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8593A - 움직이는 영상 생성방법 및 생성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움직이는 영상 생성방법 및 생성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8593A
KR20170028593A KR1020150125396A KR20150125396A KR20170028593A KR 20170028593 A KR20170028593 A KR 20170028593A KR 1020150125396 A KR1020150125396 A KR 1020150125396A KR 20150125396 A KR20150125396 A KR 20150125396A KR 20170028593 A KR20170028593 A KR 20170028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mputer
moving image
frames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5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현웅
Original Assignee
오현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현웅 filed Critical 오현웅
Priority to KR1020150125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8593A/ko
Publication of KR20170028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85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802D [Two Dimensional] animation, e.g. using spri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04Still image; Photographic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16Video; Image seque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움직이는 영상 생성방법 및 생성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움직이는 영상 생성방법은, 하나 이상의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을 최초영상으로 획득하는 단계(S100); 최초영상에서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추출하는 단계(S110); 및 추출된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특정한 순서로 병합하여 움직이는 영상인 최종영상을 생성하는 단계(S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에 비해 더 간편하고 빠르게 움직이는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특히, 획득된 복수의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에서 추출된 프레임 중에서 원하는 프레임들에만 간편하게 편집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움직이는 영상 생성방법 및 생성프로그램 {METHOD AND PROGRAM FOR MAKING MOVING IMAGE}
본 발명은 이미지 촬영장치에 의해 촬영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애니메이션 이미지(즉, 움직이는 영상)를 생성하는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카메라,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촬영장치는 촬영된 이미지를 압축하여 저장하기 위하여 JPEG(Joint Photography Experts Group),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파일 포맷 등을 이용한다.
JPEG 파일 포맷에는 파일 정보(file information), 썸네일 이미지(thumbnail image), 스캔 데이터(scan data), 스크린네일 이미지(screennail image) 등이 포함된다. 썸네일 이미지는 이미지 검색을 위하여 LCD 화면에 표시되는 작은 이미지이다. 스크린네일 이미지는 JPEG 파일포맷의 말미에 덧붙여져서, 썸네일 이미지와는 별도로 LCD 화면의 가시 영역의 크기에 맞추어 압축된 이미지이다.
JPEG 파일에서 파일 정보는 EXIF 파일 형식(EXchangeable Image File)으로서 헤더(header) 부분에 저장된다. JPEG의 EXIF는 디지털 카메라에 사용되는 각종 정보를 저장해 놓은 데이터로서 JPEG 파일에 삽입된 부가정보 형식으로서, 촬영 일시, 셔터 속도, 조리개 수치, 플래시 사용여부, ISO 설정값, 줌 배율 등 다양한 부가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특히, JPEG의 EXIF에는 메이커 노트(Maker note)가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의 제조사에서 설정한 각종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GIF 규격으로 압축된 이미지 파일은 원본 이미지의 품질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파일 용량을 원본의 40% 수준으로 줄일 수 있어 저장 장치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고, 네트워크 환경에서 보다 빠르게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큰 호평을 받았다. 특히 1991년, 웹 브라우저(web browser) 프로그램을 이용해 문서와 이미지를 보는 인터넷 서비스, 즉 WWW(World Wide Web)가 시작되면서 GIF는 각종 웹 페이지의 이미지 파일로 많이 쓰이기 시작했다.
GIF의 또 다른 장점이라면 특정 색을 투명으로 처리해 다른 색의 배경 위에 겹쳐 표시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1개의 파일에 여러 개의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는 점 등이다. 특히 복수 이미지 저장 기능을 이용해 간단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웹 페이지 상에서 움직이는 그림(일명 움짤, 움직이는 짤림방지)을 넣고자 할 때 GIF가 애용되고 있다.
애니메이션 GIF 파일은 전체 GIF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GIF 헤더블록(GIF header, Global screen descriptor, Globla color table)과 트레일러(Trailer code 0x38)와의 사이에 몇 장의 이미지라도 포함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각 이미지 블록에는 그래픽 컨트롤 익스텐션(Graphic control extention), 로컬 이미지 디스크립터(Local image descriptor), 로컬 컬러 테이블(Local color table)과 압축 이미지 데이터가 포함된다.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최근 이미지(즉, 그림, 영상 등) 여러 장을 연결하여 동영상과 같이 '움직이는 영상'을 생성하여 함께 업로드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움직이는 영상은 사진이나 동영상 전용 게시판에 사진이나 동영상이 아닌 글을 올렸을 경우 삭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용과 아무런 상관없는 사진을 함께 올리는 용도로 주로 사용되었다. 그 후, 모바일 디바이스가 발달되면서 동영상을 재생하면 데이터 용량이 많이 소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업로드를 원하는 영상을 '움직이는 영상'으로 제작하여 업로드하고 있다.
연속적인 정지화상 또는 특정시간 동안의 동영상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움직이는 영상을 생성하고, 간편하게 움직이는 영상을 편집할 수 있는, 움직이는 영상 생성방법 및 생성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움직이는 영상 생성방법은, 컴퓨터가 하나 이상의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을 최초영상으로 획득하는 단계; 최초영상에서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특정한 순서로 병합하여 움직이는 영상인 최종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게임수행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상기 언급된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게임수행 방법을 실행하며, 매체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에 비해 더 간편하고 빠르게 움직이는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특히, 획득된 복수의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에서 추출된 프레임 중에서 원하는 프레임들에만 간편하게 편집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사용자는 움직이는 영상 제작 시에 일부영역만 움직이도록 구현하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특정한 촬영모드 수행 중에 다른 촬영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여러 촬영모드로 촬영된 최초영상을 움직이는 영상 제작에 함께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컴퓨터의 내부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움직이는 영상 생성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특정 프레임 내의 특정 영역을 하나 이상의 프레임 내에서 고정영상으로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기준프레임의 고정영상 외의 영역을 투명하게 처리하여 일부 영역이 고정되어 있는 최종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고정영상이 설정되는 기준프레임의 예시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고정영상 외의 영역을 투명하게 처리한 기준프레임과 고정영상이 적용된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도시한 예시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촬영 중 촬영모드 변경 시에 촬영모드 설정을 위한 지연시간 동안 프리뷰를 이용하여 최초영상을 보완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는 연산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 모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데스크 탑 PC, 노트북(Note Book)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hone),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의 컴퓨터,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도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는 시계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컴퓨터가 해당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는 단말기로 표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움직이는 영상은, 여러 장의 프레임이 포함되어 재생 가능한 영상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움직이는 영상은 여러 장의 정지화상을 포함하는 GIF 형식 등의 영상이 포함될 수 있고, mp4 형식 등의 동영상도 포함될 수 있다.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컴퓨터(100)는, 카메라(110), 마이크(120), 사용자입력부(130), 출력부(140), 메모리(150), 인터페이스부(160), 제어부(170), 전원공급부(18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카메라(110)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4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10)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이미지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가 정보처리를 위한 입력으로 쓰이는 경우, 제어부(180)로 이미지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전달한다.
마이크(120)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0)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4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출력부(14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4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1)는 컴퓨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가 통화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컴퓨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4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4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4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body)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컴퓨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4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41)와 상기 터치 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4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음향출력부(14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출력부(142)은 컴퓨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출력부(14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150)는 제어부(17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5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 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80)는 컴퓨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8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컴퓨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컴퓨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미도시)은 컴퓨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컴퓨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컴퓨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컴퓨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컴퓨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70)는 통상적으로 컴퓨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70)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정보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41)에 표시할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170)는 사용자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입력(예를 들어, 사용자의 터치스크린에 대한 터치조작 등)에 부합하는 화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41)에 제공한다.
전원 공급부(18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움직이는 영상 생성방법, 재생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프로그램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움직이는 영상 생성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움직이는 영상 생성방법은, 하나 이상의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을 최초영상으로 획득하는 단계(S100); 최초영상에서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추출하는 단계(S110); 및 추출된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특정한 순서로 병합하여 움직이는 영상인 최종영상을 생성하는 단계(S120);를 포함한다.
컴퓨터는 최초영상을 획득한다(S100). 상기 최초영상은, 별도의 효과 부여 또는 편집이 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정지화상(Still image) 또는 특정시간 동안의 동영상(Video)을 의미할 수 있다. 컴퓨터가 카메라를 포함하는 경우, 컴퓨터는 사용자의 요청(예를 들어, 터치스크린과 같은 사용자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카메라를 이용하여 직접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연속적으로 획득하거나 특정시간 동안의 동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는 이미 촬영되어 저장된 연속촬영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불러와서 최초영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컴퓨터(또는 단말기)가 구비한 카메라를 통해 최초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컴퓨터는 유저가 촬영한 최초영상을 개별 그룹으로 구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 촬영버튼에 접촉한 순간부터 접촉이 떨어질 때까지 촬영된 정지화상(Still image)을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각각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는 정지화상이 촬영되는 방향을 인식하여 동일 방향에 해당하면 동일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는 정지화상 내에 포함된 물체를 인식하여 동일한 물체를 촬영하면 동일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컴퓨터는 최초영상에서 하나의 최종영상으로 생성할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추출한다(S110). 상기 최종영상은 복수의 프레임을 병합하여 만들어진 움직이는 영상을 의미한다. 즉, 컴퓨터는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정지화상의 집합인 최초영상 중에서 일부를 선택받거나, 동영상인 최초영상에서 여러 프레임을 선택받을 수 있다.
일실시예로, 최초영상이 특정시간 동안의 동영상에 해당하는 경우, 컴퓨터는 디스플레이부에 동영상을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특정한 시점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선택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동영상이 재생되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특정 프레임이 재생되는 시점에 터치스크린을 통해 터치입력을 수신하여, 추출을 원하는 특정 프레임을 선택받을 수 있다. 컴퓨터는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예를 들어, 화면상 타임라인 위의 영역)에 선택된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차례대로 표시할 수 있고, 동영상 전체의 시간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 이상의 시점을 타임라인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을 추출하는 단계(S110)에서, 컴퓨터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특정한 프레임에 편집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즉, 컴퓨터는 촬영 파트, 각각의 프레임 또는 재생구간 별로 다른 편집 효과를 적용 시킬 수 있다. 사용자들은 편집하고자 하는 해당 파트의 프레임을 선택하고, 필터를 포함한 다양한 효과를 적용함으로써 개별 파트를 편집할 수 있다. 반대로, 원하는 효과를 선택한 후 개별 파트를 선택해도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모든 파트에 동일한 효과를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all 버튼을 누르고 효과를 적용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체 리소스 단위로만 편집이 가능하였던 기존 프로그램과는 달리, 촬영 파트 별로 효과를 적용 할 수 있어 유저들은 더욱 다양한 컨텐츠 생산이 가능하다.
다른 일실시예로, 최초영상이 특정시간 동안 재생되는 동영상인 경우, 컴퓨터는 사용자로부터 동영상 내의 특정한 재생구간을 설정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재생구간에 동일한 편집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원하는 재생구간 내에서 추출되는 모든 프레임에 한번에 효과를 적용할 수 있어서, 편집 작업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최초영상이 연속 촬영된 복수의 정지화상인 경우, 컴퓨터는 연속되는 복수의 정지화상을 최초 촬영되는 시점부터 촬영되는 각각의 정지화상 사이의 시간간격을 두고 전체 타임라인 상에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구간을 설정받아서 특정구간에 동일한 편집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로, 도 3에서와 같이, 컴퓨터는 최종영상을 구성하는 추출된 프레임의 일부영역만을 움직이는 영역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컴퓨터는 최초영상에서 추출된 복수의 프레임 중에서 정지시킬 영역을 포함하는 특정한 기준프레임을 선택받을 수 있다(S111). 사람이 다이빙할 때 연속적으로 촬영된 복수의 정지화상(도 5)과 같이 특정방향으로 물체가 이동하는 최초영상 내의 움직이는 여러 물체 중 일부가 정지되어 있는 최종영상을 생성하기를 원하는 경우, 컴퓨터는 최초영상의 하나 이상의 프레임 중 시작프레임을 기준프레임으로 선택받을 수 있다.
그 후, 컴퓨터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특정 프레임 내의 정지시킬 특정영역(이하, 고정영상)을 선택받을 수 있다(S112). 예를 들어, 상기 컴퓨터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이동단말기인 경우, 컴퓨터는 사용자로부터 터치스크린 상에 프레임을 구획하는 선을 입력받거나 특정한 폐곡선을 입력받아서 특정영역을 선택받을 수 있다. 컴퓨터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대응되는 영상프레임 내 좌표를 추출하여 고정영상을 설정할 수 있다. 반대로, 컴퓨터는 정지할 특정영역 외의 움직이는 영상 영역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도 있다.
그 후, 컴퓨터는 모든 프레임 내 기준프레임의 고정영상에 대응되는 영역에 고정영상을 결합할 수 있다(S113). 일실시예로, 컴퓨터는 선택된 기준프레임에서 움직이는 영역을 투명하게 하거나 삭제하여 고정영상만 노출되게 한 후, 추출된 모든 프레임 상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컴퓨터는 기준프레임을 제외한 프레임에서 고정영상에 대응되지 않는 영역을 복사하여, 기준프레임 상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도 4및 도 6에서와 같이, 컴퓨터는 기준프레임에서 움직이는 영역을 투명하게 한 프레임(예를 들어, 움직이는 영역을 투명하게 알파 값으로 변환한 프레임; 이하, 노출프레임)을 생성하여 화상프레임(또는 영상프레임) 배열의 최상단에 노출시키고, 노출프레임을 고정한 상태로 뒤에 복수의 프레임들을 차례대로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컴퓨터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전체 프레임이 아닌 일부 프레임에만 고정영상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는 추가적으로 모든 이미지에서 좌표 값을 선택한 영역만큼을 추출하여 배열할 수 있다. 이 배열을 다른 객체의 재생 가능한 미디어와 연동하여(예를 들어, 다른 객체의 재생 가능한 미디어 위에 추출한 배열을 덮어 씌워서) 새로운 미디어 파일을 만들 수 있다.
컴퓨터는 추출된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특정한 순서로 병합하여 움직이는 영상(또는 영상) 즉, 최종영상을 생성한다(S120). 즉, 컴퓨터는 편집이 끝난 후 파일상태의 이미지를 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미지화 시키는 작업을 더욱 빠르게 해주는 디코더(Decoder)를 이용하여 이미지들을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컴퓨터는 서비스에서 지원하는 해상도에 맞는 여러 이미지로 한 번에 추출할 수 있다(예를 들어, 가장 높은 해상도를 기준으로 이미지에서 1픽셀이 할당하는 영역을 확장시킴으로써 낮은 해상도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이 후, 컴퓨터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프레임 수 또는 재생속도를 기준으로, 구성된 이미지 배열을 재생 가능한 미디어로 인코딩하여 재생 가능한 미디어를 만들어줄 수 있다. 컴퓨터는 GIF, mp4 등의 포맷으로 재생 가능한 최종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최종영상 생성(또는 병합) 단계(S120)에서, 컴퓨터는 프레임 재생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컴퓨터는 사용자로부터 초당 표시하는 프레임 수, 재생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최초영상을 직접 촬상하는 경우에, 컴퓨터는 카메라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활성화하여 제어부(즉, 이미지처리부)를 거치지 않고 카메라 내 이미지센서의 프레임버퍼 값을 직접 가져오는 방식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들을 가져온다. 이 때 미리 설정한 초당 프레임 수를 기준으로 하여 계산 될 수 있는 프레임 별 재생 간격 동안(1초를 상기 초당 프레임 수로 나눈 시간) 이미지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컴퓨터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특정한 모드로 최초영상을 획득하는 중에 다른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기존에는 사용자들이 사진, 연속촬영, 동영상 촬영 등의 특정한 촬영 모드에서 촬영을 마친 후 다른 촬영 모드로 변환하여 촬영을 이어갈 수 있었다. 그러나, 유저가 촬영모드를 촬영 도중 촬영 모드 변환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유저들은 보다 다양한 효과를 낼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컴퓨터는 특정한 촬영모드로 최초영상의 촬영을 진행하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촬영모드 변경요청이 입력되면, 프레임버퍼에서 데이터 획득을 위한 프로세스를 종료하거나 적어도 일시적으로 비활성화한 후, 촬영모드를 전환하여 영상 촬영을 계속할 수 있다.
특정한 촬영모드를 종료하지 않고 촬영모드를 변경하는 경우, 컴퓨터에는 변경되는 촬영모드에 부합하는 설정을 하기 위해 지연시간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컴퓨터가 최초영상을 직접 촬상하는 경우, 정지화상 촬상모드에서 동영상촬영 모드로 변경하게 되면 기능 변경을 위한 지연시간이 발생하게 된다. 사용자가 원하는 프레임을 선택할 수 있는 최초영상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지연시간에 의해 영상이 획득되지 못하는 구간의 보완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서와 같이, 컴퓨터는 프리뷰를 활용하여 지연 시간을 보완한 동영상을 인코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카메라를 시작할 때 미리 초기화 작업(즉, 카메라부와 제어부(또는 영상처리부) 간에 카메라에서의 인코딩가능한 데이터 포맷과 제어부에서 처리가능한 데이터 포맷을 비교하고 그 둘의 데이터를 싱크하는 작업)을 해놓고, 해당 작업이 오래 걸리면 동영상촬영 준비가 완료되기 전까지 카메라와 제어부를 연결하지 않고 카메라의 프리뷰만을 이용하여 해당 프리뷰의 이미지들을 가져와 미리 촬상되는 최초영상의 일부로 저장할 수 있다. 이후에 컴퓨터는 동영상 촬영 준비가 완료되면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그 후, 컴퓨터는 동영상에서 이미지를 추출할 때 초기화 작업 동안 동영상촬영을 하지 못한 부분을 프리뷰 촬영을 통해 미리 저장된 이미지들을 가져와 모자란 프레임을 보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움직이는 영상 생성방법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100)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100)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100)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100)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100)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100)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100)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100)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100)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100)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100)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100)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100)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100)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100)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에 비해 더 간편하고 빠르게 움직이는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특히, 획득된 복수의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에서 추출된 프레임 중에서 원하는 프레임들에만 간편하게 편집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사용자는 움직이는 영상 제작 시에 일부영역만 움직이도록 구현하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특정한 촬영모드 수행 중에 다른 촬영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여러 촬영모드로 촬영된 최초영상을 움직이는 영상 제작에 함께 활용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컴퓨터 110 : 카메라
120 : 마이크 130 : 사용자입력부
140 : 출력부 150 : 메모리
160 : 인터페이스부 170 : 제어부
180 : 전원공급부

Claims (2)

  1. 컴퓨터가 하나 이상의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을 최초영상으로 획득하는 단계;
    최초영상에서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특정한 순서로 병합하여 움직이는 영상인 최종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움직이는 영상 생성방법.
  2.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움직이는 영상 생성프로그램.
KR1020150125396A 2015-09-04 2015-09-04 움직이는 영상 생성방법 및 생성프로그램 KR201700285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396A KR20170028593A (ko) 2015-09-04 2015-09-04 움직이는 영상 생성방법 및 생성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396A KR20170028593A (ko) 2015-09-04 2015-09-04 움직이는 영상 생성방법 및 생성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593A true KR20170028593A (ko) 2017-03-14

Family

ID=58460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5396A KR20170028593A (ko) 2015-09-04 2015-09-04 움직이는 영상 생성방법 및 생성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859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971B1 (ko) * 2022-06-30 2023-08-08 (주)아몬드미디어 Nft 기반 게임 에셋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971B1 (ko) * 2022-06-30 2023-08-08 (주)아몬드미디어 Nft 기반 게임 에셋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9242B2 (en) Screensho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EP3151548B1 (en) Video recording method and device
US11949978B2 (en) Image content removal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CN112804459A (zh) 基于虚拟摄像头的图像展示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0636276B (zh) 视频拍摄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3099146B (zh) 一种视频生成方法、装置及相关设备
CN106485653B (zh) 用户终端及全景图片动态缩略图的生成方法
CN115689963B (zh) 一种图像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15484403B (zh) 录像方法和相关装置
US20150036020A1 (en) Method for sharing original photos along with final processed image
CN113938620B (zh) 图像处理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WO2014110055A1 (en) Mixed media communication
WO2022166371A1 (zh) 多景录像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5514883A (zh) 跨设备的协同拍摄方法、相关装置及系统
KR102138835B1 (ko) 정보 노출 방지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3286073A (zh) 拍摄方法、拍摄装置及存储介质
KR20170028593A (ko) 움직이는 영상 생성방법 및 생성프로그램
WO2022160965A1 (zh) 一种视频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20210377454A1 (en) Capturing method and device
US20180041711A1 (en) Selective Partial View Enlargement for Image and Preview
CN116708696B (zh) 视频处理方法和电子设备
US1196153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enabling playback of content during an ongoing capture
CN117082295B (zh) 图像流处理方法、设备及存储介质
CN115037872B (zh) 视频处理方法和相关装置
CN114915722B (zh) 处理视频的方法和装置