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9109A -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 - Google Patents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9109A
KR20170049109A KR1020150150056A KR20150150056A KR20170049109A KR 20170049109 A KR20170049109 A KR 20170049109A KR 1020150150056 A KR1020150150056 A KR 1020150150056A KR 20150150056 A KR20150150056 A KR 20150150056A KR 20170049109 A KR20170049109 A KR 20170049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 forest
tumbler
glass
tea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0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3468B1 (ko
Inventor
최재구
김준희
Original Assignee
최재구
김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구, 김준희 filed Critical 최재구
Priority to KR1020150150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468B1/ko
Publication of KR20170049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9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curved cross-section
    • B65D11/04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01Supporting means fixed 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12Means for the attachment of small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4External fittings for spacing bases of containers from supporting surfaces, e.g. l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를 우려내어 리필하여 음용할 수 있고 글라스 및 용기 형태로 전환이 가능한 텀블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는, 상단 보다 하단 폭이 크고, 상기 하단은 개구되며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바디와; 상기 하단의 나사산에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대와; 티백이나 차잎을 담고 액체에 우려지도록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우림망이 형성되어 상기 바디의 하단 내부에 안착되는 우림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TUMBLER HAVING CHANGABLE FUNCTION OF GLASS AND BOTTLE FOR DRINKING TEA}
본 발명은 휴대용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를 우려내어 리필하여 음용할 수 있고 글라스 및 용기 형태로 전환이 가능한 텀블러에 관한 것이다.
텀블러는 보통 말하는 컵과 같은 원통형의 것으로서, 물 ·맥주 ·주스 등 음료를 마실 때 외에 하이볼 ·진 피즈 등 롱드링크류를 마실 때도 사용되며, 주로 휴대용 컵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텀블러를 활용한 컵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휴대용이라는 점 이외는 매우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음은 사실이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58422에는 '차 음용을 위한 물병 마개형 휴대용 인퓨저'가 개시되어 있다.
이 등록실용은 직접적으로 텀블러라 칭하고 있지는 않지만 휴대용 용기 내지 컵의 형태로서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면서, 물이나 음료수가 담기는 각종 페트병이나 물병에 적용될 수 있어 활용성과 휴대성을 증대시키고, 다구세트나 별도의 차용기를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티백이나 찻잎이 구비되면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각종 페트병이나 물병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에서나 각종 차를 즐길 수 있는 물병 마개형 휴대용 인퓨저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 등록실용은 티백용 차와 찻잎용 차를 우려내는 데 있어 각각 다른 인퓨져를 사용해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고, 차를 음용할 때 인퓨져를 제거시켜야 음용이 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으며, 차를 병채 마셔야 한다는 부담감을 가지고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58422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는, 티백이나 찻잎을 채우고 우려내어 음용할 수 있는 휴대용 텀블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티백이나 찻잎을 넣어둔 상태에서 우려낸 후 티백이나 찻잎을 제거하는 일 없이 그대로 음용이 가능한 휴대용 텀블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티백이나 찻잎을 우려낼 때에는 용기의 형태를 취하고, 다 우려낸 후 음용시에는 글라스나 컵의 형태로 전환시켜 음용이 가능한 휴대용 텀블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는, 상단 보다 하단 폭이 크고, 상기 하단은 개구되며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바디와; 상기 하단의 나사산에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대와; 티백이나 차잎을 담고 액체에 우려지도록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우림망이 형성되어 상기 바디의 하단 내부에 안착되는 우림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우림망은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반구 형태이며, 상기 바디의 하단 측 방향으로 개구된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 우림체는 상기 우림망이 결합되는 원통형의 우림망 지지체와, 상기 바디에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우림망 지지체와 상기 안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는 다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소정의 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우림망의 일측은 개구되며, 개구된 부분은 상기 우림망의 개폐가 되도록 덮개가 탈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받침대의 중심에는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중심 및 상기 바디의 상단은 상기 요홈부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는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는, 상단 보다 하단 폭이 크고, 상기 하단은 개구되며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바디와; 상기 바디 하단의 나사산에 결합되거나 상기 바디의 상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와; 티백이나 차잎을 담고 액체에 우려지도록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우림망이 형성되어 상기 바디의 하단 내부에 안착되는 우림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티백이나 찻잎을 채우고 우려내어 음용할 수 있고, 티백이나 찻잎을 넣어둔 상태에서 우려낸 후 티백이나 찻잎을 제거하는 일 없이 그대로 음용이 가능하며, 티백이나 찻잎을 우려낼 때에는 용기의 형태를 취하고 다 우려낸 후 음용시에는 글라스나 컵의 형태로 바꾸는 것이 가능한 휴대용 텀블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용기의 형태를 글라스 와이잔의 형태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하여 심미감을 더할 수 있고, 심플한 구성으로 저비용의 생산이 가능하며, 언제 어디에서 반복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잇점을 갖는다.
또한, 망사형 티백 케이스를 사용하여 티백이나 찻잎의 우려내는 시간 및 우려나는 양의 정도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의 차 우림체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따른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의 차 우림체 단면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의 사용 동작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의 구조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그에 수반하는 도면들과 연관하여 읽히게 되며, 도면은 전체 발명의 설명에 대한 일부로 간주된다. 방향이나 지향성에 대한 언급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의도를 갖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아래, 위, 수평, 수직, 상측, 하측, 상향, 하향, 상부, 하부" 등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나, 이들의 파생어(예를 들어, "수평으로, 아래쪽으로, 위쪽으로" 등)는, 설명되고 있는 도면과 관련 설명을 모두 참조하여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이러한 상대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장치가 특정 방향으로 구성되거나 동작해야 함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또한, "장착된, 부착된, 연결된, 이어진, 상호 연결된" 등의 구성 간의 상호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용어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개별 구성들이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부착 혹은 연결되거나 고정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고, 이는 이동 가능하게 부착, 연결, 고정된 상태뿐만 아니라, 이동 불가능한 상태까지 아우르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100)는 바디(110), 커버(120), 받침대(130) 및 우림체(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래, 위, 수평, 수직, 상측, 하측, 상향, 하향, 상부, 하부" 등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는 도 1의 (A)를 기준으로 설명된다.
도 1의 (A)는 용기의 형태를 갖으며, 도 1의 (B)는 글라스(또는 컵)의 형태를 갖을 때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서는 (A)에서 (B)로, 또는 (B)에서 (A)로 전환되는 것이 가능한 텀블러를 제공한다.
바디(100)는 일반적인 용기와 같은 액체를 담을 수 있는 형태이며, 재질은 합성수지재일 수 있다. 다만, 바디(100)는 용기이면서 한편으론 컵의 형태로 전환되므로 와인잔을 뒤집어 놓은 형태의 형상을 갖는 것이 본 발명을 구현하는 데 있어 바람직할 것이다.
커버(120)는 바디(100)의 하단에 탭 체결되어 바디(100)의 하단 개구부를 밀폐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또한 받침대(130)를 임시적으로 홀딩할 수 있도록 한다.
받침대(130)는 커버(130)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임시적으로 커버(130)에 장착된 상태에서, 글라스로 전환할 때 바디(100)의 뾰족한 선단부분에 끼워져 컵 받침 형태로 기능을 한다.
우림체(140)는 바디(100)의 하단 내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며, 티백이나 차잎을 담아 물에 우려낼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티백이나 차를 우릴 때에는 도 1의 (A)와 같은 위치로 놓여지고, 다 우려낸 차를 음용할 때는 도 1의 (B)와 같은 위치로 방향을 전환하여 사용하게 된다.
도 1 (A)는 용기의 디자인 형태를 갖으며, 도 1 (B)는 글라스 형태의 디자인을 갖도록 형성된다. 물론, 용기나 글라스의 모양은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바디(110)의 하단부에는 커버(120)를 탭 체결할 수 있는 탭(112)이 형성되며, 상단부는 받침대(130)와 연결될 수 있도록 요철 돌기 형태의 선단 돌기부(111)로 이루어진다.
커버(120)는 외측 중심에 받침대(130)와 체결될 수 있는 돌기 형태의 중앙 돌기부(121)가 형성되며, 내측에는 바디(110)의 탭(112)과 체결될 수 있는 탭(미도시)이 형성된다.
중앙 돌기부(121)는 선단 돌기부(111)와 그 외곽 형상이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요홈부(131)에 결합되므로 돌기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요홈부(131)에 셀프 락킹되도록 돌기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받침대(130) 중심에 형성된 요홈부(131)가 번갈아 끼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의 차 우림체의 세부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따른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의 차 우림체 단면 구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 우림체(140)는 안착부(210), 덮개(220) 및 우림망(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안착부(210)는 바디(110)의 하단 내측 탭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외주연으로 단차가 형성되어 있으며, 커버(120)의 내측가 맞닿도록 내주연에 단차가 형성된 단차라인(212)을 포함하는 고정체(211)와, 우림망(230)을 고정시키기 위한 우림망 지지체(213)와, 고정체(211)와 우림망 지지체(213)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21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214)는 서로 이격되어 다수개로 형성되며, 연결부(214) 간에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을 통해 액체가 용기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또한 용기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우림망(230)은 우림망 지지체(213)의 하단에 결합 또는 접합에 의해 고정되며, 우림망(230)은 재질은 금속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다수의 홀이 형성된다.
우림망(230)을 합성수지재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나, 다수의 홀을 형성함에 있어 금속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홀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최소화된 홀은 차잎의 작은 찌꺼기들을 배출시키지 않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우림망(230) 반구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측 부분은 개구된 상태이고 개구된 부분을 통해 티백이나 차잎이 투입될 수 있다.
개구된 부분은 티백이나 차잎이 투입된 후 덮개(220)에 의해 닫혀지며, 덮개(220)는 탈부착이 가능하여 언제든지 티백이나 차잎을 교환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4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받침대(130)를 별개로 형성하여 컵 받침대로 사용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구현하는 데 있어서 받침대를 생략하고 커버(120) 자체를 받침대로 활용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커버가 바디(110)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덮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바디(110)의 선단 돌기부(111)와 체결되어 컵 받침대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렇게 하려면, 커버의 중심에는 중앙 돌기부(121)가 아닌 받침대(130)의 요홈부(131)와 같은 요홈이 형성되어야 할 것이며, 받침대 모양을 갖는 형태로 변환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의 사용 동작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텀블러의 사용 예를 살펴본다. 텀블러(100)가 (B) 상태로 놓인 경우를 기준으로 바디(110)의 윗 부분을 상측, 아랫 부분을 하측으로 설명한다.
먼저, 우림망(230) 내부로 티백이나 차잎(240)을 담는다. 티백이나 차잎(240)을 담을 때에는 커버(120)를 연 상태에서 투입되며, 바디(110)는 상하가 뒤집힌 상태로 놓이게 된다(A).
티백이나 차잎(240)이 투입된 후 물을 넣은 후 커버(120)를 닫는다. 그 후 티백이나 차잎(240)이 우려나도록 바디(110)를 180도 뒤집어 원위치로 세워 놓는다(B).
어느 정도 티백이나 차잎(240)이 물에 우려난 경우, 커버(120)로부터 받침대(130)를 분리시킨 후 다시 바디(110)를 180도 회전을 시킨다(C).
그리고, 바디(110)의 선단 돌기부(111)를 받침대(130)의 요홈부(131)에 끼워 세운다(D).
커버(120)를 돌려 바디(110)를 개봉한 후 음용을 한다(E). (E)상태는 텀블러(100)가 글라스(또는 컵) 형태로 전환된 모양을 취한다.
이로서, 본 발명의 텀블러(100)는 (B)의 상태에서는 용기(병)의 형상을 갖게 되고, (E)의 상태에서는 글라스(컵)의 형상을 갖게 되어 용기(병)에서 글라스(컵)으로 전환이 가능하고 반대로 글라스(컵)에서 용기(병)으로 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용기에서 글라스로, 글라스에서 용기로 전환하는 것은 사용자의 사용 목적에 맞게 얼마든 지 자유자재로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텀블러 110 : 바디
120 : 커버 130 : 받침대
140 : 우림체 210 : 안착부
220 : 덮개 230 : 우림망

Claims (7)

  1. 상단 보다 하단 폭이 크고, 상기 하단은 개구되며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바디와;
    상기 하단의 나사산에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면 또는 상기 바디의 상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대와;
    티백이나 차잎을 담고 액체에 우려지도록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우림망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하단 내부에 안착되는 우림체;를 포함하는,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림망은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반구 형태이며,
    상기 바디의 하단 측 방향으로 개구된 형태인,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 우림체는 상기 우림망이 결합되는 원통형의 우림망 지지체와, 상기 바디에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우림망 지지체와 상기 안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다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소정의 공간을 형성시키는,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림망의 일측은 개구되며, 개구된 부분은 상기 우림망의 개폐가 되도록 덮개가 탈부착되는,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중심에는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중심 및 상기 바디의 상단은 상기 요홈부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는 돌기부가 형성되는,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
  7. 상단 보다 하단 폭이 크고, 상기 하단은 개구되며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바디와;
    상기 바디 하단의 나사산에 결합되거나 상기 바디의 상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와;
    티백이나 차잎을 담고 액체에 우려지도록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우림망이 형성되어 상기 바디의 하단 내부에 안착되는 우림체;를 포함하는,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
KR1020150150056A 2015-10-28 2015-10-28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 KR101843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056A KR101843468B1 (ko) 2015-10-28 2015-10-28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056A KR101843468B1 (ko) 2015-10-28 2015-10-28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109A true KR20170049109A (ko) 2017-05-10
KR101843468B1 KR101843468B1 (ko) 2018-04-03

Family

ID=58743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056A KR101843468B1 (ko) 2015-10-28 2015-10-28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34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88945A (zh) * 2018-07-18 2018-10-23 安顺市平坝区高山云雾茶有限公司 一种便于携带茶叶与水的茶叶包装盒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6099B1 (ko) 2021-12-31 2022-10-18 성도테크 주식회사 물의 분배가 가능한 보틀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88945A (zh) * 2018-07-18 2018-10-23 安顺市平坝区高山云雾茶有限公司 一种便于携带茶叶与水的茶叶包装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3468B1 (ko) 2018-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5589B2 (en) Two-in-one drinking vessel
US20110303633A1 (en) Liquid container
KR20150074521A (ko) 뚜껑이 일체로 구비된 생수병용 티백 수납구
KR101843468B1 (ko)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
KR101450181B1 (ko) 캡슐의 장착이 가능한 컵 뚜껑
KR101903859B1 (ko) 차량용 용기 수납 홀더
CN202489436U (zh) 一种具有储藏功能的摇杯
JP3185488U (ja) 携帯用飲料容器
US10899528B2 (en) Fluid dispensing bottle cap and bottle system
KR101956915B1 (ko) 다용도 페트병
CN202775509U (zh) 一种方便茶海更换的自动出液壶
CN209058244U (zh) 一种随身杯
KR200474750Y1 (ko) 컵의 상단에 결합하여 이종의 음료를 음용할 수 있는 용기
JP3117225U (ja) 脱着式ボトル
US20130048675A1 (en) Thermal beverage dispenser
JP3197073U (ja) ドリップ具
CN103300671A (zh) 一种饮料杯杯盖
CN211168100U (zh) 具搅拌棒的盖体及包含该盖体之杯瓶
KR200358174Y1 (ko) 접힘이 가능한 컵
KR200429845Y1 (ko) 병 따개가 내설된 휴대용 컵 보관 용기
KR102192860B1 (ko) 텀블러
CN201595595U (zh) 一种过滤瓶
CN209074055U (zh) 一种便于存放泡饮物品的水杯
KR20120000695U (ko) 음료용기
JP4817221B2 (ja) 蓋体付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