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0266A - 화장용 도구 - Google Patents

화장용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0266A
KR20170030266A KR1020150127592A KR20150127592A KR20170030266A KR 20170030266 A KR20170030266 A KR 20170030266A KR 1020150127592 A KR1020150127592 A KR 1020150127592A KR 20150127592 A KR20150127592 A KR 20150127592A KR 20170030266 A KR20170030266 A KR 20170030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rotective tube
cosmetic
upper cas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7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9427B1 (ko
Inventor
최용욱
이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50127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9427B1/ko
Priority to CN201621029861.3U priority patent/CN206101976U/zh
Publication of KR20170030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0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6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 A45D40/065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with self-contained cov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30Masks for marking lips or eyelash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25Details of lipstick or like casings
    • A45D2040/0031Replacement of the stick
    • A45D2040/0056Replacement of the stick by removing the old stick from the cartridge by screw movement of stick relative to the cartrid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1Airtight container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는, 중공이 형성되는 상케이스의 내측에 마련되는 캡팩킹; 상기 상케이스와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하케이스에 설치되되, 상기 상케이스에 의해 상단부가 커버되는 보호관; 및 상기 보호관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며 화장품이 마련되는 피스톤접시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관의 내부에서 상기 화장품의 양측은, 상기 캡팩킹 및 상기 피스톤접시에 의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장용 도구{A cosmetic device}
본 발명은 화장용 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품이 보관되는 내부를 밀폐시켜 화장품의 증발을 막을 수 있어 화장품의 변질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화장용 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화장을 통해 자신을 아름답게 가꾸고자 하는 욕망이 있다. 따라서 사람들은 피부를 포함하여 머리, 손톱, 입술 등을 다양한 방식으로 화장함으로써 만족도를 느낀다.
특히 입술의 경우, 붉은색 계통으로 화장하여 얼굴에서 입술이 도드라져 보이도록 하는 화장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때 사람들은 립스틱이나 립글로즈 등을 이용하여 입술을 화장하게 된다. 이때 립스틱 등은 입술에 색상을 입혀 입술을 아름답게 보이도록 하면서도 입술이 건조해져서 갈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립스틱은 기본적으로 통 형태로 제작되는데, 사용자가 립스틱의 하단부를 회전시키면, 립스틱 화장품이 상승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된 립스틱 화장품을 이용하여 입술 화장을 완료한 뒤, 립스틱의 하단부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립스틱 화장품이 하강하여 내부에 보관되도록 한다.
그런데 립스틱이 보관되는 화장용 도구는 일반적으로 상하부 케이스로 분리되고, 이러한 케이스는 사용의 편의성 등을 위해 돌기와 홈의 구조로 결합되거나 분리된다.
이에 따라, 립스틱이 보관되는 화장용 도구는 완전한 밀폐구조를 이루지 못하게 되며, 이에 보관되는 립스틱은 내용물이 증발될 우려가 있어 개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품의 내용물이 증발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는 화장용 도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는, 중공이 형성되는 상케이스의 내측에 마련되는 캡팩킹; 상기 상케이스와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하케이스에 설치되되, 상기 상케이스에 의해 상단부가 커버되는 보호관; 및 상기 보호관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며 화장품이 마련되는 피스톤접시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관의 내부에서 상기 화장품의 양측은, 상기 캡팩킹 및 상기 피스톤접시에 의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호관이 상기 상케이스로 커버되면, 상기 보호관을 상기 캡팩킹이 눌러 밀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호관은, 화장품 배출구가 형성되는 통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팩킹은, 상기 배출구가 폐쇄되도록 상기 보호관이 끼움되는 플러그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러그는, 상기 화장품이 수용되는 방향으로 오목한 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관이 외측으로 끼움되는 폐곡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캡팩킹은, 상기 보호관의 상단부와 맞닿도록, 상기 플러그의 외측으로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호관과 상기 상케이스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보호관의 상단부와 상기 캡팩킹의 단턱 사이에 마련되도록 내측으로 절곡되는 내부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스톤접시에는, 상기 화장품이 수용될 때 진공이 발생되지 않고 설계 길이로 수용되게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호관의 내측에 상기 피스톤접시와 상하 일렬로 마련되며, 상기 보호관을 따라 상하 이동되어 상기 화장품을 노출시키거나 수용시키는 걸림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케이스에는 그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키에는 상기 가이드홈을 관통하여 상기 나사산을 따라 이동하는 회전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하케이스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돌기가 상기 나사산을 이동하며 상기 피스톤접시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스톤접시는, 상기 보호관에 결합되는 파트와 상기 화장품이 마련되는 파트가 분리형으로 마련되어, 접착 방식 또는 억지 끼움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스톤접시는, 상기 화장품이 마련되는 파트로 이루어지는 끼움부재; 및 상기 끼움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보호관에 결합되는 파트로 이루어지는 날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날개부재는 폐곡선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보호관의 내측 둘레면에 맞닿아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도구는, 화장품이 수용되는 보호관을 밀폐시키도록 보호관의 상단부를 캡팩킹으로 차단하고, 보호관의 내부를 피스톤접시로 씰링하는 바와 같이, 화장품이 수용되는 공간을 외부와 차단하여 화장품의 내용물이 증발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어 화장품의 변질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B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A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3의 B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100)는 상케이스(110), 하케이스(120), 캡팩킹(130), 보호관(140), 피스톤접시(150), 걸림키(160)를 포함한다.
상케이스(110)와 하케이스(120)는 화장품(10)을 보호하고, 화장용 도구(100)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이루어 화장용 도구(100)의 전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케이스(110) 및 하케이스(120) 각각은 길이방향으로 수용공간(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며, 상케이스(110)는 일측(도 1에서 하부)이 개방되어 보호관(140)을 커버함으로써 화장품(10)을 보호할 수 있고, 하케이스(120)는 보호관(140)과 결합하여 걸림키(16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즉, 상케이스(110)와 하케이스(120)는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며, 상케이스(110)는 보호관(140)의 배출구(화장품이 인입 또는 돌출되는 출입구)(부호 도시하지 않음)를 커버하여 화장품(1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케이스(110)는 보호관(14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보호관(140)의 배출구 반대편인 하부를 제외한 상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하케이스(120)는 상케이스(110)에 의해 커버되는 보호관(140)의 나머지 부분인 하부를 커버하며, 보호관(140)과 하케이스(120)를 각각 잡고서 하케이스(120)를 돌리면 걸림키(160)와 피스톤접시(150)가 함께 움직여 화장품이 돌출될 수 있다.
게다가, 상케이스(110)와 하케이스(120)의 분리는 사용자가 상케이스(110)와 하케이스(120)를 각각 잡고 서로의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길 수 있도록 탈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케이스(110)가 하케이스(120)와 연속적인 외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케이스(110)와 하케이스(120)는 다각형, 타원형, 또는 적어도 일부분이 절단된 원형의 단면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케이스(110)는 하측이 개방되는 원통형을 이룰 수 있고, 하케이스(120)와 동일한 재질 및 색상을 갖도록 제작되거나, 상케이스(110)와 하케이스(120)를 시각적으로 구분할 수 있도록 재질 또는 색상이 달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케이스(110)는 사용자에 의해 하케이스(120)와 분리된 후 화장이 완료되면 다시 사용자에 의하여 하케이스(12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케이스(110)와 하케이스(120)가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결합나사산(부호 도시하지않음)과 결합나사산에 대응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케이스(110)와 하케이스(120)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나사산은 홈 또는 돌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나사산을 따라 돌기가 이동될 때, 홈을 따라 돌기가 이동하거나 돌출형태의 결합나사산과 결합나사산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케이스(110)와 하케이스(120)의 결합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케이스(110)와 하케이스(120)가 밀착되는 상케이스(110) 또는 하케이스(120)의 밀착면에 각각 돌기(도시하지 않음)와 홈(도시하지 않음)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이와 달리 상케이스(110) 또는 하케이스(120) 중 어느 하나에 자석(자성체)이 마련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자석에 부착되는 금속이 마련되어 자력으로 탈부착될 수 있다.
즉 상케이스(110)는 단순히 중력에 의해서 하케이스(120)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일정한 외력을 가해야만 하케이스(120)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케이스(110)와 하케이스(120)에 구비되는 돌기와 홈 구조 또는 자석과 금속 구조 등을 통해 본 실시예는 사용자에게 상케이스(110)가 충분히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소음이나 흔들림 등으로 표시하여 줄 수 있다.
캡팩킹(130)은 보호관(140)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구성으로서, 중공이 형성되는 상케이스(110)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상케이스(110)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케이스(110)에 캡팩킹(130)이 접착제로 고정되거나 억지끼움되는 등 다양한 형태 및 방식으로 상케이스(110)에 캡팩킹(13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캡팩킹(130)은 보호관(140)의 상단부가 간섭되고, 보호관(140)의 배출구가 폐쇄되도록 보호관(140)이 끼움되는 플러그(13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보호관(140)은 화장품(10)의 배출구가 형성되는 통 형태로 이루어져 플러그(131)가 보호관(140)에 끼움됨으로써 보호관(140)의 배출구가 밀폐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러그(131)는 화장품(10)이 수용되는 방향으로 오목한 홈이 형성될 수 있고, 보호관(140)이 외측으로 끼움되는 폐곡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관(140)이 원통으로 형성되는 경우, 플러그(131)는 보호관(140)에 대응하여 단면이 원형인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또한, 플러그(131)의 외측에 끼움되는 보호관(140)이 눌려져 폐쇄될 수 있도록, 캡팩킹(130)은 플러그(131) 외측에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캡팩킹(130)의 단턱은 플러그(131)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보호관(140)의 상단부에 대응하여 폐곡선 형태로 원형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캡팩킹(130)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무,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보호관(140)은 씰링될 수 있다.
보호관(140)은 하케이스(120)에 설치되되, 상케이스(110)에 의해 상단부가 커버되고, 그 내측에는 화장품(10)이 안착되는 피스톤접시(15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관(140)은 화장품(10)이 노출되는 배출구를 가지며, 사용자는 보호관(140)이 설치된 하케이스(120)를 파지한 상태로 보호관(140)의 배출구를 통해 노출된 화장품을 이용하여 화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관(140)은 상부와 하부로 나뉠 수 있고, 상부는 화장품의 승강 경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보호관(140)의 하부는 상부의 배출구를 통해 화장품이 배출되도록 지지심을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보호관(140)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홈(141)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홈(141)을 따라 걸림키(160)가 이동하여 화장품(10)이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홈(141)은 후술되는 걸림키(160)의 회전돌기(161)가 하케이스(120)에 마련되는 나사산(121)에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돌기(161)가 나사산(121)을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나사산(121)은 앞서 설명한 결합나사산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돌출구조 또는 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화장품(10)을 상하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보호관(140)을 잡고 하케이스(120)를 회전시켜 화장품(10)을 돌출시킴으로써, 화장품(10)이 발라져야 하는 부분의 경계에 대하여 마치 펜을 이용하여 그리듯이 간편하게 화장을 수행할 수 있다.
게다가, 보호관(140)은 상부와 하부가 동일한 단면적을 이룰 수 있으나, 보호관(140)의 하부는 하케이스(120)에 의해 상부보다 단면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커질 수 있다. 이는 보호관(140)에 하케이스(120)가 회전가능하도록 일체로 마련되어, 보호관(140)의 하부는 하케이스(120)에 의해 커버되고, 보호관(140)의 상부는 상케이스(110)로 커버되도록 구분되는 것이며, 사용자가 보호관(140)의 상부와 하케이스(120)를 각각 잡고 하케이스(120)를 회전시킴으로써 화장품(10)을 돌출시키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보호관(140)은 충분한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고, 사용자가 파지하기 편리한 크기의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는 보호관(140)의 길이나 단면의 크기 등을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보호관(140)의 상하부가 동일한 단면적을 이루면서도, 보호관(140)의 길이 중 어느 일 영역(예를 들어 중심부)의 둘레면은 돌출되어 하케이스(120)와 맞물릴 수 있으며, 이때 하케이스(120)또한 보호관(140) 측으로 돌출되어 보호관(140)이 하케이스(1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관(140)의 돌출 형상은 폐쇄된 곡선을 형태로 이룰 수 있으며, 보호관(140)이 원통을 이루는 경우 돌출 형상은 링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은 보호관(140)의 내부에 마련되는 화장품(10)은 양측이 전술한 캡팹킹(130) 및 후술되는 피스톤접시(150)에 의해 밀폐되어 내용물의 증발을 방지할 수 있다.
피스톤접시(150)는 보호관(140)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며 고형의 화장품(10)이 마련되고, 피스톤접시(150)는 보호관(14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화장품(10)은 립스틱 화장품일 수 있지만, 화장품(10)의 상태, 성분, 경도 등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일례로, 화장품(10)은 일정한 고체 형태를 가짐에 따라 지지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밀려서 보호관(140)의 배출구를 통해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스톤접시(150)는 끼움부재(151)와 날개부재(152)를 포함할 수 있다.
끼움부재(151)는 화장품(10)이 수용되는 구성으로서, 화장품(10)의 하단부 일부가 인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원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화장품(10)이 수용될 때 진공에 의해 걸리지 않도록, 진공이 발생되지 않고 설계 길이로 수용되게 화장품(10)이 안착되는 영역의 일부분에 관통홀(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끼움부재(151)의 하단부는 걸림키(160)가 연결되어 걸림키(160)의 동작에 의해 보호관(140)으로부터 돌출되거나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스톤접시(150)는 걸림키(160)에 의해 상하 이동되어 화장품(10)을 보호관(140)에 수용시키거나 돌출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끼움부재(151)의 하단부에는 걸림키(160)가 결합되도록 끼움홈(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끼움부재(151)와 걸림키(160)의 결합은 접착제로 이루어지거나, 끼움부재(151)와 걸림키(160) 각각의 돌기가 서로 맞물리는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날개부재(152)는 보호관(140)의 내측이 피스톤접시(150)에 간섭되게, 끼움부재(151)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피스톤접시(150)에 마련되는 화장품(10)이 밀봉되도록, 날개부재(152)는 폐곡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날개부재(152)는 날개부재(152)의 외곽 둘레면이 보호관(140)의 내측 둘레면에 맞닿아 밀착됨으로써 보호관(140)과 날개부재(152) 사이를 밀봉 시킬 수 있다.
이러한, 피스톤접시(150)는 끼움부재(151)와 날개부재(152)가 함께 사출되어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고, 이와 달리, 화장품(10)이 마련되는 파트인 끼움부재(151)와 보호관(140)에 결합되는 파트인 날개부재(152)가 개별로 사출되어 접착제로 인한 결합 또는 억지 끼움 방식으로 연결되는 바와 같이 분리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걸림키(160)는 화장품(10)의 돌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피스톤접시(150)를 상하 이동시키는 구성으로서, 보호관(140)의 내측에 피스톤접시(150)와 상하 일렬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보호관(140)을 따라 상하 이동되어 화장품(10)을 노출시키거나 수용시킬 수 있다.
걸림키(160)에는 가이드홈(141)을 관통하여 나사산(121)을 따라 이동하는 회전돌기(161)가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돌기(161)는 걸림키(160)의 하부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하케이스(120)에는 그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121)이 형성될 수 있는데, 사용자가 하케이스(120)를 잡고 돌리는 경우 하케이스(120)의 회전에 따라 회전돌기(161)가 나사산(121)을 이동하며 피스톤접시(150)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게다가, 상케이스(110)와 보호관(140) 사이에는 내부관(170)이 설치될 수 있다. 내부관(170)은 보호관(140)의 상단부와 캡팩킹(130)의 단턱 사이에 마련되도록 내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이러한 내부관(170)은 상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된 원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케이스(110)의 내측에 설치되어 고정될 수 있고, 내부관(170)의 절곡된 상단부가 보호관(140)의 상단부와 맞닿아 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화장품(10)이 수용되는 보호관(140)을 밀폐시키도록 보호관(140)의 상단부를 캡팩킹(130)으로 차단하고, 보호관(140)의 내부를 피스톤접시(150)로 씰링하는 바와 같이, 화장품(10)이 수용되는 공간을 외부와 차단하여 화장품(10)의 내용물이 증발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어 화장품의 변질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화장품 100: 화장용 도구
110: 상케이스 120: 하케이스
121: 나사산 130: 캡팩킹
131: 플러그 140: 보호관
141: 가이드홈 150: 피스톤접시
151: 끼움부재 152: 날개부재
160: 걸림키 161: 회전돌기
170: 내부관

Claims (12)

  1. 중공이 형성되는 상케이스의 내측에 마련되는 캡팩킹;
    상기 상케이스와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하케이스에 설치되되, 상기 상케이스에 의해 상단부가 커버되는 보호관; 및
    상기 보호관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며 화장품이 마련되는 피스톤접시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관의 내부에서 상기 화장품의 양측은, 상기 캡팩킹 및 상기 피스톤접시에 의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관이 상기 상케이스로 커버되면, 상기 보호관을 상기 캡팩킹이 눌러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관은, 화장품 배출구가 형성되는 통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팩킹은, 상기 배출구가 폐쇄되도록 상기 보호관이 끼움되는 플러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화장품이 수용되는 방향으로 오목한 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관이 외측으로 끼움되는 폐곡선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캡팩킹은,
    상기 보호관의 상단부와 맞닿도록, 상기 플러그의 외측으로 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관과 상기 상케이스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보호관의 상단부와 상기 캡팩킹의 단턱 사이에 마련되도록 내측으로 절곡되는 내부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접시에는, 상기 화장품이 수용될 때 진공이 발생되지 않고 설계 길이로 수용되게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관의 내측에 상기 피스톤접시와 상하 일렬로 마련되며, 상기 보호관을 따라 상하 이동되어 상기 화장품을 노출시키거나 수용시키는 걸림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케이스에는 그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키에는 상기 가이드홈을 관통하여 상기 나사산을 따라 이동하는 회전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하케이스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돌기가 상기 나사산을 이동하며 상기 피스톤접시를 상하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접시는,
    상기 보호관에 결합되는 파트와 상기 화장품이 마련되는 파트가 분리형으로 마련되어, 접착 방식 또는 억지 끼움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접시는,
    상기 화장품이 마련되는 파트로 이루어지는 끼움부재; 및
    상기 끼움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보호관에 결합되는 파트로 이루어지는 날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재는 폐곡선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보호관의 내측 둘레면에 맞닿아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KR1020150127592A 2015-09-09 2015-09-09 화장용 도구 KR101719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592A KR101719427B1 (ko) 2015-09-09 2015-09-09 화장용 도구
CN201621029861.3U CN206101976U (zh) 2015-09-09 2016-08-31 化妆用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592A KR101719427B1 (ko) 2015-09-09 2015-09-09 화장용 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0266A true KR20170030266A (ko) 2017-03-17
KR101719427B1 KR101719427B1 (ko) 2017-03-23

Family

ID=58496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7592A KR101719427B1 (ko) 2015-09-09 2015-09-09 화장용 도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19427B1 (ko)
CN (1) CN20610197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89920A1 (en) * 2018-07-27 2021-09-23 Parfums Christian Dior Device for Packaging and Applying A Cosmetic Produc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805B1 (ko) * 2017-12-01 2019-10-17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립스틱 용기
KR102054317B1 (ko) * 2018-11-07 2019-12-10 펌텍코리아(주) 사용이 편리한 스틱형 화장품 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382Y1 (ko) * 2005-06-10 2005-08-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스틱 타입 화장품 용기
KR20150034708A (ko) * 2015-03-20 2015-04-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기밀 봉상화장품 용기
KR101539550B1 (ko) * 2015-03-20 2015-07-29 신왕철 립스틱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382Y1 (ko) * 2005-06-10 2005-08-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스틱 타입 화장품 용기
KR20150034708A (ko) * 2015-03-20 2015-04-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기밀 봉상화장품 용기
KR101539550B1 (ko) * 2015-03-20 2015-07-29 신왕철 립스틱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89920A1 (en) * 2018-07-27 2021-09-23 Parfums Christian Dior Device for Packaging and Applying A Cosmetic Product
US11737547B2 (en) * 2018-07-27 2023-08-29 Parfums Christian Dior Device for packaging and applying a cosmetic pro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9427B1 (ko) 2017-03-23
CN206101976U (zh) 2017-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4512B1 (ko) 밀폐링을 갖는 리필용기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150004424U (ko) 립스틱 화장품용기의 밀폐구조
EP3766380B1 (en) Lipstick case
KR20090099483A (ko) 제품, 특히 화장품을 패키징하기 위한 시스템을 위한 보호 장치
KR101719427B1 (ko) 화장용 도구
KR101760627B1 (ko) 립글로스 용기
KR20040077988A (ko) 화장품 용기
KR101855922B1 (ko) 내부가 이중으로 밀폐되는 에어타이트 립 화장품 용기
KR101682855B1 (ko) 에어타이트 타입 펜슬 화장품 용기
CN110505820B (zh) 自动打开/关闭的密封模块和使用密封模块的化妆品盒
EP3494834B1 (en) Airtight lip cosmetic case having improved sealing capability
KR101886143B1 (ko) 오염 방지 콤팩트 용기
KR20160123039A (ko) 화장품 용기
KR101876759B1 (ko) 이종 화장품을 저장함과 아울러 맛사지 기능을 가지는 튜브형 화장품용기
KR101246290B1 (ko) 출몰식 분첩을 가지는 파우더용 화장품용기
KR101208870B1 (ko) 화장품 용기
KR20110006198U (ko) 파우더 화장품 용기
KR101787340B1 (ko) 열과 자외선이 이중으로 차단되는 콤팩트 용기
KR101666351B1 (ko) 밀폐구조가 형성된 와이퍼를 구비한 마스카라 용기
KR20180001158U (ko) 교체용 에어쿠션 유닛의 덮개 결합 구조
KR200490737Y1 (ko) 삼차 실링기능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1947715B1 (ko) 다중밀폐구조를 갖는 리필용기
KR101965290B1 (ko) 오버캡에 의해 토출구가 자동으로 개폐되는 화장품 용기
KR200477182Y1 (ko) 밀폐날개가 형성된 패킹부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1992530B1 (ko) 유동성 패킹을 이용한 기밀 구조를 갖는 기밀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