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9944A - 엘리베이터용 레일클립 조립체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레일클립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9944A
KR20170039944A KR1020150139165A KR20150139165A KR20170039944A KR 20170039944 A KR20170039944 A KR 20170039944A KR 1020150139165 A KR1020150139165 A KR 1020150139165A KR 20150139165 A KR20150139165 A KR 20150139165A KR 20170039944 A KR20170039944 A KR 20170039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bolt
clip
bracket
rail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9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승주
Original Assignee
유승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승주 filed Critical 유승주
Priority to KR1020150139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9944A/ko
Publication of KR20170039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9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23Mount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레일(R)을 레일브라켓(40)에 고정하기 위하여, 단순화된 레일클립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 어셈블리는, 레일의 양측단부가 수납되는 레일수납홈(14)과 상기 레일수납홈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레일브라켓에 접촉하는 접촉돌기부(16)가 아랫면에 형성되고, 중앙부분에는 내주연이 나사 가공된 체결공(12)이 형성된 레일클립(10)과; 상기 레일클립(10)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평와셔 및 스프링와셔가 나사부(22a)에 압입되어 조립화된 볼트(20)로 구성된다. 그리고 볼트(20)은 레일클립의 아랫면에서 윗면 방향으로 체결공(12)에 나사 결합되고, 레일이 레일브라켓에 체결된 상태에서 접촉돌기부(16)는 레일브라켓에 접촉하고 레일수납홈(14)은 레일의 양단부에 접촉하고 있으며 볼트가 조립된 레일클립의 중앙부분은 레일브라켓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레일클립 조립체{Railclip assemblies for elevators}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레일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다 적은 부품수로 이루어지면서 와셔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조립 공정도 손쉬운 엘리베이터용 레일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에서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건물의 벽에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레일브라켓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 방향으로 다수개 고정하고, 이렇게 고정된 레일브라켓을 이용하여 수직방향으로 레일을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고정된 레일브라켓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레일을 고정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이 레일클립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레일클립(4)이 레일(R)의 양측단부를 클램핑하면서 레일브라켓(2)에 지지하게 된다. 이 때 레일클립(4)의 고정을 위하여 하나의 볼트(6) 및 너트(8), 그리고 스프링와셔 및 평와셔(5) 등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레일의 설치는 주로 높은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6)와 너트(8)를 서로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레일(R)을 레일브라켓(2)에 고정할 때, 볼트(6)의 육각 헤드부는, 레일클립(4)의 상면에 성형된 볼트홈(4a)에 들어가서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된 상태에서, 너트(8)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너트(8)의 회전에 의하여, 볼트(4)와 너트(8)는 레일(R)을 레일브라켓(2)에 고정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작업에서, 레일클립(4)과 볼트(6) 및 너트(8) 등은 실질적으로 별개의 부품으로 구성되고 있다. 따라서 실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다수의 부품(레일클립, 볼트 및 너트, 그리고 평와셔 및 스프링와셔 등) 을 휴대한 상태에서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많은 수의 부품을 휴대하면서 작업하는 경우에는, 부품을 떨어뜨리는 경우가 다수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면 레일클립(4)의 고정을 위한 볼트(6) 및 너트(8) 등도 그렇거니와 특히 작은 와셔류를 놓쳐서 떨어뜨리기 쉽다.
이와 같이 부품을 떨어뜨리는 것은 안정 상의 문제도 있을 수 있고, 작업의 비효율성을 초래할 수밖에 없는데, 예를 들면 부품의 분실에 의한 작업성 저하, 필요 이상의 부품 휴대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이 생기는 것은, 기본적으로 볼트를 레일클립에 고정한 상태에서, 볼트의 나사부분에 평와셔 및 스프링와셔 등을 끼워야하고, 와셔를 끼운 후에는 너트를 볼트의 나사부분에 회전 결합시켜야 하는 작업 과정에 기인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한국 실용신안 등록 제20-0303230호에 의하여 제안된 기술을 보면, 레일클립과 볼트를 일체화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레일클립은 작업성의 측면에서 다수 불편한 점이 있기 때문에 널리 상용화되고 있지는 않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한 레일클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 중 부품을 떨어뜨리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레일클립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부 부품의 어셈블리화를 통하여 실질적으로 조립 부품수를 감소시키는데 있다고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작업성이 향상 및 부품의 낙하 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레일을 레일브라켓에 고정하기 위한 레일클립 어셈블리이고, 레일의 양측단부가 수납되는 레일수납홈과 상기 레일수납홈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레일브라켓에 접촉하는 접촉돌기부가 아랫면에 형성되고, 중앙부분에는 내주연이 나사 가공된 체결공이 형성된 레일클립과; 상기 레일클립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평와셔 및 스프링와셔가 나사부에 압입되어 조립화된 볼트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볼트은 레일클립의 아랫면에서 윗면 방향으로 체결공에 나사 결합되고 레일이 레일브라켓에 체결되면, 접촉돌기부는 레일브라켓에 접촉하고 레일수납홈은 레일의 양단부에 접촉하고 있으며 볼트가 조립된 레일클립의 중앙부분은 레일브라켓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구성을 가지게 되면, 실질적으로 레일을 레일브라켓에 고정하기 위한 부품이, 평와셔 및 스프링와셔가 조립된 볼트조립체와 레일클립만으로 구성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를 종래와 비교하여 보면, 종래에는 레일클립, 너트, 볼트, 그리고 두 개의 와셔 등 많은 수의 부품을 필요로 하고 있는 것에 비하여 현저하게 간단한 구성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레일을 레일브라켓에 고정하여 지지하기 위한 부품 수 자체가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어, 부품 수의 감소 및 조립과정에서의 편의성이 한층 향상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실질적으로 두 개의 부품만을 휴대하면 레일 설치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실제 작업성도 더욱 좋아질 뿐만 아니라, 여러 개의 부품을 핸들링하는 것에 의한 부품의 낙하 사고 등도 충분히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점은 작업의 안정성 및 효율성 향상의 측면에서도 충분하 효과가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레일클립의 사용 상태를 보인 예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레일클립 조립체의 예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레일클립의 사용 상태를 보인 예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레일이 레일클립에 고정된 상태의 평면 예시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레일클립 조립체(assemnly)는, 중간 부분에 나사 체결을 위한 나사체결공(12)이 성형된 레일클립(10)과, 상기 레일클립(10)의 나사체결공(12)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레일클립(10)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는 나사체결공(12)의 내면에는 나사산이 가공되어 있어서, 볼트(20)의 나사부(22)와 나사 결합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레일클립(10)의 윗면에는, 종래와 같이 볼트의 육각헤드가 긴밀하게 삽입되어 회전하지 않도록 유지되는 볼트홈(4a)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레일클립(10)의 아랫면에는, 레일(R)의 양단부(Ra,Rb)(도 3 참조)가 수납되면서 레일브라켓(40)에 밀착시키기 위한 레일수납홈(14)이 일측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한 쌍의 레일클립(10)을 이용하게 되면, 레일(R)의 양단부(Ra,Rb)를 클램핑하여 레일브라켓(4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레일클립 조립체를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보면, 너트가 생략되고 있음과 동시에 볼트가 아랫방향에서 윗방향으로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볼트의 체결방향도 반대 방향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레일(R)을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볼트(20)는 레일브라켓(40)에 수직 방향을 성형되어 있는 수직부분(42)에서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성형되어 있는 장공(44)을 관통하여, 상술한 레일클립(10)과 체결된다. 이와 같이 레일브라켓(40)의 장공(44)을 이용함으로써, 고정하고자 하는 레일의 위치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레일클립(10)의 아랫면에서, 상기 레일수납홈(14)이 성형된 반대측에는 레일브라켓(40)에 밀착되는 접촉돌기부(16)가 돌출되도록 성형되어 있다. 즉, 한 쌍의 레일클립(10)을 이용하여 레일(R)을 레일브라켓(40)에 조립하게 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레일수납홈(14)이 레일(R)의 양측면(Ra,Rb)을 잡아서 레일브라켓(4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접촉돌기부(16)는 레일브라켓(40)에 접촉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는 실질적으로 레일클립(10)의 아랫면의 중간부분[볼트(10)가 관통하는 부분]은, 레일브라켓(40)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레일수납홈(14)에 들어가는 레일의 양측단부(Ra,Rb)의 두께를 고려하여 상기 접촉돌기부(16)가 아랫면에서 연장 성형되어 있어서, 실질적으로 레일(R)을 레일브라켓(40)에 조립한 상태에서, 레일클립(10) 자체의 균형도 맞취도록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레일클립(10)의 아랫면이 레일브라켓(40)에 전체적으로 면접촉하는 것 보다, 좁은 폭의 두께를 가지는 선접촉 형태로 상술한 접촉돌기부(16)가 레일브라켓(40)에 접촉하는 것이 전체적으로 균형을 잡는 것이 유리함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볼트(20)는, 레일클립(10)의 아랫면에서 윗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레일클립(10)에 나사결합된다. 즉, 볼트(20)의 나사부(22a)가 체결공(12)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레일수납홈(14)을 통하여 레일(R)이 레일클립(10)과 레일브라켓(40) 사이에서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볼트(20)의 헤드부(22b)와 레일클립(10) 사이에는 와셔(26,28)가 개재된다. 이러한 와셔는, 평와셔(26)와 스프링와셔(28)가 같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와셔(26) 및 스프링와셔(28)가 같이 볼트(20)와 레일클립(10) 사이에 개재되면서 조립된다. 여기서 도 2의 (a)에는 볼트(20)와 평와셔(26) 및 스프링와셔(28)가 일체화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볼트(20)의 나사부(22a)에, 평와셔(26) 및 스프링와셔(28)가 조립되어 있어서, 임의로 와셔(26,28)가 볼트(20)의 나사부(22a)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구성되고 있다. 실제 상술한 와셔(26,28)를 볼트(20)의 나사부(22a)에 압입하는 것에 의하여, 와셔(26,28)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어셈블리화된 볼트어셈블리(와셔가 볼트의 헤드부에 조립된 것)가 실제 시판되고 있기도 하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을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레일클립은, 종래의 레일클립의 윗면에 성형되어야 했던 볼트홈의 구성을 생략하는 대신, 체결홈(12)의 내주면에 나사 가공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레일(R)의 고정을 위한 부품 중에서, 종래에서는 필수적인 부품이었던 너트의 구성을 생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는, 두 종류의 와셔(26,28)를 볼트(20)에 조립시킨 볼트어셈블리[도 2의 (a) 참조]를 이용하게 되면, 실질적으로는 레일클립(10)과 볼트어셈블리라는 두 개의 부품으로 구성되고 있다. 이와 같이 두 개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레일클립, 볼트 및 너트, 그리고 평와셔 및 스프링와셔와 같이 많은 수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종래의 것에 비하여 현저하게 단순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부품 수가 현저하게 줄어드는 것은, 레일클립의 체결공(12)을 나사 결합이 가능하도록 성형함으로써 너트의 구생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볼트(20)에 스프링와셔(28) 및 평와셔(26)을 압입함으로써 일체화된 볼트어셈블리를 구현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진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구성부품 수를 저감시키기 위하여 너트의 기능을 레일클립이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착상과, 평와셔와 스프링와셔를 볼트에 압입하여 조립체화 함으로써 실질적인 부품수를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착상 등에 기초하여 구체화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형태의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도 자명한 사실이라고 할 수 있다.
10 ..... 레일클립
12 .... 체결공
14 ..... 레일수납홈
16 ..... 접촉돌기부
20 ..... 볼트
22a ..... 나사부
22b ..... 헤드부
26 ..... 평와셔
28 ..... 스프링와셔

Claims (1)

  1. 엘리베이터용 레일(R)을 레일브라켓(40)에 고정하기 위한 레일클립 어셈블리로써;
    레일의 양측단부가 수납되는 레일수납홈(14)과 상기 레일수납홈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레일브라켓에 접촉하는 접촉돌기부(16)가 아랫면에 형성되고, 중앙부분에는 내주연이 나사 가공된 체결공(12)이 형성된 레일클립(10)과;
    상기 레일클립(10)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평와셔 및 스프링와셔가 나사부(22a)에 압입되어 조립화된 볼트(20)로 구성되고;
    상기 볼트(20)은 레일클립의 아랫면에서 윗면 방향으로 체결공(12)에 나사 결합되고, 레일이 레일브라켓에 체결된 상태에서 접촉돌기부(16)는 레일브라켓에 접촉하고 레일수납홈(14)은 레일의 양단부에 접촉하고 있으며 볼트가 조립된 레일클립의 중앙부분은 레일브라켓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레일클립 조립체.
KR1020150139165A 2015-10-02 2015-10-02 엘리베이터용 레일클립 조립체 KR201700399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165A KR20170039944A (ko) 2015-10-02 2015-10-02 엘리베이터용 레일클립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165A KR20170039944A (ko) 2015-10-02 2015-10-02 엘리베이터용 레일클립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944A true KR20170039944A (ko) 2017-04-12

Family

ID=58580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9165A KR20170039944A (ko) 2015-10-02 2015-10-02 엘리베이터용 레일클립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994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2957B2 (en) Panel clamp
US8181419B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building members
KR101467161B1 (ko) 그레이팅 패널 체결용 고정구
US8132992B2 (en) Fastening assembly
US9051950B2 (en) Universal panel clamp
US20070227994A1 (en) Build-Up Furniture
RU2010126584A (ru) Держатель стойки
KR102066933B1 (ko) 케이블 트레이 연결 구조
JP5181270B2 (ja) 振れ止め用下地材の固定金具
KR20170039944A (ko) 엘리베이터용 레일클립 조립체
FI123196B (fi) Kondensaattorikiinnitys
KR20140019182A (ko)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101284372B1 (ko) 볼트 고정 클립
CN215220502U (zh) 一种电容器安装结构及带安装结构的电容器
CN205407680U (zh) 一种用于铁皮屋顶的太阳能板安装组件
KR200452957Y1 (ko) 포스트형 행거의 선반
KR200473219Y1 (ko) 선반 고정핀 및 그 선반 고정핀을 이용한 조립식 선반 조립체
JP6534346B2 (ja) 浴室部材の締結構造
KR20160003082U (ko) 전원공급레일용 고정구
CN218771105U (zh) 一种电缆桥架支撑结构
KR200436258Y1 (ko) 천장패널 지지용 행거
KR20150004501U (ko) 태양전지 모듈 고정용 클램프
KR200393766Y1 (ko) 스노우 가드 장치
CN217000207U (zh) 与埋件相连接防止内部腐蚀的箱型构件节点
CN218028489U (zh) 定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