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1464A - 실내용 신발 - Google Patents

실내용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1464A
KR20170031464A KR1020150129034A KR20150129034A KR20170031464A KR 20170031464 A KR20170031464 A KR 20170031464A KR 1020150129034 A KR1020150129034 A KR 1020150129034A KR 20150129034 A KR20150129034 A KR 20150129034A KR 20170031464 A KR20170031464 A KR 20170031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foot
friction member
forefoot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9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홍섭
Original Assignee
(주)엘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캠 filed Critical (주)엘캠
Priority to KR1020150129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1464A/ko
Publication of KR20170031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14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신발은 ,실외용신발의 내측으로 삽입이 가능한 실내용 신발에 있어서, 발이 삽입가능하도록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발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하측의 외주와 결합되어 상기 몸체의 하단을 막도록 결합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실외용 신발에 밀착되는 마찰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신발에 의하면, 실외용 신발에 삽입이 가능하여 실내 및 실외에서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마찰부의 구조를 통해 실외용 신발과의 결합성이 높으며, 이를 통해 밀착하여 삽입될 수 있다. 더불어 기존 실외용 신발의 안창(Insole)을 대체 할 수 있으며, 바닥부가 폼으로 구성되어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장시간의 사용이 가능하고, 발의 피로방지에 탁월하다.

Description

실내용 신발{shoes for indoor}
본 발명은 실내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실외용 신발의 안창(Insole)을 대체 할 수 있는 신발로 실외용 신발에 삽입이 용이하여 실외 및 실내에서 분리 사용이 가능하고, 발을 보호하는 실내용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실, 사무실, 체육관, 문화센터 및 가정과 같은 실내에서는 실외에서 신던 신발을 벗고 출입한다. 하지만 실내에서 장시간 활동해야하는 경우, 딱딱한 바닥으로 인해 발에 무리가 생기고, 발의 피로와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실내에서는 슬리퍼와 같은 실내용 신발을 사용하게 된다. 즉 발바닥의 통증에 약한 사람들이나 실내에서 장시간 활동해야하는 사람들은, 실내 및 실외에서 모두 신발의 착용이 필요하다. 더불어 발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는 기능성 신발이 요구된다. 하지만 외출 시에는 실외용 신발 외에 실내용 신발을 따로 준비해야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실내 및 실외에 모두 사용이 가능한 신발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335357호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실내외 겸용 신발은 실외에서 사용하는 바닥면을 분리시켜 실내에서 사용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실외에서 사용한 신발을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실내용 바닥면 외의 부분이 지저분할 수 있으므로 실내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실외용 신발에 삽입이 용이하며, 기존 안창(Insole)을 대체하도록 설계되어 실외 및 실내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격을 흡수하여 발을 보호하는 실내용 신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내용 신발은 실외용신발의 내측으로 삽입이 가능한 실내용 신발에 있어서, 발이 삽입가능하도록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발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하측의 외주와 결합되어 상기 몸체의 하단을 막도록 결합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실외용 신발에 밀착되는 마찰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바닥부는, 발의 저면과 접촉하는 내측부와, 상기 내측부의 하단에 위치하고 신발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외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부는, 폼(Form) 소재로 구성되어, 후족부측이 높은 경사면으로 형성된 실내용 신발.
또한 상기 바닥부는, 상기 내측부와 상기 외측부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부는, 상기 바닥부의 저면의 전족부측에 구비되고, 아치형상의 전족부 마찰부재와, 상기 바닥부의 후족부측에 구비되고, 원형상의 후족부 마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족부 마찰부재와 상기 후족부 마찰부재는, 상측으로 볼록한 아치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족부 마찰부재와 상기 후족부 마찰부재는, 하측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신발에 의하면, 실외용 신발에 삽입이 가능하여 실내 및 실외에서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마찰부의 구조를 통해 실외용 신발과의 결합성이 높으며, 이를 통해 밀착하여 삽입될 수 있다.
더불어 바닥부가 폼으로 구성되어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장시간의 사용이 가능하고, 발의 피로방지에 탁월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신발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내용 신발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신발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실내용 신발의 바닥부를 도시한 저면도,
도 5는 발의 형태에 따른 하부압의 형상을 도시한 이미지,
도 6a는 도 1의 실내용 신발의 전족부 마찰부재를 도시한 측면도,
도 6b는 도 6a의 전족부 마찰부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7a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신발의 전족부 마찰부재의 측면도,
도 7b는 도 7a의 전족부 마찰부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신발(10)은, 실외용 신발(S)의 내측으로 삽입이 가능한 것으로, 몸체(100), 바닥부(200), 마찰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실내용 신발(10)은 좌우측이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00)는, 상단에 발(F)이 삽입되는 개구부(11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00)의 내부는 발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발(F)을 상기 개구부(110)를 통해 상기 몸체(100)의 내부로 수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0)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우레탄(Polyurethane),네오플렌(Neoprene), 나일론(Nylon) 등 합성 고분자 재질을 단일 및 혼합으로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친환경적인 천연 섬유 및 가죽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몸체(100)는 발(F)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발(F)에 밀착할 수 있도록 스판덱스(Spandex)와 같은 신축성 재질을 적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방한용과 같은 두꺼운 재질로 제작할 수도 있으며, 표면에 특수가공 처리를 한 소재를 적용할 수 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신발의 사시도로, 상기 몸체(100)의 형태를 도시하였다. 도 3의 a는 발(F)의 발가락과 뒤꿈치를 수용하도록 한 형상으로 상기 제 1실시예의 상기 몸체(100)와 같은 형태이다. 도 3의 a와 같은 몸체(100)의 구조는 구두와 같은 실외용 신발(S)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b는 상기 몸체(100)가 단목형태로 발(F)의 발등까지 수용되도록 형성된 것이며, 이는 범용적인 실외용 신발(S)에 적합한 구조이다. 도 3의 c는 상기 몸체(100)가 발(F)의 발목까지 수용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등산용 신발이나 부츠와 같은 실외용 신발(S)에 적합하다. 따라서 상기 몸체(100)는 실외용 신발(S)의 형태나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바닥부(200)는, 상기 몸체(100) 하측의 외주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100)의 하단을 막도록 결합한다. 상기 바닥부(200)는 상기 발(F)에 의해 지면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발바닥의 형상에 맞추어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닥부(200)는, 폼(Form)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폼 소재는 부드럽고 유연성이 뛰어나며 내부충격에 강하고 흡수가 뛰어나므로, 발의 피로 및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상기 바닥부(200)는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PU(Polyurethane),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및 α-Olefin계 수지 등으로 구성되는 폼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200)는 내측부(210)와 외측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부(210)는 발(F)의 저면과 접촉한다. 즉 상기 내측부(210)는 상기 몸체(100)의 하단과 결합되어 상기 몸체(100)에 수용된 발(F)의 저면에 접촉된다. 또한 상기 내측부(210)는 후족부측이 높은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면은, 상대적으로 많은 충격을 받는 후족부를 보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장시간의 사용에도 발(F)에 무리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내측부(210)는 고탄성 기능을 가진 폼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측부(210)는 발(F)과 직접적으로 닿는 부분으로, 기능성 원단으로 이루어져 발의 미용 및 각질 예방 등 미용기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상기 외측부(220)는 상기 내측부(210)의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실외용 신발(S)의 내측면과 접촉한다. 상기 외측부(220)는 상기 발(F)에 의해 지면을 지지하는 것으로,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가진 폼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측부(220)의 후족부측은 윤활(Lubricant) 성분이 함유된 기능성 물질을 코팅하거나, 실리콘, 불소, 왁스 등의 윤활성분을 활용하여 저 마찰 가공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실내용 신발(10)을 상기 실외용 신발(S)내로 삽입시킬 때 부드럽고, 마찰을 최소화하여 삽입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닥부(200)는 관통하는 복수개의 홀(200H)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200H)은 상기 내측부(210)와 상기 외측부(210) 모두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200H)은 발(F)에 통풍이 원활하도록 해주며, 땀으로 인한 악취를 미연에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홀(200H)은 상기 몸체(100)에서 개구부(110)를 기준으로 내측에 위치한 전족부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100)와 상기 바닥부(200)가 체결되는 체결부위의 외측으로 지지층(40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층(400)은 상기 몸체(100)와 상기 바닥부(200)가 체결되는 외곽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층(400)은 PU(Polyurethane),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등의 소재에 슬립 성분이 함유된 기능성 물질을 코팅하거나 저 마찰 가공 처리하여 상기 체결부위의 외측에 부착 및 코팅성형하여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지지층(400)은 상기 몸체(100)의 발가락 부위까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가락 부위에 형성된 지지층(400)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네오플랜(Neoprene), 나일론(Nylon) 등 합성 고분자 재질을 혼합으로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몸체(100)보다 두께가 두꺼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층(400)의 폭 및 두께는 위치와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상기 지지층(400)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체결부위의 외곽이 지지되어 상기 몸체(100)가 좌우로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며, 착용의 안전성을 높여준다. 또한 상기 지지층(400)은 상기 실내용 신발(10)을 상기 실외용 신발(S)에 삽입시킬 때 표면마찰을 저하하여 상기 실내용 신발(10)을 상기 실외용 신발(S)에 반복적으로 삽입시킴에도 상기 몸체(100)와 상기 바닥부(200)가 분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상기 마찰부(300)는, 상기 바닥부(200)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실외용 신발(S)에 밀착되어 상기 실외용 신발(S)과 상기 실내용 신발(10)의 결합성을 높인다. 또한 상기 마찰부(300)는 실리콘이 함유된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고무, 세라믹 등을 적용할 수 도 있다.
도 5는 발(F)의 형태에 따른 하부압의 형상을 도시한 이미지이다. 여기서 도 5의 A는 극단적인 아치형의 발의 형태, 도 5의 B는 일반적인 발의 형태, 도 5의 C는 평평한 발의 형태의 하부압을 나타낸다. 또한 노란색에서 빨간색으로 갈수록 하부압이 많이 가해지는 형태이며, 도 5의 A, B, C는 모두 전족부측과 후족부측에 하부압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찰부(300)는 전족부 마찰부재(310)와, 후족부 마찰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족부 마찰부재(310)는, 상기 바닥부(200)의 저면에 결합되고, 전족부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아치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족부 마찰부재(310)는 상기 바닥부(200)의 전족부측에 구비됨으로써 전족부측에 발생하는 하부압에 의하여 상기 실외용 신발(S)과 밀착될 수 있다.
상기 후족부 마찰부재(320)는, 상기 바닥부(200)의 후족부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원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족부 마찰부재(320)는 상기 바닥부(200)의 후족부측에 구비되어 후족부측에 발생하는 하부압에 의하여 상기 실외용 신발(S)과 밀착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전족부 마찰부재(310)는, 상측으로 볼록한 아치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아치 형상의 하측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돌기(31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의 a는 전족부 마찰부재(310)에 하부압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도 6의 b와 같이, 도 6의 a 상태에서 발(F)에 의해 상기 바닥부(200)에 하부압이 가해지면 상기 전족부 마찰부재(310)의 아치형상이 하측으로 내려오고, 상기 돌기(311)와 상기 실외용 신발(S)이 맞닿아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용 신발(10)이 상기 실외용 신발(S)의 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도 6에서는 상기 전족부 마찰부재(310)를 예시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전족부 마찰부재(310)의 형상과 기능은 상기 후족부 마찰부재(320)에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도 7a 및 도 7를 참조하면, 상기 전족부 마찰부재(310)는, 상측으로 볼록한 아치형상으로만 구성될 수도 있다. 도 7의 a는 상기 전족부 마찰부재(310)에 하부압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도 7의 b와 같이, 도 7의 a의 상태에서 발(F)에 의해 상기 바닥부(200)에 하부압이 가해지면 상기 전족부 마찰부재(310)의 아치형상이 하측으로 내려오면서 상기 실외용 신발(S)과 맞닿아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전족부 마찰부재(310)가 상기 실외용 신발(S)과 밀착되어 상기 실내용 신발(10)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도 7에서는 상기 전족부 마찰부재(310)를 예시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전족부 마찰부재(310)의 형상과 기능은 상기 후족부 마찰부재(320)에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전족부 마찰부재(310)와 상기 후족부 마찰부재(320)의 형태는 상기한 바와 같은 형태에만 한정하지 않으며, 발의 형상에 따라 평평하게 적용될 수 도 있으며, 다른 다양한 형태로 변경가능하다
한편 상기 실내용 신발(10)은 세척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발수 및 세척이 용이한 재료로 구성하며, 유연한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신발(10)에 의하면, 실외용 신발(S)에 삽입이 가능하여 실내 및 실외에서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마찰부(300)의 구조를 통해 실외용 신발(S)과의 결합성이 높으며, 이를 통해 밀착하여 삽입될 수 있다.
더불어 바닥부(200)가 폼으로 구성되어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장시간의 사용이 가능하고, 발의 피로방지에 탁월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실내용 신발 100 : 몸체
110 : 개구부 200 : 바닥부
200H : 홀 210 : 내측부
220 : 외측부 300 : 마찰부
310 : 전족부 마찰부재 320 : 후족부 마찰부재
311 : 돌기 400 : 지지층
S : 실외용 신발 F : 발

Claims (7)

  1. 기존 실외용신발의 내측으로 삽입이 가능하며, 실외용 신발의 안창(Insole)을 대체 가능한 실내용 신발에 있어서,
    발이 삽입가능하도록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발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하측의 외주와 결합되어 상기 몸체의 하단을 막도록 결합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실외용 신발에 밀착되는 마찰부를 포함하는 실내용 신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발의 저면과 접촉하는 내측부와,
    상기 내측부의 하단에 위치하고 신발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외측부를 포함하는 실내용 신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는,
    폼(Form) 소재로 구성되어, 후족부측이 높은 경사면으로 형성된 실내용 신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기 내측부와 상기 외측부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는 실내용 신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는,
    상기 바닥부의 저면의 전족부측에 구비되고, 아치형상의 전족부 마찰부재와,
    상기 바닥부의 후족부측에 구비되고, 원형상의 후족부 마찰부재를 포함하는 실내용 신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족부 마찰부재와 상기 후족부 마찰부재는,
    상측으로 볼록한 아치형상으로 구성되는 실내용 신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족부 마찰부재와 상기 후족부 마찰부재는,
    하측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는 실내용 신발.
KR1020150129034A 2015-09-11 2015-09-11 실내용 신발 KR201700314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034A KR20170031464A (ko) 2015-09-11 2015-09-11 실내용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034A KR20170031464A (ko) 2015-09-11 2015-09-11 실내용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464A true KR20170031464A (ko) 2017-03-21

Family

ID=58502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9034A KR20170031464A (ko) 2015-09-11 2015-09-11 실내용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146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72720B (zh) 具有带弧形下侧腔的鞋底夹层的鞋类物品
US8607478B2 (en) Dance shoe
US8516721B2 (en) Articles of footwear
US20130036629A1 (en) High foot mobility shoe
US20140075791A1 (en) Outsole cover
US7503130B2 (en) Water draining shoe
WO2005039340B1 (en) Shoe sole to improve walking, sensory response of the toes, and help develop leg muscles
WO2007113588A1 (en) Shoe
WO2013152211A2 (en) Socks and other footwear with selective friction reducing features
US20140345162A1 (en) Footwear system
US20120137540A1 (en) Composite sole assembly
US20020069558A1 (en) Flexible non-restrictive toe structure for shoes
KR20130001401A (ko) 기능성 신발
KR20170031464A (ko) 실내용 신발
KR200477324Y1 (ko) 스프링을 구비하는 덧버선 타입 실내화
KR20180008948A (ko) 기능성 실내화
WO2008054146A1 (en) A shoe having turning and stamping function and lower structure for the shoe
KR200397059Y1 (ko) 기능성 실내화
CN215303393U (zh) 高统透湿防水鞋
KR200362918Y1 (ko) 슬리퍼
CN214016248U (zh) 一种具有按摩和快速排水排沙功能的凉鞋
KR20190010983A (ko) 신발창과 신발창의 제조방법
GB2551043A (en) A sock with a sole comprising hexagonally shaped embossed surfaces
KR200486203Y1 (ko) 발가락 스타킹
KR20220000984U (ko) 기능성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