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6478A -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6478A
KR20170046478A KR1020150146877A KR20150146877A KR20170046478A KR 20170046478 A KR20170046478 A KR 20170046478A KR 1020150146877 A KR1020150146877 A KR 1020150146877A KR 20150146877 A KR20150146877 A KR 20150146877A KR 20170046478 A KR20170046478 A KR 20170046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te
station
information
user
station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6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9413B1 (ko
Inventor
루오타오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6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9413B1/ko
Publication of KR20170046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서로 다른 지점을 동일 경로로 순화하는 회차역을 가진 대중교통의 노선정보 제공시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의 노선을 직관적이며 다른 방향의 노선과 구분 가능하도록 제공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route of public transportation based on scroll input, user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본 발명은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서로 다른 지점을 동일 경로로 순화하는 회차역을 가진 대중교통의 노선정보 제공시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의 노선을 직관적이며 다른 방향의 노선과 구분 가능하도록 제공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현재 스마트폰의 발전과 더불어 LBS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은 대중교통에 대한 노선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해당 노선정보를 참고하여 편리하게 버스, 지하철과 같은 대중 교통을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존의 노선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은 대부분 선형으로 서로 다른 노선 번호를 가진 노선을 표시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버스 노선 표시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편리하나 특정 부분에서 사용자의 혼동을 유발할 수 있다.
일례로, 서로 다른 지점을 연결하는 동일 경로를 반복 순환하는 회차역을 가진 하나의 노선을 표시하는데 있어서 출발역에서 회차역으로 진행하는 순방향에 대응되는 노선의 역명과 회차역에서 출발역으로 회귀하는 역방향에 대응되는 노선의 역명이 대부분 중복되며, 이로 인해 동일 역명을 가진 순방향과 역방향의 실제 정거장 위치는 서로 상이한 곳에 위치하게 되는데, 기존의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이동하고자 하는 방향과 무관하게 순방향과 역방향의 역명을 하나의 노선에 모두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동하고자 하는 방향(방면)의 정거장을 역명만으로 구분하기 어렵도록 제공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기존 어플리케이션 이용시 상술한 바와 같은 회차역을 가진 노선에 대해서는 버스 이용에 대한 혼동이 발생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버스를 승차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함으로써, 기존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경우가 상당하다.
상술한 바에 따라, 회차역을 가진 노선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사용자가 이동하고자 하는 방향과 관련된 노선을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과 연동하여 직관적이며 구분 용이하도록 제공하여 사용자의 대중교통 이용에 대한 편의성을 크게 높이도록 하기 위한 대안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54840호[발명의 명칭: 버스정보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버스정보 운용 방법]
본 발명은 회차역을 기준으로 반복 순환하는 경로를 가진 대중교통의 노선 에서 사용자가 이동하고자 하는 방향에 대한 노선을 사용자의 스크롤을 기반으로 직관적이며 구분이 용이하도록 표시하여 대중교통 이용에 대한 편의성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차역을 가진 버스 노선에서 사용자가 이동하는 방향에 대응되는 역명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해당 역명과 관계된 정거장의 위치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동방향에 대응되는 정거장을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을 위한 사용자 장치는 대중교통 수단의 노선번호별 노선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노선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선택된 노선번호에 대응되는 노선정보를 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며, 노선정보가 회차역을 가진 노선정보인 경우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을 기반으로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스크롤 방향에 따라 노선정보를 기초로 회차역 방면에 대응되는 순방향 노선에 대한 정보만을 활성화하여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 중 다른 하나의 스크롤 방향에 따라 노선정보를 기초로 출발지역 방면에 대응되는 역방향 노선에 대한 정보만을 활성화하여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입력부 및 표시부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며, 제어부는 스크롤 방향이 제 1 방향인 경우 순방향 노선에 대한 정보만을 활성화하며, 스크롤 방향이 제 2 방향인 경우 역방향 노선에 대한 정보만을 활성화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술한 사용자 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노선정보 및 노선번호에 대응되는 대중교통 수단의 실시간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노선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에 저장하며, 선택된 노선번호에 대한 노선정보를 표시부를 통해 표시할 때 통신부로부터 선택된 노선번호에 대응되는 대중교통 수단의 실시간 교통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부를 통해 표시된 순방향 노선 또는 역방향 노선과 연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제어부는 스크롤 방향에 따라 활성화된 순방향 또는 역방향 노선 중 어느 하나의 노선 방향에 따라 실시간 교통정보에서 활성화된 노선 방향 및 노선번호에 대응되는 대중교통 수단별 실시간 위치정보 및 활성화된 노선 방향에 대응되는 정차역별 실시간 도착예정시간 정보를 추출하여, 활성화된 순방향 노선 또는 역방향 노선에 대한 정보와 연계하여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제어부는 활성화된 순방향 노선 또는 역방향 노선에 포함되는 복수의 정차역 중에서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선택된 정차역에 대응되는 실시간 위치정보 및 실시간 도착예정시간 정보를 정차역과 연계하여 표시하며, 선택된 정차역이 순방향 노선 및 역방향 노선에 모두 포함된 정차역인 경우 활성화된 노선 방향에 대응되는 정차역의 위치정보를 노선정보로부터 추출하고 저장부에 저장된 지도정보를 로드하여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며, 표시부를 통해 해당 지도정보에 따른 지도 상에 위치정보에 따른 위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제어부는 노선정보에 미리 설정된 방면정보 중 사용자의 스크롤 방향에 따라 선택된 회차역 방면 또는 출발지역 방면에 대응되는 방면정보를 표시부를 통해 표시된 화면의 일부 영역에 표시하고, 화면의 일부 영역에 미리 설정된 노선 방향의 고정을 위한 설정 인터페이스 선택시 현재 활성화된 노선 방향을 고정하며, 노선 방향이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스크롤 방향에 따라 표시부를 통해 표시된 노선을 이동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제어부는 표시부를 통해 표시된 화면 중 미리 설정된 영역에서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을 수신한 경우 드래그 방향에 따라 현재 활성화된 순방향 노선 또는 역방향 노선 중 어느 하나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제어부는 노선정보에서 회차역을 기준으로 이전 또는 이후에 위치하는 정차역들에 대하여 역명이 동일한 정차역끼리 병합하여 통합역을 생성하고, 통합역으로 구성된 동적 노선정보를 생성하여 노선정보를 대체하며, 동적 노선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에 따른 스크롤 방향을 기초로 순방향 노선 또는 역방향 노선을 활성화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대중교통 수단의 노선번호별 노선정보 및 노선번호에 대응되는 대중교통 수단의 실시간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통신망을 통해 노선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선택된 노선번호에 대응되는 노선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하며, 노선정보가 회차역을 가진 노선정보인 경우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을 기반으로 스크롤 방향이 제 1 방향인 경우 노선정보를 기초로 회차역 방면에 대응되는 순방향 노선에 대한 정보만을 활성화하여 표시하고, 스크롤 방향이 제 2 방향인 경우 노선정보를 기초로 출발지역 방면에 대응되는 역방향 노선에 대한 정보만을 활성화하여 표시하며, 선택된 노선번호에 대응되어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실시간 교통정보에서 스크롤 방향에 따라 활성화된 순방향 또는 역방향 노선 중 어느 하나의 노선 방향에 대응되는 대중교통 수단별 실시간 위치정보 및 활성화된 노선 방향에 대응되는 정차역별 실시간 도착예정시간 정보를 추출하여, 활성화된 순방향 노선 또는 역방향 노선에 대한 정보와 연계하여 표시하는 사용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중교통 수단에 대한 노선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장치 또는 대중 교통 서비스 제공 장치의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 방법은 미리 저장된 노선정보에서 회차역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회차역 존재시 회차역의 전 또는 후의 정차역을 회차역과 비교하여 역명이 일치하는 경우 노선정보에서 회차역과 정차역을 하나의 통합역으로 병합하는 단계, 노선정보에서 회차역의 이전 정차역들에 대하여 통합역에 인접한 순서대로 각 이전 정차역을 기준으로 회차역의 이후 정차역을 스캔하여 역명이 이전 정차역과 동일한 이후 정차역이 존재하는 경우 통합역으로부터 출발지역 방향으로 이전 정차역의 순서를 판단하는 제 1 판단 단계, 노선정보에서 회차역의 이후 정차역들에 대하여 통합역에 인접한 순서대로 각 이후 정차역을 기준으로 회차역의 이전 정차역들을 스캔하여 역명이 이후 정차역과 동일한 이전 정차역이 존재하는 경우 통합역으로부터 출발지역 방향으로 이후 정차역의 순서를 판단하는 제 2 판단단계, 이전 정차역의 순서와 이후 정차역의 순서를 상호 비교하여 노선정보에서 순서가 더 늦거나 같은 이전 정차역 및 이후 정차역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역명이 동일한 다른 정차역을 병합하여 신규 통합역으로 생성하고, 통합역을 신규 통합역으로 대체하는 대체 단계 및 제 1 및 제 2 판단 단계와 대체 단계를 반복하여 회차역의 모든 이전 정차역 또는 이후 정차역에 대응되어 스캔이 완료되면, 통합역 및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신규 통합역을 포함하는 동적 노선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에는 상술한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회차역을 가진 노선정보를 사용자가 선택한 방향에 따라 인터랙티브하게 활성화되는 동적 노선정보로 변경하여 제공하고,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에 따라 사용자의 이동방면에 대응되는 순방향 노선 또는 역방향 노선만을 활성화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이동방면에 대응되는 노선을 직관적이며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존과 같이 순방향 노선과 역방향 노선을 단일 노선상에 모두 표시하여 제공하는 기존의 노선 제공 방식과 달리 사용자의 혼동을 최소화하고 사용자의 대중교통 이용에 대한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에 따라 활성화된 순방향 노선 또는 역방향 노선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된 정차역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정차역에 대한 대중교통의 도착예정시간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노선번호에 대응되는 대중교통 수단의 현재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실시간 교통정보를 현재 활성화된 노선 방향과 연계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한 이동방면에 대응되는 대중교통 수단의 실시간 교통정보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을 위한 사용자 장치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을 위한 사용자 장치의 동적 노선정보 생성에 대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을 위한 사용자 장치의 스크롤 입력에 따른 인터랙티브 노선 제공에 대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을 위한 사용자 장치의 방면정보 표시에 대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을 위한 사용자 장치의 노선방향 고정 및 노선 이동 표시에 대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을 위한 사용자 장치의 노선 방향별 실시간 교통정보 제공에 대한 동작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을 위한 사용자 장치의 드래그 입력에 따른 노선 이동 표시에 대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을 위한 사용자 장치의 노선방향에 따른 정차역별 위치 표시에 대한 예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을 위한 사용자 장치의 동적 노선정보 생성 과정에 대한 예시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대중교통 수단의 노선번호별 노선정보와, 각 노선번호에 대응되는 대중교통 수단의 실시간 교통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제공하는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대중교통 수단은 지하철, 버스 등을 포함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버스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노선번호는 버스번호를 의미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노선정보는 노선번호에 대응되는 버스가 운행하는 출발지역, 회차역, 목적지역과 같은 정차역에 대한 정보와 해당 버스가 운행하는 경로에 대한 경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회차역이란 버스나 지하철이 운행방향(이동방향)을 변경하는 역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정차역은 정류장(또는 정거장)이 위치하는 역을 의미할 수 있다.
더하여,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동일 노선번호를 운행하는 하나 이상의 버스에 대한 실시간 위치정보 및 정차역별 실시간 도착예정시간 정보(남은 정류장수, 예상 도착시간 등) 등을 포함하는 실시간 교통정보를 노선번호별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프록시 서버 등의 다양한 서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는 네트워크 부하 분산 메커니즘, 내지 서비스 장치가 인터넷 또는 다른 네트워크 상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중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컴퓨터화된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http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전용 회선(private line), 인트라넷 또는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일 수 있다. 나아가,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 장치(200)와 사용자 장치(100)의 연결은 데이터가 임의의 해커 또는 다른 제3자에 의한 공격을 받지 않도록 보안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복수의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분산 데이터베이스 서버 아키텍쳐를 비롯한 임의의 유형의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 장치(200)와 별도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장치(100)는 통신망을 통해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부터 노선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노선번호에 대응되는 노선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해당 노선정보에 따른 노선번호에 대응되는 실시간 교통정보를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고 해당 노선정보와 연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장치(100)는 통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100) 및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 장치(200) 상호간에 통신망을 통해 통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통신망의 일례로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과 같은 무선 통신망과,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과 같은 유선 통신망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서, 사용자 장치(100)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선택된 노선번호에 대응되는 노선정보가 상술한 회차역을 가진 노선정보인 경우 사용자의 스크롤(scroll) 입력을 기반으로 스크롤 방향이 제 1 방향인 경우 해당 노선정보를 기초로 회차역 방면에 대응되는 순방향 노선에 대한 정보만을 활성화하여 표시하고, 스크롤 방향이 제 2 방향인 경우 해당 노선정보를 기초로 출발지역 방면에 대응되는 역방향 노선에 대한 정보만을 활성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스크롤 입력은 드래그(drag) 입력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스크롤 방향은 드래그(drag) 방향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방향은 상방향이고, 제 2 방향은 하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나,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은 수평 방향 또는 대각선 방향이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회차역을 가진 노선정보는 출발지역과 목적지역이 상호 동일할 수 있으며, 출발지역으로부터 회차역으로의 순방향 노선(경로)과 회차역으로부터 출발지역으로의 역방향 노선(경로)이 상호 동일할 수 있다.
즉, 회차역을 가진 전체 노선은 출발지역으로부터 회차역으로의 노선방향을 가진 순방향 노선과 회차역으로부터 출발지역으로의 노선방향을 가진 역방향 노선에 각각 포함된 정차역 중 역명이 동일한 정차역의 개수가 상당하며 순방향 노선과 역방향 노선의 경로가 상당히 유사하므로, 기존에는 이를 단일 노선에 순“‡향과 역방향 구분없이 표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노선방향에 대응되는 정차역을 구분하는데 혼동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장치(100)는 해당 노선정보에 따른 회차역을 기준으로 전체 노선을 순방향 노선과 역방향 노선으로 구분하고, 해당 순방향 노선 및 역방향 노선에 각각 포함된 정차역 중 역명이 동일한 정차역을 하나의 역으로 병합한 통합역을 생성하여, 역명이 동일한 정차역을 하나의 통합역으로 대체한 동적 노선정보로 재구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이동하고자 하는 방향(이동 방면)에 대응되는 스크롤 입력을 기반으로 스크롤 방향에 따라 해당 노선 정보에 따른 전체 노선 중 순방향 노선 또는 역방향 노선을 활성화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에 대응되는 노선을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에 반응하여 인터랙티브(interactive)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이동방향에 대응되는 노선과 정차역을 용이하게 구분 및 식별할 수 있도록 제공하며, 사용자의 정차역 혼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노선번호에 대응되어 통신망을 통해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 수신된 실시간 교통정보에서 스크롤 방향에 따라 활성화된 순방향 또는 역방향 노선 중 어느 하나의 노선 방향에 대응되는 버스별 실시간 위치정보 및 활성화된 노선 방향에 대응되는 정차역별 버스의 실시간 도착예정시간 정보를 추출하여, 활성화된 순방향 노선 또는 역방향 노선에 대한 정보와 연계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의 정차역과 관련된 버스의 도착 예상 시간을 제공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토대로, 이하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을 위한 사용자 장치(100)의 상세 동작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100)의 상세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100)는 통신부(110), 저장부(120), 입력부(130), 표시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통신부(110)는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 장치(200)와의 통신을 지원하며, 해당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부터 노선정보, 실시간 교통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15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노선정보를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대중교통 수단별 노선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관련 데이터를 저장부(120)로부터 로드하여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으며, 해당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노선번호별 노선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3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며, 제어부(150)는 입력부(130)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해당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선택 노선번호를 저장부(120)에 저장된 복수의 노선정보와 비교하고, 선택 노선번호에 대응되는 노선정보를 저장부(120)로부터 추출하여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노선정보를 기초로 회차역을 가진 노선정보인지 판단할 수 있으며, 해당 노선정보가 회차역을 가진 노선정보인 경우 노선정보에 따른 전체 노선을 회차역 이전의 정차역들로 구성된 순방향 노선과 회차역 이후 정차역들로 구성된 역방향 노선으로 구분하고, 회차역 이전의 정차역들과 회차역 이후의 정차역들을 상호 비교하여 역명이 동일한 정차역끼리 병합한 통합역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50)는 통합역과 순방향 노선 및 역방향 노선으로 구성된 동적 노선정보를 생성한 후 해당 동적 노선정보에 대응되는 기존 노선정보를 해당 동적 노선정보로 대체하여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입력부(130)를 통한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을 기초로 스크롤 방향에 따라 노선정보에 포함된 전체 노선 중 순방향 노선 또는 역방향 노선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하여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선택 노선번호에 대응되어 추출된 노선정보가 회차역을 포함하는 경우 회차역을 기준으로 출발지역으로부터 회차역 방향(회차역 방면)으로의 노선을 순방향 노선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회차역으로부터 출발지역 방향(출발지역 방면)으로의 노선을 역방향 노선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순방향 노선 상에 위치하는 정차역들(출발지역, 회차역 포함)을 순방향 노선으로 그룹핑하고, 역방향 노선 상에 위치하는 정차역들(출발지역, 회차역 포함)을 역방향 노선으로 그룹핑하여 전체 노선을 순방향 노선과 역방향 노선으로 구분한 후, 순방향 노선과 역방향 노선 각각에 포함된 정차역들 중 역명이 중복되는 정차역을 상호 병합하여 하나의 통합역으로 대체한 동적 노선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노선정보에 미리 설정된 정차역별 이동방면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각 정차역이 해당하는 노선 방향(순방향 노선 또는 역방향 노선)을 구분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입력부(130)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스크롤 입력이 수신된 경우 스크롤 입력에 따른 스크롤 방향을 판단하여,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롤 방향이 제 1 방향인 경우 회차역 방면으로 판단하고 해당 동적 노선정보에서 회차역 방면에 대응되는 순방향 노선에 대한 정보만을 활성화하여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으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스크롤 방향이 제 2 방향인 경우 출발지역 방면으로 판단하고 해당 동적 노선정보에서 역방향 노선에 대한 정보만을 활성화하여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회차역을 기준으로 동일 노선을 왕복하는 순방향 노선과 역방향 노선을 가진 노선정보에 대하여 순방향 노선과 역방향 노선 각각에 포함된 정차역 중에서 동일 역명을 가진 정차역을 하나의 통합역으로 병합한 동적 노선정보를 생성하고, 해당 동적 노선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에 따른 스크롤 방향을 기초로 사용자가 이동하기를 원하는 방면에 해당하는 노선만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원하는 이동방향에 대응되는 노선만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정차역 혼동을 방지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대중교통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서 제어부(150)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데이터를 로드하여 상술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RAM, ROM, CPU, GPU, 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저장부(12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 및 상술한 서비스를 실행 및 제공한다. 이때, 제어부(150)의 RAM, ROM, CPU,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는 저장부(12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20)에 저장된 O/S(Operating System)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저장부(12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서 사용자 장치(100)에 구성된 입력부(130)는 사용자에 의한 버튼 조작 또는 임의의 기능 선택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거나,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터치/스크롤하는 등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명령 또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며,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조그 휠, 조그 스위치, 조그 셔틀(Jog Shuttle), 마우스(mouse),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터치 펜(Touch Pen) 등의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더하여, 표시부(14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20)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메뉴 화면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140)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다양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각종 정보 데이터 포함)와 아이콘, 리스트 메뉴, 콤보 박스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뉴 화면 등을 포함한다. 또한, 표시부(140)는 터치 스크린 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터치 제스쳐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정전식이나, 감압식, 압전식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 중 하나일 수 있다. 정전식인 경우 터치 스크린 표면에 코팅된 유전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터치 스크린 표면에 터치되었을 때 사용자의 인체로 여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가 산출된다. 감압식인 경우 터치 스크린에 두 개의 전극 판이 내장되며,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면 터치된 위치의 상하 전극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며, 이러한 전류의 흐름이 감지되어 터치 좌표가 산출된다.
이 외에도, 사용자 장치(100)가 펜 입력 기능을 지원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아닌 펜과 같은 입력 수단을 활용한 사용자의 제스쳐도 감지될 수 있다. 예로서, 입력 수단이 코일을 내부에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인 경우, 사용자 장치(100)는 스타일러스 펜 내부의 코일에 의해 변화되는 자기장을 감지하기 위한 자기장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터치 제스쳐 뿐만 아니라 호버링(hovering)과 같은 사용자의 근접 제스쳐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4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구동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40)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더하여, 입력부(130)와 표시부(140)는 하나의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100)는 음성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음성 출력부는 제어부(150)에 의해 소정 신호 처리된 신호에 포함된 음성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음성 출력부에는 리시버, 스피커, 버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음성 출력부는 제어부(150)에 의해 생성된 안내 음성을 출력한다.
통신부(11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내부의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통신 연결한다. 이때, 외부의 임의의 단말기는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400)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400)and Service: WMBS),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과 같은 무선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과 같은 유선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20)는 사용자 장치(1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즉, 저장부(120)는 사용자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 장치(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사용자 장치(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사용자 장치(100)의 저장부(120)에 저장되고, 사용자 장치(100)에 설치되어, 사용자 장치(100)의 제어부(150)에 의하여 사용자 장치(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 디스크 타입,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M), SRAM, 롬(ROM), EEPROM, PROM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100)는 인터넷상에서 저장부(12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를 운영하거나, 또는 웹 스토리지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2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 장치(100)는 해당 사용자 장치(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Headset Port),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모듈은 사용자 장치(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t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모듈은 포트를 통하여 사용자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전원을 수신하여 사용자 장치(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사용자 장치(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 장치(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해당 사용자 장치(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해당 사용자 장치(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해당 전원은 사용자 장치(100)가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한 버튼 조작 또는 임의의 기능 선택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거나,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터치/스크롤하는 등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명령 또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별도의 입력부(13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토대로,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을 위한 사용자 장치(100)의 상세 동작 구성을 설명한다.
우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선택 노선번호에 대한 노선정보가 회차역을 가진 노선정보인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노선정보를 이용하여 상술한 동적 노선정보를 생성한 후 해당 동적 노선정보를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입력부(130)를 통한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을 기초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롤 방향이 제 2 방향인 경우 동적 노선정보에 포함된 순방향 노선과 역방향 노선 중 역방향 노선만에 대한 정보만을 활성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150)는 동적 노선정보에 따른 전체 노선에서 역방향 노선에 대응되는 경로와 역방향 노선 상에 위치하는 정차역들에 대한 정보만을 활성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역방향 노선에 대한 정보의 활성화시 도시된 바와 같이 순방향 노선에 대한 정보를 흐리게 표시하거나 블라인드 처리하는 방식으로 활성화된 역방향 노선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식과 상이하게 순방향 노선에 대한 정보를 비활성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입력부(130)를 통한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을 기초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롤 방향이 제 1 방향인 경우 동적 노선정보에 포함된 순방향 노선과 역방향 노선 중 순방향 노선만에 대한 정보만을 활성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순방향 노선에 대한 정보의 활성화시 도시된 바와 같이 순방향 노선에 포함된 정차역들과 해당 정차역 사이를 연결하는 경로만을 활성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순방향 노선 및 역방향 노선에 각각 대응되는 경로는 이미지 형태로서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제어부(150)는 동적 노선정보에 따른 순방향 노선 또는 역방향 노선에 대응되어 동적 노선정보에 미리 설정된 방면정보 중 사용자의 스크롤 방향에 따라 선택된 회차역 방면 또는 출발지역 방면에 대응되는 방면정보를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된 화면의 일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에 따른 스크롤 방향에 따라 역방향 노선이 활성화된 경우 역방향 노선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방면정보인 출발지역 방면('대치동 진선여고 앞 방면')에 대한 방면정보를 화면의 일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에 따른 스크롤 방향에 따라 순방향 노선이 활성화된 경우 순방향 노선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방면정보인 회차역 방면('영동시장 방면')에 대한 방면정보를 화면의 일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50)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에 따라 활성화된 노선이 어느 방면으로 향하는 노선인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에서 제어부(150)는 순방향 노선 및 역방향 노선에 각각 대응되는 방면정보를 표시부(140)에 표시된 화면에서 서로 다른 영역에 동시 표시하고, 순방향 노선이 활성화된 경우 순방향 노선에 대응되는 방면정보를 확대하고 비활성화된 역방향 노선에 대응되는 방면정보를 축소하여 표시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150)는 역방향 노선이 활성화된 경우 역방향 노선에 대응되는 방면정보를 확대하여 표시하고, 비활성화된 순방향 노선에 대응되는 방면정보를 축소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동시 표시된 서로 다른 방면정보 중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방면정보에 대응되는 순방향 노선 또는 역방향 노선 중 어느 하나에 대한 노선방향을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순방향 노선 또는 역방향 노선 중 어느 하나가 활성화될 때 비활성화된 노선에 대응되는 정차역을 활성화된 노선에 대응되는 정차역과 상이하게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동하는 방향에 대응되는 노선에 포함되는 정차역을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순방향 노선 또는 역방향 노선 중 어느 하나의 노선 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설정 인터페이스를 표시부(140)의 일부 영역에 표시할 수 있으며, 일례로 방면정보의 일부에 해당 설정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해당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노선 방향의 고정이 선택된 경우 노선 방향을 고정하며, 노선 방향이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에 따른 스크롤 방향이 변경되는 경우 노선 방향을 변경하지 않고 활성화된 노선 자체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도 6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에 따른 스크롤 방향을 기초로 순방향 노선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술한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노선 방향의 고정이 선택되면,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에 따른 스크롤 방향이 제 2 방향으로 변경되더라도 순방향 노선에서 역방향 노선으로 전환하지 않고 순방향 노선으로 노선 방향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노선방향이 고정된 이후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에 따른 스크롤 방향을 기초로 현재 활성화된 노선 방향에 대응되는 순방향 노선 자체를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이동하기를 원하는 노선 방향에 대응되는 정차역을 노선 자체를 이동시키면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노선 방향에 대응되는 정차역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노선 방향을 고정시킨 후 사용자가 원하는 노선 방향에 대응되는 노선 자체를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하로 이동시켜 출발지 또는 목적지 설정이 용이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제어부(150)는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노선 방향이 고정된 상태에서 이후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해당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고정 해제가 선택된 경우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에 따라 기존대로 노선 방향을 변경하여 순방향 노선 및 역방향 노선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시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에서 제어부(150)는 입력부(130)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미리 설정된 설정정보를 가변하여, 해당 설정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에 따른 스크롤 방향이 제 1 방향인 경우에 역방향 노선을 활성화시키며, 스크롤 방향이 제 2 방향인 경우 순방향 노선을 활성화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어부(150)는 입력부(130)를 통해 연결되는 마우스(mouse)와 같은 외부 장치의 연결을 식별하고, 해당 외부 장치 연결시 설정정보를 자동 가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스크롤 방향과 활성화되는 노선 방향의 관계를 자동 변경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회차역을 가진 노선정보에 포함된 정차역 중에서 순방향 노선과 역방향 노선에 각각 포함된 정차역 중에서 역명이 상호 일치하는 정차역을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 사용자의 이동방면(노선 방향)에 대응되는 정차역에 대한 실시간 교통정보만을 활성화하여 제공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정차역에 대하여 사용자의 이동 방면에 대응되는 버스의 도착 예정시간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이동 방면에 대응되는 버스의 현재 위치를 활성화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 방면에 대응되는 정보만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도 7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입력부(13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선택 노선번호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해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해당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부터 해당 선택 노선번호에 대응되는 실시간 교통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에 따른 스크롤 방향을 기초로 순방향 노선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순방향 노선에 포함된 정차역 중 역방향 노선에도 존재하는 정차역이 선택된 경우 실시간 교통정보에서 선택된 정차역에 대응되는 도착예정시간 정보 중에서 순방향 노선에 대응되는 정차역에 대한 도착예정시간 정보를 추출한 후 해당 정차역과 연계하여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에 따른 스크롤 방향에 따라 순방향 노선이 활성화된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정차역에 대응되는 도착예정시간 정보 중 순방향 노선의 정차역에 대응되는 도착예정시간 정보만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에 따른 스크롤 방향에 따라 역방향 노선이 활성화된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정차역에 대응되는 도착예정시간 정보 중 역방향 노선의 정차역에 대응되는 도착예정시간 정보만을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50)는 순방향 노선 및 역방향 노선에 모두 존재하는 역명이 동일한 정차역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 현재 사용자가 원하는 이동방면(노선 방향)에 대응되는 정차역에 대한 실시간 교통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의 이동방면에 대응되는 버스의 도착 예정시간이나 현재 남은 잔여 정류장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현재 활성화된 노선에서 어느 하나의 노선방향에만 존재하는 정차역이 선택된 경우 해당 정차역에 대한 실시간 교통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전체 노선 중에서 사용자의 이동방면에 대응되는 노선만을 간단한 스크롤 입력을 통해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이동 방면의 노선에 대한 정보만을 제공하는 동시에 역명이 중복되는 정차역에 대해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이동방면에 대한 대중교통의 실시간 교통정보만을 활성화하여 제공함으로써 직관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방면의 노선 및 정차역 뿐만 아니라 정차역별 실시간 교통정보를 사용자의 이동 방면과 연계하여 파악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한편, 상술한 구성 이외에도 제어부(1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간 교통정보에 따라 선택 노선번호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버스별 위치를 사용자의 의해 선택된 선택 노선번호에 대응되는 동적 노선정보에 따른 노선 상에 표시하고, 버스별 위치가 표시된 동적 노선정보를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을 기초로 현재 활성화된 노선 방향에 대응되는 버스 이미지를 비활성화된 노선 방향에 대응되는 버스 이미지와 상이하게 노선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150)는 활성화된 노선 방향이 순방향 노선인 경우 순방향 노선에 대응되는 이동 방면을 가진 각 버스를 실시간 교통정보에 따른 현재 위치에 따라 버스 이미지로 표시하고, 역방향 노선에 대응되는 이동 방면을 가진 각 버스를 실시간 교통정보에 따른 버스별 현재 위치에 따라 점으로서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원하는 이동방면에 대응되는 버스의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 이외에도, 제어부(150)는 입력부(130)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된 동적 노선정보에서 특정 영역을 드래깅(dragging 또는 드래그(drag))하는 경우 노선 방향의 전환 없이 노선 자체를 이동시킬 수 있는데 이를 도 8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선택 노선번호에 대응되는 노선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노선정보가 회차역을 가진 노선정보인 경우 동적 노선정보를 생성하여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때, 제어부(150)는 동적 노선정보를 기초로 노선에 대한 노선 이미지(경로)를 표시하기 위한 노선 표시 영역(b)과, 노선에 포함된 각 정차역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정차역 표시 영역(a)을 구분하여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입력부(130)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정차역 표시 영역(a)을 선택하여 드래그하는 경우 노선 방향을 고정한 상태로 노선 표시 영역(b)에 표시된 노선 이미지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편리하게 원하는 이동 방면에 대응되는 노선 방향을 고정한 상태로 이동시키면서 정차역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을 위한 사용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이동 방면에 대응되는 노선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정차역의 위치를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선택한 정차역이 서로 다른 노선 방향에 모두 존재하는 정차역인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이동방면에 대응되는 정차역만의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하여 사용자가 정차역을 용이하게 찾아갈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데 이를 도 9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입력부(130)를 통한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에 따른 스크롤 방향을 기초로 순방향 노선이 활성화된 경우 순방향 노선에서 선택된 정차역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동적 노선정보에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저장부(120)에 미리 저장된 지도정보를 로드하고, 해당 동적 노선정보에서 추출된 위치정보를 지도정보 상에 표시한 후 표시부(1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입력부(130)를 통한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에 따른 스크롤 방향을 기초로 역방향 노선이 활성화된 경우 역방향 노선에서 선택된 정차역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동적 노선정보에서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해당 동적노선 정보에서 추출된 역방향 노선의 정차역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지도정보 상에 표시한 후 표시부(1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50)는 현재 활성화된 노선 방향에 대응되는 정차역을 식별하고, 식별된 정차역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정차역에 대한 위치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이동방면에 대응되는 정차역(정거장)의 위치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정차역이 서로 다른 노선방향에 모두 존재하는 정차역인 경우에도 현재 활성화된 노선 방향에 해당되는 정차역의 위치만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이동방면에 대응되는 버스를 탑승할 수 있는 정차역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회차역을 가진 노선정보를 사용자가 선택한 방향에 따라 인터랙티브하게 활성화되는 동적 노선정보로 변경하여 제공하고,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에 따라 사용자의 이동방면에 대응되는 순방향 노선 또는 역방향 노선만을 활성화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이동방면에 대응되는 노선을 직관적이며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존과 같이 순방향 노선과 역방향 노선을 일체로 모두 표시하여 제공하는 기존의 노선 제공 방식과 달리 사용자의 혼동을 최소화하고 사용자의 대중교통 이용에 대한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사용자 장치(100)의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에 따라 활성화된 순방향 노선 또는 역방향 노선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된 정차역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정차역에 대한 대중교통의 도착예정시간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노선번호에 대응되는 대중교통 수단의 현재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실시간 교통정보를 현재 활성화된 노선 방향과 연계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한 이동방면에 대응되는 대중교통 수단의 실시간 교통정보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 방법에 대한 순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100)의 제어부(150)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노선정보가 회차역을 가진 노선정보인 경우 서로 다른 노선 방향을 가지며 상호 동일 역명을 가진 서로 다른 정차역을 하나의 통합역으로 병합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기존 노선정보의 길이 및 용량을 줄이는 동시에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에 따른 스크롤 방향을 기초로 어느 하나의 노선 방향만이 활성화되는 동적 노선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데 이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상술한 동적 노선정보는 사용자 장치(100)의 제어부(150)가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서 해당 동적 노선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우선, 도 10을 참고하면 사용자 장치(100) 또는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노선번호에 대응되는 노선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노선정보가 순환버스가 아닌 경우(S11) 회차역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회차역이 존재하는 경우(S12) 동적 노선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회차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S12) 노선정보를 그대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을 참고하여 사용자 장치(100) 또는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 장치(200)의 동적 노선정보 생성 과정을 설명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선택 노선번호에 대응되는 노선정보가 회차역을 가진 노선정보인 경우 회차역의 전 또는 후의 정차역을 회차역과 비교하여 역명이 일치하는 경우(S1) 해당 노선정보에서 회차역과 역명이 일치하는 정차역을 하나의 통합역으로 병합할 수 있다(S2).
또한, 사용자 장치(100) 또는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노선정보에서 회차역의 이전 정차역들에 대하여 통합역에 인접한 순서대로 각 이전 정차역을 기준으로 회차역의 이후 정차역을 스캔하여 해당 이전 정차역과 역명이 동일한 해당 이후 정차역이 존재하는 경우 통합역으로부터 출발지역 방향으로 해당 이전 정차역의 순서를 판단할 수 있다(S3, S4, S5).
또한, 사용자 장치(100) 또는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노선정보에서 회차역의 이후 정차역들에 대하여 통합역에 인접한 순서대로 각 이후 정차역을 기준으로 회차역의 이전 정차역들을 스캔하여 역명이 해당 이후 정차역과 동일한 해당 이전 정차역이 존재하는 경우 통합역으로부터 출발지역 방향으로 해당 이후 정차역의 순서를 판단할 수 있다(S6, S7, S8).
이후, 사용자 장치(100) 또는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이전 정차역의 순서와 이후 정차역의 순서를 상호 비교하여(S9) 노선정보에서 순서가 늦거나 같은 이전 정차역과 이후 정차역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역명이 동일한 다른 정차역을 병합하여 신규 통합역으로 생성하고(S10), 상술한 통합역을 신규 통합역으로 대체하여 상술한 동작을 반복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장치(100) 또는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회차역의 모든 이전 정차역 또는 이후 정차역에 대응되어 스캔이 완료되면, 통합역 및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신규 통합역을 포함하는 동적 노선정보를 생성하고, 해당 동적 노선정보를 이용하여 도 1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1의 동작 구성에 대한 일례를 사용자 장치(100)를 기준으로 도 12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100)는 노선정보에서 회차역을 식별하고, 회차역을 기준으로 이전 또는 이후의 정차역 중 회차역과 동일한 역명을 가진 정차역을 회차역과 병합하여 통합역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장치(100)는 통합역을 기준으로 통합역과 인접한 순서대로 통합역 이전의 정차역 각각에 대하여 통합역 이후의 정차역들을 스캔하여 통합역 이전의 정차역에 대한 역명과 동일한 역명을 가진 정차역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으며, 존재하는 경우 통합역을 기준으로 통합역 이후의 정차역과 동일한 역명을 가진 통합역 이전의 정차역에 대한 순서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100)는 통합역 이전의 정차역인 A역에 대하여 통합역 이후의 정차역인 A역, B역, C역, D역 등을 스캔하여 통합역 이전의 정차역인 A역과 동일한 역명을 가진 정차역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 결과 통합역 이후의 정차역 중 통합역 이전의 정차역인 A역과 동일한 역명을 가진 정차역이 존재하므로, 통합역을 기준으로 통합역 이전의 정차역인 A역의 순서를 1번째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100)는 통합역을 기준으로 통합역과 인접한 순서대로 통합역 이후의 정차역 각각에 대하여 통합역 이전의 정차역들을 스캔하여 통합역 이후의 정차역과 동일한 역명을 가진 정차역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100)는 통합역 이후의 정차역인 A역에 대하여 통합역 이전의 정차역인 A역, E역, D역 등을 스캔하여 통합역 이후의 정차역인 A역과 동일한 역명을 가진 정차역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 결과 통합역 이전의 정차역 중 통합역 이후의 정차역인 A역과 동일한 역명을 가진 정차역이 존재하므로, 통합역을 기준으로 통합역 이후의 정차역인 A역의 순서를 1번째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장치(100)는 순서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역명이 같은 통합역 이전의 정차역인 A역의 순서와 통합역 이후의 정차역인 A역의 순서를 비교하여 순서가 같은 경우 통합역 이전의 정차역인 A역과 통합역 이후의 정차역인 A역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다른 하나를 병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100)는 순방향 노선에 대응되는 통합역 이전의 정차역인 A역과 역방향 노선에 대응되는 통합역 이후의 정차역인 A역을 하나의 신규 통합역으로 병합하여, 신규 통합역 A로 대체할 수 있다.
다음, 사용자 장치(100)는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통합역을 가장 최근에 병합된 신규 통합역으로 대체하고, 신규 통합역(A역)을 기준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신규 통합역 이전의 정차역인 E역과 신규 통합역 이후의 정차역들을 비교하여 동일 역명을 가진 정차역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장치(100)는 동일 역명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다음 정차역에 대해서 상술한 구성을 반복하며, 이에 따라 신규 통합역 이후의 정차역 중 신규 통합역 이전의 정차역인 D역과 동일한 역명을 가진 정차역이 존재하므로, 해당 신규 통합역을 기준으로 신규 통합역 이전의 정차역인 D역에 대한 순서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해당 신규 통합역 이전의 정차역인 D역의 순서를 2번째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장치(100)는 신규 통합역(A역)을 기준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신규 통합역 이후의 정차역인 B역, C역 각각에 대하여 신규 통합역 이전의 정차역들을 스캔을 통해 비교하여 동일 역명을 가진 정차역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장치(100)는 B역 및 C역과 동일 역명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다음 정차역에 대해서 상술한 구성을 반복하며, 이에 따라 신규 통합역 이전의 정차역 중 신규 통합역 이후의 정차역인 D역과 동일한 역명을 가진 정차역이 존재하므로, 해당 신규 통합역을 기준으로 신규 통합역 이후의 정차역인 D역에 대한 순서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해당 신규 통합역 이후의 정차역인 D역의 순서를 4번째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장치(100)는 역명이 상호 동일한 신규 통합역 이전의 정차역인 D역과 신규 통합역 이후의 정차역인 D역의 순서를 비교할 수 있으며, 순서가 더 늦은 신규 통합역 이후의 정차역인 D역을 기준으로 신규 통합역 이전의 정차역을 병합하여 노선정보에 포함된 서로 다른 D역을 하나의 신규 통합역인 D역으로 대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장치(100)는 순서가 더 늦은 정차역을 기준으로 역명이 동일한 다른 정차역을 병합함으로써 최근에 병합되는 정차역과 기존 통합역 사이에 위치하는 정차역이 모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장치(100)는 가장 최근에 병합된 신규 통합역인 D역을 기준으로 상술한 구성을 반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차역의 모든 이전 정차역 또는 이후 정차역에 대응되어 스캔이 완료되면, 회차역과 서로 다른 복수의 신규 통합역을 포함하는 동적 노선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100)는 통합역을 제외한 나머지 정차역에 대해서 회차역을 기준으로 이전 또는 이후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순방향 노선 또는 역방향 노선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정차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 장치(100)는 회차역을 가진 기존 노선정보의 길이를 줄인 동적 노선정보를 생성한 후 기존 노선정보를 대체하여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순서도의 동작 구성은 사용자 장치(100)의 제어부(150)에서 실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을 토대로 사용자 장치(100)는 동적 노선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에 따른 스크롤 방향을 기초로 스크롤 방향이 제 1 방향인 경우 순방향 노선을 활성화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스크롤 방향이 역방향인 경우 역방향 노선을 활성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사용자 장치(100),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0),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운영 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100),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는 각각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100),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장치(100),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 장치(200)를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사용자 장치(100),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사용자 장치(100),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100),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 장치(200) 등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사용자 장치(100),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 장치(200)의 내장 메모리에 저장 및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 및 설치한 스마트 카드 등의 외장 메모리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장치(100),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 장착될 수도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회차역을 가진 노선정보를 사용자가 선택한 방향에 따라 인터랙티브하게 활성화되는 동적 노선정보로 변경하여 제공하고,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에 따라 사용자의 이동방면에 대응되는 순방향 노선 또는 역방향 노선만을 활성화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이동방면에 대응되는 노선을 직관적이며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존과 같이 순방향 노선과 역방향 노선을 단일 노선상에 모두 표시하여 제공하는 기존의 노선 제공 방식과 달리 사용자의 혼동을 최소화하고 사용자의 대중교통 이용에 대한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내비게이션 시스템 분야,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분야, LBS(Location based Service) 분야 등에서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100: 사용자 장치 110: 통신부
120: 저장부 130: 입력부
140: 표시부 150: 제어부
200: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 장치

Claims (11)

  1. 대중교통 수단의 노선번호별 노선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노선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선택된 노선번호에 대응되는 노선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며, 상기 노선정보가 회차역을 가진 노선정보인 경우 상기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을 기반으로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스크롤 방향에 따라 상기 노선정보를 기초로 회차역 방면에 대응되는 순방향 노선에 대한 정보만을 활성화하여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 중 다른 하나의 스크롤 방향에 따라 상기 노선정보를 기초로 출발지역 방면에 대응되는 역방향 노선에 대한 정보만을 활성화하여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을 위한 사용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 및 표시부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롤 방향이 제 1 방향인 경우 순방향 노선에 대한 정보만을 활성화하며, 상기 스크롤 방향이 제 2 방향인 경우 역방향 노선에 대한 정보만을 활성화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을 위한 사용자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통신망을 통해 상기 노선정보 및 상기 노선번호에 대응되는 대중교통 수단의 실시간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노선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선택된 노선번호에 대한 노선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할 때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선택된 노선번호에 대응되는 대중교통 수단의 실시간 교통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된 순방향 노선 또는 역방향 노선과 연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을 위한 사용자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롤 방향에 따라 활성화된 순방향 또는 역방향 노선 중 어느 하나의 노선 방향에 따라 상기 실시간 교통정보에서 활성화된 상기 노선 방향 및 노선번호에 대응되는 대중교통 수단별 실시간 위치정보 및 활성화된 상기 노선 방향에 대응되는 정차역별 실시간 도착예정시간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활성화된 순방향 노선 또는 역방향 노선에 대한 정보와 연계하여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을 위한 사용자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활성화된 순방향 노선 또는 역방향 노선에 포함되는 복수의 정차역 중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선택된 정차역에 대응되는 상기 실시간 위치정보 및 실시간 도착예정시간 정보를 정차역과 연계하여 표시하며, 상기 선택된 정차역이 순방향 노선 및 역방향 노선에 모두 포함된 정차역인 경우 활성화된 상기 노선 방향에 대응되는 정차역의 위치정보를 상기 노선정보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지도정보를 로드하여 상기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며, 상기 표시부를 통해 해당 지도정보에 따른 지도 상에 상기 위치정보에 따른 위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을 위한 사용자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선정보에 미리 설정된 방면정보 중 사용자의 스크롤 방향에 따라 선택된 상기 회차역 방면 또는 출발지역 방면에 대응되는 방면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된 화면의 일부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화면의 일부 영역에 미리 설정된 노선 방향의 고정을 위한 설정 인터페이스 선택시 현재 활성화된 상기 노선 방향을 고정하며, 상기 노선 방향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스크롤 방향에 따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된 노선을 이동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을 위한 사용자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된 화면 중 미리 설정된 영역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드래그 방향에 따라 현재 활성화된 순방향 노선 또는 역방향 노선 중 어느 하나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을 위한 사용자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선정보에서 회차역을 기준으로 이전 또는 이후에 위치하는 정차역들에 대하여 역명이 동일한 정차역끼리 병합하여 통합역을 생성하고, 상기 통합역으로 구성된 동적 노선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노선정보를 대체하며, 상기 동적 노선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에 따른 스크롤 방향을 기초로 상기 순방향 노선 또는 역방향 노선을 활성화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을 위한 사용자 장치.
  9. 통신망을 통해 대중교통 수단의 노선번호별 노선정보 및 상기 노선번호에 대응되는 대중교통 수단의 실시간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노선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선택된 노선번호에 대응되는 노선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하며, 상기 노선정보가 회차역을 가진 노선정보인 경우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을 기반으로 스크롤 방향이 제 1 방향인 경우 상기 노선정보를 기초로 회차역 방면에 대응되는 순방향 노선에 대한 정보만을 활성화하여 표시하고, 상기 스크롤 방향이 제 2 방향인 경우 상기 노선정보를 기초로 출발지역 방면에 대응되는 역방향 노선에 대한 정보만을 활성화하여 표시하며, 상기 선택된 노선번호에 대응되어 상기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실시간 교통정보에서 상기 스크롤 방향에 따라 활성화된 순방향 또는 역방향 노선 중 어느 하나의 노선 방향에 대응되는 대중교통 수단별 실시간 위치정보 및 활성화된 상기 노선 방향에 대응되는 정차역별 실시간 도착예정시간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활성화된 순방향 노선 또는 역방향 노선에 대한 정보와 연계하여 표시하는 사용자 장치를 포함하는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 시스템.
  10. 대중교통 수단에 대한 노선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장치 또는 대중 교통 서비스 제공 장치의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미리 저장된 노선정보에서 회차역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회차역 존재시 상기 회차역의 전 또는 후의 정차역을 상기 회차역과 비교하여 역명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노선정보에서 상기 회차역과 상기 정차역을 하나의 통합역으로 병합하는 단계;
    상기 노선정보에서 상기 회차역의 이전 정차역들에 대하여 상기 통합역에 인접한 순서대로 상기 각 이전 정차역을 기준으로 상기 회차역의 이후 정차역을 스캔하여 역명이 상기 이전 정차역과 동일한 상기 이후 정차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통합역으로부터 출발지역 방향으로 상기 이전 정차역의 순서를 판단하는 제 1 판단 단계;
    상기 노선정보에서 상기 회차역의 이후 정차역들에 대하여 상기 통합역에 인접한 순서대로 상기 각 이후 정차역을 기준으로 상기 회차역의 이전 정차역들을 스캔하여 역명이 상기 이후 정차역과 동일한 상기 이전 정차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통합역으로부터 출발지역 방향으로 상기 이후 정차역의 순서를 판단하는 제 2 판단단계;
    상기 이전 정차역의 순서와 상기 이후 정차역의 순서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노선정보에서 상기 순서가 더 늦거나 같은 상기 이전 정차역 및 이후 정차역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역명이 동일한 다른 정차역을 병합하여 신규 통합역으로 생성하고, 상기 통합역을 상기 신규 통합역으로 대체하는 대체 단계; 및
    상기 제 1 및 제 2 판단 단계와 상기 대체 단계를 반복하여 상기 회차역의 모든 이전 정차역 또는 이후 정차역에 대응되어 스캔이 완료되면, 상기 통합역 및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신규 통합역을 포함하는 동적 노선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 방법.
  11. 제 10항에 따른 상기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150146877A 2015-10-21 2015-10-21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799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877A KR101799413B1 (ko) 2015-10-21 2015-10-21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877A KR101799413B1 (ko) 2015-10-21 2015-10-21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478A true KR20170046478A (ko) 2017-05-02
KR101799413B1 KR101799413B1 (ko) 2017-11-20

Family

ID=58742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6877A KR101799413B1 (ko) 2015-10-21 2015-10-21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94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4738A (ko) * 2019-02-27 2020-09-04 네이버 주식회사 인터렉티브 지하철 노선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5249B1 (ko) 2005-11-15 2012-02-15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스크롤 시 현재위치의 방향을 표시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및 그 방법
KR100981176B1 (ko) * 2008-06-30 2010-09-10 (주)엠앤소프트 화면 스크롤에 의한 지도 표시정보 제한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4738A (ko) * 2019-02-27 2020-09-04 네이버 주식회사 인터렉티브 지하철 노선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9413B1 (ko) 2017-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2776B2 (en) User equipment for recognizing object and displaying database matching result, contro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EP3686723B1 (en) User terminal device providing user interaction and method therefor
US103035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grating virtual machine for improving mobile user experience
US10261683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screen display method thereof
US1004348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thereof
KR102219861B1 (ko) 화면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303328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601622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multi-screen display
KR102213190B1 (ko) 홈스크린 구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US20180132088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s Amended)
KR2016000126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99297A (ko) 전자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
AU20152026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nput using display
US20160018954A1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161446B1 (ko) 터치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215178B1 (ko) 전자장치에서 사용자 입력 방법 및 장치
US20160124599A1 (en) Method for controlling multi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166772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60035865A (ko) 오브젝트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9886743B2 (en) Method for inputting data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1632220B1 (ko)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그리고, 제어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US201503252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peech recognition information
US20150331600A1 (en) Operating method using an input control object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101799413B1 (ko)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464911B1 (ko) Ui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