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9791A - Identification pattern and printed matter having that,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Identification pattern and printed matter having that,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9791A
KR20170029791A KR1020150126822A KR20150126822A KR20170029791A KR 20170029791 A KR20170029791 A KR 20170029791A KR 1020150126822 A KR1020150126822 A KR 1020150126822A KR 20150126822 A KR20150126822 A KR 20150126822A KR 20170029791 A KR20170029791 A KR 20170029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ot
halftone
lpi
hidd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68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35030B1 (en
Inventor
설진영
이은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무궁화엘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무궁화엘앤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무궁화엘앤비
Priority to KR1020150126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5030B1/en
Publication of KR20170029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97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0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14Security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4Multicolour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4Multicolour printing
    • B41M1/18Printing one ink over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2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use or purpose
    • B42D25/29Securities; Bank not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rinting Methods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dentification patter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dentification pattern that is clearly identified only under a limited condition. The identification pattern is a pattern representing a visual image as a set of halftone dots, where a part of the image has a halftone dot line per inch (LPI) different from the halftone dot LPI of a background image to form a hidden image. The difference in LPI does not exceed 20 LPI, so that the LPI difference of the halftone dot is not visibl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identification patter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without expensive equipment or special equipment, it can be easily implemented at a low cost with a small amount of printed matter, and also can be adopted to the digitized image itself, so that the identification can be applied to electronic display means.

Description

감식 패턴과 이를 갖는 인쇄물, 그리고 그 제조방법 {Identification pattern and printed matter having that, and producing method thereof}[0002] Identification patterns and printed matter having,

본 발명은 감식 패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정된 조건하에서만 명확하게 식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식 패턴과 이를 갖는 인쇄물, 그리고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ttern,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ttern, a printed matter having the patter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pattern is clearly identified only under limited conditions.

시각적으로 인식되는 이미지(image)란 가시광선이 분광된 특정 파장의 색상의 조합을 통하여 인체의 망막을 통하여 인식되는 결과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미지는 전자화된 발광수단에 의하여 자체적으로 구현되거나 종이 등의 피인쇄물에 색상을 가지는 성분이 도포됨으로써 외부의 가시광선의 반사에 의하여 인식이 가능해진다.A visually perceived image is the result of visible light being recognized through the human retina through a combination of spectrums of specific wavelengths. Such an image can be realized by the electronic light emitting means itself, or can be recognized by the reflection of visible light from outside by applying a component having color to an object such as paper.

한편 이러한 이미지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는 바, 근래에는 단순한 시각적 미감을 위한 목적을 넘어 특별한 기능을 가지는 용도를 충족시킬 것을 요구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경우로는 해당 이미지가 사용된 출처가 진정한 것인가를 밝히는 용도로의 활용을 예로 들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해당 이미지에 특별한 인식수단이 구비되어 피착물이 진정한 것인가를 증명하는데에 사용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se images are provided in various forms, and in recent years, it is required to meet the purpose of having a special function beyond the aim of simple visual aesthetics.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emplified by the use of the image as an indication of whether or not the source of the image is genuine. More specifically, the image may be provided with special recognition means to prove whether the object is genuine .

이러한 전형적인 예로는 이미지가 포함된 인쇄물에 특수한 레이저장비를 이용하여 홀로그램을 부가함으로써 시각적으로 쉽게 특별한 이미지임을 인식시키는 방식을 들수 있다(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40968 '위변조 방지기능을 갖는 보안용지 및 이의 제조방법). 그러나 이러한 홀로그램 방식은 고가의 레이저장비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어 소량의 인쇄물에는 적절하지 아니하다는 문제가 발생한다.A typical example of this is a method of recognizing that a printed image containing an image is a special image easily by adding a hologram using a special laser apparatus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8-0040968 'Security paper with forgery prevention function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of). However, such a hologram method has a disadvantage of requiring expensive laser equipment, which is not suitable for a small amount of printed matter.

그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최신의 디지털기술을 이용하여 목적을 달성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으며, 예로써 인쇄내용을 암호화한 인증마크를 부가하여 별도의 인식장비에 의하여 진위여부를 파악하도록 하는 기술(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39306 '보안 문서')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디지털기술 방식은 별도의 인식장비가 있어야만 해당 인쇄물의 진위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In order to overcome such disadvantages, techniques for achieving the object by using the latest digital technology have recently been proposed. For example, a technique of adding an authentication mark that encrypts the print contents to identify authenticity by a separate recognition devic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39306 " Security Document ") has been proposed. However, this digital technology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necessary to have a separate recognizing device so that the authenticity of the printed matter can be grasped.

특히, 상기의 공지의 기술들은 모두 인쇄물의 진정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인식수단이 외부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있어, 이는 오히려 홀로그램 자체를 모방하거나 인증마크를 모방하여 인쇄물에 추가함으로써 일반 사용자에게는 '진정한 인쇄물' 인 것으로 오인토록 하는 부작용이 발생하는 바, 오히려 진정성 판단을 위한 목적이 악용되는 실정이다.Particularly, in all of the above-described known technologies, recognition means for judging authenticity of a printed matter is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which rather imitates the hologram itself or imitates an authentication mark to the printed matter, ', But rather the purpose of judging authenticity is abuse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들이 가지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고가의 장비나 별도의 특수장비가 없이도 쉽게 진위여부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감식 패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st pattern that can be easily confirmed whether or not it is authentic even without expensive equipment or special equipment.

나아가 본 발명은 외부로 쉽게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감식 패턴의 유무를 즉각적으로 인지하지 못하게 하면서도, 간단한 방법으로 용이하게 인지가 가능토록 하는 감식 패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cognition pattern that allows a user to easily recognize presence or absence of a recognition pattern by a simple method because the user is not easily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감식 패턴을 갖는 인쇄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inted matter having the above-mentioned pattern of recognition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감식 패턴은, 망점(網點, halftone dot)의 집합으로 시각적인 이미지를 표현하는 패턴에 있어서, 이미지의 일부는 배경이미지의 망점선수(LPI)와 상이한 망점선수를 가짐으로써 히든이미지를 형성하되, 선수의 차이는 20 LPI 를 초과하지 않음으로써 육안으로 망점의 선수차이가 드러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진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ttern for representing a visual image as a set of halftone dots, wherein a part of the image is a halftone dots (DPI) To form a hidden image, but the difference of the athletes does not exceed 20 LPI, so that the difference of the skaters in the halftone dot is not revealed visually.

그리고 본 발명의 감식 패턴을 갖는 인쇄물은, 상기의 감식 패턴이 표현된 인쇄물의 상부에 이미지의 망점 선수(LPI)와 동일한 해상도의 선수(LPI)를 가지는 볼록형 코팅층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다.The printed matter having the identification pattern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convex coating layer having a forehead (LPI) having the same resolution as that of the dotted line borders (LPI) of the image on the printed matter on which the above-mentioned identification pattern is expressed.

또한 본 발명의 감식 패턴을 갖는 인쇄물 제조방법은, 망점(網點, halftone dot)의 집합으로 시각적인 이미지를 표현하는 인쇄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원본 이미지를 소정의 망점각도를 가지는 망점으로 표현한 망점이미지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망점이미지의 일부를 원래의 망점선수와 상이한 망점선수로 변경하여 히든이미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히든이미지가 형성된 망점이미지를 인쇄하여 인쇄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producing a printed matter having a visual pattern as a set of halftone dots,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Converting a portion of the halftone dot image into a halftone dot image different from the original halftone dot image to form a hidden image, and printing a halftone dot image on which the hidden image is formed to obtain a printed imag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감식 패턴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먼저 본 발명은 고가의 장비나 별도의 특수장비가 없이도 쉽게 구현이 가능이 가능하므로, 소량의 인쇄물에도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구현이 가능할 뿐 아니라, 디지털화된 이미지 자체에도 채택이 가능하므로 전자적 디스플레이 수단에서도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without using expensive equipment or special equipment, it can be easily implemented at a low cost even in a small amount of printed matter, and also can be adopted to a digitalized image itself. Lt; / RTI >

다음으로 본 발명은 외부로 쉽게 드러나지 않지만 간단한 방법으로 용이하게 인지가 가능하므로, 적극적인 모방에 의하여 소비자가 오히려 오인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가 발생된다.Next,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easily exposed to the outside, it can be easily recognized by a simple method.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of solving the problem that the consumer is rather mistaken due to active imitation.

도 1: 망점의 집합으로 시각적으로 표현되는 이미지의 예
도 2: 도 1을 확대한 이미지
도 3: 원본 이미지의 일부 영역을 히든이미지로 설정한 예
도 4: 원본 이미지에서 히든이미지를 분리한 예
도 5: 분리된 히든이미지의 망점각도를 변경한 예
도 6: 망점각도가 변경된 히든이미지를 원본 이미지에 합한 예
도 7: 도 6의 이미지 일부를 확대한 예
도 9: 망점선수가 변경된 히든이미지를 원본 이미지에 합한 예
도 10: 도 9의 이미지 일부를 확대한 예
도 11: 검증을 위한 투명필름을 본 발명의 감식패턴에 올린 예
도 12: 검증을 위한 투명필름을 본 발명의 감식패턴에 다른 각도로 올린 예
도 13: 본 발명의 감식패턴이 표현된 인쇄물 상부에 코팅층을 형성한 예
도 14: 도 13의 코팅층이 형성된 인쇄물의 실제 예
도 15: 본 발명에 의한 감식 패턴을 갖는 인쇄물의 제조방법
Figure 1: An example of an image that is visually represented as a collection of halftone dots
Figure 2: An enlarged view of Figure 1
Figure 3: Example of setting a partial image of the original image as a hidden image
Figure 4: Example of detached hidden image from original image
Figure 5: Example of changing the halftone angle of the separated hidden image
Fig. 6: Example of combining hidden images with changed halftone angles in the original image
7: An enlarged view of part of the image of Fig. 6
Figure 9: Example of adding hidden image with changed dyed image to original image
10: Example of enlarging a part of the image of Fig. 9
11: Example in which a transparent film for verification is placed on the identification pattern of the present invention
12: Example of raising the transparent film for verification at different angles to the patter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Example of forming a coating layer on the printed matter in which the identification patter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ressed
14: Actual example of a printed matter on which the coating layer of Fig. 13 is formed
Fig. 15: Method for producing printed matter having a test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감식 패턴과 이를 갖는 인쇄물, 그리고 그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5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S. 1 to 15.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 및 도 2를 통하여 본 발명에서 이미지를 표현하는 방식에 관하여 설명한다.First, a method of representing an image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nd FIG.

시각적인 이미지를 표현하는 방식은 다양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망점의 집합으로 이미지를 표현하는 패턴방식을 활용하며, 이는 서로 다른 농담(濃淡)을 가지는 미세한 점의 집합에 의해 전체 이미지의 구성을 느끼는 방식이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pattern method of representing an image by a set of a plurality of halftone dots is utilized. This is because the structure of the whole image is formed by a set of fine points having different shades It is a way to feel.

특히 인쇄를 함에 있어서는 이미지를 서로 크기가 다른 다수의 망점으로 분해하여 인쇄판을 제작하고, 이러한 망점부위에 잉크가 용지에 묻어나는 방식을 통하여 요망하는 농담을 구현함으로써 전체적인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얻게 된다.In particular, in printing, the imag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halftone dots having different sizes to produce a printing plate, and a desired image is visually obtained by implementing the desired dullness through a method in which ink is applied to the halftone dots.

이때에 칼라로 된 이미지의 경우 Y(Yellow), M(Magenta), C(Cyan), K(Black) 의 4원색으로 분리하여 각각의 색상에 대해 다수의 망점으로 분해함으로써 Y, M, C, K 의 인쇄판을 얻고, 이들 각각의 색상을 단일 용지에 누적적으로 인쇄를 하는 방식으로 예로써 도 1에서 도시된 것과 같은 자연스러운 칼라색상의 이미지를 얻게 되는데, 이처럼 인쇄된 상태를 확대하여 살펴보면 도 2와 같이 다수의 망점 모임의 집합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때 작은 장미 꽃무늬를 로제트(Rossete) 라고 한다.In this case, the color image is divided into four primary colors of Y (Yellow), M (Magenta), C (Cyan), and K (Black) K and a color image of a natural color as shown in FIG. 1 is obtained by cumulatively printing each of these colors on a single sheet of paper. As shown in FIG. 2, , And the small rose pattern is called Rossete (Rosset).

이러한 로제트 무늬가 발생하는 이유는 모아레(moire) 현상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하여 Y, M, C, K 각각의 망점을 일정한 각도에 맞추어 선상으로 분포를 하되 각각의 색상의 망점각도를 서로 일정 각도 이상으로 떨어지게 틀어서 위치시킴으로써 발생하는 것이다.The reason why the rosette pattern is generated is to distribute the lines of the Y, M, C, and K halves at a certain angle in order to suppress the moire phenomenon as much as possible, It is caused by placing it apart and turning it.

이때 인체학상 가장 구분이 잘되는 각도로는 M, C, K 를 각기 서로가 30도 떨어지게 각도를 부여하고, Y 를 임의의 두 색상의 중간값을 가지도록 각도를 부여하게 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음 표 1과 같은 망점각도를 부여하였다.At this time, M, C, and K are given angles so that they are separated by 30 degrees from each other, and Y is given an angle so as to have an intermediate value of any two colors. In the example, dot angles are given as shown in Table 1 below.


색상

color

Y

Y

M

M

C

C

K

K

망점각도

Dot angle

7.5

7.5

52.5

52.5

22.5

22.5

85.5

85.5

상기한 바와 같이 망점(網點, halftone dot)의 집합으로 시각적인 이미지를 표현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감식 패턴은 이미지의 일부는 배경이미지의 망점각도와 상이한 망점각도를 가짐으로써 히든이미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expressing a visual image as a set of halftone dots, the detection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alftone angle different from the halftone angle of the background image to form a hidden image .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이를 살펴보면, Referring to FIGS. 3 to 7,

먼저 도 3에서와 같이 Y, M, C, K 로 분리되어 상기의 망점각도를 가지도록 분해된 원본 이미지를 준비하고, 그중의 일부영역을 분리(Rip)하여 히든이미지 영역으로 설정한다.First, as shown in FIG. 3, an original image decomposed into Y, M, C, and K is prepared so as to have the above-mentioned halftone angles, and a part of the original image is separated to set a hidden image area.

이때 도 4의 남아있는 원래의 이미지는 배경이미지가 되며, Y=7.5, M=52.5, C=22.5, K=85.5 의 망점각도를 갖는다. 그리고 분리된 도 5의 영역은 히든이미지가 되며, 배경이미지에서 가졌던 원래의 망점각도와는 서로 상이한 망점각도를 부여하여 예로써 Y=82.5, M=22.5, C=52.5, K=7.5 의 망점각도를 갖는다.At this time, the remaining original image of FIG. 4 becomes a background image, and has a dotted angle of Y = 7.5, M = 52.5, C = 22.5, K = 85.5. The separated area of FIG. 5 becomes a hidden image, and the halftone angle i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halftone angle of the background image. For example, a halftone angle of Y = 82.5, M = 22.5, C = 52.5, .

이처럼 배경이미지와 히든이미지가 서로 다른 망점각도를 가진 상태에서 이미지를 다시금 합하게 되면 도 6에서와 같이 전체 이미지가 다시금 완성이 되며, 배경이미지와 히든이미지를 구성하는 각 색상의 망점각도는 다음 표 2에서와 같이 서로 상이한 각도를 가지게 된다.If the background image and the hidden image have different dot angles and the images are added again, the entire image is completed again as shown in FIG. 6, and the dot angles of the respective colors constituting the background image and the hidden image are 2, as shown in Fig.


색상

color

Y

Y

M

M

C

C

K

K

배경이미지
망점각도

Background image
Dot angle

7.5

7.5

52.5

52.5

22.5

22.5

85.5

85.5

히든이미지
망점각도

Hidden image
Dot angle

82.5

82.5

22.5

22.5

52.5

52.5

7.5

7.5

대표적인 예로써, C 색상의 망점만을 분리하여 확대한 도 7을 참조하면, 배경이미지의 망점각도는 22.5도를 가지는 한편 점선 내부의 히든이미지의 망점각도는 52.5도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As a representative example, referring to FIG. 7 in which only the halftone of the C color is separated and enlarged, it can be seen that the halftone angle of the background image is 22.5 degrees while the halftone angle of the hidden image inside the dotted line is 52.5 degrees.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상기의 표 2 에서와 같이 히든이미지를 구성하는 각 색상의 망점각도는 배경이미지에서 원래 색상의 망점각도와는 상이하지만 배경이미지의 다른 색상의 망점각도와는 일치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able 2, the halftone angles of the respective colors constituting the hidden image are different from the halftone angles of the original colors in the background image, It is possible to match.

배경이미지의 각 색상간의 망점각도는 Y 를 제외하고는 30도 간격을 유지하고 Y 는 임의의 색상간 중간에 위치함으로써 색상간의 간섭을 최소화하는 바, 히든이미지를 구성하는 각 색상의 망점각도는 원래의 색사의 망점각도와는 다르지만 다른 색상의 망점각도와는 일치시키게 되면, 색상간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모아레현상을 최대한 억제하면서도, 배경이미지의 분리된 색상의 망점각도의 연장선에 놓이는 효과가 발생됨으로써 시각적으로 이질감이 최소화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히든이미지가 쉽게 인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halftone angle between each color of the background image is kept at an interval of 30 degrees except Y, and Y is located at an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arbitrary colors, thereby minimizing interference between colors. Thus, the halftone angle of each color constituting the hidden image is ,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terference between colors and minimize the moiré phenomenon, and the effect of being placed on the extended line of the dotted angle of the separated color of the background image is generated, so that the visual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easily recognizing the hidden image.

특히 표 2에서와 같이 서로 상보적인 위치에 있는 M 과 C 의 망점각도를 서로 바꾸어 일치시키고, Y 와 K 의 망점각도를 서로 일치시키게 되면 망점각도의 변화에 따라 배경이미지와 히든이미지가 육안으로 식별되어 지는 현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as shown in Table 2, when the halftone angles of M and C which are in mutually complementary positions are changed and matched and the halftone angles of Y and K are matched with each other, the background image and the hidden image are visually identifi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is caused by the vibration.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와 같이 망점각도를 일치시키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히든이미지의 망점각도를 배경이미지의 망점각도 사잇값에 위치시킴으로써 다양한 색상간에 망점각도가 분산됨으로써 히든이미지가 육안으로 식별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Howe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halftone dot angles are matched as described above, but the halftone dot angles are dispersed among various colors by locating the halftone dot angle of the hidden image at the halftone dot angle of the background image, It is sufficiently possible to minimize what is identified as < RTI ID = 0.0 >

한편 C 색상의 망점만을 분리하여 확대한 도 7을 다시한번 참조하면, 히든이미지 영역을 분리하고 망점각도를 변경하는 과정에서, 이미지 경계에 있던 특정 망점은 분리되어 쪼개진다. 이처럼 망점이 쪼개지면 망점각도가 변경되는 과정에서 다른 곳으로 위치가 변경되어 배경이미지와 히든이미지의 이미지 경계에서 불균일성이 나타나는 현상이 발생한다.Referring again to FIG. 7, in which only the halftone of the C color is separated and enlarged,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hidden image area and changing the halftone angle, the specific halftone dot at the image boundary is separated and split. When the halftone dot is split, the position of the halftone dot is changed to another position i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halftone dot angle, resulting in nonuniformity in the image boundary between the background image and the hidden image.

이러한 불균일성은 전체 이미지를 보았을때 특정 경계에서 두드러져 사용자들에게 주목될 수 있다.This non-uniformity can be noticeable to the user when the entire image is viewed at a particular boundary.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이미지 경계에서 쪼개어진 망점이 일정 % 이하인 경우에는 삭제함으로써 불균일성을 최소화한다. 예로써 도 8에서는 이미지 경계에 있는 망점이 원래 크기의 50% 이하인 경우에 이를 삭제하였으며, 그로 인해 이미지 경계에서의 불균일성을 최소화하고 사용자에게 이미지 경계가 주목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그리고 이는 후술하는 망점의 밀도를 달리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alftone dot splitting at the image boundary is less than a certain percentage, the non-uniformity is minimized by deleting the halftone dot. For example, in FIG. 8, when the halftone dot at the image boundary is less than 50% of the original size, it is deleted, thereby minimizing the non-uniformity at the image boundary and preventing the user from paying attention to the image boundar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is can also be applied to the case of varying the density of the halftone dots described later.

다음으로 본 발명은 망점(網點, halftone dot)의 밀도를 배경이미지와 히든이미지를 서로 달리하여 전체 이미지를 표현으로써 감식 패턴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pattern of the halftone dots by expressing the entire image by differentiating the density of the halftone dot from the background image and the hidden image.

망점의 집합으로 이미지를 표현함에 있어서는 망점각도에 따라 망점이 놓이는 갯수를 조절함으로써 해상도를 설정하게 되며, 인쇄의 경우에는 1인치당 놓이는 망점의 선수(LPI = Line per Inch) 의 단위를 적용한다. 이에 본 발명은 배경이미지와 히든이미지의 망점의 선수를 다르게 적용함으로써 히든이미지를 형성하는 것이다.To represent an image with a set of halftone dots, the resolution is set by adjusting the number of halftone dots according to the halftone dot angle. In the case of printing, the unit of the halftone dots per line (LPI = Line per inch) is applie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hidden image by differently applying a background image and a hidden image of a hidden image.

이를 도 9 내지 도 10을 추가로 참조하여 살펴보면, Referring to FIGS. 9 to 10,

먼저 앞서의 도 3에서와 같이 Y, M, C, K 로 분리되어 망점으로 분해된 원본 이미지를 준비하고, 그중에서 히든이미지 영역을 분리하여 도 4에서와 같이 배경이미지 영역을 설정한다.First, as shown in FIG. 3, an original image decomposed into Y, M, C, and K is prepared, and a background image area is set as shown in FIG. 4 by separating the hidden image area.

그리고는 분리된 히든이미지 영역의 망점선수(LPI) 를 배경이미지와 다르게 설정하되 예로써 히든이미지의 망점선수를 낮추어 이들을 합하게 되면 도 9에서와 같이 전체 이미지가 다시금 완성이 된다.Then, the LPI of the separated hidden image area is set differently from the background image. For example, if the dot image of the hidden image is lowered and added together, the entire image is completed again as shown in FIG.

도 10은 전체 감식패턴 중에서 배경이미지와 히든이미지가 함께 있는 영역을 확대하여 망점선수의 변화를 보이는 것이며, 배경이미지에 비하여 히든이미지의 망점크기가 커지면서 단위 거리당 망점의 밀도(망점선수) 가 감소하는 결과가 도출됨을 확인할 수 있다.FIG. 10 shows a change in a dotted dot pattern by enlarging an area where a background image and a hidden image are included in the entire recognition pattern, and the dot size of the hidden image is increased in comparison with the background image,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이때, 히든이미지의 망점선수는 배경이미지 망점선수로부터 -20 LPI ~ +20 LPI 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망점선수의 차이가 20 LPI 를 초과하게 되면 감식 패턴을 육안으로 관찰하였을때 선수 차이가 인지되기 때문에 외부로 쉽게 드러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수적인 효과에 역행하기 때문이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halftone dot of the hidden image has a range of -20 LPI to +20 LPI from the halftone dot of the background image. If the difference of the dots is more than 20 LPI, because the difference of the athlete is visually observed when the visual pattern is observed with the naked eye, it contradicts the incidental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s not to be easily exposed to the outside.

나아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미지의 해상도는 적어도 195 LPI 이상의 고해상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 바, 상기에서와 같이 히든이미지의 망점선수를 원래의 이미지에서 -20 LPI 조절한다 하더라도 최하 육안으로 구별가능한가의 기준이 되는 175 LPI 이상의 해상도가 되어야만 배경이미지와 히든이미지 간의 망점각도의 차이가 육안으로 드러나지 않기 때문이다.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solution of the imag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igh resolution of at least 195 LPI.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dot image of the hidden image is adjusted to -20 LPI in the original image, This is because the difference in the dot angle between the background image and the hidden image is not visible to the naked eye only when the resolution is higher than 175 LPI.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감식 패턴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진정성 여부를 확인가능하게 한다.The identification patter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enables the user to confirm authenticity in the following manner.

첫째, 확대하는 방법.First, how to enlarge.

사용자는 육안으로 최대한 자세히 들여다 보거나 돋보기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구성하는 망점을 자세하게 관찰함으로써 배경이미지와 히든이미지의 망점각도 그리고 망점선수가 서로 상이함을 관찰할 수 있다.The user can observe the background image and the hidden image angle of the hidden image and the dots of the hidden image by observing the dots that make up the image in detail by visually checking the details with the naked eye or by using a magnifying glass.

또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서는 화면의 확대를 통하여 용이하게 망점의 변화를 관찰하여 감식 패턴의 진정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Or through the display means, the change of the halftone dot can be easily observed through the enlargement of the screen, thereby confirming the authenticity of the test pattern.

둘째, 모아레 무늬를 확인하는 방법.Second, how to identify moire patterns.

모아레 무늬(moire fringe)는 주기적인 밀도로 선상으로 분포된 망점의 분포가, 동일한 밀도로 분포된 다른 선들의 집합과 겹치게 되면 발생하는 특유의 무늬를 말하며, 본 발명에서 망점이 분포된 감식 패턴의 상부에 감식 패턴의 망점선수의 배수에 해당하는 1/3배, 1/2배, 2배, 3배 등의 망점선수를 가지는 투명필름을 놓게되면 배경이미지와 히든이미지에 있어서 발생하는 모아레 무늬가 서로 다르게 되는바, 감식 패턴의 진정성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The moire fringe refers to a unique pattern generated when the distribution of dotted lines distributed on a line at a periodic density overlaps with a set of other lines distributed at the same densit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ire fringe , A halftone dot having 1/3 times, 1/2 times, 2 times, or 3 times the halftone dot corresponding to a multiple of the halftone dots of the detection pattern is placed, the moire patterns generated in the background image and the hidden image are As a result, the authenticity of the pattern can be easily confirmed.

예로써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감식 패턴과 동일한 밀도로 패턴된 투명필름을 인쇄물의 배경이미지에 각을 일치시키면 히든이미지에서 모아레 무늬가 나타나지만(도 11), 투명필름을 회전시켜 히든이미지에 각을 일치시키면 배경이미지에서 모아레 무늬가 나타나게 되며(도 12) 이로써 사용자는 용이하게 감식 패턴으로부터 진정성 여부를 확인이 가능하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11 and 12, when a transparent film patterned with the same density as the pattern is matched to the background image of the printed matter, a moiré pattern appears in the hidden image (FIG. 11) The moire pattern is displayed in the background image (FIG. 12). As a result, the user can easily confirm the authenticity from the patter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감식 패턴은 종이 또는 합성종이 등의 인쇄물에 표현되어 실제 제품에 부착되거나 인쇄물 자체로서 활용되는 등의 방식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identification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such a manner that it is expressed in a printed material such as paper or synthetic paper and attached to an actual product or used as a printed material itself.

그런데 이처럼 인쇄물에 표현되는 경우에는 인쇄물 상부에 별도의 볼록형 코팅층을 형성하면 별도의 부수적인 장비 없이 모아레 무늬를 쉽게 확인할수 있는 추가적인 효과가 발생한다.However, if a printed convex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printed matter in such a printed matter, there is an additional effect that the moire pattern can be easily confirmed without additional auxiliary equipment.

이를 도 13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감식 패턴이 표현된 인쇄물의 상부에 투명한 코팅층을 형성하되 코팅층은 주기적으로 볼록한 패턴이 형성되어지며, 이때 형성된 볼록층의 주기는 인쇄물에 표현된 감식 패턴의 주기와 일치시킨다.Referring to FIG. 13, a transparent coating layer is formed on top of a printed matter on which a test pattern is expressed, and a periodic convex pattern is formed on the coating layer. The period of the convex layer formed at this time corresponds to the period of the pattern .

이때 볼록형 코팅층은 인쇄물 상부에 투명코팅층을 형성한 후 표면에 미세 스크래칭을 형성함으로써 얻어낼 수 있으며, 또는 라미네이팅 필름에 미세한 볼록처리를 특정 주기로 형성한 것을 인쇄물 상부에 접착하는 등의 방식으로 얻어낼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vex type coating layer can be obtained by forming a transparent coating layer on the upper side of the printed material and forming fine scratching on the surface thereof, or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convex type coating layer by a method in which fine convex forming is formed at a specific period on the laminating film, have.

이러한 볼록형 코팅층을 감식 패턴이 표현된 인쇄물 상부에 형성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층의 볼록 패턴이 형성된 방향과 감식 패턴의 배경이미지 간의 간섭에 의한, 또는 코팅층의 볼록 패턴이 형성된 방향과 감식 패턴의 히든이미지 간의 간섭에 의한 모아레 무늬가 별도로 형성되면서 배경이미지와 히든이미지가 별도의 인식수단없이도 육안으로 쉽게 식별되어지는데, 이때 볼록형 코팅층이 마치 볼록렌즈의 역할을 하면서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모아레 무늬가 상이하게 관찰되므로 마치 홀로그램과 같은 입체적인 영상을 제공하는 바, 본 발명에 의한 감식 패턴을 더욱 쉽고 효과적으로 진정성 여부의 파악에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n such a convex-shaped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printed matter having the identification pattern, interference betwee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vex pattern of the coating layer is formed and the background image of the detection pattern, or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vex pattern of the coating layer is formed, The background image and the hidden image are easily distinguished by the naked eye without a separate recognition means. At this time, the convex type coating layer acts as a convex lens, and the moire pattern according to the viewing direction So that a stereoscopic image such as a hologram can be provided, so that the identification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more easily and effectively for identification of authenticity.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의한 감식 패턴을 갖는 인쇄물의 제조방법을 도 15 를 참고로 설명한다.Next,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inted matter having a pattern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에 의한 감식 패턴은 망점의 집합으로 시각적인 이미지를 표현하는 인쇄물을 대상으로 구현되는 것인 바, 먼저 원본 이미지를 소정의 망점각도를 가지는 망점으로 표현한 망점이미지로 변환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The identification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on a printed matter that represents a visual image as a set of halftone dots. First, the original image is converted into a halftone dot image expressed as a halftone dot having a predetermined halftone angle.

이때에 원본 이미지가 칼라로 된 경우는 다색의 원색으로 분리하는 과정(S100: 색상분리단계) 을 거친후에 각 색상별로 망점으로 분해하는 과정(S200: 망점분해단계) 을 거친다.In this case, when the original image is a color image, the color image is divided into multicolor primary colors (S100: color separation step), and then decomposed into halftone dots by each color (S200: halftone decomposition step).

예로써 인쇄방식에 의하여 피인쇄지에 잉크를 묻혀서 구현되는 인쇄물인 경우, 원본 이미지를 Y, M, C, K 의 색상으로 분리하여 각 색상별로 망점을 분해한 이미지를 얻은 후, 각각의 색상별로 망점이 인쇄되도록 하는 인쇄판을 제작하게 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printed material embodied with ink on a printing paper by a printing method, an original image is separated into colors of Y, M, C and K, and an image obtained by dividing the halftone dots by each color is obtained. A printing plate is produced.

이때, 망점분해를 거친 이미지는 망점속성 변경단계(S300) 을 거치게 되는데, 각 색상별로 분해된 이미지에서 히든이미지에 해당하는 영역을 추출한 후, 전술한 바와 같이 망점의 각도를 변경하거나 망점선수를 변경하여 다시금 원래의 이미지에 적용함으로써 변환된 망점 이미지를 얻을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image subjected to the halftone decomposition is subjected to the step of changing the halftone dot property (S300). After extracting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hidden image from the decomposed image for each color, the angle of the halftone dot is changed, And then applied to the original image again to obtain the converted halftone dot image.

그리고는 이처럼 변환된 망점이미지를 색상별로 피인쇄물에 순차적으로 인쇄를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감식 패턴이 적용된 인쇄물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S400: 인쇄단계).Then, by sequentially printing the converted halftone dot images on an object by color, it is possible to obtain a printed matter to which the detection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S400: printing step).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감식 패턴을 갖는 인쇄물 제조방법은 예로써 프린터 등의 출력수단에 의하여 구현될수도 있다.Meanwhile,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printed matter having the identification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an output means such as a printer, for example.

프린터 등의 출력수단은 레이저프린터의 경우 토너헤드로부터 특정 방향으로 잉크가 분사되어 드럼에 감긴 인쇄지에 고착시킴으로써 인쇄물을 얻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In the case of a laser printer, an output means such as a printer is subjected to a process of obtaining printed matter by fixing ink to a printing paper wound around the drum by ejecting ink in a specific direction from the toner head.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감식 패턴을 갖는 인쇄물 제조방법은, 출력수단에 의하여 인지되어 각 색상별로 잉크의 분사량을 조절가능한 망점 이미지를 변환하되, 히든이미지가 형성된 망점이미지를 색상별로 분리하여 얻는 것은 상기의 인쇄방법에서와 동일하다. 다만 얻어진 망점이미지를 인쇄판으로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 출력수단에 제공하여 색상별로 인쇄를 함으로써 본 발명을 구현하는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producing a printed matter having a detection pattern, comprising the steps of: converting a halftone dot image which is recognized by the output means and capable of adjusting the ink ejection amount for each color, It is the same as the printing method. However, the obtained halftone dot image is not produced as a printing plate but is provided to a computer output means to print by color, thereby realizing the present invention.

쉬운 예로는, 변환된 망점이미지는 배경이미지와 히든이미지 영역을 포함하고 있으며, 배경이미지를 이루는 색상들의 망점각도와 히든이미지를 이루는 색상들의 망점각도를 서로 달리하여, 1차적으로 특정 방향으로 피인쇄지를 출력수단으로 삽입하여 배경이미지가 토너헤드에 의한 출력이 되도록 함으로써 기본 망점각도에 의하여 출력되도록 하고, 2차적으로 그와 상이한 방향으로 히든이미지를 출력하여 1차 망점각도와 상이한 망점각도를 가지게 함으로써 본 발명의 구현이 가능하다.As an easy example, the converted halftone dot image includes a background image and a hidden image area. The halftone angle of the hues forming the background image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hues forming the hidden image, The background image is output by the toner head so that the background image is outputted by the basic halftone dot angle and the hidden image is output in the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halftone dot angle so as to have a different halftone angl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또다른 예로는, 변환된 망점이미지는 배경이이미와 히든이미지 영역을 포함하되, 배경이미지와 히든이미지의 망점 밀도는 최대 20 LPI 이내의 범위를 가지도록 하고, 이를 출력수단을 통하여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구현이 가능하다.As another example, the converted halftone dot image includes an image area in which the background is already present, and the density of the halftone dots of the background image and the hidden image is within a range of maximum 20 LPI, Implementation of the invention is possible.

특히 상기와 같은 출력수단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감식 패턴을 인쇄하는 과정에 있어서는 컴퓨팅 수단과 출력수단이 원격의 장소에 있으면서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 원격에서의 컴퓨팅 수단의 명령으로 출력수단에 의하여 용이하게 본 발명에 의한 감식 패턴을 갖는 인쇄물을 제조가능한 장점이 발생한다.In particular, in the process of printing the identification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output means as described above, the computing means and the output means may be remotely located and connected by a network.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rinted matter having the identification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anufactured by the output means.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식 패턴과 이를 갖는 인쇄물, 그리고 그 제조방법은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Meanwhile, it is apparent that the above-described pattern, the printed matter having the same,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and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 variety of ways.

S100: 색상분리단계
S200: 망점분해단계
S300: 망점속성 변경단계
S400: 인쇄단계
S100: Color separation step
S200: halftone decomposition step
S300: Step of changing the hue property
S400: Printing step

Claims (18)

망점(網點, halftone dot)의 집합으로 시각적인 이미지를 표현하는 패턴에 있어서,
이미지의 일부는 배경이미지의 망점선수(LPI)와 상이한 망점선수를 가짐으로써 히든이미지를 형성하되,
선수의 차이는 20 LPI 를 초과하지 않음으로써 육안으로 망점의 선수차이가 드러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식 패턴.
For a pattern that represents a visual image as a set of halftone dots,
A portion of the image has a dot dot player (LPI) different from that of the background image to form a hidden image,
The difference of the athletes does not exceed 20 LPI, so that the difference of the athlete's skate is not visually recogniz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망점의 선수(LPI)는 적어도 195 LPI 이상의 고해상도를 가짐으로써 육안으로 망점선수의 차이가 드러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식 패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LPI of the halftone dot has a high resolution of at least 195 LPI or more so that the difference of the halftone dot players is not visually eviden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경이미지의 망점각도와 히든이미지의 망점각도를 상이한 각도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식 패턴.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halftone angle of the background image and the halftone angle of the hidden imag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는 서로 망점각도가 다른 다색 원색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히든이미지의 다색 망점각도는 배경이미지의 원래 색상의 망점각도와는 다르면서 다른 색상의 망점각도와는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식 패턴.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image comprises a combination of multicolor primary colors having mutually different dot angles,
Wherein the multi-color dot angle of the hidden image is different from the dot angle of the original color of the background image, and matches the dot angle of other colors.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가 y, m, c, k 의 4색으로 이루어진 경우,
히든 이미지의 y는 배경이미지의 k 망점각도와 일치하고,
히든 이미지의 m은 배경이미지의 c 망점각도와 일치하고,
히든 이미지의 c는 배경이미지의 m 망점각도와 일치하고,
히든 이미지의 k는 배경이미지의 y 망점각도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식 패턴.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image is composed of four colors y, m, c, and k,
Y of the hidden image matches the k-dot angle of the background image,
M of the hidden image coincides with the c-dot angle of the background image,
C of the hidden image matches the m-dot angle of the background image,
Wherein the k of the hidden image corresponds to the y-dot angle of the background imag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는 서로 망점각도가 다른 다색 원색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히든이미지의 다색 망점각도는 배경이미지 원래의 색상의 망점각도간 사잇값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식 패턴.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image comprises a combination of multicolor primary colors having mutually different dot angles,
Wherein the multi-color dot angle of the hidden image is set to a square value between dot angles of original colors of the background image.
청구항 1 내지 6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이미지와 히든이미지의 이미지 경계에서 쪼개어진 망점이 원래의 크기보다 특정한 비율 이하인 경우 이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식 패턴.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nd deletes the halftone dots split at the image boundary of the background image and the hidden image when the halftone dots are less than a specific ratio than the original size.
청구항 1 내지 7의 감식 패턴이 표현된 인쇄물에 있어서,
상기 감식 패턴이 표현된 인쇄물 상부에 이미지의 망점 선수(LPI)의 배수에 해당하는 선수(LPI)를 가지는 볼록형 코팅층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식 패턴을 갖는 인쇄물.
In the printed matter in which the identification pattern of claims 1 to 7 is expressed,
Further comprising a convex coating layer having a bow (LPI) corresponding to a multiple of the dotted line prime (LPI) of the image on the printed matter on which the identification pattern is expressed.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 코팅층은 인쇄물 상부에 형성된 라미네이팅에 망점 선수(LPI)와 동일한 해상도의 선수(LPI)로 스크래칭하는 과정을 거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식 패턴을 갖는 인쇄물.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vex coating layer is formed by a process of scratching the laminating lay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with LPI having the same resolution as the LPI.
망점(網點, halftone dot)의 집합으로 시각적인 이미지를 표현하는 인쇄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원본 이미지를 소정의 망점선수(LPI)를 가지는 망점으로 표현한 망점이미지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망점이미지의 일부를 원래의 망점선수와 상이한 망점선수로 변경하여 히든이미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히든이미지가 형성된 망점이미지를 인쇄하여 인쇄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식 패턴을 갖는 인쇄물 제조방법.
CLAIMS 1. A method for producing a printed matter representing a visual image as a set of halftone dots,
Converting the original image into a halftone dot image represented by a halftone dot having a predetermined dot-dot player (LPI)
Changing a part of the halftone dot image to a halftone dot image different from the original halftone dot image to form a hidden image,
And printing a halftone dot image on which the hidden image is formed to obtain a printed matter.
청구항 10에 있어서,
인쇄된 망점의 선수(LPI)는 적어도 195 LPI 이상의 고해상도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육안으로 망점각도의 차이가 드러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식 패턴을 갖는 인쇄물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LPI of the printed halftone dots has a high resolution of at least 195 LPI or more so that the difference in dot angle is not visually evident.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히든이미지의 망점 각도를 원래의 망점각도와 상이하게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식 패턴을 갖는 인쇄물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changing the dot angle of the hidden image to be different from the original dot angle.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원본 이미지는 다색의 원색으로 분리가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분리되어 망점각도가 변경된 히든이미지의 망점각도는 다른 색상의 원래의 망점각도와는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식 패턴을 갖는 인쇄물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original image can be divided into primary colors of multiple colors,
Wherein the halftone angles of the hidden images having the separated halftone angles coincide with the original halftone angles of the other halftone colors.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원본 이미지는 다색의 원색으로 분리가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이미지는 서로 망점각도가 다른 다색 원색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분리되어 망점각도가 변경된 히든이미지의 망점각도는 다른 색상의 원래의 망점각도간 사잇값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식 패턴을 갖는 인쇄물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original image can be divided into primary colors of multiple colors,
Wherein the image comprises a combination of multicolor primary colors having mutually different dot angles,
Wherein the halftone angles of the separated hidden image having the halftone angles are set to a square value between original halftone angles of different colors.
청구항 10 내지 14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히든이미지가 형성된 망점이미지를 인쇄하여 인쇄물을 얻는 것은,
상기 망점이미지가 표현된 인쇄판을 제작하여 인쇄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식 패턴을 갖는 인쇄물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4,
Printing a halftone dot image on which the hidden image is formed to obtain a printed matter,
Wherein a printing plate on which the halftone dot image is expressed is produced and printed.
청구항 12 내지 14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히든이미지가 형성된 망점이미지를 인쇄하여 인쇄물을 얻는 것은,
상기 망점이미지와 히든이미지의 망점각도에 따라 출력을 달리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식 패턴을 갖는 인쇄물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2 to 14,
Printing a halftone dot image on which the hidden image is formed to obtain a printed matter,
Wherein the output is obtained by varying the output according to the halftone dot angle of the halftone dot image and the hidden image.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조된 인쇄물의 상부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코팅층에 망점이미지의 선수(LPI)와 동일한 해상도의 선수(LPI)로 스크래칭을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식 패턴을 갖는 인쇄물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Forming a coating layer on top of the produced printed matter,
Scratching the coating layer with a LPI of the same resolution as the LPI of the dot image,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인쇄물의 망점이미지의 선수(LPI)의 배수에 해당하는 선수(LPI)의 망점이 표시된 투명필름을 상기 제조된 인쇄물 상부에 놓아 모아레(moire) 스케일을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식 패턴을 갖는 인쇄물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a moiré scale is verified by placing a transparency film having a dotted line of a forehead (LPI) corresponding to a multiple of the LPI of a halftone dot image of the printed matter on an upper portion of the produced printed matter. Gt;
KR1020150126822A 2015-09-08 2015-09-08 Identification pattern and printed matter having that,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KR1017350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822A KR101735030B1 (en) 2015-09-08 2015-09-08 Identification pattern and printed matter having that,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822A KR101735030B1 (en) 2015-09-08 2015-09-08 Identification pattern and printed matter having that,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791A true KR20170029791A (en) 2017-03-16
KR101735030B1 KR101735030B1 (en) 2017-05-12

Family

ID=58497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822A KR101735030B1 (en) 2015-09-08 2015-09-08 Identification pattern and printed matter having that,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503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513015A (en) * 2018-11-09 2022-02-07 ヒュック・フォーリエン・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How to generate security featur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4047A (en) 2022-09-06 2024-03-13 주식회사 엔티솔루션 Method for forming printed matter with multiple hidden images and printed matter with multiple hidden imag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45572B2 (en) * 2005-08-01 2010-12-07 Document Security Systems, Inc. Solid-color embedded security feature
KR101470619B1 (en) * 2014-01-10 2014-12-10 주식회사 코레이트 Print media Applied to the security element and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513015A (en) * 2018-11-09 2022-02-07 ヒュック・フォーリエン・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How to generate security fea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5030B1 (en) 2017-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0718B2 (en) High resolution scalable gloss effect
EP1625019B1 (en) Reproduction of security documents and color images with metallic inks
US7298528B2 (en) Network point printed matter and printing method
JP4214262B2 (en) Printed halftone dot, its production method and printing method
US20210245542A1 (en) Method for Producing Security Elements in an Image Which are not Visible to the Human Eye and Cannot be Copied, and Printed Image
KR101735030B1 (en) Identification pattern and printed matter having that,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KR101658557B1 (en) Identification pattern and printed matter having that,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JP6991514B2 (en) How to create anti-counterfeit printed matter and anti-counterfeit printed matter data
EP3357226B1 (en) Color changing effects with cross-halftone prints on metal
CN103782306A (en) A method for encoding and simultaneously decoding images having multiple color components
JP2008049570A (en) Authenticity-discriminable printed matter
JP5709132B2 (en) Printed material for preventing forgery, method for creating printed matter for preventing forgery, and system for creating printed matter for preventing forgery
JP5721101B2 (en) Halftone prin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4273507B2 (en) Authentic printed material
JP5990791B2 (en) Anti-counterfeit printed matter
JP6274663B2 (en) Anti-counterfeit mediu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9214304A (en) Forgery prevention latent image design organiz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N110086956A (en) A kind of halftoning hidden image relief effect shows hidden method
JP7024979B1 (en) How to create data for anti-counterfeit printed matter and anti-counterfeit printed matter and its creation device
JP5747350B2 (en) Printed material having latent image
KR20170025856A (en) Manufacturing method for a overlap security pattern and a printed article manufactured by the same method
JP2008073989A (en) Printed article
JP2024053283A (en) Anti-counterfeiting printed matter, method for creating data for anti-counterfeiting printed matter, and software for creating the same
KR20240034047A (en) Method for forming printed matter with multiple hidden images and printed matter with multiple hidden images
US20110140408A1 (en) Method of printing a lottery ticket with a scratch-off layer defining a multi-color patter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