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8302A -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8302A
KR20170038302A KR1020150137468A KR20150137468A KR20170038302A KR 20170038302 A KR20170038302 A KR 20170038302A KR 1020150137468 A KR1020150137468 A KR 1020150137468A KR 20150137468 A KR20150137468 A KR 20150137468A KR 20170038302 A KR20170038302 A KR 20170038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electrodes
switching
touch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7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2112B1 (ko
Inventor
김태형
송홍성
이승준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7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112B1/ko
Publication of KR20170038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8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공통전극들로도 이용되는 셀프캡 방식의 터치전극들 중 서로 인접되어 있는 터치전극들을, 영상표시기간에는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시킬 수 있는,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표시패널은, 터치전극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영상이 출력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의 외곽에 구비되는 비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부에 구비되며, 스위칭 신호가 공급되는 메인 스위칭부가 상기 표시부에 구비된다. 상기 터치전극들 중 제1터치전극들은 상기 메인 스위칭부를 경계로, 상기 표시부의 일측에 배치된다. 상기 터치전극들 중 제2터치전극들은 상기 메인 스위칭부를 경계로, 상기 표시부의 타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1터치전극들 및 상기 제2터치전극들 중, 상기 일측에서 상기 메인 스위칭부에 인접되어 있는 제1인접터치전극들과 상기 타측에서 상기 메인 스위칭부에 인접되어 있는 제2인접터치전극들은, 상기 메인 스위칭부에 연결된다.

Description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터치패널이 내장되어 있는,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치패널은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OLED) 등과 같은 표시장치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표시장치를 보면서 손가락이나 펜 등으로 화면을 직접 접촉하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장치의 한 종류이다.
특히, 최근에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슬림화를 위해, 표시장치의 표시패널 내부에 터치패널을 구성하는 소자들이 내장되는, 인셀 타입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인셀 타입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특히, 표시패널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드라이버IC들이 장착되어 있는 인셀 타입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인셀 타입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표시패널은 인셀 타입 표시패널이라 한다.
인셀 타입 표시패널은, 셀프캡(Self Cap) 방식과, 뮤추얼(Mutual)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에는, 셀프캡 방식을 이용하는 인셀 타입 표시패널(10)이 도시되어 있다. 셀프캡 방식을 이용하는 인셀 타입 표시패널(10)에는 복수의 터치전극(20)들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터치전극(20)들은 공통전극으로도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셀프캡 방식을 이용하는 인셀 타입 표시패널은 모바일 단말기, 노트북 또는 모니터와 같은 소형 단말기에 적용되고 있다. 소형 단말기의 경우, 터치전극의 수가 적기 때문에, 표시패널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는 드라이버IC에 의해서도 구동될 수 있다.
그러나, 셀프캡 방식을 이용하는 인셀 타입 표시패널의 사이즈가 증가하면, 터치전극의 갯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된다. 늘어난 터치전극의 갯수 만큼 드라이버IC의 갯수도 증가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의 인셀 타입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인셀 타입 표시패널(10)의 상단부와 하단부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드라이버IC(40)가 배치된다. 상기 드라이버IC(40)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B)(30)에 부착되며,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30)은 미도시된 메인기판에 연결된다.
상기 인셀 타입 표시패널(10)의 중심부분(L)의 상단에 배치된 터치전극(20)들은, 터치라인(21)들을 통해, 상기 인셀 타입 표시패널(10)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드라이버IC(40)와 연결된다. 상기 인셀 타입 표시패널(10)의 중심부분(L)의 하단에 배치된 터치전극(20)들은, 터치라인(21)들을 통해, 상기 인셀 타입 표시패널(10)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드라이버IC(40)와 연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중심부분(L)의 상단에 배치된 터치전극(20)들과, 상기 중심부분(L)의 하단에 배치된 터치전극(20)들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드라이버IC(40)들에 의해 구동되기 때문에, 상단에 배치된 터치전극(20)들로 공급되는 공통전압과, 하단에 배치된 터치전극(20)들로 공급되는 공통전압 간에는 편차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단에 배치된 터치전극(20)들로 공급되는 공통전압들은, X'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편차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편차에 의한 화질도 순차적으로 변경된다. 따라서, 이러한 변화는 사용자의 눈에 잘 보여지지 않는다.
또한, 하단에 배치된 터치전극(20)들로 공급되는 공통전압들은, X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편차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편차에 의한 화질도 순차적으로 변경된다. 따라서, 이러한 변화는 사용자의 눈에 잘 보여지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중심부분(L)의 상단에 배치된 터치전극들로 공급되는 공통전압들과, 상기 중심부분(L)의 하단에 배치된 터치전극들로 공급되는 공통전압은 서로 연속적이지 않다.
따라서, 상기 중심부분(L)을 경계로 서로 연속적이지 않은 공통전압들 의해, 상기 중심부분(L)에서는 사용자의 눈에 보여지는 줄무늬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공통전극들로도 이용되는 셀프캡 방식의 터치전극들 중 서로 인접되어 있는 터치전극들을, 영상표시기간에는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시킬 수 있는,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패널은, 터치전극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영상이 출력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의 외곽에 구비되는 비표시부를 포함한다. 스위칭 신호가 공급되는 메인 스위칭부가 상기 표시부에 구비된다. 상기 터치전극들 중 제1터치전극들은 상기 메인 스위칭부를 경계로, 상기 표시부의 일측에 배치된다. 상기 터치전극들 중 제2터치전극들은 상기 메인 스위칭부를 경계로, 상기 표시부의 타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1터치전극들 및 상기 제2터치전극들 중, 상기 일측에서 상기 메인 스위칭부에 인접되어 있는 제1인접터치전극들과 상기 타측에서 상기 메인 스위칭부에 인접되어 있는 제2인접터치전극들은, 상기 메인 스위칭부에 연결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터치전극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영상이 출력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외곽에 구비되는 비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터치전극들 중 제1터치전극들로 공통전압 또는 터치신호를 공급하며, 상기 비표시부를 구성하고 서로 마주보고 있는 제1비표시영역과 제2비표시영역 중 상기 제1비표시영역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구동 회로부 및 상기 터치전극들 중 제2터치전극들로 공통전압 또는 터치신호를 공급하며, 상기 제2비표시영역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구동 회로부를 포함한다. 스위칭 신호가 공급되는 메인 스위칭부가 상기 표시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1터치전극들은 상기 메인 스위칭부를 경계로, 상기 표시부의 일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2터치전극들은 상기 메인 스위칭부를 경계로, 상기 표시부의 타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1터치전극들 및 상기 제2터치전극들 중, 상기 일측에서 상기 메인 스위칭부에 인접되어 있는 제1인접터치전극들과 상기 타측에서 상기 메인 스위칭부에 인접되어 있는 제2인접터치전극들은, 영상표시기간에 공급되는 상기스위칭 신호에 의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표시장치는, 터치전극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영상이 출력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외곽에 구비되는 비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에 구비되며, 스위칭 신호가 공급되는 스위칭부, 상기 터치전극들 중, 상기 스위칭부를 경계로, 상기 스위칭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일측 터치전극들, 상기 터치전극들 중 상기 스위칭부를 경계로, 상기 스위칭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타측 터치전극들 및 영상표시기간 동안, 상기 일측 터치전극들 및 상기 타측 터치전극들에 공통전압을 공급하고, 터치감지기간 동안, 상기 일측 터치전극들 및 상기 타측 터치전극들에 터치신호를 공급하는 구동 회로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영상표시기간에 공급되는 상기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일측 터치전극들과 상기 타측 터치전극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통전압이 공급되는 영상표시기간에는, 서로 인접되어 있는 셀프캡 방식의 터치전극들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드라이버IC들로부터 공통전압을 공급받는 터치전극들 간에 편차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편차에 의한, 화질의 품질저하가 발생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의 인셀 타입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스위칭 신호의 파형도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드라이버IC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패널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표시패널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액정표시장치가 본 발명의 일예로서 설명되겠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공통전극 및 공통전압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스위칭 신호의 파형도의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드라이버IC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여기서, 도 4는, 특히, 제1제어부(410)를 나타내며, 도 5는 제1드라이버IC(300)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전극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영상이 출력되는 표시부(A)와 상기 표시부(A)의 외곽에 구비되는 비표시부(B)를 포함하는 표시패널(100), 상기 터치전극들 중 제1터치전극(110)들로 공통전압 또는 터치신호를 공급하며, 상기 비표시부(B)를 구성하고 서로 마주보고 있는 제1비표시영역(B1)과 제2비표시영역(B2) 중 상기 제1비표시영역(B1)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드라이버IC(300), 상기 터치전극들 중 제2터치전극(120)들로 공통전압 또는 터치신호를 공급하며, 상기 제2비표시영역(B2)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드라이버IC(700), 상기 제1드라이버IC와 상기 제2드라이버IC를 구동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표시패널에 구비된 게이트 라인들로 순차적으로 게이트 펄스를 출력하는 게이트 드라이버(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부(A)를 가로지르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스위칭 신호가 공급되는 메인 스위칭부(151)가 상기 표시부(A)에 구비된다.
상기 제1터치전극(110)들은 상기 메인 스위칭부(151)를 경계로, 상기 표시부(A)의 일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2터치전극(120)들은 상기 메인 스위칭부(151)를 경계로, 상기 표시부(A)의 타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1터치전극(110)들 및 상기 제2터치전극(120)들 중, 상기 일측에서 상기 메인 스위칭부(151)에 인접되어 있는 제1인접터치전극(111)들과 상기 타측에서 상기 메인 스위칭부(151)에 인접되어 있는 제2인접터치전극(121)들은, 영상표시기간에 공급되는 상기스위칭 신호(SS)에 의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이하의 설명 중, 상기 드라이버IC는 구동 회로부라고도 한다. 따라서, 상기 제1드라이버IC(300)는 제1구동 회로부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드라이버IC(700)는 제2구동 회로부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구동 회로부의 구성 및 기능이, 상기 드라이버IC의 구성 및 기능과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다. 상기 구동 회로부는 상기 드라이버IC의 구성 및 기능 중 일부만 포함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드라이버IC의 구성 및 기능 이외의 또 다른 구성 및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동 회로부는 상기 제1드라이버IC(300) 및 상기 제2드라이버IC(70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 회로부는 상기 제1구동 회로부 및 상기 제2구동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상기 표시패널(100)은, 제1기판,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DL)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2기판 및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 사이에 주입되는 액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100)에는, 상기 터치전극들(110, 120)로 구성되는 터치패널이 내장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패널을 구성하는 상기 터치전극(110, 120)들은, 공통전압이 공급되는 공통전극 또는 터치신호가 공급되는 터치전극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영상표시기간에는, 상기 터치전극(110, 120)들로 상기 공통전압이 공급되고, 각 픽셀에 구비된 픽셀전극으로는 상기 데이터 라인을 통해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며, 상기 게이트 라인으로는 게이트 펄스가 공급된다. 상기 게이트 펄스가 공급될 때, 상기 픽셀전극으로 공급된 상기 데이터 전압과 상기 공통전압의 차전압에 의해, 상기 액정이 구동된다. 상기 차전압에 따라, 액정의 투과율이 변경되며, 이에 따라, 상기 패널(100)을 통해 영상이 출력된다.
상기 터치감지기간에는, 상기 터치전극(110, 120)들로 상기 터치신호가 공급된다. 이 경우, 상기 드라이버IC들(300, 700)은, 상기 터치전극(110, 120)들로부터 감지신호들을 수신한다. 이를 위해, 상기 드라이버IC들(300, 700) 각각에는 터치수신부가 구비된다. 도 5에는 상기 제1드라이버IC(300)에 구비된 제1터치수신부(32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드라이버IC(700)에는 제2터치수신부가 구비된다.
상기 제1터치수신부(320) 및 상기 제2터치수신부 각각은, 상기 감지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패널(100)에서의 터치 유무 또는 터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터치수신부(320) 및 상기 제2터치수신부 각각은, 상기 감지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패널(100)에서의 터치 유무 또는 터치 위치를 판단하는 터치감지부(미도시)로, 상기 감지신호들을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터치감지부는 도 2에 도시된 메인 기판들(500, 8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기판에는, 적색픽셀, 녹색픽셀 및 청색픽셀을 구분하는 적색컬러필터, 녹색컬러필터 및 청색컬러필터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컬러필터는 상기 제2기판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2기판에는, 상기 게이트 라인들, 상기 데이터 라인들, 상기 공통전극들(110, 120)들, 및 상기 픽셀전극들(미도시)이 구비된다.
특히, 상기 공통전극들(110, 120)들은, 상기 표시패널(100)에서 영상이 출력되는 상기 표시영역(A)에 구비된다.
상기 비표시부(B)는 상기 표시부(A)의 외곽에 구비된다.
다음, 상기 제어부는 외부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도트 클럭 등의 타이밍 신호(TS)를 입력받아 상기 드라이버IC들(300, 700)과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미도시)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들을 발생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된 입력영상데이터를 재정렬하여, 재정렬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드라이버IC들(300, 700)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메인 기판들(500, 800)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제어부(410)는 상기 제1드라이버IC(300)를 제어하며, 제2제어부(420)는 상기 제2드라이버IC(700)를 제어한다. 상기 제1제어부(410)와 상기 제2제어부(420)는 동기신호에 의해 동기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제어부가 상기 제1드라이버IC(300) 및 상기 제2드라이버IC(700)를 모두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제어부(410)가 상기 제1드라이버IC(300)를 제어하며, 상기 제2제어부(420)가 상기 제2드라이버IC(700)를 제어하는 표시장치가 본 발명의 일예로서 설명된다. 이 경우, 상기 제1제어부(410)와 상기 제2제어부(420)의 구성 및 기능은 동일하며, 동기신호에 의해 서로 동기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제1제어부(410)에 대해 설명된다.
상기 제1제어부(410)는 상기 제1드라이버IC(30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 예를 들어, 터치동기신호(TSS)를 생성하여 상기 제1드라이버IC(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드라이버IC(300)는, 상기 터치동기신호(TSS)에 따라, 상기 영상표시기간과 상기 터치감지기간을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제어부(410)는, 상기 스위칭 신호(SS)를 생성하며, 상기 스위칭 신호(SS)를 스위칭 신호 공급 라인(140)을 통해 상기 스위칭 라인(141)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신호(SS)는 상기 터치동기신호(TSS)와 동일한 신호가 될 수도 있으나, 다른 신호가 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 신호(SS)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형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칭 신호(SS)는, 1프레임 중 영상표시기간(D)에는, 상기 스위칭 라인(141)에 연결되어 있는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131)들 및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132)들을 턴온시킬 수 있으며, 1프레임 중 터치감지기간(T)에는, 상기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131)들 및 상기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132)들을 턴오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스위칭 신호(SS)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레벨의 펄스와, 로우레벨의 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신호(SS)는, 상기 제1제어부(410)로부터 출력될 수 있으나, 상기 제2제어부(420)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제어부(410)와 상기 제2제어부(420) 모두가 상기 스위칭 신호(SS)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1제어부(4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411), 제어신호 생성부(412) 및 정렬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411)는 상기 타이밍 신호(TS) 및 상기 입력영상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412)는 상기 타이밍 신호(TS)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동기신호(TSS), 상기 스위칭 신호(SS), 상기 제1드라이버IC(3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제어신호 및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를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정렬부(413)는 상기 외부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된 상기 입력영상데이터를 재정렬하여, 재정렬된 영상데이터(RGB)를 상기 제1드라이버IC(300)로 출력한다.
다음, 상기 제1드라이버IC(300)는, 상기 표시패널(100)에 구비되어 공통전극으로도 이용되는 상기 제1터치전극(110)들로 공통전압 또는 터치신호를 공급한다.
상기 제1드라이버IC(300)는, 상기 비표시부(B)를 구성하고 서로 마주보고 있는 제1비표시영역(B1)과 제2비표시영역(B2) 중 상기 제1비표시영역(B1)에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비표시부(B)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영역(A)의 외곽에 구비되며, 제1비표시영역(B1), 제2비표시영역(B2), 제3비표시영역(B3) 및 제4비표시영역(B4)을 포함한다. 이 중, 상기 제1비표시영역(B1) 및 상기 제2비표시영역(B2)은 서로 마주보고 있으며, 상기 제3비표시영역(B3) 및 상기 제4비표시영역(B4)은 서로 마주보고 있다.
상기 제1비표시영역(B1)은 상기 표시부(A)의 상기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터치전극(120)들과 마주보고, 상기 제1터치전극(110)들과 연결된 제1터치라인(1TL)들은 상기 제1비표시영역(B1)에서 상기 제1드라이버IC(300)와 연결된다.
상기 제2비표시영역(B2)은 상기 표시부(A)의 상기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터치전극(110)들과 마주보고, 상기 제2터치전극(120)들과 연결된 제2터치라인(2TL)들은 상기 제2비표시영역(B2)에서 상기 제2드라이버IC(700)와 연결된다.
상기 제1드라이버IC(300)는, 제1플렉서블기판(20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렉서블기판(200)은 제1메인기판(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드라이버IC(700)는, 상기 표시패널(100)에 구비되어 공통전극으로도 이용되는 상기 제2터치전극(120)들로 공통전압 또는 터치신호를 공급하며, 상기 제2비표시영역(B2)에 구비된다.
상기 제2드라이버IC(700)는, 제2플렉서블기판(60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플렉서블기판(600)은 제2메인기판(8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드라이버IC(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데이터 드라이버(310) 및 제1터치수신부(320)를 포함하며, 상기 제2드라이버IC(700)는, 제2데이터 드라이버 및 제2터치수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드라이버IC(300) 및 상기 제2드라이버IC(700)의 구성 및 기능은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도 5에 도시된 상기 제1드라이버IC(300)의 구성 및 기능이 설명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상기 제1드라이버IC(300)의 구성 및 기능은 상기 제2드라이버IC(7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드라이버IC(300)는, 상기 제1데이터 드라이버(310) 및 상기 제1터치수신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데이터 드라이버(310)와 상기 제1터치수신부(320)는, 상기 터치동기신호(TSS)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제1데이터드라이버(310)는, 상기 영상표시기간에는, 상기 제1제어부(410)로부터 입력된 상기 영상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게이트 라인에 상기 게이트 펄스가 공급되는 1수평기간마다 1수평라인분의 데이터 전압을 상기 데이터 라인(DL)들에 공급한다.
상기 제1터치수신부(320)는, 상기 영상표시기간에는, 제1터치라인(1TL)들을 통해 상기 제1터치전극(110)들로 공통전압을 공급한다. 상기 제2터치수신부는 상기 영상표시기간에는 제2터치라인(2TL)들을 통해 상기 제2터치전극(120)들로 공통전압을 공급한다.
상기 제1터치수신부(320)는, 상기 터치감지기간에는, 상기 제1터치라인(1TL)들을 통해 상기 제1터치전극(110)들로 터치신호를 공급한다.
상기 제1데이터 드라이버(310)는, 상기 터치감지기간에, 상기 터치신호와 동일한 위상 및 동일한 전위차를 갖는 터치보조신호를 상기 데이터 라인(DL)들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터치수신부(320)는, 상기 터치감지기간에 상기 터치신호를 상기 제1터치전극(110)들로 공급한 후, 상기 터치전극(110)들로부터 감지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1터치수신부(320)는, 상기 감지신호들을 디지털 감지신호들로 변환시킨 후, 상기 디지털 감지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패널(100)에서의 터치유무 및 터치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터치수신부(320)는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디지털 감지신호들을 상기 터치감지부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터치감지부는 상기 디지털 감지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패널(100)에서의 터치유무 및 터치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미도시)는 상기 제1제어부(410) 또는 상기 제2제어부(420)로부터 전송되어온 게이트 스타트 펄스(Gate Start Pulse)를 게이트 쉬프트 클럭(Gate Shift Clock)에 따라 쉬프트시켜, 순차적으로 상기 게이트 라인들로, 상기 게이트 펄스를 공급한다.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는, 상기 터치감지기간에는, 상기 터치보조신호를 상기 게이트 라인들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는 집적회로로 구성된 후 상기 표시패널(100)의 상기 비표시부(B)에 장착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표시패널(100)에 내장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표시부(A)를 가로지르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스위칭 신호(SS)가 공급되는 상기 메인 스위칭부(151)가 상기 표시부(A)에 구비된다. 상기 터치전극들 중 상기 제1터치전극(110)들은 상기 메인 스위칭부(151)를 경계로, 상기 표시부(A)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터치전극들 중 상기 제2터치전극(120)들은 상기 메인 스위칭부(151)를 경계로, 상기 표시부(A)의 타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1터치전극(110)들 및 상기 제2터치전극(120)들 중, 상기 일측에서 상기 메인 스위칭부(151)에 인접되어 있는 제1인접터치전극(111)들과 상기 타측에서 상기 메인 스위칭부(151)에 인접되어 있는 제2인접터치전극(121)들은, 상기 메인 스위칭부(151)에 연결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스위칭 신호(SS)가 상기 제1제어부(410)로부터 출력되는 표시장치가 본 발명의 일예로서 설명된다.
상기 메인 스위칭부(15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A)를 가로지르며, 상기 스위칭 신호(SS)가 공급되는 스위칭 라인(141), 상기 제1인접터치전극(111)들과 연결된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131)들, 상기 제2인접터치전극(121)들과 연결된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132)들 및 상기 제1인접터치전극(111)과 상기 제2인접터치전극(121)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트랜지스터(161)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트랜지스터(161)는 상기 제1인접터치전극(111)들과 상기 제2인접터치전극(121)들 각각에 모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상기 표시패널(100)에는 10개의 제1인접터치전극(111)들과, 10개의 제2인접터치전극(121)들이 서로 인접되어 있다. 따라서, 10개의 상기 연결 트랜지스터(161)들이 상기 표시패널(100)에 구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연결 트랜지스터(161)는, 상기 스위칭 라인(141)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상기 연결 트랜지스터(161)는, 도 2에 도시된 상기 스위칭 라인(141)의 좌측에만 배치될 수 있고, 우측에만 배치될 수 있으며, 또한, 중심 부분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두 개 이상의 상기 연결 트랜지스터(161)들이, 상기 스위칭 라인(141)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는 두 개의 상기 연결 트랜지스터(161)들이,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양쪽 끝단에 배치된 상기 표시패널(100)이 도시되어 있다. 두 개의 상기 연결 트랜지스터(161)들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칭 라인(141)의 양쪽 끝단에 배치되면, 하나의 연결 트랜지스터(161)가 상기 스위칭 라인(141)의 일측 끝단에 배치된 경우와 비교할 때, 각 위치별 공통전압의 편차가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131)들의 게이트들과, 상기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132)들의 게이트들과, 상기 연결 트랜지스터(161)의 게이트는 상기 스위칭 라인(141)에 연결된다.
상기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131)들 각각의, 제1단자 및 제2단자는, 상기 제1인접전극(111)들 중 서로 인접되어 있는 두 개의 제1인접전극(111)들에 연결되어 있고, 게이트로 이용되는 제3단자는 상기 스위칭 라인(141)과 연결된다.
상기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132)들 각각의, 제1단자 및 제2단자는, 상기 제2인접전극(121)들 중 서로 인접되어 있는 두 개의 제2인접전극(121)들에 연결되어 있고, 게이트로 이용되는 제3단자는 상기 스위칭 라인(141)과 연결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인접터치전극(111)들은, 게이트가 상기 메인 스위칭부(151)를 구성하는 상기 스위칭 라인(141)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131)들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2인접터치전극(121)들은, 게이트가 상기 스위칭 라인(141)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132)들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인접터치전극(111)과 상기 제2인접터치전극(121)은 상기 연결 트랜지스터(161)에 연결되고, 상기 영상표시기간에 상기 제1인접터치전극(111)들과 상기 제2인접터치전극(121)들로는 상기 공통전압이 공급되며, 상기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131)들, 상기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132)들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연결 트랜지스터(161)는, 상기 영상표시기간에 상기 스위칭 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스위칭 신호에 의해 턴온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인접터치전극(111)들과, 상기 제2인접터치전극(121)들에는 동일한 레벨의 공통전압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라인(141)은 상기 스위칭 신호 공급 라인(140)을 통해 상기 제1제어부(410)와 연결된다.
상기 제1터치전극(110)들은 상기 스위칭 라인(141)을 경계로, 상기 표시부(A)의 일측에 배치된다. 상기 표시부(A)의 일측은, 예를 들어, 도 2에서, 상기 스위칭 라인(141)의 상측을 의미한다.
상기 제2터치전극(120)들은 상기 스위칭 라인(141)을 경계로, 상기 표시부(A)의 타측에 배치된다. 상기 표시부(A)의 타측은, 예를 들어, 도 2에서, 상기 스위칭 라인(141)의 하측을 의미한다.
상기 제1터치전극(110)들 및 상기 제2터치전극(120)들 중, 상기 일측에서 상기 스위칭 라인(141)에 인접되어 있는 제1인접터치전극(111)들과 상기 타측에서 상기 스위칭 라인(152)에 인접되어 있는 제2인접터치전극(121)들은, 영상표시기간에 공급되는 상기 스위칭 신호(SS)에 의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상기 제1인접터치전극(111)들은, 게이트가 상기 스위칭 라인(141)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131)들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제2인접터치전극(121)들은, 게이트가 상기 스위칭 라인(141)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132)들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제1인접터치전극(111)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제2인접터치전극(121)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연결 트랜지스터(161)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영상표시기간에 상기 제1인접터치전극(111)들과 상기 제2인접터치전극(121)들로는 상기 공통전압이 공급된다.
상기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131)들, 상기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132)들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연결 트랜지스터(161)는, 상기 영상표시기간에 상기 스위칭 라인(141)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스위칭 신호(SS)에 의해 턴온된다.
상기 스위칭 신호(SS)에 의해 상기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131), 상기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132)들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연결 트랜지스터(161)가 턴온되면, 상기 제1인접터치전극(111)들 및 상기 제2인접터치전극(121)들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1인접터치전극(111)들 및 상기 제2인접터치전극(121)들로는 동일한 레벨을 갖는 공통전압이 공급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위칭 라인(141)을 경계로, 단차가 생성되지 않는다. 도 2에서는, 상기 스위칭 라인(141)의 일측에서, 상기 스위칭 라인(141)에 나란한 하나의 가로 라인에 대응되는 제1터치전극(110)들이 상기 제1인접터치전극(111)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두 개 이상의 가로 라인에 대응되는 제1터치전극(110)들이 상기 제1인접터치전극(111)들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인접터치전극(111)들에는, 또 다른 상기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131)들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인접터치전극(111)들 중 상기 표시패널(100)의 상하 방향으로 인접되어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제1인접터치전극(111)들은 또 다른 연결 트랜지스터(16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상기 스위칭 라인(141)의 타측에서, 상기 스위칭 라인(141)에 나란한 하나의 가로 라인에 대응되는 제2터치전극(120)들이 상기 제2인접터치전극(121)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두 개 이상의 가로 라인에 대응되는 제2터치전극(120)들이 상기 제2인접터치전극(121)들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인접터치전극(121)들에는, 또 다른 상기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132)들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인접터치전극(121)둘 중 상기 표시패널(100)의 상하 방향으로 인접되어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제2인접터치전극(121)들은 또 다른 연결 트랜지스터(16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패널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표시패널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패널(100)은,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영상이 출력되는 상기 표시부(A) 및 상기 표시부(A)의 외곽에 구비되는 상기 비표시부(B)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표시부(A)를 가로지르며, 상기 스위칭 신호(SS)가 공급되는 상기 스위칭 라인(141)이 상기 표시부(A)에 구비된다.
공통전극으로도 이용되는 상기 제1터치전극(110)들은 상기 스위칭 라인(141)을 경계로, 상기 표시부(A)의 일측에 배치되며, 공통전극으로도 이용되는 상기 제2터치전극들은 상기 스위칭 라인(141)을 경계로, 상기 표시부(A)의 타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1터치전극(110)들 및 상기 제2터치전극(120)들 중, 상기 일측에서 상기 스위칭 라인(141)에 인접되어 있는 상기 제1인접터치전극(111)들과 상기 타측에서 상기 스위칭 라인(141)에 인접되어 있는 상기 제2인접터치전극(121)들은, 상기 메인 스위칭부(151)의 상기 스위칭 라인(141)과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6 및 도 7에는 상기 스위칭 라인(141)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두 개의 상기 제1인접터치전극(111)들과, 상기 제2인접터치전극(121)들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인접터치전극(111)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픽셀(P)들을 커버한다. 상기 픽셀(P)들은, 적색픽셀, 녹색픽셀 및 청색픽셀들이 될 수 있다. 도 7에는 상기 제1인접터치전극(111)들 및 상기 제2인접터치전극(121)들 각각이 8개의 픽셀(P)들을 커버하고 있는 표시패널(100)이 본 발명의 일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상기 픽셀(P)들 각각에는 상기 제1인접터치전극(111) 또는 상기 제2인접터치전극(121)에 대응되는 픽셀전극(PE)이 구비된다.
상기 픽셀전극(PE)은, 상기 데이터 라인(DL) 및 상기 게이트 라인(GL)과 연결된 구동 트랜지스터(T)와 연결된다. 상기 픽셀전극(PE)과 상기 제1인접터치전극(111) 또는 상기 제2인접터치전극(121) 사이에는, 상기 게이트 라인(GL)으로 상기 게이트 펄스가 공급되는 동안, 상기 데이터 라인(DL)을 통해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이 충전된다.
상기 메인 스위칭부(151)는, 상기 제1인접터치전극(111)들과 연결된 상기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131)들, 상기 제2인접터치전극(121)들과 연결된 상기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132)들, 상기 스위칭 라인(141) 및 상기 연결 트랜지스터(161)를 포함한다.
상기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131)들 각각의, 제1단자 및 제2단자는, 상기 제1인접터치전극(111)들 중 서로 인접되어 있는 두 개의 제1인접터치전극(111)들에 연결되어 있고, 게이트로 이용되는 제3단자는 상기 스위칭 라인(141)과 연결된다.
상기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132)들 각각의, 제1단자 및 제2단자는, 상기 제2인접터치전극(121)들 중 서로 인접되어 있는 두 개의 제2인접터치전극(121)들에 연결되어 있고, 게이트로 이용되는 제3단자는 상기 스위칭 라인(141)과 연결된다.
상기 연결 트랜지스터(161)는 상기 제1인접터치전극(111)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2인접터치전극(121)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다.
상기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131)들, 상기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131)들 및 상기 연결 트랜지스터(161)는,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들과 함께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131)들, 상기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131)들 ㅁ및 상기 연결 트랜지스터(161)는,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들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131)들 및 상기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131)들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들과 인접된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131)들, 상기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131)들 및 상기 연결 트랜지스터(161)의, 구조 및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비표시부(B) 중 상기 표시부(A)의 상기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터치전극(121)들과 마주보고 있는 상기 제1비표시영역(B1)으로는, 상기 제1터치전극(111)들과 연결된 상기 제1터치라인(1TL)들이 연장된다.
상기 제1비표시영역(B1)에는, 상기 제1터치라인(1TL)들로 공통전압 또는 터치신호를 공급하는 상기 제1드라이버IC(300)가 장착되는 제1패드들(미도시)이 배치된다.
상기 제1비표시영역(B1)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드라이버IC(300)가 장착될 수 있다. 도 2에는, 상기 제1비표시영역(B1)에 5개의 상기 제1드라이버IC(300)들이 장착되어 있는 표시패널(100)이, 본 발명의 일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비표시부(B) 중 상기 표시부(A)의 상기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터치전극(111)들과 마주보고 있는 상기 제2비표시영역(B2)으로는, 상기 제2터치전극(121)들과 연결된 상기 제2터치라인(2TL)들이 연장된다.
상기 제2비표시영역(B2)에는, 상기 제2터치라인(2TL)들로 공통전압 또는 터치신호를 공급하는 상기 제2드라이버IC(700)가 장착되는 제2패드들(미도시)이 배치된다.
상기 제2비표시영역(B2)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드라이버IC(700)가 장착될 수 있다. 도 2에는, 상기 제2비표시영역(B2)에 5개의 상기 제2드라이버IC(700)들이 장착되어 있는 표시패널(100)이, 본 발명의 일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드라이버IC(300)가 상기 제1비표시영역(B1)에 장착되어 상기 제1터치전극(110)들을 구동하고, 상기 제2드라이버IC(700)가 상기 제2비표시영역(B2)에 장착되어 상기 제2터치전극(120)들을 구동함에 따라, 대형의 표시장치에서, 상기 제1터치전극(110)들 및 상기 제2터치전극(120)들로 공통전압 및 터치신호가 정상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위칭 라인(141)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스위칭 신호(SS)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은 대형의 표시장치에서 발생될 수 있는 가로라인과 같은 품질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이다. 이하의 설명 중, 도 2 내지 도 7에서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내용은, 생략되거나 간단히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전극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영상이 출력되는 표시부(A)와 상기 표시부(A)의 외곽에 구비되는 비표시부(B)를 포함하는 표시패널(100), 상기 터치전극들 중 제1터치전극(110)들로 공통전압 또는 터치신호를 공급하며, 상기 비표시부(B)를 구성하고 서로 마주보고 있는 제1비표시영역(B1)과 제2비표시영역(B2) 중 상기 제1비표시영역(B1)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드라이버IC(300), 상기 터치전극들 중 제2터치전극(120)들로 공통전압 또는 터치신호를 공급하며, 상기 제2비표시영역(B2)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드라이버IC(700), 상기 제1드라이버IC와 상기 제2드라이버IC를 구동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표시패널에 구비된 게이트 라인들로 순차적으로 게이트 펄스를 출력하는 게이트 드라이버(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부(A)를 가로지르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스위칭 신호가 공급되는 메인 스위칭부(151)가 상기 표시부(A)에 구비된다.
상기 제1터치전극(110)들은 상기 메인 스위칭부(151)를 경계로, 상기 표시부(A)의 일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2터치전극(120)들은 상기 메인 스위칭부(151)를 경계로, 상기 표시부(A)의 타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1터치전극(110)들 및 상기 제2터치전극(120)들 중, 상기 일측에서 상기 메인 스위칭부(151)에 인접되어 있는 제1인접터치전극(111)들과 상기 타측에서 상기 메인 스위칭부(151)에 인접되어 있는 제2인접터치전극(121)들은, 영상표시기간에 공급되는 상기스위칭 신호(SS)에 의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적어도 하나의 보조 스위칭부(152)는, 상기 메인 스위칭부(151)와 나란하게 상기 표시부(A)에 배치된다.
상기 터치전극들 중 상기 보조 스위칭부(152)와 인접되어 있는 터치전극들은 상기 보조 스위칭부(152)에 연결된다.
상기 보조 스위칭부(152)는, 상기 표시부(A)를 가로지르며, 상기 스위칭 신호(SS)가 공급되는 보조 스위칭 라인(142), 상기 터치전극들 중 상기 보조 스위칭 라인(142)을 경계로, 상기 보조 스위칭 라인(142)의 일측에 배치된 터치전극들과 연결된 제1보조 스위칭 트랜지스터(133)들, 상기 터치전극들 중 상기 보조 스위칭 라인(142)을 경계로, 상기 보조 스위칭 라인(142)의 타측에 배치된 터치전극들과 연결된 제2보조 스위칭 트랜지스터(134)들 및 상기 터치전극들 중 상기 보조 스위칭 라인(142)을 경계로, 상기 보조 스위칭 라인(142)의 일측에 배치된 터치전극과, 상기 보조 스위칭 라인(142)의 타측에 배치된 터치전극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연결 트랜지스터(163)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 스위칭 라인(142)은 상기 스위칭 신호 공급 라인(140)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스위칭 라인(141)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보조 스위칭 트랜지스터(133)들은, 상기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131)들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2보조 스위칭 트랜지스터(134)들은, 상기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132)들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보조 연결 트랜지스터(163)는 상기 연결 트랜지스터(161)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보조 연결 트랜지스터(163)는 상기 보조 스위칭 라인(142)에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보조 스위칭 트랜지스터(133)들의 게이트들과, 상기 제2보조 스위칭 트랜지스터(134)들의 게이트들과, 상기 보조 연결 트랜지스터(163)의 게이트는 상기 보조 스위칭 라인(162)에 연결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스위칭부(152)가 두 개 배치되어 있는 표시패널이, 본 발명의 일예로서 설명된다. 특히, 상기 제1터치전극(110)들과 연결된 보조 스위칭부(152)는 제1보조 스위칭부라 하며, 상기 제2터치전극(120)들과 연결된 보조 스위칭부(152)는 제2보조 스위칭부라 한다. 따라서, 상기 제1보조 스위칭부와, 상기 제2보조 스위칭부의 구성 및 기능은, 상기에서 설명된 상기 보조 스위칭부(152)의 구성 및 기능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서, 상기 제1보조 스위칭부, 상기 제2보조 스위칭부 및 상기 보조 스위칭부는 도면부호 152로 표시된다.
상기 표시부(A)의 상기 일측에는, 상기 스위칭 라인(141)과 연결된 상기 스위칭 신호 공급 라인(140)과 연결되고, 상기 스위칭 라인(141)과 나란한 상기 보조 스위칭 라인(142)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보조 스위칭부(1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A)의 상기 일측에 구비된 상기 보조 스위칭부(152)는 제1보조 스위칭부라 한다. 상기 표시부(A)의 상기 일측에 구비된 상기 제1터치전극(110)들 모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보조 스위칭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제1터치전극(110)들 중 일부만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보조 스위칭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A)의 상기 타측에는, 상기 스위칭 라인(141)과 연결된 상기 스위칭 신호 공급 라인(140)과 연결되고, 상기 스위칭 라인(141)과 나란한 상기 보조 스위칭 라인(142)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상기 보조 스위칭부(1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A)의 상기 타측에 구비된 상기 보조 스위칭부(152)는 제2보조 스위칭부라 한다. 상기 표시부(A)의 상기 타측에 구비된 상기 제2터치전극(120)들 모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보조 스위칭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제2터치전극(120)들 중 일부만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보조 스위칭부에 연결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도 8에는 하나의 상기 제1보조 스위칭부 및 하나의 상기 제2보조 스위칭부가 도시된 상기 표시패널(100)이, 본 발명의 일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상기 제1보조 스위칭부들 및 복수 개의 상기 제2보조 스위칭부들이 상기 표시패널(100)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터치전극들 중 모두가 상기 메인 스위칭부(151), 상기 제1보조 스위칭부 및 상기 제2보조 스위칭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전극들 중 일부의 터치전극들 만이, 상기 메인 스위칭부(151), 상기 제1보조 스위칭부 및 상기 제2보조 스위칭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터치전극(110)들 중, 상기 제1보조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상기 보조 스위칭 라인(142)의 상단부(또는 일측)에서, 상기 보조 스위칭 라인(142)에 인접되어 있는 제1터치전극(110)들은, 상기 제1보조 스위칭 트랜지스터(133)들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터치전극(110)들 중, 상기 제1보조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상기 보조 스위칭 라인(142)의 하단부(또는 타측)에서, 상기 보조 스위칭 라인(142)에 인접되어 있는 제1터치전극(110)들은, 상기 제2보조 스위칭 트랜지스터(134)들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상기 보조 스위칭 라인(142)의 상단부에 있는 제1터치전극과 상기 보조 스위칭 라인(142)의 하단부에 있는 제1터치전극은 상기 보조 연결 트랜지스터(163)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1보조 스위칭부는, 상기 보조 스위칭 라인(142)의 상단부에 있는 상기 제1터치전극(110)들과 연결된 제1보조 스위칭 트랜지스터(133)들, 상기 보조 스위칭 라인(142)의 하단부에 있는 상기 제1터치전극(110)들과 연결된 제2보조 스위칭 트랜지스터(134)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보조 스위칭 트랜지스터(133)들 각각의, 제1단자 및 제2단자는, 상기 보조 스위칭 라인(142)의 상단부에서 서로 인접되어 있는 두 개의 제1터치전극(110)들에 연결되어 있고, 게이트로 이용되는 제3단자는 상기 보조 스위칭 라인(142)과 연결된다.
상기 제2보조 스위칭 트랜지스터(134)들 각각의, 제1단자 및 제2단자는, 상기 보조 스위칭 라인(142)의 하단부에서 서로 인접되어 있는 두 개의 제1터치전극(110)들에 연결되어 있고, 게이트로 이용되는 제3단자는 상기 보조 스위칭 라인(142)과 연결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터치전극(120)들 중, 상기 제2보조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상기 보조 스위칭 라인(142)의 상단부(또는 일측)에서, 상기 보조 스위칭 라인(142)에 인접되어 있는 제2터치전극(120)들은, 상기 제1보조 스위칭 트랜지스터(133)들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터치전극(120)들 중, 상기 제2보조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상기 보조 스위칭 라인(142)의 하단부(또는 타측)에서, 상기 보조 스위칭 라인(142)에 인접되어 있는 제2터치전극(120)들은, 상기 제2보조 스위칭 트랜지스터(134)들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상기 보조 스위칭 라인(142)의 상단부에 있는 제2터치전극과 상기 보조 스위칭 라인(142)의 하단부에 있는 제2터치전극은 상기 보조 연결 트랜지스터(163)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2보조 스위칭부는, 상기 보조 스위칭 라인(142)의 상단부에 있는 상기 제2터치전극(120)들과 연결된 제1보조 스위칭 트랜지스터(133)들, 상기 보조 스위칭 라인(142)의 하단부에 있는 상기 제2터치전극(120)들과 연결된 제2보조 스위칭 트랜지스터(134)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보조 스위칭 트랜지스터(133)들 각각의, 제1단자 및 제2단자는, 상기 보조 스위칭 라인(142)의 상단부에서 서로 인접되어 있는 두 개의 제2터치전극(120)들에 연결되어 있고, 게이트로 이용되는 제3단자는 상기 보조 스위칭 라인(142)과 연결된다.
상기 제2보조 스위칭 트랜지스터(134)들 각각의, 제1단자 및 제2단자는, 상기 보조 스위칭 라인(142)의 하단부에서 서로 인접되어 있는 두 개의 제2터치전극(120)들에 연결되어 있고, 게이트로 이용되는 제3단자는 상기 보조 스위칭 라인(142)과 연결된다.
상기 제1보조 스위칭부에 의해, 상기 제1터치전극(110)들 중에서 서로 인접되어 있는 터치전극들 간의 편차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2보조 스위칭부에 의해, 상기 제2터치전극(110)들 중에서 서로 인접되어 있는 터치전극들 간의 편차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표시패널(100) 전체에서 공통전압에 의한 편차가 발생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표시장치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도 8에 도시된 상기 표시패널(100)에서는, 상기 메인 스위칭부(151)에 의해 연결된 터치전극들만이, 상기 영상표시기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 스위칭부(151)에 의해 연결된 터치전극들로, 상기 영상표시기간에, 동일한 레벨의 공통전압이 공급된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 스위칭부(151)에 의해 연결된 터치전극들 사이에서는 공통전압의 편차가 발생되지 않으며, 따라서, 줄무늬와 같은 노이즈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상기 표시패널(100)에서는, 상기 보조 스위칭부(152)에 의해 연결된 터치전극들만이, 상기 영상표시기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 스위칭부(152)에 의해 연결된 터치전극들로, 상기 영상표시기간에, 동일한 레벨의 공통전압이 공급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보조 스위칭부(152)에 의해 연결된 터치전극들 사이에서는 공통전압의 편차가 발생되지 않으며, 따라서, 줄무늬와 같은 노이즈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상기 표시패널(100)에, 복수 개의 상기 보조 스위칭부(152)가 구비된 경우, 서로 다른 보조 스위칭부(152)에 연결되어 있는 터치전극들은, 상기 영상표시기간에,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보조 스위칭부(152)에 연결된 터치전극들과, 상기 메인 스위칭부(151)에 연결된 터치전극들도, 상기 영상표시기간에,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이다.
이하의 설명 중,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내용은 생략되거나 또는 간단히 설명된다. 도 9에 도시된 상기 표시패널(100)은, 도 8에 도시된 상기 표시패널(100)의 구성들을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상기 표시패널(100)은, 상기 메인 스위칭부(151) 및 상기 보조 스위칭부(152)를 포함한다. 특히, 도 9에 도시된 상기 표시패널(100)에서는, 두 개 이상의 상기 보조 스위칭부(152)들이 상기 표시부(A)에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표시부(A)에 구비된 상기 터치전극들은, 상기 메인 스위칭부(151) 또는 어느 하나의 상기 보조 스위칭부(152)에 연결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도 9에 도시된 상기 표시패널(100)에 구비된 모든 터치전극들은, 상기 메인 스위칭부(151) 또는 어느 하나의 상기 보조 스위칭부(152)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메인 스위칭부(151)에 연결된 터치전극과 상기 보조 스위칭부(152)에 연결된 터치전극은 연결 스위칭부(159)에 의해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메인 스위칭부(151)에 연결된 터치전극들과 상기 보조 스위칭부(152)에 연결된 터치전극들은, 상기 영상표시기간에,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또한, 인접되어 있는 두 개의 상기 보조 스위칭부(152)들 각각에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터치전극들은 상기 연결 스위칭부(159)에 의해 연결된다. 이 경우, 인접되어 있는 두 개의 상기 보조 스위칭부(152)들 각각에 연결되어 있는 터치전극들은, 상기 영상표시기간에,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 스위칭부(159)는, 상기 표시부(A)를 가로지르며, 상기 스위칭 신호(SS)가 공급되는 연결 스위칭 라인(144) 및 상기 메인 스위칭부(151)에 연결된 터치전극과, 상기 보조 스위칭부(152)에 연결된 터치전극을 연결하는 연결 스위칭 트랜지스터(16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스위칭부(159)는, 상기 표시부(A)를 가로지르며, 상기 스위칭 신호(SS)가 공급되는 연결 스위칭 라인(144) 및 인접되어 있는 두 개의 상기 보조 스위칭부(152)들 각각에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터치전극들을 연결하는 연결 스위칭 트랜지스터(167)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 스위칭 트랜지스터(167)의 게이트는 상기 연결 스위칭 라인(144)에 연결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상기 연결 스위칭부(159)는 적어도 하나 이상, 상기 표시패널(10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스위칭부(159)는 상기 연결 스위칭 라인(144) 및 상기 연결 스위칭 트랜지스터(167)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스위칭 라인(144)으로는 상기 스위칭 신호(SS)가 공급된다.
상기 연결 스위칭 트랜지스터(167)는, 상기 메인 스위칭부(151)에 연결된 터치전극과, 상기 보조 스위칭부(152)에 연결된 터치전극을 연결하거나, 또는, 인접되어 있는 두 개의 상기 보조 스위칭부(152)들 각각에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터치전극들을 연결한다.
상기 연결 스위칭 라인(144)은 상기 스위칭 라인(141) 또는 상기 보조 스위칭 라인(142)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연결 스위칭 트랜지스터(167)는 상기 연결 트랜지스터(161) 또는 상기 보조 연결 트랜지스터(163)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 스위칭 트랜지스터(167)는 상기 연결 스위칭 라인(144)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연결 스위칭 트랜지스터(167)와, 상기 연결 트랜지스터(161) 또는 상기 보조 연결 트랜지스터(163)는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 트랜지스터(161)는, 상기 메인 스위칭부(151)에 연결되어 있는 터치전극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상기 보조 연결 트랜지스터(163)는, 상기 보조 스위칭부(152)에 연결되어 있는 터치전극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그러나, 상기 연결 스위칭 트랜지스터(167)는 상기 메인 스위칭부(151)에 연결되어 있는 터치전극들과 상기 보조 스위칭부(152)에 연결되어 있는 터치전극들을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시키며, 또한, 서로 다른 보조 스위칭부(152)에 연결되어 있는 터치전극들을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시킨다.
따라서, 상기 터치전극들 모두가, 상기 메인 스위칭부(152) 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보조 스위칭부(152)에 연결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연결 스위칭부(159)가, 상기 메인 스위칭부(152)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보조 스위칭부(152)를 모두 연결시키고 있다면, 상기 영상표시기간에, 상기 터치전극들 모두는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영상표시간에, 상기 터치전극들에는 동일한 레벨의 공통전압이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전극들에서는 공통전압의 편차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터치전극들 중 일부가, 상기 메인 스위칭부(152) 또는 상기 보조 스위칭부(152)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연결 스위칭부(159)가 상기 표시패널(100)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 스위칭부(159)에 의해 연결된 터치전극들에는, 상기 영상표시기간에 동일한 레벨의 공통전압이 공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가 설명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터치전극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영상이 출력되는 표시부(A)와 상기 표시부(A)의 외곽에 구비되는 비표시부(B)를 포함하는 표시패널(100), 상기 표시패널(100)을 가로 지로지르며, 상기 스위칭 신호(SS)가 공급되는 스위칭부, 상기 터치전극들 중, 상기 스위칭부를 경계로, 상기 스위칭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일측 터치전극들, 상기 터치전극들 중 상기 스위칭부를 경계로, 상기 스위칭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타측 터치전극들 및 영상표시기간 동안, 상기 일측 터치전극들과 상기 타측 터치전극들에 공통전압을 공급하고, 터치감지기간 동안, 상기 일측 터치전극들과 상기 타측 터치전극들에 터치신호를 공급하는 구동 회로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메인 스위칭부(151)일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보조 스위칭부(152)일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영상표시기간에 공급되는 상기 스위칭 신호(SS)에 따라, 상기 일측 터치전극들과 상기 타측 터치전극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따라서, 상기 영상표시기간에,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치전극들로는, 동일한 레벨의 공통전압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100)에는 상기 스위칭부들이 두 개 이상 배치된다.
상기 표시패널(1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연결 스위칭부(159)가 배치된다.
상기 연결 스위칭부(159)는, 상기 영상표시기간에 공급되는 상기 스위칭 신호에 따라, 어느 하나의 스위칭부에 연결되어 있는 터치전극들 및 또 다른 스위칭부에 연결되어 있는 터치전극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따라서, 상기 터치전극들 모두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기 스위칭부들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스위칭부들에 연결된 터치전극들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연결 스위칭부(159)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면, 상기 영상표시기간에, 상기 표시패널(100)에 구비된 상기 터치전극들은 전기적으로 모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영상표시기간에, 상기 터치전극들로는 동일한 레벨의 공통전압이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터치전극들에서는 공통전압의 편차가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을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터치패널이 내장되어 있는 인셀 타입 표시장치가 대형화됨에 따라, 터치전극들의 갯수가 증가된다. 이에 따라, 표시패널은 상하로 구분되어 구동된다.
대형 인셀 타입 표시장치가 상하로 분할되어 구동됨에 따라, 표시패널을 상하로 구분하는 가로선이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가로선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의하면, 상하 더블 구동에 따른 표시장치의 성능 저하 및 표시패널의 대형화에 따른 터치전극들 간의 단차 등 대형 인셀 타입 표시장치에서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들이 개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장치의 화질 및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표시패널 A: 표시부
B: 비표시부 151: 스위칭 라인
131: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 132: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

Claims (15)

  1. 터치전극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영상이 출력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의 외곽에 구비되는 비표시부를 포함하고,
    스위칭 신호가 공급되는 메인 스위칭부가 상기 표시부에 구비되고,
    상기 터치전극들 중 제1터치전극들은 상기 메인 스위칭부를 경계로, 상기 표시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터치전극들 중 제2터치전극들은 상기 메인 스위칭부를 경계로, 상기 표시부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터치전극들 및 상기 제2터치전극들 중, 상기 일측에서 상기 메인 스위칭부에 인접되어 있는 제1인접터치전극들과 상기 타측에서 상기 메인 스위칭부에 인접되어 있는 제2인접터치전극들은, 상기 메인 스위칭부에 연결되어 있는 표시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부 중 상기 표시부의 상기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터치전극들과 마주보고 있는 제1비표시영역으로, 상기 제1터치전극들과 연결된 제1터치라인들이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비표시부 중 상기 표시부의 상기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터치전극들과 마주보고 있는 제2비표시영역으로, 상기 제2터치전극들과 연결된 제2터치라인들이 연장되어 있는 표시패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비표시영역에는, 상기 제1터치라인들로 공통전압 또는 터치신호를 공급하는 제1구동 회로부가 장착되는 제1패드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비표시영역에는, 상기 제2터치라인들로 공통전압 또는 터치신호를 공급하는 제2구동 회로부가 장착되는 제2패드들이 배치되어 있는 표시패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스위칭부는,
    상기 표시부에 구비되며, 상기 스위칭 신호가 공급되는 스위칭 라인;
    상기 제1인접터치전극들과 연결된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들;
    상기 제2인접터치전극들과 연결된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들; 및
    상기 제1인접터치전극과 상기 제2인접터치전극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들과, 상기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들과, 상기 연결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상기 스위칭 라인에 연결되어 있는 표시패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들 각각의, 제1단자 및 제2단자는, 상기 제1인접전극들 중 서로 인접되어 있는 두 개의 제1인접전극들에 연결되어 있고, 게이트로 이용되는 제3단자는 상기 스위칭 라인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들 각각의, 제1단자 및 제2단자는, 상기 제2인접전극들 중 서로 인접되어 있는 두 개의 제2인접전극들에 연결되어 있고, 게이트로 이용되는 제3단자는 상기 스위칭 라인과 연결되어 있는 표시패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스위칭부와 나란하게 상기 표시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터치전극들 중 상기 보조 스위칭부와 인접되어 있는 터치전극들은 상기 보조 스위칭부에 연결되는 표시패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스위칭부는,
    상기 표시부에 구비되며, 상기 스위칭 신호가 공급되는 보조 스위칭 라인;
    상기 터치전극들 중 상기 보조 스위칭 라인을 경계로, 상기 보조 스위칭 라인의 일측에 배치된 터치전극들과 연결된 제1보조 스위칭 트랜지스터들;
    상기 터치전극들 중 상기 보조 스위칭 라인을 경계로, 상기 보조 스위칭 라인의 타측에 배치된 터치전극들과 연결된 제2보조 스위칭 트랜지스터들; 및
    상기 터치전극들 중 상기 보조 스위칭 라인을 경계로, 상기 보조 스위칭 라인의 일측에 배치된 터치전극과, 상기 보조 스위칭 라인의 타측에 배치된 터치전극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연결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 스위칭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들과, 상기 제2보조 스위칭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들과, 상기 보조 연결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상기 보조 스위칭 라인에 연결되어 있는 표시패널.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는 두 개 이상의 상기 보조 스위칭부들이 구비되고,
    상기 표시부에 구비된 상기 터치전극들은, 상기 메인 스위칭부 또는 어느 하나의 상기 보조 스위칭부에 연결되고,
    상기 메인 스위칭부에 연결된 터치전극과 상기 보조 스위칭부에 연결된 터치전극 또는, 인접되어 있는 두 개의 상기 보조 스위칭부들 각각에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터치전극들은 연결 스위칭부에 의해 연결되는 표시패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스위칭부는,
    상기 표시부에 구비되며, 상기 스위칭 신호가 공급되는 연결 스위칭 라인; 및
    상기 메인 스위칭부에 연결된 터치전극과, 상기 보조 스위칭부에 연결된 터치전극을 연결하거나, 또는 인접되어 있는 두 개의 상기 보조 스위칭부들 각각에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터치전극들을 연결하는 연결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상기 연결 스위칭 라인에 연결된 표시패널.
  11. 터치전극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영상이 출력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외곽에 구비되는 비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터치전극들 중 제1터치전극들로 공통전압 또는 터치신호를 공급하며, 상기 비표시부를 구성하고 서로 마주보고 있는 제1비표시영역과 제2비표시영역 중 상기 제1비표시영역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구동 회로부; 및
    상기 터치전극들 중 제2터치전극들로 공통전압 또는 터치신호를 공급하며, 상기 제2비표시영역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구동 회로부를 포함하고,
    스위칭 신호가 공급되는 메인 스위칭부가 상기 표시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터치전극들은 상기 메인 스위칭부를 경계로, 상기 표시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터치전극들은 상기 메인 스위칭부를 경계로, 상기 표시부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터치전극들 및 상기 제2터치전극들 중, 상기 일측에서 상기 메인 스위칭부에 인접되어 있는 제1인접터치전극들과 상기 타측에서 상기 메인 스위칭부에 인접되어 있는 제2인접터치전극들은, 영상표시기간에 공급되는 상기스위칭 신호에 의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표시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비표시영역은 상기 표시부의 상기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터치전극들과 마주보고, 상기 제1터치전극들과 연결된 제1터치라인들은 상기 제1비표시영역에서 상기 제1구동 회로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비표시영역은 상기 표시부의 상기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터치전극들과 마주보고, 상기 제2터치전극들과 연결된 제2터치라인들은 상기 제2비표시영역에서 상기 제2구동 회로부와 연결되는 표시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접터치전극들은, 게이트가 상기 메인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스위칭 라인에 연결되어 있는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들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2인접터치전극들은, 게이트가 상기 스위칭 라인에 연결되어 있는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들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인접터치전극과 상기 제2인접터치전극은 연결 트랜지스터에 연결되고,
    상기 영상표시기간에 상기 제1인접터치전극들과 상기 제2인접터치전극들로는 상기 공통전압이 공급되며,
    상기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들, 상기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들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연결 트랜지스터는, 상기 영상표시기간에 상기 스위칭 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스위칭 신호에 의해 턴온되는 표시장치.
  14. 터치전극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영상이 출력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외곽에 구비되는 비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에 구비되며, 스위칭 신호가 공급되는 스위칭부;
    상기 터치전극들 중, 상기 스위칭부를 경계로, 상기 스위칭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일측 터치전극들;
    상기 터치전극들 중 상기 스위칭부를 경계로, 상기 스위칭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타측 터치전극들; 및
    영상표시기간 동안, 상기 일측 터치전극들 및 상기 타측 터치전극들에 공통전압을 공급하고, 터치감지기간 동안, 상기 일측 터치전극들 및 상기 타측 터치전극들에 터치신호를 공급하는 구동 회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영상표시기간에 공급되는 상기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일측 터치전극들과 상기 타측 터치전극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주는 표시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에는 상기 스위칭부들이 두 개 이상 배치되고,
    상기 표시패널에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스위칭부가 배치되며,
    상기 연결 스위칭부는, 상기 영상표시기간에 공급되는 상기 스위칭 신호에 따라, 어느 하나의 스위칭부에 연결되어 있는 터치전극들 및 또 다른 스위칭부에 연결되어 있는 터치전극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주는 표시장치.
KR1020150137468A 2015-09-30 2015-09-30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102362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468A KR102362112B1 (ko) 2015-09-30 2015-09-30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468A KR102362112B1 (ko) 2015-09-30 2015-09-30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302A true KR20170038302A (ko) 2017-04-07
KR102362112B1 KR102362112B1 (ko) 2022-02-10

Family

ID=58583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7468A KR102362112B1 (ko) 2015-09-30 2015-09-30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21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7976A (ko) * 2017-04-20 2018-10-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N113811841A (zh) * 2020-03-31 2021-12-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电路、触控面板和显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2220A (ko) * 2010-12-23 2012-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터치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파 송수신 장치
KR20140079686A (ko) * 2012-12-19 2014-06-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40090957A (ko) * 2013-01-10 2014-07-18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터치 검출 기능을 구비한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KR20150011322A (ko) * 2013-07-22 2015-01-30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터치 검출 장치, 터치 검출 기능을 구비한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2220A (ko) * 2010-12-23 2012-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터치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파 송수신 장치
KR20140079686A (ko) * 2012-12-19 2014-06-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40090957A (ko) * 2013-01-10 2014-07-18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터치 검출 기능을 구비한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KR20150011322A (ko) * 2013-07-22 2015-01-30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터치 검출 장치, 터치 검출 기능을 구비한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7976A (ko) * 2017-04-20 2018-10-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N113811841A (zh) * 2020-03-31 2021-12-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电路、触控面板和显示装置
CN113811841B (zh) * 2020-03-31 2024-03-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电路、触控面板和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2112B1 (ko) 2022-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4748B2 (en)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101668595B1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387632B1 (ko)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US10503334B2 (en) Driver integrated circuit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9965121B2 (en) Display and touch detection method
US10373577B2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TWI616856B (zh) 包含具有橋接圖案之顯示面板之顯示裝置
JP2014149816A (ja) 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20110120217A (ko) 터치 검출 기능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
JP2012221422A (ja) 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パネル、駆動回路、および電子機器
CN105353935A (zh) 具有触摸检测功能的显示单元和电子单元
US10809860B2 (en) Display device
US11488512B2 (en)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62112B1 (ko)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102416710B1 (ko) 터치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210045127A (ko)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패널
KR102314121B1 (ko)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20160094559A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