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9968A - 검침 장치 - Google Patents

검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9968A
KR20170039968A KR1020150139232A KR20150139232A KR20170039968A KR 20170039968 A KR20170039968 A KR 20170039968A KR 1020150139232 A KR1020150139232 A KR 1020150139232A KR 20150139232 A KR20150139232 A KR 20150139232A KR 20170039968 A KR20170039968 A KR 20170039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er reading
data
resource usage
unit
me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9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8502B1 (ko
Inventor
김구환
류준우
김현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리드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리드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리드위즈
Priority to KR1020150139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502B1/ko
Publication of KR20170039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5/00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ultiplexing for the transmission of a plurality of signals over a common pat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검침 장치는 검침 노드의 자원 사용량을 검사하는 검침부; 상기 자원 사용량을 기초로 통신 가능한 검침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관리 서버로 상기 검침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검침 장치{APPARATUS FOR READING METER}
본 발명은 원격으로 검침을 수행하는 검침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 가정이나 사업장에서 사람들이 원활한 삶과 활동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도, 가스 및 전력 공급이 필요하다.
수도, 가스 및 전력을 각 수용가에 공급하는 사업체는 각 수용가로 공급되는 수도 사용량, 가스 사용량, 전력 사용량 등의 자원 사용량을 계량하는 계량기를 각 수용가에 설치하여 계량된 수치에 따라 사용 요금을 부과하게 된다. 그런데, 사용요금을 부과하는 대상이 많게 되면 검침원에 의해 계량기를 일일이 확인하여 사용요금을 부과하는 방식은 부적절해진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5-0072160호에는 검침을 원격으로 수행하고, 누락된 데이터를 복구하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5-0072160호
본 발명은 관리 서버로 전송되는 검침 데이터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검침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검침 장치는 검침 노드의 자원 사용량을 검사하는 검침부; 상기 자원 사용량을 기초로 통신 가능한 검침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관리 서버로 상기 검침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검침 장치는 검침 모듈로부터 수신된 검침 노드의 검침 데이터를 분석하는 분석부; 및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된 상기 검침 노드의 자원 사용량이 저장되는 서버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침 데이터에는 설정 구간 동안 상기 검침 노드의 자원 사용량의 변화량이 포함되며, 상기 분석부는 상기 서버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검침 노드의 자원 사용량에 상기 변화량을 가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검침 장치는 검침 노드의 자원 사용량을 대신해서 자원 사용량의 변화량을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자원 사용량과 비교하여 변화량은 데이터량이 적으므로, 관리 서버로 전송되는 검침 데이터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수많은 검침 노드의 검침 데이터를 수집하는 관리 서버의 통신 자원에 가해지는 부하가 경감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많은 검침 데이터가 관리 서버에 집중적으로 몰리더라도 통신 라인의 한계로 인해 일부 검침 데이터가 누락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원 사용량뿐만 아니라, 검침 노드의 식별 정보와 검침 시각 역시 간소화된 상태로 검침 데이터에 포함되므로, 검침 데이터의 양을 확실하게 줄일 수 있다.
또한, 간소화된 검침 데이터를 압축 알고리즘을 이용해서 압축하는 압축부가 추가되므로, 검침 데이터의 양이 2단계에 걸쳐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검침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생성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검침 노드의 식별 정보와 검침 시각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검침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검침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검침 장치는 검침부(110), 생성부(120) 및 통신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검침부(110), 생성부(120) 및 통신부(140)는 검침 노드(10)에 함께 설치될 수 있다. 또는 검침부(110)는 검침 노드(10)에 설치되고 생성부(120)와 통신부(140)는 검침 노드(10)와 관리 서버(200)의 사이에 마련된 중계소에 설치될 수 있다.
검침부(110)는 검침 노드(10)의 자원 사용량을 검사할 수 있다.
검침부(110)는 전기 소모량을 감시하는 전력 계량기, 가스 소모량을 감시하는 가스 계량기, 수도물 소모량을 감시하는 수도 계량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검침 노드(10)는 검침 대상이 되는 요소로, 전기, 가스, 수도물 등의 자원을 소비하는 전기 기기, 가스 기기, 수도 기기이거나, 해당 기기가 설비된 장소, 건물일 수 있다.
검침부(110)로부터 출력되는 자원 사용량은 관리 서버(200)와의 통신에 부적절한 데이터 형식을 취할 수 있다. 또는 관리 서버(200)에서 필요로 하는 일부 정보가 배제된 상태일 수 있다.
생성부(120)는 검침부(110)에서 출력된 정보를 관리 서버(200)와의 통신에 적합한 프로토콜로 변환하거나, 관리 서버(200)에서 요구하는 일부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생성부(120)에 의해 프로토콜 변환된 데이터 또는 일부 정보 정보가 추가된 데이터가 검침 데이터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생성부(120)는 검침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데, 이때의 검침 데이터는 자원 사용량을 기초로 생성된 것으로 관리 서버(200)와 통신 가능한 데이터 형식을 취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관리 서버(200)로 검침 데이터를 전송하는 요소로, 각종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해서 관리 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다. 검침 데이터는 생성부(120)에 의해 위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도록 생성된 것이므로, 별다른 무리없이 관리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통신부(140)를 통해 관리 서버(200)로 전송되는 검침 데이터에는 검침 노드(10)의 자원 사용량, 검침 노드(10)의 식별 정보, 검침 노드(10)의 검침 시각 정도의 단순 데이터가 포함되므로, 데이터량이 작은 편일 수 있다. 그러나, 관리 서버(200)에서 관리하는 검침 노드(10)가 많아질수록 관리 서버(200)로 입력되는 전체 검침 데이터의 양은 막대해질 수 있다.
막대한 검침 데이터가 한꺼번에 입력될 경우, 통신 지연이 발생되고 통신 지연 과정에서 일부 검침 데이터가 누락될 수 있다.
검침 데이터가 누락될 경우 특정 검침 노드(10)에 부과되는 요금의 산정에 오류가 발생할 수 밖에 없고, 요금 오류로 인해 원격 검침 시스템의 체계가 위태로울 수 있다.
원격 검침 시스템의 정상적인 유지를 위해 통신 지연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될 수 있다. 통신 지연의 유발을 막는 가장 좋은 방법은 관리 서버(200)로 입력되는 총 검침 데이터의 양을 줄이는 것이다.
검침 데이터의 양을 줄이는 방법으로 먼저, 검침 노드(10)의 개수를 줄이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으나, 각종 기기의 보급으로 인해 오히려 검침 노드(10)의 개수는 증가하는 추세이다. 다른 방법으로 각 검침 노드(10)로부터 송신되는 검침 데이터의 양을 줄이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관리 서버(200)와 통신하는 검침 노드(10)의 개수를 줄이기 어려우므로, 후자의 방안이 유리하다.
각 검침 노드(10)로부터 관리 서버(200)로 송신되는 검침 데이터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해 생성부(120)가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생성부(120)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생성부(120)는 제1 시점 t1부터 제2 시점 t2까지 수집된 자원 사용량을 이용해서 검침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시점 t1부터 제2 시점 t2까지의 시간 구간을 제1 구간 ⓐ이라 할 때, 검침부(110)는 제1 구간 ⓐ 내의 다양한 시점에서 검침 노드(10)의 자원 사용량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생성부(120)는 제1 구간 ⓐ에 대해 1개의 검침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검침부(110)는 제1 시점 t1과 제2 시점 t2에서만 자원 사용량을 검사할 수 있다. 또는 검침부(110)는 t1과 t2의 사이 구간에서 추가로 자원 사용량을 검사할 수 있다. 따라서, 생성부(120)에는 적어도 t1과 t2의 자원 사용량을 포함해서 복수의 자원 사용량이 입력될 수 있다. 이때, 검침부(110)로부터 제공된 모든 자원 사용량이 1개의 검침 데이터에 포함되면 검침 데이터의 양의 증가하는 것은 자명하다.
관리 서버(200)로 전송되는 검침 데이터의 양을 줄이기 위해 생성부(120)는 제1 시점 t1부터 제2 시점까지 수집된 복수의 자원 사용량을 대신해서 변화량을 검침 데이터에 포함시킬 수 있다. 위 변화량은 제1 시점 t1부터 제2 시점 t2까지 변화된 자원 사용량의 변화량일 수 있다. 변화량을 산출하기 위해 생성부(120)는 제1 구간 ⓐ의 중간에 입수된 자원 사용량은 무시하고 제1 시점에 입수된 자원 사용량과 제2 시점에 입수된 자원 사용량의 차이값을 위 변화량으로서 산출할 수 있다.
하나의 검침 데이터에 복수의 자원 사용량이 임베드(embed)되는 것과 비교해서, 오로지 한 개의 변화량만이 검침 데이터에 포함되므로, 검침 데이터의 양이 대폭 감소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주기적인 검침 데이터의 송신으로 인해 관리 서버(200)에서 제1 시점 t1의 자원 사용량을 알고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이전 검침 데이터의 수신으로 인해 관리 서버(200)는 제1 시점 t1의 자원 사용량을 알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이때, 검침 데이터에는 제2 시점 t2의 자원 사용량만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1개의 자원 사용량이 포함된 검침 데이터라 하더라도 1개의 변화량이 포함된 검침 데이터의 양보다 클 수 있다.
일 예로, 검침부(110)로부터 출력된 제1 시점의 자원 사용량 ⓛ은 21337kWh이고, 제2 시점의 자원 사용량 ②는 21357kWh일 수 있다. 검침 데이터에 21357kWh만 포함된다 하더라도 전력의 단위를 제외한 '21357'을 2진수로 표현하기 위해 '0101001101101101'과 같이 2바이트(byte)가 필요하다.
반면, 제1 시점으로부터 제2 시점까지의 자원 사용량의 변화량은 20kWh이므로, '00010100'과 같이 1바이트(byte)면 충분하다.
따라서, 자원 사용량 ②를 대신해서 변화량이 포함된 검침 데이터는 자원 사용량 ②가 포함된 검침 데이터의 양보다 훨씬 적다. 검침 데이터에 자원 사용량 또는 변화량만 포함되는 경우를 가정하면 데이터양에서 2배 이상의 차이가 날 수 있다. 이는 관리 서버(200)로 입력되는 전체 검침 데이터의 양이 절반 이하로 줄어들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통신 부하의 경감으로 인해 검침 데이터가 관리 서버(200)로 확실하게 입력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검침 데이터의 경감량은 자원 사용량과 변화량의 차이가 클수록 더욱 많아질 수 있다.
또한, 작은 데이터량을 갖는 변화량은 상대적으로 큰 데이터량을 갖는 자원 사용량과 대비해서 변질의 우려가 적은 장점이 있다. 또한, 변화량이 외부로 유출되더라도 자원 사용량을 알기 어려우므로, 자연스럽게 자원 사용량이 암호화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검침 데이터에 자원 사용량을 대신해서 변화량을 포함시키는 것은 관리 서버(200)에서 특정 시점의 자원 사용량을 알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200)가 제1 시점의 자원 사용량 ⓛ을 21337과 같이 알고 있다면, 제2 시점에 입수된 검침 데이터에 변화량 20만 존재하더라도, 21337에 20을 가산하는 것으로 제2 시점의 자원 사용량 ②가 21357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통신 서버 불량, 단전과 같은 외부 요인 등으로 인해 일부 검침 데이터가 누락될 수 있다. 이 경우, 생성부(120)에서 21357을 의도한 변화량 20을 검침 데이터에 포함시킨다 하더라도, 외부 요인으로 인해 해당 검침 데이터는 관리 서버(200)로 전송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생성부(120)에서 알고 있는 자원 사용량과 관리 서버(200)에서 알고 있는 자원 사용량에 오차가 발생될 수 있다.
오차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생성부(120)는 특정 이벤트의 발생시 변화량이 아닌 검침 노드(10)의 자원 사용량을 있는 그대로 검침 데이터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생성부(120)는 연속된 시간 t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생성부(120)는 각 구간 동안 수집된 자원 사용량을 이용해서 각 구간의 검침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구간 중 제1 구간 ⓐ의 검침 데이터에는 제1 구간 ⓐ 동안 변화된 자원 사용량의 변화량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제1 구간 ⓐ는 도 2와 같이 서로 연속될 수 있다.
복수의 구간 중 제2 구간 ⓑ의 검침 데이터에는 검침 노드(10)의 자원 사용량이 그대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제2 구간 ⓑ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면 형성될 수 있다. 이때의 특정 이벤트는 설정 주기를 만족하는 경우 또는 관리 서버(200)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다.
도 2를 살펴보면, t1 시점부터 ti시점까지 복수의 제1 구간 ⓐ가 연속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ti 시점까지 생성부(120)는 검침 데이터에 자원 사용량의 변화량을 포함시킬 수 있다. 생성부(120)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ti+1시점의 자원 사용량을 보내달라는 요청을 받으면, ti 시점부터 ti+1 시점까지의 변화량 대신 ti+1 시점에 획득된 자원 사용량을 검침 데이터에 포함시킬 수 있다.
ti+1 시점의 검침 데이터가 전송되면 생성부(120)는 다시 변화량을 검침 데이터에 포함시킬 수 있다. 만약, 설정 주기가 tn이라면 생성부(120)는 tn 시점의 자원 사용량을 검침 데이터에 포함시킬 수 있다.
특정 이벤트 발생시 자원 사용량이 직접 관리 서버(200)로 전송되므로, 관리 서버(200)는 혹시 존재할지 모르는 자원 사용량의 오류를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검침 장치는 크게 검침 모듈(100)과 관리 서버(200)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도 1의 검침 장치에서 관리 서버(200)를 제외한 요소가 검침 모듈(100)에 포함될 수 있다. 위 예에 따르면 자원 사용량의 파악 오류는 검침 모듈(100)의 도움을 받아 관리 서버(20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 검침 모듈(100)에서 적극적으로 자원 사용량의 파악 오류를 보정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검침 장치(검침 모듈(100))에는 단말 저장부(150)와 보정부(160)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단말 저장부(150)는 검침부(110)에서 파악된 자원 사용량이 그대로 저장될 수 있다.
보정부(160)는 관리 서버(200)에서 파악한 탐지값의 오류를 보정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통신 상태가 정상인지 확인하기 위해 관리 서버(200)로부터 통신 확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통신 확인 신호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것으로 탐지값을 포함할 수 있다.
탐지값은 관리 서버(200)에서 통신부(140)로부터 수신된 검침 데이터를 이용해서 파악한 검침 노드(10)의 자원 사용량을 포함할 수 있다.
보정부(160)는 통신 확인 신호에 포함된 탐지값과 단말 저장부(150)로부터 추출된 자원 사용량을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 양자가 다르면, 보정부(160)는 관리 서버(200)로 단말 저장부(150)로부터 추출된 자원 사용량을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특정 검침 노드(10)에 설치된 보정부(160)로부터 자원 사용량이 수신되면 특정 검침 노드(10)에 대한 자원 사용량을 수정할 수 있다.
비교 결과 양자가 동일하면, 통신부(140) 또는 보정부(160)는 관리 서버(200)로 통신 상태가 양호함을 의미하는 통신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40) 또는 보정부(160)는 설정 기간 동안 탐지값이 미수신되면, 관리 서버(200)로 통신 오류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40) 또는 보정부(160)는 통신 오류 메시지의 전송에도 불구하고 관리 서버(200)로부터 탐지값 등이 제공되지 않으면 사용자 단말기 등을 통해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상의 보정부(160)에 따르면,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탐지값을 이용해 통신 상태가 확인되는 동시에 자원 사용량의 오류가 보정될 수 있다.
검침 데이터에는 변화량 뿐만 아니라 검침 노드(10)의 식별 정보와 검침 시각이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검침 노드(10)의 식별 정보와 검침 시각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검침 노드(10)의 식별 정보는 복수의 검침 노드(10)로부터 검침 데이터를 수신하는 관리 서버(200)에서 검침 데이터와 검침 노드(10)를 서로 매칭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검침 노드(10)의 식별 정보는 사용자의 인식성을 고려해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한국 서울시 강남구 B구역 512 지점에 설치된 검침 노드(10)의 식별 정보는 'KSEKANGNAM-B512'와 같을 수 있다. 'K'는 한국, 'SE'는 서울시, 'KANGNAM'은 강남구, 'B512'는 B구역 512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런데, 'KSEKANGNAM-B512'을 2진수로 변환하게 되면 데이터량이 매우 커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검침 시각이 2015년 8월 27일 18시 32분인 경우 검침 시각은 '20150827183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많은 숫자 역시 데이터량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식별 정보 또는 검침 시각이 추가로 포함되는 검침 데이터의 양을 줄이기 위해 생성부(120)는 검침 노드(10)의 식별 정보를 간소화시킨 제1 데이터와 자원 사용량의 검침 시각을 간소화시킨 제2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부(120)는 식별 정보와 검침 시각을 대신해서 검침 데이터에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를 포함시킬 수 있다.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는 관리 서버(200)와 생성부(120)가 함께 알고 있는 설정 규칙 또는 룩업 테이블에 근거해서 생성될 수 있다.
해당 룩업 테이블에 한국 서울시 강남구 B구역 또는 KSEKANGNAM-B가 008로 매칭될 수 있다. 이때, 생성부(120)는 KSEKANGNAM-B를 대신해서 제1 데이터에 해당하는 008을 검침 데이터에 포함시킬 수 있다. 따라서, 검침 데이터에 임베드(embed)되는 식별 정보는 '008512'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KSEKANGNAM-B512'가 '008512'로 간소화된 상태가 되므로 검침 데이터의 양이 감소될 수 있다.
생성부(120)는 검침 시각에서 일부 상위 단위가 생략된 제2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15년 8월 27일 18시 32분에서 2015년 8월이 생략된 '271832'를 생성할 수 있다. 해당 제2 데이터에는 연도와 월이 생략된 상태이기는 하지만, 관리 서버(200)에서 현재의 연도와 월을 알고 있다면 별다른 문제는 없다. 일부 상위 단위가 생략된 제2 데이터에 따르면 검침 시각이 포함되는 검침 데이터의 양을 줄일 수 있다.
검침 데이터의 양을 줄이기 위해 본 발명의 검침 장치에는 압축부(130)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압축부(130)는 생성부(120)와 통신부(140)의 사이에 배치되고 데이터량이 감소되도록 생성부(120)로부터 출력된 검침 데이터를 압축할 수 있다. 압축부(130)는 압축 알고리즘을 이용해서 검침 데이터를 압축할 수 있다. 보정부(160)가 마련된 경우 보정부(160)로부터 출력되는 자원 사용량은 원본 데이터의 보존을 위해 압축부(130)를 경유하지 않고 바로 통신부(140)로 전달될 수 있다.
생성부(120) 및 압축부(130)에 따르면, 검침 데이터는 생성부(120)에 한번, 압축부(130)에서 다시 한번 데이터량이 줄어들 수 있다. 다시 말해 검침 데이터의 데이터량은 2단계에 걸쳐 감소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관리 서버의 통신 부하를 확실하게 경감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검침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에 개시된 검침 장치는 도 1의 관리 서버(200)일 수 있다.
도 4의 검침 장치는 분석부(210) 및 서버 저장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분석부(210)는 검침 모듈(100), 구체적으로 검침 노드(10) 측에 마련된 통신부(140)로부터 전송된 검침 노드(10)의 검침 데이터를 수신하고, 분석할 수 있다.
서버 저장부(230)는 분석부(210)에서 분석된 검침 노드(10)의 자원 사용량을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140)로부터 수신된 검침 데이터에는 설정 구간 동안 검침 노드(10)의 자원 사용량의 변화량이 포함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분석부(210)는 서버 저장부(230)에 기저장된 검침 노드(10)의 구 자원 사용량에 변화량을 가산할 수 있다. 이렇게 가산된 결과값이 위 검침 데이터에서 나타내고자 한 검침 노드(10)의 신 자원 사용량에 해당할 수 있다.
분석부(210)의 가산 결과, 다시 말해 신 자원 사용량은 서버 저장부(23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구 자원 사용량은 삭제되도 무방하지만 추후 로그의 확인 등을 위해 설정 기간 동안 유지되는 것이 좋다.
서버 저장부(230)에 저장된 가산 결과는 검침 노드(10)로부터 다음 검침 데이터가 수신되면 다음 검침 데이터에 포함된 변화량에 가산되는 검침 노드(10)의 자원 사용량이 될 수 있다.
일 예로, 서버 저장부(230)에 특정 검침 노드(10)의 제1 시점 t1의 자원 사용량으로 21337이 저장된 상태에서, 위 특정 검침 노드(10)의 제2 시점 t2의 검침 데이터가 수신될 수 있다. 분석부(210)는 검침 데이터를 분석해서 변화량 20을 추출한 후 서버 저장부(230)에 저장된 t1 시점의 자원 사용량 21337에 20을 더한 21357을 특정 검침 노드(10)의 t2 시점의 자원 사용량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t2 시점의 자원 사용량 21357은 서버 저장부(230)에 저장될 수 있다.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 다시 위 특정 검침 노드(10)의 t3 시점의 검침 데이터가 수신되면, 분석부(210)는 서버 저장부(230)에 저장된 t2 시점의 자원 사용량 21357에 새롭게 수신된 검침 데이터에 포함된 변화량을 가산할 수 있다.
한편, 검침 데이터에는 검침 노드(10)의 식별 정보를 간소화시킨 제1 데이터와 검침 노드(10)의 검침 시각을 간소화시킨 제2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분석부(210)는 기설정된 룩업 테이블 또는 설정 규칙을 이용해서 제1 데이터로부터 검침 노드(10)의 식별 정보를 파악하고, 제2 데이터로부터 검침 노드(10)의 검침 시각을 파악할 수 있다.
일 예로, 분석부(210)는 제1 데이터로'008512'가 추출되면, 룩업 테이블을 이용해서 식별 정보 'KSEKANGNAM-B512'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분석부(210)는 제2 데이터로 '271832'가 추출되면 설정 규칙에 따라 현재의 연도와 월을 추가한 검침 시각 '201508271832'를 생성할 수 있다.
분석부(210)는 검침 모듈(100)에 마련된 보정부(16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설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서버 저장부(230)에 저장된 검침 노드(10)의 자원 사용량 중 가장 최근의 자원 사용량을 검침 모듈(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설정 이벤트는 설정 주기를 만족하거나 요금 산정 단계의 진입시 발생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각 검침 노드(10)의 자원 사용량을 근거로 각 검침 노드(10)에 부과될 자원 사용 요금을 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원 사용 요금이 산정되기 전 또는 주기적으로 가장 최근의 자원 사용량이 검침 모듈(100)로 전송되는 것에 의해 검침 모듈(100)의 보정부(160)는 자원 사용량의 오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검침 모듈(100)로 전송된 자원 사용량은 앞에서 살펴본 탐지값에 해당될 수 있으며, 검침 모듈(100)과 관리 서버(200) 간의 통신 상태 확인에도 이용될 수 있다.
서버 저장부(230)에는 복수의 검침 노드(10)의 자원 사용량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서버 저장부(230)에는 검침 노드(10), 자원 사용량, 검침 시각이 매칭된 상태로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특정 검침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식별 정보 'KSEKANGNAM-B512', 검침 시각 '201508201832', 자원 사용량 '21337'이 파악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검침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식별 정보 'KSEKANGNAM-A123', 검침 시각 '201508211833', 자원 사용량 '25271'이 파악될 수 있다.
일정 시간 경과 후 수시된 검침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식별 정보 'KSEKANGNAM-B512', 검침 시각 '201508271832', 자원 사용량 '21357'이 파악될 수 있다.
이때, 서버 저장부(230)는 아래 표 1과 같이 각 데이터를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관리의 편의를 위해 서버 저장부(230)는 특정 데이터를 기준으로 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식별 정보 검침 시각 자원 사용량
KSEKANGNAM-B512 201508201832 21337
201508271832 21357
... ...
KSEKANGNAM-A123 201508211833 25271
... ...
이와 같이 서버 저장부(230)에 저장된 데이터는 추후 관리 서버(200)에서 각 검침 노드(10)별로 자원 사용 요금을 산정하는 과정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검침 노드 100...검침 모듈
110...검침부 120...생성부
130...압축부 140...통신부
150...단말 저장부 160...보정부
200...관리 서버 210...분석부
230...서버 저장부

Claims (10)

  1. 검침 노드의 자원 사용량을 검사하는 검침부;
    상기 자원 사용량을 기초로 통신 가능한 검침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관리 서버로 상기 검침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검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제1 시점부터 제2 시점까지 수집된 자원 사용량을 이용해서 상기 검침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검침 데이터에는 상기 제1 시점부터 상기 제2 시점까지 수집된 자원 사용량을 대신해서 상기 제1 시점부터 상기 제2 시점까지 변화된 상기 자원 사용량의 변화량이 포함되는 검침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연속된 시간을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각 구간 동안 수집된 상기 자원 사용량을 이용해서 상기 각 구간의 검침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구간 중 제1 구간의 검침 데이터에는 상기 제1 구간 동안 변화된 상기 자원 사용량의 변화량이 포함되며,
    상기 복수의 구간 중 제2 구간의 검침 데이터에는 상기 자원 사용량이 그대로 포함되고,
    상기 제2 구간은 상기 관리 서버의 요청에 따라 형성되거나, 설정 주기마다 형성되는 검침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침부에서 파악된 상기 자원 사용량이 저장되는 단말 저장부; 및
    상기 관리 서버에서 파악한 탐지값의 오류를 보정하는 보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탐지값은 상기 관리 서버에서 상기 통신부로부터 수신된 검침 데이터를 이용해서 파악한 상기 검침 노드의 자원 사용량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탐지값을 수신하고,
    상기 보정부는 상기 단말 저장부로부터 추출된 자원 사용량과 상기 탐지값이 다르면, 상기 관리 서버로 상기 단말 저장부로부터 추출된 자원 사용량을 전송하며,
    상기 통신부 또는 상기 보정부는 설정 기간 동안 상기 탐지값이 미수신되면 상기 관리 서버로 통신 오류 메시지를 전송하는 검침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상기 검침 노드의 식별 정보를 간소화시킨 제1 데이터와 상기 자원 사용량의 검침 시각을 간소화시킨 제2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검침 데이터에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제2 데이터를 포함시키는 검침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와 상기 통신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압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부는 데이터량이 감소되도록 상기 검침 데이터를 압축하는 검침 장치.
  7. 검침 모듈로부터 수신된 검침 노드의 검침 데이터를 분석하는 분석부; 및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된 상기 검침 노드의 자원 사용량이 저장되는 서버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침 데이터에는 설정 구간 동안 상기 검침 노드의 자원 사용량의 변화량이 포함되며,
    상기 분석부는 상기 서버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검침 노드의 자원 사용량에 상기 변화량을 가산하는 검침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의 가산 결과는 상기 서버 저장부에 저장되며,
    상기 서버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가산 결과는 상기 검침 노드로부터 다음 검침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다음 검침 데이터에 포함된 변화량에 가산되는 상기 검침 노드의 자원 사용량이 되는 검침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침 데이터에는 상기 검침 노드의 식별 정보를 간소화시킨 제1 데이터와 상기 검침 노드의 검침 시각을 간소화시킨 제2 데이터가 포함되고,
    상기 분석부는 기설정된 룩업 테이블 또는 설정 규칙을 이용해서 상기 제1 데이터로부터 상기 검침 노드의 식별 정보를 파악하며, 상기 제2 데이터로부터 상기 검침 노드의 검침 시각을 파악하고,
    상기 서버 저장부에는 상기 검침 노드의 자원 사용량,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검침 시각이 매칭된 상태로 저장되는 검침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설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서버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검침 노드의 자원 사용량 중 가장 최근의 자원 사용량을 상기 검침 모듈로 전송하는 검침 장치.
KR1020150139232A 2015-10-02 2015-10-02 검침 장치 KR101728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232A KR101728502B1 (ko) 2015-10-02 2015-10-02 검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232A KR101728502B1 (ko) 2015-10-02 2015-10-02 검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968A true KR20170039968A (ko) 2017-04-12
KR101728502B1 KR101728502B1 (ko) 2017-04-20

Family

ID=58580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9232A KR101728502B1 (ko) 2015-10-02 2015-10-02 검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85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70759A (zh) * 2020-07-29 2022-02-18 萨基姆通讯能源及电信联合股份公司 使得能够降低网络负载的测量传输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2160A (ko) 2013-12-19 2015-06-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원격 검침 데이터 연동 장치, 원격 검침 데이터 연동 시스템 및 원격 검침 데이터 연동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2160A (ko) 2013-12-19 2015-06-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원격 검침 데이터 연동 장치, 원격 검침 데이터 연동 시스템 및 원격 검침 데이터 연동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70759A (zh) * 2020-07-29 2022-02-18 萨基姆通讯能源及电信联合股份公司 使得能够降低网络负载的测量传输方法
CN114070759B (zh) * 2020-07-29 2024-04-02 萨基姆通讯能源及电信联合股份公司 传输方法、流体计量表和相应的计算机可读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8502B1 (ko) 2017-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99222B2 (en) Method for collecting data, sensor and supply network
CN107888397B (zh) 确定故障类型的方法和装置
US7283916B2 (en) Distributed utility monitoring, such as for monitoring the quality or existence of a electrical, gas, or water utility
US9510066B2 (en) Collection of telemetry data through a meter reading system
JP2016163242A (ja) データ収集システム、データ収集方法、サーバ及びゲートウェイ
US20200191609A1 (en) Method for collecting data, sensor, data collector, and supply network
KR102051732B1 (ko) 지능형 원격검침 시스템
WO2013148215A1 (en) Photovoltaic system data handling methods and apparatus
CN105046344A (zh) 面向智能电网调度技术支持系统的主站数据质量优化方法
KR101728502B1 (ko) 검침 장치
US20200191608A1 (en) Method for collecting data, sensor and supply network
CN105527875A (zh) 远程监控能源计量仪表的测量信息的系统和方法
JP6173068B2 (ja) 電力抑制方法、電力管理システム及び電力管理プログラム
KR101426525B1 (ko) 변전 설비 감시 시스템
KR101827169B1 (ko) 시각 동기화 장치
WO2007105471A1 (ja) 資源情報管理装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90041260A (ko) 공동주택의 에너지 수요관리 장치 및 방법
Ilic et al. Sensing in power distribution networks via large numbers of smart meters
US20210306723A1 (en) Method for collecting data in a network, sensor, consumption meter, temporary receiver and network
KR102493594B1 (ko) 계측 장치와 전력 계량기 간의 시각을 동기화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6357414B2 (ja) 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制御方法、スマートメータおよびエネルギー管理装置
CN113170241B (zh) 用于在网络中收集数据的方法、传感器、消耗量表、数据收集器和网络
KR102097260B1 (ko) 전자식 전력량계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방법
KR101115163B1 (ko) 빌링 데이터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101776608B1 (ko) 원격 검침 데이터 연동 장치, 원격 검침 데이터 연동 시스템 및 원격 검침 데이터 연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