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9609A -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보안 강화 및 편의성 향상 방안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보안 강화 및 편의성 향상 방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9609A
KR20170039609A KR1020160140318A KR20160140318A KR20170039609A KR 20170039609 A KR20170039609 A KR 20170039609A KR 1020160140318 A KR1020160140318 A KR 1020160140318A KR 20160140318 A KR20160140318 A KR 20160140318A KR 20170039609 A KR20170039609 A KR 20170039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able device
security
present
otp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0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군돈
Original Assignee
최군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군돈 filed Critical 최군돈
Priority to KR1020160140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9609A/ko
Publication of KR20170039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6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04W12/082Access security using revocation of author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04L9/3228One-time or temporary data, i.e. information which is sent for every authentication or authorization, e.g. one-time-password, one-time-token or one-time-ke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34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dditional secure or trusted devices, e.g. TPM, smartcard, USB or software tok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8Authentication using credential vaults, e.g. password manager applications or one time password [OTP]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블루투스 기능이 구현된 PC나 블루투스 액세서리를 장착한 PC에 접근으로 설정된 로그인은 PC와 웨어러블 디바이스간의 무선신호가 약해지면 PC가 인지하여 PC나 인트라넷의 접속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PC 및 인트라넷의 보안을 강화하고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하였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보안 강화 및 편의성 향상 방안{METHOD FOR REINFORCING PC SECURITY AND ENHANCING CONVENIENCE USING WEARABLE DEVICE}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무선개인통신망(WPAN)을 통한 OTP, 아이디/패스워드 전송 기능을 구현하여 인터넷,PC의 보안을 강화하고 편리성을 향상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통신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고 있는 바와 같이,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술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가 출시되고 있다. 최근에는 블루투스 AP 가 설치된 실내에 비콘신호를 발신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실시간 위치파악을 하여 소지자의 출입관리, 근태관리, 보안구역 접근 감시, 응급호출 등에 활용하려는 시도가 있다.
이와 별도로, 보안의 중요성으로 인하여 PC 보안 및 서버접속 보안도 강화되고 있다. 로그인 및 인트라넷 접속 패스워드의 자리수가 커지고 생성조건이 복잡하지며 주기적으로 변경을 한다. 따라서 접속자가 아이디/패스워드를 잊어버림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업무의 손실이 크다. 본 발명은 이를 융합하여 신규 가치를 창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르면, 항상 소지해야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OTP 혹은 아이디/패스워드 전달 기능을 구현하여 보안을 강화하고 편의성을 향상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르면 WPAN기능을 가진 PC에 접근하면 연결을 설정하는 1 단계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생성한 OTP 혹은 아이디/패스워드를 PC로 전송하는 2 단계와 OTP 혹은 아이디/패스워드로 PC를 로그인 및 서버을 접속을 허용하는 3단계와, PC와 웨어러블 디바이스간의 WPAN 연결이 해제되면 이를 PC가 인지하여 PC나 서버를 보안모드로 변경하여 접속을 차단하는 3단계를 포함한 단말장치와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통상 PC 로그인이나 인트라넷에 접속하기 위하여 별도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해야 한다. 간혹 아이디, 패스워드를 잊어버릴 경우 유관부서에 문의하거나 패스워드를 초기화하는 등의 절차로 인해 발생하는 업무손실이 크다. 따라서 항상 소지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OTP 혹은 아이디/패스워드 전송 기능을 구현하여 보안성 및 편의성을 강화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PC와의 구성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비콘 신호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PC간의 OTP 전달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WPAN 기능을 가진 모든 웨어러블 디바이스나 PC에서 활용가능하나 이하는 불루투스 사례로 설명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PC와의 구성도이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출입보안카드를 장착하는 구조로 되어있어 항상 소지하게 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소지한채 블루투스 기능이 구현된 PC나 블루투스 액세서리를 장착한 PC(110)에 접근하면 자동으로 연결이 설정된다. 그리고 그 연결을 통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생성한 OTP가 PC에 전달된다. PC는 인증서버(120)를 통하여 해당 OTP를 확인한 후 로그인한다. 또한 PC의 웹을 통하여 인트라넷서버(130)에 접속할 경우에도 해당 인트라넷서버에서 OTP를 요청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새로 생성된 OTP를 전달하여 인증을 거친후 접속권한을 얻는다. PC 사용후 웨어러블 디바이스 소지자가 자리에서 이탈하여 무선연결이 해제되면 PC는 이를 감지하여 스크린 세이브 모드등 보안모드로 강제 전환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호출 기능을 가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서는, 도 1에 기재된 도면부호 100을 대표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도면을 기재하였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통신부(200), 제어부(230), 인터페이스부(220), 메모리부(210)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구성요소 중에서 메모리부(210) 및 제어부(230)는 종래 기술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비교할 때에 여타의 구성요소들보다 기능적인 차이점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 중에서, 메모리부(210)에는 운용체제 프로그램(211), 실내외 응급호출 프로그램(212) 등이 저장된다. 이에, 제어부(230)는 운영체제 프로그램(211)을 실행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부팅할 수 있으며, 제어프로그램(212)을 실행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그를 활용한 위치 추적 및 보안강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부(21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프로그램(222)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메모리부(210)에 미리 저장된 상태로 출시 및 유통될 수도 있지만, 어플(App) 등으로 호칭되는 스마트폰의 각종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과 같이 추후 통신부(200) 혹은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제어부(230)는 위치추적처리부(231), OTP처리부(232), 시간발생기(233)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어부(230)는 통신부(200), 메모리부(210) 등을 각각 제어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230)를 구성하는 위치추적처리부(231)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통하여 출입관리, 위치추적, 근태관리, 보안구역 접근 감시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 OTP 처리부(232)는 보안알고리즘을 수행하여 OTP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시간발생기(233)은 OTP를 발생하기 위한 SEED인 시간정보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2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내부 파라메터 설정 및 변경, 펌웨어 업그레이드등을 위하여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외부기기의 예로는, NFC기기,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이어폰 등이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비콘 신호구조도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위치추적용으로 활용되는 경우, 해당 비콘신호(300)는 위치추적모드 필드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구분자 등의 정보를 포함해야 하며 20~30m에 커버리지를 확보할 정도의 출력을 가져야 한다. 반면에 개인인증용으로 사용되는 비콘신호(310)는 개인인증모드 필드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구분자 등의 정보를 포함해야 하며 커버리지가 2~3m 정도가 될 정도로 출력을 제한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 소지자와 PC간의 연결설정만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비콘 송신시 위치추적용 비콘과 개인인증용 비콘의 정보와 출력이 서로 다르므로 시간별로 멀티플렉스하여 전송해야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PC간의 OTP 전달 흐름도이다.
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 소지자가 PC에 접근하면(S400), 최초의 접속으로 페어링이 생성되지 않는 경우는 일반적인 블루투스와 같이 수동으로 페어링 설정을 해야되나, 두 장비간에 페어링이 미리 생성된 경우는 별도의 설정절차가 필요없이 바로 연결된다(S401).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생성된 OTP는 PC로 전달된다(S402). PC는 인증서버를 통하여 수신한 OTP값이 올바른지 확인한후 인증이 확인되면 로그인을 수행한다(S403). 만약 OTP 시스템이 구축이 안된 경우는 OTP대신 아이디/패스워드를 PC나 인트라넷에 전송하여 접속을 완료할 수도 있다. 이 패스워드는 사용자가 직접 기억할 필요없으므로 매우 길고 복잡한 생성규칙으로 생성하여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 PC를 통하여 인터라넷 혹은 사내 서버에 접속할때도 서버에서 OTP를 요구할 수있다(S404). 이 OTP도 인증서버를 통하여 올바른지 확인한후 접속을 허용여부를 결정한다(S405). 만약 웨어러블 소지자가 업무완료후 자리를 이탈하여 블루투스 연결이 해제되면 PC는 스크린모드 등 보안모드로 강제 전환하여(S406) 보안성을 강화했다.
본 발명에 첨부된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웨어러블 디바이스 110 : PC
120 : 인증서버 130 : 서버
200 : 통신부 210 : 출력부
220 : 메모리부 230 : 인터페이스부
240 : 제어부 300 : 출입보안용 비콘 신호
310 : PC 보안용 비콘신호

Claims (1)

  1. 백 그라운드 프로그램이 주기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컴퓨터간의 무선연결이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재설정을 시도하는 단계와,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컴퓨터간의 설정이 궁극적으로 실패하면 해당 무선연결을 통하여 진행된 인증을 무효화하는 단계와 무효화는 웹 사이트는 로그아웃, 컴퓨터는 파워 세이브 모드나 로그아웃으로 강제전환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보안절차를 포함하는 컴퓨터에 의해서 가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60140318A 2016-10-26 2016-10-26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보안 강화 및 편의성 향상 방안 KR201700396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318A KR20170039609A (ko) 2016-10-26 2016-10-26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보안 강화 및 편의성 향상 방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318A KR20170039609A (ko) 2016-10-26 2016-10-26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보안 강화 및 편의성 향상 방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304 Division 2015-10-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609A true KR20170039609A (ko) 2017-04-11

Family

ID=58580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0318A KR20170039609A (ko) 2016-10-26 2016-10-26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보안 강화 및 편의성 향상 방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96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735A (ko) * 2021-06-25 2023-01-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영상 기반 선원 인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735A (ko) * 2021-06-25 2023-01-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영상 기반 선원 인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05006T3 (es) Control seguro de red de sensores inalámbricos a través de Internet
CN104333863B (zh) 连接管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
CN104735814A (zh) 自动接入WiFi网络的接入方法、系统、和相关装置
CN110740460B (zh) 一种设备的入网方法、装置、网络设备及存储介质
WO2020135355A1 (zh) 一种无线网络配置方法及装置
US8997175B2 (en) Wireless LAN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thereof in wireless LAN system for the same
US8350718B2 (en) Secure collector diagnostic portal activation
CN110022215B (zh) 工业自动化设备和云服务
CN108512870A (zh) 接入物联网平台的方法、物联网平台和物联网设备
KR20160137919A (ko) 정보 제공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2250421B1 (ko) Ai 음성인식 스피커 및 세대 내 설치된 네트워크 장치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방법, 이를 운용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CN104837217A (zh) 一种网络接入方法及装置
US11695635B2 (en) Rapid install of IoT devices
WO2018113113A1 (zh) 一种双系统终端wifi共享的方法和装置
CN108093097A (zh) 摄像头与家庭网关的连接方法及家庭网关
KR20170039609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보안 강화 및 편의성 향상 방안
KR20170039610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보안 강화 및 편의성 향상 방안
KR20120110693A (ko) 모바일 환경으로 확장 가능한 통합형 원방감시제어시스템
US992376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verifying installation of a device
WO2017000418A1 (zh) 射频拉远单元的外场维护方法、装置、终端设备及系统
US20140341070A1 (en) Wireless network setting method, communication system and remote device
WO2018068580A1 (zh) 屏幕锁定的指示方法及装置,屏幕锁定方法、装置及系统
EP3690564B1 (en) Locality check for access control to an industrial device
US11831730B2 (en) Thin client for installing a network-connectable device
KR101534409B1 (ko) 무선리모컨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