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8925A -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컨텐츠 제공서버 - Google Patents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컨텐츠 제공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8925A
KR20170048925A KR1020150149620A KR20150149620A KR20170048925A KR 20170048925 A KR20170048925 A KR 20170048925A KR 1020150149620 A KR1020150149620 A KR 1020150149620A KR 20150149620 A KR20150149620 A KR 20150149620A KR 20170048925 A KR20170048925 A KR 20170048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user
heart rate
content
wearab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9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한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9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8925A/ko
Publication of KR20170048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9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5Input arrangements based on nervous system activity detection, e.g. brain waves [EEG] detection, electromyograms [EMG] detection, electrodermal respons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컨텐츠 제공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심장박동수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심장박동수가 사용자가 듣고 있는 음악의 템포에 가까운 쪽으로 변화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선호음악 판단부, 상기 선호음악 판단부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음악 또는 상기 사용자의 심장박동수 정보와 함께 컨텐츠 요청 신호를 컨텐츠 제공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컨텐츠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심장박동수 변화를 기초로 음악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판단하여 그와 유사한 음악 또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과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컨텐츠 제공서버{Wearable Device And Server For Providing Contents Related To Music Via Heart Rate}
본 발명은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컨텐츠 제공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심장박동수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심장박동수가 사용자가 듣고 있는 음악의 템포에 가까운 쪽으로 변화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선호음악 판단부, 상기 선호음악 판단부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음악 또는 상기 사용자의 심장박동수 정보와 함께 컨텐츠 요청 신호를 컨텐츠 제공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컨텐츠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란 말 그대로 인간의 몸에 착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의미하며, 착용 부위에 따라 안경(Glasses), 워치(Watch), 팔찌, 신발, 반지, 벨트, 밴드(Band), 목걸이, 헤드셋(Headset), 의류 등 매우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현재 빠른 보급화 단계에 있으며, 그 중에서 인간의 생활과 매우 밀접하게 연관됨과 동시에 착용이 용이한 웨어러블 안경, 웨어러블 워치 그리고 웨어러블 밴드가 가장 많은 제품군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른 말로 스마트(Smart) 디바이스라고도 한다.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구동개시가 필요하지만, 일단 구동이 개시되면 그 이후부터는 자동으로 다양한 추가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워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자신의 심박수를 측정하고 싶다면 사용자가 심박수 측정 입력 버튼을 누름과 동시에 웨어러블 워치는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게 되며, 측정한 심박수를 기초로 다양한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해줄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구동개시가 필요하지 않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도 많이 출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밴드의 경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구동개시가 없더라도 사용자의 심박수를 지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앞으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구동개시가 필요하지 않는 방향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사용자의 입력이 필요 없는 만큼, 디바이스 구동의 편의성이 증대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다양한 추가 정보의 근원은 사용자로부터 측정한 정보들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심박수, 혈압, 심리상태, 체중, 체온, 호흡량, 도보 수, 관심사, 현재위치 등과 같은 정보들이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Sensor)를 필수적으로 실장해야 하며, 실장되는 센서의 종류가 많을수록 사용자로부터 많은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심박수 측정 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도보 수 측정 센서는 필수적으로 실장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제한된 디바이스 내부의 공간에 다양한 센서를 실장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실장된 센서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측정한 이후, 이를 기초로 다양한 추가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혈압을 측정하여 혈압이 지나치게 높다면 혈압을 적정 수준으로 떨어뜨릴 수 있는 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관심사에 관련된 근처 매장이나 상품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정보의 제공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자체의 기능을 통해 제공될 수도 있지만, 하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각기 다른 사용자에게 필요한 모든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최근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함께 개발되고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일종의 응용 프로그램으로 볼 수 있는바, 웨어러블 디바이스 자체의 기능을 통해 측정된 정보를 기초로 다양한 추가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예에서 혈압을 적정 수준으로 떨어뜨릴 수 있는 약에 대한 정보나 사용자의 관심사에 관련된 근처 매장이나 상품들에 대한 정보의 제공 모두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될 때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추가 정보는 다양해질 수밖에 없으며,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자체의 개발과 함께 앞으로 나아가는 동반자로 볼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결제가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관련 업계의 주된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자체에 NFC(Near Frequency Communication) 기능을 포함시키고, 애플리케이션에 사용자의 신용카드를 등록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지갑을 꺼내 결제하지 않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결제를 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지갑을 대체하여 모바일 지갑(Mobile Wallet)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카드 결제 승인 등 보안(Security)과 관련된 문제가 다수 존재하므로 해결해야 할 기술적 과제가 매우 많다.
또한 종래에 사용자의 각종 심리상태(감성상태)를 이용하여 음악을 자동으로 선곡해주는 장치들이 제안되고 있으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심장박동수 변화를 기초로 음악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판단하여 그와 유사한 음악 또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과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는 아직 실용화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인간이 선호하는 음악을 들으면 심장박동수가 음악의 템포와 유사한 박동수로 변화하는 논문(School of Sport and Education, Brunel University, Uxbridge, Middlesex, England, UK.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Impact Factor: 1.57). 06/2011; 82(2): 274-84.) 등의 실험결과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흘러나오는 음악이 마음에 드는 경우 직접 그 음악을 찾을 필요도 없이,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선호 상태를 판단하여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발명되었으며, 이상에서 살핀 기술적 요구를 충족시킴은 물론,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발명할 수 없는 추가적인 기술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해 발명되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3-0049253 호: 콘텐츠 추천 서비스 방법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심장박동수 변화를 기초로 음악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판단하여 그와 유사한 음악 또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과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흘러나오는 음악이 마음에 드는 경우 직접 그 음악을 찾을 필요도 없이,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선호 상태를 판단하여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심장박동수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심장박동수가 사용자가 듣고 있는 음악의 템포에 가까운 쪽으로 변화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선호음악 판단부 및 상기 선호음악 판단부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음악 또는 상기 사용자의 심장박동수 정보와 함께 컨텐츠 요청 신호를 컨텐츠 제공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호음악 판단부는 상기 심장박동수와 상기 음악 템포의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 이하가 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호음악 판단부는, 상기 심장박동수가 평소의 심작박동수에 비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변화한 채로 유지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선호음악 판단부는, 상기 심장박동수가 평소의 심작박동수에 비해 기 설정된 범위 이상 변화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외부 소리를 수음하는 수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호음악 판단부는, 외부에서 들리는 음악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선호음악 판단부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사용자 단말에 컨텐츠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수신한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는 음악 재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외부의 음악을 수음하는 음악 수음부 및 상기 음악을 컨텐츠 제공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말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은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수신한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는 음악 재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서버는 음악의 템포 정보, 음악에 대응되는 가수/제목/앨범 정보, 음악에 관련된 쿠폰, 포인트,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악 또는 사용자의 심장박동수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컨텐츠 제공부가 선별한 컨텐츠를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서버 통신부, 상기 수신한 음악으로부터 음악에 대응되는 가수/제목/앨범 정보를 추출하는 음악정보 판단부 및 상기 추출한 정보와 관련된 컨텐츠를 선별하는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수신한 음악에 대응되는 가수의 콘서트 티켓, 앨범, 화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수신한 음악이 OST일 경우, OST 촬영지의 팬션 쿠폰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수신한 음악과 기 그룹핑된 음악을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수신한 심장박동수와 유사한 템포의 음악을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수신한 음악의 템포와 유사한 템포의 음악을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심장박동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사용자의 심장박동수를 측정하고, 상기 심장박동수가 사용자가 듣고 있는 음악의 템포에 가까운 쪽으로 변화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음악 또는 상기 사용자의 심장박동수 정보와 함께 컨텐츠 요청 신호를 컨텐츠 제공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악 또는 사용자의 심장박동수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음악으로부터 음악에 대응되는 가수/제목/앨범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한 정보와 관련된 컨텐츠를 선별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심장박동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외부의 음악을 측정하고, 상기 음악을 컨텐츠 제공서버에 송신하며,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심장박동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a)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심장박동수를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상기 심장박동수가 사용자가 듣고 있는 음악의 템포에 가까운 쪽으로 변화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음악 또는 상기 사용자의 심장박동수 정보와 함께 컨텐츠 요청 신호를 컨텐츠 제공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d)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가 상기 수신한 음악으로부터 음악에 대응되는 가수/제목/앨범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한 정보와 관련된 컨텐츠를 선별하는 단계; 및 (e)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심장박동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a)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심장박동수를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상기 심장박동수가 사용자가 듣고 있는 음악의 템포에 가까운 쪽으로 변화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음악 또는 상기 사용자의 심장박동수 정보와 함께 컨텐츠 요청 신호를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d)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음악을 수음하여 컨텐츠 제공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e)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가 상기 수신한 음악으로부터 음악에 대응되는 가수/제목/앨범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한 정보와 관련된 컨텐츠를 선별하는 단계; 및 (f)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a) 사용자의 심장박동수를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심장박동수가 사용자가 듣고 있는 음악의 템포에 가까운 쪽으로 변화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음악 또는 상기 사용자의 심장박동수 정보와 함께 컨텐츠 요청 신호를 컨텐츠 제공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b) 단계는, 상기 심장박동수와 상기 음악 템포의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 이하가 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심장박동수가 평소의 심작박동수에 비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변화한 채로 유지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b) 단계는, 상기 심장박동수가 평소의 심작박동수에 비해 기 설정된 범위 이상 변화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b) 단계는, 외부에서 들리는 음악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사용자 단말에 컨텐츠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d) 단계 이후에, (e)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수신한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서버가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a)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악 또는 사용자의 심장박동수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한 음악으로부터 음악에 대응되는 가수/제목/앨범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추출한 정보와 관련된 컨텐츠를 선별하는 단계; 및 (d) 상기 선별한 컨텐츠를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c) 단계는, 상기 수신한 음악에 대응되는 가수의 콘서트 티켓, 앨범, 화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c) 단계는, 상기 수신한 음악이 OST일 경우, OST 촬영지의 팬션 쿠폰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수신한 음악과 기 그룹핑된 음악을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c) 단계는, 상기 수신한 심장박동수와 유사한 템포의 음악을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c) 단계는 상기 수신한 음악의 템포와 유사한 템포의 음악을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심장박동수 변화를 기초로 음악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판단하여 그와 유사한 음악 또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과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흘러나오는 음악이 마음에 드는 경우 직접 그 음악을 찾을 필요도 없이,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선호 상태를 판단하여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능 블럭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서버의 기능 블럭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서버가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으며,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으며,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더하여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및 컨텐츠 제공서버(2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심장박동수를 측정하고, 상기 심장박동수가 사용자가 듣고 있는 음악의 템포에 가까운 쪽으로 변화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음악 또는 상기 사용자의 심장박동수 정보와 함께 컨텐츠 요청 신호를 컨텐츠 제공서버(200)에 송신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2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또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음악 또는 사용자의 심장박동수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음악으로부터 음악에 대응되는 가수/제목/앨범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한 정보와 관련된 컨텐츠를 선별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서버(200)를 포함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말 그대로 인간의 몸에 착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의미하며, 착용 부위에 따라 안경(Glasses), 워치(Watch), 팔찌, 신발, 반지, 벨트, 밴드(Band), 목걸이, 헤드셋(Headset), 의류 등 매우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 쓰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심장박동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심장박동수는 몸의 맥박이 뛰는 부위에서 측정한다. 종래에는 맥박수를 몸의 동맥이 있는 어느 위치에서든지 검지와 중지로 표면을 눌러 측정하였으나, 최근에는 스마트 밴드, 스마트 워치, 스마트 링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센서를 탑재하여 간편하게 측정이 가능하다.
여기서 심장박동수란, 단위시간당 심장박동의 수로 일반적으로 분당 맥의 수(beats per minute, bpm)로 표현되는 숫자이다. 심장박동수는 신체적인 운동이나 잠자는 것처럼, 몸이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것의 요구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인간이 선호하는 음악을 들으면 심장박동수가 음악의 템포와 유사한 박동수로 변화하는 특징(School of Sport and Education, Brunel University, Uxbridge, Middlesex, England, UK.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Impact Factor: 1.57). 06/2011; 82(2): 274-84.)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현재 흘러나오는 음악이 마음에 드는 경우 직접 그 음악이 무엇인지 찾을 필요도 없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감지하고, 사용자가 현재 듣고 있는 음악을 선호하는지 판단하여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길을 가다가 어떠한 음악을 들었을 경우, 사용자가 그 음악에 관심을 갖고 귀를 기울이고 그 음악을 좋다고 생각하게 되면, 사용자의 심장박동수가 그 음악의 템포에 가까워진다. 이러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음악이 흘러나오는 것을 감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심장박동수가 상기 음악의 템포와 유사해짐을 측정하면,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컨텐츠 제공서버(200)에 상기 음악과 관련된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음악 또는 심장박동수 정보로부터 이와 관련된 컨텐츠를 선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는 음악에 대응되는 가수의 콘서트 티켓, 음악에 대응되는 가수의 콘서트 티켓, 음악에 대응되는 가수의 화보, 음악에 대응되는 가수가 출연하는 TV프로그램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쿠폰, 포인트, 이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서버(200)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음악을 수신한 경우, 컨텐츠 제공서버(200)는 상기 음악을 분석하여 상기 음악에 대응되는 제목/가수/앨범 등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음악을 부른 가수가 A 인 경우 A의 콘서트 정보, A가 발매한 앨범 정보, A가 출연하는 TV 프로그램 정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또는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컨텐츠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음악을 측정하고, 상기 음악을 컨텐츠 제공서버(200)에 송신하며,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2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구성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30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컨텐츠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외부의 음악을 수음하는 음악 수음부(140) 및 상기 음악을 컨텐츠 제공서버(200)에 송신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2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말 통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다양한 유무선 환경에 적용될 수 있는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 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및 정보통신 기기 등을 포함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300)은 휴대용 소형기기를 나타낼 수 있지만, 캠코더 또는 랩탑 컴퓨터 등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이동통신단말기로 지칭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상기 음악 수음부(14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컨텐츠 요청 신호에 따라 외부에 흘러나오는 음악을 녹음하여 컨텐츠 제공서버(200)에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컨텐츠 요청 신호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서 사용자가 특정 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컨텐츠 제공서버(200)로부터 상기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받고자 컨텐츠 제공서버(200)에 요청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300)을 거치게 되는 신호이다. 이때 음악을 수음하기 위해서 마이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말 통신부(130)는 통신망을 통해 음악을 컨텐츠 제공서버(200)에 송신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2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3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 수단과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 수단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통신부(130)는 무선 통신모듈 및 유선 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통신모듈은 무선망 통신모듈, 무선랜(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또는 Wi-Fi, Wireless Fidelity 또는 WiMAX,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통신모듈 및 무선팬(WP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모듈은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사용자 단말(300)이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망 통신모듈, 무선랜 통신모듈 및 무선팬 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공서버(200)로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300)이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에 포함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심장박동수 변화로부터 사용자가 어떠한 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사용자 단말(300)에 컨텐츠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사용자 단말(300)은 현재 흘러나오는 음악을 수음하여 컨텐츠 제공서버(200)에 송신하여 컨텐츠 제공서버(2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길을 가다가 어떠한 음악을 들었을 경우, 사용자가 그 음악에 관심을 갖고 귀를 기울이고 그 음악을 좋다고 생각하게 되면, 사용자의 심장박동수가 그 음악의 템포에 가까워진다. 이러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음악이 흘러나오는 것을 감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심장박동수가 상기 음악의 템포와 유사해짐을 측정하면,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 단말(300)에 컨텐츠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컨텐츠 요청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300)은 현재 흘러나오는 음악을 수음하여 수음한 음악과 함께 컨텐츠 요청 신호를 컨텐츠 제공 서버로 송신한다. 그리고 컨텐츠 제공서버(20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음악을 분석하여 상기 음악에 대응되는 제목/가수/앨범 등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음악을 부른 가수가 A 인 경우 A의 콘서트 정보, A가 발매한 앨범 정보, A가 출연하는 TV 프로그램 정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또는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300)은 컨텐츠 제공서버(200)에서 수신한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는 음악 재생부(150)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과 유사한 음악을 제공받아 재생할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컨텐츠 제공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300)은 통신망에 의해 정보를 송수신함이 바람직하다.
통신망은 기지국 제어기, 기지국 전송기 및/또는 중계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기지국 제어기는 지지국 전송기와 교환국간 신호를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통신망은 동기식 및 비동기식을 모두 지원한다. 따라서 동기식인 경우 송신 및 수신 기지국 전송기는 BTS(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송신 및 수신 기지국 제어기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가 될 것이고, 비동기식인 경우 송신 및 수신 기지국 전송기는 RTS(Radio Tranceiver Subsystem), 송신 및 수신 기지국 제어기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가 될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CDMA 망이 아닌 GSM 망 및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통칭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통신망은 액세스포인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나타낸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또는 사용자 단말(300)을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되는 것이다. 또한 액세스포인트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또는 사용자 단말(300)과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적외선 통신(IrDA),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또는 사용자 단말(30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크게 고정형 액세스포인트 및 이동형 액세스포인트로 구분된다. 고정형 액세스포인트에는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동형 액세스포인트에는 예컨대 케이티(KT)의 에그와 같은 특정 제조사의 브리지 제품이 포함된다. 이러한 이동형 액세스포인트는 자유로운 이동성을 보장하면서, 송신측 정보에서 수신측 주소를 읽고 가장 적절한 통신 경로를 지정한 후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기능 블럭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심장박동수를 측정하는 센서부(110), 상기 심장박동수가 사용자가 듣고 있는 음악의 템포에 가까운 쪽으로 변화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선호음악 판단부(120) 및 상기 선호음악 판단부(120)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음악 또는 상기 사용자의 심장박동수 정보와 함께 컨텐츠 요청 신호를 컨텐츠 제공서버(200)에 송신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2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통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10)는 사용자의 심장박동수를 측정할 수 있다. 심장박동수는 몸의 맥박이 뛰는 부위에서 측정이 가능하다. 스마트 밴드, 스마트 워치, 스마트 링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맥박이 뛰는 곳에 착용되어 탑재되어 있는 센서부(110)를 통해 1분당 맥박이 몇 번 뛰는지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선호음악 판단부(120)는 심장박동수가 사용자가 듣고 있는 음악의 템포에 가까운 쪽으로 변화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선호음악 판단부(120)는 인간이 선호하는 음악을 들으면 심장박동수가 음악의 템포와 유사한 박동수로 변화하는 특징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현재 흘러나오는 음악이 마음에 드는 경우 직접 그 음악이 무엇인지 찾을 필요도 없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현재 듣고 있는 음악을 선호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평소 심장박동수가 100bpm 인 경우 사용자가 120bpm의 음악을 듣고 심장박동수가 120bpm에 가까워 진다면, 선호음악 판단부(120)는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좋아하는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평소 심장박동수가 100bpm 인 경우 사용자가 80bpm의 음악을 듣고 심장박동수가 80bpm에 가까워 진다면, 선호음악 판단부(120)는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좋아하는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마다 평소 심장박동수는 제각기 다르므로, 선호음악 판단부(1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평소 심장박동수를 저장해두고 심박수가 변화하는 것을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호음악 판단부(120)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또는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음악을 듣고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외부에서 들리는 음악을 듣고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지 판단이 가능하다.
이렇듯 외부에서 들리는 음악에 따라 사용자의 심장박동수가 변화하는 것인지 판단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외부 소리를 수음하는 수음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음부(140)는 마이크 등의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호음악 판단부(120)는 외부에서 들리는 음악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심장박동수가 변화하는 요인은 사람의 감정, 운동 상태에 따라 매우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선호음악 판단부(1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또는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음악이 재생되지 않는 경우, 또는 수음부(140)를 통해 음악 소리가 감지되지 않는데 사용자의 심장박동수가 변화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음악을 선호하는 것과는 별개의 요인으로 심장박동수가 변화한 것이라 판단하여 아무런 동작을 취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선호음악 판단부(120)가 사용자의 심장박동수가 음악의 템포에 가까워졌다고 판단하는 기준은 설정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 가능하다.
선호음악 판단부(120)는 사용자의 심장박동수와 음악 템포의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 이하가 되면, 사용자가 음악을 선호하는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평소 심장박동수가 100bpm인데 사용자가 130bpm의 음악을 듣고 심장 박동수가 121bpm이 되어, 차이가 10bpm(설정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이하가 되면 선호음악 판단부(120)는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 것이라 판단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선호음악 판단부(120)는 사용자의 심장박동수가 평소의 심장박동수에 비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변화한 채로 유지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시간이 20초(설정에 따라 다를 수 있다)인 경우, 사용자의 평소 심장박동수가 100bpm 인데 사용자가 120bpm의 음악을 듣고 심장박동수가 110bpm로 20초 이상 유지된다면, 선호음악 판단부(120)는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좋아하는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더불어 선호음악 판단부(120)는 상기 심장박동수가 평소의 심작박동수에 비해 기 설정된 범위 이상 변화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 설정된 범위가 20bpm(설정에 따라 다를 수 있다)인 경우, 사용자의 평소 심장박동수 가 100bpm 인데 사용자가 60bpm의 음악을 듣고 심장박동수가 70bpm이 되었다면, 선호음악 판단부(120)는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좋아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0)는 통신망을 통해 선호음악 판단부(120)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음악 또는 상기 사용자의 심장박동수 정보와 함께 컨텐츠 요청 신호를 컨텐츠 제공서버(200)에 송신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2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망은 유, 무선 통신이 모두 포함되며, 통신망을 통해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및 컨텐츠 제공서버(200)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30)는 선호음악 판단부(120)에서 사용자가 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사용자 단말(300)에 컨텐츠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컨텐츠 요청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300)은 외부의 음악을 수음하여 컨텐츠 제공서버(200)에 상기 음악을 송신하고, 컨텐츠 제공서버(2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컨텐츠 제공서버(200)에서 수신한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는 음악 재생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선호하는 음악과 유사한 음악을 제공받아 재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서버(200)의 기능 블럭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컨텐츠 제공서버(200)는, 음악의 템포 정보, 음악에 대응되는 가수/제목/앨범 정보, 음악에 관련된 쿠폰, 포인트,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10),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또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음악 또는 사용자의 심장박동수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컨텐츠 제공부(240)가 선별한 컨텐츠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또는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하는 서버 통신부(220), 상기 수신한 음악으로부터 음악에 대응되는 가수/제목/앨범 정보를 추출하는 음악정보 판단부(230) 및 상기 추출한 정보와 관련된 컨텐츠를 선별하는 컨텐츠 제공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10)는 음악의 템포 정보, 음악에 대응되는 가수/제목/앨범 정보, 음악에 관련된 쿠폰, 포인트, 이벤트 등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정보들에 구조적으로 접근하기 위한 메타 데이터가 각 정보마다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따라서 컨텐츠 제공서버(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또는 사용자 단말(300)의 컨텐츠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사용자에게 알맞은 정보를 선별하여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210)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기본적으로 검색, 분류, 분석 등을 위한 환경변수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이와 같은 데이터베이스(210)의 기능은 통상의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므로 구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서버 통신부(220)는 통신망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또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음악 또는 사용자의 심장박동수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컨텐츠 제공부(240)가 선별한 컨텐츠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또는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망은 유, 무선 통신이 모두 포함되며, 통신망을 통해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컨텐츠 제공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300)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음악정보 판단부(230)는, 서버 통신부(220)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또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음악에 대응되는 가수/제목/앨범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가 듣고 있는 음악이 무엇인지 특정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또는 사용자 단말(300) 자체에서 재생되어 사용자가 듣고 있는 음악이라면 음악 자체가 무엇인지 이미 특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현재 듣고 있는 음악이 무엇인지 식별할 필요가 없으나, 사용자가 외부로부터 들은 음악이 녹음되어 컨텐츠 제공서버(200)에 컨텐츠 요청 신호가 전송된 경우라면, 상기 음악과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음악정보 판단부(230)는 녹음된 음악이 우선 어떤 음악인지부터 특정을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음악정보 판단부(230)는 수신한 음악의 일부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음악과 비교함으로써 수신한 음악의 정보를 특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음악 정보 특정을 위해 수신한 음악을 일정시간 동안 샘플링하는 과정을 거친 후, 샘플링된 음악과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된 음악을 비교하여 수신한 음악과 일치하는 음악을 검색하는 과정으로 구분된다.
예컨대 샘플링 과정은 추출된 음악 신호를 44.1 kHz 등과 같은 일정한 주파수로, 10초 등과 같은 일정 시간 동안 샘플링하여 녹음하는 것이다. 그리고 음악의 특징을 추출하는 과정은 샘플링된 음악을 시간 또는 주파수 공간에서 필터링, 웨이브 변환, 증폭, 감쇄 등의 다양하게 신호 처리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후 상기 샘플링된 음악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음악과 비교함으로써 음악을 특정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수신한 음악을 특정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일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컨텐츠 제공부(240)는 음악정보 판단부(230)에서 추출한 정보와 관련된 컨텐츠를 선별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는 음악에 대응되는 가수의 콘서트 티켓, 음악에 대응되는 가수의 콘서트 티켓, 음악에 대응되는 가수의 화보, 음악에 대응되는 가수가 출연하는 TV프로그램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쿠폰, 포인트, 이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텐츠 제공부(240)는, 상기 수신한 음악에 대응되는 가수의 콘서트 티켓, 앨범, 화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듣고 있는 음악이 마음에 들었다면 해당 음악을 부른 가수에 대한 각종 정보를 아무런 입력 없이 간편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제공부(240)는, 수신한 음악이 OST일 경우, OST 촬영지의 팬션 쿠폰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듣고 있는 음악이 마음에 들었다면 해당 드라마의 촬영지의 여행 정보, 숙박 업소 등의 정보를 아무런 입력 없이 간편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컨텐츠 제공부(240)는, 상기 수신한 음악과 기 그룹핑된 음악을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된 음악은 미리 템포별, 장르별, 년도별 등으로 그룹핑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을 수신하였을 경우, 컨텐츠 제공부(240)는 미리 그룹핑되어 있는 음악을 선별하여 사용자 취향에 맞는 음악을 더 제공하고, 상기 음악을 구매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쿠폰, 포인트, 이벤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텐츠 제공부(24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심장박동수와 유사한 템포의 음악을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평소 심장박동수가 100bpm 인 경우 사용자가 120bpm의 음악을 듣고 심장박동수가 120bpm에 가까워 진다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좋아하는 것이라고 판단하여 컨텐츠 제공서버(200)에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 그렇다면 컨텐츠 제공서버(200)의 컨텐츠 제공부(240)는 사용자의 심장박동수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을 판단하여, 템포가 120bpm 인 음악을 선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제공부(24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음악의 템포와 유사한 템포의 음악을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평소 심장박동수가 100bpm 인 경우 사용자가 120bpm의 음악을 듣고 심장박동수가 120bpm에 가까워 진다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좋아하는 것이라고 판단하여 컨텐츠 제공서버(200)에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 그렇다면 컨텐츠 제공서버(200)의 컨텐츠 제공부(240)는 음악의 템포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을 판단하여, 템포가 120bpm 인 음악을 선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방법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컨텐츠 제공서버(200)를 설명한다. 한편 후술할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각 단계의 상세 내용은 본 발명의 장치에 관한 실시예에서 다루었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심장박동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a)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사용자의 심장박동수를 측정하는 단계(S510); (b)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서 상기 심장박동수가 사용자가 듣고 있는 음악의 템포에 가까운 쪽으로 변화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520); (c)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음악 또는 상기 사용자의 심장박동수 정보와 함께 컨텐츠 요청 신호를 컨텐츠 제공서버(200)에 송신하는 단계(S530); (d)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200)가 상기 수신한 음악으로부터 음악에 대응되는 가수/제목/앨범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한 정보와 관련된 컨텐츠를 선별하는 단계(S540); 및 (e)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200)에서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S5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장박동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a)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사용자의 심장박동수를 측정하는 단계(S610); (b)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서 상기 심장박동수가 사용자가 듣고 있는 음악의 템포에 가까운 쪽으로 변화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620); (c)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음악 또는 상기 사용자의 심장박동수 정보와 함께 컨텐츠 요청 신호를 사용자 단말(300)에 송신하는 단계(S630); (d) 상기 사용자 단말(300)이 상기 음악을 수음하여 컨텐츠 제공서버(200)에 송신하는 단계(S640); (e)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200)가 상기 수신한 음악으로부터 음악에 대응되는 가수/제목/앨범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한 정보와 관련된 컨텐츠를 선별하는 단계(S650); 및 (f)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200)에서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S6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a) 사용자의 심장박동수를 측정하는 단계(S710); (b) 상기 심장박동수가 사용자가 듣고 있는 음악의 템포에 가까운 쪽으로 변화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720); (c)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음악 또는 상기 사용자의 심장박동수 정보와 함께 컨텐츠 요청 신호를 컨텐츠 제공서버(200)에 송신하는 단계(S730); 및 (d)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2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S7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b) 단계(S720)는, 상기 심장박동수와 상기 음악 템포의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 이하가 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S720)는, 상기 심장박동수가 평소의 심작박동수에 비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변화한 채로 유지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b) 단계(S720)는, 상기 심장박동수가 평소의 심작박동수에 비해 기 설정된 범위 이상 변화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b) 단계(S720)는, 외부에서 들리는 음악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S73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사용자 단말(300)에 컨텐츠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d) 단계(S740) 이후에, (e)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200)에서 수신한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S7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서버(200)가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서버(200)가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a)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또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음악 또는 사용자의 심장박동수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810); (b) 상기 수신한 음악으로부터 음악에 대응되는 가수/제목/앨범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820); (c) 상기 추출한 정보와 관련된 컨텐츠를 선별하는 단계(S830); 및 (d) 상기 선별한 컨텐츠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또는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하는 단계(S8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c) 단계(S830)는, 상기 수신한 음악에 대응되는 가수의 콘서트 티켓, 앨범, 화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c) 단계(S830)는, 상기 수신한 음악이 OST일 경우, OST 촬영지의 팬션 쿠폰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S830)는, 상기 수신한 음악과 기 그룹핑된 음악을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c) 단계(S830)는, 상기 수신한 심장박동수와 유사한 템포의 음악을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c) 단계(S830)는 상기 수신한 음악의 템포와 유사한 템포의 음악을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수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등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그 범위를 제한해놓은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순서도들은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도시된 순차적인 순서에 불과하며, 다른 추가적인 단계들이 제공되거나, 일부 단계가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기술적 특징과 이를 실행하는 구현물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기술적 특징을 실행하는 구현물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또는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에 관한 모듈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장치"나 "시스템"이라 함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모두 포함한다. 처리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를 들어,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210) 관리 시스템, 운영 제체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모든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스크립트 또는 코드 등으로 알려진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 되거나 해석된 언어 또는 선험적,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또는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되는 것은 아니며,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또는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또는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내에, 또는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를 들어,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 이상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를 들어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와 DVD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기술적 특징을 실행하는 구현물은 예를 들어,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이하, 상기 기술한 내용과 더불어 본 명세서에 기술한 시스템과 MO 서비스 기반 혜택 제공 방법이 포함하는 구성들을 구현할 수 있는 보다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하여 자세히 기술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시스템과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또는 웹 기반의 스토리지 시스템과 관련된 서버 또는 서버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 상에서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코드 또는 명령어를 실행하는 수단을 통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서버,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인프라 구조, 모바일 컴퓨팅 플랫폼, 고정 컴퓨팅 플랫폼 등과 같은 컴퓨팅 플랫폼 중 일부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프로그램 명령어, 코드 등을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세싱 디바이스의 한 종류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명령어, 코드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명령어, 코드 및 프로그램이 저장된 CD-ROM, DVD, 메모리, 하드 디스크, 플래시 드라이브, RAM, ROM, 캐시 등과 같은 스토리지 디바이스에 접근(Access)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시스템과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서버, 클라이언트, 게이트웨이, 허브, 라우터 또는 네트워크 하드웨어 상의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장치를 통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는 파일 서버, 프린트 서버, 도메인 서버, 인터넷 서버, 인트라넷 서버, 호스트 서버, 분산 서버 등과같이 다양한 종류의 서버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상기 언급한 서버들은 메모리, 프로세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스토리지 매체, 통신 디바이스, 포트, 클라이언트 그리고 다른 서버들을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명령어, 코드 등 역시 서버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며,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다른 디바이스들은 서버와 연관된 계층구조의 일 부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서버는 클라이언트, 다른 서버, 프린터, 데이터베이스 서버, 프린트 서버, 파일 서버, 통신 서버, 분산 서버 등을 제한 없이 포함하는 다른 디바이스에게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를 통한 연결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프로그램의 원격 실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버에 연결된 디바이스 중 어느 것이라도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명령어, 코드 등을 저장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리지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서버의 중앙 프로세서는 상이한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될 명령어, 코드 등을 디바이스에 제공하여 스토리지 디바이스에 저장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시스템과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네트워크 인프라구조를 통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인프라구조는 컴퓨팅 디바이스, 서버, 라우터, 허브, 방화벽, 클라이언트, 개인용 컴퓨터, 통신 디바이스, 라우팅 디바이스 등과 같은 디바이스와 각각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별도의 모듈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언급한 디바이스와 모듈 외에 스토리 플래시 메모리, 버퍼, 스택, RAM, ROM 등과 같은 스토리지 매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명령어, 코드 등 역시 네트워크 인프라구조가 포함하는 디바이스, 모듈, 스토리지 매체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실행 및 저장될 수 있으며,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다른 디바이스 역시 네트워크 인프라구조의 일 부분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시스템과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하드웨어 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적합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하드웨어는 개인용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등과 같은 범용 컴퓨터 디바이스와 기업형 특정 컴퓨터 디바이스를 모두 포함하며, 컴퓨터 디바이스는 메모리,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콘트롤러,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집적 회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조직 등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술한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어, 코드 등은 판독 가능한 디바이스에 의해 저장 또는 접근될 수 있으며, 여기서 판독 가능한 디바이스는 일정 시간 간격 동안 컴퓨팅하는데 사용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구비하는 컴퓨터 컴포넌트, RAM 또는 ROM과 같은 반도체 스토리지, 광디스크와 같은 영구적인 스토리지, 하드 디스크, 테이프, 드럼 등과 같은 대용량 스토리지, CD 또는 DVD와 같은 광 스토리지, 플래시 메모리, 플로피 디스크, 자기 테이프, 페이퍼 테이프, 독립형 RAM 디스크, 컴퓨터로부터 착탈 가능한 대용량 스토리지와 동적 메모리, 정적 메모리, 가변 스토리지, 클라우드와 같은 네트워크 접속형 스토리지 등과 같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명령어와 코드 등은 SQL, dBase 등과 같은 데이터 지향 언어, C, Objective C, C++, 어셈블리 등과 같은 시스템 언어, Java, NET 등과 같은 아키텍처 언어, PHP, Ruby, Perl, Python 등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언어 등과 같은 언어들을 모두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진 언어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는 프로그램 실행을 위해 명령어를 프로세서로 제공하는데 기여하는 모든 매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스토리지 디바이스, 광디스크, 자기 디스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매체, 동적 메모리 등과 같은 휘발성 매체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축 케이블, 구리 와이어, 광섬유 등과 같은 전송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블록도와 순서도에 포함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실행하는 구성들은 상기 구성들 사이의 논리적인 경계를 의미한다.
그러나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시된 구성들과 그 기능들은 독립형 소프트웨어 모듈, 모놀리식 소프트웨어 구조, 코드, 서비스 및 이들을 조합한 형태로 실행되며,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 명령어 등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를 구비한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어 그 기능들이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모든 실시 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과 그에 대한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는 하나, 이러한 기술적 특징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특정 배열이 분명하게 언급되지 않는 한, 단순히 추론되어서는 안 된다. 즉, 이상에서 기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그러한 실시 예들이 본 발명과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보유하면서 일부 변형될 수 있으므로, 이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순서도의 경우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것으로서, 도시된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반드시 실행되어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반드시 실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 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실시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심장박동수 변화를 기초로 음악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판단하여 그와 유사한 음악 또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과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바,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흘러나오는 음악이 마음에 드는 경우 직접 그 음악을 찾을 필요도 없이,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선호 상태를 판단하여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0: 웨어러블 디바이스
110: 센서부
120: 선호음악 판단부
130: 통신부
140: 수음부
150: 음악 재생부
200: 컨텐츠 제공서버
210: 데이터베이스
220: 서버 통신부
230: 음악정보 판단부
240: 컨텐츠 제공부
300: 사용자 단말

Claims (11)

  1. 사용자의 심장박동수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심장박동수가 사용자가 듣고 있는 음악의 템포에 가까운 쪽으로 변화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선호음악 판단부;
    상기 선호음악 판단부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음악 또는 상기 사용자의 심장박동수 정보와 함께 컨텐츠 요청 신호를 컨텐츠 제공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음악 판단부는,
    상기 심장박동수와 상기 음악 템포의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 이하가 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음악 판단부는,
    상기 심장박동수가 평소의 심작박동수에 비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변화한 채로 유지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음악 판단부는,
    상기 심장박동수가 평소의 심작박동수에 비해 기 설정된 범위 이상 변화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외부 소리를 수음하는 수음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호음악 판단부는,
    외부에서 들리는 음악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음악을 선호하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수신한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는 음악 재생부;
    를 더 포함하는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7. 음악의 템포 정보, 음악에 대응되는 가수/제목/앨범 정보, 음악에 관련된 쿠폰, 포인트,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악 또는 사용자의 심장박동수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컨텐츠 제공부가 선별한 컨텐츠를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서버 통신부;
    상기 수신한 음악으로부터 음악에 대응되는 가수/제목/앨범 정보를 추출하는 음악정보 판단부;
    상기 추출한 정보와 관련된 컨텐츠를 선별하는 컨텐츠 제공부;
    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서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수신한 음악에 대응되는 가수의 콘서트 티켓, 앨범, 화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서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수신한 음악과 기 그룹핑된 음악을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서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수신한 심장박동수와 유사한 템포의 음악을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서버.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수신한 음악의 템포와 유사한 템포의 음악을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서버.
KR1020150149620A 2015-10-27 2015-10-27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컨텐츠 제공서버 KR201700489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620A KR20170048925A (ko) 2015-10-27 2015-10-27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컨텐츠 제공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620A KR20170048925A (ko) 2015-10-27 2015-10-27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컨텐츠 제공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925A true KR20170048925A (ko) 2017-05-10

Family

ID=58744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9620A KR20170048925A (ko) 2015-10-27 2015-10-27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컨텐츠 제공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89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37294S1 (en) 2019-02-18 2021-1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37294S1 (en) 2019-02-18 2021-1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6168B1 (ko) 청취 로그 및 음악 라이브러리를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200320120A1 (en) Cadence-Based Playlists Management System
US11256471B2 (en) Media content selection based on physiological attributes
US10134059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media content with music-styled advertisements, including use of tempo, genre, or mood
US1095693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nhanced user-sponsor interaction in a media environment, including support for shake action
US20160226610A1 (en) Crowd sentiment detection and analysis
US201601892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media content and advertisements across connected platforms, including use of companion advertisements
US201502890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atch-now functionality in a media content environment, including support for shake action
US20090182597A1 (en) Monitoring Capabilities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US20170161380A1 (en) Server and music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US11799931B2 (en) Providing related content using a proxy media content item
US11048748B2 (en) Search media content based upon tempo
KR10236998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경음악 제공방법 및 배경음악 제공 시스템
US201601892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nhanced user-sponsor interaction in a media environment, including advertisement skipping and rating
JP6038848B2 (ja) 再生プログラム、配信装置、再生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CN107690815B (zh) 个性化媒体传送
US201601892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media content and advertisements across connected platforms, including targeting to different locations and devices
US10019987B2 (en) Audible proximity messaging
KR20170048925A (ko)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통해 음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컨텐츠 제공서버
US2023034239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jecting content into media content items
KR101869332B1 (ko) 사용자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40028641A1 (en) Discovery of music source for music listening services
US20240028642A1 (en) Recommending new musical tracks for playlists
KR101863670B1 (ko) 필터링 및 태그 방식을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069621A (ko) 필터링 및 태그 방식을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