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0382A - 컨텐츠 내 단어에 대한 정답성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컨텐츠 내 단어에 대한 정답성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0382A
KR20170030382A KR1020150127910A KR20150127910A KR20170030382A KR 20170030382 A KR20170030382 A KR 20170030382A KR 1020150127910 A KR1020150127910 A KR 1020150127910A KR 20150127910 A KR20150127910 A KR 20150127910A KR 20170030382 A KR20170030382 A KR 20170030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
search
rti
conten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7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7821B1 (ko
Inventor
신옥식
반동현
이용훈
이효근
이종주
김문영
하한누리
서유경
김정민
김수영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7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7821B1/ko
Publication of KR20170030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0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30864
    • G06F17/2705
    • G06F17/277
    • G06F17/30991

Landscapes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컨텐츠 내 단어에 대한 정답성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기기로부터 검색 요청 질의로서 상기 전자 기기에 표시된 컨텐츠 내에서 선택된 단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어를 사전에 정해진 형태의 단어로 변환한 후 통합검색을 위한 검색어로 반환하는 단계; 상기 단어의 문맥 정보를 파악함으로써 상기 단어와 관련된 주제 도메인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상기 주제 도메인에 대응되는 컬렉션 랭킹으로 정렬하여 상기 전자 기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텐츠 내 단어에 대한 정답성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ARCH RESULT OF WORDS WITHIN CONTENT}
아래의 설명은 컨텐츠에 포함된 단어에 대하여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검색 엔진(search engine)이란 인터넷 상에서 자료를 쉽게 찾을 수 있게 도와주는 소프트웨어 또는 웹 사이트를 말한다. 이러한 검색 엔진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기술의 일 예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79604호(공개일 2004년 09월 16일)에는 검색 엔진에서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 리스트를 생성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인터넷 상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들이 존재한다.
사용자가 텍스트 문장을 포함하는 컨텐츠(예컨대, 뉴스나 지식백과 등에서 제공되는 문서 등)를 이용하다가 컨텐츠 내에서 모르는 단어가 있으면 해당 단어를 검색하는 경우가 있다.
컨텐츠 이용 도중 정보 검색을 위해서는 컨텐츠 화면에서 검색 화면으로 이동하거나 정보 검색을 위한 브라우저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예컨대, 통합검색 앱 등)을 별도로 실행하고 검색창에 검색하고자 하는 단어를 입력하여 해당 단어와 관련된 정보를 직접 검색하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컨텐츠를 이용하는 도중에 해당 컨텐츠에 포함된 단어의 검색 결과를 이용하기까지 여러 단계의 조작과 화면 전환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복잡하고 불편한 검색 방식으로 인해 컨텐츠 이용 중 컨텐츠에 등장하는 단어의 간단한 의미 파악 조차 쉽지 않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검색 방식의 복잡한 구조나 과정만큼 통신 자원 효율이 떨어지고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의 통신 비용과 함께 전력 소모 등이 증가하는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컨텐츠가 노출되는 화면에서 화면 이동 없이 해당 컨텐츠에 포함된 단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컨텐츠에서 선택된 어절을 최적 단어로 자동 변환하여 검색어로 반환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컨텐츠에서 선택된 단어에 대하여 해당 단어의 문맥 정보를 파악하여 정답형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기기로부터 검색 요청 질의로서 상기 전자 기기에 표시된 컨텐츠 내에서 선택된 단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어를 사전에 정해진 형태의 단어로 변환한 후 통합검색을 위한 검색어로 반환하는 단계; 상기 단어의 문맥 정보를 파악함으로써 상기 단어와 관련된 주제 도메인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상기 주제 도메인에 대응되는 컬렉션 랭킹으로 정렬하여 상기 전자 기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가 표시된 화면에서 검색 모드를 활성화 하는 단계; 상기 검색 모드에서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텍스트 문장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단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단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가 표시된 화면에서 화면 이동 없이 상기 검색 결과가 포함된 화면을 상기 컨텐츠가 표시된 화면의 적어도 일부에 중첩되는 레이어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에서는 상기 단어를 사전에 정해진 형태의 단어로 변환하여 상기 변환된 단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서버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기기로부터 검색 요청 질의로서 상기 전자 기기에 표시된 컨텐츠 내에서 선택된 단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단어를 사전에 정해진 형태의 단어로 변환한 후 통합검색을 위한 검색어로 반환하는 언어 처리부; 상기 단어의 문맥 정보를 파악함으로써 상기 단어와 관련된 주제 도메인을 감지하는 주제 감지부; 상기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상기 주제 도메인에 대응되는 컬렉션 랭킹으로 정렬하는 컬렉션 매칭부; 및 상기 주제 도메인에 따라 정렬된 상기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제공하는 결과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컨텐츠가 노출되는 화면에서 검색 모드를 활성화 하여 바로 검색 가능한 환경을 지원함으로써 화면 이동 없이 컨텐츠에 포함된 단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고 컨텐츠 이용 도중에 이루어지는 검색 프로세스를 최대한 단축할 수 있으며 보다 단축된 검색 프로세스로 인하여 통신 자원 효율을 높이는 것은 물론 사용자 단말의 통신 비용과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다.
컨텐츠에서 선택된 어절을 불필요한 품사의 단어가 제거된 최적 단어로 자동 변환한 후 이를 검색어로 반환함으로써 검색을 위한 단어를 직접 타이핑하거나 수정하는 등의 수작업이 요구되지 않으며 어근 위주의 언어 처리를 통해 정확한 문맥의 검색어를 자동 입력할 수 있고 정확한 문맥과 보장된 품질의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어에 대해 해당 단어의 문맥 정보를 파악함으로써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정보의 주제 도메인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정답에 보다 가까운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어 검색 결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단어 선택 절차와 관련하여 전자 기기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선택 단어의 주제 도메인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주제 도메인 별 컬렉션 랭킹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검색 결과 제공 절차와 관련하여 전자 기기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복수의 서버들(150, 16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전자 기기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이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 1(110)은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 및/또는 서버(150, 16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7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7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50, 160) 각각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과 네트워크(17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서버(16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전자 기기 1(110)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기기 1(110)은 서버(160)로부터 제공된 파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 1(110)이 포함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일례로 브라우저나 상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서버(150)에 접속하여 서버(150)가 제공하는 서비스나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 1(110)이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서버(150)로 전송하면, 서버(150)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코드를 전자 기기 1(110)로 전송할 수 있고, 전자 기기 1(110)은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코드에 따른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서는 하나의 전자 기기에 대한 예로서 전자 기기 1(110), 그리고 하나의 서버에 대한 예로서 서버(15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이나 서버(160) 역시 동일한 또는 유사한 내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전자 기기 1(110)과 서버(150)는 메모리(211, 221), 프로세서(212, 222), 통신 모듈(213, 223)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14, 22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1, 221)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1, 221)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전자 기기 1(11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브라우저나 상술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을 이용하여 메모리(211, 221)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213, 223)을 통해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상술한 서버(160))이 네트워크(17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12, 222)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1, 221) 또는 통신 모듈(213, 223)에 의해 프로세서(212, 222)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 222)는 메모리(211, 22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13, 223)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전자 기기 1(110)과 서버(15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전자 기기(일례로 전자 기기 2(120)) 또는 다른 서버(일례로 서버(160))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 1(110)의 프로세서(212)가 메모리(21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일례로 컨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서비스 요청)이 통신 모듈(213)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서버(150)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서버(150)의 프로세서(222)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이 통신 모듈(223)과 네트워크(170)를 거쳐 전자 기기 1(110)의 통신 모듈(213)을 통해 전자 기기 1(110)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213)을 통해 수신된 서버(150)의 제어 신호나 명령 등은 프로세서(212)나 메모리(211)로 전달될 수 있고, 컨텐츠나 파일 등은 전자 기기 1(11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14, 224)는 입출력 장치(215)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통신 세션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전자 기기 1(110)의 프로세서(212)는 메모리(211)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서버(150)나 전자 기기 2(120)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이나 컨텐츠가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 1(110) 및 서버(15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 1(110)은 상술한 입출력 장치(215)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하나의 전자 기기에 대한 예인 전자 기기 1(110)을 '전자 기기'로 칭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50)의 프로세서(222)는 언어 처리부(310), 주제 감지부(320), 컬렉션 매칭부(330) 및 결과 제공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은 도 4의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410 내지 440)을 수행하도록 서버(15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를 위해 메모리(221)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단계(410)에서 서버(15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기기(예컨대, 전자 기기 1(110))로부터 전자 기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검색 요청을 위한 질의로서 수신할 수 있으며, 이때 서버(150)는 사전에 정해진 규칙의 언어 처리를 통해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된 단어를 검색에 적합한 형태의 최적 단어로 자동 변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언어 처리부(310)는 서버(150)가 단계(410)를 수행하도록 서버(150)를 제어할 수 있다.
전자 기기에서는 사용자가 컨텐츠를 소비하는 도중에 사용자로부터 검색을 위한 요청이 입력되면 컨텐츠가 노출되는 화면에서 검색 모드가 활성화 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컨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선택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단어 전체가 서버(150)로 전달될 수 있다.
사용자가 소비하는 컨텐츠는 서버(150) 또는 서버(150)와 연동 가능한 다른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문서이거나, 혹은 서버(150)와는 무관한 문서일 수 있다.
사용자는 컨텐츠 내에서 검색을 위한 단어를 선택하는 경우 문장 내 여러 품사가 조합된 형태의 어절을 선택할 수 있고 전자 기기는 선택 영역의 단어 전체를 그대로 서버(150)로 전달하게 된다. 이에, 서버(150)는 전자 기기로부터 사용자가 이용 중인 컨텐츠에서 선택된 단어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단어에서 체언 이외에 조사, 조용사 등 불필요한 품사의 단어를 제거하는 방식, 혹은 어근에 해당되는 단어를 추출하여 추출된 단어 중심으로 조합하는 방식 등을 통해 최적 단어로 자동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150)는 전자 기기로부터 사용자가 이용 중인 컨텐츠에서 선택한 단어를 검색 요청을 위한 질의로서 수신하게 되는데, 이에 언어 처리를 통해 자동 변환한 최적 단어를 통합 검색을 위한 검색어로 반환할 수 있다.
단계(420)에서 서버(150)는 검색 요청을 위한 질의로서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된 단어의 문맥을 파악함으로써 해당 단어와 관련된 주제 도메인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제 감지부(320)는 서버(150)가 단계(420)를 수행하도록 서버(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서버(150)는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된 단어가 복수 개로 이루어진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 개의 단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정보의 주제 도메인을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 기기에서는 사용자가 이용 중인 컨텐츠에서 선택한 단어를 서버(150)로 전달할 때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가 포함된 문단 정보를 함께 전달하거나, 서버(150)의 요청이 있을 때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가 포함된 문단 정보를 서버(150)로 전달할 수 있고, 이에 서버(150)는 전자 기기로부터 전달 받은 문단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정보의 주제 도메인을 감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서버(150)는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가 포함된 페이지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이용하여 URL에 삽입되어 있는 카테고리 정보(예컨대, 카테고리 ID 등)를 통해 주제 도메인을 감지할 수 있다. 컨텐츠에 따라 컨텐츠를 제공하는 URL에 해당 컨텐츠를 분류하기 위한 카테고리 정보가 삽입되어 구성될 수 있다. 전자 기기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를 서버로(150)로 전달할 때 해당 단어가 포함된 페이지의 URL 혹은 URL에 포함된 카테고리 정보를 함께 전달하여 서버(150)에서 이를 통해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정보의 주제 도메인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용 중인 컨텐츠가 서버(150) 또는 서버(150)와 연동 가능한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문서인 경우 서버(150)에서 직접 전자 기기에 현재 표시된 페이지의 URL을 활용해 해당 URL에 들어 있는 카테고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430)에서 서버(150)는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정보의 주제 도메인에 따라 통합검색 결과 중 해당 주제에 대응되는 컬렉션을 매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컬렉션 매칭부(330)는 서버(150)가 단계(430)를 수행하도록 서버(150)를 제어할 수 있다.
컬렉션은 검색 결과로 추출된 문서의 출처나 종류 등에 따라 문서를 분류하여 노출시키기 위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컬렉션은 카페, 블로그, 문서, 도서, 지식백과, 사전, 뉴스, 이미지, 동영상, 웹문서, 지역 등의 검색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인터넷 상의 문서는 사전에 정의된 복수의 주제를 기준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각 주제 별로 통합검색 결과의 컬렉션 우선 순위가 사전에 정의될 수 있다.
서버(150)는 단계(420)에서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정보의 주제 도메인이 감지되면 해당 주제의 컬렉션 우선 순위를 기준으로 통합검색 결과 중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의 주제에 가장 정답에 가까운 컬렉션을 매칭할 수 있다.
단계(440)에서 서버(150)는 단계(410)에서 언어 처리를 통해 변환한 최적 단어를 통합 검색을 위한 검색어로 이용하여 검색을 수행한 후 그 검색 결과를 네트워크를 통해 검색을 요청한 전자 기기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결과 제공부(340)는 서버(150)가 단계(440)를 수행하도록 서버(150)를 제어할 수 있다.
서버(150)는 언어 처리를 통해 자동 변환한 단어를 검색어로 하는 통합검색 결과를 전자기기로 제공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정보의 주제 도메인에 매칭된 컬렉션을 통합검색 결과 최상단으로 이동시켜 검색결과를 정렬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150)는 사용자가 컨텐츠 이용 중 선택한 단어에 대하여 통합검색 결과를 해당 단어의 문맥(주제)에 맞는 컬렉션 랭킹으로 자동 조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버(150)는 사용자가 웹 상의 컨텐츠를 소비하는 도중에서 컨텐츠 내 텍스트 문장 중 특정 단어를 선택하는 경우 이를 검색에 적합한 형태로 자동 변환한 후 검색어로 반환하고 검색어에 대한 통합검색 결과를 검색 문맥에 맞는 랭킹으로 자동 조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전자 기기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단어를 검색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전자 기기에 표시되는 화면(500)으로, 서버(150)가 제공하는 서비스 페이지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화면(500)에는 텍스트 문장을 포함하는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화면(500)에는 서비스 페이지에 대한 메뉴 목록(510)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뉴 목록(510)에는 홈 화면 이동, 이전 화면 이동, 다음 화면 이동, 북마크 설정, 페이지 공유, 새로 고침 등의 UI 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
메뉴 목록(510)에는 화면(500)을 통해 이용 중인 컨텐츠 내 특정 단어를 검색하기 위하여 검색 버튼(511)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컨텐츠를 이용하는 중에 컨텐츠 내 텍스트 문장에서 모르거나 이해가 되지 않는 단어를 검색하기 위해 화면을 이동할 필요 없이 현재 페이지에서 메뉴 목록(510)의 검색 버튼(511)을 입력할 수 있고, 이때 전자 기기는 검색 버튼(511)을 이용한 사용자의 검색 요청이 입력되면 컨텐츠가 표시된 화면(500)에서 바로 검색 모드를 활성화 하여 검색 가능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컨텐츠가 표시된 화면(500)에서 검색 버튼(511)이 입력되는 경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 이동 없이 현재의 화면(500) 상에 검색 가이드 화면(620)이 노출되면서 바로 검색 모드가 활성화 될 수 있다. 컨텐츠가 표시된 화면(500)에서의 검색 모드는 검색하려는 단어를 직접 타이핑 하는 것을 대신하여 컨텐츠에서 특정 단어를 선택하는 것(예컨대, 터치, 클릭 등)으로 검색 요청을 위한 질의 입력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검색 가이드 화면(620)에는 검색하기 위한 단어 선택에 대한 가이드 정보(예컨대, '검색하려는 단어를 터치해 주세요.' 등의 가이드 메시지 등)가 표시될 수 있다.
도 5와 도 6을 통해 설명한 단어 선택 방식은 예시적인 것으로, 이러한 것으로만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의 액션을 적용하여 검색하고자 하는 단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화면(500) 상에 검색 버튼(511)이 상시 노출되어 검색 버튼(511)을 터치한 상태에서 찾고 싶은 단어로 드래그 한 후 터치를 해제하면 터치가 해제된 위치에 대응되는 단어가 선택될 수 있다.
전자 기기에서는 사용자가 컨텐츠 이용 중 검색 모드가 활성화 된 상태에서 컨텐츠 내 텍스트 문장에서 특정 단어를 선택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단어에 블록 처리된 텍스트 영역(601)을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텍스트 영역(601)을 통해 자신이 검색하고자 하는 단어가 바르게 선택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전자 기기에서는 단어가 일부 선택된 상태에서 선택된 단어를 기준으로 좌/우로 단어 선택 범위를 넓힐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검색하고자 하는 단어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기기에서는 검색 모드가 활성화 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롱 탭 등의 터치 액션으로 컨텐츠 내 텍스트를 선택함에 따라 시스템 상에서 해당 텍스트에 선택 블록이 홀드 되는 경우 이를 인식하여 검색 기능이 바로 수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전자 기기는 사용자가 컨텐츠 이용 중 선택한 단어를 서버(150)로 전달할 수 있고, 이에 서버(150)는 전자 기기로부터 전달 받은 단어를 언어 처리를 통해 검색에 적합한 형태로 자동 변환할 수 있다.
텍스트 문장에서 탭 앤 홀드(tap & hold)와 같은 터치 액션으로 단어를 선택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어절 단위로 단어가 선택되기 때문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컨텐츠 이용 중 '향수'라는 단어를 검색하고자 해당 단어를 선택할 때 해당 어절, 즉 '향수들을'이 선택될 수 있다.
전자 기기는 사용자가 직접 타이핑 하거나 추가로 수정할 필요 없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절 그대로 서버(150)로 전달하고, 이에 서버(150)는 사용자가 터치 액션으로 선택한 어절 '향수들을'을 그대로 수신하여 해당 어절에서 조사 '들을'을 제거한 후 조사가 제거된 '향수'를 검색어로 이용한다.
따라서, 서버(150)는 전자 기기로부터 검색 요청과 함께 검색 질의로서 사용자가 선택한 어절을 수신한 후 수신된 어절을 그대로 검색어로 이용하기 보다는 검색에 보다 적합한 형태의 단어로 자동 처리한 후 해당 단어를 검색어로 반환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검색 요청한 단어의 주제 도메인을 감지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검색 요청한 단어에 대한 정답형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단어의 문맥 정보를 파악하여 사용자가 어떤 주제의 정보를 찾는지 판단할 필요가 있다. 단어를 이용하여 해당 단어가 속하는 주제를 파악할 수 있으나, 단어에 따라 단어 자체만으로는 주제를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도 7은 '향수'에 대한 주제 분류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향수'는 대표적으로 책, 영화, 음악, 화장품 4개의 주제로 분류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검색 기능은 컬렉션 관점에서 어떤 컬렉션을 더 상위로 노출해주느냐에 대한 주제 분류로서, 사용자가 검색 요청한 단어가 어떠한 문맥이나 주제의 글에서 사용되었는지를 파악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높은 연관도의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버(150)는 (1)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를 이용하는 방법, (2)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가 포함된 문단을 이용하는 방법, (3)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가 포함된 페이지의 URL을 이용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해당 단어와 관련된 주제 도메인을 파악할 수 있다.
예컨대,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텍스트 영역(801)에 여러 개의 단어 '나무향', '과일향', '향수'가 포함되는 경우 해당 단어들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궁금해하는 주제 도메인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0)는 사용자가 복수의 단어를 선택한 경우 복수의 단어 중 둘 이상의 단어들이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분야나 주제 등을 파악하여 이를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정보의 주제 도메인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텍스트 영역(901)에 하나의 단어 '향수'가 포함되는 경우 '향수'를 포함하는 문단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궁금해하는 주제 도메인을 감지할 수 있다. 전자 기기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어절 '향수들을'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어절을 포함하는 문단 정보를 서버(150)로 전달할 수 있고, 이에 서버(150)는 전자 기기로부터 전달 받은 문단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를 기준으로 전후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의 사용 분야나 주제 등으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의 문맥을 파악하고 이를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정보의 주제 도메인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어 '향수'를 포함하는 문단의 단어들 '나무향'과 '과일향' 등의 사용 분야나 주제를 파악함으로써 단어 '향수'가 '화장품'에 해당되는 주제로 분류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텍스트 영역(1001)에 단어 '향수'가 포함되는 경우 단어 '향수'를 포함하는 문단에서 전후에 위치하는 단어들 '어릴 적', '추억' 등의 사용 분야나 주제를 파악함으로써 단어 '향수'가 책, 영화, 음악, 화장품 이외의 일반 주제로 분류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검색 기능은 단어 자체가 실제 어떤 뜻으로 쓰였느냐를 분류하기 위한 의미 중의성 해소(WSD)를 기반으로 한 주제 분류 또한 고려할 수 있다. 일례로, 동음이의어는 전혀 다른 의미의 뜻을 여러 개 가지고 있으며, 예를 들어 '외상'의 경우 '값은 나중에 치르기로 하고 물건을 사거나 파는 일'을 의미하는 경제 용어, '몸의 겉에 생긴 상처를 통틀어 이르는 말'을 의미하는 의학 용어, '일부 나라에서, 외무성의 우두머리를 이르는 말'을 의미하는 정치 용어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음이의어를 비롯한 개별 단어들이 어떠한 문맥이나 주제의 글에서 사용되었는지 파악함으로써 사용자가 검색 요청한 단어에 대한 정답형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검색을 위해 선택한 단어 혹은 해당 단어를 포함하는 문단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정보의 주제 도메인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단어 혹은 문단을 이용하는 방식 이외에도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가 포함된 페이지의 URL을 이용하여 해당 URL에 삽입되어 있는 카테고리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정보의 주제 도메인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서버(150)는 정답형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통합검색 결과를 사용자가 검색 요청한 단어의 문맥에 맞는 랭킹으로 자동 조정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검색 문맥에 맞는 랭킹의 통합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검색 결과로 추출된 문서를 분류하기 위한 컬렉션은 주제 도메인에 따라 우선 순위가 사전에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검색을 위해 선택한 단어 '향수'가 책과 관련된 주제의 글에서 사용된 경우 검색 결과에 포함된 컬렉션 중 '책' 컬렉션을 최상위에 노출할 수 있고, 화장품과 관련된 주제의 글에서 사용된 경우에는 '쇼핑' 컬렉션을 최상위에 노출할 수 있다. 이외에도,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제, 정치, 인물, 교통 등 복수의 주제 도메인이 사전에 정의될 수 있으며, 주제 도메인 별로 컬렉션 랭킹을 결정하는 우선 순위가 사전에 정의될 수 있다. 사전에 정의된 매핑 테이블에 따라 검색어가 '경제'와 관련된 용어인 경우 통합검색 결과를 어학사전 > 지식백과 > 사이트 > … 순의 컬렉션으로 매칭하고 '정치'와 관련된 검색어의 경우 뉴스 > 어학사전 > 사이트 > … 순의 컬렉션으로 매칭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검색어의 주제 도메인에 따라 검색어에 대한 검색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컬렉션의 배치가 달라지는 것이다.
일례로, 서버(150)는 검색어에 대한 통합검색 결과를 전자 기기로 제공할 때 검색어의 주제 도메인에 대응되는 컬렉션 우선순위에 따라 가장 높은 우선순위의 컬렉션을 통합검색 결과의 최상단으로 이동시켜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전자 기기에 표시되는 검색 결과 화면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기기는 컨텐츠 화면(500)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어절 '향수를'에 대하여 서버(150)로부터 검색어 '향수'에 대한 검색 결과를 수신하여 수신된 검색 결과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 화면(1200)을 표시할 수 있다.
검색 결과 화면(1200)은 컨텐츠 화면(500)에서 화면 이동이나 화면 전환 없이 컨텐츠 화면(500)의 적어도 일부에 중첩되는 새로운 레이어로 구성되어 표시될 수 있다. 검색 결과 화면(1200)에는 검색어에 대한 통합검색 결과에 대해 검색어의 주제 도메인에 대응되는 컬렉션 랭킹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어 '향수'가 일반 주제 용어인 경우 통합검색 결과 중 '어학사전'에 해당되는 컬렉션이 최상위에 노출되고, 검색어 '향수'가 화장품 주제 용어인 경우 '쇼핑'에 해당되는 컬렉션이 최상위에 노출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컨텐츠 화면(500)의 적어도 일부에 중첩되는 검색 결과 화면(1200)에 대하여 사전에 정의된 인터랙션이 입력되는 경우, 예컨대 사용자가 검색 결과 화면(1200) 내의 임의 위치를 터치하거나 검색 결과 화면(1200)의 타이틀 바를 터치한 상태에서 끌어 올리는 제스처를 취하는 경우 풀 스크린 상태의 검색 결과 화면(1300-1)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검색 결과 화면(1300-1)에서는 뒤로 버튼을 입력하거나 타이틀 바를 터치한 상태에서 끌어 내리는 제스처를 취하는 경우 이전 페이지, 즉 컨텐츠 화면(500)으로 이동할 수 있다.
검색 결과 화면(1200)(1300-1)에는 검색 버튼(1201)(1301)이 포함될 수 있으며, 검색 버튼(1201)(1301)을 입력하는 경우 통합 검색이 가능한 검색어 입력 화면(미도시)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3은 발명의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인 화면들로서 화면의 구성이나 순서 등은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컨텐츠가 노출되는 화면에서 검색 모드를 활성화 하여 바로 검색 가능한 환경을 지원함으로써 화면 이동 없이 컨텐츠에 포함된 단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고 컨텐츠 이용 도중에 이루어지는 검색 프로세스를 최대한 단축할 수 있으며 보다 단축된 검색 프로세스로 인하여 통신 자원 효율을 높이는 것은 물론 사용자 단말의 통신 비용과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컨텐츠에서 선택된 어절을 불필요한 품사의 단어가 제거된 최적 단어로 변환한 후 이를 검색어로 자동 입력함으로써 검색을 위한 단어를 직접 타이핑하거나 수정하는 등의 수작업이 요구되지 않으며 어근 위주의 언어 처리를 통해 정확한 문맥의 검색어를 자동 입력할 수 있고 정확한 문맥과 보장된 품질의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컨텐츠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어에 대해 해당 단어의 문맥 정보를 파악함으로써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정보의 주제 도메인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정답에 보다 가까운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어 검색 결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7)

  1.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기기로부터 검색 요청 질의로서 상기 전자 기기에 표시된 컨텐츠 내에서 선택된 단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어를 사전에 정해진 형태의 단어로 변환한 후 통합검색을 위한 검색어로 반환하는 단계;
    상기 단어의 문맥 정보를 파악함으로써 상기 단어와 관련된 주제 도메인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상기 주제 도메인에 대응되는 컬렉션 랭킹으로 정렬하여 상기 전자 기기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환하는 단계는,
    상기 단어에서 조사를 제거하거나 체언이나 어근을 제외한 나머지 단어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단어를 대신하여 상기 조사 또는 상기 나머지 단어가 제거된 단어를 상기 검색어로 반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내에서 선택된 단어가 복수 개의 단어인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단어가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분야나 주제로부터 상기 주제 도메인을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에서 상기 단어가 포함된 문장을 이용하여 상기 문장 내에서의 상기 단어의 문맥에 따라 상기 주제 도메인을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가 제공된 페이지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이용하여 상기 URL에 삽입되어 있는 카테고리 정보를 통해 상기 주제 도메인을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주제 및 주제 별 통합검색 결과의 컬렉션 우선 순위가 사전에 정의되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주제 도메인에 대응되는 컬렉션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매칭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에서는 상기 컨텐츠가 표시된 화면에서 화면 이동 없이 상기 검색 결과가 포함된 화면을 상기 컨텐츠가 표시된 화면의 적어도 일부에 중첩되는 레이어로 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8.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가 표시된 화면에서 검색 모드를 활성화 하는 단계;
    상기 검색 모드에서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텍스트 문장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단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단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가 표시된 화면에서 화면 이동 없이 상기 검색 결과가 포함된 화면을 상기 컨텐츠가 표시된 화면의 적어도 일부에 중첩되는 레이어로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에서는 상기 단어를 사전에 정해진 형태의 단어로 변환하여 상기 변환된 단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가 표시된 화면과 관련된 메뉴 목록에 검색 기능의 UI가 포함되고,
    상기 활성화 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가 표시된 화면에서 상기 검색 기능의 UI가 선택되면 화면 이동 없이 상기 컨텐츠가 표시된 화면에서 검색 모드를 활성화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는 상기 단어의 문맥 정보로부터 상기 단어와 관련된 주제 도메인을 감지한 후 상기 주제 도메인에 대응되는 컬렉션 랭킹으로 정렬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1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서버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기기로부터 검색 요청 질의로서 상기 전자 기기에 표시된 컨텐츠 내에서 선택된 단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단어를 사전에 정해진 형태의 단어로 변환한 후 통합검색을 위한 검색어로 반환하는 언어 처리부;
    상기 단어의 문맥 정보를 파악함으로써 상기 단어와 관련된 주제 도메인을 감지하는 주제 감지부;
    상기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상기 주제 도메인에 대응되는 컬렉션 랭킹으로 정렬하는 컬렉션 매칭부; 및
    상기 주제 도메인에 따라 정렬된 상기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제공하는 결과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 처리부는,
    상기 단어에서 조사를 제거하거나 체언이나 어근을 제외한 나머지 단어를 제거한 후, 상기 단어를 대신하여 상기 조사 또는 상기 나머지 단어가 제거된 단어를 상기 검색어로 반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 감지부는,
    상기 컨텐츠 내에서 선택된 단어가 복수 개의 단어인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단어가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분야나 주제로부터 상기 주제 도메인을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 감지부는,
    상기 컨텐츠에서 상기 단어가 포함된 문장을 이용하여 상기 문장 내에서의 상기 단어의 문맥에 따라 상기 주제 도메인을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 감지부는,
    상기 컨텐츠가 제공된 페이지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이용하여 상기 URL에 삽입되어 있는 카테고리 정보를 통해 상기 주제 도메인을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6. 제11항에 있어서,
    복수의 주제 및 주제 별 통합검색 결과의 컬렉션 우선 순위가 사전에 정의되고,
    상기 컬렉션 매칭부는,
    상기 주제 도메인에 대응되는 컬렉션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매칭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제공부는,
    상기 컨텐츠가 표시된 화면에서 화면 이동 없이 상기 검색 결과가 포함된 화면이 상기 컨텐츠가 표시된 화면의 적어도 일부에 중첩되는 레이어로 표시되도록 상기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150127910A 2015-09-09 2015-09-09 컨텐츠 내 단어에 대한 정답성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727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910A KR101727821B1 (ko) 2015-09-09 2015-09-09 컨텐츠 내 단어에 대한 정답성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910A KR101727821B1 (ko) 2015-09-09 2015-09-09 컨텐츠 내 단어에 대한 정답성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0382A true KR20170030382A (ko) 2017-03-17
KR101727821B1 KR101727821B1 (ko) 2017-04-17

Family

ID=58502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7910A KR101727821B1 (ko) 2015-09-09 2015-09-09 컨텐츠 내 단어에 대한 정답성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782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7821B1 (ko) 2017-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83132B2 (ja) ユーザ選択されたコンテンツに対するアクション提案
US10733360B2 (en) Simulated hyperlinks on a mobile device
JP6554685B2 (ja) 検索結果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1953303B1 (ko) 브라우징 액티비티에 기초하여 정합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기법
JP5264892B2 (ja) 多言語情報検索
US8275759B2 (en) Contextual query suggestion in result pages
US9218414B2 (en) System, method, and user interface for a search engine based on multi-document summarization
US10122839B1 (en) Techniques for enhancing content on a mobile device
US9342233B1 (en) Dynamic dictionary based on context
US9129009B2 (en) Related links
US20100070851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uggested tags associated with a target web page for manipulation by a user
US2010018560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gration search of web site
WO2013015852A9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semantic entities included in a page of content
JP2015511746A (ja) 会話式情報検索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5511746A5 (ko)
US10311114B2 (en) Displaying stylized text snippets with search engine results
CN103888799B (zh) 控制方法和控制装置
JP2007193697A (ja) 情報収集装置,情報収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694887B2 (en) Dynamic contextual shortcuts
US2017029368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xtual information
KR101727821B1 (ko) 컨텐츠 내 단어에 대한 정답성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421819B1 (ko) 온라인 환경에서의 벌룬을 이용한 키워드 검색 결과 제공 방법
KR20090003410A (ko) 무선 인터넷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