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8527A - Wa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Wash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8527A
KR20170038527A KR1020150138011A KR20150138011A KR20170038527A KR 20170038527 A KR20170038527 A KR 20170038527A KR 1020150138011 A KR1020150138011 A KR 1020150138011A KR 20150138011 A KR20150138011 A KR 20150138011A KR 20170038527 A KR20170038527 A KR 20170038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sump
water
space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0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36709B1 (en
Inventor
김진웅
김영민
박원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8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709B1/en
Publication of KR20170038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85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7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Y02B40/50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ashing machine includes: a cabinet forming an exterior of the washing machine and having a front opening for putting in and taking out laundry; a tub disposed inside the cabinet to store wash water; a drum disposed inside the tub and rotated inside the tub;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wash water to the tub; a tub sump protruding downwards from the tub and formed therein with a sump space in which the wash water is stored; and a heater unit coupled to the tub and disposed inside the tub sump, wherein the tub sump is symmetrically formed when viewed from the front. According to the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ape of the tub sump is optimized to minimize the volume of stored wash water,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브에 2방향으로 세탁수를 급수할 수 있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shing machine capable of supplying washing water in two directions to a tub.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물과 세제 및 기계적인 작용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이하, ‘세탁물’라 칭함)에 묻은 오염을 떼어 내도록 세탁, 헹굼, 탈수 등의 과정을 통해 세정하는 장치이다.Generally, a washing machine is a device for washing through washing, rinsing, dehydration, etc. to remove contamination from clothes, bedding, etc. (hereinafter, referred to as "laundry") by using water, detergent and mechanical action.

세탁기는 크게 교반식(agitator type)과 와류식(pulsator type) 및 드럼식(drum type) 세탁기로 구분된다.The washing machine is roughly divided into an agitator type, a pulsator type, and a drum type washing machine.

교반식은 세탁조의 중앙에 솟은 세탁봉을 좌우로 회전시켜 세탁하고, 와류식은 세탁조 하부에 형성된 원판 모양의 회전날개를 좌우로 회전시켜서 수류와 세탁물간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세탁하며, 드럼식은 드럼의 내부에 물과 세제 및 세탁물를 넣고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한다.In the agitating type, the washing rods rising in the center of the washing tub are washed by rotating the washing rods to the left and right, and the swirl type washing is performed by using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water stream and the laundry, Put water, detergent and laundry in the drum and wash it.

드럼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의 내부에 세탁수가 수용되는 터브가 장착되고, 터브의 내측에 세탁물가 수용되는 드럼이 배치되며, 터브의 배면측에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가 장착되고, 구동부에 터브를 관통하여 드럼의 배면측에 연결되는 드라이브 샤프트가 축설된다. 드럼의 내부에는 리프터가 장착되어 드럼 회전시 세탁물를 퍼 올린다.
The drum washing machine includes a tub having an inside of a cabinet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 tub accommodating laundry therein, a drum disposed inside the tub, a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drum mounted on a rear side of the tub, And a drive shaft connected to the back surface side of the drum is formed. A lifter is installed inside the drum to plow laundry when the drum rotate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터브 내에 배치된 히터를 통해 세탁물을 리프레쉬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capable of refreshing laundry through a heater disposed in a tub.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스팀을 통한 세탁물의 리프레쉬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capable of minimizing noise generated during a process of refreshing laundry through steam.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섬프 구조를 갖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having a sump structure capable of minimizing noise genera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세탁물의 리프레쉬를 위한 물 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섬프 구조를 갖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having a sump structure capable of minimizing the water capacity for refreshing laundry.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터브 또는 드럼의 처짐을 고려하여 히터가 설치된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provided with a heater in consideration of sagging of a tub or a drum.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고, 전방에 세탁물이 출입되는 세탁물출입홀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고,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터브 내부에서 회전되는 드럼; 상기 터브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유닛; 상기 터브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내부에 세탁수가 저장되는 섬프공간이 형성되는 터브섬프; 및 상기 터브에 결합되고, 상기 터브섬프 내부에 배치되는 히터유닛;을 포함하고, 정면에서 볼 때, 상기 터브섬프는 좌우 대칭되게 형성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cabinet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nd having a laundry inlet / A tub disposed inside the cabinet and storing wash water; A drum disposed inside the tub and rotated inside the tub;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sh water to the tub; A tub sump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tub and having a sump space in which wash water is stored; And a heater unit coupled to the tub and disposed inside the tub sump, wherein the tub sump is symmetrically formed when viewed from the front.

정면에서 볼 때, 상기 터브의 내측면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터브섬프는, 상기 터브 내측면에서 상기 터브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섬프좌측면; 상기 터브 내측면에서 상기 터브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섬프우측면; 상기 섬프좌측면 및 섬프우측면을 연결하는 섬프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섬프좌측면 섬프우측면은 좌우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the tub sump has a sump left side surface protruding radially outwardly from the tub inner side surface; A sump right side surface protruding radially outward of the tub at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tub; And a sump base connecting the left side of the sump and the right side of the sump. The sump right side surface of the sump may be symmetrically formed.

상기 섬프좌측면 및 섬프우측면은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left side of the sump and the right side of the sump may be flat.

상기 섬프좌측면 및 섬프우측면은 수평면과 75°± 10°의 사이각을 형성할 수 있다. The left side of the sump and the right side of the sump may form an angle of 75 ° ± 10 ° with the horizontal plane.

상기 섬프좌측면 및 터브 내측면의 경계는 상기 드럼의 최하단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The boundary between the left side of the sump and the inner side of the tub may be formed lower than the lowermost end of the drum.

상기 섬프우측면 및 터브 내측면의 경계는 상기 드럼의 최하단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The boundary between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sump and the inside surface of the tub may be formed to be lower than the lowermost end of the drum.

상기 섬프베이스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 방향의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At least a part of the sump base may be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섬프베이스의 경사면은 후방 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ump base may be formed to have a height higher toward the rear side.

상기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수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섬프베이스에는 상기 배수모듈과 연결되는 배수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부는 정면에서 볼 때, 상기 터브섬프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The sump base may further include a drain portion connected to the drain module. The drain portion may be positioned at a center of the tub sump when viewed from the front.

상기 섬프좌측면에서 상기 섬프공간으로 돌출되어 상기 섬프공간의 용적을 축소시키는 좌측히터고정부; 및 상기 섬프우측면에서 상기 섬프공간으로 돌출되어 상기 섬프공간의 용적을 축소시키는 우측히터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측히터고정부 및 우측히터고정부 사이에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히터유닛은 상기 삽입공간에 고정될 수 있다. A left heater fixing part protruding from the left side of the sump to the sump space to reduce the volume of the sump space; And a right heater fixing part protruding from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sump to the sump space to reduce the volume of the sump space, wherein an insertion space is formed between the left heater fixing part and the right side heater fixing part, Can be fixed to the insertion space.

상기 삽입공간은 상기 섬프공간의 후방 측에 위치될 수 있다. The insertion space may be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sump space.

상기 히터유닛은 상기 터브의 전방 측에서 후방 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히터유닛의 단측이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The heater unit is inserted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of the tub, and the end side of the heater unit can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insertion space.

상기 섬프베이스의 경사면은 후방 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좌측히터고정부 및 우측히터고정부는 상기 섬프베이스의 경사면에 위치될 수 있다. The sloping surface of the sump base may be formed so as to have a height higher toward the rear side, and the left heater fixing portion and the right heater fixing portion may be located on an inclined surface of the sump base.

상기 급수유닛으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아 상기 터브에 제공하는 세제박스; 상기 세제박스의 세탁수를 상기 터브의 전방에 공급하는 제 1 급수관; 상기 세제박스의 세탁수를 상기 터브의 측부 또는 후방 중 어느 하나에 공급하는 제 2 급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급수관 또는 제 2 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는 상기 드럼으로 낙하되지 않고 상기 드럼 및 터브 사이로 공급될 수 있다. A detergent box receiving the wash water from the water supply unit and supplying the wash water to the tub; A first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wash water of the detergent box to the front of the tub; And a second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of the detergent box to one of a side portion and a rear portion of the tub, wherein the wash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first water supply pipe or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is not dropped onto the drum, And the tub.

상기 제 2 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는 상기 터브의 내측면을 따라 흘러내리게 구성될 수 있다.
The wash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may flow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본 발명의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washing machine and its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터브섬프의 형상을 최적화하여 저장되는 세탁수의 용량을 최소화시키고, 이를 통해 소비전력을 저감하는 장점이 있다. First,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minimizing the capacity of the washing water stored by optimizing the shape of the tub sump,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터브섬프의 형상을 최적화하여 물참현상을 최소화하면서 소음발생을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다. Second,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minimizing noise generation while minimizing bogey phenomenon by optimizing the shape of the tub sump.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터브섬프를 형성하는 경계가 드럼의 최하단보단 낮게 위치되기 때문에, 터브섬프에 저장된 세탁수가 드럼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irdly, since the boundary forming the tub sump is located lower than the lowermost end of the drum,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washing water stored in the tub sump can be prevented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drum.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섬프공간에 저장된 세탁수와 드럼이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세탁물이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터브섬프에서 생성된 스팀만으로 세탁물의 리프레쉬를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ourth, since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sump space and the drum are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laundry from being wetted, and can refresh the laundry only by the steam generated from the tub sump.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수의 급수 시, 세탁수가 세탁물에 직접 낙하되지 않고, 터브 및 드럼 사이 공간 또는 터브 내측면을 따라 흘러내리기 때문에, 세탁물을 리프레쉬할 때 세탁물이 젖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Fifth, in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the washing water does not fall directly onto the laundry, but flows down along the space between the tub and the drum or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Therefore, .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터브섬프에서 설치된 히터유닛으로만 세탁물에 스팀을 공급하는 리프레쉬를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제작 비용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ixth, since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fresh the laundry only by the heater unit installed in the tub sump,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일곱째,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히터유닛이 터브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삽입되어 조립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수리 또는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Seventh,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heater unit is inserted and assembl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tub, so that it is easy to repair or replace.

아홉째,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터브섬프를 구성하는 섬프베이스에 경사면이 형성되기 때문에, 섬프공간의 용적을 축소시켜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Ninthly, since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loped surface formed on the sump base constituting the tub sump, i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volume of the sump space can be reduced to reduce power consumption.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브 및 드럼의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섬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섬프의 구조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3의 히터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7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박스의 설치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좌측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로어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제 1 급수관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제 2 급수관의 단면 확대도이다.
1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a tub and a dr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sump shown in Fig.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ump shown in Fig.
Figure 6 is a side view of the heater of Figure 3;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 detergent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left side view of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body shown in Fig.
10 is a plan view of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water supply pipe shown in Fig.
12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of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shown in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도 1 내지 도 6의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f FIG. 1 to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20)와, 터브(20) 내에 배치되고,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하여 회전되는 드럼(30)과, 드럼(3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미도시)와, 외부 수원으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아 상기 터브(20)에 공급하는 급수유닛(50)과, 세탁을 위한 세제가 수용되고, 세탁수를 세탁 세제와 혼합시키는 세제박스(60)와, 상기 터브(20)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섬프(220)와, 상기 터브섬프(220)에 배치되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발열되어 저장된 세탁수를 가열시키는 히터유닛(40)을 포함한다.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10 for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 tub 20 for receiving washing water, a drum 20 disposed in the tub 20, (Not shown) for rotating the drum 30, a water supply unit 50 for receiving laundry water from an external water source and supplying the water to the tub 20, a detergent for washing, A washing tub 200 for collecting wash water and a washing tub 200 for collecting wash water and washing water, a detergent box 60 for mixing water with a washing detergent, a tub sump 220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tub 20 for storing wash water, And a heater unit (40) for heating the stored wash water generated by the power source.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터브섬프(220)의 구조 및 히터유닛(40)의 구조를 최적화하여 스팀을 생성시킬 수 있다.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generate steam by optimizing the structure of the tub sump 220 and the structure of the heater unit 40.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터브(20)에 2방향으로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다.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supply wash water to the tub 20 in two directions.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물이 적셔지지 않도록 터브(20)의 전방 또는 내측면(21)을 따라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생성된 스팀을 통해 세탁물을 리프레쉬할 때, 추가적으로 세탁수를 공급하더라도 세탁물이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리프레쉬는 세탁물을 세탁하는 대신 스팀을 공급하여 구김을 펴거나 냄새를 탈취하기 위한 행정이다.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supply wash water along the front or inner side 21 of the tub 20 so that the laundry is not wetted. Such a structure can prevent the laundry from being wet when the laundry is refreshed through the generated steam, even if the washing water is additionally supplied. The refresh is a process for supplying steam instead of washing the laundry to spread the wrinkles or to smell the odors.

본 실시예에서는 스팀의 외부 공급 없이, 터브(20) 내부에 설치된 히터유닛(40) 만으로 스팀을 생성하여 세탁물을 리프레쉬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steam can be generated only by the heater unit 40 installed inside the tub 20 without external supply of steam, and the laundry can be refreshed.

상기 히터유닛(40)은 스팀을 생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탁수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 작동될 수도 있다. The heater unit 40 may be operated not only to generate steam but also to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washing water.

캐비닛(10)은 세탁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이다. 캐비닛(10) 내부에는 터브(20)가 구비된다. The cabinet 10 forms the appearance of the washing machine. A tub 20 is provided in the cabinet 10.

캐비닛(10)의 전면에는 세탁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세탁물출입홀(12)이 형성된다. 캐비닛(10)의 전면에는 세탁물출입홀(12)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15)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A laundry inlet / outlet hole 12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10 so that laundry can be taken in and out. A door 15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10 to open and close the laundry inlet / outlet hole 12.

상기 터브(20)의 전방에는 개스킷(25)이 배치된다. 상기 개스킷(25)은 캐비닛(10) 및 터브(20) 사이에 위치되고, 세탁수가 캐비닛(10) 내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개스킷(25)은 세탁물출입홀(12)을 형성한다. 상기 도어(15)는 상기 개스킷(25)에 밀착된다. 상기 도어(15)의 일부는 개스킷(25) 측으로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A gasket (25) is disposed in front of the tub (20). The gasket 25 is positioned between the cabinet 10 and the tub 20 and prevents wash water from leaking into the cabinet 10. The gasket 25 forms a laundry inlet / outlet hole 12. The door (1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asket (25). A part of the door 15 may be partially inserted into the gasket 25 side.

상기 터브섬프(220)는 상기 터브(20)의 하부가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터브섬프(220)에는 세탁수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터브섬프(220)에 배수모듈(미도시)이 연결되는 배수부(230)가 형성된다. The tub sump 220 is formed by projec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tub 20 downward. The washing water may be stored in the tub sump 220. A drainage unit 230 to which a drainage module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tub sump 220 is form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터브섬프(220)는 좌우가 대칭으로 형성된다. 좌우 대칭되게 형성된 상기 터브섬프(220)는 드럼(30)의 시계방향 회전 및 시계반대방향 회전에 대하여 동일한 소음을 형성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ub sump 220 is formed symmetrically. The tub sphagnum 220 symmetrically formed forms the same noise with respect to the clockwise rotation and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drum 30.

상기 터브섬프(220)는 스팀을 생성할 때, 저장되는 세탁수가 최소화되도록 설계된다. 상기 터브섬프(220)의 용적을 작게 형성할 수록 히터유닛(40)에 의해 가열되는 세탁수가 줄어서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When the steam is generated, the tub sump 220 is designed to minimize the stored wash water. As the volume of the tub sump 220 is reduced, the number of washings heated by the heater unit 40 decreases,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상기 터브섬프(220)는 터브(20)의 구동축 상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The tub sump 220 protrudes radially from the driving shaft of the tub 20.

상기 터브(20)는 내측면(21)의 대부분이 동심원 상에 위치된다. 상기 터브섬프(220)는 상기 터브(20)의 내측면(21)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The tub 20 is located concentrically with the majority of the inner surface 21. The tub sump 220 protrudes radially outward from the inner surface 21 of the tub 20. [

상기 터브섬프(220)는 상기 터브(20)의 내측면(21)과 연결되고, 상기 터브(20)의 내측면(21)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섬프좌측면(221) 및 섬프우측면(222)과, 상기 섬프좌측면(221) 및 섬프우측면(222)을 연결하는 섬프베이스(223)와, 상기 섬프좌측면(221) 및 섬프베이스(223) 사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좌측히터고정부(224)와, 상기 섬프우측면(222) 및 섬프베이스(223) 사이에 위치되고, 터브(20)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우측히터고정부(225)를 포함한다. The tub sump 220 is connected to an inner surface 21 of the tub 20 and includes a left sump surface 221 protrud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inner surface 21 of the tub 20, And a sump base 223 protruding between the sump left surface 221 and the sump base 223 to connect the left sump surface 221 and the sump right side surface 222 to each other. And a right heater fixing part 225 positioned between the sump right side surface 222 and the sump base 223 and protruding inward from the tub 20. [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섬프좌측면(221) 및 터브(20)의 내측면(21)은 라운드 형상로 연결된다. 상기 섬프우측면(222) 및 터브(20)의 내측면(21)도 라운드 형상으로 연결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sump left surface 221 and the inner surface 21 of the tub 20 are connected in a round shape. The sump right side surface 222 and the inner side surface 21 of the tub 20 are also connected in a round shape.

상기 섬프좌측면(221) 및 섬프우측면(222)은 수평방향에 대하여 75도의 사이각(a)으로 형성된다. 상기 섬프좌측면(221) 및 섬프우측면(222)은 내측면(21)과 돌출되지 않는 면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드럼(30)의 회전 시 소음 발생을 최소화시킨다. 상기 사이각(a)은 75°± 10°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ump left side surface 221 and the sump right side surface 222 are formed at an angle (a) of 7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Since the sump left side surface 221 and the sump right side surface 222 are connected to the inner side surface 21 by a surface that does not protrude, noise generated during rotation of the drum 30 is minimized. The inter-angle (a) may be formed at 75 ° ± 10 °.

또한 상기 섬프좌측면(221) 및 섬프우측면(222)이 75도 정도의 각도로 세워져 형성되기 때문에, 드럼(30)이 회전될 때, 섬프(220)에 저장된 세탁수가 내측면(21)을 따라 올라가는 물참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Since the sump left side surface 221 and the sump right side surface 222 are formed at an angle of about 75 degrees, when the drum 30 is rotated, the wash water stored in the sump 220 flows along the inner side surface 21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uppress the ascending phenomenon.

상기 물참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섬프좌측면(221) 또는 섬프우측면(222)에서 돌출되는 리브를 형성시키는 경우, 드럼(30)이 회전될 때 소음이 증가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섬프(220)는 상기 섬프좌측면(221) 및 섬프우측면(222)를 매끈한 곡면 또는 직선으로 형성시켜도 물참현상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When the ribs protruding from the sump right side surface 221 or the sump right side surface 222 are formed to suppress the bite phenomenon, the noise is increased when the drum 30 is rotated. The sump 2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sludge phenomenon can be sufficiently suppressed even if the sump left surface 221 and the sump right side surface 222 are formed into a smooth curved surface or a straight line.

상기 섬프좌측면(221) 및 내측면(21)의 경계(221a)는 드럼(30)의 최하단보다 낮게 위치된다. 상기 섬프우측면(222) 및 내측면(21)의 경계(222a)도 드럼(30)의 최하단보다 낮게 위치된다. The boundary 221a between the sump left side surface 221 and the inner side surface 21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lowermost end of the drum 30. [ The boundary 222a between the sump right side surface 222 and the inner side surface 21 is also positioned lower than the lowermost end of the drum 30. [

그래서 상기 섬프(220)에 세탁수가 저장될 때, 상기 드럼(30)과 접촉되지 않는다. 스팀을 통해 드럼(30) 내부의 세탁물을 리프레쉬할 때, 상기 섬프(220)에 저장된 세탁수가 드럼(30)과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세탁물이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세탁물의 리프레쉬 행정에서 드럼(30) 회전되어도 섬프(220)에 저장된 세탁수는 세탁물을 적시지 않는다. Therefore, when washing water is stored in the sump 220, the washing water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drum 30. When the laundry inside the drum 30 is refreshed through the steam,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sump 220 is not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drum 30, thereby preventing the laundry from being wetted. Even if the drum 30 is rotated in the refreshing process of the laundry,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sump 220 does not wet laundry.

상기 좌측히터고정부(224) 및 후측히터고정부(225) 사이에 히터유닛(40)이 일부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좌측히터고정부(224) 및 후측히터고정부(225)는 섬프베이스(223)의 일부에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측히터고정부(224) 및 후측히터고정부(225)는 섬프베이스(223)의 후방 측에 위치된다. The heater unit 40 is partially fitted and fixed between the left heater fixing portion 224 and the rear heater fixing portion 225. [ The left heater fixing portion 224 and the rear heater fixing portion 225 are formed only in a part of the sump base 223. [ In this embodiment, the left heater fixing portion 224 and the rear heater fixing portion 225 are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sump base 223.

세탁기의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좌측히터고정부(224) 및 후측히터고정부(225) 사이 공간은 사다리꼴로 형성된다. 즉 사다리꼴로 형성된 공간을 히터유닛(40)을 위한 삽입공간(226)이라고 정의한다. 상기 삽입공간(226)의 상면의 좌우 길이는 저면의 좌우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The space between the left heater fixing portion 224 and the rear heater fixing portion 225 is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washing machine. That is, a space formed by a trapezoid is defined as an insertion space 226 for the heater unit 40. [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space 226 are shorter than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bottom surface.

그래서 상기 히터유닛(40)은 상기 삽입공간(226)에 전후 방향으로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히터유닛(40)은 상기 좌측히터고정부(224) 및 후측히터고정부(225)에 걸려 상하 방향 이동이 제한된다. Thus, the heater unit 4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226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heater unit 40 is caught by the left heater fixing portion 224 and the rear heater fixing portion 225 to restrict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한편, 상기 섬프(220)의 내측 공간을 최소화할수록 저장되는 세탁수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섬프(220)에 저장되는 세탁수의 양이 줄면, 히터유닛(40)에 의해 가열되는 세탁수의 양이 감소되어 소비전력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Meanwhile, as the inner space of the sump 220 is minimized, the amount of wash water to be stored can be reduced. When the amount of washing water stored in the sump 220 is reduced, the amount of washing water heated by the heater unit 40 is reduced,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상기 섬프(220)의 내측 공간을 섬프공간(227)으로 정의한다. 상기 섬프공간(227)의 일부는 상기 삽입공간(226)을 형성한다. The inner space of the sump 220 is defined as a sump space 227. A portion of the sump space 227 forms the insertion space 226.

본 실시예에 따른 섬프(220)는 이를 위해 섬프베이스(223)에 고저차를 형성시킨다. 상기 섬프베이스(223)는 전방 측이 낮고, 후방 측이 높게 형성된다. The sump 22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orms a level difference in the sump base 223 for this purpose. The sump base 223 has a low front side and a high rear side.

상기 섬프베이스(223)의 적어도 일부는 베이스경사면(223a)으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경사면(223a)은 후방 측으로 갈수록 높아지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경사면(223a)에 상기 좌측히터고정부(224) 및 우츠히터고정부(225)가 형성된다. At least a part of the sump base 223 is formed as a base inclined surface 223a. The base inclined surface 223a is formed so as to become higher toward the rear side. In this embodiment, the left heater fixing portion 224 and the Uzz heater fixing portion 225 are formed on the base inclined surface 223a.

상기 섬프공간(227)의 세탁수를 배수모듈로 안내하는 배수부(230)가 섬프베이스(223)에 형성된다. 상기 배수부(230)는 세탁기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섬프베이스(223)의 중간에 위치된다. 상기 배수부(230)는 상기 좌측히터고정부(224) 및 우츠히터고정부(225) 전방에 위치된다. A drainage portion 230 for guiding the washing water in the sump space 227 to the drainage module is formed in the sump base 223. The drain portion 230 is positioned in the middle of the sump base 223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washing machine. The drain portion 230 is located in front of the left heater fixing portion 224 and the Uzz heater fixing portion 225.

상기 배수부(230)를 포함하여 상기 삽입공간(226) 전방에 세탁수의 대부분이 저장된다. Most of the washing water is stored in front of the insertion space 226 including the drainage part 230.

상기 히터유닛(40)은 터브(2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삽입되어 조립된다.The heater unit 40 is inserted and assembl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tub 20.

상기 히터유닛(40)은 상기 섬프(22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삽입되어 조립된다. 상기 히터유닛(40)은 섬프(220)의 전방에서 삽입되어 상기 삽입공간(226)에 삽입된다. The heater unit 40 is inserted and assembl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sump 220. The heater unit 4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226 at a front side of the sump 220.

터브(20)의 전방에서 조립되는 히터유닛(40)은 고장 시 수리가 용이하다. 터브(20)의 후방에서 히터유닛(40)이 조립되는 경우, 수리를 위해 세탁기 설치위치에서 세탁기를 꺼낸 후 캐비닛(10)의 배면을 개방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The heater unit 40 assembled in front of the tub 20 is easy to repair in case of failure. When the heater unit 40 is assembled from the rear of the tub 20,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back surface of the cabinet 10 must be opened after removing the washing machine from the washing machine installation position for repairing.

본 실시예에 따른 히터유닛(40)은 세탁기를 꺼내지 않고, 히터유닛(40)을 수리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The heater unit 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repair or replace the heater unit 40 without removing the washing machine.

상기 히터유닛(40)은 상기 섬프공간(227)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되는 히터(42)를 포함한다.The heater unit (40) includes a heater (42)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mp space (227).

상기 히터(42)는 섬프공간(227)에 저장된 세탁수에 전체가 잠기게 배치된다.The heater 42 is disposed so as to be totally immersed in the wash water stored in the sump space 227.

상기 히터(42)는 상기 드럼(30)과 소정의 이격거리를 형성한다.The heater (42) forms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rum (30).

본 실시예에서 상기 히터(42) 및 드럼(30)의 저면(33)은 평행하지 않고 소정의 사이각(b)을 형성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ater 42 and the bottom surface 33 of the drum 30 are not parallel but form a predetermined angle b.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드럼(30)에 세탁물이 적재되지 않은 무부하 상태일 경우, 상기 히터(42) 및 드럼(30)의 저면(33)은 평행하지 않고 소정의 사이각(b)을 형성한다. 상기 드럼(30)에 세탁물이 적재되는 부하상태일 경우, 상기 히터(42) 및 저면(33)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heater 42 and the bottom surface 33 of the drum 30 are not parallel and form a predetermined angle b when the drum 30 is in a no-load state in which no laundry is loaded. When the laundry is loaded on the drum 30, the heater 42 and the bottom surface 33 may be arranged in parallel.

이상적으로 히터(42) 및 드럼(30)의 저면(33)은 평행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세탁물의 부하에 따라 드럼(30)의 처짐이 발생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하상태에서 드럼(30)의 처짐을 고려하여 사이각(b)을 형성한다.Ideally, it is desirable that the heater 42 and the bottom surface 33 of the drum 30 are kept parallel to each other, but the drum 30 is deflected depending on the load of the laundry. In this embodiment, the angle (b) is formed in consideration of deflection of the drum 30 in a loaded state.

상기 드럼(30)의 전방측은 후방측 보다 높게 위치된다. The front side of the drum 30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rear side.

부하상태일 경우 처짐에 의해 드럼의 전방측 및 후방측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In the load state,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drum can be formed parallel to each other by deflection.

무부하 상태일 경우, 상기 히터(42) 및 저면(33)의 전방측 이격거리(S1)는 후방측 이격거리(S2) 보다 길게 형성된다. In the no-load state, the front distance S1 between the heater 42 and the bottom 33 is longer than the rear distance S2.

본 실시예에서 상기 히터(42) 및 드럼(30)의 저면은 2도의 사이각(b)을 형성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ter 42 and the drum 30 forms an angle (b) of 2 degrees.

캐비닛(10)에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고, 세탁기의 각종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컨트롤패널(13)이 구비된다. 캐비닛(10)에는 세탁세제, 헹굼세제 또는 표백제 등의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박스(60)가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다.The cabinet 10 is provided with a control panel 13 for receiving commands from a user and displaying various status information of the washing machine. The cabinet 10 is provided with a detergent box 60 for detachably receiving a detergent such as laundry detergent, rinsing detergent or bleach.

드럼(30)에는 세탁물이 수용되어 회전된다. 드럼(30)은 세탁수가 통과되도록 복수의 통공(31)이 형성된다. 드럼(30) 내벽에는 드럼(30)의 회전 시 세탁물를 일정 높이로 들어올리는 리프터(32)가 배치될 수 있다. 드럼(30)은 구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The laundry is received in the drum 30 and rotate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1 are formed in the drum 30 to allow the washing water to pass therethrough. On the inner wall of the drum 30, a lifter 32 for lifting the laundry at a predetermined height when the drum 30 is rotated can be disposed. The drum 30 is connected to a driving unit, and receives rotation of the driving unit to rotate.

드럼(30)은 완전히 수평하게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드럼(30)의 전방부이 높고 후방부가 수평보다 낮게 내려오도록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다. The drum 30 is not arranged completely horizontally but ha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such that the front portion of the drum 30 is high and the rear portion thereof is lower than the horizontal portion.

세제박스(60)는 세탁세제, 헹굼세제 또는 표백제 등의 세제가 수용된다. 세제박스(60)는 캐비닛(10)의 전면을 통해 인출될 수 있다. The detergent box 60 receives detergents such as laundry detergent, rinse detergent or bleach. The detergent box 60 can be pulled out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10.

세제박스(60) 내의 세제는 세탁수 공급시 세탁수와 혼합되어 터브(20) 내로 유입된다. 세제박스(60)는 세탁세제가 수용되는 부분, 헹굼세제가 수용되는 부분, 표백제가 수용되는 부분이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detergent in the detergent box (60) is mixed with the washing water when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and flows into the tub (20). The detergent box 60 may be formed by dividing a portion where the laundry detergent is received, a portion where the rinsing detergent is received, and a portion where the bleach is receiv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세제박스(60)는 터브(20)에 2방향으로 세탁수를 공급한다. 세제박스(60)의 세탁수는 상기 터브(20)의 전면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세제박스(60)의 세탁수는 터브(20)의 측면으로 공급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tergent box 60 supplies wash water to the tub 20 in two directions. The washing water in the detergent box 60 may be supplied to the front side of the tub 20. [ In addition, the washing water of the detergent box 60 can be suppli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tub 20.

상기 세제박스(60)는 2방향 급수유로가 형성되는 디스펜서(110)와, 상기 디스펜서(110)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로어(210)를 포함한다.The detergent box 60 includes a dispenser 110 in which a two-way water supply channel is formed and a drawer 210 movably installed in the dispenser 110.

상기 디스펜서(110)는 세탁수가 저장될 수 있는 디스펜서바디(120)와, 상기 디스펜서바디(120) 및 터브(20)를 연결하는 제 1 급수관(130) 및 제 2 급수관(140)을 포함한다.The dispenser 110 includes a dispenser body 120 in which wash water can be stored and a first water supply pipe 130 and a second water supply pipe 140 connecting the dispenser body 120 and the tub 20.

상기 디스펜서바디(120)는 로어바디(150) 및 어퍼바디(160)를 포함한다.The dispenser body 120 includes a lower body 150 and an upper body 160.

상기 로어바디(150)는 세탁수가 저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급수관(130) 및 제 2 급수관(140)는 상기 로어바디(150)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형상에 따라 어퍼바디(160)에 급수유로가 연결될 수도 있다.The lower body 150 stores wash water.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water supply pipe 130 and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140 are connected to the lower body 150. The water supply channel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body 160 according to the shape,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상기 디스펜서바디(120)는 전면에 드로어출입홀(125)이 형성된다. The dispenser body 120 has a drawer access hole 125 formed in its front surface.

로어바디(150) 및 어퍼바디(160)의 결합에 의해 상기 드로어출입홀(125)이 형성된다. The lower body 150 and the upper body 160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the drawer access hole 125.

상기 로어바디(150)는 상측이 개구된 바스켓 형상이다.The lower body 150 is in the form of a basket having an upper opening.

상기 로어바디(150)에는 상기 제 1 급수관(130)과 연결되는 제 1 공급부(151)와, 상기 제 2 급수관(140)과 연결되는 제 2 공급부(152)가 형성된다. The lower body 150 has a first supply part 151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supply pipe 130 and a second supply part 152 connected to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140.

상기 제 1 공급부(151)는 하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The first supply part 151 is formed to face downward.

상기 제 2 공급부(152)는 후방 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The second supply portion 152 is formed to face the rear side.

상기 제 1 공급부(151) 및 제 2 공급부(152)는 유로분리격벽(155)에 의해 분리된다.The first supply part 151 and the second supply part 152 are separated by the oil passage partition wall 155.

상기 유로분리격벽(155)은 로어바디(150)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유로분리격벽(155)은 로어바디(150) 내부를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한다. 상기 유로분리격벽(155)은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절곡되어 형성된다.The passage separating partition wall 155 is formed inside the lower body 150. The passage separating partition 155 divides the inside of the lower body 150 into two spaces. The flow path separation barrier rib 155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but it is bent in the present embodiment.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로분리격벽(155)은 드로어(210)에서 낙하되는 세탁수를 고려하여 상기 로어바디(150) 내부를 구획한다.In this embodiment, the passage separating partition wall 155 divides the inside of the lower body 150 in consideration of the washing water falling from the drawer 210.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유로분리격벽(155)은 드로어(21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로어(210)에 유로분리격벽(155)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드로어(210)의 하측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flow path separation barrier rib 155 may be formed in the drawer 210. When the drawer 210 is formed with the oil passage partition wall 155, it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drawer 210.

상기 유로분리격벽(155)은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제 1 격벽(156)과, 상기 제 1 격벽(156)과 연결되어 형성되고, 제 1 격벽(156)의 후방 측에서 사선으로 형성된 제 2 격벽(157)을 포함한다. The flow dividing barrier ribs 155 are formed by connecting the first barrier ribs 156 form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the second barrier ribs 156 formed in a diagonal line at the rear side of the first barrier ribs 156, 157).

상기 유로분리격벽(155)은 세탁수가 인접한 공간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상기 유로분리격벽(155)은 상기 드로어(210)에서 낙하된 세탁수가 인접한 공간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통해 드로어(210)에 저장된 섬유유연제, 세제 등은 목적한 급수유로를 통해 터브(20) 내부에 공급될 수 있다. The flow path separation barrier 155 prevents the wash water from overflowing into the adjacent space. Particularly, the flow path separation barrier 155 prevents the wash water dropped from the drawer 210 from flowing into the adjacent space. The fabric softener, detergent, etc. stored in the drawer 210 can be supplied into the tub 20 through the desired water supply channel.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공급부(151)가 위치된 공간을 제 1 공간(121)으로 정의하고, 제 2 공급부(152)가 위치된 공간을 제 2 공간(122)으로 정의한다. The space in which the first supply part 151 is located is defined as the first space 121 and the space in which the second supply part 152 is located is defined as the second space 122. [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공간(121)의 후방 측에 상기 제 2 공급부(152)가 위치된다. 상기 1 공간(121)의 측부에 상기 제 1 공급부(151)가 위치되고, 상기 제 1 공간(121)의 후방에 상기 제 2 공급부(152)가 위치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supply part 152 is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space 121. The first supply part 151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first space 121 and the second supply part 152 is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space 121.

상기 제 1 공간(121)에는 상기 제 1 공급부(151)로 세탁수를 안내하는 스월격벽(153)이 더 형성된다. The first space 121 further includes a swirl partition 153 for guiding the wash water to the first supply part 151.

상기 스월격벽(153)은 세탁수의 배출 속도를 향상시킨다.The swirl partition 153 improves the discharge speed of the wash water.

상기 스월격벽(153)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월격벽(153)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세탁기의 전방 측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된다. The swirl partition wall 153 is formed in an arc shape when viewed in a plan view. The swirl partition wall 153 is formed so as to be convex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washing machine when seen in plan view.

상기 스월격벽(153) 및 유로분리격벽(155)은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스월격벽(153) 및 유로분리격벽(155)은 이격거리(154)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격거리(154)는 스월격벽(153) 및 제 1 격벽(156) 사이에 형성된다. The swirl partition wall 153 and the oil passage partition wall 155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swirl partition wall 153 and the oil passage partition wall 155 form a separation distance 154.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paration distance 154 is formed between the swirl partition 153 and the first partition 156.

상기 스월격벽(153)은 제 1 공급부(151)로 유동되는 세탁수가 회전되게 안내한다. 상기 스월격벽(153)에 의해 세탁수는 상기 제 1 공급부(151)의 내벽을 따라 회전되면서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swirl partition wall 153 guides the washing water flowing into the first supply part 151 to rotate. The washing water can be moved downwar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first supplying part 151 by the swirl partition wall 153.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월격벽(153)은 제 1 공급부(151)의 내부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스월격벽(153)은 상기 제 1 공급부(151)의 내부를 2개로 구획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wirl partition wall 153 is formed so as to extend into the first supply part 151. The swirl partition 153 divides the inside of the first supply part 151 into two parts.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월격벽(153)은 전후 방향으로 상기 제 1 공급부(151)의 내부를 구획한다. 상기 스월격벽(153)은 상기 제 1 공급부(151)를 제 1 스월공간(151a) 및 제 2 스월공간(151b)로 구획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wirl partition 153 divides the inside of the first supply part 151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e swirl partition 153 divides the first supply part 151 into a first swirl space 151a and a second swirl space 151b.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월격벽(153)은 상기 제 1 공급부(151)의 입구 측을 구획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wirl partition 153 separates the inlet side of the first supply part 151.

한편, 상기 로어바디(150)의 제 2 공간(122)에는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터브회피부(158)이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space 122 of the lower body 150 is formed with a turbulent skin 158 which is convex upward.

상기 로어바디(150)는 터브회피부(158)에 의해 터브(20) 외측면에 최대한 밀착될 수 있다. 상기 터브회피부(158)는 세제박스(60) 및 터브(20)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다. The lower body 150 can be as close as possibl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tub 20 by the tubular skin 158. The tubular skin 158 has an advantage of minimizing installation space of the detergent box 60 and the tub 20.

상기 제 1 급수관(130) 및 제 2 급수관(140)에는 터브(20) 내부의 거품 또는 스팀이 세제박스(60)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류방지구조가 설치된다. The first water supply pipe 130 and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140 are provided with a backflow preventing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backflow of the foam or steam inside the tub 20 to the detergent box 60.

상기 제 1 급수관(130)은 제 1 공급부(151) 및 터브(20)의 전방 측을 연결한다. 상기 제 1 급수관(130)을 통해 공급된 세탁수는 세탁물에 직접 낙하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급수관(130)은 터브(20)의 전방에 배치된 개스킷(25)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급수관(130)은 상기 터브(2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급수관(130)에서 공급된 세탁수는 개스킷(25)을 통해 공급되어 터브(20) 및 드럼(30) 사이에 공간으로 유동될 수 있다. The first water supply pipe (130) connects the front side of the first supply part (151) and the tub (20). The wash water supplied through the first water supply pipe 130 does not fall directly onto the laundry.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water supply pipe 130 is connected to a gasket 25 disposed in front of the tub 20. The first water supply pipe 13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tub 20,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sh water supplied from the first water supply pipe 130 may be supplied through the gasket 25 and may flow into the space between the tub 20 and the drum 30.

상기 제 1 급수관(130)은 스팀 또는 거품이 세제박스(6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설치된다. The first water supply pipe (130)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for preventing steam or foam from flowing back to the detergent box (6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급수관(130)은 역류방지구조로서 U트랩 구조가 설치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water supply pipe 130 is provided with a U-trap structure as a backflow prevention structure.

상기 제 1 급수관(130)은 제 1 공급부(151)와 연결되고, 세탁수 또는 세제가 상시 저장되는 U트랩부(132)와, 상기 U트랩(132)와 연결되고, 상기 터브(20)의 전방 측에 연결되는 연결부(134)와, 상기 U트랩부(132) 또는 연결부(1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마모방지부(136)를 포함한다.The first water supply pipe 130 is connected to the first supply unit 151 and is connected to the U-trap 132 via a U-trap 132 where washing water or detergent is always stored. A connection part 134 conn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U-shaped part 132 and a bridge part 136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U-shaped part 132 or the connecting part 134.

상기 제 1 공급부(151)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U트랩부(132)는 제 1 공급부(151)의 하측에 결합된다. 제 1 공급부(151)를 통해 제 1 공간(121)의 세탁수는 U트랩부(132)로 유동된다. The first supply part 151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U-trap part 132 is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first supply part 151. The wash water in the first space 121 flows into the U-trap part 132 through the first supply part 151.

상기 U트랩부(132)에는 일정량의 세탁수 또는 세제가 혼합된 세탁수가 저장된다. 추가 공급되는 세탁수에 의해 상기 U트랩부(132)에 저장된 세탁수가 터브(20)에 공급된다. The U-trap part 132 stores wash water mixed with a predetermined amount of wash water or detergent. And the wash water stored in the U-trap portion 132 is supplied to the tub 20 by the wash water supplied additionally.

상기 U트랩부(132)는 세탁기의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The U-trap portion 132 is dispos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washing machine.

상기 U트랩부(132)는 전방 측 단이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된다.The U-trap portion 132 is installed so that its front side end faces forward.

상기 연결부(134)는 상기 U트랩부(132) 및 터브(20)를 연결한다.The connection part 134 connects the U-trap part 132 and the tub 20.

상기 연결부(134)는 상기 U트랩부(132)의 전방 측 단에 연결된다. The connection portion 134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U-trap portion 132.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134)는 상기 U트랩부(132)의 전방 측 단에 연결된 벤딩연결부(134a)와, 상기 벤딩연결부(134a)에 연결되어 형성되고,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수평연결부(134b)와, 상기 수평연결부(134b)와 연결되고, 아래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터브(20)에 연결되는 경사연결부(134c)를 포함한다. The connection unit 134 may include a bending connection unit 134a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U-trap unit 132 and a horizontal connection unit 134b connected to the bending connection unit 134a, And an inclined connection part 134c connected to the horizontal connection part 134b and inclined downward and connected to the tub 20. [

상기 연결부(134)는 직선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U트랩부(132)의 구조를 고려하여 세탁수가 수평으로 이동된 후, 경사연결부(134c)를 따라 터브(20)의 전방으로 공급된다. The connection portion 134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sh water is horizontally moved in consider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U-trap portion 132, and then supplied to the front of the tub 20 along the inclined connection portion 134c.

상기 U트랩부(132) 및 연결부(134)는 로어바디(150)의 하측에 밀착되게 배치되고, 상기 세탁기 내부 공간에서의 부피를 최소화시킨다. The U trap part 132 and the connection part 134 are disposed closely to the lower side of the lower body 150 to minimize the volume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washing machine.

상기 U트랩부(132)에는 세제박스에 공급된 세제가 일시 저장될 수 있다.The detergent supplied to the detergent box may be temporarily stored in the U-trap portion 132.

세탁수가 공급될 때, 상기 드로어(210)에 저장된 세제는 디스펜서바디(120)를 거쳐 제 1 급수관(130)으로 유동될 수 있다.When washing water is supplied, the detergent stored in the drawer 210 may flow to the first water supply pipe 130 through the dispenser body 120.

상기 드로어(210)에 액체세제가 저장되는 경우, 상기 액체세제는 U트랩부(132)에 일시 저장될 수 있다.When the liquid detergent is stored in the drawer 210, the liquid detergent may be temporarily stored in the U trap part 132.

상기 마모방지부(136)는 세탁기에 진동이 발생될 때, 상기 제 1 급수관(130)에 직접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vibration damper 136 prevents direct impact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first water supply pipe 130 when vibration occurs in the washing machin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마모방지부(136)는 상기 U트랩부(132)에 형성된 제 1 마모방지부(136a) 및 상기 연결부(134)에 형성된 제 2 마모방지부(136b)를 포함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earer's foot 136 includes a first leg portion 136a formed on the U-shaped portion 132 and a second leg portion 136b formed on the connecting portion 134. [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마모방지부(136a)는 터브(20) 측에 형성되고, 터브(20)와의 접촉을 완충한다. 상기 제 2 마모방지부(136b)는 연결부(134) 상측에 형성되고, 로어바디(150)와의 접촉을 완충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마모방지부(136)는 설계에 따라 그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waveguide portion 136a is formed on the tub 20 side to buffer contact with the tub 20. The second leg portion 136b is formed on the connecting portion 134 to buffer the contact with the lower body 150.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its position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esign.

상기 제 2 급수관(140)은 상기 제 2 공급부(152) 및 터브(20)의 측면을 연결한다. 상기 제 2 급수관(140)은 상하 방향으로 세탁수를 낙하시키도록 배치된다.The second water supply pipe 140 connects the side of the second supply part 152 and the tub 20.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140 is arranged to drop wash water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 2 급수관(140)은 적어도 일부에 자바라 구조가 형성되고, 이를 통해 진동 또는 길이 변화를 완충시킬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140 is formed with a bellows structure, which can buffer vibrations or changes in length.

상기 제 2 급수관(140)은 터브(20)의 내측면으로 세탁수를 흘려보낸다. 상기 제 2 급수관(140)은 드럼(30) 및 터브(20) 사이의 공간으로 낙하된다. 상기 제 2 급수관(140)에서 낙하되는 세탁수는 터브(20)의 내측면을 따라 하측으로 유동된다.The second water supply pipe (140) flows wash water through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20).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140 drops into a space between the drum 30 and the tub 20. [ The washing water dropped from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140) flows downwar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20).

상기 제 2 급수관(140)에서 공급된 세탁수는 터브(20)의 내측면을 따라 유동되기 때문에, 세탁수의 낙하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급수관(140)을 통해 공급된 세탁수는 세탁물에 직접 낙하되지 않는다. Since the wash water supplied from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140 flow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20, the drop noise of the wash water can be minimized. The wash water supplied through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140 does not directly fall into the laundry.

상기 제 2 급수관(140)은 스팀 또는 거품이 세제박스(6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설치된다.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140)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for preventing steam or foam from flowing back to the detergent box (60).

상기 제 2 급수관(140)은 상하 방향으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때문에, 제 1 급수관(130)처럼 관로 상에 U트랩을 설치하는 대신 관 내부에 U트랩 구조의 역류방지구조(170)가 설치된다.Since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140 supplies wash wat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 reverse flow preventive structure 170 having a U-trap structure is installed in the pipe instead of installing the U-trap on the pipe like the first water supply pipe 130 .

상기 제 2 급수관(140)과 연결되는 터브(20)에는 제 3 공급부(23)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3 공급부(23)는 관 형상이다. A third supply part 23 protrudes from the tub 20 connected to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140. The third supply part 23 is tubular.

상기 역류방지구조(170)는 상기 제 3 공급부(23) 및 제 2 급수관(140)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역류방지구조(170)는 제 2 급수관(140) 내부 또는 제 3 공급부(23) 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상하 방향으로 2번 절곡되는 유로를 형성한다. The backflow prevention structure 170 is installed between the third supply part 23 and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140. The backflow prevention structure 170 forms a flow path that is bent twic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t least one of the inside of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140 and the inside of the third supply part 23.

상기 역류방지구조(170)는 상기 제 2 급수관(140) 내부에 설치되고, 내측에 형성된 워터홀(181)을 통해 상기 제 2 급수관(140)을 통해 유동된 세탁수를 터브(20)측으로 안내하는 워터가이드(180)와, 상기 제 2 급수관(140) 내벽과 소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제 2 급수관(140)을 통해 유동된 세탁수를 일부 저장하고, 상기 워터가이드(180)의 하단이 내측으로 일부 삽입되어 저장된 세탁수에 잠기는 워터저장부(190)를 포함한다. The backflow preventing structure 170 is installed inside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140 and guides the wash water flowing through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140 to the tub 20 side through a water hole 181 formed inside, The water guide 180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water pipe 140 and partially stores wash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second water pipe 140, And a water storage part 190 which is partially inserted and stored in the wash water.

상기 워터가이드(180)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워터가이드(180)는 상기 제 2 급수관(140) 또는 제 3 공급부(23) 중 어디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급수관(140) 및 제 3 공급부(23)의 연결부분에 설치된다.The water guide 180 i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water guide 180 may be installed in any one of the second supply pipe 140 and the third supply part 23. The second supply pipe 140 and the third supply unit 2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워터가이드(180)는 제 3 공급부(23)의 상단에 상호 걸림된다. 상기 제 2 급수관(140)은 상기 워터가이드(180)를 감싸고, 상기 제 공급부(23)의 상단에 결합된다. The water guide 180 is interlocked with the upper end of the third supply part 23.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140 surrounds the water guide 180 and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water supply unit 23.

상기 워터가이드(180)는 상기 제 공급부(23)에 걸림고정되는 워터가이드바디(182)와, 상기 가이드바디(182)의 내측에 형성되고, 세탁수를 터브(20) 측으로 안내하는 워터홀(181)이 형성되는 가이드부(184)를 포함한다. The water guide 180 includes a water guide body 182 which is engaged with the supply part 23 and a water hole 182 formed inside the guide body 182 for guiding the wash water toward the tub 20 181 are formed.

상기 가이드부(184)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184) 내측에 상기 워터홀(181)이 형성된다. The guide portion 184 is form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water hole 181 is formed inside the guide portion 184.

상기 가이드부(184) 및 가이드바디(182)는 직경이 상이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바디(182)의 직경에 비해 가이드부(184)의 직경이 더 작게 형성된다. The guide portion 184 and the guide body 182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diameters. The diameter of the guide portion 184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guide body 182.

상기 가이드부(184)는 하단이 워터저장부(190)에 삽입되고, 저장된 세탁수에 일부가 잠긴다.The lower end of the guide part 184 is inserted into the water storage part 190, and part of the stored washing water is lock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저장부(190)는 제 3 공급부(23)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공급부(23) 내측면과 소정간격 이격된다. 상기 워터저장부(190)는 상기 가이드부(184)와 소정간격 이격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ter storage unit 190 is disposed inside the third supply unit 23 and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supply unit 23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water storage part 190 is spaced apart from the guide part 184 by a predetermined distance.

그래서 워터저장부(190) 및 가이드부(184) 사이에 제 1 역류방지유로(191)가 형성되고, 워터저장부(190) 및 제 3 공급부(23) 사이에 제 2 역류방지유로(192)가 형성된다. The first backflow prevention flow path 191 is formed between the water storage section 190 and the guide section 184 and the second backflow prevention flow path 192 is provided between the water storage section 190 and the third supply section 23, .

제 1 역류방지유로(191) 및 제 2 역류방지유로(192)는 U트랩을 형성한다.The first backflow prevention flow passage 191 and the second backflow prevention flow passage 192 form a U-trap.

상기 워터저장부(190)는 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저장부(190)의 하측면(195)은 터브(20)의 외측면과 연속된 곡면 상에 배치된다. The water storage unit 190 may be formed in a cup shape. In this embodiment, the lower surface 195 of the water storage part 190 is disposed on a continuous surface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tub 20.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저장부(190)의 하측면(195)은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워터저장부(190)의 하측면(195)은 터브(20)를 형성하는 곡률반경 상에 곡면으로 형성된다.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wer surface 195 of the water storage part 190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The lower surface 195 of the water storage part 190 is curved on the radius of curvature forming the tub 20.

상기 하측면은 제 1, 2 역류방지유로(191)(192)를 통해 공급된 세탁수를 터브(20) 내측면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The lower side has a function of guiding the wash water suppli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backflow prevention flow passages 191 and 192 to the inner side of the tub 20.

상기 제 2 역류방지유로(192)에서 낙하되는 세탁수는 수직으로 낙하될 수도 있고, 상기 터브(20)의 내측면을 따라 유동될 수도 있다.The wash water dropped from the second check flow passage 192 may be vertically dropped or may flow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20.

공급되는 세척수의 압력이 작은 경우, 표면장력에 의해 터브(20)의 내측면을 따라 유동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세탁기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2 역류방지유로(192)는 터브(20)의 측부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f the pressure of the supplied washing water is small, it can flow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20 by surface tension.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check flow passage 19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tub 20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washing machine.

터브(20)의 측부로 제 2 역류방지유로(192)가 밀착될수록 세탁수를 보다 용이하게 터브(20) 내측면을 따라 흘려보낼 수 있다. As the second check flow passage 192 is closely attached to the side of the tub 20, the wash water can be more easily flowed along the inner side of the tub 20.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2 급수관(140)은 터브(20)의 후방 쪽 내측면을 따라 세탁수를 흘려보내도록 설치될 수 있다.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140 may be installed to flow the washing water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side of the tub 20,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제 1 급수관(130) 및 제 2 급수관(140)은 세탁수를 터브에 공급할 있는 유로구조를 제공하되, 터브(20) 내부의 거품 또는 스팀이 세제박스(6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The first water supply pipe 130 and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140 provide a flow path structure for supplying wash water to the tub and prevent the foam or steam inside the tub 20 from flowing into the detergent box 60.

상기 제 1 급수관(130)의 U트랩부(132)에 저장된 세탁수가 터브(20) 내부의 거품 또는 스팀이 세제박스(6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U-trap 132 of the first water supply pipe 130 is prevented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detergent box 60 due to the foam or steam inside the tub 20.

상기 제 2 급수관(140)의 워터저장부(190)에 저장된 세탁수가 터브(20) 내부의 거품 또는 스팀이 세제박스(6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part 190 of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140 blocks the foam or steam inside the tub 20 from flowing into the detergent box 60.

본 실시예에서 급수유닛(50)은 세탁수를 상기 세제박스(60)의 제 1 공간(121) 및 제 2 공간(122)에 구분하여 공급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supply unit 50 can separately supply the washing water into the first space 121 and the second space 122 of the detergent box 60.

본 실시예에서는 본세탁을 위한 세탁수가 상기 제 1 공간(121)에 공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섬유유연제 또는 프리급수를 위한 세탁수가 상기 제 2 공간(122)에 공급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shing water for the main washing is supplied to the first space 121. In this embodiment, the fabric softening agent or wash water for free water supply is supplied to the second space 122.

상기 급수유닛(50)에서 공급된 세탁수는 드로어(210)에서 낙하된 후, 상기 제 1 공간(121) 또는 제 2 공간(122)으로 유동된다. The wash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50 is dropped in the drawer 210 and then flows into the first space 121 or the second space 122.

본세탁을 위해 상기 제 1 공간(121)에 공급된 세탁수는 제 1 급수관(130)을 통해 터브(20)의 전방에 공급된다. 상기 제 1 급수관(130)을 통해 터브(20)에 공급된 세탁수는 세탁물에 직접 닿는 것을 최소화한다. The washing water supplied to the first space 121 for the main washing is supplied to the front of the tub 20 through the first water supply pipe 130. The washing water supplied to the tub 20 through the first water supply pipe 130 minimizes direct contact with the laundry.

마찬가지로, 프리급수 또는 헹굼세제를 위해 제 2 공간(122)에 공급된 세탁수는 터브(20)의 측부 또는 후방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 2 급수관(140)을 통해 터브(20)에 공급된 세탁수도 터브(20)의 내측면을 따라 흘러내리거나 터브(20) 및 드럼(30) 사이에 공간으로 낙하되어 세탁물에 세탁수가 닿는 것을 최소화시킨다. Likewise, the wash water supplied to the second space 122 for the free-water or rinsing detergent may be supplied to the side or rear of the tub 20. The washing water flows down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washing water tub 20 supplied to the tub 20 through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140 or falls into the space between the tub 20 and the drum 30, .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캐비닛 20 : 터브
21 : 터브 내측면 23 : 제 3 공급부
30 : 드럼 33 : 저면
40 : 히터유닛 42 : 히터
50 : 급수유닛 60 : 세제박스
110 : 디스펜서 120 : 디스펜서바디
121 : 제 1 공간 122 : 제 2 공간
130 : 제 1 급수관 132 : U트랩부
134 : 연결부 136 : 마모방지부
140 : 제 2 급수관 150 : 로어바디
160 : 어퍼바디 151 : 제 1 공급부
152 : 제 2 공급부 153 : 스월격벽
155 : 유로분리격벽 156 : 제 1 격벽
157 : 제 2 격벽 158 : 터브회피부
170 : 역류방지구조 180 : 워터가이드
181 : 워터홀 182 : 워터가이드바디
184 : 가이드부 190 : 워터저장부
191 : 제 1 역류방지유로 192 : 제 2 역류방지유로
195 : 하측면 220 : 섬프
221 : 섬프좌측면 222 : 섬프우측면
223 : 섬프베이스 223a : 베이스경사면
224 : 좌측히터고정부 225 : 우측히터고정부
226 : 삽입공간 227 : 섬프공간
230 : 배수부
10: cabinet 20: tub
21: Inside the tub 23: Third supply part
30: drum 33: bottom
40: heater unit 42: heater
50: water supply unit 60: detergent box
110: dispenser 120: dispenser body
121: first space 122: second space
130: first water supply pipe 132: U-trap part
134: connection 136:
140: second water pipe 150: lower body
160: Upper body 151: First supply part
152: second supply unit 153: swirl barrier
155: flow path separation barrier 156: first partition
157: second bulkhead 158: terbricular skin
170: Backflow prevention structure 180: Water guide
181: Water hole 182: Water guide body
184: Guide section 190: Water storage section
191: first backflow prevention flow passage 192: second backflow prevention flow passage
195: Lower side 220: Sump
221: Sump left side 222: Sump right side
223: sump base 223a: base inclined surface
224: Left side heater fixing part 225: Right side heater fixing part
226: insertion space 227: sump space
230:

Claims (15)

외관을 형성하고, 전방에 세탁물이 출입되는 세탁물출입홀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고,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터브 내부에서 회전되는 드럼;
상기 터브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유닛;
상기 터브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내부에 세탁수가 저장되는 섬프공간이 형성되는 터브섬프; 및
상기 터브에 결합되고, 상기 터브섬프 내부에 배치되는 히터유닛;을 포함하고,
정면에서 볼 때, 상기 터브섬프는 좌우 대칭되게 형성된 세탁기.
A cabinet for forming an appearance and having a laundry inlet / outlet hole formed in front of the laundry inlet and outlet;
A tub disposed inside the cabinet and storing wash water;
A drum disposed inside the tub and rotated inside the tub;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sh water to the tub;
A tub sump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tub and having a sump space in which wash water is stored; And
And a heater unit coupled to the tub and disposed inside the tub sump,
The washing machine of claim 1, wherein the tub sump is symmetrically formed.
청구항 1에 있어서,
정면에서 볼 때, 상기 터브의 내측면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터브섬프는,
상기 터브 내측면에서 상기 터브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섬프좌측면;
상기 터브 내측면에서 상기 터브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섬프우측면;
상기 섬프좌측면 및 섬프우측면을 연결하는 섬프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섬프좌측면 섬프우측면은 좌우 대칭되게 형성된 세탁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front view,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tub sump includes:
A sump left side protruding radially outward of the tub at the inner side of the tub;
A sump right side surface protruding radially outward of the tub at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tub;
And a sump base connecting the left side of the sump and the right side of the sump, and the sump right side sump right side of the sump is symmetrically forme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섬프좌측면 및 섬프우측면은 평평하게 형성된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sump right side surface and the sump right side surface are formed fla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섬프좌측면 및 섬프우측면은 수평면과 75°± 10°의 사이각을 형성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sump left side surface and the sump right side surface form an angle of 75 ° ± 10 ° with the horizontal surfac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섬프좌측면 및 터브 내측면의 경계는 상기 드럼의 최하단보다 낮게 형성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2,
And a boundary between the left side of the sump and the inner side of the tub is formed lower than the lowermost end of the drum.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섬프우측면 및 터브 내측면의 경계는 상기 드럼의 최하단보다 낮게 형성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2,
And a boundary between the sump right side surface an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tub is formed lower than the lowermost end of the drum.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섬프베이스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 방향의 경사면으로 형성된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sump base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in a vertical direction.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섬프베이스의 경사면은 후방 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게 형성된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ump base is formed to have a height higher toward the rear sid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수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섬프베이스에는 상기 배수모듈과 연결되는 배수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부는 정면에서 볼 때, 상기 터브섬프의 중앙에 위치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drain module for draining wash water stored in the tub,
Wherein the sump base is formed with a drain portion connected to the drain module, and the drain portion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tub sump when viewed from the front sid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섬프좌측면에서 상기 섬프공간으로 돌출되어 상기 섬프공간의 용적을 축소시키는 좌측히터고정부; 및
상기 섬프우측면에서 상기 섬프공간으로 돌출되어 상기 섬프공간의 용적을 축소시키는 우측히터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측히터고정부 및 우측히터고정부 사이에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히터유닛은 상기 삽입공간에 고정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2,
A left heater fixing part protruding from the left side of the sump to the sump space to reduce the volume of the sump space; And
And a right heater fixing part protruding from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sump to the sump space to reduce the volume of the sump space,
Wherein an insertion space is formed between the left heater fixing portion and the right heater fixing portion, and the heater unit is fixed to the insertion spac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은 상기 섬프공간의 후방 측에 위치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10,
And the insertion space is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sump spac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히터유닛은 상기 터브의 전방 측에서 후방 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히터유닛의 단측이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heater unit is inserted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of the tub and the end side of the heater unit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insertion spac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섬프베이스의 경사면은 후방 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좌측히터고정부 및 우측히터고정부는 상기 섬프베이스의 경사면에 위치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loping surface of the sump base is formed to have a height higher toward the rear side, and the left heater fixing portion and the right heater fixing portion are located on an inclined surface of the sump bas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유닛으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아 상기 터브에 제공하는 세제박스;
상기 세제박스의 세탁수를 상기 터브의 전방에 공급하는 제 1 급수관;
상기 세제박스의 세탁수를 상기 터브의 측부 또는 후방 중 어느 하나에 공급하는 제 2 급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급수관 또는 제 2 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는 상기 드럼으로 낙하되지 않고 상기 드럼 및 터브 사이로 공급되는 세탁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3,
A detergent box receiving the wash water from the water supply unit and supplying the wash water to the tub;
A first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wash water of the detergent box to the front of the tub;
And a second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of the detergent box to one of a side portion and a rear portion of the tub,
Wherein the wash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first water supply pipe or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is supplied to the drum and the tub without being dropped on the drum.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 2 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는 상기 터브의 내측면을 따라 흘러내리게 구성된 세탁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the wash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flow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KR1020150138011A 2015-09-30 2015-09-30 Washing machine KR1024367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011A KR102436709B1 (en) 2015-09-30 2015-09-30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011A KR102436709B1 (en) 2015-09-30 2015-09-30 Wash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527A true KR20170038527A (en) 2017-04-07
KR102436709B1 KR102436709B1 (en) 2022-08-26

Family

ID=58583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011A KR102436709B1 (en) 2015-09-30 2015-09-30 Wash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670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9160A (en) * 2009-05-28 2010-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machine
KR20120108738A (en) * 2011-03-25 2012-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Washing machine
KR20140102016A (en) * 2013-02-13 2014-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machine and a control mehtod of the same
KR20150073445A (en) * 2013-12-23 2015-07-01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Drum type washing ma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9160A (en) * 2009-05-28 2010-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machine
KR20120108738A (en) * 2011-03-25 2012-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Washing machine
KR20140102016A (en) * 2013-02-13 2014-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machine and a control mehtod of the same
KR20150073445A (en) * 2013-12-23 2015-07-01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Drum type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6709B1 (en) 2022-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0919B2 (en) Detergent supply apparatus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US7313934B2 (en) Detergent injecting device for washer
US20120125055A1 (en) Detergent supply devic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US20180282931A1 (en) Washing machine
US20050235704A1 (en) Detergent container of washing machine
CA2715089C (en) Laundry treating device
KR20140018920A (en)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apparatus
US11001953B2 (en) Washing machine
US20230323588A1 (en) Washing machine
US7322217B2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US8006522B2 (en) Liquid detergent dispensing system for a washing machine
KR20130033225A (en) Detergent dispenser and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the same
US10954623B2 (en)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US20100132416A1 (en) Washing Machine and Tub Cover of the Same
KR102487866B1 (en) Washing machine
KR20170038527A (en) Washing machine
US10975508B2 (en) Clothing treatment device
KR20220049911A (en)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487865B1 (en) Washing machine
KR20120136802A (en) Air sealing device for washer
US11913161B2 (en) Washing machine
AU2017391737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10088954A (en) A laundry treatment machine
KR20100105198A (en) A laundry treatment machine
KR20180023287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