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9379A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지속 할당 요청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지속 할당 요청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9379A
KR20170029379A KR1020160102566A KR20160102566A KR20170029379A KR 20170029379 A KR20170029379 A KR 20170029379A KR 1020160102566 A KR1020160102566 A KR 1020160102566A KR 20160102566 A KR20160102566 A KR 20160102566A KR 20170029379 A KR20170029379 A KR 20170029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s
bsr
period
allocation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2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6202B1 (ko
Inventor
임광재
이유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5/257,271 priority Critical patent/US10321477B2/en
Publication of KR20170029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9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72/1284
    • H04W72/041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0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지속 할당 요청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단말이 기지국과의 SPS(Semi-Persistent Scheduling) 구성 이후에, 데이터 크기를 포함하고, SPS 전송 시점 및 SPS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SPS BSR(Buffer Status Report)을 생성하고, SPS BSR을 기지국으로 전송하면서 SPS 할당을 요청한다. 데이터 크기는 SPS 주기마다 전송해야 할 데이터 크기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지속 할당 요청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uplink persistent scheduling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지속 할당 요청 방법 및 장치 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이동 통신 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 통신 시스템은 상향링크에서 VoIP와 같은 주기적인 실시간 서비스를 위해, 매 패킷 전송마다 제어채널의 전송으로 인한 오버헤드의 증가 없이, 주기적인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위한 지속할당(SPS: Semi-Persistent Scheduling)을 제공한다. 상향링크 SPS 구성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재구성(reconfiguration) 과정에 의해 수행되고, 이 과정에서 SPS 주기가 설정된다. 상향링크 SPS 할당 요청은 SR(Scheduling Request)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또는 RA(Random Access) 과정을 통해, BSR(Buffer Status Report) 서브헤더를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지고, BSR은 단말의 버퍼에 대기중인 데이터 크기를 포함한다. SPS 활성화 또는 할당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의해 이루어지고, SPS 할당 정보는 SPS 자원 크기, MCS (Modulation Coding Scheme)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현재 및 향후 이동 통신 서비스에서 지연에 민감한 실시간 서비스는 트래픽의 발생 주기가 시간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주기마다 발생되는 트래픽 데이터 크기 또한 변동될 수 있다. 기존의 LTE SPS 방식에서 SPS 전송 주기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RRC 재구성 과정을 다시 수행하여야 한다. 또한, 저지연 전송을 위해서는 데이터 패킷의 도착 시점과 SPS 전송 시점을 최대한 근접해서 할당하여야 하는데, 기존의 LTE SPS 방식에서는 단말에서의 데이터 패킷의 도착시점과 SPS 전송시점 사이의 시간 차이를 기지국에게 알릴 수단이 없다. 또한, 기존의 BSR은 현재 단말 버퍼에 대기중인 전체 데이터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는 SPS 전송 주기마다 전송해야 할 데이터 크기를 의미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향링크에서 저지연 및 효율적인 SPS를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동통신시스템의 상향링크에서 저지연 및 효율적인 SPS를 위하여, 단말이 상향링크 지속 할당을 요청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상향링크 지속할당을 요청하는 방법에서, 단말이 기지국과의 SPS(Semi-Persistent Scheduling) 구성 이후에, 데이터 크기를 포함하고, SPS 전송 시점 및 SPS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SPS BSR(Buffer Status Report)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SPS BSR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면서 SPS 할당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크기는 SPS 주기마다 전송해야 할 데이터 크기를 나타낸다.
상기 요청하는 단계는, MAC(Medium access control) PDU(packet data unit)를 이용하여 상기 SPS BSR을 전송하며, 상기 MAC PDU의 서브헤더는 SPS BSR MAC 제어 엘레멘트(Control Element)를 페이로드(payload)로서 포함하는 것을 알리기 위해 미리 정해진 시퀀스로 설정되어 있는 LCID(logical channel I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PS BSR MAC 제어 엘레멘트는 LCG(logical channel group) ID, 상기 SPS 전송 시점에 해당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시작 필드, 상기 SPS 주기에 해당하는 서브프레임 단위를 포함하는 주기 필드, SPS 데이터 크기를 포함하는 크기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SPS BSR MAC 제어 엘레멘트는 상기 SPS 전송 시점에 해당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시작 필드, 상기 SPS 주기에 해당하는 서브프레임 단위를 포함하는 주기 필드, SPS 데이터 크기를 포함하는 크기 필드, SPS 할당을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논리적 채널의 ID인 LCI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작 필드는 SPS 전송시점으로 요구되는 전송시점에 해당되는 서브프레임 번호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는 상기 서브프레임 번호를 비트열로 표현했을 때, 하위 LSB(Least Significant Bi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이 SPS BSR를 통해 SPS 주기(P), SPS 전송시점(T), SPS 데이터 크기(S)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 번호가 "Subframe number LSB = (T modulo P) + nP (n = 0, 1, 2, … )"를 만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법은, 상기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SPS 구성에 따라, 사용 가능한 다수의 SPS 주기를 포함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RRC 재구성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향링크에서 SPS에 의한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상향링크 SPS 요청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PS BSR에 포함되는 상기 SPS 주기는 상기 RRC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된 다수의 SPS 주기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요청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SPS BSR을 토대로 한 SPS 할당에 따라 SPS 활성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SPS 활성화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이 SPS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SPS 활성화 정보는 SPS 주기를 포함하며, 상기 SPS 주기는 상기 단말이 전송한 SPS BSR에 포함된 SPS 주기를 토대로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이 전송한 SPS BSR에 포함된 상기 SPS 전송시점이 서브프레임 T인 경우, 상기 SPS 전송시점에 따라 SPS에 따른 자원 할당이 서브프레임 T에서 이루어지도록, 서브프레임 T-Nproc 에서 상기 SPS 활성화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SPS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단말이 새로운 SPS BSR를 전송하여 할당된 자원의 크기나 SPS 주기 변경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단말의 상향링크 지속할당을 요청하는 장치에서, 안테나를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그리고 상기 송수신부와 연결되고, 상향링크 지속 할당 요청 처리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SPS(Semi-Persistent Scheduling) 구성 이후에, 상향링크 SPS 요청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SPS 요청 처리부; 및 SPS 주기마다 전송해야 할 데이터 크기를 포함하고, SPS 전송 시점 및 SPS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SPS BSR(Buffer Status Report)을 생성하고, 상기 SPS BSR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면서 SPS 할당을 요청하도록 구성되는 BSR 보고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BSR 보고 처리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 가능한 다수의 SPS 주기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SPS BSR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SPS BSR을 토대로 한 SPS 할당에 따라 SPS 활성화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SPS 수신 처리부; 및 상기 SPS 활성화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이 SPS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전송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송 처리부는 상기 SPS 활성화 정보에 포함된 SPS 주기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고 처리부는, MAC(Medium access control) PDU(packet data unit)를 이용하여 상기 SPS BSR을 전송하며, 상기 MAC PDU의 서브헤더는 SPS BSR MAC 제어 엘레멘트(Control Element)를 페이로드(payload)로서 포함하는 것을 알리기 위해 미리 정해진 시퀀스로 설정되어 있는 LCID(logical channel I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PS BSR MAC 제어 엘레멘트는 LCG(logical channel group) ID, 상기 SPS 전송시점으로 요구되는 전송시점에 해당되는 서브프레임 번호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시작 필드, 상기 SPS 주기에 해당하는 서브프레임 단위를 포함하는 주기 필드, SPS 데이터 크기를 포함하는 크기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SPS BSR MAC 제어 엘레멘트는 상기 SPS 전송시점으로 요구되는 전송시점에 해당되는 서브프레임 번호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시작 필드, 상기 SPS 주기에 해당하는 서브프레임 단위를 포함하는 주기 필드, SPS 데이터 크기를 포함하는 크기 필드, SPS 할당을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논리적 채널의 ID인 LCID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은, 단말의 상향링크 지속할당을 요청을 처리하는 기지국에서, 안테나를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그리고 상기 송수신부와 연결되고, 상향링크 지속 할당 요청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과의 RRC 재구성 과정을 수행하여 SPS(Semi-Persistent Scheduling) 를 구성하고, 사용 가능한 다수의 SPS 주기를 포함하는 RRC 재구성 메시지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SPS 구성 처리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SPS BSR(Buffer Status Report)를 수신하고, 상기 SPS BSR를 토대로 SPS 할당 처리를 수행하는 SPS 할당 처리부; 및 상기 SPS 할당 처리부의 할당 처리에 따른 SPS 활성화 정보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SPS 활성화 정보는 SPS 주기를 포함한다.
상기 SPS BSR은 SPS 주기마다 전송해야 할 데이터 크기, SPS 전송 시점 및 SPS 주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SPS 할당 처리부는, MAC(Medium access control) PDU(packet data unit)를 통하여 전송되는 SPS BSR MAC 제어 엘레멘트(Control Element)로부터 상기 SPS BSR을 획득하며, 상기 MAC PDU의 서브헤더에 포함된 LCID(logical channel ID)를 토대로 상기 MAC PDU의 페이로드가 SPS BSR MAC 제어 엘레멘트를 포함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전송 처리부는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SPS BSR에 포함된 상기 SPS 전송시점이 서브프레임 T인 경우, 상기 SPS 전송시점에 따라 SPS에 따른 자원 할당이 서브프레임 T에서 이루어지도록, 서브프레임 T-Nproc 에서 상기 SPS 활성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이 효율적인 SPS를 위하여, 기지국에게 SPS 전송 시점, SPS 주기, SPS 데이터 크기를 전달하면서, 지속 할당 즉, SPS를 요청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상향링크에서 지속할당 방식의 전송 지연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가변적인 실시간 트래픽을 보다 효율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SPS 처리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브헤더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SPS BSR MAC 제어 엘레멘트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른 SPS BSR MAC 제어 엘레멘트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기존 LTE 시스템의 상향링크 SPS 방식에 따라 상향링크 패킷을 전송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향링크 SPS 방식에 따라 상향링크 패킷을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향링크 지속 할당 요청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이동국(mobile station, MS), 진보된 이동국(advanced mobile station, AMS), 고신뢰성 이동국(high reliability mobile station, HR-MS),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MT, MS, AMS, HR-MS, SS, PSS, AT, UE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진보된 기지국(advanced base station, ABS), 고신뢰성 기지국(high reliability base station, HR-BS),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 B, eNodeB),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중계기(relay station, R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중계 노드(relay node, RN),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진보된 중계기(advanced relay station, AR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고신뢰성 중계기(high reliability relay station, HR-RS), 소형 기지국[펨토 기지국(femoto BS), 홈 노드B(home node B, HNB), 홈 eNodeB(HeNB), 피코 기지국(pico BS), 메트로 기지국(metro BS), 마이크로 기지국(micro BS) 등]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ABS, 노드B, eNodeB, AP, RAS, BTS, MMR-BS, RS, RN, ARS, HR-RS, 소형 기지국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지속할당 요청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SPS(Semi-Persistent Scheduling) 처리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향링크 SPS 구성(configuration), SPS 활성화(activation), SPS 전송(transmission), 재할당(reallocation) 과정을 나타낸다. 재할당은 또는 SPS 변경(Changing)으로 명명될 수도 있다.
임의 단말에 SPS를 할당하기 위해서, 먼저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RRC 재구성(reconfiguration) 과정을 수행하여 SPS를 구성하는 과정(SPS 구성)을 수행한다. 기지국은 SPS 주기, SPS C-RNTI(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주요 SPS 파라미터 등을 포함하는 RRC 재구성 메시지(RRC Reconfiguration)를 단말로 전송한다(S100).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 가능한 다수의 SPS 주기를 RRC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한다. 단말은 RRC 재구성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RRC Reconfiguration Complete)를 전송함으로써 SPS 구성을 완료한다(S110).
기존에는 해당 단말을 위한 하나의 SPS 주기가 결정되어 전송되는데 반하여, 첨부한 도 1에서와 같이, 사용 가능한 다수의 SPS 주기를 포함하는 SPS 주기 집합(SPS period set)이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되며, SPS 구성 과정을 통하여 임의 단말을 위한 사용 가능한 다수의 SPS 주기가 제공된다.
SPS 구성이 완료된 후, 상향링크에서 SPS에 의한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단말은 상향링크 SPS 요청을 위한 과정(SPS 요청)을 수행한다. SR(Scheduling Request)을 위해 단말에게 할당된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가 있는 경우, 단말은 해당 PUCCH를 통해 SR을 전송하고(S120), 기지국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상향링크 그랜트(UL grant) 전송)를 통해 단말이 BSR(Buffer Status Report)을 전송하기 위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한다(S130). 단말은 할당된 상향링크 자원에서 BSR를 PUSCH(Physical Uplink Shard CHannel)를 통하여 전송한다(S140). 여기서, 단말은 상향링크 SPS 할당을 요청하기 위한 SPS BSR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SPS BSR은 SPS 전송시점, SPS 주기, 그리고 주기마다 요청되는 데이터 크기(이하, SPS 데이터 크기라고 명명함)를 포함한다. 기존에는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대기하고 있는 전체 데이터의 크기 정보만을 포함하는 BSR을 전송한다. 기존에 전송되는 데이터 크기는 SPS 주기마다 전송해야 할 데이터 크기를 의미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SPS 전송시점, SPS 주기, 그리고 SPS 데이터 크기를 포함하는 BSR 즉, SPS BSR을 전송한다. 현재 단말 버퍼에 대기중인 전체 데이터 크기가 아닌, SPS 주기마다 전송해야 할 데이터 크기가 제공됨으로써, 기지국에서 보다 효율적인 SPS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SPS 주기는 위의 SPS 구성 과정에서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받은 사용 가능한 다수의 SPS 주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주기일 수 있다. 한편, SR을 위해 단말에게 할당된 PUCCH가 없을 경우, 단말은 RA(Random Access) 과정을 통하여 BSR를 전송하기 위한 자원을 할당 받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PUCCH, PDCCH 등과 같은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것을 'PUCCH, PDCCH 등과 같은 채널을 전송, 수신한다’는 형태로 표기하기도 한다.
단말로부터 SPS BSR을 수신한 후에, 기지국은 SPS BSR을 토대로 SPS를 수행하고, SPS 수행에 따른 SPS 활성화 정보를 PDCCH를 통하여 전송하여 단말에게 SPS에 따른 무선 자원 할당을 알린다(S150).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단말이 전송한 SPS BSR에 포함된 SPS 전송시점이 서브프레임 T로 요청된 경우, 기지국은 서브프레임 T-Nproc에서 SPS 활성화를 위한 PDCCH를 전송하여, 단말이 요청한 SPS 전송시점에 따라 SPS에 따른 자원 할당이 서브프레임 T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Nproc은 기존의 시스템에서와 같이 PDCCH 수신 서브프레임으로부터 PDCCH에 포함된 상향링크 자원할당이 적용되는 서브프레임 사이의 간격으로 FDD 시스템인 경우 4가 된다. 또한, 단말이 전송한 SPS BSR에 포함된 SPS 주기와 SPS 데이터 크기에 따른 SPS 할당을 위해, PDCCH에서 전송되는 SPS에 따른 무선 자원 할당에 관련된 정보(SPS 할당 정보라고 명명됨)는 SPS 자원위치, TB(Transport block) 크기, 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를 포함하며, 특히, SPS 주기를 더 포함한다. 기존에는 SPS 구성 과정에서 단말을 위한 SPS 주기가 결정되는 반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SPS 주기가 SPS 활성화를 위해 전송되는 SPS 활성화 정보에 포함되어 PDCCH를 통하여 전송된다.
단말은 SPS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PDCCH를 수신하고, 이를 토대로 할당된 SPS 자원에서 주기적으로 PUSCH를 통해 패킷을 전송한다(SPS 전송)(S160~S180). SPS 전송은 단말이 할당된 SPS 자원에 따라 상향링크에서 패킷을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나타낸다.
기존에, SPS 주기가 RRC 재구성을 토대로 SPS 구성 과정에서 결정되며, SPS 활성화 정보를 포함한 PDCCH가 서브프레임 n-Nproc에서 수신되었다고 하면, 기존 LTE 기반 시스템의 상향링크에서 SPS 전송의 시작점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n 이 된다. 이 경우, 단말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n (SPS 전송의 시작점)에서부터 SPS 구성 과정에서 정해진 SPS 주기 P에 따라,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n, n+P, n+2P, …… 에서 주기적으로 PUSCH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SPS 활성화 정보를 포함한 PDCCH가 서브프레임 T-Nproc에서 수신되며, 단말은 자신이 요청한 SPS 전송 시점인 서브프레임 T에서 SPS 전송을 수행한다. 단말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T(SPS 전송의 시작점)에서부터 SPS 활성화 과정에서 제공받은 SPS 주기 P에 따라,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T, T+P, T+2P, …… 에서 주기적으로 PUSCH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저지연 전송을 위해서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이 단말의 버퍼에 도착하는 데이터 패킷 도착 시점과, SPS 자원을 토대로 패킷을 전송하는 SPS 전송 시점이 서로 최대한 근접해서 할당되어야 하나, 기존에는 단말이 데이터 패킷 도착 시점과 SPS 전송 시점 사이의 시간 차이를 기지국에게 알릴 수가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이 기지국에게 자신이 설정한 SPS 전송 시점을 포함하는 SPS BSR을 전송하고, 기지국이 단말이 요청한 SPS 전송 시점을 토대로 SPS 활성화를 수행하고, 단말이 해당하는 SPS 전송 시점에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다. 그러므로 데이터 패킷 도착 시점과 SPS 전송 시점 사이의 차이가 거의 발생하지 않으므로, 저지연 전송이 이루어진다.
한편, 단말은 할당된 자원 크기의 변경을 요청하기 위해 SPS BSR를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S190). 기지국은 SPS BSR에 따라 SPS 자원 크기를 변경시키기 위해 PDCCH를 통해 기존의 SPS 할당을 대체하기 위한 새로운 SPS를 할당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PDCCH를 통해 기존의 SPS 할당을 해제하기 위해 SPS 해제(release)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새로운 SPS 할당을 위해 SPS 활성화 정보를 전송하며, SPS 활성화 정보는 SPS 주기를 포함한다(SPS 활성화/해제)(S200, S210). 새로운 SPS 할당의 전송시점이 기존의 SPS 전송시점과 동일할 경우 SPS 해제 없이, SPS 활성화 정보만을 포함한 PDCCH 만을 전송한다(SPS 오버라이딩(overriding)).
또한, 단말은 SPS 주기의 변경을 요청하기 위해,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새로운 SPS 주기를 포함하는 SPS BSR을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지국은 새로운 SPS 활당을 수행하고 이에 따라 변경된 SPS 주기를 포함하는 SPS 활성화 정보를 PDCCH를 통해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기존에는 상향링크 SPS 방식에서 SPS 주기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RRC 재구성 과정을 다시 수행하여야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SPS BSR 전송을 통하여 보다 용이하게 SPS 주기를 변경할 수 있다.
이후, 변경된 크기의 SPS 자원 또는 SPS 주기에 따라 단말은 주기적으로 PUSCH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S220, S230).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단말이 기지국에게 SPS 전송시점, SPS 주기, SPS 데이터 크기를 전달하고 이에 따라 기지국은 SPS 할당 및 재할당을 수행함으로써, 상향링크에서 저지연 및 효율적인 SPS 운용이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브헤더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SPS BSR 메시지는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에서 수행되는 MAC 제어 엘레멘트(Control Element, CE) 중 하나이며, MAC 계층의 다른 제어 엘레멘트들과는 LCID(logical channel ID)로 구분된다.
첨부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SPS BSR의 전송을 알리기 위하여, MAC PDU(packet data unit)의 헤더에 포함된 서브헤더(설명의 편의상 MAC 서브헤더라고 명명함)의 LCID가 특정 시퀀스를 포함한다. LCID는 MAC PDU의 페이로드(payload)가 SPS BSR MAC 제어 엘레멘트(CE)를 포함하는 것을 알리기 위해 미리 정해진 특정 시퀀스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이, LCID = 101101의 특정 시퀀스로 설정되어, 해당 PDU를 통하여 SPS BSR이 전송됨을 알린다. 도 2에 도시된 MAC 서브헤더에서, "R"은 예비 비트(Reserved bit) 필드이며, "E"는 확장 필드(Extention field)이며, 이는 기존 LTE의 MAC 서브헤더와 동일한 필드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SPS BSR MAC 제어 엘레멘트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SPS BSR MAC 제어 엘레멘트(Control Element)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LCG ID와, 시작(Start) 필드와, 주기 필드, 그리고 크기(Size) 필드를 포함한다.
단말이 수행하는 버퍼 상태 보고는 LCG(logical channel group) 단위로 보고된다. LCG는 각 무선 베어러(radio barer, RB)의 QoS(Quality of service) 정보에 해당되는 QCI(QoS class of identifier) 등을 고려하여 기지국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LCG ID는 SPS 할당을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논리적 채널이 속한 LCG 그룹을 나타낸다.
시작 필드는 SPS 전송시점(S)으로 요구되는 전송시점에 해당되는 서브프레임 번호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서브프레임 번호를 비트열로 표현했을 때, 하위 LSB(Least Significant Bit)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시작 필드는 비트열로 표현되는 서브프레임 번호의 하위 6비트를 포함한다.
주기 필드는 요청하는 SPS 주기(P)에 해당하는 서브프레임 단위를 포함한다. 크기 필드는 요청되는 SPS 주기(P)마다 전송할 데이터의 크기를 포함하며, 데이터 크기를 바이트(byte) 단위로 나타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른 SPS BSR MAC 제어 엘레멘트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의 구성과는 달리, SPS BSR MAC 제어 엘레멘트(Control Element)가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LCID와, 시작 필드와, 주기 필드, 그리고 크기 필드를 포함한다. 즉, LCG ID 대신에 LCID로 SPS 할당을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논리적 채널의 ID(LCID)를 포함한다.
단말이 SPS BSR를 통해 SPS 주기(P), SPS 전송시점(T), SPS 데이터 크기(S)를 요청하는 경우, 서브프레임 번호가 "Subframe number LSB = (T modulo P) + nP (n = 0, 1, 2, … )"이면, 이는 해당하는 번호의 서브프레임에서 SPS의 주기적 전송을 요청하는 것을 나타낸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구조들로 이루어지는 SPS BSR MAC 제어 엘레멘트들은 서브슬롯 번들링에서 상향링크 제어정보의 번들링되는 여러 서브슬롯에 걸쳐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향링크 지속 할당 요청을 토대로 하는 SPS 처리 과정을 기존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기존 LTE 시스템의 상향링크 SPS 방식에 따라 상향링크 패킷을 전송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향링크 SPS 방식에 따라 상향링크 패킷을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기존 LTE 시스템에서, 첨부한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향링크 패킷은 주기(P=10)마다 매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인덱스 1인 시간에 도착(패킷 도착 주기 =10)하며, 단말의 버퍼에 버퍼링된다. 상향링크에 대하여 어떠한 자원도 할당되어 있지 않다면, 단말은 기지국에게 SR을 알리기 위해 미리 할당된 PUCCH를 전송한다. 기지국은 PUCCH(SR) 수신 및 스케줄링 처리 후에, (도 5의 예시에서 Nproc=4 서브프레임) PDCCH를 통해 단말의 BSR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한다. 단말은 할당된 상향링크 자원을 통해 BSR을 포함한 PUSCH를 전송하고, 기지국은 BSR을 토대로 SPS 활성화 정보를 포함한 PDCCH를 통해 단말에게 무선 자원할당을 알린다. 이 때, SPS 주기는 RRC 재구성 과정에서 미리 설정된 주기가 되고(도 5에서, 주기 10 서브프레임), SPS 전송시점은 SPS 활성화 정보를 포함한 PDCCH가 전송된 서브프레임으로부터 Nproc=4 서브프레임 이후부터가 된다. 단말은 할당된 SPS 자원에서 주기적으로 PUSCH를 통해 패킷을 전송한다. 도 5의 예시에서 SPS 전송은 매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9에서 10개의 서브프레임을 주기로 이루어진다. 기지국에서 PUSCH를 수신하고 패킷을 디코딩하는데 Drx=2 (Drx는 패킷을 수신하고 디코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냄)의 서브프레임이 소요된다고 했을 때, 패킷 전송 지연은 도 5에서 21 서브프레임에 해당된다. LTE에서 서브프레임의 길이가 1ms이므로 패킷 전송 지연 시간은 21ms가 된다.
도 5에서, 5번 패킷부터 패킷 도착 주기가 P=10에서 P’=5로 변경되는 경우, 상향링크 버퍼에 있는 데이터 크기가 증가되고 단말은 이를 알리기 위해 BSR를 데이터 패킷과 함께 PUSCH에 포함시켜 전송한다. 이 경우, 기지국은 SPS 자원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해 새로이 SPS를 할당한다. 도 5에서는 기존에 할당된 전송 시점에 대응되는 시점에서 새로이 SPS를 할당하므로, SPS 해제 없이 SPS 활성화 정보만을 전송한다. 2배 감소한 주기로 발생되는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SPS 재할당에 의해 SPS 자원크기를 2배 늘렸지만, 재할당 과정에 따른 시간이 소요되지 않고 SPS 전송주기의 변경 없이 자원 크기만을 증가시켰기 때문에, SPS 재할당 이후 패킷 전송 지연 시간은 21 서브프레임으로, 이전과 동일하거나 26 서브프레임으로 증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향링크 SPS 방식에 따라 상향링크 패킷을 전송하는 경우, 첨부한 도 6을 참조하면, 도 5에 도시된 기존 방식에 대한 예시와 같이, 5번 패킷부터 패킷 도착 주기가 P=10에서 P’=5로 변경되어 상향링크 버퍼에 있는 데이터 크기가 증가하게 되면, 단말은 SPS BSR을 통하여 SPS 할당의 변경을 요청한다. 버퍼에 있는 패킷을 PUSCH 전송하기 위한 프로세싱 시간을 Dtx=2 ((Dtx는 패킷을 전송하기 위하여 프로세싱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냄)의 서브프레임이라고 할 경우, 패킷이 도착한 다음부터 Dtx=2의 서브프레임 후가 되면 최소 대기 시간으로 패킷을 SPS PUSCH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도 6에서 각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2와 서브프레임 7에서 패킷이 버퍼에 도착하므로, SPS 전송시점을 T’= (2+1+Dtx) modulo P’= 4 또는 T’= (7+1+Dtx) modulo P’= 0로 하고 (도 6에서는 T’=0을 요청), SPS 전송주기는 P’= 5 서브프레임으로 하며, SPS 전송크기 S’= 2 패킷으로 하여, SPS BSR을 전송한다. 단말로부터의 전송된 BSR에 따라 기지국은 PDCCH을 통해 새로운 SPS 활성화를 단말에게 알리고, PDCCH를 통해 기존의 SPS는 SPS 해제됨을 단말에게 알린다. 단말이 새롭게 할당된 SPS 할당에 따라 PUSCH를 통해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면, SPS 할당 변경 과정 중에서의 패킷에 대해서는 도 5의 기존 LTE 방식에 비해, 패킷 전송 지연 시간이 22 서브프레임과 17 서브프레임으로 감소한다. 또한, 변경 과정이 완료된 후 도착한 패킷에 대해서는 패킷 전송 지연 시간은 7 서브프레임으로 대폭 감소한다. 최종적으로 감소된 패킷 전송 지연 시간은 전송 및 수신 과정에서의 프로세싱 시간만을 포함한 최소 패킷 전송 지연 시간이 된다.
다음으로, 주기 P=5의 서브프레임마다 SPS 전송크기 S=2 패킷의 전송으로 버퍼에 쌓여 있는 패킷의 수가 감소하게 되면, 단말은 주기 P=5의 서브프레임마다 SPS 전송크기 S=1 패킷의 전송으로 도착하는 패킷을 전송할 수 있으므로, SPS BSR을 통하여 SPS 크기 S=1로 축소를 요청한다. 기지국은 전송 시점과 주기의 변화 없이 자원 크기만을 축소하면 되기 때문에, 기지국은 PDCCH를 통해 SPS 해제의 전송 없이 SPS 활성화 만으로 기존 SPS 할당 자원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도 6에서 SPS 전송 도중에 SPS BSR을 전송하여 SPS 할당을 조절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초기 SPS 할당 과정에서부터 단말은 SPS 전송시점 T=5, SPS 전송주기 P=10, SPS 전송크기 S=1의 패킷을 요청하여, SPS 전송시점을 패킷이 도착하는 시간에 맞추어 조절하여 전송지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향링크 지속 할당 요청 장치의 구조도이다.
첨부한 도 7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향링크 지속 할당 요청 장치(1)는 프로세서(11), 메모리(12) 및 송수신부(13)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1)는 위의 도 1 내지 도 4를 토대로 설명한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프로세서(11)는 SPS 요청 처리부(110), BSR 보고 처리부(120), SPS 수신 처리부(130), 전송 처리부(140)를 포함한다.
SPS 요청 처리부(110)는 SPS 구성이 완료된 후, 상향링크에서 SPS에 의한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상향링크 SPS 요청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BSR 보고 처리부(120)는 SPS 전송시점, SPS 주기, 그리고 SPS 데이터 크기를 포함하는 SPS BSR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송수신부(13)를 통하여 SPS BSR 을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BSR 보고 처리부(120)는 MAC 서브헤더에 SPS BSR을 포함시켜 전송하며, SPS 요청 처리부(110)의 요청에 따라 할당된 상향링크 자원을 통해 SPS BSR을 전송할 수 있다.
SPS 수신 처리부(130)는 기지국으로부터의 SPS BSR을 토대로 한 SPS에 따른, SPS 활성화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SPS 활성화 정보는 SPS 할당 정보를 포함하며, SPS 할당 정보는 SPS 자원위치, TB 크기, MCS, SPS 주기 등을 포함한다.
전송 처리부(140)는 SPS 할당 정보를 토대로 할당된 SPS 자원에서 주기적으로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12)는 프로세서(11)와 연결되고 프로세서(11)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2)는 프로세서(11)에서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instructions)를 저장하고 있거나 저장 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명령어를 로드하여 일시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1)는 메모리(12)에 저장되어 있거나 로드된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와 메모리(12)는 버스(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버스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도시하지 않음)도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도이다.
첨부한 도 8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2)은 프로세서(21), 메모리(22) 및 송수신부(23)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1)는 위의 도 1 내지 도 4를 토대로 설명한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프로세서(21)는, SPS 구성 처리부(210), SPS 할당 처리부(220), 및 정보 전송 처리부(230)를 포함한다.
SPS 구성 처리부(210)는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RRC 재구성 과정을 수행하여 SPS를 구성하도록 구성된다. SPS 구성 처리부(210)는 사용 가능한 다수의 SPS 주기, SPS C-RNTI(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주요 SPS 파라미터 등을 포함하는 RRC 재구성 메시지를 송수신부(23)를 통하여 단말로 전송한다.
SPS 할당 처리부(220)는 단말로부터의 SPS 할당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로부터 SPS BSR을 수신하고, 수신된 SPS BSR을 토대로 SPS 할당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정보 전송 처리부(230)는 SPS 할당 처리부(220)의 SPS 할당 처리에 따른 SPS 활성화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정보 전송 처리부(230)는 SPS 할당 처리에 따른 무전 자원 할당 관련 정보와 SPS 주기를 포함하는 SPS 활성화 정보는 송수신부(23)를 통하여 단말로 전송한다.
메모리(22)는 프로세서(21)와 연결되고 프로세서(21)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22)는 프로세서(21)에서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저장하고 있거나 저장 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명령어를 로드하여 일시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1)는 메모리(22)에 저장되어 있거나 로드된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와 메모리(22)는 버스(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버스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도시하지 않음)도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0)

  1. 상향링크 지속할당을 요청하는 방법에서,
    단말이 기지국과의 SPS(Semi-Persistent Scheduling) 구성 이후에, 데이터 크기를 포함하고, SPS 전송 시점 및 SPS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SPS BSR(Buffer Status Report)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SPS BSR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면서 SPS 할당을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크기는 SPS 주기마다 전송해야 할 데이터 크기를 나타내는, 요청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하는 단계는,
    MAC(Medium access control) PDU(packet data unit)를 이용하여 상기 SPS BSR을 전송하며, 상기 MAC PDU의 서브헤더는 SPS BSR MAC 제어 엘레멘트(Control Element)를 페이로드(payload)로서 포함하는 것을 알리기 위해 미리 정해진 시퀀스로 설정되어 있는 LCID(logical channel ID)를 포함하는, 요청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PS BSR MAC 제어 엘레멘트는 LCG(logical channel group) ID, 상기 SPS 전송 시점에 해당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시작 필드, 상기 SPS 주기에 해당하는 서브프레임 단위를 포함하는 주기 필드, SPS 데이터 크기를 포함하는 크기 필드를 포함하는, 요청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PS BSR MAC 제어 엘레멘트는 상기 SPS 전송 시점에 해당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시작 필드, 상기 SPS 주기에 해당하는 서브프레임 단위를 포함하는 주기 필드, SPS 데이터 크기를 포함하는 크기 필드, SPS 할당을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논리적 채널의 ID인 LCID를 포함하는, 요청 방법.
  5. 제3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필드는 SPS 전송시점으로 요구되는 전송시점에 해당되는 서브프레임 번호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는 상기 서브프레임 번호를 비트열로 표현했을 때, 하위 LSB(Least Significant Bit)를 포함하는, 요청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SPS BSR를 통해 SPS 주기(P), SPS 전송시점(T), SPS 데이터 크기(S)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 번호가 "Subframe number LSB = (T modulo P) + nP (n = 0, 1, 2, … )"를 만족하는, 요청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SPS 구성에 따라, 사용 가능한 다수의 SPS 주기를 포함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RRC 재구성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향링크에서 SPS에 의한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상향링크 SPS 요청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요청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SPS BSR에 포함되는 상기 SPS 주기는 상기 RRC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된 다수의 SPS 주기 중 하나인, 요청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SPS BSR을 토대로 한 SPS 할당에 따라 SPS 활성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SPS 활성화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이 SPS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SPS 활성화 정보는 SPS 주기를 포함하며, 상기 SPS 주기는 상기 단말이 전송한 SPS BSR에 포함된 SPS 주기를 토대로 설정된 것인, 요청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전송한 SPS BSR에 포함된 상기 SPS 전송시점이 서브프레임 T인 경우, 상기 SPS 전송시점에 따라 SPS에 따른 자원 할당이 서브프레임 T에서 이루어지도록, 서브프레임 T-Nproc 에서 상기 SPS 활성화 정보가 전송되는, 요청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SPS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단말이 새로운 SPS BSR를 전송하여 할당된 자원의 크기나 SPS 주기 변경을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요청 방법.
  12. 단말의 상향링크 지속할당을 요청하는 장치에서,
    안테나를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그리고
    상기 송수신부와 연결되고, 상향링크 지속 할당 요청 처리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SPS(Semi-Persistent Scheduling) 구성 이후에, 상향링크 SPS 요청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SPS 요청 처리부; 및
    SPS 주기마다 전송해야 할 데이터 크기를 포함하고, SPS 전송 시점 및 SPS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SPS BSR(Buffer Status Report)을 생성하고, 상기 SPS BSR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면서 SPS 할당을 요청하도록 구성되는 BSR 보고 처리부
    를 포함하는, 요청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BSR 보고 처리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 가능한 다수의 SPS 주기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SPS BSR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요청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SPS BSR을 토대로 한 SPS 할당에 따라 SPS 활성화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SPS 수신 처리부; 및
    상기 SPS 활성화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이 SPS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전송 처리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 처리부는 상기 SPS 활성화 정보에 포함된 SPS 주기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요청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 처리부는, MAC(Medium access control) PDU(packet data unit)를 이용하여 상기 SPS BSR을 전송하며, 상기 MAC PDU의 서브헤더는 SPS BSR MAC 제어 엘레멘트(Control Element)를 페이로드(payload)로서 포함하는 것을 알리기 위해 미리 정해진 시퀀스로 설정되어 있는 LCID(logical channel ID)를 포함하는, 요청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SPS BSR MAC 제어 엘레멘트는 LCG(logical channel group) ID, 상기 SPS 전송시점으로 요구되는 전송시점에 해당되는 서브프레임 번호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시작 필드, 상기 SPS 주기에 해당하는 서브프레임 단위를 포함하는 주기 필드, SPS 데이터 크기를 포함하는 크기 필드를 포함하는, 요청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SPS BSR MAC 제어 엘레멘트는 상기 SPS 전송시점으로 요구되는 전송시점에 해당되는 서브프레임 번호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시작 필드, 상기 SPS 주기에 해당하는 서브프레임 단위를 포함하는 주기 필드, SPS 데이터 크기를 포함하는 크기 필드, SPS 할당을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논리적 채널의 ID인 LCID를 포함하는, 요청 장치.
  18. 단말의 상향링크 지속할당을 요청을 처리하는 기지국에서,
    안테나를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그리고
    상기 송수신부와 연결되고, 상향링크 지속 할당 요청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과의 RRC 재구성 과정을 수행하여 SPS(Semi-Persistent Scheduling) 를 구성하고, 사용 가능한 다수의 SPS 주기를 포함하는 RRC 재구성 메시지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SPS 구성 처리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SPS BSR(Buffer Status Report)를 수신하고, 상기 SPS BSR를 토대로 SPS 할당 처리를 수행하는 SPS 할당 처리부;
    상기 SPS 할당 처리부의 할당 처리에 따른 SPS 활성화 정보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 처리부
    를 포함하며,
    상기 SPS 활성화 정보는 SPS 주기를 포함하는, 기지국.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SPS BSR은 SPS 주기마다 전송해야 할 데이터 크기, SPS 전송 시점 및 SPS 주기를 포함하며,
    상기 SPS 할당 처리부는, MAC(Medium access control) PDU(packet data unit)를 통하여 전송되는 SPS BSR MAC 제어 엘레멘트(Control Element)로부터 상기 SPS BSR을 획득하며, 상기 MAC PDU의 서브헤더에 포함된 LCID(logical channel ID)를 토대로 상기 MAC PDU의 페이로드가 SPS BSR MAC 제어 엘레멘트를 포함하는 것을 인식하는, 기지국.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전송 처리부는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SPS BSR에 포함된 상기 SPS 전송시점이 서브프레임 T인 경우, 상기 SPS 전송시점에 따라 SPS에 따른 자원 할당이 서브프레임 T에서 이루어지도록, 서브프레임 T-Nproc 에서 상기 SPS 활성화 정보를 전송하는, 기지국.
KR1020160102566A 2015-09-07 2016-08-11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지속 할당 요청 방법 및 장치 KR102466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257,271 US10321477B2 (en) 2015-09-07 2016-09-06 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uplink persistent scheduling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26556 2015-09-07
KR1020150126556 2015-09-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379A true KR20170029379A (ko) 2017-03-15
KR102466202B1 KR102466202B1 (ko) 2022-11-14

Family

ID=58403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566A KR102466202B1 (ko) 2015-09-07 2016-08-11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지속 할당 요청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62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0302A1 (en) * 2017-09-07 2019-03-1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UPLINK SIGNAL TRANSMISSION
KR20190046480A (ko) * 2017-10-26 2019-05-0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적응적 상향 링크 자원 할당 방법과, 상기 방법이 적용된 기지국
CN112040479A (zh) * 2020-09-25 2020-12-04 郑州轻工业大学 一种用于信息安全的实时传输加密信息的方法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62865A1 (en) * 2006-09-07 2008-03-13 Mario Neugebauer Duty cycle control for networks of nodes
KR20100071436A (ko) * 2008-12-19 2010-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준 지속 스케줄링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상향링크 자원 요청 장치 및 방법
KR20130137722A (ko) * 2009-05-04 2013-12-1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다중 반송파 무선 통신에 대한 반지속적 스케줄링
KR20150085841A (ko) * 2012-12-19 2015-07-24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무선 단말기, 무선 기지국,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62865A1 (en) * 2006-09-07 2008-03-13 Mario Neugebauer Duty cycle control for networks of nodes
KR20100071436A (ko) * 2008-12-19 2010-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준 지속 스케줄링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상향링크 자원 요청 장치 및 방법
KR20130137722A (ko) * 2009-05-04 2013-12-1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다중 반송파 무선 통신에 대한 반지속적 스케줄링
KR20150085841A (ko) * 2012-12-19 2015-07-24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무선 단말기, 무선 기지국,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GPC150325 *
3GPP GPC150327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0302A1 (en) * 2017-09-07 2019-03-1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UPLINK SIGNAL TRANSMISSION
US11166298B2 (en) 2017-09-07 2021-11-0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transmitting uplink signal using semi-persistent scheduling resource
KR20190046480A (ko) * 2017-10-26 2019-05-0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적응적 상향 링크 자원 할당 방법과, 상기 방법이 적용된 기지국
CN112040479A (zh) * 2020-09-25 2020-12-04 郑州轻工业大学 一种用于信息安全的实时传输加密信息的方法及系统
CN112040479B (zh) * 2020-09-25 2023-10-27 郑州轻工业大学 一种用于信息安全的实时传输加密信息的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6202B1 (ko) 202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14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uplink persistent scheduling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3036351C (en) Method for reserving finite number of resources used for performing v2x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same
US10491358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receive and transmit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180332644A1 (en) Terminal for supporting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RU2683977C1 (ru) Управление множественными передачами прямого соединения в течение периода управления прямого соединения
US1197985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nomous sidelink resource allocation
EP3128796B1 (en) Method and device for triggering buffer state reporting bsr
JP6823166B2 (ja) 特定の論理チャネル優先順位を有するulグラントに基づく上りリンクの伝送
KR101703069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효율적인 경쟁기반 역방향 전송 방법
JP7235860B2 (ja) サイドリンク論理チャネルおよびリソース構成
US20160135171A1 (en) Device-to-device (d2d) resource release
KR20110066027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경쟁 기반 액세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JP5632839B2 (ja) 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通信する方法、そのための二次局及びシステム
US201100383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xing data
US11979774B2 (en) Methods and infrastructure equipment
WO2017166896A1 (zh) 一种资源管理方法及相关设备
JP2019532538A5 (ko)
KR102466202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지속 할당 요청 방법 및 장치
WO2020233804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enabling group transmiss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US20130039320A1 (en) Base station apparatus and scheduling method
WO2023039758A1 (en)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communication
JP2017529794A (ja) 装置間(d2d)通信のための協調分散スケジューリング
EP3837910A1 (en) Shared resource configuration for bandwidth parts
KR10208200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버퍼상태보고 전송방법 및 장치
KR20220140792A (ko) 트랜시버 및 대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