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5444A - Folding case - Google Patents

Folding ca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5444A
KR20170035444A KR1020150134271A KR20150134271A KR20170035444A KR 20170035444 A KR20170035444 A KR 20170035444A KR 1020150134271 A KR1020150134271 A KR 1020150134271A KR 20150134271 A KR20150134271 A KR 20150134271A KR 20170035444 A KR20170035444 A KR 20170035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ack
body portion
guide rail
up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42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준혁
이경희
Original Assignee
최준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준혁 filed Critical 최준혁
Priority to KR1020150134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5444A/en
Publication of KR20170035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544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20Details of walls made of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ing case.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pack capable of storing content and thus does not have to be washed. It has a double-rail structure and thus can be carried around with ease and can be used with ease outdoors as well as indoors. Its drinking means is made up of a nipple, a spout, and a straw and thus can be exchangeably used in accordance with growth.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low tube-shaped main body portion with open upper and lower portions; a hollow tube-shaped upper body portion with open upper and lower portions that is coupl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to be folded or unfolded upward and downward; a pack portion positioned in the upper body portion and the main body portion, hanging from an upper edge part of the upper body portion, and capable of storing beverage, milk, dry milk, and so on; and a drinking portion positioned in and coupled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body portion, fixing the pack portion, and allowing drinking of the beverage, milk, dry milk, and so on stored in the pack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pack and thus does not have to be washe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around with ease and can be used with ease outdoors as well as indoors. Its length can be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the content. The nipple, the spout, the straw, and so on can be exchangeably used as the drinking portion in accordance with a users growth.

Description

접이식 케이스 {Folding case}Folding case {Folding case}

본 발명은 접이식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팩을 사용하여 별도의 세척을 하지 않아도 되며, 이중레일구조로 구성이 되어 휴대가 용이하여 야외에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젖꼭지, 스파우트, 빨대로 취음 수단이 구성되어 있어 성장에 맞게 바꿔서 사용할 수 있는 접이식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ing ca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lding case which does not need to be separately cleaned by using a pack which can hold contents, and is constructed with a double rail structure, Spouts, straws, and so on, so that they can be used for growth.

일반적으로 출산 후 체력회복이 덜된 산모들에게 젖병을 세척하고 삶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하며, 젖병을 사용 후에 바로 깨끗하게 세척하는데 에도 불구하고 제때 세척하지 못하여 세척을 필요로 하는 젖병들이 쌓이게 되며 이에 따른 정신적 스트레스와 우울증을 유발시키는 문제가 있다.In general, mothers who are less able to regain their physical strength after birth have much time to wash the bottles, and although they clean the bottles immediately after use, they can not wash them in time and accumulate bottles that need to be washed.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stress and depression.

특히, 신생 유아들은 100일 이전에는 적어도 하루에 8회 이상의 수유가 필요하고, 6개월 전 유아들도 적어도 하루 6회 이상의 수유가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에 따라 많은 시간을 젖병세척에 투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In particular, it is known that newborn infants need at least 8 times a day before 100 days of lactation and 6 months or more of infants need at least 6 times a day of lactation. Therefore, There is.

아울러, 분유를 먹는 아기가 외출시나 여행시에 여러 개의 젖병과 젖병 솔 및 전용세제 등 많은 짐을 꾸려야 하며, 여행지에서 젖병을 제대로 세척하지 못할 경우 장염과 같은 질환이 쉽게 발생하여 여행을 망칠수도 있다.In addition, a baby eating powdered milk should pack a lot of baby bottles, baby bottles, and personal cleaners when going out or traveling, and if the baby does not wash properly in a travel destination, diseases such as enteritis may easily occur and ruin the trip.

결국, 기존의 젖병은 일일이 소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며, 젖병용 세제 또한 말끔히 헹궈졌는지에 대한 불안감에서 해방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As a result, the existing bottles are troublesome to be disinfected individually,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liberate from the anxiety of whether or not the detergent for the bottle is also thoroughly rinsed.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들이 선출원되었는바,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20-1998-0020176호에서는 일회용 종이 팩 우유 통을 제안하고 있다.Various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8-0020176 proposes a disposable paper pack milk bottle.

상기 기술에 따르면 일회용 종이팩 안에 젖꼭지를 내장한 우유통을 제공하여 우유통의 윗뚜껑을 개방하면 젖꼭지가 돌출되도록 하여 유아가 젖꼭지를 통해 우유를 쉽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technique, the milk container with the nipple is provided in the disposable carton, so that the nipple protrudes when the upper lid of the milk container is opened, so that the infant can easily receive the milk through the nipple.

그러나 유아들은 젖꼭지가 바뀌면 쉽게 음료를 마시지 않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일회용으로 젖꼭지를 부착하게 되면 가격이 엄청나게 상승하여 실제 제품화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다.However, infants tend not to drink easily when the nipple is changed. Especially, when the nipple is attached to the disposable nipple, the price increases so that it is difficult to actualize the product.

또한,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20-2000-001177호에서는 유아용 조립식 젖병이 제안되었는바, 일회용 종이컵에 분유를 담고 덮개와 덮개 체결부 및 젖꼭지를 구비하여 상기 종이컵에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Also, Korean Utility Model No. 20-2000-001177 proposes a baby bottle for infant formula, in which powdered milk is contained in a disposable paper cup, and a lid, a lid fastening portion, and a nipple are provided so as to be assembled to the paper cup.

그러나 분유를 조제하여 종이컵에 따라야 하므로 불편함이 존재하고 아울러 덮개와 덮개 체결부를 항시 휴대하고 다녀야 하므로 더 귀찮아지는 일이 발생하고, 상기 덮개와 덮개 체결부를 휴대하지 못할 경우 수유가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powdered milk is prepared to follow the paper cup, there is inconvenience, and the lid and the lid fastening portion must be carried at all times, which makes it more cumbersome, and if the lid and lid fastening portions can not be carried, feeding becomes impossible .

또한,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0914500호에서는 종이재질의 수유용 젖병을 구비하고, 상기 젖병을 파지할 수 있는 파지용 케이스를 더 구비하여 일회용 젖병을 이용하여 보다 간편하게 유아에게 수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보호자의 젖병소독에 따른 노동력을 절감시키도록 하는 유아 수유를 위한 일회용 조립식 젖병을 제안하고 있다.In addition, Korean Patent No. 10-0914500 discloses a feeding bottle for papermaking and further has a holding case for holding the feeding bottle so that it is possible to feed the infant to the infant more easily by using the disposable bottle, To reduce the labor force associated with disinfection of the bottle.

그러나 용기를 길이를 조절할 수 없어서 항상 동일한 사이즈로 휴대를 해야하며, 사용자가 성장함에 따라 사용을 하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However, since the container can not be adjusted in length, it must always be carried in the same size, and the user is not able to use it as it grows.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20-1998-0020176호Korea Public Utility Model No. 20-1998-0020176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20-2000-001177호Korean Utility Model No. 20-2000-001177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0914500호Korean Patent No. 10-0914500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팩을 사용하여 별도의 세척을 하지 않아도 되는 접이식 케이스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ldable case which does not require separate washing using a pack which can contain content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가 용이하여 집안뿐만 아니라 외출시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접이식 케이스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ldable case which is easy to carry and can be easily used not only at home but also when going out.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용물의 양에 따라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접이식 케이스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ldable case whose length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contents.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성장에 맞춰 취음부를 젖꼭지, 스파우트, 빨대 등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접이식 케이스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ldable case which can be used by replacing a bite portion with a nipple, a spout, a straw or the like in accordance with a user's growth.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부가 개구된 속이 빈 통형태의 메인몸체부; 상기 메인몸체부의 상부에 상하로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결합되며, 상·하부가 개구된 속이 빈 통형태의 상부몸체부; 상기 상부몸체부와 메인몸체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몸체부의 상부 가장자리부분에 걸쳐져 음료나 우유, 분유 등을 보관할 수 있는 팩부; 및 상기 상부몸체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결합하되, 상기 팩부를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팩부에 보관된 음료나 우유, 분유 등을 마실 수 있는 취음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main body portion having a hollow shape with upper and lower openings; An upper body portion in the form of a hollow cylinder whos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opened and folded up or down on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 pack part located inside the upper body part and the main body part and capable of storing drinks, milk, powdered milk, etc. over the upper edge part of the upper body part; And a wick part which is positioned on the upper part of the upper body part and is capable of fixing the pack part and drinking drinks, milk, powdered milk and the like stored in the pack part.

이때, 상기 메인몸체부는, 상·하부가 개구된 속이 빈 통형태의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내면 일측에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부가 접히거나 펼쳐지는데 가이드 역할을 하는 가이드레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main body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open top and an open bottom, and a guide rail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so as to guide the folded or unfolded upper body portion .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은 두 개의 레일이 ‘ㄱ’자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guide rai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rails are formed in a letter shape.

또한, 상기 상부몸체부는, 상·하부가 개구된 속이 빈 통형태의 상부바디와, 상기 상부바디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안쪽을 따라 이동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body portion may include an upper body having a hollow shape with an upper and a lower opening and a guide protrusion protruded from one side of the upper body to move along the inner side of the guide rail .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측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돌기가 고정될 수 있는 가이드돌기홈이 더 포함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uide protrusion may b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guide rail, and the guide protrusion may be fixed to the guide rail.

또한, 상기 취음부는, 상기 팩부를 고정하는 상·하부가 개구된 속이 빈 통형태의 취음바디와, 상기 취음바디의 안쪽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팩부에 보관된 내용물을 마실 수 있는 취음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reech block may include: a body having a hollow shape with an upper and a lower opening for fixing the pack part; a drinking devic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ody to store the contents stored in the pack part; .

이때, 상기 취음수단은 젖꼭지, 스파우트, 빨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taking means is any one of a nipple, a spout, and a straw.

또한, 상기 취음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취음부를 덮어 보호하기 위하여 하부가 개구된 뚜껑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lid part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ound pickup part, and a lower part is opened to cover and protect the loud sound part.

또한, 상기 메인몸체부의 개구된 하부를 막아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마개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bottom stopper for closing the opened bottom of the main body to form a closed space.

또한, 상기 메인몸체부의 외면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allow the user to easily grasp the handle.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팩을 사용하여 별도의 세척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As apparent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not necessary to perform separate washing using a pack capable of containing contents.

또한, 휴대가 용이하여 집안뿐만 아니라 외출시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easy to carry, so that it can be used not only in the house but also when going out.

또한, 내용물의 양에 따라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contents.

또한, 사용자의 성장에 맞춰 취음부를 젖꼭지, 스파우트, 빨대 등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replace the bite portion with a nipple, spout, straw or the like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growth.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케이스의 분해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케이스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몸체부와 메인몸체부의 외, 내면의 모습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몸체부에 취음부가 결합모습이다.
도 5는 도 4에서 바닥마개부를 더 포함한 모습이다.
도 6은 도 5에서 뚜껑부를 더 포함한 2단 모습이다.
도 7은 도 5에서 뚜껑부를 더 포함한 1단 모습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케이스의 분해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케이스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몸체부, 메인몸체부 및 하부몸체부의 외, 내면의 모습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몸체부에 취음부의 결합모습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바닥마개부를 더 포함한 모습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뚜껑부를 더 포함한 3단 모습이다.
도 14은 도 12에서 뚜껑부를 더 포함한 2단 모습이다.
도 15은 도 12에서 뚜껑부를 더 포함한 1단 모습이다.
1 is an exploded front view of a folding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side view of a folding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inner surface view of the upper body portion and the main body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user taps the upper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further including the bottom stopper in FIG.
Fig. 6 is a two-step view including the lid part in Fig.
Fig. 7 is a one-step shape including the lid part in Fig.
8 is an exploded front view of a folding c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side view of a folding c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inner side view of an upper body portion, a main body portion, and a lower body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upper body part is coupled to the wrist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view further including a bottom stopper in FIG.
13 is a three-tiered view including the lid part in Fig.
Fig. 14 is a two-step view including the lid part in Fig.
Fig. 15 is a one-step shape including the lid part in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케이스의 분해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케이스의 분해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몸체부와 메인몸체부의 외, 내면의 모습,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몸체부에 취음부가 결합모습, 도 5는 도 4에서 바닥마개부를 더 포함한 모습, 도 6은 도 5에서 뚜껑부를 더 포함한 2단 모습, 도 7은 도 5에서 뚜껑부를 더 포함한 1단 모습이다.FIG. 2 is an exploded side view of a folding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view of the folding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ser removes the hook portion from the upper bod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further including the bottom stopper in FIG. Fig. 7 is a one-step shape including the lid part in Fig. 5. Fig.

도 1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케이스(100)는, 상·하부가 개구된 속이 빈 통형태의 메인몸체부(200); 상기 메인몸체부(200) 상부에 상하로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결합되며, 상·하부가 개구된 속이 빈 통형태의 상부몸체부(400); 상기 상부몸체부(400)와 메인몸체부(200)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몸체부(400)의 상부 가장자리부분에 걸쳐져 음료나 우유, 분유 등을 보관할 수 있는 팩부(900); 및 상기 상부몸체부(400)의 상부에 위치하여 결합되며, 상기 팩부(900)에 보관된 음료나 우유, 분유 등을 마실 수 있는 취음부(5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1 to 7, the folding cas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200 in the form of a hollow cylinder having upper and lower openings; An upper body portion 400 in the form of a hollow cylinder having upper and lower openings, which is folded up or downwardly on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200; A pack part 900 positioned inside the upper body part 400 and the main body part 200 and capable of storing drinks, milk, powdered milk, etc. over the upper edge part of the upper body part 400; And a wrist part 500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upper body part 400 and capable of drinking beverage, milk, powdered milk, etc. stored in the pack part 900.

이하에서는 각 구성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접이식 케이스(100)는 크게 4부분으로 구성된다.The foldable cas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four parts.

첫째, 상기 메인몸체부(200)는, 상·하가 개구된 속이 빈 통형태의 메인바디(210)와, 상기 메인바디(210)의 내면 일측에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부(400)가 접히거나 펼쳐지는데 가이드 역할을 하는 가이드레일(220)로 이루어진다.The main body 210 includes a main body 210 having a hollow main body 210 having an upper and a lower opening and an upper body part 400 formed at a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And a guide rail 220 serving as a guide for folding or unfolding.

둘째, 상기 상부몸체부(400)는, 상기 메인몸체부(200)의 상부에 위치하여 결합되며, 상·하부가 개구된 속이 빈 원통형의 상부바디(410)와, 상기 상부바디(410)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레일(220)의 안쪽을 따라 이동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돌기(420)로 이루어진다.The upper body 400 includes a hollow cylindrical upper body 410 having upper and lower opening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200, And a guide protrusion 420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to move along the inside of the guide rail 220.

상기와 같이 메인몸체부(200)를 기준으로 상측에는 상부몸체부(400)가 위치하며, 상기 메인몸체부(200)를 기준으로 상부몸체부(400)는 아래쪽으로 접히고, 위쪽으로 펼쳐지도록 구성된다. The upper body portion 400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ortion 200 and the upper body portion 400 is fold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ortion 200 so as to be spread upward .

이하에서는 상기 메인몸체부(200)와 상부몸체부(400)의 결합 구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Hereinafter, a coupling structure of the main body 200 and the upper body 400 will be described.

우선, 상기 메인몸체부(200)와 상부몸체부(400)의 결합관계는 다음과 같다. 상기 메인몸체부(200)에는 상·하가 개구된 속이 빈 원통형의 상기 메인바디(210)가 있고, 상기 메인바디(210)의 내면 일측에는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레일(22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몸체부(400)는 상·하가 개구된 속이 빈 원통형의 상부바디(410)가 있고, 상기 상부바디(410)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레일(220)의 안쪽을 따라 이동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돌기(420)가 형성되어 있다.First,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body 200 and the upper body 400 is as follows. The main body 200 includes a hollow main body 210 having an open top and a bottom and a guide rail 22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in a vertical direction. The upper body part 400 has a cylindrical upper body 410 hollow and open at its upper and lower ends and is protruded to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body 410 to move along the inside of the guide rail 220 The guide protrusion 420 is formed.

이때, 상기 상부몸체부(400)가 메인몸체부(200)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레일(220)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몸체가 위쪽으로 올라간 상태에서 고정되기 위해서 상기 가이드레일(220)은 ‘ㄱ’자 형태로 이루어지며,‘ㄱ’자 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가이드레일(220)은 두 개의 레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개의 레일 사이로 상기 가이드돌기(420)가 따라서 이동을 하게 되며, ‘ㄱ’자 형태의 상기 가이드레일(220) 상측의 꺾인 부분의 안쪽 끝부분에는 상기 가이드돌기(420)가 고정될 수 있는 가이드돌기홈(230)이 형성되어 있다. The upper body 400 may be moved up and down along the guide rails 220 formed on the main body 200. In order to fix the upper body 400 with the upper body up, The guide rail 220 is formed in a '?' Shape and the 'A' shaped guide rail 220 is formed of two rails. The guide protrusion 420 is moved between the two rails and the guide protrusion 420 is fixed to the inner end of the bent por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guide rail 220, A protrusion groove 230 is formed.

따라서 상기 가이드돌기(420)는 두 개의 레일이‘ㄱ’자 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가이드레일(220)을 따라 위아래로 움직이며, 위쪽으로 올라간 후에는 꺾인 부분의 안쪽 끝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가이드돌기홈(230)에 끼워서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몸체부(200)를 기준으로 상부몸체부(400)는 위아래로 이동하며 접혔다 펼쳐졌다를 반복할 수 있으며,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가이드돌기(420)가 가이드돌기홈(230)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메인몸체부(200)를 기준으로 상부몸체부(400)를 회전시킴으로 펼쳐진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guide protrusion 420 moves upward and downward along the guide rail 220 having two rails formed in a '' 'shape. After the guide rail 420 is moved upwards, the guide protrusion 420, which is formed at the inner end of the bent portion, And is fixed to the groove 230. The upper body part 400 may be moved up and down and folded and unfolded on the basis of the main body part 200. In the unfolded state, the guide protrusion 420 may be inserted into the guide protrusion groove 230 The upper body part 400 can be fixed in a spread state by rotating the upper body part 40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art 200 so as to be fitted.

이렇게 상기 메인몸체부(200)와 상부몸체부(400)는 상기 메인몸체부(200)를 기준으로 상하로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부몸체부(400)가 상기 메인몸체부(200)를 기준으로 접혀진 상태로 있기 위해서는 상기 메인몸체부(200)와 상부몸체부(400)의 직경이 서로 상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메인몸체부(200)가 상기 상부몸체부(400)보다 직경이 크게 구성되어 있다.The main body part 200 and the upper body part 400 are configured to be vertically movable and fix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art 200. At this time, in order for the upper body 400 to be fold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200, the diameters of the main body 200 and the upper body 400 must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200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upper body 400.

셋째, 상기 팩부(900)는, 상기 상부몸체부(400)의 상측 테두리부분에 끝부분이 걸쳐지며, 상기 상부몸체부(400)와 메인몸체부(200)의 내부에 위치하여 우유나 분유 혹은 음료 등을 보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팩부(900)는 일회용 비닐팩으로 구성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상부몸체부(400)와 메인몸체부(200)의 내부에 위치하며 우유나 분유 혹은 음료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라면 무엇이든 가능하다고 하겠다.Third, the pack portion 900 has an end portion on an upper edge portion of the upper body portion 400 and is positioned inside the upper body portion 400 and the main body portion 200, Drinks and the lik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posable plastic bag.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posable plastic bag.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posable plastic bag, but may be located within the upper body part 400 and the main body part 200, Anything that is made of a soft material that can store your back is possible.

이때 상기와 같이 팩부(900)에 보관되어 있는 내용물을 마시면서 동시에 상기 팩부(900)를 상기 상부몸체부(400)에 고정할 수 있는 상기 취음부(500)를 더 구성한다.Here, the sound pickup unit 500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pack unit 900 to be fixed to the upper body unit 400 while drinking the contents stored in the pack unit 900 as described above.

넷째, 상기 취음부(500)는, 상기 상부몸체부(40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몸체부(400)에 결합하되, 상기 팩부(900)를 고정하는 상·하부가 개구된 속이 빈 원통형의 취음바디(510)와 상기 취음바디(5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팩부(900)에 보관된 내용물을 마실 수 있는 취음수단(5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취음수단(520)은 젖꼭지, 스파우트, 빨대 형태 중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Fourthly, the above-mentioned sound pickup part 500 is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the upper body part 400 and is coupled to the upper body part 400, and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with upper and lower openings for fixing the pack part 900, And a sucking means 520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510 to drink the contents stored in the pack portion 900. At this time, the hunting means 520 is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usable in the form of a nipple, a spout, or a straw.

상기 팩부(900)가 상부몸체부(400)의 상부 가장자리부분에 걸쳐져 있는데, 상기 취음부(500)가 상기 상부몸체부(400)의 상부에 결합되면서 상기 팩부(900)는 상기 취음부(500)와 상부몸체부(400) 사이에 위치되면서 자연스럽게 고정되게 된다. 이후 상기 팩부(900)에 보관되고 있는 내용물을 마시기 위해서는 상기 취음바디(510)와 결합되어 있는 상기 취음수단(520)을 통해 내용물을 마시면 된다. 이때, 상기 취음수단(520)은 사용자에 맞춰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경우에는 유아부터 아동까지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상기 취음수단(520)을 젖꼭지, 스파우트, 빨대로 구성하였으며, 사용자(유아부터 아동까지)의 성장에 맞춰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pack part 900 is disposed on the upper edge of the upper body part 400 and the pack part 900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upper body part 400, And the upper body part 400, and is naturally fixed. In order to drink the contents stored in the pack part 900, the contents are sucked through the drinking device 520 coupled to the body 510. At this time, the taking means 520 can be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the us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figured to be used from infants to children, and the above-mentioned taking means 520 is composed of a nipple, a spout, and a straw, and can be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the growth of a user Consists of.

아울러, 상기 취음부(500)가 외부에 장시간 노출되어 있을 경우, 상기 취음부(500)가 오염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탈이 날수도 있기에 상기 취음부(500)를 덮어 보호할 수 있는 뚜껑부(600)를 더 구성한다.In addition, when the sound pickup unit 500 is exposed to the outside for a long time, the sound pickup unit 500 may be contaminated, and thus the user may be rubbed off, so that the sound pickup unit 500 can be covered and protected The lid portion 600 is further configured.

또한, 상기 팩부(900)에 보관되어 있는 내용물을 상기 취음수단(520)을 통해서 마시게 되면 상기 팩부(900)에 보관되어 있는 내용물의 양이 줄어듦에 따라서 상기 상부몸체부(400)와 메인몸체부(200)가 모두 펼쳐질 필요가 없으며, 오히려 길이가 짧게 구성함으로서 사용하는데도 용이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메인몸체부(200)를 기준으로 상기 상부몸체부(400)를 필요에 접거나 펼쳐서 상기 접이식 케이스(1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When the contents stored in the pack portion 900 are drunk through the stench means 520, the amount of the contents stored in the pack portion 900 is reduced, so that the upper body portion 400, The upper body portion 400 may be folded or folded on the basis of the main body portion 200 as needed so that the folded portion of the folded body 200 may be folded or folded, The length of the case 100 can be adjusted.

이때, 상기 접이식 케이스(100)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면, 상기 팩부(900)가 상기 접이식 케이스(100) 아래쪽으로 삐져나올 수 있게 되고, 상기 팩부(900)가 상기 접이식 케이스(100) 아래로 삐져나온 상태에서 사용을 하다가 외부의 물건에 의해 찢어질 수 있으며 이럴 경우, 상기 팩부(900)에 보관되어 있던 내용물이 흘러나올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if the length of the folding case 100 is shortened, the pack part 900 can be pushed out below the folding case 100, and the pack part 900 is pierced under the folding case 100 It can be torn by an external object while being used. In this case, the contents stored in the pack part 900 can flow out.

따라서 상기 접이식 케이스(100)의 길이가 조절됨으로서, 상기 팩부(900)가 상기 접이식 케이스(100) 아래쪽으로 삐져나올 수 있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메인몸체부(200)의 개구된 하부를 막아 밀폐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바닥마개부(700)를 더 구성할 수 있다. The length of the folding case 100 is adjusted so as to prevent the pack part 900 from being pushed out of the folding case 100. In order to prevent the pack part 900 from being pushed out of the folding case 100, A bottom stopper 700 capable of forming a space can be further constructed.

상기 바닥마개부(700)를 이용하여 상기 접이식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을 밀폐하면, 앞에서 설명한바와 같이 상기 팩부(900)가 상기 접이식 케이스(100) 아래쪽으로 삐져나올 수 있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다른 용도로 상기 접이식 케이스(100)를 가장 짧은 길이로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접이식 케이스(100)의 밀폐된 내부에 여분의 상기 취음부(500) 혹은 취음수단(520)을 보관할 수 도 있다.When the inner space of the folding case 100 is closed by using the bottom stopper 700,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ituation in which the pack unit 900 can be pushed out of the folding case 100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in a state where the folding case 100 is adjusted to the shortest length for another purpose, it is also possible to store the extra sounding unit 500 or the sounding unit 520 in the closed interior of the folding case 100 have.

마지막으로, 상기 접이식 케이스(100)를 조금 더 손쉽게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몸체부(200)의 외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800)를 더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원형의 손잡이가 세로 중심선을 기준을 각각 힌지 회동되도록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손잡이부(800)의 형태를 이렇게 한정할 필요없이 상기 접이식 케이스(100)를 사용하는데 있어 손쉽게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손잡이라면 어떤 형태든 적용가능하다고 하겠다.Finally, a handle 800 can be furthe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200 so that the user can grasp the foldable case 100 with eas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ircular handle is hinged about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However, it is not necessary to limit the shape of the handle 800 so that the foldable case 100 can be easily gripped Any type of handle that can be used is acceptable.

첨부도면 중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케이스의 분해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케이스의 분해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몸체부, 메인몸체부 및 하부몸체부의 외, 내면의 모습,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몸체부에 취음부의 결합모습, 도 12는 도 11에서 바닥마개부를 더 포함한 모습, 도 13은 도 12에서 뚜껑부를 더 포함한 3단 모습, 도 14은 도 12에서 뚜껑부를 더 포함한 2단 모습, 도 15은 도 12에서 뚜껑부를 더 포함한 1단 모습이다.9 is an exploded side view of a folding c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ide view of the folding c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body part is coupled to the upper body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view further illustrating the bottom stopper part in FIG. 11, Fig. 13 is a three-tiered view including the lid portion in Fig. 12, Fig. 14 is a two-tiered view including the lid portion in Fig. 12, and Fig. 15 is a one-tiered view including the lid portion in Fig.

도 8 내지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케이스(1000)는, 상·하부가 개구된 속이 빈 통형태의 메인몸체부(200); 상기 메인몸체부(200) 상부에 상하로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결합되며, 상·하부가 개구된 속이 빈 통형태의 상부몸체부(400); 상기 메인몸체부(200) 하부에 상하로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결합되며, 상·하부가 개구된 속이 빈 통형태의 하부몸체부(400); 상기 상부몸체부(400)와 메인몸체부(200)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몸체부(400)의 상부 가장자리부분에 걸쳐져 음료나 우유, 분유 등을 보관할 수 있는 팩부(900); 및 상기 상부몸체부(400)의 상부에 위치하여 결합되며, 상기 팩부(900)에 보관된 음료나 우유, 분유 등을 마실 수 있는 취음부(5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8 to 15, the folding case 1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200 in the form of a hollow cylinder having upper and lower openings; An upper body portion 400 in the form of a hollow cylinder having upper and lower openings, which is folded up or downwardly on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200; A lower body part 400 in the form of a hollow cylinder having upper and lower openings, which is folded up or downwardly to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part 200; A pack part 900 positioned inside the upper body part 400 and the main body part 200 and capable of storing drinks, milk, powdered milk, etc. over the upper edge part of the upper body part 400; And a wrist part 500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upper body part 400 and capable of drinking beverage, milk, powdered milk, etc. stored in the pack part 900.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접이식 케이스(100)는 크게 5부분으로 구성된다.The foldable cas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five parts.

첫째, 상기 메인몸체부(200)는, 상·하가 개구된 속이 빈 통형태의 메인바디(210)와, 상기 메인바디(210)의 내면 일측에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부(400)와 하부몸체부(300)가 접히거나 펼쳐지는데 가이드 역할을 하는 가이드레일(220)과, 상기 메인바디(210)의 내면 타측에는 상기 하부몸체부(300)에 결합되어 형태를 유지시켜주는 하부고정돌기(240)로 이루어진다.The main body 210 includes a main body 210 having a hollow main body 210 having an upper and a lower opening and an upper body part 400 formed at a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A guide rail 220 which serves as a guide for folding or unfolding the upper body part 300 and the lower body part 300 and a guide rail 220 which is coupled to the lower body part 300 at the other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210, And a fixing protrusion 240.

둘째, 상기 하부몸체부(300)는, 상·하부가 개구된 속이 빈 통형태의 하부바디(310)와, 상기 하부바디(310)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레일(220)의 외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220)의 폭에 대응되는 넓이의 홈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레일홈(320)과, 상기 하부바디(310)의 외면 타측에는 상기 하부고정돌기(240)에 대응되는 하부고정홈(330)으로 이루어진다.The lower body 310 includes a lower body 310 and a lower body 310. The lower body 310 has an open upper and lower ends and a lower body 310. The lower body 310 includes an upper body 310 and a lower body 310, A guide rail groove 320 in which a groove having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guide rail 220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lower fixing protrusion 240, And a lower fixing groove 330.

셋째, 상기 상부몸체부(400)는, 상·하부가 개구된 속이 빈 원통형의 상부바디(410)와, 상기 상부바디(410)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레일(220)의 안쪽을 따라 이동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돌기(420)로 이루어진다.Third, the upper body 400 includes a hollow cylindrical upper body 410 having upper and lower openings, and a pair of upper and lower bodies 410 and 420, which are disposed along the inner side of the guide rail 220 at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body 410 And a guide protrusion 420 protruding therefrom.

넷째, 상기 팩부(900)는, 상기 상부몸체부(400)의 상측 테두리부분에 끝부분이 걸쳐지며, 상기 상부몸체부(400), 메인몸체부(200) 및 하부몸체부(300) 내부에 위치하여 우유나 분유 혹은 음료 등을 보관하게 된다.Fourthly, the pack portion 900 has an end portion on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upper body portion 400, and the upper body portion 400, the main body portion 200, and the lower body portion 300 And stores milk, milk powder or drinks.

다섯째, 상기 취음부(500)는, 상기 상부몸체부(40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몸체부(400)에 결합하되, 상기 팩부(900)를 고정하는 상·하부가 개구된 속이 빈 원통형의 취음바디(510)와 상기 취음바디(5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팩부(900)에 보관된 내용물을 마실 수 있는 취음수단(5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취음수단(520)은 젖꼭지, 스파우트, 빨대 형태 중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Fifth, the sound pickup part 500 is positioned on the upper part of the upper body part 400 and coupled to the upper body part 400, And a sucking means 520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510 to drink the contents stored in the pack portion 900. At this time, the hunting means 520 is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usable in the form of a nipple, a spout, or a straw.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접이식 케이스(100)가 2단 구성인 반면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접이식 케이스(1000)는 3단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부분의 구성과 역할을 동일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앞에서 이루어졌기에 생략하며, 이후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ding case 100 has a two-tier configuration, while the folding case 1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hree-tier configuration. Most of the configuration and roles are the same, and the explanation is omitted because it was done in the previous section. In the following, the difference will be mainly described.

상기 하부몸체부(300)가 추가적으로 구성됨에 따라 상기 메인몸체부(200)에는 상기 하부고정돌기가 더 부설되며, 상기 접이식 케이스(100)에서는 상기 바닥마개부(700)가 상기 메인몸체부(200)의 하부에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밀폐공간으로 형성하는데 반해, 상기 접이식 케이스(1000)에서는 상기 바닥마개부(700)가 상기 하부몸체부(300)의 하부에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밀폐공간으로 형성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The lower fixing part is provided on the main body part 200 so that the bottom part 700 of the folding case 100 can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part 200 In the foldable case 1000, the bottom stopper 70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body 300 to form an internal space as a closed space. There is a difference.

그리고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상기 메인몸체부(200)를 기준으로 상기 상부몸체부(400)와 하부몸체부(300)가 각각 상하 방향으로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는 점이다. The main difference is that the upper body part 400 and the lower body part 300 can be folded or unfol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basis of the main body part 200.

이하에서는 상기 메인몸체부(200)와 상부몸체부(400), 상기 메인몸체부(200)와 하부몸체부(300) 및 전체적인 접철 구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Hereinafter, the main body portion 200, the upper body portion 400, the main body portion 200, the lower body portion 300, and the overall folding structure will be described.

우선, 상기 메인몸체부(200)와 상부몸체부(400)의 결합관계는 이미 앞에서 설명한 관계로 생략하겠다.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body 200 and the upper body 400 will not be described.

이번에는 상기 메인몸체부(200)와 하부몸체부(300)의 결합관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상기 메인몸체부(20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하가 개구된 속이 빈 통형태의 상기 메인바디(210)가 있고, 상기 메인바디(210)의 내면 일측에는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레일(2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바디(210)의 내면 타측에는 상기 하부몸체부(300)에 결합되어 형태를 유지시켜주는 상기 하부고정돌기(24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몸체부(300)는 상·하부가 개구된 속이 통형태의 하부바디(310)와 상기 가이드레일(220)의 폭에 대응되는 넓이의 가이드레일홈(3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바디(310)의 외면 타측에는 상기 메인몸체부(20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하부고정돌기(240)에 대응되는 상기 하부고정홈(330)이 형성되어 있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how the main body 200 and the lower body 300 are coupled. As described above, the main body 200 includes the main body 210 having an open top and a bottom. The main body 210 has a guide rail 220 And the lower fixing protrusion 24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so as to be coupled to the lower body portion 300 to maintain the shape thereof. The lower body part 300 is formed with a lower body 310 and a guide rail groove 320 having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guide rail 220, The lower fixing groove 330 corresponding to the lower fixing protrusion 240 formed on the main body 20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body 310. [

상기 가이드레일(220)의 폭(=가이드레일(220)의 외면)에 대응되는 넓이를 가진 상기 가이드레일홈(320)은 상기 가이드레일(22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하 이동 후 고정하기 위해서 별도의 구성으로 상기 메인몸체부(200)와 하부몸체부(300)에 각각 하부고정돌기(240)와 하부고정홈(330)을 구성하여, 서로 끼움결합으로 형태를 유지한다. The guide rail groove 320 having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guide rail 220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rail 220) can be moved up and down along the guide rail 220, A lower fixing protrusion 240 and a lower fixing groove 330 are formed in the main body portion 200 and the lower body portion 300 respectively in a separate configuration so as to be fitted and held together.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하부고정돌기(240)가 어떤 고정된 형태가 아니라 도면에서도 나타나듯이 상기 하부고정돌기(240)가 형성된 일측은 상기 메인바디(210)와 떨어져 있으며, 상기 하부고정돌기(240)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타측은 상기 메인바디(210)와 부착되어 있어, 재질의 탄성을 이용하여 결합과 해지가 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Her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of the lower fixing protrusion 240 where the lower fixing protrusion 240 is formed is apart from the main body 210, as shown in the drawings, And the other side on which the lower fixing protrusion 240 is not formed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210 so that it can be coupled and disassembled using the elasticity of the material.

그리고 상기 메인몸체부(200)와 상부몸체부(400)의 결합관계를 설명할 때 말했듯이 두 개의 레일이 ‘ㄱ’자 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가이드레일(220)일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레일홈(320)이 상기 가이드레일(22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되, 상기 가이드레일(220)일 꺾이는 부분이상으로는 더 이상 이동을 할 수 없게 되며, 두 개의 레일의 외면(= 가이드레일(220)의 폭)을 따라 이동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two rails are the 'A' shaped guide rail 220, the guide rail grooves (not shown) 320 are moved upward and downward along the guide rail 220 and can no longer be moved beyond the folded portion of the guide rail 220. The outer surfaces of the two rails Width).

따라서 상기 메인몸체부(200)와 하부몸체부(300)의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레일(220)을 따라 상기 가이드레일홈(320)이 상하이동을 하면서 접혔다 펼쳐졌다를 반복할 수 있으며,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하부고정돌기(240)가 하부고정홈(330)에 끼움결합을 하여 펼쳐진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case of the main body part 200 and the lower body part 300, the guide rail grooves 320 can be folded and unfolded while being vertically moved along the guide rails 220, The lower fixing protrusion 240 can be fitted into the lower fixing groove 330 to fix the unfolded state.

이렇게 상기 메인몸체부(200)와 상부몸체부(400), 상기 메인몸체부(200)와 하부몸체부(300)는 각각 상기 메인몸체부(200)를 기준으로 상하로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부몸체부(400)와 하부몸체부(300)가 상기 메인몸체부(200)를 기준으로 각각 접혀진 상태로 있기 위해서는 상기 메인몸체부(200), 상부몸체부(400) 및 하부몸체부(300)의 직경이 서로 상이해야 한다. 그래야 모두가 상기 메인몸체부(200)를 기준으로 접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메인몸체부(200)가 가장 직경이 크며, 그 다음으로 상기 하부몸체부(300)이며, 상기 상부몸체부(400)가 가장 직경이 작게 구성되어 있다.The main body part 200 and the lower body part 300 can be vertically moved and fixed on the basis of the main body part 200. The main body part 200, the upper body part 400, the main body part 200, Consists of. In order for the upper and lower body parts 400 and 300 to be folded on the basis of the main body part 200, the main body part 200, the upper body part 400, The diameter of the portion 300 should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that all can be folded on the basis of the main body portion 200.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portion 200 has the largest diameter, the lower body portion 300, and the upper body portion 400 has the smallest diameter.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100, 1000 - 접이식 케이스
200 - 메인몸체부
210 - 메인바디
220 - 가이드레일
230 - 가이드돌기홈
240 - 하부고정돌기
300 - 하부몸체부
310 - 하부바디
320 - 가이드레일홈
330 - 하부고정홈
400 - 상부몸체부
410 - 상부바디
420 - 가이드돌기
500 - 취음부
510 - 취음바디
520 - 취음수단
600 - 뚜껑부
700 - 바닥마개부
800 - 손잡이부
900 - 팩부
100, 1000 - Folding case
200 - Main body part
210 - Main Body
220 - Guide rail
230 - Guide protrusion groove
240 - Lower fixing projection
300 - Lower body part
310 - lower body
320 - Guide rail groove
330 - Lower fixing groove
400 - upper body part
410 - upper body
420 - Guide projection
500 -
510 - Odor Body
520 - Stethoscope
600 - lid part
700 - bottom plug
800 - Handle
900 -

Claims (21)

상·하부가 개구된 속이 빈 통형태의 메인몸체부;
상기 메인몸체부의 상부에 상하로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결합되며, 상·하부가 개구된 속이 빈 통형태의 상부몸체부;
상기 상부몸체부와 메인몸체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몸체부의 상부 가장자리부분에 걸쳐져 음료나 우유, 분유 등을 보관할 수 있는 팩부; 및
상기 상부몸체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결합하되, 상기 팩부를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팩부에 보관된 음료나 우유, 분유 등을 마실 수 있는 취음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케이스.
A main body portion having an open top and an open bottom;
An upper body portion in the form of a hollow cylinder whos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opened and folded up or down on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 pack part located inside the upper body part and the main body part and capable of storing drinks, milk, powdered milk, etc. over the upper edge part of the upper body part; And
Wherein the upper body part is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body part and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upper body part to fix the pack part and to drink beverage, milk, powdered milk, and the like stored in the pack par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부는,
상·하부가 개구된 속이 빈 통형태의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내면 일측에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부가 접히거나 펼쳐지는데 가이드 역할을 하는 가이드레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main body portion,
And a guide rail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serving as a guide for folding or unfolding the upper body por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두 개의 레일이 ‘ㄱ’자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케이스.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guide rail has two rails formed in a shape of a letter " a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부는,
상·하부가 개구된 속이 빈 통형태의 상부바디와, 상기 상부바디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안쪽을 따라 이동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케이스.
3. The method of claim 2,
The upper body portion,
And a guide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body so as to protrude along the inner side of the guide rail.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측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돌기가 고정될 수 있는 가이드돌기홈이 더 포함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케이스.
5.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guide protrusion groove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guide rail and capable of fixing the guide protrus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취음부는,
상기 팩부를 고정하는 상·하부가 개구된 속이 빈 통형태의 취음바디와, 상기 취음바디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팩부에 보관된 내용물을 마실 수 있는 취음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d a suction means for sucking the contents stored in the pack portion, the suction body being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wherein the suction body is hollow and has an upper and a lower opening for fixing the pack portion.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취음수단은 젖꼭지, 스파우트, 빨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taking means is any one of a nipple, a spout, and a straw.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음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취음부를 덮어 보호하기 위하여 하부가 개구된 뚜껑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케이스.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Further comprising a lid portion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ite portion and having a lower portion opened to cover and protect the bored portion.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부의 개구된 하부를 막아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마개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케이스.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Further comprising a bottom stopper portion for closing the opened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to form a closed space.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부의 외면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케이스.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erein the main body further comprises a handl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allow the user to easily grasp the handle.
상·하부가 개구된 속이 빈 통형태의 메인몸체부;
상기 메인몸체부의 상부에 상하로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결합되며, 상·하부가 개구된 속이 빈 통형태의 상부몸체부;
상기 메인몸체부의 하부에 상하로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결합되며, 상·하부가 개구된 속이 빈 통형태의 하부몸체부;
상기 상부몸체부, 메인몸체부 및 하부몸체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몸체부의 상부 가장자리부분에 걸쳐져 음료나 우유, 분유 등을 보관할 수 있는 팩부; 및
상기 상부몸체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결합하되, 상기 팩부를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팩부에 보관된 음료나 우유, 분유 등을 마실 수 있는 취음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케이스.
A main body portion having an open top and an open bottom;
An upper body portion in the form of a hollow cylinder whos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opened and folded up or down on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 lower body portion in the form of a hollow cylinder having upper and lower opening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so as to be vertically folded or unfolded;
A pack part located inside the upper body part, the main body part and the lower body part and capable of storing beverage, milk and milk powder over the upper edge part of the upper body part; And
Wherein the upper body part is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body part and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upper body part to fix the pack part and to drink beverage, milk, powdered milk, and the like stored in the pack part.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부는,
상·하부가 개구된 속이 빈 통형태의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내면 일측에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부와 하부몸체부가 접히거나 펼쳐지는데 가이드 역할을 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메인바디의 내면 타측에는 상기 하부몸체부에 결합되어 형태를 유지시켜주는 하부고정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케이스.
12. The method of claim 11,
In the main body portion,
A guide rail which is vertically formed at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serves as a guide for folding or unfolding the upper and lower main bodies, And the lower fixing protrusion is coupled to the lower body portion at the other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lower body portion to maintain the shape thereof.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두 개의 레일이 ‘ㄱ’자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케이스.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guide rail has two rails formed in a shape of a letter " a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부는,
상·하부가 개구된 속이 빈 통형태의 상부바디와, 상기 상부바디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안쪽을 따라 이동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케이스.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upper body portion,
And a guide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body so as to protrude along the inner side of the guide rail.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측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돌기가 고정될 수 있는 가이드돌기홈이 더 포함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케이스.
15. The method of claim 14,
Further comprising a guide protrusion groove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guide rail and capable of fixing the guide protrusion.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부는,
상·하부가 개구된 속이 빈 통형태의 하부바디와, 상기 하부바디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외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의 폭에 대응되는 넓이의 홈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레일홈과, 상기 하부바디의 외면 타측에는 상기 하부고정돌기에 대응되는 하부고정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케이스.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lower body portion,
A lower body having an open top and an open bottom and a groove having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guide rail so as to move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rail at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body, And a lower fix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lower fixing projec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body.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취음부는,
상기 팩부를 고정하는 상·하부가 개구된 속이 빈 통형태의 취음바디와, 상기 취음바디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팩부에 보관된 내용물을 마실 수 있는 취음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케이스.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And a suction means for sucking the contents stored in the pack portion, the suction body being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wherein the suction body is hollow and has an upper and a lower opening for fixing the pack portion.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취음수단은 젖꼭지, 스파우트, 빨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케이스.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taking means is any one of a nipple, a spout, and a straw.
제 11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음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취음부를 덮어 보호하기 위하여 하부가 개구된 뚜껑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케이스.
1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8,
Further comprising a lid portion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ite portion and having a lower portion opened to cover and protect the bored portion.
제 11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부의 개구된 하부를 막아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마개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케이스.
1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8,
Further comprising a bottom stopper which closes an opened lower portion of the lower body portion to form a closed space.
제 11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부의 외면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케이스.
1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8,
Wherein the main body further comprises a handl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allow the user to easily grasp the handle.
KR1020150134271A 2015-09-23 2015-09-23 Folding case KR2017003544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271A KR20170035444A (en) 2015-09-23 2015-09-23 Folding c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271A KR20170035444A (en) 2015-09-23 2015-09-23 Folding ca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444A true KR20170035444A (en) 2017-03-31

Family

ID=58500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4271A KR20170035444A (en) 2015-09-23 2015-09-23 Folding ca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544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2512A1 (en) * 2017-05-17 2018-11-22 김정열 Disposable baby bottle containing baby milk powd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0176A (en) 1996-09-05 1998-06-25 김광호 Integral Sputtering Collimator Core
KR20000001177U (en) 1998-06-22 2000-01-25 권호택 Deflection yoke
KR100914500B1 (en) 2008-01-11 2009-08-31 신승철 A Nursing Bottle for a One Time Us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0176A (en) 1996-09-05 1998-06-25 김광호 Integral Sputtering Collimator Core
KR20000001177U (en) 1998-06-22 2000-01-25 권호택 Deflection yoke
KR100914500B1 (en) 2008-01-11 2009-08-31 신승철 A Nursing Bottle for a One Time Us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2512A1 (en) * 2017-05-17 2018-11-22 김정열 Disposable baby bottle containing baby milk powd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7453B1 (en) Reusable foldable drinking straw in storage case
US5207338A (en) Infant nursing bottle
US6641094B2 (en) Plush bottle holder
JP5714775B2 (en) Disposable baby bottle kit
US20140069945A1 (en) Cup With Repositionable Handles
KR20170035444A (en) Folding case
CN107095542A (en) A kind of compartmentalized box for holding assorted fruits and candies for being easy to mobile phone to watch video
KR101351690B1 (en) Weaning cup
US20170121057A1 (en) Keep it klean carry case
US8056718B2 (en) Apparatus for storing baby bottles
KR100791143B1 (en) Spoon storage apparatus for powdered milk can
JP4732914B2 (en) Interdental brush container
CN204766594U (en) Deserted feeding bottle
JP2020142808A (en) Container with cup-shaped lid body
US20180028411A1 (en) Baby Food Canteen
KR20220105300A (en) Eco-friendly tea stick
US20240100574A1 (en) Pacifier Cleaning And Storage Apparatus
KR200253094Y1 (en) Milk Bottle Sanitary Spoon Holder
JP3085183U (en) Portable disposable baby bottles
JP2004041543A (en) Cap with nipple
CN113180437A (en) Tableware and dish distributor
JP3091065U (en) PET bottle with glass
KR100589330B1 (en) A cup holder
KR20160043491A (en) Spoon-inner-type cup
KR20120005014U (en) A improved portable cu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