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7679A - appear-hide type container - Google Patents
appear-hide type contai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47679A KR20170047679A KR1020150148064A KR20150148064A KR20170047679A KR 20170047679 A KR20170047679 A KR 20170047679A KR 1020150148064 A KR1020150148064 A KR 1020150148064A KR 20150148064 A KR20150148064 A KR 20150148064A KR 20170047679 A KR20170047679 A KR 2017004767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guide groove
- groove
- protrusion
- regula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77/048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the inner container being coaxially disposed within the outer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사용상태에 따라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하우징의 일측으로 상승 또는 하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출몰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for accommodating content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ainer for accommodating contents to be lifted or lowered to one side of a housing.
일반적으로, 크림, 분말, 액상 등의 내용물을 알맞은 용기에 보관하는데, 이러한 용기들을 주로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부와 수용부 내에 내용물을 보충 또는 꺼내어 사용될 수 있는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용기의 경우, 수용부 및 덮개 사이의 틈을 통하여 수용부 내로 이물질이 침입하여 내용물을 오염시키는 경우가 있다. 또한, 덮개가 수용부의 개구부측에 노출되도록 위치하기에, 덮개가 차지하는 부피만큼 부피가 커질 수밖에 없고, 때문에, 용기의 종류에 따라서는 휴대하기가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In general, the contents such as cream, powder, and liquid are stored in suitable containers. Such containers include a receptacle mainly containing the contents and a cove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s which can be used by supplementing or taking out the contents in the receptacle. In the case of such a container, there is a case in which foreign matter intrudes into the accommodating portion through the gap between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cover, thereby contaminating the contents. Further, since the lid is positioned so as to be exposed at the opening of the receiving portion, the volume of the lid must be increased by the volume occupied by the li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very inconvenient to carry it depending on the type of container.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내용물이 든 수용부를 하우징 내부에서 이동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시에는 수용부를 하우징의 상부로 이동시켜 내용물을 사용하고, 사용후에는 수용부 및 덮개를 모두 하우징 내부에 수용하는 것이 가능한 출몰형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which is capable of moving a containing portion inside the housing,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truding type container which can be housed in a housing.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주면 일측에 위치하는 가이드홈 및 상기 가이드홈에서 연장되는 규제홈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되, 그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홈 또는 규제홈을 따라 이동가능한 돌기를 구비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수용부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한 출몰형 용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 guide groove located at one side of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restriction groove extending from the guide groove; And a receiving portion having a protrusion that is located inside the housing and has a protrusion that is movable along the guide groove or the regulating groove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To provide a protruding container capable of being moved into the container.
상기 수용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 하측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의 상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수용부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상승하여, 수용부가 하우징 내부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수용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부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돌기를 상기 규제홈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용부의 하강이동이 규제되며, 상기 수용부가 하우징 내부 상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돌기를 상기 가이드홈의 상단에 위치시키고, 상기 수용부의 상부를 재가압함으로써 상기 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하강함으로써 상기 수용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 하측에 완전히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otrusion is raised along the guide groove as the housing portion is lifted by pres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housing portion is completely hou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so that the housing portion is located above the inside of the housing, The lowering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is restricted by placing the projection in the restricting groove in a state in which the protrusion is located in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 It is preferable that the accommodating portion is completely hou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by re-pres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so that the protrusion descends along the guide groove.
상기 가이드홈 및 상기 규제홈의 사이에 위치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가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에서 상기 경사부를 따라 상기 규제홈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규제홈에 삽입되어 위치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inclined portion located between the guide groove and the restricting groove. As the accommodating portion moves upward, the protrusion moves from the guide groove along the inclined portion to the regulating groove side and is inserted into the regulating groove, Preferably.
내주면에 제1나사부를 구비하는 덮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의 상측에는 상기 제1나사부와 계합가능한 제2나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규제홈은 상기 가이드홈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1나사부와 상기 제2나사부가 풀리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용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부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나사부와 상기 제2나사부가 풀림으로써 상기 수용부가 연동하여 상기 규제홈 측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돌기가 상기 규제홈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규제홈에 위치되고, 상기 돌기가 상기 규제홈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나사부와 상기 제2나사부가 조여져 계합됨에 따라 상기 수용부가 상기 규제홈의 반대측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가이드홈의 상단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수용부의 상하이동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And a second threaded portion engageable with the first threaded por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regulating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from the first threaded portion and the second threaded portion, The first screw portion and the second screw portion are loosened in a state where the housing portion is located in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so that the housing portion rotates to the regulating groove side by interlocking with the housing portion, The first screw portion and the second screw portion are engaged with each other when the protrusion is positioned in the regulating groove and the receiving portion is rotat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regulating gro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accommodating portion is movable up and down by being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groov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서, 내주면 일측에 위치하는 제1가이드홈, 상기 제1가이드홈에서 연장되는 규제홈 및 상기 제1가이드홈 및 상기 제1가이드홈과 소정거리 이격된 내주면 일측에 위치하는 제2가이드홈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그 외주면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가이드홈 또는 상기 규제홈을 따라 이동가능한 제1돌기 및 상기 제1돌기와 소정거리 이격된 외주면에 위치하는 제2돌기를 구비하는 수용부;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을 감싸며, 그 내주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2돌기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3가이드홈 및 외주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2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한 제3돌기를 구비하는 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돌기가 상기 제1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수용부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한 출몰형 용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first guide groove located at one side of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 restriction groove extending from the first guide groove, and a second guide groove formed at one side of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guide groov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second guide groove formed in the second guide groove; And a second protrusion which is located inside the housing and is located at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s movable along the first guide groove or the regulation groove and a second protrusion which is located at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rotrus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And a third protrusion which surrounds the housing inside the housing and is locat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the third protrusion being inserted into the second guide groove, the third protrusion being loca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ird protrusion, Wherein the receiving portion is movable up and down in the housing by moving the first projection along the first guide groove.
상기 수용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 하측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의 상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수용부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제1돌기가 상기 제1가이드홈을 따라 상승함과 함께 상기 관부가 상승하여, 상기 수용부 및 상기 관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수용부 및 상기 관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부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돌기를 상기 규제홈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용부 및 상기 관부의 하강이동이 규제되며, 상기 수용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 상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돌기를 상기 제1가이드홈의 상단에 위치시키고, 상기 수용부의 상부를 재가압함으로써 상기 제1돌기가 상기 제1가이드홈을 따라 하강함으로써 상기 수용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 하측에 완전히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projection is raised along the first guide groove and the tube portion rises as the housing portion is lifted by pres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housing portion is completely hou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the tubular portion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the first projection is located in the restricting groove in a state where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tube portion are located in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The first projection is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guide groov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is re-pressed so that the first projection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gu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ceiving portion is completely receiv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by descending along the groove.
상기 제1가이드홈과 상기 규제홈 사이를 연결하는 제1경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가 상승함으로써 상기 제1돌기가 상기 제1가이드홈으로부터 상기 제1경사부를 따라 상기 규제홈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comprising a first inclined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guide groove and the regulating groove, wherein the first protrusion is moved from the first guide groove to the regulating groove along the first inclined portion by lifting the accommodating portion desirable.
상기 제2가이드홈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제2경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부가 하강함으로써 상기 제3돌기가 상기 제2경사부를 따라 상기 제2가이드홈을 따라 하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 second inclined portion position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guide groove, wherein the third projection is lowered along the second guide groove along the second inclined portion by lowering the tube portion.
내주면에 제1나사부를 구비하는 덮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200')의 상측에는 상기 제1나사부와 계합가능한 제2나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규제홈은 상기 제1가이드홈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1나사부와 상기 제2나사부가 풀리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용부가 상기 하우징 상부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나사부와 상기 제2나사부가 풀림으로써 상기 수용부가 연동하여 상기 규제홈 측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돌기가 상기 규제홈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규제홈에 위치되고, 상기 제1돌기가 상기 규제홈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나사부와 상기 제2나사부가 조여져 계합됨에 따라 상기 수용부가 상기 규제홈의 반대측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가이드홈의 상단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수용부의 하강이동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And a second threaded portion engageable with the first threaded por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출몰형 용기에 의하면, 수용부 내의 내용물을 사용하고 수용부 및 덮개를 하우징 내에 간편하게 수용할 수 있어, 기존 용기의 덮개 및 하우징의 사이를 통해 이물질이 침투하거나, 수용부 내의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용부 및 덮개가 하우징 내에 완전히 수용됨으로써 용기 전체의 크기가 작아져 휴대하기도 간편하고, 나아가 외관상으로도 미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se the contents in the receptacle and to easily accommodate the receptacle and the lid in the housing, so that foreign matter can penetrate through the lid of the existing container and the hous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tents from leaking out, and the receptacle and the lid are completely housed in the housing, so that the size of the entire container is reduced, so that it is easy to carry, and furthermore, .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용기의 전체사시도로서, 덮개 및 수용부가 하우징 내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용기의 전체사시도로서, 덮개 및 수용부가 상승이동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하우징 내부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용기의 중앙을 기준으로 한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용기의 측면도로서, 덮개 및 수용부가 하우징 내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용기의 전체사시도로서, 덮개 및 수용부가 상승이동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용기의 전체사시도로서, 덮개 및 수용부가 하우징 내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용기의 전체사시도로서, 덮개 및 수용부가 상승이동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8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하우징 내부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용기의 중앙을 기준으로 한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용기의 측면도로서, 덮개 및 수용부가 하우징 내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용기의 전체사시도로서, 덮개 및 수용부가 상승이동한 상태를 도시한다.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protruding type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lid and a receiving portion are completely housed in the housing.
2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protruding type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d and the accommodating portion move up.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otruding type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in Fig. 1, showing the inside of the housing.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center of a protruding type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ide view of the protrud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lid and the receiving portion are completely housed in the housing. Fig.
Fig. 7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protruding type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d and the accommodating portion are moved upwar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truding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shows a state in which the lid and the receiving portion are completely housed in the housing.
Fig. 9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protruding type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d and the accommodating portion move up.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otruding type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in Fig. 8, showing the inside of the housing.
1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center of a protruding type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side view of a protruding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lid and the receiving portion are completely housed in the housing. Fig.
Fig. 14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protruding type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d and the receiving portion are moved upward.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Thes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other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in detail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described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또한, 기술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described embodiments are provided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do not limi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출몰형 용기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이 가능하다.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protruding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tegrally or separately as needed. In addition, some components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usage pattern.
1. 본 발명의 1. The present invention 제1실시예에In the first embodiment 따른 출몰형 용기의 구성 Composition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용기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otruding type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attached hereto.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용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수용부(200) 및 덮개(3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truding type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하우징(100)은 그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며, 바람직하게는 원통 형상일 수 있고, 그 내주면에 위치하는 가이드홈(110) 및 규제홈(120)을 포함한다.The
가이드홈(110)은 하우징(100)의 내주면에 파인 홈 형상으로 소정길이를 가지고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규제홈(120)은 가이드홈(110)의 상측에서 연장되어 파인 홈 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가이드홈(110)과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홈(110)과 규제홈(120)은 'ㄱ'자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stricting
수용부(200)는 그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서 이동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위치하며, 그 외주면에는 돌기(230)가 형성되고, 이러한 돌기(230)가 가이드홈(110) 또는 규제홈(120)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The
또한, 수용부(200)는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수용부(220)와 내수용부(210)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돌기(230)는 외수용부(220)에 형성되고, 내용물은 내수용부(210)에 수용된다. 이로써 내용물의 사용이 끝난 후, 내수용부(210) 만을 교체함으로써 간단하게 내용물을 보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외수용부(220)와 내수용부(21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2 and 5, the
그리고, 수용부(200)의 하부와 하우징(100)의 내부 하측의 사이에는 탄성부(130)가 위치할 수 있다. 탄성부(130)는 상세하게는 수용부(200) 하부에 위치하는 공간 및 하우징(100) 내부 하측면에 위치하는 공간 사이로서 그 내부에 위치하는 코일스프링 등의 탄성부재(131)를 포함하여 이의 탄성으로써 수용부(200)를 상측으로 밀어 올리는 압력을 제공한다.The
상세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탄성부는 이미 공지된 일반적인 클램프 구조로서, 수용부(200) 상부를 한번 누르면 양측으로 벌어졌다가 다시 한번 더 누르면 오므라졌다 하는 암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수용부(200)를 한번 가압하면 수용부(200)가 하강하여 하우징(100)의 하측면으로 밀착되어 하우징(100) 내부로 완전히 수용되어 고정되고, 다시 한번 가압하면 수용부(200)가 하우징(100)의 개구부 측으로 상승하게 된다.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elastic portion is a known general clamp structure. The elastic por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덮개(30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부(200)의 개구부를 밀폐하며,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1나사부(311)를 구비할 수 있다. 제1나사부(211)는 수용부(200) 개구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나사부(211)와 계합하여, 수용부(200)를 밀폐하며, 덮개(300)가 수용부(200)에 계합된 후, 덮개(300)를 가압함으로써 수용부(200)가 하우징(100) 내부에서 상기한 상승 및 하강의 상하운동이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또한, 덮개(300)는 수용부(200)에 수용되는 내용물 또는 사용형태에 따라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갯수는 한정되지 않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덮개(310, 320, 330)의 3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 든다. 이렇게 복수의 덮개(310, 320, 330)가 구비될 경우 가장 내측에 구비되는 제1덮개(310)의 내주면에 제1나사부(311)가 구비되어야 함은 물론이다.As shown in FIG. 5, the
1.2 본 발명의 1.2. 제1실시예에In the first embodiment 따른 출몰형 용기의 작용 The action of the protruding type vessel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6 및 도 7을 추가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용기의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otruding type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attached hereto.
도 6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부(200) 및 덮개(300)가 완전히 수용된 상태로서, 수용부(200)에 형성된 돌기(230)가 가이드홈(110)에 삽입되어 가이드홈(110)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이로써 수용부(200) 및 덮개(300)가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상태이다. 또한, 가이드홈(110)에서 연장되는 규제홈(120)은 가이드홈(110)의 일측으로부터 상기한 제1나사부(211) 및 제2나사부(311)의 계합이 해제되는 방향, 즉 풀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receiving
여기서, 덮개(300) 상부면을 가압하면 탄성부의 탄성으로 인하여,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300) 및 수용부(200)가 상승하고, 이로써 덮개(300)는 하우징(100)으로부터 완전히 노출된 상태가 되고, 수용부(200)는 그 일부(제2나사부(311))가 하우징(100)으로부터 노출되고, 따라서, 수용부(200) 외주면에 위치한 돌기(230)는 가이드홈(110)의 상단, 즉, 가이드홈(110)과 규제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7,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이 상태에서, 제1나사부(211)와 제2나사부(311)의 계합상태가 해제되도록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나사부(211)와 제2나사부(311)의 계합이 풀리면서 수용부(200)도 일정량 회전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수용부(200)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230)가 가이드홈(110) 상단에서 규제홈(120)으로 이동하여 삽입되고, 이로써, 수용부(200)의 상하 움직임이 규제되어, 수용부(200)에 추가적인 가압이 이루어지더라도, 하우징(100) 내부로 하강하여 수용되지 않는다.In this state, when the
그리고, 수용부(200)가 하우징(100)의 개구측 까지 상승한 상태(도 7 상태)에서, 수용부(200)의 내용물을 사용한 후, 덮개(300)를 회전시켜 수용부(200)가 밀폐되도록 한다. 이때, 제1나사부(211)와 제2나사부(311)가 조여짐에 따라, 수용부(200)가 회전하므로, 수용부(200)에 형성된 돌기(230)가 규제홈(120)으로부터 가이드홈(110)의 상단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덮개(300)의 상부면을 가압함으로써 수용부(200) 및 덮개(300)가 하강하여 하우징(100) 내부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에서 고정된다.7) after the contents of the
2. 본 발명의 2. The present invention 제2실시예에In the second embodiment 따른 출몰형 용기의 구성 Composi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용기의 구성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otruding type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2 attached hereto.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발명의 이해 및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그 외 동일한 구성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ifferences from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and explanatory convenience of the invention, and explanations of the other simila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용기는, 하우징(100'), 수용부(200'), 관부(250') 및 덮개(300')를 포함할 수 있다.8 to 10, a protruding type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0 ', a receiving
하우징(100')의 내주면에는 제1가이드홈(111')이 형성되며, 그 일측면에는 규제홈(112')이 연결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가이드홈(111')과 규제홈(112')이 제1경사부를 통하여 연결되며, 규제홈(112')은 제1가이드홈(111')과 마찬가지로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A first guide groove 111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100', and a regulating groove 112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또한, 하우징(100')의 내주면에는, 제1가이드홈(111') 및 규제홈(112')과 소정거리 이격된 제2가이드홈(121')이 형성된다, 제2가이드홈(121')은 바람직하게는 제1가이드홈(111') 및 규제홈(112')의 상측, 하우징(100') 개구부 부분에 위치하고, 제2가이드홈(121')에는 그 상단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경사부가 위치할 수 있다.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100 'is formed with a second guide groove 121' spaced apart from the first guide groove 111 'and the regulating groove 11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second guide groove 121 ' Is preferably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guide groove 111 'and the regulating groove 112' and the opening portion of the housing 100 ', and the second guide groove 121' The inclined portion can be positioned.
수용부(200')의 외주면에는 제1가이드홈(111') 또는 규제홈(112')을 따라 이동가능한 제1돌기(230') 및 제1돌기(230')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돌기(240')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돌기(240')는 제1돌기(230')보다 상측에 위치한다.The first protrusion 230 'and the first protrusion 230', which are movable along the first guide groove 111 'or the regulating groove 112',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또한, 수용부(200')의 상단부에는 수용부(200')에 수용된 내용물을 펌핑하여 토출시키는 펌프부(210')가 위치할 수 있다. 펌프부(210')의 펌핑에 의한 토출작용은 이미 공지된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a pump unit 210 'for pumping and discharging the contents stored in the
관부(250')는 하우징(100) 내부에 위치하며, 수용부(20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관부(250')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돌기(240')가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제3가이드홈(251')이 구비된다. 제3가이드홈(251')의 상단에는 걸림턱이 위치할 수 있고, 제2돌기(240')가 이에 걸리도록 되어있다. 이로써 수용부(200')의 상승이동에 따라 관부(250')가 함께 상승하거나, 관부(250')가 하강이동함에 따라 수용부(200')가 함께 하강이동이 가능하게 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ube portion 250 'is located inside the
한편 관부(250')의 외주면에는 제3돌기(252')가 형성되어 상기 제2가이드홈(121') 내에 이동가능하게 위치한다. On the other hand, a third projection 252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portion 250', and is movably positioned in the second guide groove 121 '.
덮개(300')는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부(200')의 상측에 위치한다. 덮개(300')는 수용부(200') 및/또는 관부(250')의 상부를 가압함으로써 수용부(200')가 하우징(100') 내부에서 상기한 상승 및 하강의 상하운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덮개(300')는 수용부(200')에 수용되는 내용물 또는 사용형태에 따라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갯수는 한정되지 않으나, 제1 내지 제2덮개(310', 320')의 2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 든다. The lid 300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2.2 본 발명의 2.2. 제2실시예에In the second embodiment 따른 출몰형 용기의 작용 The action of the protruding type vessel
이하에서는, 도 13 내지 도 14를 추가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용기의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otruding type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to 14. Fig.
도 13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부(200') 및 덮개(300')가 완전히 수용된 상태로서, 수용부(200')에 형성된 제1돌기(230')가 제1가이드홈(111')에 삽입되어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이로써 수용부(200') 및 덮개(300')가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상태이다. 13 shows a state in which the receiving
여기서, 덮개(300') 상부면을 가압하면 탄성부의 탄성으로 인하여,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300'), 수용부(200') 및 관부(250')가 상승하고, 이로써 덮개(300')는 하우징(100')으로부터 완전히 노출된 상태가 되고, 수용부(200')는 그 상측의 일부(펌프부(21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노출되고, 이러한 덮개(300'), 수용부(200') 및 관부(250')의 상승과정에서, 수용부(200')의 제1돌기(230')가 제1가이드홈(111')을 따라 상승하다가 제1경사부(113')에 도달하면, 제1경사부(113')를 따라서 상승하게 된다. 즉, 수용부(200')가 약간 회전하게 된다. 이로써, 관부(250')도 수용부(200')와 함께 약간 회전하며 관부(250')의 제3돌기(252')가 제2가이드홈(121') 상단에 위치한 제2경사부를 따라 이동하여 제2경사부 내에 위치하게 된다.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300 'is pressed, the lid 300', the receiving
이 상태에서 덮개(300')를 제거하고 펌프부(210')를 이용하여 수용부(200') 내의 내용물을 토출시켜 사용하게 되는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200')의 제1돌기(230')는 제1경사부(113')를 따라 규제홈(112')에 위치한 상태이고, 규제홈(112')은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가지고 있어, 펌프부(210')의 펌핑 동작에 따라, 하측으로 소정거리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규제되며, 따라서 펌핑시에 쿠셔닝 효과를 수용부(200')에 부여하여 펌핑감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이때 관부(250')는 제3돌기(252')가 제2가이드홈(121')의 경사부 측에 고정되므로, 펌핑시에 소정거리의 하강이동을 하지 않는다. In this state, the lid 300 'is removed and the contents in the
수용부(200')의 내용물을 사용한 후, 덮개(300')로써 펌프부(210')를 덮으며 수용부(200') 및 관부(250')의 상부를 가압하면, 가압되는 힘에 의하여 관부(250')의 제3돌기(252')가 제2경사부를 따라 하강함에 따라 관부(250')가 약간 회전하며 제3돌기(252')가 제2가이드홈(121')으로 가이드 되어 제2가이드홈(121')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When the contents of the
관부(250')가 회전하며 하강함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수용부(200') 역시 약간 회전하며, 수용부(200')의 제1돌기(230')가 규제홈(112')의 상측에서 제1경사부(113')를 따라 제1가이드홈(111')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수용부(200')가 하강하여 하우징(100') 내측에 덮개(300'), 관부(250') 및 수용부(200')가 완전히 수용된다. As the tube portion 250 'rotates and descends, the
3. 추가적인 3. Additional 변형예Variation example
상기한 실시형태들은 다음과 같은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as follows.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실시형태에서의 가이드홈(110)과 규제홈(120)의 사이에는 제2실시형태에서와 같은 경사부가 위치함으로써 돌기(230)가 가이드홈(110)을 따라 상승하며 상기 경사부를 따라 규제홈(120)으로 삽입됨으로써 수용부(200)의 하강이동이 규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는 수용부(200) 및 덮개(300)가 나사부(311, 211)로 계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inclined portion as in the second embodiment is positioned between the
도시하지 않았으나, 마찬가지로 제2실시형태의 제1가이드홈(111')과 규제홈(112')은 경사부(113') 없이 연결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제1실시형태와 같이 수용부(200') 상부 및 덮개 내부면에 나사부가 각각 형성되어 이들이 계합됨으로써 제1돌기(230')가 제1가이드홈(111')으로부터 규제홈(112')으로 삽입되어 수용부(200')의 하강이동이 규제되도록 하고, 계합이 풀림으로써 수용부(200')가 하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가이드홈(121')에도 이와 연장되는 규제홈이 형성되어, 관부(250')의 제3돌기(252')가 제2가이드홈(121')에서 규제홈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first guide groove 111 'and the restricting groove 112' of the second embodiment can be connected without th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출몰형 용기에 의하면, 수용부 내의 내용물을 사용하고 수용부 및 덮개를 하우징 내에 간편하게 수용할 수 있어, 기존 용기의 덮개 및 하우징의 사이를 통해 이물질이 침투하거나, 수용부 내의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용부 및 덮개가 하우징 내에 완전히 수용됨으로써 용기 전체의 크기가 작아져 휴대하기도 간편하고, 나아가 외관상으로도 미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se the contents in the receptacle and to easily accommodate the receptacle and the lid in the housing, so that foreign matter can penetrate through the lid of the existing container and the hous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tents from leaking out, and the receptacle and the lid are completely housed in the housing, so that the size of the entire container is reduced, so that it is easy to carry, and furthermore, .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numer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should also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100': 하우징
110: 가이드홈
111': 제1가이드홈
112': 규제홈
113': 제1경사부
120: 규제홈
121': 제2가이드홈
122': 제2경사부
130, 130': 탄성부
131, 131': 탄성부재
200, 200': 수용부
230: 돌기
230': 제1돌기
240': 제2돌기
250': 관부
251': 제3가이드홈
252': 제3돌기
300, 300': 덮개100, 100 ': housing
110: guide groove
111 ': first guide groove
112 ': Regulatory home
113 ': first inclined portion
120: Regulatory home
121 ': second guide groove
122 ': a second inclined portion
130, 130 ': elastic part
131, 131 ': elastic member
200, 200 ': receiving portion
230: projection
230 ': first projection
240 ': second projection
250 ': tube
251 ': Third guide groove
252 ': third projection
300, 300 ': cover
Claims (9)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위치하되, 그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홈(110) 또는 규제홈(120)을 따라 이동가능한 돌기(230)를 구비하는 수용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230)가 상기 가이드홈(110)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수용부(200)가 상기 하우징(100) 내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한,
출몰형 용기.
A housing (100) having a guide groove (110) located at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regulating groove (120) extending from the guide groove (110);
And a receiving part 200 located inside the housing 100 and having a protrusion 230 movable along the guide groove 110 or the regulating groove 120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100,
The protrusion 230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110 so that the accommodating portion 200 can move up and down within the housing 100,
A protruding container.
상기 수용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 하측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200)의 상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수용부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상승하여, 수용부가 하우징 내부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수용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부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돌기(230)를 상기 규제홈(120)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용부(200)의 하강이동이 규제되며,
상기 수용부가 하우징 내부 상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돌기를 상기 가이드홈의 상단에 위치시키고, 상기 수용부의 상부를 재가압함으로써 상기 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하강함으로써 상기 수용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 하측에 완전히 수용되는,
출몰형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rusion rises along the guide groove as the receiving portion rises by pres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00 in a state where the accommodating portion is completely hou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so that the accommodating portion is located above the inside of the housing,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00 is restricted by positioning the protrusion 230 in the regulating groove 120 in a state where the accommodating portion is located in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The protrusion is lowered along the guide groove by positioning the protrusion at the upper end of the guide groove and re-pres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accommodating portion is located inside the housing, Accepted,
A protruding container.
상기 가이드홈(110) 및 상기 규제홈(120)의 사이에 위치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200)가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돌기(230)가 상기 가이드홈(110)에서 상기 경사부를 따라 상기 규제홈(120)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규제홈(120)에 삽입되어 위치 가능한,
출몰형 용기.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n inclined portion located between the guide groove (110) and the regulating groove (120)
The protrusion 230 moves from the guide groove 110 to the regulating groove 120 along the inclined portion to be inserted into the regulating groove 120 as the accommodating portion 200 moves upward,
A protruding container.
내주면에 제1나사부(311)를 구비하는 덮개(3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200)의 상측에는 상기 제1 나사부와 계합가능한 제2나사부(211)가 구비되고,
상기 규제홈(120)은 상기 가이드홈(110)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1나사부(311)와 상기 제2나사부(211)가 풀리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용부(200)가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나사부(311)와 상기 제2나사부(211)가 풀림으로써 상기 수용부(200)가 연동하여 상기 규제홈(120) 측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돌기(230)가 상기 규제홈(120)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규제홈(120)에 위치되고,
상기 돌기(230)가 상기 규제홈(120)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나사부(311)와 상기 제2나사부(211)가 조여져 계합됨에 따라 상기 수용부(200)가 상기 규제홈(120)의 반대측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가이드홈(110)의 상단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수용부(200)의 상하이동이 가능한,
출몰형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id (300) having a first threaded portion (311) on its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 second screw portion 211 engageable with the first screw por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00,
The regulating groove 120 is formed to extend from one side of the guide groove 110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screw portion 311 and the second screw portion 211 are unwound,
The first screw part 311 and the second screw part 211 are loosened in a state where the housing part 200 is located inside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100 so that the accommodating part 200 interlocks with the regulating groove 120 so that the protrusion 230 moves toward the regulating groove 120 and is located in the regulating groove 120,
The first screw portion 311 and the second screw portion 211 are engaged and engaged with each other when the protrusion 230 is positioned in the regulating groove 120. As the accommodating portion 200 is engaged with the regulating groove 120, So that the receiving portion 200 can be moved upward and downward by being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guide groove 110,
A protruding container.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위치하며, 그 외주면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가이드홈(111') 또는 상기 규제홈을 따라 이동가능한 제1돌기(230') 및 상기 제1돌기(230')와 소정거리 이격된 외주면에 위치하는 제2돌기(240')를 구비하는 수용부(200); 및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100)을 감싸며, 그 내주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2돌기(240')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3가이드홈(251') 및 외주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2가이드홈(121')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한 제3돌기(252')를 구비하는 관부(250');를 포함하며,
상기 제1돌기(230')가 상기 제1가이드홈(111')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수용부(200)가 상기 하우징(100) 내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1돌기(230')가 상기 규제홈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수용부(200)의 상하이동이 규제되는,
출몰형 용기.
A first guide groove 111 'located at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 restriction groove extending from the first guide groove 111', a first guide groove 111 'and a first guide groove 111' And a second guide groove (121 ') located at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guide groove (121').
A first protrusion 230 'and a second protrusion 230', which are located inside the housing 100 and are located at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100 and are movable along the first guide groove 111 ' (200) having a second projection (240 ') loca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third guide groove 251 'which surrounds the housing 100 in the housing 100 and is loca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100 and into which the second protrusion 240' is movably inserted, , And a tube portion (250 ') having a third projection (252') inserted and movable in the guide groove (121 '),
The accommodating portion 200 can move up and down within the housing 100 by moving the first protrusion 230 'along the first guide groove 111'
The first projection (230 ') is located in the restricting groove, so that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00)
A protruding container.
상기 수용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 하측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200')의 상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수용부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제1돌기가 상기 제1가이드홈을 따라 상승함과 함께 상기 관부가 상승하여, 상기 수용부 및 상기 관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수용부 및 상기 관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부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돌기(230)를 상기 규제홈(120)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용부(200) 및 상기 관부의 하강이동이 규제되며,
상기 수용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 상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돌기를 상기 제1가이드홈의 상단에 위치시키고, 상기 수용부의 상부를 재가압함으로써 상기 제1돌기가 상기 제1가이드홈을 따라 하강함으로써 상기 수용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 하측에 완전히 수용되는,
출몰형 용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protrusion rises along the first guide groove as the receiving portion rises by pres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200 'in a state where the receiving portion is completely hou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The first protrusion (230) is positioned in the regulating groove (120) in a state that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tube portion ar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tube portion are located in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receiving portion 200 and the tube portion is restricted,
The first protrusion is lowered along the first guide groove by positioning the first protrusion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guide groove and pressurizing the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when the accommodating portion is located inside the housing Wherein the receiving portion is completely receiv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A protruding container.
상기 제1가이드홈(111')과 상기 규제홈 사이를 연결하는 제1경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200)가 상승함으로써 상기 제1돌기(230')가 상기 제1가이드홈(111')으로부터 상기 제1경사부(113')를 따라 상기 규제홈(112')으로 이동하는,
출몰형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first ramp connecting the first guide groove (111 ') and the restricting groove,
The first protrusion 230 'moves from the first guide groove 111' to the regulating groove 112 'along the first inclined portion 113' by the lifting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00,
A protruding container.
상기 제2가이드홈(121')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제2경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부(250')가 하강함으로써 상기 제3돌기(252')가 상기 제2경사부를 따라 상기 제2가이드홈(121')을 따라 하강하는,
출몰형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second inclined portion position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guide groove 121 '
The third projection 252 'descends along the second guide groove 121' along the second inclined portion as the tube portion 250 'descends,
A protruding container.
내주면에 제1나사부를 구비하는 덮개(3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200')의 상측에는 상기 제1나사부와 계합가능한 제2나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규제홈(112')은 상기 제1가이드홈(111')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1나사부와 상기 제2나사부가 풀리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용부(200')가 상기 하우징(100') 상부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나사부와 상기 제2나사부가 풀림으로써 상기 수용부(200')가 연동하여 상기 규제홈(112') 측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돌기(230')가 상기 규제홈(112')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규제홈(112')에 위치되고,
상기 제1돌기(230')가 상기 규제홈(112')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나사부와 상기 제2나사부가 조여져 계합됨에 따라 상기 수용부(200')가 상기 규제홈(112')의 반대측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가이드홈(111')의 상단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수용부(200')의 하강이동이 가능한,
출몰형 용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cover (300 ') having a first threaded portion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second threaded portion engageable with the first threaded por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200 '
The regulating groove 112 'is formed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first guide groove 111'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screw portion and the second screw portion are unwound,
The first screw portion and the second screw portion are loosened in a state where the accommodating portion 200 'is positioned in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00', so that the accommodating portion 200 'is interlocked with the regulating groove 112' The first protrusion 230 'moves toward the regulating groove 112' and is positioned in the regulating groove 112 '
As the first screw portion and the second screw portion are tightened and engaged with the first protrusion 230 'positioned in the regulating groove 112', the accommodating portion 200 'is engaged with the regulating groove 112' To move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guide groove 111 ', thereby allowing the receiving portion 200' to move downward,
A protruding contain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8064A KR102509162B1 (en) | 2015-10-23 | 2015-10-23 | appear-hide type contai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8064A KR102509162B1 (en) | 2015-10-23 | 2015-10-23 | appear-hide type contai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47679A true KR20170047679A (en) | 2017-05-08 |
KR102509162B1 KR102509162B1 (en) | 2023-03-13 |
Family
ID=60164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48064A KR102509162B1 (en) | 2015-10-23 | 2015-10-23 | appear-hide type contai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09162B1 (en)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8810Y1 (en) * | 2004-06-01 | 2004-08-11 | (주)연우 | Cream jar having rise function |
KR20120110840A (en) * | 2011-03-30 | 2012-10-10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Internal puff type container |
KR20140073048A (en) | 2012-12-06 | 2014-06-16 |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 Cathode active material,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ies comprising the same |
KR20140095141A (en) * | 2013-01-23 | 2014-08-01 |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 Depth adjustable container |
KR101493878B1 (en) * | 2014-07-23 | 2015-02-17 | 박현진 | Height adjustable container |
KR20150087036A (en) * | 2014-01-21 | 2015-07-29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Cosmetic vessel |
KR102204326B1 (en) * | 2014-10-10 | 2021-01-19 |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 A cup holder |
-
2015
- 2015-10-23 KR KR1020150148064A patent/KR10250916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8810Y1 (en) * | 2004-06-01 | 2004-08-11 | (주)연우 | Cream jar having rise function |
KR20120110840A (en) * | 2011-03-30 | 2012-10-10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Internal puff type container |
KR101261025B1 (en) * | 2011-03-30 | 2013-05-06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Internal puff type container |
KR20140073048A (en) | 2012-12-06 | 2014-06-16 |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 Cathode active material,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ies comprising the same |
KR20140095141A (en) * | 2013-01-23 | 2014-08-01 |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 Depth adjustable container |
KR20150087036A (en) * | 2014-01-21 | 2015-07-29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Cosmetic vessel |
KR101493878B1 (en) * | 2014-07-23 | 2015-02-17 | 박현진 | Height adjustable container |
KR102204326B1 (en) * | 2014-10-10 | 2021-01-19 |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 A cup hold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09162B1 (en) | 2023-03-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7105866B (en) | Rotary extrusion type cosmetic container | |
EP3449762A1 (en) | Powder discharge container | |
KR101387624B1 (en) | Lip-gloss cosmetic container of button type operate pump silicone material | |
KR20170078392A (en) | Cosmetic container | |
KR20130000273A (en) | Contents of two kinds of storage containers | |
KR20130024293A (en) | A pencil type cosmetic case | |
KR101712505B1 (en) | Apparatus for dispensing cosmetic liquid including sponge | |
KR20200109003A (en) | Stick type cosmetic container | |
KR200488073Y1 (en) | Container for discharging two kinds of liquids | |
KR101850856B1 (en) | dispenser | |
KR101931199B1 (en) | Cosmetic vessel | |
KR102188196B1 (en) | Cosmetic container | |
KR20170047679A (en) | appear-hide type container | |
KR20150060103A (en) | Cosmetic Containter Having Dispensing Plate | |
KR20180006204A (en) | Lipgloss case | |
US20210261302A1 (en) | System for improved access to liquid in a plastic container and lid assembly | |
KR101941216B1 (en) | Cosmetic container | |
KR20130005050U (en) | Airless type cosmetic vessel having a coating apparatus | |
KR102333337B1 (en) | Echo auto dropper | |
KR101923180B1 (en) | Cosmetic vessel | |
KR102121998B1 (en) | cosmetic vessel | |
KR200469107Y1 (en) | tube type cosmetics vessel | |
KR101246144B1 (en) | Cosmetic containers for both powder and liquid | |
KR200460286Y1 (en) | Vessel for powder cosmetic | |
JP7353718B2 (en) | Application contai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