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9857A - 적응적 수신기 운용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적응적 수신기 운용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9857A
KR20170049857A KR1020150150704A KR20150150704A KR20170049857A KR 20170049857 A KR20170049857 A KR 20170049857A KR 1020150150704 A KR1020150150704 A KR 1020150150704A KR 20150150704 A KR20150150704 A KR 20150150704A KR 20170049857 A KR20170049857 A KR 20170049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receiver
information
terminal
inter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0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5987B1 (ko
Inventor
나민수
최창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0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5987B1/ko
Publication of KR20170049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9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5/00Suppression or limitation of noise or interference
    • H04B15/02Reducing interference from electric apparatus by means located at or near the interfer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1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for calibration; for correcting measur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접속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에 연결된 단말에 적용될 수신기 타입을 기지국의 환경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경하여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적응적 수신기 운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응적 수신기 운용 방법은 단말의 간섭에 영향을 주는 기지국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단말이 기지국에 연결되면, 상기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 타입의 수신기를 포함하는 단말에서 사용할 수신기 타입을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수신기 타입을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적응적 수신기 운용 방법 및 장치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ADAPTIVE RECEIVER}
본 발명은 무선 접속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에 연결된 단말에 적용될 수신기 타입을 기지국의 환경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경하여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적응적 수신기 운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 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이동통신(Mobile Communication)은 음성 트래픽 위주로 서비스를 제공하던 과거와 달리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3G/4G 이동통신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수백 Mbps(Megabytes per second) 이상을 전송하는 백홀 링크가 점차 늘어났으며, 5G 이동통신 등 차세대 이동통신이 등장함에 따라 Gbps(Gigabytes per second) 이상의 무선 전송 필요성이 증대되어 수백MHz 이상의 대역폭 확보가 용이한 밀리미터파 대역의 주파수가 주목을 받고 있고,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이 표준화 논의를 시작하는 등 각 기업과 단체에서 5G 요소 기술 개발 및 표준 기술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의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 (Long Term Evolution), LTE-A (Long Term Evolution Advanced), 3GPP2의 HRPD(High Rate Packet Data), 그리고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의 802.16 등 다양한 이동 통신 표준이 고속, 고품질의 무선 패킷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그러나 5G 이동통신 방식의 핵심 성능인 사용자 체감 데이터 전송 속도(User Experienced Data Rate)나 주파수 효율성(Spectral Efficiency)은 단순 주파수 확장만으로는 목표량의 달성에 어려움이 있다.
사용자 체감 데이터 전송 속도와 주파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는 간섭의 억제가 필요하며, 현재 3GPP RAN(Radio Access Network)에서는 보다 근본적으로 간섭을 제거하기 위해 기지국 내부 또는 기지국 사이의 간섭을 직접 억제할 수 있는 수신기 관련 표준 기술을 정의하고 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수신기들이 정의 및 규격화되었으며, 이렇게 규격화를 통해 정의된 수신기는 SINR(Signal-to-Interference Plus Noise Ratio)과 관련된 성능은 향상된 모습을 보이나, 그 연산의 복잡성이 높아져 자원 소모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기지국 환경에 따라서는 성능 향상 정도가 기존의 수신기에 비해 월등하지 못한 문제가 발생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12714호, 2015년 10월 07일 공개 (명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 방법 및 그 장치)
이에 본 발명은, 단말과 기지국의 환경에 맞는 수신기의 운용으로 보다 적은 자원을 소모하여 간섭을 억제하고, 기존의 수신기보다 높은 성능을 실현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기지국이 그 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단말에 간섭을 주는 요소를 찾아내고, 이를 기반으로 복수의 수신기를 포함하는 단말이 사용할 수신기 타입을 설정하여 이를 단말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단말의 간섭에 영향을 주는 기지국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단말이 기지국에 연결되면, 상기 수집된 기지국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 타입의 수신기를 포함하는 단말에서 사용할 수신기 타입을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수신기 타입을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적응적 수신기 운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상은, 안테나 단에 연결되는 RF 신호 처리부; 상기 RF 신호 처리부에 연결된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 백홀망과 연결되는 백홀 링크(Backhaul Link); 및 상기 RF 신호 처리부와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 백홀 링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단말의 간섭에 영향을 주는 기지국 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단말이 기지국에 연결되면, 상기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 타입의 수신기를 포함하는 단말에서 사용할 수신기 타입을 설정하며, 설정된 수신기 타입을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지국에서 간섭의 발생 원인과 정도에 따라 적합한 성능을 낼 수 있는 수신기를 선택하고 이 정보를 복수의 수신기를 포함하는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적은 자원을 소모하여 기존의 수신기보다 월등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체감 데이터 전송 속도와 주파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간섭의 억제를 통한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 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매크로 셀 기지국 사이의 간섭 환경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매크로 셀 및 소형 셀 기지국 사이의 간섭 환경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적응적 수신기를 포함하는 단말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내의 수신부의 적응적 수신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응적 수신기 운용 방법을 수행하는 기지국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응적 수신기 운용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응적 수신기 운용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의 특징 및 이점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3GPP에서 제안한 RAN 시스템 환경을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며, 매크로 셀(Macro Cell)의 커버리지(Coverage) 내의 음영지역 또는 통신 집중 지역 등에 소형 셀(Small Cell)이 설치되는 5G 기반 이동통신시스템을 고려한 것이지만,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 및 채널형태를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에도 본 발명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약간의 변형으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백홀(Backhaul)은 기지국과 백본(Backbone)망 사이에 데이터를 모아서 전달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통상, 무선 통신 시스템의 경우, 기지국과 백본망 간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백홀은 상기 매크로 셀 기지국 사이에서 형성되는 것과 소형 셀 기지국 간의 백홀 형성까지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더하여,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할 경우, 이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 및 특허 청구 범위에서, "네트워크"는 컴퓨터 시스템들 및/또는 모듈들 간의 전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링크로서 정의된다. 정보가 네트워크 또는 다른 (유선, 무선, 또는 유선 또는 무선의 조합인) 통신 접속을 통하여 컴퓨터 시스템에 전송되거나 제공될 때, 이 접속은 컴퓨터-판독가능매체로서 이해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구조를 가지거나 전달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의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PROM, CD-ROM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장치, 또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된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하거나 전달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와 같은 물리적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면, 범용 컴퓨터 시스템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시스템이 특정 기능 또는 기능의 그룹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 및 데이터를 포함한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면, 어셈블리어, 또는 심지어는 소스코드와 같은 이진, 중간 포맷 명령어일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응적 수신기 운용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따른 적응적 수신기 운용을 위한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매크로 셀 사이의 간섭 환경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매크로 셀 사이의 간섭 환경은 복수의 기지국(200-1,200-2)과 복수의 단말(100-1, 100-2)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단말(100-1, 100-2)은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 장치를 의미한다. 여기서, 단말(Terminal)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AMS(Advanced Mobile Station), WT(Wireless terminal), MTC(Machine-Type Communication) 장치, M2M(Machine-to-Machine) 장치, D2D 장치(Device-to-Device), 스테이션(STA: Station)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무선 통신망에 연결된 장치이면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단말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유닛들과 동등한 수준의 유닛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100-1, 100-2)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단말(100-1, 100-2)은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단말(100-1, 100-2)은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브라우저,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1, 100-2)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100-1, 100-2)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타블렛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Player 등의 무선 통신 기술이 적용되는 이동 단말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1, 100-2)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기지국(200-1, 200-2)은 하나 이상의 단말(100-1, 100-2)과 무선 자원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기지국(base station, BS)은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 B, eNodeB),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노드B, eNodeB, AP, RAS, BTS,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BSC(Base Station Controller), RNC(Radio Network Controller)와 같은 기지국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기지국(200-1, 200-2)은 단말(100-1, 100-2)에 무선 신호를 송신하며, 구체적으로는 하나 의상의 빔포밍(Beamforming) 신호를 각각 다른 주파수 또는 시간 자원을 할당하여 전송할 수 있다.
특히, 기지국(200-1, 200-2)은 통신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단말(100-1, 100-2)과의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100-1, 100-2)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100-1, 100-2)을 기준으로 단말(100-1, 100-2)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하향 링크 신호라 하고, 상기 단말(100-1, 100-2)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상향 링크 신호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200-1, 200-2)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하여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두 매크로 셀 기지국(200-1, 200-2)이 각각 전파를 송출한다. 좌측에 위치한 매크로 셀 기지국(200-1)은 그 자신을 기준으로 통신 커버리지(Coverage, 200-1a)를 형성하며, 우측에 위치한 매크로 셀 기지국(200-2) 역시 그 자신을 기준으로 일정 범위에 걸쳐 통신 커버리지(200-2a)를 형성한다.
참고로, 상기 매크로 셀 기지국은 통상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적용된 높은 전송 파워와 넓은 커버리지를 갖는 기지국을 의미한다.
두 매크로 셀 기지국(200-1, 200-2)는 백홀망(300)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백홀망(300)은 연결되어 있는 소형 회선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해 빠르게 전송할 수 있는 대규모 전송회선을 말한다. 특히, 데이터를 기지국(200-1, 200-2)에서 수집하여 네트워크 관리자의 백본망(미도시)에 전달해주는 전체 환경을 의미한다. 백홀망(300)은 장거리 접속을 위해 연결되어 있는 근거리 및 지역망 선로들의 모음으로, 네트워크 노드 또는 전송 데이터 교환 스위치가 각 접속점을 구성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기지국(200-1, 200-2)과 함께 모바일 망을 구성하는 백홀망(300)은 기지국(200-1, 200-2)과 백본망(미도시)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백홀망(300)은 기지국(200-1, 200-2) 간의 이동성 제어 및 스위칭 등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주요 기능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서킷 교환(circuit switching) 또는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을 수행하며, 모바일 망 내에서의 패킷 흐름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백홀망(300)은 주파수간 이동성을 관리하고, 기지국(200-1, 200-2) 및 백홀망(300) 내의 트래픽 및 다른 네트워크, 예컨대 백본망(미도시)과의 연동을 위한 코어망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만약, 좌측의 매크로 셀 기지국(200-1)이 좌측 단말(100-1)에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하향 링크 신호를 전송하며, 우측의 매크로 셀 기지국(200-2)은 우측 단말(100-2)에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하향 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좌측 단말(100-1)이 우측 매크로 셀 기지국(200-2)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므로, 우측 매크로 셀 기지국(200-2)이 우측 단말(100-2)에 전송하는 하향 링크 신호는, 좌측 단말(100-1)을 기준으로 할 때, 간섭을 일으키는 간섭 신호가 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좌측의 매크로 셀 기지국(200-1)이 좌측의 단말(100-1)에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하며, 우측의 매크로 셀 기지국(200-2)이 우측의 단말(100-2)에 전송하는 신호로 인해 좌측 단말(100-1)에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가장하고 설명할 것이나, 실제 본 발명의 실시는 상호 반대의 상황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간섭 신호의 발생, 즉 좌측 단말(100-1)의 하향 링크 신호 수신에 있어, 기지국 간의 간섭 원인이 되는 우측 단말(100-2)에의 하향 링크 신호를 억제하기 위하여, 기지국 간의 신호 전달 경로인 백홀망(300)을 통해 전송되고 있는 네트워크 보조 정보(Network Assisted Information)을 이용할 수 있다.
간섭 신호의 측정은 단말에서 파일럿 신호(Pilot Signal),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의 신호 세기 측정,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방사된 복수의 빔에 대한 SINR(Signal-to-Interference-plus-Noise Ratio) 측정, 단말로의 도래각(AoA, Angle of Arrival)의 측정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간섭 신호 측정의 일 예시로, 단말에서의 간섭 신호 정보 생성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생성된 간섭 신호 정보는 백홀망(300)을 통해 기지국(200-1, 200-2) 사이에서 공유될 수 있고, 각 기지국(200-1, 200-2) 사이에서 공유된 하향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Scheduling) 정보를 포함한 각종 제어 정보는 좌측 단말(100-1)에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하는 좌측 매크로 셀 기지국(200-1)이 RRC(Radio Resource Control) 신호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백홀망(300)을 통해 공유될 수 있는 간섭 신호 정보의 예를 들면 표 1과 같다.
파라미터 타입
동적 인자 TM(Transmission Mode), RI, PMI,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allocation, Data to RS EPRE(Reference-Signal Energy Per Resouce Element, PA), DMRS Aps, nSCID, CFI, Virtual Cell ID 타입 1
Modulation Order 타입 2
MCS, RNTI 타입 3
반정적 인자 CRS AP, Cell ID, Data to RS EPRE(PB), System Bandwidth, MBSFN Configuration 타입 1
CSI-RS Presence and Pattern 기타
반정적 인자는 기지국에 한정된 정보 또는 기지국에서 한번 할당되면 자주 변경되지 않는 정보이고, 동적 인자는 단말에 국한된 정보 또는 단말의 채널 환경에 따라 서브프레임마다 수시로 변경될 수 있는 정보들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네트워크 보조 정보(Network Assisted Information)란, 단말(100-1)의 신호 수신에 간섭원인 단말(100-2)의 신호가 섞여서 수신될 경우, 이와 관련하여 단말(100-2)의 간섭 신호 정보를 기지국 간의 신호 전달 경로인 백홀망(300)을 통해 단말(100-1) 수신부로 전송하여 단말(100-1)이 수신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타입 1은 간섭을 일으키는 인접 기지국의 채널 추정을 위한 정보이고, 타입 2는 간섭 신호의 심볼(Symbol)을 검출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이며, 타입 3은 간섭 신호의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이다. 이는 일 예시로, 각 타입 별로 지정된 정보는 수신기의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달될 경우 과도한 네트워크 오버헤드(Overhead)의 증가와 백홀의 지연 발생으로, 간섭 신호 정보의 수신 시점에서는 이미 네트워크의 상태가 변화되어, 간섭 신호 정보의 수신 시점에서는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간섭을 억제하기 곤란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고려하여 일부 정보에 대하여는 단말(100-1)에서 직접 간섭 신호 정보를 검출(Blind Detection)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백홀이 지연되지 않는 환경, 또는 지연되어도 네트워크의 상태가 크게 변화하지 않는 환경이라면 상기 간섭 신호 정보를 이용하여 간섭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에 따라 기지국(200-1)이 간섭 신호 정보를 포함하는 기지국 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각 상황에 맞는 수신기의 사용을 할 수 있도록 하며, 그 수신기 타입을 설정하고 설정된 수신기 타입을 단말(100-1)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환경 정보는 상기 단말의 간섭에 영향을 주는 인접 기지국의 부하 정보, 상기 인접 기지국과 연결된 단말의 MCS Order 정보, 상기 인접 기지국으로부터의 백홀 성능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인접 기지국이란, 도 1에서 좌측의 매크로 셀 기지국(200-1)이 서비스 데이터를 단말(100-1)에 제공하고 있다고 할 때, 좌측의 매크로 셀 기지국(200-1)과 통신 커버리지(200-1a, 200-2b)가 일정부분 중복되는 우측의 기지국(200-2)과 같이, 단말(100-1)에 간섭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기지국을 의미한다.
인접 기지국의 부하 정보란, 좌측 매크로 셀 기지국(200-1)을 기준으로 인접 기지국에 해당하는 우측 매크로 셀 기지국(200-2)에서의 부하 정보로, 우측 매크로 셀 기지국(200-2)이 제어 채널만을 사용하고 있는지 혹은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을 모두 사용하는지에 관한 정보 또는 데이터 채널이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의 할당량이나 단말의 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접 기지국과 연결된 단말의 MCS Order 정보에 관해 설명하면,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란 무선 통신에서 공간 스트림(Stream), 변조 및 복조 형태, 부호화율 등 전송 속도를 결정하는 다양한 조합이 되는 구성을 의미하며, MCS Order 정보란 MCS에 관한 설정 상태에 관한 정보이다. 이러한 MCS Order 정보에는 변조 방식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변조 방식의 예를 들면, QPSK, 64QAM 등이 있을 수 있다.
인접 기지국으로부터의 백홀 성능 정보는, 비전형 백홀(Non-ideal Backhaul)과 전형 백홀(Ideal Backhaul)에 관한 정보로 구별될 수 있으며, 3GPP 표준에 있어, 전형 백홀이란 일반적으로 2.5 μsec 이하의 지연과 10Gbps 이상의 용량(Capacity)를 갖는 백홀을 말하고, 비전형 백홀은 5~30 msec (혹은 그 이상)의 지연을 갖는 백홀을 말한다.
또한, 기지국(200-1)은 서비스 정보를 더 수집할 수 있는데, 이는 기지국(200-1)이 단말(100-1)에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가 무엇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말한다. 서비스의 예로는, 통화 서비스와 같이 즉각적으로 데이터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서비스 또는 메신저와 같이 시간 간격을 두고 데이터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서비스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간섭 환경은 이와 같이 매크로 셀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으나, 매크로 셀과 소형 셀이 동시에 존재하는 상황에서도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매크로 셀 및 소형 셀 사이의 간섭 환경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매크로 셀 기지국 및 소형 셀 기지국 사이의 간섭 환경은 복수의 기지국(200-1, 200-2, 200-3)과 복수의 단말(100-1, 100-2, 100-3)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과 같이 두 매크로 셀 기지국(200-1, 200-2)이 각각 전파를 송출하여 통신 커버리지(200-1a, 200-2a)를 형성한 상황에서, 좌측의 커버리지(200-1a)내에 소형 셀 기지국(200-3)이 존재하여 전파를 송출하여 통신 커버리지(200-3a)를 형성할 수 있다.
소형 셀 기지국은 매크로 셀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매크로 셀 기지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전송파워와 좁은 커버리지를 갖는 기지국을 의미한다. 이러한 소형 셀 기지국은, 예를 들어, 안테나당 10W급 이하 소출력 기지국 장비, 피코셀(Pico cell), 펨토셀(femto cell), 마이크로셀(micro cell) 등을 통칭한다.
참고로, 상기 소형 셀 기지국은 음영 지역 혹은 기지국 간의 경계 지역, 실내 등에 배치되어, 음영지역의 커버, 고 트래픽 지역에서의 트래픽 분산, 이동통신과 Wi-Fi 등 이종 네트워크 전송 등에 이용된다.
도 2와 같이 좌측의 매크로 셀 기지국(200-1) 내에 소형 셀 기지국(200-3)이 위치하는 경우, 소형 셀 기지국(200-3)은 통신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단말(100-3)과의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100-3)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 소형 셀 기지국(200-3)이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100-3)로부터 수신한 하나 이상의 단말(100-3)의 상향 링크 신호는 무선 백홀 또는 유선 백홀망(300-1) 을 통해 매크로 셀 기지국(200-1)으로 전송된 후, 상기 매크로 셀 기지국(200-1)을 통해서 유선 백홀망(300) 및 백본망(미도시)으로 전달된다. 반대로, 백본망(미도시) 및 유선 백홀망(300)로부터 전달된 하향 링크 신호는 상기 무선 백홀 또는 유선 백홀망(300-1)을 통해서 매크로 셀 기지국(200-1)으로부터 소형 셀 기지국(200-3)으로 전달된 후, 상기 소형 셀 기지국(200-3)을 통해서 하나 이상의 단말(100-3)로 전송된다.
참고로, 상기 무선 백홀은, 하향 링크 및 상향 링크에 대해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100-3)은 매크로 셀 기지국(200-1)의 하향 링크 신호 및 소형 셀 기지국(200-3)의 하향 링크 신호에 모두 영향을 받아, 소형 셀 기지국(200-3)이 서비스에 필요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매크로 셀 기지국(200-1)과 소형 셀 기지국(200-3)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신호 교환은 단말(100-3)에 간섭 신호가 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소형 셀 기지국(200-3)은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이러한 소형 셀 기지국의 통신 커버리지 중복에 의한 간섭 역시 발생이 가능하다.
간섭 신호의 측정 및 간섭 신호 정보의 송수신, 이에 따른 간섭 신호 정보를 포함하는 기지국 환경 정보를 수집과, 수신기 타입을 설정 및 설정된 수신기 타입을 단말(100-3)에 제공함과 관련한 사항은 매크로 셀 기지국 사이에서 의 과정을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도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응적 수신기 운용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100)과 기지국(20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단말(100-1, 100-2, 100-3)은 도 3에서 도시한 단말(100)의 구조로 나타내어질 수 있으며, 기지국(200-1, 200-2, 200-3)은 도 4에서 도시할 기지국(200)의 구조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적응적 수신기를 포함하는 단말(100)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적응적 수신기를 포함하는 단말 (100)은 통신부(110)와 저장부(120), 제어부(130), 입력부(140), 출력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통신부(110)는 외부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외부 소스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및 대응하는 네트워크 드라이버 인터페이스 사양(Network Driver Interface Specification: "NDIS") 스택과 같은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 모듈의 논리적 조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MPS, CDMA, GSM, W-CDMA, HSDPA, LTE, LTE-A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표준을 지원할 수 있으며, 또한, BLE, Zigbee와 같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술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통신부(110)는, 기지국(200)의 안테나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동통신표준에 따라 기지국(200)에 접속하여 데이터 송수신하기 위한 이동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며, 송신부(112)는 단말(100)에서 생성한 간섭 신호 정보를 기지국(200)에 전송할 수 있다. 수신부(111)는 타 단말이 생성한 간섭 신호 정보를 백홀망(300) 및 서비스 제공 기지국(200)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또한 기지국(200)이 생성한 수신기 타입 설정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수신부(111)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복수 타입의 수신기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따른 수신부(111)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하여는 후술하도록 한다.
저장부(120)는 제어부(130)에 의해 실행되거나 처리되는 데이터 혹은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구성이다. 기본적으로, 저장부(120)는 단말(100)의 부팅 및 상술한 각 구성의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다양한 사용자 기능, 예를 들면, 단말(100)의 통화기능 지원을 위한 사용자 기능, 기타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MP3 사용자 기능, 사진 등의 이미지를 재생하기 위한 이미지 출력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등을 각각 지원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저장부(210)는, 본 발명에 따른 적응적 수신기 운용을 수행하도록 구현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20)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제어부(130)는 단말(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 프로세서는 싱글 쓰레드(Single-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 예에서 본 프로세서는 멀티 쓰레드(Multi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통해서, 저장부(120)에 저장된 명령을 처리함으로써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명령으로는, 예컨대 JavaScript나 ECMAScript 명령 등의 스크립트 명령과 같은 해석되는 명령이나 실행 가능한 코드 혹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는 기타의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제어부(130)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지국(200)이 전송한 수신기 타입 설정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해석하여 필요한 수신기를 사용하도록 수신부(111)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직접 간섭 신호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수신기 타입 설정에 이용할 수 있도록 저장 또는 전송할 수 있다.
입력부(140)는 사용자로부터 명령 및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구성으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소정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이러한 입력부(140)는 현재 상용화되어 있거나 향후 상용화가 가능한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등과 같은 일반적인 입력 장치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특정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제스처 입력 수단,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입력부(140)는 시스템 버스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상기 제어부(13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면, 직렬 포트 인터페이스, PS/2 인터페이스, 병렬 포트 인터페이스, USB 인터페이스,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394 인터페이스(즉, 파이어 와이어(FireWire) 인터페이스)와 같은 매우 다양한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 중 임의의 것을 논리적으로 나타내거나, 다른 인터페이스의 조합까지도 논리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출력부(150)는 단말(100)의 동작 결과나 상태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특히, 디스플레이 수단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50)는, 방전광 디스플레이(ELD), 진공 형광 디스플레이(VFD),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등과 같은 다양한 2차원 디스플레이 수단뿐만 아니라, 홀로그래피 또는 레이저 빔과 같은 3차원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출력부(150)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GDI(Graphics Device Interface) 등과 같은 비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상기 제어부(13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부(130)와 비디오 인터페이스의 연결은 시스템 버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의 수신부(111) 내에 위치하는 복수 타입의 수신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 내의 수신부(111)의 적응적 수신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11)는 제1 수신기(R1), 제2 수신기(R2), 제3 수신기(R3), 제4 수신기(R4), 제5 수신기(R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수신기(R1)는, 3GPP Rel-11 표준 기술에 따르는 수신기로, LMMSE-IRC 수신기가 될 수 있으며, LTE 시스템에서 기지국 경계에 위치한 단말(100-1)의 인접 기지국(200-2)로부터의 간섭 제어를 목적으로 2개의 수신 안테나를 이용한 수신 빔 포밍에 의해 수신 SINR을 최대화함으로써 간섭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제1 수신기(R1)는, 비선형 IC (Interference Cancellation) 수신기인 CRS-IC 수신기로, Rel-11 FeICIC WI에서 표준화된 수신기를 이용할 수 있다. 이 수신기는 상위로부터 Cell ID, CRS AP (Antenna port), MBSFN configuration 등의 정보가 포함된 'CRS AssistanceInfo-r11'라는 이름의 RRC(Radio Resource Control) 신호를 수신하여, 강한 간섭 신호 환경에서 간섭 셀의 동기신호, 방송채널 및 CRS (Cell-specific reference signal)를 제거한다. 이는 간섭 셀의 CRS를 제거하여 채널 추정 성능을 향상시키거나 서빙 신호의 데이터 영역에 영향을 주는 간섭 셀의 CRS를 제거하여 수신 성능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제1 수신기(R1)는 인접 기지국(200-2)이 제어 신호, 또는 파일럿 신호에 해당하는 RS(Reference Signal)만을 전송하는 경우, 낮은 복잡도에서 제어 신호 또는 파일럿 신호에 의한 간섭 신호를 억제할 수 있다.
제2 수신기(R2)는, 3GPP Rel-12 표준 기술에 따르는 수신기로, E-LMMSE-IRC(Enhanced LMMSE IRC) 수신기가 될 수 있다. E-LMMSE-IRC 수신기는 MMSE-IRC의 진화된 형태로, Rel-11 표준 기술에서 사용한 MMSE-IRC 수신기의 부정확한 간섭과 잡음에 대한 간섭 셀의 채널 추정 정보를 추가함으로써 공분산 행렬 추정을 향상시키는 수신기이다. 즉, 수신 신호에서 서비스 데이터 제공 기지국(200-1)에 가장 큰 간섭을 주는 인접 기지국(200-2)의 간섭을 제거하고 간섭에 대한 오차 공분산 행렬의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이러한 E-LMMSE-IRC 수신기는 상기 간섭 신호 정보 중 타입 1의 간섭 신호 정보를 이용한다. 따라서 낮은 복잡도로 동작하나, 간섭 억제 성능이 이후 설명할 제3 수신기(R3)에 비해 다소 제한적일 수 있다.
다만, 인접 기지국과 연결된 단말의 MCS Order 정보를 볼 때, MCS Order가 높을 경우, 예를 들어, 변조 방식이 64QAM인 경우에는, 제3 수신기(R3)와 유사한 성능을 낼 수 있다.
제3 수신기(R3)는, 3GPP Rel-12 표준 기술에 따르는 수신기로, SLIC, LCWIC, R-ML 수신기를 사용할 수 있다.
SLIC 수신기는 간섭 데이터를 심볼 레벨로 검출한 후 추정된 간섭 채널을 이용하여 간섭 신호 정보를 재생성 한다. 간섭 신호 정보를 심볼 레벨로 검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기재된 간섭 신호 정보 중 타입 1과 타입 2의 정보가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타입 1의 정보만 필요로 하는 제2 수신기(R2)와 비교하여 높은 복잡도에서 동작한다.
LCWIC 수신기의 기본 동작은 SLIC 수신기와 유사하지만 디코더 출력 신호를 얻기 위해 간섭 신호의 디코딩에 필요한 타입 3의 정보가 추가적으로 필요하고 디코딩 과정까지 추가되어 SLIC 수신기보다 높은 수신기 복잡도에서 동작하지만 더 많은 성능 이득을 가져올 수 있다.
ML계열의 R-ML 수신기는 기존에 존재하는 ML 수신기 대비 복잡도를 낮추기 위해 스피어 디코딩(Sphere decoding)이나 QRD-M과 같은 방식의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R-ML은 기지국 내의 환경을 기지국 사이의 간섭 환경으로 확장하여 서비스 데이터 제공 신호와 간섭 신호를 같이 고려해 기존 ML 수신기 과정을 수행하여 간섭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R-ML 수신기를 통해 간섭 신호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SLIC 수신기와 같은 간섭 신호의 정보가 필요하다. 하지만 간섭 신호의 레이어(Layer) 수나 변조 차수가 증가할 경우 수신기 복잡도가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수신기(R3)는 높은 복잡도에서 동작하나, 인접 기지국과 연결된 단말의 MCS Order 정보를 볼 때, MCS Order가 낮은 경우에 있어, 제2 수신기(R2)보다 우수한 성능을 낼 수 있다.
복조 방식 E-LMMSE-IRC SLIC LCWIC R-ML
QPSK 4.15 8.14 9.67 9.14
64QAM 4.01 4.01 4.42 4.33
표 2는 각 수신기별 성능 이득을 나타낸 것으로, 3GPP 표준에서 정의하는 이론적 최대 수율의 70% 지점에서의 수신기별 SNR(Signal to Noise Ratio) 이득의 dB 값을 의미한다.
표 3에 따르면, 복조 방식의 차수가 QPSK로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낮은 MCS Order)에는 제2 수신기(R2)에 해당하는 E-LMMSE-IRC 수신기가 SLIC, LCWIC, R-ML 수신기에 비해 낮은 성능을 나타내나, 복조 방식의 차수가 64QAM으로 높은 경우(높은 MCS Order)에는 각 수신기가 비슷한 성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제3 수신기(R3)가 높은 복잡도에서 동작하므로, 네트워크의 효율적인 관리 및 자원 절약을 위하여 비슷한 성능을 나타내는 높은 MCS Order에서는 복잡도가 낮은 제2 수신기(R2)를 사용하며, 성능 차이가 나타나는 낮은 MCS Order에서는 복잡도가 높더라도 제3 수신기(R3)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수신기(R2) 및 제3 수신기(R3)는 각각 간섭 신호 정보를 인접 기지국(200-2)으로부터 수신하여야 하므로, 네트워크 지연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인접 기지국(200-2)으로부터 수신하는 간섭 신호 정보를 즉시 반영할 수 없어, 기지국 환경 정보 중 인접 기지국으로부터의 백홀 성능 정보를 확인하여 기지국 사이의 백홀 성능이 전형 백홀에 해당하는 경우에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기지국 사이의 백홀 성능이 비전형 백홀에 해당하여 실시간으로 인접 기지국의 간섭 신호 정보를 백홀망(300)을 통해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는, 단말이 직접 간섭 신호 정보를 검출(Blind Detection)하여 사용할 수 있다. Blind Detection이란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지국(200-1)의 단말(100-1)에 할당된 주파수 자원에 인접한 기지국(200-2)으로부터 간섭을 일으키는 데이터가 들어올 경우 네트워크에서의 간섭 신호 정보 수신 없이 간섭 신호의 특성을 이용하여 간섭 데이터에 사용된 스케줄링 정보나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검출하는 것이다. 즉, 네트워크 또는 백홀망(300)에서 네트워크 보조 정보를 수신하지 않고 단말(100-1)에서 스스로 간섭 신호 정보를 추출한다.
이렇게 단말(100)이 스스로 추출한 간섭 신호 정보를 이용하는 수신기가 제4 수신기(R4)에 해당한다. 제4 수신기(R4)는 3GPP Rel-12 표준 기술에 따르는 수신기로 SLIC 수신기 도는 R-ML 수신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제2 또는 제3 수신기(R2, R3)와는 네트워크 보조 정보를 수신하지 않고 단말(100)에서 Blind Detection을 통해 동작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제5 수신기(R5)는 3GPP Rel-8 표준 기술에 따르는 수신기로, ML 수신기를 이용할 수 있다. 이는 조건부확률(우도)이 최대로 되는 것을 결정기준으로 삼는 복호 규칙에 따라 수신 신호 표본으로부터 송신 가능한 모든 신호들 중에서 송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신호를 송신 신호로써 확정하는 방식을 따른다.
제4 수신기(R4)와 제5 수신기(R5)는 백홀망(300)으로부터의 네트워크 보조 정보 수신 없이 사용되며, 제4 수신기(R4)가 보다 높은 복잡도를 가져 연산에 시간이 더 소요되며, 따라서 제4 수신기(R4)와 제5 수신기(R5)는 서비스 데이터 제공 기지국(200-1)이 단말(100-1)에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의 종류에 기반하여 그 사용 여부가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서비스 정보를 참조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통화 서비스와 같이 즉각적으로 데이터의 교환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는 서비스의 경우, 연산에 시간이 덜 소모되는 제5 수신기(R5)를, 메신저 서비스와 같이 다소 시간 간격을 두고 데이터를 교환이 가능한 서비스는 제4 수신기(R4)를 사용할 수 있다. 간섭 제거 성능에 있어서는 보다 많은 간섭 신호 정보를 수집하는 제4 수신기(R4)가 제5 수신기(R5) 보다 우수하므로, 제4 수신기(R4)와 제5 수신기(R5)의 설정은 단순히 서비스의 지연 정도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서비스에 따라 필요한 데이터의 정확도를 더 고려할 수 있다.
도 4의 실시 예에서 실존하는 여러 수신기를 언급하였으나, 본 발명의 구성이 반드시 해당 수신기를 이용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명세서에서 언급한 각 수신기의 주요 특성을 가지는 수신기라면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다.
즉, 백홀 성능이 비전형 백홀일 때 네트워크 보조 정보를 이용하지 않고 동작할 수 있는 수신기 타입의 경우에는 제4 및 제5 수신기(R4, R5)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전형 백홀 환경에서 네트워크 보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 타입의 경우에는 제1 내지 제3 수신기(R1, R2, R3)로 사용할 수 있다.
데이터 채널에 의한 간섭을 고려하지 않고, 제어 채널에 의한 간섭만을 억제할 수 있는 수신기 타입은 제1 수신기(R1)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에 의한 간섭을 억제할 수 있는 수신기 타입은 제2 내지 제5 수신기로 사용할 수 있다.
인접 기지국과 연결된 단말의 MCS Order 정보에서 MCS Order가 기 설정된 기준치보다 높은 경우에는 타 수신기와 비슷한 성능을, MCS Order가 기준치보다 낮은 경우에는 제한적인 성능을 가진 수신기 타입은 제2 수신기(R2)로 사용할 수 있다. 반면 MCS Order에 관계없이 일정한 성능을 가지는 수신기 타입은 제3 수신기(R3)로 사용할 수 있다.
제4 수신기(R4)는 네트워크 보조 정보를 이용하지 않으면서 상대적으로 복잡도가 높은 수신기 타입으로, 서비스 정보를 볼 때 간섭 제거 성능이 일정 기준 이상 필요한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제5 수신기(R5)는 네트워크 보조 정보를 이용하지 않으면서 상대적으로 복잡도가 낮은 수신기 타입으로, 간섭 제거 성능보다는 지연 발생 정도를 일정 기준 이하로 낮추어야 하는 경우에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일정 기준은 네트워크 관리자에 의해 기 설정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기(111)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응적 수신기 운용 방법을 수행하는 기지국(200)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200)은 RF 신호 처리부(210)와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20)로 이루어진 무선 신호 처리부(미도시, RU: Radio Unit)와, 백홀 링크(230), 제어부(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기지국(200)은 디지털 신호 처리부(DU: Digital Unit)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DU는 디지털 신호 처리와 RU에서 처리되는 자원 관리를 수행한다. 다만 DU는 기지국(200)내 포함되지 않고 RU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원격지에 배치되어, 광케이블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RF 신호 처리부(210)는 다수의 안테나에 연결되어,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때, 안테나는 위상 배열 안테나로 구성되거나, 적응 배열 안테나 또는 DBF(Digital BeamForming) 안테나로 구성될 수도 있다.
RF 신호 처리부(210)는 RF대역에서 캐리어(Carrier) 신호의 진폭 및 위상의 차이를 이용하여 빔의 형태 및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으로, 저잡음 증폭기, 필터, 믹서, 국부 발진기,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 등을 포함하며, 이들을 통해서 주파수 하향처리 단계를 수행한다.
특히, 상기 RF 처리부(210)는 위상 천이기를 포함하여, 각 안테나 요소에 대해 일정한 위상 차를 갖도록 제어하는 구조로, 각 안테나 요소의 위상을 조정함에 따라 빔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20)는 상기 RF 신호 처리부(210)로부터 출력되는 베이스밴드의 디지털 신호를 받아들이고 그 신호에 대해 공간적인 처리를 행하기 위한 구성으로, 전자파를 샘플한 후 각각의 수신 소자로부터의 신호들을 복소 디지털 숫자로 변환하여 고속 디지털 처리기로 전송하고, 최종적으로 서로 다른 방향을 가지는 빔들의 집합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20)는 디지털화된 신호에 각각의 가중치 벡터(Weight Vector)를 가해서 신호를 처리할 수 있으며, 또한 폐루프 회로를 이용하여 원하는 빔 패턴에 수렴하도록 각각의 가중치 벡터를 계산하여 나가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LMS(Least Mean Squares)와 같은 빔포밍 알고리즘을 통해 구현할 수도 있다.
또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20)는 빔포밍 및 지향성의 합성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백홀 링크(230)는 백홀망(300)과 연결되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를 백홀망(300)을 통해 다른 기지국에 전송하거나, 다른 기지국과 백홀망(300)을 통해 네트워크 지원 정보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240)는 기지국(2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 프로세서는 싱글 쓰레드(Single-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 예에서 본 프로세서는 멀티 쓰레드(Multi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240)는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통해서, 기지국(200) 내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을 처리함으로써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명령으로는, 예컨대 JavaScript나 ECMAScript 명령 등의 스크립트 명령과 같은 해석되는 명령이나 실행 가능한 코드 혹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는 기타의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적응적 수신기 운용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는 기지국(200) 내의 저장 장치에 저장되어, 상기 제어부(240)에 의해 로딩되어 실행될 수 있다. 즉, 제어부(240)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서비스 로직에 따라서 동작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을 수행한다.
즉, 기지국 환경 정보의 수집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수신기 타입의 설정, 설정된 수신기 타입의 단말에의 제공을 제어하며, 단말(100)에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응적 수신기 운용 방법에 따른 수신기 타입 설정 과정에 대하여 도 6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응적 수신기 운용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응적 수신기 운용 방법은, 기지국에서 단말(100)의 간섭에 영향을 주는 기지국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600)부터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지국 환경 정보는, 단말(100)에서 생성되는 간섭 신호 정보, 이를 기지국(200)을 통해 송수신하는 네트워크 지원 정보 또는 기지국(200) 자체의 성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200)은 기지국 환경 정보에 더하여 기지국(200)이 단말에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 정보를 더 수집할 수 있다.
이후, 단말(100)이 기지국에 연결되면, 기지국(200)는 상기 수집한 기지국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100)에서 사용할 수신기 타입을 설정한다(S602). 단말(100)이 사용 가능한 수신기 타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수신기(R1), 제2 수신기(R2), 제3 수신기(R3), 제4 수신기(R4), 제5 수신기(R5)가 될 수 있다.
수신기 타입이 설정되면, 기지국(200)은 이와 관련한 정보를 생성하고 단말(100)에 설정된 수신기 타입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S604). 이에 따라 단말은 기지국(200)이 설정한 수신기를 이용하여 서비스 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응적 수신기 운용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에 따르면 우선, 기지국(200)은 기지국 환경 정보를 수집한다(S70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지국 환경 정보는 간섭 신호 정보, 네트워크 보조 정보, 기지국 성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 성능 정보에는 백홀 성능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보조 정보에는 인접 기지국의 부하 정보가, 간섭 신호 정보에는 인접 기지국과 연결된 단말의 MCS Order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200)는 서비스 정보를 더 수집할 수 있다.
이러한 기지국(200)에 단말(100)이 연결되면, 기지국(200)은 단말(100)이 포함하는 수신기에 관한 정보를 수집한다(S702). 이 과정에서, 단말(100)이 실제로 포함하고 있는 수신기를 R1 내지 R5 중 어떤 역할을 위해 사용할 것인지 분류하는 작업이 실행될 수 있다.
수신기 타입 설정에 있어, 먼저, 기지국(200)은 인접 기지국으로부터의 백홀 성능 정보를 이용해 백홀 성능을 판단한다(S706). 이 때, 백홀 성능이 전형 백홀인 경우는 S706 단계로, 비전형 백홀인 경우는 S716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
먼저, 전형 백홀인 경우에는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네트워크 지원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음 과정을 살펴보면, 인접 기지국의 부하 정보를 이용해 인접 기지국이 현재 제어 신호만을 송출하고 있는지 혹은 하나 이상의 단말이 연결되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지 판단한다(S706). 이를 판단하기 위해 인접 기지국의 부하량이 제어 신호만을 송출하고 있다 판단하기 위한 임계점을 기 설정할 수 있다. 인접 기지국의 부하량이 임계점 이하로 제어 신호만을 송출하고 있다 판단되는 경우, 수신기 타입을 제1 수신기(R1)로 설정할 수 있다(S708).
인접 기지국의 부하량이 임계점 이상으로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을 모두 이용하여 신호를 송출하고 있는 경우, 기지국(200)은 인접 기지국과 연결된 단말의 MCS Order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기지국(200)은 MCS Order의 높고 낮음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치를 설정할 수 있다. 특히 변조 방식(Modulation Order) 별로 MCS Order의 높고 낮음을 설정할 수 있다.
설정된 기준치에 따라, 기지국(200)은 MCS Order가 기준치 이상인지 판단한다(S710). MCS Order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 제2 수신기(R2)를 수신기 타입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S712), MCS Order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3 수신기(R3)를 수신기 타입으로 설정할 수 있다(S714).
다시 S704 단계에서, 기지국(200)의 백홀 성능이 비전형 백홀로 네트워크 지연이 있는 경우,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네트워크 지원 정보를 수신하더라도 적용 시에는 네트워크 상황에 이미 변동이 있어 기지국(200)이 단말(100)에 인접 기지국으로부터의 간섭 신호 정보 등을 이용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단말(100)은 Blind Detection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음 과정을 살펴보면, 수신기 타입의 설정은 기지국(200)이 단말(100)에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가 저지연 서비스에 해당하는지에 따라 판단(S716)할 수 있다. 여기서 저지연 서비스란, 통화 서비스와 같이 즉각적으로 데이터의 교환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기지국(200)은 저지연 서비스 여부를 서비스의 종류별로 기 설정할 수 있고,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서비스가 저지연 서비스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제5 수신기(R5)를 수신기 타입으로 설정하며(S718), 저지연 서비스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4 수신기(R4)를 수신기 타입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지연을 허용하는 서비스인 경우에는 간섭 제거 성능이 일정 기준 이상인 제5 수신기(R5)를, 지연을 허용하지 않는 서비스인 경우에는 지연 발생 정도가 일정한 기준 이하인 제4 수신기(R4)를 이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응적 수신기 운용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 장치에 탑재되는 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서, 이 프로세서는 싱글 쓰레드(Single-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 예에서 본 프로세서는 멀티 쓰레드(Multi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다. 나아가 본 프로세서는 메모리 혹은 저장 장치 상에 저장된 명령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는 예시적인 장치 구성을 기술하고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은 다른 유형의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기술 분야에 적용되어,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서 적응적 수신기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산업상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망에서 단말 수신기의 사용 시, 수신기의 성능과 복잡도, 기지국 사이의 간섭 발생 상황을 고려하여 수신기 타입을 설정하고, 이러한 수신기가 간섭 억제를 수행함으로써, 기지국에 접속된 단말에 야기되는 하향 링크 신호 상호간의 전파 간섭을 줄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단말과 복수의 기지국 간의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단말에 대한 전파 간섭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네트워크 자원 소모가 감소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100, 100-1, 100-2, 100-3: 단말
110: 통신부 120: 저장부
130: 제어부 140: 입력부
150: 출력부
111: 수신부 112: 송신부
R1: 제1 수신기
R2: 제2 수신기
R3: 제3 수신기
R4: 제4 수신기
R5: 제5 수신기
200, 200-1, 200-2, 200-3: 기지국
210: RF 신호 처리부
220: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
230: 백홀 링크
240: 제어부

Claims (10)

  1. 단말의 간섭에 영향을 주는 기지국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단말이 기지국에 연결되면, 상기 수집된 기지국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 타입의 수신기를 포함하는 단말에서 사용할 수신기 타입을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수신기 타입을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적응적 수신기 운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환경 정보는, 상기 단말의 간섭에 영향을 주는 인접 기지국의 부하 정보, 상기 인접 기지국의 MCS Order 정보, 상기 인접 기지국으로부터의 백홀 성능 정보, 서비스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 수신기 운용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인접 기지국으로부터의 백홀 성능 정보를 확인하여, 백홀 성능이 비전형 백홀에 해당하는 경우, 백홀을 통해 전송되는 네트워크 보조 정보를 이용하지 않는 수신기 타입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 수신기 운용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인접 기지국 간의 백홀 성능 정보를 확인하여, 백홀 성능이 전형 백홀에 해당하는 경우, 백홀을 통해 전송되는 네트워크 보조 정보를 이용하는 수신기 타입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 수신기 운용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인접 기지국의 부하 정보를 확인하여, 부하량이 임계점 이하인 경우, 데이터 채널에 의한 간섭은 고려하지 않고, 제어 채널에 의한 간섭을 억제할 수 있는 수신기 타입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 수신기 운용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인접 기지국의 부하 정보를 확인하여, 부하량이 임계점 이상인 경우,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에 의한 간섭을 억제할 수 있는 수신기 타입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 수신기 운용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인접 기지국의 MCS Order 정보를 확인하여, MCS Order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의 성능이 나타나는 수신기 타입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 수신기 운용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지연을 허용하는 서비스인 경우 네트워크 보조 정보를 이용하지 않는 수신기 타입 중 간섭 제거 성능을 기준으로 수신기 타입을 설정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 수신기 운용 방법.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지연을 허용하지 않는 서비스인 경우 네트워크 보조 정보를 이용하지 않는 수신기 타입 중 지연 발생 정도를 기준으로 수신기 타입을 설정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 수신기 운용 방법.
  10. 안테나 단에 연결되는 RF 신호 처리부;
    상기 RF 신호 처리부에 연결된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 및
    상기 RF 신호 처리부와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단말의 간섭에 영향을 주는 기지국 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단말이 기지국에 연결되면, 상기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 타입의 수신기를 포함하는 단말에서 사용할 수신기 타입을 설정하며, 설정된 수신기 타입을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 수신기 운용을 위한 기지국.
KR1020150150704A 2015-10-29 2015-10-29 적응적 수신기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2265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704A KR102265987B1 (ko) 2015-10-29 2015-10-29 적응적 수신기 운용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704A KR102265987B1 (ko) 2015-10-29 2015-10-29 적응적 수신기 운용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857A true KR20170049857A (ko) 2017-05-11
KR102265987B1 KR102265987B1 (ko) 2021-06-15

Family

ID=58742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704A KR102265987B1 (ko) 2015-10-29 2015-10-29 적응적 수신기 운용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59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30168A (zh) * 2021-09-17 2021-11-09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无线测试设备的测试方法、系统和无线测试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8689A (ko) * 2006-10-30 2008-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22383A (ko) * 2011-02-28 2014-02-24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동작 주파수의 변경을 조정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5056787A (ja) * 2013-09-12 2015-03-23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無線通信システム
KR20150091523A (ko) * 2010-12-22 2015-08-11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액세스 노드들 간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무선 통신 방법
KR20150112714A (ko) 2014-03-28 2015-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8689A (ko) * 2006-10-30 2008-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91523A (ko) * 2010-12-22 2015-08-11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액세스 노드들 간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무선 통신 방법
KR20140022383A (ko) * 2011-02-28 2014-02-24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동작 주파수의 변경을 조정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5056787A (ja) * 2013-09-12 2015-03-23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無線通信システム
KR20150112714A (ko) 2014-03-28 2015-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30168A (zh) * 2021-09-17 2021-11-09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无线测试设备的测试方法、系统和无线测试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5987B1 (ko) 202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6766B2 (en) Enhanced sounding reference signaling for uplink beam tracking
JP7259049B2 (ja) 電力制御方法および電力制御装置
US9332474B2 (en) Signaling support for multi sector deployment in cellular communications
KR20200021452A (ko) 전자 장치,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무선 통신 방법
US8798633B2 (en) Positioning-assisted cell selection and handover for LTE
EP28987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in full-duplex wireless systems with simultaneous transmission reception
CN103636152A (zh) 用于减少同信道干扰的方法和设备
WO2015043469A1 (zh) 天线系统及处理方法
US10897296B2 (en)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1465245B1 (ko) 신호 처리 시스템,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및 그 시스템에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WO2020207384A1 (zh) 基站设备、通信方法和存储介质
EP2763487A1 (en) Methods of performing radio resource management, network node, mobile device,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methods
WO20180389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coupling control and data channels in wireless networks
KR102265987B1 (ko) 적응적 수신기 운용 방법 및 장치
CN112398519A (zh) 用于无线通信系统的电子设备、方法和存储介质
US11743830B2 (en) Panel activation at a user equipment
US20180288791A1 (en) User equipment assisted coordination for scheduled wireless transmissions
KR102438410B1 (ko) 네트워크 제어 단말 및 네트워크 노드를 위한 전자 디바이스 및 방법
US9832658B2 (en) Interference coordination by means of directional antenna beams in a wireless system
US201501730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rdinated Uplink Scheduling
US20180077579A1 (en) Small cell activation in hetnet
US9565606B2 (en) Controlling signal transmission in radio units
WO2023185562A1 (zh) 用于无线通信的电子设备和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2024427A1 (ja) 端末及び通信方法
US20240137196A1 (en) Utilizing unused frequency division duplex uplink for time division duplex operations in wireless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