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7023A - 케이블 접속구의 방수탭 푸싱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접속구의 방수탭 푸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7023A
KR20170037023A KR1020150136066A KR20150136066A KR20170037023A KR 20170037023 A KR20170037023 A KR 20170037023A KR 1020150136066 A KR1020150136066 A KR 1020150136066A KR 20150136066 A KR20150136066 A KR 20150136066A KR 20170037023 A KR20170037023 A KR 20170037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ide plates
tab
connection port
water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6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명용
Original Assignee
명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용 filed Critical 명용
Priority to KR1020150136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7023A/ko
Publication of KR20170037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70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Landscapes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과 접속구 사이에 수밀을 유지하기 위해 끼워지는 접속탭을 푸싱장치에 의해 크게 힘들이지 않고 신속하게 밀착고정시킬 수 있는 케이블 접속구의 방수탭 푸싱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하단부에 요입홈(12)이 형성된 양측의 측판(10)과, 상기 양측의 측판(10)에 구멍(11)을 두고 양측 구멍 사이에 관통하는 작동봉체(20)와, 상기 작동봉체의 양단부에 체결되어 측판을 이송시키는 너트(24)와, 상기 양측 측판 사이에 조립되는 하나 이상의 안내봉(30)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케이블 접속구의 방수탭 푸싱장치{PUSHING DEVICE FOR CONNETING TAB OF CABLE CONNECTOR}
본 발명은 케이블 접속구의 방수탭 푸싱장치에 관한 것으로, 케이블을 접속 연결할 때 케이블과 접속구 사이에 수밀을 유지하기 위해 끼워지는 접속탭을 크게 힘들이지 않고 밀착고정시킬 수 있는 케이블 접속구의 방수탭 푸싱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케이블 접속구는, 맨홀 또는 핸드홀 등의 지중 배전선로상에서 저압케이블이 분기되는 지점에 분기회로를 구성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케이블을 서로 접속 연결할 때 사용되는 것이고, 상기 접속구는 케이스를 비롯하여 연결체, 방수캡, 및 접속탭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는 특허등록 제10-0831195호(지중 저압용 케이블 접속장치)와, 공개 실용신안안공보 제20-2010-0007644호(케이블 접속장치 및 케이블 접속장치 조립체)에서와 같이 일방향으로 배치된 양측의 인입공이 다열로 배치되고 상기 인입공으로 삽입되는 양측의 케이블이 소정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때, 상기 케이블의 외주면에는 접속부와 케이블 사이를 통하여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접속탭이 끼워져 있고, 접속이 완료된 후 상기 접속탭을 인입공 방향으로 밀어 넣어 고정시킨다.
그런데 상기 접속탭은 케이블과 인입공 사이의 틈을 수밀되도록 밀폐시키기 위하여 억지끼움방식으로 밀어 넣게 되는데, 작업자는 두손으로 온갖 힘을 다 써서 밀어 넣어야 하고 이는 고통스러울 정도로 고된 작업이 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수작업은 작업시간이 지연되고, 완벽하게 밀착되지 못할 경우는 누수의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1. 특허등록 제10-0831195호(2008.05.15) 2. 공개 실용신안안공보 제20-2010-0007644호(2010.07.29)
발명에 따른 케이블 접속구의 방수탭 푸싱장치는 하단부에 요입홈(12)이 형성된 양측의 측판(10)과, 상기 양측의 측판(10)에 구멍(11)을 두고 양측 구멍 사이에 관통하는 작동봉체(20)와, 상기 작동봉체의 양단부에 체결되어 측판을 이송시키는 너트(24)와, 상기 양측 측판 사이에 조립되는 하나 이상의 안내봉(30)으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안내봉의 외측에는 측판의 위치 복원용 스프링(32)이 하나 이상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접속구의 방수탭 푸싱장치는 케이블과 접속구 사이에 수밀을 유지하기 위해 끼워지는 접속탭을 푸싱장치에 의해 크게 힘들이지 않고 신속하게 밀착고정시킬 수 있는 케이블 접속구의 방수탭 푸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서 완성된 케이블 접속구의 방수탭 푸싱장치는 전동공구에 의해서 너트를 회전시키게 됨에 따라 방수탭이 인입공으로 신속하게 밀착되면서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시키고, 수작업에 의한 손가락의 통증을 유발시키지 않게 되며, 전체면적으로 일정한 힘이 가압되어 이동하게 되면서 방수탭이 비뚤어지지 않고 정확하게 인입공에 삽입되어 수밀이 더욱 양호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구의 방수탭 푸싱장치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구의 방수탭 푸싱장치 사용상태 단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구의 방수탭 푸싱장치 사용상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구의 방수탭 푸싱장치는, 하단부에 요입홈(12)이 형성된 양측의 측판(10)과, 상기 양측의 측판(10)에 구멍(11)을 두고 양측 구멍 사이에 관통하는 작동봉체(20)와, 상기 작동봉체의 양단부에 체결되어 측판을 이송시키는 너트(24)와, 상기 양측 측판 사이에 조립되는 하나 이상의 안내봉(3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안내봉의 외측에는 측판의 위치 복원용 스프링(32)이 하나 이상 구비된다.
위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케이블 접속구에 본 발명 방수탭 푸싱장치자 장착되는 상태를 예시하고 있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방수탭 푸싱장치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와 정면을 도시하고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접속탭 푸싱장치를 설명하기에 앞서 통상적인 케이블 접속구(200)의 구성은, 도 1에서와 같이 소정의 고정프레임(1) 내부로 다단의 케이스(2)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2)는 내부에 일직선상으로 관통되는 인입공(6)을 양측 끝에 구비하고 있고, 상부에는 고정볼트(4) 및 방수캡(3)을 두고 있다.
그리고 상기 인입공(6)으로 삽입된 양측의 케이블(300)이 상기 입입공의 상부에 구비된 고정볼트(4)에 의해 고정되고 방수캡(3)에 의해 수밀이 유지된다. 이때의 방수캡(3)은 전술한 인입공(6)을 막고 있는 마개(5)와 같이 케이블이 접속되지 않을 때에는 계속 케이블 접속구 내부를 밀폐시켜 누전의 위험성을 감소시키게 된다.
여기서 케이블 연결을 위해 인입공(6)으로 끼워지는 케이블(300)은 내부가 관통되어 상기 케이블(300)을 끼울 수 있게 된 접속탭(7)이 구비된다.
상기 접속탭(7)은 인입공(6)으로 억지끼울 수 있는 직경의 삽입부(7b)와 직경이 큰 플랜지(7a)를 두고 있다.
다음은, 상기 접속탭(7)을 인입공(6)으로 끼워넣기 위한 본 발명 케이블 접속구의 방수탭 푸싱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방수탭 푸싱장치를 구성하는 본체(100)는 양측에 바(bar)형상으로 길게 구성된 양측의 측판(10)이 구비되고 상기 측판(10)의 하단부에는 역유자"∩"형으로 된 요입홈(1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요입홈(12)은 전술한 접속탭(7)에서 인입공(6)으로 끼워지는 삽입부(7b)가 끼워질 수 있는 직경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양측의 측판(10)에는 요입홈(12)의 상부에 구멍(11)을 두고 양측 구멍 사이에 작동봉체(20)가 끼워진다. 이때 상기 작동봉체(20)는 상기 구멍(11) 사이로 직선이동하게 되고 양측 끝에 나사부(22)가 형성된다.
이후, 상기 나사부(22)에는 너트(24)가 끼워지면서 상기 너트(24)가 회전에 의해 이동할 때 각 측판(10)이 같이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작동봉체(20) 근접한 위치의 양측 측판(10)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안내봉(30)이 조립되어 있다.
상기 안내봉(30)은 전술한 작동봉체(20)를 따라 양측의 측판이 이동할 때 수평을 유지하도록 지지하여 주는 것으로 양측의 나사부(30a)와 고정너트(36) 등으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안내봉(30)은 측판이 내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일측 혹은 양측이 고정되지 않도록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봉(30)의 외측에는 측판의 위치를 복원시킬 수 있는 스프링(32)이 양측의 측판 사이에 탄지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32)의 외측에는 자바라식 커버(34)가 끼워져 스프링을 보호하게 되고 상기 커버(34)를 잡고 이동할 수 있으나 측판(10)의 적당한 위치에 소정의 손잡이를 구성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케이블 접속구의 방수탭 푸싱장치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접속을 위한 케이블(300)의 일측으로 접속탭(7)을 끼운 뒤 케이블 접속구의 인입공(6)을 막고 있는 마개(5)를 분리시키고, 여기에 케이블을 끼워 넣는다. 이때 상기 케이블 끝에는 고정용 압착부재에 의해 상부에서 고정볼트(4)로 고정시킨다.
이후, 도 2에서와 같이 본체(100)의 양측 측판(10)을 케이블의 접속탭 양측으로 장착시킨다. 이때 요입홈(12)으로 케이블(300)이 끼워지고 양측 측판 내측면에 접속탭(7)이 접촉된다. 이후 너트(24)를 회전시키면 너트가 내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측판(10)이 이동하게 되고 여기에 접촉된 접속탭(7)이 이동하면서 인입공(6)으로 밀착 끼워진다.
이와 같이 측판(10)은 일측의 접속탭을 밀착시킬 수 있고 양측을 동시에 밀착시킬 수도 있다. 이때 상부의 안내봉(30)은 측판(10)의 이동시 양 측판이 비뚤어지지 않도록 평형을 유지시켜준다.
한편 상기 너트(24)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으로는 라쳇핸들을 이용한 렌치에 의한 수동으로 가능하나 원활하고 신속한 작업을 위해 전동공구(5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7: 접속탭 10: 측판 12: 요입홈
20: 작동봉체 30: 안내봉 100: 본체 200: 케이블 접속구

Claims (3)

  1. 케이블 접속구의 방수탭 푸싱장치에 있어서,
    하단부에 요입홈(12)이 형성된 양측의 측판(10)과;
    상기 양측의 측판(10)에 구멍(11)을 두고 양측 구멍 사이에 관통하는 작동봉체(20)와;
    상기 작동봉체의 양단부에 체결되어 측판을 이송시키는 너트(24)와;
    상기 양측 측판 사이에 조립되는 하나 이상의 안내봉(3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구의 방수탭 푸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봉(30)의 외측에는 측판(10)의 위치 복원용 스프링(32)이 하나 이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구의 방수탭 푸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봉 스프링(32) 외측에는 자바라식 커버(34)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구의 방수탭 푸싱장치.




KR1020150136066A 2015-09-25 2015-09-25 케이블 접속구의 방수탭 푸싱장치 KR201700370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066A KR20170037023A (ko) 2015-09-25 2015-09-25 케이블 접속구의 방수탭 푸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066A KR20170037023A (ko) 2015-09-25 2015-09-25 케이블 접속구의 방수탭 푸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023A true KR20170037023A (ko) 2017-04-04

Family

ID=58588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066A KR20170037023A (ko) 2015-09-25 2015-09-25 케이블 접속구의 방수탭 푸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702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195B1 (ko) 2007-12-28 2008-05-22 (주)상일전설 지중 저압용 케이블 접속장치
KR20100007644U (ko) 2009-01-20 2010-07-29 (주)폴리코파워시스템 케이블 접속장치 및 케이블 접속장치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195B1 (ko) 2007-12-28 2008-05-22 (주)상일전설 지중 저압용 케이블 접속장치
KR20100007644U (ko) 2009-01-20 2010-07-29 (주)폴리코파워시스템 케이블 접속장치 및 케이블 접속장치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53868B1 (en) Cable gland assembly
US20110147081A1 (en) Cable Gland
WO2013164420A3 (de) Durchführungsgehäuse
CN103851559A (zh) 防水灯具及其电缆线接头结构
IL209936A (en) Assembled handle with handle
AR114292A1 (es) Aparato de conexión para sellar cables y caja de terminales de comunicaciones
JP2012243860A (ja) ケーブルクランプ
US20190097408A1 (en) Link box with removable cable entry seals
JP6398711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KR101728442B1 (ko) 케이블 그랜드
MX2019014212A (es) Conjunto de llave con cuerpos de torque flotantes.
TW201801862A (zh) 遠程旋轉操作具
KR101772215B1 (ko) 케이블 그랜드
KR20170037023A (ko) 케이블 접속구의 방수탭 푸싱장치
CN103633590A (zh) 电缆固定头和电气设备
KR20110121523A (ko) 유동구조물 연결용 턴버클
KR101423948B1 (ko) 접지용 절연플러그의 절연캡
CN105071118A (zh) 一种深水密封圆形电连接器
CN205829126U (zh) 电缆快速连接装置总成
ES2306072T3 (es) Conectador de extremo electrico para un miembro de conducto prefabricado, estanco a las infiltraciones para la distribucion de energia electrica.
US9653903B2 (en) Electrically conductive housing with cable strain relief and shield connection
KR101160091B1 (ko) 수전 연결구
KR20170098783A (ko) 케이블 그랜드
KR102093601B1 (ko) 방호관 연결 장치
KR100527045B1 (ko) 자켓 절연 커버와 자켓 레일 커버를 이용하는 분기 슬리브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