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7986A - NFC Tag 식별정보를 통한 다중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용 방법. - Google Patents

NFC Tag 식별정보를 통한 다중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7986A
KR20170047986A KR1020150148778A KR20150148778A KR20170047986A KR 20170047986 A KR20170047986 A KR 20170047986A KR 1020150148778 A KR1020150148778 A KR 1020150148778A KR 20150148778 A KR20150148778 A KR 20150148778A KR 20170047986 A KR20170047986 A KR 20170047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information
nfc tag
nfc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형석
Original Assignee
권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형석 filed Critical 권형석
Priority to KR1020150148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7986A/ko
Publication of KR20170047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79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4/00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H04W4/003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NFC Tag 식별정보를 통한 다중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 NFC 휴대용 단말기에서 서비스공급자가 배포한 NFC Tag로부터 서비스 고유 식별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서비스 고유 식별정보와 사용자 NFC 휴대단말기 식별정보 기반으로 NFC Tag와 관련된 내용별 정보와 연결될 수 있는 부가서비스기능을 제공하여 이용자가 한번의 애플리케이션 설치로 여러 종류 NFC Tag에 해당되는 다른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 및 실행할 수 있는 NFC Tag 식별정보를 통한 다중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NFC Tag 식별정보를 통한 다중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용 방법.{Multi-servic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a NFC Tag And How to Use}
본 발명은 NFC Tag 식별정보를 통한 다중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서 서비스공급자가 배포한 NFC Tag로부터 서비스 고유 식별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서비스 고유 식별정보와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 식별정보 기반으로 NFC Tag와 관련된 내용별 정보와 연결될 수 있는 부가서비스기능을 제공하여 NFC기술을 기반으로 일상생활에서 가장 신속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써 실제상황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NFC Tag의 식별정보 기반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예컨대, 이용자가 한번의 애플리케이션 설치로 여러 종류 NFC Tag에 해당되는 다른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 및 실행할 수 있는 NFC Tag 식별정보를 통한 다중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사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던 서비스들이 휴대용 단말기(스마트폰 단말기 등)를 통해 상품주문 또는 호출서비스이용 등을 할 수 있는 각 종 여러 가지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서비스 이용 시 사전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각 필요한 서비스 별로 스토어나 마켓에 접속한 후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할 것을 서비스공급자가 요구하는바 수차례의 터치와 실행을 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접속을 하는 등 번거로움이 있다.
이로 인하여 실질적으로 여러 가지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APP접속에 대한 사용 편의성이 결여되어 왔다.
또한 스마트폰으로 촉발된 무선 네트워크의 개방성, 접근성이 확대됨으로써 서비스공급자는 이용고객들이 관련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관련 서비스에 해당되는 NFC Tag를 고객에게 배포하고 있다.
그러나, 이 역시 서비스 이용 시 NFC Tag에 해당되는 서비스별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해야 하는 등 여전히 번거로워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번의 애플리케이션 설치로 다양한 NFC Tag에 해당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융합된 서비스가 필요하다.
한국 출원특허 제10-2015-0107784호(2015.07.30.출원), "NFC Tag 식별정보를 통한 다중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용 방법" 한국 공개특허 제10-2013-0024663호 (2013.03.07.출원)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선택적 NFC태그 인식 방법" 한국 등록특허 제1013032360000호 (2013.08.28. 등록)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한국 공개특허 제10-2011-0066336호 (2011.06.17. 출원) "전자태그 정보 저장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엔에프씨 단말기"
본 발명의 실시 예는 NFC Tag 식별정보를 통한 다중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예컨대, 개인이 소지 또는 중요장소에 부착된 NFC Tag를 통하여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NFC Tag에 해당되는 서비스정보를 추출한 후 사용자가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NFC 통신을 지원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한번의 애플리케이션 설치만으로 다수의 서비스공급자가 제공하는 NFC Tag 접촉만으로 각종 서비스를 쉽게 선택하여 NFC 휴대용 단말기에서 MFC Tag의 부가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NFC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휴대단말기의 NFC 통신부를 통해 검색한 NFC Tag 정보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정보 중 하나를 입력부를 통해 선택하면 상기 NFC Tag와 연동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와, 상기 NFC Tag와 연동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NFC Tag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NFC Tag를 검색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디스플레이된 NFC Tag에 연동된 정보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한 NFC Tag정보와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한 NFC Tag와 연동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한번의 애플리케이션 설치로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각종 NFC Tag 접촉만으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여 줌으로써 다양한 NFC Tag 종류별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정보 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이용자가 직접 상기 NFC Tag와 연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찾아 실행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는 NFC Tag를 이용한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서비스이용 및 기능 등을 구현하는 데 있어 애플리케이션을 서비스별로 설치할 필요없이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서비스공급자가 배포한 NFC Tag(서비스기능이 포함된 카드)에 접촉하는 것만으로 사용자(구매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 이용고객들로 하여금 편리한 서비스가 가능해 지도록 하는 NFC Tag 식별정보를 통한 다중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용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통합관리 서버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 저장하여 전자장치(휴대단말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NFC Tag 식별정보를 통한 다중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한번의 애플리케이션 설치만으로 다수의 서비스공급자가 배포한 NFC Tag(서비스기능이 포함된 카드) 접촉만으로 다수의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NFC Tag에 해당되는 서비스정보를 추출한 후 사용자가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다수의 서비스공급자가 제공하는 NFC Tag를 NFC 휴대단말기의 NFC 통신부를 통하여 검색한 NFC Tag 정보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정보 중 하나를 입력부를 통해 선택하면, 상기 NFC Tag와 연동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와 상기 NFC Tag와 연동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와
그리고, 부가서비스 제공 관련 정보의 생성을 위한 NFC Tag별로 제공할 부가서비스 관련 정보를 유형별로 입력·저장하고, 입력·저장된 유형별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고 관리할 수 있는 통합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NFC 휴대단말기로 NFC Tag를 통하여 관련 서비스 정보가 생성 시 상기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NFC Tag에 해당되는 정보로부터 서비스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NFC 휴대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부가서비스 정보를 선택하여 이용한다.
여기서, NFC Tag 부가서비스 정보는 NFC Tag에 해당되는 식별정보와 서비스공급자가 제공할 부가서비스 정보(대리호출, 택시호출, 배달서비스, 분실물찾기, 미아찾기, 위급상황 도움요청서비스, 출입통제, 근태관리 등 일상생활에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에 해당하는 식별 정보를 맵핑하여 서버에 NFC Tag 유형별로 저장된 부가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NFC Tag에 해당되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서비스공급자가 제공하는 NFC Tag에 부가서비스 내용별로 각각 작성되어 유형별 구성들로 분류하고, 그 분류된 유형에 따라 상기 서버에 미리 저장되어 서비스이용 및 기능 등을 구현하는데 애플리케이션을 서비스별로 설치할 필요없이 사용자의 NFC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서비스공급자가 배포한 NFC Tag(서비스기능이 포함된 카드)에 접촉하는 것만으로 사용자(구매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부가서비스 정보에는 NFC Tag에 대응하는 이용할 부가서비스 정보(대리호출, 택시호출, 배달서비스, 분실물찾기, 미아찾기, 위급상황 도움요청서비스, 출입통제, 근태관리 등 일상생활에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와 NFC 휴대단말기 고유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사용자 NFC 휴대단말기에서 서비스 관련 정보가 생성 시 서비스 사용자가 소지 또는 중요 장소에 부착된 NFC Tag의 식별 정보에 해당되는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되는 인터페이스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급자 전자장치(휴대단말기)로 직접 부가서비스를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에 등록되는 이용자 NFC 휴대단말기 고유 식별정보에는 모바일 식별 번호, 국제 모바일 장치 식별 정보, 이동 통신 번호 정보, 소유자 정보, 국가별 언어 식별 정보 등 전자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관련 정보가 포함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한번의 애플리케이션 설치로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각종 NFC Tag 접촉만으로 부가서비스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여 줌으로써 다양한 NFC Tag 종류별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통합관리서버는 서비스 사용자가 소지 또는 중요장소에 부착될 NFC Tag의 식별 정보에 해당되는 서비스를 제공할 관련 정보를 입력·저장한다.
그리고, 이용자 NFC 휴대단말기로 NFC Tag를 리딩 시 NFC Tag의 식별 정보에 해당되는 이용할 부가서비스 NFC Tag별로 전용의 애플리케이션이 생성될 수 있게 제공되는 서비스 관련 인터페이스 및 관련 정보를 서버에서 전자장치별로 전송 한다.
여기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서비스 사용자가 소지 또는 중요장소에 부착된 NFC Tag의 식별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매칭되는 각 이용자정보와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이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NFC Tag를 접촉하여 NFC 휴대단말기의 통신망을 통한 호 접속 시 해당 NFC Tag를 식별할 수 있는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 NFC Tag의 식별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NFC Tag의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NFC 휴대단말기로 전송을 수행할 수 있는 통합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한편, NFC 휴대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개인이 소지 또는 중요장소에 부착된 NFC Tag와 연동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선택하여 해당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여기서, NFC Tag와 연동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는 NFC Tag 소유자 또는 서비스 제공업자에 의해 해당 정보를 수정·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NFC Tag정보는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NFC Tag 식별정보를 NFC 휴대단말기로 리딩 또는 접촉 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또는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정보와 NFC Tag 식별정보에 해당되는 제공할 필요한 서비스를 입력하여 사전에 상기 서버로 등록한 부가서비스 정보이며 상기 서버에 등록한 부가 서비스정보들 중에서 선택한다.
여기서, 서비스의 선택은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NFC Tag 식별정보를 리딩 또는 접촉 시 서비스 제공업자가 우선 설정한 서비스 관련 식별정보가 생성되어 서비스를 이용한다.
그리고, NFC 휴대용 단말기에서 NFC Tag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개인이 소지 또는 중요장소에 부착된 NFC Tag를 접촉하여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NFC Tag에 해당되는 서비스 관련 정보를 선택한다.
여기서, 선택한 NFC Tag에 해당되는 서비스 관련 정보와 연결하고 선택한 NFC Tag와 연동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선택한 NFC Tag와 연동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상기 NFC Tag 정보에 해당되는 서비스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NFC Tag와 연동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는 NFC Tag 소유자 또는 서비스 제공업자에 의해 해당 정보를 수정·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NFC Tag에 제공할 서비스 고유 식별정보를 입력·제작·배포하는 단계에 있어서 제작·배포된 NFC Tag를 서비스 이용자 NFC 휴대용 단말기로 태깅(접촉)하고 서비스이용자 NFC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리드되어 수신된 NFC Tag정보가 서버에 등록된 NFC Tag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수신된 NFC Tag정보가 서버에 등록된 부가서비스 관련 NFC Tag이면 서비스이용자 NFC 휴대단말기로 접속하여 리드된 인터베이스정보에 관련 서비스를 이용할 정보가 생성한다.
여기서, 서비스이용자 NFC 휴대단말기에서 이용할 서비스정보 및 인터베이스정보를 터치하여 통신망을 통해 서버로 전송하고 접속하고 통신망을 통하여 호 접속된 서비스이용자 NFC 휴대단말기의 관련 서비스요청 정보를 추출하여 서비스 이용자가 NFC 휴대단말기로 NFC Tag를 리딩하여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서비스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전자장치(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NFC Tag(전자식별Tag)를 리드하고, 리드된 서비스 식별정보에 응답하여 관련 정보를 이용해 서비스공급자 서버로 연결을 수행하고, 호 접속이 이루어지면 서비스 신청·이용정보 등을 전송하는 서비스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서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한번의 애플리케이션 설치로 다수의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각종 NFC Tag 접촉만으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여 줌으로써 다양한 NFC Tag 종류별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정보 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이용자가 직접 상기 NFC Tag와 연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찾아 실행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는 NFC Tag를 이용한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서비스이용 및 기능 등을 구현하는 데 있어 애플리케이션을 서비스별로 설치할 필요없이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서비스공급자가 배포한 NFC Tag(서비스기능이 포함된 카드)에 접촉하는 것만으로 사용자(구매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C Tag 식별정보를 통한 다중서비스 제공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NFC Tag와 연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자동 검색하여 표시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및,
도 3은 NFC Tag와 연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자동 검색하여 실행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NFC Tag에 제공할 서비스 고유 식별정보를 입력·제작·배포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전자장치 등 포괄적 의미의 전자장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임의의 전자장치일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 이동 단말기, 통신 단말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 휴대용 이동 단말, 이동통신 단말기 등으로 칭할 수 있다. 임의의 전자장치는 스마트폰, 휴대폰, 게임기, 디스플레이 장치, 웨어러블 헤드유닛, 노트북 컴퓨터, 랩탑컴퓨터, 태블릿(Tablet) 컴퓨터,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Digital Assistants), 내비게이션 장치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전자장치의 대표적인 구성은 휴대 단말(예컨대, 휴대폰, 스마트폰 등)에 대한 것이며, 이러한 단말기의 대표적인 구성에서 일부 구성 소자는 필요에 따라 생략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은 NFC 통신을 지원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NFC 통신을 지원하는 PC, 노트북 등에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은 NFC 통신을 지원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할 NFC Tag를 검색하여 연결한 후, 상기 NFC Tag와 연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자동 검색하고 디스플레이하여 선택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C Tag 식별정보를 통한 다중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용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NFC Tag 식별정보를 통한 다중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C Tag 식별정보를 통한 다중서비스 제공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Tag 식별정보를 통한 다중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이용자 휴대단말기(100), NFC Tag(300), 통합관리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제어부(110)와 입력부(120), 메모리부(130), NFC 통신부(140) 및 표시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및 데이터 통신(200)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NFC 휴대용 단말기(100)의 NFC 기능을 작동하고, NFC 통신부(140)를 통해 NFC 휴대용 단말기(100)로 NFC Tag(300)를 접속하여 표시부(150)에 검색된 NFC Tag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표시부(150)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NFC Tag(300) 정보들 중 하나를 입력부(120)를 통해 선택하면 상기 선택한 NFC Tag(300)에 해당되는 정보와 연결을 하고 NFC Tag(300) 정보와 연동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부(130)로부터 검출하여 해당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표시부(150)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여기서, NFC 통신부(140)는 상기 제어부(110)의 지시에 NFC Tag(300)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제어부(110)로 통보하여 주고 사용자가 선택한 NFC Tag(300) 정보를 데이터로 송·수신한다.
그리고, 메모리부(130)는 NFC Tag(300) 정보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110) 요청 시 상기 NFC Tag(300)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입력부(12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키패드(미도시)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NFC Tag(300) 정보의 검색, 선택, 기능 동작을 키워드로 입력하여 상기 제어부(110)로 신호를 제공한다.
여기서, 표시부(150)는 상기 NFC 통신부(140)에서 검색한 NFC Tag(300) 정보들을 디스플레이(221)하고, 상기 제어부(110)를 통해 NFC Tag 정보가 선택되는 것을 디스플레이(222)하며, 실제로 NFC Tag(300) 정보에 연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224)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Tag 식별정보를 통한 다중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부가서비스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NFC Tag(300)와
그리고, 서비스공급자가 제공하는 NFC Tag(300)를 휴대단말기(100)의 NFC 통신부(140)를 통하여 검색한 NFC Tag(300) 정보를 표시부(150)에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정보 중 하나를 입력부(120)를 통해 선택하면, 상기 NFC Tag(300)와 연동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110)와 상기 NFC Tag(300)와 연동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224)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130)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와
여기서, 부가서비스 제공 관련 정보의 생성을 위한 NFC Tag(300)별로 제공할 부가서비스 관련 정보를 유형별로 입력(453)·저장(454)하고, 입력(453)·저장(454)된 유형별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고 관리할 수 있는 통합관리서버(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NFC 휴대단말기(100)로 NFC Tag(300)를 통하여 관련 서비스 정보가 생성 시 상기 정보가 미리 저장(454)되어 있는 NFC Tag(300)에 해당되는 정보로부터 서비스정보를 추출(420)하여, 상기 NFC 휴대단말기(100)에 디스플레이된 부가서비스 정보를 선택하여 이용한다.
여기서, NFC Tag 부가서비스 정보는 NFC Tag(300)에 해당되는 식별 정보와 서비스공급자가 제공할 부가서비스 정보(대리호출, 택시호출, 배달서비스, 분실물찾기, 미아찾기, 위급상황 도움요청서비스, 출입통제, 근태관리 등 일상생활에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에 해당하는 식별 정보를 맵핑하여 서버(400)에 NFC Tag(300) 유형별로 저장된 부가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NFC Tag(300)에 해당되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서비스공급자가 제공하는 NFC Tag(300)에 부가서비스 내용별로 각각 작성되어 유형별 구성들로 분류하고, 그 분류된 유형에 따라 상기 서버(400)에 미리 저장되어 서비스이용 및 기능 등을 구현하는데 애플리케이션을 서비스별로 설치할 필요없이 사용자의 NFC 휴대용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서비스공급자가 배포한 NFC Tag(300)(서비스기능이 포함된 카드)에 접촉하는 것만으로 사용자(구매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부가서비스 정보에는 NFC Tag(300)에 대응하는 이용할 부가 서비스 정보(대리호출, 택시호출, 배달서비스, 분실물찾기, 미아찾기, 위급상황 도움요청서비스, 출입통제, 근태관리 등 일상생활에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와 NFC 휴대단말기(100) 고유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사용자 NFC 휴대단말기(100)에서 서비스 관련 정보가 생성 시 서비스 사용자가 소지 또는 중요 장소에 부착된 NFC Tag(300)의 식별 정보에 해당되는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되는 인터페이스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급자 전자장치(휴대단말기)(미도시)로 직접 부가서비스를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400)에 등록되는 이용자 NFC 휴대단말기(100) 고유 식별정보에는 모바일 식별 번호, 국제 모바일 장치 식별 정보, 이동 통신 번호 정보, 소유자 정보, 국가별 언어 식별 정보 등 전자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관련 정보가 포함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한번의 애플리케이션 설치로 다수의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각종 NFC Tag(300) 접촉만으로 부가서비스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여 줌으로써 다양한 NFC Tag(300) 종류별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서버(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통합관리서버(400)는 서비스 사용자가 소지 또는 중요장소에 부착될 NFC Tag(300)의 식별 정보에 해당되는 서비스를 제공할 관련 정보를 입력·저장한다.
그리고, 이용자 NFC 휴대단말기(100)로 NFC Tag(300)를 리딩 시 NFC Tag(300)의 식별 정보에 해당되는 이용할 부가서비스 NFC Tag(300)별로 전용의 애플리케이션이 생성될 수 있게 제공되는 서비스 관련 인터페이스 및 관련 정보를 서버(400)에서 전자장치별(미도시)로 전송 한다.
여기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400)는 서비스 사용자가 소지 또는 중요장소에 부착된 NFC Tag(300)의 식별 정보 데이터베이스(412)와 매칭되는 각 이용자정보와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이용자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411)와 NFC Tag(300)를 접촉하여 NFC 휴대단말기(100)의 통신망(200)을 통한 호 접속 시 해당 NFC Tag(300)를 식별할 수 있는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420), NFC Tag의 식별 정보 데이터베이스(412)로부터 상기 NFC Tag(300)의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NFC 휴대단말기(100)로 전송을 수행할 수 있는 통합 관리 서버(400)를 포함한다.
한편, NFC 휴대단말기(100) 제어부(110)는 상기 개인이 소지 또는 중요장소에 부착된 NFC Tag(300)와 연동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입력부(120)를 통해 선택하여 해당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여기서, NFC Tag(300)와 연동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는 NFC Tag(300) 소유자 또는 서비스 제공업자에 의해 해당 정보를 수정·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NFC Tag(300)정보는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NFC Tag(300) 식별정보를 NFC 휴대단말기(100)로 리딩 또는 접촉 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또는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정보와 NFC Tag(300) 식별정보에 해당되는 제공할 필요한 서비스를 입력하여 사전에 상기 서버(400)로 등록한 부가서비스 정보이며 상기 서버(400)에 등록한 부가 서비스정보들 중에서 선택한다.
여기서, 서비스의 선택은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NFC Tag(300) 식별정보를 리딩 또는 접촉 시 서비스 제공업자가 우선 설정한 서비스 관련 식별정보가 생성되어 서비스를 이용한다.
도 3에 있어서 NFC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NFC Tag(300)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은 개인이 소지 또는 중요장소에 부착된 NFC Tag(300)를 접촉하여 디스플레이(221)하고 디스플레이된 NFC Tag(300)에 해당되는 서비스 관련 정보를 선택(222)한다.
여기서, 선택한 NFC Tag(300)에 해당되는 서비스 관련 정보와 연결(223)하고 선택한 NFC Tag(300)와 연동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224)한다.
그리고, 선택한 NFC Tag(300)와 연동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상기 NFC Tag(300) 정보에 해당되는 서비스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225)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NFC Tag(300)와 연동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는 NFC Tag(300) 소유자 또는 서비스 제공업자에 의해 해당 정보를 수정·변경할 수 있다.
도 4에 있어서 NFC Tag(300)에 제공할 서비스 고유 식별정보를 입력(453)·제작·배포하는 단계(210)는 제작·배포된 NFC Tag(300)를 서비스 이용자 NFC 휴대용 단말기(100)로 태깅(접촉)(211)하고 서비스이용자 NFC 휴대용 단말기(100)에 의해 리드되어 수신된 NFC Tag(300)정보가 서버에 등록된 NFC Tag(300)인지를 판단(212)한다.
여기서, 수신된 NFC Tag(300)정보가 서버에 등록된 부가서비스 관련 NFC Tag(300)이면 서비스이용자 NFC 휴대단말기(100)로 접속하여 리드된 인터베이스정보에 관련 서비스를 이용할 정보가 생성(213)한다.
여기서, 서비스이용자 NFC 휴대단말기(100)에서 이용할 서비스정보 및 인터베이스정보를 터치하여 통신망(200)을 통해 서버(400)로 전송하여 접속(214)하고 통신망(200)을 통하여 호 접속된 서비스이용자 NFC 휴대단말기(100)의 관련 서비스요청 정보를 추출(215)하여 서비스 이용자가 NFC 휴대단말기(100)로 NFC Tag(300)를 리딩하여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 할 수 있게 서비스 관련 정보를 제공(216)한다.
여기서, NFC 휴대단말기(100)를 통해 NFC Tag(전자식별Tag)를 리드하고, 리드된 서비스 식별정보에 응답하여 관련 정보를 이용해 서비스공급자 서버(400)로 연결을 수행하고, 호 접속이 이루어지면 서비스 신청·이용정보 등을 전송하는 서비스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서버(400)를 구비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한번의 애플리케이션 설치로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각종 NFC Tag(300) 접촉만으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여 줌으로써 다양한 NFC Tag(300) 종류별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이용자가 직접 상기 NFC Tag(300)와 연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찾아 실행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는 NFC Tag(300)를 이용한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서비스이용 및 기능 등을 구현하는 데 있어 애플리케이션을 서비스별로 설치할 필요없이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서비스공급자가 배포한 NFC Tag(300)(서비스기능이 포함된 카드)에 접촉하는 것만으로 사용자(구매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이용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이용자 휴대단말기 110 : 제어부
120 : 입력부 130 : 메모리부
140 : NFC 통신부 150 : 표시부
200 : 통신망 300 : NFC Tag
400 : 통합관리서버
411 : 이용자정보와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
412 : NFC Tag의 식별 정보 데이터베이스
413 : 부가서비스 정보 데이터베이스
420 :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
430 : SMS처리부 440 : 웹서버
451 : 생성부 452 : 통신부
453 : 입력부 454 : 저장부
455 : 제어부

Claims (16)

  1. NFC Tag 식별정보를 통한 다중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부가서비스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NFC Tag;
    서비스공급자가 제공하는 NFC Tag를 NFC 휴대단말기의 NFC 통신부를 통하여 검색한 NFC Tag 정보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정보 중 하나를 입력부를 통해 선택하면, 상기 NFC Tag와 연동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와 상기 NFC Tag와 연동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및
    부가서비스 제공 관련 정보의 생성을 위한 NFC Tag별로 제공할 부가서비스 관련 정보를 유형별로 입력·저장하고, 입력·저장된 유형별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고 관리할 수 있는 통합관리서버;
    상기 NFC 휴대단말기로 NFC Tag를 통하여 관련 서비스 정보가 생성 시 상기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NFC Tag에 해당되는 정보로부터 서비스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NFC 휴대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부가서비스 정보를 선택하여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Tag 식별정보를 통한 다중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용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FC Tag 부가서비스 정보는,
    상기 NFC Tag에 해당되는 식별 정보와 서비스공급자가 제공할 부가서비스 정보(대리호출, 택시호출, 배달서비스, 분실물찾기, 미아찾기, 위급상황 도움요청서비스, 출입통제, 근태관리 등 일상생활에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에 해당하는 식별정보를 맵핑하여 서버에 NFC Tag 유형별로 저장된 부가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Tag 식별정보를 통한 다중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용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NFC Tag에 해당되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상기 다수의 서비스공급자가 제공하는 NFC Tag에 부가서비스 내용별로 각각 작성되어 유형별 구성들로 분류하고, 그 분류된 유형에 따라 상기 서버에 미리 저장되어 서비스이용 및 기능 등을 구현하는데 애플리케이션을 서비스별로 설치할 필요없이 사용자의 NFC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서비스공급자가 배포한 NFC Tag(서비스기능이 포함된 카드)에 접촉하는 것만으로 사용자(구매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Tag 식별정보를 통한 다중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용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서비스 정보는,
    상기 NFC Tag에 대응하는 이용할 부가 서비스 정보(대리호출, 택시호출, 배달서비스, 분실물찾기, 미아찾기, 위급상황 도움요청서비스, 출입통제, 근태관리 등 일상생활에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와 NFC 휴대단말기 고유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Tag 식별정보를 통한 다중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용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NFC 휴대단말기에서 서비스 관련 정보가 생성 시,
    상기 서비스 사용자가 소지 또는 중요 장소에 부착된 NFC Tag의 식별 정보에 해당되는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되는 인터페이스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급자 전자장치(휴대단말기)로 직접 부가서비스를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Tag 식별정보를 통한 다중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용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통합관리 서버에 등록되는 이용자 NFC 휴대단말기 고유 식별정보에는 모바일 식별 번호, 국제 모바일 장치 식별 정보, 이동 통신 번호 정보, 소유자 정보, 국가별 언어 식별 정보 등 전자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관련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사용자가 한번의 애플리케이션 설치로 다수의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각종 NFC Tag 접촉만으로 부가서비스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여 줌으로써 다양한 NFC Tag 종류별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Tag 식별정보를 통한 다중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용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통합관리서버는,
    서비스 사용자가 소지 또는 중요장소에 부착될 NFC Tag의 식별 정보에 해당되는 서비스를 제공할 관련 정보를 입력·저장하고,
    상기 이용자 NFC 휴대단말기로 NFC Tag를 리딩 시,
    상기 NFC Tag의 식별 정보에 해당되는 이용할 부가서비스 NFC Tag별로 전용의 애플리케이션이 생성될 수 있게 제공되는 서비스 관련 인터페이스 및 관련 정보를 서버에서 전자장치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Tag 식별정보를 통한 다중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용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서비스 사용자가 소지 또는 중요장소에 부착된 NFC Tag의 식별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매칭되는 각 이용자정보와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이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NFC Tag를 접촉하여 NFC 휴대단말기의 통신망을 통한 호 접속 시 해당 NFC Tag를 식별할 수 있는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
    상기 NFC Tag의 식별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NFC Tag의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NFC 휴대단말기로 전송을 수행할 수 있는 통합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Tag 식별정보를 통한 다중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용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FC 휴대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개인이 소지 또는 중요장소에 부착된 NFC Tag와 연동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선택하여 해당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Tag 식별정보를 통한 다중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용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FC Tag와 연동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는 NFC Tag 소유자 또는 서비스 제공업자에 의해 해당 정보를 수정·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돋보기 및 소지품에 부착된 NFC Tag를 이용한 서비스 장치 및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NFC Tag정보는,
    상기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NFC Tag 식별정보를 NFC 휴대단말기로 리딩 또는 접촉 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또는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정보와 NFC Tag 식별정보에 해당되는 제공할 필요한 서비스를 입력하여 사전에 상기 서버로 등록한 부가서비스 정보이며 상기 서버에 등록한 부가 서비스정보들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Tag 식별정보를 통한 다중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용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서비스의 선택은,
    상기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NFC Tag 식별정보를 리딩 또는 접촉 시 서비스 제공업자가 우선 설정한 서비스 관련 식별정보가 생성되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Tag 식별정보를 통한 다중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용 방법.
  13. NFC 휴대용 단말기에서 NFC Tag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개인이 소지 또는 중요장소에 부착된 NFC Tag를 접촉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NFC Tag에 해당되는 서비스 관련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한 NFC Tag에 해당되는 서비스 관련 정보와 연결하는 단계;
    상기 선택한 NFC Tag와 연동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선택한 NFC Tag와 연동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상기 NFC Tag 정보에 해당되는 서비스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Tag 식별정보를 통한 다중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용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NFC Tag와 연동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는 NFC Tag 소유자 또는 서비스 제공업자에 의해 해당 정보를 수정·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Tag 식별정보를 통한 다중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용 방법.
  15. NFC Tag에 제공할 서비스 고유 식별정보를 입력·제작·배포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작·배포된 NFC Tag를 서비스 이용자 NFC 휴대용 단말기로 태깅(접촉)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이용자 NFC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리드되어 수신된 NFC Tag정보가 서버에 등록된 NFC Tag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NFC Tag정보가 서버에 등록된 부가서비스 관련 NFC Tag이면 서비스이용자 NFC 휴대단말기로 접속하여 리드된 인터베이스정보에 관련 서비스를 이용할 정보가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이용자 NFC 휴대단말기에서 이용할 서비스정보 및 인터베이스정보를 터치하여 통신망을 통해 서버로 전송하고 접속하는 단계;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호 접속된 서비스이용자 NFC 휴대단말기의 관련 서비스요청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이용자가 NFC 휴대단말기로 NFC Tag를 리딩하여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 할 수 있게 서비스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Tag 식별정보를 통한 다중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용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NFC 휴대단말기를 통해 NFC Tag(전자식별Tag)를 리드하고, 리드된 서비스 식별정보에 응답하여 관련 정보를 이용해 서비스공급자 서버로 연결을 수행하고, 호 접속이 이루어지면 서비스 신청·이용정보 등을 전송하는 서비스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서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Tag 식별정보를 통한 다중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용 방법.
KR1020150148778A 2015-10-26 2015-10-26 NFC Tag 식별정보를 통한 다중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용 방법. KR201700479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778A KR20170047986A (ko) 2015-10-26 2015-10-26 NFC Tag 식별정보를 통한 다중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778A KR20170047986A (ko) 2015-10-26 2015-10-26 NFC Tag 식별정보를 통한 다중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986A true KR20170047986A (ko) 2017-05-08

Family

ID=60164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778A KR20170047986A (ko) 2015-10-26 2015-10-26 NFC Tag 식별정보를 통한 다중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798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15307A (zh) * 2022-01-27 2022-06-10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设备控制方法、控制终端及服务端设备
CN115118811A (zh) * 2021-03-19 2022-09-27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智能管理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5118811B (zh) * 2021-03-19 2024-05-24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智能管理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18811A (zh) * 2021-03-19 2022-09-27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智能管理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5118811B (zh) * 2021-03-19 2024-05-24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智能管理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4615307A (zh) * 2022-01-27 2022-06-10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设备控制方法、控制终端及服务端设备
CN114615307B (zh) * 2022-01-27 2023-10-27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设备控制方法、控制终端及服务端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80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recommendation service
CN107209905A (zh) 针对个性化和任务完成服务而对应用去主题归类
KR101955463B1 (ko) 컨텐츠 분석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추천 시스템 및 방법
US20150324842A1 (en) Method of actively providing advertisement
US10936609B2 (en) Presenting user information suggestions
CN103235776A (zh) 呈现搜索结果信息
KR20180089004A (ko) NFC Tag 식별정보를 통한 다중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용 방법
US11586690B2 (en) Client-side personalization of search results
CN108701121A (zh) 将用户输入分派到用户界面中的多个输入域
KR20130122424A (ko) 앱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7077473A (zh) 用于显示内容的系统、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CN111158998A (zh) 一种埋点数据的显示方法及装置
KR20170047986A (ko) NFC Tag 식별정보를 통한 다중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용 방법.
KR102081232B1 (ko) 태그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생성 지원을 위한 장치
JP2012058987A (ja) ユーザにアプリケーションを推薦する配信サーバ及び配信方法
US11899731B2 (en) Personalized translation of content identifiers
KR20150059206A (ko) 모바일 단말기의 잠금화면을 이용한 광고방법, 그 방법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 및 프로그램 분배 서버
KR20130017797A (ko) 전자책 상의 애너테이션을 생성 및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70059716A (ko) 음성통화만으로 실시간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705556B1 (ko) 연관도를 이용한 연관 노트 제공 방법 및 장치
EP3002665B1 (en) Communication device crawler
US11060871B2 (en) Proximity navigation
KR20130065867A (ko) 개인화된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그에 대한 기록매체
KR20130019176A (ko) 전자책 상에서 애너테이션이 작성된 항목을 추출 및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00059265A (ko) 정보 제공 장치, 검색 서비스 시스템 및 검색 서비스 실행 방법, 이를 이용한 검색 서비스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