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3482A - Water server - Google Patents

Water ser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3482A
KR20170043482A KR1020167036710A KR20167036710A KR20170043482A KR 20170043482 A KR20170043482 A KR 20170043482A KR 1020167036710 A KR1020167036710 A KR 1020167036710A KR 20167036710 A KR20167036710 A KR 20167036710A KR 20170043482 A KR20170043482 A KR 20170043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ase
bottle
water tank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67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31736B1 (en
Inventor
요시노리 오리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Publication of KR20170043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34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7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Abstract

물통의 교환 작업이 용이하고, 제조 비용이 낮은 워터 서버를 제공한다. 케이스(1)의 전면(前面)측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 통 수용 공간(4)과, 물통(5)의 하면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통 슬라이딩 지지부(40)와, 물통(5)의 물 출구(20)에 끼워 맞춰지도록 케이스(1)의 내부에 전방을 향해 고정된 통수(通水) 로드(27)를 갖는 구성으로 하였다.A water server which is easy to replace a water bottle and has a low manufacturing cost is provided. A tub receiving space 4 formed so as to open to the front side of the case 1, a tub sliding supporting portion 40 for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tub 5 so as to be slid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a water supply rod 27 fixed to the inside of the case 1 forward so as to fit into the outlet 20.

Description

워터 서버{WATER SERVER}Water server {WATER SERVER}

본 발명은 미네랄 워터 등의 음료수를 충전한 교환식의 물통으로부터 음료수를 공급하는 워터 서버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server for supplying drinking water from an exchangeable water tank filled with beverage such as mineral water.

종래, 주로 사무실이나 병원 등에서 워터 서버가 이용되어 왔으나, 최근, 물의 안전이나 건강에 대한 관심의 고조로부터, 일반 가정에도 워터 서버가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워터 서버로서, 하기 특허문헌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케이스의 상면에 교환식의 물통을 세팅하고, 그 물통에 충전된 음료수를, 케이스 내에 수용한 냉수 탱크에 중력 낙하시키도록 한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Conventionally, water servers have been mainly used in offices and hospitals. However, water servers have been spreading in general households because of the rising interest in water safety and health in recent years. As such a water server, it is generally known that an exchangeable water tank is set on the upper surface of a case, and the beverage filled in the water tank is dropped by gravity into a cold water tank contained in the case, as shown in Patent Document 1 .

그러나,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워터 서버는, 교환식의 물통이 케이스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만수(滿水) 상태의 물통을 워터 서버에 세팅할 때에, 물통을 높이 들어올릴 필요가 있다. 그러나, 만수 상태의 물통은, 통상 10리터∼12리터 정도의 음료수가 수용되어 있어, 10 ㎏ 이상의 중량을 갖는다. 그 때문에, 워터 서버의 사용자(특히 여성이나 고령자 등)에게 있어서, 물통의 교환 작업은 매우 힘들었다.However, in the water server shown in Patent Document 1, since the exchangeable water tank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water tank when the water tank in full water is set on the water server. However, a water tank in a full water condition usually contains about 10 liters to 12 liters of beverage, and has a weight of 10 kg or more. Therefore, for users of water servers (especially women, elderly people, etc.), the exchange of water bottles was very difficult.

그래서, 물통의 교환 작업을 쉽게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하기 특허문헌 2의 워터 서버가 제안되어 있다.In order to facilitate the exchange operation of the water bucket, the water server of Patent Document 2 below has been proposed.

특허문헌 2의 워터 서버는, 바닥면 위에 배치되는 케이스와, 그 케이스의 전면(前面)측으로부터 수평으로 출납 가능하게 슬라이드 레일로 지지된 상자형의 통 홀더와, 그 통 홀더에 삽입된 교환식의 물통과, 물통보다 상방에 배치된 냉수 탱크와, 물통으로부터 냉수 탱크에 음료수를 퍼 올리는 원수(原水) 퍼올림로와, 냉수 탱크로부터 케이스의 전면에 배치된 냉수 수도꼭지에 저온의 음료수를 주출(注出)하는 냉수 주출로를 갖는다. 그리고, 물통의 물 출구를 후방으로 향하게 한 상태로 물통을 상자형의 통 홀더에 삽입하고, 그 통 홀더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함으로써, 물통의 물 출구가, 케이스의 내부에 전방을 향해 고정된 통수(通水) 로드에 끼워 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통 홀더의 하부에는, 물통의 중량을 지지하면서 바닥면 위를 구르는 롤러가 설치되어 있다.The water server of Patent Document 2 includes a case disposed on a floor surface, a box-shaped bottle holder supported horizontally by a slide rail to be horizontally receivable and receivable from the front side of the case, A cold water tank disposed above the water tank, a raw water fl owing pipe for pouring the drinking water from the water tank to the cold water tank, and a cold water tap located in the front of the case from the cold water tank And a cold water supply path for discharging the cold water. Then, the water outlet is inserted into the box-shaped container holder with the water outlet of the water container facing rearward, and the container holder is moved backward and accommodated in the case, And is fitted into a water supply rod which is fixed toward the water supply port. In addition, a roller for rolling over the bottom surface of the bucket holder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bucket holder while supporting the weight of the bucket.

이 특허문헌 2의 워터 서버는, 물통이 냉수 탱크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만수 상태의 물통을 워터 서버에 세팅할 때에, 물통을 높이 들어올릴 필요가 없다.In the water server of Patent Document 2, since the water reservoir is disposed below the cold water tank, it is not necessary to raise the water reservoir when the water reservoir is set on the water server.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49033호 공보Patent Document 1: JP-A-2009-249033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14-058332호 공보Patent Document 2: JP-A-2014-058332

특허문헌 2의 워터 서버는, 물통을 교환할 때, 상자형의 통 홀더로부터 빈 상태의 물통을 꺼낸 후, 통 홀더의 상방으로부터 통 홀더 내에 만수 상태의 물통을 삽입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만수 상태의 물통을 통 홀더에 삽입할 때, 물통의 삽입 방향이 연직 하방(물통에 작용하는 중력의 방향)이고, 또한 만수 상태의 물통은 상당한 중량이 있기 때문에, 물통의 자중(自重)에 의해 물통이 삽입 방향으로 가속되기 쉬워, 물통과 상자형의 통 홀더 사이에 손가락이 끼일 우려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의 워터 서버는, 통 홀더를 케이스로부터 출납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 레일이나, 물통의 중량을 지지하면서 바닥면 위를 구르는 롤러를 사용하기 때문에, 물통 주변의 구성이 복잡하고, 제조 비용이 비교적 높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In the water server of Patent Document 2, when replacing a bucket, it is necessary to take out a bucket in an empty state from a box-shaped bucket holder and then insert a bucket in a bucket state from above the bucket holder. Here, when inserting the water-filled reservoir into the bottle holder, the inserting direction of the reservoir is vertically downward (direction of gravity acting on the reservoir) and the reservoir has a considerable weight, The water bottle can be easily accelerated in the inserting direction,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finger is caught between the water bottle and the box-shaped bottle holder. In addition, since the water server of Patent Document 2 uses a slide rail that supports the bottle holder from the case to be removable and a roller that rolls on the bottom surface while supporting the weight of the water bottle, the configuration around the water bottle is complicated, Is relatively high.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물통의 교환 작업이 용이하고, 제조 비용이 낮은 워터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server which is easy to replace a water bottle and has a low manufacturing cost.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이하의 구성의 워터 서버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server having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바닥면 위에 배치되는 케이스와, A case disposed on the floor surface,

그 케이스 내에 수용되고, 잔수량(殘水量)의 감소에 따라 수축하도록 유연성을 갖게 하여 형성된 교환식의 물통과, An exchange-type water bottle accommodated in the case and formed to have flexibility so as to shrink as the amount of water left (amount of water left) decreases,

그 물통보다 상방에 배치된 냉수 탱크와, A cold water tank disposed above the water tank,

상기 물통으로부터 상기 냉수 탱크에 음료수를 퍼 올리는 원수(原水) 퍼올림로와, A raw water pouring furnace for pouring the drinking water from the water tank into the cold water tank,

상기 냉수 탱크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전면(前面)에 배치된 냉수 수도꼭지에 저온의 음료수를 주출(注出)하는 냉수 주출로And a cold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cold water to the cold water faucet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from the cold water tank,

를 포함하는 워터 서버에 있어서, A water server comprising:

상기 케이스의 전면측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물 출구를 후방으로 향하게 한 상태로 상기 물통을 수용하는 통 수용 공간과, A water receiving space formed to be open to the front side of the case, the water receiving space having the water outlet facing the rear,

그 통 수용 공간에 수용된 물통의 하면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통 슬라이딩 지지부와, A barrel sliding support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barrel accommodating space so as to be slid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그 통 슬라이딩 지지부를 따라 상기 물통을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물통의 물 출구에 끼워 맞춰지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전방을 향해 고정된 통수(通水) 로드A water supply rod fixed to the inside of the case so as to be fitted to the water outlet of the water bottle by moving the water bottle backward along the barrel sliding support portion,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서버.The water server comprising:

이와 같이 하면, 케이스의 전면측으로 개구되는 통 수용 공간에, 물통의 하면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통 슬라이딩 지지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물통을 통 수용 공간에 삽입할 때에, 물통의 삽입 방향이, 연직 하방(물통에 작용하는 중력의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이 된다. 그 때문에, 만수 상태의 물통을 통 수용 공간에 삽입할 때에, 물통의 자중에 의해 물통이 삽입 방향으로 가속되어 손가락이 끼이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물통의 교환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물통을 통 수용 공간에 삽입할 때에, 슬라이드 레일식의 통 홀더 등을 사용하지 않고, 물통의 하면을 직접 슬라이딩시켜 물통을 이동시키는 구성이기 때문에, 물통 주변의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 비용을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this case, since the container sliding space for slidably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containe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s provided in the container housing space opened to the front side of the case, when inserting the water container into the container housing space, (The direction of the gravity acting on the water bottle). Therefore, when inserting the water-filled bucket into the tub-receiving space, the water-bottle is accelerated in the inserting direction by the weight of the bucket so that the problem of pinching the finger is unlikely to occur. Therefore, the operation of exchanging the water bottle is easy. In addition, since the water bottle is moved by directly sliding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bottle without using a slide rail type bottle holder when inserting the water bottle into the water receiving space, the configuration around the water bottle is simple, It can be suppressed to a low level.

상기 물통으로서는, 중공 통 형상의 몸통부와, 그 몸통부의 일단에 형성된 저부와, 상기 몸통부의 타단에 어깨부를 개재하여 형성된 목부를 갖고, 그 목부의 선단 중앙에 상기 물 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채용할 수 있다.The water bottle has a hollow cylindrical body, a bottom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and a neck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with a shoulder, and the water outlet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tip of the neck can do.

이때, 상기 통수 로드가 상기 물 출구에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상기 물통의 목부 주위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내부 직경이 점차 확대되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된 통 형상의 가이드 부재와, 상기 통수 로드가 상기 물 출구에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상기 물통의 어깨부에 접촉하는 스토퍼를 형성하면 바람직하다.A tubular guide member provided so as to surround the neck portion of the water bottle in a state where the water passage rod is fitted to the water outlet and formed in a tapered shape whose inner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rear toward the front; It is preferable to form a stopper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houlder portion of the water bottle in a state where it is fitted to the water outlet.

이와 같이 하면, 유연성을 갖게 하여 형성된 물통의 물 출구를 통수 로드에 끼워 맞출 때에, 물통의 목부의 선단이 가이드 부재에 의해 안내되기 때문에, 물통의 목부의 위치가 안정되어, 확실하게 물 출구를 끼워 맞추는 것이 가능해진다. In this way, when the water outlet of the water container formed by providing flexibility is fitted to the water supply rod, the tip of the neck portion of the water container is guided by the guide member, so that the position of the neck portion of the water container is stabilized, It becomes possible to match.

상기 통 수용 공간의 상기 케이스의 전면측의 개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통 수용 공간으로부터 케이스의 외부로 연속되는 통 도입 안내면을 구성하는 전면 도어를 설치하면 바람직하다.And an open position for opening an opening on the front side of the case in the tub receiving space and a closed position for closing the opening,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front door that constitutes a continuous cylinder introduction guide surface.

이와 같이 하면, 전면 도어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고, 그 전면 도어의 통 도입 안내면을 이용함으로써, 케이스의 외부에 있는 물통의 중량을 지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만수 상태의 물통을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내부에 도입하는 작업의 수고를 매우 효과적으로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By doing this, the weight of the water tank on the outside of the case can be supported by moving the front door to the open position and using the cylinder introduction guide surface of the front doo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xtremely effectively reduce the labor of the work of introducing the water-filled bucket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case.

상기 전면 도어는, 상기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바닥면에 접지하는 접지부를 설치하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door is provided with a grounding portion that is grounded on the bottom surface in the open position.

이와 같이 하면, 전면 도어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고, 그 전면 도어에 만수 상태의 물통을 실었을 때에, 물통의 중량이 전면 도어의 접지부를 통해 바닥면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물통의 중량으로 케이스가 전방으로 전도(轉倒)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front door is moved to the open position and the weight of the water tank is supported by the bottom surface through the ground portion of the front door when the full water tank is loaded on the front door,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it from being turned forward.

본 발명의 워터 서버는, 통 수용 공간에의 물통의 삽입 방향이, 연직 하방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이기 때문에, 만수 상태의 물통을 통 수용 공간에 삽입할 때에, 물통의 자중에 의해 물통이 삽입 방향으로 가속되어 손가락이 끼이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물통의 교환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물통을 통 수용 공간에 삽입할 때에, 슬라이드 레일식의 통 홀더 등을 사용하지 않고, 물통의 하면을 직접 슬라이딩시켜 물통을 이동시키는 구성이기 때문에, 물통 주변의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 비용을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water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water reservoir into the water receiving space is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downward vertical direction so that when inserting the water reservoir in the water reservoir into the water receiving space, So that it is hard to cause problems such as pinching of the finger. Therefore, the operation of exchanging the water bottle is easy. In addition, since the water bottle is moved by directly sliding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bottle without using a slide rail type bottle holder when inserting the water bottle into the water receiving space, the configuration around the water bottle is simple, It can be suppressed to a low leve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워터 서버를 측방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통수 로드 근방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물통이 점차 수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워터 서버에 만수 상태의 물통을 세팅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side view of a water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in Fig.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vicinity of the water feed rod in Fig.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cket shown in Fig. 1 contracts gradually.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 water tank in a water-filled state in the water server shown in FIG.

도 1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워터 서버를 도시한다. 이 워터 서버는, 바닥면(F) 위에 배치되는 세로로 긴 케이스(1)와, 케이스(1)의 상부에 수용된 냉수 탱크(2) 및 온수 탱크(3)와, 케이스(1)의 하부에 위치하는 통 수용 공간(4)에 수용된 교환식의 물통(5)과, 물통(5)으로부터 냉수 탱크(2)에 음료수를 퍼 올리는 원수 퍼올림로(6)와, 냉수 탱크(2)와 온수 탱크(3)를 접속하는 탱크 접속로(7)를 갖는다. 냉수 탱크(2)는, 물통(5)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냉수 탱크(2)와 온수 탱크(3)는, 온수 탱크(3)가 냉수 탱크(2)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하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Fig. 1 shows a water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water server includes a vertically elongated case 1 disposed on a floor F and a cold water tank 2 and a hot water tank 3 hous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case 1, A raw water feed-up path 6 for pouring the beverage into the cold water tank 2 from the water bin 5, a cold water tank 2 for warming the hot water tank 2, And a tank connecting path (7) for connecting the tank (3). The cold water tank (2) is arranged above the water tank (5). The cold water tank 2 and the hot water tank 3 are arranged vertically so that the hot water tank 3 is located below the cold water tank 2.

케이스(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벽(10)과, 통벽(10)의 상부를 막도록 설치된 상부판(11)과, 통벽(10)의 하부를 막도록 설치된 저부판(12)으로 이루어진다. 통벽(10)은, 좌우 한 쌍의 측면판(13)과, 측면판(13)의 앞측 가장자리끼리를 연결하는 전면판(14)과, 측면판(13)의 뒤측 가장자리끼리를 연결하는 후면판(15)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전후의 방향은, 워터 서버를 향해 선 사용자로부터 보아 앞쪽측이 전방, 안쪽측이 후방이다. The case 1 includes a bottom wall 12 extending vertically and a top plate 11 disposed to block the upper portion of the bottom wall 10 and a bottom plate 12 installed to close the bottom of the bottom wall 10 . The bottom wall 10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plates 13 and a front plate 14 connecting front edges of the side plates 13 and a rear plate 14 connecting the rear edges of the side plates 13, (15). Here,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re the front side toward the water server from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from the rear side from the line user.

통 수용 공간(4)은, 케이스(1)의 전면측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통 수용 공간(4)은, 케이스(1)를 구성하는 통벽(10)의 전면 하부[전면판(14)의 하측]에 개구(16)를 갖도록 형성되고, 그 개구(16)를 통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물통(5)을 출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의 전면측에는, 개구(16)를 개폐하는 전면 도어(17)가 조립되어 있다.The cylinder receiving space (4) is formed to open to the front side of the case (1). That is, the cylinder receiving space 4 is formed so as to have an opening 16 at the bottom front (lower side of the front plate 14) of the cylinder wall 10 constituting the case 1, It is possible to load and unload the bucket 5 as described later. A front door 17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16 is assembled to the front side of the case 1. [

물통(5)은, 물 출구(20)를 후방으로 향하게 한 상태로 통 수용 공간(4)에 수용되어 있다. 물통(5)은, 중공 통 형상의 몸통부(21)와, 그 몸통부(21)의 일단에 형성된 저부(22)와, 몸통부(21)의 타단에 어깨부(23)를 개재하여 형성된 목부(24)를 갖는다. 물통(5)의 물 출구(20)는 목부(24)의 선단 중앙에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어깨부(23)는, 몸통부(21)로부터 목부(24)를 향해 점차 오므라지는 부분이다. The water bottle 5 is accommodated in the water receiving space 4 with the water outlet 20 facing rearward. The water bottle 5 includes a hollow cylindrical body 21, a bottom 22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21 and a shoulder 23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21 And a neck portion 24. The water outlet (20) of the water bottle (5) is formed to open at the center of the tip of the neck (24). The shoulder portion 23 is a portion that gradually becomes distant from the trunk portion 21 toward the neck portion 24.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5)의 몸통부(21)는, 잔수량의 감소에 따라 물통(5)이 수축하도록 유연성을 갖게 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물통(5)은,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나 폴리에틸렌(PE) 수지의 블로우 성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물통(5)의 용량은, 만수 상태에서 10리터∼20리터 정도이다.As shown in Fig. 4, the trunk portion 21 of the water bottle 5 is formed so as to have flexibility so that the water bottle 5 shrinks as the remaining water amount decreases. The water bottle 5 can be formed by, for example, blow molding of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resin or a polyethylene (PE) resin. The capacity of the water bottle 5 is about 10 to 20 liters in the full water condi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 퍼올림로(6)는, 물통(5)과 냉수 탱크(2) 사이를 연통(連通)하고 있다. 원수 퍼올림로(6)의 도중에는, 원수 퍼올림로(6) 내의 음료수를 물통(5)측으로부터 냉수 탱크(2)측으로 이송하는 펌프(25)가 편입되어 있다. 펌프(25)와 냉수 탱크(2) 사이에는 유량 센서(26)가 설치되어 있다. 원수 퍼올림로(6)의 물통(5)측의 단부에는, 물통(5)의 물 출구(20)에 끼워 맞춰지는 통수 로드(27)가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raw water feed raising furnace 6 communicates between the water tank 5 and the cold water tank 2. A pump 25 for transferring the beverage in the raw water feed path 6 from the water column 5 side to the cold water tank 2 side is incorporated in the middle of the raw water feed path 6. A flow rate sensor 26 is provided between the pump 25 and the cold water tank 2. A water feed rod 27 fitted to the water outlet 20 of the water bottle 5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water feed hopper 6 on the water bottle 5 side.

냉수 탱크(2)는, 공기와 음료수를 상하 이층으로 수용하고 있다. 냉수 탱크(2)에는, 냉수 탱크(2) 내에 수용된 음료수를 냉각하는 냉각 장치(28)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냉수 탱크(2) 내에는, 냉수 탱크(2)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배플판(29)이 설치되어 있다. 냉각 장치(28)는, 냉수 탱크(2)의 하부 외주에 배치되고, 냉수 탱크(2) 내의 배플판(29)보다 하방의 음료수를 저온(5℃ 정도)으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The cold water tank (2) houses air and beverage in upper and lower layers. In the cold water tank 2, a cooling device 28 for cooling the beverage stored in the cold water tank 2 is attached. Inside the cold water tank 2, there is provided a baffle plate 29 for vertically dividing the inside of the cold water tank 2. The cooling device 28 is disposed at the lower outer periphery of the cold water tank 2 and keeps the beverage water below the baffle plate 29 in the cold water tank 2 at a low temperature (about 5 캜).

냉수 탱크(2)에는, 냉수 탱크(2) 내에 저장된 음료수의 수위를 검지하는 수위 센서(30)가 부착되어 있다. 이 수위 센서(30)에 의해 검지되는 수위가 내려가면, 그 수위의 저하에 따라 펌프(25)가 작동하여, 물통(5)으로부터 냉수 탱크(2)에 음료수가 공급된다.In the cold water tank 2, a water level sensor 30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of the beverage stored in the cold water tank 2 is attached. When the water level detected by the water level sensor 30 is lowered, the pump 25 is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lowering of the water level, and the drinking water is supplied to the cold water tank 2 from the water tank 5.

냉수 탱크(2)의 바닥면에는, 냉수 탱크(2) 내의 하부로부터 케이스(1)의 전면측에 배치된 냉수 수도꼭지(31)에 저온의 음료수를 주출하는 냉수 주출로(32)가 접속되어 있고, 냉수 수도꼭지(31)를 개방함으로써 냉수 탱크(2)로부터 저온의 음료수를 컵 등에 주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냉수 탱크(2)의 용량은, 물통(5)의 용량보다 작으며, 2리터∼4리터 정도이다.A cold water supply path 32 for introducing low temperature beverage water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ld water tank 2 to a cold water faucet 31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side of the case 1 from the bottom of the cold water tank 2 , And the cold water faucet (31) is opened so that the cold water can be poured into the cup or the like from the cold water tank (2). The capacity of the cold water tank 2 is smaller than that of the water tank 5, and is about 2 to 4 liters.

온수 탱크(3)는, 음료수로 채워진 상태로 되어 있다. 온수 탱크(3)에는, 온수 탱크(3) 내의 음료수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33)가 부착되어 있고, 온수 탱크(3) 내의 음료수를 고온(90℃ 정도)으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The hot water tank 3 is filled with beverage. A heating device 33 for heating the beverage in the hot water tank 3 is attached to the hot water tank 3 to keep the beverage in the hot water tank 3 at a high temperature (about 90 캜).

온수 탱크(3)의 상면에는, 온수 탱크(3) 내의 상부로부터 케이스(1)의 전면측에 배치된 온수 수도꼭지(34)에 고온의 음료수를 주출하는 온수 주출로(35)가 접속되어 있고, 온수 수도꼭지(34)를 개방함으로써 온수 탱크(3)로부터 고온의 음료수를 컵 등에 주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온수 탱크(3)로부터 음료수를 주출하면, 그 음료수와 동량의 음료수가, 탱크 접속로(7)를 통해 냉수 탱크(2)로부터 온수 탱크(3)에 유입되기 때문에, 온수 탱크(3)는 항상 만수 상태로 유지된다. 온수 탱크(3)의 용량은 1리터∼2리터 정도이다.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t water tank 3 is connected a hot water feed path 35 for discharging hot water from the upper part of the hot water tank 3 to the hot water faucet 34 arranged on the front side of the case 1, The hot water faucet 34 is opened so that hot water can be poured into the cup or the like from the hot water tank 3. The hot water tank 3 always receives the beverage from the cold water tank 2 through the tank connecting path 7 when the beverage is introduced from the hot water tank 3 and flows into the hot water tank 3 from the cold water tank 2 through the tank connecting path 7 And remains full. The capacity of the hot water tank 3 is about 1 liter to 2 liters.

통 수용 공간(4)의 하부에는, 물통(5)의 하면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통 슬라이딩 지지부(40)가 설치되어 있다. 통 슬라이딩 지지부(40)는, 물 출구(20)를 후방으로 향하게 하여 배치한 물통(5)의 몸통부(21)의 외주를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 슬라이딩 지지부(40)는, 물통(5)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예컨대, 각통(角筒)형의 몸통부(21)를 갖는 물통(5)을 채용할 때에는, 각통형의 몸통부(21)의 하부 외주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네모홈 형상의 통 슬라이딩 지지부(40), 또는 각통형의 몸통부(21)의 전체 둘레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각통 형상의 통 슬라이딩 지지부(40)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원통형의 몸통부(21)를 갖는 물통(5)을 채용할 때에는, 원통형의 몸통부(21)의 하부 외주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호홈 형상의 통 슬라이딩 지지부(40), 또는 원통형의 몸통부(21)의 전체 둘레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통 슬라이딩 지지부(40)를 채용할 수 있다.In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receiving space (4), a barrel sliding support portion (40) for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container (5) so as to be slidable i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s provided. The barrel sliding support portion 40 is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barrel portion 21 of the water bottle 5 arranged with the water outlet 20 facing rearward. The barrel sliding support portion 40 has a shape linearly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so as to slidably support the water bottle 5 in the front-rear direction. For example, when a bucket 5 having a rectangular trunk-shaped trunk portion 21 is adopted, the trunk-shaped trunk portion 21 is provided with a rectangular trunk-sliding supporting portion Shaped barrel sliding portion 40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long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barrel-shaped barrel portion 21 can be adopted. For example, when the water bottle 5 having the cylindrical body portion 21 is adopted, the cylindrical body portion 21 is provided with an arcuate groove-shaped barrel sliding support portion 40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ylindrical body portion 21, A cylinder-shaped barrel sliding support portion 40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long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cylindrical body portion 21 can be employed.

통수 로드(27)는, 케이스(1)의 내부에 전방을 향해 고정되어 있고, 물통(5)을 통 슬라이딩 지지부(40)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물통(5)의 물 출구(20)가 끼워 맞춰지도록 배치되어 있다.The water supply rod 27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case 1 in the forward direction so that the water outlet 20 of the water bottle 5 when the water bottle 5 is moved backward along the barrel sliding support portion 40 As shown in Fig.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수 로드(27)는, 수평으로 연장되는 중공의 통체이다. 물통(5)의 물 출구(20)는, 통수 로드(27)와 끼워 맞춰져 있지 않을 때에는 마개체(41)로 폐색되어 있다. 그리고, 통수 로드(27)가 물 출구(20)에 삽입되면, 마개체(41)가 통수 로드(27)의 전단에 설치한 반구부(半球部; 42)에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통수 로드(27)의 외주에는, 통수 로드(27)를 물통(5)의 물 출구(20)에 끼워 맞춰졌을 때에 물통(5)의 내부로 개구되는 통수 구멍(43)이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water feed rod 27 is a hollow cylinder extending horizontally. The water outlet 20 of the water bottle 5 is closed by the stopper 41 when the water outlet 20 is not fitted with the water supply rod 27. When the water passage rod 27 is inserted into the water outlet 20, the stopper section 41 is held in the hemispherical section 42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water passage rod 27. A water hole 43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water passage rod 27 so as to open into the water passage 5 when the water passage rod 27 is fitted into the water outlet 20 of the water container 5.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의 하부에는, 통수 로드(27)가 물 출구(20)에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물통(5)의 목부(24) 주위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통 형상의 가이드 부재(44)와, 그 가이드 부재(44)와 일체로 설치된 스토퍼(45)가 설치되어 있다. 도 1,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44)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내부 직경이 점차 확대되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45)는, 물통(5)의 어깨부(23)와 전후로 대향하는 부분이며, 물통(5)의 물 출구(20)가 통수 로드(27)에 끼워 맞춰졌을 때에, 물통(5)의 어깨부(23)에 접촉함으로써 물통(5)의 후방으로의 이동 범위를 규제한다.1, a tubular guide (not shown) provided to surround the neck portion 24 of the water bottle 5 in a state where the water supply rod 27 is fitted to the water outlet 20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ase 1, A member 44 and a stopper 45 integrally formed with the guide member 44 are provided. As shown in Figs. 1 and 3, the guide member 44 is formed in a tapered shape whose inner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rear toward the front. The stopper 45 opposes the shoulder portion 23 of the water bottle 5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water bottle 5 when the water outlet 20 of the water bottle 5 is fitted to the water supply rod 27 And regulates the moving range of the water bottle 5 to the rear side by contacting the shoulder portion 23.

전면 도어(17)는, 케이스(1)의 저부판(12)의 전단부에 형성된 요동 지점(46)을 중심으로 눕혔다 세웠다 가능하게 지지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의 전면측의 개구(16)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의 전면측의 개구(16)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도어(17)는,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통 수용 공간(4)으로부터 케이스(1)의 외부로 연속되는 통 도입 안내면(47)을 구성한다. 여기서, 통 도입 안내면(47)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도어(17)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전면 도어(17)의 후측의 면이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도어(17)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통 슬라이딩 지지부(40)의 상면과 매끄럽게 연속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도어(17)는,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바닥면(F)에 접지하는 접지부(48)를 갖는다. 접지부(48)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도어(17)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전면 도어(17)의 전측의 면에 설치되어 있다.The front door 17 is supported so as to be centered on a swinging point 46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bottom plate 12 of the case 1, 1 between the open position for opening the opening 16 of the case 1 and the closed position for closing the opening 16 on the front side of the case 1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5, the front door 17 constitutes a cylinder introduction guide surface 47 continuing from the cylinder receiving space 4 to the outside of the case 1 in the open position. Here, as shown in Fig. 1, the cylinder introducing guide surface 47 is a rear surface of the front door 17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door 17 is in a closed position, 17 are in an open position and are smoothly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assage sliding support portion 40. Further, as shown in Fig. 5, the front door 17 has a ground portion 48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loor F in the open position. The grounding portion 48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side of the front door 17 in a state where the front door 17 is in the closed position as shown in Fig.

전술한 워터 서버의 사용예에 대해 설명한다.An example of use of the above-described water server will be described.

워터 서버의 사용자가, 냉수 수도꼭지(31)를 조작하여, 냉수 탱크(2) 내의 저온의 음료수를 컵 등에 주출하면,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내려간다. 또한, 온수 수도꼭지(34)를 조작하여, 온수 탱크(3) 내의 고온의 음료수를 컵 등에 주출해도, 그 음료수와 동량의 음료수가, 탱크 접속로(7)를 통해 냉수 탱크(2)로부터 온수 탱크(3)에 도입되기 때문에,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내려간다. 그리고,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하한 수위를 하회한 것을 수위 센서(30)가 검출하면, 펌프(25)가 작동하여, 물통(5)으로부터 냉수 탱크(2)에 음료수를 퍼 올린다.When the user of the water server operates the cold water faucet 31 to feed the low temperature beverage in the cold water tank 2 to the cup or the like, the water level in the cold water tank 2 is lowered. Even if hot water in the hot water tank 3 is poured into the cup or the like by manipulating the hot water faucet 34, the beverage water of the same amount as the beverage water flows from the cold water tank 2 through the tank connecting path 7, (3), the water level in the cold water tank (2) is lowered. When the water level sensor 30 detects that the water level in the cold water tank 2 has fallen below a predetermined lower water level, the pump 25 operates to pour the water from the water tank 5 into the cold water tank 2 .

물통(5)의 음료수가 점차 감소하여, 빈 상태가 되면, 펌프(25)가 작동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원수 퍼올림로(6) 내의 음료수의 흐름이 없어지기 때문에, 이 상태를 유량 센서(26)에 의해 검지하고, 전면판(14)에 배치한 도시하지 않은 용기 교환 램프를 점등시켜, 물통(5)의 교환 시기인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When the beverage in the water bottle 5 gradually decreases and becomes empty, the flow of the beverage in the raw water flooding furnace 6 is lost even though the pump 25 is operating. (Not shown) disposed on the front panel 14 is turned on to notify the user that the water container 5 is to be replaced.

물통(5)이 빈 상태가 되면, 사용자는 다음과 같이 하여 물통(5)의 교환 작업을 행한다. 먼저, 전면 도어(17)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고, 케이스(1)의 전면측의 개구(16)를 통해 빈 물통(5)을 꺼낸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수 상태의 물통(5)을 물 출구(20)를 후방으로 향하게 한 상태로 전면 도어(17)의 통 도입 안내면(47)에 배치한다. 그 후, 물통(5)을 후방으로 밀어 움직여, 케이스(1)의 내부의 통 수용 공간(4)에 삽입한다. 이에 의해, 물통(5)의 물 출구(20)가, 케이스(1)의 내부에 고정된 통수 로드(27)에 끼워 맞춰지고, 물통(5)과 원수 퍼올림로가 연통된다.When the water bottle 5 becomes empty, the user performs an exchange operation of the water bottle 5 in the following manner. First, the front door 17 is moved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and the empty water container 5 is taken out through the opening 16 on the front side of the case 1. [ Next, as shown in Fig. 5, the water tank 5 in a full water state is disposed on the cylinder introduction guide surface 47 of the front door 17 with the water outlet 20 facing rearward. Thereafter, the water bottle 5 is pushed rearward and inserted into the water receiving space 4 inside the case 1. Thereby, the water outlet 20 of the water bottle 5 is fitted into the water supply rod 27 fixed to the inside of the case 1, and the water bottle 5 is communicated with the raw water scooping passage.

이 워터 서버는, 통 수용 공간(4)에의 물통(5)의 삽입 방향이, 연직 하방[물통(5)에 작용하는 중력의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이기 때문에, 만수 상태의 물통(5)을 통 수용 공간(4)에 삽입할 때에, 물통(5)의 자중에 의해 물통(5)이 삽입 방향으로 가속되어 손가락이 끼이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물통(5)의 교환 작업이 용이하다.This water server is a water server in which a water tank 5 in a fully watered state is provid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4 because the inserting direction of the water storage tank 5 into the water receiving space 4 is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downward direction (direction of gravity acting on the water tank 5) The water bottle 5 is accelerated in the inserting direction by the weight of the water bottle 5, so that the problem of pinching the finger is less likely to occur. Therefore, the replacement work of the water bottle 5 is easy.

또한, 이 워터 서버는, 물통(5)을 통 수용 공간(4)에 삽입할 때에, 슬라이드 레일식의 통 홀더 등을 사용하지 않고, 물통(5)의 하면을 직접 슬라이딩시켜 물통(5)을 이동시키는 구성이기 때문에, 물통(5) 주변의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 비용을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This water server can also be used to directly slide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bottle 5 without using a slide rail type bottle holder or the like when inserting the water bottle 5 into the water receiving space 4, The configuration around the water basin 5 is simple,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suppressed to a low level.

또한, 이 워터 서버는, 케이스(1)의 내부에 전방을 향해 고정된 통수 로드(27)에 물통(5)의 물 출구(20)를 끼워 맞추는 구성이기 때문에, 물통(5)을 케이스(1)로부터 출납할 때에, 물통(5)에 추종하여 통수 로드(27)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원수 퍼올림로(6)의 길이를 짧게 억제하고, 원수 퍼올림로(6)에서의 잡균의 번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This water server is configured to fit the water outlet 20 of the water bottle 5 to the water supply rod 27 fixed forward in the case 1 so that the water bottle 5 is connected to the case 1 , It is not necessary to move the water supply rod 27 following the water bottle 5. Therefore, the length of the raw water feed path 6 can be shortened, and propagation of the germs in the raw water feed path 6 can be prevented.

또한, 이 워터 서버는, 유연성을 갖게 하여 형성된 물통(5)의 물 출구(20)를 통수 로드(27)에 끼워 맞출 때에, 물통(5)의 목부(24)의 선단이 가이드 부재(44)에 의해 안내되기 때문에, 물통(5)의 목부(24)의 위치가 안정되어, 확실하게 물 출구(20)를 끼워 맞추는 것이 가능하다.This water server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distal end of the neck portion 24 of the water bottle 5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uide member 44 when the water outlet 20 of the water bottle 5 formed with flexibility is fitted to the water passage rod 27, The position of the neck portion 24 of the water bottle 5 is stabilized and it is possible to securely fit the water outlet 20.

또한, 이 워터 서버는, 전면 도어(17)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고, 그 전면 도어(17)의 통 도입 안내면(47)을 이용함으로써, 케이스(1)의 외부에 있는 물통(5)의 중량을 지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만수 상태의 물통(5)을 케이스(1)의 외부로부터 내부에 도입하는 작업의 수고를 매우 효과적으로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This water server is used to move the front door 17 to the open position and use the cylinder introducing guide surface 47 of the front door 17 so that the weight of the water bottle 5 outside the case 1 . ≪ / RTI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xtremely effectively reduce the labor of the operation of introducing the water tank 5 in the full water state from the outside of the case 1 into the inside thereof.

또한, 이 워터 서버는, 전면 도어(17)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고, 그 전면 도어(17)에 만수 상태의 물통(5)을 실었을 때에, 물통(5)의 중량이 전면 도어(17)의 접지부(48)를 통해 바닥면(F)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물통(5)의 중량으로 케이스(1)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This water server has a function of moving the front door 17 to the open position and controlling the weight of the water container 5 to be greater than the weight of the front door 17 when the water container 5 is loaded on the front door 17.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ase 1 from being forwarded by the weight of the water bottle 5 because the water bottle 5 is supported by the floor F through the grounding portion 48 of the water bottle 5.

1: 케이스 2: 냉수 탱크
4: 통 수용 공간 5: 물통
6: 원수 퍼올림로 17: 전면 도어
20: 물 출구 21: 몸통부
22: 저부 23: 어깨부
24: 목부 27: 통수 로드
31: 냉수 수도꼭지 32: 냉수 주출로
40: 통 슬라이딩 지지부 44: 가이드 부재
45: 스토퍼 47: 통 도입 안내면
48: 접지부 F: 바닥면
1: Case 2: cold water tank
4: Bucket space 5: Bucket
6: The enemy raising the fire 17: Front door
20: Water outlet 21: Body part
22: bottom 23: shoulder portion
24: throat 27: feedwater rod
31: cold water faucet 32: cold water
40: barrel sliding support part 44: guide member
45: stopper 47: cylinder introduction guide surface
48: Ground part F: Floor surface

Claims (5)

바닥면(F) 위에 배치되는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 내에 수용되고, 잔수량(殘水量)의 감소에 따라 수축하도록 유연성을 갖게 하여 형성된 교환식의 물통(5)과,
상기 물통(5)보다 상방에 배치된 냉수 탱크(2)와,
상기 물통(5)으로부터 상기 냉수 탱크(2)에 음료수를 퍼 올리는 원수(原水) 퍼올림로(6)와,
상기 냉수 탱크(2)로부터 상기 케이스(1)의 전면(前面)에 배치된 냉수 수도꼭지(31)에 저온의 음료수를 주출(注出)하는 냉수 주출로(32)
를 포함하는 워터 서버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의 전면측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물 출구(20)를 후방으로 향하게 한 상태로 상기 물통(5)을 수용하는 통 수용 공간(4)과,
상기 통 수용 공간(4)에 수용된 물통(5)의 하면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통 슬라이딩 지지부(40)와,
상기 통 슬라이딩 지지부(40)를 따라 상기 물통(5)을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물통(5)의 물 출구(20)에 끼워 맞춰지도록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전방을 향해 고정된 통수(通水) 로드(2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서버.
A case 1 disposed on the floor F,
An interchangeable water tank 5 accommodated in the case 1 and formed to have flexibility so as to shrink as the amount of water left is reduced,
A cold water tank 2 disposed above the water bottle 5,
A raw water scooping passage 6 for pouring the beverage from the water tank 5 into the cold water tank 2,
A cold water feed path 32 for pouring (discharging) low-temperature beverage water from the cold water tank 2 to a cold water faucet 31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1,
A water server comprising:
A water receiving space (4) formed to open to the front side of the case (1) and housing the water container (5) with the water outlet (20)
A cylinder sliding support portion 40 for supporting a lower surface of the water reservoir 5 received in the cylinder receiving space 4 so as to be slidable i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 water tub 5 is moved backward along the tub sliding support portion 40 so as to be fitted into the water outlet 20 of the water tub 5, Water) rod (27)
The water serv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5)은, 중공 통 형상의 몸통부(21)와, 그 몸통부(21)의 일단에 형성된 저부(22)와, 상기 몸통부(21)의 타단에 어깨부(23)를 개재하여 형성된 목부(24)를 포함하고, 그 목부(24)의 선단 중앙에 상기 물 출구(20)가 형성되어 있는 워터 서버. The watercraf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er bottle (5) comprises a hollow cylindrical body (21), a bottom part (22)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part (21) And a water outlet (20) formed at the center of the tip of the neck (2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수 로드(27)가 상기 물 출구(20)에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상기 물통(5)의 목부(24) 주위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내부 직경이 점차 확대되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된 통 형상의 가이드 부재(44)와,
상기 통수 로드(27)가 상기 물 출구(20)에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상기 물통(5)의 어깨부(23)에 접촉하는 스토퍼(45)
를 더 포함하는 워터 서버.
3.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water passage rod (27) is provided so as to surround the neck portion (24) of the water bottle (5) while being fitted to the water outlet (20) A cylindrical guide member 44 formed in an enlarged tapered shape,
A stopper 45 that contacts the shoulder 23 of the water bottle 5 in a state where the water supply rod 27 is fitted to the water outlet 20,
Further comprising: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 수용 공간(4)의 상기 케이스(1)의 전면측의 개구(16)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상기 개구(16)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통 수용 공간(4)으로부터 케이스(1)의 외부로 연속되는 통 도입 안내면(47)을 구성하는 전면 도어(17)를 더 포함하는 워터 서버. 4. An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urther comprising: an open position for opening an opening (16) on a front side of the case (1) of the cylinder receiving space (4) And the front door 17 constituting the cylinder introduction guide surface 47 continuing from the cylinder accommodation space 4 to the outside of the case 1 in a state of being in the open position Contains a water serv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도어(17)는 상기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바닥면(F)에 접지하는 접지부(48)를 구비하는 것인 워터 서버.5. The water serve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front door (17) has a ground portion (48) that is grounded on the bottom surface (F) in the open position.
KR1020167036710A 2014-08-25 2014-09-09 Water server KR10223173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70480 2014-08-25
JP2014170480A JP5789334B1 (en) 2014-08-25 2014-08-25 Water server
PCT/JP2014/073774 WO2016031086A1 (en) 2014-08-25 2014-09-09 Water serv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482A true KR20170043482A (en) 2017-04-21
KR102231736B1 KR102231736B1 (en) 2021-03-23

Family

ID=54346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6710A KR102231736B1 (en) 2014-08-25 2014-09-09 Water serve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789334B1 (en)
KR (1) KR102231736B1 (en)
TW (1) TW201615534A (en)
WO (1) WO2016031086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85463B (en) * 2018-08-01 2020-02-21 銓寶工業股份有限公司 Underneath type water dispenser and underneath type water dispenser equipped with a shrink-packed bucket and its usage method
JP7154901B2 (en) * 2018-09-10 2022-10-18 矢崎エナジーシステム株式会社 beverage dispenser
JP7266278B2 (en) * 2018-11-27 2023-04-28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Water bottle lease contract management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9033A (en) 2008-04-11 2009-10-29 Hokuei:Kk Drinking water dispenser
JP2012171651A (en) * 2011-02-21 2012-09-10 Tech Corporation:Kk Method and device of inserting bottled water in drinking water supply equipment using bottled water as raw water
WO2013128666A1 (en) * 2012-03-02 2013-09-06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Water server
WO2014045763A1 (en) * 2012-09-18 2014-03-27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Water serv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34603B2 (en) * 2006-08-30 2008-10-14 Mtn Products, Inc. Bottom load water cool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9033A (en) 2008-04-11 2009-10-29 Hokuei:Kk Drinking water dispenser
JP2012171651A (en) * 2011-02-21 2012-09-10 Tech Corporation:Kk Method and device of inserting bottled water in drinking water supply equipment using bottled water as raw water
WO2013128666A1 (en) * 2012-03-02 2013-09-06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Water server
WO2014045763A1 (en) * 2012-09-18 2014-03-27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Water server
JP2014058332A (en) 2012-09-18 2014-04-03 Cosmo Life:Kk Water ser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43969A (en) 2016-04-04
WO2016031086A1 (en) 2016-03-03
TW201615534A (en) 2016-05-01
JP5789334B1 (en) 2015-10-07
KR102231736B1 (en) 202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6880B1 (en) Water dispenser
KR102065202B1 (en) Water server
US10563909B2 (en) Refrigerator with a quick fill dispenser
KR20170043482A (en) Water server
KR102044580B1 (en) Water server
KR20120001758A (en) Beverage dispenser
KR20150127130A (en) Water dispenser
CN111380311A (en) Pre-water injection assembly for refrigeration equipment
KR20140143818A (en) Water dispenser
KR20150070188A (en) Water server
CN105026303B (en) Water dispenser
US8631814B2 (en) Flow control device
KR101484131B1 (en) Water cooling type grill with assistance water tank
CN103622551A (en) Water dispenser
JP7176721B2 (en) water server
US9090444B2 (en) Nozzle flow control structure
JP2015020759A5 (en)
US10401076B2 (en) Cooling and/or freezing apparatus
KR102288480B1 (en) Dispenser for beverage
KR101533962B1 (en) hot and cold water dispenser
CN104055421B (en) There is in boxed unit the water dispenser of bag
JP2020001731A (en) Water server
CN201832442U (en) Oil-water separator
KR20150015121A (en) A faucet with changeable way of drain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