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7820A -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무선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무선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7820A
KR20170047820A KR1020150148356A KR20150148356A KR20170047820A KR 20170047820 A KR20170047820 A KR 20170047820A KR 1020150148356 A KR1020150148356 A KR 1020150148356A KR 20150148356 A KR20150148356 A KR 20150148356A KR 20170047820 A KR20170047820 A KR 20170047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er
information
transmitter
receiving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8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7820A/ko
Priority to US15/769,877 priority patent/US20180316388A1/en
Priority to PCT/KR2016/011595 priority patent/WO2017069469A1/ko
Publication of KR20170047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78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 H04B5/0037
    • H02J17/00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5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additional energy repeaters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04B5/0075
    • H04B5/0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H04B5/26Inductive coupling using coils
    • H04B5/263Multiple coils at either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H04W4/003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실시예는 송신기(1000)로부터 수신기(2000)에 무선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은, 상기 수신기(2000)의 검출을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기(2000)로부터 식별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기(2000)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신기(2000)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기(2000)와 상기 근거리 통신을 하여 상기 수신기(2000)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및/또는 실행되도록 하고 상기 송신기(1000)의 위치 정보를 상기 수신기(2000)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기(2000)와 근거리 통신을 할 때 상기 무선 전력 전송은 일시 중단될 수 있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신기, 수신기,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무선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WIRELESS POWER TRANSMITTER, WIRELESS POWER RECEIVER, WIRELESS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VING WIRELESS SIGNAL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무선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근거리 통신 시스템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이 복합된 무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자 기기는, 배터리를 구비하고,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한다. 이 때 전자 기기에서, 배터리는 교체될 수 있으며, 재차 충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전자 기기는 외부의 충전 장치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 단자를 구비한다. 즉 전자 기기는 접촉 단자를 통해, 충전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런데, 전자 기기에서 접촉 단자가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거나 습기에 의해 단락(short)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접촉 단자와 충전 장치 사이에 접촉 불량이 발생되어, 전자 기기에서 배터리가 충전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선으로 전자 기기를 충전하기 위한 무선전력전송(wireless power transfer)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은 공간을 통하여 선 없이 전력을 전달하는 기술로써, 모바일(mobile) 기기 및 디지털 가전 기기들에 대한 전력 공급의 편의성을 극대화한 기술이다.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은 실시간 전력 사용 제어를 통한 에너지 절약, 전력 공급의 공간 제약 극복 및 배터리 재충전을 이용한 폐 건전지 배출량 절감 등의 강점을 지닌다.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구현 방법으로써 대표적으로 자기유도방식과 자기공진방식이 있다. 자기유도방식은 두 개의 코일을 근접시켜 한쪽의 코일에 전류를 흘려 그에 따라 발생한 자속을 매개로 하여 다른 쪽의 코일에도 기전력이 발생하는 비접촉 에너지 전송기술로써, 수백 kHz의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자기 공진 방식은 전자파나 전류를 이용하지 않고 전장 또는 자장만을 이용하는 자기 공명 기술로써 전력 전송이 가능한 거리가 수 미터 이상으로써, 수 MHz의 대역을 이용할 수 있다.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은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송신기와 전력을 수신하여 배터리 등 부하를 충전하는 수신기를 포함한다. 이 때 수신기의 충전 방식, 즉 자기 유도 방식과 자기 공진 방식 중 어느 하나의 충전 방식을 택할 수 있고, 수신기의 충전 방식에 대응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송신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은 코일 상에 유도되는 기전력을 무선으로 전달하는 방식으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은 무선 전력 충전 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복합적으로 구비할 수 있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있다.
실시예는 근거리 통신 시스템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이 복합된 무선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기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은, 수신기의 검출을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기로부터 식별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기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신기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기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수신기의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또는 실행되도록 하고 송신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수신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기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은, 송신기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송신기로 식별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송신기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송신기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송신기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또는 실행되도록 하고 상기 송신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응답하여 제1 정보를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서버로부터 제2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신기는, 수신기의 검출 신호 또는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송신 코일; 상기 수신기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및/또는 실행되도록 하고, 위치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상기 수신기의 근거리 통신 코일과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 코일; 및 상기 수신기로부터 식별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신기는, 송신기로부터 검출 신호 또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수신 코일;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및/또는 실행되도록 하고, 상기 송신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송신기의 근거리 통신 코일과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 코일;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응답하여 제1 정보를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정보에 응답하여 제2 정보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동 방법은, 근거리 통신에 응답하여 송신기의 위치 정보가 수신기로 송신 및 상기 수신기의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또는 실행되는 단계;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무선 전력에 의해 상기 수신기가 충전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응답하여 제1 정보가 서버에 전송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의 제2 정보가 상기 수신기로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정보가 서비스 컴퓨터에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는 근거리 통신 시스템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이 복합된 무선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 서비스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자기 유도 방식 등가회로이다.
도 2는 자기 공진 방식 등가회로이다.
도 3a 및 3b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브 시스템 중 하나로 송신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c는 실시예에 따른 송신측 전력변환부의 구체적인 회로도이다.
도 3d는 송신기의 상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브 시스템 중 하나로 수신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로써,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의 동작 상태를 중심으로 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송신기와 수신기 간의 무선전력전송 및 근거리 통신에 따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수신기의 동작 방법에 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수신기의 요구 전력 결정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무선 신호 송수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무선 신호 송수신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무선충전과 근거리 통신의 동작 관계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을 적용한 일 실시예로써의 골프존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무선 신호 송수신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실시예는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하여 저주파(50kHz)부터 고주파(15MHz)까지의 다양한 종류의 주파수 대역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며, 시스템 제어를 위하여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교환할 수 있는 통신시스템을 포함할 수도 있다.
실시예는 배터리를 사용하거나 필요로 하는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휴대단말 산업, 스마트 시계 산업, 컴퓨터 및 노트북 산업, 가전기기 산업, 전기자동차 산업, 의료기기 산업, 로봇 산업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전송 코일을 사용하여 한 개 이상의 다수기기에 전력 전송이 가능한 시스템을 고려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폰, 노트북 등 모바일 기기에서의 배터리 부족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일 예로 테이블에 무선충전패드를 놓고 그 위에서 스마트폰, 노트북을 사용하면 자동으로 배터리가 충전되어 장시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까페, 공항, 택시, 사무실, 식당 등 공공장소에 무선충전패드를 설치하면 모바일기기 제조사별로 상이한 충전단자에 상관없이 다양한 모바일기기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무선전력전송 기술이 청소기, 선풍기 등의 생활가전제품에 적용되면 전원케이블을 찾아 다닐 필요가 없게 되고 가정 내에서 복잡한 전선이 사라지면서 건물 내 배선이 줄고 공간활용 폭도 넓어질 수 있다. 또한 현재의 가정용 전원으로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경우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만 무선전력전송 기술을 통해서 고전력을 전송한다면 충전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되고 주차장 바닥에 무선충전시설을 설치하게 되면 전기자동차 주변에 전원케이블을 준비 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와 약어는 다음과 같다.
무선전력전송 시스템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자기장 영역 내에서 무선 전력 전송을 제공하는 시스템
송신장치(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charger; power transfer unit): 자기장 영역 내에서 전력수신기에게 무선전력전송을 제공하며 시스템 전체를 관리하는 장치로 송신장치 또는 송신기로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송신장치는, 송신기 또는 무선 전력 송신기로 지칭될 수 있다.
수신장치(wireless power receiver system-device; power receiver unit): 자기장 영역 내에서 전력송신기로부터 무선전력 전송을 제공받는 장치로 수신장치 또는 수신기로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수신장치는, 수신기 또는 무선 전력 수신기로 지칭될 수 있다.
충전 영역(charging area): 자기장 영역 내에서 실제적인 무선 전력 전송이 이루어지는 지역이며, 응용 제품의 크기, 요구 전력, 동작주파수에 따라 변할 수 있다.
S 파라미터(scattering parameter): S 파라미터는 주파수 분포상에서 입력전압 대 출력전압의 비로 입력 포트 대 출력 포트의 비(transmission; S21) 또는 각각의 입/출력 포트의 자체 반사값, 즉 자신의 입력에 의해 반사되어 돌아오는 출력의 값(reflection; S11, S22).
품질 지수 Q(quality factor): 공진에서 Q의 값은 주파수 선택의 품질을 의미하고 Q 값이 높을수록 공진 특성이 좋으며, Q 값은 공진기에서 저장되는 에너지와 손실되는 에너지의 비로 표현됨.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원리를 살펴보면, 무선 전력 전송 원리로 크게 자기 유도 방식과 자기 공진 방식이 있다.
자기 유도 방식은 소스 인덕터(Ls)와 부하 인덕터(Ll)를 서로 근접시켜 한쪽의 소스 인덕터(Ls)에 전류를 흘리면 발생하는 자속을 매개로 부하 인덕터(Ll)에도 기전력이 발생하는 비접촉 에너지 전송기술이다. 그리고 자기 공진 방식은 2개의 공진기를 결합하는 것으로 2개의 공진기 간의 고유 주파수에 의한 자기 공진이 발생하여 동일 주파수로 진동 하면서 동일 파장 범위에서 전기장 및 자기장을 형성시키는 공명 기법을 활용하여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기술이다.
도 1은 자기 유도 방식 등가회로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기 유도 방식 등가회로에서 송신기는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에 따른 소스 전압(Vs), 소스 저항(Rs),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소스 커패시터(Cs) 그리고 수신기와의 자기적 결합을 위한 소스 코일(Ls)로 구현될 수 있고, 수신기는 수신기의 등가 저항인 부하 저항(Rl),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부하 커패시터(Cl) 그리고 송신기와의 자기적 결합을 위한 부하 코일(Ll)로 구현될 수 있고, 소스 코일(Ls)과 부하 코일(Ll)의 자기적 결합 정도는 상호 인덕턴스(Msl)로 나타낼 수 있다.
도 1에서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소스 커패시터(Cs)와 부하 커패시터(Cl)이 없는 오로지 코일로만 이루어진 자기 유도 등가회로로부터 입력전압 대 출력전압의 비(S21)를 구하여 이로부터 최대 전력 전송 조건을 찾으면 최대 전력 전송 조건은 이하 수학식 1을 충족한다.
수학식 1
Ls/Rs=Ll/Rl
상기 수학식 1에 따라 송신 코일(Ls)의 인덕턴스와 소스 저항(Rs)의 비와 부하 코일(Ll)의 인덕턴스와 부하 저항(Rl)의 비가 같을 때 최대 전력 전송이 가능하다. 인덕턴스만 존재하는 시스템에서는 리액턴스를 보상할 수 있는 커패시터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최대 전력 전달이 이루이지는 지점에서 입/출력 포트의 자체 반사값(S11)의 값은 0이 될 수 없고, 상호 인덕턴스(Msl) 값에 따라 전력 전달 효율이 크게 변화할 수 있다. 그리하여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보상 커패시터로써 송신기에 소스 커패시터(Cs)가 부가될 수 있고, 수신기에 부하 커패시터(Cl)가 부가될 수 있다. 상기 보상 커패시터(Cs, Cl)는 예로 수신 코일(Ls) 및 부하 코일(Ll) 각각에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임피던스 매칭을 위하여 송신기 및 수신기 각각에는 보상 커패시터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커패시터 및 인덕터와 같은 수동 소자가 더 부가될 수 있다.
도 2는 자기 공진 방식 등가회로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자기 공진 방식 등가회로에서 송신기는 소스 전압(Vs), 소스 저항(Rs) 그리고 소스 인덕터(Ls)의 직렬 연결로 폐회로를 구성하는 소스 코일(Source coil)과 송신측 공진 인덕터(L1)와 송신측 공진 커패시터(C1)의 직렬 연결로 폐회로를 구성하는 송신측 공진 코일(Resonant coil)로 구현되고, 수신기는 부하 저항(Rl)와 부하 인덕터(Ll)의 직렬 연결로 폐회로를 구성하는 부하 코일(Load coil)과 수신측 공진 인덕터(L2)와 수신측 공진 커패시터(C2)의 직렬 연결로 폐회로를 구성하는 수신측 공진 코일로 구현되며, 소스 인덕터(Ls)와 송신측 인덕터(L1)는 K01의 결합계수로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부하 인덕터(Ll)와 부하측 공진 인덕터(L2)는 K23의 결합계수로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송신측 공진 인덕터(L1)와 수신측 공진 인덕터(L2)는 K12의 결합 계수로 자기적으로 결합된다. 또 다른 실시예의 등가회로에서는 소스 코일 및/또는 부하 코일을 생략하고 송신측 공진 코일과 수신측 공진 코일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자기 공진 방식은 두 공진기의 공진 주파수가 동일할 때에는 송신기의 공진기의 에너지의 대부분이 수신기의 공진기로 전달되어 전력 전달 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자기 공진 방식에서의 효율은 이하 수학식 2를 충족할 때 좋아진다.
수학식 2
k/Γ >> 1 (k는 결합계수, Γ 감쇄율)
자기 공진 방식에서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소자를 부가할 수 있고, 임피던스 매칭 소자는 인덕터 및 커패시터와 같은 수동 소자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무선 전력 전송 원리를 바탕으로 자기 유도 방식 또는 자기 공진 방식으로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을 살펴본다.
<송신기>
도 3a 및 도 3b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브 시스템 중 하나로 송신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또한 도 3c는 실시예에 따른 송신측 전력변환부의 구체적인 회로도이다. 또한 도 3d는 송신기의 상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은 송신기(1000)와 상기 송신기(1000)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받는 수신기(20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기(1000)는 입력되는 교류 신호를 전력 변환하여 교류 신호로 출력하는 송신측 전력변환부(101)와 상기 송신측 전력변환부(101)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신호에 기초하여 자기장을 생성하여 충전 영역 내의 수신기(2000)에 전력을 제공하는 송신측 공진회로부(102) 및 상기 송신측 전력변환부(101)의 전력 변환을 제어하고, 상기 송신측 전력변환부(101)의 출력 신호의 진폭과 주파수를 조절하고, 상기 송신측 공진회로부(102)의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며, 상기 송신측 전력변환부(101) 및 상기 송신측 공진회로부(102)로부터 임피던스, 전압, 전류 정보를 센싱하며, 상기 수신기(2000)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송신측 제어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측 전력변환부(101)는 교류신호를 직류로 변환하는 전력변환부, 직류의 레벨을 가변하여 직류를 출력하는 전력변환부,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는 전력변환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신측 공진회로부(102)는 코일과 상기 코일과 공진할 수 있는 임피던스 매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측 제어부(103)는 임피던스, 전압, 전류 정보를 센싱하기 위한 센싱부와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송신기(1000)는 송신측 교류/직류 변환부(1100), 송신측 직류/교류 변환부(1200), 송신측 임피던스 매칭부(1300), 송신 코일부(1400) 그리고 송신측 통신 및 제어부(1500)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측 교류/직류 변환부(1100)는 송신측 통신 및 제어부(1500)의 제어 하에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교류 신호를 직류 신호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부로써, 상기 송신측 교류/직류 변환부(1100)는 서브 시스템으로 정류기(1110)와 송신측 직류/직류 변환부(1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류기(1110)는 제공되는 교류 신호를 직류 신호로 변환하는 시스템으로써 이를 구현하는 실시예로 고주파수 동작 시 상대적으로 높은 효율을 가지는 다이오드 정류기, 원-칩(one-chip)화가 가능한 동기 정류기 또는 원가 및 공간 절약이 가능하고 및 데드 타임(Dead time)의 자유도가 높은 하이브리드 정류기가 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시스템이라면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송신측 직류/직류 변환부(1120)는 송신측 통신 및 제어부(1500)의 제어 하에 상기 정류기(1110)으로부터 제공되는 직류 신호의 레벨을 조절하는 것으로 이를 구현하는 예로 입력 신호의 레벨을 낮추는 벅 컨버터(buck converter), 입력 신호의 레벨을 높이는 부스트 컨버터(boost converter), 입력 신호의 레벨을 낮추거나 높일 수 있는 벅 부스트 컨버터(buck boost converter) 또는 축 컨버터(cuk converter)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측 직류/직류 변환부(1120)는 전력 변환 제어 기능을 하는 스위치소자와 전력 변환 매개 역할 또는 출력 전압 평활 기능을 하는 인덕터 및 커패시터, 전압 이득을 조절 또는 전기적인 분리 기능(절연 기능)을 하는 트랜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입력되는 직류 신호에 포함된 리플 성분 또는 맥동 성분(직류 신호에 포함된 교류 성분)을 제거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신측 직류/직류 변환부(1120)의 출력 신호의 지령치와 실제 출력 치와의 오차는 피드백 방식을 통해 조절될 수 있고, 이는 상기 송신측 통신 및 제어부(1500)에 의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송신측 직류/교류 변환부(1200)는 송신측 통신 및 제어부(1500)의 제어 하에 송신측 교류/직류 변환부(1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신호를 교류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교류 신호의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이를 구현하는 예로 하프 브릿지 인버터(half bridge inverter) 또는 풀 브릿지 인버터(full bridge inverter)가 있다. 그리고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은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는 다양한 증폭기가 적용될 수 있고, 예로 A급, B급, AB급, C급, E 급 F급 증폭기가 있다. 또한 상기 송신측 직류/교류 변환부(1200)는 출력 신호의 주파수를 생성하는 오실레이터(ocillator)와 출력 신호를 증폭하는 파워 증폭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a의 송신측 전력변환부(101) 또는 도 3b의 송신측 직류/교류 변환부(1200)는 도 3c와 같이 제1 내지 제4 스위칭 소자(Q1~Q4)의 제어에 따라 하프 브릿지 인버터 또는 풀 브릿지 인버터로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위칭 소자(Q1)는 턴 오프를 유지하고. 제4 스위칭 소자(Q4)는 턴 온을 유지한 상태에서 제2 및 제3 스위칭 소자(Q2, Q3)를 턴온 및 턴오프 제어함에 따라 하프 브릿지 인버터로 구동할 수 있고, 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칭 소자(Q12, Q4)를 턴온 및 턴오프 제어함에 따라 풀 브릿지 인버터로 구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송신측 직류. 교류 변환부(1200)는 하프 브릿지 인버터 구동 상태에서 제2 및 제3 스위칭 소자(Q2, Q3)의 교번 구동할 수 있고, 풀 브릿지 인터버 구동 상태에서 제1 및 제4 스위칭 소자(Q1, Q4)와 제2 및 제3 스위칭 소자(Q2, Q3)를 교번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칭 소자(Q1~Q4)는 트랜지스터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3a의 송신측 전력변환부(101) 또는 도 3b의 송신측 직류/교류 변환부(1200)가 하프 브릿지 인버터로 구동하여 로우 파워 급의 수신기(2000)를 충전할 수 있고 풀 브릿지 인버터로 구동하여 미들 파워 급의 수신기(2000)를 충전할 수도 있다.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1100) 및 송신측 직류/교류 변환부(1200)의 구성은 교류 전력 공급기로 대체할 수 있으며, 생략되거나 또 다른 구성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송신측 임피던스 매칭부(1300)는 서로 다른 임피던스를 가진 지점에서 반사파를 최소화하여 신호의 흐름을 좋게 한다. 송신기(1000)와 수신기(2000)의 두 코일은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어 자기장의 누설이 많으므로 상기 송신기(1000)와 수신기(2000)의 두 연결단 사이의 임피던스 차이를 보정하여 전력 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송신측 임피던스 매칭부(1300)는 인덕터, 커패시터 그리고 저항 소자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고, 통신 및 제어부(1500)의 제어 하에 상기 인덕터의 인덕턴스와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그리고 저항의 저항 값을 가변하여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임피던스 값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이 자기 유도 방식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경우, 송신측 임피던스 매칭부(1300)는 직렬 공진 구조 또는 병렬 공진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송신기(1000)와 수신기(2000) 사이의 유도 결합 계수를 증가시켜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이 자기 공진 방식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경우, 송신측 임피던스 매칭부(1300)는 송신기(1000)와 수신기(2000) 간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거나 금속성 이물질(foreign object), 다수의 디바이스에 의한 상호 영향 등에 따라 코일의 특성의 변화로 에너지 전송 선로상의 매칭 임피던스 변화에 따른 임피던스 매칭의 실시간 보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그 보정 방식으로써 커패시터를 이용한 멀티 매칭 방식, 멀티 안테나를 이용한 매칭 방식, 멀티 루프를 이용한 방식 등이 될 수 있다.
송신측 코일(1400)은 복수개의 코일 또는 단수개의 코일로 구현될 수 있고, 송신측 코일(1400)이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이들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거나 서로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이들이 중첩되어 배치되는 경우 중첩되는 면적은 자속 밀도의 편차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송신측 코일(1400)을 제작할 때 내부 저항 및 방사 저항을 고려하여 제작할 수 있고, 이 때 저항 성분이 작으면 품질 지수(quality factor)가 높아지고 전송 효율이 상승할 수 있다.
통신 및 제어부(1500)는 송신측 제어부(1510)와 송신측 통신부(1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측 제어부(1510)는 수신기(2000)의 전력 요구량, 현재 충전량, 수신기의 정류기 출력단의 전압(Vrect), 복수 수신기의 각 충전 효율 그리고 무선 전력 방식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상기 송신측 교류/직류 변환부(1100)의 출력 전압(또는 송신 코일에 흐르는 전류(Itx_coil)을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최대 전력 전송 효율를 고려하여 상기 송신측 직류/교류 변환부(1200)를 구동하기 위한 주파수 및 스위칭 파형들을 생성하여 전송될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2000)의 저장부(미도시)로부터 독출한 제어에 요구되는 알고리즘,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수신기(20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송신측 제어부(15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유닛(micro controller unit) 또는 마이콤(micom)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상기 송신측 통신부(1520)는 수신측 통신부(262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통신 방식의 일 예로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Zigbee 등의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송신측 통신부(1520)와 수신측 통신부(2620)는 서로간에 충전 상황 정보 및 충전 제어 명령 등의 송수신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충전 상황 정보로는 수신기(2000)의 개수, 배터리 잔량, 충전 횟수, 사용량, 배터리 용량, 배터리 비율 그리고 송신기(1000)의 전송 전력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송신측 통신부(1520)는 수신기(2000)의 충전 기능을 제어하는 충전 기능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상기 충전 기능 제어 신호는 수신기(2000)를 제어하여 충전 기능을 인에이블(enabled) 또는 디스에이블(disabled)하게 하는 제어 신호일 수 있다.
이처럼, 송신측 통신부(1520)는 별도의 모듈로 구성되는 아웃-오브-밴드(out-of-band) 형식으로 통신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송신기가 전송하는 전력신호를 이용하여 수신기가 송신기에 전달하는 피드백 신호를 이용하고, 송신기가 전송하는 전력신호의 주파수를 쉬프트(frequency shift)를 이용하여 송신기가 수신기에 신호를 전송하는 인-밴드(in-band) 형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신기는 피드백 신호를 변조하여 충전 개시, 충전 종료, 배터리 상태 등의 정보를 피드백 신호를 통해 송신기에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송신측 통신부(1520)는 상기 송신측 제어부(1510)와 별도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수신기(2000) 또한 수신측 통신부(2620)가 수신 장치의 제어부(2610)에 포함되거나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송신기(1000)는 검출부(160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검출부(1600)는 송신측 교류/직류 변환부(1100)의 입력 신호, 송신측 교류/직류 변환부(1100)의 출력 신호, 송신측 직류/교류 변환부(1200)의 입력 신호, 송신측 직류/교류 변환부(1200)의 출력 신호, 송신측 임피던스 매칭부(1300)의 입력 신호, 송신측 임피던스 매칭부(1300)의 출력 신호, 송신측 코일(1400)의 입력 신호 또는 송신측 코일(1400) 상의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신호는 전류에 대한 정보, 전압에 대한 정보 또는 임피던스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검출된 신호는 통신 및 제어부(1500)로 피드백되고 이를 기초로 상기 통신 및 제어부(1500)는 송신측 교류/직류 변환부(1100), 송신측 직류/교류 변환부(1200), 송신측 임피던스 매칭부(13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부(1600)의 검출 결과를 기초하여 상기 통신 및 제어부(1500)는 FOD(foreign object detection)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검출되는 신호는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검출부(1600)는 통신 및 제어부(1500)와 상이한 하드웨어로 구성되거나, 하나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송신기(1000)는 송신측 코일부(1400)과 근거리 통신 코일부(1700)를 포함할 수 있고, 수신기(2000)로의 무선 전력 전송 및 충전 상태나, 근거리 통신 진행 등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수단이나, 음성 안내 시스템 또는 알람 시스템 등의 표시 수단(18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의 명령에 응답하여 기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핫 키(hot key; 190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
도 4a 및 도 4b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브 시스템 중 하나로 수신기(또는, 수신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은 송신기(1000)와 상기 송신기(1000)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받는 수신기(20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기(2000)는 상기 송신기(1000)로부터 전송되는 교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측 공진회로부(201), 상기 수신측 공진회로부(201)로부터의 교류 전력을 전력 변환하여 직류 신호로 출력하는 수신측 전력변환부(202)와 상기 수신측 전력변환부(202)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신호를 수신하여 충전되는 부하(2500) 그리고 상기 수신측 공진회로부(201)의 전류 전압을 센싱하거나, 상기 수신측 공진회로부(201)의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거나, 상기 수신측 전력변환부(202)의 전력 변환을 제어하고, 상기 수신측 전력변환부(202)의 출력 신호의 레벨을 조절하거나, 상기 수신측 전력변환부(202)의 입력 또는 출력 전압이나 전류를 센싱하거나, 상기 수신측 전력변환부(202)의 출력 신호의 상기 부하(2500)로의 공급 여부를 제어하거나, 상기 송신기(1000)와 통신할 수 있는 수신측 제어부(20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신측 전력변환부(202)는 교류신호를 직류로 변환하는 전력변환부, 직류의 레벨을 가변하여 직류를 출력하는 전력변환부,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는 전력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b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은 송신기(또는, 송신 장치)(1000)와 상기 송신기(1000)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받는 수신기(또는, 수신 장치)(200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수신기(2000)는 수신측 코일부(2100) 및 수신측 임피던스 매칭부(2200)로 구성된 수신측 공진회로부(2120), 수신측 교류/직류 변환부(2300), 직류/직류변환부(2400), 부하(2500) 및 수신측 통신 및 제어부(26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신측 교류/직류 변환부(2300)는 교류 신호를 직류 신호로 정류하는 정류부로 지칭할 수 있다.
수신측 코일부(2100)은 자기 유도 방식 또는 자기 공진 방식을 통해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력 수신 방식에 따라서 유도 코일 또는 공진 코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수신측 코일부(2100)는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이하 근거리 통신 코일부; 2700)와 함께 휴대단말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신측 코일부(2100)은 송신측 코일부(1400)와 동일할 수도 있고, 수신 안테나의 치수는 수신기(200)의 전기적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수신측 임피던스 매칭부(2200)는 송신기(1000)와 수신기(2000) 사이의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한다.
상기 수신측 교류/직류 변환부(2300)는 수신측 코일부(2100)으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신호를 정류하여 직류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측 교류/직류 변환부(2300)의 출력 전압은 정류 전압(Vrect)로 지칭할 수 있고, 수신측 통신 및 제어부(2600)는 상기 수신측 교류/직류 변환부(2300)의 출력 전압을 검출하거나 변경할 수 있고, 상기 수신측 교류/직류 변환부(2300)의 출력 전압의 최소값인 최소 정류 전압(Vrect_min)(또는 최소 출력 전압(Vrect_min)으로 지칭), 최대값인 최대 정류 전압(Vrect_max)(또는 최대 출력 전압(Vrect_max)으로 지칭), 상기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값 중 어느 하나의 전압 값을 가지는 최적 정류 전압(Vrect_set)(또는 최적 출력 전압(Vrect_set)으로 지칭)에 대한 정보와 같은 상태 파라미터 정보를 송신기(1000)에 전송할 수 있다.
수신측 직류/직류변환부(2400)는 수신측 교류/직류 변환부(2300)에서 출력되는 직류 신호의 레벨을 부하(2500)의 용량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부하(2500)는 배터리, 디스플레이, 음성 출력 회로, 메인 프로세서, 배터리 관리부 그리고 각종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하(2500)는 도 4a와 같이 적어도 배터리(2510) 및 배터리 관리부(25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관리부(2520)는 상기 배터리(2510)의 충전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배터리(2510)로 인가되는 전압과 전류를 조절할 수 있다.
수신측 통신 및 제어부(2600)는 송신측 통신 및 제어부(1500)로부터 웨이크-업 전력에 의해 활성화 될 수 있고, 상기 송신측 통신 및 제어부(1500)와 통신을 수행하고, 수신기(2000)의 서브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수신기(2000)는 단수 또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송신기(1000)로부터 동시에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달 받을 수 있다. 즉 자기 공진 방식의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송신기(1000)로부터 복수의 타켓 수신기(2000)가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송신기(1000)의 송신측 매칭부(1300)는 복수개의 수신기(2000)들 사이의 임피던스 매칭을 적응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자기 유도 방식에서 서로 독립적인 수신측 코일부를 복수개 구비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기(2000)가 복수개로 구성된 경우 전력 수신 방식이 동일한 시스템이거나, 서로 다른 종류의 시스템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기(1000)는 자기 유도 방식 또는 자기 공진 방식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시스템이거나 양 방식을 혼용한 시스템일 수 있다.
한편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신호의 크기와 주파수 관계를 살펴보면,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의 경우, 송신기(1000)에서 송신측 교류/직류 변환부(1100)은 수십 또는 수백 V대(예를 들어 110V~220V)의 수십 또는 수백 Hz 대(예를 들어 60Hz)의 교류 신호를 인가 받아 수V 내지 수십V, 수백V(예를 들어 10V~20V)의 직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고, 송신측 직류/교류 변환부(1200)는 직류 신호를 인가 받아 KHz대(예를 들어 125KHz)의 교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기(2000)의 수신측 교류/직류 변환부(2300)는 KHz대(예를 들어 125KHz)의 교류 신호를 입력 받아 수V 내지 수십V, 수백V대(예를 들어 10V~20V)의 직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고, 수신측 직류/직류변환부(2400)는 부하(2500)에 적합한, 예를 들어 5V의 직류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부하(250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자기 공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의 경우, 송신기(1000)에서 송신측 교류/직류 변환부(1100)은 수십 또는 수백 V대(예를 들어 110V~220V)의 수십 또는 수백 Hz 대(예를 들어 60Hz)의 교류 신호를 인가 받아 수V 내지 수십V, 수백V(예를 들어 10V~20V)의 직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고, 송신측 직류/교류 변환부(1200)는 직류 신호를 인가받아 MHz대(예를 들어 6.78MHz)의 교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기(2000)의 수신측 교류/직류 변환부(2300)는 MHz(예를 들어 6.78MHz)의 교류 신호를 입력 받아 수V 내지 수십V, 수백V (예를 들어 10V~20V)의 수신측 직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고, 직류/직류변환부(2400)는 부하(2500)에 적합한, 예를 들어 5V의 직류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부하(2500)에 전달할 수 있다.
<송신기의 동작 상태: 송신기의 무선 신호 전송 방법>
도 5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로써,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의 동작 상태를 중심으로 한 동작 흐름도이다. 또한 도 6은 송신기와 수신기 간의 무선전력전송 및 근거리 통신에 따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는 적어도 1) 선택 상태, 2) 검출 상태, 3) 식별 및 설정 상태, 4) 전력 전달 상태 및 5) 충전 종료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 상태(selection phase)]
(1) 선택 상태에서 송신기(1000)는 감지 영역 또는 충전 영역에 존재하는 수신기(200)를 선택하기 위하여 검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2) 상기 감지 영역 또는 충전 영역은, 전술된 바와 같이, 해당 영역 내의 물체가 상기 송신측 전력변환부(101)의 전력의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영역을 지칭할 수 있다. 검출 상태와 비교하여, 상기 선택 상태에서 수신기(2000)의 선택을 위한 검출 과정은 전력 제어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기(2000)로부터 응답을 수신하는 방식 대신에, 상기 송신기(1000) 측의 전력 변환부에서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기 위한 전력량이 변화하는 것을 감지하여 일정 범위 내에 물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이다. 상기 선택 상태에서의 검출 과정은 후술될 검출 상태에서 디지털 형식의 패킷을 이용 않고, 무선 전력 신호를 이용하여 물체를 검출하는 점에서 아날로그 검출 과정(analog ping)으로 지칭할 수 있다.
(3) 선택 상태에서 송신기(1000)는 상기 감지 영역 또는 충전 영역 내에 객체(object)가 들어오고 나가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기(1000)는 상기 감지 영역 또는 충전 영역 내에 있는 물체들 중에서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수신기(2000)와 그 밖의 물체들(예를 들어, 열쇠, 동전 등)을 구분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유도 결합 방식 및 공진 결합 방식에 따라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거리가 다르므로 상기 선택 상태에서 물체가 검출되는 감지 영역은 서로 다를 수 있다.
(4) 먼저, 유도 결합 방식에 따라 전력이 전송되는 경우에 상기 선택 상태의 송신기(1000)는 물체들의 배치 및 제거를 감지하기 위하여 인터페이스 표면(미도시)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기(1000)는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의 상부에 놓인 무선 전력 수신기(2000)의 위치를 감지할 수도 있다.
(5) 상기 송신기(1000)가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선택 상태에서 상기 검출 상태로 진입하고, 상기 검출 상태에서 각각의 코일을 이용하여 상기 object로부터 검출 신호에 대한 응답이 전송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거나 또는 그 후 상기 식별 상태로 진입하여 상기 object로부터 식별 정보가 전송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송신기(1000)는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획득한 상기 감지된 수신기(2000)의 위치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전송에 사용될 코일을 결정할 수 있다.
(6) 또한, 공진 결합 방식에 따라 전력이 전송되는 경우에 상기 선택 상태의 송신기(1000)는 상기 감지 영역 또는 충전 영역 내의 물체로 인한 상기 전력 변환부의 주파수, 전류, 전압 중 하나 이상이 변경되는 것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object를 검출할 수 있다.
(7) 한편, 상기 선택 상태의 송신기(1000)는 상기 유도 결합 방식 및 공진 결합 방식에 따른 검출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의하여 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8) 상기 송신기(1000)는 각 전력 전송 방식에 따른 물체 검출 과정을 수행하고, 이후에 다른 상태들로 진행하기 위하여 무선 전력 전달을 위한 결합 방식 중에서 상기 물체를 검출한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9) 한편, 상기 선택 상태의 송신기(1000)는 물체를 검출하기 위하여 형성하는 무선 전력 신호와 이후 상태들에서의 디지털 검출, 식별, 설정 및 전력 전송을 위하여 형성하는 무선 전력 신호는 그 주파수, 세기 등의 특성이 다를 수 있다. 이는 상기 송신기(1000)의 선택 상태는 물체를 검출하기 위한 대기 상태(idle phase)에 해당하여, 상기 송신기(1000)가 대기 중의 소비 전력을 줄이거나 또는 효율적인 물체 검출을 위하여 특화된 신호를 생성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검출 상태(ping phase)]
(1) 검출 상태에서 송신기(1000)가 전력 제어 메시지를 통해 감지 영역 또는 충전 영역 내에 존재하는 수신기(2000)를 검출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선택 상태에서 무선 전력 신호의 특성 등을 이용한 수신기(2000)의 검출 과정과 비교하여, 상기 검출 상태에서의 검출 과정은 디지털 검출 과정(digital ping)이라 지칭할 수 있다.
(2) 송신기(1000)는 수신기(2000)를 검출하기 위한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고, 상기 수신기(2000)에 의하여 변조된 무선 전력 신호를 복조하고, 상기 복조된 무선 전력 신호로부터 상기 검출 신호에 대한 응답에 해당하는 디지털 데이터 형태의 전력 제어 메시지를 획득할 수 있다.
(3) 상기 송신기(1000)는 상기 검출 신호에 대한 응답에 해당하는 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전력 전송의 대상이 되는 상기 수신기(2000)를 인지 할 수 있다.
(4) 검출 상태에 있는 송신기(1000)가 디지털 검출 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형성하는 검출 신호는 특정 동작 포인트(operating point)의 전력 신호를 일정한 시간 동안 인가함으로써 형성되는 무선 전력 신호일 수 있다.
여기서의 동작 포인트는 송신 코일부(1400)에 인가되는 전압의 주파수, 듀티 사이클(duty cycle) 및 진폭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송신기(1000)는 상기 특정 동작 포인트의 전력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생성된 상기 검출 신호를 일정한 시간 동안 생성하고, 상기 수신기(2000)로부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할 것을 시도할 수 있다.
(5) 한편, 상기 검출 신호에 대한 응답에 해당하는 전력 제어 메시지는 상기 수신기(2000)가 수신한 무선 전력 신호의 강도(strength)를 나타내는 메시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신기(2000)는 상기 검출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수신된 무선 전력 신호의 강도를 나타내는 메시지가 포함된 신호 강도 패킷(signal strength packet)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패킷은 신호 강도를 나타내는 패킷임을 알리는 헤더 및 상기 수신기(2000)가 수신한 전력 신호의 강도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내의 전력 신호의 강도는 상기 송신기(1000)와 상기 수신기(2000) 사이의 전력 전송을 위한 유도 결합 또는 공진 결합의 정도(degree of coupling)를 나타내는 값일 수 있다.
(6) 상기 송신기(1000)는 상기 검출 신호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기(2000)를 발견한 후에, 상기 디지털 검출 과정을 연장하여 식별 및 검출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즉, 상기 송신기(1000)는 상기 수신기(2000)를 발견한 후에 상기 특정 동작 포인트의 전력 신호를 유지하여 상기 식별 및 검출 상태에서 필요한 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송신기(1000)가 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수신기(2000)를 발견하지 못한 경우, 상기 송신기(1000)의 동작 상태는 상기 선택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다.
[식별 및 설정 상태(identification and configuration phase)]
(1) 상기 식별 및 설정 상태에서 송신기(1000)는 수신기(2000)가 전송하는 식별 정보 및/또는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전력 전달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2) 상기 식별 및 설정 상태에서 상기 수신기(2000)는 자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수신기(2000)는, 예컨대, 상기 수신기(2000)의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메시지가 포함된 식별 패킷(identification packet)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패킷은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패킷임을 알리는 헤더 및 상기 수신기(20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규약의 버전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수신기(2000)의 제조 업체를 식별하는 정보, 확장 장치 식별자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 및 기본 장치 식별자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 장치 식별자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에 확장 장치 식별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표시되는 경우, 확장 장치 식별자를 포함한 확장 식별 패킷(extended identification packet) 이 별도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패킷은 확장 장치 식별자를 나타내는 패킷임을 알리는 헤더 및 확장 장치 식별자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확장 장치 식별자가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수신기(2000)를 식별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 업체의 식별 정보, 상기 기본 장치 식별자 및 상기 확장 장치 식별자에 기초한 정보가 사용될 수 있다.
(3) 상기 식별 및 설정 상태에서 상기 수신기(2000)는 예상 최대 전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수신기(2000)는, 예컨대, 설정 패킷(configuration packet)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패킷은 설정 패킷임을 알리는 헤더 및 상기 예상 최대 전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전력 클래스, 예상 최대 전력에 대한 정보, 무선 전력 송신기(1000) 측의 주요 셀의 전류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지시자, 선택적인 설정 패킷들의 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시자는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규약에 명시된 대로 상기 송신기(1000) 측의 주요 셀의 전류가 결정될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4) 한편, 상기 송신기(1000)는 상기 식별 정보 및/또는 설정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신기(2000)와 전력 충전에 사용되는 전력 전달 규약(power transfer contract)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전달 규약은 상기 전력 전달 상태에서의 전력 전달 특성을 결정하는 파라미터들의 한정 사항들(limits)을 포함할 수 있다.
(5) 상기 송신기(1000)는 상기 전력 전달 상태로 진입하기 전에 상기 식별 및 설정 상태를 종료하고, 상기 선택 상태로 되돌아 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송신기(1000)는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다른 수신기(2000)를 찾기 위하여 상기 식별 및 설정 상태를 종료할 수 있다.
[전력 전달 상태(power transfer phase)]
(1) 상기 전력 전송 상태에서의 상기 송신기(1000)는 상기 수신기(2000)로 전력을 전송한다.
(2) 이 경우, 송신기(1000)는 수신한 식별 패킷에 기초하여 수신기(2000)의 버전에 따라 전력변환부(101)를 제어하여 무선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기(2000)의 버전을 확인하여 상기 수신기(2000)가 로우(Low) 파워급에 해당하는 경우, 전력변환부(101)를 하프 브릿지 인버터로 구동하여 무선 전력을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수신기(2000)가 미들(middle) 파워급에 해당하는 경우, 전력변환부(101)를 풀 브릿지 인버터로 구동하여 무선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3) 상기 송신기(1000)는 전력을 전송하는 도중에 상기 수신기(2000)로부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전력 제어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송신 코일부(1400) 인가되는 전력의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송신 코일의 전력 특성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력 제어 메시지는 제어 오차 패킷(control error packet)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패킷은 제어 오차 패킷임을 알리는 헤더와 제어 오차 값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송신기(1000)는 상기 제어 오차 값(control error value)에 따라 상기 송신 코일에 인가되는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 오차 값이 0인 경우, 수신기(2000)가 요구하는 제어 포인트(desired control point)와 수신기(2000)의 실제 제어 포인트(actual control point)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전송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는 유지되고, 음수(negative value)인 경우에 감소되고, 양수(positive value)인 경우에 증가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4) 또한 송신기(1000)는 전력 전달 상태의 초기 구동 시점에 전력변환부(101)가 하프 브릿지 인버터로 구동하고, 첫 번째 제어 오차 패킷인 제1 제어 오차 패킷(1st Control Error Packet)을 수신한 이후에 이미 수신된 식별 패킷에 기초하여 수신기(2000)의 버전을 판단하고, 상기 수신기(2000)가 로우 파워급에 해당하는 경우, 전력변환부(101)의 하프 브릿지 인버터 구동을 유지하고, 미들 파워급에 해당하는 경우, 풀 브릿지 인버터 구동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5) 상기 전력 전송 상태에서 상기 송신기(1000)는 상기 식별 정보 및/또는 설정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전력 전달 규약(power transfer contract) 내의 파라미터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파라미터들을 모니터링 한 결과, 상기 수신기(2000)와의 전력 전송이 상기 전력 전달 규약 내에 포함되어 있는 한정 사항들을 위반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송신기(1000)는 상기 전력 전송을 취소하고 선택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다.
(6) 또한 상기 전력 전달 규약은 송신기(1000)로부터 수신기(2000)로 전송되는 전력의 특성에 관한 경계 조건(boundary condi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7) 상기 송신기(1000)는 상기 수신기(2000)로부터 전달된 전력 제어 메시지를 기초로 상기 전력 전송 상태를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신기(2000)가 전달된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도중에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된 경우, 상기 송신기(1000)로 무선 전력 전송을 중지할 것을 요청하는 전력 제어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송신기(1000)는 상기 전력 전송의 중지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후, 무선 전력 전송을 종료하고 상기 선택 상태로 되돌아 갈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수신기(2000)는 이미 생성된 전력 전달 규약을 갱신하기 위하여 재협상(renegotiation) 또는 재설정(reconfigure)을 요청하는 전력 제어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수신기(2000)는 현재 전송되는 전력량보다 많거나 적은 양의 전력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전력 전달 규약의 재협상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송신기(1000)는 상기 전력 전달 규약의 재협상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후, 무선 전력 전송을 종료하고 상기 식별 및 설정 상태로 되돌아 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수신기(2000)가 전송하는 메시지는, 예컨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력 전송 중단 패킷(end power transfer packet)일 수 있다. 상기 패킷은 전력 전송 중단 패킷임을 알리는 헤더 및 중단의 이유를 나타내는 전력 전송 중단 코드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 전송 중단 코드는 충전 완료(charge complete), 내부 오차(internal fault), 과열(over temperature), 과전압(over voltage), 과전류(over current), 배터리 오차(battery failure), 재설정(reconfigure), 무응답(no response), 알려지지 않은 오차(unknown)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8)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송신기(1000)에 수신기(2000)가 접근한 경우, 전술한 송 수신기간의 무선전력전달 동작뿐만 아니라 상기 송신기(1000)와 상기 수신기(2000) 상호간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수신기(20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및/또는 실행되고, 아울러 송신기(1000)의 위치 정보가 수신기(2000)로 전송될 수 있다.
(9) 또한 전력 전달 상태에서 근거리 통신이 이루어지는 경우, 근거리 통신이 이루어지기 전에 무선 전력 전송은 일시 중단되고, 근거리 통신 종료 후 무선 전력 전송이 재개될 수 있다.
(10) 또한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특정 상태에서 근거리 통신이 이루어지는 경우, 해당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특정 상태는 일시 중단되고, 근거리 통신 종료 후 해당 상태는 재개될 수 있다. 따라서 근거리 통신 후, 검출 신호 송신, 식별 패킷 수신 또는 무선 전력 전송 중 어느 하나의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
<수신기의 동작 방법: 수신기의 신호 송수신 방법>
도 7은 수신기의 동작 방법에 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수신기(2000)가 송신기(1000)에 접근하면, 무선전력전송을 위한 동작 및 근거리 통신에 따른 송신기(1000)와의 통신 중 적어도 하나가 이루어질 수 있다.
(1) 수신기(2000)는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기(1000)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를 송신하고, 송신기(1000)로 식별 패킷을 송신할 수 있으며, 수신기(2000)는 송신기(1000)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2) 또한 수신기(2000)는 송신기(1000)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근거리 통신에 따라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및/또는 실행될 수 있고, 송신기(10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3) 또한 무선전력수신 중에 근거리 통신이 이루어지는 경우, 무선전력수신을 일시 중단하고 근거리 통신이 종료된 이후 무선전력수신을 재개할 수 있다.
(4) 또한 무선전력수신을 위한 특정 단계에서 근거리 통신이 이루어지는 경우, 무선전력수신을 위한 특정 단계는 일시 중단되고, 근거리 통신 이후 중단된 단계가 재개될 수 있다. 따라서 근거리 통신 후, 응답 신호 송신, 식별 패킷 송신 또는 무선 전력 수신 중 어느 하나의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
(5) 또한 수신기(2000)의 어플리케이션의 자동 실행에 따라 기설정된 제1 정보가 서버로 전송될 수 있고, 상기 제1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서버로부터 제2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한 사용자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서비스 컴퓨터를 제어할 수도 있다.
<수신기의 요구 전력 결정 방법>
도 8은 수신기의 요구 전력 결정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수신기(2000)는 1) 요구되는 제어 포인트(desired control point)를 결정하는 단계(S210), 2) 실제 제어 포인트(actual control point)를 검출하는 단계(S230), 3) 제어 오차(오류) 값(control error value) 생성 단계(S250)를 수행하여 수신하고자 하는 전력, 즉 요구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요구되는 제어 포인트(desired control point)를 결정하는 단계(S210)에서 수신기(2000)는 전압, 전류, 온도 등에 관한 요구되는 제어 포인트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실제 제어 포인트(actual control point)를 검출하는 단계(S230)에서 수신기(2000)는 실제 전압, 전류, 온도 등에 관한 실제 제어 포인트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수신기(2000)가 상기 실제 제어 포인트를 결정할 때 전압이나 전류 검출, 온도 센싱 등 다양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고, 전력 전송 상태 중 어느 시간에서든 이와 같은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오차 값(control error value) 생성 단계(S250)에서 수신기(2000)는 예를 들어 요구되는 제어 전압 값과 실제 제어 전압 값의 차이 등을 기초하여 제어 오차 값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오차 값은 양의 값과 음의 값을 지칭하는 파라미터일 수 있고, 요구되는 전력량보다 실제 전력량이 작은 경우 상기 제어 오차 값은 양의 값을 지칭할 수 있고, 요구되는 전력량보다 실제 전력량이 많은 경우 상기 제어 오차 값은 음의 값을 지칭할 수 있으며 요구되는 전력량과 실제 전력량이 동일한 경우, 0(zero)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력 제어 과정에 있어서 송신기(1000)와 수신기(2000) 간의 얼라인에 따라서 결합계수가 급격히 낮아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수신기(2000)의 요구 전력량은 순간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수신기(2000)는 수신측 코일부(2100)에 유도되는 전류는 임계 값을 상회할 수 있을 정도의 요구 전력량을 송신기(1000)로 요청할 수 있으나, 송신기(1000)는 수신측 코일부(2100)에 유도되는 전류의 임계 값을 기초하여 재 설정된 구동 주파수의 범위 내에서 생성된 무선 전력이 전송되므로, 수신기(2000)가 손상되는 문제는 방지된다.
한편 상기 제어 오차 값은 제어 오차 패킷(control error packet) 형태로 송신기(100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오차 값을 수신한 송신기로부터 신규 송신전력이 수신되면, 전술한 단계를 거쳐 상기 신규 송신전력이 요구된 전력을 만족시키는지 판단할 수 있다.
< 무선 신호 송수신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도 9는 무선 신호 송수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무선 신호 송수신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11 및 도 12는 무선충전과 근거리 통신의 동작 관계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송신기(1000)로부터 수신기(2000)에 무선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은, 상기 수신기(2000)의 검출을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기(2000)로부터 식별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기(2000)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신기(2000)와 근거리 통신 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기(2000)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수신기(2000)의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또는 실행되도록 하고 상기 송신기(1000)의 위치 정보를 상기 수신기(2000)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기(2000)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때 상기 무선 전력 전송은 일시 중단될 수 있다.
또한 송신기(1000)의 무선 신호 전송 방법은 상기 송신기(1000)의 핫 키를 통해 입력된 명령에 따라 수신기(2000), 서버(3000) 그리고 서비스 컴퓨터(400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통신 방법으로 블루투스 통신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수신기(2000)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으로서, 송신기(1000)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송신기(1000)로 식별 패킷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송신기(1000)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송신기(1000)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송신기(1000)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또는 실행되도록 하고 상기 송신기(10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응답하여 제1 정보를 서버(3000)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서버(3000)로부터 제2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정보는 사용자 정보, 송신기(1000)의 위치 정보, 수신기(2000)의 배터리 충전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정보는 서비스 컴퓨터(4000)의 과거 사용 정보 및 추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0)는 서비스 컴퓨터(4000)로 제3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제3 정보는 수신기(2000)의 제1 정보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서비스 컴퓨터(4000)의 기 설치된 프로그램의 로그인 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정보는 수신기(2000)의 제1 정보로부터 수신한 배터리 충전 상태 정보가 될 수 있고, 상기 배터리 충전 상태 정보는 상기 서비스 컴퓨터(4000)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서비스 컴퓨터(4000)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컴퓨터(4000)는 사용자의 서비스 컴퓨터의 프로그램의 사용정보 등을 포함한 제4 정보를 서버(3000)로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제4 정보를 수신한 서버(3000)는 사용자가 수신기(2000)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제4 정보를 가공한 제5 정보를 상기 수신기(20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수신기(2000)에서 실행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사용자의 명령을 포함하는 제6 정보를 서버(3000)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3000)는 필요에 따라 상기 서비스 컴퓨터(4000)를 제어할 수 있는 명령이 될 수 있도록 상기 제6 정보를 가공한 제7 정보를 서비스 컴퓨터(4000)로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 컴퓨터(40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6 정보는 충전 완료 정보나, 수신기로 전송된 메시지 정보 등이 될 수 있고, 상기 제6 정보는 상기 서버(3000)를 통해 서비스 컴퓨터(4000)에 제7 정보 형태로 전송되어 상기 서비스 컴퓨터(4000)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송신기(1000)는 수신기(2000)의 검출 신호 또는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송신 코일부(1400)와 상기 수신기(2000)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및/또는 실행되도록 하고, 위치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상기 수신기(2000)의 근거리 통신 코일(2700)과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 코일(1700) 및 상기 수신기(2000)로부터 식별 패킷을 수신하는 제어부(103)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코일부(1400)의 송신 코일은 수신기(2000)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 코일부(1700)의 근거리 통신 코일은 상기 근거리 통신 코일과 근접한 수신기(2000)의 근거리 통신 코일부(2700)의 근거리 통신 코일과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1) 송신기(1000)는, 송신기(1000)의 충전 영역에 위치한 수신기(2000)에 도 5에서 설명한 무선충전 동작 과정을 거쳐 무선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2) 그리고 송신기(1000)의 근거리 통신 코일에 수신기(2000)의 근거리 통신 코일이 수cm 이내로 근접한 경우, 송신기(1000)와 수신기(2000)는 양 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기 설정된 송신기(1000) 동작과 기 설정된 수신기(2000)의 동작이 실행될 수 있다.
(2-1) 기 설정된 수신기(2000)의 동작으로는 수신기(2000)에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자동 설치나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자동 실행이 될 수 있다.
(2-2) 또한 송신기(1000)의 위치 정보가 수신기(2000)로 전송될 수 있고, 상기 위치 정보와 관련한 수신기(1000)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즉 송신기(1000)의 위치와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2-3) 또한 송신기(1000)의 위치 정보가 수신기(2000) 외에 서버(3000)로 전송될 수 있다.
(2-4) 또한 송신기(1000)의 식별 정보가 수신기(2000)나 수신기(2000) 외의 서버(300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식별 정보는 송신기(1000)의 제품 번호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송신기(1000)의 명칭이나 식별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3) 무선충전과 송수신기(1000, 2000) 각각의 근거리 통신 코일 간의 양방향 통신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4) 또한 무선 전력에 의해 근거리 통신 코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송수신기(1000, 2000) 각각의 근거리 통신 코일 간의 양방향 통신 시, 무선충전은 일시적으로 중단될 수 있다.
(5) 또한 도 11과 같이 공진 방식으로 무선 충전을 진행하는 경우, 송신기(1000)의 충전 영역에 위치한 수신기(2000)에 도 5에서 설명한 무선충전 동작 과정을 거쳐 무선 충전을 진행하고, 수신기(2000)가 송신기(1000)에 매우 근접하게 되어, 송신기(1000)의 근거리 통신 코일의 통신 영역에 수신기(2000)가 위치한 경우, 무선 충전을 일시 중단하고,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의 종료 여부를 판단하여 무선 충전의 재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6) 그리고 유도 방식으로 무선 충전을 진행하는 경우, 도 12와 같이 송신기(1000)와 송신기(1000)에 매우 근접한 수신기(2000) 상호간에 먼저 근거리 통신이 이루어지고, 근거리 통신 종료 후 무선 충전이 진행될 수 있으며, 만약 무선 충전을 먼저 진행하는 경우, 일정 시간 후 근거리 통신이 이루어질 때 도 11과 같이 무선 충전은 일시적으로 중단될 수 있다.
(7) 또한 송신기(1000)와 수신기(2000)가 서로 근접한 경우, 사용자가 무선 충전과 근거리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수신기(2000)의 디스플레이 창을 통한 터치 방식이나 수신기(2000) 자체의 버튼 입력 등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수신할 수도 있다.
(8) 또한 송신기(1000)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무선충전 및 근거리 통신 수행을 알리는 디스플레이나, 사운드 장치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2000)의 충전 상태를 표시할 수도 있다.
(9) 또한 송신기(1000)는 블루투스 장치를 구비할 수 있고, 송신기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수신기(2000)나 서버(3000) 그리고 서비스 컴퓨터(4000)와 통신할 수 있다.
(10) 또한 송신기(1000)는 핫 키를 구비할 수 있고, 핫 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기 설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핫 키가 조작되는 경우, 송신기(1000)는 수신기(2000)나 그 외 서버(3000)와 블루투스 통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2000)와 서버(3000) 그리고 서비스 컴퓨터(4000)의 동작 과정을 상술한다.
(1) 수신기(2000)는 송신기(1000)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실행될 수 있다.
(2) 수신기(2000)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은 서버(3000)와 통신하여 송신기(1000)와 수신기(2000)의 각종 정보를 상기 서버(30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각종 정보에는 사용자 정보나, 수신기(2000)의 위치 정보, 송신기(1000)의 위치 정보, 수신기(2000)의 충전 상태 등이 있을 수 있다.
(3) 수신기(2000)로부터 각종 정보를 수신한 서버(3000)는 서비스 컴퓨터(40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서비스 컴퓨터(4000) 내의 상기 수신기(2000)의 사용자와 관련한 프로그램 실행 및 로그인 및 사용자의 이전 사용 기록 정보 등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컴퓨터(4000)는 수신기(2000)의 충전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4) 또한 서버(3000)는 사용자의 과거의 서비스 컴퓨터(4000)의 사용 정보 및 추천 정보 등을 수신기(2000)나 서비스 컴퓨터(4000)로 전송하여 상기 수신기(2000)나 상기 서비스 컴퓨터(4000)가 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5) 또한 사용자는 근거리 통신에 따라 실행된 수신기(2000)의 어플리케이션으로 터치 입력이나 명령 수신 버튼을 통해 서비스 컴퓨터(4000)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사용 환경이나 옵션 등을 조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명령은 수신기(2000)와 서버(3000)의 통신을 통해 서버(3000)로 전송되고, 상기 서버(3000)는 사용자의 명령을 서비스 컴퓨터(4000)로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 컴퓨터(4000)가 사용자의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6) 또한 서비스 컴퓨터(4000)는 프로그램의 실행 후 사용자의 프로그램 사용 정보나 서비스 컴퓨터(4000)의 설치된 카메라 등의 인식 수단을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실제 모션(motion)을 서버를 통해 수신기(2000)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7) 또한 수신기(2000)의 무선 충전 완료 정보나 수신기(2000)의 상태 정보를 서버(3000)를 통해 서비스 컴퓨터(4000)에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신기(2000)의 상태 정보에는 외부로부터 수신기(2000)에 전송된 문자 메시지나 전화 등 각종 정보가 될 수 있다.
<골프존 시스템>
도 13은 본 발명을 적용한 일 실시예로써의 골프존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9 및 도 13을 참조하여, 골프존(golf zone) 시스템에 적용된 본 발명의 적용예를 설명한다.
(1) 사용자가 수신기(2000)의 충전 및 서비스 컴퓨터(4000)의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인 수신기(2000)를 송신기(1000)에 근접시킬 수 있다.
(2) 근접한 송신기(1000)와 수신기(2000)에서 상기 수신기(2000)는 상기 송신기(1000)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명령에 따라 수신기(2000) 상의 기 설정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기 설정된 프로그램을 설치 및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송신기(1000)의 위치 정보가 수신기(2000)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사용자가 위치한 룸(Room)에 대한 정보나, 룸 내에서 사용자가 위치한 좌석의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3) 근거리 통신에 응답하여 실행된 수신기(2000)의 어플리케이션은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사용자의 정보, 송신기(1000)의 위치 정보, 수신기(2000)의 충전 상태 정보 등을 서버(3000)로 전송할 수 있다.
(4) 서버(3000)는 수신기(2000)로부터의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저장된 사용자의 과거 서비스 컴퓨터(4000)를 통한 골프 연습 이력이나, 추천 정보 등을 수신기(20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3000)는 수신기(2000)로부터의 사용자 정보를 서비스 컴퓨터(4000)에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 컴퓨터(4000)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골프 연습 관련 프로그램 등이 로그인 되도록 할 수 있다.
(5) 사용자는 수신기(20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골프 연습을 위한 사용 환경이나 옵션 등을 선택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는 서버(3000)를 통해 서비스 컴퓨터(4000)에 전달됨에 따라 수신기(2000)를 통해 서비스 컴퓨터(4000)를 제어할 수 있다.
(6) 서비스 컴퓨터(4000)는 사용자의 현재 플레이어 정보나, 자체의 카메라 등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인식한 사용자의 포즈 등에 관한 이미지나 동영상 정보를 서버(3000)를 통해 수신기(2000)로 전송하여, 상기 수신기(2000)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0)는 상기 서비스 컴퓨터(4000)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플레이에 실시간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플레이에 관한 정보와 함께 사용자의 플레이가 향상될 수 있는 플레이 보조 정보 등의 플레이에 유익한 정보를 수신기(20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7) 또한 수신기(2000)에 전화가 걸려오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러한 정보는 서버(3000)를 통해 서비스 컴퓨터(4000)에 전송됨에 따라 사용자가 플레이 도중에도 서비스 컴퓨터(4000)의 표시수단을 통해 이러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8) 또한 송신기(1000)는 핫 키 버튼을 구비하여, 핫 키 버튼과 미리 연동된 특정 명령이 수신기(2000), 서버(3000) 그리고 서비스 컴퓨터(4000)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하여 기 설정된 명령에 따른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기(1000)에 수신기(2000)를 근접시키는 단순한 동작을 통해서 수신기(2000)의 충전 및 서비스 컴퓨터(4000)의 프로그램 로그인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수신기(2000)에서 자동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조작에 따라 서비스 컴퓨터(4000)를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의 서비스 컴퓨터(4000)의 제어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1 제1 연산기
12 PID 제어기
12a 비례 제어기
12b 적분 제어기
12c 미분 제어기
13a 제1 증폭기
13b 제2 증폭기
13c 제3 증폭기
13d 제4 증폭기
13e 제5 증폭기
14a 제1 합산부
14b 제2 합산부
15 제2 연산기
101 전력변환부
102 송신측 공진회로부
103 제어부
1100 송신측 교류/직류 변환부
1110 정류기
1120 송신측 직류/직류 변환부
1200 송신측 직류/교류 변환부
1300 송신측 임피던스 매칭부
1400 송신 코일부
1500 송신측 통신 및 제어부
1510 송신측 제어부
1520 송신측 통신부
1600 검출부
1700 송신기의 근거리 통신 코일부
2000 수신기
2100 수신측 코일부
201, 2120 수신측 공진회로부
2200 수신측 임피던스 매칭부
202 수신측 전력변환부
2300 수신측 교류/직류 변환부
2400 수신측 직류/직류 변환부
2500 부하부
2510 배터리
2520 배터리 관리부
2600 수신측 통신 및 제어부
203, 2610 수신측 제어부
2620 수신측 통신부
2700 수신기의 근거리 통신 코일부
3000 서버
4000 서비스 컴퓨터

Claims (25)

  1. 수신기의 검출을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기로부터 식별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기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신기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기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수신기의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또는 실행되도록 하고 송신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수신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기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 할 때 상기 무선 전력 전송은 중단되는 송신기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을 종료 후 상기 무선 전력 전송을 개시하는 송신기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의 핫 키(hot key)를 통해 입력된 명령에 따라 서버 또는 상기 수신기와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송신기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핫 키를 통해 블루투스 통신하는 송신기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6. 송신기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송신기로 식별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송신기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송신기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송신기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또는 실행되도록 하고 상기 송신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응답하여 제1 정보를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서버로부터 제2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신기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사용자 정보, 송신기의 위치 정보, 배터리 충전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는 서비스 컴퓨터의 과거 사용 정보 및 추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신기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서비스 컴퓨터의 기 설치된 프로그램의 로그인 정보인 수신기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충전 상태 정보는 상기 서비스 컴퓨터에 표시되는 수신기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명령을 입력하여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서비스 컴퓨터를 제어하는 수신기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11. 수신기의 검출 신호 또는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송신 코일;
    상기 수신기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및/또는 실행되도록 하고, 위치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상기 수신기의 근거리 통신 코일과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 코일; 및
    상기 수신기로부터 식별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신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의 근거리 통신 코일과 상기 송신기의 근거리 통신 코일의 통신 시 상기 무선 전력의 송신은 일시 중단되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신기.
  13. 제11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기 및/또는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명령을 전송하는 핫 키를 더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신기.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핫 키는 상기 수신기 및/또는 서버와 블루투스 통신하는, 무선 신호를 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신기.
  15. 송신기로부터 검출 신호 또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수신 코일;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및/또는 실행되도록 하고, 상기 송신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송신기의 근거리 통신 코일과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 코일;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응답하여 제1 정보를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정보에 응답하여 제2 정보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사용자 정보, 송신기의 위치 정보, 배터리 충전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는 서비스 컴퓨터의 과거 사용 정보 및 추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서비스 컴퓨터의 기 설치된 프로그램의 로그인 정보인,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충전 상태 정보는 상기 서비스 컴퓨터에 표시되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19.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명령을 입력하여 상기 서버를 통해 서비스 컴퓨터를 제어하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20. 근거리 통신에 응답하여 송신기의 위치 정보가 수신기로 송신 및 상기 수신기의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또는 실행되는 단계;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무선 전력에 의해 상기 수신기가 충전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응답하여 제1 정보가 서버에 전송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의 제2 정보가 상기 수신기로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정보가 서비스 컴퓨터에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동 방법.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사용자 정보, 송신기의 위치 정보, 배터리 충전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는 서비스 컴퓨터의 과거 사용 정보 및 추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동 방법.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충전 상태 정보는
    상기 서비스 컴퓨터에 표시되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동 방법.
  23.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명령을 입력하여 상기 서버를 통해 서비스 컴퓨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동 방법.
  24.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서비스 컴퓨터의 기 설치된 프로그램의 로그인 정보인,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동 방법.
  25.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컴퓨터의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정보를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수신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동 방법.
KR1020150148356A 2015-10-23 2015-10-23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무선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7004782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356A KR20170047820A (ko) 2015-10-23 2015-10-23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무선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US15/769,877 US20180316388A1 (en) 2015-10-23 2016-10-14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reless power receiver, and wireless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sig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PCT/KR2016/011595 WO2017069469A1 (ko) 2015-10-23 2016-10-14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무선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356A KR20170047820A (ko) 2015-10-23 2015-10-23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무선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820A true KR20170047820A (ko) 2017-05-08

Family

ID=58557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356A KR20170047820A (ko) 2015-10-23 2015-10-23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무선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80316388A1 (ko)
KR (1) KR20170047820A (ko)
WO (1) WO2017069469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1917A1 (ko) * 2017-05-30 2018-12-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송신기의 무선전력 송신 제어 방법
KR20220094097A (ko) * 2020-12-28 2022-07-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송 시스템, 전송 케이블, 전송 방법 및 표시 장치
WO2022203162A1 (ko) * 2021-03-24 2022-09-29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충전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US11962169B2 (en) 2021-03-24 2024-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transmitting charging power to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13981A1 (de) * 2015-07-24 2017-01-26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Detektion eines Fremdkörpers in einem elektromagnetischen Feld, insbesondere mit Hilfe eines NFC Chips
EP3346581B1 (en) * 2017-01-04 2023-06-14 LG Electronics Inc. Wireless charger for mobile terminal in vehicle
KR102625272B1 (ko) * 2019-01-14 2024-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장치
WO2020149492A1 (ko) * 2019-01-17 2020-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코일을 이용하여 다수의 기기에 무선전력을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
US10790754B2 (en) * 2019-02-26 2020-09-29 Analog Devices International Unlimited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ferring power across an isolation barrier using an active resonator
US10797609B2 (en) * 2019-02-26 2020-10-06 Analog Devices International Unlimited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ferring power across an isolation barrier using an active self synchronized rectifier
WO2020213980A1 (ko) * 2019-04-17 2020-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통신 연결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US11979032B2 (en) * 2019-07-08 2024-05-07 Lg Electronics Inc.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35679A2 (en) * 1999-10-29 2001-05-17 Gelco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equipment usage information
US7720910B2 (en) * 2002-07-26 2010-05-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ractive filtering electronic messages received from a publication/subscription service
US7948208B2 (en) * 2006-06-01 2011-05-24 Mojo Mobility, Inc. Power source, charging system, and inductive receiver for mobile devices
US9240824B2 (en) * 2009-02-13 2016-01-19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for electronic devices
US8671235B2 (en) * 2011-05-05 2014-03-11 Aten International Co., Ltd. KVM switch with embedded bluetooth module
US9838834B2 (en) * 2012-12-21 2017-12-05 Facebook, Inc. Techniques for wireless transmitter location detection
US20180131240A1 (en) * 2013-12-18 2018-05-10 Powermat Technologies Ltd. Systems and methods for business power management pertaining to wireless power transf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1917A1 (ko) * 2017-05-30 2018-12-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송신기의 무선전력 송신 제어 방법
KR20220094097A (ko) * 2020-12-28 2022-07-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송 시스템, 전송 케이블, 전송 방법 및 표시 장치
WO2022203162A1 (ko) * 2021-03-24 2022-09-29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충전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US11962169B2 (en) 2021-03-24 2024-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transmitting charging power to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16388A1 (en) 2018-11-01
WO2017069469A1 (ko) 201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16388A1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reless power receiver, and wireless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sig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101775234B1 (ko) 무전전력전송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US10396599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KR101764974B1 (ko) 무전전력전송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US20180241223A1 (e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and driving method therefor
KR20160143044A (ko) 무전전력전송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US10205351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reless power repeater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KR102587029B1 (ko) Iot 시스템과 무선충전수신장치의 연결을 수립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180226829A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US20180205268A1 (en) Method for operat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KR20170110802A (ko)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4450868A (zh) 无线功率接收装置、无线功率发送装置以及使用其的功率校准方法
US20190027968A1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receiver
KR101996966B1 (ko) 무전전력전송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1779747B1 (ko) 무선전력 송신장치 및 송신방법
KR20170139319A (ko) 무선 전력 송신기 및 수신기
KR20180021559A (ko) 무선 전력 송신기
KR20170142678A (ko)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
KR20170044321A (ko) 무선전력송신장치와 무선전력수신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152670B1 (ko) 무전전력전송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70082281A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수신기
KR20170082309A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수신기
KR20180020796A (ko) 무선 전력 송신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60148239A (ko)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20170105467A (ko) 무선전력 송신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