자의 뇌 건강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one or more processors; Memory; And one or more programs, wherein the one or more programs are stored in the memory and are configured to be executed by the one or more processors, the program comprising the steps of: obtaining EEG data in a state in which a task of a subject is performed; ; Extracting average related information of brain wave data corresponding to sex and age of the subject; Comparing brain wave data of the subject with average related information of the extracted brain wave data; And diagnosing a brain health state of the subjec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상기 뇌파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태스크는, 억제력(NoGo Suppression) 태스크, 성찰력(NoGo Monitoring) 태스크, 작업 수행력(P3b) 태스크, 대기조건 작업 수행력(Cue P3) 태스크, 준비 능력(CNV) 태스크, 적응 능력(Novelty) 태스크, 및 무시력(Ignore) 태스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ask for acquiring the brain wave data includes a NoGo Suppression task, a NoGo Monitoring task, a P3b task, a Cue P3 task, a CNV task, A Novelty task, and an Ignore task.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피 측정자의 뇌 건강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피 측정자의 뇌파 데이터 및 상기 추출한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피 측정자의 전두엽 발달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checking the frontal lobe development state of the subjec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EEG data of the subject and the average related information of the extracted EEG data at the step of diagnosing the brain health state of the subject And < / RTI >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피 측정자의 전두엽 발달 상태에 이상이 있는 경우, 상기 이상이 있는 능력 및 상기 이상 정도에 따라 처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ogram may further include instructions for further performing the step of generating prescrip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nomaly and the anomaly if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prefrontal development state of the subject as a result of the confirm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피 측정자의 제1 뇌파와 피 측정자와 성별 및 연령이 대응되는 기준 소아 청소년들의 제1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를 비교하여, 피 측정자의 신경 전달 물질의 결핍 여부를 진단할 수 있으며, 결핍된 신경 전달 물질의 종류 및 결핍 정도에 따라 그에 맞는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s the average related information of the first brain wave data of the reference child adolescents whose gender and age correspond to the first brain wave of the subject and the subject to be meas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neurotransmitter deficiency of the subject is diagnosed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olution according to the type and deficiency of the deficient neurotransmitter.

또한, 피 측정자의 제2 뇌파와 피 측정자와 성별 및 연령이 대응되는 기준 소아 청소년들의 제2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를 비교하여, 피 측정자의 전두엽 집행 상태(또는 발달 상태)를 진단할 수 있으며, 전두엽 중 발달에 이상이 있는 능력 및 이상 정도에 따라 그에 맞는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iagnose the frontal executive state (or developmental state) of the subject by comparing the average related information of the second brain wave data of the reference child adolescents whose sex and age correspond to the second brain wave of the subject and the subject, ,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olu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abnormality and the abnormality in the development of the frontal lobe.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뇌 건강 상태 진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뇌 건강 상태 진단 시스템에서, 제2 뇌파를 측정하기 위한 각 태스크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뇌 건강 상태 진단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억제력 태스크(NoGo Suppression)에 따른 제2 뇌파의 평균 발달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성찰력 태스크(NoGo Monitoring)에 따른 제2 뇌파의 평균 발달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작업 수행력(P3b)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평균 발달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대기조건 작업 수행력(Cue P3)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평균 발달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준비 능력(CNV)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에 대한 평균 발달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
도 9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적응 능력(Novelty)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평균 발달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
도 10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무시력(Ignore)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평균 발달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
도 1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나타낸 도면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rain health condition diagnosis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respective tasks for measuring a second brain wave in the brain health condition diagnosis system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agnosing brain health condition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4 is a graph showing an average development curve of the second EEG according to the suppression task (NoGo Suppression) in the exemplary embodiment
FIG. 5 is a graph showing an average development curve of the second brain wave according to the non-repetitive task (NoGo Monitoring) in the exemplary embodiment
6 is a graph showing an average development curve of the second brain wave according to the task performance (P3b) task in the exemplary embodiment
FIG. 7 is a graph showing an average development curve of a second EEG according to a task of performing an atmospheric condition task performance (Cue P3) in the exemplary embodiment
8 is a graph showing an average development curve for the second brain wave according to the preparation ability (CNV) task in the exemplary embodiment
9 is a graph showing an average development curve of the second EEG according to an adaptive ability (Novelty) task in the exemplary embodiment
10 is a graph showing an average development curve of a second brain wave according to a non-vision task in the exemplary embodiment
Figure 11 depicts a computing environment including an exemplary computing device suitable for use in the exemplary embodiment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provided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ethods, apparatus, and / or systems described herein.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re intended only to describ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should in no way be limiting.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the singular form of a term includes plural forms of meaning. In this description, the expressions "comprising" or "comprising" are intended to indicate certain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Should not be construed to preclude the presence or possibility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ortion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신호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 "수신"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 전달되는 것도 포함한다. 특히 신호 또는 정보를 일 구성요소로 "전송" 또는 "송신"한다는 것은 그 신호 또는 정보의 최종 목적지를 지시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목적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신호 또는 정보의 "수신"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2 이상의 데이터 또는 정보가 "관련"된다는 것은 하나의 데이터(또는 정보)를 획득하면, 그에 기초하여 다른 데이터(또는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획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erms such as " transmission ", "transmission "," transmission ", "reception ", and the like, of a signal or information refer not only to the direct transmission of signals or inform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But also through other components. In particular, "transmitting" or "transmitting" a signal or information to an element is indicative of the final destination of the signal or information and not a direct destination. This is the same for "reception" of a signal or information. Also, in this specification, the fact that two or more pieces of data or information are "related" means that when one piece of data (or information) is acquired, at least a part of the other data (or information) can be acquired based thereon.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Also,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뇌 건강 상태 진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rain health condition diagnosis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뇌 건강 상태 진단 장치(100)는 뇌파 측정부(102), 데이터 처리부(104), 데이터베이스(106), 및 진단 모듈(108)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brain health condition diagnosis apparatus 100 may include an EEG measurement unit 102, a data processing unit 104, a database 106, and a diagnostic module 108.

뇌 건강 상태 진단 장치(100)는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일부 구성들은 다른 장치에 구현(또는 다른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뇌파 측정부(102), 데이터 처리부(104), 및 진단 모듈(108)은 하나의 장치로 구현되고, 데이터베이스(106)는 외부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06)는 클라우드 기반의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뇌파 측정부(102)가 별개의 장치로 구현되고, 데이터 처리부(104) 및 진단 모듈(108)이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데이터 처리부(104)는 뇌파 측정부(102)로부터 뇌파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획득할 수 있다. The brain health condition diagnosis apparatus 100 may be implemented as one apparatus, but some configurations may be implemented in another apparatus (or implemented in another apparatus). For example, the brain wave measuring unit 102, the data processing unit 104, and the diagnostic module 108 may be implemented as one device, and the database 106 may be implemented as an external server. The database 106 may be a cloud-based server. Further, the brain wave measuring unit 102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apparatus, and the data processing unit 104 and the diagnostic module 108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apparatus. At this time, the data processing unit 104 may acquire EEG data from the EEG measuring unit 102 by wire or wirelessly.

뇌 건강 상태 진단 장치(100)는 소아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태스크(Task)를 수행하지 않은 경우의 제1 뇌파와 태스크를 수행한 경우의 제2 뇌파를 각각 측정하고, 성별 및 연령별로 제1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예를 들어, 뇌파 크기의 평균값, 뇌파 크기의 표준 편차, 뇌파 크기의 평균 발달 곡선 등)와 제2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예를 들어, 뇌파 크기(Amplitude) 및 뇌파 레이턴시(Latency)의 평균값, 뇌파 크기 및 뇌파 레이턴시의 표준 변차, 뇌파 크기 및 뇌파 레이턴시의 평균 발달 곡선 등)를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한다. The brain health condition diagnosis apparatus 100 measures a first EEG when the task is not performed and a second EEG when the task is performed on the children and adolescents, (For example, mean value of EEG amplitude, standard deviation of EEG amplitude, average development curve of EEG amplitude, etc.) and average related information of second EEG data (for example, EEG amplitude and EEG latency The average value of the latency,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brain wave size and the brain latency, the average developmental curve of the brain wave size and the brain wave latency, etc.).

다음으로, 뇌 건강 상태 진단 장치(100)는 피 측정자(뇌 건강 상태를 진단하고자 하는 청소년)의 제1 뇌파와 제2 뇌파를 해당 소아 청소년의 성별 및 연령별에 대응하는 기 저장된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피 측정자의 뇌 건강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Next, the brain health condition diagnosis apparatus 100 calculates the first and second EEG waves of the subject (a person who diagnoses the brain health state) with the average of the pre-stored EEG data corresponding to the sex and age of the corresponding child adolescents It is possible to diagnose the brain health condition of the subject in comparison with the information.

이하, 뇌 건강 상태 진단 장치(1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brain health condition diagnosis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뇌파 측정부(102)는 소아 청소년들의 두피에서 제1 뇌파를 측정한다. 제1 뇌파는 소아 청소년이 태스크를 수행하지 않은 상태(즉, 자연 상태)에서 측정한 뇌파이다. 뇌파 측정부(102)는 제1 뇌파의 크기(Amplitude)를 측정할 수 있다. 제1 뇌파에는 주파수에 따라 델타파, 쎄타파, 알파파, SMR(Sensory Motor Rhythm), 베타파, 하이 베타파 등이 있다. 델타파는 0.5 ~ 4 Hz의 주파수를 지닌 뇌파로서, 숙면 상태에서 나타난다. 쎄타파는 4 ~ 7 Hz의 주파수를 지닌 뇌파로서, 졸리는 상태 또는 산만한 상태 또는 백일몽 상태에서 나타난다. 알파파는 8 ~ 12 Hz의 주파수를 지닌 뇌파로서, 편안한 상태에서 외부 집중력이 느슨할 때 나타난다. SMR(Sensory Motor Rhythm)은 12 ~ 15 Hz의 주파수를 지닌 뇌파로서,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 집중력을 유지할 때 나타난다. 베타파는 15 ~ 18 Hz의 주파수를 지닌 뇌파로서, 사고를 하며 활동적인 상태에서 집중력을 유지할 때 나타난다. 하이 베타파는 18 Hz 이상의 주파수를 지닌 뇌파로서, 긴장 또는 불안 상태에서 나타난다. The EEG measuring unit 102 measures the first EEG on the scalp of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first EEG is an EEG measured in a state where pediatric adolescents do not perform tasks (ie, natural state). The EEG measuring unit 102 may measure the amplitude of the first EEG. The first EEG includes Delta wave, Theta wave, Alphapa, Sensory Motor Rhythm (SMR), Beta wave, and High Beta wave depending on the frequency. The delta wave is an EEG with a frequency of 0.5 to 4 Hz, which appears in a state of sleep. Theta wave is an EEG with a frequency of 4 to 7 Hz and appears in drowsy or distracted or daydream. The alpha wave is an EEG with a frequency of 8 to 12 Hz and appears when the external concentration is relaxed in a relaxed state. SMR (Sensory Motor Rhythm) is an EEG with a frequency of 12 to 15 Hz, which appears when you remain focused while not moving. The beta wave is an EEG with a frequency of 15 to 18 Hz, which appears when you are in an active state of thinking and maintaining concentration. The high beta wave is an EEG with a frequency of 18 Hz or higher, which appears in a state of tension or anxiety.

또한, 뇌파 측정부(102)는 소아 청소년들의 두피에서 제2 뇌파를 측정한다. 제2 뇌파는 소아 청소년이 태스크를 수행한 상태에서 측정한 뇌파이다. 뇌파 측정부(102)는 제2 뇌파의 크기(Amplitude) 및 제2 뇌파의 발생 시점부터 제2 뇌파의 최대 진폭까지의 시간(Latency)(이하, 레이턴시(Latency)라 지칭할 수 있음)을 측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EG measuring unit 102 measures the second EEG on the scalp of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second EEG is an EEG measured by children and adolescents performing tasks. The EEG measuring unit 102 measures the amplitude of the second EEG and the time from the occurrence of the second EEG to the maximum amplitude of the second EEG (hereinafter, may be referred to as latency) can do.

구체적으로, 뇌파 측정부(102)는 소아 청소년들로 하여금 억제력(NoGo Suppression) 태스크, 성찰력(NoGo Monitoring) 태스크, 작업 수행력(P3b) 태스크, 대기조건 작업 수행력(Cue P3) 태스크, 준비 능력(CNV) 태스크, 적응 능력(Novelty) 태스크, 무시력(Ignore) 태스크 등의 태스크를 수행하도록 하고, 각 태스크를 수행하는 상태에서 소아 청소년들의 뇌파(즉, 제2 뇌파)를 측정할 수 있다. 각 태스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More specifically, the EEG measuring unit 102 provides the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tasks such as a NoGo Suppression task, a NoGo Monitoring task, a P3b task, a Cue P3 task, ) Task, an adaptability ability (Novelty task), and a non-visual (Ignore) task, and can measure the brain waves (ie, second brain wave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hile performing each task. A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task will be given later with reference to Fig.

뇌파 측정부(102)는 다양한 연령대(예를 들어, 6세 ~ 17세)의 남녀 소아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제1 뇌파 및 제2 뇌파를 각각 측정할 수 있다. 이때, 뇌파 측정부(102)는 정상적인 뇌 건강 상태의 소아 청소년(이하, "기준 소아 청소년"이라 지칭될 수 있음)들을 대상으로 제1 뇌파 및 제2 뇌파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측정한 제1 뇌파 데이터 및 제2 뇌파 데이터는 기준 뇌파 데이터로 사용되게 된다. 뇌파 측정부(102)는 피 측정자의 머리에 착용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뇌파 측정부(102)는 피 측정자의 두피에서 측정한 뇌파 신호를 증폭하고,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The EEG measurer 102 can measure the first EEG and the second EEG on a male and female adolescents of various ages (for example, 6 to 17 years old). At this time, the EEG measurer 102 may measure the first EEG and the second EEG on a normal child's brain health sta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eference child and adolescent"). At this time, the measured first brain wave data and second brain wave data are used as reference brain wave data. The EEG measuring unit 102 may be configured to be wearable on the head of the subject. The EEG measuring unit 102 amplifies the EEG signal measured on the scalp of the subject and can remove the noise.

데이터 처리부(104)는 뇌파 측정부(102)로부터 제1 뇌파 데이터 및 제2 뇌파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104)는 기준 소아 청소년들의 신체 정보(예를 들어, 피 측정자의 성별 및 피 측정자의 연령 등)를 수신한다. 기준 소아 청소년들의 신체 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미도시)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04)는 기준 소아 청소년들의 성별 및 연령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제1 뇌파 데이터(예를 들어, 델타파, 쎄타파, 알파파, SMR(Sensory Motor Rhythm), 베타파, 하이 베타파 등)의 평균 및 표준 편차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104)는 기준 소아 청소년들의 성별 및 연령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제2 뇌파 데이터(예를 들어, 억제력 태스크, 성찰력 태스크, 작업 수행력 태스크, 대기조건 작업 수행력 태스크, 준비 능력 태스크, 적응 능력 태스크, 무시력 태스크 등의 수행 시 측정되는 뇌파 데이터)의 평균 및 표준 편차를 산출할 수 있다. The data processing unit 104 receives the first brain wave data and the second brain wave data from the brain wave measuring unit 102. In addition, the data processing unit 104 receives the body information (for example, the sex of the subject and the age of the subject) of the reference child and adolescents. The body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child and adolescent can be inputted from the user interface (not shown). The data processing unit 104 generates first brain wave data (for example, delta wave, theta wave, alpha wave, SMR (Sensory Motor Rhythm), beta wave, high beta wave, etc.)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sex and age ) Can be calculated. In addition, the data processing unit 104 may generate second brain wave data (for example, an inhibitory task, a reflexive task, a task performing task, an atmospheric condition task performing task, a preparation ability task, an adjustment task, Ability task, and visual acuity task).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EEG data can be calculated.

데이터 처리부(104)는 기준 소아 청소년의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제1 뇌파 데이터의 평균 발달 곡선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처리부(104)는 제1 뇌파 데이터의 각 지표(예를 들어, 델타파, 쎄타파, 알파파, SMR, 베타파, 하이 베타파 등)에 따라 평균 발달 곡선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104)는 기준 소아 청소년의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제2 뇌파 데이터의 평균 발달 곡선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처리부(104)는 제2 뇌파 데이터의 각 태스크 지표(예를 들어, 억제력 태스크, 성찰력 태스크, 작업 수행력 태스크, 대기조건 작업 수행력 태스크, 준비 능력 태스크, 적응 능력 태스크, 무시력 태스크 등)에 따라 평균 발달 곡선을 산출할 수 있다. The data processing unit 104 may calculate the average development curve of the first EEG data according to sex and age of the reference child and adolescent youth. At this time, the data processing unit 104 may calculate the average development curve according to each index (e.g., delta wave, theta wave, alpha wave, SMR, beta wave, high beta wave, etc.) of the first brain wave data. In addition, the data processing unit 104 may calculate the average development curve of the second EEG data according to sex and age of the reference child and adolescent youth. At this time, the data processing unit 104 may be configured to classify each task indicator (e.g., inhibitory task, introspection task, task performing task, waiting condition task performing task, preparatory ability task, adaptive capacity task, , The average development curve can be calculated.

데이터베이스(106)는 제1 데이터베이스(106-1) 및 제2 데이터베이스(10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데이터베이스(106-1)는 뇌파 측정부(102)가 측정한 제1 뇌파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1 데이터베이스(106-1)는 성별 및 연령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제1 뇌파 데이터의 평균 및 표준 편차를 저장할 수 있다. 제1 데이터베이스(106-1)는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제1 뇌파 데이터의 평균 발달 곡선을 저장할 수 있다. 제2 데이터베이스(106-2)는 뇌파 측정부(102)가 측정한 제2 뇌파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2 데이터베이스(106-2)는 성별 및 연령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제2 뇌파 데이터의 평균 및 표준 편차를 저장할 수 있다. 제2 데이터베이스(106-2)는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제2 뇌파 데이터의 평균 발달 곡선을 저장할 수 있다. The database 106 may include a first database 106-1 and a second database 106-2. The first database 106-1 may store the first brain wave data measured by the brain-wave measuring unit 102. [ The first database 106-1 may store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first brain wave data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sex and age. The first database 106-1 may store the average development curve of the first brain wave data according to sex and age. The second database 106-2 may store the second brain wave data measured by the brain wave measuring unit 102. [ The second database 106-2 may store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second brain wave data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sex and age. The second database 106-2 may store an average development curve of the second brain wave data according to sex and age.

진단 모듈(108)은 뇌파 측정부(102)를 통해 뇌 건강 상태를 진단하고자 하는 피 측정자의 제1 뇌파를 측정할 수 있다. 진단 모듈(108)은 피 측정자의 제1 뇌파 데이터와 해당 피 측정자의 성별 및 연령에 대응하는 기 저장된 제1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를 비교하여 피 측정자의 뇌 건강 상태(또는 뇌 발달 정도)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단 모듈(108)은 피 측정자의 제1 뇌파 데이터와 기 저장된 제1 뇌파 데이터의 평균 발달 곡선을 비교하여 피 측정자의 뇌 건강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The diagnostic module 108 may measure the first brain wave of the subject to be diagnosed through the brain wave measuring unit 102. The diagnostic module 108 compares the first brain wave data of the subject with the average related information of the first stored EEG data corresponding to the gender and the age of the subject to determine the brain health state (or brain development degree) of the subject Can be detected. For example, the diagnostic module 108 may detect the brain health state of the subject by comparing the first EEG data of the subject with the average development curve of the previously stored first EEG data.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진단 모듈(108)은 피 측정자의 제1 뇌파 데이터와 기 저장된 제1 뇌파 데이터의 평균값 또는 제1 뇌파 데이터의 평균 발달 곡선을 비교하여 피 측정자의 신경 전달 물질(예를 들어, 도파민, 노르에피네피린, 가바, 세로토닌 등)의 결핍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진단 모듈(108)은 신경 전달 물질의 결핍이 예측되는 경우, 신경 전달 물질의 결핍 정도에 따라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 측정자가 도파민 결핍으로 예측되는 경우, 진단 모듈(108)은 도파민을 강화하는 약물(예를 들어, 비타민, 미네랄, 허브 등)을 처방하거나 도파민 회로를 강화하는 뉴로 피드백 훈련을 처방할 수 있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diagnostic module 108 compares the first EEG data of the subject with the average value of the first stored EEG data or the average development curve of the first EEG data to determine the neurotransmitter of the subject (e.g., , Dopamine, norepinephrine, guar, serotonin, etc.) can be detected. The diagnostic module 108 may provide a solution depending on the degree of neurotransmitter deficiency if a deficiency of neurotransmitter is predicted. For example, if the subject is predicted to be dopamine deficient, the diagnostic module 108 may prescribe neurofeedback training to prescribe drugs that enhance dopamine (e.g., vitamins, minerals, herbs, etc.) can do.

진단 모듈(108)은 뇌파 측정부(102)를 통해 뇌 건강 상태를 진단하고자 하는 피 측정자의 제2 뇌파를 측정할 수 있다. 진단 모듈(108)은 피 측정자의 제2 뇌파 데이터와 해당 피 측정자의 성별 및 연령에 대응하는 기 저장된 제2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를 비교하여 피 측정자의 뇌 건강 상태(또는 뇌 발달 정도)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단 모듈(108)은 피 측정자의 제2 뇌파 데이터와 기 저장된 제2 뇌파 데이터의 평균 발달 곡선을 비교하여 피 측정자의 뇌 건강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The diagnostic module 108 may measure the second brain wave of the subject to be diagnosed through the brain wave measuring unit 102. The diagnostic module 108 compares the second EEG data of the subject with the average related information of the second EEG data corresponding to the gender and the age of the subject to determine the brain health state (or brain development degree) of the subject Can be detected. For example, the diagnostic module 108 can detect the brain health state of the subject by comparing the second brain wave data of the subject with the average development curve of the previously stored second brain wave data.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진단 모듈(108)은 피 측정자의 제2 뇌파 데이터와 기 저장된 제2 뇌파 데이터의 평균값 또는 제2 뇌파 데이터의 평균 발달 곡선을 비교하여 피 측정자의 전두엽 발달 상태(또는 전두엽 집행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진단 모듈(108)은 피 측정자의 전두엽 발달 상태가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전두엽 발달을 위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diagnostic module 108 compares the mean value of the second EEG data of the subject and the previously stored second EEG data or the average development curve of the second EEG data to determine the prefrontal development state of the subject State) can be diagnosed. The diagnostic module 108 may provide a solution for frontal lobe development if the subject's frontal lobe development state is below average.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뇌 건강 상태 진단 시스템에서, 제2 뇌파를 측정하기 위한 각 태스크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each task for measuring a second brain wave in the brain health condition diagnosis system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일정 시간 간격(예를 들어, 1000ms)을 두고 피 측정자들에게 2번의 자극(예를 들어, 그림 또는 사진)이 주어질 수 있다. 첫 번째 자극 및 두 번째 자극은 각각 100ms 동안 보여질 수 있다. 첫 번째 자극이 주어지기까지 300ms의 시간 간격이 있을 수 있다. 피 측정자들은 첫 번째 자극이 동물(A)이고 두 번째 자극도 동물(A)인 경우 버튼을 누르도록 교육을 받고, 첫 번째 자극이 동물(A)이고 두 번째 자극이 식물(P)인 경우 버튼을 누리지 않도록 교육을 받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subject may be given two stimuli (e.g., picture or picture) at regular time intervals (for example, 1000 ms). The first stimulus and the second stimulus may be seen for 100 ms each. There may be a time interval of 300ms until the first stimulus is given. Subjects are trained to press the button when the first stimulus is the animal (A) and the second stimulus is the animal (A), and if the first stimulus is the animal (A) and the second stimulus is the plant (P) You can be educated not to enjoy.

여기서, 억제력(NoGo Suppression) 태스크는 첫 번째 자극으로 동물(A)을 보여주고 두 번째 자극으로 식물(P)을 보여주면서 피 측정자의 반응에 따른 뇌파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피 측정자들은 두 번째 자극으로 식물(P)이 나온 경우 버튼을 누리지 않아야 한다.Here, the NoGo Suppression task can measure the EEG according to the response of the subject while showing the animal (A) as the first stimulus and the plant (P) as the second stimulus. At this time, the subjects should not enjoy the button when the plant (P) comes out with the second stimulus.

성찰력(NoGo Monitoring) 태스크는 억제력(NoGo Suppression) 태스크를 수행하면서 해당 피 측정자의 자기 인식에 따른 뇌파를 측정하게 된다. 즉, 피 측정자가 두 번째 자극으로 식물(P)이 보여졌을 때 자신이 바르게 행동했는지(즉, 버튼을 누리지 않은 경우) 또는 그르게 행동했는지(즉, 버튼을 누른 경우)에 대한 인식에 따른 뇌파를 측정하게 된다. The NoGo Monitoring task measures the EEG according to the self-recognition of the subject while performing the NoGo Suppression task. That is, when the subject measures the second stimulus P, the EEG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of whether or not he / she has acted correctly (that is, the button is not pressed) or has acted properly (that is, the button is pressed) .

작업 수행력(P3b) 태스크는 첫 번째 자극으로 동물(A)을 보여주고 두 번째 자극도 동물(A)을 보여주면서 피 측정자의 반응에 따른 뇌파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피 측정자들은 두 번째 자극으로 동물(A)이 나온 경우 버튼을 눌러야 한다. The task performance (P3b) task can measure the EEG according to the response of the subject while showing the animal (A) as the first stimulus and the second stimulus as the animal (A). At this time, the subjects should press the button when the animal (A) comes out as the second stimulus.

대기조건 작업 수행력(Cue P3) 태스크는 첫 번째 자극으로 동물(A)을 보여주었을 때 피 측정자의 반응에 따른 뇌파를 측정할 수 있다. 즉, 대기조건 작업 수행력 태스크는 첫 번째 자극으로 동물(A)을 보여주었을 때, 첫 번째 자극 바로 다음에 나오는 피 측정자들의 뇌파를 측정하게 된다.Atmospheric Condition Task Performing Ability (Cue P3) Task can measure EEG according to the subject's reaction when the animal (A) is shown as the first stimulus. In other words, the atmospheric condition task performance task measures the EEG of the subjects after the first stimulus when the animal (A) is shown as the first stimulus.

준비 능력(CNV) 태스크는 첫 번째 자극으로 동물(A)을 보여주고 그에 따른 피 측정자들의 두 번째 자극에 대한 준비 상태의 뇌파를 측정할 수 있다. 즉, 피 측정자들은 첫 번째 자극으로 동물(A)이 보여진 경우 두 번째 자극에 대해 반응할 상태에 있게 되는 바, 준비 능력 태스크는 첫 번째 자극으로 동물(A)을 보여주고, 두 번째 자극에 대한 반응 직전의 피 측정자들의 뇌파를 측정할 수 있다. The preparation ability (CNV) task can display the animal (A) as the first stimulus and measure the brain waves in the prepared state for the second stimulus of the subjects accordingly. That is, when the animal (A) is shown as the first stimulus, the subjects are in a state of reacting to the second stimulus. The preparation task shows the animal (A) as the first stimulus, The EEG of the subject immediately before the reaction can be measured.

적응 능력(Novelty) 태스크는 첫 번째 자극으로 식물(P)을 보여주고 두 번째 자극으로 사전 교육 시 언급하지 않았던 새로운 그림(예를 들어, 사람)을 보여주면서 소리를 들려주었을 때, 피 측정자들의 반응에 따른 뇌파를 측정할 수 있다. The Novelty task shows the plant (P) as the first stimulus and when the second stimulus shows a new picture (eg, a person) that was not mentioned in the previous training, Can be measured.

무시력(Ignore) 태스크는 첫 번째 자극으로 식물(P)을 보여주고 두 번째 자극도 식물(P)을 보여주었을 때, 피 측정자들의 반응에 따른 뇌파를 측정할 수 있다.
The Ignore task can measure the EEG according to the responses of the subjects when the first stimulus shows the plant (P) and the second stimulus shows the plant (P).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뇌 건강 상태 진단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시된 흐름도에서는 상기 방법을 복수 개의 단계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단계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단계와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단계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가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법에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들이 상기 방법과 함께 수행될 수도 있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agnosing a brain health condi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 the illustrated flow chart, the method is described as being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teps, but at least some of the steps may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combined with other steps, performed together, omitted, divided into detailed steps, One or more steps may be added and performed. Also, one or more steps not shown in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performed with the method.

도 3을 참조하면, 뇌파 측정부(102)는 정상적인 뇌 건강 상태의 소아 청소년(즉, 기준 소아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태스크를 수행하지 않은 경우의 제1 뇌파를 각각 측정한다(S 101). 예를 들어, 뇌파 측정부(102)는 기준 소아 청소년들의 델타파, 쎄타파, 알파파, SMR(Sensory Motor Rhythm), 베타파, 하이 베타파 등을 측정할 수 있다. 뇌파 측정부(102)는 제1 뇌파의 크기(Amplitude) 및 제1 뇌파의 발생 시점부터 제1 뇌파의 최대 진폭까지의 시간(Latency)을 측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EEG measuring unit 102 measures a first EEG in a case where a task is not performed on a normal adolescent child with normal brain health (i.e., a reference child) (S 101). For example, the EEG measuring unit 102 may measure the delta wave, theta wave, alpha wave, SMR (sensory motor rhythm), beta wave, and high beta wave of the reference child youth. The EEG measuring unit 102 may measure the amplitude of the first EEG and the latency from the time of the first EEG to the maximum amplitude of the first EEG.

다음으로, 뇌파 측정부(102)는 기준 소아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태스크를 수행한 경우의 제2 뇌파를 각각 측정한다(S 103). 예를 들어, 뇌파 측정부(102)는 기준 소아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억제력(NoGo Suppression) 태스크, 성찰력(NoGo Monitoring) 태스크, 작업 수행력(P3b) 태스크, 대기조건 작업 수행력(Cue P3) 태스크, 준비 능력(CNV) 태스크, 적응 능력(Novelty) 태스크, 무시력(Ignore) 태스크 등을 수행한 경우의 제2 뇌파를 측정할 수 있다. 뇌파 측정부(102)는 제2 뇌파의 크기(Amplitude) 및 제2 뇌파의 발생 시점부터 제2 뇌파의 최대 진폭까지의 시간(Latency)을 측정할 수 있다. Next, the EEG measuring unit 102 measures the second EEG when the task is performed on the reference child adolescents (S103). For example, the brain wave measuring unit 102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tasks such as a NoGo Suppression task, a NoGo Monitoring task, a P3b task, a Cue P3 task, (CNV) task, an adaptive ability (Novelty) task, and a non-visual (Ignore) task. The EEG measuring unit 102 may measure the amplitude of the second EEG and the time from the occurrence of the second EEG to the maximum amplitude of the second EEG.

다음으로, 데이터 처리부(104)는 기준 소아 청소년들의 성별 및 연령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제1 뇌파 데이터의 평균과 제2 뇌파 데이터의 평균을 산출한다(S 105).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104)는 기준 소아 청소년들의 성별 및 연령별에 따른 제1 뇌파 데이터의 평균을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106)에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04)는 기준 소아 청소년들의 성별 및 연령별에 따른 제2 뇌파 데이터의 평균을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106)에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04)는 제1 뇌파 데이터의 표준 편차 및 제2 뇌파 데이터의 표준 편차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104)는 기준 소아 청소년들의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제1 뇌파 데이터의 평균 발달 곡선 및 제2 뇌파 데이터의 평균 발달 곡선을 각각 산출할 수도 있다.Next, the data processing unit 104 calculates the average of the first brain wave data and the average of the second brain wave data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gender and the age of the reference child and adolescents (S 105). For example, the data processing unit 104 may calculate the average of the first brain wave data according to the gender and the age of the reference child and adolescents, and store the average in the database 106. The data processing unit 104 may calculate the average of the second brain wave data according to sex and age of the reference child and adolescents and store the average in the database 106. The data processing unit 104 may also calculate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first brain wave data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second brain wave data. In addition, the data processing unit 104 may calculate the average development curve of the first EEG data and the average development curve of the second EEG data according to gender and age of the reference child and adolescents.

다음으로, 뇌파 측정부(102)는 피 측정자(뇌 건강 상태를 진단하고자 하는 소아 청소년)를 대상으로 태스크를 수행하지 않은 경우의 제1 뇌파 및 태스크를 수행한 경우의 제2 뇌파를 각각 측정한다(S 107). Next, the EEG measuring unit 102 measures the first EEG when the subject is not performing the task and the second EEG when the task is performed on the subject (the child and adolescent to diagnose the brain health condition) (S 107).

다음으로, 진단 모듈(108)은 데이터베이스(106)에서 피 측정자의 성별 및 연령에 대응하는 제1 뇌파 데이터의 평균을 추출한다(S 109).Next, the diagnostic module 108 extracts the average of the first brain wave data corresponding to the gender and the age of the subject in the database 106 (S 109).

다음으로, 진단 모듈(108)은 피 측정자의 제1 뇌파 데이터와 추출한 제1 뇌파 데이터의 평균을 비교하여 피 측정자의 신경 전달 물질에 결핍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 111). 단계 S 111의 확인 결과, 피 측정자의 신경 전달 물질에 결핍이 있는 경우, 진단 모듈(108)은 결핍된 신경 전달 물질의 종류 및 결핍 정도에 따라 처방 정보를 생성한다(S 113). Next, the diagnostic module 108 compares the average of the first brain wave data of the subject with the extracted first brain wave data to check whether the neurotransmitter of the subject is deficient (S 111).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 111 that there is a deficiency in the neurotransmitter of the subject, the diagnostic module 108 generates prescrip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ype and deficiency of the deficient neurotransmitter (S 113).

다음으로, 진단 모듈(108)은 데이터베이스(106)에서 피 측정자의 성별 및 연령에 대응하는 제2 뇌파 데이터의 평균을 추출한다(S 115). Next, the diagnostic module 108 extracts the average of the second brain wave data corresponding to the gender and the age of the subject in the database 106 (S 115).

다음으로, 진단 모듈(108)은 피 측정자의 제2 뇌파 데이터와 추출한 제2 뇌파 데이터의 평균을 비교하여 피 측정자의 전두엽 집행 상태(또는 전두엽 발달 상태)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 117). 단계 S 117의 확인 결과, 피 측정자의 전두엽 집행 상태에 이상(異常)이 있는 경우, 진단 모듈(108)은 이상이 발생한 능력 및 이상 정도에 따라 처방 정보를 생성한다(S 119).
Next, the diagnostic module 108 compares the average of the second brain wave data of the subject and the extracted second brain wave data to check whether the frontal executive state (or the frontal lobe development state) of the subject is abnormal (S 117 ). As a result of the check in step S117, if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subject's frontal lobe execution state, the diagnostic module 108 generates prescrip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apability and abnormality of the abnormality (S119).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억제력 태스크(NoGo Suppression)에 따른 제2 뇌파의 평균 발달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의 (a)는 억제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크기(Amplitude)에 대한 평균 발달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의 (b)는 억제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레이턴시(Latency)에 대한 평균 발달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x 축은 기준 소아 청소년들의 나이를 나타내고, y 축은 표준화된 평균값을 나타낸다.4 is a graph showing an average development curve of the second EEG according to the suppression task (NoGo Suppression) in the exemplary embodiment. FIG. 4A is a graph showing an average development curve for the amplitude of the second EEG according to the suppression task, FIG. 4B is a graph showing the latency of the second EEG according to the suppression task, The graph shows the average development curve. Here, the x axis represents the age of the standard pediatric adolescents and the y axis represents the normalized mean value.

도 4의 (a)를 참조하면, 억제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크기 평균값은 기준 소아 청소년들의 나이가 높아질수록 커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4의 (a)에서 그래프(SG 1)는 억제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크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x 축은 시간(ms)을 나타내고, y 축은 전위(㎶)를 나타낸다. 억제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크기는 그래프(SG 1)에서 최대 진폭 값을 의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a), it can be seen that the mean value of the second EEG according to the restraining task increases as the age of the reference child and adolescents increases. 4A is a graph showing the magnitude of the second brain wave according to the suppression task. Here, the x-axis represents the time (ms) and the y-axis represents the potential (.). The magnitude of the second EEG according to the suppression task may mean the maximum amplitude value in the graph (SG 1).

도 4의 (b)를 참조하면, 억제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레이턴시 평균값은 기준 소아 청소년들의 나이가 높아질수록 작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4의 (b)에서 그래프(SG 2)는 억제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레이턴시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x 축은 시간(ms)을 나타내고, y 축은 전위(㎶)를 나타낸다. 억제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레이턴시는 기준 소아 청소년의 반응 시점부터 최대 진폭이 나타나기까지의 기간을 의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b), it can be seen that the latency average value of the second EEG according to the restraining task decreases as the age of the reference child and adolescents increases. 4 (b), the graph (SG 2) is a graph showing the latency of the second EEG according to the suppression task. Here, the x-axis represents the time (ms) and the y-axis represents the potential (.). The latency of the second EEG according to the suppression task may mean the period from the reaction time of the reference pediatric adolescent to the time when the maximum amplitude appears.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성찰력 태스크(NoGo Monitoring)에 따른 제2 뇌파의 평균 발달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의 (a)는 성찰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크기(Amplitude)에 대한 평균 발달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5의 (b)는 성찰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레이턴시(Latency)에 대한 평균 발달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x 축은 기준 소아 청소년들의 나이를 나타내고, y 축은 표준화된 평균값을 나타낸다.5 is a graph showing an average development curve of a second EEG according to a non-repetitive task (NoGo Monitoring) in the exemplary embodiment. FIG. 5A is a graph showing an average development curve for the amplitudes of the second EEG according to the introspection task, FIG. 5B is a graph showing the latency of the second EEG according to the introspection task, The graph shows the average development curve. Here, the x axis represents the age of the standard pediatric adolescents and the y axis represents the normalized mean value.

도 5의 (a)를 참조하면, 성찰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크기 평균값은 기준 소아 청소년들의 나이가 7 ~ 12세까지 일정하다가 13세 이상부터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5의 (a)에서 그래프(SG 3)는 성찰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크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x 축은 시간(ms)을 나타내고, y 축은 전위(㎶)를 나타낸다. 성찰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크기는 그래프(SG 3)에서 최대 진폭 값을 의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a), the average size of the second EEG according to the introspection task is found to be constant from 7 to 12 years of age and increase from 13 years of age or older. 5 (a) is a graph showing the magnitude of the second brain wave according to the introspection task. Here, the x-axis represents the time (ms) and the y-axis represents the potential (.). The magnitude of the second brain wave according to the introspection task may mean the maximum amplitude value in the graph (SG 3).

도 5의 (b)를 참조하면, 성찰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레이턴시 평균값은 기준 소아 청소년들의 나이가 높아질수록 작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5의 (b)에서 그래프(SG 4)는 성찰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레이턴시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x 축은 시간(ms)을 나타내고, y 축은 전위(㎶)를 나타낸다. 성찰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레이턴시는 기준 소아 청소년의 반응 시점부터 최대 진폭이 나타나기까지의 기간을 의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b), it can be seen that the latency average value of the second EEG according to the introspection task becomes smaller as the age of the reference child and adolescent becomes higher. 5 (b) is a graph showing the latency of the second EEG according to the introspection task. Here, the x-axis represents the time (ms) and the y-axis represents the potential (.). The latency of the second EEG according to the introspection task may mean the period from the reaction time of the reference pediatric adolescent to the time when the maximum amplitude appears.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작업 수행력(P3b)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평균 발달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의 (a)는 작업 수행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크기(Amplitude)에 대한 평균 발달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의 (b)는 작업 수행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레이턴시(Latency)에 대한 평균 발달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x 축은 기준 소아 청소년들의 나이를 나타내고, y 축은 표준화된 평균값을 나타낸다.FIG. 6 is a graph showing an average development curve of the second brain wave according to the task performance (P3b) task in the exemplary embodiment. FIG. 6A is a graph showing an average development curve for the amplitude of the second EEG according to the task performance task, FIG. 6B is a graph showing the latency of the second EEG according to the task performance task, And the average development curve of FIG. Here, the x axis represents the age of the standard pediatric adolescents and the y axis represents the normalized mean value.

도 6의 (a)를 참조하면, 작업 수행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크기 평균값은 기준 소아 청소년들의 나이가 7 ~ 8세까지는 증가하다가 9세부터 나이가 증가할 수록 다소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6의 (a)에서 그래프(SG 5)는 작업 수행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크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x 축은 시간(ms)을 나타내고, y 축은 전위(㎶)를 나타낸다. 작업 수행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크기는 그래프(SG 5)에서 최대 진폭 값을 의미할 수 있다. 6 (a), the average size of the second EEG according to the task performance task is increased from 7 to 8 years of age in the reference pediatric adolescents, and decreases slightly from 9 years of age . 6 (a) is a graph showing the magnitude of the second brain wave according to the task performance task. Here, the x-axis represents the time (ms) and the y-axis represents the potential (.). The size of the second EEG according to task performance task may mean the maximum amplitude value in the graph (SG 5).

도 6의 (b)를 참조하면, 작업 수행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레이턴시 평균값은 기준 소아 청소년들의 나이가 7 ~ 8세까지는 증가하고, 9 ~ 13세까지는 감소하다가, 14세 이후로 다시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6의 (b)에서 그래프(SG 6)는 작업 수행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레이턴시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x 축은 시간(ms)을 나타내고, y 축은 전위(㎶)를 나타낸다. 작업 수행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레이턴시는 기준 소아 청소년의 반응 시점부터 최대 진폭이 나타나기까지의 기간을 의미할 수 있다.
6B, the latency average value of the second EEG according to the task performance task increases as the age of the reference pediatric adolescents increases from 7 to 8 years, decreases from 9 to 13 years, Can be seen. 6 (b) is a graph showing the latency of the second EEG according to task performance task. Here, the x-axis represents the time (ms) and the y-axis represents the potential (.). The latency of the second EEG according to the task performance task may mean the period from the reaction time of the reference pediatric adolescent to the time when the maximum amplitude appears.

도 7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대기조건 작업 수행력(Cue P3)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평균 발달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의 (a)는 대기조건 작업 수행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크기(Amplitude)에 대한 평균 발달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의 (b)는 대기조건 작업 수행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레이턴시(Latency)에 대한 평균 발달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x 축은 기준 소아 청소년들의 나이를 나타내고, y 축은 표준화된 평균값을 나타낸다.FIG. 7 is a graph showing an average development curve of a second EEG according to a task of performing an atmospheric condition task performance (Cue P3) in the exemplary embodiment. FIG. 7A is a graph showing an average development curve for amplitude of a second EEG according to an atmospheric condition task performance task, and FIG. 7B is a graph showing a second EEG according to an atmospheric condition task performance task. The graph shows the average development curve for latency. Here, the x axis represents the age of the standard pediatric adolescents and the y axis represents the normalized mean value.

도 7의 (a)를 참조하면, 대기조건 작업 수행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크기 평균값은 기준 소아 청소년들의 나이가 7 ~ 9세까지는 증가하다가 10세부터 나이가 높아질 수록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7의 (a)에서 그래프(SG 7)는 대기조건 작업 수행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크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x 축은 시간(ms)을 나타내고, y 축은 전위(㎶)를 나타낸다. 대기조건 작업 수행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크기는 그래프(SG 7)에서 최대 진폭 값을 의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a), the average size of the second EEG according to the atmospheric condition task performance task increases with age from 7 to 9 years, and decreases with age from 10 years . 7A is a graph showing the magnitude of the second EEG according to the atmospheric condition task performance task. Here, the x-axis represents the time (ms) and the y-axis represents the potential (.). The magnitude of the second brain wave according to the atmospheric condition task performance task can mean the maximum amplitude value in the graph (SG 7).

도 7의 (b)를 참조하면, 대기조건 작업 수행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레이턴시 평균값은 기준 소아 청소년들의 나이가 높아질수록 다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대기조건 작업 수행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레이턴시 평균값은 나이에 따라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도 7의 (b)에서 그래프(SG 8)는 대기조건 작업 수행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레이턴시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x 축은 시간(ms)을 나타내고, y 축은 전위(㎶)를 나타낸다. 대기조건 작업 수행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레이턴시는 기준 소아 청소년의 반응 시점부터 최대 진폭이 나타나기까지의 기간을 의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b), the latency average value of the second EEG according to the atmospheric condition task performance task is slightly increased as the age of the reference child and adolescents increases.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latency average value of the second EEG according to the atmospheric condition task performance task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age. The graph (SG 8) in FIG. 7 (b) is a graph showing the latency of the second EEG according to the atmospheric condition task performance task. Here, the x-axis represents the time (ms) and the y-axis represents the potential (.). The latency of the second EEG according to the atmospheric condition task performance task may mean the period from the reaction time of the reference pediatric adolescent to the time when the maximum amplitude appears.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준비 능력(CNV)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에 대한 평균 발달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x 축은 기준 소아 청소년들의 나이를 나타내고, y 축은 표준화된 평균값을 나타낸다. 준비 능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경우, 두 번째 자극에 대한 반응 직전의 일정 기간(도 8에서는 1200ms에서 1400ms의 기간) 동안의 기준 소아 청소년의 두피에서 측정된 뇌파의 전위 중 기준 전위 이하인 면적(Area)을 산출하게 된다. 8 is a graph showing an average development curve for the second brain wave according to the preparation ability (CNV) task in the exemplary embodiment. Here, the x axis represents the age of the standard pediatric adolescents and the y axis represents the normalized mean value. In the case of the second brain wave according to the preparation ability task, the area of the electric potential of the brain EEG measured in the scalp of the reference child and adolescent during a certain period (1200 ms to 1400 ms in FIG. 8) immediately before the response to the second stimulus Area).

도 8을 참조하면, 준비 능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면적 평균값은 기준 소아 청소년들의 나이에 따라 변동이 큰 것을 볼 수 있다. 즉, 준비 능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면적 평균값은 기준 소아 청소년들의 나이가 7 ~ 9세까지는 증가하다가 10 ~ 13세까지는 감소하고, 14 ~ 16세까지는 다시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8에서 그래프(SG 9)는 준비 능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에 대해 기준 전위를 기준으로 기준 전위 이하의 면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x 축은 시간(ms)을 나타내고, y 축은 전위(㎶)를 나타낸다.
Referring to FIG. 8, the area average value of the second EEG according to the preparation ability task varies depending on the age of the reference child and adolescents. In other words, the mean area of the second EEG according to the preparation ability task is increased from 7 to 9 years of age, decreases from 10 to 13 years, and increases again from 14 to 16 years. 8, a graph (SG9) is a graph showing the area below the reference potential with reference to the reference potential for the second brain wave according to the preparation ability task. Here, the x-axis represents the time (ms) and the y-axis represents the potential (.).

도 9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적응 능력(Novelty)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평균 발달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의 (a)는 적응 능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크기(Amplitude)에 대한 평균 발달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9의 (b)는 적응 능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레이턴시(Latency)에 대한 평균 발달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x 축은 기준 소아 청소년들의 나이를 나타내고, y 축은 표준화된 평균값을 나타낸다.9 is a graph showing an average development curve of a second brain wave according to an adaptability ability (Novelty) task in the exemplary embodiment. FIG. 9A is a graph showing an average development curve for the amplitude of the second EEG according to the adaptive capability task, FIG. 9B is a graph showing the latency of the second EEG according to the adaptive capability task, And the average development curve of FIG. Here, the x axis represents the age of the standard pediatric adolescents and the y axis represents the normalized mean value.

도 9의 (a)를 참조하면, 적응 능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크기 평균값은 기준 소아 청소년들의 나이가 9 ~ 12세까지는 다소 감소하다가 13세부터 나이가 높아질 수록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9의 (a)에서 그래프(SG 10)는 적응 능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크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x 축은 시간(ms)을 나타내고, y 축은 전위(㎶)를 나타낸다. 적응 능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크기는 그래프(SG 10)에서 최대 진폭 값을 의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a), the average size of the second EEG according to the adaptive ability task is slightly decreased from 9 to 12 years of age and increases with age from 13 years old. 9A is a graph showing the magnitude of the second EEG according to the adaptive capability task. Here, the x-axis represents the time (ms) and the y-axis represents the potential (.). The magnitude of the second EEG according to the adaptive ability task may mean the maximum amplitude value in the graph (SG 10).

도 9의 (b)를 참조하면, 적응 능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레이턴시 평균값은 기준 소아 청소년들의 나이가 높아질수록 다소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9의 (b)에서 그래프(SG 11)는 적응 능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레이턴시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x 축은 시간(ms)을 나타내고, y 축은 전위(㎶)를 나타낸다. 적응 능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레이턴시는 기준 소아 청소년의 반응 시점부터 최대 진폭이 나타나기까지의 기간을 의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B, it can be seen that the latency average value of the second EEG according to the adaptive ability task decreases slightly as the age of the reference child and adolescents increases. 9 (b) is a graph showing the latency of the second EEG according to the adaptive capability task. Here, the x-axis represents the time (ms) and the y-axis represents the potential (.). The latency of the second EEG according to the adaptive ability task may mean the period from the reaction time of the reference pediatric adolescent to the time when the maximum amplitude appears.

도 10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무시력(Ignore)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평균 발달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의 (a)는 무시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크기(Amplitude)에 대한 평균 발달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0의 (b)는 무시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레이턴시(Latency)에 대한 평균 발달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x 축은 기준 소아 청소년들의 나이를 나타내고, y 축은 표준화된 평균값을 나타낸다.10 is a graph showing an average development curve of a second brain wave according to a non-vision task in the exemplary embodiment. FIG. 10A is a graph showing an average development curve for the magnitude of the second EEG according to the non-visual task, FIG. 10B is a graph showing the latency of the second EEG according to the non- And the average development curve of FIG. Here, the x axis represents the age of the standard pediatric adolescents and the y axis represents the normalized mean value.

도 10의 (a)를 참조하면, 무시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크기 평균값은 기준 소아 청소년들의 나이가 높아질 수록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10의 (a)에서 그래프(SG 12)는 무시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크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x 축은 시간(ms)을 나타내고, y 축은 전위(㎶)를 나타낸다. 무시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크기는 그래프(SG 12)에서 최대 진폭 값을 의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a), it can be seen that the mean value of the second EEG according to the non-visual task decreases as the age of the reference child and adolescents increases. In FIG. 10 (a), the graph (SG 12) is a graph showing the magnitude of the second brain wave according to the non-vision task. Here, the x-axis represents the time (ms) and the y-axis represents the potential (.). The magnitude of the second brain wave according to the non-visual task can mean the maximum amplitude value in the graph (SG 12).

도 10의 (b)를 참조하면, 무시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레이턴시 평균값은 기준 소아 청소년들의 나이가 높아질수록 다소 증가하다가 12세를 기준으로 다소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10의 (b)에서 그래프(SG 13)는 무시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레이턴시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x 축은 시간(ms)을 나타내고, y 축은 전위(㎶)를 나타낸다. 무시력 태스크에 따른 제2 뇌파의 레이턴시는 기준 소아 청소년의 반응 시점부터 최대 진폭이 나타나기까지의 기간을 의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b), the latency average value of the second EEG according to the non-visual task is slightly increased as the age of the reference pediatric adolescents increases, and then decreases slightly at the age of 12 years. The graph (SG 13) in FIG. 10 (b) is a graph showing the latency of the second EEG according to the non-visual task. Here, the x-axis represents the time (ms) and the y-axis represents the potential (.). The latency of the second EEG according to the non-visual task can mean the period from the reaction time of the pediatric adolescent to the time when the maximum amplitude appears.

도 1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도시한다.11 illustrates a computing environment including an exemplary computing device suitable for use in the exemplary embodiments.

도 11에 도시된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200)은 컴퓨팅 장치(210)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각 구성은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되지 않았더라도 그 구성에 적합한 컴포넌트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210)는 뇌파를 측정하여 뇌 건강 상태를 진단하는 장치 또는 시스템(예를 들어, 뇌 건강 상태 진단 장치(100))일 수 있다.The exemplary computing environment 200 shown in FIG. 11 includes a computing device 210. Typically, each configuration may have different functions and capabilities, and may additionally include components that are appropriate for the configuration, even if not described below. The computing device 210 may be an apparatus or system (e.g., brain health condition diagnostic apparatus 100) that measures brain waves to diagnose brain health conditions.

컴퓨팅 장치(2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2),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214) 및 버스(26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12)는 버스(260)와 연결되고, 버스(260)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214)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210)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프로세서(212)에 연결한다.The computing device 210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212,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214, and a bus 260. The processor 212 is coupled to the bus 260 and the bus 260 includes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214 to connect the various other components of the computing device 210 to the processor 212.

프로세서(212)는 컴퓨팅 장치(210)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12)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214)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고,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214)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212)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210)로 하여금 소정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rocessor 212 may cause the computing device 210 to operate in accordance with the exemplary embodiment discussed above. For example, the processor 212 may execute 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 stored in th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214, and 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 stored in th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214 may be executed by the processor 212 The computing device 210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operations in accordance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214)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예컨대, 애플리케이션(230)에 포함되는 명령어), 프로그램 데이터(예컨대, 애플리케이션(230)에 의해 사용되는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214)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230)은 프로세서(212)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소정의 집합을 포함한다.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214 may store 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 or program code (e.g., instructions contained in application 230), program data (e.g., data used by application 230), and / As shown in FIG. The application 230 stored in th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214 includes a predetermined set of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processor 212. [

도 11에 도시된 메모리(216) 및 저장 장치(218)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214)의 예이다. 메모리(216)에는 프로세서(212)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가 로딩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6)에는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메모리(216)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저장 장치(218)는 정보의 저장을 위한 하나 이상의 착탈 가능하거나 착탈 불가능한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저장 장치(218)는 하드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컴퓨팅 장치(210)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The memory 216 and the storage device 218 shown in FIG. 11 are examples of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214. The memory 216 may be loaded with 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s that may be executed by the processor 212. Also, the program data may be stored in the memory 216. [ For example, such memory 216 may be volatile memory, such as random access memory, non-volatile memory, or any suitable combination thereof. As another example, the storage device 218 may include one or more removable or non-removable components for storage of information. For example, the storage device 218 may be a hard disk, flash memory, magnetic disk, optical disk, any other form of storage medium that can be accessed by the computing device 210 and store the desired information, or any suitable combination thereof.

컴퓨팅 장치(210)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270)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0)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0)는 버스(260)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27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20)를 통해 컴퓨팅 장치(210)(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입출력 장치(270)는 포인팅 장치,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 음성 입력 장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mputing device 210 may also include one or more input / output interfaces 220 that provide an interface for one or more input / output devices 270. The input / output interface 220 is connected to the bus 260. The input / output device 270 may be connected to (other components of) the computing device 210 via the input / output interface 220. The input / output device 270 includes an input device such as a pointing device, a keyboard, a touch input device, a voice input device, a sensor device and / or a photographing device and / or an output device such as a display device, printer, speaker and / can do.

한편, 소정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과정을 컴퓨터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certain embodiments may include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omprising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procedures described herein on a computer. Such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local data files, local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py disks, and ROMs,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the same program instructions.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may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may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equivalents to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100 : 뇌 건강 상태 진단 장치
102 : 뇌파 측정부
104 : 데이터 처리부
106 : 데이터베이스
108 : 진단 모듈
100: Brain health condition diagnosis device
102: EEG measurement unit
104:
106: Database
108: Diagnostic module

Claims (20)

뇌 건강 상태 진단 장치에서, 기준 소아 청소년들의 태스크를 수행하지 않은 상태의 제1 뇌파 데이터 및 태스크를 수행한 상태의 제2 뇌파 데이터를 각각 획득하는 단계;
상기 뇌 건강 상태 진단 장치에서, 상기 획득한 제1 뇌파 데이터 및 제2 뇌파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 소아 청소년들의 성별 및 연령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제1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 및 제2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를 각각 산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뇌 건강 상태 진단 장치에서, 피 측정자의 태스크를 수행하지 않은 상태의 제1 뇌파 데이터 및 태스크를 수행한 상태의 제2 뇌파 데이터를 각각 획득하는 단계;
상기 뇌 건강 상태 진단 장치에서, 상기 피 측정자의 성별 및 연령과 대응되는 제1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 및 제2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를 각각 추출하는 단계;
상기 뇌 건강 상태 진단 장치에서, 상기 피 측정자의 제1 뇌파 데이터와 상기 제1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피 측정자의 제2 뇌파 데이터와 상기 제2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뇌 건강 상태 진단 장치에서,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피 측정자의 뇌 건강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아 청소년의 뇌 건강 상태 진단 방법.
Acquiring first brain wave data in a state in which the task of the reference child and adolescents is not performed and second brain wave data in a state in which the task is performed, in the brain health state diagnostic apparatus;
The apparatus for diagnosing brain health may further comprise means for obtaining average related information of first brain wave data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gender and age of the reference child and adolescents using the acquired first brain wave data and second brain wave data, Calculating and storing the average related information, respectively;
Acquiring first brain wave data in a state in which the task of the subject is not performed and second EEG data in a state in which the task is performed, in the brain health state diagnostic apparatus;
Extracting average related information of first EEG data and average related information of second EEG data corresponding to gender and age of the subject in the brain health state diagnostic apparatus;
The apparatus for diagnosing brain health states may further comprise means for comparing the first EEG data of the subject with the average related information of the first EEG data and comparing the second EEG data of the subject with the average related information of the second EEG data ; And
And diagnosing the brain health state of the subjec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in the brain health state diagnostic apparatu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뇌파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태스크는,
억제력(NoGo Suppression) 태스크, 성찰력(NoGo Monitoring) 태스크, 작업 수행력(P3b) 태스크, 대기조건 작업 수행력(Cue P3) 태스크, 준비 능력(CNV) 태스크, 적응 능력(Novelty) 태스크, 및 무시력(Ignore) 태스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아 청소년의 뇌 건강 상태 진단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ask for acquiring the second brain wave data comprises:
NoGo Suppression task, NoGo Monitoring task, P3b task, Cue P3 task, CNV task, Novelty task, and Ignore ) Tasks,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는, 상기 제1 뇌파의 크기(Amplitude)의 평균값, 상기 제1 뇌파의 크기의 표준 편차, 및 상기 제1 뇌파의 크기의 연령별 평균 발달 곡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는, 상기 제2 뇌파의 크기(Amplitude)의 평균값, 상기 제2 뇌파의 레이턴시(Latency)의 평균값, 상기 제2 뇌파의 크기의 표준 편차, 상기 제2 뇌파의 레이턴시의 표준 편차, 상기 제2 뇌파의 크기의 연령별 평균 발달 곡선, 및 상기 제2 뇌파의 레이턴시의 연령별 평균 발달 곡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아 청소년의 뇌 건강 상태 진단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verage related information of the first EEG data includes at least one of an average value of the amplitude of the first EEG, a standard deviation of a size of the first EEG, and an average development curve of a size of the first EEG according to age and,
The average related information of the second EEG data may be an average value of the amplitude of the second EEG, an average value of the latency of the second EEG, a standard deviation of a size of the second EEG, A standard deviation of the latency, an average development curve of the second brain wave size according to the age, and an average development curve of the latency of the second brain wav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뇌파 데이터는, 델타파, 쎄타파, 알파파, SMR(Sensory Motor Rhythm), 베타파, 및 하이 베타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피 측정자의 뇌 건강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는, 상기 피 측정자의 제1 뇌파 데이터 및 상기 제1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피 측정자의 신경 전달 물질 결핍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아 청소년의 뇌 건강 상태 진단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brain wave data includes at least one of delta wave, theta wave, alpha wave, SMR (Sensory Motor Rhythm), beta wave, and high beta wave,
The step of diagnosing the brain health state of the subject includes checking whether the neurotransmitter is deficient in the subjec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first brain wave data of the subject and the average related information of the first brain wave data A method of diagnosing brain health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cluding.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피 측정자의 신경 전달 물질에 결핍이 발생한 경우, 상기 뇌 건강 상태 진단 장치에서, 상기 결핍된 신경 전달 물질의 종류 및 상기 결핍 정도에 따라 처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소아 청소년의 뇌 건강 상태 진단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generating prescrip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deficient neurotransmitter and the degree of deficiency in the brain health state diagnostic apparatus when deficiency occurs in the neurotransmitter of the subject, How to diagnose your health condi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뇌파 데이터는, 상기 피 측정자가 억제력(NoGo Suppression) 태스크, 성찰력(NoGo Monitoring) 태스크, 작업 수행력(P3b) 태스크, 대기조건 작업 수행력(Cue P3) 태스크, 준비 능력(CNV) 태스크, 적응 능력(Novelty) 태스크, 및 무시력(Ignore) 태스크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면서 측정된 뇌파에 대한 데이터이고,
상기 피 측정자의 뇌 건강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는, 상기 피 측정자의 제2 뇌파 데이터 및 상기 제2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피 측정자의 전두엽 발달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아 청소년의 뇌 건강 상태 진단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brain wave data includes at least one of a NoGo Suppression task, a NoGo Monitoring task, a P3b task, a Cue P3 task, a CNV task, A Novelty task, and an Ignore task, which are measured on the basis of the measured EEG,
Wherein the step of diagnosing the brain health state of the subject includes a step of confirming a state of development of the frontal lobe of the subject according to a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the second brain wave data of the subject and the average related information of the second brain wave data Diagnosis of brain health in children and adolescents.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피 측정자의 전두엽 발달 상태에 이상이 있는 경우, 상기 뇌 건강 상태 진단 장치에서, 상기 이상이 있는 능력 및 상기 이상 정도에 따라 처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소아 청소년의 뇌 건강 상태 진단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generating the prescrip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bnormal ability and the abnormal condition in the brain health condition diagnostic apparatus when abnormality occurs in the frontal lobe development state of the subject as a result of the checking, Methods for diagnosing brain health conditions.
뇌 건강 상태 진단 장치에서, 기준 소아 청소년들의 태스크를 수행한 상태의 뇌파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뇌 건강 상태 진단 장치에서, 상기 획득한 뇌파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 소아 청소년들의 성별 및 연령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를 산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뇌 건강 상태 진단 장치에서, 피 측정자의 태스크를 수행한 상태의 뇌파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뇌 건강 상태 진단 장치에서, 상기 피 측정자의 성별 및 연령과 대응되는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뇌 건강 상태 진단 장치에서, 상기 피 측정자의 뇌파 데이터와 상기 추출한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뇌 건강 상태 진단 장치에서,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피 측정자의 뇌 건강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아 청소년의 뇌 건강 상태 진단 방법.
Acquiring brain wave data in a state of performing a task of a reference child and adolescent child in a brain health state diagnostic apparatus;
Calculating and storing average related information of brain wave data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gender and age of the reference child and adolescent youth using the acquired brain wave data;
Acquiring brain wave data in a state in which the task of the subject is performed in the brain health state diagnostic apparatus;
Extracting average related information of brain wave data corresponding to gender and age of the subject in the brain health state diagnostic apparatus;
Comparing the brain wave data of the subject with the average related information of the extracted brain wave data in the brain health state diagnostic apparatus; And
And diagnosing the brain health state of the subjec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in the brain health state diagnostic apparatus.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뇌파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태스크는,
억제력(NoGo Suppression) 태스크, 성찰력(NoGo Monitoring) 태스크, 작업 수행력(P3b) 태스크, 대기조건 작업 수행력(Cue P3) 태스크, 준비 능력(CNV) 태스크, 적응 능력(Novelty) 태스크, 및 무시력(Ignore) 태스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아 청소년의 뇌 건강 상태 진단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task for acquiring the brain wave data comprises:
NoGo Suppression task, NoGo Monitoring task, P3b task, Cue P3 task, CNV task, Novelty task, and Ignore ) Tasks,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는,
상기 뇌파의 크기(Amplitude)의 평균값, 상기 뇌파의 레이턴시(Latency)의 평균값, 상기 뇌파의 크기의 표준 편차, 상기 뇌파의 레이턴시의 표준 편차, 상기 뇌파의 크기의 연령별 평균 발달 곡선, 및 상기 뇌파의 레이턴시의 연령별 평균 발달 곡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아 청소년의 뇌 건강 상태 진단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average related information of the brain wave data includes:
The mean value of the EEG amplitude, the mean value of the EEG latency,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size of the EEG,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EEG latency, the average development curve of the EEG size according to age, A method for diagnosing brain health condition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comprising at least one of average developmental curves by latenc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뇌파 데이터는, 상기 피 측정자가 억제력(NoGo Suppression) 태스크, 성찰력(NoGo Monitoring) 태스크, 작업 수행력(P3b) 태스크, 대기조건 작업 수행력(Cue P3) 태스크, 준비 능력(CNV) 태스크, 적응 능력(Novelty) 태스크, 및 무시력(Ignore) 태스크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면서 측정된 뇌파에 대한 데이터이고,
상기 피 측정자의 뇌 건강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는, 상기 피 측정자의 뇌파 데이터 및 상기 추출한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피 측정자의 전두엽 발달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아 청소년의 뇌 건강 상태 진단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EG data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NoGo Suppression task, a NoGo Monitoring task, a P3b task, a Cue P3 task, a CNV task, Novelty task, and an Ignore task, respectively,
Wherein the step of diagnosing the brain health state of the subject comprises the step of checking the developmental state of the frontal lobe of the subject in accordance with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brain wave data of the subject and the average related information of the extracted brain wave data, A method for diagnosing a brain health condition.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피 측정자의 전두엽 발달 상태에 이상이 있는 경우, 상기 뇌 건강 상태 진단 장치에서, 상기 이상이 있는 능력 및 상기 이상 정도에 따라 처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소아 청소년의 뇌 건강 상태 진단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generating the prescrip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bnormal ability and the abnormal condition in the brain health condition diagnostic apparatus when abnormality occurs in the frontal lobe development state of the subject as a result of the checking, Methods for diagnosing brain health conditions.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장치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그램은,
피 측정자의 태스크를 수행하지 않은 상태의 제1 뇌파 데이터 및 태스크를 수행한 상태의 제2 뇌파 데이터를 각각 획득하는 단계;
상기 피 측정자의 성별 및 연령과 대응되는 제1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 및 제2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를 각각 추출하는 단계;
상기 피 측정자의 제1 뇌파 데이터와 상기 제1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피 측정자의 제2 뇌파 데이터와 상기 제2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피 측정자의 뇌 건강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장치.
One or more processors;
Memory; And
An apparatus comprising one or more programs,
Wherein the one or more programs are stored in the memory and are configured to be executed by the one or more processors,
The program includes:
Acquiring first brain wave data in a state in which a task of a subject is not performed and second brain wave data in a state in which a task is performed;
Extracting average related information of first EEP data and average related information of second EEP data corresponding to gender and age of the subject;
Comparing the first EEG data of the subject with the average related information of the first EEG data and comparing the second EEG data of the subject with the average related information of the second EEG data; And
And diagnosing a brain health condition of the subjec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2 뇌파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태스크는,
억제력(NoGo Suppression) 태스크, 성찰력(NoGo Monitoring) 태스크, 작업 수행력(P3b) 태스크, 대기조건 작업 수행력(Cue P3) 태스크, 준비 능력(CNV) 태스크, 적응 능력(Novelty) 태스크, 및 무시력(Ignore) 태스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task for acquiring the second brain wave data comprises:
NoGo Suppression task, NoGo Monitoring task, P3b task, Cue P3 task, CNV task, Novelty task, and Ignore ) Tasks.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피 측정자의 뇌 건강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피 측정자의 제2 뇌파 데이터 및 상기 제2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피 측정자의 전두엽 발달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program may further comprise, in the step of diagnosing the brain health state of the subject,
And checking the frontal lobe development state of the subject according to a comparison result of the second EEG data of the subject and the average related information of the second EEG data.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피 측정자의 전두엽 발달 상태에 이상이 있는 경우, 상기 이상이 있는 능력 및 상기 이상 정도에 따라 처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program includes:
And generating the prescrip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nomaly and the anomaly if the determination results in an abnormality in the prefrontal development state of the subject.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장치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그램은,
피 측정자의 태스크를 수행한 상태의 뇌파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피 측정자의 성별 및 연령과 대응되는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피 측정자의 뇌파 데이터와 상기 추출한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피 측정자의 뇌 건강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One or more processors;
Memory; And
An apparatus comprising one or more programs,
Wherein the one or more programs are stored in the memory and are configured to be executed by the one or more processors,
The program includes:
Acquiring brain wave data in a state in which a task of a subject is performed;
Extracting average related information of brain wave data corresponding to sex and age of the subject;
Comparing brain wave data of the subject with average related information of the extracted brain wave data; And
And diagnosing the brain health state of the subjec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뇌파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태스크는,
억제력(NoGo Suppression) 태스크, 성찰력(NoGo Monitoring) 태스크, 작업 수행력(P3b) 태스크, 대기조건 작업 수행력(Cue P3) 태스크, 준비 능력(CNV) 태스크, 적응 능력(Novelty) 태스크, 및 무시력(Ignore) 태스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task for acquiring the brain wave data comprises:
NoGo Suppression task, NoGo Monitoring task, P3b task, Cue P3 task, CNV task, Novelty task, and Ignore ) Tasks.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피 측정자의 뇌 건강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피 측정자의 뇌파 데이터 및 상기 추출한 뇌파 데이터의 평균 관련 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피 측정자의 전두엽 발달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program may further comprise, in the step of diagnosing the brain health state of the subject,
And checking the frontal development status of the subject according to a comparison result of the subject's brain wave data and the average related information of the extracted brain wave data.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피 측정자의 전두엽 발달 상태에 이상이 있는 경우, 상기 이상이 있는 능력 및 상기 이상 정도에 따라 처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9,
The program includes:
And generating the prescrip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nomaly and the anomaly if the determination results in an abnormality in the prefrontal development state of the subject.
KR1020150151311A 2015-10-29 2015-10-29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brain health status of child young people and apparatus executing the method KR1024617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311A KR102461705B1 (en) 2015-10-29 2015-10-29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brain health status of child young people and apparatus execut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311A KR102461705B1 (en) 2015-10-29 2015-10-29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brain health status of child young people and apparatus executing the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150A true KR20170050150A (en) 2017-05-11
KR102461705B1 KR102461705B1 (en) 2022-11-01

Family

ID=58741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1311A KR102461705B1 (en) 2015-10-29 2015-10-29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brain health status of child young people and apparatus executing th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1705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47772A (en) * 2019-09-25 2019-12-10 北京师范大学 Individual age prediction method based on brain signal complexity
WO2020054918A1 (en) * 2018-09-14 2020-03-19 주식회사 아이메디신 Method for diagnosing cognitive disorder, and computer program
CN112773376A (en) * 2019-11-07 2021-05-11 简世纬 Brain intelligent development detection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6339A (en) 2011-03-18 2012-09-26 주식회사 비엠텍월드와이드 System for analysing brain wave with acupunctural stimulus
WO2012165602A1 (en) * 2011-05-31 2012-12-06 国立大学法人名古屋工業大学 Cognitive dysfunction-determining equipment, cognitive dysfunction-determining system, and progra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6339A (en) 2011-03-18 2012-09-26 주식회사 비엠텍월드와이드 System for analysing brain wave with acupunctural stimulus
WO2012165602A1 (en) * 2011-05-31 2012-12-06 国立大学法人名古屋工業大学 Cognitive dysfunction-determining equipment, cognitive dysfunction-determining system, and program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4918A1 (en) * 2018-09-14 2020-03-19 주식회사 아이메디신 Method for diagnosing cognitive disorder, and computer program
US11627903B2 (en) 2018-09-14 2023-04-18 Imedisync, Inc. Method for diagnosing cognitive disorder, and computer program
CN110547772A (en) * 2019-09-25 2019-12-10 北京师范大学 Individual age prediction method based on brain signal complexity
CN110547772B (en) * 2019-09-25 2020-09-15 北京师范大学 Individual age prediction method based on brain signal complexity
CN112773376A (en) * 2019-11-07 2021-05-11 简世纬 Brain intelligent development detec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1705B1 (en) 202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37296A1 (en) A sensory evoked diagnostic for the assessment of cognitive brain function
Gosseries et al. Disorders of consciousness: what's in a name?
CA2976860C (en) Systems and methods for brain activity interpretation
US200700669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human emotion by analyzing eye properties
JP2018521830A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nd improving attention deficits
KR20190059376A (en) Brain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platform and method using drain wave analysis
Badcock et al. dopOSCCI: A functional transcranial Doppler ultrasonography summary suite for the assessment of cerebral lateralization of cognitive function
KR101768332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time depression detection
CN107683103B (en) System for supporting elderly, infirm and/or diseased people
JP7006597B2 (en) Mental and physical condition measuring device, mental and physical condition measuring method, mental and physical condition measuring program and storage medium
KR20170050150A (en) Method for diagnosis brain health state of child young people and apparatus executing the method
Balconi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coma near coma, disability ratings, and event-related potentials in patients with disorders of consciousness: a semantic association task
Mulkey et al. Methods of identifying delirium: A research protocol
Kim et al. Cognitive-motor dissociation following pediatric brain injury: what about the children?
US20210315507A1 (en) System and methods for consciousness evaluation in non-communicating subjects
Susam et al. Quantitative eeg changes in youth with asd following brief mindfulness meditation exercise
KR102260180B1 (en)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for video head impulse test using deep learning method and system
Lin et al. Objective pain measurement based on physiological signals
Harrison et al. EEG and fMRI agree: Mental arithmetic is the easiest form of imagery to detect
Boutros et al. Evoked potentials investigations of deficit versus nondeficit schizophrenia: EEG-MEG preliminary data
Devalle et al. Cardio-respiratory autonomic responses to nociceptive stimuli in patients with disorders of consciousness
Pel et al. Orienting responses to various visual stimuli in children with visual processing impairments or infantile nystagmus syndrome
JP2024503752A (en) fMRI test monitoring
RaviPrakash et al. Do It Yourself: Wearable Sensors and AI for Self‐Assessment of Mental Health
Balconi State of consciousness and ERP (event-related potential) measure: diagnostic and prognostic value of electrophysiology for disorders of consciousn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