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4625A - 셋탑 단말, 셋탑 단말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서버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셋탑 단말, 셋탑 단말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서버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4625A
KR20170044625A KR1020170048585A KR20170048585A KR20170044625A KR 20170044625 A KR20170044625 A KR 20170044625A KR 1020170048585 A KR1020170048585 A KR 1020170048585A KR 20170048585 A KR20170048585 A KR 20170048585A KR 20170044625 A KR20170044625 A KR 20170044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terminal
top terminal
even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9267B1 (ko
Inventor
임연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70048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9267B1/ko
Publication of KR20170044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4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 G16Y40/35Management of things, i.e. controlling in accordance with a policy or in order to achieve specified objecti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셋탑 단말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는 서버로부터 제어 명령 -상기 제어 명령은 이벤트 발생을 기초로 생성된 이벤트 신호가 미리 설정된 명령어 세트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기초로 생성됨- 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는 알림 데이터를 상기 셋탑 단말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셋탑 단말, 셋탑 단말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서버의 동작 방법{SETTOP TERMINAL, APPLICATION FOR SETTOP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OF SERVER}
아래 실시예들은 서버의 동작 및 셋탑 단말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물들이 서로 통신을 수행하는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술이 발달하고 있다. 스마트 홈, 스마트 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물들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원거리에서도 사물들을 제어할 수 있고, 사물들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 공보 제10-2011-0047764호(발명의 명칭: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출원인: 삼성전자 주식회사)에는 이동 단말이 홈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홈 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들의 리스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장치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장치의 상태 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선택된 장치에게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장치로부터 상기 선택된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상태 정보 및 상기 선택된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이 개시된다.
실시예들은 사물 간 통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사물들이 감지한 내용이 알림 또는 메시지를 통해 TV에 표시될 수 있고, IoT 서비스 사용자는 TV에 표시된 알림 또는 메시지를 확인하여 보다 용이하게 사물들이 감지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사물들의 동작을 이용하여 셋탑 단말을 제어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한 IoT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셋탑 단말의 동작 방법은 서버로부터 제어 명령 -상기 제어 명령은 이벤트 발생을 기초로 생성된 이벤트 신호가 미리 설정된 명령어 세트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기초로 생성됨- 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는 알림 데이터를 상기 셋탑 단말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알림 데이터를 상기 셋탑 단말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에 상기 알림 데이터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명령은, 이벤트 발생 기기의 객체의 움직임의 감지를 기초로 생성된 이벤트 발생 신호가 상기 미리 설정된 명령어 세트에 대응하는 경우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명령어 세트는, 상기 이벤트 발생 기기의 실행 정보를 기초로 정의되는 조건 정보 및 상기 셋탑 단말의 실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림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셋탑 단말이 상기 알림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으로 정의되는 실행 정보를 포함하는 명령어 세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림 데이터를 상기 셋탑 단말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 신호를 생성한 이벤트 발생 기기가 촬영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은 셋탑 단말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서버로부터 제어 명령 -상기 제어 명령은 이벤트 발생을 기초로 생성된 이벤트 신호가 미리 설정된 명령어 세트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기초로 생성됨- 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는 알림 데이터를 상기 셋탑 단말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실행한다.
상기 알림 데이터를 상기 셋탑 단말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에 상기 알림 데이터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명령은, 이벤트 발생 기기의 객체의 움직임의 감지를 기초로 생성된 이벤트 발생 신호가 상기 미리 설정된 명령어 세트에 대응하는 경우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명령어 세트는, 상기 이벤트 발생 기기의 실행 정보를 기초로 정의되는 조건 정보 및 상기 셋탑 단말의 실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림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셋탑 단말이 상기 알림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으로 정의되는 실행 정보를 포함하는 명령어 세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알림 데이터를 상기 셋탑 단말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 신호를 생성한 이벤트 발생 기기가 촬영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서버의 동작 방법은 제1 디바이스로부터 이벤트 발생을 기초로 생성된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신호가 미리 설정된 명령어 세트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을 기초로 상기 명령어 세트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명령을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는 알림 데이터를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에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상기 명령어 세트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실행 정보를 기초로 정의되는 조건 정보 및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실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어 세트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 신호와 상기 조건 정보가 매칭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어 세트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명령어 세트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신호가 상기 제1 디바이스로 입력된 음성 이벤트를 기초로 생성된 텍스트 이벤트인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와 세션이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세션의 설정의 확인을 기초로 상기 세션을 통해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디바이스와 연결된 무선 네트워크 장비 및 상기 제1 디바이스가 페어링된 경우,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등록 요청을 기초로 상기 제2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어 세트를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어 세트는, 상기 단말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조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조건 정보의 수신을 기초로 제2 디바이스 목록을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노출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디바이스 목록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 입력을 기초로 선택된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실행 정보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조건 정보,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정보 및 상기 실행 정보에 기초로 상기 명령어 세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셋탑 단말일 수 있다.
실시예들은 사물 간 통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사물들이 감지한 내용 및 동작상태의 알림 또는 메시지를 TV에 표시될 수 있고, IoT 서비스 사용자는 TV에 표시된 알림 또는 메시지를 확인하여 보다 용이하게 사물들이 감지한 내용 및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사물들의 동작 및 음성명령을 통하여 셋탑 단말을 제어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한 IoT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셋탑 단말의 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명령어 세트의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셋탑 단말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셋탑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서버(110), 홈 IoT 디바이스(121), 및 단말(130)을 포함한다.
서버(110)는 연결 게이트웨이 서버(Connection Gateway Server, CGS)(111), 세션 서버(Session Server, SS)(112),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 AS)(113), 이벤트 처리 서버(Event Processing Server, EPS)(114), 데이터베이스 서버(Database Server, DS)(115), 및 IoT 서비스 서버(IoT Service Server, ISS)(116)를 포함한다.
CGS(111), SS(112), AS(113), EPS(114), DS(115), 및 ISS(116)은 하나의 물리적 장치인 서버(110)에서 논리적으로 구분된 것일 수 있다. 또한, CGS(111), SS(112), AS(113), EPS(114), DS(115), 및 ISS(116)은 서로 구분되는 물리적 장치일 수 있다.
CGS(111)는 홈 IoT 디바이스(121)와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홈 IoT 디바이스(121)의 접속 요청이 있고 접속 요청에 대한 CGS(111)의 응답이 있는 경우, CGS(111)와 홈 IoT 디바이스(121) 사이에는 세션이 설정될 수 있다. CGS(111)는 홈 IoT 디바이스(121)의 트래픽을 수신할 수 있다. CGS(111)와 홈 IoT 디바이스(121) 사이에 세션이 설정되는 경우, CGS(111)는 세션이 설정되었음을 AS(113)에게 알릴 수 있다.
SS(112)는 홈 IoT 디바이스(121)의 세션을 관리한다. SS(112)는 메모리 기반의 데이터 저장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SS(112)는 홈 IoT 디바이스(121)의 세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SS(112)에 저장된 세션 정보는 업데이트될 수 있다. AS(113)는 SS(112)를 통해 홈 IoT 디바이스(121)의 세션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또한, 홈 IoT 디바이스(121)와 CGS(111) 사이에 세션이 설정되어 있는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한 경우, AS(113)는 SS(112)를 통해 세션 설정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AS(113)는 홈 IoT 디바이스(121)의 제어를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 AS(113)는 제어 명령을 CGS(111)로 전송할 수 있고, CSG(111)는 세션을 통해 홈 IoT 디바이스(121)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AS(113)는 DBS(115)를 통해 홈 IoT 디바이스(121)의 프로파일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AS(113)는 홈 IoT 디바이스(121)의 상태를 수집할 수 있고, 상태를 DBS(115)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AS(113)는 DBS(115)를 통해 홈 IoT 디바이스(121)의 상태를 조회할 수 있다.
또한, AS(113)는 홈 IoT 디바이스(121)를 DBS(115)에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30)로부터 홈 IoT 디바이스(121)의 등록 요청이 있는 경우, AS(113)는 홈 IoT 디바이스(121)를 등록할 수 있다.
EPS(114)는 홈 IoT 디바이스(121)로부터 전송된 이벤트 신호를 처리한다. 이벤트 신호가 EPS(114)로 전달되는 경우, EPS(114)는 DBS(115)를 통해 이벤트 신호와 관련된 명령어 세트를 조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실의 스위치가 켜짐"을 나타내는 이벤트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EPS(114)는 거실의 스위치와 관련된 명령어 세트를 조회할 수 있다. 여기서, 거실의 스위치는 홈 IoT 디바이스(121)의 일 종류로, "거실 스위치가 켜지면 셋탑 단말의 전원을 켜라", "거실 스위치가 켜지면 화장실 스위치를 켜라" 등의 "거실 스위치가 켜짐"이라는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명령어 세트가 검색될 수 있다. EPS(114)는 AS(113)에게 명령어 세트에 기초한 홈 IoT 디바이스(121)의 제어를 요청할 수 있고, AS(113)는 명령어 세트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S(113)는 홈 IoT 디바이스(121)인 셋탑 단말의 전원이 켜지도록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고, 홈 IoT 디바이스(121)인 화장실 스위치가 켜지도록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CGS(111)는 생성된 제어 명령 각각을 셋탑 단말 및 화장실 스위치로 전송할 수 있다.
DBS(115)는 사용자의 IoT 서비스 가입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DBS(115)는 IoT 서비스와 관련된 홈 IoT 디바이스(121)의 청약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홈 IoT 디바이스(121)의 청약 정보는 홈 IoT 디바이스(121)의 종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DBS(115)는 홈 IoT 디바이스(121)의 상태, 제어, 및 프로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DBS(115)는 사용자와 홈 IoT 디바이스(121)의 매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DBS(115)는 명령어 세트를 저장할 수 있다.
ISS(116)는 단말(13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 서버이다. ISS(116)는 푸쉬 메시지를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은 푸쉬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서버(100)는 홈 IoT 디바이스(121)의 트래픽을 수신하는 곳(CSG(111))과 단말(130)의 트래픽을 수신하는 곳(AS(113) 및 ISS(116))이 구분될 수 있다. 트래픽이 분산되어, 서버(110)의 동작이 보다 효율적일 수 있다.
사용자가 IoT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홈(120) 내의 사물들이 서로 통신할 수 있어야 한다. 홈(120) 내의 사물에 대응하는 홈 IoT 디바이스(121)가 통신하여 댁 내의 사물 인터넷 서비스가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IoT 디바이스(121)는 전등에 대응하는 스위치, 현관문에 대응하는 도어락, 또는 창문에 대응하는 열림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홈 IoT 디바이스(121)는 스마트 냉장고, 스마트 세탁기 등의 스마트 가전 제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oT 서비스를 위해 홈 IoT 디바이스(121)는 홈(120) 내에 위치한 무선 네트워크 장비와 페어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장비의 USB 동글을 통해 스위치, 콘센트, 열림 센서 등의 홈 IoT 디바이스(121)와 무선 네트워크 장비는 Z-wave 방식으로 페어링될 수 있다. 또한, 홈 IoT 디바이스(121)는 서버(110)와 통신할 수 있고, 서버(110)에게 이벤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도 1에 도시된 서버(110)에 대응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제1 디바이스로부터 이벤트 신호를 수신한다(210). 여기서, 제1 디바이스는 사용자 단말 또는 홈 IoT 디바이스일 수 있다. 홈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1 디바이스는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이벤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실 스위치가 켜져 거실 전등이 켜진 경우, 거실 스위치는 서버로 거실 스위치가 켜졌음을 나타내는 이벤트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셋탑 단말을 켜라"라는 음성 이벤트를 입력 받은 경우, 단말은 음성 이벤트를 텍스트 이벤트로 변환할 수 있다. 단말은 텍스트 이벤트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벤트 신호는 이벤트 I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제1 디바이스는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이벤트 ID를 이벤트 신호에 포함시킬 수 있고, 이벤트 ID를 포함하는 이벤트 신호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예에서, 거실 스위치가 켜지는 이벤트와 음성 이벤트 각각을 기초로 발생한 이벤트 신호의 이벤트 ID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서버는 이벤트 신호가 미리 설정된 명령어 세트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120). 서버는 단계(120)에서의 확인을 기초로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130).
<명령어 세트의 조건 정보의 만족 여부를 기초로 제2 디바이스를 제어-제2 디바이스의 자동실행>
명령어 세트는 단말에서 생성될 수 있다.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제1 디바이스의 정보(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의 이름과 같은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조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조건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단말은 제2 디바이스 목록을 노출할 수 있다. 단말은 노출된 제2 디바이스 목록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조건 정보에 포함된 제1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 목록에서 시각적으로 비활성화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가 선택된 경우, 단말은 제2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실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실행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단말은 조건 정보, 제2 디바이스의 정보, 및 실행 정보를 이용하여 명령어 세트를 생성할 수 있고, 명령어 세트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는 명령어 세트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서버는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명령어 세트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실 스위치가 켜지면" 또는 "거실 스위치가 꺼지면"의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명령어 세트가 검색될 수 있다.
서버는 이벤트 신호와 검색된 명령어 세트의 조건 정보가 매칭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를 기초로 서버는 매칭되는 명령어 세트를 이용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서버는 매칭되는 명령어 세트의 실행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셋탑 단말의 전원이 켜지도록 셋탑 단말을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를 통해 입력된 음성 명령을 기초로 제2 디바이스를 제어>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명령어 세트는 제2 디바이스의 실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령어 세트는 "셋탑 단말의 전원을 켜", "볼륨을 높여", "채널을 KBS로 틀어", 또는 "리모컨 찾아줘"와 같이, 제2 디바이스의 실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음성 이벤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는 단말일 수 있고, 단말의 음성 인식 기능을 통해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셋탑 단말의 전원을 켜"라는 음성 이벤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단말은 STT(Speech To Text)를 통해 음성 이벤트를 텍스트 이벤트로 변환할 수 있다.
서버가 수신하는 이벤트 신호, 즉, 텍스트 이벤트에는 이벤트 ID가 포함될 수 있다. 이벤트 ID는 이벤트 신호를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이벤트를 기초로 생성된 텍스트 이벤트에는 고유의 이벤트 ID가 할당될 수 있다. 서버는 이벤트 ID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 명령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서버는 이벤트 ID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할 수 있다. 서버는 "채널", "KBS", "7번" 등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명령어 세트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을 KBS" 또는 "채널 7번"의 명령어 세트가 검색될 수 있다. 여기서, 서버는 명령어 세트를 검색하기 위해 이벤트 ID를 더 이용할 수 있다. 검색된 명령어 세트의 이벤트 ID와 텍스트 이벤트의 이벤트 ID는 동일할 수 있다.
서버는 검색된 명령어 세트에 텍스트 이벤트가 대응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텍스트 이벤트가 명령어 세트에 대응되는 경우, 서버는 명령어 세트를 기초로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서버는 제2 디바이스와 세션이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 명령이 생성된 경우, 서버는 세션 설정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디바이스와 서버 사이의 세션 설정 및 세션 정보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고, 서버는 저장된 세션 정보 등을 이용하여 세션 설정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세션을 통해 제어 명령을 수신한 셋탑 단말은 채널을 KBS로 바꿀 수 있다.
<제1 디바이스의 알림을 기초로 제2 디바이스를 제어>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이벤트 신호에 대응하는 알림이 제2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명령어 세트는 조건 정보 및 실행 정보를 포함하는 것과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령어 세트는 "도어락의 비밀번호가 5회 틀리면 오류 발생을 TV에 표시하라" 또는 "도어뷰가 움직임을 감지하면 감지 사항을 TV에 표시하라"일 수 있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제1 디바이스는 이벤트 신호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락의 비밀번호가 5회 틀리는 경우, 도어락은 비밀번호가 5회 틀렸음을 나타내는 이벤트 신호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는 이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이벤트 신호를 이용하여 제1 디바이스의 실행 정보를 포함하는 명령어 세트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도어락", "비밀번호" 등의 키워드를 이용하여 명령어 세트를 검색할 수 있다. 서버는 이벤트 신호가 검색된 명령어 세트에 대응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벤트 신호가 검색된 명령어 세트에 대응하는 경우, 서버는 명령어 세트를 기초로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버는 이벤트 신호가 제2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된 명령어 세트가 "도어락의 비밀번호가 5회 틀리면 오류 발생을 TV에 표시하라"인 경우, 서버는 오류 발생이 TV에 표시되도록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 명령을 수신한 셋탑 단말은 TV에 오류 발생을 표시할 수 있다.
서버는 제어 명령을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한다(140). 제2 디바이스는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디바이스와 연결된 무선 네트워크 장비 및 제1 디바이스가 페어링된 경우, 서버는 제1 디바이스로부터 등록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등록 요청을 기초로 제2 디바이스를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셋탑 단말과 홈에 위치한 무선 공유기가 유선 연결되고, 무선 공유기와 단말이 와이파이 연결된 경우, 단말은 서버에게 셋탑 단말을 등록할 것을 요청할 수 있고, 서버는 셋탑 단말을 등록할 수 있다. 셋탑 단말이 홈 IoT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도 2를 통해 기술된 서버의 동작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서버(100)의 동작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셋탑 단말의 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말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화면(310)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예에서, 디스플레이에는 스마트 가전의 동작 상태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스마트 가전이 홈 IoT 디바이스로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에는 셋탑 단말의 등록을 위한 버튼(311)이 표시될 수 있다. 버튼(311)에 대한 입력이 있는 경우, 단말 어플리케이션은 화면(320)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에는 셋탑 단말이 등록되었을 때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인식으로 셋탑 단말을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가 이용될 수 있음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등록하기 버튼(312)에 대한 입력이 있는 경우, 단말 어플리케이션은 화면(330)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셋탑 박스와 연결된 무선 네트워크 장비의 식별 정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비밀 번호가 입력되고, 입력된 비밀 번호를 기초로 사용자가 인증되는 경우, 단말 어플리케이션은 화면(340)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화면(340)은 단말과 무선 네트워크 장비가 페어링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화면이다. 예를 들어, 단말과 무선 네트워크 장비는 와이파이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단말과 무선 네트워크 장비가 페어링되는 경우, 단말 어플리케이션은 화면(350)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페어링을 기초로 단말은 서버에게 셋탑 단말의 등록을 요청할 수 있고, 서버는 셋탑 단말을 등록할 수 있다. 셋탑 단말이 등록되는 경우, 단말 어플리케이션은 셋탑 단말이 등록됨을 나타내는 메시지(351)를 출력할 수 있다. 메시지(351)의 확인 버튼에 대한 입력이 있는 경우, 단말 어플리케이션은 화면(360)을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셋탑 단말의 동작 상태 정보(361)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서버의 제어 명령에 따라 셋탑 단말이 동작하기 위해서 셋탑 단말은 셋탑 어플리케이션이 필요할 수 있다. 셋탑 어플리케이션은 플레이 스토어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마켓에서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실 스위치가 켜지면, 셋탑 단말의 전원을 켜고, 음악을 재생하라"는 명령어 세트가 있다고 하자. 거실 스위치가 켜지면, 셋탑 어플리케이션은 제어 명령에 따라 셋탑 단말의 전원을 켜고, 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명령어 세트의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 어플리케이션은 화면(410)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단말 어플리케이션은 명령어 세트의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명령어 세트는 제1 디바이스의 실행 정보를 기초로 정의되는 조건 정보 및 제2 디바이스의 실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디바이스는 홈 IoT 디바이스이고, 제2 디바이스는 다른 홈 IoT 디바이스이다.
사용자는 영역(411)을 통해 조건 정보를 설정할 수 있고, 영역(412)를 통해 실행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단말은 설정된 명령어 세트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고, 서버는 명령어 세트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셋탑 단말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를 통해 입력된 음성 명령을 기초로 제2 디바이스가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디바이스는 단말이고, 제2 디바이스는 홈 IoT 디바이스(예를 들어, 셋탑 단말)일 수 있다.
단말 어플리케이션의 음성 인식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 화면(510)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마이크 모양의 버튼에 대한 입력이 있는 경우, 단말의 입력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마이크)가 활성화되고, 단말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부터 음성 이벤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도 5b 내지 도 5c에는, 홈 IoT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음성 명령어가 도시된다.
도 5b 내지 도 5c에 도시된 음성 명령어 각각은 명령어 세트로서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서버에 저장되지 않은 명령어 세트에 대응하는 음성 명령어가 입력되는 경우, 단말은 오류 메시지 또는 음성 명령어를 재입력하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999번이라는 채널이 없다고 가정할 때, "채널 999번"의 음성 명령어가 단말에 입력되는 경우, 서버는 "채널 999번"과 관련된 명령어 세트가 있는지 검색한다. 서버에는 "채널 999번"과 관련된 명령어 세트가 저장되어 있지 않아, 서버는 오류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에는 음성 명령어를 재입력하라는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600)는 수신부(610), 확인부(620), 생성부(630), 및 전송부(640)를 포함한다.
수신부(610)는 제1 디바이스로부터 이벤트 신호를 수신한다.
확인부(620)는 이벤트 신호가 미리 설정된 명령어 세트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명령어 세트는 제1 디바이스의 실행 정보를 기초로 정의되는 조건 정보 및 제2 디바이스의 실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확인부(620)는 이벤트 신호와 상기 조건 정보가 매칭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확인부(620)는 이벤트 신호를 이용하여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명령어 세트를 검색할 수 있다.
생성부(630)는 확인을 기초로 명령어 세트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 또한, 생성부(630)는 이벤트 신호가 제2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전송부(640)는 제어 명령을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제2 디바이스는 셋탑 단말일 수 있다. 셋탑 단말에 저장된 셋탑 어플리케이션은 제어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정보를 표시하거나 음악을 실행할 수 있다.
이벤트 신호가 제1 디바이스로 입력된 음성 이벤트를 기초로 생성된 텍스트 이벤트인 경우, 서버(600)는 제2 디바이스와 세션이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세션 설정 확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송부(640)는 세션의 설정의 확인을 기초로 세션을 통해 제어 명령을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는 등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등록부는 제2 디바이스와 연결된 무선 네트워크 장비 및 제1 디바이스가 페어링된 경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등록 요청을 기초로 제2 디바이스를 등록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는 단말일 수 있다. 제1 디바이스가 단말인 경우,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명령어 세트를 입력 받을 수 있고, 명령어 세트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600)는 명령어 세트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기술된 사항들은 도 6을 통해 기술된 사항들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셋탑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셋탑 단말(710)은 서버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한다. 상기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단말은 상기 셋탑 단말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디스플레이장치(TV, 노트북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제어 명령은 이벤트 발생을 기초로 생성된 이벤트 신호가 미리 설정된 명령어 세트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기초로 생성된다. 예를 들어, 제어 명령은 이벤트 발생 기기의 객체의 움직임의 감지를 기초로 생성된 이벤트 발생 신호가 미리 설정된 명령어 세트에 대응하는 경우 생성될 수 있다. 이벤트 발생 기기는 도어뷰, 가스락, 전력측정기등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뷰를 이벤트 발생 기기라 하자. 도어뷰는 댁 내에서 댁 외부(예를 들어, 복도 또는 현관문 앞)를 볼 수 있는 수단으로,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뷰가 현관 앞에 있는 사람을 감지하거나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도어뷰는 이벤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어뷰는 서버로 이벤트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서버는 미리 설정된 명령어 세트에 이벤트 신호가 대응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대응되는 경우, 서버는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고, 제어 명령을 셋탑 단말(710)로 전송할 수 있다.
셋탑 단말(710)은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는 알림 데이터를 셋탑 단말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720)에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셋탑 단말(710)은 디스플레이(720)에 표시되는 영상에 알림 데이터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예에서, 셋탑 단말(710)은 디스플레이(720)에 "현관문 앞에 사람이 있음"을 나타내는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셋탑 단말(710)은 이벤트 발생 기기가 촬영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720)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뷰가 촬영하는 실시간 영상을 디스플레이(720)를 통해 볼 수 있다. 이벤트 발생 기기가 객체 및/또는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이벤트 발생 기기가 촬영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720)에 표시되는 경우, 셋탑 단말(710)은 객체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셋탑 단말(710)은 영상 속의 사람이 가족의 구성원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셋탑 단말(710)은 식별 결과를 디스플레이(72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셋탑 단말(710)은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기초로 도어락을 제어하는 신호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현관문을 열라는 입력을 셋탑 단말(710)에 인가할 수 있고, 셋탑 단말(710)은 홈 IoT 디바이스인 도어락을 오픈하라는 신호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는 신호를 도어락으로 전송할 수 있고, 도어락은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현관문이 열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셋탑 단말(710)은 알림 데이터를 디스플레이(720)에 표시할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셋탑 단말(710)은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는 알림 데이터를 표시할 것인지를 사용자에게 문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셋탑 단말(710)은 디스플레이(720)에 "가스락 고온 알림", "도어뷰의 움직임 감지 시 알림", 또는 "도어뷰의 움직임 감지 시 실시간 영상 표시" 전력측정기의 전기 누진세가 다음단계 진입 시 알림" 등을 시각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알림 데이터를 표시할 것인지 문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알림 데이터를 표시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고, 셋탑 단말(710)은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선택 입력의 수신이 있는 경우, 명령어 세트가 생성될 수 있다. 전술한 예에서, "도어뷰 움직임 감지 시 알림"이라는 명령어 세트가 생성될 수 있다. 즉, 이벤트 발생 기기인 "도어뷰의 움직임 감지"라는 조건 정보 및 "셋탑 단말(710)의 알림"이라는 셋탑 단말(710)의 실행 정보를 포함하는 명령어 세트가 생성될 수 있다. 셋탑 단말(710)은 명령어 세트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고, 서버는 명령어 세트를 저장할 수 있다.
셋탑 단말(710)은 무선 네트워크 장비(730)와 연결될 수 있다. 셋탑 단말(710)을 서버에 등록하기 위해 사용자는 단말에 저장된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 어플리케이션의 셋탑 단말(710) 등록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 단말과 무선 네트워크 장비(730)는 페어링될 수 있다. 페어링을 기초로 단말은 서버에게 셋탑 단말(710)을 등록할 것을 요청할 수 있고, 서버는 셋탑 단말(710)을 등록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기술된 사항들은 도 7을 통해 기술된 사항들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통해 기술한 셋탑 단말(710)의 동작은 셋탑 단말(710)의 메모리에 저장된 셋탑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즉, 셋탑 어플리케이션은 서버로부터 제어 명령 - 제어 명령은 이벤트 발생을 기초로 생성된 이벤트 신호가 미리 설정된 명령어 세트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기초로 생성됨- 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는 알림 데이터를 셋탑 단말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에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2)

  1. 셋탑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도어(door)에 대응되는 제1 기기에 의해 객체가 감지됨을 나타내는 알림 데이터와 상기 제1 기기의 촬영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도어를 오픈(open)할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인가받는 단계; 및
    상기 인가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의 오픈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에 대응되는 제2 기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에 대한 락(lock)을 해제하는
    셋탑 단말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 및 상기 제2 기기 각각은 댁 내의 무선 네트워크 장비와 페어링되는,
    셋탑 단말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는 상기 객체가 감지되면 상기 객체의 감지를 나타내는 이벤트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이벤트 신호가 미리 설정된 명령어 세트 내의 조건 정보와 대응되면, 상기 미리 설정된 명령어 세트 내의 실행 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셋탑 단말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영상 속의 객체가 댁 내의 구성원인지 여부를 식별하고, 식별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셋탑 단말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조건 정보 및 실행 정보를 기초로 명령어 세트를 생성하고, 상기 명령어 세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셋탑 단말의 동작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 정보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객체를 감지하는 것과 관련되는,
    셋탑 단말의 동작 방법.
  7. 셋탑 단말에 있어서,
    상기 셋탑 단말은,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도어(door)에 대응되는 제1 기기에 의해 객체가 감지됨을 나타내는 알림 데이터와 상기 제1 기기의 촬영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도어를 오픈(open)할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인가받으며, 상기 인가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의 오픈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도어에 대응되는 제2 기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에 대한 락(lock)을 해제하는
    셋탑 단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 및 상기 제2 기기 각각은 댁 내의 무선 네트워크 장비와 페어링되는,
    셋탑 단말.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는 상기 객체가 감지되면 상기 객체의 감지를 나타내는 이벤트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이벤트 신호가 미리 설정된 명령어 세트 내의 조건 정보와 대응되면, 상기 미리 설정된 명령어 세트 내의 실행 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셋탑 단말.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 단말은 상기 촬영 영상 속의 객체가 댁 내의 구성원인지 여부를 식별하고, 식별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셋탑 단말.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조건 정보 및 실행 정보를 기초로 명령어 세트를 생성하고, 상기 명령어 세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셋탑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 정보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객체를 감지하는 것과 관련되는,
    셋탑 단말.
KR1020170048585A 2017-04-14 2017-04-14 셋탑 단말, 셋탑 단말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서버의 동작 방법 KR101839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585A KR101839267B1 (ko) 2017-04-14 2017-04-14 셋탑 단말, 셋탑 단말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서버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585A KR101839267B1 (ko) 2017-04-14 2017-04-14 셋탑 단말, 셋탑 단말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서버의 동작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1826A Division KR20170001999A (ko) 2015-06-29 2015-06-29 셋탑 단말, 셋탑 단말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서버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4625A true KR20170044625A (ko) 2017-04-25
KR101839267B1 KR101839267B1 (ko) 2018-03-15

Family

ID=58703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585A KR101839267B1 (ko) 2017-04-14 2017-04-14 셋탑 단말, 셋탑 단말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서버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92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7343A (ko) * 2018-05-04 2019-11-13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셋탑박스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120968A (ko) * 2019-03-19 2020-10-23 주식회사 쿠노소프트 통신 상태에 영향을 받지 않는 IoT 장치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7343A (ko) * 2018-05-04 2019-11-13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셋탑박스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120968A (ko) * 2019-03-19 2020-10-23 주식회사 쿠노소프트 통신 상태에 영향을 받지 않는 IoT 장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9267B1 (ko) 2018-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6171B2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connecting devices
US20180301148A1 (en) Connecting assistant device to devices
US201401921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ccess to a home using visual cues
US10203669B2 (en)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based on footstep pattern
US20050137747A1 (en) Interactive personalized robot for home use
KR20180125241A (ko) 사용자의 발화 위치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KR101968725B1 (ko) 음성요청에 대응하는 정보 제공을 위한 미디어 선택
US1015722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summary image by image processing
US104768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between heterogeneous platforms
JP6452571B2 (ja) 情報出力装置及び情報出力方法及び情報出力プログラム
CN105814917B (zh) 用于家庭网络系统中的事件通知的方法和设备
KR101839267B1 (ko) 셋탑 단말, 셋탑 단말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서버의 동작 방법
KR100754521B1 (ko)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정보제공방법
KR102124606B1 (ko) 적외선 통신하는 가전기기를 위한 음성인식 리모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650423B1 (ko) 센서 통합 관리에 의한 스마트 방범 시스템
US10958726B2 (en) Method of synchronizing device list in a smart network system, apparatus, and computer storage medium thereof
KR20170001999A (ko) 셋탑 단말, 셋탑 단말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서버의 동작 방법
US20220123956A1 (en) Serv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management thereby
US20230119043A1 (en) Operating-system-level permission management for multi-ecosystem smart-home devices
KR102227159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스마트 홈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KR101927022B1 (ko) 단말의 동작 방법, 어플리케이션, 및 서버의 동작 방법
KR101831026B1 (ko) 단말의 동작 방법, 어플리케이션, 및 서버의 동작 방법
US20230119058A1 (en) Operating-system-level setup for multi-ecosystem smart-home devices
JP7442437B2 (ja) 遠隔制御装置、遠隔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20220126986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 연동되는 현관용 스위칭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