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9084A - Superconducting wire equipped with stabilization layer of heterogeneous materials - Google Patents

Superconducting wire equipped with stabilization layer of heterogeneous materia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9084A
KR20170029084A KR1020150125810A KR20150125810A KR20170029084A KR 20170029084 A KR20170029084 A KR 20170029084A KR 1020150125810 A KR1020150125810 A KR 1020150125810A KR 20150125810 A KR20150125810 A KR 20150125810A KR 20170029084 A KR20170029084 A KR 20170029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erconducting
superconducting wire
layer
region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58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영식
고락길
김석환
하동우
김형욱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25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9084A/en
Publication of KR20170029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908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2/00Superconductive or hyperconductive conductors, cables, or transmission lines
    • H01B12/02Superconductive or hyperconductive conductors, cables, or transmission lin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2/00Superconductive or hyperconductive conductors, cables, or transmission lines
    • H01B12/02Superconductive or hyperconductive conductors, cables, or transmission lin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2/06Films or wires on bases or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2/00Superconductive or hyperconductive conductors, cables, or transmission lines
    • H01B12/14Superconductive or hyperconductive conductors, cables, or transmission line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rmal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2/00Superconductive or hyperconductive conductors, cables, or transmission lines
    • H01B12/16Superconductive or hyperconductive conductors, cables, or transmission lines characterised by coo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60Superconducting electric elements or equipment; Power systems integrating superconducting elements or equipment

Landscapes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erconducting wire, comprising: superconducting core including superconducting material therein; and a stabilization layer attached to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uperconducting core. The stabilization layer includes at least one first area composed of first material of a first resistance and at least one second area composed of second material of a second resistance greater than the first resistance.

Description

이종물질의 안정화층을 구비한 초전도 선재 {SUPERCONDUCTING WIRE EQUIPPED WITH STABILIZATION LAYER OF HETEROGENEOUS MATERIALS}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erconducting wire having a stabilizing layer of a heterogeneous material,

본 발명은 초전도 선재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초전도 선재에 적용되는 안정화층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eld of superconducting wir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abilizing layer applied to superconducting wires.

초전도 현상이란 어떤 종류의 금속이나 합금을 절대영도(0K: -273°) 가까이 냉각시켰을 때, 전기저항이 갑자기 소멸하여 전류가 아무런 장애 없이 흐르는 현상을 말한다.Superconducting phenomenon refers to the phenomenon that the electrical resistance suddenly disappears and the current flows without any obstacles when the metal or alloy of any kind is cooled to the absolute zero (0K: -273 °).

초전도 현상이 일어나는 온도는 금속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수은은 4.2K에서 초전도 현상을 일으키는데, 주석과 니오브의 어떤 종류의 합금에서는 18K에서 초전도 현상을 일으킨다. 현재는 납, 탈륨을 비롯하여 25종의 금속원소와 수천 종의 합금, 화합물에서 초전도 현상이 일어나는 것이 밝혀졌다. 이와 같은 초전도 현상을 일으키는 초전도체는, Nb3Sn, NbTi, 및 Nb3Al 등의 저온 초전도체(LTS: Low Temperature Superconductor)와 YBCO(Y-Ba-Cu-O)계, BSCCO(Bi-Sr-Ca-Cu-O)계의 Bi-2212(Bi2Sr2CaCu2O8) 및 Bi-2223(Bi2Sr2Ca2Cu3O10), TCBCO(Tl-Ca-Ba-Cu-O)계, HBCCO(Hg-Ba-Ca-Cu-O)계 등의 고온 초전도체(HTS: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or)(임계온도가 25K 이상)로 분류된다.The temperature at which the superconducting phenomenon occurs depends on the type of metal. For example, mercury causes a superconducting phenomenon at 4.2K, which causes superconductivity at 18K in some alloys of tin and niobium. At present, it is found that superconducting phenomenon occurs in 25 kinds of metal elements and thousands of alloys and compounds including lead and thallium. The superconductors causing such a superconducting phenomenon are a low temperature superconductor (LTS) such as Nb3Sn, NbTi and Nb3Al, a YBCO (Y-Ba-Cu-O) system, a BSCCO (Bi-Sr-Ca- (HTS) system such as Bi-2212 (Bi2Sr2CaCu2O8) and Bi-2223 (Bi2Sr2Ca2Cu3O10), TCBCO (Tl-Ca-Ba- Cu- :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or (threshold temperature above 25K).

저온 초전도체는 임계온도가 25K 이하로서, 액화 헬륨에서 초전도체가 되는 성질을 지니고 있다. 저온 초전도체는 선재로서의 가공이 용이하고, 전류 특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헬륨을 사용하게 되면 냉각비용이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대해, 고온 초전도체는 임계온도가 25K 이상으로서, 액화 질소를 냉매로 사용하여 냉각비용을 절감시키고 응용 가능성이 크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Low-temperature superconductors have a critical temperature of 25 K or less, which is a superconductor in liquefied helium. The low-temperature superconductor has advantages in that it can be easily processed as a wire and has excellent current characteristics. However, the use of helium has the disadvantage of high cooling costs. On the other hand, the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or has a critical temperature of 25 K or more and has advantages of using cooling liquid as a refrigerant to reduce the cooling cost and to have a high possibility of application.

고온 초전도체의 경우, 과전류에 따른 ?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안정화층을 고온 초전도체의 외주에 부착시킨다. 안정화층은 고온 초전도체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과전류를 바이패스시켜 고온 초전도체가 열에 의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한다.In the case of a high-temperature superconductor, a stabilizing layer is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high-temperature superconductor in order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n overcurrent phenomenon. The stabilizing layer bypasses the overcurrent when the overcurrent flows to the high-temperature superconductor, thereby preventing the high-temperature superconductor from being destroyed by heat.

?치 보호 측면에서 안정화층이 저 저항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안정화층이 매우 낮은 저항의 물질로 이루어지면, 고온 초전도 마그넷의 최초 구동시, 전류의 크기에 따른 중심 자장의 세기의 증가 정도가 감소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안정화층의 저항을 초전도체의 응용 분야에 맞게 최적화하는 것이 요구된다.When the stabilizing layer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very low resistance, it is preferable that the stability layer is made of a low resistance material in view of the protection of the teeth. However, when the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ing magnet is driven for the first tim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egree of deterioration is reduced. Therefore, it is required to optimize the resistance of the stabilizing layer for the application field of the superconduct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물질의 안정화층을 구비한 초전도 선재는 초전도 선재가 사용되는 응용 분야에 적합한 안정화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abilized layer suitable for applications in which a superconducting wire is us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물질의 안정화층을 구비한 초전도 선재는 초전도 선재의 시변 자장에 의한 손실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lso, a superconducting wire having a stabilizing layer of a heterogeneous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at reducing loss due to a time-varying magnetic field of the superconducting wi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전도 선재는,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uperconducting wire comprising:

내부에 초전도 물질을 포함하는 초전도 코어; 및 상기 초전도 코어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는 안정화층을 포함하고, 상기 안정화층은, 제 1 저항의 제 1 물질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저항보다 큰 제 2 저항의 제 2 물질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제 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A superconducting core comprising a superconducting material therein; And a stabilization layer attach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periphery of the superconducting core, wherein the stabilization layer comprises at least one first region of a first material of a first resistance and a second region of a second resistance greater than the first resistance, And at least one second region of two materials.

상기 제 1 영역의 넓이와 상기 제 2 영역의 넓이가 조절됨으로써, 상기 안정화층의 저항값이 조절될 수 있다.By adjusting the width of the first region and the width of the second regio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stabilization layer can be adjusted.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영역은, 상기 초전도 선재의 폭 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The at least one first region and the at least one second region may be alternately form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erconducting wire.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영역은, 상기 초전도 선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The at least one first region and the at least one second region may be alternately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erconducting wire.

상기 제 2 물질은, 절연 물질일 수 있다.The second material may be an insulating material.

상기 제 2 물질은, 임계 온도 이하에서 절연 특성을 갖고, 임계 온도 초과시 도전 특성을 갖는 MIT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material may include an MIT having an insulating property at or below a critical temperature and a conductive property at a critical temperature.

상기 초전도 선재는, 1세대 고온 초전도 선재를 포함하며, 상기 초전도 코어는, 초전도 필라멘트 다발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perconducting wire includes a first generation high-temperature superconducting wire, and the superconducting core may include a superconducting filament bundle.

상기 초전도 선재는, 2세대 고온 초전도 선재를 포함하며, 상기 초전도 코어는, 초전도층을 포함하는 층상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uperconducting wire includes a second-generation high-temperature superconducting wire, and the superconducting core may have a layered structure including a superconducting lay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물질의 안정화층을 구비한 초전도 선재가 달성할 수 있는 일부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Some effects that can be achieved by a superconducting wire having a stabilizing layer of a heterogeneous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i) 초전도 선재의 응용 분야가 요구하는 턴(turn) 간 저항 값을 가짐으로써, 초전도 선재의 동작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i) The reliability of the operation of the superconducting wire can be improved by having a resistance value between turns required by the application field of the superconducting wire.

ii) 시변 자장으로 인한 초전도 선재의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ii) The loss of superconducting wire due to the time-varying magnetic field can be reduced.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물질의 안정화층을 구비한 초전도 선재가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 that the superconducting wire having the stabilizing layer of the heterojunction materi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obtain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apparent to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도 1(a) 및 도 1(b)는 일반적인 1세대 고온 초전도 선재와 2세대 고온 초전도 선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2세대 고온 초전도 선재 코일의 턴 간 저항값에 따른 초전도 선재 코일의 중심 자장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전도 선재에 적용 가능한 초전도 코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전도 선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초전도 선재의 안정화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전도 선재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초전도 선재의 안정화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1 (a) and 1 (b) show general first-generation high-temperature superconducting wires and second-generation high-temperature superconducting wires.
2 is a graph showing the center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superconducting wire coil according to the resistance value between turns of the second generation high-temperature superconducting wire coil.
3 (a) and 3 (b) are views showing a superconducting core applicable to the superconducting w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uperconducting w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a stabilizing layer of the superconducting wire of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uperconducting wi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abilizing layer of the superconducting wire shown in Fig.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tention is not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the intention is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In addition, numeral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an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the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unless an opposite description is present, it may be connected or connected via another element in the middle.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유닛)', '모듈' 등으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이 구성요소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구성 요소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구성요소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components referred to in this specification as 'units', 'modules', and the like refer to hardware components such as software, FPGA, or ASIC, and these components perform certain roles. However,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The component may be configured to reside o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Further,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merg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functions according to a more refined function. In addition, each of the components to be described below may additionally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th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main functions that the user is responsible for, and some of the main functions And may be performed entirely by components.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a) 및 도 1(b)는 일반적인 1세대 고온 초전도 선재(10)와 2세대 고온 초전도 선재(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a) and 1 (b) are views showing general first-generation high-temperature superconducting wire 10 and second-generation high-temperature superconducting wire 20.

도 1(a)는 1세대 고온 초전도 선재(10)를 도시하고 있으며, 1세대 고온 초전도 선재(10)는 상전도체(11) 및 상전도체(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전도체(11)의 내부에 포함된 초전도 필라멘트 다발(13)을 포함한다. 상전도체(11)는 은(Ag) 또는 은 합금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초전도 필라멘트 다발(13)은 BSCCO 2223 또는 BSCCO 2212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a)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안정화층이 도 1(a)의 1세대 고온 초전도 선재(10)의 외주에 부착될 수 있다.1 (a) shows a first-generation high-temperature superconducting wire 10, and a first-generation high-temperature superconducting wire 10 is wound around the phase conductor 11 and the phase conductor 1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hase conductor 11 and the phase conductor 11 And a superconducting filament bundle 13 contained therein. The superconducting filament bundle 13 may be composed of BSCCO 2223 or BSCCO 2212. The superconducting filament bundle 13 may be made of Ag or Ag alloy. Although not shown in Fig. 1 (a), the stabilizing layer can be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generation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ing wire 10 of Fig. 1 (a).

도 1(b)는 2세대 고온 초전도 선재(20)를 도시하고 있는데, 2세대 고온 초전도 선재(20)는 기판(21), 완충층(23), 초전도층(25) 및 안정화층(27)을 포함할 수 있다.1B shows a second-generation high-temperature superconducting wire 20 having a substrate 21, a buffer layer 23, a superconducting layer 25, and a stabilizing layer 27 .

기판(21)은 금속 기판 또는 세라믹 기판 등 통상의 초전도 선재 제조용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21)은 니켈 또는 니켈 합금을 포함하는 금속 기판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판(21)의 재질 및 두께는 초전도 제품의 용도에 따라 변화할 수 있으며, 그 표면이 적절히 처리되거나 2축 배향된 것일 수 있다.As the substrate 21, a conventional substrate for producing a superconducting wire such as a metal substrate or a ceramic substrate can be used. For example, the substrate 21 may be a metal substrate comprising nickel or a nickel alloy. The material and thickness of the substrate 21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 of the superconducting article, and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21 may be suitably treated or biaxially oriented.

완충층(23)은 기판(21)과 초전도층(25) 사이에 개재되어 후속되는 초전도층(25)이 초전도 특성을 나타내기 위한 결정학적 배향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기판(21)로부터 공정 중 발생하는 금속물질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층으로 작용한다. 완충층(23)은 ZrO2, CeO2, YSZ, Y2O3 및 HfO2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최소한 1종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완충층(23)은 초전도 제품의 용도 및 제조 방법에 따라 단일층 또는 복수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buffer layer 23 is interposed between the substrate 21 and the superconducting layer 25 so that the subsequent superconducting layer 25 provides a crystallographic orientation for exhibiting superconductivity and at the same time, And serves as a layer for preventing the diffusion of the substance. The buffer layer 23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ZrO2, CeO2, YSZ, Y2O3, and HfO2. The buffer layer 23 may be formed as a single layer or a plurality of layers depending on the us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uperconducting product.

초전도층(25)은 희토류 원소를 포함하는 초전도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YBa2Cu3O7으로 대표되는 RE123 초전도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초전도층(25)으로 Bi계의 초전도 물질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The superconducting layer 25 may be composed of a superconducting material containing a rare earth element. RE123 superconducting material represented by YBa2Cu3O7 may be used. The superconducting layer 25 may be a Bi-based superconducting material.

안정화층(27)은 도전성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정화층(27)은 구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안정화층(27)은 기판(21), 완충층(23) 및 초전도층(25)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안정화층(27)은 초전도 선재(20)의 과전류 특성을 향상시키면서, 초전도 선재(20)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The stabilizing layer 27 may be composed of a conductive metal. For example, the stabilization layer 27 may be made of copper. The stabilizing layer 27 may be attach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periphery of the substrate 21, the buffer layer 23, and the superconducting layer 25. [ As described above, the stabilizing layer 27 can increase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superconducting wire 20 while improving the overcurrent characteristics of the superconducting wire 20.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초전도층(25)과 안정화층(27) 사이에는 캡핑층(capping layer)이 위치될 수 있다. 캡핑층은 초전도 선재(20)의 전기적 안정화를 위해 제공된다. 캡핑층은 바람직하게는 금, 은, 백금 및 팔라듐을 포함하는 귀금속 그룹에서 선택된 최소한 1종의 물질 또는 그 합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귀금속 이외에 전기전도성을 갖는 임의의 금속이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캡핑층은 통상의 물리 기상 증착법(Physical Vapor Deposition) 또는 스퍼터링과 같은 통상의 기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 capping layer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superconducting layer 25 and the stabilization layer 27. The capping layer is provided for electrical stabilization of the superconducting wire 20. The capping layer may preferably consist of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old, silver, platinum and palladium, or an alloy thereof. Of course, in the present invention, any metal having electric conductivity other than the noble metal may be used. The capping layer may be formed by conventional techniques such as conventional physical vapor deposition (CVD) or sputtering.

캡핑층은 초전도층(25) 상에 존재할 수도 있지만, 구현예에 따라서는, 캡핑층은 기판(21), 완충층(23) 및 초전도층(25)을 포함하는 구조의 측벽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pping layer may be present on the superconducting layer 25, but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capping layer may be formed as a side wall of the structure comprising the substrate 21, the buffer layer 23 and the superconducting layer 25.

또한, 구현예에 따라서는, 2세대 초전도 선재(20)는 기판(21)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초전도 선재(20)가 제조되는 중에 적절한 단계에서 기판(21)이 제거될 수 있으며, 기판(21)의 제거는 물리적 또는 화학적 식각법이 적용될 수 있다.Further,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second generation superconducting wire 20 may not include the substrate 21. [ For this, the substrate 21 may be removed at an appropriate stage while the superconducting wire 20 is being manufactured, and physical or chemical etching may be applied to the removal of the substrate 21.

도 2는 2세대 고온 초전도 선재 코일의 턴 간 저항값에 따른 초전도 선재 코일의 중심 자장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2 is a graph showing the center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superconducting wire coil according to the resistance value between turns of the second generation high-temperature superconducting wire coil.

a는 구리로 이루어진 안정화층을 포함하는 2세대 고온 초전도 선재 코일에서 턴 사이에 스테인리스 스틸(SUS)을 게재한 경우의 중심 자장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b는 구리로 이루어진 안정화층을 포함하는 2세대 고온 초전도 선재 코일에서 턴 사이에 하스텔로이를 게재한 경우의 중심 자장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c는 구리로 이루어진 안정화층을 포함하는 2세대 고온 초전도 선재 코일에서 턴 사이에 폴리아미드를 게재한 경우의 중심 자장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a) is a graph showing a center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 in a case where stainless steel (SUS) is placed between turns in a second generation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ing wire coil including a stabilizing layer made of copper, and b is a second generation 1 is a graph showing the center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when Hastelloy is placed between turns in a high-temperature superconducting wire coil; and c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turns of a polyamide in a second generation high-temperature superconducting wire coil including a stabilizing layer made of copper This graph is a graph showing the center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

구리로 이루어진 안정화층을 포함하는 2세대 고온 초전도 선재를 무절연으로 권취하는 경우, 구리의 저 저항 특성으로 인해, 전류 크기의 증가 정도에 비해 코일의 중심 자장의 크기가 작게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방지하고자, 턴 사이에 스테인리스 스틸, 하스텔로이 및 폴리아미드 등이 게재될 수 있다.When the second-generation high-temperature superconducting wire including the stabilizing layer made of copper is wound without insul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ize of the center magnetic field of the coil is smaller than that of the current magnitude due to the low resistance property of copper. To avoid this, stainless steel, Hastelloy and polyamide may be placed between turns.

스테인리스 스틸, 하스텔로이 및 폴리아미드 중 가장 저항값이 작은 스테인리스 스틸의 경우, 전류의 증가에 따라 중심 자장이 약 90G까지 일정하게 증가하지만, 전류가 그 이상 계속하여 증가하는 경우, 중심 자장이 최고 값에서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In the case of stainless steel with the smallest resistance value among stainless steel, Hastelloy and polyamide, the central magnetic field increases constantly up to about 90 G as the current increases. However, when the current continues to increase continuously, In the case of FIG.

스테인리스 스틸보다 저항 값이 큰 하스텔로이의 경우, 전류의 증가에 따라 중심 자장이 약 90G까지 일정하게 증가하지만, 전류가 그 이상 증가하면, 중심 자장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In the case of Hastelloy, which has a higher resistance than stainless steel, the center magnetic field increases constantly to about 90G with increasing current. However, when the current increases more, the center magnetic field sharply decreases.

마지막으로, 가장 저항 값이 큰 폴리아미드의 경우, 전류의 증가에 따라 중심 자장이 약 90G까지 일정하게 증가하지만, 전류가 그 이상 증가하면, 중심 자장이 더 이상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Finally, for a polyamide with the highest resistance value, the central magnetic field increases constantly up to about 90 G as the current increases, but if the current increases further, it can be seen that the central magnetic field no longer appears.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중심 자장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은 초전도 선재에 흐르는 과전류 특성으로 인해 초전도 선재가 파괴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The fact that the central magnetic field does not appear as the current increases indicates that the superconducting wire has been destroyed due to the overcurrent characteristic flowing through the superconducting wire.

즉, 정리하면, 초전도 코일의 턴 간 저항값에 따라 초전도 코일의 중심 자장의 세기의 변화량, 초전도 코일의 동작 안정성 등이 결정되는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 보면, 턴 간 저항값이 작을수록 초전도 코일의 동작 안정성은 향상되나, 중심 자장의 세기의 변화량은 감소되고, 턴 간 저항값이 클수록 중심 자장의 세기의 변화량은 증가하거나, 최대 값에서 일정해지지만, 동작 안정성은 저감된다.That is, in summary, the variation of the intensity of the central magnetic field of the superconducting coil and the operational stability of the superconducting coil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sistance value between turns of the superconducting coil. More specifically, Although the stability of operation is improved, the amount of change of the intensity of the central magnetic field decreases, and as the resistance between turns increases, the variation of the intensity of the central magnetic field increases or is constant at the maximum value, but the stability of operation is reduc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초전도 선재를 응용하고자 하는 분야에 적합하게 안정화층의 저항 값을 설계할 수 있는 동시에, 시변 자장에 따른 전류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sig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stabilization layer suitable for a field in which a user wants to apply the superconducting wire, and at the same time, the current loss due to the time-varying magnetic field can be reduced.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전도 선재에 적용 가능한 초전도 코어(310, 3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a) and 3 (b) are views showing superconducting cores 310 and 320 applicable to a superconducting w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를 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전도 선재에 적용 가능한 초전도 코어(310)는 도 1(a)의 1세대 고온 초전도 선재(10) 자체가 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전도체(311) 및 초전도 필라멘트 다발(313)을 포함할 수 있다.3 (a), the superconducting core 310 applicable to the superconducting w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he first generation high-temperature superconducting wire 10 of FIG. 1 (a) And may include a phase conductor 311 and a superconducting filament bundle 313.

다음으로, 도 3(b)를 보면, 초전도 코어(320)는 도 1에 도시된 2세대 고온 초전도 선재(20)에서 안정화층(27)이 존재하지 않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서는, 도 3(b)의 초전도 코어(320)는 초전도층(325)의 상부에 적층된 캡핑층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초전도 코어(320)에서 기판(321)이 생략될 수도 있다.3 (b), the superconducting core 320 may include a structure in which the stabilization layer 27 does not exist in the second-generation high-temperature superconducting wire 20 shown in FIG.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he superconducting core 320 of FIG. 3B may further include a capping layer stacked on top of the superconducting layer 325, or the substrate 321 may be omitted in the superconducting core 320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전도 선재(400)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초전도 선재(400)의 안정화층(430)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uperconducting wire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bilizing layer 430 of the superconducting wire 400 of FIG.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전도 선재(400)는 초전도 코어(410) 및 초전도 코어(410)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는 이종물질의 안정화층(430)을 포함할 수 있다.4, a superconducting wire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erconducting core 410 and a stabilization layer 430 of a heterogeneous material attached to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perconducting core 410 .

이종물질의 안정화층(430)은 제 1 저항을 갖는 제 1 물질과, 제 1 저항보다 큰 제 2 저항을 갖는 제 2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tabilization layer 430 of the heterogeneous material may comprise a first material having a first resistance and a second material having a second resistance greater than the first resistance.

예를 들어, 제 1 물질은 구리, 서스(SUS) 또는 하스텔로이(hastelloy)를 포함할 수 있고, 제 2 물질은 V203 또는 Al2O3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material may comprise copper, SUS or hastelloy, and the second material may comprise V203 or Al2O3.

구현예에 따라서, 제 2 물질은 절연 물질일 수 있다. 또는, 제 2 물질은 금속-절연체 전이 물질(Metal-Insulator Transition; MIT)을 포함할 수 있다. MIT는 소정 온도(전이온도; Transition Temperature) 미만에서는 낮은 전기 전도도를 가져 절연체로 거동하지만 전이 온도 이상에서 전기 전도도(electrical conductivity)의 급격한 증가를 나타내는 물질을 말한다. 제 2 물질이 MIT인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전도 선재(400)의 초기 구동시에는 제 2 물질이 절연 특성을 갖지만, 초전도 선재(400)에 과전류가 흘러 초전도 선재(400)에 열이 발생하는 경우, 제 2 물질은 낮은 저항의 도전 특성을 갖게 되어 과전류를 바이패스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material may be an insulating material. Alternatively, the second material may comprise a metal-insulator transition (MIT). MIT refers to a material that exhibits a low electrical conductivity at a certain temperature (transition temperature) and behaves as an insulator but exhibits a drastic increase in electrical conductivity above the transition temperature. When the second material is MIT, the second material may have insulation characteristics during the initial operation of the superconducting wire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when an overcurrent flows in the superconducting wire 400, When heat is generated, the second material has a low resistance conductive property, and the overcurrent can be bypassed.

도 5를 참조하면, 안정화층(430)은 초전도 선재(400)의 폭 방향(w)을 따라 제 1 저항을 갖는 제 1 물질로 이루어진 제 1 영역(432) 및 제 2 저항을 갖는 제 2 물질로 이루어진 제 2 영역(434)으로 구분될 수 있다. 5, the stabilization layer 430 includes a first region 432 made of a first material having a first resistance along the width w of the superconducting wire 400, and a second region 432 made of a second material having a second resistance And a second area 434 made up of a plurality of pixels.

안정화층(430)에서 제 1 영역(432)과 제 2 영역(434) 사이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안정화층(430)의 저항 값이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 저항의 안정화층이 요구되는 분야에서는, 제 1 영역(432)의 넓이(S1)(또는, 부피)를 증가시킴으로써, 안정화층(430)의 저항 값을 감소시킬 수 있고, 고 저항의 안정화층(430)이 요구되는 분야에서는, 제 2 영역(434)의 넓이(S2)(또는, 부피)를 증가시킴으로써, 안정화층(430)의 저항 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만, 안정화층(430)은 ?치 발생에 따른 초전도 선재(400)의 파괴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바람직하게는, 제 1 영역(432)의 넓이(S1)가 제 2 영역(434)의 넓이(S2)보다 클 수 있다.The resistance value of the stabilization layer 430 can be variously determined by adjusting the ratio between the first region 432 and the second region 434 in the stabilization layer 430. For example, in a field where a low resistance stabilization layer is required, the resistance value of the stabilization layer 430 can be reduced by increasing the width S1 (or volume) of the first region 432, The resistance value of the stabilization layer 430 can be increased by increasing the width S2 (or volume) of the second region 434 in the field where the stabilization layer 430 is required. The width S 1 of the first region 432 is greater than the width S 1 of the second region 434 because the stabilizing layer 430 prevents the destruction of the superconducting wire 400 due to the occurrence of the trench. May be greater than the width S2 of the first reg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전도 선재(600)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초전도 선재(600)의 안정화층(630)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uperconducting wire 6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 stabilizing layer 630 of the superconducting wire 600 of FIG.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영역(632)과 제 2 영역(634)은 복수 개로서, 초전도 선재(600)의 폭 방향(w)을 따라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영역(632)과 제 2 영역(634)은 초전도 선재(600)의 길이 방향(d)을 따라 교대로 배치될 수도 있다.6 and 7, a plurality of first regions 632 and second regions 634 may be alternately arranged along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superconducting wire 600. The first region 632 and the second region 634 may be alternately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d) of the superconducting wire 600.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배치 구조에 따라 시변 자장에 의한 초전도 선재(600)에서의 전류 손실이 감소될 수 있다. 즉, 아래의 수학식을 보면, 시변 자장하에서 초전도 선재(600)에 유도되는 전압을 Vemf라 할 때, Vemf는 시변 자장이 쇄교하는 단면적에 비례하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시변 자장이 쇄교하는 단면적, 즉, 각각의 제 1 영역(632)의 넓이(S1)를 작게 하여 유도 기전력에 의한 손실을 방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제 1 영역(632)의 총 넓이(S1)가 일정한 상태에서 각각의 제 2 영역(634)으로 나누어진 제 1 영역(632)의 개수가 많을수록, 각 제 1 영역(632)의 넓이(S1)는 감소되므로, 제 1 영역(632)의 개수가 많을수록 유도 기전력에 의한 손실이 더 많이 감소될 수 있다. 전술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초전도 선재(400)의 경우에도 일반적인 초전도 선재에 비해 전류 손실은 감소될 수 있다.The current loss in the superconducting wire 600 by the time-varying magnetic field can be reduced in accordance with the arrangement structure shown in Figs. That is, when the voltage induced in the superconducting wire 600 under the time-varying magnetic field is Vemf, Vemf is proportional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terdigital transducer, and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area, that is, the width S1 of each first region 632 may be reduced to prevent or reduce loss due to induced electromotive force. The greater the number of the first regions 632 divided into the second regions 634 in a state where the total area S1 of the first region 632 is constant, The loss due to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can be further reduced as the number of the first regions 632 increases. In the case of the superconducting wire 400 shown in Figs. 4 and 5, the current loss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uperconducting wire.

[수학식][Mathematical Expression]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상기 Vemf는 유도 기전력, B는 자속 밀도, S는 면적)(Vemf is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B is the magnetic flux density, and S is the area)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물질의 안정화층을 구비한 초전도 선재는 초전도 선재가 사용되는 응용 분야에 적합한 안정화층을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시변 자장에 의한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uperconducting wire having the stabilizing layer of the heterogeneous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the stabilizing layer suitable for the application field where the superconducting wire is used, and reduce the loss due to the time varying magnetic field.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You will understan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310, 320, 410, 610: 초전도 코어
311: 상전도체
313: 초전도 필라멘트
321: 기판
323: 완충층
325: 초전도층
400, 600: 초전도 선재
430, 630: 안정화층
432, 632: 제 1 영역
434, 634: 제 2 영역
310, 320, 410, 610: superconducting core
311: Phase conductor
313: superconducting filament
321: substrate
323: buffer layer
325: superconducting layer
400, 600: superconducting wire
430, 630: stabilization layer
432, 632:
434, 634: second region

Claims (8)

내부에 초전도 물질을 포함하는 초전도 코어; 및
상기 초전도 코어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는 안정화층을 포함하고,
상기 안정화층은,
제 1 저항의 제 1 물질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저항보다 큰 제 2 저항의 제 2 물질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선재.
A superconducting core comprising a superconducting material therein; And
And a stabilizing layer attached to at least a portion of an outer periphery of the superconducting core,
Wherein the stabilizing layer comprises:
And at least one second region comprising a second material of a second resistance greater than the first resistance, and at least one second region of a first material of a first resist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의 넓이와 상기 제 2 영역의 넓이가 조절됨으로써, 상기 안정화층의 저항값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선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sistance of the stabilization layer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width of the first region and the width of the second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영역은,
상기 초전도 선재의 폭 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선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Said at least one first region and said at least one second region,
Wherein the superconducting wire is formed alternately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erconducting wi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영역은,
상기 초전도 선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선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Said at least one first region and said at least one second region,
Wherein the superconducting wire is formed alternate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erconducting wi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물질은,
절연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선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material comprises,
Wherein the superconducting wire is an insulating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물질은,
임계 온도 이하에서 절연 특성을 갖고, 임계 온도 초과시 도전 특성을 갖는 MI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선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material comprises,
A superconducting wire comprising an MIT having an insulation property at or below a critical temperature and having a conductive property when a critical temperature is excee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전도 선재는,
1세대 고온 초전도 선재를 포함하며,
상기 초전도 코어는,
초전도 필라멘트 다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선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erconducting wire has a superconducting wire,
First generation high-temperature superconducting wire,
The superconducting core includes:
A superconducting wire comprising a superconducting filament bund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전도 선재는,
2세대 고온 초전도 선재를 포함하며,
상기 초전도 코어는,
초전도층을 포함하는 층상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선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erconducting wire has a superconducting wire,
Second generation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ing wire,
The superconducting core includes:
Wherein the superconducting wire comprises a layered structure including a superconducting layer.
KR1020150125810A 2015-09-04 2015-09-04 Superconducting wire equipped with stabilization layer of heterogeneous materials KR2017002908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810A KR20170029084A (en) 2015-09-04 2015-09-04 Superconducting wire equipped with stabilization layer of heterogeneous materi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810A KR20170029084A (en) 2015-09-04 2015-09-04 Superconducting wire equipped with stabilization layer of heterogeneous materia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084A true KR20170029084A (en) 2017-03-15

Family

ID=58403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5810A KR20170029084A (en) 2015-09-04 2015-09-04 Superconducting wire equipped with stabilization layer of heterogeneous materia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908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818A (en) * 2018-11-02 2020-05-12 한국전기연구원 Ceramic film having function of temperature switch and superconducting coils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818A (en) * 2018-11-02 2020-05-12 한국전기연구원 Ceramic film having function of temperature switch and superconducting coils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6668B1 (en) Joined superconductive articles
KR101782177B1 (en) Multifilament conducto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20150318099A1 (en) Superconduting coil device comprising coil winding and contacts
KR101247548B1 (en) Superconductive articles having density characteristics
US9847588B2 (en) Connecting system for superconducting systems
JP2018523293A5 (en) Superconducting fault current limiter system and connection system for connecting superconducting tapes
US8470744B2 (en)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or, in particular improved coated conductor
JP2923988B2 (en) Superconducting conductor
KR20150026820A (en) Superconductor coil arrangement
RU2742716C1 (en) Central column of winding of toroidal field
US20040155739A1 (en) Superconductor assembly
JP2011508968A (en) Fault current limiter incorporating superconducting articles
US20040116302A1 (en) Protected superconductor component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Cantoni et al. Conductive buffer layers and overlayers for the thermal stability of coated conductors
KR20170029084A (en) Superconducting wire equipped with stabilization layer of heterogeneous materials
JP3541123B2 (en) Superconducting current lead
RU2439749C1 (en) Superconducting device with josephson junction
EP3511953B1 (en) Low-temperature superconducting wire rod having low stabilizing matrix ratio, and superconducting coil having same
JP2929622B2 (en) How to use oxide superconductor
JP6364235B2 (en) Superconducting coil electrode structure
JP2017530668A (en) Current limi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urrent limiting device
KR20170029724A (en) Superconducting wire equipped with flux collecting structure
US7792560B2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low contact resistant contact on a high transition temperature superconductors
US20120208702A1 (en) Composite with coated conductor
TW201526318A (en) Superconductor tap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