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6097A - 저 손실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 - Google Patents

저 손실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6097A
KR20170046097A KR1020160136226A KR20160136226A KR20170046097A KR 20170046097 A KR20170046097 A KR 20170046097A KR 1020160136226 A KR1020160136226 A KR 1020160136226A KR 20160136226 A KR20160136226 A KR 20160136226A KR 20170046097 A KR20170046097 A KR 20170046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light
optical waveguide
temperature
bragg g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6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학규
박준오
서준규
박수현
Original Assignee
(주)켐옵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켐옵틱스 filed Critical (주)켐옵틱스
Publication of KR20170046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0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 G02B6/293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 G02B6/29346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operating by wave or beam interference
    • G02B6/29347Loop interferometers, e.g. Sagnac, loop mirr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01Add-and-drop multiplexing
    • H04J14/0202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Modulation, Optical Deflection, Nonlinear Optics, Optical Demodulation, Optical Logic Elements (AREA)
  • Optical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반사형 브래그 격자 필터 대신 샤냑 간섭계를 이용하여 광도파로의 일단에 입사되는 광대역 광의 특정 파장 성분을 출사시키면서, 광의 손실이 적게 일어나는 저 손실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에 관한 것으로, 입사된 입사광(10)을 복수의 분리광(20)으로 분광하여 출력하거나, 재입사되는 분리광(20)을 하나로 결합하여 출력하는 광 커플러(100), 상기 분리광(20)이 상기 광 커플러(100)로 재입사되도록 상기 광 커플러(100)의 타측에 폐회로로 형성되는 광 도파로(200), 상기 광 도파로(200)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광(20)이 양단에 입사되고, 상기 분리광(20)의 특정 파장은 반사하고, 그 외의 파장은 투과시키는 브래그격자(300) 및 상기 브래그격자(300)에 설치되어 온도를 조절해 상기 브래그격자(300)에서 반사되는 상기 분리광(20)의 특정 파장을 결정하는 제1온도조절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저 손실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Low loss transmission type tunable optical filter}
본 발명은 저 손실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반사형 브래그 격자 필터 대신 샤냑 간섭계를 이용하여 광도파로의 일단에 입사되는 광대역 광의 특정 파장 성분을 출사시키면서, 광의 손실이 적게 일어나는 저 손실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에 관한 것이다.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WDM,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은 여러 파장대역을 동시에 전송하는 광 다중화 방식으로써, 광통신 분야 대부분의 기간망 및 메트로망에 적용되는 기술이다.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입력 채널 신호들을 각기 할당된 채널 파장대역으로 하여, 하나의 광섬유에 동시에 전송하는 광 다중화 방식이다. 이러한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의 전송망은 광전변화 없이 일부의 광파장을 선별적으로 분기 또는 결합할 수 있고, 또 일부는 통과시킬 수 있는 광 분기결합 전송장치(OADM, Optical Add/Drop Multiplexer)가 필수적으로 설치된다.
최근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은 전송망에 파장 가변 레이저 및 파장 가변 광필터를 사용하여 전송망의 유연성을 높이면서도 재고 부담과 운용비용을 낮추려 하는 추세이다.
상기한 파장 가변 광필터는 입력 광신호 중에서 원하는 파장만을 가변하여 필터링하는 소자로써, 다양한 방식이 있으며, 이에 관하여 D.Sadot와 E.Boimovich가 IEEE Comunications Magazine의 1998년 12월호 p.50-55에 게시한 "Tunable Optical Fiters for Dense WDM Networks"에 잘 설명되어 있다.
파장 가변 광필터 중 반사형 파장 가변 광필터에는 광섬유 브래그 회절 격자(Fiber Bragg Gratings, 이하 브래그 격자)가 사용되는데, 브래그 격자는 격자 주기가 0.5μm 내외인 격자로써, 입사되는 광의 브래그 파장에 해당하는 파장만을 광의 입사 방향과 반대 방향의 코어모드와 결합시킨다.
도 1은 종래의 브래그 격자를 이용한 반사형 파장 가변 광필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1에 나타낸 그래프는 광필터의 각 지점에서 파장에 따른 광의 세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에서 출사된 광대역 광은 광결합에 의해 광도파로의 일반(코어의 일단)에 입사되고, 광도파로에 형성된 브래그 격자에서 반사되는 파장의 광이 상기 광도파로의 일단으로 재입력되는 광과의 공진에 의해 상기 브래그 격자의 반사 대역의 중심 파장을 갖는 발진 파장을 얻게 되며, 이 발진 파장은 상기 광도파로의 일단으로 출사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반사되어 출사되는 광을 입사광과 구분하기 위해 고가의 광 써큘레이터(Optical Circulator)와 같은 별도의 광소자를 광원과 광 도파로 사이에 위치시켜야 하는데, 이러한 광 서큘레이터가 추가됨으로써 파장 가변 광 필터 장비가 경제적이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Tunable Optical Fiters for Dense WDM Networks", IEEE Comunications Magazine, 1998.12 p.50-55, D.Sadot, E.Boimovich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저 손실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저 손실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의 목적은 광필터를 이용해 반사되는 광의 파장을 용이하게 조절하면서도 광서큘레이터와 같은 광소자를 사용하지 않아도 필터링된 광과 입사광을 구분할 수 있어 종래보다 경제적인 저손실 투과형 파장 가변 광 필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저 손실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는, 입사된 입사광(10)을 복수의 분리광(20)으로 분광하여 출력하거나, 재입사되는 분리광(20)을 하나로 결합하여 출력하는 광 커플러(100), 상기 분리광(20)이 상기 광 커플러(100)로 재입사되도록 상기 광 커플러(100)의 타측에 폐회로로 형성되는 광 도파로(200), 상기 광 도파로(200)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광(20)이 양단에 입사되고, 상기 분리광(20)의 특정 파장은 반사하고, 그 외의 파장은 투과시키는 브래그격자(300) 및 상기 브래그격자(300)에 설치되어 온도를 조절해 상기 브래그격자(300)에서 반사되는 상기 분리광(20)의 특정 파장을 결정하는 제1온도조절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 손실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는 상기 광도파로(200)에 설치되어 온도를 조절해 상기 분리광(20)의 위상을 조절하는 제2온도조절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온도조절부(400) 및 제2온도조절부(500)는 각각 온도센서, 가열수단 및 냉각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 손실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는 상기 제1온도조절부 또는 제2온도조절부에 포함된 온도센서로부터 온도정보를 수신하며, 이를 기준으로 상기 가열수단 또는 냉각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 도파로(200)는 고분자 화합물(Polymer)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도파로(200)는 기하학적 구조가 립(rib)구조, 리지(ridge)구조, 인버터드 립(inverted rib)구조, 인버티드 리지(inverted ridge)구조 또는 채널(channel)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한 저 손실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광 써큘레이터를 사용하지 않고 비교적 저가인 광 결합기를 사용하여 입사광의 특정 파장 대역을 출사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반사형 파장 가변 광필터에 비해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입사되는 광대역 광 중, 특정 파장을 용이하게 출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종래의 브래그 격자를 이용한 반사형 파장 가변 광필터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광 도파로 및 브래그격자의 상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광 도파로의 다양한 기하학적 구조.
도 5는 본 발명의 제1분리광의 설명을 위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분리광의 설명을 위한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저 손실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저 손실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저 손실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는 광 커플러(100), 광 도파로(200), 브래그격자(300), 제1온도조절부(400) 및 제2온도조절부(50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광 커플러(100)는 일반적인 광 결합기 또는 포토 커플러(Optical Coupler, Optical Combiner)라고 불리는 광 소자의 일종으로, 입사되는 광을 2개 이상으로 분광하여 전파시키거나, 반대로 2개 이상으로 전파된 광을 하나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광 커플러(100)는 입사광을 분광하는 개수를 짝수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광 커플러(100)는 광 서큘레이터보다 저렴한 소자로, 이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반사형 파장 가변 광필터에 비해 장치가 저렴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2에서 상기 광 커플러(100)는 일측으로 입사되는 입사광(10)을 복수의 분리광(20)으로 분광하여 타측으로 출력하는데,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광 커플러(100)는 2 by 2 광 커플러로, 상기 입사광(10)을 두 개의 분리광(20)으로 분광하고, 재입사되는 두 개의 분리광을 하나로 결합시켜 출력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광 커플러(100)가 2 by 2 라는 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2 by 4와 같이 입사되는 입사광의 개수 및 분광되는 분사광의 개수가 조절된 종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 커플러(100)는 상기 입사광(10)을 두 개의 분리광(20)으로 분광하는데, 도 2의 상측으로 분광된 분리광을 제1분리광(21), 하측으로 분광된 분리광을 제2분리광(22)이라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 도파로(200)는 상기 분리광(20)이 상기 광 커플러(100)로 재입사되도록 상기 광 커플러(100)의 타측에 폐회로로 형성된다. 상기 광 도파로(200)는 광이 지나가는 경로가 되는 구성으로, 일반적인 전기회로의 전선에 대응되는 광회로의 구성이다.
도 3은 도 2의 부분 중 상기 광 도파로(200) 및 브래그격자(300)의 부분을 확대한 것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광 도파로(200) 및 브래그격자(300)의 상세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광 도파로(200)는 상하측에 위치한 상부 클래딩(210), 하부 클래딩(220) 및 상기 상부, 하부 클래딩 사이에 위치하는 코어(230)로 구성된다.
상기 코어(230)는 광이 지나가는 경로이고, 상기 상부 클래딩(210) 및 하부 클래딩(220)은 상기 코어(230)와의 굴절율 차이를 통해 광의 전반사를 일어나게 하여, 광이 상기 코어(230)를 따라 전송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광 도파로(200)는 상기 광 결합기(100)의 타측으로 폐회로를 형성한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광 도파로(200)가 형성하는 폐회로는 단일개지만, 이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사용자의 설계 사항 및 상기 광 결합기(100)의 사양에 따라 다양한 개수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결합기가 2 by 4 형태가 사용되었을 때, 상기 광 도파로는 광 결합기의 타단에 두 개의 폐회로가 형성되도록 광 결합기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 도파로(200)는 다양한 구조가 있을 수 있는데, 기하학적 구조가 립(rib)구조, 리지(ridge)구조, 인버터드 립(inverted rib)구조, 인버티드 리지(inverted ridge)구조 또는 채널(channel)구조 중 하나이며, 상기 광 도파로(200)의 구조들에 관해서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은 브래그 격자의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상부 클래딩(210), 하부 클래딩(220) 및 코어(230)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고, 상기 코어(230)에 형성된 브래그격자(3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광 도파로(20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열광학 효과가 우수한 고분자 화합물(Polymer)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래그격자(Fiber Bragg Grating)(300)는 입사되는 광의 특정 파장은 반사시키고, 그 외의 파장은 투과시키는 역할을 하는 광소자이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래그격자(300)는 상기 광 도파로(200)에 형성되되, 상기 광 도파로(200) 중, 상기 제1분리광(21)이 진행한 거리보다 상기 제2분리광(22)이 진행한 거리가 긴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브래그격자(300)는 상기 광 도파로(200)의 클래딩 또는 코어에, 입사되는 광의 진행 방향에 대해 일정한 주기를 갖는 홈을 형성하여 제작되며, 홈의 빈 공간(공기)이 상기 브래그격자(300)를 형성하거나, 상기 홈에 실리콘 산화물, 폴리실리콘과 같은 물질을 채워 브래그 격자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브래그격자(300)를 형성하는 홈은 입사된 광이 진행하는 광 도파로(200)의 굴절률에 주기적은 섭동을 가함으로써, 격자들 사이의 간격에 의해 결정되는 파장을 반사한다.
상기 브래그격자(300)는 폐회로를 형성하는 상기 광 도파로(200) 상에 형성되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래그격자(300)의 양측으로 상기 광 도파로(200)가 형성되어 있다. 즉, 이를 통해 상기 브래그격자(300)의 양단으로는 각각 상기 제1분리광(21) 및 제2분리광(22)이 입사되고, 상기 제1분리광(21) 및 제2분리광(22) 각각의 특정 파장은 입사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반사되고, 특정 파장은 투과하게 된다.
상기 브래그격자(300) 또한 상기 광 도파로(200)와 마찬가지로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온도조절부(400)는 상기 브래그격자(300)에 설치되어 온도를 조절해 상기 브래그격자(300)에서 반사되는 상기 분리광(20)의 특정 파장을 결정한다. 상기 브래그격자(300)가 특정 파장을 반사하는 파장
Figure pat00001
은 다음의 식 1에 나타낸 격자 방정식에 의해 결정된다.
[식 1]
Figure pat00002
(여기서 m은 브래그 격자의 차수를 나타내는 1, 3, 5, 7과 같은 홀수, n은 광도파로의 유효 굴절률,
Figure pat00003
은 브래그 격자의 주기)
한편, 상기 브래그격자(300)는 온도 민감도를 가지고 있어 온도 변화에 따라 반사되는 파장을 달리할 수 있다. 이의 원인은 열 광학 효과(Thermo-optic effect)로 인한 상기 브래그격자(300)의 굴절률 변화로, 온도의 변화에 의해 상기 브래그격자(300)의 미세구조의 광학적 주기에 변동이 발생하여 반사하는 파장을 달리할 수 있으며, 이는 다음의 식 2에 나타난다.
[식 2]
Figure pat00004
(여기서 m은 브래그 격자의 차수를 나타내는 1, 3, 5, 7과 같은 홀수, n은 광도파로의 유효 굴절률,
Figure pat00005
은 브래그 격자의 주기, T는 온도,
Figure pat00006
은 초기 반사 파장)
상기 식 2에서 나타나듯, 온도에 대한 반사 파장의 변화량은 온도에 대한 유효 굴절률의 변화량과 격자 주기의 변화량의 합에 비례한다. 예를 들어, 격자 차수 m이 1, 초기 반사 파장
Figure pat00007
이 1550nm인 실리콘 도파로 브래그 격자를 가정하면, 온도에 대한 반사 파장의 변화는 0.085nm/K로, 100GHz 간격의 16채널에 해당하는 12nm가변을 위한 온도는 약 142K임을 알 수 있다. 상기 예에서 실리콘의 열광학계수,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이고, 온도에 의한 주기의 변화는 무시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브래그격자(300)에 열 광학 효과를 일으켜 반사되는 파장 및 투과되는 파장을 조절하려면 상기 브래그격자(300)상에 상기 제1온도조절부(400)를 포함하여야 한다.
상기 제1온도조절부(400)는 상기 브래그격자(300)의 온도를 정밀하게 조절시켜야 하므로, 온도를 상승시킬 뿐 아니라 하강시키는 수단이 필요하며, 별도로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상기 제1온도조절부(400)는 온도센서, 가열수단 및 냉각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1온도조절부(400)를 통해 상기 브래그격자(300)의 광학적 주기를 조절하는 방식은 종래의 광섬유에 격자를 형성한 후, 상기 광섬유를 기계적으로 인장시키는 방법에 비하여 상기 브래그격자(300)에 가해지는 물리적 스트레스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종래의 기계적 방식에 비해 파장 가변 범위가 크기 때문에, 종래의 방식에 비해 보다 효과적인 방식이다.
상기 제1온도조절부(400)에 포함되는 온도센서는 상기 브래그격자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구성으로, 주변의 온도에 따라 전기적 성질(전압, 저항 또는 전류량)이 변화하는 통상적인 온도센서 일 수 있고, 일예로 써미스터(Thermistor)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온도조절부(400)에 포함되는 가열수단은 통상적으로 전력이 인가되어 열이 발생하는 발열체가 사용 가능하며, 상기 발열체의 재질로는 Cr, Ni, Cu, Ag, Au, Pt, Ti, Al 원소들 및 니크롬과 같은 이들의 합금으로 구성된 적층 박막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발열체가 구비된 박막히터일 수 있다.
상기 제1온도조절부(400)에 포함되는 냉각수단은 소정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흡열을 발생하는 통상의 열전소자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제1온도조절부(400) 외에도 상기 광도파로(200)에 설치되어 온도를 조절하는 제2온도조절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온도조절부(500)의 역할은 상기 제2온도조절부(500)가 설치된 광도파로(200)를 진행하는 분리광의 위상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온도조절부(400)와 동일하게 온도센서, 가열수단 및 냉각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온도조절부(500)에서 분리광의 위상을 조절하는 것은, 상기 제2온도조절부(500)가 설치된 광 도파로(200)의 굴절율을 변화시켜 해당 광 도파로를 진행하는 특정 파장의 분리광과, 진행하지 않는 특정 파장의 분리광 사이의 광 경로차를 발생시켜 두 분리광 사이의 위상을 조절하기 위함이다.
광 경로차는 물리적 거리와 해당 물질의 굴절율의 곱을 통해 나타나는데, 상기 제2온도조절부(500)는 온도의 변화를 통해 설치된 광 도파로(200)의 굴절율을 조절함으로써, 해당 광 도파로를 진행하는 분리광과 진행하지 않는 분리광 사이의 광 경로차를 발생시켜 위상을 동일하게 한다. 이는, 상기 브래그격자(200)의 양단에서 각각 반사된 특정 파장의 제1분리광(21)과 제2분리광(22)의 위상을 동일하게 하여, 상기 광 결합기(100)에 특정 파장의 제1분리광(21)과 제2분리광(22)의 재입사될 때, 이를 하나로 결합하여, 상기 입사광(10)의 세기와 비교했을 때, 큰 세기의 손상 없이 출력광을 결합시키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온도조절부(400) 및 제2온도조절부(500)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부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온도조절부(400) 또는 제2온도조절부(500)에 포함된 온도센서로부터 온도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기준으로 상기 가열수단 또는 냉각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빨강색 파장, 초록색 파장 및 검은색 파장을 포함하는 입사광(10) 중, 빨강색 파장을 출사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2를 참고하여, 상기 제1분리광(21)의 진행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사광(10)은 상기 광 결합기(100)의 일측을 향해 입사되어, 제1분리광(21) 및 제2분리광(22)으로 분광되되, 서로 동일한 세기로 분광된다. 이때, 상기 입사광(10)은 광대역 광으로, 다양한 파장대를 포함하는 광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빨강색 파장, 초록색 파장 및 검은색 파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결합기(100)에서 분광된 제1분리광(21)은 상측으로 형성된 상기 광 도파로(200)를 통해 진행하여, 상기 브래그격자(300)의 일측, 즉 좌측으로 입사된다. 상기 브래그격자(300)는 상기 제1분리광(21) 중 출사하고자 하는 파장인 빨강색 파장(21a)은 좌측으로 반사시키고, 그 외의 파장인 초록색 및 검은색 파장(21b)은 통과시킨다. 이때, 상기 제1온도조절부(400)를 통해 반사되는 파장의 종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 제2분리광(22)의 진행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개략도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분리광(22)은 상기 브래그격자(300)의 타측으로 입사되어 빨간색 파장(22a)은 반사되고, 그 외의 초록색 및 검은색 파장(22b)은 투과된다. 이때, 상기 제1분리광(21) 및 제2분리광(22)의 빨간색 파장(21a, 22a)은 동일한 상기 브래그격자(300)를 통해 반사되었으므로 동일한 파장 대역이고, 마찬가지로 초록색 및 검은색 파장(21b, 22b) 또한 동일한 파장 대역이다.
상기 초록색 및 검은색 파장(21b, 22b)은 동일한 경로를 진행했으므로, 서로 광 경로차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반해 상기 제1분리광(21)의 빨간색 파장(21a)은 상기 제2온도조절부(500)를 통해 굴절률이 변경된 경로를 통과하지 않았고, 상기 제2분리광(22)의 빨간색 파장(22a)은 상기 제2온도조절부(500)를 통해 굴절률이 변경된 경로를 통과하므로 광 경로차가 발생하여 위상이 상기 초록색 및 검은색 파장(21b, 22b)과 달라진다. 위상차가 발생한 상기 제1분리광(21)의 빨간색 파장(21a)과 제2분리광(22)의 빨간색 파장(22a)은 상기 광 결합기(100)의 타단으로 재입사되는데, 위상차로 인해 상기 광 결합기(100)의 일측, 즉 좌측 하단으로 출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을 통해 사용자는 광대역 광 중, 원하는 대역의 파장을 광 서큘레이터와 같은 고가의 광소자를 사용하지 않고도 출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입사광
20 : 분리광
21 : 제1분리광 22 : 제2분리광
21a, 22a : 빨간색 파장 21b, 22b : 초록색 및 검은색 파장
100 : 광 결합기
200 : 광 도파로
210 : 상부 클래딩 220 : 하부 클래딩
230 : 코어
300 : 브래그격자
400 : 제1온도조절기
500 : 제2온도조절기

Claims (6)

  1. 입사된 입사광(10)을 복수의 분리광(20)으로 분광하여 출력하거나, 재입사되는 분리광(20)을 하나로 결합하여 출력하는 광 커플러(100);
    상기 분리광(20)이 상기 광 커플러(100)로 재입사되도록 상기 광 커플러(100)의 타측에 폐회로로 형성되는 광 도파로(200);
    상기 광 도파로(200)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광(20)이 양단에 입사되고, 상기 분리광(20)의 특정 파장은 반사하고, 그 외의 파장은 투과시키는 브래그격자(300); 및
    상기 브래그격자(300)에 설치되어 온도를 조절해 상기 브래그격자(300)에서 반사되는 상기 분리광(20)의 특정 파장을 결정하는 제1온도조절부(4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손실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 손실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는
    상기 광도파로(200)에 설치되어 온도를 조절해 상기 분리광(20)의 위상을 조절하는 제2온도조절부(5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손실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온도조절부(400) 및 제2온도조절부(500)는
    각각 온도센서, 가열수단 및 냉각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손실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저 손실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는
    상기 제1온도조절부 또는 제2온도조절부에 포함된 온도센서로부터 온도정보를 수신하며, 이를 기준으로 상기 가열수단 또는 냉각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손실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 도파로(200)는
    고분자 화합물(Polymer)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손실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도파로(200)는
    기하학적 구조가 립(rib)구조, 리지(ridge)구조, 인버터드 립(inverted rib)구조, 인버티드 리지(inverted ridge)구조 또는 채널(channel)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손실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
KR1020160136226A 2015-10-20 2016-10-20 저 손실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 KR201700460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124 2015-10-20
KR20150146124 2015-10-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097A true KR20170046097A (ko) 2017-04-28

Family

ID=58702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6226A KR20170046097A (ko) 2015-10-20 2016-10-20 저 손실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60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7433A (ko) * 2017-02-23 2018-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더넷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저장 시스템들의 패브릭들에 걸친 불휘발성 메모리 익스프레스에서 대역폭 서비스 수준협약들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7433A (ko) * 2017-02-23 2018-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더넷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저장 시스템들의 패브릭들에 걸친 불휘발성 메모리 익스프레스에서 대역폭 서비스 수준협약들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0328B2 (en) Thermal control of optical components
US8620161B2 (en) Wavelength multiplexing unit and wavelength multiplexing method of wavelength multiplexing optical transmission system
US20070280326A1 (en) External cavity laser in thin SOI with monolithic electronics
KR101443997B1 (ko) 광학 필터 또는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
CN106164725B (zh) 可调栅格跟踪发射器和接收器
EP1423751B1 (en) Integrated optical signal handling device
JP2012141478A (ja) 波長選択スイッチおよび波長ずれ補正方法
JP2018085475A (ja) 多波長レーザ装置及び波長多重通信システム
EP3105869B1 (en) Optical carrier selector system and method
JP2005196211A (ja) デュアルバンド波長分割多重化器
KR101586747B1 (ko) 장주기 격자를 이용한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
Wang et al. Hitless and gridless reconfigurable optical add drop (de) multiplexer based on looped waveguide sidewall Bragg gratings on silicon
KR20170046097A (ko) 저 손실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
KR101232573B1 (ko) 광학 컴포넌트의 열적 제어
JP7302430B2 (ja) 波長可変光源、これを用いた光伝送装置、及び波長可変光源の制御方法
JP2005537500A (ja) 波長分割多重化光学性能監視装置
KR20030007496A (ko) 광 애드/드롭 다중통신 장치와, 그 제어 방법 및 광통신시스템
JP7310336B2 (ja) 光分岐挿入デバイス
Hah C-band optical filters with micromechanical tuning
KR101845269B1 (ko) 도파로 브래그 격자를 사용한 파장 가변 광수신기
KR20020021140A (ko) 동조 가능한 광 필터
KR100264950B1 (ko) 궤환잡음이 없는 파장다중방식(wdm) 통신용 파장가변광 추출/투과필터
WO2012140959A1 (ja) 温度測定システム及び温度測定方法
US11112561B2 (en) Variable wavelength filter
WO2023233581A1 (ja) 波長可変光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