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0896A -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및 부유식 태양광 발전시스템 - Google Patents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및 부유식 태양광 발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0896A
KR20170030896A KR1020150128391A KR20150128391A KR20170030896A KR 20170030896 A KR20170030896 A KR 20170030896A KR 1020150128391 A KR1020150128391 A KR 1020150128391A KR 20150128391 A KR20150128391 A KR 20150128391A KR 20170030896 A KR20170030896 A KR 20170030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floating
water surface
cell module
body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8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완근
Original Assignee
신한스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스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한스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8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0896A/ko
Publication of KR20170030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08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40Mobile PV generato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8/00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5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sola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18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solar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및 부유식 태양광 발전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는, 상부에 마련된 솔라셀 모듈을 지지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솔라셀 모듈 및 상기 바디부가 수면에 부유되도록 하는 부유부; 및 상기 수면과 상기 솔라셀 모듈 간의 각도가 변경되도록, 상기 바디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무거운 무게와 높은 비중을 가진 구조물들과 태양광 집광 시설물들이 수면 위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부유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태양광을 추적하며 태양광을 집광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효과적인 집광 효율을 거둘 수 있게 되며, 태양광의 추적이 올바르게 되고 있는지에 대한 감시/감지가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및 부유식 태양광 발전시스템{Floating Type Photovoltaic Generating apparatus and system}
본 발명은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및 부유식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면에 부유된 상태로 태양광을 집광하여 에너지를 축적하되 태양광의 조사각을 반영하여 에너지의 축적이 최대화되도록 하기 위한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및 부유식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과거 산업화시대부터 오늘날까지 화석연료는 가장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어 오고 있으며, 인류사회 발전에 큰 공헌을 한 절대적인 존재였다. 하지만, 과도한 화석연료의 사용으로 인해 오늘날 현대사회는 여러가지 환경문제에 접하고 있는 실정이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여러 지역에서 지구온난화에 의한 이상기후로 많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태풍이 점점 더 강해지고 있고,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가 종종 보고되고 있다. 또한, 해수온도 상승으로 인해 해류의 흐름 특성이 바뀌고, 북극의 빙하 및 많은 섬들이 점점 사라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지구온난화를 방지 또는 지연시키기 위해서 세계 각국은 신재생에너지 관련 기술개발을 미래사회의 경쟁력으로 삼고 국가적으로 막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는 실정이다. 그 중 태양광 발전은 태양광을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기술로서 햇빛을 받으면 광전효과(Photovoltaic Effect)에 의해 전기가 발생하는 태양전지를 이용한 발전방식이다. 이 연구는 좁은 국토의 현실적 상황을 고려해 보다 효율적인 국토이용을 위해 수면 위에 대규모 부유식 태양광 에너지 발전시설을 조성하기 위한 연구로 확장되고 있다.
한편, 수면 위에 부유식 태양광 에너지 발전시설을 설치하는 부분에 대한 아이디어가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내는 것에 비해, 부유식 태양광 에너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집광하고, 부유식 태양광 에너지 발전시설이 보다 안전한 부유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민은 크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한국공개특허 KR 10-2012-0006119 한국등록특허 KR 10-124145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면 위에 태양광 집광시설을 설치하되, 부유 능력의 향상을 도모하고 집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및 부유식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는, 상부에 마련된 솔라셀 모듈을 지지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솔라셀 모듈 및 상기 바디부가 수면에 부유되도록 하는 부유부; 및 상기 수면과 상기 솔라셀 모듈 간의 각도가 변경되도록, 상기 바디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솔라셀 모듈이 거치되도록 하는 솔라셀 거치부; 상기 수면에 접한 상태로 상기 수면에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베이스 바디부; 상기 베이스 바디부에서 상기 수면에 수직되게 수중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들; 및 상기 베이스 바디부가 고정결합되고 상기 솔라셀 거치부가 축결합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수면과 상기 솔라셀 모듈 간의 각도가 변경되도록 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솔라셀 거치부의 측면 상의 적어도 두 지점이 고정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의 측면 상의 한 지점이 비고정결합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솔라셀 거치부의 회전을 제어하고, 복수의 걸림부들을 마련하여 상기 지지부의 측면 상의 한 지점이 상기 복수의 걸림부들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호 형상의 회전제어부; 및 상기 베이스 바디부의 일측 및 상기 솔라셀 거치부의 일측과 각각 연결되어 유압을 통해 상기 베이스 바디부의 일측을 기준으로 한 상기 솔라셀 거치부의 일측까지의 거리가 조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면과 상기 솔라셀 모듈 간의 각도가 변경되도록 하는 유압실린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유압실린더를 제어하여 상기 지지부의 측면 상의 한 지점에 상기 복수의 걸림부들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태양광의 집광 효율이 최대화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의 측면 상의 한 지점에 상기 복수의 걸림부들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감지 결과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기 위한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합이 감지될 때까지 상기 유압실린더의 동작이 지속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부는, 상기 솔라셀 모듈 및 상기 바디부가 수면에 부유되도록 0.6 내지 0.8의 비중을 가지는 발포된 우레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SUS 재질로 된 중공의 프레임들이 격자 형태로 결합된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중공의 프레임들의 내부로 수분이 인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솔라셀 모듈 및 상기 바디부가 수면에 부유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발포된 우레탄 재질의 마개부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가 복수 개로 마련되되, 상기 복수의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가 일괄적으로 연동되어 동작되도록 하기 위한 중앙컨트롤러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무거운 무게와 높은 비중을 가진 구조물들과 태양광 집광 시설물들이 수면 위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부유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태양광을 추적하며 태양광을 집광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효과적인 집광 효율을 거둘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태양광의 추적이 올바르게 되고 있는지에 대한 감시/감지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의 태양광 추적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부유부와 베이스 바디부 또는 돌출부 간의 길이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7은 마개부와 돌출부의 내부 간의 길이를 비교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는, 수상에 부유된 상태로 태양광을 집광하여 발전되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는, 상부에 태양광을 집광하기 위한 솔라셀 모듈(S)이 마련되고, 하부에는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가 수상에 부유되도록 하기 위한 부유부(100)가 마련되며, 솔라셀 모듈(S)과 부유부(100)의 사이에는 솔라셀 모듈(S)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바디부(200)가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솔라셀 모듈(S), 부유부(100) 및 바디부(200)의 상세 역할 및 구조와 함께, 나머지 구성들에 대해서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의 측면도이다.
우선, 솔라셀 모듈(S)은 주지된 바와 같이 복수의 솔라셀들의 집합체로서 태양광을 흡수하여 흡수된 태양광을 통해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된다.
부유부(100)는 솔라셀 모듈(S) 뿐만 아니라 솔라셀 모듈(S)이 지지되도록 하거나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바디부(200)를 지탱하고 수면 위에 부유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일반적인 우레탄은 보통 1.3 이상의 비중을 가지고 있다. 물보다 높은 비중을 가지게 되는 경우, 수면 아래로 가라앉을 여지가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발포 우레탄을 사용하여 부레 역할이 가능하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0.8의 비중을 가지는 발포 우레탄이 부유부(100)의 역할을 하도록 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발포 우레탄으로 된 부유부(100)는 별도의 결합부재를 가지지 않은 상태로 바디부(200)에 단순 끼움결합을 통해 결합되어 고정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바디부(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부유부(100)에 의해 수면 위에 부유된 상태를 유지하되 솔라셀 모듈(S)을 지탱하여 솔라셀 모듈(S)이 태양광을 집광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바디부(200)는, 솔라셀 거치부(210), 베이스 바디부(220), 돌출부(230), 지지부(240), 회전제어부(250) 및 유압실린더부(260)로 구성된다.
솔라셀 거치부(210) 솔라셀 모듈(S)의 하부에서 솔라셀 모듈(S)을 지지함과 동시에 거치하는 역할을 하며, 솔라셀 모듈(S)과 용접 등의 고정 결합 방식을 통해 결합되게 된다.
베이스 바디부(220)는 수면과 평행한 상태의 면 형상을 가지고 수면 위에 플로팅되도록 마련되며, 이와 같은 플로팅은 전술한 부유부(100)를 통해 가능하게 된다. 즉, 베이스 바디부(220)는 부유부(100)의 상부에 마련되어 부유부(100)가 제공하는 부력에 의해 수면 위에 플로팅되게 된다.
돌출부(230)는 베이스 바디부(220)에서 수면에 수직되게 수중으로 연장 형성되는 형태로 마련되며, 복수의 관 형태로 마련된다. 베이스 바디부(220)는 SUS 재질로 된 중공의 관 형태의 자재가 상호 용접 등의 방식으로 하나의 구조물을 형성하게 되는데, 돌출부(230) 역시 베이스 바디부(220)와 동일한 SUS 재질로 된 중공의 관 형태로 되어 있으며, 베이스 바디부(220)와 상호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게 된다.
한편, 이러한 돌출부(230)는 복수 개가 모여 전술한 부유부(100)를 밀착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부유부(100)는 돌출부들(230) 사이에 끼인 형태로 마련되어 외부로 이탈되지 않으며, 이 상태에서 다른 구조물들을 부유시키게 되는 것이다.
지지부(240)는 솔라셀 거치부(210)의 하단과 일단이 연결되고 베이스 바디부(220)의 상단과 타단이 연결된 형태로 마련되어, 솔라셀 모듈(S) 및 솔라셀 거치부(2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부(240)에는 센서부(241)가 마련되게 되는데, 센서부(240)에 대한 설명은 후술할 걸림부와 함께 하기로 한다.
한편, 지지부(240)는, 솔라셀 거치부(210)의 하단과는 축결합된 형태로 결합됨으로써, 축결합된 부분을 기준으로 솔라셀 거치부(210)및 이에 거치된 솔라셀 모듈(S)이 회전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특히, 솔라셀 모듈(S)의 회전으로 인해, 태양광의 고도 및 조사각을 고려한 집광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지지부(240)는 베이스 바디부(220)의 상단과는 고정결합된 형태로 결합된다.
회전제어부(250)는 호 형상으로 되어, 솔라셀 거치부(210)의 측면 상의 적어도 두 지점과 고정결합되고 지지부(240)의 측면 상의 한 지점과 비고정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회전제어부(250)는 제1 걸림부(251), 제2 걸림부(253) 및 제3 걸림부(255)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제1 걸림부(251), 제2 걸림부(253) 및 제3 걸림부(255)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지지부(240)와 결합되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된 지점을 통해 지지부(240)와 결합되지 않고, 복수의 지점들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지지부(240)와 결합된다는 점에서, 회전제어부(250)는 지지부(240)의 측면 상의 한 지점과 비고정결합된다고 할 수 있겠다.
한편, 회전제어부(250)가 호 형상으로 마련되고, 고정된 지점을 통해 솔라셀 거치부(210)와 결합되고 비고정된 지점을 통해 지지부(240)와 결합됨으로 인해, 솔라셀 모듈(S) 및 솔라셀 거치부(210)가 베이스 바디부(220)와 이루는 각도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베이스 바디부(220)는 수면과 평행을 유지하고 있게 되므로, 솔라셀 모듈(S) 및 솔라셀 거치부(210)는 수면와 이루는 각도를 변경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태양광의 조사각 또는 태양광의 고도를 추적하여 보다 높은 에너지 축적 효율을 거둘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걸림부(251), 제2 걸림부(253) 및 제3 걸림부(255)의 주변 중 지지부(240)의 일측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부(241)가 마련되게 된다.
이러한 센서부(241)는 지지부(240)가 제1 걸림부(251), 제2 걸림부(253) 및 제3 걸림부(255)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된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미도시)가 태양광의 고도 또는 기설정된 내부 타이머를 기준으로 제1 걸림부(251)에서 제2 걸림부(253)로 지지부(240)와의 결합 부분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센서부(241)로부터 수신된 결합 여부에 대한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회전제어부(250)가 더 회전하도록 할 것인지 회전을 멈추게 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회전제어부(250)에 마련된 제1 걸림부(251), 제2 걸림부(253) 및 제3 걸림부(255)의 걸림 여부는, 유압실린더부(260)에 의해 액추에이팅된다.
제어부(미도시)는 센서부(241)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기반으로 유압실린더부(260)를 제어하고, 유압실린더부(260)는 베이스 바디부(220)를 기준으로 한 솔라셀 거치부(210)와의 거리를 늘리거나 줄이는 역할을 통해, 궁극적으로 지지부(240)와 제1 걸림부(251), 제2 걸림부(253) 및 제3 걸림부(255) 중 어느 하나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의 태양광 추적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의 고도가 낮아지게 되면,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는, 솔라셀 모듈(S)이 태양의 고도를 추적하여 보다 높은 효율의 집광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태양의 고도가 낮아짐에 따라 유압실린더(260)에 의해 솔라셀 거치부(210)의 일측이 하단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솔라셀 거치부(210)가 회전하게 되며, 제2 걸림부(253)를 통해 지지부(240)와 결합된 상태가 제1 걸림부(251)를 통해 지지부(240)와 결합된 상태로 변경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상에서는 부유부(100)가 물보다 낮은 비중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부유식 태양고아 발전장치 전반에 부력을 제공한다고 설명한 바 있다.
한편, 바디부(200)는 중공의 SUS 재질로 된 파이프 형태의 관으로 되어 있거나 이러한 관을 조합해서 구현되므로, 이러한 중공 형태의 관에는 이물질이 생기거나 물이 침투할 가능성이 있게 된다.
특히, 수중에 잠기게 되거나 수면과 밀접하게 맞닿아 있는 베이스 바디부(220)나 돌출부(230)에는 내부로 해양 부유물이 인입되거나 물이 침투하는 등의 이유로 본연의 재질의 성질을 변화시키거나 부력을 약화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게 된다.
이로 인해, 베이스 바디부(220)나 돌출부(230)는 마개부(231)를 통해 내부의 중공 상태가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며, 특히, 부유부(100)의 부력 제공 역할을 보조하기 위해 부유부(100)와 동일한 발포 우레탄으로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발포 우레탄 재질의 마개부(231)는,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가 수상에 플로팅되기 이전에 베이스 바디부(220)나 돌출부(230)의 구멍을 막은 채로 마련되어,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의 내구성 향상과 부력 향상에 효과를 제공하게 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설치되는 장소의 환경이나 면적에 따라 복수 개의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가 여러 세트 통합된 상태로 마련되게 된다.
이 경우, 각각의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는, 내부에 마련된 각각의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하나의 중앙컨트롤러의 총체적인 제어명령을 받고, 각각의 제어부(미도시)가 각각의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부유부와 베이스 바디부 또는 돌출부 간의 길이를 비교한 도면이다.
부유부(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돌출부들(230)의 사이에서 끼움 결합 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즉, 부유부(100)와 복수의 돌출부들(230)은 별도의 체결 유닛을 구비하지 않은 상태에서, 복수의 돌출부들(230)의 사이에 부유부(100)가 밀착되어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부유부(100)는 원 형상이 좌우측에 마련되고 기둥형태가 수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원기둥 형태로 마련되게 되고, 부유부(100)의 반지름은 돌출부(230)의 수직 길이보다 짧게 마련되게 된다.
이와 같이 부유부(100)의 반지름이 돌출부(230)의 수직 길이보다 짧게 마련됨으로 인해 부유부(100)가 돌출부들(230) 사이에서 빡빡한 상태로 돌출부들(230)과 밀착 결합되게 된다.
또한, 부유부(100)의 지름은 돌출부들(230) 간의 거리보다 길게 마련된다. 이 역시 전술한 바와 같이 부유부(100)가 돌출부들(230) 사이에서 빡빡한 상태로 돌출부들(230)과 밀착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7은 마개부와 돌출부의 내부 간의 길이를 비교한 도면이다.
마개부(231)와 돌출부(230) 간의 관계도 전술한 부유부(100)와 돌출부(230) 간의 관계로부터 유추가능하다. 즉, 마개부(231)는 중공 형태로 된 돌출부(230)의 내부에서 빡빡한 상태로 돌출부(230)와 밀착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마개부(231)의 삽입부분의 직경은 돌출부(230)의 내주연부의 직경보다 크도록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과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 : 솔라셀 모듈 100 : 바디부
200 : 부유부 210 : 솔라셀 거치부
220 : 베이스 바디부 230 : 돌출부
231 : 마개부 240 : 지지부
241 : 센서부 250 : 회전제어부
251 : 제1 걸림부 253 : 제2 걸림부
255 : 제3 걸림부 260 : 유압실린더부
a : 돌출부의 수직 길이 b : 돌출부 간 거리
c : 부유부의 반지름 d : 마개부의 삽입부분 직경
e : 돌출부의 내주연부 직경

Claims (8)

  1. 상부에 마련된 솔라셀 모듈을 지지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솔라셀 모듈 및 상기 바디부가 수면에 부유되도록 하는 부유부; 및
    상기 수면과 상기 솔라셀 모듈 간의 각도가 변경되도록, 상기 바디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솔라셀 모듈이 거치되도록 하는 솔라셀 거치부;
    상기 수면에 접한 상태로 상기 수면에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베이스 바디부;
    상기 베이스 바디부에서 상기 수면에 수직되게 수중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들; 및
    상기 베이스 바디부가 고정결합되고 상기 솔라셀 거치부가 축결합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수면과 상기 솔라셀 모듈 간의 각도가 변경되도록 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솔라셀 거치부의 측면 상의 적어도 두 지점이 고정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의 측면 상의 한 지점이 비고정결합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솔라셀 거치부의 회전을 제어하고, 복수의 걸림부들을 마련하여 상기 지지부의 측면 상의 한 지점이 상기 복수의 걸림부들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호 형상의 회전제어부; 및
    상기 베이스 바디부의 일측 및 상기 솔라셀 거치부의 일측과 각각 연결되어 유압을 통해 상기 베이스 바디부의 일측을 기준으로 한 상기 솔라셀 거치부의 일측까지의 거리가 조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면과 상기 솔라셀 모듈 간의 각도가 변경되도록 하는 유압실린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유압실린더를 제어하여 상기 지지부의 측면 상의 한 지점에 상기 복수의 걸림부들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태양광의 집광 효율이 최대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의 측면 상의 한 지점에 상기 복수의 걸림부들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감지 결과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기 위한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합이 감지될 때까지 상기 유압실린더의 동작이 지속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부는,
    상기 솔라셀 모듈 및 상기 바디부가 수면에 부유되도록 0.6 내지 0.8의 비중을 가지는 발포된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SUS 재질로 된 중공의 프레임들이 격자 형태로 결합된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중공의 프레임들의 내부로 수분이 인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솔라셀 모듈 및 상기 바디부가 수면에 부유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발포된 우레탄 재질의 마개부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의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가 복수 개로 마련되되, 상기 복수의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가 일괄적으로 연동되어 동작되도록 하기 위한 중앙컨트롤러를 구비하는 부유식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20150128391A 2015-09-10 2015-09-10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및 부유식 태양광 발전시스템 KR201700308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391A KR20170030896A (ko) 2015-09-10 2015-09-10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및 부유식 태양광 발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391A KR20170030896A (ko) 2015-09-10 2015-09-10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및 부유식 태양광 발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0896A true KR20170030896A (ko) 2017-03-20

Family

ID=58502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8391A KR20170030896A (ko) 2015-09-10 2015-09-10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및 부유식 태양광 발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089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59462A (zh) * 2018-01-18 2018-04-24 海宁奇瑞特光电有限公司 一种水面浮动式光伏发电设备
KR20190111670A (ko) * 2018-03-23 2019-10-02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상 태양광 구조물
WO2021167649A1 (en) * 2020-02-18 2021-08-26 Ojjo, Inc. Fixed-tilt solar arrays and related systems
KR102314189B1 (ko) * 2021-06-17 2021-10-19 주식회사 신화철강 포스맥 강판을 이용한 부식 방지 수상 태양광 상부 구조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6119A (ko) 2010-07-12 2012-01-18 김승섭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KR101241452B1 (ko) 2012-10-10 2013-03-27 한국수자원공사 송전 케이블의 단선 방지 구조를 갖는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6119A (ko) 2010-07-12 2012-01-18 김승섭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KR101241452B1 (ko) 2012-10-10 2013-03-27 한국수자원공사 송전 케이블의 단선 방지 구조를 갖는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59462A (zh) * 2018-01-18 2018-04-24 海宁奇瑞特光电有限公司 一种水面浮动式光伏发电设备
KR20190111670A (ko) * 2018-03-23 2019-10-02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상 태양광 구조물
WO2021167649A1 (en) * 2020-02-18 2021-08-26 Ojjo, Inc. Fixed-tilt solar arrays and related systems
US11611309B2 (en) 2020-02-18 2023-03-21 Ojjo, Inc. Fixed-tilt solar arrays and related systems
KR102314189B1 (ko) * 2021-06-17 2021-10-19 주식회사 신화철강 포스맥 강판을 이용한 부식 방지 수상 태양광 상부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30896A (ko)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및 부유식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0936597B1 (ko) 내수면 태양전지 패널장치
Choi et al. A study on major design elements of tracking-type floating photovoltaic systems
WO2012073705A1 (ja) 太陽光発電装置
WO2017069417A1 (ko) 수상 태양광 발전용 부력구조물
KR101898180B1 (ko) 태양광 셀이 부착된 풍력 발전 모듈
US10056509B2 (en) Apparatus for generating power by amplifying sunlight
KR101153365B1 (ko) 이동식 태양광발전시스템
KR101726237B1 (ko)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용 계류 장치
KR101390068B1 (ko) 부상체
KR20100117183A (ko) 추에 의해 지지되는 수상태양광 발전장치
KR100920760B1 (ko) 수상설치용 집광장치
KR101666173B1 (ko) 수상 태양광 발전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
WO2014088207A1 (ko) 부력 조절형 태양광 트래커
KR101765057B1 (ko) 해상용 태양광발전장치
KR20150051352A (ko) 수상 태양광 추적장치
KR100840400B1 (ko) 경사각도 조정형 태양광 발전장치
CN203150574U (zh) 一种用于固定太阳能电池板的柔性装置
RU2519530C2 (ru) Концентратор солнечного излучения (варианты)
KR101356801B1 (ko) 태양광 집적판의 바람제어장치
JPS61223909A (ja) 太陽光追尾装置
KR101149608B1 (ko) 수면 부상식 태양광 발전시스템
EP3939158A1 (en) Rocking solar panel sun tracking mounting system
KR101858934B1 (ko) 자연 채광 및 태양광 발전 기능을 구비한 태양 추적 장치
CN103219920B (zh) 空中太阳能发电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