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9328A -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9328A
KR20170049328A KR1020150166573A KR20150166573A KR20170049328A KR 20170049328 A KR20170049328 A KR 20170049328A KR 1020150166573 A KR1020150166573 A KR 1020150166573A KR 20150166573 A KR20150166573 A KR 20150166573A KR 20170049328 A KR20170049328 A KR 20170049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luation
sales
rate
industry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6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순욱
Original Assignee
중소기업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소기업은행 filed Critical 중소기업은행
Publication of KR20170049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93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은행 등과 같은 금융기관에서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기업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산업분류별 과거 연평균 성장률(CAGR)을 이용하여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표준화 매출을 산출하고, 비재무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반영하여 표준화 매출을 산출할 수 있으며, 기술 경쟁력 평가 항목에 대한 점수를 기초로 산출된 로열티율 조정 지수를 통해 합리적인 로열티율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은행의 누적된 중소기업에 대한 기업평가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술 및 IP 가치 평가에 있어서 중소기업의 현실과 여러 특수성을 반영한 새로운 모델로서, 이를 통해 은행의 자체 기술 평가 능력을 고양하고, 장기적으로는 기술기업에 대한 투·융자 심사시 활용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기술 평가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a value of technology or intellectual property}
본 발명은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소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기술이나 IP(특허 등)의 가치를 평가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 평가란 사업화를 통하여 발생할 수 있는 기술의 경제적 가치를 가액등급 또는 점수 등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그 중 기술 가치 평가는 사업화하려는 기술이나 사업화된 기술이 그 사업을 통하여 창출하는 경제적 가치를 기술 시장에서 일반적으로 인정된 가치 평가 원칙과 방법론에 입각하여 평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 가치 평가 방법은 정확도에 있어 한계가 있어, 보다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가치 평가 방법의 도입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536535호 (기술신용보증기금) 2015. 7. 7. 특허문헌 1은 동태적 현금흐름법에 따른 기술가치평가 방법으로서, 특허문헌 1에는 수익접근법에 의한 기술가치평가 방법에서 미래시장 환경 및 의사결정 방향의 변동성을 고려하는 동태적 현금흐름법(Dynamic Discounted Cash Flow : Dynamic-DCF)에 따른 기술가치평가 방법에 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9-0091519호 (정보통신연구진흥원) 2009. 8. 28. 특허문헌 2는 기술가치 평가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특허문헌 2에는 기업들의 과거 재무제표들을 표준화하여 작성한 표준-재무제표 DB를 참고하여, 입력된 기초 데이터를 기초로 기술가치를 평가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중소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기술이나 IP(특허 등)의 가치를 평가하는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장치는, 특허 인용 수명을 기초로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을 산출하는 경제적 수명 산출부; 평가 기준 연도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간의 산업분류별 과거 연평균 성장률(Compound Annual Growth Rate : CAGR)을 기초로 상기 경제적 수명 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상기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매출액을 추정하여 상기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하는 표준화 매출 산출부; 업종별 로열티율을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에 해당하는 산업 로열티율을 산출하는 산업 로열티율 산출부; 및 상기 표준화 매출 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상기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과 상기 산업 로열티율 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상기 평가 대상의 산업 로열티율을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의 가치를 산정하는 가치 산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준화 매출 산출부는, 상기 평가 대상을 보유한 평가 기업의 자산 규모와 업종을 기초로 미리 설정된 복수의 클래스 중에서 해당하는 클래스의 매출 추정 방식에 의해 상기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클래스는, 기본적으로 산업분류별 과거 연평균 성장률을 기초로 연도별 매출액을 추정하고, 평가 기준 연도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간의 상기 평가 기업의 과거 매출 성장률이 해당하는 산업분류의 과거 연평균 성장률보다 큰 경우, 상기 평가 기업에서 제공한 연평균 성장률을 기초로 연도별 매출액을 추정하는 방식인 제1 클래스; 기본적으로 상기 평가 기업에서 제공한 연평균 성장률을 기초로 연도별 매출액을 추정하고, 평가 기준 연도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간의 상기 평가 기업의 과거 매출 성장률이 해당하는 산업분류의 과거 연평균 성장률보다 작은 경우, 산업분류별 과거 연평균 성장률을 기초로 연도별 매출액을 추정하는 방식인 제2 클래스; 및 기본적으로 상기 평가 기업에서 제공한 추정 매출액을 기초로 연도별 매출액을 추정하고, 추정된 연도별 매출액의 성장률이 미리 설정된 과다 성장률보다 큰 경우, 산업분류별 과거 연평균 성장률 또는 평가 기준 연도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간의 상기 평가 기업의 과거 매출 성장률을 기초로 연도별 매출액을 추정하는 방식인 제3 클래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준화 매출 산출부는, 산업분류별 과거 연평균 성장률을 기초로 추정된 연도별 매출액 및 비재무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표준화 매출 산출부는, 상기 평가 대상을 보유한 평가 기업의 자산 규모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복수의 카테고리 중에서 해당하는 카테고리에 속하는 비재무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 및 추정된 연도별 매출액을 토대로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는, 산업 위험에 대한 비재무 평가 항목인 산업 위험 항목, 영업 위험에 대한 비재무 평가 항목인 시장성 항목, 영업 위험에 대한 비재무 평가 항목인 위기 상황 평가 항목, 영업 위험에 대한 비재무 평가 항목인 자금 조달 능력 항목 및 경영 위험에 대한 비재무 평가 항목인 업력 항목으로 이루어진 제1 카테고리; 상기 산업 위험 항목, 상기 위기 상황 평가 항목, 상기 자금 조달 능력 항목, 상기 업력 항목 및 경영 위험에 대한 비재무 평가 항목인 규모 항목으로 이루어진 제2 카테고리; 및 상기 산업 위험 항목, 상기 시장성 항목, 상기 위기 상황 평가 항목, 상기 자금 조달 능력 항목 및 상기 업력 항목으로 이루어진 제3 카테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업 로열티율 산출부는, 기술 경쟁력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기초로 산출된 로열티율 조정 지수 및 업종별 로열티율을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의 산업 로열티율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산업 로열티율 산출부는, 기술 혁신성, 시장 현황 및 제품 우위성에 대한 평가 항목으로 이루어진 상기 기술 경쟁력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의 백분율을 통해 산출된 상기 로열티율 조정 지수를 업종별 로열티율 중에서 해당하는 로열티율에 곱하여 상기 평가 대상의 산업 로열티율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표준화 매출 산출부는, 상기 평가 대상이 IP이면, 상기 평가 대상의 이용률을 산출하고, 산출된 이용률 및 산업분류별 과거 연평균 성장률을 기초로 추정된 연도별 매출액을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산업 로열티율 산출부는, 상기 평가 대상이 IP이면, 사업 역량 평가 항목과 기술 경쟁력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기초로 산출된 로열티율 조정 지수 및 업종별 로열티율을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의 산업 로열티율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산업 로열티율 산출부는, 경영주, 관리 능력, 기술 개발 능력, 제품화 역량 및 수익 전망에 대한 평가 항목으로 이루어진 상기 사업 역량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의 백분율 대비 기술 혁신성, 시장 현황 및 제품 우위성에 대한 평가 항목으로 이루어진 상기 기술 경쟁력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의 백분율을 통해 산출된 상기 로열티율 조정 지수를 업종별 로열티율 중에서 해당하는 로열티율에 곱하여 상기 평가 대상의 산업 로열티율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가치 산정부는, 상기 평가 대상이 IP이면, 권리 안정성, 권리 보호 가능성, 권리 행사 용이성 및 IP 거래 시장성에 대한 평가 항목으로 이루어진 IP 담보성에 대한 평가 점수, 상기 표준화 매출 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연도별 표준화 매출 및 상기 산업 로열티율 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산업 로열티율을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의 가치를 산정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장치는, 특허 인용 수명을 기초로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을 산출하는 경제적 수명 산출부; 상기 경제적 수명 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상기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매출액을 추정하고, 추정된 연도별 매출액 및 비재무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하는 표준화 매출 산출부; 업종별 로열티율을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에 해당하는 산업 로열티율을 산출하는 산업 로열티율 산출부; 및 상기 표준화 매출 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상기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과 상기 산업 로열티율 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상기 평가 대상의 산업 로열티율을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의 가치를 산정하는 가치 산정부;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장치는, 특허 인용 수명을 기초로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을 산출하는 경제적 수명 산출부; 평가 기준 연도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간의 산업분류별 과거 연평균 성장률(Compound Annual Growth Rate : CAGR)을 기초로 상기 경제적 수명 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상기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매출액을 추정하여 상기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하는 표준화 매출 산출부; 기술 경쟁력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기초로 산출된 로열티율 조정 지수 및 업종별 로열티율을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에 해당하는 산업 로열티율을 산출하는 산업 로열티율 산출부; 및 상기 표준화 매출 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상기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과 상기 산업 로열티율 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상기 평가 대상의 산업 로열티율을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의 가치를 산정하는 가치 산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산업 로열티율 산출부는, 상기 평가 대상이 IP이면, 사업 역량 평가 항목과 기술 경쟁력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기초로 상기 로열티율 조정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방법은,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장치의 가치 평가 방법으로서, 특허 인용 수명을 기초로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을 산출하는 단계; 평가 기준 연도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간의 산업분류별 과거 연평균 성장률(Compound Annual Growth Rate : CAGR)을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매출액을 추정하여 상기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하는 단계; 업종별 로열티율을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에 해당하는 산업 로열티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과 상기 평가 대상의 산업 로열티율을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의 가치를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표준화 매출 산출 단계는, 상기 평가 대상을 보유한 평가 기업의 자산 규모와 업종을 기초로 미리 설정된 복수의 클래스 중에서 해당하는 클래스의 매출 추정 방식에 의해 상기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클래스는, 기본적으로 산업분류별 과거 연평균 성장률을 기초로 연도별 매출액을 추정하고, 평가 기준 연도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간의 상기 평가 기업의 과거 매출 성장률이 해당하는 산업분류의 과거 연평균 성장률보다 큰 경우, 상기 평가 기업에서 제공한 연평균 성장률을 기초로 연도별 매출액을 추정하는 방식인 제1 클래스; 기본적으로 상기 평가 기업에서 제공한 연평균 성장률을 기초로 연도별 매출액을 추정하고, 평가 기준 연도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간의 상기 평가 기업의 과거 매출 성장률이 해당하는 산업분류의 과거 연평균 성장률보다 작은 경우, 산업분류별 과거 연평균 성장률을 기초로 연도별 매출액을 추정하는 방식인 제2 클래스; 및 기본적으로 상기 평가 기업에서 제공한 추정 매출액을 기초로 연도별 매출액을 추정하고, 추정된 연도별 매출액의 성장률이 미리 설정된 과다 성장률보다 큰 경우, 산업분류별 과거 연평균 성장률 또는 평가 기준 연도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간의 상기 평가 기업의 과거 매출 성장률을 기초로 연도별 매출액을 추정하는 방식인 제3 클래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준화 매출 산출 단계는, 산업분류별 과거 연평균 성장률을 기초로 추정된 연도별 매출액 및 비재무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표준화 매출 산출 단계는, 상기 평가 대상을 보유한 평가 기업의 자산 규모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복수의 카테고리 중에서 해당하는 카테고리에 속하는 비재무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 및 추정된 연도별 매출액을 토대로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는, 산업 위험에 대한 비재무 평가 항목인 산업 위험 항목, 영업 위험에 대한 비재무 평가 항목인 시장성 항목, 영업 위험에 대한 비재무 평가 항목인 위기 상황 평가 항목, 영업 위험에 대한 비재무 평가 항목인 자금 조달 능력 항목 및 경영 위험에 대한 비재무 평가 항목인 업력 항목으로 이루어진 제1 카테고리; 상기 산업 위험 항목, 상기 위기 상황 평가 항목, 상기 자금 조달 능력 항목, 상기 업력 항목 및 경영 위험에 대한 비재무 평가 항목인 규모 항목으로 이루어진 제2 카테고리; 및 상기 산업 위험 항목, 상기 시장성 항목, 상기 위기 상황 평가 항목, 상기 자금 조달 능력 항목 및 상기 업력 항목으로 이루어진 제3 카테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업 로열티율 산출 단계는, 기술 경쟁력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기초로 산출된 로열티율 조정 지수 및 업종별 로열티율을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의 산업 로열티율을 산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산업 로열티율 산출 단계는, 기술 혁신성, 시장 현황 및 제품 우위성에 대한 평가 항목으로 이루어진 상기 기술 경쟁력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의 백분율을 통해 산출된 상기 로열티율 조정 지수를 업종별 로열티율 중에서 해당하는 로열티율에 곱하여 상기 평가 대상의 산업 로열티율을 산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표준화 매출 산출 단계는, 상기 평가 대상이 IP이면, 상기 평가 대상의 이용률을 산출하고, 산출된 이용률 및 산업분류별 과거 연평균 성장률을 기초로 추정된 연도별 매출액을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산업 로열티율 산출 단계는, 상기 평가 대상이 IP이면, 사업 역량 평가 항목과 기술 경쟁력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기초로 산출된 로열티율 조정 지수 및 업종별 로열티율을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의 산업 로열티율을 산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산업 로열티율 산출 단계는, 경영주, 관리 능력, 기술 개발 능력, 제품화 역량 및 수익 전망에 대한 평가 항목으로 이루어진 상기 사업 역량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의 백분율 대비 기술 혁신성, 시장 현황 및 제품 우위성에 대한 평가 항목으로 이루어진 상기 기술 경쟁력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의 백분율을 통해 산출된 상기 로열티율 조정 지수를 업종별 로열티율 중에서 해당하는 로열티율에 곱하여 상기 평가 대상의 산업 로열티율을 산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치 산정 단계는, 상기 평가 대상이 IP이면, 권리 안정성, 권리 보호 가능성, 권리 행사 용이성 및 IP 거래 시장성에 대한 평가 항목으로 이루어진 IP 담보성에 대한 평가 점수, 상기 표준화 매출 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연도별 표준화 매출 및 상기 산업 로열티율 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산업 로열티율을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의 가치를 산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방법은,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장치의 가치 평가 방법으로서, 특허 인용 수명을 기초로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매출액을 추정하고, 추정된 연도별 매출액 및 비재무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하는 단계; 업종별 로열티율을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에 해당하는 산업 로열티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과 상기 평가 대상의 산업 로열티율을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의 가치를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은행 등과 같은 금융기관에 누적된 중소기업에 대한 기업 평가 데이터 등을 기반으로 기술 또는 IP(특허 등)의 가치를 평가함에 있어, 중소기업의 현실과 여러 특수성을 반영한 가치 평가 모델로서, 은행 등의 금융기관 자체 기술 평가 능력을 고양하고, 장기적으로는 기술 기업에 대한 투자/융자 심사 시 활용할 수 있는 신뢰성있는 기술 가치 평가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치 평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치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치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가치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은행 등과 같은 금융기관에 누적된 중소기업에 대한 기업 평가 데이터 등을 기반으로 기술 또는 IP(특허 등)의 가치를 평가함에 있어, 중소기업의 현실과 여러 특수성을 반영한 가치 평가 모델로서, 은행 등의 금융기관 자체 기술 평가 능력을 고양하고, 장기적으로는 기술 기업에 대한 투자/융자 심사 시 활용할 수 있는 신뢰성있는 기술 가치 평가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로열티 공제법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금융기관에 누적된 중소기업에 대한 기업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현실적인 매출 추정이 가능하고, 중소기업의 특성을 반영하여 합리적인 로열티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검증 결과 기존의 기술 가치 평가 모델에 비해 중소기업이 보유한 기술 또는 IP의 가치 추정 정확도가 현저히 향상됨이 확인되었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장치(이하 '가치 평가 장치'라 한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치 평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치 평가 장치(100)는 중소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기술이나 IP의 가치를 평가한다. 이를 위해, 가치 평가 장치(100)는 경제적 수명 산출부(110), 할인율 산출부(130), 표준화 매출 산출부(150), 산업 로열티율 산출부(170) 및 가치 산정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평가 대상은 크게 '기술'과 'IP(특허 등)'로 구분할 수 있으며, 먼저 평가 대상이 '기술'인 경우의 가치 평가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후 평가 대상이 'IP'인 경우의 가치 평가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러면, 평가 대상이 '기술'인 경우의 가치 평가 동작에 대하여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경제적 수명 산출부(110)는 특허 인용 수명을 기초로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을 산출한다.
여기서, 특허 인용 수명은 인용 관계(인용과 피인용)에 있는 특허들 간의 인용 주기를 산출한 것을 나타내며, 이러한 개별적인 인용 주기가 모여 인용 수명 분포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 수명 분포를 통계량으로 나타냄으로서 기술 분야별 수명 주기를 대표할 수 있는 유효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즉, 특허 인용 수명은 미국의 등록특허를 국제특허분류(IPC) 4단위(subclass)별로 분류하여 구한 인용 평균값과 중앙값 등의 주요 통계값으로서, 이를 기술 수명의 대리 변수로 보고 기술의 경제적 수명을 결정하기 위한 주요 기반 정보로 활용한다.
예컨대, 특허 인용 수명은 아래의 [표 1]과 같이 IPC 분류와 그에 해당하는 기술명, 중앙값(Q2 : 분포의 50%), Q1(일사분위수 : 분포의 하위 25%), Q3(삼사분위수 : 분포의 상위 25%), 평균 등으로 이루어진다.

IPC

A61K

C22B

G06F

기술명

의약용, 치과용 또는
화장용 제제

금속의 제조 또는 정제

전기에 의한 디지털 데이터 처리

중앙값(Q2)

8

9

6

Q1

5

5

4

Q3

13

17

9

평균

9.62

11.79

7.31

표준편차

6.8352

9.3400

4.5816
즉, 경제적 수명 산출부(110)는 통계적으로 도출된 동일/유사 기술 분야의 기준 수명을 기준으로 하여 평가 대상의 기술 요인 및 시장 요인의 수명 조정 지표를 적용하여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수명은 산업통상자원부 기술가치평가 모형(한국산업기술진흥원의 "기술가치평가 실무가이드" 참조)에 기재된 "기술 순환 주기(Technology Cycle Time : TCT) 지수"를 통해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기술 순환 주기(TCT) 지수는 특허 인용 수명에 따른 중앙값(Q2)를 이용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경제적 수명 산출부(110)는 아래의 [수학식 1]을 통해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을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특허 인용 수명은 기술 순환 주기(TCT) 지수 등을 이용한다. 영향 요인은 기술의 경제적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적 요인과 시장적 요인을 평가하는 항목을 말하며, 각각의 항목은 -2점 내지 +2점의 범위 내의 평점을 가지게 된다. 기술적 요인을 평가하는 항목은 "대체기술 출현가능성" 평가 항목, "기술적 우월성" 평가 항목, "유사/경쟁 기술의 존재(수)" 평가 항목, "모방 난이도" 평가 항목 및 "권리 강도" 평가 항목으로 이루어진다. 시장적 요인을 평가하는 항목은 "시장 집중도(주도기업 존재)" 평가 항목, "시장 경쟁의 변화" 평가 항목, "시장 경쟁 강도" 평가 항목, "예상 시장점유율" 평가 항목 및 "신제품 출현빈도" 평가 항목으로 이루어진다.
그런 다음, 경제적 수명 산출부(110)는 아래의 [수학식 2]를 통해 경제적 수명의 적용기간을 결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경제적 수명은 위의 [수학식 1]을 통해 산출된 기술의 경제적 수명을 나타낸다. 특허의 등록이후 경과년수는 평가대상 특허의 등록 이후 평가 기준 연도까지의 경과된 연수를 나타낸다.
그리고, 경제적 수명 산출부(110)는 [수학식 2]를 통해 산출된 경제적 수명의 적용 기간은 법적 실체인 특허로서의 기술 수명인 법적 수명을 초과할 수 없으므로, 법적 수명을 고려하여 기술의 경제적 유효 수명을 결정할 수 있다. 즉, 경제적 수명 적용 기간이 법적 잔존 기간보다 작으면, 경제적 수명 산출부(110)는 경제적 수명 적용 기간을 기술의 경제적 유효 수명으로 적용한다. 반면, 경제적 수명 적용 기간이 법적 잔존 기간보다 크면, 경제적 수명 산출부(110)는 법적 잔존 기간을 기술의 경제적 유효 수명으로 적용한다.
마지막으로, 경제적 수명 산출부(110)는 아래의 [수학식 3]을 통해 현금흐름 추정 기간을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여기서, 사업화 투자 기간은 매출 시현 이전에 사업화를 위해 투자한 기간을 말한다.
이와 같이 산출된 현금흐름 추정 기간을 통해, 경제적 수명 산출부(110)는 평가대상의 경제적 수명을 최종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경제적 수명은 아래의 [표 2]와 같이 산출될 수 있다.

특허인용수명

11년(의료기기)

경제적 수명

11년 X (1 + 0.25) = 14년(13.75의 반올림)

특허등록 이후 경과년수

4년 (등록년도 : 2011년, 평가기준년도 : 2015년)

사업화 투자 기간

0년 (현재 평가대상 기술관련 매출 발생)

최종적으로 산출된 경제적 수명

14년 - 4년 + 0년 = 10년
할인율 산출부(130)는 가중 평균 자본 비용(Weighted Average Cost of Capital : WACC)을 기초로 평가 대상의 할인율을 산출한다. 여기서. 가중 평균 자본 비용(WACC)는 산업통상자원부 기술가치평가 실무가이드에서 채택하고 있는 산정 방식을 그대로 이용한다.
표준화 매출 산출부(150)는 경제적 수명 산출부(110)를 통해 산출된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한다.
즉, 표준화 매출 산출부(150)는 평가 기준 연도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간(예컨대, 2년, 3년 등)의 산업분류별 과거 연평균 성장률(Compound Annual Growth Rate : CAGR)을 기초로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매출액을 추정하여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산업분류별 과거 연평균 성장률(CAGR)은 은행 등과 같은 금융기관이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기업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산출된다. 예컨대, 산업분류별 과거 연평균 성장률(CAGR)은 아래의 [표 3]과 같다.


산업분류코드



기업수


매출액 증가율

2012

2013

2014

CAGR

C101

185

6.7%

6.7%

9.0%

7.4%

C102

148

7.3%

0.5%

5.7%

4.5%

C103

75

7.7%

4.2%

-0.6%

3.7%

C104

23

18.5%

-7.8%

-1.9%

2.4%

C105

23

3.3%

1.8%

12.7%

5.8%

C106

77

9.3%

3.1%

1.5%

4.6%

C107

360

9.9%

5.9%

6.0%

7.2%

C108

50

16.4%

6.0%

1.2%

7.7%

C111

7

7.2%

7.0%

10.2%

8.1%
또한, 산업분류는 한국표준산업분류(KSIC) 등과 같이 사업체가 주로 수행하는 산업 활동을 그 유사성에 따라 분류한 것이나,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 국제특허분류(IPC) 등과 같이 기술을 그 내용에 따라 분류한 것을 나타낸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표준화 매출 산출부(150)는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매출액을 추정할 수 있다. 예컨대, 표준화 매출 산출부(150)는 대상기술 제품에 대한 과거 실적 자료나 사업계획서를 기반으로 매출액을 추정하거나, 시장 점유율 또는 수요 예측에 의해 매출액을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표준화 매출 산출부(150)는 추정된 매출액 및 산업분류별 과거 연평균 성장률(CAGR)을 기초로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할 수 있다.
즉, 표준화 매출 산출부(150)는 평가 대상을 보유한 평가 기업의 자산 규모와 업종을 기초로 아래의 [표 4]와 같이 미리 설정된 복수의 클래스 중에서 해당하는 클래스의 매출 추정 방식(표 5 참조)에 의해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한다.

구분

Main 추정 방식

Sub 추정 방식


제1 클래스

기본적으로 산업분류별 과거 연평균 성장률을 기초로 연도별 매출액을 추정

평가 기준 연도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간의 평가 기업의 과거 매출 성장률이 해당하는 산업분류의 과거 연평균 성장률보다 큰 경우, 평가 기업에서 제공한 연평균 성장률을 기초로 연도별 매출액을 추정


제2 클래스

기본적으로 평가 기업에서 제공한 연평균 성장률을 기초로 연도별 매출액을 추정

평가 기준 연도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간의 평가 기업의 과거 매출 성장률이 해당하는 산업분류의 과거 연평균 성장률보다 작은 경우, 산업분류별 과거 연평균 성장률을 기초로 연도별 매출액을 추정


제3 클래스

기본적으로 평가 기업에서 제공한 추정 매출액을 기초로 연도별 매출액을 추정

추정된 연도별 매출액의 성장률이 미리 설정된 과다 성장률보다 큰 경우, 산업분류별 과거 연평균 성장률 또는 평가 기준 연도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간의 평가 기업의 과거 매출 성장률을 기초로 연도별 매출액을 추정


업종

자산 규모

창업 기간

20억 이하

20억 ~ 70억

70억 이상

7년 이내

7년 이상

제조일반

제1 클래스





제1 클래스










제1 클래스

제1 클래스










제1 클래스

바이오

제3 클래스

제2 클래스

환경







제2 클래스


제3 클래스

S/W

닷컴

제2 클래스

제2 클래스

디자인


제1 클래스


제3 클래스

융합
그런 다음, 표준화 매출 산출부(150)는 산출된 연도별 표준화 매출에 비재무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할 수 있다.
즉, 표준화 매출 산출부(150)는 산업분류별 과거 연평균 성장률을 기초로 추정된 연도별 매출액 및 비재무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기초로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한다.
여기서, 비재무 평가 항목은 은행 등과 같은 금융기관의 거래 기업 중 중소기업 비재무 항목에 대한 유의성 평가 결과, AR(Accuracy Ratio)이 다른 평가 항목 대비 양호한 평가 항목을 말한다.
예컨대, 표준화 매출 산출부(150)는 평가 대상을 보유한 평가 기업의 자산 규모를 기초로 아래의 [표 6]과 같이 미리 설정된 복수의 카테고리 중에서 해당하는 카테고리에 속하는 비재무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표 7 참조) 및 추정된 연도별 매출액을 토대로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할 수 있다.

구분

평가 항목

제1 카테고리
(70억 이상)

제2 카테고리
(70억 ~ 20억)

제3 카테고리
(20억 미만)

산업 위험

산업 위험







영업 위험

시장성



위기 상황 평가




자금 조달 능력





경영 위험

업력




규모



구분


세부 항목

평점

-2

-1

0

1

2






비재무
항목

산업 위험

시장성
(자산 규모 "20 ~ 70억"인 경우, 규모)

위기 상황 평가

자금 조달 능력

업력

비재무 항목 평가에 대한 평가 점수 합계
정리하면, 표준화 매출 산출부(150)는 아래의 [수학식 4]를 통해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4
여기서, 추정 매출액은 산업분류별 과거 연평균 성장률(CAGR)을 기초로 추정된 연도별 매출액을 나타낸다. 비재무 평가 항목 평가 점수 합계는 위의 [표 7]을 통해 산출된 평가 기업의 비재무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 합계를 나타낸다.
예컨대, 표준화 매출은 아래의 [표 8]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평가 대상

대상 기술 : 의료기기
사업화 주체 기업 유형 : 비상장(중기업)군

매출 추정 방식

의료기기 제조업의 경우 제조일반으로 분류되어 제1 클래스에 해당

CAGR

산업분류상 C271(의료용 기기 제조업)에 해당하는 CAGR : 8.42%

추정 매출액
(단위: 백만원)

연도 2014/2015/2016/2017/2018/2019/2020/2021/2022/2023
매출액 0060/0065/0070/0076/0082/0089/0097/0105/0114/0123

비재무 평가 항목

비재무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 합계 : 0

표준화 매출

연도 2014/2015/2016/2017/2018/2019/2020/2021/2022/2023
매출액 0060/0065/0070/0076/0082/0089/0097/0105/0114/0123
산업 로열티율 산출부(170)는 업종별 로열티율을 기초로 평가 대상에 해당하는 산업 로열티율을 산출한다.
즉, 산업 로열티율 산출부(170)는 업종별 거래 사례 로열티 통계나 상관행법 로열티 통계를 이용하여 평가 대상에 해당하는 로열티율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산업 로열티율 산출부(170)는 기술 경쟁력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기초로 산출된 로열티율 조정 지수 및 평가 대상의 해당 로열티율을 기초로 평가 대상의 산업 로열티율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기술 경쟁력 평가 항목은 아래의 [표 9]와 같이 기술 신용 평가 기관(Technology Credit Bureau : TCB), 은행 등과 같은 금융기관 등에서 이용되는 기술 평가 모델에서 기술 경쟁력(기술성과 시장성)을 평가하는 지표를 말하다.

대항목

중항목

세부 항목









사업 역량











경영주

동업종 경험 수준
기술 지식 수준
기술 이해도
경영 관리 능력
기술 경영 전략

관리 능력
기술 인력 관리
경영진의 전문 지식 수준
자본 참여도
경영주와의 관계 및 팀웍


기술 개발 능력

기술 개발 전담 조직
기술(디자인) 인력
기술 개발 및 수상(인증 실적)
지식재산권 등 보유 현황
연구 개발 투자

제품화 역량
생산 역량
투자 규모의 적정성
자본 조달 능력

수익 전망
마케팅 역량
판매처의 다양성 및 안정성
투자 대비 회수 가능성






기술 경쟁력







기술 혁신성


기술의 차별성
모방의 난이도
기술의 수명주기상 위치
기술의 완성도
기술의 자립도
기술적 파급 효과

시장 현황

목표시장의 규모
시장의 성장성
경쟁 상황
법/규제 등 제약/장려 요인

제품 우위성
인지도
시장 점유율
경쟁제품과의 비교 우위성
예컨대, 산업 로열티율 산출부(170)는 아래의 [수학식 5]와 같이 기술 혁신성, 시장 현황 및 제품 우위성에 대한 평가 항목으로 이루어진 기술 경쟁력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의 백분율을 통해 산출된 로열티율 조정 지수를 업종별 로열티율 중에서 해당하는 로열티율에 곱하여 평가 대상의 산업 로열티율을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5
예컨대, 산업 로열티율은 아래의 [표 10]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평가 대상

기술

대상 기술

전자 부품

업종 로열티율

3%

기술 경쟁력 평가 항목 점수

68

로열티율 조정 지수

0.72

산업 로열티율

3% X 0.72 = 2.16%
가치 산정부(190)는 표준화 매출 산출부(150)를 통해 산출된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과 산업 로열티율 산출부(170)를 통해 산출된 평가 대상의 산업 로열티율을 기초로 평가 대상의 가치를 산정한다.
즉, 가치 산정부(190)는 아래의 [수학식 6]을 통해 평가 대상의 가치를 산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06
여기서, VT는 평가 대상인 기술 가치를 나타낸다. n은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을 나타낸다. r은 평가 대상의 할인율을 나타낸다. 표준화 매출은 표준화 매출 산출부(150)를 통해 산출된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나타낸다. 산업 로열티율은 산업 로열티율 산출부(170)를 통해 산출된 평가 대상의 산업 로열티율을 나타낸다.
그러면, 평가 대상이 'IP'인 경우의 가치 평가 동작에 대하여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평가 대상이 '기술'인 경우의 가치 평가 동작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이하 설명한다.
표준화 매출 산출부(150)는 평가 대상이 IP이면, 평가 대상의 이용률을 산출하고, 산출된 이용률 및 산업 분류별 과거 연평균 성장률을 기초로 추정된 연도별 매출액을 기초로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한다.
여기서, 이용률은 제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전체 기술에서 대상 IP가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낸다. 기술 가치 평가와 달리 IP 가치 평가에서 이용률을 적용하는 이유는 대상 IP 제품을 구성하는 많은 기술 중에서 대상 IP만이 매출에 기여한 표준화 매출을 산정하기 위함이다.
이용률을 산출하는 과정은 매출액 추정 대상이 되는 기술 제품을 정의하고, 제품을 구성하는 구성 기술(대분류)과 요소 기술(소분류)을 분류한 후, 각 요소 기술이 차지하는 비중을 결정하며, 대상 IP가 제품을 구성하는 요소기술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를 결정하여 최종적으로 대상 IP의 이용률을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아래의 [표 11]과 같이 평가 대상 IP의 이용률을 산출할 수 있다.

대분류

비중(A)

소분류

비중(B)

이용 여부

A X B
가선
시스템
기술

50%
가선 당김 및 풀림 장치 50% 25%
가선 시스템 설계 50% 0%
100% 25%

가선
부품
기술


30%

직선부 가이드롤러 25% 8%
곡선부 가이드롤러 25% 8%
전선클립 30% 9%
기타 가선 부품 20% 0%
100% 18%
가선
공법
기술

20%
무정전 가선 설치 공법 50% 0%
동시가선, 공중분기 등 기타 공법 50% 0%
100% 0%
이용률 49%
즉, 표준화 매출 산출부(150)는 평가 대상이 IP인 경우, 비재무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이용하지 않고, 이용률을 이용하여 아래의 [수학식 7]을 통해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7
여기서, 추정 매출액은 산업분류별 과거 연평균 성장률(CAGR)을 기초로 추정된 연도별 매출액을 나타낸다.
예컨대, 표준화 매출은 아래의 [표 12]와 같이 산출될 수 있다.

평가 대상

대상 기술 : 의료기기
사업화 주체 기업 유형 : 비상장(중기업)군

매출 추정 방식

의료기기 제조업의 경우 제조일반으로 분류되어 제1 클래스에 해당

CAGR

산업분류상 C271(의료용 기기 제조업)에 해당하는 CAGR : 8.42%

추정 매출액
(단위: 백만원)

연도 2014/2015/2016/2017/2018/2019/2020/2021/2022/2023
매출액 0060/0065/0070/0076/0082/0089/0097/0105/0114/0123

이용률

평가 대상의 이용률 : 68%

표준화 매출

연도 2014/2015/2016/2017/2018/2019/2020/2021/2022/2023
매출액 0041/0044/0048/0052/0056/0061/0066/0071/0077/0084
산업 로열티율 산출부(170)는 평가 대상이 IP이면, 사업 역량 평가 항목과 기술 경쟁력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기초로 산출된 로열티율 조정 지수 및 업종별 로열티율을 기초로 평가 대상의 산업 로열티율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산업 로열티율 산출부(170)는 위의 [표 9]에 따른 평가 항목에서, 경영주, 관리 능력, 기술 개발 능력, 제품화 역량 및 수익 전망에 대한 평가 항목으로 이루어진 사업 역량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의 백분율 대비 기술 혁신성, 시장 현황 및 제품 우위성에 대한 평가 항목으로 이루어진 기술 경쟁력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의 백분율을 통해 산출된 로열티율 조정 지수를 업종별 로열티율 중에서 해당하는 로열티율에 곱하여 평가 대상의 산업 로열티율을 산출한다.
예컨대, 산업 로열티율 산출부(170)는 아래의 [수학식 8]을 통해 로열티율 조정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8
이와 같이, 평가 대상이 IP인 경우, 평가 대상이 기술인 경우(기술 경쟁력 평가 항목에 대한 점수를 기초로 로열티율 조정 지수를 산출)와 달리, 사업 역량 평가 항목 점수와 기술 경쟁력 평가 항목 점수를 이용하여 로열티율 조정 지수를 산출하는 이유는 평가 기업의 매출액을 발생시키는 요인 중 사업 주체와 관련된 부분을 배제하고 IP 자체의 기술 경쟁력(기술성과 시장성)만을 고려하여 가치 금액을 산출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산업 로열티율은 아래의 [표 13]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평가 대상

IP

대상 기술

하수/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 및 환경 복원업

업종 로열티율

5%

기술 경쟁력 평가 항목 점수

72

사업 역량 평가 항목 점수

60

로열티율 조정 지수

72 / 60 = 1.2

산업 로열티율

5% X 1.2 = 6%
가치 산정부(190)는 평가 대상이 IP이면, 권리 안정성, 권리 보호 가능성, 권리 행사 용이성 및 IP 거래 시장성에 대한 평가 항목으로 이루어진 IP 담보성에 대한 평가 점수, 표준화 매출 산출부(150)를 통해 산출된 연도별 표준화 매출 및 산업 로열티율 산출부(170)를 통해 산출된 산업 로열티율을 기초로 평가 대상의 가치를 산정한다.
여기서, IP 담보성은 아래의 [표 14]와 같이 IP가 담보로서 재산권의 완전성을 측정하기 위한 IP 자체의 권리성에 대한 평가 항목과 IP 거래 시장의 활성도에 대한 평가 항목으로 이루어진다.

평가 항목

평가 지표

평가 점수


권리성


권리
안정성
신규성 또는 진보성 무효 가능성 4
기타 요인에 의한 무효 가능성 3
권리 보호
가능성
해당 제품(서비스) 보호 가능성 3
국내외 IP포트폴리오 구축의 적절성 4
권리 행사
용이성
침해 발견 및 입증 용이성 3
권리행사 제한 가능성 3

IP 거래 시장성
IP분쟁 활성도 3
라이센스 활성도 3
특허출원 활성도 3
IP 담보성 29 / 45
즉, 가치 산정부(190)는 아래의 [수학식 9]를 통해 평가 대상의 가치를 산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09
여기서, VIP는 평가 대상인 IP 가치를 나타낸다. n은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을 나타낸다. r은 평가 대상의 할인율을 나타낸다. 표준화 매출은 표준화 매출 산출부(150)를 통해 산출된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나타낸다. 산업 로열티율은 산업 로열티율 산출부(170)를 통해 산출된 평가 대상의 산업 로열티율을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치 평가 모델이 은행 등과 같은 금융기관에서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기업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산업분류별 과거 연평균 성장률(CAGR)을 이용하여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표준화 매출을 산출하는 구성, 비재무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반영하여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표준화 매출을 산출하는 구성 및 기술 경쟁력 평가 항목에 대한 점수(또는 기술 경쟁력 평가 항목 및 사업 역량 평가 항목에 대한 점수)를 기초로 로열티율 조정 지수를 산출하는 구성을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 위의 세 가지 구성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가치 평가 모델을 구축할 수도 있다.
그러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방법(이하 '가치 평가 방법'이라 한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치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치 평가 장치(100)는 특허 인용 수명을 기초로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을 산출한다(S210).
그런 다음, 가치 평가 장치(100)는 평가 기준 연도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간(예컨대, 2년, 3년 등)의 산업분류별 과거 연평균 성장률(CAGR)을 기초로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매출액을 추정하여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한다(S230).
즉, 가치 평가 장치(100)는 평가 대상을 보유한 평가 기업의 자산 규모와 업종을 기초로 위의 [표 4]와 같이 미리 설정된 복수의 클래스 중에서 해당하는 클래스의 매출 추정 방식(표 5 참조)에 의해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가치 평가 장치(100)는 산출된 연도별 표준화 매출에 비재무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할 수도 있다. 즉, 가치 평가 장치(100)는 평가 대상을 보유한 평가 기업의 자산 규모를 기초로 위의 [표 6]과 같이 미리 설정된 복수의 카테고리 중에서 해당하는 카테고리에 속하는 비재무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표 7 참조) 및 추정된 연도별 매출액을 토대로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평가 대상이 IP인 경우, 가치 평가 장치(100)는 비재무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이용하지 않고, 이용률을 이용하여 위의 [수학식 7]을 통해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할 수 있다.
이후, 가치 평가 장치(100)는 업종별 로열티율을 기초로 평가 대상에 해당하는 산업 로열티율을 산출한다(S250).
이때, 가치 평가 장치(100)는 기술 경쟁력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기초로 산출된 로열티율 조정 지수 및 평가 대상의 해당 로열티율을 기초로 평가 대상의 산업 로열티율을 산출할 수도 있다. 즉, 가치 평가 장치(100)는 위의 [수학식 5]와 같이 기술 혁신성, 시장 현황 및 제품 우위성에 대한 평가 항목으로 이루어진 기술 경쟁력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의 백분율을 통해 산출된 로열티율 조정 지수를 업종별 로열티율 중에서 해당하는 로열티율에 곱하여 평가 대상의 산업 로열티율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평가 대상이 IP인 경우, 가치 평가 장치(100)는 사업 역량 평가 항목과 기술 경쟁력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기초로 산출된 로열티율 조정 지수 및 업종별 로열티율을 기초로 평가 대상의 산업 로열티율을 산출할 수 있다. 즉, 가치 평가 장치(100)는 위의 [표 9]에 따른 평가 항목에서, 경영주, 관리 능력, 기술 개발 능력, 제품화 역량 및 수익 전망에 대한 평가 항목으로 이루어진 사업 역량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의 백분율 대비 기술 혁신성, 시장 현황 및 제품 우위성에 대한 평가 항목으로 이루어진 기술 경쟁력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의 백분율을 통해 산출된 로열티율 조정 지수를 업종별 로열티율 중에서 해당하는 로열티율에 곱하여 평가 대상의 산업 로열티율을 산출한다.
마지막으로, 가치 평가 장치(100)는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과 평가 대상의 산업 로열티율을 기초로 평가 대상의 가치를 산정한다(S270).
이때, 평가 대상이 IP인 경우, 가치 평가 장치(100)는 권리 안정성, 권리 보호 가능성, 권리 행사 용이성 및 IP 거래 시장성에 대한 평가 항목으로 이루어진 IP 담보성에 대한 평가 점수, 연도별 표준화 매출 및 산업 로열티율을 기초로 평가 대상의 가치를 산정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치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치 평가 장치(100)는 특허 인용 수명을 기초로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을 산출한다(S310).
그런 다음, 가치 평가 장치(100)는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매출액을 추정하고, 추정된 연도별 매출액 및 비재무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기초로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한다(S330).
즉, 가치 평가 장치(100)는 평가 대상을 보유한 평가 기업의 자산 규모를 기초로 위의 [표 6]과 같이 미리 설정된 복수의 카테고리 중에서 해당하는 카테고리에 속하는 비재무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표 7 참조) 및 추정된 연도별 매출액을 토대로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가치 평가 장치(100)는 평가 기준 연도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간(예컨대, 2년, 3년 등)의 산업분류별 과거 연평균 성장률(CAGR)을 기초로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매출액을 추정할 수도 있다. 즉, 가치 평가 장치(100)는 평가 대상을 보유한 평가 기업의 자산 규모와 업종을 기초로 위의 [표 4]와 같이 미리 설정된 복수의 클래스 중에서 해당하는 클래스의 매출 추정 방식(표 5 참조)에 의해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평가 대상이 IP인 경우, 가치 평가 장치(100)는 비재무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이용하지 않고, 이용률을 이용하여 위의 [수학식 7]을 통해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할 수 있다.
이후, 가치 평가 장치(100)는 업종별 로열티율을 기초로 평가 대상에 해당하는 산업 로열티율을 산출한다(S350).
이때, 가치 평가 장치(100)는 기술 경쟁력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기초로 산출된 로열티율 조정 지수 및 평가 대상의 해당 로열티율을 기초로 평가 대상의 산업 로열티율을 산출할 수도 있다. 즉, 가치 평가 장치(100)는 위의 [수학식 5]와 같이 기술 혁신성, 시장 현황 및 제품 우위성에 대한 평가 항목으로 이루어진 기술 경쟁력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의 백분율을 통해 산출된 로열티율 조정 지수를 업종별 로열티율 중에서 해당하는 로열티율에 곱하여 평가 대상의 산업 로열티율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평가 대상이 IP인 경우, 가치 평가 장치(100)는 사업 역량 평가 항목과 기술 경쟁력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기초로 산출된 로열티율 조정 지수 및 업종별 로열티율을 기초로 평가 대상의 산업 로열티율을 산출할 수 있다. 즉, 가치 평가 장치(100)는 위의 [표 9]에 따른 평가 항목에서, 경영주, 관리 능력, 기술 개발 능력, 제품화 역량 및 수익 전망에 대한 평가 항목으로 이루어진 사업 역량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의 백분율 대비 기술 혁신성, 시장 현황 및 제품 우위성에 대한 평가 항목으로 이루어진 기술 경쟁력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의 백분율을 통해 산출된 로열티율 조정 지수를 업종별 로열티율 중에서 해당하는 로열티율에 곱하여 평가 대상의 산업 로열티율을 산출한다.
마지막으로, 가치 평가 장치(100)는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과 평가 대상의 산업 로열티율을 기초로 평가 대상의 가치를 산정한다(S370).
이때, 평가 대상이 IP인 경우, 가치 평가 장치(100)는 권리 안정성, 권리 보호 가능성, 권리 행사 용이성 및 IP 거래 시장성에 대한 평가 항목으로 이루어진 IP 담보성에 대한 평가 점수, 연도별 표준화 매출 및 산업 로열티율을 기초로 평가 대상의 가치를 산정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가치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치 평가 장치(100)는 특허 인용 수명을 기초로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을 산출한다(S410).
그런 다음, 가치 평가 장치(100)는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매출액을 추정하여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한다(S430).
이때, 가치 평가 장치(100)는 평가 기준 연도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간(예컨대, 2년, 3년 등)의 산업분류별 과거 연평균 성장률(CAGR)을 기초로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매출액을 추정할 수도 있다. 즉, 가치 평가 장치(100)는 평가 대상을 보유한 평가 기업의 자산 규모와 업종을 기초로 위의 [표 4]와 같이 미리 설정된 복수의 클래스 중에서 해당하는 클래스의 매출 추정 방식(표 5 참조)에 의해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할 수도 있다.
또한, 가치 평가 장치(100)는 산출된 연도별 표준화 매출에 비재무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할 수도 있다. 즉, 가치 평가 장치(100)는 평가 대상을 보유한 평가 기업의 자산 규모를 기초로 위의 [표 6]과 같이 미리 설정된 복수의 카테고리 중에서 해당하는 카테고리에 속하는 비재무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표 7 참조) 및 추정된 연도별 매출액을 토대로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평가 대상이 IP인 경우, 가치 평가 장치(100)는 비재무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이용하지 않고, 이용률을 이용하여 위의 [수학식 7]을 통해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할 수 있다.
이후, 가치 평가 장치(100)는 기술 경쟁력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기초로 산출된 로열티율 조정 지수 및 업종별 로열티율을 기초로 평가 대상에 해당하는 산업 로열티율을 산출한다(S450).
즉, 가치 평가 장치(100)는 위의 [수학식 5]와 같이 기술 혁신성, 시장 현황 및 제품 우위성에 대한 평가 항목으로 이루어진 기술 경쟁력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의 백분율을 통해 산출된 로열티율 조정 지수를 업종별 로열티율 중에서 해당하는 로열티율에 곱하여 평가 대상의 산업 로열티율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평가 대상이 IP이면, 가치 평가 장치(100)는 사업 역량 평가 항목과 기술 경쟁력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기초로 로열티율 조정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즉, 가치 평가 장치(100)는 위의 [표 9]에 따른 평가 항목에서, 경영주, 관리 능력, 기술 개발 능력, 제품화 역량 및 수익 전망에 대한 평가 항목으로 이루어진 사업 역량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의 백분율 대비 기술 혁신성, 시장 현황 및 제품 우위성에 대한 평가 항목으로 이루어진 기술 경쟁력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의 백분율을 통해 산출된 로열티율 조정 지수를 업종별 로열티율 중에서 해당하는 로열티율에 곱하여 평가 대상의 산업 로열티율을 산출한다.
마지막으로, 가치 평가 장치(100)는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과 평가 대상의 산업 로열티율을 기초로 평가 대상의 가치를 산정한다(S470).
이때, 평가 대상이 IP인 경우, 가치 평가 장치(100)는 권리 안정성, 권리 보호 가능성, 권리 행사 용이성 및 IP 거래 시장성에 대한 평가 항목으로 이루어진 IP 담보성에 대한 평가 점수, 연도별 표준화 매출 및 산업 로열티율을 기초로 평가 대상의 가치를 산정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롬(ROM), 램(RAM), 씨디-롬(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가치 평가 장치, 110 : 경제적 수명 산출부,
130 : 할인율 산출부, 150 : 표준화 매출 산출부,
170 : 산업 로열티율 산출부, 190 : 가치 산정부

Claims (28)

  1. 특허 인용 수명을 기초로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을 산출하는 경제적 수명 산출부;
    평가 기준 연도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간의 산업분류별 과거 연평균 성장률(Compound Annual Growth Rate : CAGR)을 기초로 상기 경제적 수명 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상기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매출액을 추정하여 상기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하는 표준화 매출 산출부;
    업종별 로열티율을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에 해당하는 산업 로열티율을 산출하는 산업 로열티율 산출부; 및
    상기 표준화 매출 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상기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과 상기 산업 로열티율 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상기 평가 대상의 산업 로열티율을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의 가치를 산정하는 가치 산정부;
    를 포함하는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표준화 매출 산출부는, 상기 평가 대상을 보유한 평가 기업의 자산 규모와 업종을 기초로 미리 설정된 복수의 클래스 중에서 해당하는 클래스의 매출 추정 방식에 의해 상기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하는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복수의 클래스는,
    기본적으로 산업분류별 과거 연평균 성장률을 기초로 연도별 매출액을 추정하고, 평가 기준 연도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간의 상기 평가 기업의 과거 매출 성장률이 해당하는 산업분류의 과거 연평균 성장률보다 큰 경우, 상기 평가 기업에서 제공한 연평균 성장률을 기초로 연도별 매출액을 추정하는 방식인 제1 클래스;
    기본적으로 상기 평가 기업에서 제공한 연평균 성장률을 기초로 연도별 매출액을 추정하고, 평가 기준 연도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간의 상기 평가 기업의 과거 매출 성장률이 해당하는 산업분류의 과거 연평균 성장률보다 작은 경우, 산업분류별 과거 연평균 성장률을 기초로 연도별 매출액을 추정하는 방식인 제2 클래스; 및
    기본적으로 상기 평가 기업에서 제공한 추정 매출액을 기초로 연도별 매출액을 추정하고, 추정된 연도별 매출액의 성장률이 미리 설정된 과다 성장률보다 큰 경우, 산업분류별 과거 연평균 성장률 또는 평가 기준 연도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간의 상기 평가 기업의 과거 매출 성장률을 기초로 연도별 매출액을 추정하는 방식인 제3 클래스;를 포함하는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표준화 매출 산출부는, 산업분류별 과거 연평균 성장률을 기초로 추정된 연도별 매출액 및 비재무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하는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표준화 매출 산출부는, 상기 평가 대상을 보유한 평가 기업의 자산 규모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복수의 카테고리 중에서 해당하는 카테고리에 속하는 비재무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 및 추정된 연도별 매출액을 토대로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하는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는,
    산업 위험에 대한 비재무 평가 항목인 산업 위험 항목, 영업 위험에 대한 비재무 평가 항목인 시장성 항목, 영업 위험에 대한 비재무 평가 항목인 위기 상황 평가 항목, 영업 위험에 대한 비재무 평가 항목인 자금 조달 능력 항목 및 경영 위험에 대한 비재무 평가 항목인 업력 항목으로 이루어진 제1 카테고리;
    상기 산업 위험 항목, 상기 위기 상황 평가 항목, 상기 자금 조달 능력 항목, 상기 업력 항목 및 경영 위험에 대한 비재무 평가 항목인 규모 항목으로 이루어진 제2 카테고리; 및
    상기 산업 위험 항목, 상기 시장성 항목, 상기 위기 상황 평가 항목, 상기 자금 조달 능력 항목 및 상기 업력 항목으로 이루어진 제3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산업 로열티율 산출부는, 기술 경쟁력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기초로 산출된 로열티율 조정 지수 및 업종별 로열티율을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의 산업 로열티율을 산출하는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산업 로열티율 산출부는, 기술 혁신성, 시장 현황 및 제품 우위성에 대한 평가 항목으로 이루어진 상기 기술 경쟁력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의 백분율을 통해 산출된 상기 로열티율 조정 지수를 업종별 로열티율 중에서 해당하는 로열티율에 곱하여 상기 평가 대상의 산업 로열티율을 산출하는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장치.
  9. 제1항에서,
    상기 표준화 매출 산출부는, 상기 평가 대상이 IP이면, 상기 평가 대상의 이용률을 산출하고, 산출된 이용률 및 산업분류별 과거 연평균 성장률을 기초로 추정된 연도별 매출액을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하는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장치.
  10. 제1항에서,
    상기 산업 로열티율 산출부는, 상기 평가 대상이 IP이면, 사업 역량 평가 항목과 기술 경쟁력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기초로 산출된 로열티율 조정 지수 및 업종별 로열티율을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의 산업 로열티율을 산출하는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산업 로열티율 산출부는, 경영주, 관리 능력, 기술 개발 능력, 제품화 역량 및 수익 전망에 대한 평가 항목으로 이루어진 상기 사업 역량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의 백분율 대비 기술 혁신성, 시장 현황 및 제품 우위성에 대한 평가 항목으로 이루어진 상기 기술 경쟁력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의 백분율을 통해 산출된 상기 로열티율 조정 지수를 업종별 로열티율 중에서 해당하는 로열티율에 곱하여 상기 평가 대상의 산업 로열티율을 산출하는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장치.
  12. 제1항에서,
    상기 가치 산정부는, 상기 평가 대상이 IP이면, 권리 안정성, 권리 보호 가능성, 권리 행사 용이성 및 IP 거래 시장성에 대한 평가 항목으로 이루어진 IP 담보성에 대한 평가 점수, 상기 표준화 매출 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연도별 표준화 매출 및 상기 산업 로열티율 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산업 로열티율을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의 가치를 산정하는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장치.
  13. 특허 인용 수명을 기초로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을 산출하는 경제적 수명 산출부;
    상기 경제적 수명 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상기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매출액을 추정하고, 추정된 연도별 매출액 및 비재무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하는 표준화 매출 산출부;
    업종별 로열티율을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에 해당하는 산업 로열티율을 산출하는 산업 로열티율 산출부; 및
    상기 표준화 매출 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상기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과 상기 산업 로열티율 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상기 평가 대상의 산업 로열티율을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의 가치를 산정하는 가치 산정부;
    를 포함하는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장치.
  14. 특허 인용 수명을 기초로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을 산출하는 경제적 수명 산출부;
    평가 기준 연도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간의 산업분류별 과거 연평균 성장률(Compound Annual Growth Rate : CAGR)을 기초로 상기 경제적 수명 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상기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매출액을 추정하여 상기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하는 표준화 매출 산출부;
    기술 경쟁력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기초로 산출된 로열티율 조정 지수 및 업종별 로열티율을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에 해당하는 산업 로열티율을 산출하는 산업 로열티율 산출부; 및
    상기 표준화 매출 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상기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과 상기 산업 로열티율 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상기 평가 대상의 산업 로열티율을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의 가치를 산정하는 가치 산정부;
    를 포함하는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장치.
  15. 제14항에서,
    상기 산업 로열티율 산출부는, 상기 평가 대상이 IP이면, 사업 역량 평가 항목과 기술 경쟁력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기초로 상기 로열티율 조정 지수를 산출하는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장치.
  16.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장치의 가치 평가 방법으로서,
    특허 인용 수명을 기초로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을 산출하는 단계;
    평가 기준 연도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간의 산업분류별 과거 연평균 성장률(Compound Annual Growth Rate : CAGR)을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매출액을 추정하여 상기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하는 단계;
    업종별 로열티율을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에 해당하는 산업 로열티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과 상기 평가 대상의 산업 로열티율을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의 가치를 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방법.
  17. 제16항에서,
    상기 표준화 매출 산출 단계는, 상기 평가 대상을 보유한 평가 기업의 자산 규모와 업종을 기초로 미리 설정된 복수의 클래스 중에서 해당하는 클래스의 매출 추정 방식에 의해 상기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방법.
  18. 제17항에서,
    상기 복수의 클래스는,
    기본적으로 산업분류별 과거 연평균 성장률을 기초로 연도별 매출액을 추정하고, 평가 기준 연도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간의 상기 평가 기업의 과거 매출 성장률이 해당하는 산업분류의 과거 연평균 성장률보다 큰 경우, 상기 평가 기업에서 제공한 연평균 성장률을 기초로 연도별 매출액을 추정하는 방식인 제1 클래스;
    기본적으로 상기 평가 기업에서 제공한 연평균 성장률을 기초로 연도별 매출액을 추정하고, 평가 기준 연도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간의 상기 평가 기업의 과거 매출 성장률이 해당하는 산업분류의 과거 연평균 성장률보다 작은 경우, 산업분류별 과거 연평균 성장률을 기초로 연도별 매출액을 추정하는 방식인 제2 클래스; 및
    기본적으로 상기 평가 기업에서 제공한 추정 매출액을 기초로 연도별 매출액을 추정하고, 추정된 연도별 매출액의 성장률이 미리 설정된 과다 성장률보다 큰 경우, 산업분류별 과거 연평균 성장률 또는 평가 기준 연도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간의 상기 평가 기업의 과거 매출 성장률을 기초로 연도별 매출액을 추정하는 방식인 제3 클래스;를 포함하는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방법.
  19. 제16항에서,
    상기 표준화 매출 산출 단계는, 산업분류별 과거 연평균 성장률을 기초로 추정된 연도별 매출액 및 비재무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방법.
  20. 제19항에서,
    상기 표준화 매출 산출 단계는, 상기 평가 대상을 보유한 평가 기업의 자산 규모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복수의 카테고리 중에서 해당하는 카테고리에 속하는 비재무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 및 추정된 연도별 매출액을 토대로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방법.
  21. 제20항에서,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는,
    산업 위험에 대한 비재무 평가 항목인 산업 위험 항목, 영업 위험에 대한 비재무 평가 항목인 시장성 항목, 영업 위험에 대한 비재무 평가 항목인 위기 상황 평가 항목, 영업 위험에 대한 비재무 평가 항목인 자금 조달 능력 항목 및 경영 위험에 대한 비재무 평가 항목인 업력 항목으로 이루어진 제1 카테고리;
    상기 산업 위험 항목, 상기 위기 상황 평가 항목, 상기 자금 조달 능력 항목, 상기 업력 항목 및 경영 위험에 대한 비재무 평가 항목인 규모 항목으로 이루어진 제2 카테고리; 및
    상기 산업 위험 항목, 상기 시장성 항목, 상기 위기 상황 평가 항목, 상기 자금 조달 능력 항목 및 상기 업력 항목으로 이루어진 제3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방법.
  22. 제16항에서,
    상기 산업 로열티율 산출 단계는, 기술 경쟁력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기초로 산출된 로열티율 조정 지수 및 업종별 로열티율을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의 산업 로열티율을 산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방법.
  23. 제22항에서,
    상기 산업 로열티율 산출 단계는, 기술 혁신성, 시장 현황 및 제품 우위성에 대한 평가 항목으로 이루어진 상기 기술 경쟁력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의 백분율을 통해 산출된 상기 로열티율 조정 지수를 업종별 로열티율 중에서 해당하는 로열티율에 곱하여 상기 평가 대상의 산업 로열티율을 산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방법.
  24. 제16항에서,
    상기 표준화 매출 산출 단계는, 상기 평가 대상이 IP이면, 상기 평가 대상의 이용률을 산출하고, 산출된 이용률 및 산업분류별 과거 연평균 성장률을 기초로 추정된 연도별 매출액을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방법.
  25. 제16항에서,
    상기 산업 로열티율 산출 단계는, 상기 평가 대상이 IP이면, 사업 역량 평가 항목과 기술 경쟁력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기초로 산출된 로열티율 조정 지수 및 업종별 로열티율을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의 산업 로열티율을 산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방법.
  26. 제25항에서,
    상기 산업 로열티율 산출 단계는, 경영주, 관리 능력, 기술 개발 능력, 제품화 역량 및 수익 전망에 대한 평가 항목으로 이루어진 상기 사업 역량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의 백분율 대비 기술 혁신성, 시장 현황 및 제품 우위성에 대한 평가 항목으로 이루어진 상기 기술 경쟁력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의 백분율을 통해 산출된 상기 로열티율 조정 지수를 업종별 로열티율 중에서 해당하는 로열티율에 곱하여 상기 평가 대상의 산업 로열티율을 산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방법.
  27. 제16항에서,
    상기 가치 산정 단계는, 상기 평가 대상이 IP이면, 권리 안정성, 권리 보호 가능성, 권리 행사 용이성 및 IP 거래 시장성에 대한 평가 항목으로 이루어진 IP 담보성에 대한 평가 점수, 상기 표준화 매출 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연도별 표준화 매출 및 상기 산업 로열티율 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산업 로열티율을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의 가치를 산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방법.
  28.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장치의 가치 평가 방법으로서,
    특허 인용 수명을 기초로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매출액을 추정하고, 추정된 연도별 매출액 및 비재무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점수를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을 산출하는 단계;
    업종별 로열티율을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에 해당하는 산업 로열티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 대상의 경제적 수명에 해당하는 연도별 표준화 매출과 상기 평가 대상의 산업 로열티율을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의 가치를 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방법.
KR1020150166573A 2015-10-27 2015-11-26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장치 및 방법 KR201700493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189 2015-10-27
KR20150149189 2015-10-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328A true KR20170049328A (ko) 2017-05-10

Family

ID=58743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6573A KR20170049328A (ko) 2015-10-27 2015-11-26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9328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77015A (zh) * 2018-09-26 2019-02-22 东莞幻鸟新材料有限公司 一种智能电网建设系统
KR20190073089A (ko) 2017-12-18 2019-06-26 기술보증기금 Ip 평가 모형을 이용한 ip 평가 방법 및 그 장치
KR102070640B1 (ko) 2019-06-07 2020-01-29 주식회사 디엠씨 고정력과 완충성을 구비한 오버슬램범퍼
KR20200030948A (ko) * 2018-09-13 2020-03-23 한국과학기술원 기술특성기반 기업 투자가치평가 시스템
KR20200103414A (ko) 2019-02-25 2020-09-02 이성주 기업 평가 시스템
KR102152081B1 (ko) 2019-10-16 2020-09-04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딥러닝 기반의 가치 평가 방법 및 그 장치
KR20220110359A (ko) 2021-01-29 2022-08-08 주식회사 디엠씨 자동차용 오버슬램범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3089A (ko) 2017-12-18 2019-06-26 기술보증기금 Ip 평가 모형을 이용한 ip 평가 방법 및 그 장치
KR20200030948A (ko) * 2018-09-13 2020-03-23 한국과학기술원 기술특성기반 기업 투자가치평가 시스템
CN109377015A (zh) * 2018-09-26 2019-02-22 东莞幻鸟新材料有限公司 一种智能电网建设系统
KR20200103414A (ko) 2019-02-25 2020-09-02 이성주 기업 평가 시스템
KR102070640B1 (ko) 2019-06-07 2020-01-29 주식회사 디엠씨 고정력과 완충성을 구비한 오버슬램범퍼
KR102152081B1 (ko) 2019-10-16 2020-09-04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딥러닝 기반의 가치 평가 방법 및 그 장치
KR20220110359A (ko) 2021-01-29 2022-08-08 주식회사 디엠씨 자동차용 오버슬램범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arbuzova-Schlifter et al. AHP-based risk analysis of energy performance contracting projects in Russia
Dietzenbacher et al. The construction of world input–output tables in the WIOD project
Hammoudi et al. Food safety standards and agri-food supply chains: an introductory overview
Hossain et al. Investment opportunity set and voluntary disclosure of prospective information: A simultaneous equations approach
KR20170049328A (ko) 기술 또는 ip의 가치 평가 장치 및 방법
Auerbach Why have corporate tax revenues declined? Another look
Gillenwater Probabilistic decision model of wind power investment and influence of green power market
Hasan et al. Growth strategies and value creation: what works best for stock exchanges?
CN104115178A (zh) 基于新闻和情绪分析来预测市场行为的方法和系统
Jiao Product platform flexibility planning by hybrid real options analysis
Kaabia et al. Health information and the demand for meat in Spain
Strang Applied financial non-linear programming models for decision making
Datta et al. Shareholder wealth creation following M&A: Evidence from European utility sectors
Tamini et al. Trade liberalisation effects on agricultural goods at different processing stages
Steinberg The macroeconomic impact of NAFTA termination
Kasman et al. Cost efficiency and scale economies in the Turkish insurance industry
Li et al. A simple survey for supply chain finance risk management with applications of blockchain
Khumpaisal A classification of risks in real estate development business
Nomikos et al. Using affine jump diffusion models for modelling and pricing electricity derivatives
Mitchell et al. The market for traceability with applications to US feeder cattle
Rau et al. Heterogeneous firms and homogenising standards in agri-food trade: the Polish meat case
Rakowski et al. Decomposing liquidity along the limit order book
Dong et al. Correlated default models driven by a multivariate regime-switching shot noise process
Banerjee et al. Forest policy modelling in an economy-wide framework
Nicita Who benefits from export-led growth? Evidence from Madagascar's textile and apparel indus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