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8358A - Charg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Charg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8358A
KR20170038358A KR1020150137637A KR20150137637A KR20170038358A KR 20170038358 A KR20170038358 A KR 20170038358A KR 1020150137637 A KR1020150137637 A KR 1020150137637A KR 20150137637 A KR20150137637 A KR 20150137637A KR 20170038358 A KR20170038358 A KR 20170038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terminal
charg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76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34399B1 (en
Inventor
김현준
Original Assignee
(주)에스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피에스 filed Critical (주)에스피에스
Priority to KR1020150137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4399B1/en
Priority to PCT/KR2016/010834 priority patent/WO2017057894A1/en
Priority to CN201610875946.1A priority patent/CN106849208A/en
Priority to CN201621103206.8U priority patent/CN206379734U/en
Publication of KR20170038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83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3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2J7/0052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6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connection detect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02J2007/009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ing cradle to activate software installed in a mobile terminal and a charg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comprises: a terminal case including a connector connected to a charging port of the mobile terminal, having a pattern electrode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formed on a rear surface, and mounting a plurality of magnets around the pattern electrode part; and a charging cradle mounting pin terminals connected to the pattern electrode and magnets magnetically combined with the magnets on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case. The charging cradle comprises: a terminal detection unit detecting contact of the terminal case; a control unit transferring and controlling software activation information for activating predetermined software installed in the terminal according to a terminal detection result; and a communication unit transmitting the software activ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control unit to the mobile terminal combined with the terminal case.

Description

충전 거치대 및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CHARG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CHARG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 "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충전 거치대와 그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ing apparatus for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rging stand for activating software installed in a mobile terminal and a charg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스마트폰, 테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단말기는 이동성이 좋고 휴대가 간편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는 IT 기기이다.Mobile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PCs are widely used IT devices because they are portable and portable.

모바일 단말기의 기술개발동향은 소형 경량화, 데이터 액세스 속도의 고속화는 물론, 배터리 충전의 편이성, 사용시간의 연장, 주변 기기와의 연동, 웨어러블 적용여부 등에 집중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The trend of technology development of mobile terminal is focused not only on small size and light weight, high speed of data access speed, convenience of battery charging, extension of use time, interworking with peripheral devices, wearable application.

일반적으로 모바일 단말기는 어댑터와 같은 전원 공급기를 통해 직류전원을 공급받거나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어댑터는 입력된 상용 교류전원을 설정된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직류전원을 공급받기 위해서 모바일 단말기의 암 커넥터는 어댑터의 수 커넥터와 결합되어 사용된다.Typically, the mobile terminal is powered by a power supply such as an adapter, or is charged with the built-in battery. The adapter converts the inputted commercial AC power into a set DC voltage. To receive DC power, the female connector of the mobile terminal is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male connector of the adapter.

이러한 방식은 커넥터의 연결 과정에서 커넥터 손상이 유발될 수 있으며 사용상 불편함이 수반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그네틱을 커넥터에 이용한 사례가 소개(미국공개특허 제2010-0080563호, 한국등록특허 제1116159호)되고 있지만, 이와 같은 연결 장치도 제1 연결몸체를 원하는 각도로 고정할 수가 없으며, 제2 연결몸체에 다수의 패턴형성부가 형성되어 있어 사이즈가 커지는 문제점이 존재한다.Such a method may cause connector damage during connection of the connector and inconvenience to use.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n example in which a magnetic member is used in a connector is disclosed (U.S. Patent Publication No. 2010-0080563 and Korean Patent No. 1116159). However, such a connecting apparatus can also fix the first connecting body at a desired angle There is a problem that a plurality of pattern forming portions are formed on the second connection body and the size increases.

최근에는 충전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로서 무선 충전방식을 이용한 충전기들로 소개되고 있는데, 무선 충전방식인 무접점 충전기는 설계가 복잡함과 아울러 제조 단가가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원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되어 등록된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한국등록특허 10-1204510호)가 있다.Recently, as a technology for providing convenience of charging, chargers using a wireless charging system have been introduced. However, a wireless charger, a non-contact charger,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design is complicat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In order to overcome this disadvantage, there is a "charg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Korean Patent No. 10-1204510), which was filed and registered by the present applicant.

예시한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는 마그네트를 이용하여 단말기와 충전 거치대를 자기적으로 결합함과 동시에 전기단자를 상호 매칭시킴으로써, 모바일 단말기를 편리하게 충전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The illustrated "charg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 provides a device that can conveniently charge a mobile terminal by magnetically coupling a terminal and a charging cradle using a magnet and matching electrical terminals with each other.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는 크게 단말기 케이스와 충전 거치대를 포함하는데, 충전 거치대는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차량, 거실, 주방, 데스크 등에 부착되어 사용된다.Such a charg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largely includes a terminal case and a charging cradle, and the charging cradle is attached to a vehicle, a living room, a kitchen, a desk, or the like,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mobile terminal user.

즉, 본원 출원인에 의해 개발된 충전 장치의 충전 거치대는 충전시 단순히 모바일 단말기를 지지함과 동시에 전원공급경로를 제공하는 용도로 제한적이기 때문에, 본원 출원인은 모바일 단말기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진시킴과 아울러 충전 거치대의 용도를 확장시키기 위한 새로운 방안을 강구하기에 이르렀다.That is, since the charging stand of the charging apparatus develop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limited to the application for simply supporting the mobile terminal and providing the power supply path at the time of charging,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aware of the fact that, And to find new ways to expand the use of cradle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04510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204510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킴과 아울러 상술한 충전 장치 거치대의 용도를 확장시키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던 중 창안된 발명으로써, 충전을 위해 모바일 단말기가 결합 혹은 접촉하는 경우에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자동 실행시킬 수 있는 충전 거치대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in order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mobile terminal user and to expand the use of the above-described charging apparatus crad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engaged or contacted for charging, It is intended to provide a charging stand capable of automatically executing software.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충전을 위해 모바일 단말기가 결합 혹은 접촉하는 경우에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활성화해야 할 필요가 있는 소프트웨어를 자동 실행시킬 수 있는 충전 거치대와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arging station that can automatically execute software that needs to be activate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user when the mobile terminal is coupled or contacted for charg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충전을 위해 모바일 단말기가 결합 혹은 접촉하는 경우에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활성화해야 할 필요가 있는 소프트웨어를 유선 채널 혹은 무선 채널을 통해 자동 실행시킬 수 있는 충전 거치대와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를 제공함에 있으며,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automatically executing software that needs to be activate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of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mobile terminal is coupled or contacted for charging through a wired channel or a wireless channel And a charging device for the mobile terminal,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결합 혹은 접촉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획득하여 사물 인터넷망을 통해 서비스 제공서버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가 위치하는 공간에서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받거나 사용자가 위치하는 공간의 사물을 제어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충전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It is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in which a mobile terminal user is provided with an optimal service in a space in which a mobile terminal user is locat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rging stand capable of controlling an object in a space where it is located.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는 모바일 단말기 혹은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와 결합 혹은 접촉하여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거치대로서,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harging stand for charging or supplying a charging power by being in contact with or contacting with a mobile terminal or a mobile terminal case,

모바일 단말기 혹은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의 결합 혹은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단말기 감지부와;A terminal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engagement or contact of the mobile terminal or the mobile terminal case;

단말기 감지결과에 따라 단말기에 설치된 특정 소프트웨어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 활성화정보를 전송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of software activation information for activating specific software installed in the terminal according to a terminal detection result;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전송된 소프트웨어 활성화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 혹은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로 송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며,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software activ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control unit to the mobile terminal or the mobile terminal case,

상기 단말기 감지부는 홀 센서, 물체감지센서,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단자로 공급되는 전원라인을 통해 전원공급 여부를 체크할 수 있는 전원지연 회로부 중 어느 하나임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terminal sensing unit is any one of a hall sensor, an object sensor, and a power supply delay circuit for checking whether power is supplied through a power line supplied to a charging terminal of the mobile terminal.

더 나아가 상기 통신부는 상기 소프트웨어 활성화 정보를 근거리 무선 송신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임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communication unit i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short-distance wireless transmission of the software activation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는,The charging 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단자와 접속되는 커넥터가 구비되며, 상기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패턴전극부가 배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패턴전극부 주변에 복수의 마그네트들이 장착되어 있는 단말기 케이스와;A terminal case having a pattern electrode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and having a plurality of magnets moun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pattern electrode portion;

상기 단말기 케이스와 접촉하는 면에 상기 패턴전극과 접촉하기 위한 핀 단자들 및 상기 마그네트들과 자기적으로 결합하기 마그네트들이 장착되어 있는 충전 거치대를 포함하되, 상기 충전 거치대에는, And a charging cradle having pin terminals for making contact with the pattern electrodes on the surface contacting the terminal case, and magnets magnetically coupled with the magnets are mounted on the charging cradle,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단말기 감지부와;A terminal sensing unit for sensing contact of the terminal case;

단말기 감지결과에 따라 단말기에 설치된 특정 소프트웨어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 활성화정보를 전송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of software activation information for activating specific software installed in the terminal according to a terminal detection result;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전송된 소프트웨어 활성화 정보를 상기 단말기 케이스에 결합된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software activ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control unit to the mobile terminal coupled to the terminal cas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는,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모바일 단말기 혹은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와의 결합 혹은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단말기 감지부와;A terminal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connection or a contact with the mobile terminal or the mobile terminal case;

단말기 감지결과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수신된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를 충전 거치대 식별정보와 함께 사물 인터넷망을 통해 지정 서버로 전송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A control unit for requesting transmission of the mobi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erminal detection result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mobi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in response to the request to the designated server through the object internet network together with the charge restrai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상기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신호를 충전 거치대에 결합 혹은 접촉된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하고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와 충전 거치대 식별정보를 사물 인터넷망으로 송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통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며,And transmits the signal requesting transmission of the mobi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coupled to or contacted with the charging stand, receiving the mobi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mobi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charging st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one or more communication units for transmitting data to the Internet network,

상기 통신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이거나,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따르는 복수의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임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r a plurality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conforming to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은 충전 거치대에 모바일 단말기가 결합 혹은 접촉하는 경우에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자동 실행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 활성화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측으로 유선 혹은 무선으로 전송해 주기 때문에 혹은 모바일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유선 혹은 무선으로 전송해 주기 때문에, 별도의 조작 없이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obile terminal is coupled or contacted with the charging cradle, software activation information for automatically executing the software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by wire or wirelessly It is convenient to activate the software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without any special operation since it transmits the data through the wired or wireless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mobile terminal.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와 충전 거치대가 자기적으로 결합하여 단말기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충전 장치가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자동 활성화시키는 수단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충전 장치의 용도를 확장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It is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arging device for automatically charging a mobile terminal by automatically charging the mobile terminal by magnetically coupling the mobile terminal case and the charging st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extended.

또한 본 발명은 충전 거치대에 결합 혹은 접촉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획득하여 충전 거치대 식별정보와 함께 사물 인터넷망을 통해 지정된 서비스 제공서버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는 자신이 위치하는 공간에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받거나 사용자가 위치하는 공간의 사물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coupled to or in contact with the charging stand is acquired and transmitted to the designated service providing server through the object internet network together with the charging st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ervice can be provided or the object of the space in which the user is located can be conveniently controlled.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충전 장치의 구성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에서 모바일 단말기의 회전 상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케이스 분리 구성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의 분리 구성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의 블럭 구성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지연 회로부 구성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가 활성화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는 사물 인터넷망과 연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의 주변 네트워크 구성 예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충전 거치대(200)의 또 다른 블럭 구성 예시도.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충전 거치대(2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 예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rotating state of a mobile terminal in a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separating a terminal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illustration of an example of a separation configuration of a charg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block diagram of a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power supply delay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ctivating software installed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eripheral network configuration of a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be connected to a matter Internet.
Fig. 10 is another example block diagram of the charging cradle 200 shown in Fig. 9. Fig.
Fig. 11 is an exemplary operational flo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harging cradle 200 shown in Fig. 9;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하기에서 설명되는 용어중 "소프트웨어"란 컴퓨터 시스템을 가동시키는데 필수가 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이용자 측의 업무에 특유한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개념인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아울러 충전을 위해 충전 거치대와 같이 별도의 장치에 결합되어 충전 전원을 공급받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예를 들면, 스마트폰, 테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을 하기에서는 단순히 모바일 단말로 정의하여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 역시 본원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되어 등록된 "모바일 단말기 충전 장치"의 충전 거치대에 적용된 사례를 들어 실시예를 설명하겠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모바일 단말기 혹은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와 결합 혹은 접촉하여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모든 형태(유, 무선 충전방식)의 충전 거치대에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기술적 구성을 포함시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를 구현할 수 있다.The term "softwar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defined as a concept including system software necessary for operating a computer system and application programs specific to the user on the user side. Mobile devices (for example, a smart phone, a tablet PC, a wearable device, etc.) that are connected to a separate device such as a charging stand to receive charging power for charging are simply defined as mobile terminal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mobile terminal or a charging station, A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including a technical configuration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type of charging cradle (a wireless charging type) in which charging power is supplied by being in contact with or in contact with the mobile terminal case .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용어 중 소프트웨어 활성화 정보는 피활성 소프트웨어의 식별정보, 충전 거치대 식별정보(이는 충전 거치대 부착기기의 식별정보와 동일 의미인 것으로 한다),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식별정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들은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정보로 이용됨은 물론,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혹은 인터넷망을 통해 연결 가능한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에게 사용자 위치에 기반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위치기반정보로도 사용될 수 있다. 즉, 충전 거치대 식별정보 혹은 충전 거치대 부착기기의 식별정보는 위치기반정보와 동일 의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oftware activation information among the terms describ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ctive softwa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harging cradle (which is equivalent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with the charging cradle) Such information may be used as information for activating the software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as well as software installed on the mobile terminal or a service based on the user location, It can also be used as location-based information necessary for providing. That i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harging cradle o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with the charging cradle can be interpreted to have the same meaning as the location-based information.

우선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충전 장치의 구성도를 예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200)에서 모바일 단말기의 회전 상태를,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케이스 (100)의 분리 구성도를,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200)의 분리 구성도를 각각 예시한 것이다.1 and 2 illustrate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mobile terminal is rotated in a charging cradl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cas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paration structure of a charging cradl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 충전 장치는 단말기 케이스(100)와 충전 거치대(2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mobile terminal charging device includes a terminal case 100 and a charging cradle 200.

단말기 케이스(100)는 탄성이 있는 폴리머 기재(substrate)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하부에 모바일 단말기(10)의 충전단자(15)와 접속되는 커넥터(103)가 구비되며, 배면의 표면에 동심원 형상의 패턴 전극부(110)가 형성되어 커넥터(10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패턴 전극부(110)의 내측에 제1마그네트(130)가 내장되며, 패턴 전극부(110)의 주변에 패턴 전극부(110)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제2마그네트(150)가 내장되어 있다. 여기서, 제1마그네트(130)는 패턴 전극(111~114)으로 인해 패턴 전극부(110)에 내장되어야 하나, 제2마그네트(150)는 케이스에 내장 또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패턴 전극부(110)는 원형 기판(117) 상에 전극이 동심원 형태로 패터닝되어 있으며, 패턴 전극(111~114)은 전원단자(113(V+), 114(GND))와 데이터단자(111(D+), 112(D-))가 각각 동심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The terminal case 100 is made of elastic polymer substrate or plastic and has a connector 103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15 of the mobile terminal 10 at a lower portion thereof. The patterned electrode part 110 of the pattern electrode part 110 is form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103. The first magnet 130 is embedded inside the patterned electrode part 110, The second magnet 150 is installed at the same distance from the first magnet 110. Here, the first magnet 130 should be embedded in the pattern electrode unit 110 due to the pattern electrodes 111 to 114, but the second magnet 150 may be embedded in the case or exposed to the outside. The pattern electrodes 110 are patterned in the form of concentric circles on the circular substrate 117. The pattern electrodes 111 to 114 are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s 113 (V +) and 114 (GND) D +), and 112 (D-) may be arranged concentrically.

충전 거치대(200)는 패턴 전극부(110)에 대응되는 핀 단자부(210)를 구비하는데, 핀 단자부(210)에는 패턴 전극(111~114)과 각기 접촉되는 판 스프링 형태의 핀 단자(211(D+), 212(D-), 213(V+), 214(GND))가 형성되어 있다.The charge holder 200 includes a pin terminal 210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electrode 110. The pin holder 210 has a plate spring pin terminal 211 D +), 212 (D-), 213 (V +), and 214 (GND).

핀 단자부(210)의 내측에는 제1마그네트(130)와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제3마그네트(230)가 내장되며, 핀 단자부(210)의 주변에 핀 단자부(210)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제2마그네트(150)와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제4마그네트(250)가 내장되어 있다.A third magnet 230 magnetically coupled with the first magnet 130 is embedded in the pin terminal portion 210. The second magnet 230 is disposed around the pin terminal portion 210 at the same distance from the pin terminal portion 210. [ And a fourth magnet 250 magnetically coupled to the second magnet 150 is incorporated.

여기서, 제3마그네트(230)는 핀 단자(211~214)로 인해 핀 단자부(210)에 내장되어야 하나 제4마그네트(250)는 충전 거치대에 내장 또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충전 거치대(200)에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상용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어댑터가 연결될 수 있다.Here, the third magnet 230 may be embedded in the pin terminal 210 due to the pin terminals 211 to 214, but the fourth magnet 250 may be disposed inside or exposed to the charging stand. The charging cradle 200 may be connected to an adapter for converting commercial AC power inputted from the outside into DC power.

단말기 케이스(100)의 패턴 전극부(110) 주변에 내장되는 제2마그네트(150)는 패턴 전극부(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수평축과 수직축에 대하여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충전 거치대(200)의 제4마그네트(250)는 제2마그네트(15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The second magnet 150 embedded in the periphery of the pattern electrode unit 110 of the terminal case 100 is dispos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axis and the vertical axi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pattern electrode unit 110,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agnet (150).

단말기 케이스(100)의 제1마그네트(130)와 제2마그네트(150)는 서로 다른 자극으로 배치될 수 있고, 충전 거치대(200)의 제3마그네트(230)와 제4마그네트(250)도 서로 다른 자극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마그네트(130)가 N극이면 제2마그네트(150)는 S극일 수 있고, 제3마그네트(230)가 S극이면 제4마그네트(250)는 N극일 수 있다.The first magnet 130 and the second magnet 150 of the terminal case 100 can be disposed with different magnetic poles and the third magnet 230 and the fourth magnet 250 of the charging cradle 200 It can be placed with other stimuli. For example, if the first magnet 130 is an N pole, the second magnet 150 may be an S pole, and if the third magnet 230 is an S pole, the fourth magnet 250 may be an N pole.

충전 거치대(200)의 핀 단자부(210)는 내장된 판 스프링의 일부(핀 단자임)가 스폿 형태로 홀(218)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며, 각 핀 단자(211~214)는 동심원 형태의 패턴 전극(111~114)에 1:1로 대응되도록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핀 단자(211~214)는 패턴 전극(111~114)에 1:1로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패턴 전극(111~114)의 중심 전극(111)에 대응되는 중심 단자(211)로부터 좌/우측으로 번갈아가며 서로 다른 거리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접지 단자(214; GND)의 경우에는 전원의 안전상 복수 개의 핀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pin terminal portion 210 of the charging stand 200 has a shape in which a part of the built-in leaf spring (pin terminal) protrudes outward through the hole 218 as a spot, and each of the pin terminals 211 to 214 And may be arranged in a line so as to correspond to the concentric circular pattern electrodes 111 to 114 at a ratio of 1: 1. The pin terminals 211 to 214 correspond to the pattern electrodes 111 to 114 at a ratio of 1: 1 and the center terminals 211 corresponding to the center electrode 111 of the pattern electrodes 111 to 114 They can be arranged on different distances alternately to left / right. Here, in the case of the ground terminal 214 (GND), it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pins for safety of the power source.

도 3과 같이 단말기 케이스(100)가 충전 거치대(200) 상에서 설정된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도 2와 같이 제2마그네트(150)가 적어도 4개 이상 구성될 수 있으며, 각 마그네트(151~154) 간의 거리(d1, d2, d3, d4)도 서로 동일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이때, 각 마그네트(151~154)는 중심전극(111)으로부터의 거리도 동일하게 배치되어야 한다. 물론, 충전 거치대의 제4마그네트(250)는 제2마그네트(15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As shown in FIG. 3, at least four second magnets 150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2 so that the terminal case 100 can be rotated at an angle set on the charging cradle 200 as shown in FIG. 3. The magnets 151 to 154, (D1, d2, d3, d4) must be arranged so as to be equal to each other. At this time, the distances of the magnets 151 to 154 from the center electrode 111 should be the same. Of course, the fourth magnet 250 of the charging stand should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agnet 150.

단말기 케이스(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1)와 배면 커버(105)로 이루어져 있다. 본체(101)의 내측과 배면 커버(105)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고, 본체(101) 내측에는 제1마그네트(130)가 지지부(140)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제1마그네트(130) 주변에 제1마그네트(130)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제2마그네트(150)가 각기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배면 커버(105)의 중심에 관통 홀(107)이 형성되어 있고, 원형 기판(117)에 형성된 동심원 형태의 패턴 전극부(110)는 관통 홀(107)에 끼워져 외부로 노출되며 소정의 스페이서(120)를 통해 지지부(140)에 결합된다. 지지부(140)는 본체(101) 내측에 접착제나 초음파 접착 등으로 접합되며, 지지부(140)에 스페이서(120)가 접합될 수 있다. 패턴 전극부(110)의 도선(119)은 패턴 전극부(110)의 하단 면에서 납땜되어 전면의 커넥터(10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제2마그네트(150)의 경우 본체(101) 내측이 아니라 배면 커버(105) 측에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The terminal case 100 includes a main body 101 and a back cover 105, as shown in FIG. The first magnet 130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1 by the support portion 140 and the first magnet 130 is surrounded by the first magnet 130 And the second magnet 150 is installed at the same distance from the first magnet 130. The concentric circular pattern electrode portion 110 formed on the circular substrate 117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07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is coupled to the support 140 through the spacer 120. The supporting part 140 is bond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1 by an adhesive or ultrasonic bonding, and the spacer 120 may be bonded to the supporting part 140. The conductor 119 of the pattern electrode unit 110 is soldered at the lower end face of the pattern electrode unit 11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103 at the front side. Here, the second magnet 150 may be fixed to the back cover 105 side instead of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1.

한편 도 4에서 보듯이, 제2마그네트(150)는 제1 마그네트(130)보다 자기력을 약화시키기 위하여 작은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만일, 제2마그네트(150)의 자기력이 제1마그네트(130)보다 강할 경우에는 단말기 케이스(100)가 충전 거치대(200) 상에서 자유롭게 회전되는 것이 쉽지 않을 것이다. 즉, 제1마그네트(130)는 단말기케이스(100)의 회전시 회전축이 되는 것이므로, 강한 자기력을 갖는 것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좋을 수 있다. 하지만, 제2마그네트(150)의 경우에는 회전축이 아니라 회전되는 부분이므로 제1마그네트(130)보다 약한 자기력을 갖는 것이 자유로운 회전에 있어 유리하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해 충전 거치대(200)의 제4마그네트(250)도 제3마그네트(230)보다 작은 사이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s shown in FIG. 4, the second magnet 150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er size to weaken the magnetic force than the first magnet 130. If the magnetic force of the second magnet 150 is stronger than that of the first magnet 130, it may not be easy for the terminal case 100 to freely rotate on the charging cradle 200. That is, since the first magnet 130 serves as a rotating shaft when rotating the terminal case 100,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magnet 130 has a strong magnetic force because it can secure stability. However, in the case of the second magnet 150, since it is a rotating part, not a rotating shaft, it is advantageous for free rotation to have a weaker magnetic force than the first magnet 130. For this reas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ourth magnet 250 of the charging stand 200 use a smaller size than the third magnet 230.

충전 거치대(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1)와 전면 커버(205)로 이루어져 있다. 전면 커버(205)와 본체(201)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본체(201)에는 소정의 고정부재(220)에 의해 제3마그네트(230)가 고정 설치되며, 핀 단자부(210)는 고정부재(220)에 결합되어 본체(201)에 고정 설치된다. 전면 커버(205)의 배면에는 제3마그네트(230) 주변에 제3마그네트(230)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제4마그네트(250)가 각기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면 커버(205)의 중심에 관통 홀(207)이 형성되어 있고, 원판형의 핀 단자부(210)는 전면 커버(205)의 관통 홀(207)에 끼워져 외부로 노출된다. 핀 단자(211~214)의 도선(219)은 각 단자의 일 측에 납땜되어 본체(201)에 형성된 커넥터(20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커넥터(203)에는 어댑터가 연결될 수 있다. 핀 단자(211~214)는 패턴 전극(111~114)과 마찬가지로 전원단자(213(V+), 214(GND))와 데이터단자(211(D+), 212(D-))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 케이스(100)의 패턴 전극부(110)와 충전 거치대(200)의 핀 단자부(210) 간의 정확한 매칭을 위하여 제1마그네트(130)와 제3마그네트(230) 및 제2마그네트(150)와 제4마그네트(250)의 정확한 배치가 가장 중요하다.As shown in FIG. 5, the charging cradle 200 includes a main body 201 and a front cover 205.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front cover 205 and the main body 201. A third magnet 230 is fixed to the main body 201 by a predetermined fixing member 220, And is fixed to the main body 201 by being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220. A fourth magnet 250 is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front cover 205 at the same distance from the third magnet 230 around the third magnet 230. A through-hole 207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ront cover 205. The disk-shaped pin terminal 21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07 of the front cover 205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lead wires 219 of the pin terminals 211 to 214 are soldered to one side of each terminal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203 formed in the main body 201. An adapter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or 203. The pin terminals 211 to 214 may be formed of the power terminals 213 (V +) and 214 (GND) and the data terminals 211 (D +) and 212 (D-) in the same manner as the pattern electrodes 111 to 114 . The first magnet 130, the third magnet 230, and the second magnet 150 (see FIG. 1) may be accurately matched between the pattern electrode unit 110 of the terminal case 100 and the pin terminal unit 210 of the charging stand 200. And the fourth magnet 250 are most important.

마주하는 마그네트들의 배치가 정확하다 하더라도 단말기 케이스(100)와 충전 거치대(200)가 접촉되는 과정에서 전극이 일시적으로 미스매칭되어 쇼트(short)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원 출원인에 의해 선등록된 충전 장치의 충전 거치대(200)는 전원지연 회로부(270)를 더 포함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7에서 부연 설명하기로 한다.Even if the opposing magnets are arranged correctly, the electrodes may be temporarily mismched during the contact between the terminal case 100 and the charging cradle 200, resulting in a short circuit. In consideration of this, the charging cradle 200 of the charging apparatus pre-registered by the present applicant further includes a power supply delay circuit unit 270, which will be furth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200)의 블럭 구성도를 예시한 것이다.FIG. 6 illustrates a block diagram of a charging cradl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200)는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예를 들면 특정 앱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구성들, 즉 모바일 단말기 혹은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100)의 결합 혹은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단말기 감지부(400)와,6, the charging cradl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oftware installed in a mobile terminal, for example, a configuration necessary for activating a specific application, that is, A terminal detection unit 400 for detecting a connection or a contact,

단말기 감지결과에 따라 단말기에 설치된 특정 소프트웨어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 활성화정보를 전송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10)와,A control unit 410 for transmitting and controlling software activation information for activating specific software installed in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terminal detection result,

상기 제어부(410)에 의해 전송된 소프트웨어 활성화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 혹은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100)로 송신하기 위한 통신부(420)를 포함한다.And a communication unit 420 for transmitting the software activ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control unit 410 to the mobile terminal or the mobile terminal case 100.

단말기 감지부(400)는 홀 센서로 구현 가능하다. 홀 센서는 단말기 케이스(100)가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충전 거치대(200) 면에 장착되며 홀 센서에 대응하는 마그네트는 단말기 케이스(100)의 배면에 장착된다. 홀 센서와 마그네트의 장착위치는 충전 거치대(200)에 형성된 핀 단자부(210)와 단말기 케이스(100)에 형성된 패턴 전극부(110)가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경우 홀 센서와 마그네트 역시 서로 마주볼 수 있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되면 된다.The terminal sensing unit 400 may be implemented as a hall sensor. The Hall sensor is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charging cradle 200 to which the terminal case 100 is magnetically coupled, and the magnet corresponding to the Hall sensor is moun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terminal case 100. The Hall sensors and the magnets may be positioned so that the Hall sensor and the magnet may face each other when the pin terminal unit 210 formed on the charging stand 200 and the pattern electrode unit 110 formed on the terminal case 100 physically contact each other It can be mounted in a position where it can be.

홀 센서 외에 단말기 케이스(100)와의 접촉 혹은 결합을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초음파 방식의 여러 물체감지센서를 단말기 감지부(400)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전원지연 회로부(270)의 전원라인(PL1)의 전원레벨을 모니터하여 단말기 혹은 단말기 케이스(100)의 결합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전원지연 회로부(270) 역시 단말기 감지부(400)로 사용 가능하다.An infrared sensor or an ultrasonic sensor may be used as the terminal sensing unit 400 for sensing contact or coupling with the terminal case 100 in addition to the Hall sensor. Since the power level of the line PL1 can be monitored to detect the combination of the terminal or the terminal case 100, the power delay circuit 270 can also be used as the terminal sensing unit 400. [

한편, 통신부(420)는 상기 소프트웨어 활성화 정보를 근거리 무선 송신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로서, 블루투스 모듈, 비콘 모듈, 무선랜 모듈로 구현 가능하며, 단순히 NFC태그, RF 태그 등으로 소프트웨어 활성화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communication unit 420 may be implemented as a Bluetooth wireless module, a beacon module, or a wireless LAN module for short-range wireless transmission of the software activation information. The communication unit 420 may provide software activation information using an NFC tag or an RF tag You can do it.

더 나아가 상기 통신부(420)는 모바일 단말기에 형성된 충전단자에 결합 혹은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에 형성된 패턴 전극부(110)에 접촉하는 핀 단자를 구성하는 데이터 단자를 통해 상기 소프트웨어 활성화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모바일 단말기측에서는 충전단자를 구성하는 데이터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소프트웨어 활성화 정보를 복원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이 필요하다. Furthermore, the communication unit 420 may transmit the software activation information through a data terminal that is coupled to a charging terminal formed in the mobile terminal or constitutes a pin terminal contacting the pattern electrode unit 110 formed in the mobile terminal case. In this case, the mobile terminal needs a technical means for restoring the software activation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data terminal constituting the charging terminal.

한편, 상기 소프트웨어 활성화 정보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활성화되는 소프트웨어(이를 피활성 소프트웨어라 정의할 수 있음)의 식별정보, 충전 거치대 식별정보,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식별정보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제어부(410)의 내부 메모리 혹은 외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액세스된 후 모바일 단말기 측으로 전송된다.Meanwhile, the software activation information is any one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oftware activated by the mobile terminal (which may be defined as the active software), the charging crad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Stored in a memory or an external memory, and then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지연 회로부(270)의 구성을 예시한 것이다.7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the power supply delay circuit unit 2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원지연 회로부(270)는 핀 단자부(210)로 공급되는 전원을 지연시킴과 아울러 핀 단자부(210)로 공급되는 전원을 감시하여 전원레벨이 일정레벨 이하일 경우 핀 단자부(21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전원지연 회로부(270)는 제1스위칭소자(Q1), 제2스위칭소자(Q2), 전원 프로텍터(U1) 및 연산증폭부(U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The power supply delay circuit unit 270 delays the power supplied to the pin terminal unit 210 and monitors the power supplied to the pin terminal unit 210. When the power supply level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The power supply delay circuit unit 270 includes a first switching device Q1, a second switching device Q2, a power supply protector U1, and an operational amplifier unit U2.

제1스위칭소자(Q1)는 본체(201)에 형성된 입력 커넥터(203)와 핀 단자부(210)의 전원단자(V+) 사이의 전원라인(PL1)에 전류통로가 연결되며,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410)는 상기 전원라인(PL1)에 흐르는 전류를 모니터하여 모바일 단말기 혹은 단말기 케이스(100)의 접촉여부를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제2스위칭소자(Q2)는 제1스위칭소자(Q1)의 게이트와 접지전압(GND) 사이에 전류통로가 연결되며,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first switching element Q1 is connected to the power line PL1 between the input connector 203 formed in the main body 201 and the power terminal V + of the pin terminal portion 210, As shown in FIG. The controller 410 may monitor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power line PL1 to detect whether the mobile terminal or the terminal case 100 is in contact. The second switching device Q2 is configured such that a current path is connected between the gate of the first switching device Q1 and the ground voltage GND and is switched according to the input control signal.

전원프로텍터(U1)는 전원라인(PL1)의 전원레벨이 일정레벨 이상일 경우 제2스위칭소자(Q2)와 제1스위칭소자(Q1)를 순차적으로 턴 온시켜 외부 전압에 따라 제1스위칭소자(Q1)를 제어하게 된다. 연산증폭부(U2)는 제1스위칭소자(Q1)의 양단 전압을 감지하고 양단 전압이 다를 경우 전원프로텍터(U1)를 통해 제1스위칭소자(Q1)가 턴 오프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원지연 회로부(270)는 어댑터나 컴퓨터로부터 커넥터(203)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면, 전원프로텍터(U1)의 VDD단자로 전원이 인가되고, Vout단자를 동작시켜 제2 스위칭소자(Q2)와 제1 스위칭소자(Q1)를 순차적으로 턴 온시켜 핀 단자부(210)의 전원단자(V+)로 공급된다. 이때 전원프로텍터(U1)의 VDD단자에 일정전압 이상이 인가되면 설정된 시간 이후에 Vout이 제1 스위칭소자(Q1)를 턴 온시키게 된다.The power supply protector U1 sequentially turns on the second switching device Q2 and the first switching device Q1 when the power supply level of the power supply line PL1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certain level to turn on the first switching device Q1 . The operational amplifier U2 senses the voltage across the first switching device Q1 and controls the first switching device Q1 to turn off through the power supply protector U1 when the voltage across the first switching device Q1 is different. When power is supplied from the adapter or the computer through the connector 203, power is supplied to the VDD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protector U1 and the Vout terminal is operated to turn on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Q2 And the first switching device Q1 are sequentially turned on and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V + of the pin terminal unit 210. [ At this time, when a voltage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oltage is applied to the VDD terminal of the power source protector U1, Vout turns on the first switching device Q1 after a predetermined time.

이는, 단말기 케이스(100)의 패턴 전극부(110)가 충전 거치대(200)의 핀 단자부(210)에 접촉될 때 전기적으로 단락(Short)되어 핀 단자부(210)의 전원라인(PL1)의 전압 레벨이 일정레벨 이하로 떨어지면 제6저항(R6)을 거처 전원프로텍터(U1)의 VDD단자에 인가되는 전압 또한 일정레벨 이하로 인식되며, 이에 따라 Vout단자를 통해 제1스위칭소자(Q1)가 턴 오프되어 핀 단자부(210)의 전원단자(V+)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된다. 따라서, 단말기 케이스(100)와 충전 거치대(200)의 연결시 전기적인 단락으로 인한 어댑터의 내부 회로나 컴퓨터의 USB 회로를 손상시키지 않는다.This is because when the pattern electrode unit 110 of the terminal case 100 is contacted with the pin terminal unit 210 of the charging cradle 200, it is electrically shorted and the voltage of the power source line PL1 of the pin terminal unit 210 The voltage applied to the VDD terminal of the power source protector U1 via the sixth resistor R6 is also recognized as being below a certain level so that the first switching device Q1 is turned on via the Vout terminal, The power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V + of the pin terminal unit 210 is cut off. Therefore, when the terminal case 100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cradle 200, the internal circuit of the adapter or the USB circuit of the computer is not damaged due to an electrical short.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가 활성화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예시한 것이다. 하기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가 네비게이션 앱인 것으로 가정하기로 하며, 충전 거치대(200)는 차량 내에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ctivating software installed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software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is a navigation application, and the charging cradle 200 is assumed to be installed in the vehicle.

이러한 가정 하에 단말기 사용자가 차량 내에 탑승한 후 도 1에 도시된 단말기 케이스(100)에 결합된 모바일 단말기를 차량 내 충전 거치대(200)와 자기적으로 결합시킨다. 이러한 경우 단말기 케이스(100)에 형성된 패턴 전극부(110)와 충전 거치대(200)에 형성된 핀 단자부(210)는 물리적으로 접촉된다. 아울러 단말기 결합 혹은 접촉을 감지하기 위해 단말기 케이스(100)에 부착된 마그네트는 충전 거치대(200)에 부착된 홀 센서와 근접 위치하게 된다.Under this assumption, the terminal user magnetically couples the mobile terminal coupled to the terminal case 100 shown in Fig. 1 to the in-vehicle charging cradle 200 after boarding the vehicle. In this case, the pattern electrode unit 110 formed on the terminal case 100 is physically contacted with the pin terminal unit 210 formed on the charging stand 200. In addition, the magnet attached to the terminal case 100 for sensing the terminal connection or contact is positioned close to the hall sensor attached to the charging stand 200.

이로써 충전 거치대(200)의 제어부(410)는 홀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모니터하여 모바일 단말기가 충전 거치대(200)와 결합 혹은 접촉했는지를 감지(S10단계)할 수 있다.The controller 410 of the charging cradle 200 may monitor a signal input from the hall sensor to detect whether the mobile terminal is in contact with or in contact with the charging cradle 200 (step S10).

만약 S10단계에서 모바일 단말기가 결합된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410)는 메모리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활성화 정보를 독출(S20단계)한 후 통신부(420)를 통해 전송되도록 제어(S30단계)한다.If it is detected in step S10 that the mobile terminal is coupled, the control unit 410 reads the software activ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step S20), and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420 to transmit the software activation information (step S30).

이에 블루투스 모듈과 같은 통신부(420)는 제어부(410)로부터 전달된 소프트웨어 활성화 정보, 보다 구체적으로는 네비게이션 앱 ID 정보를 블루투스 통신방식에 따라 송출하고, 모바일 단말기에서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수신된 네비게이션 앱 ID를 가지는 네비게이션 앱이 자동 실행된다. 이에 단말기 사용자는 별도의 단말기 조작 없이 네비게이션 앱을 실행시킨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communication unit 420, such as the Bluetooth module, transmits the software activation information, more specifically, the navigation application I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410 according to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In the mobile terminal, the navigation application ID The navigation app is automatically executed. Accordingly, the terminal user can obtain the effect of executing the navigation application without operating any terminal.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단말기 케이스(100)에 결합된 모바일 단말기를 단순히 충전 거치대(200)에 거치시키는 행위만으로,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특정 소프트웨어를 활성화시킬 수 있어 단말기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ific software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can be activated merely by placing the mobile terminal coupled to the terminal case 100 shown in FIG. 1 on the charging cradle 200, can do.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네비게이션 앱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정보를 충전 거치대(200)에서 무선 전송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헬스기기에 부착된 충전 거치대에서는 건강 혹은 체형 관리 앱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 활성화 정보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으며, 식당 테이블에 구비된 충전 거치대에서는 해당 식당에서 배포한 앱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 활성화 정보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고, 사무공간 내에 구비된 충전 거치대에서는 그룹웨어에 접속할 수 있는 앱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 활성화 정보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information for activating the navigation application is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charging cradle 200. However, in the charging cradle attached to the fitness device, software activation information for activating the health or body management application is transmitted In the charging cradle provided in the restaurant table, software activation information for activating the application distributed in the restaurant can be transmitted. In the charging cradle provided in the office space, the user can access the application program Software activation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이는 몇 가지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200) 혹은 상기 충전 거치대(200)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는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 가능한 다양한 앱 각각을 자동 활성화시키기 위한 보조수단으로서 폭 넓게 사용될 수 있다.The charging device 200 or the charging device including the charg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s an auxiliary device for automatically activating various apps that can be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Can be widely us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충전 거치대(200)가 모바일 단말기가 결합된 것으로 감지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활성화 정보를 독출하여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모바일 단말기가 충전 개시상태를 감지하고, 충전 개시상태 감지시 근거리 무선통신 혹은 USB 케이블과 같은 유선 통신부를 이용해 충전 거치대(200) 측으로 소프트웨어 활성화 정보 혹은 충전 거치대 식별정보(위치기반정보와 동일 의미로 해석 가능하다)의 전송을 요청할 수도 있다. 이에 충전 거치대(200)의 제어부(410)는 상기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활성화 정보 혹은 가지고 있는 충전 거치대 식별정보를 통신부(420)를 통해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앱 혹은 특정 소프트웨어는 전송받은 소프트웨어 활성화 정보 혹은 위치기반정보에 해당하는 충전 거치대 부착기기의 식별정보에 의해 활성화됨으로써, 단말기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4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무선 통신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charging station 200 is coupled to the mobile terminal, the software activ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is read and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However, , Or may request the transmission of the software activation information or the charging crad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ich can be interpreted in the same meaning as the location-based information) to the charging cradle 200 side using a wired communication unit such as a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or a USB cable . The controller 410 of the charging cradle 200 may control the software activ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or the charging crad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20 in response to the transmission request. In this case as well, the app or the specific software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is activated by the received software activation information o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with the charging cradl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based information, thereby enabling the convenience of the terminal user. The communication unit 420 may be any on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s described above.

도 9는 사물 인터넷망과 연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200)의 주변 네트워크 구성도를 예시한 것이다.FIG. 9 illustrates a peripheral network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harging cradl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도 9를 참조하면, 우선 네트워크(network1,2)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특정 장치와 장치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물리적 환경 내지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물 인터넷망의 각 구성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는 다양한 기술 또는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장치가 사용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9, the networks 1 and 2 are physical environments or devices capable of exchanging data between a specific device and a device by wire or wireless, and a network connecting each configuration of the object Internet network Devices using various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methods are available.

도 9에서 IoT 단말인 D1(500)은 센서 네트워크의 센서 노드와 같이 각종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컨대,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 습도를 측정하는 센서, 영상을 촬영하는 CCTV, 먼지(에어로졸)의 농도를 측정하는 센서 등과 같이 특정 데이터를 수집하는 장치를 의미한다.In FIG. 9, the IoT terminal D1 (500) is a device collecting various information data such as a sensor node of a sensor network. For example, a device for collecting specific data such as a sensor for measuring temperature, a sensor for measuring humidity, a CCTV for capturing an image, and a sensor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dust (aerosol).

충전 거치대(200)에 결합 혹은 접촉 가능한 모바일 단말기(10)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이 사물 인터넷망에 접속하여 사물 인터넷망에서 수집하고 관리하는 데이터를 이용한 서비스를 받는 구성이다.The mobile terminal 10, which is capable of being coupled to or in contact with the charging cradle 200, is configured to receive services using data collected and managed in the object internet network by accessing the object internet network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예컨대, IoT 단말인 CCTV가 촬영한 영상을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폰을 통해 확인할 수도 있고, 황사 측정 센서가 수집한 데이터를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폰을 통해 확인할 수도 있다. 모바일 단말기(10)에는 사물 인터넷 데이터 서비스를 받기 위해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앱 서버(55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For example, a user at a remote location can view an image taken by a CCTV, which is an IoT terminal, through his or her own smartphone, or the user can check data collected by a DSS measurement sensor through his / her smartphone. A dedicated application is installed and used in the mobile terminal 10 to receive the object Internet data service. This dedicated application may be provided by the app server 550.

하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200)의 핵심적인 구성 외에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기술 내지 구성은 사물 인터넷망 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 내지 구성을 참조하거나, 공개된 IoT 관련 표준문헌을 참조하면 해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a technique or configuration not specifically described other than the core configuration of the charging cradl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well-known technology or configuration in the object Internet network system or refer to published IoT related standard documents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fully understand 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200)는 물론 IoT 단말(D1) 및 사용자 단말(520), 모바일 단말기(10)는 네트워크(Network1,2)와 게이트웨이(G/W)를 통해 시스템 구성을 제어하는 IoT 플랫폼 서버(540)와 연결 가능하며, 충전 거치대(200)에 결합 혹은 접촉되는 모바일 단말기(10)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앱을 제공하는 앱 서버(550)와, 모바일 단말기(10)에 설치된 앱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530)와 연결 가능하다.The IoT terminal D1 and the user terminal 520 and the mobile terminal 10 as well as the charging stand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to receive the system configuration through the networks 1 and 2 and the gateway G / The mobile terminal 10 connected to the charging stand 200 and connected to the IoT platform server 540 for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10 includes an app server 550 for providing an application for receiving services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can be connected to a service providing server 530 that provides a service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10.

네트워크(Network1)는 Zigbee, NFC, 블루투스, 와이파이, SUN, LAN 네트워크, 와이브로(Wibro) 네트워크, 이동통신 3G 네트워크, 이동통신 4G 네트워크 등과 같은 네트워크일 수 있다. 결국 각종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및 이동통신 네트워크가 사용 가능하다.The network 1 may be a network such as Zigbee, NFC, Bluetooth, WiFi, SUN, LAN network, Wibro network, mobile communication 3G network, mobile communication 4G network, As a result, various short-range communication networks a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are available.

게이트웨이(G/W,510)는 IoT 단말(D1), 충전 거치대(200)와 통신하는 장치로서, IoT 단말, 충전 거치대(200)와 통신하여 IoT 단말 및 충전 거치대(200)가 수집하는 데이터(일예로 충전 거치대 식별정보와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를 지정된 IoT 플랫폼 서버(540) 혹은 서비스 제공 서버(53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gateway (GW) 510 communicates with the IoT terminal D1 and the charging cradle 200 and communicates with the IoT terminal and the charging cradle 20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ogt terminal and the charging cradle 200 For example, the charging crad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mobi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designated IoT platform server 540 or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530.

서비스 제공 서버(530)는 충전 거치대(200)로부터 충전 거치대 식별정보와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를 이용해 해당 모바일 단말기(10)로 서비스 제공을 위한 링크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송신하거나, 해당 모바일 단말기(10)에 설치된 특정 소프트웨어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활성화 정보를 송신하여 준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530)는 충전 거치대 식별정보를 이용해 충전 거치대(200)가 위치하는 공간을 인식하고, 그 공간에 맞는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10)로 제공해 준다.When the charging crad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mobi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re received from the charging cradle 200,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530 uses the received mobi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link information for service provision is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10 And transmits activation information for activating specific software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10. [ Also,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530 recognizes the space where the charging cradle 200 is located by using the charging crad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provide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ace to the mobile terminal 10.

한편, 게이트웨이(510)와 IoT 플랫폼 서버(540) 혹은 서비스 제공 서버(530)는 일반적으로 서로 원거리에 위치한다. 따라서 전화선망 또는 광통신과 같은 유선망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2(Network2)는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한다.Meanwhile, the gateway 510 and the IOT platform server 540 or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530 are generally located remotely from each other. Therefore, although a wired network such as a telephone network or an optical communication can be used, the network 2 generally use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하기 설명에서는 충전 거치대(200)에서 수집된 충전 거치대 식별정보와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가 서비스 제공 서버(530)로 전달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made on the assumption that the charging crad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mobi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charging cradle 200 are transmitted to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530. [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충전 거치대(200)의 블럭 구성도를,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충전 거치대(2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각각 예시한 것이다.Fig. 10 is a block diagram of the charging cradle 200 shown in Fig. 9, and Fig.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charging cradle 200 shown in Fig. 9, respectively.

사물 인터넷망의 일 구성요소인 충전 거치대(200)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10) 혹은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100)와의 결합 혹은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단말기 감지부(401)와,The charging station 200, which is a component of the Internet, includes a terminal sensing unit 401 for sensing a connection or a contact with the mobile terminal 10 or the mobile terminal case 100 as shown in FIG. 10,

단말기 감지결과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수신된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를 충전 거치대 식별정보와 함께 사물 인터넷망을 통해 지정 서버로 전송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03)와,A controller 403 for requesting transmission of the mobi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erminal detection result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mobi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in response to the request to the designated server through the object internet network together with the charge restrai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

상기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신호를 충전 거치대에 결합 혹은 접촉된 모바일 단말기(10)로 송신하고 모바일 단말기(10)로부터 송신되는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와 충전 거치대 식별정보를 사물 인터넷망으로 송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통신부(405)를 포함한다. 이러한 충전 거치대(200) 역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원지연 회로(270)를 포함한다.Transmits a signal requesting transmission of the mobi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10 coupled or contacted with the charging stand, receives the mobi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 And at least one communication unit 405 for transmitting the charging crad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object internet network. This charging stand 200 also includes a power supply delay circuit 270 as shown in FIG.

단말기 감지부(401)는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홀 센서, 물체감지센서, 모바일 단말기(10)의 충전단자로 공급되는 전원라인을 통해 전원공급 여부를 체크할 수 있는 전원지연 회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 사용할 수 있다.6, the terminal detection unit 401 detects any one of a hall sensor, an object detection sensor, and a power supply delay circuit capable of checking whether power is supplied through a power line supplied to a charging terminal of the mobile terminal 10 Optional.

통신부(403)는 모바일 단말기(10)와 사물 인터넷망 모두와 통신 가능해야 한다. 이에 통신부(403)는 모바일 단말기(10) 및 사물 인터넷망과 근거리 무선 통신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을 하나 혹은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따르는 복수의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403 must be able to communicate with both the mobile terminal 10 and the object Internet network. The communication unit 403 may includ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10 and the object Internet network, and a plurality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according to one or a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

경우에 따라서, 상기 통신부(403)는 모바일 단말기(10)에 형성된 충전단자에 결합 혹은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100)에 형성된 패턴전극부에 접촉하는 핀단자를 구성하는 데이터 단자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는 제1통신부와, 사물인터넷망과 유선 혹은 무선 통신하기 위한 제2통신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403 communicates with the charging terminal formed in the mobile terminal 10 or communicates with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data terminal constituting the pin terminal contacting the pattern electrode unit formed in the mobile terminal case 100 A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object Internet network.

참고적으로 제어부(403)에서 사물 인터넷망을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530)로 전송되는 충전 거치대 식별정보는 모바일 단말기(10) 사용자가 위치하는 공간을 식별하기 위한 위치정보로 인식되며,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는 서비스 제공을 위해 접속해야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식별정보로 인식된다.For reference, the charging crad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403 to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530 through the Internet of objects is recognized as lo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space where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 is located, The information is recognized a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hat must be connected to provide the service.

이하 도 10에 도시한 충전 거치대(200)의 동작을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charging cradle 200 shown in FIG. 10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예를 들어 사물 인터넷망이 구축된 식당 내의 테이블에 부착된 충전 거치대(200)에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10)를 자기적으로 결합시킨다. 이러한 경우 단말기 케이스(100)에 형성된 패턴 전극부(110)와 충전 거치대(200)에 형성된 핀 단자부(210)는 물리적으로 접촉된다. 아울러 단말기 결합 혹은 접촉을 감지하기 위해 단말기 케이스(100)에 부착된 마그네트는 충전 거치대(200)에 부착된 홀 센서와 근접 위치하게 된다.For example, the user's mobile terminal 10 is magnetically coupled to the charging cradle 200 attached to the table in the establishment where the Internet of things is built. In this case, the pattern electrode unit 110 formed on the terminal case 100 is physically contacted with the pin terminal unit 210 formed on the charging stand 200. In addition, the magnet attached to the terminal case 100 for sensing the terminal connection or contact is positioned close to the hall sensor attached to the charging stand 200.

이로써 충전 거치대(200)의 제어부(403)는 홀 센서 혹은 기타 단말기 감지부(40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모니터하여 모바일 단말기(10)가 충전 거치대(200)와 결합 혹은 접촉했는지를 감지(S50단계)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403 of the charging cradle 200 monitors a signal input from the hall sensor or other terminal sensing unit 401 to detect whether the mobile terminal 10 is in contact with or in contact with the charging cradle 200 )can do.

S50단계에서 모바일 단말기(10)가 결합된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403)는 통신부(405)인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10)측으로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의 전송을 요청(S60단계)한다.If it is detected in step S50 that the mobile terminal 10 is coupled, the controller 403 requests the mobile terminal 10 to transmit the mobi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s the communication unit 405 in step S60 .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의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모바일 단말기(10)가 자신의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를 전송하면, 제어부(403)는 통신부(405)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가 수신되는지를 체크(S70단계)한다.When the mobile terminal 10 transmits the mobi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it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 response to the request for transmission of the mobi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controller 403 transmits the mobi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05 (Step S70).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403)는 수신된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와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자신의 충전 거치대 식별정보를 함께 통신부(405)를 통해 사물 인터넷망으로 전송(S80단계)한다. 이러한 경우 목적지인 서비스 제공 서버(530)의 URI 정보가 함께 포함되어 사물 인터넷망으로 전송될 것이다.When the mobi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403 transmits the received mobi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its charging st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internal memory to the object Internet network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05 (step S80). In this case, URI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of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530 may be included and transmitted to the object Internet network.

이에 서비스 제공 서버(530)는 수신된 충전 거치대의 식별정보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아야 하는 사용자가 식당에 위치하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으며, 수신된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로 서버접속을 위한 링크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송신해 줄 수 있다.Accordingly,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530 can recognize that the user who is to be provided with the service is located in the restaurant throug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ed charging stand, and the mobi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link information for connection to the server You can send a message.

이에 충전 거치대(200)에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10)를 결합 혹은 접촉시킨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10)에 수신된 링크정보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530)에 접속할 수 있으며, 해당 서비스 제공 서버(530)에서 제공하는 각종 이벤트, 메뉴, 요리사들의 프로파일 정보, 식당 이력 정보 등을 별도의 단말기 조작 없이도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The user who has joined or contacted with his / her mobile terminal 10 in the charging cradle 200 can access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530 through the link information received in the mobile terminal 10, and the corresponding service providing server 530 The menu information, the profile information of the chefs, the restaurant history information, and the like provided without any additional terminal opera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해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는 서비스 제공 서버(530)와 사물 인터넷망을 통해 연결 가능한 사물들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도 있다.The mobile terminal user can conveniently control objects connectable to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530 through the object Internet through the above operation.

이상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원 출원인에 의해 선등록된 충전 장치의 충전 거치대에 적용 가능한 사례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단순히 모바일 단말기 거치대 혹은 네비게이션 단말기 거치대와 같이 일반적인 단말기 거치대에 단말기 결합여부를 감지할 경우 특정 소프트웨어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정보를 무선 송출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모듈을 탑재하는 것만으로도 본 발명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For example,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y way of examples that can be applied to a charging stand of a charging apparatus pre-register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However, in the mobile terminal stand,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same effect as the present invention by merely installing a module having a function of wirelessly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activating a specific softwar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00: 단말기 케이스 110: 패턴 전극부
200: 충전 거치대 210: 핀 단자부
100: terminal case 110: pattern electrode part
200: charging stand 210: pin terminal

Claims (17)

모바일 단말기 혹은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와 결합 혹은 접촉하여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거치대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기 혹은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와의 결합 혹은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단말기 감지부와;
단말기 감지결과에 따라 단말기에 설치된 특정 소프트웨어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 활성화 정보를 전송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전송된 소프트웨어 활성화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 혹은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로 송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거치대.
A charging stand for supplying charging power by engaging or contacting with a mobile terminal or a mobile terminal case,
A terminal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connection or a contact with the mobile terminal or the mobile terminal cas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of software activation information for activating specific software installed in the terminal according to a terminal detection result;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software activ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control unit to the mobile terminal or the mobile terminal cas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감지부는 홀 센서, 물체감지센서,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단자로 공급되는 전원라인을 통해 전원공급 여부를 체크할 수 있는 전원지연 회로부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거치대.
[2] The charge holder as set forth in claim 1, wherein the terminal sensing unit is one of a Hall sensor, an object sensor, and a power supply delay circuit unit capable of checking power supply through a power line supplied to a charging terminal of the mobile termin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소프트웨어 활성화 정보를 근거리 무선 송신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임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거치대.
The charge hold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i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short-range wireless transmission of the software activation inform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모바일 단말기에 형성된 충전단자에 결합 혹은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에 형성된 패턴전극부에 접촉하는 핀단자를 구성하는 데이터 단자를 통해 상기 소프트웨어 활성화 정보를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거치대.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he software activation information through a data terminal constituting a pin terminal connected to a charge terminal formed in the mobile terminal or a pattern electrode portion formed in the mobile terminal case.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활성화 정보는 피활성 소프트웨어의 식별정보, 충전 거치대 식별정보,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식별정보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제어부의 저장수단에 저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software activation information is any one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ctive softwa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harging cradle, and lo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of the control unit Charging stand.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단자와 접속되는 커넥터가 구비되며, 상기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패턴전극부가 배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패턴전극부 주변에 복수의 마그네트들이 장착되어 있는 단말기 케이스와;
상기 단말기 케이스와 접촉하는 면에 상기 패턴전극과 접촉하기 위한 핀단자들 및 상기 마그네트들과 자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마그네트들이 장착되어 있는 충전 거치대를 포함하되, 상기 충전 거치대에는,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단말기 감지부와;
단말기 감지결과에 따라 단말기에 설치된 특정 소프트웨어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 활성화정보를 전송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전송된 소프트웨어 활성화 정보를 상기 단말기 케이스에 결합된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
A terminal case having a pattern electrode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and having a plurality of magnets moun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pattern electrode portion;
And a charging cradle having pin terminals for making contact with the pattern electrodes on the surface contacting the terminal case, and magnets for magnetically coupling with the magnets,
A terminal sensing unit for sensing contact of the terminal cas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of software activation information for activating specific software installed in the terminal according to a terminal detection result;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software activ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control unit to the mobile terminal coupled to the terminal cas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감지부는 홀 센서, 물체감지센서,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단자로 공급되는 전원라인을 통해 전원공급 여부를 체크할 수 있는 전원지연 회로부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
The mobile terminal of claim 6, wherein the terminal sensing unit is one of a hall sensor, an object sensor, and a power supply delay circuit unit that can check whether power is supplied through a power line supplied to a charging terminal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소프트웨어 활성화 정보를 근거리 무선 송신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
The charging device of claim 6,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i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short-range wireless transmission of the software activation information.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단말기 케이스에 형성된 패턴전극부에 접촉하는 핀단자를 구성하는 데이터 단자를 통해 상기 소프트웨어 활성화 정보를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
7. The apparatus of claim 6,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he software activation information through a data terminal constituting a pin terminal contacting the pattern electrode unit formed in the terminal case.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9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활성화 정보는 피활성 소프트웨어의 식별정보, 충전 거치대 식별정보,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식별정보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제어부의 저장수단에 저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
The method as claimed in any one of claims 6 to 9, wherein the software activation information is any one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ctive softwa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harging cradle, and lo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of the control unit Charging device of mobile terminal.
모바일 단말기 혹은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와 결합 혹은 접촉하여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거치대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기 혹은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와의 결합 혹은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단말기 감지부와;
단말기 감지결과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수신된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를 충전 거치대 식별정보와 함께 사물 인터넷망을 통해 지정 서버로 전송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신호를 충전 거치대에 결합 혹은 접촉된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하고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와 충전 거치대 식별정보를 사물 인터넷망으로 송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통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거치대.
A charging stand for supplying charging power by engaging or contacting with a mobile terminal or a mobile terminal case,
A terminal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connection or a contact with the mobile terminal or the mobile terminal case;
A control unit for requesting transmission of the mobi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erminal detection result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mobi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in response to the request to the designated server through the object internet network together with the charge restrai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ignal requesting transmission of the mobi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coupled to or contacted with the charging stand, receiving the mobi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mobi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charging st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one or more communication units for transmitting to the Internet network.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감지부는 홀 센서, 물체감지센서,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단자로 공급되는 전원라인을 통해 전원공급 여부를 체크할 수 있는 전원지연 회로부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거치대.
[12] The charge holder as set forth in claim 11, wherein the terminal sensing unit is one of a Hall sensor, an object sensor, and a power supply delay circuit unit capable of checking power supply through a power line supplied to a charging terminal of the mobile terminal.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이거나,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따르는 복수의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임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거치대.
[12] The charge holder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i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r a plurality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according to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모바일 단말기에 형성된 충전단자에 결합 혹은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에 형성된 패턴전극부에 접촉하는 핀단자를 구성하는 데이터 단자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는 제1통신부와;
사물인터넷망과 유선 혹은 무선 통신하기 위한 제2통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거치대.
12. The apparatus of claim 11,
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 mobile terminal through a data terminal constituting a pin terminal connected to a charging terminal formed in the mobile terminal or contacting a pattern electrode portion formed in the mobile terminal case;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object Internet network.
모바일 단말기 혹은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와 결합 혹은 접촉하여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거치대에 있어서,
충전 거치대에 결합 혹은 접촉하는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소프트웨어 활성화 정보 혹은 충전 거치대 식별정보 전송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소프트웨어 활성화 정보 혹은 충전 거치대 식별정보 수신에 응답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활성화정보 혹은 충전 거치대 식별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거치대.
A charging stand for supplying charging power by engaging or contacting with a mobile terminal or a mobile terminal case,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software activation information or a request to transmit a charge restrai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 mobile terminal coupled to or in contact with the charge restraint;
And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software activation information or the charge restrai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internal memory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in response to the receipt of the software activation information or the charge restrai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소프트웨어 활성화 정보 혹은 충전 거치대 식별정보를 근거리 무선 송신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임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거치대.
16. The charging station as set forth in claim 15,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i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short-distance wireless transmission of the software activation information or the charging b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모바일 단말기에 형성된 충전단자에 결합 혹은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에 형성된 패턴전극부에 접촉하는 핀단자를 구성하는 데이터 단자를 통해 상기 소프트웨어 활성화 정보 혹은 충전 거치대 식별정보를 송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거치대.[Claim 15] The system of claim 15,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or receives the software activation information or the charging crad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a data terminal constituting a pin terminal which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formed in the mobile terminal or contacts the pattern electrode part formed in the mobile terminal case Features a charging cradle.
KR1020150137637A 2015-09-30 2015-09-30 Charg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 KR1017343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637A KR101734399B1 (en) 2015-09-30 2015-09-30 Charg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
PCT/KR2016/010834 WO2017057894A1 (en) 2015-09-30 2016-09-28 Charging stand, and charg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
CN201610875946.1A CN106849208A (en) 2015-09-30 2016-09-30 The charging device of charging bracket and mobile phone
CN201621103206.8U CN206379734U (en) 2015-09-30 2016-09-30 The charging device of charging bracket and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637A KR101734399B1 (en) 2015-09-30 2015-09-30 Charg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358A true KR20170038358A (en) 2017-04-07
KR101734399B1 KR101734399B1 (en) 2017-05-12

Family

ID=58427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7637A KR101734399B1 (en) 2015-09-30 2015-09-30 Charg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734399B1 (en)
CN (2) CN106849208A (en)
WO (1) WO2017057894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8608A1 (en) * 2017-10-17 2019-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voice-based service using external device, external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20166164A (en) * 2021-06-09 2022-12-16 (주)에스피에스 Jacket for smart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61127A (en) * 2018-06-29 2020-01-07 神讯电脑(昆山)有限公司 Bearing seat and method for switching antenna signals
CN113241830B (en) * 2021-05-27 2022-12-09 惠州Tcl云创科技有限公司 Charging seat, mobile terminal and charging system
KR20230138713A (en) 2022-03-24 2023-10-05 (주)익산비철 IT device cradle with variable support point
KR102576298B1 (en) * 2022-09-06 2023-09-07 정진영 Mobile phone cradle uni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4510B1 (en) 2012-07-09 2012-11-26 (주)에스피에스 Charging device for mobile phon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7619B1 (en) * 2009-12-30 2016-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Charging structure and charging control method of mobile terminal
KR101221427B1 (en) * 2012-09-11 2013-01-21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Automatic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smart phone and navigation device when charging smart phone
US9647481B2 (en) * 2012-12-04 2017-05-09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docking a dockee with a docking host utilizing a wireless charger in a wireless docking environment
JP2014127074A (en) * 2012-12-27 2014-07-07 Takaoka Electric Mfg Co Ltd Parking lot management and electric vehicle charging management system
KR20150072137A (en) * 2013-12-19 2015-06-29 주식회사 대동 Wireless power charging System of vehicles
JP2015146705A (en) * 2014-02-04 2015-08-13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Contactless charger
CN204103519U (en) * 2014-07-10 2015-01-14 侨威科技股份有限公司 There is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of near-field communication fun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4510B1 (en) 2012-07-09 2012-11-26 (주)에스피에스 Charging device for mobile phon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8608A1 (en) * 2017-10-17 2019-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voice-based service using external device, external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1392346B2 (en) 2017-10-17 2022-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voice-based service using external device, external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20166164A (en) * 2021-06-09 2022-12-16 (주)에스피에스 Jacket for smart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57894A1 (en) 2017-04-06
CN106849208A (en) 2017-06-13
KR101734399B1 (en) 2017-05-12
CN206379734U (en) 2017-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4399B1 (en) Charg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
KR102625423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of wireless charging stop reason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2525917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u wireless charging
US20140021909A1 (en) Charging case for electronic devices
WO2016146006A1 (en) Battery sleev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device to be searched
AU2015249066A1 (en) Power and data adapter,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KR20060022686A (en) Wireless battery charger detection and notification
CN113439376A (en) Electronic device for wirelessly charging external device
KR101476103B1 (en) Smart phone for wireless-charging 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of the same
US20150288215A1 (en) Charger device with network connectivity
US11524597B2 (en) Charging station for tracked mobile object
US11271442B2 (en) Wireless charging prompt method and device, wireless charging system
EP3123268A1 (en) Portable computing device cover including a keyboard
KR20200101035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based on detecting foreign object in electronic device
KR20210027870A (en) Method for wireless charging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210109916A (en)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2009973B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Information Services using Fixed Installation type Beacon
KR20200013541A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wireless charge coil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10101718A (en) Method for wireless charging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TW201417450A (en) Battery and charg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2653440B1 (en) Device for Transferring and Receiving Wireless Power and the Method for Adjusting Power thereof
KR20210128607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harg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same
US20220311275A1 (en) Wireless Power System Operable With An Audiovisual Electronic Device
TWI534630B (en) Transmission system and related transmission method
CN107290718A (en) Align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