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2531A - Wa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Wash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2531A
KR20170042531A KR1020170046121A KR20170046121A KR20170042531A KR 20170042531 A KR20170042531 A KR 20170042531A KR 1020170046121 A KR1020170046121 A KR 1020170046121A KR 20170046121 A KR20170046121 A KR 20170046121A KR 20170042531 A KR20170042531 A KR 20170042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laundry
glass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61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71890B1 (en
Inventor
김동영
아담 위슨니
류두영
이인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6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890B1/en
Publication of KR20170042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25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8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8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6Gaskets mounted between tub and casing around the loading ope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ashing machine includes: a cabinet having a first opening; and a door assembly provided to open or close the first opening. The door assembly includes: a second opening provided to be opened or closed independently of the first opening; and a door body having a rear hold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opening. The rear holder includes a door sealing unit separated from the second opening and configured to seal an inner part of the cabinet in a manner that contacts a diaphragm when the first opening is closed by the door assembly.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more effectively seal a cabinet, as well as to allow a user to additionally insert laundry or detergent to a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washing machine is operating.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물의 투입이 용이하도록 투입구조를 개선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shing machine improved in its input structure to facilitate loading of laundry.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전력을 이용하여 의류를 세탁하는 기계로서, 이러한 세탁기의 종류에는 회전조를 수평으로 배치해서 이 회전조가 수평축에 대하여 정역 방향으로 회전할 때 세탁물이 회전조의 내주면을 따라 상향으로 올려져서 낙하함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하는 방식인 드럼세탁기와, 내부에 펄세이터를 구비한 회전조를 수직으로 배치하여 이 회전조가 수직축에 대하여 정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펄세이터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방식인 수직축 세탁기가 있다.BACKGROUND ART Generally, a washing machine is a machine for washing clothes using electric power. In a type of such a washing machine, a rotary tub is horizontally arranged and when the rotary tub is rotat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bout the horizontal axis, the laundry is raised upward al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ry tub A drum washing machine which is a method of washing clothes by falling, and a rotary tub provided with a pulsator therein are vertically arranged. By using the water flow generated by the pulsator when the rotary tub rotates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bout the vertical axis, There is a vertical washer, which is a washing method.

일반적으로 드럼세탁기는 캐비닛과, 캐비닛내부에서 세탁수를 저수하는 터브와, 세탁물이 수용되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을 포함한다. 캐비닛에는 개구가 마련되고, 개구는 도어에 의해 개폐되도록 마련된다.Generally, a drum washing machine includes a cabinet, a tub for storing wash water in the cabinet, and a drum accommodated in the laundry and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tub. The cabinet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the opening is provided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by the door.

드럼의 내부에 세탁물 및 세제, 세탁수가 투입된 상태에서 드럼이 회전하면서 세탁물을 세탁수와 함께 교반시켜 세탁물에 묻은 때를 제거하게 된다.The drum is rotated while the laundry, the detergent, and the washing water are put into the drum, and the laundry is stirred with the washing water to remove the impurities from the laundry.

이 과정에서 세탁물은 캐비닛의 마련되는 개구에 의해 투입되고, 세제와 세탁수는 세제공급장치에 의해 공급되도록 마련된다. In this process, the laundry is introduced by the opening provided in the cabinet, and the detergent and the washing water are supplied by the detergent supply device.

그러나 드럼세탁기의 세탁행정이 시작되면 드럼세탁기의 도어는 락킹(Locking)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므로 세탁과정 중 도어의 개방을 위해서는 세탁행정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리거나, 세탁행정을 정지시킨 후 세탁수의 배수가 완료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이와 같이 세탁과정 중에 드럼의 내부로 세탁물 또는 세제를 추가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제한된다는 데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washing cycle of the drum washing machine starts, the door of the drum washing machine keeps the locking state. Therefore, in order to open the door during the washing process, it is necessary to wait until the washing cycle is completed, or to stop the washing cycle and wait until the drainage of the washing water is complete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limited to additionally supply laundry or detergent into the drum during the washing process.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세탁물 내지 세제의 자유로운 투입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세탁물 내지 세제의 투입구조를 가지는 세탁기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shing machine having an improved laundry / detergent input structure capable of allowing laundry or detergent to be freely input.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세탁행정 중 세탁물 내지 세제의 자유로운 투입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투입구조를 가지는 세탁기를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having an improved input structure for allowing laundry or detergent to be freely input during a washing cycle.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추가적인 세탁공간이 마련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세탁기를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shing machin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to provide an additional washing space.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세탁물 또는 세제의 추가적인 공급이 가능한 세탁기를 제공한다. Yet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sher capable of providing additional laundry or detergent.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제 1 세탁물 투입구를 갖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어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배치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및 상기 제 1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전면에 형성된 제 2 세탁물 투입구; 및 상기 도어가 상기 제 1 세탁물 투입구를 닫은 때에, 적어도 일부가 상기 캐비닛 내부로 돌출되는 도어글래스;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글래스에는 글래스 개구가 마련되어, 상기 도어가 상기 제 1 세탁물 투입구를 닫은 때에, 상기 제 2 세탁물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세탁물이 상기 글래스 개구를 거쳐 상기 드럼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cabinet having a first laundry inlet; A tub disposed inside the cabinet to store wash water; A drum disposed inside the tub to receive the laundry; And a door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first laundry loading port, wherein the door includes: a second laundry loading port formed on the front surface; And a door glass, at least a portion of which protrudes into the cabinet when the door closes the first laundry loading port, wherein a glass opening is provided in the door glass, and when the door closes the first laundry loading port, And the laundry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laundry loading port is received in the drum via the glass opening.

상기 도어는 상기 제 2 세탁물 투입구로부터 상기 글래스 개구까지 세탁물의 이동 통로를 형성하는 연결 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oor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chute that forms a path for transferring the laundry from the second laundry loading port to the glass opening.

상기 제 2 세탁물 투입구는 상기 글래스 개구 보다 높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수 있다.And the second laundry loading port is located higher than the glass opening.

상기 도어는 상기 제 2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하는 보조 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oor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econd laundry loading port.

상기 터브에 마련되는 터브 개구; 및 상기 제 1 세탁물 투입구와 상기 터브 개구의 사이에 배치되는 다이어프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글래스에는 상기 다이어프램과 접촉하는 환형의 도어 실링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 tub opening provided in the tub; And a diaphragm disposed between the first laundry inlet and the tub opening, wherein the door glass is provided with an annular door sealing portion contacting the diaphragm.

상기 도어는, 상기 제 2 세탁물 투입구가 마련되는 전방 커버; 및 상기 전방 커버에 결합되는 후방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어글래스에는 상기 전방 커버와 상기 후방 커버의 사이에 배치되는 환형의 플랜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Wherein the door comprises: a front cover having the second laundry inlet; And a rear cover coupled to the front cover, wherein the door glass is provided with an annular flange disposed between the front cover and the rear cover.

상기 전방 커버에는 상기 캐비닛 내부를 볼 수 있도록 윈도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ront cover may be provided with a window for viewing the inside of the cabinet.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제 1 세탁물 투입구를 갖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어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배치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제 1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상기 도어에 형성된 제 2 세탁물 투입구; 및 상기 도어가 상기 제 1 세탁물 투입구를 닫은 때에, 상기 제 2 세탁물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세탁물이 상기 드럼 내에 수용되도록 상기 제 2 세탁물 투입구로부터 연장되는 연결 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cabinet having a first laundry inlet; A tub disposed inside the cabinet to store wash water; A drum disposed inside the tub to receive the laundry; A door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first laundry loading port; A second laundry loading port formed in the door; And a connection chute extending from the second laundry inlet so that the laundry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laundry inlet is received in the drum when the door closes the first laundry inlet.

상기 연결 슈트의 출구단은 상기 제 2 세탁물 투입구 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nd the outlet end of the connecting suits may be located below the second laundry loading port.

상기 연결 슈트는 상기 캐비닛 내부를 향해 하향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nnection chute may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inside of the cabinet.

상기 제 2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하는 보조 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nd an auxiliary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econd laundry loading port.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가 상기 제 1 세탁물 투입구를 닫은 때에, 적어도 일부가 상기 캐비닛 내부로 돌출되는 도어글래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oor may include a door glass at least partially protruding into the cabinet when the door closes the first laundry loading port.

상기 터브에 마련되는 터브 개구; 및 상기 제 1 세탁물 투입구와 상기 터브 개구의 사이에 배치되는 다이어프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글래스에는 상기 다이어프램과 접촉하는 환형의 도어 실링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 tub opening provided in the tub; And a diaphragm disposed between the first laundry inlet and the tub opening, wherein the door glass is provided with an annular door sealing portion contacting the diaphragm.

상기 도어는, 상기 제 2 세탁물 투입구가 마련되는 전방 커버: 및 상기 전방 커버에 결합되는 후방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글래스에는 상기 전방 커버와 상기 후방 커버의 사이에 배치되는 환형의 플랜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oor includes a front cover having the second laundry inlet and a rear cover coupled to the front cover, and the door glass has an annular flange disposed between the front cover and the rear cover .

상기 전방커버에는 윈도우가 마련되어 상기 윈도우를 통해 상기 도어글래스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ront cover is provided with a window, and at least a part of the door glass is exposed through the window.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제 1 세탁물 투입구가 마련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어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배치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및 상기 제 1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전방 커버; 상기 전방 커버에 결합되는 후방 커버; 및 상기 도어가 상기 제 1 세탁물 투입구를 닫은 때에, 적어도 일부가 상기 캐비닛 내부로 돌출되는 도어글래스;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글래스는, 상기 전방 커버와 상기 후방 커버의 사이에 배치되는 환형의 플랜지; 및 상기 도어가 상기 제 1 세탁물 투입구를 닫은 때에, 상기 캐비닛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글래스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cabinet having a first laundry inlet; A tub disposed inside the cabinet to store wash water; A drum disposed inside the tub to receive the laundry; And a door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first laundry loading port, wherein the door includes: a front cover; A rear cover coupled to the front cover; And a door glass at least partially protruding into the cabinet when the door closes the first laundry loading port, wherein the door glass comprises: an annular flange disposed between the front cover and the rear cover; And a glass opening to allow the laundry to be introduced into the cabinet when the door is closed by the first laundry loading port.

상기 터브에 마련되는 터브 개구; 및 상기 제 1 세탁물 투입구와 상기 터브 개구의 사이에 배치되는 다이아프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글래스에는 상기 다이어프램과 접촉하는 환형의 도어 실링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 tub opening provided in the tub; And a diaphragm disposed between the first laundry inlet and the tub opening, wherein the door glass is provided with an annular door sealing portion contacting the diaphragm.

상기 전방 커버에는 윈도우가 마련되어 상기 윈도우를 통해 상기 도어글래스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ront cover is provided with a window, and at least a part of the door glass is exposed through the window.

상기 글래스 개구는 상기 윈도우 보다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nd the glass opening is disposed above the window.

상기 글래스 개구는 상기 캐비닛 내부로 돌출된 상기 도어글래스에 홀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Wherein the glass opening is provided in a hole shape in the door glass protruding into the cabinet.

사용자는 세탁행정 중 임의의 시점에 보조도어를 개폐하여 자유롭게 세탁물 내지 세제를 투입할 수 있다.The user can freely open and close the auxiliary door at any time during the washing process, and can freely input laundry or detergent.

또한 메인세탁공간과 구분되는 보조세탁공간을 설치함으로써 세탁물의 종류에 따른 분리 세탁이 가능하고, 그에 따라 세탁물의 손상 정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Also, by providing an auxiliary washing spac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main washing space, it is possible to separate and wash the laundry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laundry, thereby reducing the degree of damage of the laundry.

또한 세탁물의 투입 또는 세제의 공급방법을 다양화할 수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vary the method of feeding laundry or supplying detergents.

또한 세탁기의 동작 중에도 세탁물 또는 세제를 추가적으로 투입할 수 있다.In addition, laundry or detergent may be add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또한 도어의 재질을 다양화할 수 있어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의 도어제작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material of the door can be diversifie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and doors of various shapes can be manufactured.

또한 도어의 실링구조를 개선하여 캐비닛 내부의 실링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Further, the sealing structure of the door can be improved to more effectively seal the inside of the cabine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 및 도어의 후방에 장착되는 커버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세탁공간에 세탁물을 투입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행정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캐비닛과 도어어셈블리를 분리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의 일부 확대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캐비닛과 도어어셈블리를 분리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의 일부 확대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ppearance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door of the washing machine is ope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of a door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oor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ver mounted on the rear of a door are coupled
6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laundry is put into an auxiliary laundry space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ashing and washing process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ectional view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illustrating a cabinet and a door assembly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oor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ectional view of a door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door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illustrating a cabinet and a door assembly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oor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sectional view of a door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door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onl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as claimed,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signs shown in the respective figure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dicate components or components performing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Also, 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to illustrate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and / or to limit the disclosed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 first ", " second ", and the like used herei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It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The term " and / or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erms "front", "rear", "upper", "lower", "upper" and "lower"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defin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position is not limi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를 도시한 측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n auxiliary door of a washing machine is ope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door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그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 세탁행정 또는 헹굼행정에 사용될 세탁수 또는 헹굼수를 수용하는 터브(20),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30) 및 드럼(3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7)를 포함한다.1 to 4, the washing machine 1 includes a cabinet 10 for forming an outer appearance thereof, a tub 20 for receiving washing water or rinse water to be used for a washing or rinse cycle, And a driving motor 7 for rotating the drum 30 and the drum 30.

캐비닛(10)에는 사용자로부터 세탁기(1)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81a,81b) 및 세탁기(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83)를 포함하는 컨트롤 패널(80)이 마련된다.The cabinet 10 is provided with a control panel 80 including input portions 81a and 81b for receiving an operation command of the washing machine 1 from a user and a display portion 83 for display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washing machine 1.

입력부(81a,81b)는 세탁시간, 헹굼 횟수, 탈수시간, 건조시간, 동작 및 일시정지 등 세탁기(1)의 동작과 관련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으며, 가압식 버튼(81a) 또는 회전식 버튼(81b)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83)는 세탁수의 양, 세탁기(1)가 수행 중인 행정, 세탁 종료까지 남은 시간 등 세탁기(1)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며,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 LED)패널 등을 채용할 수 있다. The input units 81a and 81b receive commands from the user relating to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1 such as the washing time, the number of times of rinsing, the dewatering time, the drying time, the operation and the pause, and the pressing button 81a or the rotary button 81b, Can be adopted. The display unit 83 display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1 such as the amount of the washing water, the stroke during which the washing machine 1 is performing, the time remaining until the washing is finished, , A light emitting diode (LED) panel, and the lik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1)는 입력부(81a,81b)와 표시부(83)를 별도로 마련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를 채용하여 입력부와 표시부를 일체로 마련할 수도 있다. The washing machin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input units 81a and 81b and the display unit 83 separately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employs a touch screen panel (TSP) May be integrally provided.

또한, 캐비닛(10)은 프레임(10a,10b,10c,10d)들을 포함하며, 프레임(10a,10b,10c,10d)은 각각 캐비닛의 상면을 이루는 상면 프레임(10a), 캐비닛(10)의 전, 후면을 이루는 전면 프레임(10b) 및 후면 프레임(10c), 전면 프레임(10b)과 후면 프레임(10c)을 연결하며 캐비닛(10)의 측면과 하면을 이루는 측면 프레임(미도시) 및 하면 프레임(10d)으로 구성된다. The cabinets 10 include frames 10a, 10b, 10c and 10d, and the frames 10a, 10b, 10c and 10d are respectively composed of a top frame 10a constitu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A side frame (not shown) and a bottom frame (not shown) which connect the front and rear frames 10b and 10c and form a side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of the cabinet 10, 10d.

캐비닛(10)의 전면 프레임(10b)에는 드럼(30)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제 1 세탁물 투입구(2a)가 형성된다. 제 1 세탁물 투입구(2a)는 캐비닛(10)의 전면 프레임(10b)에 설치된 도어(70)에 의해 개폐된다.A first laundry inlet 2a is formed in the front frame 10b of the cabinet 10 to allow laundry to be introduced into the drum 30. The first laundry inlet 2a is opened and closed by a door 70 provided on the front frame 10b of the cabinet 10. [

다이아프램(90)은 캐비닛(10) 및 터브(20)를 연결할 수 있다. 다이아프램(90)은 전면 프레임(10a)의 제 1 세탁물 투입구(2a)와 터브(20)의 개구(21) 사이에 배치되어 전면 프레임(10a)의 제 1 세탁물 투입구(2a)로부터 드럼(30)의 개구(21)에 이르는 통로를 형성하고, 드럼(30)의 회전 시에 전면 프레임(10a) 쪽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한다. 또한 다이아프램(90)의 일부분은 도어(70)와 전면 프레임(10a) 사이에 배치되어 터브(20)의 세탁수가 캐비닛(10)의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diaphragm 90 can connect the cabinet 10 and the tub 20. The diaphragm 9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laundry inlet 2a of the front frame 10a and the opening 21 of the tub 20 and extends from the first laundry inlet 2a of the front frame 10a to the drum 30 And the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front frame 10a during rotation of the drum 30 is reduced. A part of the diaphragm 90 is disposed between the door 70 and the front frame 10a to prevent the wash water of the tub 20 from leaking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0. [

다이아프램(90)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로 성형된 사출물로 구성될 수 있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상온에서는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가지므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된 다이아프램은 터브(20)에서 캐비닛(10)의 전면 프레임(10a)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다.The diaphragm 90 may be formed of an injection molded from a thermoplastic elastomer. The diaphragm formed of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an effectively damp vibrations transmitted from the tub 20 to the front frame 10a of the cabinet 10 because the thermoplastic elastomer has elasticity like rubber at room temperature.

터브(20)와 캐비닛(10)의 사이에는 터브(20)를 상측에서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17)이 마련될 수 있다. 스프링(17)은 탄성력으로 인해 터브(20)가 유동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A spring 17 may be provided between the tub 20 and the cabinet 10 to support the tub 20 from above. The spring 17 serves to mitigate vibrations and noise caused by the flow of the tub 20 due to the elastic force.

터브(20)의 상부에는 터브(20)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13)이 설치된다. 급수관(13)의 일측에는 급수밸브(14)가 설치된다. A water supply pipe (13) for supplying wash water to the tub (20) is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tub (20). A water supply valve (14)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13).

세제공급장치(40)는 연결관(16)을 통해 터브(20)와 연결된다. 급수관(13)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공급장치(40)를 경유하여 세제와 함께 터브(20)의 내부로 공급된다.The detergent supply device 40 is connected to the tub 20 via a connection pipe 16.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3)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tub (20) together with the detergent via the detergent supply device (40).

터브(20)는 댐퍼(42)에 의해 지지된다. 댐퍼(42)는 캐비닛(10)의 내측 바닥면과 터브(20)의 외면을 연결한다. 또한, 댐퍼(42)는 캐비닛(10)의 내측 바닥면 외에도 상측, 좌우측에 위치하여 터브(20)를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댐퍼(42) 또는 스프링(17)은 터브(20)의 상하에서 터브(20)의 상하 유동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The tub 20 is supported by a damper 42. The damper 42 connects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abinet 1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tub 20. In addition, the damper 42 may be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left side, and right side of the cabinet 10 so as to support the tub 20. The damper 42 or the spring 17 can mitigate vibrations and shocks generated from the upward and downward flows of the tub 20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tub 20. [

터브(20)는 적어도 하나의 댐퍼(4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The tub 20 may be supported by at least one damper 42.

드럼(30)의 후면에는 구동모터(7)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축(11)이 연결된다. 드럼(30)의 둘레에는 세탁수의 유통을 위한 다수의 통공(27)이 형성된다. 드럼(30)의 내주면에는 드럼(30)이 회전할 때 세탁물의 상승 및 낙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수의 리프터(26)가 설치된다.A drive shaft (11) for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drive motor (7) is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rum (30). Around the drum 30,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7 for circulating laundry water are formed. A plurality of lifters 26 are install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30 to allow the laundry to rise and fall when the drum 30 rotates.

드럼(30)과 구동모터(7) 사이에는 구동축(11)이 배치된다. 구동축(11)의 일단은 드럼(30)의 후면판에 연결되고, 구동축(11)의 타단은 터브(20)의 후벽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구동모터(7)가 구동축(11)을 구동하면, 구동축(11)에 연결된 드럼(30)이 구동축(1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A drive shaft (11) is disposed between the drum (30) and the drive motor (7). One end of the drive shaft 11 is connected to the rear plate of the drum 30 and the other end of the drive shaft 11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rear wall of the tub 20. When the drive motor 7 drives the drive shaft 11, the drum 30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11 rotates about the drive shaft 11. [

터브(20)의 후벽에는 구동축(1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베어링 하우징(8)이 설치된다. 베어링 하우징(8)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터브(20)를 사출 성형할 때 터브(20)의 후벽에 인서트 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8)과 구동축(11) 사이에는 구동축(11)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9)들이 설치된다.On the rear wall of the tub 20, a bearing housing 8 is installed to rotatably support the drive shaft 11. The bearing housing 8 may be made of aluminum alloy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rear wall of the tub 20 when the tub 20 is injection molded. Bearings 9 are provided between the bearing housing 8 and the drive shaft 11 so that the drive shaft 11 can rotate smoothly.

터브(20)의 하부에는 터브(20) 내부의 물을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펌프(4)와, 터브(20) 내부의 물이 배수펌프(4)로 유입될 수 있도록 터브(20)와 배수펌프(4)를 연결하는 연결호스(3)와, 배수펌프(4)에 의해 펌핑된 물을 캐비닛(10)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호스(미도시)가 마련된다.A drain pump 4 for discharging the water inside the tub 20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0 and a drain pump 4 for allowing the water inside the tub 20 to flow into the drain pump 4 A connecting hose 3 for connecting the tub 20 and the drain pump 4 and a drain hose (not shown) for guiding the water pumped by the drain pump 4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0 are provided.

세탁기(1)는 도어(70)와 별개로 세탁 과정 중 자유롭게 개폐 가능한 보조도어(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shing machine 1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door 62 which can be freely opened and closed during the washing process, apart from the door 70.

보조도어(62)는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도어(70)에 마련될 수 있다.The auxiliary door 62 may be provided on the door 70 so as to protrude forward.

보조도어(62)는 상면 프레임(10a)과 인접하도록 도어(70)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탁행정 중 보조도어(62)를 개폐할 경우, 메인세탁공간(50) 내지 보조세탁공간(60)에 존재하는 세탁수가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조도어(62)는 세탁수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The auxiliary door 62 may be provided on the door 70 so as to be adjacent to the upper frame 10a. Specifically, when the auxiliary door 62 is opened or closed during the washing process, the auxiliary door 62 is opened to the top of the washing water so as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existing in the main washing space 50 to the auxiliary washing space 60 from overflowing It can be installed at a higher position.

보조도어(62)는 회동 가능하도록 도어(70)에 설치될 수 있다.The auxiliary door 62 may be installed on the door 70 so as to be rotatable.

보조도어(62)의 일 측은 도어(7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auxiliary door (62) can be hinged to the door (70).

보조도어(62)의 좌측 또는 우측이 도어(70)에 힌지 결합되는 경우, 보조도어(62)는 좌우로 개폐 가능하다. 보조도어(62)의 상측 또는 하측이 도어(70)에 힌지 결합되는 경우, 보조도어(62)는 상하로 개폐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보조도어(62)가 상방을 향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보조도어(62)의 상측이 도어(7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Whe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auxiliary door 62 is hinged to the door 70, the auxiliary door 62 can be opened / closed laterally. When the upper or lower side of the auxiliary door 62 is hinged to the door 70, the auxiliary door 62 is openable and closable up and down. The upper side of the auxiliary door 62 may be hinged to the door 70 so that the auxiliary door 62 can be opened and closed upward.

보조도어(62)의 다른 일 측에는 락킹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A locking portion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auxiliary door 62.

보조도어(62)의 락킹부는 도어(70)에 형성되는 고정홀(미도시)에 분리 가능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즉, 보조도어(62)의 락킹부가 도어(70)의 고정홀에 삽입되는 경우, 보조도어(62)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보조도어(62)의 락킹부가 도어(70)의 고정홀에서 분리되는 경우, 보조도어(62)는 열린 상태를 유지한다.The locking portion of the auxiliary door 62 can be inserted detachably into a fixing hole (not shown) formed in the door 70. That is, when the locking portion of the auxiliary door 62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of the door 70, the auxiliary door 62 is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and the locking portion of the auxiliary door 62 is locked in the fixing hole of the door 70 When separated, the auxiliary door 62 remains open.

도어(70)에 힌지 결합된 보조도어(62)의 일 측은 락킹부가 형성된 보조도어(62)의 다른 일 측과 마주할 수 있다. 즉, 보조도어(62)의 좌측이 도어(70)에 힌지 결합되는 경우, 락킹부는 보조도어(62)의 우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보조도어(62)의 우측이 도어(70)에 힌지 결합되는 경우, 락킹부는 보조도어(62)의 좌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보조도어(62)의 상측이 도어(70)에 힌지 결합되는 경우, 락킹부는 보조도어(62)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보조도어(62)의 하측이 도어(70)에 힌지 결합되는 경우, 락킹부는 보조도어(62)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auxiliary door (62) hinged to the door (70) can face the other side of the auxiliary door (62) formed with the locking part. That is, when the left side of the auxiliary door 62 is hinged to the door 70, the locking part can be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auxiliary door 62. When the right side of the auxiliary door 62 is hinged to the door 70, the locking part can be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auxiliary door 62. When the upper side of the auxiliary door 62 is hinged to the door 70, the locking part can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auxiliary door 62. When the lower side of the auxiliary door 62 is hinged to the door 70, the locking part can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auxiliary door 62.

보조도어(62)는 세탁 과정 중 락킹(locking) 상태를 유지하고, 보조도어(62)의 락킹상태가 해제되면 드럼(30)은 회전을 멈춘다.The auxiliary door 62 maintains a locked state during the washing process, and when the locked state of the auxiliary door 62 is released, the drum 30 stops rotating.

보조도어(62)의 락킹상태 여부, 즉, 보조도어(62)의 개폐여부는 센서(미도시)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보조도어(62)의 개폐여부는 광센서(미도시)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광센서는 보조도어(62)의 움직임에 따라 광을 조사하는 방향이 달라지는 발광부(미도시) 및 발광부에서 조사된 광을 수광하여 그 수광한 광량에 대응되는 크기의 신호를 출력하는 수광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수광부에서 출력한 신호를 분석하여 보조도어(62)의 개폐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드럼(30)의 동작을 제어한다.Whether or not the auxiliary door 62 is locked, that is, whether the auxiliary door 62 is open or closed, can be judged by a sensor (not shown). In one embodiment, the opening / closing of the auxiliary door 62 may be determined by an optical sensor (not shown). The light sensor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not shown) for emitting light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auxiliary door 62 and a light receiving unit (not shown) for receiv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and outputting a signal of a siz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light amount Not shown). The control unit (not shown) analyzes the signal output from the light receiving unit to determine whether the auxiliary door 62 is open or closed,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um 30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보조도어(62)의 개폐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The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he auxiliary door 62 is opened or close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도어(70)의 내부에는 제 2 세탁물 투입구(66) 및 연결슈트(64)가 마련될 수 있다.A second laundry inlet 66 and a connection chute 64 may be provided in the door 70.

제 2 세탁물 투입구(66)는 보조도어(62)에 의해 개폐 가능하다. 연결슈트(64)는 제 2 세탁물 투입구(66) 및 드럼(30)을 연결할 수 있다.The second laundry inlet 66 is openable and closable by the auxiliary door 62. The connecting chute 64 can connect the second laundry inlet 66 and the drum 30.

도어(70)는 전방 하우징(71) 및 후방 하우징(72)을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70 may include a front housing 71 and a rear housing 72.

전방 하우징(71)에는 보조도어(62)가 마련될 수 있다.An auxiliary door (62)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housing (71).

후방 하우징(72)은 내부에 연결슈트(64)가 마련되도록 전방 하우징(71)과 결합하고, 후방에 드럼(30)과 연통되는 개구부(68)가 형성될 수 있다.The rear housing 72 is coupled with the front housing 71 so that the connection chute 64 is provided therein and an opening 68 communicating with the drum 30 can be formed at the rear side.

개구부(68)는 후방을 향하는 연결슈트(64)의 일 단부에 형성될 수 있고, 제 2 세탁물 투입구(66)는 전방을 향하는 연결슈트(64)의 다른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opening 68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rearward facing connection chute 64 and the second laundry loading opening 66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orward connecting chute 64.

연결슈트(64)는 도어(70)의 내측방향을 따라 하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즉, 연결슈트(64)는 개구부(68)를 향할수록 하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 2 세탁물 투입구(66)는 개구부(68)보다 상방으로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 2 세탁물 투입구(66)로 투입된 세탁물 내지 세제가 연결슈트(64)를 따라 중력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드럼(30)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connecting chute 64 can be inclined downward along the inner direction of the door 70. That is, the connection chute 64 can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opening 68. [ Therefore, the second laundry loading port 66 can be form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opening 68. This is to allow the laundry or detergent supplied into the second laundry loading port 66 to slide in the gravity direction along the connection chute 64 and to be effectively transmitted to the drum 30.

후방 하우징(72)은 도어(70)의 후방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The rear housing 72 may protrude toward the rear of the door 70.

후방 하우징(72)의 도어(70)의 후방을 향한 돌출 정도는 상방을 향할수록 작아질 수 있다. 이는, 제 2 세탁물 투입구(66)로 투입된 세탁물이 캐비닛(10) 및 터브(20)를 연결하는 다이아프램(90)에 걸려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degree of projection of the rear housing 72 toward the rear of the door 70 can be made smaller toward the upper side. This is to prevent the laundry loaded into the second laundry inlet 66 from being caught by the diaphragm 90 connecting the cabinet 10 and the tub 20 to be damaged.

보조도어(62) 및 제 2 세탁물 투입구(66) 중 적어도 하나에는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다이아프램(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auxiliary door 62 and the second laundry inlet 66 may be provided with a diaphragm (not shown) to prevent water leakage.

다이아프램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로 성형된 사출물로 구성될 수 있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상온에서는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가지므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된 다이아프램은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 diaphragm may consist of an injection molded from a thermoplastic elastomer. Since the thermoplastic elastomer has elasticity like rubber at room temperature, the diaphragm formed of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an effectively prevent water leakage.

도어(70) 및 보조도어(62)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가 세탁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도어(70) 및 보조도어(62)의 재질은 강화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door 70 and the auxiliary door 62 may have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confirm the washing process. In one embodiment, the material of the door 70 and the auxiliary door 62 may comprise tempered glass.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 및 도어의 후방에 장착되는 커버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세탁공간에 세탁물을 투입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의 연결슈트(64)는 보조세탁공간(60)에 포함될 수 있다.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oor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ver mounted on a rear side of a door are coupled to each other. FIG. As shown in Fig. Hereinafter, reference numerals not shown in the figures refer to Figs. 1 to 4. Fig. In addition, a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ose of Figs. 1 to 4 will be omitted. The connection chute 64 of FIGS. 1 to 4 may be included in the auxiliary laundry space 60.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메인세탁공간(50) 및 보조세탁공간(6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5 and 6, the washing machine 1 may include a main washing space 50 and an auxiliary washing space 60.

메인세탁공간(50)에서의 세탁과 보조세탁공간(60)에서의 세탁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보조세탁공간(60)은 메인세탁공간(50)과 구분될 수 있다.The washing in the main washing space 50 and the washing in the auxiliary washing space 60 can be perform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hat is, the auxiliary laundry space 60 may be separated from the main laundry space 50.

메인세탁공간(50)은 드럼(3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washing space 50 may be formed inside the drum 30.

보조세탁공간(60)은 도어(7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auxiliary laundry space (60) may be formed inside the door (70).

도어(70)는 전방 하우징(71) 및 후방 하우징(72)을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70 may include a front housing 71 and a rear housing 72.

전방 하우징(71)에는 보조세탁공간(60)을 개폐하는 보조도어(62)가 마련될 수 있다.The front housing 71 may be provided with an auxiliary door 6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uxiliary laundry space 60.

후방 하우징(72)은 내부에 보조세탁공간(60)이 마련되도록 전방 하우징(71)과 결합하고, 후방에 드럼(30)과 연통되는 개구부(68)가 형성될 수 있다.The rear housing 72 may be formed with an opening 68 communicating with the drum 30 at a rear side thereof while being coupled to the front housing 71 so as to provide an auxiliary laundry space 60 therein.

도어(70)는 커버(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70) may further include a cover (73).

구체적으로, 커버(73)는 개구부(68)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ver 73 may be releasably coupled to the opening 68. [

전방 하우징(71), 후방 하우징(72) 및 커버(73)는 서로 결합하여 메인세탁공간(50)과 구분되는 보조세탁공간(60)을 형성할 수 있다.The front housing 71, the rear housing 72 and the cover 73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n auxiliary laundry space 60 which is separated from the main laundry space 50.

커버(73)는 투명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The cover 73 may have a transparent material.

커버(73)에는 보조세탁공간(60)에 저수되는 세탁수의 유동을 형성하도록 펄세이터(75)가 설치될 수 있다. 펄세이터(75)는 메인세탁공간(50)에서 발생하는 세탁수의 유동에 의해 회전 가능하다. 따라서, 펄세이터(75)는 드럼(3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cover 73 may be provided with a pulsator 75 to form a flow of washing water stored in the auxiliary washing space 60. The pulsator 75 is rotatable by the flow of washing water generated in the main washing space 50. Thus, the pulsator 75 can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rum 30.

개구부(68) 및 커버(73) 중 적어도 하나에는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다이아프램(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opening 68 and the cover 73 may be provided with a diaphragm (not shown) to prevent water leakage.

커버(73)에는 세탁수 유입홀(74)이 마련될 수 있다.The cover 73 may be provided with a washing water inflow hole 74.

보조세탁공간(60)에는 메인세탁공간(50)과 별개로 세탁수가 분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세탁공간(60)에는 세탁수 유입홀(74)을 통해 세탁수가 분사될 수 있다.The washing water may be sprayed separately from the main washing space 50 in the auxiliary washing space 60. Specifically, wash water may be sprayed into the auxiliary washing space 60 through the washing water inflow hole 74.

보조세탁공간(60)에 저수된 세탁수는 메인세탁공간(50)에 저수된 세탁수와 별개로 배수될 수 있다.The wash water stored in the auxiliary laundry space 60 may be drained separately from the wash water stored in the main wash space 50. [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행정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한다.FIG. 7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washing and laundry process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Reference numerals not shown refer to Figs. 1 to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의 동작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s shown in FIG. 7,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1 will be described below.

메인세탁공간(50) 및 보조세탁공간(60)에 세탁물 내지 세제를 투입하면 메인세탁공간(50) 및 보조세탁공간(60)에 적당량의 세탁수가 공급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조세탁공간(60)에는 세탁수 유입홀(74)을 통해 메인세탁공간(50)과 별개로 세탁수가 공급될 수 있다.An appropriate amount of wash water is supplied to the main washing space 50 and the auxiliary washing space 60 when laundry or detergent is put into the main washing space 50 and the auxiliary washing space 60. As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washing space 60 may be supplied with washing water separately from the main washing space 50 through the washing water inflow hole 74.

메인세탁공간(50)의 경우, 구동모터(7)의 작동에 따라 드럼(30)이 회전하고, 리프터(26)가 세탁물을 일정 높이까지 끌어올린 후 낙하시켜 세탁물을 세탁한다.In the case of the main washing space 50, the drum 30 is rot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7, and the lifter 26 lifts the laundry up to a certain height and then drops the laundry to wash the laundry.

보조세탁공간(60)의 경우, 펄세이터(75)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한다. 보조세탁공간(60)에서의 세탁은 메인세탁공간(50)에서의 세탁에 비해 젠틀(gentle)하게 진행될 수 있으므로, 손상되기 쉬운 세탁물을 효과적으로 세탁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auxiliary laundry space 60, the laundry is washed using the water stream generated by the pulsator 75. The laundry in the auxiliary laundry space 60 can be gentle compared to the laundry in the main laundry space 50, so that the laundry which is liable to be damaged can be effectively washed.

상기와 같은 세탁 행정이 완료되면, 메인세탁공간(50) 및 보조세탁공간(60)의 세탁수가 배수되고, 간헐 탈수가 진행된다. 그 후, 급수밸브(14)가 개방되어 메인세탁공간(50) 및 보조세탁공간(60)에 세탁수가 급수되는 동시에 헹굼 행정이 진행된다.When the washing cycle is completed, the washing water in the main washing space 50 and the auxiliary washing space 60 is drained, and intermittent dewatering proceeds. Thereafter, the water supply valve 14 is opened, and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the main washing space 50 and the auxiliary washing space 60, and at the same time, the rinsing process is performed.

이와 같이, 헹굼 행정 및 간헐 탈수가 반복적으로 진행된 후, 탈수 행정이 진행된다.As described above, after the rinsing step and the intermittent dewatering repeatedly proceed, the dewatering step proceeds.

이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캐비닛과 도어어셈블리를 분리한 도면이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ectional view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세탁기(100)는 캐비닛(10), 세탁행정 또는 헹굼행정에 사용될 세탁수 또는 헹굼수를 수용하는 터브(20),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washing machine 100 may include a cabinet 10, a tub 20 for receiving wash water or rinse water to be used for a washing cycle or a rinse cycle, and a drum 30 for receiving laundry.

캐비닛(10)의 전면프레임(10b)에는 드럼(30)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제 1 세탁물 투입구(2a)가 형성된다. 제 1 세탁물 투입구(2a)는 캐비닛(10)의 전면프레임(10b)에 설치된 도어어셈블리(11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제 1 세탁물 투입구(2a)는 도 2의 제 1 세탁물 투입구(2a)와 동일한 구성이다.A first laundry inlet 2a is formed in the front frame 10b of the cabinet 10 to allow laundry to be introduced into the drum 30. The first laundry inlet 2a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door assembly 110 installed on the front frame 10b of the cabinet 10. [ The first laundry inlet 2a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laundry inlet 2a of FIG.

다이아프램(90)은 캐비닛(10)과 터브(20)를 연결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캐비닛(10)의 제 1 세탁물 투입구(2a)와, 제 1 세탁물 투입구(2a)와 대응되는 터브(20)의 개구(21)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이아프램(90)은 캐비닛(10)의 제 1 세탁물 투입구(2a)로부터 터브(20)의 개구(21)에 이르는 통로를 형성하고, 드럼(30)의 회전시에 전면프레임(10b)쪽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다이아프램(90)의 일부분은 도어어셈블리(110)와 전면프레임(10b) 사이에 배치되어 터브(20)의 세탁수가 캐비닛(10)의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diaphragm 90 can connect the cabinet 10 and the tub 20. In detail, between the first laundry inlet 2a of the cabinet 10 and the opening 21 of the tub 20 corresponding to the first laundry inlet 2a. The diaphragm 90 forms a passage from the first laundry inlet 2a of the cabinet 10 to the opening 21 of the tub 20 and is transmitted to the front frame 10b at the time of rotation of the drum 30 It is possible to reduce vibration. A part of the diaphragm 9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door assembly 110 and the front frame 10b to prevent the wash water of the tub 20 from leaking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0. [

다이아프램(90)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로 성형된 사출물로 구성될 수 있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상온에서는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가지므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된 다이아프램(90)은 터브(20)에서 캐비닛(10)의 전면 프레임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다.The diaphragm 90 may be formed of an injection molded from a thermoplastic elastomer. Since the thermoplastic elastomer has elasticity like rubber at room temperature, the diaphragm 90 formed of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an effectively attenuate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tub 20 to the front frame of the cabinet 10.

*도어어셈블리(110)는 캐비닛(1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본체(1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assembly 110 may include a door body 120 which is rotatably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cabinet 10.

도어본체(120)는 전방커버(130)와, 후방홀더(1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body 120 may include a front cover 130 and a rear holder 140.

전방커버(130)는 도어본체(120)의 전면을 형성하며, 후방홀더(140)는 전방커버(130)의 후방에서 도어본체(120)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후방홀더(140)는 제 1 세탁물 투입구(2a)와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도어어셈블리(110)가 제 1 세탁물 투입구(2a)를 폐쇄하는 경우 후방홀더(140)는 제 1 세탁물 투입구(2a)에 접하도록 마련된다.The front cover 130 forms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body 120 and the rear holder 140 forms at least a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body 120 at the rear of the front cover 130. The rear holder 140 is provid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laundry inlet 2a so that when the door assembly 110 closes the first laundry inlet 2a, the rear holder 140 contacts the first laundry inlet 2a. .

도어어셈블리(110)는 도어글래스(17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assembly 110 may include a door glass 170.

도어글래스(170)는 도어어셈블리(110)가 폐쇄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세탁기(100)의 외부에서 드럼(30)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글래스(170)는 후방홀더(140)로부터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도어어셈블리(110)가 폐쇄위치에 있는 경우 도어글래스(170)는 제 1 세탁물 투입구(2a)보다 캐비닛(1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The door glass 17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inside of the drum 30 can be seen from outside the washing machine 100 even when the door assembly 110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door glass 170 may be disposed so as to protrude convexly from the rear holder 140. When the door assembly 110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door glass 170 is inserted into the cabinet 10 through the first laundry inlet 2a.

후방홀더(140)는 도어실링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ar holder 140 may include a door sealing unit 150.

도어실링유닛(150)은 도어어셈블리(110)가 폐쇄위치에 있는 경우, 다이아프램(90)과 접촉하여 캐비닛(10)의 내부를 실링하도록 마련된다. 도어실링유닛(150)에 대해서는 이후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door sealing unit 150 is provided to seal the interior of the cabinet 10 by contacting the diaphragm 90 when the door assembly 110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door sealing unit 1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도어본체(120)는 제 1 세탁물 투입구(2a)와 독립적으로 개폐되도록 마련되는 제 2 개구(180a)가 마련된다. 도어어셈블리(110)는 제 2 개구(180a)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보조도어(160)를 포함한다.The door body 120 is provided with a second opening 180a which is opened and closed independently of the first laundry inlet 2a. The door assembly 110 includes an auxiliary door 160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second opening 180a.

제 1 세탁물 투입구(2a)는 도어본체(120)에 의해, 제 2 개구(180a)는 보조도어(160)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제 1 세탁물 투입구(2a)와 제 2 개구(180a)는 독립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The first laundry inlet 2a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door main body 120 and the second opening 180a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auxiliary door 160. The first laundry inlet 2a and the second opening 180a And can be independently opened and closed.

이러한 구성을 통해 세탁행정을 위해 제 1 세탁물 투입구(2a)가 도어본체(120)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경우에도, 제 2 개구(180a)를 개방하여 세탁물 또는 세제를 추가적으로 투입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even when the first laundry inlet 2a is closed by the door main body 120 for the laundry, the second opening 180a can be opened to further add laundry or detergent.

도어어셈블리(110)는 도어회동부(190)와 도어락킹부(192)를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assembly 110 may include a door pivoting part 190 and a door locking part 192.

도어회동부(190)는 도어본체(120)가 캐비닛(10)에 대해 회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어회동부(190)는 도어본체(120)의 일측에 결합되며, 도어본체(120)가 캐비닛(10)에 대해 회동하여 제 1 세탁물 투입구(2a)를 개폐하는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door rotation unit 190 is provided so that the door body 120 can rotate relative to the cabinet 10. The door rotation unit 19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door main body 120 so that the door main body 120 rotates with respect to the cabinet 10 to open and close the first laundry loading port 2a.

도어락킹부(192)는 도어본체(120)의 타측에 결합되며, 도어본체(120)가 제 1 세탁물 투입구(2a)를 폐쇄하는 경우, 폐쇄상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된다. 캐비닛(10)에는 도어락킹부(192)에 대응되는 삽입부가 마련되어, 도어본체(120)가 제 1 세탁물 투입구(2a)를 폐쇄하는 경우 도어락킹부(192)가 삽입되도록 마련된다.The door lock unit 192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door main body 120 and is configured to maintain the closed state when the door body 120 closes the first laundry loading port 2a. The cabinet 10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door lock portion 192 so that the door lock portion 192 is inserted when the door body 120 closes the first laundry loading port 2a.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oor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sectional view of a door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방커버(130)는 커버몸체(132)와, 커버몸체(132)에 마련되는 커버개구(134)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개구(134)에는 제 2 개구(180a)가 위치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커버개구(134)의 내측으로는 이후 설명하는 제 2 개구(180a)를 형성하는 연결슈트(180)의 선단이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커버몸체(132)는 도어어셈블리(110)의 전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front cover 130 may include a cover body 132 and a cover opening 134 provided in the cover body 132. [ The cover opening 134 is provided so that the second opening 180a can be located. In detail, the inside of the cover opening 134 is provided so that the tip of the connection chute 180, which forms the second opening 180a to be described later, is positioned. The cover body 132 may be provided to form a front surface of the door assembly 110.

보조도어(160)는 제 2 개구(180a)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조도어(160)는 전방커버(13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제 2 개구(180a)를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The auxiliary door 160 may be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second opening 180a. The auxiliary door 160 is rotatably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front cover 130 and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second opening 180a.

보조도어(160)는 제 2 개구(180a)에 대응되는 보조도어몸체(162)와, 보조도어몸체(162)의 일측에 마련되어 보조도어몸체(162)가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보조도어힌지부(164)를 포함한다.The auxiliary door 160 includes an auxiliary door body 16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pening 180a and an auxiliary door hinge portion 162 provided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door body 162 to be rotatable about the auxiliary door body 162 164).

보조도어몸체(162)는 제 2 개구(180a)의 너비보다 같거나 더 넓도록 형성되어, 보조도어(160)가 제 2 개구(180a)를 폐쇄하는 경우에 안정적으로 제 2 개구(180a)가 폐쇄되도록 마련된다. The auxiliary door body 162 is formed to be equal to or wid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opening 180a so that when the auxiliary door 160 closes the second opening 180a, Closed.

전방커버(130)는 보조도어안착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도어안착부(136)는 전방커버(130)의 외면보다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보조도어(160)가 제 2 개구(180a)를 폐쇄하는 경우에, 보조도어몸체(162)의 적어도 일부가 보조도어안착부(136)에 안착되어 제 2 개구(180a)의 폐쇄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보조도어(160)가 제 2 개구(180a)를 폐쇄하는 경우에, 보조도어(160)의 외면과 전방커버(130)의 외면사이의 단차를 없애거나 줄일 수 있어서, 제품성을 향상시키고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front cover 130 may include an auxiliary door seating portion 136. The auxiliary door seating portion 136 may be formed to be concave more than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130.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auxiliary door 160 closes the second opening 180a, at least a part of the auxiliary door body 162 is seated in the auxiliary door seating portion 136 to close the second opening 180a So that the state is stably maintained. In addition, when the auxiliary door 160 closes the second opening 180a, the step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auxiliary door 16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130 can be eliminated or reduced, Can be improved.

전방커버(130)는 도어글래스(17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전방윈도우(138)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커버(130)의 후방에 배치되는 도어글래스(170)를 통해 드럼(30)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전방윈도우(138)는 개구로 형성될 수 있다. 전방ㅇ우윈도우(138)은 커버개구(134)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전방윈도우(138)는 개구로 마련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전방윈도우(138)에는 도어글래스(170)의 보호를 위해, 투명한 재질의 투과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도 있다.The front cover 130 may include a front window 138 formed to correspond to the door glass 170. The front window 138 may be formed as an opening so that the inside of the drum 30 can be seen through the door glass 170 disposed at the rear of the front cover 130. The front right window 138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cover opening 134. The front window 138 may be provided as an open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front window 138 may be provided with a transparent member (not shown) for protecting the door glass 170.

도어글래스(170)는 제 1 세탁물 투입구(2a)가 도어어셈블리(110)에 의해 폐쇄되더라도, 캐비닛(10)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어글래스(170)는 후방홀더(140)보다 돌출되도록 볼록하게 형성되는 글래스몸체(172)를 포함할 수 있다. 글래스몸체(172)는 투명한 글래스의 재질로 형성되어, 캐비닛(10)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door glass 170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see the inside of the cabinet 10 even if the first laundry inlet 2a is closed by the door assembly 110. [ The door glass 170 may include a glass body 172 which is convexly protruded from the rear holder 140. The glass body 172 is made of a transparent glass material so that the inside of the cabinet 10 can be seen.

도어글래스(170)는 도어어셈블리(110)에서 제 2 개구(180a)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글래스몸체(172)는 그 상부에 형성되어, 후방을 향해 하향되게 기울어지는 투입가이드면(17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개구(180a)는 도어글래스(170)보다 상부에 배치됨으로서, 제 2 개구(180a)를 통해 투입되는 세탁물 또는 세제는 투입가이드면(172a)을 따라 드럼(3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투입가이드면(172a)은 도어어셈블리(110)의 후방을 향해 햐항되게 기울어지며, 좌우방향보다 중앙이 하방으로 오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투입가이드면(172a)은 제 2 개구(180a)를 통해 투입되는 세탁물 또는 세제를 용이하게 드럼(30)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The door glass 170 may be disposed below the second opening 180a in the door assembly 110. [ The glass body 172 may include an insertion guide surface 172a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inclined downwardly toward the rear. The second opening 180a is disposed above the door glass 170 so that laundry or detergent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opening 180a enters the drum 30 along the guide surface 172a. The insertion guide surface 172a is inclined toward the rear of the door assembly 110 and may be formed so that its center is downwardly concave than the lateral direction. With this configuration, the insertion guide surface 172a can guide laundry or detergent, which is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opening 180a, into the drum 30 easily.

투입가이드면(172a)은 이후 설명하는 연결가이드면(180c)으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가이드면(180c)에 의해 가이드되는 세탁물 또는 세제를 캐비닛(10)의 내부로 가이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투입가이드면(172a)이 하방으로 오목하도록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투입가이드면(172a)은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제 2 개구(180a) 후단의 높이와 나란한 평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insertion guide surface 172a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extending from the connection guide surface 180c described later. And may be provided to guide laundry or detergent guided by the connection guide surface 180c into the cabinet 10. In this embodiment, the insertion guide surface 172a is formed to be concave downward,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insertion guide surface 172a may be formed to be convex upward, or may be formed in a plane parallel to the height of the rear end of the second opening 180a.

도어글래스(170)는 후방홀더(140)에 안착될 수 있도록, 글래스몸체(172)의 단부에서 플랜지형상으로 마련되는 글래스플랜지(1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글래스플랜지(174)는 이후 설명하는 후방홀더(140)의 글래스안착부(146)에 안착되어, 도어글래스(170)가 도어어셈블리(1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된다.The door glass 170 may further include a glass flange 174 provided at the end of the glass body 172 in a flange shape so as to be seated in the rear holder 140. The glass flange 174 is seated in the glass seating portion 146 of the rear holder 14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door glass 170 is not separated from the door assembly 110.

*후방홀더(140)는 전방커버(130)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 The rear holder 140 may be provided behind the front cover 130.

후방홀더(140)는 홀더몸체(142)와, 홀더몸체(142)에 마련되어 제 2 개구(180a)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홀더개구(144)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몸체(142)는 도어어셈블리(110)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rear holder 140 may include a holder body 142 and a holder opening 144 formed in the holder body 142 to form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opening 180a. The holder body 142 may be provided to form at least a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assembly 110.

도어어셈블리(110)의 도어본체(120)는 연결슈트(18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슈트(180)는 제 2 개구(180a)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연결슈트(180)의 선단은 전방커버(130)의 커버개구(134)의 내측에 배치되고, 연결슈트(180)의 후단은 후방홀더(140)의 홀더개구(144)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연결슈트(180)는 전방커버(130)와 후방홀더(140) 사이에 마련되어, 캐비닛(10)의 외부와 내부를 연통하는 제 2 개구(180a)를 형성할 수 있다.The door body 120 of the door assembly 110 may include a connection chute 180. The connection chute 180 is provided to form the second opening 180a. The leading end of the connecting chute 180 may be disposed inside the cover opening 134 of the front cover 130 and the rear end of the connecting chute 180 may be disposed inside the holder opening 144 of the rear holder 140 . That is, the connection chute 18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ront cover 130 and the rear holder 140 to form a second opening 180a communicating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the cabinet 10.

연결슈트(180)는 양측이 개방된 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연결슈트(180)의 일측에는 제 2 개구(180a)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캐비닛(10)의 내부를 향하는 배출개구(180b)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개구(180a)를 통해 투입되는 세탁물 또는 세제는 연결슈트(180)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180d)를 통해 배출개구(180b)로 이동하게 되어, 캐비닛(10)의 내부로 배출된다.The connecting chute 18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tube having both sides opened. A second opening 180a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chute 180 and a discharge opening 180b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chute 180 toward the inside of the cabinet 10. [ The laundry or detergent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opening 180a moves to the discharge opening 180b through the hollow portion 180d formed inside the connection chute 180 and is discharged into the cabinet 10 .

연결슈트(180)은 연결가이드면(180c)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가이드면(180c)은 연결슈트(180)의 바닥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연결가이드면(180c)은 제 2 개구(180a)와 배출개구(180b)의 사이에 형성되어, 제 2 개구(180a)로 투입되는 세탁물 또는 세제를 배출개구(180b)를 통해 캐비닛(10)의 내부로 가이드하도록 마련된다. The connection chute 180 may include a connection guide surface 180c. The connection guide surface 180c is formed to form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ion chute 180. [ The connection guide surface 180c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opening 180a and the discharge opening 180b so that the laundry or detergent to be introduced into the second opening 180a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opening 180b into the cabinet 10 As shown in FIG.

연결가이드면(180c)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연결가이드면(180c)은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하향되게 기울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shape of the connection guide surface 180c is not limited. For example, the connection guide surface 180c may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front to the rear.

연결슈트(180)는 제 2 개구(180a)가 배출개구(180b)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슈트(180)는 후방을 향해 하향되는 기울기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 2 개구(180a)를 통해 세탁물 또는 세제를 투입하는 경우 후방을 향해 하향되는 기울기를 갖는 연결슈트(180)를 통해 용이하게 캐비닛(10)의 내부로 투입할 수 있게 된다. The connection chute 18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second opening 180a is higher than the discharge opening 180b. That is, the connection chute 180 may be provided so as to have a downward inclination toward the rear.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laundry or detergent is input through the second opening 180a, it can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cabinet 10 through the connection chute 180 having a downward inclination toward the rear.

연결슈트(180)의 전방과 후방에는 전방실링부(182)와, 후방실링부(184)가 마련될 수 있다.A front sealing portion 182 and a rear sealing portion 184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connection chute 180.

전방실링부(182)는 연결슈트(180)의 선단에 마련되어, 보조도어(160)와 접촉하여 실링구조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슈트(180)의 선단에는 전방실링부(182)가 고정될 수 있도록 전방실링홈(183)이 형성된다.The front sealing portion 182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on chute 180 and may be provided to contact the auxiliary door 160 to form a sealing structure. A front sealing groove 183 is formed at the tip of the connecting chute 180 so that the front sealing portion 182 can be fixed.

전방실링부(182)는 제 2 개구(180a)와 인접하게 형성되어, 보조도어(160)가 제 2 개구(180a)를 폐쇄시, 전방실링부(182)와 보조도어(160)가 접하여 실링구조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전방실링부(182)는 제 2 개구(180a)의 둘레를 따라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front sealing portion 182 is formed adjacent to the second opening 180a so that when the auxiliary door 160 closes the second opening 180a, the front sealing portion 182 and the auxiliary door 16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tructure. The front sealing portion 182 may be formed adjacent to the periphery of the second opening 180a.

전방실링부(182)가 제 2 개구(180a)에서 보조도어(160)와 함께 실링구조를 형성함으로서, 보조도어(160)의 폐쇄시에 캐비닛(10)의 내부로부터 누수가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front sealing portion 182 forms a sealing structure together with the auxiliary door 160 at the second opening 180a so that leakage of water from the inside of the cabinet 10 at the time of closing the auxiliary door 160 can be prevented .

후방실링부(184)는 연결슈트(180)의 후단에 마련되어, 연결슈트(180)의 후단과 홀더개구(144)사이에 실링구조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슈트(180)의 후단에는 후방실링부(184)가 고정될 수 있도록 후방실링홈(185)이 형성될 수 있다. 홀더개구(144)는 배출개구(180b)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므로, 후방실링홈(185)은 연결슈트(180)의 후단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rear sealing portion 184 may be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connection chute 180 and may be provided to form a sealing structure between the rear end of the connection chute 180 and the holder opening 144. A rear sealing groove 185 may be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connection chute 180 so that the rear sealing portion 184 can be fixed. Since the holder opening 144 is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discharge opening 180b, the rear sealing groove 185 can be formed outside the rear end of the connection chute 180. [

후방실링부(184)는 배출개구(180b)와 인접하게 형성되어, 후방실링부(184)와 홀더개구(144)사이에 실링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후방실링부(184)는 배출개구(180b)의 둘레를 따라 배출개구(180b)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rear sealing portion 184 may be formed adjacent the discharge opening 180b to form a sealing structure between the rear sealing portion 184 and the holder opening 144. [ The rear sealing portion 184 may be disposed adjacent the discharge opening 180b along the periphery of the discharge opening 180b.

후단실링부가 배출개구(180b)에서 홀더개구(144)와 함께 실링구조를 형성함으로서, 캐비닛(10)의 내부로부터 도어어셈블리(110)의 내부로 누수가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rear end sealing portion forms a sealing structure together with the holder opening 144 in the discharge opening 180b so that leakage of water from the inside of the cabinet 10 to the inside of the door assembly 110 can be prevented.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슈트(180)는 전방커버(130)와 후방홀더(140)의 사이에 마련되나, 그 배치와 구성은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연결슈트(180)는 전방커버(130) 또는 후방홀더(1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방커버(130)와 후방홀더(140)와 함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슈트(180)는 전방커버(130)와 후방홀더(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on chute 180 is provided between the front cover 130 and the rear holder 140, but its arrangement and configuration are not limited. For example, the connection chute 18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ront cover 130 or the rear holder 140.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ront cover 130 and the rear holder 140. That is, the connection chute 18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at least one of the front cover 130 and the rear holder 140.

후방홀더(140)는 도어글래스(170)가 안착되는 글래스안착부(146)를 포함한다. 글래스안착부(146)는 글래스몸체(172)가 지나도록 후방윈도우(148)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글래스안착부(146)의 후방에는 글래스플랜지(174)가 안착되어, 도어글래스(170)가 후방홀더(14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글래스안착부(146)와 글래스플랜지(174)사이에는 누수를 방지하도록 안착실링부(149)가 마련될 수 있다.The rear holder 140 includes a glass seating portion 146 on which the door glass 170 is seated. The glass seating portion 146 may be formed with a rear window 148 so that the glass body 172 passes. A glass flange 174 is seated on the rear side of the glass seating portion 146 so that the door glass 170 is not separated from the rear holder 140. [ Between the glass mounting portion 146 and the glass flange 174, a seat-sealing portion 149 may be provided to prevent water leakage.

후방홀더(140)는 도어실링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ar holder 140 may include a door sealing unit 150.

도어실링유닛(150)은 도어어셈블리(110)로 제 1 세탁물 투입구(2a)를 폐쇄시 다이아프램(90)에 접촉하여 캐비닛(10)의 내부를 실링하도록 마련된다. 도어실링유닛(150)은 환형의 다이아프램(90)과 대응되도록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실링유닛(150)은 다이아프램(90) 둘레의 전영역과 접하도록 마련되어, 캐비닛(10) 내부의 세탁수가 제 1 세탁물 투입구(2a)를 통해 새어나오지 않도록 실링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실링유닛(150)이 환형으로 형성되나, 다이아프램(90)의 형상에 대응되어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타원형의 형상을 가질수도 있다.The door sealing unit 150 is arranged to seal the inside of the cabinet 10 by contacting the diaphragm 90 when the first laundry inlet 2a is closed by the door assembly 110. [ The door sealing unit 150 may be formed in an ann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annular diaphragm 90. The door sealing unit 150 is provided so as to contact with the entire area around the diaphragm 90 so as to form a sealing structure so that the washing water in the cabinet 10 does not leak out through the first laundry inlet 2a. In this embodiment, the door sealing unit 150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but it may have a polyg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diaphragm 90, or may have an elliptical shape.

제 2 개구(180a)는 도어실링유닛(150)의 내측으로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세탁물 투입구(2a)가 도어어셈블리(110)에 의해 폐쇄시, 제 2 개구(180a)가 다이아프램(90)에 간섭되지 않도록 제 2 개구(180a)는 도어실링유닛(150)의 내측에서 도어실링유닛(150)과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제 2 개구(180a)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홀더개구(144)도 도어실링유닛(150)의 내측으로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The second opening 180a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to the inside of the door sealing unit 150. [ When the first laundry inlet 2a is closed by the door assembly 110, the second opening 180a is formed inside the door sealing unit 150 so that the second opening 180a is not interfered with the diaphragm 90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door sealing unit 150. Further, the holder opening 144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second opening 180a may be provid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side of the door sealing unit 150.

도어글래스(170)는 도어실링유닛(150)의 내측으로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세탁물 투입구(2a)가 도어어셈블리(110)에 의해 폐쇄시, 도어글래스(170)가 다이아프램(90)에 간섭되지 않도록 도어글래스(170)는 도어실링유닛(150)의 내측에서 도어실링유닛(150)과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개구(180a)와 도어글래스(170)는 도어실링유닛(150)의 내측에서 도어실링유닛(150)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2 개구(180a)의 후단과 도어글래스(170)는 도어실링유닛(150)의 내측에서 도어실링유닛(150)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door glass 17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door sealing unit 150. When the first laundry inlet 2a is closed by the door assembly 110, the door glass 170 is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the diaphragm 90 by the door seal unit 150 inside the door sealing unit 150,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unit 150. The second opening 180a and the door glass 17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door sealing unit 150 from the inside of the door sealing unit 150. In this case, In detail, the rear end of the second opening 180a and the door glass 17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door sealing unit 150 inside the door sealing unit 150.

도어실링유닛(150)은 다이아프램(90)과 접하여 실링구조를 형성하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도어실링유닛(150)은 글래스재질과, 탄성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어실링유닛(150)은 표면이 매끄러운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어실링유닛(150)은 후방홀더(140)와 함께 사출성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실링유닛(150)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으며, 다이아프램(90)과 접하여, 다이아프램(90)과 함께 실링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재질이면 만족한다.The door sealing unit 150 may be made of a material forming a sealing structure in contact with the diaphragm 90. For example, the door sealing unit 150 may be provided to include at least one of a glass material and an elastic member. Further, the door sealing unit 15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smooth surface. The door sealing unit 150 may be injection molded together with the rear holder 140. The material of the door sealing unit 150 is not limited, and it is satisfactory if it is a material capable of forming a sealing structure together with the diaphragm 90 in contact with the diaphragm 90.

제 2 개구(180a)는 제 1 세탁물 투입구(2a)보다 작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세탁물 투입구(2a)는 캐비닛(10)에 마련되어 도어어셈블리(110)에 의해 개폐되고, 제 2 개구(180a)는 도어어셈블리(110)에 마련되어 보조도어(16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 1 세탁물 투입구(2a)가 폐쇄되더라도, 제 2 개구(180a)를 개방하여 캐비닛(10)의 내부로 세탁물 또는 세제를 추가적으로 투입할 수 있게 된다.The second opening 180a may be smaller than the first laundry inlet 2a. The first laundry inlet 2a is provided in the cabinet 10 and is opened and closed by the door assembly 110 and the second opening 180a is provided in the door assembly 110 and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auxiliary door 160. With this configuration, even if the first laundry inlet 2a is closed, laundry or detergent can be additionally introduced into the cabinet 10 by opening the second opening 180a.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의 일부 확대단면도이다.13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door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이아프램(90)은 세탁기(100)에 장착되었을 때 전면프레임(10b)의 개구와 터브(20)의 개구(21) 사이에 배치되는 몸체(91, 92)를 구비한다. 몸체(91, 92)는 세탁물을 넣고 빼는 통로가 되는 중공부를 포함한다. 도어가 닫혔을 때 도어글라스는 다이아프램(90)의 중공부내에 수용된다.The diaphragm 90 has bodies 91 and 92 which are disposed between the opening of the front frame 10b and the opening 21 of the tub 20 when the washing machine 100 is mounted on the washing machine. The bodies 91 and 92 include a hollow portion serving as a passage through which laundry is loaded and unloaded. When the door is closed, the door glass is received within the hollow portion of the diaphragm (90).

몸체(91, 92)는 원통형의 제 1 몸체부(91)와 제 2 몸체부(9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1 몸체부(91)의 전단은 전면프레임(10b)의 개구에 결합되고, 제 1 몸체부(91)의 후단은 터브(20)의 개구에 인접하도록 위치된다.The bodies 91 and 92 may include a cylindrical first body portion 91 and a second body portion 92. The front end of the first body portion 91 is coupled to the opening of the front frame 10b and the rear end of the first body portion 91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opening of the tub 20.

제 2 몸체부(92)는 제 1 몸체부(9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제 2 몸체부(92)의 후단은 터브(20)의 개구에 결합되고, 제 2 몸체부(92)의 전단은 제 1 몸체부(91)의 후단보다 앞쪽에 위치된다. The second body portion 92 has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body portion 91. The rear end of the second body portion 92 is coupled to the opening of the tub 20 and the front end of the second body portion 92 is positioned forward of the rear end of the first body portion 91.

제 1 몸체부(91)의 후단과 제 2 몸체부(92)의 전단은 몸체연결부(93)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몸체연결부(93)는 복수 회 절곡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터브(20)에서 캐비닛(10) 쪽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쇠시킨다.The rear end of the first body portion 91 and the front end of the second body portion 9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body connecting portion 93. The body connecting portion 93 has a plurality of folded structures to effectively damp vibrations transmitted from the tub 20 to the cabinet 10. [

제 1 몸체부(91)의 전단에는 캐비닛(10)의 전면프레임(10b)과 결합되는 캐비닛결합부(91a)가 마련된다. 캐비닛결합부(91a)는 개구를 형성하는 전면프레임(10b)의 테두리가 결합된다. 캐비닛결합부(91a)에는 다이아프램(90)이 캐비닛(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와이어(91b)가 결합된다. A cabinet coupling portion 91a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body portion 91 to be coupled to the front frame 10b of the cabinet 10. [ The edge of the front frame 10b forming the opening is coupled to the cabinet engaging portion 91a. A wire 91b is coupled to the cabinet engaging portion 91a to prevent the diaphragm 9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abinet 10. [

또 제 1 몸체부(91)의 전단에는 립(95)(Lip)이 형성된다. 립(95)은 제 1 몸체부(91)의 전단으로부터 중공부쪽으로 돌출되고, 제 1 몸체부(91) 전단의 원주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된다. 립(95)의 전면은 도어어셈블리(110)를 향하고, 립(95)의 전면 뒤의 배면은 드럼(30) 쪽을 향한다. 세탁기(100)의 도어어셈블리(110)가 닫혔을 때, 립(95)의 전면은 도어실링유닛(150)에 접촉하여 실링함으로써 물이 도어어셈블리(110)와 캐비닛(10)의 전면프레임(10b) 사이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A lip 95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body 91. The lip 95 protrudes from the front end of the first body portion 91 toward the hollow portion and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ront end of the first body portion 91. The front face of the lip 95 faces the door assembly 110 and the rear face of the front face of the lip 95 faces the drum 30 side. When the door assembly 110 of the washing machine 100 is closed, the front surface of the lip 95 comes into contact with the door sealing unit 150 to seal the front door frame 110 with the front frame 10b of the cabinet 10 To prevent leakage.

제 2 몸체부(92)의 후단에는 터브결합부(92a)가 마련된다. 터브결합부(92a)에는 개구를 형성하는 터브(20)의 테두리가 결합된다. 터브결합부(92a)에는 다이아프램(90)이 터브(2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와이어(92b)가 결합된다.A tub engagement portion 92a is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second body portion 92. [ The rim of the tub 20 forming the opening is coupled to the tub engagement portion 92a. A wire 92b is coupled to the tub engagement portion 92a to prevent the diaphragm 9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tub 20. [

도어실링유닛(150)은 다이아프램(90)과 마주하도록 마련되어, 도어어셈블리(110)가 제 1 세탁물 투입구(2a)를 폐쇄시에 다이아프램(90)과 접촉하여 실링구조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The door sealing unit 150 is provided to face the diaphragm 90 so that the door assembly 11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diaphragm 90 to form a sealing structure when the first laundry inlet 2a is closed.

도어실링유닛(150)은 제 1 실링부(151)와, 제 2 실링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sealing unit 150 may include a first sealing portion 151 and a second sealing portion 152.

제 1 실링부(151)는 다이아프램(90)과 마주하도록 마련된다. 일례로 다이아프램(90)은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 1 실링부(151)도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ealing portion 151 is provided to face the diaphragm 90. For example, since the diaphragm 90 can be formed in an annular shape, the first sealing portion 151 can also be formed in an annular shape.

제 2 실링부(152)는 제 1 실링부(151)의 내측에서 도어어셈블리(110)의 후방을 향해 절곡형성되도록 마련된다. 제 2 실링부(152)는 제 1 실링부(151)로부터 연장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제 1 실링부(151)와 제 2 실링부(15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sealing part 152 is formed to bend toward the rear of the door assembly 110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sealing part 151. The second sealing part 152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first sealing part 151 and the first sealing part 151 and the second sealing part 152 may be integrally formed.

도어어셈블리(110)에 의해 제 1 세탁물 투입구(2a)가 폐쇄되면, 탄성재질의 다이아프램(90)의 립(95)은 도어실링유닛(150)과 접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다이아프램(90)의 립(95)은 도어어셈블리(110)에 의해 가압되며, 탄성을 가지고 탄성변형되어 도어실링유닛(150)에 밀착할 수 있게 된다. 자세하게는 다이아프램(90)의 립(95)은, 제 1 실링부(151)와, 제 1 실링부(151)로부터 절곡되게 마련되는 제 2 실링부(152)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하여 실링구조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일례로 다이아프램(90)의 립(95)은 제 1 실링부(151)와 제 2 실링부(152)에 모두 접촉하도록 탄성을 가지고 탄성변형될 수 있다.When the first laundry inlet 2a is closed by the door assembly 110, the lip 95 of the elastic diaphragm 9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door sealing unit 150. In this process, the lip 95 of the diaphragm 90 is pressed by the door assembly 110, elastically deformed with elasticity, and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door sealing unit 150. The lip 95 of the diaphragm 90 contacts at least one of the first sealing portion 151 and the second sealing portion 152 that is bent to be bent from the first sealing portion 151, . For example, the lip 95 of the diaphragm 90 may be resiliently deformed such that it contacts both the first sealing portion 151 and the second sealing portion 152.

도어실링유닛(150)은 실링와이어(154)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와이어(154)는 실링부(151, 152)와 후방홀더(140)사이에 마련되어, 실링부(151, 152)와 후방홀더(140)사이로 세탁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된다. 실링와이어(154)는 실링부(151, 152)의 내측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실링와이어(154)의 배치는 한정되지 않으나, 제 2 실링부(152)의 내측과 후방홀더(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door sealing unit 150 may include a sealing wire 154. The sealing wire 154 is provided between the sealing portions 151 and 152 and the rear holder 140 to prevent washing water from flowing between the sealing portions 151 and 152 and the rear holder 140. The sealing wire 154 may be provided along the inner side of the sealing portions 151 and 152. The arrangement of the sealing wire 154 is not limited, bu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side of the second sealing portion 152 and the rear holder 140.

이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캐비닛과 도어어셈블리를 분리한 도면이다.FIG. 14 is a view illustrating a cabinet of a washing machine and a door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세탁기(200)는 캐비닛(10), 세탁행정 또는 헹굼행정에 사용될 세탁수 또는 헹굼수를 수용하는 터브(20),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washing machine 200 may include a cabinet 10, a tub 20 for receiving wash water or rinse water to be used for a washing cycle or a rinse cycle, and a drum 30 for receiving laundry.

캐비닛(10)의 전면프레임(10b)에는 드럼(30)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제 1 세탁물 투입구(2a)가 형성된다. 제 1 세탁물 투입구(2a)는 캐비닛(10)의 전면프레임(10b)에 설치된 도어어셈블리(11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제 1 세탁물 투입구(2a)는 도 2의 세탁물 투입구(2a)와 동일한 구성이다.A first laundry inlet 2a is formed in the front frame 10b of the cabinet 10 to allow laundry to be introduced into the drum 30. The first laundry inlet 2a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door assembly 110 installed on the front frame 10b of the cabinet 10. [ The first laundry inlet 2a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laundry inlet 2a of FIG.

도어어셈블리(210)는 캐비닛(10)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본체(2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assembly 210 may include a door body 220 that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10.

도어본체(220)는 전방커버(230)와, 후방홀더(2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body 220 may include a front cover 230 and a rear holder 240.

전방커버(230)는 도어본체(220)의 전면을 형성하며, 후방홀더(240)는 전방커버(230)의 후방에서 도어본체(220)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The front cover 230 forms a front surface of the door body 220 and the rear holder 240 forms at least a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body 220 at the rear of the front cover 230.

도어어셈블리(210)는 도어글래스(2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글래스(270)는 제 1 세탁물 투입구(2a)와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도어어셈블리(210)가 폐쇄위치에 있는 경우 도어글래스(270)는 제 1 세탁물 투입구(2a)에 접하도록 마련된다.The door assembly 210 may include a door glass 270. The door glass 270 is provid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laundry inlet 2a so that the door glass 270 contacts the first laundry inlet 2a when the door assembly 210 is in the closed position.

도어글래스(270)는 도어어셈블리(210)가 폐쇄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세탁기(200)의 외부에서 드럼(30)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글래스(270)는 후방홀더(240)로부터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도어어셈블리(210)가 폐쇄위치에 있는 경우 도어글래스(270)는 제 1 세탁물 투입구(2a)보다 캐비닛(1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The door glass 27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inside of the drum 30 can be seen from outside the washing machine 200 even when the door assembly 210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door glass 270 may be arranged to protrude convexly from the rear holder 240. When the door assembly 210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door glass 270 is inserted into the cabinet 10 through the first laundry inlet 2a.

도어본체(220)는 제 1 세탁물 투입구(2a)와 독립적으로 개폐되도록 마련되는 제 2 개구(280a)가 마련된다. 도어어셈블리(210)는 제 2 개구(280a)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보조도어(260)를 포함한다.The door body 220 is provided with a second opening 280a which is opened and closed independently of the first laundry inlet 2a. The door assembly 210 includes an auxiliary door 260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second opening 280a.

제 1 세탁물 투입구(2a)는 도어본체(220)에 의해, 제 2 개구(280a)는 보조도어(260)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제 1 세탁물 투입구(2a)와 제 2 개구(280a)는 독립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The first laundry inlet 2a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door body 220 and the second opening 280a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auxiliary door 260. The first laundry inlet 2a and the second opening 280a And can be independently opened and closed.

이러한 구성을 통해 세탁행정을 위해 제 1 세탁물 투입구(2a)가 도어본체(220)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경우에도, 제 2 개구(280a)를 개방하여 세탁물 또는 세제를 추가적으로 투입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even when the first laundry inlet 2a is closed by the door body 220 for the laundry, the second opening 280a can be opened to further add laundry or detergent.

도어어셈블리(210)는 도어회동부(290)와 도어락킹부(292)를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assembly 210 may include a door pivoting portion 290 and a door locking portion 292.

도어회동부(290)는 도어본체(220)가 캐비닛(10)에 대해 회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어회동부(290)는 도어본체(220)의 일측에 결합되며, 도어본체(220)가 캐비닛(10)에 대해 회동하여 제 1 세탁물 투입구(2a)를 개폐하는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door pivoting portion 290 is provided so that the door main body 220 can rotate relative to the cabinet 10. The door rotation unit 29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door main body 220 so that the door main body 220 rotates relative to the cabinet 10 to open and close the first laundry loading port 2a.

도어락킹부(292)는 도어본체(220)의 타측에 결합되며, 도어본체(220)가 제 1 세탁물 투입구(2a)를 폐쇄하는 경우, 폐쇄상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된다. 캐비닛(10)에는 도어락킹부(292)에 대응되는 삽입부(미도시)가 마련되어, 도어본체(220)가 제 1 세탁물 투입구(2a)를 폐쇄하는 경우 도어락킹부(292)가 삽입되도록 마련된다.The door lock unit 292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door body 220 and is configured to maintain the closed state when the door body 220 closes the first laundry inlet 2a. The cabinet 10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portion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door locking portion 292 so that the door locking portion 292 is inserted when the door body 220 closes the first laundry loading opening 2a.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FIG.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oor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 sectional view of a door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방커버(230)는 커버몸체(232)와, 커버몸체(232)에 마련되는 커버개구(234)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개구(234)에는 제 2 개구(280a)의 선단이 위치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커버개구(234)의 내측으로는 이후 설명하는 제 2 개구(280a)를 형성하는 연결슈트(280)의 선단이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커버몸체(232)는 도어어셈블리(210)의 전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front cover 230 may include a cover body 232 and a cover opening 234 provided in the cover body 232. [ The cover opening 234 is provided so that the tip of the second opening 280a can be positioned. In detail, the inside of the cover opening 234 is provided with a tip end of a connection chute 280 which forms a second opening 280a to be described later. The cover body 232 may be provided to form a front surface of the door assembly 210.

보조도어(260)는 제 2 개구(280a)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조도어(260)는 전방커버(23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제 2 개구(280a)를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The auxiliary door 260 may be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second opening 280a. The auxiliary door 260 is rotatably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front cover 230 so as to open and close the second opening 280a.

보조도어(260)는 제 2 개구(280a)에 대응되는 보조도어몸체(262)와, 보조도어몸체(262)의 일측에 마련되어 보조도어몸체(262)가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보조도어힌지부(264)를 포함한다.The auxiliary door 260 has an auxiliary door body 26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pening 280a and an auxiliary door hinge part 262 provided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door body 262 and configured to be rotatable about the auxiliary door body 262 264).

보조도어몸체(262)는 제 2 개구(280a)의 너비보다 같거나 더 넓도록 형성되어, 보조도어(260)가 제 2 개구(280a)를 폐쇄하는 경우에 안정적으로 제 2 개구(280a)가 폐쇄되도록 마련된다. The auxiliary door body 262 is formed to be equal to or wid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opening 280a so that when the auxiliary door 260 closes the second opening 280a, Closed.

전방커버(230)는 보조도어안착부(236)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도어안착부(236)는 전방커버(230)의 외면보다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보조도어(260)가 제 2 개구(280a)를 폐쇄하는 경우에, 보조도어몸체(262)의 적어도 일부가 보조도어안착부(236)에 안착되어 제 2 개구(280a)의 폐쇄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보조도어(260)가 제 2 개구(280a)를 폐쇄하는 경우에, 보조도어(260)의 외면과 전방커버(230)의 외면사이의 단차를 없애거나 줄일 수 있어서, 제품성을 향상시키고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front cover 230 may include an auxiliary door seating portion 236. The auxiliary door seating portion 236 may be formed to be concave more than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230. When the auxiliary door 260 closes the second opening 280a through this configuration, at least a part of the auxiliary door body 262 is seated in the auxiliary door seating portion 236 to close the second opening 280a So that the state is stably maintained. Further, when the auxiliary door 260 closes the second opening 280a, the step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auxiliary door 26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230 can be eliminated or reduced, Can be improved.

전방커버(230)는 도어글래스(27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전방윈도우(238)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커버(230)의 후방에 배치되는 도어글래스(270)를 통해 드럼(30)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전방윈도우(238)은 개구로 형성될 수 있다. 전방윈도우(238)은 커버개구(234)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전방윈도우(238)은 개구로 마련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전방윈도우(238)에는 도어글래스(270)의 보호를 위해, 투명한 재질의 투과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도 있다.The front cover 230 may include a front window 238 formed to correspond to the door glass 270. The front window 238 may be formed as an opening so that the inside of the drum 30 can be seen through the door glass 270 disposed at the rear of the front cover 230. The front window 238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cover opening 234. The front window 238 may be provided as an open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front window 238 may be provided with a transparent member (not shown)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for protecting the door glass 270.

도어글래스(270)는 제 1 세탁물 투입구(2a)가 도어어셈블리(210)에 의해 폐쇄되더라도, 캐비닛(10)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어글래스(270)는 후방홀더(240)보다 돌출되도록 볼록하게 형성되는 글래스몸체(272)를 포함할 수 있다. 글래스몸체(272)는 투명한 글래스의 재질로 형성되어, 캐비닛(10)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door glass 270 is provided so that the inside of the cabinet 10 can be seen even if the first laundry inlet 2a is closed by the door assembly 210. [ The door glass 270 may include a glass body 272 formed to protrude from the rear holder 240. The glass body 272 is formed of a transparent glass material so that the inside of the cabinet 10 can be seen.

글래스몸체(272)는 도어어셈블리(210)에서 제 2 개구(280a)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글래스몸체(272)는 그 상부에 형성되어, 후방을 향해 하향되게 기울어지는 투입가이드면(27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개구(280a)는 글래스몸체(272)보다 상부에 배치됨으로서, 제 2 개구(280a)를 통해 투입되는 세탁물 또는 세제는 투입가이드면(272a)을 따라 드럼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투입가이드면(272a)은 도어어셈블리(210)의 후방을 향해 햐항되게 기울어지며, 좌우방향보다 중앙이 하방으로 오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투입가이드면(272a)은 제 2 개구(280a)를 통해 투입되는 세탁물 또는 세제를 용이하게 드럼(30)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The glass body 272 may be disposed below the second opening 280a in the door assembly 210. [ The glass body 272 may include an insertion guide surface 272a formed on the upper portion thereof and inclined downwardly toward the rear. The second opening 280a is disposed above the glass body 272 so that laundry or detergent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opening 280a enters the inside of the drum along the guide surface 272a. The insertion guide surface 272a is inclined toward the rear of the door assembly 210 and may be formed so that the center thereof is concave downwardly in the lateral direction. With this configuration, the insertion guide surface 272a can guide laundry or detergent, which is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opening 280a, into the drum 30 easily.

투입가이드면(272a)은 이후 설명하는 연결가이드면(280c)으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가이드면(280c)에 의해 가이드되는 세탁물 또는 세제를 캐비닛(10)의 내부로 가이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투입가이드면(272a)이 하방으로 오목하도록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투입가이드면(272a)은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제 2 개구(280a) 후단의 높이와 나란한 평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insertion guide surface 272a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extending from the connection guide surface 280c described later. And guide the laundry or detergent guided by the connection guide surface 280c to the inside of the cabinet 10. [ In this embodiment, the insertion guide surface 272a is formed to be concave downward,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insertion guide surface 272a may be formed to be convex upward, or may be formed in a plane parallel to the height of the rear end of the second opening 280a.

도어글래스(270)는 글래스개구(276)와, 도어실링유닛(278)을 포함할 수 있다. 글래스개구(276)는 도어글래스(270)에서 제 2 개구(280a)에 대응하여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글래스개구(276)는 도어글래스(270)에서 제 2 개구(280a)에 대응하여, 도어글래스(270)상에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door glass 270 may include a glass opening 276 and a door sealing unit 278. The glass opening 276 is configured to open in the door glass 27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pening 280a. The glass opening 276 may be formed in a shape at least partially opened on the door glass 27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pening 280a in the door glass 270. [

도어실링유닛(278)은 도어어셈블리(210)로 제 1 세탁물 투입구(2a)를 폐쇄시 다이아프램(90)에 접촉하여 캐비닛(10)의 내부를 실링하도록 마련된다. 도어실링유닛(278)은 환형의 다이아프램(90)과 대응되도록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실링유닛(278)은 다이아프램(90) 둘레의 전영역과 접하도록 마련되어, 캐비닛(10) 내부의 세탁수가 제 1 세탁물 투입구(2a)를 통해 새어나오지 않도록 실링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실링유닛(278)이 환형으로 형성되나, 다이아프램(90)의 형상에 대응되어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타원형의 형상을 가질수도 있다.The door sealing unit 278 is provided to seal the inside of the cabinet 10 by contacting the diaphragm 90 when the first laundry inlet 2a is closed by the door assembly 210. The door sealing unit 278 may be formed in an annular shape so as to correspond to the annular diaphragm 90. The door sealing unit 278 is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entire area around the diaphragm 90 to form a sealing structure so that the washing water in the cabinet 10 does not leak out through the first laundry inlet 2a. In this embodiment, the door sealing unit 278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but it may have a polyg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diaphragm 90, or may have an oval shape.

제 2 개구(280a)는 도어실링유닛(278)의 내측으로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세탁물 투입구(2a)가 도어어셈블리(210)에 의해 폐쇄시, 글래스개구(276)가 다이아프램(90)에 간섭되지 않도록 글래스개구(276)는 도어실링유닛(278)의 내측에서 도어실링유닛(278)과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제 2 개구(280a)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글래스개구(276)도 도어실링유닛(278)의 내측으로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The second opening 280a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side of the door sealing unit 278. When the first laundry inlet 2a is closed by the door assembly 210, the glass opening 276 is opened from the inside of the door sealing unit 278 so that the glass opening 276 does not interfere with the diaphragm 90. [ Unit 278 may be spaced apart. Further, the glass opening 276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second opening 280a may be provid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side of the door sealing unit 278.

도어실링유닛(278)은 다이아프램(90)과 접하여 실링구조를 형성하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도어실링유닛(278)은 글래스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어실링유닛(278)과 글래스몸체(272)는 일체로서 글래스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어실링유닛(278)은 표면이 매끄러운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어실링유닛(278)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으며, 다이아프램(90)과 접하여 다이아프램(90)과 함께 실링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재질이면 만족한다.The door sealing unit 278 may be made of a material forming a sealing structure in contact with the diaphragm 90. For example, the door sealing unit 278 may comprise a glass material. The door sealing unit 278 and the glass body 272 may be integrally formed of a glass material. The door sealing unit 278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smooth surface. The material of the door sealing unit 278 is not limited, and it is satisfactory if it is a material capable of forming a sealing structure together with the diaphragm 90 in contact with the diaphragm 90.

제 2 개구(280a)는 제 1 세탁물 투입구(2a)보다 작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세탁물 투입구(2a)는 캐비닛(10)에 마련되어 도어어셈블리(210)에 의해 개폐되고, 제 2 개구(280a)는 도어어셈블리(210)에 마련되어 보조도어(26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 1 세탁물 투입구(2a)가 폐쇄되더라도, 제 2 개구(280a)를 개방하여 캐비닛(10)의 내부로 세탁물 또는 세제를 추가적으로 투입할 수 있게 된다.The second opening 280a may be smaller than the first laundry inlet 2a. The first laundry inlet 2a is provided in the cabinet 10 and is opened and closed by the door assembly 210 and the second opening 280a is provided in the door assembly 210 and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auxiliary door 260. Even if the first laundry inlet 2a is closed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second opening 280a can be opened to further add laundry or detergent into the cabinet 10.

도어글래스(270)는 후방홀더(240)에 안착될 수 있도록, 도어실링유닛(278)의 단부에서 플랜지형상으로 마련되는 글래스플랜지(2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글래스플랜지(274)는 이후 설명하는 후방홀더(240)의 글래스안착부(246)에 안착되어, 도어글래스(270)가 도어어셈블리(2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된다.The door glass 270 may further include a glass flange 274 provided in a flange shape at the end of the door sealing unit 278 so as to be seated in the rear holder 240. The glass flange 274 is seated in the glass seating portion 246 of the rear holder 24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door glass 270 is not separated from the door assembly 210.

도어어셈블리(210)의 도어본체(220)는 연결슈트(28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슈트(280)는 제 2 개구(280a)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연결슈트(280)의 선단은 전방커버(230)의 커버개구(234)의 내측에 배치되고, 연결슈트(280)의 후단은 후방홀더(240)의 홀더개구(244)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연결슈트(280)는 전방커버(230)와 후방홀더(240) 사이에 마련되어, 캐비닛(20)의 외부와 내부를 연통하는 제 2 개구(280a)를 형성할 수 있다.The door body 220 of the door assembly 210 may include a connection chute 280. The connection chute 280 is provided to form a second opening 280a. The distal end of the connecting chute 280 may be disposed inside the cover opening 234 of the front cover 230 and the rear end of the connecting chute 280 may be disposed inside the holder opening 244 of the rear holder 240 . That is, the connection chute 28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ront cover 230 and the rear holder 240 to form a second opening 280a communicating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the cabinet 20.

연결슈트(280)는 양측이 개방된 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연결슈트(280)의 일측에는 제 2 개구(280a)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캐비닛(20)의 내부를 향하는 배출개구(280b)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개구(280a)를 통해 투입되는 세탁물 또는 세제는 연결슈트(280)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280d)를 통해 배출개구(280b)로 이동하게 되어, 캐비닛(20)의 내부로 배출된다. 연결슈트(280)의 형상은 관의 형상의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연결슈트(280)는 제 2 개구(280a)로 투입되는 세탁물 또는 세제가 배출개구(280b)로 가이드할 수 있는 면의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연결슈트(280)는 제 2 개구(280a)의 하부와 배출개구(280b)의 하부를 연결하는 평면 또는 곡면의 형상으로 마련되어도 무방하다.The connecting chute 28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tube with both sides open. A second opening 280a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connection chute 280 and a discharge opening 280b may be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chute 280 toward the inside of the cabinet 20. [ The laundry or detergent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opening 280a moves to the discharge opening 280b through the hollow portion 280d formed in the connection chute 280 and is discharged into the cabinet 20 . The shape of the connecting chute 280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f the pipe. For example, the connection chute 280 may be formed in a shape such that the laundry or detergent to be introduced into the second opening 280a can be guided to the discharge opening 280b. The connection chute 280 may be provided in a flat or curved shape connec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opening 280a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discharge opening 280b.

연결슈트(280)은 연결가이드면(280c)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가이드면(280c)은 연결슈트(280)의 바닥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연결가이드면(280c)은 제 2 개구(280a)와 배출개구(280b)의 사이에 형성되어, 제 2 개구(280a)로 투입되는 세탁물 또는 세제를 배출개구(280b)를 통해 캐비닛(20)의 내부로 가이드하도록 마련된다. The connection chute 280 may include a connection guide surface 280c. The connection guide surface 280c is formed to form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ion chute 280. [ The connection guide surface 280c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opening 280a and the discharge opening 280b so that the laundry or detergent to be introduced into the second opening 280a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opening 280b into the cabinet 20 As shown in FIG.

연결가이드면(280c)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연결가이드면(280c)은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하향되게 기울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shape of the connection guide surface 280c is not limited. For example, the connection guide surface 280c may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front to the rear.

연결슈트(280)는 제 2 개구(280a)가 배출개구(280b)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슈트(280)는 후방을 향해 하향되는 기울기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 2 개구(280a)를 통해 세탁물 또는 세제를 투입하는 경우 후방을 향해 하향되는 기울기를 갖는 연결슈트(280)를 통해 용이하게 캐비닛(10)의 내부로 투입할 수 있게 된다. The connection chute 28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second opening 280a is higher than the discharge opening 280b. That is, the connection chute 280 may be provided so as to have a downward inclination toward the rear. When the laundry or the detergent is supplied through the second opening 280a, the laundry can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cabinet 10 through the connection chute 280 having a downward inclination toward the rear.

연결슈트(280)의 전방과 후방에는 전방실링부(282)와, 후방실링부(284)가 마련될 수 있다.A front sealing portion 282 and a rear sealing portion 284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connection chute 280.

전방실링부(282)는 연결슈트(280)의 선단에 마련되어, 보조도어(260)와 접촉하여 실링구조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슈트(280)의 선단에는 전방실링부(282)가 고정될 수 있도록 전방실링홈(283)이 형성된다.The front sealing portion 282 may be provided at the tip of the connection chute 280 and may be provided to contact the auxiliary door 260 to form a sealing structure. A front sealing groove 283 is formed at the tip of the connecting chute 280 so that the front sealing portion 282 can be fixed.

전방실링부(282)는 제 2 개구(280a)와 인접하게 형성되어, 보조도어(160)가 제 2 개구(280a)를 폐쇄시, 전방실링부(282)와 보조도어(260)가 접하여 실링구조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전방실링부(282)는 제 2 개구(280a)의 둘레를 따라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front sealing portion 282 is formed adjacent to the second opening 280a so that when the auxiliary door 160 closes the second opening 280a, the front sealing portion 282 and the auxiliary door 26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tructure. The front sealing portion 282 may be formed adjacent to the periphery of the second opening 280a.

전방실링부(282)가 제 2 개구(280a)에서 보조도어(260)와 함께 실링구조를 형성함으로서, 보조도어(260)의 폐쇄시에 캐비닛(10)의 내부로부터 누수가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front sealing portion 282 forms a sealing structure together with the auxiliary door 260 in the second opening 280a so as to prevent leakage of water from the inside of the cabinet 10 when the auxiliary door 260 is closed .

후방실링부(284)는 연결슈트(280)의 후단에 마련되어, 연결슈트(280)의 후단과 글래스개구(276)사이에 실링구조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슈트(280)의 후단에는 후방실링부(284)가 고정될 수 있도록 후방실링홈(285)이 형성될 수 있다. 글래스개구(276)는 배출개구(280b)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므로, 후방실링홈(285)은 연결슈트(280)의 후단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rear sealing portion 284 may be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connection chute 280 and may be provided to form a sealing structure between the rear end of the connection chute 280 and the glass opening 276. A rear sealing groove 285 may be formed at a rear end of the connection chute 280 so that the rear sealing portion 284 can be fixed. Since the glass opening 276 is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discharge opening 280b, the rear sealing groove 285 can be formed outside the rear end of the connection chute 280. [

후방실링부(284)는 배출개구(280b)과 인접하게 형성되어, 후방실링부(284)와 글래스개구(276)사이에 실링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후방실링부(284)는 배출개구(280b)의 둘레를 따라 배출개구(280b)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rear sealing portion 284 may be formed adjacent the discharge opening 280b to form a sealing structure between the rear sealing portion 284 and the glass opening 276. [ The rear sealing portion 284 may be disposed adjacent the discharge opening 280b along the periphery of the discharge opening 280b.

후방실링부(284)가 배출개구(280b)에서 글래스개구(276)와 함께 실링구조를 형성함으로서, 캐비닛(10)의 내부로부터 도어어셈블리(210)의 내부로 누수가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rear sealing portion 284 forms a sealing structure together with the glass opening 276 in the discharge opening 280b to prevent leakage of water from the inside of the cabinet 10 to the inside of the door assembly 210. [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슈트(280)는 전방커버(230)와 후방홀더(240)의 사이에 마련되나, 그 배치와 구성은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연결슈트(280)는 전방커버(230) 또는 도어글래스(27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방커버(230)와 도어글래스(270)와 함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슈트(280)는 전방커버(230)와 도어글래스(2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on chute 280 is provided between the front cover 230 and the rear holder 240, but its arrangement and configuration are not limited. For example, the connection chute 28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ront cover 230 or the door glass 270.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ront cover 230 and the door glass 270. That is, the connection chute 28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at least one of the front cover 230 and the door glass 270.

후방홀더(240)는 전방커버(230)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 후방홀더(240)는 도어글래스(270)가 안착되는 글래스안착부(246)를 포함한다. 글래스안착부(246)는 글래스몸체(272)가 지나도록 후방윈도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글래스안착부(246)의 후방에는 글래스플랜지(274)가 안착되어, 도어글래스(270)가 후방홀더(24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글래스안착부(246)와 글래스플랜지(274)사이에는 누수를 방지하도록 안착실링부(249)가 마련될 수 있다.The rear holder 240 may be provided behind the front cover 230. The rear holder 240 includes a glass seating portion 246 on which the door glass 270 is seated. The glass seating portion 246 may be formed with a rear window through which the glass body 272 passes. A glass flange 274 is seated on the rear of the glass seating portion 246 so that the door glass 270 is not separated from the rear holder 240. [ Between the glass mounting portion 246 and the glass flange 274, a seat sealing portion 249 may be provided to prevent leakage.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의 일부 확대단면도이다.17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door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어실링유닛(278)은 다이아프램(90)과 마주하도록 마련되어, 도어어셈블리(210)가 제 1 세탁물 투입구(2a)를 폐쇄시에 다이아프램(90)과 접촉하여 실링구조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The door sealing unit 278 is provided to face the diaphragm 90 so that the door assembly 21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diaphragm 90 to form a sealing structure when the first laundry inlet 2a is closed.

도어어셈블리(210)에 의해 제 1 세탁물 투입구(2a)가 폐쇄되면, 탄성재질의 다이아프램(90)의 립은 도어실링유닛(278)과 접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다이아프램(90)의 립은 도어어셈블리(210)에 의해 가압되며, 탄성을 가지고 탄성변형되어 도어실링유닛(278)에 밀착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first laundry inlet 2a is closed by the door assembly 210, the ribs of the diaphragm 90 of elastic material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door sealing unit 278. In this process, the ribs of the diaphragm 90 are pressed by the door assembly 210, elastically deformed with elasticity, and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door sealing unit 278.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The foregoing has shown and described specific embodiment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

1 : 세탁기 2a : 투입구
3 : 연결호스 4 : 배수펌프
7: 구동모터 8 : 베어링 하우징
9 : 베어링 10 : 캐비닛
40 : 세제공급장치 42 : 댐퍼
50 : 메인세탁공간 60 : 보조세탁공간
62 : 보조도어 64 : 연결슈트
66 : 보조투입구 68 : 개구부
70 : 도어 71 : 전방 하우징
72 : 후방 하우징 73 : 커버
90 : 다이아프램
110 : 도어어셈블리 120 : 도어본체
130 : 전방커버 140 : 후방홀더
150 : 도어실링유닛 160 : 보조도어
170 : 도어글래스 180 : 연결슈트
190 : 도어회동부
1: washing machine 2a: inlet
3: Connection hose 4: Drain pump
7: drive motor 8: bearing housing
9: Bearing 10: Cabinet
40: detergent supply device 42: damper
50: main laundry space 60: auxiliary laundry space
62: auxiliary door 64: connection chute
66: auxiliary input port 68: opening
70: Door 71: Front housing
72: rear housing 73: cover
90: diaphragm
110: door assembly 120: door body
130: front cover 140: rear holder
150: door sealing unit 160: auxiliary door
170: Door glass 180: Connecting chute
190:

Claims (13)

제 1 세탁물 투입구가 마련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어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배치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및
상기 제 1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전면에 형성된 제 2 세탁물 투입구; 및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드럼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도어글래스;
상기 제 2 세탁물 투입구로 투입된 세탁물이 상기 도어글래스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글래스에 마련된 글래스 개구;
상기 제 2 세탁물 투입구와 상기 글래스 개구를 연결하는 연결슈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슈트는 상기 제 2 세탁물 투입구로부터 상기 글래스 개구로 하향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A cabinet having a first laundry inlet;
A tub disposed inside the cabinet to store wash water;
A drum disposed inside the tub to receive the laundry; And
And a door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first laundry loading port,
The door
A second laundry inlet formed on the front side; And
A door glass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door protrudes toward the inside of the drum when the door is closed;
A glass opening provided in the door glass so that the laundry introduced into the second laundry loading port can pass through the door glass;
And a connection chute for connecting the second laundry inlet and the glass opening,
Wherein the connecting chute is inclined downward from the second laundry inlet to the glass open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제 2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하는 보조 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oor further comprises an auxiliary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econd laundry loading po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제 2 세탁물 투입구가 마련되는 전방 커버; 및
상기 전방 커버에 결합되는 후방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어글래스에는 상기 전방 커버와 상기 후방 커버의 사이에 배치되는 환형의 플랜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oor
A front cover provided with the second laundry loading port; And
And a rear cover coupled to the front cover,
Wherein the door glass is provided with an annular flange disposed between the front cover and the rear cov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커버에는 상기 캐비닛 내부를 볼 수 있도록 윈도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ront cover is provided with a window for viewing the inside of the cabinet.
제 1 세탁물 투입구를 갖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어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배치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제 1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및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세탁물이 상기 도어를 관통하여 상기 드럼 내에 수용되도록 상기 도어의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연장되는 중공의 연결 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A cabinet having a first laundry inlet;
A tub disposed inside the cabinet to store wash water;
A drum disposed inside the tub to receive the laundry;
A door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first laundry loading port; And
And a hollow connection chute extending from a front surface of the door to a rear surface of the door so that the laundry is received in the drum through the door when the door is close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슈트의 바닥면은 상기 도어의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하향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ion chute is inclined downward from a front surface of the door to a rear surfac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전면에 마련되며 상기 연결 슈트의 개방된 일단을 개폐하는 보조 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door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door and opening and closing an opened end of the connection chut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캐비닛 내부로 돌출되는 도어글래스;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슈트의 개방된 타단은 상기 도어글래스에 마련된 개구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door
And a door glass, at least a part of which protrudes into the cabinet when the door is closed,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chute is connected to an opening provided in the door glas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연결 슈트의 개방된 일단에 연결되는 전방 커버:
상기 전방 커버에 결합되는 후방 커버; 및,
상기 전방 커버와 상기 후방 커버의 사이에 배치되는 환형의 플랜지가 마련되는 도어글래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door
A front cover coupled to an open end of the connection chute;
A rear cover coupled to the front cover; And
And a door glass provided with an annular flange disposed between the front cover and the rear cove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커버에는 윈도우가 마련되어 상기 윈도우를 통해 상기 도어글래스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ront cover is provided with a window, and at least a part of the door glass is exposed through the window.
제 1 세탁물 투입구가 마련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고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배치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및
상기 제 1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개구부가 마련된 도어글래스;
상기 제 2 세탁물 투입구가 마련된 전방 커버;
상기 전방 커버에 결합되는 후방 커버; 및
개방된 일단은 상기 제 2세탁물 투입구에 연결되고 개방된 타단은 상기 도어글래스의 개구부에 연결되는 중공의 연결 슈트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2 세탁물 투입구로 투입된 세탁물이 상기 연결 슈트를 지나 상기 도어글래스의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기 드럼에 수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A cabinet having a first laundry inlet;
A tub disposed inside the cabinet and storing wash water;
A drum disposed inside the tub and receiving the laundry; And
And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laundry loading port,
The door
A door glass provided with an opening;
A front cover provided with the second laundry loading port;
A rear cover coupled to the front cover; And
And the other end of the opening is connected to the opening of the door glass, and a hollow connecting chute is connected to the opening of the door glass,
Wherein the laundry introduced into the second laundry loading port in a state that the door is closed passes through the opening of the door glass through the connection chute and can be received in the drum.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슈트의 바닥면은 상기 제 2 세탁물 투입구로부터 상기 도어글래스의 개구부로 하향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ion chute is inclined downward from the second laundry inlet to the opening of the door glass.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하는 보조 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an auxiliary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econd laundry loading port.

KR1020170046121A 2017-04-10 2017-04-10 Washing machine KR1020718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121A KR102071890B1 (en) 2017-04-10 2017-04-10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121A KR102071890B1 (en) 2017-04-10 2017-04-10 Washing machin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866A Division KR20160103888A (en) 2015-02-25 2015-02-25 Washing machin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611A Division KR102002424B1 (en) 2018-04-23 2018-04-23 Wash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2531A true KR20170042531A (en) 2017-04-19
KR102071890B1 KR102071890B1 (en) 2020-02-03

Family

ID=58706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6121A KR102071890B1 (en) 2017-04-10 2017-04-10 Wash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89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02953A (en) * 2018-12-25 2019-03-01 重庆市涵越电器有限公司 A kind of roller washing machine door body and roller washing machi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5480A (en) * 2002-08-13 2004-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Drum type washing machine
KR20070002336A (en) * 2005-06-30 2007-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Assembly of door for drum-type dryer
US20080028804A1 (en) * 2006-08-02 2008-02-07 Miele & Cie. Kg Porthole door for a front-loading laundry appliance, such as a washing machine, a washer-dryer machine, or a laundry dryer
EP2415920A1 (en) * 2010-08-06 2012-02-08 Fagor, S. Coop. Washing machine with a door comprising a cavity adapted to house a loa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5480A (en) * 2002-08-13 2004-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Drum type washing machine
KR20070002336A (en) * 2005-06-30 2007-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Assembly of door for drum-type dryer
US20080028804A1 (en) * 2006-08-02 2008-02-07 Miele & Cie. Kg Porthole door for a front-loading laundry appliance, such as a washing machine, a washer-dryer machine, or a laundry dryer
EP2415920A1 (en) * 2010-08-06 2012-02-08 Fagor, S. Coop. Washing machine with a door comprising a cavity adapted to house a loa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02953A (en) * 2018-12-25 2019-03-01 重庆市涵越电器有限公司 A kind of roller washing machine door body and roller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1890B1 (en) 2020-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3888A (en) Washing machine
US10184200B2 (en) Washing machine
KR102627713B1 (en) Washing Machine
US20230053943A1 (en) Washing machine
US10774455B2 (en) Washing machine
US11028515B2 (en) Washing machine
US20210172108A1 (en) Detergent supply device and wash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KR20180074459A (en) Washing machine
US20200024786A1 (en) Washing machine
KR102071890B1 (en) Washing machine
KR102002424B1 (en) Washing machine
US11352732B2 (en)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177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424

Effective date: 2019101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