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7419A - 휴대용 물병 - Google Patents

휴대용 물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7419A
KR20170037419A KR1020150137014A KR20150137014A KR20170037419A KR 20170037419 A KR20170037419 A KR 20170037419A KR 1020150137014 A KR1020150137014 A KR 1020150137014A KR 20150137014 A KR20150137014 A KR 20150137014A KR 20170037419 A KR20170037419 A KR 20170037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and
ultraviolet lamp
water storage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7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5818B1 (ko
Inventor
정우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앤티
정우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앤티, 정우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앤티
Priority to KR1020150137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5818B1/ko
Publication of KR20170037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7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5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5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8Applications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12Means for the attachment of small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4External fittings for spacing bases of containers from supporting surfaces, e.g. l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물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광 집광판 및 축전지 등에 의해 구동 가능한 자외선 램프를 구비함으로써, 이를 통해 야외 활동 중에도 보관중인 물에 대한 살균 및 소독 등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휴대용 물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물병은 상면이 개구(開口)된 중공(中空)형의 물 저장부, 상기 물 저장부의 하부에 결합된 스탠드부 및 상기 물 저장부의 상면에 결합되는 마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마개부 또는 상기 스탠드부에 결합되며, 상기 물 저장부 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필터부; 상기 마개부 또는 상기 스탠드부에 형성되어 상기 물 저장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 및 상기 마개부 또는 상기 스탠드부에 형성되어 상기 자외선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축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물병{PORTABLE WATER BOTTLE}
본 발명은 휴대용 물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광 집광판 및 축전지 등에 의해 구동 가능한 자외선 램프를 구비함으로써, 이를 통해 야외 활동 중에도 보관중인 물에 대한 살균 및 소독 등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휴대용 물병에 관한 것이다.
사회 전반적인 소득 수준 및 생활 수준 등의 향상으로 인해 낚시나 등산과 같은 여가 활동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지면서, 이와 관련된 물품 및 서비스 시장이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다.
야외 활동과 관련한 여러가지 물품 가운데 휴대용 물병은 특히 사용자의 건강과의 직접적인 관련성 등으로 인해 계속적으로 고급화 되는 추세이며,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정수 기능을 갖는 휴대용 물병과 관련된 여러 건의 특허가 제안되기도 했다.
가령,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01792호(발명의 명칭: 휴대용 정수 장치)에는 복수의 여과필터가 적층 형성되는 필터 모듈과 음압 발생부 및 자외선 살균체 등을 포함함으로써, 음용수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불순물의 제거 및 살균 기능을 갖도록 이루어진 휴대용 정수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453024호(발명의 명칭: 휴대용 고도 정수기)에는 원수 저장부, 공극 조절 섬유 여과부, 광촉매 산화 분해부 및 입상 활성탄 충진부 등으로 구성되어, 정수 시설이 없는 장소에서도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으로 안전한 용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휴대용 고도 정수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휴대용 정수 장치들은 정수용 필터를 필수적으로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필터 교체에 따른 번거로움이나 부피가 커진다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아울러, 자외선 살균 기능 등이 적용되는 경우에도 외부의 전원을 이용하여 충전하는 등의 일반적인 방식이 적용됨으로써, 오랜 야외 활동으로 인한 방전 등의 문제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태양광 집광판 및 축전지 등에 의해 구동 가능한 자외선 램프를 구비함으로써, 이를 통해 야외 활동 중에도 보관중인 물에 대한 살균 및 소독 등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휴대용 물병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 물병은, 상면이 개구(開口)된 중공(中空)형의 물 저장부 및 상기 물 저장부의 상면에 결합되는 마개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물병에 있어서, 상기 물 저장부에 저장되는 물을 감지하기 위한 물 감지 센서; 상기 물 감지 센서에 의해 물이 감지되는 경우 작동되며, 상기 물 저장부에 자외선을 조사(照射)하기 위한 자외선 램프; 상기 물 감지 센서의 감지 정보를 해석하고, 상기 자외선 램프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물 감지 센서, 자외선 램프 및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축전지; 및 상기 마개부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태양광의 집광을 통해 상기 축전지의 충전을 위한 전원을 발생시키는 집광판;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휴대용 물병은, 상기 물 저장부 및 상기 자외선 램프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물 저장부에 저장되는 물과 상기 자외선 램프를 상호 차단시키기 위한 석영 유리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집광판은, 상기 마개부의 상부면에 바닥면이 고정되는 제 1 집광판; 및 상기 제 1 집광판의 일측과 제 1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 1 연결부를 중심으로 절첩 가능한 제 2 집광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집광판의 제 1 연결부 타측에 형성된 제 1 고정부를 통해 상기 제 1 집광판에 상기 제 2 집광판이 고정 가능하며, 상기 제 2 집광판은 양면 집광판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 집광판의 타측과 제 2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 2 연결부를 중심으로 절첩 가능한 제 3 집광판;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 3 집광판의 제 2 연결부 타측에 형성된 제 2 고정부를 통해 상기 제 2 집광판에 상기 제 3 집광판이 고정 가능하고, 상기 제 3 집광판은 양면 집광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집광판 및 상기 제 3 집광판의 제 1 연결부 및 제 2 연결부 타측에 각각 대응 형성된 제 3 고정부를 통해 상기 제 2 집광판 및 상기 제 3 집광판이 고정 가능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집광판 및 상기 제 3 집광판은 양면 집광판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물병에 적용되는 상기 마개부의 상부면은 15°내지 45°의 경사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면이 개구(開口)된 중공(中空)형의 물 저장부, 상기 물 저장부의 하부에 결합된 스탠드부 및 상기 물 저장부의 상면에 결합되는 마개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물병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 또는 상기 스탠드부에 결합되며, 상기 물 저장부 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필터부; 상기 마개부 또는 상기 스탠드부에 형성되어 상기 물 저장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 및 상기 마개부 또는 상기 스탠드부에 형성되어 상기 자외선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축전지;를 포함하는 휴대용 물병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스탠드부 또는 마개와 결합되도록 결합부가 형성된 필터봉; 상기 필터봉 내측에 활성탄에 은이 코팅된 실버카본; 및 상기 필터봉 내측에 상기 실버카본을 감싸도록 형성된 부직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성체는 상기 필터봉의 외주면에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2개 이상의 자성체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물병은 상기 축전지를 충전시기기 위하여 외부에 노출되는 전원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물병에 따르면, 태양광 집광판 및 축전지 등에 의해 구동 가능한 자외선 램프를 구비함으로써, 이를 통해 야외 활동 중에도 물병에 보관중인 물에 대한 살균 및 소독 등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유리한
이에 따라, 전지의 방전으로 인한 사용 불능 상태나 필터 교체 등에 따른 불편함이나 번거로움 없이,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건강한 물을 마실 수 있도록 한다는 등의 효과가 있다.
아울러 태양광 집광판을 2단 또는 3단으로 절첩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적어도 일부의 집광판을 양면 집광판으로 형성함으로써, 이동중이나 정지중 등의 사용자 상태에 대응되는 효율적인 태양광의 집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는 등의 부가적인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물병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휴대용 물병에 구비되는 집광판에 대한 다양한 구성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물병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휴대용 물병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휴대용 물병의 하부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필터부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물병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물병은, 물 저장부(110), 물 감지센서(120), 자외선 램프(140), PCB 기판(150), 축전지(160) 및 집광판(18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물 저장부(110)는 상면이 개구된 중공의 몸체부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물병용 물 저장부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물 감지센서(120)는 물 저장부(110)의 상부에 위치되어 물 저장부(110)에 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물 감지센서(120)로 통상의 어떠한 액체 감지센서가 적용되어도 무방함은 당연하다.
물 감지센서(120)에 의해 물 저장부(110)에 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PCB 기판(150)에 구성된 제어부는 자외선 램프(140)를 구동시켜 물 저장부(110) 내부의 물에 자외선을 조사(照射)함으로써 살균이나 소독, 탈취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자외선 램프(140)로 LED 램프 또는 수은 램프 등과 같은 통상의 어떠한 램프가 구비되어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이때, 물 감지센서(120), 자외선 램프(140) 및 PCB 기판(150) 등에 대한 전원 공급은 축전지(16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축전지(160)는 마개몸체(170)의 상면에 구비되는 집광판(180)에서 생성된 전기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기능을 통해 전원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마개몸체(170)의 상부면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광판(180)을 통한 태양광의 집광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15°내지 45°정도의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축전지(160)는 가정용 전기 등과 같은 외부 전원의 공급을 통한 충전 역시 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이 경우, 축전지(160)에 전원 공급을 가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단자의 연결이 가능한 별도의 전원 코드부 등이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물병은, 자외선 램프(140)와 물 저장부(110) 사이의 차단을 위한 석영 유리판(130)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석영 유리는, 자외선 투과율이 높아 자외선 투과용 광학 소재로 널리 사용되는데, 특히, 살균이나 탈취 등의 작용이 뛰어난, 150 내지 300㎚의 파장을 갖는 UV-C의 투과에 가장 유용한 소재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석영 유리판(130)의 구비를 통해, 물로부터 자외선 램프(140)를 보호하는 한편, 자외선 램프(140)로 수은 램프 등이 구비되는 경우 이를 물과 격리시키는 기능 등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도 1에는 석영 유리판(130)의 중심부에 홀(hole)이 형성되고 이 홀에 물 감지센서(120)가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일 예시일 뿐이며, 물 감지센서(120)가 물 저장부(110)의 물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라면 석영 유리판(130)의 상면 또는 저면, 중심부 또는 측면부의 어느 곳에 배치되더라도 무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과 같이, 실리콘 또는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패킹부재(11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마개몸체(170)와 물 저장부(110) 사이의 보다 견고한 밀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물 저장부(110) 및 마개몸체(170) 사이의 결합을 위한 방식으로 통상의 어떠한 밀착 대응 결합 방식이 적용되더라도 무방함은 당연하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물병에 구비되는 집광판에 대한 다양한 구성예시도이다. 참고로, 도 1의 집광판(180)이 원형의 형태를 갖는데 반해 도 2 내지 도 4의 예시도에 도시된 집광판(180)이 사각형의 형태를 갖도록 도시된 것은 단지 도시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휴대용 물병에 구비되는 집광판의 구성이 원형 또는 사각형 등의 어느 특정 형태로 한정되지 아니함은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 자명할 것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물병에 구비되는 집광판(180)은 마개몸체(170)의 상면에 고정 부착되는 제 1 집광판(182) 및 제 1 집광판(182)과 연결부(187)를 통해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 2 집광판(184)을 포함함을 확인할 수 있다.
제 2 집광판(184)은 연결부(187)를 통해 제 1 집광판(182)의 상면에 대해 개폐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제 1 집광판(182)의 상면을 커버하는 경우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대응 결합되는 고정부(188) 등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부(188)의 구성으로 끼움 결합이나 걸림 결합 또는 자석 결합 등과 같은 통상의 어떠한 대응 결합 방식이 적용되더라도 무방함은 당연하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물병에 구비되는 제 2 집광판(184)은 양면 집광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물병을 휴대하고 이동하는 등의 경우에는 두 집광판(182, 184)이 접힘 상태(b)를 유지하도록 제 2 집광판(184)이 제 1 집광판(182)의 상면을 커버한 상태에서 고정부(188)를 통해 고정되며, 이때에는 제 2 집광판(184)의 후면 집광부를 통해 축전휴대용 물병(200)지(160)에 대한 충전이 수행된다.
하지만 사용자가 일정 위치에 정지해 있는 경우에는 두 집광판(182, 184)을 펼침 상태(a)를 유지하여 제 1 집광판(182) 및 제 2 집광판(184)으로부터 동시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2배 정도 넓은 집광 면적을 통해 축전지(160)에 대한 보다 신속한 충전이 가능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187)는, 노트북 컴퓨터 등에 구비되는 힌지부 등과 유사하게, 사용자에 의해 각도 조절이 가능할 수 있으며 설정된 각도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도 2의 (a)와 (b)에는 제 2 집광판(184)의 펼침 상태와 접힘 상태를 각각 도시하였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광판(180)의 구성을 예시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마개몸체(170)의 상면에 고정 부착되는 제 1 집광판(182)의 양측으로 각각 제 2 집광판(184) 및 제 3 집광판(186)이 연결됨을 확인할 수 있다.
제 2 집광판(184) 및 제 3 집광판(186)은 각각 제 1 집광판(182)의 절반 정도의 크기를 갖도록 구성되며, 모두 양면 집광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 2 집광판(184) 및 제 3 집광판(186)의 모두 펼침 상태에서는 제 1 집광판(182)의 약 2배 정도의 면적으로 집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1배, 1.5배 또는 2배의 집광 면적 조절이 가능하다는 등의 장점을 갖는다.
도면에는 제 2 집광판(184) 및 제 3 집광판(186)의 사이에 각각 대응 결합 가능한 고정부(189)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제 1 집광판(182)과 나머지 집광판들(184, 186) 사이에 고정부가 대응 형성되더라도 무방함은 당연하다.
(a)와 (b)에는 제 2 집광판(184) 및 제 3 집광판(186)의 펼침 상태를 나타내었으며, (c)에는 제 3 집광판(186)의 접힘 상태, (d)에는 제 2 집광판(184) 및 제 3 집광판(186) 모두의 접힘 상태를 나타내었다.
도 4에는 집광판의 또 다른 구성을 예시하였다.
도 4에 따르면, 제 2 집광판(184) 및 제 3 집광판(186)을 각각 제 1 집광판(182)과 동일한 수준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하고, 이들 사이에 3단 접힘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 도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 2 집광판(184) 또는 제 3 집광판(186) 가운데, 접힘 상태에서 가장 상부에 위치되는 어느 일측 집광판만 양면 집광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을 수 있다.
연결부(187) 및 고정부(188) 등의 구성은 앞서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하지만, 고정부(188)가 제 2 집광판(184) 및 제 3 집광판(186)의 상면 일단과 하면 타단에 대응 형성될 수 있음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4와 같은 실시예의 경우 대략 1배, 2배, 3배의 집광 면적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최대 집광 면적이 앞서 다른 실시예들에 비해 더 넓게 형성 가능하여 결과적으로 보다 향상된 집광 효율을 제공할 수 있다는 등의 장점을 갖는다.
(a)와 (b)에는 제 2 집광판(184) 및 제 3 집광판(186)의 펼침 상태를 나타내었으며, (c)에는 제 3 집광판(186)의 접힘 상태, (d)에는 제 2 집광판(184) 및 제 3 집광판(186) 모두의 접힘 상태를 나타내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물병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휴대용 물병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물병(200)은 마개(220), 물 저장부(210), 스탠드부(230), 필터부(300), 자외선 램프(240) 및 축전지(29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 저장부(210)는 상면이 개구된 중공의 몸체로 이루어지며, 하부는 스탠드부(230)와 결합되도록 복수의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물 저장부(210)는 하면이 막혀 있거나, 개구될 수 있다. 물 저장부(210)의 하면이 개구될 경우 스탠드부(230)와 결합시 스탠드부(230)와 물 저장부(210)가 수밀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개(220)는 물 저장부(210)의 상면에 손잡이(225)가 구비된다. 마개(220)는 하부면의 외각에 물 저장부(210)와 결합되도록 상면과 연결되는 원통형의 벽이 형성되며, 원통형벽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복수의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마개(220)는 상기 내측면에 필터부(300)를 결합시키기 위한 필터고정캡(360)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스탠드부(230)는 내부에 축전지(290), PCB(295) 및 자외선 램프(240)가 배치되는 공간이 마련된다. 스탠드부(230)는 외측면 일부에 상기 축전지(290)를 충전시키기 위해 구비된 전원인터페이스(260)가 노출되도록 관통부가 구비될 수 있다. 스탠드부(230)는 전원인터페이스(260)를 개폐하도록 덮개(265)가 부착될 수 있으며, 스탠드부(230)는 덮개(265)가 슬라이드 되는 홈(235)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탠드부(230)는 내부에 자외선 램프(240), PCB(295), 제어소자(미도시) 등이 설치될 수 있으므로, 방수를 위한 별도의 시트 또는 도 1에 도시된 석영유리판(도 1의 13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자외선 램프(24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링형태의 램프로서, 살균을 위한 자외선를 방출한다. 자외선 램프(2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부(230)에 상방으로 자외선을 방출하도로 설치될 수 있다.
자외선 램프(240)는 10~400nm의 파장 대의 자외선을 방출하며, 315~400nm UV-A 광, 280~315nm UV-B광 또는 200~280nm UV-C광을 출력하는 램프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자외선 램프(240)는 미생물의 살균에 효과적인 UV-C광을 출력하는 램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약 260nm 대역의 광을 방출하는 램프를 사용한다.
여기서, 자외선 램프(240)는 상기와 같이 짧은 파장을 사용하므로, 물 저장부(210)의 크기에 따라 램프의 크기가 달라지거나, 램프의 개수 또는 출력파워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자외선 램프(240)와 물 저장부(210)사이에 석영 유리판(430)의 구비를 통해, 물로부터 자외선 램프(240)를 보호하는 한편, 자외선 램프(240) 수은 램프 등이 구비되는 경우 이를 물과 격리시키는 기능 등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자외선 램프(240)는 스탠드부(230)에 설치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자외선 램프(240)는 마개(220)에 설치될 수 있다. 자외선 램프(240)가 마개에 설치될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자외선광을 방출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자외선 램프(24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PCB(295) 및 축전지(290)가 마개(220)측에 설치될 수 있다.
필터부(300)는 물 저장부(210) 내에 물순물을 정화시킬 수 있다. 필터부(300)는 특히 음용수 안의 부유물, 불용성 유기물, 염소, 트리할로메탄(THMs),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 등의 자외선 램프(240)를 통해 제거되지 않은 미생물 또는 오염원을 정화시킬 수 있다. 필터부(300)는 실버카본이 내재되어 상기 오염원을 흡착정수한다.
필터부(300)는 물 저장부(210)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300)는 마개(220)에 고정되어 물 저장부(210)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필터부(300)는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자성체(270)는 필터부(300)에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자성체(270)는 두개 이상이 사용되며, 서로 같은 극성의 자석이 서로 마주보도록 필터부(300)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3개의 자석이 서로 동일 간격으로 설치된 것을 예를 들었으나, 자석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자성체(270)는 약 3300가우스의 영구자석이 사용된다. 자성체(270)는 물 저장부(210)에 저장된 물을 6각형 고리 구조로 변환시킨다.
축전지(290)는 자외선 램프(240)에 전원을 공급한다. 축전지(290)는 자외선 램프(240)측에 위치하여, 내부에 저장된 전원을 자외선 램프(240)에 공급한다. 축전지(290)는 스탠드부(23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다. 이때, 축전지(290)는 PCB(295)와 밀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축전지(290)는 PCB(295)에 실장된 제어소자(미도시)등에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축전지(290)는 전원인터페이스(260)와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충전될 수 있다.
축전지(290)가 상기 스탠드부(230)에 수용되므로, 휴대용 물병(200)의 무게 중심이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물병을 세워두더라도 쓰러져 물이 세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물병(200)은 전원버튼(280)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버튼(280)은 PCB(295)와 인접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물병(200)은 전원버튼(280)이 스탠드부(230)의 하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전원버튼(280)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부(230)의 하면에 설치될 경우 전원버튼(280)이 자주 눌려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물병(200)은 전원버튼(280)을 동작시켜 자외선 램프(240)를 턴온시킬 수 있다. 이때, PCB(295)에 실장된 제어소자는 상기 전원버튼(280)이 동작하면, 수초 내지 수분의 설정된 시간동안 자외선 램프(240)를 켜고,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전원을 자외선 램프(240)를 끌수 있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필터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필터부(300)는 필터봉(310), 실버카본(320) 및 부직포(330)를 포함할 수있다.
필터봉(310)은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며, 외부벽에는 물이 유입 및 유출되도록 복수의 통공(340)이 형성된다. 필터봉(310)의 상부측에는 마개(220)에 필터부(300)를 고정시키기 위한 필터고정캡(360)과 결합되는 결합부(320)가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봉(310)은 필터고정캡(360)에 의해 마개에 고정될 수 있다.
실버카본(320)은 야자열매를 연소시켜 만든 숯을 고온에서 수증기 처리한 활성탄에 항균 작용을 하는 은(Ag)를 코팅하여 제조한다. 실버카본(320)은 종래 활성탄에 비해 세균의 번식 억제력이 우수하여 세균 증식을 방지할 수 있다.
부직포(330)는 실버카본(320)의 외측에서 감싸도록 형성되며, 실버카본(320)이 물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필터봉(310)은 도 8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자성체(270)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200 : 휴대용 물병
220 : 마개
210 : 물 저장부
230 : 스탠드부
300 : 필터부
240 : 자외선 램프
290 : 축전지

Claims (4)

  1. 상면이 개구(開口)된 중공(中空)형의 물 저장부, 상기 물 저장부의 하부에 결합된 스탠드부 및 상기 물 저장부의 상면에 결합되는 마개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물병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 또는 상기 스탠드부에 결합되며, 상기 물 저장부 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필터부;
    상기 마개부 또는 상기 스탠드부에 형성되어 상기 물 저장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 및
    상기 마개부 또는 상기 스탠드부에 형성되어 상기 자외선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축전지;를 포함하는 휴대용 물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스탠드부 또는 마개와 결합되도록 결합부가 형성된 필터봉;
    상기 필터봉 내측에 활성탄에 은이 코팅된 실버카본; 및
    상기 필터봉 내측에 상기 실버카본을 감싸도록 형성된 부직포;를 포함하는 휴대용 물병.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상기 필터봉의 외주면에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2개 이상의 자성체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물병.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지를 충전시기기 위하여 외부에 노출되는 전원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물병.
KR1020150137014A 2015-09-25 2015-09-25 휴대용 물병 KR101805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014A KR101805818B1 (ko) 2015-09-25 2015-09-25 휴대용 물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014A KR101805818B1 (ko) 2015-09-25 2015-09-25 휴대용 물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419A true KR20170037419A (ko) 2017-04-04
KR101805818B1 KR101805818B1 (ko) 2017-12-07

Family

ID=58588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7014A KR101805818B1 (ko) 2015-09-25 2015-09-25 휴대용 물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58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6249A1 (ko) * 2020-04-07 2021-10-14 (주)맥솔루션 살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
KR102287593B1 (ko) * 2021-02-22 2021-08-10 김만섭 쿨링 타워에 물을 공급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5818B1 (ko) 2017-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89810B2 (ja) 携帯式紫外線水浄化システム
US7641790B2 (en) UV LED based water purification module for intermittently operable flow-through hydration systems
KR101545929B1 (ko) 휴대용 물병
US10736978B2 (en) Portable disinfection device
CN205856047U (zh) 利用紫外线发光二极管的杀菌器
US6579495B1 (en) Hand-held ultraviolet water purification system using solid state devices
US20050258108A1 (en) Container with purifier
KR101669911B1 (ko) 식수공급장치
CN206238714U (zh) 一种便携式野外求生多功能净水杯
US6299770B1 (en) Portable ultraviolet water disinfection device
CN103720192A (zh) Uv led消毒水杯
US10988389B1 (en) Water sterilization cap with removable cartridge
KR101805818B1 (ko) 휴대용 물병
US20220388873A1 (en) Bottlecap with UV LED and a removable filter cartridge for water purification
KR101905171B1 (ko) 휴대용 콘택트 렌즈 케이스
US11148960B2 (en) UV sterilization cup
KR20150061337A (ko) Uv led가 구비된 휴대용 물통
US20110260077A1 (en) Disinfecting liquid dispenser
KR101743473B1 (ko) 다용도 휴대용 물병
KR20200073774A (ko) 필터 인식 기능을 이용한 휴대용 정수 물병 및 이를 이용한 음용수 제공 방법
CN209951836U (zh) 一种贴片式紫外消毒装置
KR20210054216A (ko)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한 휴대용 정수 장치
CN211882685U (zh) 一种紫外消毒饮水壶
WO2007078294A1 (en) Drinking water pitcher incorporating ultraviolet (uv) disinfection feature
KR20200093287A (ko) 정수 스트로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