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3145A - 아비에타트리엔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비에타트리엔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3145A
KR20170033145A KR1020150131107A KR20150131107A KR20170033145A KR 20170033145 A KR20170033145 A KR 20170033145A KR 1020150131107 A KR1020150131107 A KR 1020150131107A KR 20150131107 A KR20150131107 A KR 20150131107A KR 20170033145 A KR20170033145 A KR 20170033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mposition
present
active ingredient
abietatri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1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구
진무현
장윤희
김태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50131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3145A/ko
Publication of KR20170033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314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1Hydrocarbons
    • A61K31/015Hydrocarbons carbocycl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아비에타트리엔(abietatrie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탄력 증진, 피부 재생, 피부 보습 및 항염증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아비에타트리엔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탄력 증진, 피부 재생, 피부 보습 및 항염증(피부 트러블 개선)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아비에타트리엔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에 안전하면서도 적은 유효량으로 상기 효과를 현저하게 발휘하여 화장료, 약학 또는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아비에타트리엔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mprising abietatriene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피부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피부에 처리시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탄력 증진, 피부 재생, 보습 또는 항염증과 같은 피부 상태의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색깔 또는 밝기는 사람의 피부 내 멜라닌(Melanin)의 농도와 분포에 따라 유전적으로 결정되나, 태양 자외선, 피로 또는 스트레스 등의 환경적 또는 생리적 조건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멜라닌은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Tyrosine)에 티로시나제(Tyrosinase)라는 효소가 촉매로 작용하여 도파(DOPA) 및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순차적으로 바뀐 후, 비효소적인 산화반응을 거쳐 만들어진다. 이와 같이 멜라닌이 만들어지는 경로는 알려져 있으나, 멜라닌 합성을 유도하는 메커니즘에서 티로시나제가 촉발되는 원인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자세히 밝혀지지 않았다.
한편, 일반적으로 알려진 미백 성분으로, 코지산(Kojic acid) 또는 알부틴(Arbutin) 등과 같은 티로시나제 효소활성을 억제하는 물질,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비타민 C(L-Ascorbic acid) 또는 이들의 유도체와 각종 식물 추출물 등이 있다. 이들은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피부 톤을 밝게 하여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또는 유전에 기인한 기미나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증의 개선이 가능하다. 그러나 피부 적용 시, 자극 또는 발적 등의 피부 안전성의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거나,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콜라겐은 피부의 섬유아세포(Fibroblast)에서 생성되는 주요 기질 단백질로서 세포 외 간질에 존재하고, 중요한 기능으로는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결합조직의 저항력과 조직의 결합력, 세포접착의 지탱, 세포분할과 분화(유기체의 성장 혹은 상처 치유시)의 유도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콜라겐은 연령 및 자외선 조사에 의한 광 노화에 의해 감소하며, 콜라겐을 분해하는 콜라게나제 효소 활성으로 콜라겐 감소가 촉진된다. 이는 피부의 주름 형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현재, 주름개선 화장료로는 레티노이드, 아데노신, 동물태반유래 단백질, 또는 클로렐라 추출물 등이 알려져 있다. 가장 잘 알려져 있는 레티놀은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며 엘라스테이즈 효소를 저해하는 물질이지만 불안정하며, 피부 적용시 자극 또는 발적 등의 안전성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으며, 클로렐라 추출물 등은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피부주름 개선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은 글리코사미노글리칸(glycosaminoglycans)의 일종으로 글루쿠론산과 N-아세틸글루코사민 잔기가 반복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사슬모양의 고분자 다당류 물질이다. 다량의 물과 결합하여 겔을 만드는 성질이 있어 높은 점성과 탄성을 가진다. 히알루론산은 세포외 기질의 주요 성분으로, 수분 보유, 세포 간 간격 유지, 세포성장인자 및 영양성분의 저장과 확산에 관여할 뿐만 아니라, 세포의 분열과 분화 또는 이동 등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포유류의 체내에 존재하는 히알루론산의 50% 이상이 피부, 특히 표피의 세포 간 간격과 진피의 결체 조직에 분포한다고 보고되었고, 이러한 히알루론산은 주로 각질형성세포와 섬유아세포에 의해 합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간 피부에서 히알루론산의 양은 노화와 함께 감소되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피부 내 히알루론산의 감소는 노화에 따른 피부 탄력 저하 및 수분 함유량 감소의 직접적인 원인 중 하나라고 여겨지고 있다(Biochem Biophys Acta 279, 265-275; Carbohydr Res 159, 127-136; Int J Dermatol 33, 119-122). 또한 히알루론산은 각질층의 구조유지와 피부장벽 기능을 유지하는 데에도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J Cosmet Dermatol. 2007 Jun, 6(2), 75-82). 따라서 히알루론산은 피부 보습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 히알루론산은 분자량이 커서 피부에 흡수가 잘 되지 않는다. 또한, 히알루론산을 피부로 주입하는 방법이 현재 시술되고 있으나, 피부 세포 내의 히알루론산 합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더 효과적이다. 따라서 인체 내의 히알루론산의 생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괄목할 만한 연구 결과는 아직 알려진 바가 없는 실정이다.
염증은 상처나 질병에 반응하는 인체의 면역 반응으로, 자외선이나 활성산소, 자유라디칼 등의 산화적 스트레스 등이 염증성 인자를 활성화시켜 각종 질병 및 피부의 노화를 일으킨다. 혈관 활성 폴리펩타이드인 키닌(Kinin), 플라스민(Plasmin) 또는 보체 (Complement) 등이 혈관 확장과 수축 및 주화성(Chemotaxis) 작용을 하고, 그 외에 인터루킨-6(IL-6) 등과 같은 림포카인과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등이 염증 반응을 담당한다. 아라키돈산은 싸이클로옥시게나아제(Cyclooxygenase) 혹은 리포옥시게나아제(Lipooxygenase)의 2가지 경로를 거쳐 염증 매개체인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또는 류코트리엔(Lukotriene)들로 대사되어 다양한 염증 반응을 매개한다.
한편, 염증을 소실시키기 위해 염증원의 제거, 생체 반응 및 증상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을 항염제라 한다. 현재까지 항염의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물질로는 비스테로이드계로 플루페나믹산(Flufenamic acid), 이부프로펜(Ibuprofen), 벤지다민(Benzydamine) 또는 인도메타신(Indomethacin) 등이 있고 스테로이드계통으로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또는 덱사메타손 (Dexamethasone) 등이 있다. 또한 알란토인, 아즈엔 또는 하이드로코티손 등이 항염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들 물질은 피부에 대한 안전성의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거나,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염증 완화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생체에 안전하고, 유효성분이 안정하며, 무엇보다도 기존의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탄력 증진, 피부 재생, 보습 또는 항염증 효과가 있는 물질보다 효과가 우수한 성분의 개발이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체에 안전하여 부작용이 적으면서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탄력 증진, 피부 재생, 피부 보습 및 항염증 효과가 우수한 새로운 활성 성분의 유용한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효과가 우수한 활성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는 약학, 화장료 또는 피부외용제 제형의 제조를 위한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비에타트리엔(abietatrie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피부 개선용'은 피부 미백용, 주름 개선용, 탄력 증진용, 피부 재생용, 피부 보습용 및 항염증용 등을 포함하는 개념을 의미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피부 상태 개선 성분이 실제 피부에 적용 시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저농도에서 고활성의 피부 상태 개선 활성을 나타내고, 피부를 투과하여 흡수되는 능력이 우수해야 한다. 또한 이는 피부 상태 개선 효과를 나타내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머무를 수 있도록 휘발성이 낮고, 조성물이나 피부 상에서 활성 성분이 안정하게 유지되고, 화장품으로의 제형화가 용이하며, 또한 피부에 안전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알려진 성분 중 상기 특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성분은 흔치 않다. 예를 들어, 몇몇 피부 상태 개선 성분들은 체외(in vitro) 실험 시 저농도에서도 피부 상태 개선 활성은 우수하나, 피부를 투과하여 흡수되는 능력이 떨어져 실제 피부에 적용하기엔 어렵다. 또 다른 기능성 성분들은 친수성이 낮아 화장품으로 제형화가 어렵거나, 열, 광, 또는 산소에 노출되었을 때, 활성 성분이 분해되거나 다른 화합물로 변형되어 피부에 적용하기 전에 이미 효과가 사라지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들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아비에타트리엔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여 미백 효과를 나타내며, 피부의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피부 주름 개선, 탄력 증진 및 피부 재생 효과를 나타내며, 히알루론산 생성을 촉진하여 피부 보습 효과를 나타내고 주름 개선, 탄력 증진 및 피부 재생에 도움을 주며, NO 생성을 억제하는 항염증 효과로 피부 트러블을 개선하고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에 보조적인 역할로 작용하는 등 피부 상태의 전반적인 개선에 현저하게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미백'이라 함은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피부 톤을 밝게 할 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또는 유전에 기인한 기미나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을 개선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주름 개선'이라 함은 유전자에 의한 원인, 피부 진피에 존재하는 콜라겐의 감소 또는 외부 환경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주름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 또는 저해하거나, 이미 생성된 주름을 완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용어 '피부 탄력'은 진피층에 존재하는 엘라스틴(elastin)으로 구성된 탄력섬유에 의해 나타나는데, 이러한 탄력섬유는 고무와 같이 매우 낮은 탄성계수를 가지고 있어서, 작은 힘에 의해서도 쉽게 변형되고, 또 그 힘이 제거되었을 때는 쉽게 원형으로 되돌아 온다. 한편, 상기 엘라스틴과 콜라겐을 이어주는 히알루론산이 감소되면 피부 탄력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용어 '피부 재생 효과'는 피부 외부 및 내부 원인에 의한 손상에 대하여 피부 조직이 회복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외부 원인에 의한 손상은 자외선, 외부 오염 물질, 창상, 또는 외상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내부 원인에 의한 손상은 스트레스 등을 들 수 있다. 피부가 손상되면 염증반응이 일어나고 세포증식 과정이 진행되는데, 이 때 콜라겐 합성이 촉진되고, 히알루론산 (hyaluronic acid)을 포함하는 당단백질류인 GAGs(Glucosaminoglycans) 합성도 활발히 일어난다. 바람직하게, 손상된 피부에 본 발명의 아비에타트리엔(abietatrie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을 처리하게 되면, 손상된 피부에서 콜라겐 합성이 보다 촉진되고 히알루론산의 합성을 도와 '피부 재생 효과'를 현저하게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습 또는 피부 보습'이라 함은 수분 손실(수분 증발) 등을 적절히 조절하여 피부의 수분 항상성을 유지하여 수분감을 증가시켜주고, 촉촉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말한다. 피부 내 히알루론산 또는 콜라겐이 감소되면 수분이 손실되고, 히알루론산 또는 콜라겐이 증가되면 수분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보습은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의 증가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염증 또는 염증개선'이라 함은 염증을 억제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염증은 어떤 자극에 대한 생체조직의 방어반응의 하나로, 조직 변질, 순환 장애와 삼출, 및 조직 증식의 세가지를 병발하는 복잡한 병변을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염증은 선천성 면역의 일부이며 다른 동물에서처럼 인간의 선천성 면역은 병원체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세포 표면의 패턴을 인식한다. 식세포는 그런 표면을 가진 세포를 비자기로 인식하고 병원체를 공격한다. 만일 병원균이 신체의 물리적 장벽을 깨고 들어온다면 염증반응이 일어난다. 염증반응은 상처부위에 침입한 미생물들에 대한 적대 환경을 만드는 비특이적인 방어작용이다. 염증반응에서, 상처가 나거나 외부 감염체가 체내로 들어왔을 때, 초기단계 면역반응을 맡고 있는 백혈구들이 몰려들어 사이토카인을 발현한다. 따라서 세포 내 사이토카인의 발현양이 염증반응 활성화의 지표가 된다. 염증과 관련된 피부질환의 예로는 아토피 피부염, 건선, 방사선, 화학물질, 화상 등에 의해 촉발되는 홍반성 질환, 산 화상, 수포성 피부병, 태선 모양 종류 질환, 알레르기에 기한 가려움증, 지루성 습진, 장미 여드름, 심상성 천포창, 다형 삼출성 홍반, 결절 홍반, 귀두염, 음문염, 원형 탈모증과 같은 염증성 모발 손실, 또는 피부 T-세포 림프종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염증 효과를 가지며 예를 들어, 여드름과 같은 피부 트러블 개선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아비에타트리엔은 하기 화학식 1로 대표되는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로 대표되는 화합물은 아비에타트리엔(abietatriene), 아비에타-8,11,13-리엔(Abieta-8,11,13-riene), 또는 1,1,4a-트리메틸-7-프로판-2-일-2,3,4,9,10,10a-헥사하이드로페난트렌(1,1,4a-trimethyl-7-propan-2-yl-2,3,4,9,10,10a-hexahydrophenanthrene) 등으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대표되는 화합물의 분자식은 C20H30 이며, 분자량은 270.46 이다.
본 발명은 상기 아비에타트리엔의 획득 방법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 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시판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비에타트리엔은 수화물 또는 에탄올화물 등의 형태를 포함하는 용매화된 형태뿐만 아니라, 비-용매화된(unsolvated)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아비에타트리엔은 결정형 또는 무정형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든 물리적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상기 아비에타트리엔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상기 아비에타트리엔을 0.00001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충분한 피부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알러지 등 원치 않는 반응이 발생하거나 피부 안전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의 약학, 화장료 또는 피부 외용제 제형 제조를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피부 미백용, 주름 개선용, 탄력 증진용, 피부 재생용, 피부 보습용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연고, 크림, 폼, 영양화장수, 유연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크림, 선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 등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또는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본 발명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 등과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 등이 이용될 수 있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브틸글리콜 오일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등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 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 등과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비누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코올, 식물성 유, 글리세롤, 또는 당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부 미백용, 주름 개선용, 탄력 증진용, 피부 재생용, 피부 보습용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제제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또는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가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또는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또는 젤라틴 등을 혼합하여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또는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액상제제에는 흔히 사용되는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예를 들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또는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또는 유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수성용제 또는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올리브 오일 등과 같은 식물성 기름 또는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비경구용 제제로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비경구용 제제는 예를 들어, 바세린 또는 스테아릴알콜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기제; 폴리소르베이트 또는 솔르비탄 세스퀴올레이트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계면활성제; 글리세린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습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용제; 착향제, 착색제, 안정화제 또는 점성화제 등을 균질하게 혼합하는 통상의 비경구용 제제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아비에타트리엔 외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유효성분으로는 공지의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탄력 증진, 피부 재생, 피부 보습 또는 항염증 성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인 유효성분을 포함하게 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의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탄력 증진, 피부 재생, 피부 보습 및 항염증 효과는 더욱 증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유효성분을 추가할 경우에는 유효성분의 복합 사용에 따른 피부 안전성, 제형화의 용이성 또는 유효성분들의 안정성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 성분으로서, 레티노산, TGF,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 베툴린산 및 클로렐라 추출물; 당업계에 공지된 미백 성분으로서, 코즈산(Kojic acid), 알부틴(Arbutin) 등과 같은 티로시나제 효소활성을 억제하는 물질,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비타민-C(L-Ascorbic acid); 당업계에 공지된 항염증 성분으로서, COX-2 저해제, 프레드니솔론 및 알란토인; 및 이들의 유도체와 각종 식물 추출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함량 범위는 피부 안전성, 상기 아비에타트리엔의 제형화 시의 용이성 등의 요건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량의 상기 아비에타트리엔을 포함할 때 바람직한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탄력 증진, 피부 재생, 피부 보습 및 항염증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효량'이라 함은 조성물의 피부 미백 효과, 주름 개선 효과, 탄력 증진 효과, 피부 재생 효과, 피부 보습 효과 및 항염증 효과를 충분하게 나타낼 수 있는 유효성분의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량은 조성물이 제품화되는 형태, 상기 유효성분이 피부에 적용되는 방법 및 피부에 머무르는 시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조성물이 의약품으로 제품화되는 경우에는, 일상적으로 피부에 적용하게 되는 화장품으로 제품화되는 경우에 비해, 높은 농도로 상기 유효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일일 투여량은 유효성분인 상기 아비에타트리엔의 양을 기준으로 0.1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 ㎎/㎏,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 mg/kg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하루 1∼6 회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부 미백용, 주름 개선용, 탄력 증진용, 피부 재생용, 피부 보습용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아비에타트리엔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피부외용제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유화제,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활성제,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피부용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외용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조성물의 제형은 연고, 패취, 겔, 크림 또는 분무제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아비에타트리엔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주름 개선용, 탄력 증진용, 피부 재생용, 피부 보습용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을 개체의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탄력 증진, 피부 재생, 피부 보습 또는 항염증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개체는 쥐, 가축, 인간 등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아비에타트리엔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탄력 증진, 피부 재생, 피부 보습 및 항염증(피부 트러블 개선)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아비에타트리엔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에 안전하면서도 적은 유효량으로 상기 효과를 현저하게 발휘하여 화장료, 약학 또는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참조예 : 아비에타트리엔 ( abietatriene ) 물질 정보
[화학식 1]
Figure pat00003
물질명 : abietatriene
CAS No. : 19407-28-4
분자식 : C20H30
분자량 : 270.46
실시예 1: 항염증 효과 - NO 생성 저해 효과 평가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항염증 효과 및 피부트러블 완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RAW264.7 세포주 (ATCC number: CRL-2278)를 이용한 GRIESS 법으로 Nitric oxide(NO) 형성 억제력 실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생쥐의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를 수차례 계대배양하고, 웰 하나에 3×105 개씩 들어가도록 24-웰 프레이트에 넣은 후, 24 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이어서, 최종농도 0.1, 1, 10ppm의 농도로 아비에타트리엔을 희석한 세포 배지로 교체하였다. 이 때, NO-생성 억제물질인 L-NMMA(L-NG-Monomethylarginine)을 양성 대조군으로 함께 처리하여 30분 동안 배양하였고, 자극원으로 LPS(Lipopolysaccharide)를 1 μg씩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층액을 100 μl씩 취해 96-웰 프레이트에 옮기고, GRIESS 용액을 100 μl씩 가해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키고, 54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아비에타트리엔의 NO 억제 효과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아비에타트리엔의 NO 생성 저해 효과
시료 NO 생성 저해율(%)
대조군 (DMSO, 10ppm) -
L-NMMA (양성 대조군, 10ppm) 52.20
아비에타트리엔 (0.1ppm) 11.02
아비에타트리엔 (1ppm) 14.46
아비에타트리엔 (10ppm) 33.72
상기 표 1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아비에타트리엔은 대표적인 항염 의약물질인 L-NMMA와 비교하였을 때, 천연물질로서 L-NMMA와 대등하게 우수한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결과로부터, 아비에타트리엔은 항염증 또는 피부 트러블 개선을 위한 약학, 화장료 또는 피부외용제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탄력 증진 또는 피부 재생에 있어서 항염증 효과가 보조적인 역할로 작용하는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실시예 2: 콜라겐 총량 증가 효과 평가
아비에타트리엔을 인간 유래 섬유아세포의 배양액에 첨가한 후, 세포수준에서 합성된 콜라겐 총량을 측정하였다. 합성된 콜라겐 총량의 측정은 PICP EIA kit(Procollagen Type I C-Peptide Enzyme ImmunoAssay KIT)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실험전 인간 유래 섬유아세포를 대상으로 실험물질의 농도 0.001 ppm, 0.01 ppm, 0.1 ppm, 1 ppm, 10 ppm에서 세포독성을 평가(섬유아세포를 배양하여 MTT 시험을 하는 방법)[참고문헌: Mossman T. (1983).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 cytotoxicity assays. Journal of Immunological Methods 65, 55-63] 하였으며, 세포독성이 없는 농도를 선정하여 콜라겐 총량을 측정하였다.
실험에서 아비에타트리엔의 최종 농도는 각각 0.01 ppm, 0.1 ppm, 1 ppm 으로 하였으며, 각각의 시료는 인간 섬유아세포의 배양배지에 첨가하여 1일간 배양한 후, 배양액을 취하여 PICP EIA 키트로 각 농도에서의 콜라겐 총량을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측정하였다. 효과의 비교를 위하여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섬유아세포의 배양 배지(대조군)와 TGFb를 최종 농도 10 ppm이 되도록 첨가한 시료에 대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콜라겐 총량을 측정하였다. 콜라겐 총량은 UV 흡광도로 측정하였으며, 콜라겐 총량의 증가율은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콜라겐 총량 비율로 계산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정리하였다.
콜라겐 총량의 증가 효과 (반복수 =6)
시료 흡광도 평균 콜라겐 증가율(%)
아비에타트리엔 (0.01 ppm) 495 109
아비에타트리엔 (0.1 ppm) 508 112
아비에타트리엔 (1 ppm) 549 121
대조군 (무첨가) 454 -
TGFb (10 ppm) 590 130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아비에타트리엔(1 ppm)은 콜라겐 합성 능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TGFb(10ppm)과 대등하게 천연물질로써 우수한 콜라겐 합성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아비에타트리엔은 주름 개선, 탄력 증진 및 피부 재생을 위한 화장료, 약학 및 피부외용제의 효과적인 유효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인체 유래의 각질 형성 세포에서 히알루론산 농도 증가 평가
인체 유래 각질 형성 세포를 10% 우혈청(fetal bovin serum)을 포함한 DMEM 배지에서 1x105 cells/ml로 배양하여 24-well plate에 500㎕씩 분주하고 18시간 배양하였다. 그 다음, 우혈청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DMEM 배지로 2회 세척하고. 아비에타트리엔을 농도별(1 ppm, 10 ppm)로 첨가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 동량의 에탄올을 처리하였고, 양성 대조군으로 히알루론산 생성을 촉진한다고 알려진 글루코사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Glucosamine hydrochloride, Sigma-aldrich)를 100 ppm 처리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세포 배양액을 회수하여 Hyaluronan ELISA 키트(R&D Systems)를 이용하여 히알루론산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료 히알루론산 상대농도(%)
아비에타트리엔 (1 ppm) 129
아비에타트리엔 (10 ppm) 143
글루코사민 (100ppm) 136
대조군 (무첨가) 100
* 반복수 = 4
상기 표 3에 나타난 히알루론산의 상대농도는 음성 대조군의 히알루론산 농도를 기준(100%)으로 아비에타트리엔을 처리한 실험군의 히알루론산 농도를 수치화하였다.
상기 표 3에 나타난 결과를 볼 때, 아비에타트리엔은 농도 의존적으로 인체 유래 각질 형성 세포에서 히알루론산 생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아비에타트리엔은 양성 대조군 보다 10배 더 적은 양으로도 더 높은 히알루론산 상대 농도를 나타내어 히알루론산 촉진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아비에타트리엔은 피부 보습을 위한 화장료, 약학 및 피부외용제의 효과적인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피부 보습 효과를 통해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 효과에도 보조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미백효과-멜라닌 총량 감소 효과 평가
아비에타트리엔을 쥐의 멜라노마 세포(B-16 mouse melanoma cell)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 수준에서의 멜라닌 총량을 측정함으로써 미백 효과를 확인하였다(Lotan R., Lotan D. Cancer Res. 40:3345-3350, 1980). 실험 전 쥐의 멜라노마 세포에 대하여 독성을 평가하여, 독성이 없는 농도를 선정한 후 미백평가를 수행하였다.
배양액에 아비에타트리엔의 최종 농도가 1 ppm, 5 ppm, 10 ppm, 20 ppm이 되도록 첨가하였으며, 대조군인 알부틴은 100 ppm이 되도록 배지에 첨가한 후, B-16 멜라노마 세포에 각각 처리하여 3일간 배양하였다.
이후, 배양된 세포들을 트립신(trypsin) 처리하여 배양용기로부터 떼어내고 원심분리한 후 멜라닌을 추출하였다. 떼어낸 세포는 수산화나트륨 용액(1N 농도) 1 ml를 가하여 10분간 끓여 멜라닌을 녹이고, 분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4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생성된 멜라닌의 양을 측정하였다.
상기 멜라닌 양은 단위 세포수당(1×106 cell)의 흡광도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멜라닌 총량을 저해율(%)로 계산하고 결과를 하기 표 4에 정리하였다.
농도에 따른 세포수준에서의 멜라닌 총량의 감소 효과
시료 멜라닌 생성량 (abs) 저해율(%)
대조군 (DMSO, 10ppm) 0.32 -
양성대조군 (알부틴, 100ppm) 0.206 35.6
아비에타트리엔 (20ppm) 0.136 57.6
아비에타트리엔 (10ppm) 0.151 52.6
아비에타트리엔 (5ppm) 0.191 40.2
아비에타트리엔 (1ppm) 0.208 35.1
상기 표 4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아비에타트리엔은 미백 물질로 알려진 알부틴(arbutin)과 비교할 때, 배양된 쥐의 멜라노마 세포에 대하여 훨씬 적은 농도를 적용하여도 멜라닌 총량이 더 낮게 나타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아비에타트리엔은 피부 미백을 위한 화장료, 약학 및 피부외용제의 효과적인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7)

  1. 아비에타트리엔(abietatrie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2. 아비에타트리엔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탄력 증진용 조성물.
  3. 아비에타트리엔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4. 아비에타트리엔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5. 아비에타트리엔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 화장료 또는 피부 외용제 제형 제조를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아비에타트리엔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001 내지 1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50131107A 2015-09-16 2015-09-16 아비에타트리엔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0331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107A KR20170033145A (ko) 2015-09-16 2015-09-16 아비에타트리엔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107A KR20170033145A (ko) 2015-09-16 2015-09-16 아비에타트리엔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145A true KR20170033145A (ko) 2017-03-24

Family

ID=58500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107A KR20170033145A (ko) 2015-09-16 2015-09-16 아비에타트리엔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314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78270A (ko) 에틸 페룰레이트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60020212A (ko) 라우레이린 b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보습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70033145A (ko) 아비에타트리엔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623565B1 (ko) 베타피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076487A (ko) 카우다틴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70076351A (ko) 브루세인 디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70076374A (ko) 휴페헤닌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70076356A (ko) 제니핀-1-베타-d-젠티오비오사이드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80061663A (ko) 디하이드로에보디아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80082A (ko) 폴리갈락산톤 쓰리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70078360A (ko) 페리플로게닌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70078351A (ko) 하스타토사이드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60020254A (ko) 모모딘 ic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보습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60019817A (ko) α-사이페론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보습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60020244A (ko) 세네제닌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보습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60019770A (ko) 빈돌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보습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60020256A (ko) 페이미신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보습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60020218A (ko) 모노미리스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흑화, 탄력, 주름개선, 보습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60019806A (ko) 시티신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보습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70076403A (ko) (2­(1­에톡시에톡시)에틸)벤젠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70078358A (ko) 데메틸벨리디폴린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70030837A (ko) 캠토테신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70076385A (ko) 아이소커큐메놀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70078146A (ko) 시나로사이드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70076390A (ko) 1,2,4­트리하이드록시안트라퀴논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