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2865A - 통신 시스템에서 푸쉬 투 토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에서 푸쉬 투 토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2865A
KR20170042865A KR1020150141984A KR20150141984A KR20170042865A KR 20170042865 A KR20170042865 A KR 20170042865A KR 1020150141984 A KR1020150141984 A KR 1020150141984A KR 20150141984 A KR20150141984 A KR 20150141984A KR 20170042865 A KR20170042865 A KR 20170042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ime
information related
including information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1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4810B1 (ko
Inventor
김용태
김재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1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4810B1/ko
Priority to US15/767,987 priority patent/US10470004B2/en
Priority to PCT/KR2016/011134 priority patent/WO2017065449A1/ko
Priority to EP16855666.0A priority patent/EP3355544B1/en
Publication of KR20170042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2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61Push-to services, e.g. push-to-talk or push-to-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및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을 위한 기술과 관련된 것이다. 본 개시는 상기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지능형 서비스(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통신 시스템에서 푸쉬 투 토크(push to talk : PTT)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 개의 데이터 각각이 재생되어야 하는 시간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 포맷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파일 포맷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 푸쉬 투 토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USH TO TALK SERVICE IN COMMUNICATION}
본 개시는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통신 시스템에서 푸쉬 투 토크(push to talk : PTT)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 IoT)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모든 것의 인터넷(internet of everything : IoE) 기술은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하나의 예가 될 수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 등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인터넷 기술(internet technology : IT)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 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단말의 통신 시스템은 전체 서비스 지역을 다수의 기지국 영역으로 분할하여 소규모의 서비스 영역인 셀들(cells)로 구성하고, 기지국들은 이동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 MSC)으로 집중 제어하여 가입자가 셀간을 이동하면서도 통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단말은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인터넷 기반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 IP) 네트워크와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결합하기 위한 여러가지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중의 하나로 IP를 이용한 패킷 기반의 음성(voice over IP : VoIP) 서비스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 기술에 의한 패킷 기반의 호 서비스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IP 네트워크를 통해 호를 설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호 설정시간이 비교적 길다는 단점을 가진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IP 네트워크의 다중 전송(Multicast) 기능을 이용하여 그룹호(Group call) 및 개인호(Private call)와 같은 인터액티브 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액티브 호 서비스란 사용자들의 상호간 동작에 의하여 통화가 이루어지는 호의 한 종류로서 예를 들어 워키토키(Walkie-talkie)에서와 같은 PTT 기능이 있다. 또한 그룹호랑 미리 정해지는 사용자들의 그룹내에서 사용자들간의 다자간 통화를 의미하며 개인호란 미리 정해지는 사용자들의 그룹내에서 사용자들간의 일대일 통화를 의미한다. 이러한 PTT 서비스는 다수의 사용자 또는 그룹을 대상으로 데이터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로서, 단말에서 다수의 사용자 또는 그룹을 대상으로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재생하거나, 실시간으로 재생된 데이터를 다시 재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서비스는 음성, 영상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그러나 종래 단말에서 PTT 서비스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 또는 그룹을 대상으로 실시간으로 재생된 데이터를 다시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 단말은 각 단말들에서 전송한 데이터에 대한 연관성을 고려하지 않고, PTT 서비스에서 데이터를 전송한 단말의 순서에 따라 해당 단말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다시 재생한다. 일 예로, 종래 단말은 도 1과 같이 PTT 서비스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 또는 그룹을 대상으로 실시간으로 재생된 데이터를 다시 재생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단말에서 PTT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 예를 보이고 있다.
도 1의 실시 예에서는 PTT 서비스에서 제1 단말(110)이 가장 먼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푸쉬(push) 버튼을 입력하여 제1 질문 데이터(111)를 전송하고 제2 질문 데이터(113)의 전송을 위하여 푸쉬 버튼의 입력을 유지하는 동안, 제2 단말(130)이 제1 질문 데이터(111)에 대응한 응답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푸쉬 버튼을 입력하여 제1 응답 데이터(131)를 전송하였음을 가정한다. 계속하여 제1 단말(110)이 푸쉬 버튼의 입력을 유지하고 있는 중에 다시 제2 질문 데이터(113)를 전송하고 제3 단말(130)이 제2 질문 데이터(113)에 대응한 응답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푸쉬 버튼을 입력하여 제2 응답 데이터(151)를 전송하였음을 가정한다. 이때, 종래 제1 단말(110)은 제1 단말(110), 제2 단말(130) 및 제3 단말(150) 별로 전송한 데이터를 각각 저장하고 있다.
이후, 제1 단말(110)에서 PTT 서비스를 통해 이전에 재생된 데이터를 다시 재생하고자 하는 이벤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1 단말(110)은 제1 단말(110), 제2 단말(130) 및 제3 단말(150) 별로 전송한 데이터를 각각 저장하고 있으므로, PTT 서비스에서 데이터를 전송한 단말의 순서에 따라 제1 단말(110)에서 전송한 모든 데이터(111, 113)를 재생하고 제2 단말(130)에서 전송한 데이터(131)를 재생한 후 제3 단말(150)에서 전송한 데이터(150)를 재생하게 된다. 즉, 제1 단말(110)은 PTT 서비스에서 제1 질문 데이터(111), 제2 질문 데이터(113), 제1 응답 데이터(131), 제2 응답 데이터(151) 순서로 데이터를 재생하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PTT 서비스에서 실시간으로 제공된 데이터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제1 단말(110)에서 PTT 서비스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 또는 그룹을 대상으로 이전에 실시간으로 재생된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정확하게 제공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통신 시스템에서 PTT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가 전송된 시간에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PTT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가 재생될 시간에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PTT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통신 시스템에서 푸쉬 투 토크(push to talk : PTT)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 개의 데이터 각각이 재생되어야 하는 시간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 포맷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파일 포맷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장치는; 통신 시스템에서 푸쉬 투 토크(push to talk : PTT)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데이터 각각이 재생되어야 하는 시간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 포맷을 생성하고, 상기 파일 포맷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들과, 이득들 및 핵심적인 특징들은 부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고,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개시하는, 하기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하기의 본 개시의 구체적인 설명 부분을 처리하기 전에, 이 특허 문서를 통해 사용되는 특정 단어들 및 구문들에 대한 정의들을 설정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상기 용어들 "포함하다(include)" 및 "포함하다(comprise)"와 그 파생어들은 한정없는 포함을 의미하며; 상기 용어 "혹은(or)"은 포괄적이고, "및/또는"을 의미하고; 상기 구문들 "~와 연관되는(associated with)" 및 "~와 연관되는(associated therewith)"과 그 파생어들은 포함하고(include), ~내에 포함되고(be included within), ~와 서로 연결되고(interconnect with), 포함하고(contain), ~내에 포함되고(be contained within), ~에 연결하거나 혹은 ~와 연결하고(connect to or with), ~에 연결하거나 혹은 ~와 연결하고(couple to or with), ~와 통신 가능하고(be communicable with), ~와 협조하고(cooperate with), 인터리빙하고(interleave), 병치하고(juxtapose), ~로 가장 근접하고(be proximate to), ~로 ~할 가능성이 크거나 혹은 ~와 ~할 가능성이 크고(be bound to or with), 가지고(have), 소유하고(have a property of) 등과 같은 내용을 의미하고; 상기 용어 "제어기"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임의의 디바이스, 시스템, 혹은 그 부분을 의미하고, 상기와 같은 디바이스는 하드웨어, 펌웨어 혹은 소프트웨어, 혹은 상기 하드웨어, 펌웨어 혹은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2개의 몇몇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특정 제어기와 연관되는 기능성이라도 집중화되거나 혹은 분산될 수 있으며, 국부적이거나 원격적일 수도 있다는 것에 주의해야만 할 것이다. 특정 단어들 및 구문들에 대한 정의들은 이 특허 문서에 걸쳐 제공되고,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많은 경우, 대부분의 경우가 아니라고 해도, 상기와 같은 정의들이 종래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정의된 단어들 및 구문들의 미래의 사용들에도 적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단말에서 PTT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파일 포맷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PTT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저장된 mpff를 기반으로 PTT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PTT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PTT 서비스를 제공한 결과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상기 도면들을 통해, 유사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혹은 유사한 엘리먼트들과, 특징들 및 구조들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만 한다.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청구항들 및 청구항들의 균등들로 정의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포괄적으로 이해하는데 있어 도움을 줄 것이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그 이해를 위해 다양한 특정 구체 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는 단순히 예로서만 간주될 것이다. 따라서,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여기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경들 및 수정들이 본 개시의 범위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또한, 공지의 기능들 및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명료성 및 간결성을 위해 생략될 수 있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및 단어들은 문헌적 의미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발명자에 의한 본 개시의 명료하고 일관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될 뿐이다. 따라서,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에게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 목적만을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첨부되는 청구항들 및 상기 청구항들의 균등들에 의해 정의되는 본 개시를 한정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명백해야만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를 저장하는 파일 포맷에 대하여 설명한 후,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단말에서 저장된 파일 포맷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다시 재생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파일 포맷을 보이고 있다. 여기서, 상기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파일 포맷을 멀티 PTT 파일 포맷(multi PTT file format : mpff)(200)이라 정의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mpff(200)가 독립된 파일 형태로 존재하거나, 해당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파일(일 예로, 250-1 또는 205-2)에서 프라이빗(private)한 영역의 메타데이터 영역에 존재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2에서는 mpff(200)가 독립된 파일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며, 해당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파일(일 예로, 250-1 또는 205-2)에서 프라이빗(private)한 영역의 메타데이터 영역에 존재하는 경우도 상기 메타데이터 영역에 도 2에 도시한 mpff(220)가 그대로 존재된다.
도 2를 참조하면, mpff(200)는 다수의 단말에서 전송된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가 재생되어야 하는 시간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상세하게, 상기 mpff(200)는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시간 테이블(time table to play file : ttpf) 영역(210) 및 적어도 하나의 파일 디스크립션(file description : fdes) 영역(230-1, 230-2, …)을 포함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용어 “데이터”와 “파일”을 혼용하여 기재하나, 이는 동일한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 ttpf 영역(210)은 동시에 재생되어야 하는 데이터의 개수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fdes의 개수(Num of fdes) 필드(211), 데이터의 식별자(id)에 따른 재생 시간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fdes의 id에 관한 시간(time to fdes id) 필드(213) 및 실제 데이터가 존재하는 위치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fdes 위치(fdes location) 필드(215)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ttpf 영역(210)은 Num of fdes 필드(211), time to fdes id 필드(213) 및 fdes location 필드(215)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들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mpff(200)는 Num of fdes 필드(211)에 포함된 fdes의 개수에 관련된 정보에 따라. fdes의 개수만큼의 file description 영역을 포함한다. 일 예로, 도 2에서는 Num of fdes 필드(211)에 포함된 fdes의 개수에 관련된 정보가 2개의 fdes에 관련된 정보인 경우, mpff(200)는 2개의 fdes 영역(230-1, 230-2)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Num of fdes 필드(211)에 포함된 fdes의 개수에 관련된 정보가 2개의 fdes에 관련된 정보이고, mpff(200)는 2개의 fdes 영역(230-1, 230-2)을 포함함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Num of fdes 필드(211)에 포함된 fdes의 개수에 관련된 정보가 3개 이상의 fdes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본 개시의 실시 예가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됨을 물론이다.
상기 fdes 영역들(230-1, 230-2) 각각은 fdes의 id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fdes id 필드(231), 파일의 이름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 이름(file name) 필드(233), 데이터의 재생을 시작할 시간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시작 시간(starting time)(235) 및 데이터가 재생되는 기간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기간(duration) 필드(237)를 포함한다.
여기서, starting time 필드(235)에 포함된 데이터의 재생을 시작할 시간에 관련된 정보는 PTT 서비스를 시작하는 시간으로부터의 상대적인 시간에 대한 옵셋(offst) 값을 포함한다. 이에 단말은 PTT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현재 재생 시간을 알고 있고, starting time 필드(235)로부터 해당 데이터를 재생할 시작 시간을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재생 시간과 파일의 시작 시간을 비교하여 해당 데이터에서 재생할 시점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기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를 저장하는 파일 포맷(즉, mpff)200)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단말에서 저장된 mpff(200)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다시 재생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PTT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보이고 있다. 여기서, PTT 서비스는 이전에 실시간으로 재생된 데이터를 다시 재생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은 PTT 서비스에서 재생해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재생해야 하는 시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mpff(200)를 로딩(loading)한다(301). 그리고 단말은 PTT 서비스를 통해 데이터를 재생하고 있는 현재 재생 시간을 확인한다(303). 이때, 단말에서 PTT 서비스를 시작하고자 하는 경우 현재 재생 시간은 0값을 가진다. 상기 단말은 상기 확인된 현재 재생 시간에 관련된 정보에 해당하는 ttpf(210)의 인덱스 정보를 계산한다(305). 여기서 인덱스 정보는 시간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단말은 ttpt 영역(210) 내의 time to fdes 필드(213)에 포함된 시간 정보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예로,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하나의 샘플 간격은 일반적으로 오디오 데이터의 경우 10~20ms이고 비디오 데이터의 경우 33.3ms인 경우가 많다. 이에 0 값을 가지는 인덱스 정보는 가장 먼저 재생되는 데이터의 시작 시간에 관련된 정보이다. 즉, PTT 서비스에서 가장 먼저 재생될 데이터의 시작 시점은 0이고, 0을 기준치로 하여 다른 데이터들의 시작 시점도 결정되게 된다.
이에 단말은 ttpf(210) 영역에서 상기 계산된 인덱스 정보에 해당하는 num of fdes 필드(211)와 time of fdes id 필드(213)로부터 현재 시간에 재생할 데이터의 개수 및 재생할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의 id를 확인한다(307). 그리고 상기 단말은 fdes location 필드(215)로부터 상기 확인된 id에 해당하는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영역의 위치를 확인한다(309). 이때 상기 현재 시간에 재생할 데이터의 개수가 두 개 이상인 경우, 참조번호 309 단계 내지 315 단계는 확인된 id 별로 수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fdes location 필드(215)는 상기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대적인 바이트 옵셋(offset)과 관련된 정보로 포함하고 있다.
상기 단말은 상기 확인된 위치가 fdes 영역(230-1)인 경우, fdes 영역(230-1)에 포함된 fdes ID 필드(231)로부터 상기 확인된 id와 fdes ID 필드(231)에 포함된 fdes id가 동일한지 확인한다(311).
상기 확인된 id와 fdes ID 필드(231)에 포함된 fdes id가 동일한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fdes 영역(230-1)에 포함된 데이터의 이름 및 상기 데이터의 스트림(stream)(250-1)이 포함되어 있는 경로를 확인한 후, 상기 fdes 영역(230-1)에 포함된 데이터의 시작 시간과 현재 재생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데이터에서 재생을 시작할 시점을 결정한다(313). 여기서 상기 fdes 영역(231)에 포함된 duration 필드(237)에 포함된 재생 기간에 관련된 정보는 직접적으로 데이터의 재생에 영향을 끼치지는 않지만, 단말에서 time to fdes id 필드(213)에 포함된 정보와 duration 필드(237)에 포함된 정보를 비교하여 재생하고 있는 데이터가 잘못된 재생 기간 동안 재생되고 있는지에 대하여 확인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반면 상기 확인된 id와 fdes ID 필드(231)에 포함된 fdes id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은 다시 203 단계로 복귀하여 ttpf 영역(210)을 분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단말은 상기 확인된 파일의 이름 및 경로로부터 데이터의 스트림(250-1)을 확인하고, 상기 현재 재생 시간에 상기 데이터의 스트림(250-1)에서 상기 결정된 시점에 해당하는 데이터 스트림을 재생한다(315). 이때, 단말은 제어기에서 디코더(decoder), 믹서(mixer) 및 렌더(render)를 포함하는 경우, 믹서에서 동일한 시점에 복수 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전달받으면 복수 개의 데이터를 믹싱하여 재생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은 도 4의 실시 예와 같이, 저장된 mpff를 기반으로 PT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저장된 mpff를 기반으로 PTT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 예를 보이고 있다. 도 4에는 ttpf 영역(210)에 포함된 Num of fdes 필드(211)와 Time to fdes id 필드(213)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Num of fdes 필드(211)의 값이 1인 경우, Time to fdes id 필드(213)에서는 하나의 아이디에 대한 시간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Num of fdes 필드(211)의 값이 2인 경우, Time to fdes id 필드(213)에서는 두 개의 아이디에 대한 시간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이하, 도 4의 실시 예에서는 데이터가 오디오 데이터에 해당하고 샘플 간격이 10ms임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일 예로, 단말이 PTT 서비스를 시작하기 위한 현재 재생 시간이 0임을 확인한 후, Num of fdes 필드(211)의 값이 1이고, Time to fdes id 필드(213)의 값이 id 0에 대한 시간에 관련된 정보가 0ms임을 확인하면, 0ms 시점부터 id 0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이 PTT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중 현재 재생 시간이 60ms임을 확인한 후, Num of fdes 필드(211)의 값이 2이고, Time to fdes id 필드(213)의 값에 id 0에 대한 시간에 관련된 정보 및 id 1에 대한 시간에 관련된 정보가 포함됨을 확인하면(특히, id 1에 대한 시간에 관련된 정보가 60ms임을 확인하면), 60ms 시점부터 id 1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이때, Num of fdes 필드(211)의 값이 2이고, Time to fdes id 필드(213)의 값에 id 0에 대한 시간에 관련된 정보 및 id 1에 대한 시간에 관련된 정보가 모두 포함되어 있으므로, 60ms 시점부터는 id 0에 해당하는 데이터와 id 1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믹싱되어 재생된다.
이후, 단말이 PTT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중 현재 재생 시간이 100ms임을 확인한 후, Num of fdes 필드(211)의 값이 1이고, Time to fdes id 필드(213)의 값에 id 1에 대한 시간에 관련된 정보만 포함됨을 확인하면, 100ms 시점에서 id 0에 대한 데이터의 재생이 중지되고 id 1에 대한 데이터만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이 PTT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중 현재 재생 시간이 140ms임을 확인한 후, Num of fdes 필드(211)의 값이 2이고, Time to fdes id 필드(213)의 값에 id 1에 대한 시간에 관련된 정보 및 id 2에 대한 시간에 관련된 정보가 포함됨을 확인하면(특히, id 2에 대한 시간에 관련된 정보가 140ms임을 확인하면), 140ms 시점부터 id 1에 대한 데이터와 id 2에 대한 데이터를 믹싱하여 재생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이 PTT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중 현재 재생 시간이 170ms임을 확인한 후, Num of fdes 필드(211)의 값이 1이고, Time to fdes id 필드(213)의 값에 id 2에 대한 시간에 관련된 정보만 포함됨을 확인하면, 170ms 시점에서 id 1에 대한 데이터의 재생이 중지되고 id 2에 대한 데이터만 재생할 수 있다.
만약, 단말이 PTT 서비스에서 100ms 시점부터의 데이터에 대한 재생을 요청받은 경우, 단말은 현재 재생 시간이 100ms임을 확인하고, 100ms에 해당하는 Num of fdes 필드(211)의 값이 1이고, Time to fdes id 필드(213)의 값에 id 1에 대한 시간에 관련된 정보만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한다. 이로부터 단말은 ttpf 영역(210)의 fdes location 필드(215)로부터 id 1에 해당하는 fdes 영역을 분석한다. 상기 id 1에 해당하는 fdes 영역의 분석을 통해, 상기 단말은 id 1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이름과 시작 시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단말의 현재 재생 시간와 id 1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시작 시간을 비교하여 id 1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어느 시점부터 재생이 시작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한다. 이 경우, 단말의 현재 재생 시간이 100ms이고 id 1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시작 시간이 60ms이므로, 단말은 id 1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40ms부터 재생이 시작되도록 결정한다. 따라서 단말은 PTT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현재 재생 시간이 100ms인 경우, 현재 재생 시간에 id 1에 해당하는 데이터에서 40ms에 해당하는 데이터 스트림부터 재생할 수 있다.
상기 도 2 내지 도 4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PTT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PTT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PTT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보이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500)은 송신기(501), 제어기(503), 수신기(505) 및 저장 유닛(507)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제어기(503)는 상기 단말(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PTT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을 제어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PTT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송신기(501)는 상기 제어기(503)의 제어에 따라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다른 엔터티들로 각종 신호들 및 각종 메시지들을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기(501)가 송신하는 각종 신호들 및 각종 메시지들은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수신기(505)는 상기 제어기(503)의 제어에 따라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다른 엔터티들로부터 각종 신호들 및 각종 메시지들을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기(503)가 수신하는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은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저장 유닛(507)은 상기 제어기(503)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단말(500)이 수행하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PTT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각종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 유닛(507)은 상기 수신기(505)가 상기 다른 엔터티들로부터 수신한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을 저장한다.
한편, 도 5에는 상기 단말(500)이 상기 송신기(501)와, 제어기(503)와, 수신기(505)와, 저장 유닛(507)과 같이 별도의 유닛들로 구현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단말(500)은 상기 송신기(501)와, 제어기(503)와, 수신기(505)와, 저장 유닛(507) 중 적어도 두 개가 통합된 형태로 구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단말(500)은 1개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도 5에서는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PTT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500)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단말에서 구현한 결과의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PTT 서비스를 제공한 결과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도 6의 실시 예에서는 PTT 서비스에서 제1 단말(610)이 가장 먼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푸쉬 버튼을 입력하여 제1 질문 데이터(611)를 전송하고 제2 질문 데이터(613)의 전송을 위하여 푸쉬 버튼의 입력을 유지하는 동안, 제2 단말(630)이 제1 질문 데이터(611)에 대응한 응답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푸쉬 버튼을 입력하여 제1 응답 데이터(631)를 전송하였음을 가정한다. 계속하여 제1 단말(610)이 푸쉬 버튼의 입력을 유지하고 있는 중에 다시 제2 질문 데이터(613)를 전송하고 제3 단말(630)이 제2 질문 데이터(613)에 대응한 응답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푸쉬 버튼을 입력하여 제2 응답 데이터(651)를 전송하였음을 가정한다.
이때,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제1 단말(610)은 실시간으로 재생된 데이터를 다시 재생하기 위하여, 동일한 시간에 재생된 데이터의 개수에 대한 정보, 다수의 단말에서 데이터가 재생된 시간 및 재생된 데이터의 id에 대한 정보를 mpff(200)로 저장하여 관리한다.
따라서 제1 단말(610)은 PTT 서비스를 통해 이전에 실시간으로 재생된 데이터를 다시 재생하고자 하는 이벤트가 입력된 경우, mpff(200)를 기반으로 현재 재생 시간에 따라 동일한 시간에 재생되는 복수 개의 데이터를 혼합하여 재생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실시 예는 제1 단말(110)에서 복수 개의 단말(110 내지 15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하나의 파일 포맷(즉, mpff(200))으로 저장하고 있으므로, PTT 서비스에서 현재 재생 시간에 따라 제1 단말(110)에서 전송한 제1 질문 데이터(111), 제2 단말(130)에서 전송한 제1 응답 데이터(131), 제1 단말(110)에서 전송한 제2 질문 데이터(113), 제3 단말(150)에서 전송한 제2 응답 데이터(151) 순서로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이로부터 제1 단말(11)은 이전에 실시간으로 재생한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다시 재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6)

  1. 통신 시스템에서 푸쉬 투 토크(push to talk : PTT)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 개의 데이터 각각이 재생되어야 하는 시간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 포맷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파일 포맷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PTT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포맷은,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각각이 재생되어야 하는 시간에 관련된 정보 및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각각이 존재하는 위치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영역과,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각각의 디스크립션(description)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제2 영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PTT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동일한 시간에 재생되어야 하는 데이터의 개수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필드와,
    상기 동일한 시간에 재생되어야 하는 데이터의 식별자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필드와,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각각이 존재하는 위치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3 필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PTT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2 영역 각각은,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중 제1 데이터에 대한 식별자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필드와,
    상기 제1 데이터의 이름(name)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필드와,
    상기 제1 데이터의 재생을 시작하는 시간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3 필드와,
    상기 제1 데이터가 재생되는 기간(duration)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4 필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PTT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의 재생을 시작하는 시간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PTT 서비스를 시작하는 시간으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의 재생을 시작하는 시간에 대한 상대적인 옵셋 값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PTT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포맷은,
    상기 제1 데이터의 헤더에서 하나의 메타데이터 형태로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PTT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은,
    상기 PTT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현재 시간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파일 포맷을 기반으로 상기 현재 시간에 재생되어야 하는 제1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된 정보로부터 제1 데이터의 재생이 시작되는 시간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시간과 상기 제1 데이터의 재생이 시작되는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제1 데이터에서 재생을 시작할 시점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데이터에서 상기 결정된 시점에 해당하는 데이터 스트림을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PTT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오디오, 비디오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PTT 서비스 제공 방법.
  9. 통신 시스템에서 푸쉬 투 토크(push to talk : PTT)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데이터 각각이 재생되어야 하는 시간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 포맷을 생성하고, 상기 파일 포맷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PTT 서비스 제공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포맷은,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각각이 재생되어야 하는 시간에 관련된 정보 및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각각이 존재하는 위치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영역과,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각각의 디스크립션(description)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제2 영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PTT 서비스 제공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동일한 시간에 재생되어야 하는 데이터의 개수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필드와,
    상기 동일한 시간에 재생되어야 하는 데이터의 식별자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필드와,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각각이 존재하는 위치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3 필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PTT 서비스 제공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2 영역 각각은,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중 제1 데이터에 대한 식별자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필드와,
    상기 제1 데이터의 이름(name)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필드와,
    상기 제1 데이터의 재생을 시작하는 시간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3 필드와,
    상기 제1 데이터가 재생되는 기간(duration)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4 필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PTT 서비스 제공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의 재생을 시작하는 시간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PTT 서비스를 시작하는 시간으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의 재생을 시작하는 시간에 대한 상대적인 옵셋 값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PTT 서비스 제공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포맷은,
    상기 제1 데이터의 헤더에서 하나의 메타데이터 형태로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PTT 서비스 제공 장치.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PTT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현재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파일 포맷을 기반으로 상기 현재 시간에 재생되어야 하는 제1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정보로부터 제1 데이터의 재생이 시작되는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현재 시간과 상기 제1 데이터의 재생이 시작되는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제1 데이터에서 재생을 시작할 시점을 결정하며, 상기 제1 데이터에서 상기 결정된 시점에 해당하는 데이터 스트림을 재생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PTT 서비스 제공 장치.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오디오, 비디오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PTT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150141984A 2015-10-12 2015-10-12 통신 시스템에서 푸쉬 투 토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64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984A KR102364810B1 (ko) 2015-10-12 2015-10-12 통신 시스템에서 푸쉬 투 토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15/767,987 US10470004B2 (en) 2015-10-12 2016-10-05 Push-to-talk service playing data
PCT/KR2016/011134 WO2017065449A1 (ko) 2015-10-12 2016-10-05 통신 시스템에서 푸쉬 투 토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EP16855666.0A EP3355544B1 (en) 2015-10-12 2016-10-05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push-to-talk service in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984A KR102364810B1 (ko) 2015-10-12 2015-10-12 통신 시스템에서 푸쉬 투 토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2865A true KR20170042865A (ko) 2017-04-20
KR102364810B1 KR102364810B1 (ko) 2022-02-18

Family

ID=58517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1984A KR102364810B1 (ko) 2015-10-12 2015-10-12 통신 시스템에서 푸쉬 투 토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70004B2 (ko)
EP (1) EP3355544B1 (ko)
KR (1) KR102364810B1 (ko)
WO (1) WO201706544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68792A1 (en) * 2004-06-30 2008-10-30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cording Push-To-Talk (PTT) Voice Communications For Replay
US20130303226A1 (en) * 2008-04-11 2013-11-14 Voxer Ip Llc Time-shifting for push to talk voice communication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5164A (en) * 1995-12-21 1998-06-09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discontinuous segments of multiple audio, video, and data streams
KR20060084720A (ko) 2005-01-20 2006-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티티 단말기의 음성 유디피 패킷 수신 방법
US7970425B2 (en) 2005-08-30 2011-06-28 Alcatel-Lucent Usa Inc. Push-to-talk group call system using CDMA 1x-EVDO cellular network
US20100190478A1 (en) 2009-01-23 2010-07-2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push-to-share file distribution with previews
JP2010232751A (ja) * 2009-03-26 2010-10-14 Kyocera Corp 電子機器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WO2011133845A2 (en) 2010-04-22 2011-10-27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Situational awareness integrated network and system for tactic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68792A1 (en) * 2004-06-30 2008-10-30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cording Push-To-Talk (PTT) Voice Communications For Replay
US20130303226A1 (en) * 2008-04-11 2013-11-14 Voxer Ip Llc Time-shifting for push to talk voice communication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55544A4 (en) 2018-08-29
KR102364810B1 (ko) 2022-02-18
EP3355544A1 (en) 2018-08-01
US20180302758A1 (en) 2018-10-18
US10470004B2 (en) 2019-11-05
WO2017065449A1 (ko) 2017-04-20
EP3355544B1 (en) 2020-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1338B1 (ko) 복수의 재생 장치들이 스트리밍 컨텐트를 동기화하여 재생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1529867B (zh) 在对等配置中共享多媒体内容
CN101212823B (zh) 内容重放系统,重放设备,重放控制方法和程序
CN103065658B (zh) 多终端同步播放控制方法及装置
US99008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9194427B (zh) 基于ip网络的校园广播系统
CN102084671B (zh) 用于在基于基础设施的通信系统中分发媒体的方法
US20110295974A1 (en) Seamless transfer of media streams
US20080119172A1 (en) Multicasting Push-To-Media Content
JP2005312045A (ja) 動的なグループアドレス作成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03748610A (zh) 用于在进行通信服务的同时提供多媒体内容共享服务的方法和系统
US20140324591A1 (en) Selectively authenticating a group of devices as being in a shared environment based on locally captured ambient sound
US20090193124A1 (en) Method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Automatically Creating Social Networking Services (SNS)
JP2007306570A (ja) 一時停止点を使用するデータリソースのアクセス
EP3068150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device
CN104918069A (zh) 一种播放场景还原方法、系统、播放终端及控制终端
CN109983777A (zh) 启用媒体编排
KR100871840B1 (ko) Smmd 기반 유비쿼터스 홈 미디어 서비스 장치 및 방법과, 그를 이용한 홈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900897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dio conference between heterogenious networks
CN105282711B (zh) 基于组播技术发送、接收网络配置信息的方法及终端
US201703535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arty communication of trending topics
US9686327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ctive communication sessions and communication session information server
EP2974224A2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arty communication
KR102364810B1 (ko) 통신 시스템에서 푸쉬 투 토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TW201725882A (zh) 行動裝置的廣播通訊方法及無線電雲端系統的通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