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9984A - 옹기 정수기 - Google Patents

옹기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9984A
KR20170039984A KR1020150139261A KR20150139261A KR20170039984A KR 20170039984 A KR20170039984 A KR 20170039984A KR 1020150139261 A KR1020150139261 A KR 1020150139261A KR 20150139261 A KR20150139261 A KR 20150139261A KR 20170039984 A KR20170039984 A KR 201700399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ottery
pot
pot body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9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득기
Original Assignee
채득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득기 filed Critical 채득기
Priority to KR1020150139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9984A/ko
Publication of KR20170039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9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otable water dispenser, e.g. for use in homes or off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연친화적이고 심미감이 우수하며 정수능력 및 탈취 능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편리하게 물을 옹기 내부로 공급할 수 있고 음용할 수 있도록 한 옹기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담수된 물을 정수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게르마늄 성분이 함유된 옹기 본체와, 상기 옹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가능하게 덮어서 밀폐시키기 위한 옹기 뚜껑과, 상기 옹기 본체 하부에 설치되어서 담수된 물을 따라 마실 수 있도록 구비된 물배출 노즐;을 구비하여서 물을 정수하여 음용할 수 있게 하되, 상기 옹기 본체의 입구를 덮도록 무명천 덮개를 설치하여서 벌레나 먼지가 상기 옹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공기가 투과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옹기 본체의 상부 일측에 물 유입관을 설치하여 내부로 물이 유입되게 함으로써 상기 옹기 뚜껑을 개방하여 상기 옹기 본체 내부로 물을 공급할 필요 없이 상기 물 유입관을 통해서 물이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물 유입관에 부구를 설치하여서 상기 옹기 본체 내부에 채워지는 물의 수위가 조절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옹기 정수기{POTTERIES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옹기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연친화적이고 심미감이 우수하며 정수능력 및 탈취 능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편리하게 물을 옹기 내부로 공급할 수 있고 음용할 수 있도록 한 옹기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기는 질그릇에 잿물을 입혀 구운 용기로서, 전통적으로 한국인은 옹기를 조미료와 주식, 부식물의 저장용구, 주류 발효 도구, 음료수 저장 용구 등으로 사용하여 왔다.
상기 옹기는 천연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무독하며, 자연적인 방부 기능이 있어 깨지거나 금이 가지만 않는다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옹기는 물은 새지 않으면서도, 미세한 분자 사이에 형성된 구멍으로 숨을 쉰다는 표현을 쓸 정도로 통기성이 우수하다.
이와 같이 우수한 장점을 가진 옹기는 전통적인 음식 저장고로서의 활용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923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옹기 본체, 황토 덮개, 옹기 뚜껑, 밸브 및 받침대를 구비하여서 자연친화적이고 심미감이 우수하며 정수능력 및 탈취능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도록 새로운 쓰임새를 만들어 냄으로써 옹기문화의 확산과 수요창출에 기여할 수 있도록 옹기 정수기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2021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부 옹기 몸체, 걸림턱, 손잡이, 상부 옹기, 상부 옹기 덮개, 하부 옹기 몸체, 지지턱, 하부 옹기, 필터, 체크 밸브 및 급수전을 구비하여서 옹기가 가지고 있는 기밀성, 견고성, 통기성, 무해성을 활용하여 정수 처리되기 전과 정수 처리된 후의 물을 보관할 수 있는 옹기 정수통 등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옹기 정수기에 있어서는 옹기 본체 내부로 물을 공급하고자 할 때 옹기 뚜껑을 개방하여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함이 있고, 또한 뚜껑의 개방시 옹기 본체 내부로 벌레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9238호(2012년 03월 06일)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20215호 (2006년 03월 06일)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연친화적이고 심미감이 우수하며 정수능력 및 탈취 능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옹기 뚜껑을 개방할 필요 없이 옹기 본체 내부로 물을 편리하게 공급할 수 있고, 옹기 본체의 입구에 천을 덮어씌워 내부로 벌레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정수된 물을 음용할 수 있게 하는 옹기 정수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기 정수기는, 담수된 물을 정수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게르마늄 성분이 함유된 옹기 본체와, 상기 옹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가능하게 덮어서 밀폐시키기 위한 옹기 뚜껑과, 상기 옹기 본체 하부에 설치되어서 담수된 물을 따라 마실 수 있도록 구비된 물배출 노즐;을 구비하여서 물을 정수하여 음용할 수 있게 하되, 상기 옹기 본체의 입구를 덮도록 무명천 덮개를 설치하여서 벌레나 먼지가 상기 옹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공기가 투과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옹기 본체의 상부 일측에 물 유입관을 설치하여 내부로 물이 유입되게 함으로써 상기 옹기 뚜껑을 개방하여 상기 옹기 본체 내부로 물을 공급할 필요 없이 상기 물 유입관을 통해서 물이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물 유입관에 부구를 설치하여서 상기 옹기 본체 내부에 채워지는 물의 수위가 조절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명천 덮개는, 상기 옹기 본체의 입구에서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돌출된 돌기부에 의해 형성된 홈부에 삽입되고 고무링을 통해서 밀착되는 형태로 결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물배출 노즐은, 나사산 호스에 너트를 결합하여 설치되되 상기 옹기 본체의 외표면에 형성된 오목홈부에 안착되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기 정수기는,
옹기의 재료와 외형을 천연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자연친화적이고 심미감이 우수하여 장식 등 인테리어 소품으로 활용할 수 있고, 옹기 자체가 숨을 쉬고 계절에 따른 온도의 변화를 그대로 반영하게 되어 가장 우리 몸에 좋은 상태인 계절 온도 변화에 따른 그대로의 물을 마실 수 있으며, 게르마늄이 함유되고 수 많은 미세공이 형성됨으로써 정수능력 및 물맛이 탁월하게 되고, 옹기 본체 내부로 물을 공급할 때에는 옹기 뚜껑을 개방할 필요 없이 물을 편리하게 공급할 수 있게 하며, 옹기 본체의 입구에 천을 덮어씌워 내부로 벌레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항상 깨끗한 물을 용기 본체 내부에 보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기 정수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기 정수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기 정수기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기 정수기에 물이 채워진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옹기 정수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자연친화적이고 심미감이 우수하며 정수능력 및 탈취 능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옹기 내부로 물을 편리하게 공급할 수 있고, 옹기 내부로 벌레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정수된 물을 음용할 수 있게 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기 정수기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기 본체(10), 옹기 뚜껑(20), 물배출 노즐(30), 무명천 덮개(40), 물 유입관(50) 및 부구(60)를 구성한다.
상기 옹기 본체(10)는, 진흙을 물속에 넣고 휘저어 모래나 불순물을 가려낸 다음 받아둔 고운 앙금에서 물이 빠지면 그릇을 빚어 햇볕에 말리고, 그 말린 날그릇을 다시 햇볕에 말리고 잿물을 바른 다음 또 한 번 말린 후, 날그릇에 바르는 유약은 잿물통에 철분이 섞인 흙과 나뭇재를 비슷하게 섞어 넣고 고루 저은 다음 체에 쳐서 걸러내고, 날그릇에 유약을 먹인 다음에는 그림을 그려 넣는 등의 장식을 하고 충분히 말린 다음 가마에서 약 1,200℃ 구워 완성하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이용된 옹기 본체(10)는 그에 함유된 게르마늄 성분에 의해서 담수된 물이 정수처리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옹기 뚜껑(2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기 본체(10)의 상부 그리고 다음에 설명될 무명천 덮개(40)의 상부를 개폐가능하게 덮어서 밀폐시키기 위한 역할을 한다
상기 물배출 노즐(30)은 옹기 본체(10) 하부에 설치되어서 담수된 물을 따라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물배출 노즐(30)은, 나사산 호스(31)에 너트(32)를 결합하여 설치되되 옹기 본체(10)의 외표면에 형성된 오목홈부(15)에 안착되어 설치되게 하였다.
상기와 같이 물배출 노즐(30)을 오목홈부(15)에 안착시켜 설치되게 함으로써, 옹기 본체(10)의 곡면 형태의 외표면에 상관없이 유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확고하게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였다.
상기 무명천 덮개(40)는 옹기 본체(10)의 입구를 덮도록 설치되되 벌레나 먼지가 옹기 본체(10)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공기가 투과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산소가 물에 공급되게 하여서 담긴 물이 변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하였다.
여기서, 상기 무명천 덮개(40)는, 옹기 본체(10)의 입구에서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돌출된 돌기부(11)에 의해 형성된 홈부(13)에 삽입되고 고무링(45)을 통해서 옹기 본체(10)의 외부에 완전히 밀착되는 형태로 결합되게 하였다.
상기 물 유입관(50)은 옹기 본체(1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내부로 물이 유입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옹기 뚜껑(20)을 개방하여 옹기 본체(10) 내부로 물을 공급할 필요 없이 물 유입관(50)을 통해서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부구(60)는 옹기 본체(10)의 내부에 있는 물 유입관(50)에 설치되어서 옹기 본체(10) 내부에 채워지는 물의 수위가 조절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옹기 본체(10)의 내부에 소정의 높이로 채워질 때 물 공급부로 만수가 되었음을 통지함으로써 옹기 본체(10) 내부로 더 이상 물이 공급되지 않게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기 정수기에 대한 실시예에 대해서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체로 결합되어 있거나, 그렇치 않으면 각 구성요소가 분리되어 있을 때는 옹기 본체(10)의 상부에 무명천 덮개(40)를 덮어씌워서 고무링(45)으로 고정시킨 다음 옹기 뚜껑(20)을 덮어씌워 구성요소들을 결합시켜서 실내의 적정한 곳에 배치한다.
상기와 같이 옹기 정수기의 셋팅이 완료되면 물 유입관(50)을 통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정한 높이로 물을 채운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시간에서 1일 정도로 나둔 상태에서 불순물이 침전되게 함으로써 미네랄이 풍부하면서 정수되게 한 다음, 물배출 노즐(30)을 통해서 물이 배출되게 하여 음용하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 옹기 본체 11: 돌기부
13: 홈부 15: 오목홈부
20: 옹기 뚜껑 30: 물배출 노즐
31: 나사산 볼트 32: 너트
40: 무명천 덮개 45: 고무링
50: 물 유입관 60: 부구

Claims (3)

  1. 담수된 물을 정수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게르마늄 성분이 함유된 옹기 본체(10)와, 상기 옹기 본체(10)의 상부를 개폐가능하게 덮어서 밀폐시키기 위한 옹기 뚜껑(20)과, 상기 옹기 본체(10) 하부에 설치되어서 담수된 물을 따라 마실 수 있도록 구비된 물배출 노즐(30);을 구비하여서 물을 정수하여 음용할 수 있게 하는 옹기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옹기 본체(10)의 입구를 덮도록 무명천 덮개(40)를 설치하여서 벌레나 먼지가 상기 옹기 본체(10)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공기가 투과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옹기 본체(10)의 상부 일측에 물 유입관(50)을 설치하여 내부로 물이 유입되게 함으로써 상기 옹기 뚜껑(20)을 개방하여 상기 옹기 본체(10) 내부로 물을 공급할 필요 없이 상기 물 유입관(50)을 통해서 물이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물 유입관(50)에 부구(60)를 설치하여서 상기 옹기 본체(10) 내부에 채워지는 물의 수위가 조절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기 정수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명천 덮개(40)는, 상기 옹기 본체(10)의 입구에서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돌출된 돌기부(11)에 의해 형성된 홈부(13)에 삽입되고 고무링(45)을 통해서 밀착되는 형태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기 정수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배출 노즐(30)은, 나사산 호스(31)에 너트(32)를 결합하여 설치되되 상기 옹기 본체(10)의 외표면에 형성된 오목홈부(15)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기 정수기.
KR1020150139261A 2015-10-02 2015-10-02 옹기 정수기 KR201700399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261A KR20170039984A (ko) 2015-10-02 2015-10-02 옹기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261A KR20170039984A (ko) 2015-10-02 2015-10-02 옹기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984A true KR20170039984A (ko) 2017-04-12

Family

ID=58580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9261A KR20170039984A (ko) 2015-10-02 2015-10-02 옹기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99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79963A (ja) * 2019-11-15 2021-05-27 暢一 川▲崎▼ 飲料用サーバ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79963A (ja) * 2019-11-15 2021-05-27 暢一 川▲崎▼ 飲料用サーバ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39984A (ko) 옹기 정수기
JPH03501697A (ja) 渦流ノズル
CN203492539U (zh) 一种笼子饮水机
CN205557722U (zh) 一种具有节水功能的水槽
CN205974477U (zh) 一种家用酿酒器
CN108477941A (zh) 一种花瓶
CN201755068U (zh) 吸取式过滤水杯
CN104433553B (zh) 一种立式花架
US674456A (en) Attachment for coffee or tea pots.
CN205625488U (zh) 组合式滤茶杯
CN207243507U (zh) 沙漠专用雨水净化过滤箱
CN209518676U (zh) 一种饮料物冲泡壶
CN208573376U (zh) 一种泡茶保温杯
CN207665597U (zh) 一种园林盆栽容器
CN206354661U (zh) 一种具有过滤功能的水壶
CN208501843U (zh) 易安装的环保型地漏
CN206987107U (zh) 一种多功能景观墙体
CN204862456U (zh) 新型自出水净水茶盘
CN204445387U (zh) 一种可架设于容器上的烧水装置
CN204642556U (zh) 可自动打开和关闭的不漏嘴盖
CN204090633U (zh) 一种双层防水墙体绿化装置
CN208055067U (zh) 防垢过滤装置及热水器
CN204721982U (zh) 一种无人值守自助浇花装置
CN209260076U (zh) 沼气池
KR200459238Y1 (ko) 옹기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