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0089A - 인프라스트럭처-리스 환경에서 IoT 장치들의 자율 네트워킹 방법 - Google Patents
인프라스트럭처-리스 환경에서 IoT 장치들의 자율 네트워킹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40089A KR20170040089A KR1020160120534A KR20160120534A KR20170040089A KR 20170040089 A KR20170040089 A KR 20170040089A KR 1020160120534 A KR1020160120534 A KR 1020160120534A KR 20160120534 A KR20160120534 A KR 20160120534A KR 20170040089 A KR20170040089 A KR 2017004008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ot
- nodes
- node
- network
- network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 H04L67/16—
-
- H04L67/28—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47—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nditions of the access network or the infrastructure network
-
- H04W76/02—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인프라스트럭처 장비가 없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IoT 장치들의 자율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IoT 기반 네트워킹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IoT 환경에서 자율 네트워킹을 위한 방법은 IoT 네트워크 내 IoT 노드들과 클래스 값들을 교환하는 단계와, 최고 클래스 값를 갖는 IoT 노드를 IoT 조정 노드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아래 실시예들은 인프라스트럭처 장비가 없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IoT 장치들의 자율적인 통신을 가능하하게 하는 IoT 기반 네트워킹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 기반의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잘 갖추어진 네트워크 장비가 일반 네트워크 클라이언트에게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로 진행되었다.
이동 통신 기술, 예를 들어 2G, 3G, 및 LTE 등의 경우에도 기지국(예를 들어, Base station, eNodeB)이 스마트폰의 통신 서비스를 책임지고 있다. 또한, Wi-Fi의 경우 Access Point가 Wi-Fi 단말의 통신 서비스를 책임지는 형태로 서비스가 제공된다.
이러한 인프라스트럭처 기반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점차 인프라스트럭처-리스(Infrastructure-less) 환경의 네트워킹 방법이 요구되었고, 다양한 분야에서 관련 연구가 진행되었다.
인프라스트럭처 기반 네트워킹에서는 한 네트워크에 다른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host)를 위하여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Base station, Access Point, Router, DNS, Gateway)가 존재하며, 이러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노드는 다른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역할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미리 지정되어 있으며, 한 네트워크 안에 주로 고정되어 있다.
하지만, IoT 환경에서는 예전처럼 특정 서비스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노드가 항상 존재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의 IoT 장치가 임시적/즉시적/동적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할 경우 인프라스트럭처 기반의 네트워킹이 적합하지 않다.
이전의 인프라스트럭처 기반의 네트워킹 방법과 더불어 특정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하게 개발된 기존의 인프라스트럭처-리스 방법은 다양한 형태의 IoT 장치가 네트워크를 구성할 경우 적합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IoT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미리 정의된(pre-defined) 네트워크 기능 보다는 상황에 맞게끔 (상황 인지)네트워크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지금까지의 자율 네트워킹 기능은 주소 설정, 디폴트 라우터, 라우팅 경로 등 매우 제한적이었으며, 사용자나 관리자의 개입을 최소화 하면서,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것은 어느 정도 가능하나, 운영 중에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었다.
IoT 환경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IoT 장치가 존재하고, 인프라스트럭처-리스 환경에서는 자율 네트워킹 기능이 더 어려울 수 있다. 왜냐하면, 라우터나 게이트웨이 등 특정 네트워크 장비가 항상 존재하고 다른 IoT 장치를 서비스 하는 형태가 아니기 때문에 자율 네트워킹 기능을 추가하는 것은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이다.
다양한 형태의 IoT 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IoT 서비스를 수용하고 지원하여야 하기 때문에, 모든 종류의 IoT 서비스를 지원하는 자율 네트워킹 기능을 지원하기는 쉽지 않다.
실시예들은 인프라스트럭처-리스 환경에서 IoT 장치들이 자발적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도록, IoT 장치들 중 라우터, DNS, 서버와 같은 네트워크 서비스 노드를 선출하는 과정을 거쳐 가상으로 인프라스트럭처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관리자의 개입 없이 IoT 장치들이 스스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IoT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인터넷 인텐트(intent) 기반의 자율 네트워킹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IoT 환경에서 자율 네트워킹(self-organization)을 위한 방법은 IoT 네트워크 내 IoT 노드들과 클래스 값들을 교환하는 단계와, 최고 클래스 값(highest class value)를 갖는 IoT 노드를 IoT 조정 노드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IoT 네트워크 내에 진입하는 때, 상기 IoT 조정 노드(coordination node)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checking) 단계와, 상기 IoT 네트워크 내에 상기 IoT 조정 노드가 존재하는 때, 상기 IoT 조정 노드에게 네트워킹 지원(support of networking)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IoT 네트워크 내에 상기 IoT 조정 노드가 존재하지 않는 때, 상기 IoT 조정 노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환하는 단계는 상기 IoT 노드들과 난수들 및 상기 클래스 값들을 교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oT 노드들 중에서 복수 개의 IoT 노드가 동일한 최고 클래스 값을 갖을 때, 상기 복수 개의 IoT 노드 중에서 최고 난수 값(highest random number)을 갖는 IoT 노드를 상기 IoT 조정 노드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IoT 노드들의 클래스 값들은 네트워크 계층 메시지들(network layer messages)을 통해 교환될 수 있다.
상기 클래스 값들 및 상기 난수들은 네트워크 계층 메시지들(network layer messages)을 통해 교환될 수 있다.
상기 클래스 값들 각각은 상기 IoT 노드들 각각의 능력들(capabilities)에 따라 상기 IoT 노드들 각각에 할당될 수 있다.
상기 클래스 값들 각각은 상기 IoT 노드들 각각의 소비 전력(power consumption), 성능 정도(performance degree), 및 제한 정도(constrained degree)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IoT 노드들 각각에 할당될 수 있다.
상기 클래스 값들 각각은 상기 IoT 노드들 각각의 소비 전력(power consumption)에 따라 상기 IoT 노드들 각각에 할당되고, 상기 클래스 값들은 각각은 상기 IoT 노드들 각각이 주 전원(mains electric power) 또는 배터리 전력을 갖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IoT 노드들 각각에 할당될 수 있다.
상기 클래스 값들 각각은 상기 IoT 노드들 각각의 성능 정도(performance degree)에 따라 상기 IoT 노드들 각각에 할당되고, 상기 IoT 노드들 각각의 성능 정도는 상기 IoT 노드들 각각의 CPU 성능, 처리 성능(throughput performance), 및 서비스 범위(service coverage)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래스 값들 각각은 상기 IoT 노드들 각각의 제한 정도(constrained degree)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IoT 노드들 각각에 할당되고, 상기 IoT 노드들 각각의 제한 정도는 상기 IoT 노드들 각각의 코드 사이즈(code size) 및 데이터 사이즈(data size)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oT 조정 노드는 주기적으로 상기 IoT 네트워크 내 상기 IoT 노드들 각각의 현재 상황(current status)를 체크하고, 상기 IoT 노드들 각각의 현재 상황에 기초하여 최적의 구성(optimal configuration)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IoT 조정 노드는 새로운 IoT 노드의 출현, 네트워크 처리량(network throughput)의 감소, 및 오류율의 보고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응답하여 최적의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IoT 조정 노드로부터 상기 최적의 구성에 대응하는 정책 정보(policy information)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정책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파라미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재구성하는(reconfiguring)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oT 네트워크는 이종 및 다중 서비스 IoT 네트워크(heterogeneous and multi-service network)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현재 상황(current status)를 센싱하고, 상기 현재 상황(current status)를 IoT 조정 노드로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장치들 간의 자율 네트워킹 방법을 나타낸다.
도 2는 클래스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클래스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ICMPv6를 이용하는 네트워크 레이어 메시지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장치들 간의 자율 네트워킹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2는 클래스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클래스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ICMPv6를 이용하는 네트워크 레이어 메시지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장치들 간의 자율 네트워킹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서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인프라스트럭처-리스 환경에서 가상으로 인프라스트럭처 네트워크 환경 구축 방법>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장치들 간의 자율 네트워킹 방법을 나타내고, 도 2는 클래스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3은 클래스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의 다른 예를 나타내고, 도 4는 ICMPv6를 이용하는 네트워크 레이어 메시지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전통적인 인프라스트럭처 기반 네트워킹 환경에서 IoT 장치들의 통신 서비스를 지원해 주는 네트워크 서비스 노드들이 없는 환경에서 IoT 장치들끼리 인프라스트럭처-리스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을 보여 준다.
인프라스트럭처-리스 네트워킹 환경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IoT 장치들이 임시적/ 즉시적/동적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때문에 고정되거나 미리 설정된 네트워크 서비스 노드가 없을 수 있다. 통신 서비스를 개시하려는 IoT 장치끼리 잘 협력하여 IoT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통신 서비스를 스스로 지원해야 한다.
인프라스트럭처 기반의 네트워킹 환경에서 네트워크 서비스 노드들은 상시 외부 전원 연결에 높은 성능의 하드웨어 장비에서 돌아 가기 때문에 많은 다양한 네트워킹 기능 등이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IoT 장치는 자체 배터리로 동작이 되고 성능이 복잡하지 않으면서 저가로 구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기존의 네트워크 서비스 노드들이 가진 많은 다양한 기능을 가질 필요는 없을 수 있다. 그래서, 전통적인 네트워크 서비스 노드(예를 들어, 라우터, 게이트웨이, 서버) 기능을 IoT 통신 서비스만 지원할 수 있도록 최소화하면서, 적합한 IoT 장치들에게 분산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이때, 모든 IoT 장치들에게 네트워크 장비 기능을 할당할 필요는 없다. 어떤 IoT 디바이스는 매우 저가/저성능의 운영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IoT 장치는 전통적인 네트워크 장비 기능을 가질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노드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IoT 노드들 각각은 자율 네트워킹 조정 기능을 통해 네트워크 요구 사항(network requirement) 및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이종(heterogeneous) 및/또는 다중 서비스(multi-service) IoT 네트워크들 내 다중 계층들(multiple layers), 다중 RAT들(multiple RATs), 및 다중 서비스 도메인들(multiple service domains) 위에 기본 IoT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구성할 수 있다. 수집된 정보는 후술하는 IoT 노드들 각각의 자율 네트워킹 인지 기능을 통해 수집되는 정보일 수 있다.
IoT 노드들 각각이 새로운 IoT 네트워크에 진입하는 때, IoT 노드들은 IoT 네트워크 내 네트워크 서비스 노드, 즉 IoT 조정 노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IoT 조정 노드가 IoT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경우, IoT 노드들은 IoT 조정 노드에 네트워킹의 지원을 요청할 수 있다. IoT 조정 노드가 IoT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최적의 IoT 조정 노드의 협상 및/또는 선택 절차는 실행될 수 있다.
다른 IoT 노드들에 의해 요청될 때, IoT 조정 노드는 네트워크 코디네이터, 예를 들어, 라우터, 서버, AAA 등과 같이 수행할 수 있다.
IoT 네트워크 내 최적의 IoT 조정 노드를 선택하는 것이 또한 필요하다. IoT 노드들은 이종의 능력들(heterogeneous capabilities)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모든 IoT 노드들이 IoT 노드가 되는 것은 불가능하다.
다양한 형태의 IoT 노드가 모여 통신 서비스를 개시하려고 할 때, 적합한 IoT 노드들끼리 서로 협상(negotiation) 절차와 네트워크 노드 선정(selection) 절차를 거쳐 가상으로 전통적인 네트워킹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서비스 노드, 즉 IoT 조정 노드를 구성할 수 있다.
네트워크 기능을 분산 할당 하는 방법은 네트워크 서비스 노드 기능을 클래스(class)로 나누어, 높은 클래스를 가진 IoT 노드는 많은 기능을 가지도록 하고, 낮은 클래스를 가진 기능은 상대적으로 적은 기능을 가지도록 한다. 이러한 클래스의 구분은 IoT 노드의 성능(또는 능력)에 따라 미리 정의할 수 있다.
IoT 노드들 각각은 IoT 노드들의 능력들, 예를 들어 IETF RFC 7228에 기술된 전력 소비(power consumption 또는 소비 전력), 제한 정도(constrained degree), 성능 정도(performance degree) 등에 따른 클래스(또는 클래스 값)에 의해서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래스 정보는 IETF RFC 7228에 기술된 전력 소비, 제한 정도, 성능 정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IoT 노드들은 주 전원(mains-power)으로 작동되고, 어떤 IoT 노드들은 잘 제공되는 전력 지원(well-provided power support)에 의해서 작동되고, 어떤 IoT 노드들은 최소 배터리 지원(minimal battery support)에 의해서만 작동될 수 있다.
성능 정도는 IoT 노드들 각각의 CPU 성능(CPU performance), 처리 성능(throughput performance), 및 서비스 범위(service coverage)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CPU 성능은 리소그래피(lithography), 클락 속도, 및 전력 소비와 같은 매트릭스를 나타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높은 클럭 속도(high clock speed)는 CPU 성능을 높게 하지만, 더 많은 전력 소비를 필요로 한다.
처리 성능은 트래픽 전송 볼륨(traffic transmission volume)과 같은 매트릭스를 나타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높은 처리 성능은 더 많은 데이터를 전송하게 하지만, 더 많은 전력 소비를 필요로 한다.
서비스 범위는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는 영역(area)을 나타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폭 넓은 서비스 범위는 더 많은 전력 소비를 필요로 한다.
이에, CPU 성능, 처리 성능, 서비스 범위 및 전력 소비(power consumption) 사이의 트레이드 오프가 있을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 정도는 데이터 사이즈(예를 들어, RAM) 및 코드 사이즈(예를 들어, flash)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형태의 IoT 장치, 즉 IoT 노드가 모여 통신 서비스를 개시하려고 할 때, 적합한 IoT 노드들끼리 서로 협상(negotiation) 절차와 네트워크 노드 선정(selection) 절차를 거쳐 가상으로 전통적인 네트워킹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서비스 노드를 구성할 수 있다.
협상 절차는 상술한 IoT 노드가 가지고 있는 클래스 정보를 미리 약속된 메시지 형태로 서로 주고 받으면서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노드들은 클래스 정보를 네트워크 계층 메시지들(예를 들어, MAC frames 또는 ICMPv6 packets)을 통해 교환하고 공유할 수 있다. 이 클래스 정보에는 미리 정의된 네트워크 서비스 노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ICMPv6를 이용하는 네트워크 레이어 메시지의 일 예를 나타내는데, ICMPv6 메시지는 복수의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필드들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타입 필드(type field)는 메시지의 타입을 나타낼 수 있다. 타입 필드의 값은 잔여 데이터(remaining date)의 포맷(format)을 결정할 수 있다. 타입 필드는 IANA에 의해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값은 이전 ICMPv6에 사용되지 않은 300으로 할당될 수 있다.
코드 필드(code field)는 메시지 타입에 의존할 수 있다. 코드 필드는 메시지 입도(message granularity)의 추가 레벨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코드 필드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체크섬 필드(checksum field)는 ICMPv6 메시지와 IPv6 헤더의 부분들(parts) 내 데이터 손상(data corruption)을 감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클래스 값(class value)은 클래스 정보(class information)의 값을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래스 값은 16 비트일 수 있다.
난수(random number)은 서로 상이한 IoT 노드들의 동일한 클래스 값의 복제를 피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난수는 16 비트일 수 있다.상술한 클래스 정보의 교환 동안, 최고 값(highest value 또는 best capability)을 갖는 IoT 노드는 서비스 노드, 즉 IoT 조정 노드(또는 IoT 제어 및 조정 노드)로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lass가 높은 IoT 노드는 IoT 조정 노드로 선택될 수 있다.
IoT 조정 노드의 선택(또는 선정) 절차는 가급적 높은 클래스 값을 가진 IoT 노드가 낮은 클래스 값을 가진 IoT 노드를 수용하는 형태로 결정이 되지만, 높은 클래스 값을 가진 IoT 노드이지만 배터리가 충분치 않을 경우에는 별도의 예외 조건을 만들 수도 있다.
만약 동일한 클래스를 가진 IoT 노드들끼리 서로 협상하는 경우에는 각자 IoT 노드끼리 메시지를 주고 받을 때, 랜덤(random)하게 메시지 식별자를 만들고 이 식별자 값에 기반하여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 절차 동안, 클래스 정보의 최고 점수(highest score)를 갖는 복수의 IoT 노드들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막기 위해, IoT 노드들 각각은 난수(random number)를 생성하고, 클래스 정보를 난수와 함께 교환할 수 있다. 최고 점수(highest score)를 갖는 복수의 IoT 노드들이 선택된 경우, 최고 난수(highest random number)를 갖는 IoT 노드가 IoT 제어 및 조정 노드로 선택될 수 있다. 즉, 클래스 정보가 같다면 난수가 큰 IoT 노드가 IoT 조정 노드로 선택될 수 있다.
IoT 노드들 각각은 네트워크 레이어 메시지들(예를 들어, MAC 프레임들 또는 ICMPv6 패킷들)을 통해 클래스 정보와 함께 난수들을 교환하고 공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비스 노드, 즉 IoT 조정 노드로 선정된 IoT 장치는 다른 IoT 장치를 위해 필요한 네트워킹 서비스 기능(예를 들어, 라우터 역할, 게이트웨이 역할, 서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다른 IoT 노드들에 의해 요청될 때, IoT 조정 노드는 네트워크 코디네이터와 같이 수행할 수 있다.
협상 과정과 선정 과정에 참여한 IoT 노드들은 어떤 IoT 노드가 네트워킹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는 IoT 장치, 즉 IoT 조정 노드인지 알게 될 수 있다. 이후에 추가되는 IoT 장치는 IoT 조정 노드부터 해당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 받아 일반적인 네트워킹 서비스를 개시할 수 있다.
IoT 조정 노드는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또는 멀티캐스트(multicast) 형식으로 한 네트워크에 속하는 모든 IoT 장치가 전달받을 수 있도록 메시지를 전송하나, 배터리로 동작하여 전원 소비를 최소화해야 하는 IoT 장치의 경우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형식으로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고, 특정 약속된 주소의 프록시(proxy) 서버를 통하여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해당 IoT 네트워크에서 IoT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IoT 네트워크 서비스 노드 협상 및 선택 절차에서 개시하려고 하는 IoT 서비스의 특성을 고려하여, IoT 노드들 각각은 클래스 정보 이외에 서비스 정보도 주고 받을 수 있다. 그러면, 해당 IoT 네트워크 내 서비스 노드, 즉 IoT 조정 노드를 선정할 때, 필요한 IoT 서비스를 가장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하여, IoT 네트워크 구축 과정에서 IoT 서비스를 지원하도록 할 수 있다.
<자율 네트워킹 기능을 인프라스트럭처-리스 환경에서 제공하는 방법>
IoT 장치들이 자율 네트워킹 기능을 가지기 위해서, IoT 장치들이 스스로 주변 상황을 인지하고 최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스스로 인지한 결과를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에 따라서 다음 동작을 취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 일반적인 과정이다. 하지만, IoT 장치들이 스스로 인지 -> 분석 -> 판단 -> 액션 과정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IoT 장치들이 높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처리 능력을 가지고 있어야 하므로, 모든 IoT 장치들에게 이러한 능력을 요구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율 네트워킹 기능을 다양한 IoT 장치들(예를 들어, 처리 능력이 낮은 저성능의 IoT 장치)에게 제공하기 위해서 앞에서 기술한 인지 -> 분석-> 판단 -> 액션 기능을 모두 IoT 장치들에서 수행하지 않고 적절히 네트워크 서비스 노드에게 분배하여 처리하도록 한다.
앞에서 정의한 네트워크 서비스 노드, 즉 IoT 조정 노드는 설정한 네트워크 정보를 주변 IoT 장치들에게 전달 할 때, 전달 정보에 자율 네트워킹을 위한 자율 정책(autonomic policy)을 같이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자율 정책을 전달 받은 IoT 장치는 자율 정책에 기반하여 다음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네트워크 초기 설정에 받은 자율 정책의 변화가 없으면 계속 같은 자율 정책에 기반하여 동작을 수행하면 되지만, 만약 IoT 조정 노드로부터 새로운 자율 정책을 전달 받으면 이에 따라 새로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IoT 장치들 각각은 자율 정책에 기초하여 주변 환경(circumstance)의 상태를 센싱하고, 이종(heterogeneous) 및/또는 다중 서비스(multi-service) IoT 네트워크들 내 다중 계층들(multiple layers), 다중 RAT들(multiple RATs), 및 다중 서비스 도메인들(multiple service domains)을 통해 정보들을 수집할 수 있다.
IoT 장치들 각각은 IoT 장치들 각각의 상태와 주변 환경(circumstance)의 상태를 전용(dedicated) IoT 조정 노드(또는 IoT 제어 및 조정 노드)에 보고할 수 있다. IoT 장치들은 IoT 조정 노드에게 주기적으로 전달하거나 아니면 급격한 상황 변화가 생겼을 때 전달할 수 있다.
즉, IoT 장치들 각각은 물리적 네트워크와 서비스 자원 파트에서 정의되는 물리적 네트워크 및 서비스 자원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자율 네트워킹 인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자율 네트워킹 인지 기능은 IoT 장치들, IoT 컨트롤 및 조정 노드들, 및 IoT 게이트웨이들과 같은 IoT 노드들과 같은 IoT 노드들 각각에 할당될 수 있다.
IoT 장치들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전달 받은 IoT 조정 노드는 수집된 정보를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조정 노드는 주기적으로 주변 환경(circumstance) 및 IoT 장치들의 현재 상황(current status)를 체크하고, IoT 네트워크의 전체 상태(condition)을 모니터할 수 있다.
IoT 장치들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전달 받은 네트워크 서비스 노드는 여러 IoT 장치로부터 전달 받은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정보 분석 결과, 새로운 IoT 조정 노드 및 IoT 장치들의 출현, 네트워크 처리량(throughput), 오류율(error rate)의 보고(report)의 경우, IoT 조정 노드는 최적의 네트워크 상황을 만들기 위하여 판단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최적의 네트워크 상황은 최적 구성(또는 최적 네트워크 구성), 예를 들어 IoT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라우팅 패스(routing path)를 포함할 수 있다. 즉, IoT 조정 노드는 최적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IoT 조정 노드가 구성된 네트워크 및 서비스들에 대한 현재 상태 및 필요 사항들(requirements)을 분석하고, 필요 사항들 및 제약 조건들(constraints)에 기초하여 최적 네트워크 토폴로지(optimal network topology) 및 정책 필요 사항들(policy requirements)을 결정하는 것은 자율 네트워킹 최적 기능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자율 네트워킹 최적 기능은 IoT 조정 노드에 할당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 IoT 조정 노드는 결정된 사항(또는 자율 네트워킹 최적 기능의 결과)을 IoT 장치들한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조정 노드는 자율 네트워킹 최적 기능의 결과 분배를 준비하고, 결과를 정책을 통해 분배할 수 있다. 이때, 정책은 네트워크 레이어 메시지들(MAC 프레임들 또는 ICMPv6 패킷들)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IoT 조정 노드로부터 결정된 사항, 즉 정책을 전달 받은 IoT 장치는 이에 따라서 새로운 네트워크 동작을 취할 수 있다. 위에서 기술한 (IoT 장치) 인지 -> (네트워크 서비스 노드) 분석 -> (네트워크 서비스 노드) 판단 -> (IoT 장치) 액션 과정을 거치면서 구성된 IoT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IoT 장치는 네트워크 상황 변화에 따라 자율 네트워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자율 네트워킹 최적 기능이 수행된 후, 최적화의 결과는 IoT 네트워크 전체에 적용될 수 있다.
IoT 장치들이 IoT 조정 노드로부터 정책을 수신할 때, IoT 노드는 액션 기능 수행할 수 있다. IoT 장치들 각각은 네트워크 파라미터들, 예를 들어 슬립 상태(sleep stae)의 주기(period), 라우팅 패스(routing path), 및 디폴트 IoT 조정 노드를 재구성할 수 있다. 디폴트 IoT 조정 노드는 자율 네트워킹 조정 기능 동안에 선택될 수 있다. 디폴트 IoT 조정 노드의 전력 감소 또는 높은 능력을 갖는 새로운 IoT 조정 노드의 출현 등에 의해서, 디폴트 IoT 조정 노드는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액션 기능은 자율 네트워킹 액션(또는 반사) 기능으로, 자율 네트워킹 최적 기능에 의해 결정된 정책을 다중 계층들(multiple layers), 다중 RAT들(multiple RATs), 및 다중 서비스 도메인들(multiple service domains) 내의 특정 프로토콜 레벨 액션들로 번역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인프라스트럭처-리스 환경에서 IoT 장치들이 스스로 자율적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IoT 장치들이 스스로 IoT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최적화된 IoT 서비스를 진행할 수 있어서 망 구축 비용 절감과 함께 새로운 Io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장치들 간의 자율 네트워킹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IoT 네트워크 내 IoT 노드들은 클래스 값들을 교환할 수 있다(S510).
최고 클래스 값을 갖는 IoT 노드는 IoT 조정 노드로 선택될 수 있다(S530). 예를 들어, IoT 노드들 중에서 최고 클래스 값을 갖는 IoT 노드가 IoT 조정 노드로 선택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6)
- IoT 환경에서 자율 네트워킹(self-organization)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IoT 네트워크 내 IoT 노드들과 클래스 값들을 교환하는 단계; 및
최고 클래스 값(highest class value)를 갖는 IoT 노드를 IoT 조정 노드로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율 네트워킹을 위한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네트워크 내에 진입하는 때, 상기 IoT 조정 노드(coordination node)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checking) 단계;
상기 IoT 네트워크 내에 상기 IoT 조정 노드가 존재하는 때, 상기 IoT 조정 노드에게 네트워킹 지원(support of networking)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IoT 네트워크 내에 상기 IoT 조정 노드가 존재하지 않는 때, 상기 IoT 조정 노드를 선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자율 네트워킹을 위한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하는 단계는,
상기 IoT 노드들과 난수들 및 상기 클래스 값들을 교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율 네트워킹을 위한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IoT 노드들 중에서 복수 개의 IoT 노드가 동일한 최고 클래스 값을 갖을 때, 상기 복수 개의 IoT 노드 중에서 최고 난수 값(highest random number)을 갖는 IoT 노드를 상기 IoT 조정 노드로 선택되는,
자율 네트워킹을 위한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노드들의 클래스 값들은 네트워크 계층 메시지들(network layer messages)을 통해 교환되는,
자율 네트워킹을 위한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스 값들 및 상기 난수들은 네트워크 계층 메시지들(network layer messages)을 통해 교환되는,
자율 네트워킹을 위한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스 값들 각각은 상기 IoT 노드들 각각의 능력들(capabilities)에 따라 상기 IoT 노드들 각각에 할당되는,
자율 네트워킹을 위한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스 값들 각각은 상기 IoT 노드들 각각의 소비 전력(power consumption), 성능 정도(performance degree), 및 제한 정도(constrained degree)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IoT 노드들 각각에 할당되는,
자율 네트워킹을 위한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스 값들 각각은 상기 IoT 노드들 각각의 소비 전력(power consumption)에 따라 상기 IoT 노드들 각각에 할당되고,
상기 클래스 값들은 각각은 상기 IoT 노드들 각각이 주 전원(mains electric power) 또는 배터리 전력을 갖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IoT 노드들 각각에 할당되는,
자율 네트워킹을 위한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스 값들 각각은 상기 IoT 노드들 각각의 성능 정도(performance degree)에 따라 상기 IoT 노드들 각각에 할당되고,
상기 IoT 노드들 각각의 성능 정도는 상기 IoT 노드들 각각의 CPU 성능, 처리 성능(throughput performance), 및 서비스 범위(service coverage)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자율 네트워킹을 위한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스 값들 각각은 상기 IoT 노드들 각각의 제한 정도(constrained degree)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IoT 노드들 각각에 할당되고,
상기 IoT 노드들 각각의 제한 정도는 상기 IoT 노드들 각각의 코드 사이즈(code size) 및 데이터 사이즈(data size)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자율 네트워킹을 위한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조정 노드는 주기적으로 상기 IoT 네트워크 내 상기 IoT 노드들 각각의 현재 상황(current status)를 체크하고, 상기 IoT 노드들 각각의 현재 상황에 기초하여 최적의 구성(optimal configuration)을 결정하는,
자율 네트워킹을 위한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IoT 조정 노드는 새로운 IoT 노드의 출현, 네트워크 처리량(network throughput)의 감소, 및 오류율의 보고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응답하여 최적의 구성을 결정하는,
자율 네트워킹을 위한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IoT 조정 노드로부터 상기 최적의 구성에 대응하는 정책 정보(policy information)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정책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파라미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재구성하는(reconfiguring)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자율 네트워킹을 위한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네트워크는 이종 및 다중 서비스 IoT 네트워크(heterogeneous and multi-service network)인,
자율 네트워킹을 위한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현재 상황(current status)를 센싱하고, 상기 현재 상황(current status)를 IoT 조정 노드로 보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자율 네트워킹을 위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50139313 | 2015-10-02 | ||
KR1020150139313 | 2015-10-02 | ||
KR1020160049437 | 2016-04-22 | ||
KR20160049437 | 2016-04-22 | ||
KR20160087631 | 2016-07-11 | ||
KR1020160087631 | 2016-07-11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40089A true KR20170040089A (ko) | 2017-04-12 |
Family
ID=58580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20534A KR20170040089A (ko) | 2015-10-02 | 2016-09-21 | 인프라스트럭처-리스 환경에서 IoT 장치들의 자율 네트워킹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40089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246607A1 (ko) * | 2020-06-02 | 2021-12-09 | 주식회사 티오이십일콤즈 | IoT 디바이스 자율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율 제어 방법 |
-
2016
- 2016-09-21 KR KR1020160120534A patent/KR20170040089A/ko unkno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246607A1 (ko) * | 2020-06-02 | 2021-12-09 | 주식회사 티오이십일콤즈 | IoT 디바이스 자율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율 제어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881991B2 (en) | Cloud-based control of a Wi-Fi network | |
US9203865B2 (en) | Cluster architecture for network security processing | |
US10148492B2 (en) | Data center bridging network configuration and management | |
EP2989747B1 (en) | App store portal providing point-and-click deployment of third-party virtualized network functions | |
US8327002B1 (en) | BGP peer prioritization in networks | |
CN115803717A (zh) | 用于容器联网的分布式网络插件代理 | |
US9231826B2 (en) | Zero configuration of a virtual distributed device | |
US20150058463A1 (en) | Proxy methods for suppressing broadcast traffic in a network | |
US10411742B2 (en) | Link aggregation configuration for a node in a software-defined network | |
WO2021093465A1 (zh) | 发送报文、接收报文以进行oam的方法、装置及系统 | |
US20210021445A1 (en) | Link configuration method and controller | |
US10516599B1 (en) | Link priority for loop-protect | |
WO2020198306A1 (en) |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private network connectivity | |
CN114365454B (zh) | 无状态安全功能的分布 | |
US20210399947A1 (en) | System and method for reconfiguring a network using network traffic comparisions | |
KR20170040089A (ko) | 인프라스트럭처-리스 환경에서 IoT 장치들의 자율 네트워킹 방법 | |
Al Salti et al. | An Effective, Efficient and Scalable Link Discovery (EESLD) Framework for Hybrid Multi-controller SDN Networks | |
CN1988500B (zh) | 分布式带宽管理方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