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6212A - 안경테 - Google Patents

안경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6212A
KR20170036212A KR1020150135101A KR20150135101A KR20170036212A KR 20170036212 A KR20170036212 A KR 20170036212A KR 1020150135101 A KR1020150135101 A KR 1020150135101A KR 20150135101 A KR20150135101 A KR 20150135101A KR 20170036212 A KR20170036212 A KR 20170036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ens
spectacle
shape
sphe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5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호
Original Assignee
김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호 filed Critical 김재호
Priority to KR1020150135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6212A/ko
Publication of KR20170036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62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6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closed rigid rims for the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면형태의 안경테(A)에 평면형태에 가까운 안경렌즈(B)를 장착하였을 때 안경테(A)가 평면형태로 변형되면서 안경다리(A2)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안경테(A)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안경테(A)는, 안경다리(A2)를 포함하고, 안경렌즈(B)를 장착할 수 있는 렌즈테두리(A1)가 평면상 구면형태로 이루어지는 안경테(A); 상기 안경테(A)의 내면 상측 렌즈테두리(A1)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보강부(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경테{Glasses Frame}
본 발명은 구면형태의 안경테에 평면형태에 가까운 안경렌즈를 장착하였을 때 안경테의 렌즈테두리가 평면형태로 변형되면서 안경다리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안경테에 대한 것이다.
안경렌즈는 사용자의 시력에 따라 도수가 정해지며, 시력이 나쁠수록 도수가 높고, 도수가 높을수록 렌즈의 두께가 두꺼워진다.
이러한 안경렌즈는 도1과 같이 크게 구면렌즈와 비구면렌즈로 구분되고, 비구면렌즈는 외면 비구면렌즈와 양면 비구면렌즈로 구분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면렌즈는 외면 및 내면이 구면형태로 된 것이고, 외면 비구면렌즈는 렌즈의 바깥쪽 면을 평면에 가까운 형태로 압축한 것이며, 양면 비구면렌즈는 렌즈의 안쪽 면과 바깥쪽 면을 모두 평면에 가까운 형태로 압축한 것이다.
비구면렌즈는 도수가 높을수록 압축률이 높고, 압축률이 높을수록 외면 비구면렌즈에서 양면 비구면렌즈로 되며, 양면 비구면렌즈로 갈수록 평면에 가까워지고, 렌즈의 두께가 점차 얇아진다.
가령 도수가 높은 구면렌즈를 안경에 장착하여 사용할 경우 렌즈의 초점 중앙으로부터 가장자리로 갈수록 왜곡현상이 심하며, 색의 분산이 많고, 시야가 흐리며, 경사면에 대한 난시 현상이 많고, 두께에 의해 안경테로부터 안쪽으로 렌즈가 돌출되기 때문에 렌즈의 장착이 어렵고 이탈은 쉬운 문제점이 있다.
그에 비해 비구면렌즈는 두께가 얇고 평면에 가까워지므로 초점의 흐려짐이 적고, 색 분산이 적으며, 시야 흐림이 적고, 경사면에 대한 난시 현상이 적으며, 얇고 가벼운 장점은 있으나, 제조공정의 난이도에 의해 가격이 비싼 단점도 있다.
따라서, 가격이 비싸더라도 시력이 나쁠수록 비구면렌즈를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비구면렌즈는 양면 비구면렌즈로 갈수록 평면형태를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평면형태의 렌즈를 일반적인 안경테에 적용할 경우 렌즈의 모양에 의해 시간이 지날수록 안경테가 점점 평면형태로 변형되며, 그 변형에 의해 최종적으로는 안경다리가 벌어져 안경이 헐거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일반적인 안경테는 소비물량이 많은 구면렌즈를 타켓으로 생산되기 때문에 대부분 구면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면형태의 안경테에 평면형태에 가까운 비구면렌즈를 적용하면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한편, 극히 드물게 비구면렌즈용 안경테가 출시되기도 하지만 선택할 수 있는 모양이 제한되고 가격이 비쌀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2903.
본 발명은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특히 구면형태의 안경테에 평면형태에 가까운 안경렌즈를 적용하더라도 안경테 및 안경다리가 심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면형태로 되는 안경테의 내면 상측의 렌즈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보강부를 구성하는 것을 제안한다.
상기한 수단에 따르면, 보강부는 구면형태의 안경테에 평면형태에 가까운 안경렌즈를 적용할 때 그 안경렌즈의 모양에 의해 최초로 변형이 시작되는 부분에 대한 내구력을 강화함으로써 안경테의 변형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강부의 선정위치는 안경테에서 외관상으로 드러나지 않는 부분에 형성되므로 디자인에 해를 끼치지 않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안경렌즈의 종류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종래 구면형태의 안경테에 평면형태에 가까운 안경렌즈를 적용하였을 때의 변형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을 내면에서 본 정면도
도 5는 도 3을 평면에서 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에 평면형태에 가까운 안경렌즈를 적용하였을 때의 변형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요부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고,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 및 명칭은 사전적인 의미가 아닌 구성의 형상이나 작용, 역할 등에 의해 함축적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위치에 대한 설명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선등록된 공지기술 및 통상적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생략 또는 간단한 부호나 명칭으로 대체한다.
도3 내지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A)는 종래 구면형태의 안경테(A)를 기초로 하며, 상기 안경테(A)의 내면 상측의 렌즈테두리(A1)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보강부(10)가 더 형성된다.
상기한 보강부(10)의 부가는 구면형태의 안경테(A)에 평면형태에 가까운 안경렌즈(B)를 장착하였을 때 렌즈테두리(A1)가 안경렌즈(B)의 모양을 따라 끼워지면서 씌워지되, 인체의 코부분에 해당하는 렌즈테두리(A1)의 상측 부분에 대한 내구력이 강화되면서 안경테(A)의 전체가 평면형태로 펴지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작용은 결과적으로 안경다리(A2)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로 이어진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에 평면형태의 안경렌즈를 적용하였을 때 변형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2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안경테(A), 즉 보강부(10)가 없는 구면형태의 안경테(A)에 평면형태의 안경렌즈(B)를 적용하였을 때에는 안경테(A)의 렌즈테두리(A1)가 평면형태로 펴짐과 동시에 평면상 안경테(A)가 렌즈테두리(A1)가 거의 일자형태로 변형되고, 그러한 안경테두리(A1)의 변형에 의해 안경다리(A2)가 기존의 안경다리(A2) 위치에서 상당하게 벌어지게 된다. 이때 안경다리(A2)는 안경렌즈(B)를 장착하였을 때 처음부터 벌어진 상태를 유지한다면 애초에 안경다리(A2)를 사용자에게 맞도록 조정하면 되지만, 초기에는 안경테(A)의 내구성에 의해 변형률이 작고 시간이 지날수록 변형률이 점점 더 심해지기 때문에 변형과정에 따라 자주 조정과정을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A), 즉 보강부(10)를 포함하는 구면형태의 안경테(A)에 평면형태의 안경렌즈(B)를 적용하였을 때에는 안경테(A)의 렌즈테두리(A1)가 평면형태로 변형되기는 하지만, 보강부(10)에 의해 평면상 중간으로부터 렌즈테두리(A1) 거의 경사형태로 변형되고, 이에 따라 안경다리(A2)는 기존의 안경다리(A2) 위치에서 거의 변형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보강부(10)의 내구력에 의해 변형된 상태에서 시간이 지나더라도 거의 변화가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A)는 평면형태에 가까운 안경렌즈(B)를 장착하였을 때 안경테(A)의 변형 및 안경다리(A2)의 벌어짐이 거의 없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A)는 보강부(10)를 렌즈테두리(A1)의 내면 하측에 추가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상측 보강부(10)와 안경테(A)의 내구력이 극대화되어 안경테(A)의 변형 및 안경다리(A2)의 벌어짐을 더욱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A)는 보강부(10)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강부(10)를 안경테(A)의 내면 상측 렌즈테두리(A1)로부터 상부로 돌출되게 하거나, 안경테(A)의 내면 상측 렌즈테두리(A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렇게 할 경우 안경테(A)가 평면형태로 변경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지만, 외관상으로 보강부(10)가 드러나기 때문에 디자인이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10)를 안경테(A)의 렌즈테두리(A1) 내면을 따라 전체적으로 돌출되게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렇게 할 경우 안경테(A)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과 다를 바가 없다.
또 다르게는, 상기 보강부(10)를 안경다리(A2)와 연결되는 부분에 해당하는 안경테(A)의 외측 렌즈테두리(A1)의 어느 한 부분에 돌출되게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렇게 할 경우 변형을 일으키는 출발점이 아니고 이미 변형이 일어난 끝 부분을 보강하는 것임으로 변형방지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안경테(A)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두께로부터 적용되는 보강부(10)의 위치는 안경테(A)의 내면 상측의 렌즈테두리(A1)의 내측 또는 안경테(A)의 내면 하측의 렌즈테두리(A1)의 내측을 제외한 다른 부분에 형성하는 것은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A)는 보강부(10)의 모양을 첨부된 모양 외에 다양한 모양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면상 렌즈테두리(A1)의 내측으로부터 렌즈테두리(A1)의 중간 또는 끝 부분으로 갈수록 두께가 좁아지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고, 렌즈테두리(A1)의 전체적인 두께를 중간 또는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두꺼워지는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안경테(A)로부터 보강부(10)의 돌출 형상이 거의 드러나지 않게 되므로 외관상 디자인이 더욱 미려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을 모두 마치며, 본 발명에 해당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 및 첨부되는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사상 및 요지를 충분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응용과 변경이 가능하며, 산업적으로 유용하게 이용 가능할 것이다.
A: 안경테 A1: 렌즈테두리
A2: 안경다리 B: 안경렌즈
10: 보강부

Claims (2)

  1. 구면형태의 안경테에 평면형태에 가까운 안경렌즈를 장착하였을 때 안경테의 렌즈테두리가 평면형태로 변형되면서 안경다리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안경테로서,
    상기 안경테는,
    안경다리(A2)를 포함하고, 안경렌즈(B)를 장착할 수 있는 렌즈테두리(A1)가 평면상 구면형태로 이루어지는 안경테(A);
    상기 안경테(A)는 내면 상측의 렌즈테두리(A1)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보강부(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10)는 안경테(A)의 내면 하측의 렌즈테두리(A1)에도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안경테.
KR1020150135101A 2015-09-24 2015-09-24 안경테 KR201700362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101A KR20170036212A (ko) 2015-09-24 2015-09-24 안경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101A KR20170036212A (ko) 2015-09-24 2015-09-24 안경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6212A true KR20170036212A (ko) 2017-04-03

Family

ID=58589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5101A KR20170036212A (ko) 2015-09-24 2015-09-24 안경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621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2903A (ko) 2015-08-21 2015-09-09 이기상 안경테의 코받침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2903A (ko) 2015-08-21 2015-09-09 이기상 안경테의 코받침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8301B2 (en) Assembly structure for subsidiary frame of eyeglasses
US7513618B2 (en) Nose pad
JP2002014303A5 (ko)
TWM378730U (en) Fixation structure improvement of secondary glasses frame
KR101584209B1 (ko) 렌즈교체형 안경
US20130077041A1 (en) Eyeglasses having replaceable and foldable temples
US6783234B1 (en) Detachable sunglass unit
US11169395B2 (en) Frame for bifocal eyeglasses
US8328353B2 (en) Segmented delta toric lens
US9690321B2 (en) Display device having different curvature design
CN111194426B (zh) 眩光减少器
KR101093870B1 (ko) 시력 보정용 고글
KR101344689B1 (ko) 보조렌즈 착탈형 안경
KR20170036212A (ko) 안경테
WO2014024223A1 (ja) 眼鏡の高弾性フロント枠
US20100296047A1 (en) Eyewear for use on land
US20110043750A1 (en) Seamless bifocal lens
KR101436374B1 (ko) 헬멧 쉴드용 렌즈 조립체
US11029530B2 (en) Eyeglasses with easy snap-on lenses
KR200473157Y1 (ko) 안경 세트
US20040046929A1 (en) Integrally formed pair of lenses for a pair of glasses
US20100033672A1 (en) Eyeglass assembly
CN209879167U (zh) 一种新型镜脚结构及眼镜
CN208224642U (zh) 眼镜腿
US8215767B2 (en) Clip device for holding auxiliary eyeglas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