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4590A -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 및 편집방법 - Google Patents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 및 편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4590A
KR20170044590A KR1020160132123A KR20160132123A KR20170044590A KR 20170044590 A KR20170044590 A KR 20170044590A KR 1020160132123 A KR1020160132123 A KR 1020160132123A KR 20160132123 A KR20160132123 A KR 20160132123A KR 20170044590 A KR20170044590 A KR 20170044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video
editing
audio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2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솔지
Original Assignee
(주)잼투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잼투고 filed Critical (주)잼투고
Priority to PCT/KR2016/01145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065503A1/ko
Publication of KR20170044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4590A/ko
Priority to KR1020180091228A priority patent/KR102472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04N21/26208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the schedul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under constraints
    • H04N21/26241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the schedul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under constraints involving the time of distribution, e.g. the best time of the day for inserting an advertisement or airing a children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은, 제 1 카메라 사전 제어 데이터를 통해 제 1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여 공연자의 퍼포먼스를 촬영한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1 카메라 제어모듈; 제 2 카메라 사전 제어 데이터를 통해 제 2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공연자의 상기 퍼포먼스를 촬영한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2 카메라 제어모듈; 및 상기 공연자의 상기 퍼포먼스를 녹음한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를 생성하는 마이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튜디오 제어 서버; 상기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와 상기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디오 소스 저장모듈; 상기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 및 오디오 사전 제어 데이터에 의해 정의된 배경 오디오 소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오디오 소스 저장모듈; 상기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 및 상기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 및 상기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의 합 보다 작은 데이터 크기를 갖는 단일의 실시간 편집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실시간 비디오 편집모듈; 및 상기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 및 상기 배경 오디오 소스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 및 상기 배경 오디오 소스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의 합 보다 작은 데이터 크기를 갖는 단일의 실시간 편집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실시간 오디오 편집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 통신망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에 접속하고, 비디오 편집을 통해 상기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 및 상기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 및 상기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의 합 보다 작은 데이터 크기를 갖는 단일의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에게 전송하는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 및 통신망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에 접속하고, 오디오 편집을 통해 상기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 및 상기 배경 오디오 소스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 및 상기 배경 오디오 소스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의 합 보다 작은 데이터 크기를 갖는 단일의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에게 전송하는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는, 상기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에게 상기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 및 상기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에 대한 접근권한을 선택적으로 부여하고, 상기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에게 상기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 및 상기 배경 오디오 소스 데이터에 대한 접근권한을 선택적으로 부여하는 선택적 접근권한 관리모듈; 상기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에게 상기 실시간 편집 오디오 데이터 또는 상기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전송하고 상기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에게 상기 실시간 편집 비디오 데이터 또는 상기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선택적 편집 데이터 전송모듈; 및 상기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에 적용된 비디오 편집 및 상기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에 적용된 오디오 편집에 따라 단일의 멀티미디어 파일 데이터를 생성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 및 편집방법{Distributed Multimedia editing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 및 편집방법에 관한 것으로 통신망을 통해 다수의 참여자들의 체계적인 협업을 통한 멀티미디어 제작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 및 편집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 컨텐츠는 동영상 촬영, 동영상 편집, 동영상 컨텐츠 유통 등에 많은 비용과 노력이 소요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비디오 컨텐츠는 전문 촬영장비, 전문 촬영인력, 전문 편집장비와 전문 촬영인력 및 전문 편집인력을 갖춘 영화사, TV 방송국, 방송 컨텐츠 프로덕션 등에서 제작하는 PGC(Professionally Generated Content)가 일반적이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영화, TV 프로그램 등의 PGC 제작 공정에 있어서 컨텐츠 기획, 시나리오 작성, 촬영대본 제작, 제작회의 등의 촬영컨셉을 확정하는 사전제작(pre-production) 공정, 야외촬영, 실내촬영, 세트촬영 등을 통해 실제 영상을 촬영하는 실제제작(production) 공정, 비디오 편집, 색보정, 배경합성, 오디오 편집 등의 사후편집을 수행하는 사후제작(post-production)으로 컨텐츠 제작 공정을 세분화할 수 있으며 각 공정별로 많은 전문인력과 전문장비를 필요로 한다. 물론 컴퓨터를 이용한 디지털 비선형 비디오 편집(digital non-linear video editing)의 실현은 과거 필름 또는 비디오테이프를 이용한 과거의 아날로그 선형 비디오 편집(analog linear video editing)과 비교하여 편집에 소요되는 비용 및 인력을 효과적으로 저감하였지만, 영상기술 및 음향기술의 발전에 따라 3D 모델링, 영상합성 등 새로운 비디오 효과의 개발 및 멀티미디어 파일에 포함되는 오디오 채널의 증가 등으로 인해 여전히 사후제작 공정에 많은 비용 및 인력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비디오의 촬영에 있어서 비디오 촬영이 가능한 스마트폰,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등이 보급되었고, 전문적인 기술이 없는 일반인도 기초적인 비디오 편집이 가능한 동영상 편집 애플리케이션 등이 개발되었고, 사용자 동영상을 업로드하여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하는 동영상 공유 서비스가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고 있다. 이로 인해 일반 사용자들이 직접 촬영, 편집, 유통하는 UGC(User Generated Content)가 증가하고, UGC에 광고를 부가하는 방법으로 일반 사용자들이 UGC 유통에 따른 수익을 창출하는 비즈니스의 규모도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UGC는 전문적인 촬영장비를 이용하지 않고 촬영자의 촬영기술 부족으로 인해 영상구도가 엉성하고, 영상이 불안정하고, 부적절한 조명으로 인해 피사체가 부각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영상편집 등의 사후제작(post production) 공정을 거치지 않거나 비전문적인 편집기술로 인해 단일 앵글의 단조로운 영상이 지루하게 연속되는 경우가 많다. 즉 비전문적인 촬영과 비전문적인 편집으로 인해 PGC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UGC의 영상품질은 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많은 수의 UGC들이 경쟁적으로 제작되고, 기존의 PGC 제공자들도 유튜브(YouTube)와 같은 동영상 공유 서비스를 통해 컨텐츠를 공급하는 환경에서 컨텐츠 소비자들의 컨텐츠 선택기준도 높아졌기 때문에 UGC 역시 높은 영상 품질이 요구된다. 더욱이 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브로드밴드 인터넷 서비스가 제공할 수 있는 비디오의 해상도도 증가하고,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달에 따라 컨텐츠 이용자의 디스플레이의 품질도 증가하기 때문에 일반 컨텐츠 소비자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고품질의 UGC의 제작이 요구된다.
고품질의 비디오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PGC 제작과 동일하게 전문적인 조명, 카메라, 음향장비 등을 구비하는 스튜디오 장비와 전문 촬영인력을 통해 촬영하고, 전문 편집장비와 전문 편집인력을 통해 편집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하지만 영화관 및 TV 프로그램을 통한 배포와 컨텐츠 저작권 판매 등을 통해 높은 기대수익을 갖는 PGC와는 달리 UGC는 아주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기대수익이 낮기 때문에 많은 비용을 투입하여 UGC를 생산하는 것은 타산성이 없는 문제가 있다.
다음으로, 촬영인력이 최소화되는 카메라 제어, 조명제어, 음향제어 등이 자동화된 스튜디오 장비를 구현하고, 자동화된 스튜디오 장비를 많은 UGC 제작자들에게 활용하게 함으로써 UGC 촬영의 소요비용을 최소화하면서 적절한 촬영조명 하에서 안정적인 카메라워크가 구현된 비디오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Walt Disney Productions의 미국등록특허 제4,283,766호 “Automatic Camera Control for Creating Special Effects in Motion Picture Photography”는 카메라의 촬영위치를 사전에 정의된 제어명령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하는 카메라 컨트롤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러한 자동화된 카메라 제어 시스템은 전문 촬영인력을 요구하지 않고 다수의 사용자들이 동일한 카메라 제어 시스템을 공유할 수 있기 때문에 적은 비용으로 비교적 높은 품질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는 사전제작(pre-production) 공정 및 실제제작(production)공정에만 적용되는 것으로 비디오 컨텐츠의 품질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사후 편집 등의 사후제작(post-production) 공정에 대한 고려가 없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두 개 이상의 카메라로 구성되는 멀티 카메라 제작환경에서는 각 카메라에서 생산되는 비디오 소스 데이터를 편집하여 단일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을 개시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Telcordia Technologies, Inc의 미국등록특허 제6,392,694호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utomatic Camera Selection System” 및 Microsoft Corporation의 미국등록특허 제7,349,008호 “Automated Camer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Presentations Using Videography Rules”는 강의 등의 프리젠테이션의 촬영을 위한 자동화된 카메라 선택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러한 시스템에 따르면 멀티 카메라 제작환경에서 사전 정의된 비디오 룰에 따라 시스템이 자동으로 영상을 선택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하기 때문에 사전제작(pre-production) 공정, 실제제작(production) 공정, 사후제작(post-production) 공정을 자동화하여 비디오 컨텐츠 생산에 소요되는 비용을 저감하면서 적절한 영상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동편집 시스템은 종래기술에 기재된 것과 같이 고정적인 촬영 포맷으로 이루어지는 동영상 강의 컨텐츠와 같은 정보전달형 비디오 컨텐츠에는 적합하지만 예컨대 사용자의 가창 등의 퍼포먼스를 촬영하는 뮤직비디오와 같은 역동적인 엔터테인먼트 비디오 컨텐츠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엔터테인먼트 비디오 컨텐츠는 속성상 다양하고 역동적인 편집기법을 통해 시청자의 관심을 계속 유지하게 하는 것이 중요한데, 미리 설정된 편집 룰에 따른 단조롭고 기계적인 자동화 편집으로는 이러한 감각적인 편집이 가미된 고품질의 비디오 컨텐츠를 생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엔터테인먼트 컨텐츠의 경우 비디오 뿐 아니라 다양한 악기들로 구성되는 배경음악의 편집 및 리버브(reverb), 딜레이(delay), 피치 시프팅(pitch shifting) 등의 음향효과의 부가 등의 오디오 편집도 중요한데 전술한 종래기술은 오디오 편집을 고려하지 않은 한계가 있다.
특히 엔터테인먼트 컨텐츠 등에 있어서 자동편집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사후제작(post-production) 공정에서 편집 전문인력을 통한 창의적인 비디오 편집 및 오디오 편집이 필요하다. 하지만 편집 전문인력을 정기적으로 유지하는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결국 컨텐츠 생산 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편집기술을 보유한 일반 사용자가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여 편집을 수행하는 분산편집 시스템이 제안된 바 있다.
NIPPON HOSO KYOKAI의 일본등록특허 제5111422호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컨텐츠 제작 프로그램”은 3D 애니메이션으로 구성되는 비디오 컨텐츠에 대한 분산제작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러한 분산 제작 시스템에 따르면 하나의 비디오 컨텐츠에 대한 제작 작업을 분할하여 복수의 단말기가 제작 작업을 나누어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산제작 시스템은 3D 애니메이션을 전제한 컨텐츠 생산환경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가상 캐릭터의 연기를 정의하는 TVML 프로그램 명령어 및 가상 캐릭터의 연기를 보여주는 가상 카메라 시점을 정의하는 프로그램 명령어를 분량적으로 분배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3D 애니메이션의 특성상 사후제작(post-production) 공정이 존재하지 않는 사전제작(pre-production) 공정에 대한 분산편집 시스템으로서, 실사영상을 기반으로 한 비디오 편집 또는 오디오 편집이 아닌 3D 애니메이션으로 구성되는 프로그램 편집에만 적용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MEGA CHIPS CORP의 일본등록특허 제5152458호 “컨텐츠 베이스,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은 여러 참가자들이 참여하는 컨텐츠 생산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러한 시스템에 따르면 통신망을 통해 여러 사용자들이 참여하여 단일의 컨텐츠를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본 종래기술에 따른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들이 시나리오 데이터에 따라 각자가 보유한 컨텐츠를 통신망을 통해 제공하여 시나리오 데이터에 따른 컨텐츠를 생산하는 것으로, 사후제작(post-production) 공정에서 통신망을 통해 편집 전문가가 참여함으로써 비디오 컨텐츠의 품질을 향상하는 것에 대해 고려하지 않은 한계가 있다.
EYESPOT CORPORATION의 미국공개특허 제2009-0196570호 “System and Methods for Online Collaborative Video Creation”은 통신망을 통한 사후제작(post-production) 공정에서의 분산편집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러한 시스템에 따르면 편집기술을 보유한 사용자가 통신망을 통해 비디오 컨텐츠를 편집함으로써 편집에 소요되는 노력 및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본 종래기술에 따른 분산편집 시스템은 첫째, 이미 촬영이 완료된 비디오 컨텐츠에 대한 편집으로 사후제작(post-production) 공정만 고려한 문제가 있다. 예컨대 미숙한 촬영으로 인해 영상자체의 품질이 떨어지는 경우 사후적인 편집만으로 비디오 컨텐츠의 품질을 높이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한편 비디오 컨텐츠는 시각적인 비디오 데이터와 청각적인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비디오 편집과 오디오 편집은 서로 다른 전문적인 영역에 속하는 것에 불구하고, 해당 인용발명은 단순히 통신망을 통해 비디오 컨텐츠를 편집하는 구성만 개시함으로써 각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와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 간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 및 데이터 접근권한 배분에 관한 문제를 고려하지 않은 한계가 있다.
US 4283766 A US 6392694 B1 US 7349008 B2 JP 5111422 B2 JP 5152458 B2 US 2009-0196570 A1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 및 편집방법은, 카메라 사전 제어 데이터 및 오디오 사전 제어 데이터를 통해 사전제작(pre-production) 공정, 비디오 소스 데이터 및 오디오 소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실제제작(production) 공정, 실시간 편집 비디오 데이터, 실시간 편집 오디오 데이터,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 및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를 생산하는 사후제작(post-production) 공정을 단일의 시스템을 통해 수행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비용 및 제작소요시간을 저감하고, 제작효율 및 컨텐츠 품질을 증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 및 편집방법은, 비디오 소스 데이터들을 통해 우선적으로 실시간 편집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여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에게 제공함으로써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의 사후 비디오 편집 작업 전이라도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가 실시간 편집 비디오 데이터를 참조하여 이와 동기화된 오디오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하고, 오디오 소스 데이터들을 통해 우선적으로 실시간 편집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여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에게 제공함으로써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의 사후 오디오 편집 작업 전이라도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가 실시간 편집 오디오 데이터를 참조하여 이와 동기화된 비디오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 및 편집방법은,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가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에게 선택적으로 비디오 소스 데이터들에 접근하게 하고,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에게 선택적으로 소스 오디오 데이터들에 접근하게 하는 선택적 접근권한 관리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에 의한 임의적인 오디오 편집 및 오디오 소스 데이터 접근을 방지하고,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에 의한 임의적인 비디오 편집 및 비디오 소스 데이터 접근을 방지함으로써 통신망을 통한 분산편집 환경에서 체계적인 데이터 관리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 및 편집방법은, 사후 비디오 편집을 담당하는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에는 오디오 소스 데이터들 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실시간 편집 오디오 데이터 또는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고,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에는 비디오 소스 데이터들 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실시간 편집 오디오 데이터 또는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는 단말장치의 저장 용량 및 프로세서 성능이 떨어지는 경우에도 분산편집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단말장치로의 데이터 전송량을 최소화하여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의 연산처리 부담을 경감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 및 편집방법은,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를 통해 카메라 사전 제어 데이터를 더 생성하거나,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를 통해 오디오 사전 제어 데이터를 더 생성함으로써, 사후제작(post-production) 공정 뿐 아니라 사전제작(pre-production) 단계를 통신망을 통해 분산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을 효율화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 및 편집방법은, 카메라들에서 생성된 비디오 소스 데이터들에 배경 비디오 데이터를 더 포함시켜 실시간 편집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크로마키 합성과 같은 편집작업을 실시간으로 수행함과 동시에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는 최종 결과물과 유사하도록 배경이 합성된 실시간 편집 비디오 데이터를 참조하여 영상과 부합하는 오디오를 사후 편집하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 및 편집방법은,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가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 또는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에 의한 사후 편집 데이터의 생성 이벤트 및 수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통신망을 통해 다른 사후 편집 단말장치에게 통보하는 데이터 변경 알림모듈을 더 포함함으로써,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복수의 사후 편집 단말장치들이 편집 협업과정의 변화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 및 편집방법은,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가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 및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의 편집순서를 시간적으로 할당할 수 있는 편집작업 분배모듈을 더 포함함으로써, 통신망을 통해 분산되어 편집작업을 수행하는 사후 편집 단말장치들 간의 편집순서를 지정함으로써 멀티미디어 편집작업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 및 편집방법은,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가 사후 비디오 편집에 있어서 카메라들에서 촬영된 고품질의 비디오 소스 데이터들을 보다 작은 용량의 프록시 미디어로 변경하여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에 제공함으로써, 데이터 전송량을 저감하고, 사후 비디오 소스 데이터의 편집에 소요되는 연산부담을 저감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은, 제 1 카메라 사전 제어 데이터를 통해 제 1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여 공연자의 퍼포먼스를 촬영한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1 카메라 제어모듈; 제 2 카메라 사전 제어 데이터를 통해 제 2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공연자의 상기 퍼포먼스를 촬영한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2 카메라 제어모듈; 및 상기 공연자의 상기 퍼포먼스를 녹음한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를 생성하는 마이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튜디오 제어 서버; 상기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와 상기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디오 소스 저장모듈; 상기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 및 오디오 사전 제어 데이터에 의해 정의된 배경 오디오 소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오디오 소스 저장모듈; 상기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 및 상기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 및 상기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의 합 보다 작은 데이터 크기를 갖는 단일의 실시간 편집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실시간 비디오 편집모듈; 및 상기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 및 상기 배경 오디오 소스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 및 상기 배경 오디오 소스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의 합 보다 작은 데이터 크기를 갖는 단일의 실시간 편집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실시간 오디오 편집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 통신망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에 접속하고, 비디오 편집을 통해 상기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 및 상기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 및 상기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의 합 보다 작은 데이터 크기를 갖는 단일의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에게 전송하는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 및 통신망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에 접속하고, 오디오 편집을 통해 상기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 및 상기 배경 오디오 소스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 및 상기 배경 오디오 소스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의 합 보다 작은 데이터 크기를 갖는 단일의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에게 전송하는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는, 상기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에게 상기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 및 상기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에 대한 접근권한을 선택적으로 부여하고, 상기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에게 상기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 및 상기 배경 오디오 소스 데이터에 대한 접근권한을 선택적으로 부여하는 선택적 접근권한 관리모듈; 상기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에게 상기 실시간 편집 오디오 데이터 또는 상기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전송하고 상기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에게 상기 실시간 편집 비디오 데이터 또는 상기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선택적 편집 데이터 전송모듈; 및 상기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에 적용된 비디오 편집 및 상기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에 적용된 오디오 편집에 따라 단일의 멀티미디어 파일 데이터를 생성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는, 상기 제 1 카메라 사전 제어 데이터를 더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는, 상기 오디오 사전 제어 데이터를 더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비디오 편집 모듈은, 상기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 및 상기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의 상기 공연자의 객체영상과 비디오 사전 제어 데이터에 의해 정의된 제 1 배경 비디오 소스 데이터를 합성하여 상기 실시간 비디오 편집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는, 상기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 및 상기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의 상기 공연자의 객체영상과 제 2 배경 비디오 소스 데이터를 합성하여 상기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는, 상기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에서 상기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의 생성 이벤트 또는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의 수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에 이를 통보하고, 상기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에서 상기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의 생성 이벤트 또는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의 수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에 이를 통보하는 데이터 변경 알림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는, 상기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에 의한 상기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의 생성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한해 상기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가 상기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편집작업 분배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는, 상기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의 프록시 미디어 및 상기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의 프록시 미디어를 이용하여 상기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방법은, 스튜디오 제어 서버가, 제 1 카메라 사전 제어 데이터를 통해 제 1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여 공연자의 퍼포먼스를 촬영한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튜디오 제어 서버가, 제 2 카메라 사전 제어 데이터를 통해 제 2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공연자의 상기 퍼포먼스를 촬영한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튜디오 제어 서버가, 마이크 모듈을 통해 상기 공연자의 상기 퍼포먼스를 녹음한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가, 상기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와 상기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가, 상기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 및 오디오 사전 제어 데이터에 의해 정의된 배경 오디오 소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가, 상기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 및 상기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 및 상기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의 합 보다 작은 데이터 크기를 갖는 단일의 실시간 편집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가, 상기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 및 상기 배경 오디오 소스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 및 상기 배경 오디오 소스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의 합 보다 작은 데이터 크기를 갖는 단일의 실시간 편집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가, 상기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에게 상기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 및 상기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에 대한 접근권한을 선택적으로 부여하고, 상기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에게 상기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 및 상기 배경 오디오 소스 데이터에 대한 접근권한을 선택적으로 부여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가, 상기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에게 상기 실시간 편집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전송하고, 상기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에게 상기 실시간 편집 비디오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가, 통신망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에 접속하고, 비디오 편집을 통해 상기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 및 상기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 및 상기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의 합 보다 작은 데이터 크기를 갖는 단일의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가, 통신망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에 접속하고, 오디오 편집을 통해 상기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 및 상기 배경 오디오 소스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 및 상기 배경 오디오 소스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의 합 보다 작은 데이터 크기를 갖는 단일의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가, 상기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에 적용된 비디오 편집 및 상기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에 적용된 오디오 편집에 따라 단일의 멀티미디어 파일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방법은, 상기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가 상기 제 1 카메라 사전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방법은, 상기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가 상기 오디오 사전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비디오 편집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가, 상기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 및 상기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의 상기 공연자의 객체영상과 비디오 사전 제어 데이터에 의해 정의된 제 1 배경 비디오 소스 데이터를 합성하여 상기 실시간 비디오 편집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가, 상기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 및 상기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의 상기 공연자의 객체영상과 제 2 배경 비디오 소스 데이터를 합성하여 상기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방법은, 상기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가, 상기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에서 상기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의 생성 이벤트 또는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의 수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에 이를 통보하고, 상기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에서 상기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의 생성 이벤트 또는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의 수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에 이를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에 의한 상기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의 생성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한해 상기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가 상기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가, 상기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의 프록시 미디어 및 상기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의 프록시 미디어를 이용하여 상기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 및 편집방법은, 카메라 사전 제어 데이터 및 오디오 사전 제어 데이터를 통해 사전제작(pre-production) 공정, 비디오 소스 데이터 및 오디오 소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실제제작(production) 공정, 실시간 편집 비디오 데이터, 실시간 편집 오디오 데이터,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 및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를 생산하는 사후제작(post-production) 공정을 단일의 시스템을 통해 수행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비용 및 제작소요시간을 저감하고, 제작효율 및 컨텐츠 품질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 및 편집방법은, 비디오 소스 데이터들을 통해 우선적으로 실시간 편집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여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에게 제공함으로써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의 사후 비디오 편집 작업 전이라도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가 실시간 편집 비디오 데이터를 참조하여 이와 동기화된 오디오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하고, 오디오 소스 데이터들을 통해 우선적으로 실시간 편집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여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에게 제공함으로써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의 사후 오디오 편집 작업 전이라도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가 실시간 편집 오디오 데이터를 참조하여 이와 동기화된 비디오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 및 편집방법은,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가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에게 선택적으로 비디오 소스 데이터들에 접근하게 하고,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에게 선택적으로 소스 오디오 데이터들에 접근하게 하는 선택적 접근권한 관리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에 의한 임의적인 오디오 편집 및 오디오 소스 데이터 접근을 방지하고,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에 의한 임의적인 비디오 편집 및 비디오 소스 데이터 접근을 방지함으로써 통신망을 통한 분산편집 환경에서 체계적인 데이터 관리를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 및 편집방법은, 사후 비디오 편집을 담당하는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에는 오디오 소스 데이터들 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실시간 편집 오디오 데이터 또는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고,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에는 비디오 소스 데이터들 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실시간 편집 오디오 데이터 또는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는 단말장치의 저장 용량 및 프로세서 성능이 떨어지는 경우에도 분산편집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단말장치로의 데이터 전송량을 최소화하여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의 연산처리 부담을 경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 및 편집방법은,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를 통해 카메라 사전 제어 데이터를 더 생성하거나,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를 통해 오디오 사전 제어 데이터를 더 생성함으로써, 사후제작(post-production) 공정 뿐 아니라 사전제작(pre-production) 단계를 통신망을 통해 분산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을 효율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 및 편집방법은, 카메라들에서 생성된 비디오 소스 데이터들에 배경 비디오 데이터를 더 포함시켜 실시간 편집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크로마키 합성과 같은 편집작업을 실시간으로 수행함과 동시에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는 최종 결과물과 유사하도록 배경이 합성된 실시간 편집 비디오 데이터를 참조하여 영상과 부합하는 오디오를 사후 편집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 및 편집방법은,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가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 또는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에 의한 사후 편집 데이터의 생성 이벤트 및 수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통신망을 통해 다른 사후 편집 단말장치에게 통보하는 데이터 변경 알림모듈을 더 포함함으로써,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복수의 사후 편집 단말장치들이 편집 협업과정의 변화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 및 편집방법은,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가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 및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의 편집순서를 시간적으로 할당할 수 있는 편집작업 분배모듈을 더 포함함으로써, 통신망을 통해 분산되어 편집작업을 수행하는 사후 편집 단말장치들 간의 편집순서를 지정함으로써 멀티미디어 편집작업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 및 편집방법은,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가 사후 비디오 편집에 있어서 카메라들에서 촬영된 고품질의 비디오 소스 데이터들을 보다 작은 용량의 프록시 미디어로 변경하여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에 제공함으로써, 데이터 전송량을 저감하고, 사후 비디오 소스 데이터의 편집에 소요되는 연산부담을 저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튜디오 장치들의 구성을 도시하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카메라 사전 제어 데이터의 편집 인터페이스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튜디오 제어 서버의 구성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사전 제어 데이터의 편집 인터페이스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사전 제어 데이터의 편집 인터페이스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배경 비디오 소스 데이터를 지정한 비디오 사전 제어 데이터의 편집 인터페이스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에서의 비디오 편집 인터페이스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에서의 오디오 편집 인터페이스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방법을 도시하는 처리 흐름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명세서 전반에서 어떠한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기재는, 이에 대한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모듈”, “..부”, “..시스템”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나의 장치 또는 각각 다른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멀티미디어 파일 데이터”는 재생구간 동안 변화하는 시각적인 정보(비디오 데이터)와 재생구간 동안 변화하는 청각적인 정보(오디오 데이터)가 동기적으로 결합된 동영상 데이터를 의미하고, “비디오 데이터”는 재생구간 동안 변화하는 시각적인 정보로만 구성된 데이터를 의미하고, “오디오 데이터”는 재생구간 동안 변화하는 청각적인 정보로만 구성된 데이터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은 스튜디오 제어 서버(100),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200),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 및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튜디오 제어 서버(100)는 카메라 모듈(111,121)및 마이크 모듈(130)를 포함하는 스튜디오의 장비들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제 1 카메라 제어모듈(110), 제 2 카메라 제어모듈(120), 및 마이크 모듈(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스튜디오 장비들이 설치된 스튜디오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스튜디오는 예컨대 촬영을 위한 공간과 무대소품, 카메라, 마이크 등의 촬영장비, 조명, 모니터 등의 부가장비들로 구성될 수 있다. 스튜디오는 동영상 촬영에 최적화된 환경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드시 밀폐된 공간일 필요는 없다. 스튜디오의 촬영 배경은 촬영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변경될 수 있고, 크로마키 합성을 통해 배경을 합성하는 경우 녹색 또는 파란색 등의 단일색상의 배경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 1 카메라 제어모듈(110)은 제 1 카메라 사전 제어 데이터(data_control_pre_camera_1)를 통해 제 1 카메라 모듈(111)을 제어하여 공연자의 퍼포먼스를 촬영한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1)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 2 카메라 제어모듈(120)은 제 2 카메라 사전 제어 데이터(data_control_pre_camera_2)를 통해 제 2 카메라 모듈(121)을 제어하여 공연자의 퍼포먼스를 촬영한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2)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카메라 모듈(111,121)은 비디오 촬영이 가능한 캠코더, 방송용 카메라, 스마트폰의 카메라 모듈 등일 수 있고, 카메라 제어모듈(110,120)은 카메라의 촬영 시작을 제어하거나, 카메라의 줌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기계적인 카메라 마운팅 장치에 의해 카메라의 패닝(panning), 카메라의 틸트(tilt), 카메라의 위치이동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카메라 모듈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배경을 합성하기 위해 크로마키 배경에서 비디오 촬영을 하거나 깊이 측정(depth-sensing) 기능이 있는 비디오카메라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상의 깊이 측정방식은 Microsoft사의 Kinnect 및 Intel사의 RealSense Camera를 통해 상용화된 멀티 카메라 방식, ToF(Time-of-Flight) 방식 또는 적외선 패턴 인식 방식을 통해 구현하거나 Lytro사에 의해 상용화된 Micro Lens Array를 통한 Light Field 방식을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피사체의 깊이 측정 기술을 통해 크로마키 배경이 없이도 배경과 전경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카메라 모듈(111,121)을 통해 촬영된 전경영상과 준비된 배경영상을 합성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피사체를 여러 개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후 적절하게 카메라 시점을 변경하는 편집을 하는 방법을 통해 동영상의 역동성과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개의 카메라 모듈(111,121)을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세 개 이상의 카메라 모듈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두 개의 카메라 모듈(111,121)들을 통해 단일의 피사체에 대한 복수의 비디오 소스 데이터를 생성하기 때문에 비디오 편집을 반드시 필요로 한다.
다른 위치에 복수 개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들(111,121)과는 달리 카메라 모듈들(111,121)을 제어하는 제 1 카메라 제어모듈(110) 및 제 2 카메라 제어모듈(120)은 단일의 제어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제 1 카메라 사전 제어 데이터(data_control_pre_camera_1) 및 제 2 카메라 사전 제어 데이터(data_control_pre_camera_2)는 각각 촬영시점에서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정의하는 제어신호들의 집합으로 구성된다. 도 3은 제 1 카메라 사전 제어 데이터(data_control_pre_camera_1)를 생성하는 편집화면을 예시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브라우저를 통해 특정 촬영시점에서의 카메라의 X축 이동, Y축 이동, 줌, 팬, 틸트 등을 정의하면 3D 모델링된 피사체가 화면상에 보이는 모습을 랜더링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촬영결과를 사전에 예상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 사전 제어 데이터의 편집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성되는 화면을 통해 비전문가인 사용자도 손쉽게 편집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카메라 사전 제어 데이터(data_control_pre_camera_1) 및 제 2 카메라 사전 제어 데이터(data_control_pre_camera_2)는 예컨대 통신망을 통해 스튜디오 제어 서버(100) 또는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200)와 연결되는 멀티미디어 파일 제작 요청자의 단말장치 또는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에 의해 편집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유사한 성격의 다른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에서 사용하였던 제 1 카메라 사전 제어 데이터(data_control_pre_camera_1) 및 제 2 카메라 사전 제어 데이터(data_control_pre_camera_2)를 새로운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에 그대로 사용하거나 이를 수정하여 사용하는 방법으로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에 소요되는 노력 및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1) 및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2)는 원본 촬영 데이터이기 때문에 다양한 해상도를 지원할 수 있도록 높은 해상도로 생성되고, 화질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비압축 방식 또는 낮은 압축률의 압축 방식으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이크 모듈(130)은 공연자의 퍼포먼스를 녹음한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data_audio_source_recording)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마이크 모듈(130)은 음향 또는 음성의 녹음이 가능한 전문가용 마이크, 캠코더 또는 방송용 카메라에 부가된 마이크 모듈(130), 스마트폰의 마이크 모듈(130) 등일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파일이 입체적인 음향을 재생할 수 있도록 복수의 마이크 모듈(130)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data_audio_source_recording)들이 생성된다.
도 4는 스튜디오 제어 서버(100)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튜디오 제어 서버(100)는 실시예에 따라서 광원의 점멸, 광원의 밝기, 광원의 색상, 광원의 색온도 또는 광원의 방향이 제어되는 조명모듈 및 조명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사전 제어 데이터(data_control_pre_lighting)를 생성하는 편집화면을 예시한다. 조명 제어모듈은 조명 사전 제어 데이터(data_control_pre_lighting)를 통해 조명모듈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조명 사전 제어 데이터(data_control_pre_lighting)는 촬영시간별로 조명모듈의 조명을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200)는 비디오 소스 저장모듈(210), 오디오 소스 저장모듈(211), 실시간 오디오 편집모듈(221), 선택적 접근권한 관리모듈(230), 선택적 편집 데이터 전송모듈(240), 및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모듈(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200)는 스튜디오 제어 서버(100)에서 생성된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1),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2),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data_audio_source_recording)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파일 데이터(data_multimedia_file)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200)는 스튜디오 제어 서버(100)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단일의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비디오 소스 저장모듈(210)은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1)와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2)를 서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오디오 소스 저장모듈(211)은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data_audio_source_recording) 및 오디오 사전 제어 데이터(data_control_pre_audio)에 의해 정의된 배경 오디오 소스 데이터(data_audio_source_BG)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오디오 사전 제어 데이터(data_control_pre_audio)는 사전에 정의되는 추가 오디오 데이터 또는 사운드 이펙트일 수 있다. 오디오 사전 제어 데이터(data_control_pre_audio)는 촬영 전에 미리 멀티미디어에 포함될 음향효과, 배경음향 등을 지정하는 데이터로서 사전제작(pre-production) 단계에서의 미리 오디오 편집을 설정하는 데이터로서 기능한다. 오디오 사전 제어 데이터(data_control_pre_audio)는 배경음악에 대한 음원 데이터 및 효과음에 대한 음원 데이터를 포함하거나, 해당 음원 데이터에 대한 URL 정보와 같은 음원 데이터 저장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멀티미디어 파일의 특정 재생지점에 부가된 효과음의 경우 해당 효과음이 재생될 재생시간 정보인 타임스탬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사전 제어 데이터(data_control_pre_audio)는 또한 디지털 음향필터 등을 이용한 이퀄라이저 파라미터 정보 또는 음향효과 파라미터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향효과는 예컨대 잔향 효과(reverb), 메아리 효과(delay), 코러스 합창 효과(harmony), 동음합창 효과(doubler), 기계음 변조 효과(hard tune)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배경 오디오 소스 데이터(data_audio_source_BG)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포함되는 배경음악이거나 뮤직비디오 컨텐츠의 경우 반주음악의 데이터일 수 있다.
도 6은 오디오 사전 제어 데이터(data_control_pre_audio)를 편집하는 화면을 예시한다. 오디오 사전 제어 데이터(data_control_pre_audio)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제작자, 오디오 편집 전문가, 또는 오디오 편집에 재능있는 일반인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며,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400)에 의해 미리 편집될 수도 있다.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브라우저를 통해 오디오 사전 제어 데이터(data_control_pre_audio)를 생성 및 편집할 수 있다.
실시간 비디오 편집모듈(220)은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1) 및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2)에 기반하여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1)의 데이터 크기 및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2)의 데이터 크기의 합 보다 작은 데이터 크기를 갖는 단일의 실시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RT)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실시간 비디오 편집모듈(220)은 비디오 편집 인력에 의존하지 않고 주어진 편집 룰에 따라 자동으로 비디오 편집을 수행한다. 실시간 비디오 편집모듈(220)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실시간 비디오 편집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실시간 비디오 편집모듈(220)은 실시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RT)를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400)에서 오디오 편집에 참고하기 위한 용도로 간단하게 편집할 수도 있고, 최종 결과물에 가까운 품질로 편집할 수도 있다. 예컨대 오디오 편집 참고용으로 제작하는 경우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1)만으로 실시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RT)를 생성할 수도 있고,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1)와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2)가 화면에 분할되어 동시에 표시되도록 실시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RT)를 생성할 수도 있고, 임의의 시점에서 카메라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실시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RT)를 생성할 수도 있다. 최종 결과물에 가까운 품질로 자동편집을 하고자 하는 경우 비디오 사전 제어 데이터(data_control_pre_video)를 통해 카메라 전환지점을 미리 설정하고, 동영상에 미리 합성될 배경화면 및 합성 오브젝트를 지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배경화면을 자동으로 합성하는 실시예에 따르면, 실시간 비디오 편집모듈(220)은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1) 및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2)의 공연자 객체영상과 비디오 사전 제어 데이터(data_control_pre_video)에 의해 정의된 제 1 배경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BG_1)를 합성하여 실시간 비디오 편집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한다. 도 7은 제 1 배경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BG_1)를 지정하여 비디오 사전 제어 데이터(data_control_pre_video)를 편집하는 인터페이스를 예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비디오 소스 데이터들의 생성에 따라 미리 지정한 제 1 배경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BG_1)를 추가함으로써 비디오 편집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비디오 사전 제어 데이터(data_control_pre_video)는 전술한 오디오 사전 제어 데이터(data_control_pre_audio)와 유사하게 자막정보, 영상필터 정보, 색보정 정보 등을 사전에 정의하는 데이터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 1 배경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BG_1)를 포함하거나 제 1 배경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BG_1)에 대한 URL 정보와 같은 저장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 1 배경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BG_1)는 평면 영상이 아닌 3차원으로 모델링된 가상배경으로 구현되며 카메라 모듈(111,121)의 촬영위치 또는 카메라 모듈(111,121)의 이동에 따라 카메라 뷰에 적응적으로 랜더링되어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1) 및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2)에 합성될 수 있다.
실시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RT)는 동영상 플레이어와 같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재생 가능한 비디오 파일로 구성되며, 직접 편집의 대상이 되는 비디오 파일이 아니고 사후 오디오 편집 시 오디오 편집에 참고되는 참고 비디오 파일이기 때문에 원본 비디오 데이터인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1) 및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2)와 별도로 단일의 파일 형태로 생성된다. 또한 가능한 작은 데이터 크기를 갖도록 작은 화면 크기로의 리사이즈, 낮은 해상도로 해상도 변경, 높은 압축률로의 압축저장 등의 방법으로 실시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RT)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400)의 네트워크 환경, 연산처리 능력, 잔여 저장공간 등에 따라 적응적으로 실시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RT)의 해상도를 변경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하지만 어느 경우에도 실시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RT)의 데이터 크기는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1)의 데이터 크기 및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2)의 데이터 크기의 합을 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400)의 오디오 편집 시 불필요한 과도한 크기의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방지하고, 오디오 편집 시 비디오 데이터로 인한 불필요한 연산부담을 저감할 수 있다.
실시간 오디오 편집모듈(221)은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data_audio_source_recording) 및 배경 오디오 소스 데이터(data_audio_source_BG)에 기반하여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data_audio_source_recording)의 데이터 크기 및 배경 오디오 소스 데이터(data_audio_source_BG)의 데이터 크기의 합 보다 작은 데이터 크기를 갖는 단일의 실시간 편집 오디오 데이터(data_audio_edited_RT)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실시간 오디오 편집모듈(221)은 오디오 편집 인력에 의존하지 않고 주어진 편집 룰에 따라 자동으로 오디오 편집을 수행한다. 실시간 오디오 편집모듈(221)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오디오 편집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실시간 오디오 편집모듈(221)은 실시간 편집 오디오 데이터(data_audio_edited_RT)를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에서 비디오 편집에 참고하는 용도로 간단하게 편집할 수도 있고, 최종 결과물에 가까운 품질로 편집할 수도 있다. 예컨대 비디오 편집 참고용으로 제작하는 경우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data_audio_source_recording)와 배경 오디오 소스 데이터(data_audio_source_BG)를 단순히 믹싱하여 실시간 편집 오디오 데이터(data_audio_edited_RT)를 생성할 수 있고, 전술한 오디오 사전 제어 데이터(data_control_pre_audio)에 정의된 효과음 또는 음향효과를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data_audio_source_recording) 또는 배경 오디오 소스 데이터(data_audio_source_BG)에 추가하는 방법으로 높은 품질의 실시간 편집 오디오 데이터(data_audio_edited_RT)가 생성될 수 있다.
실시간 편집 오디오 데이터(data_audio_edited_RT)는 가능한 작은 데이터 크기를 갖도록 높은 압축률의 압축저장 등의 방법으로 실시간 편집 오디오 데이터(data_audio_edited_RT)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의 비디오 편집 시 과도한 크기의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방지하고, 비디오 편집 시 과도한 오디오 데이터로 인한 불필요한 연산부담을 저감할 수 있다.
실시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RT)와 실시간 편집 오디오 데이터(data_audio_edited_RT)는 전문적인 스튜디오 장비를 통해 생성된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1),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2),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data_audio_source_recording)를 기반으로 생성되고 미리 정의된 편집 룰에 따라 자동화된 편집 프로세스를 통해 생성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사용자가 자체적으로 제작하는 UGC에 비해 높은 품질을 갖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문 편집인력에 의한 비디오 편집 및 오디오 편집을 통해 보다 높은 품질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제작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통신망을 통해 사후적으로 비디오 편집 및 오디오 편집을 더 수행함으로써 높은 품질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간 편집 오디오 데이터(data_audio_edited_RT)와 실시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RT)는 촬영에 의해 생성된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1),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2), 및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data_audio_source_recording)가 입력되면 실시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RT) 및 실시간 편집 오디오 데이터(data_audio_edited_RT)의 생성이 시작되도록 구성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은 생성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업로드하여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는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비디오 편집을 담당한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오디오 편집을 담당한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더 포함하여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구성하고,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관람한 사용자는 자신의 새로운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시 해당 편집작업 참여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통해 자신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의 비디오 편집 또는 오디오 편집을 통신망으로 해당 사용자에게 의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비디오 편집 또는 오디오 편집에 재능이 있는 일반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컨텐츠 편집작업에 참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 환경을 일반 사용자들이 자발적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하고, 편집 결과물인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통해 새로운 의뢰자와 편집자를 다시 매칭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는 통신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200)에 접속하고,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1) 및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2)를 기반으로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1)의 데이터 크기 및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2)의 데이터 크기의 합 보다 작은 데이터 크기를 갖는 단일의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post)를 생성하여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200)에게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는 PC,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정보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디오 편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비디오 편집을 원격으로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웹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는 웹브라우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는 비디오 편집만 담당하기 때문에 선택적 접근권한 관리모듈(230)에 의해 오디오 편집에 필요한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data_audio_source_recording) 및 배경 오디오 소스 데이터(data_audio_source_BG)에 대한 접근권한을 부여받지 못하고, 비디오 편집에 필요한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1) 및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2)에 대한 접근권한을 선택적으로 부여받는다. 한편 비디오 편집을 위해서는 해당 재생시간에서의 음향정보를 참조하여야 하기 때문에 선택적 편집 데이터 전송모듈(240)은 데이터 크기가 작은 실시간 편집 오디오 데이터(data_audio_edited_RT) 또는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data_audio_edited_post)(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400)가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data_audio_edited_post)를 생성한 경우)를 제공받는다.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post)는 예컨대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1)와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2)의 선택적 재생시점에 따른 영상편집, 사후적으로 부가된 영상효과의 적용, 추가적인 영상의 부가와 같은 비디오 편집이 적용되어 생성된다.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post)는 동영상 플레이어와 같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재생 가능한 비디오 파일로 구성되며, 직접 편집의 대상이 되는 비디오 파일이 아니고 사후 오디오 편집 시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400)에서 오디오 편집에 참고되는 참고 비디오 파일이기 때문에 원본 비디오 데이터인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1) 및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2)와 별도의 단일 파일 형태로 생성된다. 또한 가능한 작은 데이터 크기를 갖도록 작은 화면 크기로의 리사이즈, 낮은 해상도로 해상도 변경, 높은 압축률로 압축저장 등의 방법으로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post)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400)의 네트워크 환경, 연산처리 능력, 저장공간 등에 따라 적응적으로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RT)의 해상도를 변경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하지만 어느 경우에도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post)의 데이터 크기는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1)의 데이터 크기 및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2)의 데이터 크기의 합을 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400)의 오디오 편집 시 불필요한 과도한 크기의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방지하고, 오디오 편집 시 비디오 파일에 의한 연산부담을 저감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의 비디오 편집에 따라 멀티미디어 편집서버가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post)를 생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데이터 크기가 큰 소스 비디오 파일을 편집하기 위해서는 높은 연산처리속도 및 데이터 처리속도가 요구된다. 따라서 비디오 편집 중에는 비디오 소스 데이터 보다 작은 데이터 크기로 인코딩된 프록시 미디어를 사용하고, 비디오 편집 후 비디오 편집에 적용된 룰에 따라 비디오 소스 데이터를 편집하여 최종 결과물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는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1)의 프록시 미디어 및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2)의 프록시 미디어를 이용하여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post)를 생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의 사용자는 사후제작(post-production) 공정 뿐 아니라 사전제작(pre-production) 공정부터 관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편집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카메라 사전 제어 데이터(data_control_pre_camera_1)를 더 생성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경화면을 합성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에 의해 새로운 배경화면을 합성하거나 실시간 비디오 편집모듈(220)이 합성한 제 1 배경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BG_1)와 다른 배경화면을 합성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비디오 편집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사후 편집 단말장치는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1) 및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2)의 공연자 객체영상과 제 2 배경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BG_2)를 합성하여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post)를 생성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400)는 통신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200)에 접속하고,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data_audio_source_recording) 및 배경 오디오 소스 데이터(data_audio_source_BG)를 기반으로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data_audio_source_recording)의 데이터 크기 및 배경 오디오 소스 데이터(data_audio_source_BG)의 데이터 크기의 합 보다 작은 데이터 크기를 갖는 단일의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data_audio_edited_post)를 생성하여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200)에게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400)는 PC,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정보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오디오 편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오디오 편집을 원격으로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웹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는 웹브라우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400)는 오디오 편집만 담당하기 때문에 선택적 접근권한 관리모듈(230)에 의해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1) 및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2)에 대한 접근권한을 부여받지 못하고,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data_audio_source_recording) 및 배경 오디오 소스 데이터(data_audio_source_BG)에 대한 접근권한을 선택적으로 부여받는다. 한편 오디오 편집을 위해서는 해당 재생시간에서의 영상정보를 참조하여야 하기 때문에 선택적 편집 데이터 전송모듈(240)은 데이터 크기가 작은 실시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RT) 또는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post)(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가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post)를 생성한 경우)를 제공받는다.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data_audio_edited_post)는 예컨대 사후적으로 부가된 음향효과의 적용 등의 오디오 편집이 적용되어 생성된다.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data_audio_edited_post)는 오디오 플레이어와 같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재생 가능한 오디오 파일로 구성되며, 직접 편집의 대상이 되는 오디오 파일이 아니고 사후 비디오 편집 시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에서 비디오 편집에 참고되는 참고 오디오 파일이기 때문에 원본 오디오 데이터인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data_audio_source_recording) 및 배경 오디오 소스 데이터(data_audio_source_BG)와 별도로 단일의 파일 형태로 생성된다. 또한 가능한 작은 데이터 크기를 갖도록 높은 압축률을 갖는 압축저장 등의 방법으로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data_audio_edited_post)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의 비디오 편집 시 불필요한 과도한 크기의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방지하고, 비디오 편집 시 오디오 파일에 의한 연산부담을 저감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400)의 오디오 편집에 따라 멀티미디어 편집서버가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data_audio_edited_post)를 생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400)의 사용자는 사후제작(post-production) 공정 뿐 아니라 사전제작(pre-production) 공정부터 관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편집 인터페이스를 통해 오디오 사전 제어 데이터(data_control_pre_audio)를 더 생성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200)의 선택적 접근권한 관리모듈(2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에게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1) 및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2)에 대한 접근권한을 선택적으로 부여하고,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400)에게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data_audio_source_recording) 및 배경 오디오 소스 데이터(data_audio_source_BG)에 대한 접근권한을 선택적으로 부여한다. 선택적 편집 데이터 전송모듈(240)은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에게 실시간 편집 오디오 데이터(data_audio_edited_RT) 또는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data_audio_edited_post)를 선택적으로 전송하고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400)에게 실시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RT) 또는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post)를 선택적으로 전송한다. 예컨대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400)가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data_audio_edited_post)를 생성하기 전에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가 비디오 편집을 먼저 시작하는 경우 선택적 편집 데이터 전송모듈(240)은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에게 실시간 편집 오디오 데이터(data_audio_edited_RT)를 전송하고,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400)가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data_audio_edited_post)를 생성한 후에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가 비디오 편집을 시작하는 경우 선택적 편집 데이터 전송모듈(240)은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에게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data_audio_edited_post)를 전송한다. 만일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400)가 수차례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data_audio_edited_post)를 생성한 경우라면 가장 최근에 생성된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data_audio_edited_post)를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에게 제공한다.
반대로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가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post)를 생성하기 전에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400)가 오디오 편집을 먼저 시작하는 경우 선택적 편집 데이터 전송모듈(240)은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400)에게 실시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RT)를 전송하고,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가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post)를 생성한 후에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400)가 오디오 편집을 시작하는 경우 선택적 편집 데이터 전송모듈(240)은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400)에게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post)를 전송한다. 만일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가 수차례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post)를 생성한 경우라면 가장 최근에 생성된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post)를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400)에게 제공한다.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모듈(250)은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post)에 적용된 비디오 편집 및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data_audio_edited_post)에 적용된 오디오 편집에 따라 단일의 멀티미디어 파일 데이터(data_multimedia_file)를 생성한다.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는 이를 위해 비디오 편집작업을 사후 비디오 편집 데이터로서 생성하여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200)에게 전송하고,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400)는 이를 위해 오디오 편집작업을 사후 오디오 편집 데이터로서 생성하여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200)에게 전송하고,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모듈(250)은 사후 비디오 편집 데이터 및 사후 오디오 편집 데이터를 비디오 소스 데이터 및 오디오 소스 데이터에 적용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한다. 사후 비디오 편집 데이터는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post)와는 달리 실제 편집된 비디오 데이터가 아니고, 비디오 편집에 대한 정보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예컨대 비디오 편집자가 적용한 각 재생시간에서 선택된 비디오 소스 데이터에 대한 정보, 배경을 합성하는 경우 선택된 배경 소스 데이터에 대한 정보, 각 재생시간에 적용된 영상효과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후 오디오 편집 데이터는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data_audio_edited_post)와는 달리 실제 편집된 오디오 데이터가 아니고, 오디오 편집에 대한 정보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예컨대 오디오 편집자가 적용한 각 재생시간에서 선택된 오디오 소스 데이터에 대한 정보, 오디오 믹싱을 수행한 경우 믹싱된 복수의 오디오 소스 데이터들에 대한 정보, 각 재생시간에 적용된 음향효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마지막 편집 작업을 완료한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 또는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300)가 멀티미디어 파일 데이터(data_multimedeia_file)을 생성하여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파일 데이터(data_multimedia_file)는 최종적인 생산물이기 때문에 높은 품질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의 경우 생성된 멀티미디어 파일 데이터(data_multimedia_file)는 통신망을 통해 스트리밍 방식 또는 다운로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는 형태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에 업로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서는 비디오 편집에 참여한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와 오디오 편집에 참여한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와 연관되도록 멀티미디어 파일 데이터(data_multimedia_file)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오디오 편집과 비디오 편집은 서로 연관되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200)는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에서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post)의 생성 이벤트 또는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post)의 수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400)에 이를 통보하고,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400)에서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data_audio_edited_post)의 생성 이벤트 또는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data_audio_edited_post)의 수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에 이를 통보하는 데이터 변경 알림모듈(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비디오 편집이 오디오 편집에 선행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부가적인 인트로 영상을 비디오 편집을 통해 추가한다면 오디오 트랙을 추가된 재생시간에 맞추어 늘려야 할 수 있고, 부가적인 영상효과를 추가하였을 때 이에 부합하는 음향효과가 들어가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를 위해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200)는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에 의한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post)의 생성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한해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400)가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data_audio_edited_post)를 생성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편집작업 분배모듈(2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비디오 편집의 수정사항에 따른 오디오 편집에 대한 요청사항이 있는 경우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는 통신망을 통해 해당 요청사항을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400)에게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스튜디오 제어 서버(100)가 제 1 카메라 사전 제어 데이터(data_control_pre_camera_1)를 통해 제 1 카메라 모듈(111)을 제어하여 공연자의 퍼포먼스를 촬영한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1)를 수신하는 단계(s11)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스튜디오 제어 서버(100)가 제 2 카메라 사전 제어 데이터(data_control_pre_camera_2)를 통해 제 2 카메라 모듈(121)을 제어하여 상기 공연자의 퍼포먼스를 촬영한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2)를 수신하는 단계(s12) 및 스튜디오 제어 서버(100)가 마이크 모듈(130)을 통해 공연자의 퍼포먼스를 녹음한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data_audio_source_recording)를 수신하는 단계(s13)를 수행한다.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1),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2) 및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data_audio_source_recording)는 동일한 공연자의 퍼포먼스를 통해 생성되고, 위 단계들(s11, s12, s13)은 동시에 이루어진다.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1),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2) 및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data_audio_source_recording)는 비디오 편집 및 오디오 편집의 대상이 되는 원본 데이터로서 높은 품질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200)가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1)와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2)를 저장하는 단계(s21)를 수행하고,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200)가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data_audio_source_recording) 및 오디오 사전 제어 데이터(data_control_pre_audio)에 의해 정의된 배경 오디오 소스 데이터(data_audio_source_BG)를 저장하는 단계(s22)를 수행한다. 두 단계(s21,s22)는 서로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200)가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1) 및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2)에 기반하여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1)의 데이터 크기 및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2)의 데이터 크기의 합 보다 작은 데이터 크기를 갖는 단일의 실시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RT)를 생성하는 단계(s31)를 수행한다. 실시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RT)는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400)에서 오디오 편집 시 참고하는 비디오 데이터로서 비디오 편집에 직접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예컨대 높은 압축률, 작은 크기, 낮은 해상도로 인코딩된 비디오 파일의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사전 정의된 배경화면과 촬영영상을 합성하는 실시예에 따르면, 실시간 비디오 편집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31)는,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200)가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1) 및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2)의 공연자 객체영상과 비디오 사전 제어 데이터에 의해 정의된 제 1 배경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BG_1)를 합성하여 실시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RT)를 생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200)가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data_audio_source_recording) 및 배경 오디오 소스 데이터(data_audio_source_BG)에 기반하여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data_audio_source_recording)의 데이터 크기 및 배경 오디오 소스 데이터(data_audio_source_BG)의 데이터 크기의 합 보다 작은 데이터 크기를 갖는 단일의 실시간 편집 오디오 데이터(data_audio_edited_RT)를 생성하는 단계(s32)를 수행한다. 실시간 편집 오디오 데이터(data_audio_edited_RT)는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에서 비디오 편집 시 참고하는 오디오 데이터로서 오디오 편집에 직접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예컨대 높은 압축률로 인코딩된 오디오 파일의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실시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RT)를 생성하는 단계(s31)와 실시간 편집 오디오 데이터(data_audio_edited_RT)를 생성하는 단계(s32)는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200)가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에게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1) 및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2)에 대한 접근권한을 선택적으로 부여하고,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400)에게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data_audio_source_recording) 및 배경 오디오 소스 데이터(data_audio_source_BG)에 대한 접근권한을 선택적으로 부여하는 단계(s40)를 수행한다. 이러한 선택적 접근권한 부여를 통해 비디오 편집 시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에 의한 소스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오편집을 방지하고 오디오 편집 시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400)에 의한 소스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오편집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200)가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에게 실시간 편집 오디오 데이터(data_audio_edited_RT)를 선택적으로 전송하고,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400)에게 실시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RT)를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단계(s50)를 수행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가 과도한 크기의 오디오 소스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400)가 과도한 크기의 비디오 소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각 편집 단말장치에서의 편집 시 불필요한 데이터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편집작업의 연산처리 부담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에 의해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post)가 생성된 경우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200)는 실시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RT)가 아닌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post)를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400)에게 제공하고,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400)에 의해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data_audio_edited_post)가 생성된 경우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200)는 실시간 편집 오디오 데이터(data_audio_edited_RT)가 아닌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data_audio_edited_post)를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에게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가 통신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200)에 접속하고, 비디오 편집을 통해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1) 및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2)를 기반으로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1)의 데이터 크기 및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2)의 데이터 크기의 합 보다 작은 데이터 크기를 갖는 단일의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post)를 생성하여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200)에게 전송하는 단계(s61)를 수행한다. 이때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는 실시간 편집 오디오 데이터(data_audio_edited_RT)를 참조하여 사후 비디오 편집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예컨대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의 편집 애플리케이션은 특정 재생시간의 비디오를 편집하는 경우 스피커를 통해 해당 재생시간의 실시간 편집 오디오 데이터(data_audio_edited_RT)를 재생하는 방법으로 비디오 편집작업에 오디오 데이터를 참고할 수 있다.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post)는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400)에서 오디오 편집 시 참고하는 비디오 데이터로서 비디오 편집에 직접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예컨대 높은 압축률로 인코딩된 비디오 파일의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가 사전제작(pre-production) 공정에 참여하는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1)를 수신하는 단계(s11) 이전에,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가 제 1 카메라 사전 제어 데이터(data_control_pre_camera_1)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가 사후 비디오 편집과정에서 배경영상을 추가하거나 변경하는 실시예에 따르면,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post)를 생성하는 단계(s61)는,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가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1) 및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2)의 공연자 객체영상과 제 2 배경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BG_2)를 합성하여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post)를 생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의 비디오 편집 시 연산부담을 저감하기 위해 프록시 미디어를 사용하는 실시예에 따르면,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post)를 생성하는 단계(s61)는,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가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1)의 프록시 미디어 및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data_video_source_2)의 프록시 미디어를 이용하여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post)를 생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400)가 통신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200)에 접속하고, 오디오 편집을 통해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data_audio_source_recording) 및 배경 오디오 소스 데이터(data_audio_source_BG)를 기반으로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data_audio_source_recording)의 데이터 크기 및 배경 오디오 소스 데이터(data_audio_source_BG)의 데이터 크기의 합 보다 작은 데이터 크기를 갖는 단일의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data_audio_edited_post)를 생성하여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200)에게 전송하는 단계(S62)를 수행한다. 이때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400)는 실시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RT)를 참조하여 사후 오디오 편집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예컨대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400)의 편집 애플리케이션은 특정 재생시간의 오디오를 편집하는 경우 비디오 플레이어를 통해 해당 재생시간의 실시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RT)를 재생하는 방법으로 오디오 편집작업에 비디오 데이터를 참고할 수 있다.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data_audio_edited_post)는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에서 비디오 편집 시 참고하는 오디오 데이터로서 오디오 편집에 직접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예컨대 높은 압축률로 인코딩된 오디오 파일의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400)가 사전제작(pre-production) 공정에 참여하는 실시예에 따르면,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data_audio_source_recording)를 수신하는 단계(S13) 이전에,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400)가 오디오 사전 제어 데이터(data_control_pre_audio)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200)가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post)에 적용된 비디오 편집 및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data_audio_edited_post)에 적용된 오디오 편집에 따라 단일의 멀티미디어 파일 데이터(data_multimedia_file)를 생성하는 단계(S70)를 수행한다. 멀티미디어 파일 데이터(data_multimedia_file)는 최종 결과물로서 높은 품질을 갖도록 비디오 소스 데이터 및 오디오 소스 데이터를 통해 생성되도록 구성한다.
한편, 사후 비디오 편집 이벤트 발생시 또는 사후 오디오 편집 이벤트 발생시 다른 단말장치에게 이를 통보하는 실시예에 따르면,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방법은,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200)가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에서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post)의 생성 이벤트 또는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post)의 수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400)에 이를 통보하고,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400)에서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data_audio_edited_post)의 생성 이벤트 또는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data_audio_edited_post)의 수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에 이를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사후 비디오 편집작업의 수행 후 사후 오디오 편집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실시예에 따르면,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data_audio_edited_post)를 생성하는 단계(S62)는,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300)에 의한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data_video_edited_post)의 생성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한해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400)가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data_audio_edited_post)를 생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상의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을 모두 포함한다.
스튜디오 제어서버 : 100 제 1 카메라 제어모듈 : 110
제 1 카메라 모듈 : 111 제 2 카메라 제어모듈 : 120
제 2 카메라 모듈 : 121 마이크 모듈 : 130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 : 200 비디오 소스 저장모듈 : 210
오디오 소스 저장모듈 : 211 실시간 비디오 편집모듈 : 220
실시간 오디오 편집모듈 : 221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모듈 : 250
선택적 접근권한 관리모듈 : 230 선택적 편집 데이터 전송모듈 : 240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 : 300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 : 400

Claims (16)

  1. 제 1 카메라 사전 제어 데이터를 통해 제 1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여 공연자의 퍼포먼스를 촬영한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1 카메라 제어모듈; 제 2 카메라 사전 제어 데이터를 통해 제 2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공연자의 상기 퍼포먼스를 촬영한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2 카메라 제어모듈; 및 상기 공연자의 상기 퍼포먼스를 녹음한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를 생성하는 마이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튜디오 제어 서버;
    상기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와 상기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디오 소스 저장모듈; 상기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 및 오디오 사전 제어 데이터에 의해 정의된 배경 오디오 소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오디오 소스 저장모듈; 상기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 및 상기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 및 상기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의 합 보다 작은 데이터 크기를 갖는 단일의 실시간 편집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실시간 비디오 편집모듈; 및 상기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 및 상기 배경 오디오 소스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 및 상기 배경 오디오 소스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의 합 보다 작은 데이터 크기를 갖는 단일의 실시간 편집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실시간 오디오 편집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
    통신망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에 접속하고, 비디오 편집을 통해 상기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 및 상기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 및 상기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의 합 보다 작은 데이터 크기를 갖는 단일의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에게 전송하는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 및
    통신망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에 접속하고, 오디오 편집을 통해 상기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 및 상기 배경 오디오 소스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 및 상기 배경 오디오 소스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의 합 보다 작은 데이터 크기를 갖는 단일의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에게 전송하는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는, 상기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에게 상기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 및 상기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에 대한 접근권한을 선택적으로 부여하고, 상기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에게 상기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 및 상기 배경 오디오 소스 데이터에 대한 접근권한을 선택적으로 부여하는 선택적 접근권한 관리모듈; 상기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에게 상기 실시간 편집 오디오 데이터 또는 상기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전송하고 상기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에게 상기 실시간 편집 비디오 데이터 또는 상기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선택적 편집 데이터 전송모듈; 및 상기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에 적용된 비디오 편집 및 상기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에 적용된 오디오 편집에 따라 단일의 멀티미디어 파일 데이터를 생성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는,
    상기 제 1 카메라 사전 제어 데이터를 더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는,
    상기 오디오 사전 제어 데이터를 더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비디오 편집 모듈은,
    상기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 및 상기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의 상기 공연자의 객체영상과 비디오 사전 제어 데이터에 의해 정의된 제 1 배경 비디오 소스 데이터를 합성하여 상기 실시간 비디오 편집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는,
    상기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 및 상기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의 상기 공연자의 객체영상과 제 2 배경 비디오 소스 데이터를 합성하여 상기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는,
    상기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에서 상기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의 생성 이벤트 또는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의 수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에 이를 통보하고, 상기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에서 상기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의 생성 이벤트 또는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의 수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에 이를 통보하는 데이터 변경 알림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는,
    상기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에 의한 상기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의 생성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한해 상기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가 상기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편집작업 분배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는,
    상기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의 프록시 미디어 및 상기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의 프록시 미디어를 이용하여 상기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
  9. 스튜디오 제어 서버가, 제 1 카메라 사전 제어 데이터를 통해 제 1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여 공연자의 퍼포먼스를 촬영한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튜디오 제어 서버가, 제 2 카메라 사전 제어 데이터를 통해 제 2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공연자의 상기 퍼포먼스를 촬영한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튜디오 제어 서버가, 마이크 모듈을 통해 상기 공연자의 상기 퍼포먼스를 녹음한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가, 상기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와 상기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가, 상기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 및 오디오 사전 제어 데이터에 의해 정의된 배경 오디오 소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가, 상기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 및 상기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 및 상기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의 합 보다 작은 데이터 크기를 갖는 단일의 실시간 편집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가, 상기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 및 상기 배경 오디오 소스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 및 상기 배경 오디오 소스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의 합 보다 작은 데이터 크기를 갖는 단일의 실시간 편집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가, 상기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에게 상기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 및 상기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에 대한 접근권한을 선택적으로 부여하고, 상기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에게 상기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 및 상기 배경 오디오 소스 데이터에 대한 접근권한을 선택적으로 부여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가, 상기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에게 상기 실시간 편집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전송하고, 상기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에게 상기 실시간 편집 비디오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가, 통신망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에 접속하고, 비디오 편집을 통해 상기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 및 상기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 및 상기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의 합 보다 작은 데이터 크기를 갖는 단일의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가, 통신망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에 접속하고, 오디오 편집을 통해 상기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 및 상기 배경 오디오 소스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 및 상기 배경 오디오 소스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의 합 보다 작은 데이터 크기를 갖는 단일의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가, 상기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에 적용된 비디오 편집 및 상기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에 적용된 오디오 편집에 따라 단일의 멀티미디어 파일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방법은,
    상기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가 상기 제 1 카메라 사전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방법은,
    상기 녹음 오디오 소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가 상기 오디오 사전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비디오 편집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가, 상기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 및 상기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의 상기 공연자의 객체영상과 비디오 사전 제어 데이터에 의해 정의된 제 1 배경 비디오 소스 데이터를 합성하여 상기 실시간 비디오 편집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가, 상기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 및 상기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의 상기 공연자의 객체영상과 제 2 배경 비디오 소스 데이터를 합성하여 상기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방법은,
    상기 멀티미디어 편집 서버가, 상기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에서 상기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의 생성 이벤트 또는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의 수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에 이를 통보하고, 상기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에서 상기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의 생성 이벤트 또는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의 수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에 이를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에 의한 상기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의 생성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한해 상기 사후 오디오 편집 단말장치가 상기 사후 편집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방법.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후 비디오 편집 단말장치가, 상기 제 1 비디오 소스 데이터의 프록시 미디어 및 상기 제 2 비디오 소스 데이터의 프록시 미디어를 이용하여 상기 사후 편집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방법.
KR1020160132123A 2015-10-15 2016-10-12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 및 편집방법 KR2017004459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11455 WO2017065503A1 (ko) 2015-10-15 2016-10-13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 및 편집방법
KR1020180091228A KR102472801B1 (ko) 2016-10-12 2018-08-06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 및 편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384 2015-10-15
KR20150144384 2015-10-1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228A Division KR102472801B1 (ko) 2016-10-12 2018-08-06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 및 편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4590A true KR20170044590A (ko) 2017-04-25

Family

ID=58703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2123A KR20170044590A (ko) 2015-10-15 2016-10-12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 및 편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4590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29933A1 (en) * 2000-12-19 2006-06-15 Sparkpoint Software, Inc. System and method for multimedia authoring and playback
KR20080082759A (ko) * 2007-03-09 2008-09-12 (주) 이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를 통한 가상 스튜디오 구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01580A (ko) * 2008-06-27 2010-01-06 (주)판도라티비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 재생 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JP2011507100A (ja) * 2007-12-14 2011-03-03 マイクロソフト コーポレーション 共同オーサリングモード
US20140082091A1 (en) * 2012-09-19 2014-03-20 Box, Inc. Cloud-based platform enabled with media content indexed for text-based searches and/or metadata extrac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29933A1 (en) * 2000-12-19 2006-06-15 Sparkpoint Software, Inc. System and method for multimedia authoring and playback
KR20080082759A (ko) * 2007-03-09 2008-09-12 (주) 이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를 통한 가상 스튜디오 구현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1507100A (ja) * 2007-12-14 2011-03-03 マイクロソフト コーポレーション 共同オーサリングモード
KR20100001580A (ko) * 2008-06-27 2010-01-06 (주)판도라티비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 재생 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US20140082091A1 (en) * 2012-09-19 2014-03-20 Box, Inc. Cloud-based platform enabled with media content indexed for text-based searches and/or metadata extract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2011-507100호(2011.03.03.) 1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2198B2 (en) Synthesizing a presentation from multiple media clips
US782749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deo editing
US20080172704A1 (en) Interactive audiovisual editing system
US20130290557A1 (en) Method and system for central utilization of remotely generated large media data streams despite network bandwidth limitations
KR101879166B1 (ko) 가상 스튜디오의 제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실세계 스튜디오 시스템 및 운영방법
KR101843025B1 (ko) 카메라워크 기반 영상합성 시스템 및 영상합성방법
JP2019169935A (ja) 消費者志向型マルチカメラ撮影映像の選択視聴サービスシステム
KR102472801B1 (ko)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 및 편집방법
JP2010251920A (ja) コンテンツ制作管理装置、コンテンツ制作装置、コンテンツ制作管理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制作プログラム
KR20170044590A (ko)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 및 편집방법
WO2017065503A1 (ko)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 및 편집방법
KR20170143076A (ko)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퀀스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
Malsky The Grandeur (s) of CinemaScope: Early Experiments in Cinematic Stereophony
Schreer et al. Media production, delivery and interaction for platform independent systems: format-agnostic media
US202203439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tion of a real-time virtual concert or collaborative online event
KR20180001541A (ko) 스튜디오 장비 제어 시퀀스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
US202302694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creation and management of virtually enabled studio
KR20210047523A (ko) 인공지능 멀티 카메라 장치
Korolev Object oriented approach to video editing and broadcasting to the Internet
Molchina Television Production: Managing the Technology
Tağ Kalafatoğlu Opportunities And Innovations Introduced by Digital Age in Documentary Films
Медведєва et al. Special Aspects of the Cameramen’s Work at the “A” List Film Festivals
Nguyen Multi-camera video production for medium-sized concert.
KR20240010578A (ko) 영상 편집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Postma et al. Section Meet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